KR20140146048A - 블루투스 저 에너지 표준을 사용한 데이터 전달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저 에너지 표준을 사용한 데이터 전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6048A
KR20140146048A KR1020147013640A KR20147013640A KR20140146048A KR 20140146048 A KR20140146048 A KR 20140146048A KR 1020147013640 A KR1020147013640 A KR 1020147013640A KR 20147013640 A KR20147013640 A KR 20147013640A KR 20140146048 A KR20140146048 A KR 20140146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data channel
data
channel pdu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3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7881B1 (ko
Inventor
조아킴 린데
브라이언 제이. 터커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140146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frequency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Transmission or re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copy of a mes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기술된 실시예에서의 동작 동안에, 송신 전자 디바이스는 규칙적 이벤트 동안에 송신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전송 윈도우에서 블루투스 저 에너지(BTL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데이터 D를 포함한 페이로드를 갖는 제1 데이터 채널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수신 전자 디바이스로 송신하며, 여기서 규칙적 이벤트 동안에 제1 데이터 채널 PDU를 송신하는 것은 제1 데이터 채널 PDU를 송신하기 위해 제1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송신 전자 디바이스는 그 후 대응하는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송신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전송 윈도우에서 BTL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동일한 데이터 D를 포함하는 페이로드를 갖는 제2 데이터 채널 PDU를 수신 전자 디바이스로 송신하며, 여기서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제2 데이터 채널 PDU를 송신하는 것은 제2 데이터 채널 PDU를 송신하기 위해 제2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루투스 저 에너지 표준을 사용한 데이터 전달{DATA TRANSFER USING THE BLUETOOTH LOW ENERGY STANDARD}
관련 출원
본 출원은 참고로 포함되는, 발명의 명칭이 "블루투스 저 에너지 표준을 사용한 데이터 전달(Data Transfer using the Bluetooth Low Energy Standard)"이고, 발명자들 린드 조아킴(Joakim Linde) 및 터커 브라이언 제이(Brian J. Tucker)에 의한, 2011년 10월 25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551,372호(대리인 문서 번호 APL-P12879USP1)로부터의 정규 출원이며, 이에 의해 그에 대한 35 U.S.C. § 120 하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기술된 실시예는 네트워크 연결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된 실시예는 블루투스 저 에너지 표준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달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많은 현대의 전자 디바이스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네트워킹 서브시스템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들 전자 디바이스는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UMTS, LTE 등),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전기전자기술자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표준 802.11에 기술된 것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를 갖는 네트워킹 서브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전자 디바이스는 때때로 매우 제한적인 전력-소비 요건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통신한다. 예를 들어, 운동 심박수 모니터 및 다른 이러한 디바이스와 같은 저-전력 전자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에 의한 전력 소비가 디바이스에서의 배터리 수명을 보존하기 위해 매우 낮은 레벨로 유지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많은 현재-이용가능한 표준들은 너무 많은 전력을 소비하기 때문에, 이 표준들은 종종 이들 저-전력 디바이스와 통신할 때 사용될 수 없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무선으로 통신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의 일반적으로-사용되는 표준은 블루투스 클래식 표준(Bluetooth Classic standard, "BTC")이며, 이는 문헌[the Core v. 4.0 Specification for the Bluetooth System from the Bluetooth Special Interest Group (SIG) of Kirkland, Washington]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BTC는 제한적인 전력-소비 요건을 갖는 많은 디바이스와의 통신에 사용되기에는 너무 많은 전력을 소비한다. 블루투스 규격은 또한 BTC보다 상당히 더 적은 전력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BTLE") 표준을 기술한다. BTLE 표준은 너무 많은 전력을 소비함이 없이 이들 보다 낮은-전력 디바이스들 중 일부와 통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BTLE의 기술 시에, 블루투스 규격은 디바이스들 사이에서의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이벤트(event)-기반 통신 기법을 기술한다. BTLE를 사용할 때, 디바이스는 먼저, BTLE 네트워크 연결을 수립하는 동안, 대응하는 시간들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들의 스케줄에 동의한다. 이어서, 그 뒤에 BTLE 네트워크 연결을 사용하는 동안, 각각의 이벤트 동안에,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데이터가 전송/수신되도록 이용가능하다면). 도 1은 BTLE 이벤트-기반 통신 기법의 예를 나타내는 타임라인 다이어그램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2개의 타임라인을 제공하는데, 하나는 제1 디바이스를 위한 것이고 다른 것은 제2 디바이스를 위한 것이다. 도 1에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는 주어진 이벤트(예를 들어, E0 또는 E1) 동안에 먼저 발생하는 전송 윈도우(sending window)를 가지며, 제2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가 그의 전송 윈도우에 있을 때 발생하는 수신 윈도우(receiving window)를 갖는다. 또한, 제2 디바이스는 이벤트 동안에 발생하는 전송 윈도우를 가지며, 제1 디바이스는 대응하는 수신 윈도우를 갖는다.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의 통신이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디바이스들은 대응하는 이벤트 동안에 주어진 주파수에서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BLTE 시스템에서,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할 때, 디바이스는 데이터의 성공적인 수신을 확인 응답하기 위해 확인 응답 메시지를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도 1의 타임라인을 사용하여, 이벤트(E0) 동안에, 제1 디바이스는 그의 전송 윈도우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제2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제2 디바이스는 그 자신의 전송 윈도우에서 확인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제1 디바이스가 확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으면(예를 들어, 제2 디바이스에 도착된 데이터가 어떤 방식으로 변질되기 때문에), 제1 디바이스는 다음 이벤트 동안에 그의 다음의 전송 윈도우를 기다리며 동일한 주파수에서 그 데이터를 재전송한다. 제2 디바이스로부터 확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제1 디바이스는, 동일한 주파수에서, 각각의 이벤트에서, 데이터를 계속해서 재전송한다.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위치되는 환경에서 디바이스 및 다른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간섭을 받기 쉬울 수 있기 때문에,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변질된 상태에서 도착할 수 있다. 그러나, 다음 이벤트에서 동일한 주파수에서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것은 디바이스들이 동일한 소스의 간섭을 받기 쉬울 수 있기 때문에 다시 성공하지 못할 수 있다. 이는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재전송하려고 반복적으로 시도하며 계속해서 동일한 간섭에 직면하는 것을 야기할 수 있다. 일부 데이터는 "적시(timely)"의 것이며,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이전 및 후속 데이터에 대하여 주어진 시간에 그리고 주어진 시퀀스로 도착해야 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반복된 재전송은 디바이스에 대한 차선의 성능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는 바람직하지 않은 사용자 경험으로 이어질 수 있다.
기술된 실시예는 전자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통신하기 위한 시스템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동작 동안에, 송신 전자 디바이스는 규칙적인 이벤트 동안에 송신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전송 윈도우에서 블루투스 저 에너지(BTL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수신 전자 디바이스로 제1 데이터 채널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을 송신하며, 여기서 제1 데이터 채널 PDU는 데이터 D를 갖는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하며, 규칙적인 이벤트 동안에 제1 데이터 채널 PDU를 송신하는 것은 BTL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1 데이터 채널 PDU를 송신하기 위해 제1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송신 전자 디바이스는 이어서 대응하는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송신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전송 윈도우에서 BTL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2 데이터 채널 PDU를 수신 전자 디바이스로 송신하며, 여기서 제2 데이터 채널 PDU는 동일한 데이터 D를 갖는 페이로드를 포함하며,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제2 데이터 채널 PDU를 송신하는 것은 BTL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2 데이터 채널 PDU를 송신하기 위해 제2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제2 데이터 채널 PDU를 송신할 때, 송신 전자 디바이스는 제2 데이터 채널 PDU를 송신하라는 요청을 수신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지 않고 제2 데이터 채널 PDU를 자동적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송신 전자 디바이스는 PDU가 규칙적인 이벤트 또는 재송신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 동안에 송신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수신 윈도우에서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수신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데이터 D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주파수는 제2 주파수와는 상이한 주파수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신 전자 디바이스는 청취-보조 디바이스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규칙적인 이벤트 및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PDU를 송신하기 전에, 송신 전자 디바이스는 규칙적인 이벤트 및 재송신 이벤트가 발생하는 시간들의 스케줄을 구성하기 위해 수신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동작 동안에, 수신 전자 디바이스는 규칙적인 이벤트 동안에 수신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수신 윈도우에서 BTL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송신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제1 데이터 채널 PDU를 수신하며, 여기서 제1 데이터 채널 PDU는 데이터 D를 갖는 페이로드를 포함하며, 규칙적인 이벤트 동안에 제1 데이터 채널 PDU를 수신하는 것은 BTL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1 데이터 채널 PDU를 수신하기 위해 제1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수신 전자 디바이스는 데이터 D가 정확한 상태에서 제1 데이터 채널 PDU가 수신되었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 D가 정확한 상태에서 제1 데이터 채널 PDU가 수신되지 않았을 때, 수신 전자 디바이스는 대응하는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수신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수신 윈도우에서 BTL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송신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제2 데이터 채널 PDU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2 데이터 채널 PDU는 동일한 데이터 D를 갖는 페이로드를 포함하며,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제2 데이터 채널 PDU를 수신하는 것은 BTL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2 데이터 채널 PDU를 수신하기 위해 제2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데이터 D가 정확한 상태에서 제1 데이터 채널 PDU가 수신되었으며, 수신 전자 디바이스는 적어도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BTLE 인터페이스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저-전력 모드로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저-전력 모드에서,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송신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제2 데이터 채널 PDU는 무시되며 수신 전자 디바이스에서 수신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데이터 D가 정확한 상태에서 제1 데이터 채널 PDU 및/또는 제2 데이터 채널 PDU가 수신되었을 때, 수신 전자 디바이스는 규칙적인 이벤트 또는 재송신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 동안에 수신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전송 윈도우에서 BTL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수신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송신 전자 디바이스로 제3데이터 채널 PDU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3 데이터 채널 PDU는 데이터 D 가 정확한 상태에 있었음을 확인 응답하는 확인 응답 메시지를 갖는 페이로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데이터 채널 PDU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는지를 결정할 때, 수신 전자 디바이스는 제1 데이터 채널 PDU의 페이로드에서의 송신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D가 제1 데이터 채널 PDU의 페이로드에서의 수신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D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확인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은 제1 데이터 채널 PDU에 대한 계산된 순환 중복 검사(ECC) 값을 제1 데이터 채널 PDU에서의 필드의 CRC 값과 비교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
도 1은 BTLE 이벤트-기반 통신 기법의 예를 제공하는 도면.
<도 2>
도 2는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제공하는 도면.
<도 3>
도 3은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청취-보조 디바이스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제공하는 도면.
<도 4>
도 4는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을 제공하는 도면.
<도 5>
도 5는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데이터 채널 PDU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을 제공하는 도면.
<도 6>
도 6은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채널 PDU에 대한 헤더의 확대도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을 제공하는 도면.
<도 7>
도 7은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저 에너지 프로토콜 스택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제공하는 도면.
<도 8>
도 8은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서브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을 제공하는 도면.
<도 9>
도 9는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들 사이에서의 통신의 타임라인 다이어그램을 제공하는 도면.
<도 10>
도 10은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를 전달하기 위한 전자 디바이스 및 청취-보조 디바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를 제공하는 도면.
<도 11>
도 11은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BTLE 네트워크 연결을 사용하여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를 제공하는 도면.
<도 12>
도 12는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BTLE 네트워크 연결을 사용하여 청취-보조 디바이스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를 제공하는 도면.
<도 13>
도 13은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재송신 이벤트를 갖는 이벤트-기반 통신 기법을 나타내는 타임라인 다이어그램을 제공하는 도면.
<도 14>
도 14는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재송신 이벤트를 갖는 이벤트-기반 기법을 사용하여 전자 디바이스와 청취-보조 디바이스 사이에서 통신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를 제공하는 도면.
<도 15>
도 15는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재송신 이벤트를 갖는 이벤트-기반 기법을 사용하여 전자 디바이스와 청취-보조 디바이스 사이에서 통신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를 제공하는 도면.
도면들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도면 요소를 나타낸다.
하기의 기술은 당업자가 기술된 실시예를 제조 및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공되며,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그의 요건과 관련하여 제공된다. 기술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이 당업자들에게 쉽게 명백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한정된 일반적인 원리는 기술된 실시예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 및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기술된 실시예는 도시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명세서에 개시된 원리 및 특징들과 일치하는 가장 넓은 범주에 부합되어야 한다.
