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4932A - 선박의 수평조정 정반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수평조정 정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4932A
KR20140144932A KR20130067161A KR20130067161A KR20140144932A KR 20140144932 A KR20140144932 A KR 20140144932A KR 20130067161 A KR20130067161 A KR 20130067161A KR 20130067161 A KR20130067161 A KR 20130067161A KR 20140144932 A KR20140144932 A KR 20140144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hip
fixing
horizontal
horizont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7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창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67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4932A/ko
Publication of KR20140144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9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수평조정 정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압력에 의해 선박의 하중을 지탱하며 상하로 유동되는 수평조정용 단위정반; 및 상기 수평조정용 단위정반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수평조정용 단위정반을 안벽 바닥에 고정시키는 단위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조정용 단위정반이 적어도 하나가 설치된 상기 단위고정부를 상기 선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안벽 바닥에 복수 개 배열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수평조정 정반장치는, 선박의 하중에 따라 상하 유동 가능한 수평조정부와 수평조정부를 받쳐주는 받침부로 구성되는 수평조정용 단위 정반이 안벽 바닥에 고정되는 단위고정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수평조정용 단위정반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단위고정부를 선박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 배열시켜 이루어짐으로써, 건조 중인 선박의 기상 여건의 악화로 파도가 높을 경우에도 선박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어 선박 건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선박을 안벽에 안전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정박(mooring) 작업이나 태풍에 의한 선박 피양을 하지 않아도 되어 공수 소요 감소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의 수평조정 정반장치{SUPPORT DEVICE FOR HORIZONTAL CONTROL OF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수평조정 정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벽(岸壁 ; quay)은 도크에서 건조된 선박을 의장품 탑재나 설비 설치 등과 같은 마무리 작업을 위한 구조물이다. 게다가, 안벽은 선박이 안전하게 접안하여 화물을 선적 또는 하역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승객을 승선 또는 하선시킬 수 있도록 하기도 한다.
이러한 안벽은 고정식으로 안벽의 상면이 수면보다 높고 견고하도록 설치되기 위해서 바다 등의 지반 상에 기초를 조성함과 아울러 기초를 기반으로 하여 구조물로 시공하고 있다.
그런데 선박을 안벽에 정박(mooring)한 상태에서 선박 건조 과정 중 마무리 작업인 의장품 탑재나 설비 설치 등의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어, 선박의 흔들림으로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태풍 등 기상 여건의 악화시 작업을 할 수 없거나 선박을 피양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상 여건의 악화로 파도가 높을 경우에 선박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선박 건조 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선박의 수평조정 정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을 안벽에 안전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정박(mooring) 작업이 필요 없게 하는 선박의 수평조정 정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태풍에 의한 선박 피양이 필요 없게 하는 선박의 수평조정 정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박의 수평조정 정반장치는, 압력에 의해 선박의 하중을 지탱하며 상하로 유동되는 수평조정용 단위정반; 및 상기 수평조정용 단위정반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수평조정용 단위정반을 안벽 바닥에 고정시키는 단위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조정용 단위정반이 적어도 하나가 설치된 상기 단위고정부를 상기 선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안벽 바닥에 복수 개 배열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조정용 단위정반은, 상기 선박의 수평을 조정하며, 상기 선박의 하중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압력을 공급하는 압력공급부로 구성되는 수평조정부; 및 상부에 상기 수평조정부가 설치되며, 상기 단위고정부에 고정되는 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력공급부는, 유압식 실린더 또는 공기압식 