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4494A - Substrate manufacture method and build-up substrate lamination structure - Google Patents

Substrate manufacture method and build-up substrate lamination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4494A
KR20140144494A KR20130066522A KR20130066522A KR20140144494A KR 20140144494 A KR20140144494 A KR 20140144494A KR 20130066522 A KR20130066522 A KR 20130066522A KR 20130066522 A KR20130066522 A KR 20130066522A KR 20140144494 A KR20140144494 A KR 20140144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s
insulating layer
photosensitive insulating
substrate
div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65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59823B1 (en
Inventor
이재걸
박승욱
김진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6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823B1/en
Publication of KR20140144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4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8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H01L21/0274Photolithographic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4Mechanical treatment, e.g. grinding, polishing, cut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2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by affixing prefabricated conductor patter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and a build-up substrate layere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step of performing the build-up stacking of a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a step of exposing and developing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so that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of a predetermined size; and a step of performing the patterning on the divided photosensitive insulating sections is sugges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ild-up substrate layered body comprising; a core substrate body; a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which is layered on the core substrate body an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of a predetermined size; and a circuit pattern layer which is pattern on the divided photosensitive insulating sections is suggested.

Description

기판 제조 방법 및 빌드-업 기판 적층체{SUBSTRATE MANUFACTURE METHOD AND BUILD-UP SUBSTRATE LAMINATION STRUCTURE}[0001] SUBSTRATE MANUFACTURE METHOD AND BUILD-UP SUBSTRATE LAMINATION STRUCTURE [0002]

본 발명은 기판 제조 방법 및 빌드-업 기판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빌드업 적층된 감광성 절연층을 노광 및 현상을 통해 분할하여 제조함으로써 기판의 대구경화를 구현할 수 있는 기판 제조 방법 및 빌드-업 기판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and a build-up substrate laminate. Up substrate laminate capable of realizing large-scale curing of a substrate by preparing a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laminated by a build-up method through exposure and development.

일반적으로 ABF 혹은 PPG를 이용하여 빌드-업(Build-up)을 하는 경우 적층 후 경화 공정에서 절연 적층재가 경화되면서 발생되는 휨(Warpage) 혹은 비틀림(Twist) 현상 등이 발생하게 된다. 휨(Warpage) 혹은 비틀림(Twist) 현상 등이 발생하면 기판 정렬(align)을 위한 스케일(Scale) 측정을 하더라도 측정 스케일과 무관하게 정렬(Align)이 어려워진다.Generally, when a build-up is performed using ABF or PPG, warpage or twist phenomenon occurs due to curing of the insulating laminated material in the post-lamination curing process. If warpage or twist phenomenon occurs, even if scale measurement for aligning the substrate is performed, it becomes difficult to align regardless of the measurement scal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적층 후 스케일 변화 측정 외에도 4분할 혹은 6분할 노광이라는 방법을 이용하여 휨(Warpage) 혹은 비틀림(Twist)에 의하여 발생되는 얼라인 편차(Align tolerance)를 최소하하는 방법으로 빌드-업을 진행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 method of minimizing the alignment tolerance caused by warpage or twist by using a method of 4-division or 6-division exposure in addition to scale change measurement after lamination Build-up is underway.

이렇게 진행할 경우 빌드-업 기판의 공정 비용이 올라가고 노광 공정의 한계가 발생되어 콘텍트(Contact) 노광 이외에 휨(Warpage) 혹은 비틀림(Twist) 등을 극복할 수 있는 LDI(Laser Direct Imaging) 등의 패턴 공정을 적용하여야 하는 문제 등이 야기되고 있다.In such a case, pattern processing such as LDI (Laser Direct Imaging) which can overcome warpage or twist in addition to contact exposure due to the increase of the process cost of the build-up substrate and the limitation of the exposure process And the like.

기존 기판 공정에서는 일반적으로 빌드-업을 진행한 후 경화를 진행하고 레이져 드릴링을 하고 있다. 경화 진행 시 기판 사이즈가 커짐에 따라서 휨(warpage)이나 트위스트(twist)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레이저 비아의 얼라인 공차 및 상부 패턴에서의 디자인 룰(design rule) 미세화의 저해의 원인이 되고 있다.
In conventional substrate processing, the build-up process is generally followed by curing and laser drilling. As the substrate size increases during warping, warpage or twist phenomenon occurs. This problem has been a cause of inhibition of the alignment tolerance of the laser via and the refinement of the design rule in the upper pattern.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63066호 (2003년 07월 28일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3-0063066 (published on July 28, 2003)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ABF 혹은 PPG 공정 등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감광성 절연재를 적용하여 기판 제조 공정을 진행하고자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빌드-업 기판 제조 시 적층 공정 중 발생되는 휨(warpage) 등의 문제를 해결하여 기판 대구경화를 위한 빌드-업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substrate manufacturing process is carried out by applying a photosensitive insulating material in order to minimize problems occurring in the conventional ABF or PPG process. 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 of warpage and the like caused during the laminating process in the build-up substrate manufacturing, and proposes a build-up method for the substrate hardening.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라, 감광성 절연층을 빌드-업 적층하는 단계; 감광성 절연층이 소정 크기의 다수 섹션으로 분할되도록 노광 및 현상하는 단계: 및 분할된 감광성 절연층 섹션들 상에 패터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판 제조 방법이 제안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Exposing and developing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so as to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of a predetermined size, and performing patterning on the divided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sections.

이때, 하나의 예에서, 노광 및 현상하는 단계에서 각 섹션은 하나의 기판모듈유닛 크기 또는 복수의 기판모듈유닛을 포함하는 크기로 분할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one example, in the exposure and development step, each section may be divided into one substrate module unit size or a size including a plurality of substrate module units.

