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5638A -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5638A
KR20140145638A KR1020130067089A KR20130067089A KR20140145638A KR 20140145638 A KR20140145638 A KR 20140145638A KR 1020130067089 A KR1020130067089 A KR 1020130067089A KR 20130067089 A KR20130067089 A KR 20130067089A KR 20140145638 A KR20140145638 A KR 20140145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temperature
optical cable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7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만
정지영
Original Assignee
(주)엠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파워 filed Critical (주)엠파워
Priority to KR1020130067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5638A/ko
Publication of KR20140145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6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은 온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전력구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케이블을 포설하는 광케이블부, 광케이블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광케이블로부터 전력구 내부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한 제1 광파장을 제공받아 온도신호로 변환하고, 화재 발생 위치를 측정한 제2 광파장을 제공받아 위치신호로 변환하는, DTS부로부터 온도신호와 위치신호를 제공받아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서버부 및 서버부에 저장된 온도신호와 위치신호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는 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Fire monitoring system of fire fighting}
본 발명은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화재가 발생한 지점을 정확하게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설된 광케이블에 대한 온도를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는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인 "유무선 재난 자동 감시 시스템(등록특허 10-0704018)에서 도 1은 종래의 유선 화재 자동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선 화재 자동 감시 시스템은 건물의 다수 개 개소에 분산 설치된 화재감지센서(10)와 한 화재감지센서(10)와 유선선로(11)를 통하여 연결되고 임의의 그룹, 예를 들면 고층 건물의 경우 각 층별로 구비된 화재 감지 센서들의 그룹에 속한 화재감지센서(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모아서 그 결과를 출력하는 다수의 중계장치(12) 및 다수의 중계장치(12)와 유선선로(11)로 연결되어 중계장치(12)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일괄처리하여 그 결과를 외부 소방서에 구비된 소방 시스템(15)으로 출력하는 화재 감시 주장치(1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유선에 의존한 화재 자동 감시 시스템은 화재발생시 유선선로(11)의 손실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화재 감지 센서(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화재 감시 주장치(13)로 전달되지 않아서 정확한 발화위치 및 화재 진행 위치를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재가 발생한 지점을 정확하게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설된 광케이블에 대한 온도를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는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은 온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전력구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케이블을 포설하는 광케이블부, 광케이블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광케이블로부터 전력구 내부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한 제1 광파장을 제공받아 온도신호로 변환하고, 화재 발생 위치를 측정한 제2 광파장을 제공받아 위치신호로 변환하는, DTS부로부터 온도신호와 위치신호를 제공받아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서버부 및 서버부에 저장된 온도신호와 위치신호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는 관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DTS부는 광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DTS연결부, DTS연결부를 통해 광케이블부에서 전력구 내부의 온도를 측정한 제1 광파장을 제공받아 온도신호로 변환시키고 화재 발생 위치를 측정한 제2 광파장을 제공받아 위치신호로 변환시키는 DTS변환부 및 DTS변환부로부터 온도신호 또는 위치신호를 제공받아 서버부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DTS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부는 전력구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광케이블 각각에 최고의 온도와 최고의 온도가 발생한 지점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부는 전력구 내부에 배치되는 광케이블을 위치별, 길이별, 구간별로 분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부는 온도신호를 제공받아 색깔별로 광케이블을 디스플레이하되, 광케이블을 위치별, 길이별, 구간별로 분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부는 광케이블 별로 최고의 온도와 최고의 온도가 발생한 지점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부는 전력구 내부에 포설되는 광케이블이 끊기거나 전력구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기준범위보다 높거나 전원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이상신호를 경고부에 제공하고, 경고부는 이상신호를 제공받아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은 온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전력구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케이블을 포설하는 광케이블부, 광케이블부가 포설된 위치와 대응되면서 전력구 내부에 설치되어 포설된 