실린더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받침부는, 탱크가 형성된 박스 형태이며, 상기 탱크에 해수를 채우고 제거하여 중력 또는 부력을 가지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조정부 및 상기 받침부 각각은, 육상 또는 상기 선박에 설치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조정용 단위정반은, 상기 받침부와 상기 단위고정부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선박의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는 납보강 고무탄성받침, 고감쇠 고무받침, 강재 댐퍼 또는 점성 댐퍼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위고정부는, 상기 수평조정용 단위정반이 설치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고정홀; 및 상기 복수 개의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안벽 바닥에 상기 고정판을 고정시키는 고정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기둥은, 상기 안벽 바닥에 두드려 박는 말뚝식 또는 회전시켜 박는 나사식의 기둥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수평조정 정반장치는, 선박의 하중에 따라 상하 유동 가능한 수평조정부와 수평조정부를 받쳐주는 받침부로 구성되는 수평조정용 단위 정반이 안벽 바닥에 고정되는 단위고정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수평조정용 단위정반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단위고정부를 선박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 배열시켜 이루어짐으로써, 건조 중인 선박의 기상 여건의 악화로 파도가 높을 경우에도 선박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어 선박 건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선박을 안벽에 안전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정박(mooring) 작업이나 태풍에 의한 선박 피양을 하지 않아도 되어 공수 소요 감소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수평조정 정반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수평조정 정반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수평조정 정반장치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수평조정 정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수평조정 정반장치(100)는, 선박(1)의 건조 과정 중 마무리 작업인 의장품 탑재나 설비 설치 등의 작업을 안벽(2)에서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안벽 바닥(2a)에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 개의 수평조정용 단위정반(110) 및 복수 개의 단위고정부(150)를 포함한다.
수평조정용 단위정반(110)은, 선박(1)의 하중을 지탱하면서 선박(1)의 수평조정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선박(1)의 정박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한다. 수평조정용 단위정반(110)은, 수평조정부(120), 받침부(130), 완충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평조정부(120)는, 선박(1)의 수평을 조정할 수 있도록 선박(1)의 하중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는 지지부(121)와, 지지부(121)의 상하 유동을 가능케 하는 압력공급부(122)로 구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받침부(13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121)는, 후술할 압력공급부(122)에 결합되어 압력공급부(122)의 유압 또는 공기압에 의해 선박(1)의 하중을 지탱하면서 선박(1)의 수평을 조정할 수 있으며, 선박(1)의 바닥면의 형상에 관계없이 어느 위치에서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단부가 둥근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압력공급부(122)는, 지지부(121)가 선박(1)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유압 또는 공기압을 지지부(121)에 공급하며, 유압식 실린더 또는 공기압식 실린더일 수 있다.
지지부(121) 및 압력공급부(122)로 구성되는 수평조정부(120)는, 육상 또는 선박(1)에 설치된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될 수 있으며, 설정된 값에 따라 지지부(121)에 압력을 공급하여 지지부(121)가 선박(1)의 하중을 지탱하면서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받침부(130)는, 상부에 수평조정부(120)가 설치되며, 후술할 단위고정부(150)에 수평조정용 단위정반(110)이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받침부(130)는, 부력을 가지는 박스 형태일 수 있으며, 철재, 강화수지 등 선박(1)의 하중을 견디는 강도를 가지는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즉, 받침부(130)는 탱크식으로 제작되어 탱크 내부에 해수를 채우면 중력에 의해 후술할 단위고정부(150)와 함께 안벽 바닥(2a)에 가라앉아 선박의 수평조정 정반장치(10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며, 탱크 내부의 해수를 제거하면 부력에 의해 해수면에 떠오르게 되어 선박의 수평조정 정반장치(100)의 이동, 점검 또는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다.
받침부(130)는, 육상 또는 선박(1)에 설치된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될 수 있으며, 설정된 값에 따라 받침부(130)의 탱크에 해수를 채우고 제거함으로써, 중력 또는 부력을 가질 수 있게 할 수 있다.