다른 하나의 예에 따르면, 노광 및 현상하는 단계에서, 다수 섹션 전부 또는 일부 섹션들로 형성된 섹션 그룹은 하나의 대형 기판모듈유닛 크기로 형성되고, 다수 섹션 전부 또는 섹션 그룹의 소속 섹션들 간에는 연결부위가 남도록 소속 섹션들 간에 영역 분할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in the step of exposure and development, a section group formed of all or a part of a plurality of sections is formed in one large-sized substrate module unit size, and between the sections belonging to all of the plurality of sections or the section group, May be partitioned between the belonging sections so that the remaining sections are left.

또한, 하나의 예에서, 패터닝을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감광성 절연층 섹션들 상에 도금 공정, 또는 도금 및 에칭 공정을 통해 회로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Further, in one example, in the step of performing patterning, a circuit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sections through a plating process, or a plating and etching process.

또한, 하나의 예에 따르면, 패터닝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회로패턴은 감광성 절연층 섹션별로 분할 노광하고 현상하여 형성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one example, in the step of performing patterning, the circuit pattern may be divided and exposed for each of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sections, and developed and formed.

다른 또 하나의 예에서, 패터닝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회로패턴은 감광성 절연층 섹션들 전체 영역에 한번에 노광 및 현상하여 형성할 수 있다.
In yet another example, in performing the patterning, the circuit pattern may be formed by exposing and developing the entire area of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sections at once.

또 하나의 예에서, 노광 및 현상하는 단계에서 다수 섹션으로 분할과 동시에 각 섹션 상에 비아홀 가공이 수행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a via hole processing on each section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dividing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in the step of exposure and development.

이때, 하나의 예에서, 노광 및 현상하는 단계에서 섹션별로 분할된 감광성 절연층 표면을 조면처리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one example,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divided for each section can be roughened in the step of exposure and development.

또한, 하나의 예에 따르면, 전술한 기판 제조 방법은 패터닝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패터닝된 감광성 절연층이 적층된 기판을 경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one example,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manufacturing a substrate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curing the substrate on which the patterned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is laminated after performing the patterning.

또 하나의 예에 따르면, 빌드-업 적층하는 단계에서는 코어기판체 상에 또는 기 적층된 기판 적층체 상에 감광성 절연층이 빌드-업 적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in the build-up lamination step,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may be build-up laminated on the core substrate body or on the laminated substrate laminate.

이때, 또 하나의 예에 따르면, 빌드-업 적층하는 단계에서 감광성 절연층은 코어기판체 또는 기판 적층체의 양면에 빌드-업 적층되고, 노광 및 현상하는 단계에서, 양면 적층된 감광성 절연층이 서로 대칭되게 각각 다수 섹션으로 분할될 수 있다.
At this tim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in the build-up lamination step,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is built-up on both sides of the core substrate body or the substrate laminate, and in the step of exposure and development, the double- And each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다음으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모습에 따라, 코어기판체; 코어기판체 상에 적층되고 소정 크기의 다수 섹션으로 분할된 감광성 절연층; 및 분할된 감광성 절연층 섹션들 상에 패터닝된 회로패턴층;을 포함하는 빌드-업 기판 적층체가 제안된다.
Next,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re substrate body; A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laminated on the core substrate body and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of a predetermined size; And a patterned circuit pattern layer on the divided photosensitive insulation layer sections.

이때, 하나의 예에서, 감광성 절연층의 각 섹션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아홀이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one example, at least one via hole may be formed on each section of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또한, 하나의 예에서, 감광성 절연층의 각 섹션은 하나의 기판모듈유닛 크기 또는 복수의 기판모듈유닛 크기로 분할되어 있다.Further, in one example, each section of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is divided into one substrate module unit size or a plurality of substrate module unit sizes.

다른 하나의 예에 따르면, 감광성 절연층의 다수 섹션 전부 또는 일부 섹션들로 형성된 섹션 그룹은 하나의 대형 기판모듈유닛 크기이고, 다수 섹션 전부 또는 섹션 그룹의 소속 섹션들 간에는 연결부위가 남도록 소속 섹션들 간에 영역 분할되어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section group formed by all or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ections of the photosensitive insulation layer is one large substrate module unit size, and the sections of the plurality of sections,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감광성 절연재를 적용한 빌드-업 기판 제조 시 적층 공정 중 발생되는 휨(warpage) 등의 문제를 해결하여 기판 대구경화를 기판 대구경화를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such as warpage which occurs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in manufacturing a build-up substrate to which a photosensitive insulating material is applied, thereby realizing the substrate thickening of the substrate.

이에 따라, 기판 공정의 단가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얼라인 공정의 오차를 줄일수 있다.Accordingly, the unit cost of the substrate process can be minimized and errors in the alignment process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을 통하여 기판의 대구경화가 용이하여 분할 노광 및 LDI 사용의 최소화로 공정 단가를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increase the size of the substrate, thereby minimizing the use of divided exposure and LDI.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구성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It is apparent that various effects not directly referred to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riv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various configuratio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제조 방법에 따라 코어기판체 상에 감광성 절연층을 적층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제조 방법에 따라 감광성 절연층을 섹션별로 분할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방법에 따라 감광성 절연층 섹션들 상에 포토 레지스트를 적층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제조 방법에 따라 감광성 절연층 섹션들 상에 회로패턴이 패터닝된 빌드-업 기판 적층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FIG. 1A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is laminated on a core substrate body according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B is a schematic view of a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divided into sections according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C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hotoresist is laminated on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sections according to a substrate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D is a schematic view of a build-up substrate laminate in which a circuit pattern is patterned on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sections according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ubstr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ubstr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설명에 있어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부차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In the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components, and a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배치 관계에서 '직접'이라는 한정이 없는 이상, '직접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됨으로써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As used herein, unless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 in connection, combination, or placement with other ele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not only are there forms of being 'directly connected, They may also be present in the form of being connected, bonded or disposed.