광케이블부의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광케이블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광케이블로부터 전력구 내부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한 제1 광파장을 제공받아 온도신호로 변환하고, 화재 발생 위치를 측정한 제2 광파장을 제공받아 위치신호로 변환하는 DTS부, DTS부로부터 온도신호와 위치신호를 제공받아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카메라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제공받아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서버부 및 서버부에 저장된 온도신호, 위치신호 및 영상신호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면서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관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DTS부는 광케이블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DTS연결부, DTS연결부를 통해 광케이블부에서 전력구 내부의 온도를 측정한 제1 광파장을 제공받아 온도신호로 변환시키고 화재 발생 위치를 측정한 제2 광파장을 제공받아 위치신호로 변환시키는 DTS변환부 및 DTS변환부로부터 온도신호 또는 위치신호를 제공받아 서버부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DTS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부는 서버부에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저장되는 온도신호, 위치신호 및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관리디스플레이부, 서버부에 저장되는 온도신호, 위치신호 및 영상신호를 날짜별, 시간대별, 장소별로 저장하는 관리저장부, 전력구 내부에 포설되는 광케이블이 끊기거나 전력구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기준범위보다 높거나 전원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이상신호를 관리부로부터 제공받아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경고부, 관리디스플레이부, 관리저장부 및 경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관리디스플레이부, 관리저장부 및 경고부를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광케이블부가 포설되는 주변을 촬영하도록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관리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부제어부는 온도신호와 위치신호를 각각 분석하여 전력구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광케이블 각각에 최고의 온도와 최고의 온도가 발생한 지점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최고의 온도가 발생한 지점의 주변을 집중적으로 촬영하도록 카메라의 포커스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부는 전력구 내부에 배치되는 광케이블을 위치별, 길이별, 구간별로 분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부는 온도신호를 제공받아 색깔별로 광케이블을 디스플레이하되, 광케이블을 위치별, 길이별, 구간별로 분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부는 광케이블 별로 최고의 온도와 최고의 온도가 발생한 지점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부는 광케이블 별로 최고의 온도가 발생한 지점을 포함하는 위치신호와 최고의 온도가 발생한 지점을 촬영한 영상신호를 소방감시부에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방감시부는 관리부로부터 최고의 온도가 발생한 지점을 포함하는 위치신호와 최고의 온도가 발생한 지점을 촬영한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설정된 출동범위 내를 벗어나면 출동신호를 출력하는 출동제어부와 출동제어부로부터 출동신호가 제공되면, 최고의 온도가 발생한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소방서에 출동지시신호를 제공하는 출동지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은 화재가 발생한 지점을 정확하게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설된 광케이블에 대한 온도를 실시간으로 체크함으로써,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은 포설된 광케이블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동시에 온도가 상승하는 지점을 정확하게 확인함으로써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선 화재 자동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의 동작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을 디스플레이하는 구현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의 블럭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의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의 동작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을 디스플레이하는 구현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100)은 광케이블부(110), DTS부(130), 서버부(150) 및 관리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케이블부(110)는 온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전력구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케이블을 포설한다. 이러한 광케이블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로 형성되는 광케이블은 전력구 내부에 배치되어 전력구 내부의 온도와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즉, 광케이블부(110)는 온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전력구 내부에 광케이블을 포설하고, 광케이블을 통해 전력구 내부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한 제1 광파장과 화재 발생 위치를 측정한 제2 광파장을 전송할 수 있다.
DTS부(130)는 광케이블부(110)의 일단에 연결되어 광케이블로부터 전력구 내부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한 제1 광파장을 제공받아 온도신호로 변환하고, 화재 발생 위치를 측정한 제2 광파장을 제공받아 위치신호로 변환한다. 이러한 DTS부(130)는 DTS연결부(131), DTS변환부(133) 및 DTS전송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DTS연결부(131)는 광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DTS연결부(131)는 광케이블부(110)의 일단과 연결되되, 광케이블에서 전송하는 제1 광파장과 제2 광파장의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광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다.
