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4384A -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4384A
KR20140144384A KR1020130066122A KR20130066122A KR20140144384A KR 20140144384 A KR20140144384 A KR 20140144384A KR 1020130066122 A KR1020130066122 A KR 1020130066122A KR 20130066122 A KR20130066122 A KR 20130066122A KR 20140144384 A KR20140144384 A KR 20140144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unit
main
scaffold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6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7398B1 (ko
Inventor
박민흥
곽희만
한민수
김현동
김민호
Original Assignee
(주)진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합 filed Critical (주)진합
Priority to KR20130066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398B1/ko
Publication of KR20140144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61D23/02Folding steps for railway vehicles, e.g. hand or mechan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61D23/02Folding steps for railway vehicles, e.g. hand or mechanically actuated
    • B61D23/025Folding steps for railway vehicles, e.g. hand or mechanically actuated electrically or fluid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객의 승하차가 용이하도록 차량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에 있어서, 상면이 차량의 실내 바닥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장착되는 프레임 유닛; 상기 프레임 유닛으로부터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 유닛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발판 유닛; 및 상기 발판 유닛이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상기 발판 유닛을 가동 가능하게 구동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유닛은 내부에 상기 발판 유닛이 수용되는 본체부와, 상기 발판 유닛이 상기 본체부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발판 유닛의 양측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전면 양측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AUTOMATIC OPERATABLE FOOT STEP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인입시 단순 계단을 이용할 수 있고 인출시 차량 실내에서의 원활한 승하차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서, 프레임 유닛으로부터 인출되는 발판 유닛을 지지할 수 있도록 프레임 유닛의 측단에 돌출 지지부를 형성하고 발판 유닛이 인출된 상태에서 발판 유닛에 대한 지지력을 강화하여 더욱 안전한 구조를 갖도록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차량의 출입문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출입문을 통한 승객의 승하차를 위해 철도 차량이 정차하는 기차역에는 철도 차량의 출입문 높이에 대응되는 플랫폼이 설치되고, 승객들은 플랫폼으로부터 철도 차량의 출입문을 통해 철도 차량으로 탑승하거나 하차하고 있다.
이때, 각 기차역에 설치되는 플랫폼은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고상 플랫폼과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저상 플랫폼 2가지 종류로 설치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철도 차량에는 이러한 플랫폼의 종류에 따라 승객이 용이하게 승하차할 수 있도록 별도의 가동 발판 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즉, 철도 차량의 출입문이 형성된 실내에는 철도 차량의 실내 바닥면으로부터 플랫폼을 향해 내려갈 수 있는 계단이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출입문 계단은 저상 플랫폼의 높이와 상응하도록 설치되어 철도 차량이 저상 플랫폼의 기차역에 정차하는 경우, 승객이 출입문 계단을 통해 용이하게 플랫폼으로 하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철도 차량이 고상 플랫폼의 기차역에 정차하는 경우라면, 출입문 계단이 플랫폼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되므로, 승객의 용이한 승하차를 위해 철도 차량의 출입문 계단에는 별도의 가동 발판 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철도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는 승객의 승하차를 위해 철도 차량의 실내 바닥면과 플랫폼을 동일 높이로 연결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철도 차량이 고상 플랫폼에 정차하는 경우에만 철도 차량으로부터 인출되거나 전개되는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되는데, 종래 기술에 따른 철도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는 단순히 수작업에 의해 설치되는 구조이거나 또는 구조적인 강도가 약해 쉽게 파손되거나 고장나는 등 그 사용이 매우 불편하고 안전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이러한 가동 발판 장치는 철도 차량 이외에도 승합차나 버스 등의 차량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노약자나 장애인 등의 차량 승하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자동차 등의 차량에도 그 장착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일반 차량에 장착되는 가동 발판 장치는 차량 구조상 그 설치가 쉽지 않으며, 구조적인 강도가 약하거나 사용이 불편하고 안전하지 못하다는 등의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프레임 유닛으로부터 인출되는 발판 유닛을 지지할 수 있도록 프레임 유닛에 돌출 지지부를 형성함으로써, 발판 유닛이 인출된 상태에서 발판 유닛에 대한 지지력을 강화하여 더욱 안전한 구조를 갖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판 유닛이 프레임 유닛에 인입된 상태에서 지지되고, 발판 유닛이 인출되는 경우 경사 틸팅 동작을 실행하여 발판 간의 연속적인 경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메인 발판을 구비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판 유닛을 2개의 발판 모듈로 구성하고, 하나의 구동 유닛과 연결 지지 수단을 통해 2개의 발판 모듈을 순차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구성이 단순하고 동작 제어가 용이한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승객의 승하차가 용이하도록 차량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에 있어서, 상면이 차량의 실내 