본 상세한 설명에 기술된 데이터 구조 및 코드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 및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 또는 매체(또는 디바이스들 및/또는 매체들의 조합)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플래시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SRAM, DRAM, RDRAM, DDR/DDR2/DDR3 SDRAM 등), 자기 또는 광학 저장 매체(예를 들어,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CD, DVD), 또는 데이터 구조 또는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매체를 비롯해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는 송신 신호와 같은 비-법정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하기의 설명에 기술된 방법 및 프로세스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예를 들어, 도 2의 전자 디바이스(200) 또는 도 3의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를 참조)은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 및 실행하며, 컴퓨터 시스템은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상태에 있는 방법 및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하기의 설명에 기술된 방법 및 프로세스는 하드웨어 모듈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 모듈은 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ASIC) 칩, 필드-프로그래밍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 및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로직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하드웨어 모듈이 활성화될 때, 하드웨어 모듈은 하드웨어 모듈 내에 포함된 방법 및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드웨어 모듈은 (예를 들어,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방법 및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범용 회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202)(도 2)은 메모리 서브시스템(204)으로부터 명령어들을 획득하며 프로세싱 서브시스템(202)이 기술된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및 동작을 수행하게 하기 위해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도 3의 프로세싱 서브시스템(302) 및 메모리 서브시스템(304)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됨). 일부 실시예에서, 명령어들은 펌웨어이다.
개요
기술된 실시예는 전자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통신하기 위해 블루투스 저 에너지 표준(본 명세서에서 "BTLE"로 지칭됨)의 수정된 버전을 사용한다. 기존의 BTLE 표준이 2010년 6월 30일에 출판된 문헌[the Core v. 4.0 Specification for the Bluetooth System from the Bluetooth Special Interest Group (SIG) of Kirkland, Washington]에 기술되어 있다. 문헌[the Core v. 4.0 Specification for the Bluetooth System]은 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기술되지 않은 BTLE 표준의 태양을 기술하기 위해 참고로 포함된다(그리고 이하 "BTLE 규격"으로 상호교환적으로 지칭된다).
블루투스 규격에 기술된 바와 같이 BTLE 표준은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 및 프로세싱하기 위한 능력을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나, 기술된 실시예는 오디오 데이터의 전달 및 프로세싱을 가능하게 하는 BTLE 표준의 개선된 버전을 포함한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BTLE 표준의 개선된 버전은 하기의 것을 포함한다: (1) 업데이트된 유형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또는 "메시지"); (2) 수정된 버전의 BTLE 프로토콜 스택; 및 (3) 전자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오디오의 전달 및 프로세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추가의 제어/구성 메커니즘.
일부 실시예에서, 데이터 채널 PDU에서의 미리결정된 필드는 데이터 채널 PDU의 페이로드 부분에서의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임을 데이터 채널 PDU의 수신기에게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데이터 채널 PDU에서의 필드는 값이 페이로드에서의 오디오 데이터를 갖는 데이터 채널 PDU를 다른 데이터 채널 PDU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예를 들어, LL 데이터 PDU 및 LL 제어 PDU로부터 오디오 PDU를 구별하기 위해) 기록되는 링크-계층 ID(LLID) 필드와 같은 기존의 필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정된 버전의 BTLE 프로토콜 스택은 오디오 계층을 포함한다. 오디오 계층은 프로세싱을 위해 링크 계층으로부터 디지털로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용하는 프로토콜 스택에서의 링크 계층 위에 위치된 계층이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미리결정된 필드가 페이로드가 오디오 데이터임을 표시하기 위해 설정되는 데이터 채널 PDU를 수신할 때, 링크 계층은 후속 프로세싱을 위해 오디오 계층에 직접 페이로드/오디오 데이터를 포워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계층 및/또는 오디오 계층 위의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 채널 PDU의 페이로드에서의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단계를 수행할 수 있으며, 트랜스듀서는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출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메커니즘은 송신 디바이스 및/또는 수신 디바이스가 수신 디바이스 상에서 송신, 디코딩, 및/또는 재생을 위해 오디오 데이터 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구성할 수 있도록 송신 디바이스 및 수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송신 디바이스 및/또는 수신 디바이스의 능력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하는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기술된 실시예는 또한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할 때 간섭 또는 데이터 손실/변질의 효과들 중 일부를 회피할 수 있게 하는 BTLE 이벤트-기반 통신 기법에 대한 수정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기술된 실시예에서, BTLE의 이벤트-기반 통신 기법은 데이터의 자동 재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추가의 "재송신 이벤트"를 포함하도록 수정된다. 이들 실시예에서, 데이터를 재송신할 때, 데이터는 간섭의 효과들 중 일부를 회피하는 것을 돕기 위해 데이터가 원래 송신된 주파수와는 상이한 주파수로 재송신된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이벤트-기반 통신 기법은 2개의 상이한 유형의 이벤트, 즉 "규칙적" 이벤트 및 "재송신" 이벤트를 포함한다. 규칙적 이벤트 동안에, 데이터는 처음에 디바이스에 의해 동의된 대응하는 주파수를 사용하여 제1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폰과 같은 보다 높은-전력 디바이스)로부터 제2 디바이스(예를 들어, 보청기와 같은 보다 낮은-전력 디바이스)로 전송된다. (규칙적 이벤트가 도 1에 도시된 이벤트와 유사함에 유의한다.)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동일한 데이터가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제2 디바이스로 재전송되지만, 디바이스에 의해 동의된 상이한 주파수를 사용한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데이터는 자동적으로, 즉 제2 디바이스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지 않고,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재전송될 수 있다.
규칙적 이벤트는 디바이스에 의해 동의된 주어진 간격에서 발생하며, 재송신 이벤트는 규칙적 이벤트들 중 적어도 일부 사이에서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주어진 규칙적 이벤트는 시간 T 0에서 발생하고 대응하는 재송신 이벤트는 시간 T 0+N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규칙적 이벤트와 다음의 규칙적 이벤트 사이에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데이터가 규칙적 이벤트 동안에 성공적으로 수신되면, 제2 디바이스는 재송신 이벤트를 무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디바이스는 규칙적 이벤트 직후에 소정 서브시스템의 부분(예를 들어, 라디오 또는 다른 인터페이스 메커니즘)을 저-전력 모드에 둘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수신할 두 번의 기회 - 규칙적 이벤트 및 재송신 이벤트를 갖지만,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청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및 청취-보조 디바이스
도 2는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200)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제공한다. 전자 디바이스(200)는 프로세싱 서브시스템(202), 메모리 서브시스템(204), 및 네트워킹 서브시스템(206)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서브시스템(202)은 계산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서브시스템(202)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ASIC,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로직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메모리 서브시스템(204)은 프로세싱 서브시스템(202) 및 네트워킹 서브시스템(206)에 대한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들을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서브시스템(204)은 DRAM, 플래시 메모리, 및/또는 다른 유형들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서브시스템(204)은 메모리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 서브시스템(204)은 전자 디바이스(200)를 위한 메모리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캐시의 배열을 포함하는 메모리 계층 구조를 포함한다. 이들 실시예 중 일부에서, 캐시들 중 하나 이상은 프로세싱 서브시스템(202)에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 서브시스템(204)은 하나 이상의 고-용량 대량-저장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메모리 서브시스템(204)은 자기 또는 광학 드라이브, 고체-상태 드라이브, 또는 다른 유형의 대량-저장 디바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메모리 서브시스템(204)은 종종-사용되는 데이터에 대한 고속-액세스 저장으로서 전자 디바이스(20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반면, 대량-저장 디바이스는 덜 빈번하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네트워킹 서브시스템(206)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하며 그 상에서 통신하도록(즉, 네트워크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킹 서브시스템(206)은 블루투스 네트워킹 시스템(BTLE 표준에 대한 지원을 포함), 셀룰러 네트워킹 시스템(예를 들어, 3G/4G 네트워크), 범용 직렬 버스(USB) 네트워킹 시스템, 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 802.11에 기술된 표준(즉, 802.11 무선 네트워크)에 기초한 네트워킹 시스템, 이더넷 네트워킹 시스템, 또는 유선 또는 무선 개인-영역 네트워킹(PAN) 시스템(예를 들어, 적외선 데이터 연관(IrDA), 초-광대역(UWB), Z-Wave, 또는 IEEE 802.15에 기술된 표준에 기초한 네트워크)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네트워킹 서브시스템(206)은 제어기,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라디오/안테나, 하드-와이어드 전기 연결을 위한 소켓/플러그, 및/또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하고, 그 상에서 통신하며, 그 상에서 데이터 및 이벤트를 핸들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 중 일부에서, 네트워킹 서브시스템(206)은 다른 디바이스와의 애드호크 네트워크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하기의 기술에서, 각각의 네트워크 연결의 물리 계층에서 네트워크에 결합하고, 그 상에서 통신하며, 그 상에서의 데이터 및 이벤트를 핸들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커니즘들의 서브세트를 총괄하여 대응하는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인터페이스"로 지칭한다.
전자 디바이스(200) 내에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202), 메모리 서브시스템(204), 및 네트워킹 서브시스템(206)은 버스(310)를 사용하여 함께 결합된다. 버스(310)는 프로세싱 서브시스템(202), 메모리 서브시스템(204), 및 네트워킹 서브시스템(206)이 서로에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기적 연결이다. 비록 단지 하나의 버스(310)만이 명료함을 위해 도시되지만, 상이한 실시예는 서브시스템들 사이에서 상이한 수 또는 구성의 전기적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200)는 많은 상이한 유형들의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그것에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전자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수신 디바이스로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200)는 데스크톱 컴퓨터, 랩톱 컴퓨터, 서버, 미디어 플레이어, 기기, 서브노트북/넷북,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하나의 시험 장비, 네트워크 기기, 셋톱 박스,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토이, 제어기, 및/또는 다른 디바이스의 일부일 수 있다.
특정 구성요소가 전자 디바이스(200)를 기술하는 데 사용되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이한 구성요소 및/또는 서브시스템이 전자 디바이스(200)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200)는 하나 이상의 추가의 프로세싱 서브시스템(202), 메모리 서브시스템(204), 및/또는 네트워킹 서브시스템(206)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서브시스템들 중 하나 이상은 전자 디바이스(200)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게다가, 별개의 서브시스템들이 도 2에 도시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주어진 서브시스템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전자 디바이스(200) 내의 다른 서브시스템들 중 하나 이상에 통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200)는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추가의 서브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상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서브시스템, 데이터 수집 서브시스템, 오디오 서브시스템, 알람 서브시스템, 미디어 프로세싱 서브시스템, 및/또는 입력/출력(I/O) 서브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사람이 사운드를 지각(즉, 사운드를 듣거나 달리 인지함)할 수 있게 하는 전자 디바이스이다.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프로세싱 서브시스템(302), 메모리 서브시스템(304), 네트워킹 서브시스템(306), 오디오 서브시스템(308)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서브시스템(302)은 계산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서브시스템(302)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ASIC, 마이크로제어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로직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메모리 서브시스템(304)은 프로세싱 서브시스템(302) 및 네트워킹 서브시스템(306)에 대한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들을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서브시스템(304)은 DRAM, 플래시 메모리, 및/또는 다른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서브시스템(304)은 메모리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 서브시스템(304)은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를 위한 메모리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캐시의 배열을 포함하는 메모리 계층 구조를 포함한다. 이들 실시예 중 일부에서, 캐시들 중 하나 이상은 프로세싱 서브시스템(302)에 위치된다.
네트워킹 서브시스템(306)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하며 그 상에서 통신하도록(즉, 네트워크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킹 서브시스템(306)은 블루투스 네트워킹 시스템(BTLE 표준에 대한 지원을 포함), 셀룰러 네트워킹 시스템(예를 들어, 3G/4G 네트워크), 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 802.11에 기술된 표준(즉, 802.11 무선 네트워크)에 기초한 네트워킹 시스템, 또는 무선 개인-영역 네트워킹(PAN) 시스템(예를 들어, 적외선 데이터 연관(IrDA), 초-광대역(UWB), Z-Wave, 또는 IEEE 802.15에 기술된 표준에 기초한 네트워크)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네트워킹 서브시스템(306)은 제어기,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라디오/안테나, 하드-와이어드 전기 연결을 위한 소켓/플러그, 및/또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하고, 그 상에서 통신하며, 그 상에서 데이터 및 이벤트를 핸들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 중 일부에서, 네트워킹 서브시스템(306)은 다른 디바이스와의 애드호크 네트워크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킹 서브시스템(306)에서의 블루투스 네트워킹 시스템은 단일-모드 블루투스 네트워킹 시스템으로서 구성되는 반면, 다른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킹 서브시스템(306)에서의 블루투스 네트워킹 시스템은 이중-모드 블루투스 네트워킹 시스템으로서 구성된다.