DTS변환부(133)는 DTS연결부(131)를 통해 제1 광파장을 제공받아 온도신호로 변환시키고, 제2 광파장을 제공받아 위치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DTS변환부(133)는 DTS연결부(131)로부터 제1 광파장과 제2 광파장을 제공받아 제1 광파장을 분석하면서 온도를 측정한 제1 광파장에 대응되는 온도신호로 변환시키거나 제2 광파장을 분석하면서 위치를 측정한 제2 광파장에 대응되는 위치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여기서 DTS변환부(133)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온도신호에 대한 온도데이터베이스와 위치신호에 대한 위치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DTS변환부(133)는 제2 광파장의 반사 지점의 거리를 산출함으로써, 화재 발생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DTS전송부(135)는 DTS변환부(133)로부터 온도신호 또는 위치신호를 제공받아 서버부(150)에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DTS전송부(135)는 DTS변환부(133)에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온도신호 또는 위치신호를 전송받아 서버부(15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DTS전송부(135)는 서버부(150)와 이더넷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서버부(150)는 DTS부(130)로부터 온도신호 또는 위치신호를 제공받아 실시간으로 저장한다. 이러한 서버부(150)는 온도신호 또는 위치신호를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부(150)는 저장데이터베이스에 온도신호 또는 위치신호를 저장할 때 받아 날짜별, 시간별 등과 같이 시간대별로 저장하거나 광케이블의 위치별, 길이별, 구간별에 따라 장소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관리부(170)는 서버부(150)에 저장된 온도신호 또는 위치신호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관리부(170)는 관리디스플레이부(171), 관리저장부(173), 관리제어부(175) 및 경고부(17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관리디스플레이부(171)는 서버부(150)에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저장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온도신호 또는 위치신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관리저장부(173)는 서버부(150)에 저장되는 온도신호 또는 위치신호를 날짜별, 시간대별, 장소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거나 관리제어부(175)에서 분석한 온도신호 또는 위치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경고부(177)에서 발생된 이상신호를 이벤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리저장부(173)는 서버부(150)의 저장데이터베이스와 더불어 온도신호 또는 위치신호를 저장함으로써, 관리저장부(173) 또는 저장데이터베이스 중 하나가 손실되더라도 온도신호 또는 위치신호를 안정적으로 체크할 수 있다.
관리제어부(175)는 관리디스플레이부(171), 관리저장부(173) 및 경고부(177)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관리디스플레이부(171), 관리저장부(173) 및 경고부(177)가 안정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관리제어부(175)는 관리디스플레이부(171)가 온도신호 또는 위치신호를 선명하게 디스플레이하도록 관리디스플레이부(171)의 화면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체크하면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관리제어부(175)는 서버부(150)로부터 전송되는 온도신호 또는 위치신호를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온도신호 또는 위치신호가 관리저장부(173)에 장소별, 시간대별, 위치별로 정확하게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관리제어부(175)는 전력구 내부에 포설되는 광케이블이 끊기거나 전력구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기준범위보다 높거나 전원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이상신호를 경고부(177)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상신호를 제공받은 경고부(177)가 정확하게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경고부(177)는 전력구 내부에 포설되는 광케이블이 끊기거나 전력구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기준범위보다 높거나 전원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이상신호를 관리부(170)로부터 제공받아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경고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경고신호는 다양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고신호는 경고음 또는 경고음악을 발생하거나 경고음악, 경고문자를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경고부(177)는 경고신호를 관리디스플레이부(171)에 제공하여 관리디스플레이부(171)가 깜빡거리게 하여 관리자에게 이상을 인지시킬 수도 있다.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광케이블부(110)는 전력구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케이블이 포설될 수 있다. 즉, 전력구의 내부 중 상하로 광케이블을 배치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전력구의 내부에 상하로 광케이블을 배치함으로써, 전력구의 내부의 전체온도를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
즉, 광케이블이 포설된 전력구의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여 온도가 상승할 경우 광케이블은 온도가 상승한 지점에서 제2 광파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발생된 제2 광파장을 분석하여 전력구 내부 중 어느 위치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100)을 디스플레이하는 구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관리부(170)의 메인화면은 다양한 기준을 설정하여 광케이블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관리부(170)는 전력구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광케이블 각각에 최고의 온도와 최고의 온도가 발생한 지점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전력구 내부에 배치되는 광케이블을 위치별, 길이별, 구간별로 분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관리부(170)는 온도신호 또는 위치신호를 제공받아 색깔별로 광케이블을 디스플레이하되, 광케이블을 위치별, 길이별, 구간별로 분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광케이블 별로 최고의 온도와 최고의 온도가 발생한 지점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관리부(170)의 메인화면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케이블의 온도를 색깔별로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케이블의 온도 또는 위치를 색깔별로 표시함으로써, 관리자는 색깔을 통해 광케이블의 온도와 위치를 용이하게 체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구의 내부를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게다가 관리부(170)의 메인화면에서는 각각의 광케이블 별로 최고 온도를 표시하되, 최고의 온도가 발생된 지점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정확한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부(170)는 광케이블 별 거리 전체에 대한 온도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하나의 화면에 그래프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리부(170)가 광케이블 별로 거리 전체에 대한 온도를 용이하게 파악함으로써, 전력구의 내부 전체에 대한 온도를 용이하게 체크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부(170)는 광케이블별로 이벤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벤트화하여 저장함으로써, 지속적인 관리를 할 수 있으며, 온도가 자주 상승하는 지점을 예측하여 관리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100)은 화재가 발생한 지점을 정확하게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설된 광케이블에 대한 온도를 실시간으로 체크함으로써,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가 상승하는 지점을 미리 예측하여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8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다른실시 예에 따른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200)은 광케이블부(210), 카메라부(220), DTS부(230), 서버부(250), 관리부(270) 및 소방감시부(2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2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광케이블부(210)는 온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전력구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케이블을 포설한다.