바닥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장착되는 프레임 유닛; 상기 프레임 유닛으로부터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 유닛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발판 유닛; 및 상기 발판 유닛이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상기 발판 유닛을 가동 가능하게 구동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유닛은 내부에 상기 발판 유닛이 수용되는 본체부와, 상기 발판 유닛이 상기 본체부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발판 유닛의 양측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전면 양측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유닛은 상면에 메인 발판을 구비하되, 상기 메인 발판은 상기 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발판을 상기 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메인 발판 힌지부와, 상기 메인 발판 힌지부를 가로질러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메인 발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발판과 상기 본체부 사이의 간극으로 이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메인 발판 실링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판 유닛에는 메인 발판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 발판 가이드부는, 상기 발판 유닛이 상기 프레임 유닛에 인입된 경우 상기 메인 발판을 지지하고, 상기 발판 유닛이 상기 프레임 유닛으로부터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인출되는 경우 상기 메인 발판이 틸팅 가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발판 가이드부는, 상기 발판 유닛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 발판의 하면과 접촉 가능한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는: 상기 발판 유닛이 상기 프레임 유닛에 인입된 경우 상기 메인 발판을 지지하는 가이드 바디 유지부와, 상기 가이드 바디 유지부의 후단에 배치되고 상기 발판 유닛의 인입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높이가 낮아져, 상기 발판 유닛이 상기 프레임 유닛으로부터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인출되는 경우 상기 메인 발판을 틸팅 가동시키는 가이드 바디 경사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디 경사부와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 바디 유지부가 배치되도록 상기 가이드 바디 유지부에 연결되어 배치되는 가이드 바디 선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론트 유닛의 선단 측에 회동 가능한 프론트 커버를 구비하는 프론트 커버 유닛이 배치되고, 상기 발판 유닛이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인출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 바디 선단부는 프론트 커버 유닛과 접촉하여 상기 프론트 커버 유닛을 가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의 일면 상에는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 접촉 강화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발판 가이드부는, 일측은 상기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와, 다른 일측은 상기 발판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를 지지하는 메인 발판 가이드 보강 리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발판의 하면으로 상기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를 수용 안내 가능한 메인 발판 가이드 그루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발판의 단부에는, 상기 발판 유닛이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인출되는 경우 상기 메인 발판과 상기 발판 유닛의 단차를 경감시켜 상기 메인 발판과 상기 발판 유닛의 연속 경사 배치를 이루도록 하는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발판 유닛이 인출되는 경우 상기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부의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부의 대응 형상으로 상기 발판 유닛에 형성되는 발판 대응 접촉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부는: 상기 메인 발판의 선단에 배치되는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 선단부와, 상기 메인 발판의 후단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 선단부보다 더 큰 두께를 갖는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 후단부와, 상기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 선단부 및 상기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 후단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판 유닛이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인출되는 경우, 상기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 선단부 및 상기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 경사부는 상기 발판 유닛과 접촉 가능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판 유닛은 제 1 발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발판 모듈은, 상기 프레임 유닛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포트 프레임; 및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 유닛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제 1 발판; 및 일단이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발판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발판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발판 틸팅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판 틸팅부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장착되는 제 1 발판 틸팅 샤프트 블록과, 상기 제 1 발판 틸팅 샤프트 블록에 연결되어 길이 방향으로 회전축으로 형성하는 샤프트 바디 및 상기 샤프트 바디와 연결되고어 상기 제 1 발판과 체결되는 샤프트 플랜지를 포함하는 제 1 발판 틸팅 샤프트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판 모듈은, 상기 제 1 발판의 상기 프레임 유닛으로의 인입 내지 인출을 검출하는 제 1 발판 감지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판 감지부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서포트 프레임과 함께 가동되는 제 1 발판 감지 