오디오 서브시스템(308)은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의 사용자가 사운드로서 지각할 수 있는 신호를 생성하고/생성하거나 출력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트랜스듀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서브시스템(308)은 스피커, 증폭기, 드라이버, 진동 메커니즘, 광, 및/또는 다른 트랜스듀서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서브시스템(308)은 하나 이상의 디코더 회로, 트랜스코더 회로, 변환기 회로,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302)은 오디오 서브시스템(308)이 출력 사운드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예를 들어, 버스(312) 상에) 제공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302)은 오디오 서브시스템(308)이 출력 사운드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디코딩하거나 달리 프로세싱하는 디지털 신호를 제공한다.
청취-보조 디바이스(300) 내에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302), 메모리 서브시스템(304), 및 네트워킹 서브시스템(306)은 버스(310)를 사용하여 함께 결합되며 프로세싱 서브시스템(302) 및 오디오 서브시스템(308)은 버스(312)를 사용하여 함께 결합된다. 버스(310)는 프로세싱 서브시스템(302), 메모리 서브시스템(304), 및 네트워킹 서브시스템(306)이 서로에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전기적 연결이며, 버스(312)는 프로세싱 서브시스템(302) 및 오디오 서브시스템(308)이 서로에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전기적 연결이다. 비록 버스(310, 312)가 명료함을 위해 도시되지만, 상이한 실시예는 상이한 수 및/또는 구성의 전기적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프로세싱 서브시스템(302), 메모리 서브시스템(304), 네트워킹 서브시스템(306), 및 오디오 서브시스템(308)이 필요에 따라 서로와 통신할 수 있게 하기에 충분한 전기적 연결을 포함한다.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많은 상이한 유형의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그것에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전자 디바이스는 사람이 사운드의 지각을 돕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보청기, 인공 귀, 진동 디바이스, 스피커, 헤드폰(또는 한 쌍의 헤드폰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촉각 디바이스, 및/또는 다른 디바이스일 수 있다.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를 기술하기 위해 특정 구성요소를 사용하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이한 구성요소 및/또는 서브시스템이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하나 이상의 추가의 프로세싱 서브시스템(302), 메모리 서브시스템(304), 및/또는 네트워킹 서브시스템(306)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서브시스템들 중 하나 이상은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게다가, 별개의 서브시스템들이 도 3에 도시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주어진 서브시스템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청취-보조 디바이스(300) 내의 다른 서브시스템들 중 하나 이상에 통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추가의 서브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데이터 수집 서브시스템, 디스플레이 서브시스템, 및/또는 입력/출력(I/O) 서브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 전력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저-전력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302), 메모리 서브시스템(304), 네트워킹 서브시스템(306), 및 오디오 서브시스템(308)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저-전력 메커니즘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서브시스템(302)은 제한된 기능을 갖는 프로세싱 메커니즘 및/또는 저-전력 프로세싱 메커니즘일 수 있다. 게다가,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302), 메모리 서브시스템(304), 네트워킹 서브시스템(306), 및 오디오 서브시스템(308)은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서 표시된 기능들(프로세싱, 명령어들 및/또는 데이터의 저장, 등)을 수행하기 위해 주문 제작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맞춤형 ASIC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사용자(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착용되거나 달리 휴대되며 선택된 사운드(들)를 지각할 때 사용자에게 도움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보청기로서 귀에 착용되거나 주입될 수 있고/있거나, 적절한 장착 하드웨어(스트랩, 프레임, 접착제, 패스너 등)를 갖는 헤드폰 또는 헤드폰들로서 착용될 수 있고/있거나, 손에 휴대되거나 몸에 착용될 수 있고/있거나, 달리 사용자에게 이용가능하게 될 수 있다.
도 4는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을 제공한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무선 신호(402)가 전자 디바이스(200)에서 (예를 들어, 네트워킹 서브시스템(206)에서의) 라디오(400)로부터 송신된다. 무선 신호(402)는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서의 네트워킹 서브시스템(306)에서 대응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신되며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서의 네트워킹 서브시스템(306) 및/또는 프로세싱 서브시스템(302)에 의해 프로세싱된다. 도 4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무선 신호는 또한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서의 라디오로부터 송신되며 라디오(400)(또는 전자 디바이스(200)에서의 다른 라디오)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충분한 무선 신호가 전자 디바이스(200)와 청취-보조 디바이스(300) 사이에서 데이터(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의 통신 및 BTLE 네트워크 연결의 형성 및 유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200)와 청취-보조 디바이스(300) 사이에서 전달된다.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를 사용하여 실시예를 기술하지만, 대안적인 실시예는 2개의 전자 디바이스(200) 및/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사용함에 유의한다. 일반적으로, 기술된 실시예는 하나의 디바이스가 오디오 데이터의 송신기이며 다른 디바이스가 오디오 데이터의 수신기인 임의의 쌍의 디바이스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2개의 청취-보조 디바이스(200)(예를 들어, 각각의 귀에 대해 하나씩)를 갖는다면 2개의 별개의 연결이 전자 디바이스(100)와 수립될 수 있다.
데이터 채널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도 5는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데이터 채널 PDU(500)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을 제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채널 PDU(500)는 프리앰블(PREA)(506), 액세스 어드레스(ADDR)(508), 및 CRC(510)에 더하여, 헤더(502) 및 페이로드(504)를 포함한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헤더(502)에서의 필드는 페이로드(504)가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지 여부(또는 어떤 다른 데이터를 포함하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보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사용들을 제외하고는, 데이터 채널 PDU(500)에서의 필드는 BTLE 규격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된다.
도 6은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채널 PDU(500)에 대한 헤더(502)의 확대도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을 제공한다.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헤더(502)는 다음의 필드를 포함한다: LLID(600), NESN(602), SN(604), MD(606), RFU(608), LENGTH(610), 및 RFU(612). 이들 필드는 일반적으로 당업계에 알려진 데이터 채널 PDU 헤더 필드와 유사하며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능 이외의) 그들의 기능은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기존의 BTLE 표준과는 달리, 일부 실시예에서, LLID(600) 필드는 데이터 채널 PDU(500)의 페이로드(504)가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LLID(600) 필드는 PDU가 LL 데이터 PDU인지 또는 LL 제어 PDU인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해 BTLE 표준의 기존의 구현에서 사용되는 2-비트 필드이다. 2-비트 LLID(600) 필드의 단지 3개의 조합들만이 이러한 표시를 만들 때 사용되기 때문에, 기술된 실시예는 페이로드(504)가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함을 표시하기 위해 LLID(600) 필드의 비트들의 이전에-사용되지 않은 조합(즉, 조합("00"))을 채용한다. 따라서, 이들 실시예에서, 데이터 채널 PDU(500)의 유형은 LLID(600) 필드에서의 가능한 조합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00 - 오디오 데이터;
01 - LL 데이터 PDU;
10 - LL 데이터 PDU; 또는
11 - LL 제어 PDU.
LLID(600) 필드가 00으로 설정되어서, 오디오 데이터가 페이로드(504)에 존재함을 표시할 때, 프로토콜 스택(700)에서의 논리 링크(704) 계층(도 7 참조)은 프로세싱을 위해 데이터를 페이로드(504)로부터 오디오(712) 계층으로 포워딩할 수 있다. 페이로드(504)를 오디오(712) 계층으로 포워딩하는 것은, 어떤 오디오(712) 계층도 없기 때문에, 그리고 LLID(600) 필드의 00 값이 사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BTLE 표준의 구현에서 이전에 가능하지 않았던 동작임에 유의한다.
예시된 필드를 사용하여 헤더(502)를 기술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헤더(502)는 상이한 수, 배열, 및/또는 유형의 필드를 포함함에 유의한다. 일반적으로, 헤더(502)는 PDU의 페이로드가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수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를 위한 충분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데이터 채널 PDU(500)가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할 때, 전체 페이로드(504)는 오디오 데이터일 수 있다. 즉, 페이로드(504)에서 오디오(712) 계층을 위한 어떤 헤더 또는 다른 정보도 없을 수 있다. 이것이 참이기 때문에, 이들 실시예는 주어진 데이터 채널 PDU(500)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요구되는 BTLE 네트워크 트래픽의 양을 감소시키고/시키거나 (오디오 품질이 개선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는) 주어진 양의 시간에 전달될 수 있는 오디오 데이터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는 오디오 데이터를 송신할 때 페이로드에 허용된 최대 수의 비트(즉, 최대 페이로드 크기)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최대 페이로드 크기는 오디오 데이터의 31 옥텟이다(헤더(402)에서의 LENGTH(510) 필드는 페이로드(404)에서 옥텟의 길이/수를 표시할 수 있음에 유의).
프로토콜 스택
기술된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200)는 네트워킹 서브시스템(206)에서의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전자 디바이스(200)로 그리고 그로부터의 데이터의 전달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 스택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200) 상에서 실행하는 운영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은 전자 디바이스(200) 상에서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네트워킹 서브시스템(206)에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그리고 그로부터의 데이터의 전달을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200)에 포함된 프로토콜 스택들 각각은 다수의 논리 계층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200)는 물리 RF 계층, 기저대역(BB) 계층, 링크(LL) 계층, L2CAP 계층 등을 포함하는 BTC/BTLE 프로토콜 스택을 유지할 수 있다. 주어진 프로토콜 스택의 각각의 계층에서, 전자 디바이스(200)는 상기 계층과 연관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또한 네트워킹 서브시스템(306)에서의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로 그리고 그로부터의 데이터의 전달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 스택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청취-보조 디바이스(300) 상에서 실행하는 운영 시스템, 제어기, 및/또는 펌웨어(도시되지 않음)는 청취-보조 디바이스(300) 상에서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및/또는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서의 다른 하드웨어 메커니즘(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 프로세서 및/또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을 위해 네트워킹 서브시스템(306)에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로 그리고 그로부터의 데이터의 전달을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서의 BTLE 프로토콜 스택(700)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제공한다. 도 7에 도시된 프로토콜 스택(700)은 프로토콜 스택(700)이 오디오(712) 계층을 포함하기 때문에 기존의 BTLE 프로토콜 스택과는 상이하며,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오디오 데이터를 핸들링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로토콜 스택(700)은, 소프트웨어/펌웨어로 구현되는(예를 들어, 프로세싱 서브시스템(302) 및/또는 네트워킹 서브시스템(306)에 의해 실행되는), BTLE 프로토콜 스택의 물리/하드웨어 계층인 LE PHY(702) 계층, 및 논리 링크(704) 및 L2CAP(706) 계층을 비롯한, 다수의 상이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프로토콜 스택(700)은 또한 청취-보조 디바이스(300) 상에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710)과 프로토콜 스택(700) 사이에서의 인터페이스로서 역할을 하는 포트(708)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710)"은 간단히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서의 운영 시스템/펌웨어/제어기의 기능일 수 있으며, 보다 복잡한 전자 디바이스에서와 같이 독립형 애플리케이션이 아닐 수 있음에 유의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능 외에, 프로토콜 스택(700)의 계층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은 일반적으로 당업계에 알려져 있으며 그러므로 기술되지 않는다.