카메라부(220)는 광케이블부(210)가 포설된 위치와 대응되면서 전력구 내부에 설치되어 포설된 광케이블부(210)의 주변을 촬영한다. 이러한 카메라부(220)는 전력구 내부에 설치되어 광케이블부(210)가 포설된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후술할 서버부(25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220)는 광케이블에서 설정된 기준범위보다 높은 최고의 온도가 발생한 지점을 중심으로 촬영되도록 관리제어부(275)가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부(220)가 최고의 온도가 발생한 지점을 중심으로 주변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촬영한 영상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상황에 맞게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DTS부(230)는 광케이블부(210)의 일단에 연결되어 광케이블로부터 전력구 내부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한 제1 광파장을 제공받아 온도신호로 변환하고, 화재 발생 위치를 측정한 제2 광파장을 제공받아 위치신호로 변환한다. 이러한 DTS부(230)는 DTS연결부(231), DTS변환부(233) 및 DTS전송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DTS연결부(231)는 광케이블부(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DTS변환부(233)는 DTS연결부(231)를 통해 광케이블부(210)에서 전력구 내부의 온도를 측정한 제1 광파장을 제공받아 온도신호로 변환시키고 화재 발생 위치를 측정한 제2 광파장을 제공받아 위치신호로 변환시킨다.
DTS전송부(235)는 DTS변환부(233)로부터 온도신호 또는 위치신호를 제공받아 서버부(250)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DTS전송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부(250)는 DTS부(230)로부터 온도신호와 위치신호를 제공받아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카메라부(220)로부터 영상신호를 제공받아 실시간으로 저장한다. 이러한 서버부(250)는 온도신호, 위치신호 또는 영상신호를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부(250)는 저장데이터베이스에 온도신호, 위치신호 또는 영상신호를 저장할 때 받아 날짜별, 시간별 등과 같이 시간대별로 저장하거나 광케이블의 위치별, 길이별, 구간별에 따라 장소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관리부(270)는 서버부(250)에 저장된 온도신호, 위치신호 및 영상신호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면서 카메라부(220)를 제어한다. 이러한 관리부(270)는 관리디스플레이부(271), 관리저장부(273), 관리제어부(275) 및 경고부(277)(27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관리디스플레이부(271)은 서버부(250)에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저장되는 온도신호, 위치신호 및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한다.
관리저장부(273)는 서버부(250)에 저장되는 온도신호, 위치신호 및 영상신호를 날짜별, 시간대별, 장소별로 저장한다.
경고부(277)는 전력구 내부에 포설되는 광케이블이 끊기거나 전력구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기준범위보다 높거나 전원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이상신호를 관리부(270)로부터 제공받아 경고신호를 발생한다.
관리제어부(275)는 관리디스플레이부(271), 관리저장부(273) 및 경고부(27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관리디스플레이부(271), 관리저장부(273) 및 경고부(277)를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광케이블부(210)가 포설되는 주변을 촬영하도록 카메라부(220)를 제어한다. 이러한 관리제어부(275)는 온도신호와 위치신호를 각각 분석하여 전력구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광케이블 각각에 최고의 온도와 최고의 온도가 발생한 지점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최고의 온도가 발생한 지점의 주변을 집중적으로 촬영하도록 카메라의 포커스를 제어한다.
또한, 관리부(270)는 전력구 내부에 배치되는 광케이블을 위치별, 길이별, 구간별로 분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온도신호를 제공받아 색깔별로 광케이블을 디스플레이하되, 광케이블을 위치별, 길이별, 구간별로 분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게다가, 관리부(270)는 광케이블 별로 최고의 온도와 최고의 온도가 발생한 지점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케이블 별로 최고의 온도가 발생한 지점을 포함하는 위치신호와 최고의 온도가 발생한 지점을 촬영한 영상신호를 소방감시부(29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소방감시부(290)는 출동제어부(291)와 출동지시부(293)를 포함할 수 있다.