본 명세서에 비록 단수적 표현이 기재되어 있을지라도, 발명의 개념에 반하거나 명백히 다르거나 모순되게 해석되지 않는 이상 복수의 구성 전체를 대표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는', '갖는', '구비하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등의 기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그들의 조합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even though a singular expression i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t can be used as a concept representing the entire constitution unless it is contrary to, or obviously different from, or inconsistent with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hrases "including", "having", "having", "comprising", etc.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be additionally or interchangeable with one or more other elem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써, 모양, 크기, 두께 등은 기술적 특징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되게 표현된 것일 수 있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which: FIG.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른 기판 제조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이때, 참조되는 도면에 기재되지 않은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는 다른 도면에서의 도면부호일 수 있다.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ubstrat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ere, reference numerals not shown in the drawings to be referred to may be reference numerals in other drawings showing the same configuration.

도 1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제조 방법에 따라 코어기판체 상에 감광성 절연층을 적층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제조 방법에 따라 감광성 절연층을 섹션별로 분할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c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제조 방법에 따라 감광성 절연층 섹션들 상에 포토 레지스트를 적층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d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제조 방법에 따라 감광성 절연층 섹션들 상에 회로패턴이 패터닝된 빌드-업 기판 적층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FIG. 1A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laminating a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on a core substrate according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cross- And FIG. 1C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hotoresist is laminated on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sections according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ubstr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D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uild-up substrate laminate in which a circuit pattern is patterned on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sections according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ubstr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FIG. 3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ow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도 1a ~ 1d, 2 및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기판 제조 방법은 빌드-업 적층 단계(S100), 노광 및 현상 단계(S200) 및 패터닝 단계(S30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패터닝 단계(S300) 이후에 경화 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A to 1D, 2 and 3,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ubstrate according to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ild-up lamination step (S100), an exposure and development step (S200), and a patterning step (S300) . Also, referring to FIG. 3, in one example, the patterning step (S300) may further include a curing step (S400).

도 1a, 2 및 3을 참조하면, 빌드-업 적층 단계(S100)에서는 감광성 절연층(30)을 빌드-업 적층한다. 감광성 절연층(30)은 감광성 절연수지를 이용하여 형성한다. 예컨대, 액상 또는 필름 형태의 감광성 절연수지를 예컨대 코어기판체(10) 또는 기 적층된 기판 적층체 상에 도포하거나 적층시켜 감광성 절연층(30)을 빌드-업 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A, 2 and 3, in the build-up lamination step S100,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is build-up laminated.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is formed using a photosensitive insulating resin. For example,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can be built up by applying or laminating a photosensitive insulating resin in liquid or film form, for example, on the core substrate 10 or the laminated substrate stack.

예컨대, 감광성 절연수지를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크린인쇄, 롤코팅, 스프레이코팅 등이 있다. 또한, 절연층을 형성하는 다른 방법으로 감광성 드라이필름을 적층시켜 감광성 절연층(30)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a를 참조하면, 감광성 수지 필름(30)을 코어기판체(10) 상에 적층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 method of applying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resin includes screen printing, roll coating, spray coating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can be formed by laminating the photosensitive dry film by another method of forming the insulating layer.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A, a photosensitive resin film 30 may be laminated on a core substrate body 10. Fig.

이때, 도 1a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감광성 절연층(30)은 코어기판체(10) 또는 기 적층된 기판 적층체 상에 빌드-업 적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코어기판체(10)라 함은 코어기판 자체 또는 각 단위 모듈기판으로 분할 또는 절단되기 전의 코어기판층을 의미한다. 예컨대, 도 1a를 참조하면, 코어기판체(10)는 코어층(11)과 코어층(11)의 양측 또는 일측에 형성된 회로패턴층(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기 적층된 기판 적층체라 함은 코어기판의 양측 또는 일측에 절연층, 또는 절연층과 회로패턴층이 적층된 적층체를 말한다.Referring now to FIG. 1A, in one example,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may be build-up stacked on the core substrate 10 or the stacked substrate stack. In this specification, the core substrate body 10 refers to a core substrate layer before being divided or cut into the core substrate itself or each unit module substrate.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A, the core substrate body 10 may include a core layer 11 and a circuit pattern layer 13 formed on both sides or one side of the core layer 11. Although not show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laminated substrate laminate refers to a laminate in which an insulating layer or an insulating layer and a circuit pattern layer are laminated on both sides or one side of a core substrate.

이때,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나의 예에 따르면, 빌드-업 적층 단계(S100)에서 감광성 절연층(30)은 코어기판체(10) 또는 기판 적층체의 양면에 빌드-업 적층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ough not shown, according to one example, in the build-up lamination step S100,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may be build-up stacked on both sides of the core substrate body 10 or the substrate laminate.

다음으로, 도 1b, 2 및 3을 참조하면, 노광 및 현상 단계(S200, S1200)에서는 빌드-업된 감광성 절연층(30)이 소정 크기의 다수 섹션(31)으로 분할되도록 노광 및 현상한다. 감광성 절연재료의 노광은 빛, 예컨대, 자외선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기판체(10) 또는 기 적층된 기판 적층체 상에 적층된 감광성 절연층(30)에 대하여 예컨대 자외선 등을 이용하여 노광하고 이후에 현상액을 이용하여 현상한다. 도 1b는 노광 및 현상에 의해 감광성 절연층(30)이 다수 섹션(31)으로 분할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노광 및 현상 단계(S200, S1200) 이후 다수 섹션(31)으로 이루어진 감광성 절연층(30)은 빌드-업 적층 단계(S100)에서 적층된 감광성 절연층(30)과 동일재료에서 출발된 점에서 동일 도면부호 '30'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노광 및 현상 단계(S200, S1200) 이후 다수 섹션(31)으로 이루어진 감광성 절연층(30)은 예컨대 광경화가 진행된 절연층이고 빌드-업 적층 단계(S100)에서 적층된 감광성 절연층(30)은 광경화 미진행 상태이므로, 양자의 재료적 특정은 다름에 유의한다.Next, referring to FIGS. 1B, 2 and 3, in the exposure and development steps S200 and S1200, the build-up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is exposed and developed so as to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31 of a predetermined size. Light, for example, ultraviolet rays can be used for exposure of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material.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A,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laminated on the core substrate body 10 or the laminated substrate stack is exposed to light using ultraviolet rays, for example, and then developed using a developer . 1B shows a state in which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31 by exposure and development.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made up of the plurality of sections 31 after the exposure and development steps S200 and S1200 in this specification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laminated in the build- The same reference numeral " 30 " However,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composed of the plurality of sections 31 after the exposure and development steps S200 and S1200 is an optically cured insulating layer, for example, and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laminated in the build-up lamination step S100, Is not in the state of photocuring,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material specifications of both are different.