오디오(712) 계층은 인입 오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302)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메커니즘이다. 일반적으로, 논리 링크(704) 계층은 데이터 채널 PDU(400)가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인입 데이터 채널 PDU(400)을 판독하며, 그렇지 않다면, 논리 링크(704) 계층은 그에 따라 데이터 채널 PDU(500)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달리, 데이터 채널 PDU(400)가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면, 논리 링크 계층(704)은 후속 프로세싱을 위해 데이터 채널 PDU(500)로부터 오디오(712) 계층으로 페이로드(504)에서의 데이터를 포워딩할 수 있다(예를 들어, 오디오 스트림으로서). 후속 프로세싱은 하기에 보다 상세히 기술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0) 및 청취-보조 디바이스(200)에서의 네트워크 프로토콜 스택은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이, 속성 프로토콜(ATT) 및 포괄 속성 프로토콜(GATT)에 대한 액세스를 전자 디바이스(100) 및 청취-보조 디바이스(200) 상의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한다. 이들 실시예 중 일부에서, 청취-보조 디바이스(200)는 GATT 서버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전자 디바이스(100)는 GATT 클라이언트로서 기능할 수 있고 청취-보조 디바이스(200)에서의 데이터를 액세스(판독, 기록, 수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0)와 청취-보조 디바이스(200) 사이에서의 디바이스 발견 및 연결 수립은 BTLE 규격을 따른다. 이들 실시예 중 일부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중심"의 역할을 맡으며 청취-보조 디바이스(200)는 "주변"의 역할을 맡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취-보조 디바이스(200)는 광고 데이터에 포함된 청취-보조 디바이스(200)에 대한 UUID를 갖고, N초(예를 들어, 1 내지 5초)의 광고 간격을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광고 데이터를 갖는 광고 PDU를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서브시스템
도 8은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서의 오디오 서브시스템(308)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을 제공한다.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오디오 서브시스템(308)은 오디오 데이터 프로세서(800),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802), 및 트랜스듀서(804)를 포함한다. 오디오 데이터 프로세서(800)는 오디오(712)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프로세싱된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싱된 디지털 데이터는 그 후 오디오 데이터 프로세서(800)로부터 DAC(802)로 포워딩되며, 여기서 아날로그 신호는 프로세싱된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생성된다. 아날로그 신호는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의 사용자에 의해 사운드로서 지각될 수 있는 신호(사운드, 진동 등)의 생성을 위해 트랜스듀서(804)로 전송된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200)에서, 오디오 데이터는 데이터 채널 PDU(500)가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생성되기 전에 압축, 인코딩, 및/또는 달리 프로세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싱은 오디오 데이터가 가능한 한 적은 데이터 채널 PDU(400)로 송신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오디오 데이터의 전체 비트-길이/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해 수행될 수 있는 동시에, 여전히 미리결정된 오디오 품질 레벨을 유지한다(여기서, "품질 레벨"은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출력 오디오 신호의 주어진 양상을 지각하기 위한 청취자의 능력으로서 정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싱은 G.711, G.722, G.722.1, 및/또는 G.726 인코딩, MP3 인코딩, 및/또는 AAC-ELD 인코딩을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는 인코딩, 압축, 및/또는 달리 프로세싱되기 때문에, 오디오 데이터 프로세서(800)는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고/하거나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 프로세서(800)는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 트랜스코딩, 변환, 증폭, 정규화, 성형, 감쇠, 재구성, 맞춤화, 및/또는 달리 프로세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러한 프로세싱은 G.711/G.726/G.722/G.722.1 디코딩, MP3 디코딩, 및/또는 AAC 디코딩을 포함한다.
트랜스듀서(804)는 일반적으로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를 사용하여 사람에 의해 사운드로서 및/또는 사운드를 위한 프록시로서 지각될 수 있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트랜스듀서(804)는 사운드, 전기, 진동, 시각, 촉각, 및/또는 다른 유형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 진동기, 전기 신호 발생기, 시각적 신호 발생기, 촉각적 신호 발생기, 및/또는 다른 디바이스일 수 있다.
기능 블록들의 배열이 도 8에 도시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기능 블록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다른 기능 블록들에 포함되고/되거나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서의 어딘가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 프로세서(800) 및/또는 DAC(802)는 프로토콜 스택의 오디오(712) 계층에 포함될 수 있다. 게다가,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서브시스템(308)의 일부 또는 전부는 프로세싱 서브시스템(302) 및/또는 네트워킹 서브시스템(306)에 포함될 수 있는데, 즉 오디오 서브시스템(308)에 의해 수행되는 바와 같이 기술되는 기능은 프로세싱 서브시스템(302)이 프로그램 코드 및/또는 펌웨어를 실행할 때 프로세싱 서브시스템(302)에서의 범용 회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디바이스들 사이에서의 통신
도 9는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들 사이에서의 통신의 타임라인 다이어그램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는 이벤트-기반 통신 기법을 사용하여 전자 디바이스(200)와 청취-보조 디바이스(300) 사이에서의 통신의 타임라인 다이어그램을 제공한다. 도 9에 도시된 통신은 BTLE 네트워크 연결이 당업계에 알려진 기술을 사용하여 전자 디바이스(200)와 청취-보조 디바이스(300) 사이에 수립된 후 발생한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연결 간격(900)은 미리결정된 시간 길이일 수 있다 (그리고 따라서 이벤트들은 미리결정된 간격으로 발생한다). 예를 들어, 연결 간격(900)은 1초 길이, 3초 길이 등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BTLE 표준에 따라 허용가능한 임의의 연결 간격)일 수 있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연결 간격(900)의 길이는 전자 디바이스(200) 및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를 주어진 모드에 두기 위해 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즉, 전자 디바이스(200) 및 청취-보조 디바이스(300)가 동작하는 동안 설정됨).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200) 및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2개의 모드, 즉 활성 통신 모드 및 휴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휴지 모드 동안에, 연결 간격(900)은 더 긴 간격, 예를 들어, 1s, 2s 등일 수 있으며, 활성 통신 모드 동안, 연결 간격(900)은 보다 짧은 간격, 예를 들어 8ms, 12ms, 1s 등일 수 있다. 이들 모드는 자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있거나(예를 들어, 주어진 시간에 또는 미리결정된 이벤트 해프닝 시 진입되거나 빠져나올 수 있음), 도 20에 관해 하기에 기술되는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활성 통신 모드 동안에, 연결 간격(900)은 전자 디바이스(200) 및 청취-보조 디바이스(300)가 미리결정된 레이트(rate)로 데이터(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 제어/구성 데이터, 및/또는 다른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초당 N 비트의 비트-레이트가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며, 각각의 데이터 채널 PDU(500)의 페이로드(504)가 최대 K 비트 길이라면, 연결 간격(900)은 그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휴지 모드 동안에, 연결 간격(900)은 전자 디바이스(200) 및 청취-보조 디바이스(300)가 활성 통신 모드에서보다 적은 전력을 소비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며, 데이터가 이용가능하게 될 때 전자 디바이스(200) 및 청취-보조 디바이스(300) 사이에서 보다 높은-속도 통신 데이터를 시작하기에 여전히 충분히 응답적이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200)가 전화기이고 청취-보조 디바이스(300)가 보청기임을 가정하면, 휴지 모드에서, 연결 간격(900)은 전자 디바이스(200) 및 청취-보조 디바이스(300)가 제때 전화 호출에 응답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충분히 짧은 시간이어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벤트는 전자 디바이스(200)로 하여금 전화 호출이 적정한 시간(예를 들어, 1초, 2초 등)에 응답될 수 있도록 활성 통신 모드가 진입되는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 전달할 수 있게 하기에 충분히 자주 일어나야 한다.
하기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기술된 실시예는 또한 송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200))가 원래 대응하는 규칙적 이벤트 동안에 송신된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재전송하는 재송신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재송신 이벤트는 연결 간격(900)과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재송신 이벤트의 타이밍은 규칙적 이벤트(예를 들어, 도 9에서의 E0 및 E1)와 함께 조정되어, 재송신 이벤트를 규칙적 이벤트들 사이의 중간에 타이밍을 맞춰 유지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재송신 이벤트의 타이밍은 규칙적 이벤트와는 독립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명료함을 위해, 재송신 윈도우는 도 9에 도시되지 않는다.
구성
연결 간격(900)에 관해 상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술된 실시예는 전자 디바이스(200)와 청취-보조 디바이스(300) 사이에서의 통신의 및/또는 전자 디바이스(200) 및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의 프로세싱의 양상들을 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간격(900)에 더하여,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200) 및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전자 디바이스(200)와 청취-보조 디바이스(300) 사이에서 전달되는 오디오 데이터 상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싱의 유형을 구성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프로세싱은 상술된 압축, 인코딩, 트랜스코딩 변환, 증폭, 정규화, 성형, 감쇠, 재구성, 맞춤화 등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된 실시예는 또한 사용된 채널, 신호 세기, 전송/수신 윈도우 길이 등과 같은, 다른 양상들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200) 및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연결 간격(900)을 구성하기 위해 데이터 채널 PDU(400)를 교환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실행 시간 시 활성 통신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전자 디바이스(200)는 제한된 데이터가 주어진 양의 시간(예를 들어, 10초, 1분 등) 동안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로 전송될 가능성이 높거나 어떤 데이터도 그럴 가능성이 없음을 결정할 수 있으며,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로 하여금 휴지 모드에 진입하게 하기 위해 적절한 이벤트 시간에 데이터 채널 PDU(500)를 전송할 수 있다. 후속하여 데이터가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로 전송됨을 결정할 때, 전자 디바이스(200)는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로 하여금 활성 통신 모드에 진입하게 하기 위해 적절한 이벤트 시간에 다른 데이터 채널 PDU(500)를 전송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모드에 들어갈 때, 청취-보조 디바이스(300) 및 전자 디바이스(200)는 대응하는 연결 간격(900)을 사용하기 시작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 예에서 데이터 채널 PDU(500)는 논리 링크(704) 계층에서 소비되고/판독될 수 있으며 프로토콜 스택(700)의 하위 계층(예를 들어, 라디오 등)을 구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다른 예로서,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하려고 준비할 때 초기 동작들 중 하나로서,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오디오 데이터 프로세서(800)에 의해 지원되는 오디오 프로세싱의 유형(또는 유형들)을 표시하는 페이로드를 갖는 데이터 채널 PDU(500)를 전자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어떤 유형의 오디오 데이터 디코딩이 지원되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200)는 그 후 그의 오디오 프로세싱을 그에 따라 구성할 수 있으며, 청취-보조 디바이스(300)가 다수의 유형의 오디오 프로세싱을 지원하면, 예를 들어 다수의 유형의 디코더가 데이터 프로세싱이 사용될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 대한 데이터 채널 PDU(5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오디오 데이터 프로세싱 양상들은 오디오 데이터의 통신이 시작하기 전에 구성된다. 초기 구성 동작들이 완료된 후 구성 데이터가 데이터 스트림에서 운반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후속 통신은 (오디오 데이터 PDU를 갖는 구성을 포함하는 시스템보다) 페이로드당 보다 큰 비율의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될 디코더(또는 "코덱")를 구성할 때, 전자 디바이스(100)(BTLE 링크 상에서 "마스터"일 수 있는 - 오디오 "소스")는 전용 구성 PDU(우선화된_지원_코덱_리스트 PDU)에서 전자 디바이스(100)에 의해 지원되는 코덱들의 우선화된 리스트를 청취-보조 디바이스(200)(BTLE 링크 상에서 "슬레이브"일 수 있는 - 오디오 "싱크")로 전송함으로써 시작할 수 있다. 청취-보조 디바이스(200)는 그 후 우선화된_지원_코덱_리스트 PDU를 사용하여 청취-보조 디바이스(200)에 의해 지원되는 코덱들의 우선화된 리스트로 전자 디바이스(100)에 응답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다음으로 어떤 코덱을 사용할지를 결정하며 확인 구성 PDU(선택_코덱 PDU)를 전송한다. (이러한 교환을 기술하지만, 일부 실시예는 단지 구성 PDU가 전자 디바이스(100)로 하여금 청취-보조 디바이스(200)에 의해 지원되는 코덱을 결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청취-보조 디바이스(200)로부터 전자 디바이스(100)로 전송되는 일방적인 교환을 수행하며, 그 중 하나는 전자 디바이스(100)에 의해 선택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우선화된_지원_코덱_리스트 PDU에서, 각각의 코덱은 미리결정된 고정 길이인 미리결정된 수치 코덱 ID(CoID)에 의해 수치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CoID는 길이가 1 옥텟, 길이가 2 옥텟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N개의 CoID(예를 들어, 22개, 28개 등)의 최대치는 우선화된_지원_코덱_리스트 PDU에서 전송될 수 있다. N개 이상의 코덱이 주어진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된다면, 우선화된_지원_코덱_리스트 PDU에서의 마지막 옥텟은 보다 많은 코덱이 지원됨을 표시하기 위해 미리결정된 값(예를 들어, 0, 255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 다음의 우선화된_지원_코덱_리스트 PDU는 그 후 나머지 코덱들을 갖고 전송될 수 있다 - 모든 지원된 코덱들이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다른 디바이스로 전달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는 동작.