출동제어부(291)는 관리부(270)로부터 최고의 온도가 발생한 지점을 포함하는 위치신호와 최고의 온도가 발생한 지점을 촬영한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설정된 출동범위 내를 벗어나면 출동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출동제어부(291)는 영상신호를 분석하되, 불 또는 연기 등이 감지되면, 출동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출동제어부(291)는 계절별마다 최고의 온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연기 또는 불이 감지될 경우 출동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동지시부(293)는 출동제어부(291)로부터 출동신호가 제공되면, 최고의 온도가 발생한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소방서에 출동지시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출동지시부(293)는 화재가 발생한 위치와 가장 가까운 소방서, 경찰서 등에 화재가 발생한 위치를 포함한 출동지시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출동지시부(293)는 관리자등에게도 출동지시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210: 광케이블부 130, 230: DST부
131, 231: DST 연결부 133, 233: DST 변환부
135, 235: DST 전송부 150, 250: 서버부
170, 270: 관리부 171, 271: 관리디스플레이부
173, 273: 관리저장부 175, 275: 관리제어부
177, 277: 경고부 220: 카메라부
290: 소방감시부 291: 출동제어부
293: 출동지시부

Claims (16)

  1. 온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전력구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케이블을 포설하는 광케이블부;
    광케이블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광케이블로부터 전력구 내부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한 제1 광파장을 제공받아 온도신호로 변환하고, 화재 발생 위치를 측정한 제2 광파장을 제공받아 위치신호로 변환하는 DTS부;
    DTS부로부터 온도신호와 위치신호를 제공받아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서버부; 및
    서버부에 저장된 온도신호와 위치신호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는 관리부;
    를 포함하는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DTS부는
    광케이블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DTS연결부;
    DTS연결부를 통해 광케이블부에서 전력구 내부의 온도를 측정한 제1 광파장을 제공받아 온도신호로 변환시키고 화재 발생 위치를 측정한 제2 광파장을 제공받아 위치신호로 변환시키는 DTS변환부; 및
    DTS변환부로부터 온도신호 또는 위치신호를 제공받아 서버부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DTS전송부;를 포함하는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관리부는 온도신호와 위치신호를 각각 분석하여 전력구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광케이블 각각에 최고의 온도와 최고의 온도가 발생한 지점을 디스플레이하는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관리부는 전력구 내부에 배치되는 광케이블을 위치별, 길이별, 구간별로 분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관리부는 온도신호를 제공받아 색깔별로 광케이블을 디스플레이하되, 광케이블을 위치별, 길이별, 구간별로 분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관리부는 광케이블 별로 최고의 온도와 최고의 온도가 발생한 지점을 디스플레이하는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관리부는 전력구 내부에 포설되는 광케이블이 끊기거나 전력구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기준범위보다 높아지거나 전원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이상신호를 경고부에 제공하고, 경고부는 이상신호를 제공받아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8. 온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전력구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케이블을 포설하는 광케이블부;
    광케이블부가 포설된 위치와 대응되면서 전력구 내부에 설치되어 포설된 광케이블부의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광케이블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광케이블로부터 전력구 내부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한 제1 광파장을 제공받아 온도신호로 변환하고, 화재 발생 위치를 측정한 제2 광파장을 제공받아 위치신호로 변환하는 DTS부;
    DTS부로부터 온도신호와 위치신호를 제공받아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카메라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제공받아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서버부; 및
    서버부에 저장된 온도신호, 위치신호 및 영상신호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면서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관리부;
    를 포함하는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DTS부는
    광케이블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DTS연결부;
    DTS연결부를 통해 광케이블부에서 전력구 내부의 온도를 측정한 제1 광파장을 제공받아 온도신호로 변환시키고 화재 발생 위치를 측정한 제2 광파장을 제공받아 위치신호로 변환시키는 DTS변환부; 및
    DTS변환부로부터 온도신호 또는 위치신호를 제공받아 서버부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DTS전송부;를 포함하는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관리부는 서버부에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저장되는 온도신호, 위치신호 및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관리디스플레이부;
    서버부에 저장되는 온도신호, 위치신호 및 영상신호를 날짜별, 시간대별, 장소별로 저장하는 관리저장부;