예컨대, 감광성 절연층(30)을 포토 마스크(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빛, 예컨대, 자외선을 조사하여 노광하며 광경화시킬 수 있다. 이때, 포토 마스크(도시되지 않음)는 감광성 절연층(30)의 분할라인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감광성 절연층(30)이 광경화성 재료인 경우 포토마스크 패턴으로 분할라인 패턴, 또는 분할라인 패턴과 비아홀(31a) 패턴 등의 가공 영역을 덮고 예컨대 자외선에 노광시키면, 포토마스크로 덮힌 가공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광경화될 수 있다. 이때, 광경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가공 영역, 예컨대 분할라인 패턴, 또는 분할라인 패턴과 비아홀(31a) 패턴 등은 이후 현상액에 의해 현상되고, 현상된 가공 영역을 통해 예컨대 코어기판체(10)가 노출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can be exposed to light by irradiating light, for example, ultraviolet light, using a photomask (not shown), and photo-cured. At this time, a photomask (not shown) may be formed in a divided line pattern of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 For example, when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is a photocurable material, if a photomask pattern is covered with a divided line pattern, or a processing area such as a divided line pattern and a via hole 31a pattern and exposed to, for example, ultraviolet light, The remaining region can be photo-cured. At this time, a processing region where the photocuring is not performed, such as a split line pattern or a split line pattern and a via hole 31a pattern, is then developed by the developer, and the core substrate body 10 is exposed through the developed processing region .

이때, 감광성 절연층(30)의 현상에 사용되는 현상액으로 예컨대 알칼리 용액, 예를 들면 Na2CO3 용액이 사용될 수 있다.
At this time, for example, an alkaline solution such as a Na 2 CO 3 solution may be used as a developer used for development of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이때,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노광 및 현상 단계(S1200)에서 감광성 절연층(30)의 다수 섹션(31)으로 분할과 동시에 각 섹션(31) 상에 비아홀(31a) 가공이 수행될 수 있다. 즉, 감광성 절연층(30)의 분할과 섹션(31)별로 분할된 감광성 절연층(30) 상에 비아홀(31a) 형성 공정이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3, in one example, the via hole 31a is formed on each section 31 at the same time as the division into the plurality of sections 31 of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in the exposure and development step S1200 . That is, the process of forming the via hole 31a on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divided by the division of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and the sections 31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일반적으로 감광성 절연재료를 가지고 빌드-업하는 경우, 적층(Lamination) 후 노광(Exposure) 및 현상(Development)하고, 그 후 경화(Curing)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감광성 절연재료의 경우 현상 공정에서 레이저 비아(Laser via)와 마찬가지로 비아(via)(31a), 즉, 포토비아를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추후 경화 과정에서 생성되는 휨(warpage)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노광 및 현상 단계(S1200)에서 빌드-업 감광성 절연층(30) 상에 비아홀(31a)을 형성함과 동시에 감광성 절연층(30)을 소정 크기의 섹션(31)별로 분할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노광 및 현상 단계(S200, S1200)에서 현상 결과로 분할된 다수 섹션들(31)로 이루어진 감광성 절연층(30)은 빌드-업 적층 단계(S100)에서 적층된 감광성 절연층(30)과 동일 도면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노광 및 현상 단계(S200, S1200)에서 현상 결과로 분할된 다수 섹션들(31)로 이루어진 감광성 절연층(30)은 예컨대 광경화 재질로, 빌드-업 적층 단계(S100)에서 적층된 감광성 절연층(30)과 광경화 이전의 재질과 그 특성을 달리함에 유의한다.
Generally, in case of build-up with a photosensitive insulating material, exposure and development are performed after lamination, and then a curing process is performed. In this case, in the case of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material, a via 31a, that is, a photoreceptor, can be formed in the developing process in the same manner as the laser via.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warpage problem generated in the subsequent curing process, a via hole 31a is formed on the build-up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in the exposure and development step S1200, 30 can be divided or separated for each section 31 of a predetermined size.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made up of the plurality of sections 31 divided into the development result in the exposure and development steps S200 and S1200 is the same as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stacked in the build-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made of the plurality of sections 31 divided into the development result in the exposure and development steps S200 and S1200 is made of a photo-curable material, for example, in the build-up lamination step S100 ) And the material of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laminated before the photocuring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material.