일부 실시예에서, 우선화된_지원_코덱_리스트 PDU 내에서, 코덱들은 전송기에 의해 우선권 또는 선호 순서로 순서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 옥텟의 CoID를 가정하면, 우선화된_지원_코덱_리스트에서의 제1 옥텟은 전송기가 사용하는 데 가장 선호할 코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옥텟, 전송기의 제2 선택 등. 일부 실시예에서, 청취-보조 디바이스(200)에 의해 전송된 우선화된_지원_코덱_리스트 PDU는 전자 디바이스(100)로부터 전송된 우선화된_지원_코덱_리스트 PDU에서 코덱들의 목록에 따라 순서화될 수 있다(즉, 청취-보조 디바이스(200)는 가능한 정도에 리스트를 매칭시키려고 시도할 수 있음 등).
일부 실시예에서, 선택_코덱 PDU는 사용될 코덱(전자 디바이스(100)에 의해 선택된 코덱)의 CoID를 열거하는 옥텟(또는 옥텟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_코덱 PDU는 또한 추가의 코덱-특정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코덱은 통신 세션 동안에(즉, 전자 디바이스(100) 및 청취-보조 디바이스(200)가 BTLE 링크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동안)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우선화된_지원_코덱_리스트 PDU에서의 청취-보조 디바이스(200)에 의해 앞서 기술된 코덱들의 리스트와는 상이한 코덱이 사용됨을 결정할 수 있다. 상이한 코덱이 사용되기 전에, 전자 디바이스(100)는 오디오 스트림이 정지됨을 표시하는 PDU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후 사용될 새로운 코덱을 표시하는 선택_코덱 PDU를 전송하며, 다음으로 새로운 코덱을 사용하여 오디오 스트림을 재시작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청취-보조 디바이스(200)는 전자 디바이스(100)가 코덱을 사용하기 시작하기 전에 새로운 코덱을 확인 응답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수행될 수 있는 구성의, 다른 예에서,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200)는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서의 트랜스듀서(80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사운드, 진동, 광 등)의 양상들을 구성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200)는 트랜스듀서(80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상기에 기술된 증폭, 정규화, 성형, 감쇠, 재구성, 맞춤화 등을 비롯한 어떤 방식으로 수정되어야 함을 표시하는 데이터 채널 PDU(400)를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 중 일부에서, 청취-보조 디바이스(300) 상에서의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710)은 전자 디바이스(20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채널 PDU(400)로부터(예를 들어, 포트(708)를 통해 L2CAP(706) 계층으로부터) 페이로드(404)를 수신할 수 있으며, 트랜스듀서(804)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정하기 위해 오디오 서브시스템(308) 및/또는 프로토콜 스택(700)에서의 오디오(712) 계층을 구성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 중 일부에서, 전자 디바이스(200)는 트랜스듀서(80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어떤 방식으로 수정되어야 할 때를 인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정을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200)는 로컬 및/또는 원격 사용자가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로부터 출력된 사운드를 구성하도록 허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사람은 전자 디바이스(200)에 원격으로 로그-인할 수 있으며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 의해 출력된 사운드를 조정하기 위해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여기서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보청기이다).
기술된 실시예는 초기 동작으로서의 구성으로 제한되지 않음에 유의한다. 이들 실시예에서, 구성은 재구성을 비롯해, 필요할 때마다 언제든지 수행된다. 게다가, 별개의 PDU들로서 우선화된-지원-코덱_리스트 PDU 및 선택_코덱 PDU를 기술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전용이지만, 포괄 구성 PDU는 상이한 기능들을 위한 PDU에서의 코드 세트를 갖고, 다수의 동작을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우선화된-지원-코덱_리스트 및 선택_코덱을 위한 코드와 함께, 구성 PDU는 소스(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로부터의 오디오 스트림이 시작되거나 정지됨을 표시하는 "시작 스트림" 및 "정지 스트림", "버전" 등에 대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전자 디바이스(200) 및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를 구성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를 제공한다. 이러한 예를 위해, BTLE 네트워크 연결이 이전에 수립되었다고 가정된다. 프로세스를 기술하기 위해 도 10에 도시된 동작들을 사용하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있거나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전자 디바이스(200) 및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를 구성하기 위해 보다 많거나 보다 적은 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10에서의 프로세스는 전자 디바이스(200)가 오디오 데이터가 BTLE 네트워크 연결을 사용하여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로 전송됨을 결정할 때(단계 1000) 시작한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200)에서의 운영 시스템은 BTLE 네트워크 연결 상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을 시작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요청을 수신할 수 있거나 달리 오디오 데이터가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로 전송됨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200)는 그 후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 의해 지원되는 오디오 데이터 프로세싱의 유형을 결정하기 위해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로 하나 이상의 데이터 채널 PDU(400)를 전송한다(단계 1002).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200)는 오디오 디코더, 오디오 변환기, 증폭기, 등화기, 및/또는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 의해 제공된 다른 유형의 오디오 프로세싱을 결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200)에 의해 전송된 각각의 데이터 채널 PDU(500)는 하나의 요청(예를 들어,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서의 디코더의 유형에 대한 요청)을 포함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200)는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 의해 지원되는 오디오 데이터 프로세싱의 유형을 결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복합 요청(예를 들어,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 의해 지원되는 데이터 프로세싱의 모든 유형에 대한 단일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 디바이스(200)는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 의해 지원되는 오디오 데이터 프로세싱의 유형을 표시하는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로부터의 응답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채널 PDU(400)를 수신한다(단계 1004).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200)는 청취-보조 디바이스(300)가 AAC 디코더 및 특정한 유형의 등화기를 포함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200)는 그 후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로의 전달을 위해 오디오 데이터를 준비할 때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도록 프로세싱 서브시스템(202) 및/또는 네트워킹 서브시스템(206)을 구성한다(단계 1006). 예를 들어,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로부터의 응답이 상기에 기술된 AAC 디코더가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 포함됨을 표시한다고 가정할 때, 전자 디바이스(200)는 AAC 인코딩 기법을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도록 프로세싱 서브시스템(202)(또는 전자 디바이스(200)에서의 다른 메커니즘)을 구성할 수 있다.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 의해 지원되는 프로세싱의 유형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200)는 그 다음에 주어진 방식으로 오디오 프로세싱을 수행하도록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를 구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데이터 채널 PDU(400)를 전송할 수 있다(단계 1008). 예를 들어, 청취-보조 디바이스(300)가 상기에 기술된 등화기에 대한 지원을 표시한다고 가정할 때, 전자 디바이스(200)는 등화기의 설정을 구성하기 위해(예를 들어,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정규화하기 위해 등) 하나 이상의 데이터 채널 PDU(400)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200)가 데이터 채널 PDU(400)를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로 전송할 때, 전자 디바이스(200)는 임의의 유형의 데이터 채널 PDU(400)를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로 전송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200)는 프로토콜 스택(700)의 하위 레벨을 구성하기 위해 논리 링크(704) 계층에 의해 판독/소비되는 데이터 채널 PDU(400)를 전송할 수 있고, L2CAP(706) 계층에 의해 판독/소비되며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를 구성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710)으로 포워딩되는 데이터 채널 PDU(400)를 전송할 수 있다.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로부터 전자 디바이스(200)로 전송되는 응답 데이터 채널 PDU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또는 청취-보조 디바이스(200)와 통신하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오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싱(예를 들어, 등화, 증폭 등)할 때 청취-보조 디바이스(200)에 의해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동작을 구성하기 위해 상기에 기술된 데이터 채널 PDU(400)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각학자, 부모, 및/또는 다른 엔티티(entity)(가능하게는 제2 전자 디바이스, 예를 들어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는 오디오 데이터가 특정한 방식으로 청취-보조 디바이스(200)에서 프로세싱됨을 결정할 수 있으며, 구성 정보를 갖는 대응하는 데이터 채널 PDU(400)를 (아마도 전자 디바이스(100)를 통해) 청취-보조 디바이스(200)로 전송하기 위해 구성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가정 컴퓨터 상에서 및/또는 의사의 사무실에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전자 디바이스(100)와 네트워크 연결(블루투스, WiFi, PAN 등)을 형성하는 것, 및 청취-보조 디바이스(200)와 통신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저 에너지 네트워크 연결을 사용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및 수신
도 11은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200)로부터의 BTLE 네트워크 연결을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를 제공한다. 도 12는 기술된 실시예에 따라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서의 BTLE 네트워크 연결을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를 제공한다. 이러한 예를 위해, BTLE 네트워크 연결이 이전에 수립되었으며 도 9에 기술된 구성 동작들이 수행되었다고 가정된다. 비록 이들 프로세스를 기술하기 위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동작들을 사용하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있거나 보다 많거나 보다 적은 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다.
비록 이미 수행된 것으로서 구성 동작들을 기술하지만, 기술된 실시예에서, 구성 및 오디오 데이터 PDU들은 혼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구성 PDU는 오디오 PDU와 인터리빙되어서(interleaved), 청취-보조 디바이스(200) 및/또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적 재-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인터리빙된 PDU들은 PDU들이 오디오의 프로세싱과 관련 있음을 표시하는 정보(예를 들어, 시퀀스 번호 비트 등)를 헤더(402)에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전자 디바이스(200) 또는 전자 디바이스(200)에서의 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BTLE 네트워크 연결을 사용하여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로 전송될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생성할 때(단계 1100) 시작한다. 전자 디바이스(200)는 그 후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로 전송될 디지털 출력을 생성하기 위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상에서 수행되는 오디오 프로세싱을 결정한다(단계 1102).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동작은, 전자 디바이스(200)에서의 하나 이상의 구성 설정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어떤 오디오 디코더, 오디오 변환기, 증폭기, 등화기, 및/또는 다른 유형의 오디오 프로세싱이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 의해 제공되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상에서 수행되는 오디오 프로세싱을 결정하면, 전자 디바이스(200)는 디지털 출력을 생성하기 위해 오디오 프로세싱을 수행한다(단계 1104). 전자 디바이스(200)는 그 후 디지털 출력을 포함하는 페이로드(504)와 데이터 채널 PDU(500)를 어셈블링하며(단계 1106), 페이로드(504)가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함을 표시하기 위해 데이터 채널 PDU(500)의 헤더(502)에 값을 설정한다(단계 1108). 기술된 실시예에서, 데이터 채널 PDU(500)의 오디오 프로세싱 및 어셈블리는 상이한 애플리케이션들, 프로토콜 스택의 계층들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0)에서의 코덱으로부터 온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는 스트림으로서 처리되며 전자 디바이스(100)에서의 블루투스 프로토콜 스택의 링크 계층(LL)으로 직접 공급된다. 링크 계층(LL)은 실시간 스트림으로서 스트림을 처리할 수 있다(예를 들어, 링크 혼합의 경우에 이러한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를 플러싱할 수 있음 등).
다음, 전자 디바이스(200)는 BTLE 네트워크 연결을 사용하여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로 데이터 채널 PDU를 송신한다(단계 1110). 데이터 채널 PDU는 대응하는 이벤트(도 8 참조)의 발생시 전자 디바이스(200)로부터 송신되며,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200)는 전송 윈도우에 있고, 그러므로 BTLE 네트워크 연결을 사용하여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 패킷을 송신하도록 허용되며,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수신 윈도우에 있고, 그러므로 BTLE 네트워크 연결 상에서 전자 디바이스(200)로부터 패킷을 청취함에 유의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들은 활성 통신 모드에 있으며 연결 간격은 그에 따라 구성된다. 부가적으로, 기술된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200)는 하기에 보다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후속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데이터 채널 PDU를 재송신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청취-보조 디바이스(300)가 BTLE 네트워크 연결을 사용하여 전자 디바이스(20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채널 PDU(500)를 수신할 때(단계 1200) 시작한다. BTLE 프로토콜 스택(700)의 논리 링크(704) 계층에서,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데이터 채널 PDU(500)의 헤더(502)가 데이터 채널 PDU(500)의 페이로드(504)가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는 것을 표시함을 결정한다(단계 1202). 예를 들어, 논리 링크(704) 계층은 데이터 채널 PDU(500)의 헤더(502)에서의 미리결정된 필드가 페이로드(504)가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함을 표시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패킷의 헤더를 판독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는 LLID가 미리결정된 값, 예를 들어 00으로 설정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LLID를 판독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채널 PDU(500)가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함을 결정하면, 논리 링크(704) 계층은 오디오 데이터를 페이로드(504)로부터 BTLE 프로토콜 스택의 오디오(712) 계층으로 포워딩한다(단계 1204). 일부 실시예에서, 데이터 채널 PDU(500)의 전체 페이로드(504)는 논리 링크(704) 계층으로부터 오디오 (712) 계층으로 포워딩된다. 오디오(712) 계층은 그 후 프로세싱을 위해 오디오 서브시스템(308)의 적절한 부분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단계1206). 오디오 서브시스템(308)에서, 하나 이상의 동작이 프로세싱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페이로드(504)로부터의 오디오 데이터 상에서 수행된다(단계 1208). 예를 들어, 페이로드(504)로부터의 오디오 데이터는 디코딩, 트랜스코딩, 등화, 정규화, 수정, 및/또는 달리 프로세싱될 수 있다. 프로세싱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그 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도록 DAC(802)로 포워딩된다(단계 1210). DAC(802)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는 그 후 사운드로서 지각될 수 있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트랜스듀서로 전송된다(단계 1212).