액츄에이터와, 상기 제 1 발판이 상기 프레임 유닛에 인입된 경우 상기 제 1 발판 감지 액츄에이터의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프레임 유닛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발판 감지 액츄에이터의 위치 변화에 의하여 가동되는 제 1 발판 감지 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판 모듈은 제 2 발판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일면 상에는 상기 제 2 발판 모듈의 직선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이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판 모듈은 제 2 발판을 구비하는 제 2 발판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발판의 단부에는, 상기 제 2 발판이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인출되는 경우 상기 제 1 발판과 상기 제 2 발판의 단차를 경감시켜 상기 제 1 발판과 상기 제 2 발판의 연속 경사 배치를 이루도록 하는 제 1 발판 연속 경사 접촉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 2 발판에는, 상기 제 2 발판이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인출되는 경우 상기 제 1 발판 연속 경사 접촉부를 수용하는 제 2 발판 대응 접촉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판 모듈은 제 2 발판을 구비하는 제 2 발판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전단에는 상기 제 2 발판 모듈의 인출 과정에서 상기 제 2 발판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 롤러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판 모듈은 제 2 발판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발판 모듈은, 상기 제 1 발판 모듈의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구동 유닛에 의해 직선 이동하도록 구동되는 캐리어 바디; 및 상기 캐리어 바디와 이격 배치되고 상기 캐리어 바디에 대하여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발판 모듈로부터 외부로 인축 가능한 제 2 발판; 일단이 상기 캐리어 바디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발판과 연결되고 상기 수평 회전축을 형성하여 상기 제 2 발판이 상기 캐리어 바디에 대하여 상대 회동 운동 가능하게 하는 제 2 발판 틸팅 유닛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발판 틸팅 유닛은: 일단이 상기 제 2 발판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캐리어 바디 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제 2 발판 힌지 바디와, 상기 캐리어 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제 2 발판 힌지 바디의 타단과 상대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발판 힌지 바디 홀더와, 상기 제 2 발판 힌지 바디 및 상기 제 2 발판 힌지 바디 더를 연결하는 회전축 상에 배치되는 제 2 발판 힌지 바디 연결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발판 유닛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리드 스크류; 상기 리드 스크류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 및 상기 리드 스크류에 결합되어 상기 리드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리드 스크류를 따라 직선 이동하는 이동 블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발판 유닛은 상기 이동 블록 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 블록 모듈과 함께 직선 이동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블록 모듈은: 상기 리드 스크류에 결합되어 직선 이동하는 이동 블록; 및 상기 리드 스크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이동 블록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발판 유닛과 결합되는 연결 가이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판 유닛은: 상기 프레임 유닛의 본체부에 수용되어 상기 돌출 지지부 끝단까지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유닛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발판 모듈; 및 상기 제 1 발판 모듈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발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제 2 발판 모듈과 결합되어 상기 제 2 발판 모듈을 직선 이동시키고, 상기 제 1 발판 모듈은 별도의 연결 지지 수단에 의해 상기 제 2 발판 모듈과 함께 상기 돌출 지지부 끝단까지 인출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발판 모듈에는 일측에 걸림핀이 장착되고, 상기 연결 지지 수단은: 상기 제 1 발판 모듈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발판 모듈이 상기 제 2 발판 모듈과 함께 인출되도록 상기 걸림핀과 맞물림되는 후크 링크; 및 상기 후크 링크와 일체로 회동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 1 발판 모듈이 상기 돌출 지지부 끝단까지 인출됨에 따라 별도의 가압 블록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후크 링크가 상기 걸림핀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도록 회동하는 후크 작동 링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 지지 수단은: 상기 제 1 발판 모듈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별도의 래칫 기어에 맞물림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팔로어 링크; 및 상기 팔로어 링크와 일체로 회동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 2 발판 모듈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팔로어 작동 링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팔로어 링크는 상기 제 2 발판 모듈이 상기 제 1 발판 모듈로부터 외부로 인출 내지 인입됨에 따라 상기 팔로어 작동 링크와 함께 회동하여 상기 래칫 기어에 맞물림 내지 해제되고, 상기 제 1 발판 모듈은 상기 팔로어 링크가 상기 래칫 기어에 맞물림됨에 따라 위치 고정 내지 해제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그리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 유닛에 각각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발판 댐퍼 홀딩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프레임 유닛으로부터 인출되는 발판 유닛을 지지할 수 있도록 프레임 유닛에 돌출 지지부를 형성함으로써, 발판 유닛이 인출된 상태에서 발판 유닛에 대한 지지력을 강화하여 더욱 안전한 구조를 갖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판 유닛이 프레임 유닛에 인입된 상태에서 지지되고, 발판 유닛이 인출되는 경우 경사 틸팅 동작을 실행하여 발판 간의 연속적인 