또한, 도 1b를 참조하면, 이때, 하나의 예에서, 감광성 절연층(30)의 각 섹션(31)은 하나의 기판모듈유닛(도시되지 않음) 크기 또는 복수의 기판모듈유닛을 포함하는 크기로 분할될 수 있다. 즉, 도 1b에 도시된 감광성 절연층(30)의 각 섹션(31)은 하나의 기판모듈유닛을 형성하는 것이거나, 또는 다수의 기판모듈유닛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분할된 틈(30a)에 의해 감광성 절연층(30)의 각 섹션들(31)은 서로 이격되게 분리될 수 있다.1B, at this point, in one example, each section 31 of the photosensitive insulation layer 30 is sized to include one substrate module unit (not shown) or a plurality of substrate module units Can be divided. That is, each section 31 of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shown in Fig. 1B may form one substrate module unit, or may form a plurality of substrate module units. At this time, each of the sections 31 of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divided gap 30a.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른 예에서, 노광 및 현상하는 단계에서, 다수 섹션(31) 전부 또는 일부 섹션들(31)로 형성된 섹션 그룹은 하나의 대형 기판모듈유닛 크기로 형성되고, 다수 섹션 전부 또는 섹션 그룹의 소속 섹션들(31) 간에는 연결부위(도시되지 않음)가 남도록 소속 섹션들(31) 간에 영역 분할될 수 있다.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in another example, in exposing and developing steps, a section group formed of all or a part of the sections 31 may be formed in one large substrate module unit size, (31) so that a connecting portion (not shown) is left between the belonging sections (31) of the section group.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라, 감광성 절연층(30)을 적절한 소정 크기의 다수의 섹션(31)으로 분할하므로, 추후 경화 단계(도 3의 S400 참조)에서 경화 시 팽창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기판의 휨(warpage) 등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31 of an appropriate predetermined size, thereby relieving the expansion stress during curing in the subsequent curing step (see S400 in Fig. 3) Thereby minimizing the warpage of the substrate.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나의 예에서, 노광 및 현상하는 단계(S200, 1200)에서 섹션(31)별로 분할된 감광성 절연층(30) 표면을 조면처리할 수 있다. 조면처리는 감광성 절연층(30) 표면에 예컨대 금속 도금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감광성 절연층(30)의 표면 조도(roughness) 형성은 다양한 방법을 수행될 수 있고, 예컨대 노광량을 조절하거나, 현상액의 세기를 조절하거나, 플라즈마 표면 처리 등으로 수행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one example,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divided by the sections 31 in the exposure and development steps (S200, 1200) can be roughened. The roughening treatment is intended to provide, for example, metal plating on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smoothly. The formation of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can be performed by various methods and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by adjusting the exposure amount,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developer, or plasma surface treatment.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나의 예에 따르면, 빌드-업 적층 단계(S100)에서 코어기판체(10) 또는 기판 적층체의 양면에 감광성 절연층(30)이 빌드-업 적층된 경우, 노광 및 현상 단계(S200)에서, 양면 적층된 감광성 절연층(30)이 서로 대칭되게 각각 다수 섹션(31)으로 분할될 수 있다.
Further, although not shown, according to one example, when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is build-up stacked on both sides of the core substrate body 10 or the substrate stack in the build-up lamination step SlOO, In the developing step S200,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s 30 stacked on both sides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31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계속하여, 도 1c, 1d, 2 및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패터닝 단계(S300)에서는 노광 및 현상 단계(S200)에서 분할된 감광성 절연층 섹션들(31) 상에 패터닝이 수행된다. 이때, 패터닝은 감광성 절연층 섹션들(31)로 이루어진 감광성 절연층(30) 상에 회로패턴(51)을 형성하는 작업이다. 감광성 절연층 섹션들(31)로 이루어진 감광성 절연층(30) 상에서의 패터닝 공정은 도금 방식 또는 도전성 페이스트 도포 방식을 통해 감광성 절연층(30) 상에 도전체층(50)을 형성하고 회로패턴(51)을 형성할 수 있다. 도전성 페이스트의 도포는 예컨대 스크린 인쇄 등의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도전성 금속의 도금은 무전해 도금, 전해도금 등이 이용될 수 있다. 1C, 1D, 2 and 3, in the patterning step S300, patterning is performed on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sections 31 divided in the exposure and development step S200. At this time, the patterning is an operation of forming the circuit pattern 51 on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made of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sections 31. [ The patterning process on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made of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sections 31 is performed by forming the conductive layer 50 on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through the plating method or the conductive paste applying method, ) Can be formed. The conductive paste may be applied by, for example, screen printing. Electrolytic plating, electroplating and the like can be used for plating of the conductive metal.

도 1c에서 도면부호 31은 분할된 감광성 절연층 섹션을 나타내고, 감광성 절연층 섹션들(31) 상에 형성된 도면부호 50은 도전체층 또는 도금층을 나타내고 있다. 점선으로 표시된 도면부호 31a는 도전체층 또는 도금층(50)에 의해 가려진 부분으로서 감광성 절연층 섹션들(31) 상에 형성된 비아홀(31a) 내지 비아홀 내에 도전재료로 채워진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In FIG. 1C, reference numeral 31 denotes a divided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section, and reference numeral 50 formed on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sections 31 denotes a conductor layer or a plating layer. Reference numeral 31a denoted by a dotted line indicates a state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filled in the via hole 31a or the via hole formed on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sections 31 as a portion shielded by the conductor layer or the plating layer 50. [

예컨대, 감광성 절연층(30) 상에는 도금을 통해 회로패턴(5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감광성 절연수지층(30)의 표면에 도금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전에 조도가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ircuit pattern 51 may be formed on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by plating. At this time,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resin layer 30 may be preliminarily illuminated so that plating can be performed smoothly.

하나의 예를 살펴보면, 패터닝 단계(S300)에서는 감광성 절연층 섹션들(31) 상에 도금 공정, 또는 도금 및 에칭 공정을 통해 회로패턴(51)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금을 통한 회로패턴(51)의 형성은 에디티브(Additive) 공법, 예컨대 세미-에디티브(Semi-Additive) 공법 또는 풀-에디티브 공법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또는 도금 텐팅(tenting) 공법을 통해 도금층 상에 회로패턴(51)을 형성할 수 있다.In one example, in the patterning step S300, the circuit pattern 51 may be formed on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sections 31 through a plating process or a plating and etching process. For example, the circuit pattern 51 may be formed by plating using an additive method such as a semi-additive method or a full-edited method, or a plating tenting method The circuit pattern 51 can be formed on the plating layer.