부가적으로, 기술된 실시예에서,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데이터 채널 PDU(500)를 수신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데이터 채널 PDU(500)를 수신하면,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데이터 채널 PDU(500)를 프로세싱한다.
전송 디바이스로서 전자 디바이스(200)를 그리고 수신 디바이스로서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를 사용하여 도 11 및 도 12에 프로세스를 기술하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들의 다른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2개의 전자 디바이스(200)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의 재송신
기술된 실시예는 전자 디바이스(200) 및 청취-보조 디바이스(300)가 서로 통신할 때 간섭 또는 데이터 손실/변질의 영향들 중 일부를 회피할 수 있게 하는 수정된 BTLE 이벤트-기반 통신 기법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기술된 실시예에서, BTLE의 이벤트-기반 통신 기법은 송신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재송신하는 "재송신 이벤트"를 부가함으로써 수정된다. 이들 실시예에서,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데이터를 재송신할 때, 송신 디바이스는 데이터가 원래 대응하는 규칙적 이벤트 동안에 송신되는 주파수와는 상이한 주파수로 데이터를 재송신한다. 수신 디바이스는 데이터가 규칙적 이벤트 동안에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는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그렇다면 대응하는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데이터의 재송신을 무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신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수신(또는 재-수신)하기 위한 기회를 갖지만, 수신 디바이스는 재송신된 데이터를 청취할 의무는 없다.
명료함을 위해 하기의 기술에서, 송신 디바이스로서 전자 디바이스(200)를 그리고 수신 디바이스로서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를 사용한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들의 다른 조합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BTLE 표준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세트의 디바이스들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재송신 이벤트와 함께 이벤트-기반 기법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전자 디바이스(200)가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3개 이상의 디바이스가 유사한 기술을 사용하여 서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3은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기반 통신 기법을 나타내는 타임라인 다이어그램을 제공한다. 도 13은 도 13에 도시된 상이한 "윈도우"를 기술하는 키(key)와 함께, 하나가 전자 디바이스(200)를 위한 것이고 다른 것은 청취 보조 디바이스(300)를 위한 것인, 2개의 타임라인을 포함한다. 도 1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술된 실시예에서 이벤트-기반 기법은 2개의 상이한 유형의 이벤트, 즉 "규칙적" 이벤트 및 "재송신" 이벤트를 포함한다. 도 13에 도시된 규칙적 이벤트는 규칙적 이벤트(E0, E1)를 포함하며, 재송신 이벤트는 재송신 이벤트(R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규칙적 이벤트는 도 1에 도시된 "이벤트"와 유사하다. 그러나, 도 13에 도시된 재송신 이벤트는 기존의 BTLE 표준에서는 구현되지 않는다.
규칙적 이벤트 동안에, 데이터 "D"를 포함한 PDU는 전자 디바이스(200)로부터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로 전송된다(데이터 D는 전송되기 위해 이용가능하다고 가정). 보다 구체적으로, 규칙적 이벤트 동안에 전자 디바이스(200)의 전송 윈도우에서, 전자 디바이스(200)는 PDU를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로 전송하며, 이는 대응하는 수신 윈도우에 있고 그러므로 전자 디바이스(200)로부터 데이터를 청취한다. PDU에서 전송된 데이터 D는 일반적으로 임의의 유형의 데이터, 예를 들어 상술된 오디오 데이터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규칙적 이벤트 동안에, 대응하는 주파수는 전자 디바이스(200)와 청취-보조 디바이스(300) 사이에서 통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디바이스(200) 및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서의 블루투스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라디오 등)는 규칙적 이벤트 동안에 대응하는 주파수에서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규칙적 이벤트(E0)에 대해 주파수(1300)가 사용되며 규칙적 이벤트(E1)에 대해 주파수(1304)가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파수(1300)는 주파수(1304)와는 상이하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주파수는 라디오가 기본 인터페이스의 제한에 따라 동작하도록 허용되는 임의의 주파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파수는 또한,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이, BTLE 표준 및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동작 주파수를 구술하는 다른 외부 표준 및 규칙에 따라 허용가능한 주파수로 제한된다.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데이터 D를 포함한 PDU는 전자 디바이스(200)로부터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로 재전송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전자 디바이스(200)의 재송신 윈도우에서, 전자 디바이스(200)는 PDU를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로 전송하며, 이는 대응하는 수신 윈도우에 있고 그러므로 전자 디바이스(200)로부터 데이터를 청취한다.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PDU에서 전송된 데이터 D는 원래 대응하는 규칙적 이벤트 동안에 전송된 동일한 데이터이다. 예를 들어, 재송신 이벤트(R0)에 대해, 데이터 D는 대응하는 규칙적 이벤트(E0) 동안에 전송된 것과 동일하다.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데이터는 재전송하는 것은 대응하는 규칙적 이벤트 동안에 적절히 수신되지 않았던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재-수신하기 위한 기회를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 제공한다.
부가적으로,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대응하는 주파수는 전자 디바이스(200)와 청취-보조 디바이스(300) 사이에서 통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디바이스(200) 및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서의 블루투스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라디오 등)는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대응하는 주파수에서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재송신 이벤트(R0)에 대해, 주파수(1302)가 사용된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사용된 주파수는 대응하는 규칙적 이벤트 동안에 사용된 주파수와는 상이하다. 예를 들어, 재송신 이벤트(R0)에 대한 주파수(1302)는 대응하는 규칙적 이벤트(E0)에 대한 주파수(1300)와는 상이하다. 규칙적 이벤트와 마찬가지로,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사용되는 주파수는 라디오가 BTLE 표준 및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동작 주파수를 구술하는 다른 외부 표준 및 규칙에 따라 허용가능한 주파수 및/또는 기본 인터페이스의 제한에 따라 동작하도록 허용되는 임의의 주파수일 수 있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규칙적 이벤트는 주어진 연결 간격(900)에서 발생하며, 재송신 이벤트는 규칙적 이벤트들 사이에서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주어진 규칙적 이벤트는 시간 T 0에서 발생하며 대응하는 재송신 이벤트는 규칙적 이벤트와 다음의 규칙적 이벤트 사이에 있는 시간 T 0+N에서 발생한다. 예를 들어, 연결 간격(900)은 15ms일 수 있으며, 재송신 이벤트는 대응하는 규칙적 이벤트가 시작한 후(즉, 규칙적 이벤트들 사이의 중간에) 7.5ms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타이밍은 전자 디바이스(200) 및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서의 블루투스 인터페이스의 능력 및 BTLE 표준에서의 통신을 위한 일반적인 타이밍 제한(예를 들어, 이벤트들 사이에서의 최소 시간 등)에 따라 규칙적 이벤트에 대하여 재송신 이벤트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연결 간격(900)과 마찬가지로, 일부 실시예에서, 규칙적 이벤트와 대응하는 재송신 이벤트 사이에서의 시간은 전자 디바이스(200) 및/또는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 의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데이터 D를 포함한 PDU는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전자 디바이스(200)에 의해 자동적으로 재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200)는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지 않고 데이터 D를 포함한 PDU를 재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규칙적 이벤트 동안에 전자 디바이스(200)로부터 전송된 PDU가 그 후,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로부터의 요청 메시지 또는 다른 신호 없이, 대응하는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재전송될 것임을 보장받을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전자 디바이스(200)가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것을 야기하거나 방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규칙적 이벤트 동안에 데이터의 성공적인 수신을 확인 응답하기 위해 확인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는 전자 디바이스(200)가 대응하는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데이터를 재전송하지 않게 한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PDU(및 PDU 내에서의 데이터)가 규칙적 이벤트 동안에 성공적으로 수신되면,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대응하는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전자 디바이스(200)로부터 데이터의 재전송을 무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의 수신 윈도우에서, 규칙적 이벤트 동안에,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전자 디바이스(200)로부터 데이터 D를 갖는 PDU를 수신할 수 있다.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그 후 데이터가 정확한 상태에서 수신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데이터 D를 검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PDU/데이터 D에 대한 순환 중복 검사(CRC) 값을 계산하며, 값이 일치하고 따라서 데이터 D가 정확하게 도착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그 CRC 값을 PDU에 포함된 CRC 값과 비교할 수 있다. 데이터 D가 정확하게 수신되었을 때,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데이터는 재-수신할 필요가 없으며, 그러므로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대응하는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전자 디바이스(200)로부터 데이터의 재전송을 무시할 수 있다.
대응하는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전자 디바이스(200)로부터의 데이터의 재전송을 "무시"할 때, 제2 디바이스는 데이터 D가 성공적으로 수신된 규칙적 이벤트 직후에 소정 서브시스템의 부분(예를 들어, 라디오 또는 다른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메커니즘)을 저-전력 모드에 둘 수 있다. 이는 전력을 불필요하게 소비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를 도울 수 있으며, 그러므로 청취-보조 디바이스(300)가 배터리 수명을 보존하도록 도울 수 있다.
도 13에서, 재송신 이벤트(R0) 동안에 전송 윈도우가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를 위해 도시되며 수신 윈도우가 전자 디바이스(200)를 위해 도시된다. 그러나,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를 위한 전송 윈도우 및 전자 디바이스(200)를 위한 수신 윈도우는 선택적이다. 이들 윈도우는, 일부 실시예에서, 어떤 PDU도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로부터 송신되지 않기 때문에 선택적이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전송 윈도우는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메시지가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로부터 전자 디바이스(200)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인 응답 또는 부정적인 확인 응답 메시지가, 청취-보조 디바이스(300)가 데이터 D를 성공적으로 수신했다는(또는 수신하지 않았다는) 표시를 전자 디바이스(200)가 수신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200)로 송신될 수 있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데이터 D가 규칙적 이벤트 또는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으면, 데이터는 다시 후속 규칙적 이벤트 동안에 재전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데이터는 재송신 이벤트의 주파수 또는 이전의 규칙적 이벤트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후속 규칙적 이벤트에서 재전송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200)는 재송신 윈도우 동안에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재전송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대응하는 규칙적 윈도우 동안에 데이터의 수신을 확인 응답할 필요가 없다. 어떤 확인 응답 메시지도 전송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전송될 어떤 다른 데이터도 없을 때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 대한 전송 윈도우 동안에 임의의 송신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규칙적 이벤트 동안에 라디오를 파워-다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서 규칙적 이벤트 동안에 수신 윈도우에서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자마자, 전자 디바이스(200)로 송신될 어떤 다른 데이터도 없다면,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에서 라디오를 파워 다운할 수 있다.
도 14는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재송신 이벤트를 갖는 이벤트-기반 기법을 사용하여 전자 디바이스(200)와 청취-보조 디바이스(300) 사이에서 통신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도 14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전자 디바이스(200) 및 청취-보조 디바이스(300)가 당업계에 알려진 동작들을 사용하여 BTLE 네트워크 연결을 초기화한 후 발생한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BTLE 네트워크 연결을 초기화하는 것은 연결 간격(900)(즉, 규칙적 이벤트들의 타이밍)뿐만 아니라 재송신 이벤트들의 타이밍을 구성하는 것을 포함함에 유의한다.