경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메인 발판을 구비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판 유닛을 2개의 발판 모듈로 구성하고, 하나의 구동 유닛과 연결 지지 수단을 통해 2개의 발판 모듈을 순차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구성이 단순하고 동작 제어가 용이한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설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제 1 발판이 인출되고, 메인 발판이 경사 배치되는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제 2 발판이 인출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내부 구성요소를 도시하도록 상부 케이스가 제거된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동,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메인 발판의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부의 개략적인 부분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메인 발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발판 유닛의 제 1 발판 모듈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제 1 발판의 개략적인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제 1 발판 모듈의 개략적인 평면도 및 저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다른 시점에서의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메인 발판 가이드부의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 및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제 1 발판 모듈의 후방 시점에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제 1 발판 모듈의 서포트 프레임이 제거된 상태에서 일부 구성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제 2 발판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도면 부호 A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제 1 발판 연속 경사 접촉부 및 제 2 발판 대응 접촉부의 개략적인 모식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제 2 발판 모듈의 저면 시점에서의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제 2 발판 모듈의 가이드 바디 및 지지 롤러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제 2 발판 모듈의 제 2 발판 감지부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광출력부의 개략적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구동 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구동 유닛의 구동 유닛 프레임 및 가이드 프레임이 제거된 상태에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7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발판 유닛과 연결 지지 수단에 대한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3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프론트 커버 유닛의 차량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프론트 커버 유닛의 프론트 커버 사이드 차폐부의 일 유형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프론트 커버 유닛의 후면 시점에서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설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구성의 일부 구성을 배제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는 승객의 승하차가 용이하도록 차량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것으로, 자동차와 같은 일반 차량 또는 철도 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 차량(P)의 실내 바닥면(P1)과 플랫폼(Q)을 연결하여 승객의 승하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철도 차량의 출입구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일반 차량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차량의 실내 바닥면과 보도 블록 또는 지면을 연결하는 형태로 작동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철도 차량에 적용되는 형태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는 프레임 유닛(10)과, 발판 유닛(20)과, 구동 유닛(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 유닛(10)은 상면이 철도 차량(P)의 실내 바닥면(P1)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장착된다. 여기서 차량의 실내 바닥면과의 동일 평면은 실질적인 동일 평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다소 간의 수치 상의 차이가 있더라도 프레임 유닛(10)의 상면이 차량의 실내 바닥면과 실질적인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고 볼 수 있다.
내부에 발판 유닛(20)이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는 본체부(101)와, 발판 유닛(20)이 본체부(101)로부터 인출될 때 발판 유닛(20)의 양측단부를 지지하도록 본체부(101)의 전면 양측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 지지부(10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는 프레임 유닛을 영역 별로 기술한 것으로서 본체부는 발판 유닛(20)이 수용되는 공간을 포함하고, 돌출 지지부는 본체부(101)의 전면 양측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영역으로, 발판 유닛(20)이 인출되는 경우 인출되는 발판 유닛(20)을 지지하는 영역을 나타내며, 본체부 및 돌출 지지부는 각각 상부 하부로 구획될 수도 있는 등 구성요소로서의 전체적인 프레임 유닛(10)은 하부 케이스(110) 및 상부 케이스(120)를 구비하는 구성을 취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부(101)는 본체 메인부(101a)와 본체 연결부(101b)를 포함하는데, 본체 메인부(101a)의 일면은 차량의 실내 바닥면(P1)과 연결 배치될 수 있고, 본체 연결부(101b)는 일단에서 본체 메인부(101b)와 연결되고 다른 단부에서 돌출 지지부(102)와 연결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 연결부(101b)는 하기되는 메인 발판(103)과 연결되는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 차량(P)의 출입구에는 철도 차량(P)의 실내 바닥면(P1)으로부터 플랫폼(Q) 방향으로 내려가는 계단(P2)이 설치되는데, 프레임 유닛(10)의 본체부(101)는 철도 차량(P)의 실내 바닥면(P1)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계단(P2)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돌출 지지부(102)는 계단(P2)의 연직 상부에 위치하도록 본체부(101)와 동일 평면을 이루며 형성된다.
