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5510A -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 - Google Patents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5510A
KR20140145510A KR20130068049A KR20130068049A KR20140145510A KR 20140145510 A KR20140145510 A KR 20140145510A KR 20130068049 A KR20130068049 A KR 20130068049A KR 20130068049 A KR20130068049 A KR 20130068049A KR 20140145510 A KR20140145510 A KR 20140145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flash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8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8791B1 (ko
Inventor
왕용진
Original Assignee
왕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용진 filed Critical 왕용진
Priority to KR1020130068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791B1/ko
Publication of KR20140145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21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 A61B1/00126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optical, e.g. for light supply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data stor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63Optical arrangements
    • A61B1/00165Optical arrangements with light-conductive means, e.g. fibre optics
    • A61B1/00167Details of optical fibre bundles, e.g. shape or fibre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using light-conductive means, e.g. optical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00Horizontal bars
    • A63B1/04Cleaning the r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에 관한 것으로, 사람의 눈으로 직접 관찰할 수 없는 인체 내부에 관찰용 광섬유 및 광전도용 광섬유를 연결한 내시경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및 플래쉬를 이용하여 인체 내부 상태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간편하게 관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ENDOSCOPE USING MOBILE TERMINAL WITH CAMERA FUNCTION}
본 발명은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의 눈으로 직접 관찰할 수 없는 인체 내부에 관찰용 광섬유 및 광전도용 광섬유를 연결한 내시경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및 플래쉬 를 이용하여 인체 내부 상태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간편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내시경 장비는 고가일 뿐만 아니라 부피가 커서 휴대하여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원격지나 이동 중인 응급 상황에서 사용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기존 내시경 장비의 경우 고장이나 점검 시 기계 내부를 확인하기 위해 전문 인력이 장비를 분해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과 많은 비용이 요구될 수 있으나 예컨대,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수리나 점검 시 이러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내시경 장비의 경우 별도의 녹화 소프트웨어와 저장 장치가 필요한데 비해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녹화 소프트웨어와 저장 공간으로 이를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 최근 의료분야에서는 휴대의 용이성과 수리 및 점검이 용이한 의료장비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01-004424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의 눈으로 직접 관찰할 수 없는 인체 내부에 관찰용 광섬유 및 광전도용 광섬유를 연결한 내시경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및 플래쉬 를 이용하여 인체 내부 상태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간편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와 근접 설치되는 플래쉬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플래쉬와 상기 카메라에 제1 및 제2 광섬유의 일단이 각각 근접되도록 상기 플래쉬와 상기 카메라에 결합되는 커넥터부; 피검자의 인체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제1 및 제2 광섬유의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플래쉬를 통해 발광된 빛이 상기 제1 광섬유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전달됨과 아울러 피검자의 인체 내부 영상이 상기 제2 광섬유의 타단에서 일단을 통해 상기 카메라로 전달되도록 구비되는 인체촬영부; 및 상기 커넥터부와 상기 인체촬영부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광섬유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일정길이를 갖는 연성의 내시경 케이블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에서는 상기 플래쉬의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인체촬영부를 통해 상기 카메라로 전달된 피검자의 인체 내부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광섬유는 각각 다수개의 광섬유가 묶음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플래쉬와 상기 카메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는 상기 인체촬영부를 통해 상기 카메라로 전달된 피검자의 인체 내부 영상을 녹화하여 기설정된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에 따르면, 사람의 눈으로 직접 관찰할 수 없는 인체 내부에 관찰용 광섬유 및 광전도용 광섬유를 연결한 내시경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및 플래쉬를 이용하여 인체 내부 상태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간편하게 관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을 통해 촬영된 피검자의 후두 사진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연성 혹은 굴곡형 내시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카메라는 내시경 전용 장비이고 고가이면서 부피가 크기 때문에 휴대하기가 곤란하다. 요즘 사람들이 쉽게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을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이용함과 아울러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및 플래쉬를 조합하고 광섬유를 이용하여 내시경 카메라 시스템을 구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가 용이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녹화 기능을 사용하여 녹화도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의 편리성 제고와 원가 절감 효과뿐만 아니라 무의촌 등 원격지 혹은 차, 기차, 비행기, 선박 내에서도 간단하게 검사가 가능한 장점을 갖고 있다.