완충부(140)는, 받침부(130)와 후술할 단위고정부(150)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선박(1)의 진동 에너지(예를 들어, 파도에 의한 선박의 흔들림)를 흡수하여 수평조정 정반장치(100)를 보호할 수 있게 한다. 즉, 완충부(140)는, 선박(1)의 진동 에너지가 수평조정부(120)와 받침부(130)에 전달되었을 때 에너지를 흡수하여 수평조정부(120)와 받침부(130)를 보호하며, 또한 안벽 바닥(2a)에 고정 설치되는 후술할 단위고정부(150)로 선박(1)의 진동 에너지가 직접 전달되는 것을 감쇠시켜 단위고정부(150)가 안벽 바닥(2a)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완충부(140)는, 납보강 고무탄성받침(LRB), 고감쇠 고무받침(HDRB), 강재 댐퍼(Steel Damper), 점성 댐퍼(Viscous Damper)일 수 있다.
단위고정부(150)는, 수평조정용 단위정반(110)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수평조정용 단위정반(110)을 안벽 바닥(2a)에 고정 설치될 수 있게 한다. 단위고정부(150)는, 고정판(151), 고정홀(152), 고정기둥(15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판(151)은, 수평조정용 단위정반(110)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사각 형태일 수 있으며, 사각 모서리 부분에 후술할 고정기둥(153)이 삽입되는 후술할 고정홀(152)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판(151)은, 철재, 강화수지 등 선박(1)의 하중을 견디는 강도를 가지는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고정홀(152)은, 고정판(151)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후술할 고정기둥(153)에 의해 고정판(151)을 안벽 바닥(2a)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고정홀(152)은, 고정판(151)을 안벽 바닥(2a)에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판(151)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적어도 고정판(151)의 사각 모서리 부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기둥(153)은, 고정홀(152)에 삽입되어 안벽 바닥(2a)에 고정판(151)을 고정시킬 수 있게하며, 안벽 바닥(2a)에 두드려 박는 말뚝식 또는 회전시켜 박는 나사식의 기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수평조정 정반장치(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평조정용 단위정반(110)과 단위고정부(150)가 기본 구성을 이루며, 수평조정용 단위정반(110)이 적어도 하나가 설치된 단위고정부(150)를 선박(1)의 크기에 따라 안벽 바닥(2a)에 복수 개 배열시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선박(1)의 하중에 따라 상하 유동 가능한 수평조정부(120)와 수평조정부(120)를 받쳐주는 받침부(130)로 구성되는 수평조정용 단위 정반(110)이 안벽 바닥(2a)에 고정되는 단위고정부(150)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수평조정용 단위정반(110)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단위고정부(150)를 선박(1)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 배열시켜 이루어짐으로써, 건조 중인 선박(1)의 기상 여건의 악화로 파도가 높을 경우에도 선박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어 선박 건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선박(1)을 안벽(2)에 안전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정박(mooring) 작업이나 태풍에 의한 선박 피양을 하지 않아도 되어 공수 소요 감소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선박을 안벽에 정박(mooring)한 상태에서 선박 건조 과정 중 마무리 작업인 의장품 탑재나 설비 설치 등의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어, 선박의 흔들림으로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태풍 등 기상 여건의 악화시 작업을 할 수 없거나 선박을 피양해야 하는 종래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선박 2: 안벽
2a: 안벽 바닥 100: 선박의 수평조정 정반장치
110: 수평조정용 단위정반 120: 수평조정부
121: 지지부 122: 압력공급부
130: 받침부 140: 완충부
150: 단위고정부 151: 고정판
152: 고정홀 153: 고정기둥

Claims (9)

  1. 압력에 의해 선박의 하중을 지탱하며 상하로 유동되는 수평조정용 단위정반; 및
    상기 수평조정용 단위정반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수평조정용 단위정반을 안벽 바닥에 고정시키는 단위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조정용 단위정반이 적어도 하나가 설치된 상기 단위고정부를 상기 선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안벽 바닥에 복수 개 배열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수평조정 정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조정용 단위정반은,
    상기 선박의 수평을 조정하며, 상기 선박의 하중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압력을 공급하는 압력공급부로 구성되는 수평조정부; 및
    상부에 상기 수평조정부가 설치되며, 상기 단위고정부에 고정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수평조정 정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공급부는,
    유압식 실린더 또는 공기압식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수평조정 정반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탱크가 형성된 박스 형태이며, 상기 탱크에 해수를 채우고 제거하여 중력 또는 부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수평조정 정반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조정부 및 상기 받침부 각각은,
    육상 또는 상기 선박에 설치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수평조정 정반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조정용 단위정반은,
    상기 받침부와 상기 단위고정부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수평조정 정반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선박의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는 납보강 고무탄성받침, 고감쇠 고무받침, 강재 댐퍼 또는 점성 댐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수평조정 정반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고정부는,
    상기 수평조정용 단위정반이 설치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고정홀; 및
    상기 복수 개의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안벽 바닥에 상기 고정판을 고정시키는 고정기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수평조정 정반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둥은,
    상기 안벽 바닥에 두드려 박는 말뚝식 또는 회전시켜 박는 나사식의 기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수평조정 정반장치.