이러한 프레임 유닛(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부 케이스(120)와 하부 케이스(110)가 상호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하부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발판 유닛(20)이 직선 이동하며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가이드 레일(111)이 장착됨으로써 하기되는 발판 유닛(20)의 수용 내지 인출을 가능하게 한다.
가이드 레일(111)의 상부에는 가이드 레일(111)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한 가이드 레일 블록(112)이 배치되고, 가이드 레일 블록(112) 상에 하기되는 발판 유닛(20)의 제 1 발판 모듈(200)이 고정 배치된다. 가이드 레일 블록(112)과 제 1 발판 모듈(200)은 직결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진동 내지 충격 등의 감쇠 등을 위한 완충 부재(114, 도 32 참조)를 더 구비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즉, 가이드 레일 블록(112)의 일면 상에는 체결 블록(113)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체결 블록(113)의 일면 상에는 완충 부재(114)가 배치될 수 있다. 완충 부재(114)는 완충 부재 브라킷(114a)와 완충 부재 코어(114b)와 완충 부재 완충부(114b)를 포함할 수 있는데, 완충 부재 브라킷(114a)은 체결 블록(113)과 연결되고, 완충 부재 코어(114b)는 하기되는 서포트 프레임(210)의 하부 서포트 프레임(211)과 연결되는 상부 서포트 프레임(212)와 연결된다. 완충 코어 브라킷(114a)과 완충 부재 코어(114b)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완충 부재 완충부(114b)를 통하여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여 제 1 발판 모듈(200)에 인가되는 하중 내지 충격 등이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완충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프레임 유닛(10)은 메인 발판(103)을 포함한다. 메인 발판(103)은 본체부(103),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케이스(120)의 본체부(103)를 이루는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메인 발판(103)은 평상시에는 본체부(103)와 평행하게, 즉 차량 실내 바닥면(P1)과 같은 평면 상에 배치되는 구조를 형성하고, 발판 유닛(20)이 가동되어 제 1 발판 모듈(200)이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인출되는 경우 함께 가동하여 소정의 틸팅 동작을 구현한다.
발판 유닛(20)은 프레임 유닛(10)의 본체부(101)로부터 플랫폼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프레임 유닛(10)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발판 유닛(20)은 프레임 유닛(10)의 본체부(101)로부터 돌출 지지부(102) 끝단까지 인출되는 제 1 발판 모듈(200)과, 제 1 발판 모듈(200)로부터 플랫폼을 향해 차량 외부로 인출되는 제 2 발판 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판 유닛(20)의 제 1 발판 모듈 및 제 2 발판 모듈과, 프레임 유닛(10)의 메인 발판(103)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발판 모듈(200)과 제 2 발판 모듈(300)이 순차적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 1 발판 모듈(200)이 인출되는 경우 메인 발판(103)도 함께 틸팅 가동될 수 있다. 즉,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발판 유닛(20)이 인출되는 경우 프레임 유닛(10)에 장착되는 메인 발판(103)의 메인 발판 가이드부(270)를 통한 지지점의 위치 변화로 인하여 소정의 틸팅 동작을 이룰 수 있다.