    전력구 내부에 포설되는 광케이블이 끊기거나 전력구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기준범위보다 높거나 전원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이상신호를 관리부로부터 제공받아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경고부;
    관리디스플레이부, 관리저장부 및 경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관리디스플레이부, 관리저장부 및 경고부를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광케이블부가 포설되는 주변을 촬영하도록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관리제어부;를 포함하는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관리부제어부는 온도신호와 위치신호를 각각 분석하여 전력구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광케이블 각각에 최고의 온도와 최고의 온도가 발생한 지점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최고의 온도가 발생한 지점의 주변을 집중적으로 촬영하도록 카메라의 포커스를 제어하는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관리부는 전력구 내부에 배치되는 광케이블을 위치별, 길이별, 구간별로 분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관리부는 온도신호를 제공받아 색깔별로 광케이블을 디스플레이하되, 광케이블을 위치별, 길이별, 구간별로 분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관리부는 광케이블 별로 최고의 온도와 최고의 온도가 발생한 지점을 디스플레이하는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관리부는 광케이블 별로 최고의 온도가 발생한 지점을 포함하는 위치신호와 최고의 온도가 발생한 지점을 촬영한 영상신호를 소방감시부에 제공하는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소방감시부는 관리부로부터 최고의 온도가 발생한 지점을 포함하는 위치신호와 최고의 온도가 발생한 지점을 촬영한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설정된 출동범위 내를 벗어나면 출동신호를 출력하는 출동제어부;와
    출동제어부로부터 출동신호가 제공되면, 최고의 온도가 발생한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소방서에 출동지시신호를 제공하는 출동지시부;를 포함하는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KR1020130067089A 2013-06-12 2013-06-12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KR201401456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089A KR20140145638A (ko) 2013-06-12 2013-06-12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089A KR20140145638A (ko) 2013-06-12 2013-06-12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638A true KR20140145638A (ko) 2014-12-24

Family

ID=52675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7089A KR20140145638A (ko) 2013-06-12 2013-06-12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56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8797A (ko) 2018-05-09 2019-11-19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도에 따른 케이블의 화재 위험 측정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8797A (ko) 2018-05-09 2019-11-19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도에 따른 케이블의 화재 위험 측정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54353B1 (en) Wireless control and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n emergency luminaire
US20180050230A1 (en) Electrical wall outlet fire detection system
US20150145684A1 (en) Auxiliary device for a hazard alarm constructed as a point type detector for function monitoring of the hazard alarm, and an arrangement and method of monitoring using a device of this kind
KR101212630B1 (ko) 송전선로 모바일 감시시스템
KR102096175B1 (ko) 천장 레일형 IoT 기반 감시 로봇 장치
KR101863530B1 (ko) 가시광 및 적외선 열화상 이미지를 이용한 화재 예측 보전시스템
KR102382151B1 (ko) 배전반 이상 모니터링 장치
KR101529563B1 (ko) 메쉬네트워크 스마트센서를 이용한 변전설비 및 지하공동구 전력설비 관재시스템
KR101950793B1 (ko) 소방전용 자동화재 탐지설비 시스템
KR102459503B1 (ko) 듀얼센서를 이용한 감시영역 이상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2017134790A (ja) 防災システム
CN110989462A (zh) 一种红外阵列温控方法及装置
KR101843650B1 (ko)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734659B1 (ko) 전력구내 지중 송전선로의 전기화재 징후 감지 및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30360A (ko) 통합 환경감시 시스템
KR20140145638A (ko)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KR101750747B1 (ko) 블루투스 아이비콘을 이용한 전자식 화재감지기 및 수신시스템
KR101264591B1 (ko) 화재 감지 장치 및 시스템
JP6684100B2 (ja) 防災システム
WO2017069098A1 (ja) 点灯・消灯判定装置、点灯・消灯判定プログラム
KR20210144455A (ko) 센서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의 실시간 시각화 기술 기반의 융복합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11951B1 (ko) 카메라 모듈을 갖는 화재 감지 경보 시스템
KR20200060606A (ko) 산업 현장 복합화재 감지 시스템
KR20070088242A (ko) 설비의 상태 및 이벤트의 실시간 원격 감시 방법 및 시스템
KR101006548B1 (ko)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실외용 화염추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