도 14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전자 디바이스(200)가, 규칙적 이벤트 동안에 (그리고 전자 디바이스(200)의 전송 윈도우에서), 데이터 D를 포함하는 페이로드(504)를 갖는 제1 데이터 채널 PDU를 주파수 F 1 을 사용하여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로 송신할 때(단계 1400) 시작한다.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규칙적 이벤트가 스케줄링되며 주파수는 BTLE 네트워크 연결의 초기화의 일부로서 전자 디바이스(200) 및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 의해 결정된다. 부가적으로, 주파수 F 1 을 "사용하는 것"은 제1 데이터 채널 PDU를 송신할 때 주파수 F 1 을 사용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200)에서의 블루투스 인터페이스에서 하나 이상의 메커니즘(라디오 등)을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200)는 그 후, 대응하는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그리고 전자 디바이스(200)의 재송신 윈도우에서), 동일한 데이터 D를 포함하는 페이로드를 갖는 제2 데이터 채널 PDU를 주파수 F 2 를 사용하여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로 송신한다(단계 1402).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데이터의 재송신은 전자 디바이스(200)에서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발생한다. 또한, 기술된 실시예에서, 주파수 F 2 는 주파수 F 1 과는 상이하다. (도 14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자 디바이스(200)는 그 후 다음의 규칙적 이벤트로 진행한다.)
도 15는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재송신 이벤트들을 갖는 이벤트-기반 기법을 사용하여 전자 디바이스(200)와 청취-보조 디바이스(300) 사이에서 통신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도 15에 도시된 프로세서는 전자 디바이스(200) 및 청취-보조 디바이스(300)가 당업계에 알려진 동작들을 사용하여 BTLE 네트워크 연결을 초기화한 후 발생한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BTLE 네트워크 연결을 초기화하는 것은 연결 간격(900)(즉, 규칙적 이벤트들의 타이밍)뿐만 아니라 재송신 이벤트들의 타이밍을 구성하는 것을 포함함에 유의한다.
도 15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규칙적 이벤트 동안에 (그리고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의 수신 윈도우에서) 청취-보조 디바이스(300)가 데이터 D를 포함하는 페이로드(504)를 갖는 제1 데이터 채널 PDU를 주파수 F 1 을 사용하여 전자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할 때 시작한다(단계 1500).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규칙적 이벤트가 스케줄링되며 주파수는 BTLE 네트워크 연결의 초기화의 일부로서 전자 디바이스(200) 및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 의해 결정된다. 부가적으로, 주파수 F 1 을 "사용하는 것"은 제1 데이터 채널 PDU를 수신할 때 주파수 F 1 을 사용하기 위해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서의 블루투스 인터페이스에서 하나 이상의 메커니즘(라디오 등)을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다음에 제1 데이터 채널 PDU의 페이로드에서의 데이터 D가 정확한 상태에서 수신되었는지를 결정한다(단계 1502). 보다 구체적으로,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제1 데이터 채널 PDU의 페이로드에서의 전자 디바이스(200)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D가 제1 데이터 채널 PDU의 페이로드에서의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D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는 제1 데이터 채널 PDU에 대한 순환 중복 검사(CRC) 값을 계산하는 것, 및 데이터가 일치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제1 데이터 채널 PDU에서의 필드의 CRC 값과 계산된 CRC 값을 비교하는 것을 의미한다. 데이터 D의 불일치는 다수의 상이한 영향으로 인한 것일 수 있지만; 하나의 공통적인 영향은 그것이 전자 디바이스(200)로부터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로 무선으로 송신될 때 제1 데이터 채널 PDU를 변질시키는 송신 주파수 F 1 에서의 간섭이다.
청취-보조 디바이스(300)가 규칙적 이벤트 동안에 데이터 D를 정확한 상태에서 수신하지 않았다면, 대응하는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그리고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의 수신 윈도우에서)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동일한 데이터 D를 포함하는 페이로드(504)를 갖는 제2 데이터 채널 PDU를 주파수 F 2 를 사용하여 전자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한다(단계 1504).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200)로부터의 데이터의 재송신은 전자 디바이스(200)에서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이들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200)는 항상 동일한 데이터를 갖는 제2 데이터 채널 PDU를 송신할 수 있으며,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그것이 그렇게 할 이유를 가질 때 간단히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주파수 F 2 는 주파수 F 1 과는 상이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규칙적 이벤트 또는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데이터 D의 정확한 수신을 확인 응답하기 위해 제3 데이터 채널 PDU를 전송한다. 이는 규칙적 이벤트 또는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 대한 전송 윈도우 동안에 제3 데이터 채널 PDU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서,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확인 응답 메시지를 갖는 제3 데이터 채널 PDU를 전송하지 않는다.
청취-보조 디바이스(300)가 규칙적 이벤트 동안에 제1 데이터 채널 PDU의 페이로드에서의 데이터 D를 정확한 상태에서 수신했다면,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데이터 D를 가지며, 그러므로 대응하는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전자 디바이스(200)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 D를 갖는 제2 데이터 채널 PDU를 수신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청취-보조 디바이스(300)는 적어도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BTLE 인터페이스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저-전력 모드로 구성할 수 있다(단계 1506). 저-전력 모드에서,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전자 디바이스(200)로부터 송신된 제2 데이터 채널 PDU는 무시되며 청취-보조 디바이스(300)에서 수신되지 않는다(단계 1508). BTLE 인터페이스의 하나 이상의 부분이 적어도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저-전력 모드로 구성되는 실시예를 기술하지만, 대안적인 실시예는 BTLE 인터페이스를 최대 전력 동작 상태에 두지만, 달리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전자 디바이스(200)로부터 송신된 제2 데이터 채널 PDU를 무시하고/하거나 수신하지 않음에 유의한다.
실시예의 상기의 기술은 단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을 위해 제공되었다. 이는 총망라한 것으로, 또는 실시예를 개시된 형태로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많은 수정 및 변화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또한, 상기 개시내용은 실시예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Claims (26)

  1. 전자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송신 전자 디바이스에서,
    규칙적 이벤트(event) 동안에 상기 송신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전송 윈도우(sending window)에서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BTL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수신 전자 디바이스로 제1 데이터 채널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을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PDU는 데이터 D를 갖는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하며, 상기 규칙적 이벤트 동안에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PDU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BTL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PDU를 송신하기 위해 제1 주파수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함 -; 및
    대응하는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상기 송신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전송 윈도우에서 상기 BTL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수신 전자 디바이스로 제2 데이터 채널 PDU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데이터 채널 PDU는 동일한 데이터 D를 갖는 페이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상기 제2 데이터 채널 PDU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BTL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데이터 채널 PDU를 송신하기 위해 제2 주파수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상기 제2 데이터 채널 PDU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데이터 채널 PDU를 송신하라는 요청을 상기 수신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지 않고 상기 제2 데이터 채널 PDU를 자동적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적 이벤트 또는 상기 재송신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 동안에 상기 송신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수신 윈도우(receiving window)에서 상기 PDU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상기 수신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D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는 상기 제2 주파수와는 상이한 주파수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전자 디바이스는 청취-보조 디바이스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적 이벤트 및 상기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PDU를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규칙적 이벤트 및 상기 재송신 이벤트가 발생하는 시간들의 스케줄을 구성하기 위해 상기 수신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8. 전자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수신 전자 디바이스에서,
    규칙적 이벤트 동안에 상기 수신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수신 윈도우에서 BTL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송신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제1 데이터 채널 PDU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PDU는 데이터 D를 갖는 페이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규칙적 이벤트 동안에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PDU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BTL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PDU를 수신하기 위해 제1 주파수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함 -;
    상기 데이터 D가 정확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PDU가 수신되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D가 상기 정확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PDU가 수신되지 않았을 때,
    대응하는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상기 수신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수신 윈도우에서 상기 BTL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송신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제2 데이터 채널 PDU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데이터 채널 PDU는 동일한 데이터 D를 갖는 페이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상기 제2 데이터 채널 PDU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BTL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데이터 채널 PDU를 수신하기 위해 제2 주파수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D가 상기 정확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PDU가 수신되었을 때, 상기 방법은,
    적어도 상기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상기 BTLE 인터페이스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저-전력 모드로 구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저-전력 모드에서, 상기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상기 송신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상기 제2 데이터 채널 PDU는 무시되며 상기 수신 전자 디바이스에서 수신되지 않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D가 상기 정확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PDU 및/또는 상기 제2 데이터 채널 PDU가 수신되었을 때, 상기 방법은,
    상기 규칙적 이벤트 또는 상기 재송신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 동안에 상기 수신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전송 윈도우에서 상기 BTL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수신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송신 전자 디바이스로 제3 데이터 채널 PDU를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3 데이터 채널 PDU는 상기 데이터 D가 상기 정확한 상태에 있었음을 확인 응답하는 확인 응답 메시지를 갖는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PDU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PDU의 상기 페이로드에서의 상기 송신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데이터 D가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PDU의 상기 페이로드에서의 상기 수신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상기 데이터 D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확인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PDU에 대한 계산된 순환 중복 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ECC) 값을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PDU에서의 필드의 CRC 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는 상기 제2 주파수와는 상이한 주파수인, 방법.
  14. 전자 디바이스로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규칙적 이벤트 동안에 송신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전송 윈도우에서 블루투스 저 에너지(BTL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수신 전자 디바이스로 제1 데이터 채널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송신하고 -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PDU는 데이터 D를 갖는 페이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규칙적 이벤트 동안에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PDU를 송신하는 것은 상기 BTL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PDU를 송신하기 위해 제1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함 -;
    대응하는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상기 송신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전송 윈도우에서 상기 BTL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수신 전자 디바이스로 제2 데이터 채널 PDU를 송신하도록 - 상기 제2 데이터 채널 PDU는 동일한 데이터 D를 갖는 페이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상기 제2 데이터 채널 PDU를 송신하는 것은 상기 BTL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데이터 채널 PDU를 송신하기 위해 제2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함 -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상기 제2 데이터 채널 PDU를 송신할 때, 상기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상기 제2 데이터 채널 PDU를 송신하라는 요청을 상기 수신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지 않고 상기 제2 데이터 채널 PDU를 자동적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상기 규칙적 이벤트 또는 상기 재송신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 동안에 상기 송신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수신 윈도우에서 상기 PDU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상기 수신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D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는 상기 제2 주파수와는 상이한 주파수인, 전자 디바이스.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전자 디바이스는 청취-보조 디바이스인, 전자 디바이스.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적 이벤트 및 상기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PDU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상기 규칙적 이벤트 및 상기 재송신 이벤트가 발생하는 시간들의 스케줄을 구성하기 위해 상기 수신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1. 전자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통신하기 위한 전자 디바이스로서,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규칙적 이벤트 동안에 수신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수신 윈도우에서 BTL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송신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제1 데이터 채널 PDU를 수신하고 -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PDU는 데이터 D를 갖는 페이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규칙적 이벤트 동안에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PDU를 수신하는 것은 상기 BTL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PDU를 수신하기 위해 제1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함 -;
    상기 데이터 D가 정확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PDU가 수신되었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데이터 D가 상기 정확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PDU가 수신되지 않았을 때,
    대응하는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상기 수신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수신 윈도우에서 상기 BTL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송신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제2 데이터 채널 PDU를 수신하도록 - 상기 제2 데이터 채널 PDU는 동일한 데이터 D를 갖는 페이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상기 제2 데이터 채널 PDU를 수신하는 것은 상기 BTL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데이터 채널 PDU를 수신하기 위해 제2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함 -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D가 상기 정확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PDU가 수신되었을 때, 상기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적어도 상기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상기 BTLE 인터페이스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저-전력 모드로 구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저-전력 모드에서, 상기 재송신 이벤트 동안에 상기 송신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상기 제2 데이터 채널 PDU는 무시되며 상기 수신 전자 디바이스에서 수신되지 않는, 전자 디바이스.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D가 상기 정확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PDU 및/또는 상기 제2 데이터 채널 PDU가 수신되었을 때, 상기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상기 규칙적 이벤트 또는 상기 재송신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 동안에 상기 수신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전송 윈도우에서 상기 BTL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수신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송신 전자 디바이스로 제3 데이터 채널 PDU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3 데이터 채널 PDU는 상기 데이터 D가 상기 정확한 상태에 있었음을 확인 응답하는 확인 응답 메시지를 갖는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PDU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는지를 결정할 때, 상기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PDU의 상기 페이로드에서의 상기 송신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데이터 D가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PDU의 상기 페이로드에서의 상기 수신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상기 데이터 D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5. 제24항에 있어서, 확인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PDU에 대한 계산된 순환 중복 검사(ECC) 값을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PDU에서의 필드의 CRC 값과 비교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는 상기 제2 주파수와는 상이한 주파수인, 전자 디바이스.