한편, 발판 유닛(20)은 이와 같이 제 1 발판 모듈(200) 및 제 2 발판 모듈(300)을 갖는 다단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단순히 하나의 발판 모듈이 프레임 유닛(10)으로부터 인출 및 인입되는 단순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발판 유닛(20)이 제 1 발판 모듈(100) 및 제 2 발판 모듈(200)을 구비하는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구동 유닛(40)은 이러한 발판 유닛(20)이 플랫폼을 향해 인출되거나 또는 프레임 유닛(10) 내부로 인입되도록 발판 유닛(20)을 직선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동 유닛(40)은 발판 유닛(20)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리드 스크류(410)와, 리드 스크류(410)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420)와, 리드 스크류(410)에 결합되어 리드 스크류(410)의 회전에 의해 리드 스크류(410)를 따라 직선 이동하는 이동 블록 모듈(4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발판 유닛(20)은 이동 블록 모듈(430)에 결합되어 이동 블록 모듈(430)과 함께 일체로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리드 스크류(410)는 별도의 가이드 프레임(4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리드 스크류(410)를 따라 직선 이동하는 이동 블록 모듈(430)은 가이드 프레임(411)에 의해 가이드되며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리드 스크류(410)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420)에는 구동 모터(420)의 작동 상태를 정지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 유닛(421)이 결합될 수 있으며, 별도의 감속기(422)를 통해 리드 스크류(410)에 회전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구동 모터(420)가 리드 스크류(410)를 회전 구동하면, 리드 스크류(410)에 결합된 이동 블록 모듈(430)이 직선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이동 블록 모듈(430)에 결합된 발판 유닛(20)이 이동 블록 모듈(430)과 함께 직선 이동하며 프레임 유닛(10)으로부터 인출되거나 인입된다.
이동 블록 모듈(430)은 단순 블록 형태로 리드 스크류(410)의 회전량에 따라 정확하게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구동 모터(420)에 의한 리드 스크류(410)의 회전량에 따라 이동 블록 모듈(430)이 정확하게 이동하고, 이를 통해 발판 유닛(20)의 직선 이동 상태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에서는 브레이크 유닛(421)을 통해 구동 모터(420)의 작동 상태를 정지시킴으로써, 리드 스크류(410)에 결합된 이동 블록 모듈(43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고정 장치 없이도 발판 유닛(20)의 고정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즉, 구동 모터(420)의 작동을 통해 발판 유닛(20)이 인출된 상태에서 브레이크 유닛(421)을 통해 구동 모터(420)의 회전 작동이 정지되면, 리드 스크류(410)의 회전이 구속되므로, 발판 유닛(20)이 인출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되고, 마찬가지로 구동 모터(420)의 작동을 통해 발판 유닛(20)이 인입된 상태에서 브레이크 유닛(421)을 통해 구동 모터(420)의 회전 작동이 정지되면, 리드 스크류(410)의 회전이 구속되므로, 발판 유닛(20)이 인입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동 발판 장치는 별도의 고정 장치 없이도 발판 유닛(2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와 달리 발판 유닛(20)에 대한 좀 더 안정적인 고정 상태 유지를 위해 별도의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발판 유닛(20)이 제 1 발판 모듈(200)과 제 2 발판 모듈(300)의 다단 구조로 구성된 경우, 구동 유닛(40)은 발판 유닛(20)의 제 2 발판 모듈(300)과 결합되어 제 2 발판 모듈(300)을 직선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 1 발판 모듈(200)은 제 2 발판 모듈(300)의 이동시 제 1 발판 모듈(200)과 연동하여 프레임 유닛(10)의 돌출 지지부(102) 끝단까지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상태에서는 발판 유닛(20)이 프레임 유닛(10)의 본체부(101)에 수용되는 형태로 유지되고, 이에 따라 철도 차량(P)의 출입구 계단(P2)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이 상태에서 승객은 철도 차량(P)의 실내 바닥면(P1)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본체부(101) 상면으로부터 출입구 계단(P2)을 따라 승하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승객이 출입구 계단(P2)을 따라 승하차 하는 경우는 플랫폼이 저상 플랫폼인 경우에 해당될 것이다.
만약, 플랫폼이 고상 플랫폼인 경우라면, 철도 차량의 출입구 계단(P2) 높이가 플랫폼의 높이와 차이가 있으므로, 이를 보상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동 발판 장치가 작동하는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유닛(10)의 본체부(101)에 수용된 발판 유닛(20)이 플랫폼(Q)을 향해 인출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와 같이 발판 유닛(20)이 인출됨에 따라 철도 차량(P)의 실내 바닥면(P1)으로부터 플랫폼(Q)이 대략 동일한 높이로 서로 연결되므로 승객이 발판 유닛(20)을 따라 용이하게 승하차할 수 있다.