KR20130067161A 2013-06-12 2013-06-12 선박의 수평조정 정반장치 KR201401449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7161A KR20140144932A (ko) 2013-06-12 2013-06-12 선박의 수평조정 정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7161A KR20140144932A (ko) 2013-06-12 2013-06-12 선박의 수평조정 정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932A true KR20140144932A (ko) 2014-12-22

Family

ID=52674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7161A KR20140144932A (ko) 2013-06-12 2013-06-12 선박의 수평조정 정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493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23492A (zh) * 2022-08-11 2022-09-30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可移动式胎架及胎架顶撑方法
FR3137366A1 (fr) * 2022-06-30 2024-01-05 Naval Group Dispositif d'attinag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7366A1 (fr) * 2022-06-30 2024-01-05 Naval Group Dispositif d'attinage
CN115123492A (zh) * 2022-08-11 2022-09-30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可移动式胎架及胎架顶撑方法
CN115123492B (zh) * 2022-08-11 2023-08-01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可移动式胎架及胎架顶撑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39557B2 (ja) 海洋構造物の運搬および設置用船舶並びに海洋構造物の運搬および設置方法
KR101382300B1 (ko) 상하 이동식 가변형 방충재
KR101195609B1 (ko)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소 장치
KR20140144932A (ko) 선박의 수평조정 정반장치
KR20170035624A (ko) 흘수 조절이 가능한 무밸러스트 선박
KR101217527B1 (ko) 평형 유지 크레인 및 이를 장착한 선박
KR101112131B1 (ko) 듀얼 데크 선박
KR101139129B1 (ko) 선박의 전복 방지 시스템
KR101715061B1 (ko) 선택 부유형 레그드 플랫폼 설비와 이의 건조방법 및 운용방법
KR200468323Y1 (ko) 선박 계류용 펜더
KR101964217B1 (ko) 정박장치를 포함하는 구조물 설치용 선박
KR20120026693A (ko) 팽창식 펜더 시스템 및 그 적용방법
US11131073B2 (en) Method for foundation of a transformer platform and transformer platform with at least three piles
KR101135210B1 (ko) 플랫폼의 위치 유지를 위해 진동절연을 이용하는 이동 항구
KR102461017B1 (ko) 계류 및 완충 장치
KR101894298B1 (ko) 계류장치 및 계류방법
KR20150026621A (ko) 세미 리그선의 가설 발라스트 장치
JP2016049931A (ja) 浮力体及び乾舷調整方法
KR100996746B1 (ko) 육상건조 선박의 힌지타입 진수방법 및 그 장치
JP7489301B2 (ja) 浮体構造物搬出方法および沈設架台
KR101112129B1 (ko) 안티모션 파운데이션
KR101112127B1 (ko) 안티모션 파운데이션
KR101246077B1 (ko) 폰툰형 파랑제어 시스템
KR20150145321A (ko) 해양구조물의 동요 방지장치
KR101291247B1 (ko) 솔리드형 밸러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