즉, 본 발명은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연성 혹은 굴곡형 내시경을 연결하고 인체 내부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와 관찰용 광섬유를 연결하여 인체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인체 내부는 매우 어둡기 때문에 카메라만으로는 촬영할 수 없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래쉬에 광전도용 광섬유를 연결하여 광량을 제공하여 이를 해결하였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내시경 모니터 역할을 대체 하였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녹화 기능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카메라로 관찰한 영상을 녹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사람의 눈으로 직접 관찰할 수 없는 인체 내부에 관찰용 광섬유와 광전도용 광섬유를 연결한 내시경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및 플래쉬를 이용하여 인체 내부 상태를 모니터로 관찰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및 녹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내시경 장비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하여 소형화하여 휴대가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간단한 녹화 기능을 이용하여 인체 내부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을 통해 촬영된 피검자의 후두 사진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은, 크게 이동통신 단말기(100), 커넥터부(200), 인체촬영부(300) 및 내시경 케이블(4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에는 어두운 공간에서 카메라 촬영시 피사체를 조명하도록 빛을 발생하는 플래쉬(110)가 카메라(120)의 측부에 각각 독립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카메라(120) 기능을 사용하여 사진을 촬영하게 되고, 또한 실내 또는 야간에 촬영시에는 플래쉬(110) 기능을 발휘하여 정확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카메라(120)를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통상적으로 이미지 센서(Image Sensor)와, 이미지 신호처리기(Image Signal Processor, ISP)와, 백 엔드 칩(Back_End Chip)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센서는 렌즈로부터 입사된 빛에 의해 형성되는 촬상 신호를 가공되지 않은 Bayer RGB 포맷 데이터로 출력한다. 상기 이미지 신호처리기(ISP)는 상기 Bayer RGB 포맷 데이터를 RGB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 출력에 요구되는 YUV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백 엔드 칩은 상기 이미지 신호처리기(ISP)로부터 출력된 YUV 포맷 데이터를 처리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제어를 담당하는 것으로, 이러한 백 엔드 칩으로는 모바일 스위칭 모뎀(Mobile Switching Modem, MSM) 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DSP)가 이용될 수 있다.
즉, 카메라(120)를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촬영을 하면, 렌즈로부터 입사된 빛에 의해 형성되는 촬상 신호에 따라 상기 이미지 센서가 가공되지 않은 Bayer RGB 포맷 데이터를 IIC(Inter Integrated Circuit) 방식의 통신을 이용하여 출력하고, 이를 수신한 이미지 신호처리기(ISP)는 이를 실제의 RGB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 RGB 포맷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 출력에서 요구되는 즉, 이미지 처리를 위한 백 엔드 칩에서 요구되는 YUV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여 IIC(Inter Integrated Circuit) 방식의 통신을 이용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백 엔드 칩은 수신된 YUV 포맷 데이터를 처리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100)에는 플래쉬(110) 및 카메라(120)의 구성요소 이외에도 입력부(130), 출력부(140), 저장부(150), 프로그램 실행부(160) 및 제어부(17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입력부(1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입력 및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특히,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비롯하여 다운로드, 이동, 편집, 삭제 등의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고, 나아가 문자의 입력 및 전송, 전화통화 등의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이러한 입력부(130)는 스마트폰(Smart Phone)에서 예컨대,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하여 각종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게 된다. 예컨대, 스마트폰의 바탕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터치하면 해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명령을 입력하는 것이 된다. 이때, 입력부(130)는 예컨대 포인터, 커서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출력부(14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내용 및 데이터 등을 출력하며, 후술하는 제어부(170)의 제어하에 다양한 컬러를 디스플레이(Display)한다. 이러한 출력부(140)는 예컨대 LCD, PDP, LED, OLED, AM OLE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예컨대,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다수 및 다종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을 통해 다운로드받아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50)는 하드디스크드라이버 및 플래쉬 메모리를 포함한다.
즉, 저장부(150)는 제어부(170)에 의해 처리된 기능을 구동하는 프로그램, 사용자의 편리성과 기본적인 여러 기능을 구현하는 소정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저장부(150)는 보통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및 롬(ROM : Read Only Memory)을 포함한다. 이중에서 플래쉬 메모리에는 기본적인 실시간 처리운영시스템(OS : Operating System)과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호처리 소프트웨어가 저장되며, 이들 프로그램의 변수 및 상태는 상기 램으로부터 읽어들여 동작시킨다. 상기 롬은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으로 구성되고, 전기적으로 지우거나 다시 저장할 수 있는 비휘발성 데이터가 저장되며, 제어부(170)의 명령에 따른 입/출력을 수행한다. 상기 롬에 저장되는 데이터로서는 지워지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NAM(number assignment module) 파라미터, 기타 저장용 데이터(전화번호 및 이름, 문자메시지, 동영상 등) 등이다.