도금 방식으로는 무전해 도금 또는/및 전해도금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금 재료로 도전성 금속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전재료 중 Cu를 사용하는 경우, 예컨대 표면조도가 형성된 감광성 절연층(30) 상에 무전해 동도금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무전해 동도금 후 도금층(50)과 감광성 절연층(30)과의 밀착력을 확보하고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서 건조시키고 건조가 끝난 기판을 전해 동도금을 수행하여 금속 도전체층(5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금속 도전체층(50), 예컨대 동도금층이 형성된 기판에 포토 레지스트(Photo Resist)를 도포하거나 회로패턴(51)이 형성된 포토 레지스트 필름(40)을 적층한다. 포토 레지스트(40) 적층 후, 빛, 예컨대 자외선으로 노광하여 원하는 회로패턴(51)을 형성하고 에칭, 예컨대 화학 에칭(Chemical etching)을 수행하여 회로패턴층(51)을 형성할 수 있다.
As the plating method, electroless plating and / or electrolytic plating may be performed. Further, a conductive metal may be used as the plating material. For example, when Cu is used as the conductive material, electroless copper plating can be performed on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on which the surface roughness is formed. In addition, after the electroless copper plating is performed, the metal conductor layer 50 can be formed by performing electrolytic copper plating on the substrate that has been dried and dried to secure adhesion between the plating layer 50 and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and to remove moisture have. Referring to FIG. 1C, a photoresist film is coated on a metal conductor layer 50, for example, a substrate on which a copper plating layer is formed, or a photoresist film 40 on which a circuit pattern 51 is formed. After the photoresist 40 is laminated, the circuit pattern layer 51 can be formed by forming a desired circuit pattern 51 by exposure with light, for example, ultraviolet light, and performing etching, for example, chemical etching.

또한, 하나의 예에 따르면, 도시되지 않았으나, 패터닝 단계(S300)에서는 감광성 절연층 섹션(31)별로 분할 노광하고 현상하여 회로패턴(51)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감광성 절연층 섹션(31)별 사이즈에 맞게 분할 노광할 수 있다. 또한, 각 섹션(31)별로 분할 노광 후 감광성 절연층 섹션들(31) 전체를 한번에 현상하여 각 섹션들(31) 상에 회로패턴(51)을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xample, although not shown, in the patterning step S300, the circuit pattern 51 may be formed by dividing and exposing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sections 31 according to the respective sections. For example, the photosensitive insulation layer section 31 may be divided and exposed in accordance with the size. In addition, the entirety of the photosensitive insulation layer sections 31 after the divided exposure for each section 31 can be developed at once to form the circuit pattern 51 on each of the sections 31.

도 1c를 참조하면, 다른 예에서, 패터닝 단계(S300)에서는 감광성 절연층 섹션들(31) 전체 영역에 대해 동시에 노광하고 현상하여 회로패턴(51)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c에서 감광성 절연층 섹션들(31) 전체 영역에 대해 예정 회로패턴(51) 형성된 포토 레지스트 필름(40)을 적층하는 것이 도시되고 있다.
Referring to FIG. 1C, in another pattern, in the patterning step S300, the entire area of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sections 31 may be exposed and developed at the same time to form the circuit pattern 51. 1C, a photoresist film 40 having a predetermined circuit pattern 51 formed on the entire region of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sections 31 is laminated.

또한, 도 3을 참조하여, 기판 제조 방법의 또 하나의 예를 살펴본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기판 제조 방법은 패터닝 단계(S300) 이후에 경화 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경화 단계(S400)에서는 패터닝된 감광성 절연층(30)이 적층된 기판을 경화시킨다.3, another example of the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will be described. Referring to FIG. 3, a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one example may further include a curing step (S400) after the patterning step (S300). At this time, in the curing step (S400), the substrate on which the patterned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is laminated is cured.

감광성 절연층(30)의 섹션 단위 분할, 또는 섹션 단위로의 분할과 감광성 절연층(30) 상에 비아홀(31a) 형성을 위한 노광 및 현상 공정(S200, S1200)을 수행하고 감광성 절연층(30) 상에 패턴 형성(S300) 후, 본 경화 단계(S400)에서 경화(curing)시킴으로써 경화 시 스트레스(stress)를 완하시켜 와피지(warpage)나 트위스트(twist)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섹션 분할 없이 패턴 형성 시 분할 노광에 따른 공정 및 비용 문제, 혹은 기판의 변형을 보상 노광하여 회로를 형성하는 LDI(Laser Direct Imaging)에 따른 공정 문제 등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is divided into sections or divided into sections and exposure and development steps S200 and S1200 are performed to form a via hole 31a on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and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The pattern is formed in step S300 and then cured in the final curing step S400 so that stress during curing can be relieved to minimize warpage and twis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rocess and cost problems due to the divisional exposure or the process problems due to LDI (Laser Direct Imaging) forming the circuit by compensating exposure of the substrate during pattern formation without conventional section divis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빌드-업 기판 제조시 적층 공정 중 발생되는 휨(warpage)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판 대구경화를 구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such as warpage which occurs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in the build-up substrate production, and thus the substrate hardening can be realiz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모습에 따른 빌드-업 기판 적층체를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때,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제조 방법 및 도 1a ~ 1c, 2 및 3이 참조될 것이고, 그에 따라 중복되는 설명들은 생략될 수 있다.Next, a build-up substrate lamin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At this tim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ubstrat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FIGS. 1A to 1C, 2 and 3 will be referred to,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for may be omitted.