KR1020147013640A 2011-10-25 2012-09-28 블루투스 저 에너지 표준을 사용한 데이터 전달 KR1016878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51372P 2011-10-25 2011-10-25
US61/551,372 2011-10-25
US13/403,613 2012-02-23
US13/403,613 US9531501B2 (en) 2011-10-25 2012-02-23 Data transfer between electronic devices
PCT/US2012/057921 WO2013062717A1 (en) 2011-10-25 2012-09-28 Data transfer using the bluetooth low energy standar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048A true KR20140146048A (ko) 2014-12-24
KR101687881B1 KR101687881B1 (ko) 2016-12-19

Family

ID=48136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3640A KR101687881B1 (ko) 2011-10-25 2012-09-28 블루투스 저 에너지 표준을 사용한 데이터 전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31501B2 (ko)
KR (1) KR101687881B1 (ko)
CN (1) CN104247321B (ko)
TW (1) TWI456925B (ko)
WO (1) WO20130627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8321B2 (en) 2010-09-30 2014-05-27 Fitbit,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lassification of geographic locations for tracked activity
US8620617B2 (en) 2010-09-30 2013-12-31 Fitbit,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active goal setting and recommender using events having combined activity and location information
US11243093B2 (en) 2010-09-30 2022-02-08 Fitbit, In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generating real-time activity data updates to display devices
US9148483B1 (en) 2010-09-30 2015-09-29 Fitbit, Inc. Tracking user physical activity with multiple devices
US8762101B2 (en) 2010-09-30 2014-06-24 Fitbit,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dentification of event data having combined activity and location information of portable monitoring devices
US10004406B2 (en) 2010-09-30 2018-06-26 Fitbit, Inc. Portable monitoring devices for processing applications and processing analysis of physiological conditions of a user associated with the portable monitoring device
US8762102B2 (en) 2010-09-30 2014-06-24 Fitbit, Inc.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on and rendering interactive events having combined activity and location information
US9390427B2 (en) 2010-09-30 2016-07-12 Fitbit, In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automatic linking of activity tracking devices to user devices
US10983945B2 (en) 2010-09-30 2021-04-20 Fitbit, Inc. Method of data synthesis
US8805646B2 (en) 2010-09-30 2014-08-12 Fitbit, In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linking user devices to activity tracking devices
US8954291B2 (en) 2010-09-30 2015-02-10 Fitbit, Inc. Alarm setting and interfacing with gesture contact interfacing controls
US8615377B1 (en) 2010-09-30 2013-12-24 Fitbit,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social interactive data and sharing of tracked activity associated with locations
US8954290B2 (en) 2010-09-30 2015-02-10 Fitbit, Inc. Motion-activated display of messages on an activity monitoring device
US8694282B2 (en) 2010-09-30 2014-04-08 Fitbit, Inc. Methods and systems for geo-location optimized tracking and updating for events having combined activity and location information
US9241635B2 (en) 2010-09-30 2016-01-26 Fitbit, Inc. Portable monitoring devices for processing applications and processing analysis of physiological conditions of a user associated with the portable monitoring device
US8744803B2 (en) 2010-09-30 2014-06-03 Fitbit, In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activity tracking device data synchronization with computing devices
US9253168B2 (en) 2012-04-26 2016-02-02 Fitbit, Inc. Secure pairing of devices via pairing facilitator-intermediary device
US8712724B2 (en) 2010-09-30 2014-04-29 Fitbit, Inc. Calendar integ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presentation of events having combined activity and location information
US8738323B2 (en) 2010-09-30 2014-05-27 Fitbit, Inc. Methods and systems for metrics analysis and interactive rendering, including events having combined activity and location information
JP5723015B2 (ja) 2010-10-14 2015-05-27 ジーエヌ リザウンド エー/エスGn Resound A/S 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最適なトランシーバチャネルを選択する聴覚装置および方法
US8738925B1 (en) 2013-01-07 2014-05-27 Fitbit, Inc. Wireless portable biometric device syncing
US20140233527A1 (en) * 2011-08-09 2014-08-21 Phonak Ag Wireless sound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9641239B2 (en) 2012-06-22 2017-05-02 Fitbit, Inc. Adaptive data transfer using bluetooth
US9408251B2 (en) * 2012-07-24 2016-08-02 Mueller International, Llc Transmitting data within a mesh network
WO2014076527A1 (en) * 2012-11-19 2014-05-2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bluetooth low energy data packet comprising audio payload data.
US9039614B2 (en) 2013-01-15 2015-05-26 Fitbit, In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measuring fingertip heart rate
US9728059B2 (en) 2013-01-15 2017-08-08 Fitbit, Inc. Sedentary period detection utilizing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9137659B2 (en) 2013-04-25 2015-09-15 FusionPipe Software Solu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decoupling user authentication and data encryption on mobile devices
US9712266B2 (en) * 2013-05-21 2017-07-18 Apple Inc. Synchronization of multi-channel audio communicated over bluetooth low energy
CN105324943A (zh) * 2013-06-11 2016-02-10 美加狮有限公司 使用从其它传输技术中选择的传输技术传输数据的系统和方法
US9427592B2 (en) 2013-08-28 2016-08-30 Pacesette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ow energy wake-up and pairing for use with implantable medical devices
US9063164B1 (en) 2013-10-02 2015-06-23 Fitbit, Inc. Collaborative activity-data acquisition
KR102091266B1 (ko) * 2014-01-14 2020-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장치
US9743449B2 (en) * 2014-01-14 2017-08-22 Qualcomm Incorporated Bluetooth low energy secondary data channel with multi-rate streaming
CN104811268A (zh) * 2014-01-29 2015-07-29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用于分组重传的方法和设备
KR102356925B1 (ko) * 2014-02-21 2022-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절전 방법
US9813815B2 (en) 2014-05-20 2017-11-07 Gn Hearing A/S Method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gital audio
US10826660B2 (en) 2014-06-11 2020-1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udio data in Bluetooth low energy-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654906B2 (en) 2014-06-12 2017-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cessing data based on bluetooth protocol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WO2016003064A1 (ko) * 2014-07-03 2016-01-07 엘지전자(주)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89312B1 (ko) 2014-07-08 2022-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JP6531410B2 (ja) * 2015-02-06 2019-06-1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US9832578B2 (en) 2015-02-23 2017-11-28 Intricon Corporation Enabling concurrent proprietary audio and Bluetooth low energy using enhanced LE link layer for hearing device
US9923943B2 (en) * 2015-07-06 2018-03-20 Livio, Inc. Low energy data streaming service
US9831988B2 (en) 2015-08-18 2017-11-28 Gn Hearing A/S Method of exchanging data packages between first and secon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US10003896B2 (en) 2015-08-18 2018-06-19 Gn Hearing A/S Method of exchanging data packages of different sizes between first and secon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US9819705B2 (en) 2015-08-18 2017-11-14 Gn Hearing A/S Method of exchanging data packages between first and secon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using a favoured frequency band
US10080530B2 (en) 2016-02-19 2018-09-25 Fitbit, Inc. Periodic inactivity alerts and achievement messages
US10034160B2 (en) * 2016-04-14 2018-07-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data using bluetooth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891959B1 (en) 2016-07-01 2021-01-12 Google Llc Voice message capturing system
EP3343782B1 (en) * 2016-12-29 2019-08-14 Oticon 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multiple external devices via a wireless communicaiton unit
CN116246374A (zh) 2017-06-01 2023-06-09 开利公司 Bluetooth™低功耗数据传输通信系统和方法
CN108702651B (zh) * 2017-11-09 2019-07-12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平衡的无线数据传输
US10624032B2 (en) 2017-12-18 2020-04-14 Intricon Corporation Synchronizing asynchronous dual-stack radio events for hearing device applications
US10945081B2 (en) * 2018-02-05 2021-03-09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Low-latency streaming for CROS and BiCROS
CN111149313B (zh) * 2018-04-04 2021-05-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及设备
WO2021137569A1 (en) * 2019-12-31 2021-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ceiving data in bluetooth network environmen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230007413A1 (en) * 2021-06-30 2023-01-05 Eargo, Inc. Apparatus and method to integrate a wireless charger and a hearing assistance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72162A1 (en) * 2000-12-29 2002-11-21 Goodings Chris J. Frame structure with diversity
US20100166209A1 (en) * 2008-12-31 2010-07-01 Etymotic Research, Inc. Companion microphone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1003A (ja) * 2000-05-22 2002-0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伝送システム及びデータ伝送方法
US8009752B2 (en) 2004-10-01 2011-08-30 Qualcomm Incorporated Multi-carrier incremental redundancy for packet-based wireless communications
US9686045B2 (en) * 2007-04-04 2017-06-20 Lantiq Beteiligungs-GmbH & Co. KG Data transmission and retransmission
US9203533B2 (en) * 2008-07-24 2015-12-01 Line 6, Inc.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wireless transmission of digital audio at multiple radio frequencies
US8730853B2 (en) * 2008-09-05 2014-05-20 Mediatek Inc. Methods for responding to co-located coexistence (CLC) request from a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s apparatuses capable of controlling multi-radio coexistence
CN102317981B (zh) * 2009-02-11 2014-09-03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利用零位点的运动检测系统和方法
US20110022916A1 (en) * 2009-07-24 2011-01-27 Prasanna Desai Method and system for saving power for packet re-transmission in an encrypted bluetooth low power link layer connection
US9560629B2 (en) * 2009-11-25 2017-01-31 Fitbit, Inc. System and method for alerting a user on an external device of notifications or alerts originating from a network-connected device
US9112240B2 (en) 2010-01-04 2015-08-18 Nanotek Instruments, Inc. Lithium metal-sulfur and lithium ion-sulfur secondary batteries containing a nano-structured cathode and processes for producing same
US8798693B2 (en) * 2010-03-02 2014-08-05 Sound Id Earpiece with voice menu
US20120196534A1 (en) * 2011-02-01 2012-08-02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broadcasting in short-range communication
US20120328061A1 (en) * 2011-06-27 2012-12-27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using discovered clock in a first communications protocol to synchronize networking activity in a second communications protocol
US8918569B2 (en) * 2011-08-10 2014-12-23 Intel Corporation Streaming audio visual content simultaneously to different topologies on a wireless adap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72162A1 (en) * 2000-12-29 2002-11-21 Goodings Chris J. Frame structure with diversity
US20100166209A1 (en) * 2008-12-31 2010-07-01 Etymotic Research, Inc. Companion microphone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47321A (zh) 2014-12-24
US9531501B2 (en) 2016-12-27
WO2013062717A1 (en) 2013-05-02
CN104247321B (zh) 2018-05-15
TWI456925B (zh) 2014-10-11
TW201325119A (zh) 2013-06-16
KR101687881B1 (ko) 2016-12-19
US20130102251A1 (en) 201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7881B1 (ko) 블루투스 저 에너지 표준을 사용한 데이터 전달
KR101543193B1 (ko) 블루투스 저에너지 표준을 사용한 오디오 전달
US11463824B2 (en) Method of exchanging data packages of different sizes between first and secon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CN112313977B (zh) 利用通信共存的低时延音频流式传输
EP2454912B1 (en) Updating method and apparatus of sleep mode operation
US9831988B2 (en) Method of exchanging data packages between first and secon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US20220248333A1 (en) Method For Operating A Bluetooth Device
US9819705B2 (en) Method of exchanging data packages between first and secon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using a favoured frequency band
WO2022021607A1 (zh) 音频数据的传输方法、系统、tws耳机对、芯片及介质
US9008580B2 (en) Configuring a codec for communicating audio data using a Bluetooth network connection
US20230179902A1 (en) Communication method applied to binaural wireless headset, and apparatus
JP2017076956A (ja) 第1のポータブル通信デバイスと第2のポータブル通信デバイスの間で異なるサイズのデータ・パッケージを交換する方法
JP6870935B2 (ja) 第1のポータブル通信デバイスと第2のポータブル通信デバイスの間でデータ・パッケージを交換する方法
EP3133838A1 (en) A method of exchanging data packages between first and secon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using a favoured frequency band
US20240121549A1 (en) Earbud-to-earbud cross-acknowledgement and communication relay
US20220417637A1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transmission of audio data
WO2024076439A1 (en) Earbud-to-earbud cross-acknowledgement and communication relay
CN114979900A (zh) 一种无线耳机以及音频共享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