또한, 상기 플래쉬 메모리는 처리속도가 빠르고 데이터가 보존되는 비휘발성(non-volatile)메모리로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할 경우 업그레이드된 소프트웨어가 저장된다.
특히, 저장부(150)의 비휘발성 메모리(ROM)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녹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가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사용자가 저장하고자 하는 각종 데이터 예를 들면 동영상 파일, 사진 및 그림 등의 이미지 파일 등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50)의 휘발성 메모리는 동영상 편집 기능 수행을 위해 입력되거나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로딩된 동영상 파일, 사진 및 그림 등의 이미지 파일, 그리고 동영상 편집 기능 수행에 따라 생성된 새로운 동영상 파일을 저장한다.
프로그램 실행부(160)는 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부(15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동영상 및 사진 촬영을 위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0)는 입력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명령을 수신하고 프로그램 실행부(160)를 제어하여 저장부(15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 그 실행명령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후술하는 인체촬영부(300)를 통해 카메라(120)로 전달된 피검자의 인체 내부 영상을 출력부(140)에 디스플레이(Display)되도록 제어하며, 인체촬영부(300)를 통해 카메라(120)로 전달된 피검자의 인체 내부 영상을 녹화하여 기설정된 메모리 즉, 저장부(150)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입력부(130)로부터 입력된 신호나 카메라(120) 기능을 바탕으로 플래쉬(110)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커넥터부(200)는 이통통신 단말기(100)의 플래쉬(110)와 카메라(120)에 제1 및 제2 광섬유(10 및 20)의 일단이 각각 근접되도록 이통통신 단말기(100)의 플래쉬(110)와 카메라(120) 부분에 결합된다.
이러한 커넥터부(200)는 이통통신 단말기(100)의 플래쉬(110)와 카메라(1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통상의 나사 결합 또는 후크 결합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영구자석 등을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커버(cover)에 형성된 플래쉬(110) 및 카메라(120) 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커넥터부(200)를 플래쉬(110) 및 카메라(120)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분리하여 구성하였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플래쉬(110) 및 카메라(120) 부분을 하나의 몸체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제1 및 제2 광섬유(10 및 20)는 각각 다수개의 광섬유가 묶음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단일의 광섬유로 이루어질수도 있다.
인체촬영부(300)는 피검자의 인체 내부로 삽입되며, 제1 및 제2 광섬유(10 및 20)의 타단이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플래쉬(110)를 통해 발광된 빛이 제1 광섬유(1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전달됨과 아울러 피검자의 인체 내부 영상이 제2 광섬유(20)의 타단에서 일단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카메라(120)로 전달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내시경 케이블(400)은 일정길이를 갖는 연성의 케이블로서, 커넥터부(200)와 인체촬영부(300)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광섬유(10 및 20)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고화질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최신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카메라(120) 및 플래쉬(110)를 이용하여 환자의 귀, 코, 입 등의 신체 환부를 영상 촬영하고, 이를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출력부(140)에 직접 디스플레이(Display)하거나, 외부의 타시스템과 쉽게 유/무선 연계를 통하여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의사가 편리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외부 기능과 연계하여 검이경의 성능을 확장시킬 수 있어서 환자의 정확하고 신속한 진료가 가능하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카메라(120)와 관찰용 광섬유인 제2 광섬유(20)를 연결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플래쉬(110)와 광전도용 광섬유인 제1 광섬유(10)를 연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카메라(120)와 연결된 내시경을 통하여 인체 내부를 촬영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출력부(140)를 통해 영상을 출력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연성 혹은 굴곡형 내시경은, 일반적으로 소지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내시경 카메라, 플래쉬, 디스플레이 모니터, 녹화 장치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내시경 카메라의 원가를 대폭 줄일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하여 원격지 또는 이동중인 응급 상황에서도 사용이 가능하여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녹화 소프트웨어나 저장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녹화 소프트웨어 및 저장 장치를 사용함으로 사용 및 관리가 간편하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기술의 발달과 데이터 전송속도 증가로 촬영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원격에 있는 전문가에게 전송하여 자문을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 : 이동통신 단말기,