도 1d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빌드-업 기판 적층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D is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a build-up substrate stac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d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빌드-업 기판 적층체는 코어기판체(10), 감광성 절연층(30) 및 회로패턴층(51)을 포함하고 있다.1D, a build-up substrate laminate according to one example includes a core substrate body 10, a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and a circuit pattern layer 51. The build-

먼저, 도 1a 및 1d를 참조하여 코어기판체(10)를 살펴본다. 도 1a를 참조하면, 코어기판체(10)는 코어층(11)과 코어층(11)의 양측 또는 일측에 형성된 회로패턴층(13)을 포함할 수 있다.
First, the core substrate body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and 1D. Referring to FIG. 1A, the core substrate 10 may include a core layer 11 and a circuit pattern layer 13 formed on both sides or one side of the core layer 11.

다음으로, 도 1b 및 1d를 참조하여 감광성 절연층(30)을 살펴본다. 도 1b 및 1d를 참조하면, 감광성 절연층(30)은 코어기판체(10) 상에 적층되고 소정 크기의 다수 섹션(31)으로 분할되어 있다. 도 1b에서 분할된 다수 섹션(31)으로 이루어지는 감광성 절연층(30)은 이미 노광 및 현상 과정을 통해 예컨대 광경화된 상태이므로, 동일부호가 사용되는 도 1a의 노광 전의 적층 단계의 감광성 절연층(30)과는 재질 특성이 다르다.
Next,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B and 1D. 1B and 1D,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is laminated on the core substrate 10 and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31 of a predetermined size. Since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composed of the plurality of sections 31 divided in FIG. 1B has already been photocured through the exposure and development processes,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in the stacking step before exposure shown in FIG. 30) have different material properties.

이때, 도 1b 및 1d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감광성 절연층(30)의 각 섹션(31)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아홀(31a) 또는 비아(51a)가 형성될 수 있다. 통상 비아홀(31a)은 도전재료가 채워지기 전의 상태를 의미하고, 비아(51a)는 비아홀(31a)에 도전재료가 채워진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명세서에서 비아홀(31a)과 비아(51a)가 혼용 사용되는 경우가 있으나, 전체 문맥에 맞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B and 1D, in one example, at least one via hole 31a or a via 51a may be formed on each section 31 of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In this case, Normally, the via hole 31a refers to a state before the conductive material is filled, and the via 51a may mean that the via hole 31a is fill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Howev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via hole 31a and the via 51a may be used in combination, but it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entire context.

또한, 도 1b 및 1d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감광성 절연층(30)의 각 섹션(31)은 하나의 기판모듈유닛 크기 또는 복수의 기판모듈유닛 크기로 분할되어 있다. 예컨대, 이때, 각 섹션(31)은 분할 틈(30a)에 의해 이격되게 분리될 수 있다.1B and 1D, in one example, each section 31 of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is divided into one substrate module unit size or a plurality of substrate module unit sizes. For example, at this time, each of the sections 31 can be separated apart by the split gap 30a.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른 하나의 예에서, 감광성 절연층(30)의 다수 섹션(31) 전부 또는 일부 섹션들(31)로 형성된 섹션 그룹은 하나의 대형 기판모듈유닛 크기일 수 있다. 이때, 다수 섹션 전부 또는 섹션 그룹의 소속 섹션들(31) 간에는 연결부위(도시되지 않음)가 남도록 소속 섹션들(31) 간에 영역 분할되어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another example, the section group formed by all or a part of the plurality of sections 31 of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0 may be one large substrate module unit size. At this time, the sections 31 are divided so as to leave a connecting portion (not shown) between the plural sections or the belonging sections 31 of the section group.

다음으로, 도 1d를 참조하면, 빌드-업 기판 적층체의 회로패턴층(51)은 분할된 감광성 절연층 섹션들(31) 상에 패터닝되어 있다.
Next, referring to Fig. 1D, the circuit pattern layer 51 of the build-up substrate laminate is patterned on the divided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sections 31. Fig.

이상에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또한, 전술한 구성들의 다양한 조합에 따른 실시예들이 앞선 구체적인 설명들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들을 포함하고 있다.
The foregoing embodiments and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various combinations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can also be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ccordingly,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Alternatives, and equival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10 : 코어기판체 11 : 코어층
13 : 회로패턴 또는 회로패턴층 30 : 감광성 절연층
31 : 감광성 절연층 섹션 31a : 비아홀
40 : 포토 레지스트 50 : 도전체층
51 : 회로패턴 또는 회로패턴층 51a : 비아
10: core substrate body 11: core layer
13: Circuit pattern or circuit pattern layer 30: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31: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section 31a: via hole
40: photoresist 50: conductor layer
51: Circuit pattern or circuit pattern layer 51a: Via

Claims (15)