200 : 커넥터부,
300 : 인체촬영부,
400 : 내시경 케이블

Claims (4)

  1.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와 근접 설치되는 플래쉬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플래쉬와 상기 카메라에 제1 및 제2 광섬유의 일단이 각각 근접되도록 상기 플래쉬와 상기 카메라에 결합되는 커넥터부;
    피검자의 인체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제1 및 제2 광섬유의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플래쉬를 통해 발광된 빛이 상기 제1 광섬유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전달됨과 아울러 피검자의 인체 내부 영상이 상기 제2 광섬유의 타단에서 일단을 통해 상기 카메라로 전달되도록 구비되는 인체촬영부; 및
    상기 커넥터부와 상기 인체촬영부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광섬유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일정길이를 갖는 연성의 내시경 케이블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에서는 상기 플래쉬의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인체촬영부를 통해 상기 카메라로 전달된 피검자의 인체 내부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광섬유는 각각 다수개의 광섬유가 묶음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플래쉬와 상기 카메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는 상기 인체촬영부를 통해 상기 카메라로 전달된 피검자의 인체 내부 영상을 녹화하여 기설정된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
KR1020130068049A 2013-06-13 2013-06-13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 KR101498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049A KR101498791B1 (ko) 2013-06-13 2013-06-13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049A KR101498791B1 (ko) 2013-06-13 2013-06-13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510A true KR20140145510A (ko) 2014-12-23
KR101498791B1 KR101498791B1 (ko) 2015-03-06

Family

ID=52675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8049A KR101498791B1 (ko) 2013-06-13 2013-06-13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7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7054A1 (ko) * 2015-02-26 2016-09-01 (주)태양기전 탈착이 가능한 플렉시블 카메라 장치
CN110166674A (zh) * 2019-05-30 2019-08-23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设备检查的智能手机便携式摄像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488B1 (ko) * 2008-01-21 2011-02-08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이미드 중공사막 개질방법
KR102212107B1 (ko) 2020-11-04 2021-02-04 한성중공업 주식회사 내시경 카메라를 활용한 고압전동기 고정자 권선의 열화상태 판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2536883B1 (ko) 2022-10-12 2023-05-26 주식회사 동우기술단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24115C2 (nl) * 2003-08-15 2004-10-01 P J M J Beheer B V Inrichting voor het koppelen van een endoscoop aan een beeldtelefo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7054A1 (ko) * 2015-02-26 2016-09-01 (주)태양기전 탈착이 가능한 플렉시블 카메라 장치
CN110166674A (zh) * 2019-05-30 2019-08-23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设备检查的智能手机便携式摄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8791B1 (ko) 2015-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9994B2 (ja) 更新可能なプログラムを用いるプログラム可能なカメラ制御ユニット
KR101498791B1 (ko)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
KR101377936B1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내시경 카메라
JP6038413B1 (ja) 信号処理装置および内視鏡システム
CN108371533B (zh) 内窥镜操作辅助系统
US20130216971A1 (en) Wireless intra-oral imaging system and method
JP5933868B1 (ja) 制御装置および内視鏡システム
JP5751869B2 (ja) 電子内視鏡装置、電子内視鏡用プロセッサ及び電子内視鏡システム
US8284244B2 (en) Signal processing system
JP6615550B2 (ja) 電子内視鏡用画像記録システム
JP2014010235A (ja) 内視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576984B2 (ja) 内視鏡システム
JP6113385B1 (ja) 撮像システム
JP2016220946A (ja) 内視鏡装置及び内視鏡装置の設定方法
CN112656352B (zh) 内窥镜摄像主机及其控制方法、内窥镜成像系统及存储介质
US20170273541A1 (en) Endoscope system
KR101601410B1 (ko)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
CN210673281U (zh) 一种集成摄影录像网络的医疗内窥镜系统
KR100972433B1 (ko) 휴대용 메디컬 카메라
WO2020246181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2016220839A (ja) 内視鏡システム及び内視鏡システムにおける内視鏡画像の表示切替方法
JP2006198002A (ja) 電子内視鏡システムとファイリングシステム
KR101735929B1 (ko)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
WO2017187835A1 (ja) 筐体装置
KR200478889Y1 (ko) 내시경 모듈이 설치된 휴대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