감광성 절연층을 빌드-업 적층하는 단계;
상기 감광성 절연층이 소정 크기의 다수 섹션으로 분할되도록 노광 및 현상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된 상기 감광성 절연층 섹션들 상에 패터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판 제조 방법.
Build-up a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Exposing and developing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to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of a predetermined size; and
And performing patterning on the divided portions of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광 및 현상하는 단계에서 각 섹션은 하나의 기판모듈유닛 크기 또는 복수의 기판모듈유닛을 포함하는 크기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sections is divided into one substrate module unit size or a size including a plurality of substrate module units in the exposure and development step.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광 및 현상하는 단계에서, 상기 다수 섹션 전부 또는 일부 섹션들로 형성된 섹션 그룹은 하나의 대형 기판모듈유닛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 섹션 전부 또는 섹션 그룹의 소속 섹션들 간에는 연결부위가 남도록 상기 소속 섹션들 간에 영역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exposing and developing, a section group formed by all or a part of the plurality of sections is formed in one large-sized substrate module unit size, and the sections belonging to all or a plurality of sections Wherein the substrate is region-divided between the section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터닝을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감광성 절연층 섹션들 상에 도금 공정, 또는 도금 및 에칭 공정을 통해 회로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performing patterning comprises forming a circuit pattern on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sections through a plating process or a plating process and an etching proces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패터닝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회로패턴은 상기 감광성 절연층 섹션별로 분할 노광하고 현상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atterning is performed by dividing and exposing the circuit pattern by the sections of the photosensitive insulation layer, and developing the circuit patter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패터닝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회로패턴은 상기 감광성 절연층 섹션들 전체 영역에 한번에 노광 및 현상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ircuit pattern is formed by exposing and developing the entire area of the sections of the photosensitive insulation layer at a time of performing the patterning.
청구항 1 내지 6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노광 및 현상하는 단계에서 상기 다수 섹션으로 분할과 동시에 각 섹션 상에 비아홀 가공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via hole processing is performed on each of the sections while being divided into the plurality of sections in the exposure and development step.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노광 및 현상하는 단계에서 상기 섹션별로 분할된 상기 감광성 절연층 표면을 조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divided for each section is roughened during the exposure and development.
청구항 1 내지 6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패터닝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패터닝된 감광성 절연층이 적층된 기판을 경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fter the step of performing the patterning, curing the substrate on which the patterned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is laminated.
청구항 1 내지 6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빌드-업 적층하는 단계에서는 코어기판체 상에 또는 기 적층된 기판 적층체 상에 상기 감광성 절연층을 빌드-업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step of laminating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on the core substrate body or on the laminated substrate stack in the build-up lamination step comprises build-up lamination of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빌드-업 적층하는 단계에서 상기 감광성 절연층은 상기 코어기판체 또는 상기 기판 적층체의 양면에 빌드-업 적층되고,
상기 노광 및 현상하는 단계에서, 양면 적층된 상기 감광성 절연층이 서로 대칭되게 각각 상기 다수 섹션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is built-up on both sides of the core substrate body or the substrate laminate in the build-up lamination step,
Wherein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s stacked on both sides are divided into the plurality of sections each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in the exposure and development steps.
코어기판체;
상기 코어기판체 상에 적층되고 소정 크기의 다수 섹션으로 분할된 감광성 절연층; 및
상기 분할된 상기 감광성 절연층 섹션들 상에 패터닝된 회로패턴층;을 포함하는 빌드-업 기판 적층체.
Core substrate body;
A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laminated on the core substrate body and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of a predetermined size; And
And a patterned circuit pattern layer on the divided portions of the photosensitive insulation layer.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절연층의 각 섹션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아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드-업 기판 적층체.
The method of claim 12,
And at least one via hole is formed on each section of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청구항 12 또는 13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절연층의 각 섹션은 하나의 기판모듈유닛 크기 또는 복수의 기판모듈유닛 크기로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드-업 기판 적층체.
1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3,
Wherein each section of the photosensitive insulation layer is divided into one substrate module unit size or a plurality of substrate module unit sizes.
청구항 12 또는 13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절연층의 상기 다수 섹션 전부 또는 일부 섹션들로 형성된 섹션 그룹은 하나의 대형 기판모듈유닛 크기이고, 상기 다수 섹션 전부 또는 섹션 그룹의 소속 섹션들 간에는 연결부위가 남도록 상기 소속 섹션들 간에 영역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드-업 기판 적층체.
1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3,
Wherein a section group formed by all or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ections of the photosensitive insulating layer is one large substrate module unit size and a region division is performed between the belonging sections such that a connection site remains between all the sections Up substrate laminate.
KR1020130066522A 2013-06-11 2013-06-11 Substrate manufacture method and build-up substrate lamination structure KR1020598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522A KR102059823B1 (en) 2013-06-11 2013-06-11 Substrate manufacture method and build-up substrate lamination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522A KR102059823B1 (en) 2013-06-11 2013-06-11 Substrate manufacture method and build-up substrate lamination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494A true KR20140144494A (en) 2014-12-19
KR102059823B1 KR102059823B1 (en) 2019-12-27

Family

ID=52674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6522A KR102059823B1 (en) 2013-06-11 2013-06-11 Substrate manufacture method and build-up substrate lamination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82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066A (en) 2002-01-18 2003-07-28 산에이 기껜 가부시키가이샤 Partition exposure method
KR20040061258A (en) * 2002-12-30 2004-07-07 삼성전기주식회사 Build-up printed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60082496A (en) * 2005-01-12 2006-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Semiconductor device having reduced die-warp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066A (en) 2002-01-18 2003-07-28 산에이 기껜 가부시키가이샤 Partition exposure method
KR20040061258A (en) * 2002-12-30 2004-07-07 삼성전기주식회사 Build-up printed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60082496A (en) * 2005-01-12 2006-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Semiconductor device having reduced die-warp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9823B1 (en) 2019-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02383A1 (en) Method of fabricating high density printed circuit board
TWI577251B (en) Rigid-flex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00133767A (en) Printed circuit board for optical waveguid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00305286A1 (en) Method for Contacting and Rewiring an Electronic Component Embedded into a Printed Circuit Board
KR20100070051A (en) A carrier member for manufacturing a substrate and a fabricating method of substrate using the same
JP2008205331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ed wiring board and multilayered wiring board
KR20130022911A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printed circuit board
US20170079142A1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869049B1 (en) Semi-additive pcb manufacturing method with employing uv sensitive polyimide lamination
KR20140144494A (en) Substrate manufacture method and build-up substrate lamination structure
KR100843156B1 (en) Full-additive processing method for printed circuit board
CN211531434U (en) Step type circuit board
JPH09232760A (en) Multilayered printed-wiring board and manufacture thereof
KR101172175B1 (e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10110664A (en) Manufacturing method of double-sided printed circuit board
KR100276262B1 (en) A method of fabricating a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KR101519545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circuit board for car black box
JP2012168342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iring board
JP4961749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mounting substrate
KR100693481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printed circuit board
KR101981135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ircuit board
KR100704917B1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9124307A1 (en) Method for producing printed wiring board, and laminate
CN117177481A (en) Multilayer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6186178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rigi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