이때, 발판 유닛(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발판 모듈(200)이 먼저 돌출 지지부(102)의 끝단까지 인출되며, 이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발판 모듈(300)이 플랫폼(Q)을 향해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 1 발판 모듈(200)이 인출되는 경우 메인 발판(103)의 수평 상태를 형성하도록 하는 메인 발판 가이드부(270)도 제 1 발판 모듈(200)과 함께 인출됨으로써 메인 발판 가이드부(270)에서의 메인 발판(103)을 지지하는 지지점이 메인 발판 가이드부(270)의 프로파일 형상을 따라 변화되어 메인 발판(103)의 지지점 높이가 변화하고 이로 인하여 메인 발판(103)도 함께 틸팅 동작을 이룬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1 발판 모듈(200) 및/또는 제 2 발판 모듈(300)은 회동 지지 구조를 이룸으로써 프레임 유닛(10)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자중에 의해 회동하며, 경우에 따라 제 2 발판 모듈(300)은 인출 과정에서 소정의 프로파일을 갖는 구성을 통하여 인출시 소정의 상하향 리프트 회동을 이룸으로써 외측 끝단이 플랫폼(Q) 상면에 안착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는 철도 차량의 출입구 계단(P2) 높이가 플랫폼(Q)의 높이와 다를 경우, 프레임 유닛(10)으로부터 발판 유닛(20)이 플랫폼(Q)을 향해 인출됨으로써, 승객의 승하차 과정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작동한다. 이때, 프레임 유닛(10)은 돌출 지지부(102)가 형성되어 본체부(101)로부터 인출되는 발판 유닛(20)의 양측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더욱 안정적인 구조를 이루고, 이에 따라 파손이나 손상이 적어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승객의 승하차 과정을 더욱 안전하게 보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는 프레임 유닛(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별도의 안전 차단바(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안전 차단바는 발판 유닛(20)의 인출 상태에 따라 차량 출입구에 대한 승객의 진입을 차단 또는 차단 해제하도록 작동하는데, 별도의 케이스(미도시)에 힌지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회전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발판 유닛(20)이 인출되는 경우, 인출 동작이 완료된 이후 안전 차단바가 차단 해제되도록 동작 제어될 수 있고, 발판 유닛(20)이 인입되는 경우에는 인입 동작이 시작되기 이전 안전 차단바가 차단 작동하도록 동작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을 통해 발판 유닛(20)이 직선 이동하는 과정에서 승객의 출입을 차단할 수 있어 승객의 차량 출입시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의 메인 발판은 후단부가 본체 연결부(101b)에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메인 발판(103)의 후단부의 연결은 메인 발판 힌지부(105)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메인 발판 힌지부(105)는 하나 이상 내지 복수 개가 구비되어 메인 발판(103)의 안정적인 틸팅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메인 발판(103)은 메인 발판 실링부(107)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메인 발판 실링부(107)를 통하여 메인 발판(103)과 본체 연결부(101b)와의 간극을 통한 이물의 유입 내지 액체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메인 발판 실링부(107)는 소정의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메인 발판(103)의 틸팅 가동시에도 본체 발판부(101b)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메인 발판(103)이 원위치 복귀되는 경우 안정적인 원래 형상을 유지하여 형상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메인 발판 힌지부(105)는 일면 상에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된 소정의 홈을 구비할 수 있는데, 소정의 홈에 메인 발판 실링부(107)의 적어도 일부가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메인 발판 실링부(107)를 장착한 경우에도 메인 발판 실링부(107)가 돌출되어 탑승객의 보행 시 걸림 등으로 인한 안전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메인 발판 힌지부(105)에 의하여 후단이 힌지 틸팅 운동 가능하도록 연결 배치되는 메인 발판(103)의 평상시 평면 상태 유지는 메인 발판 가이드부(270)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즉, 메인 발판 가이드부(270)는 발판 유닛(20)의 제 1 발판 모듈(200)에 장착되어 제 1 발판(220)과 함께 가동되고, 메인 발판 가이드부(270)는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발판 모듈(200) 서포트 프레임(210)의 하부 서포트 프레임(211)에 위치 고정되어 장착된다. 제 1 발판(220)이 프레임 유닛(10)에 인입된 경우,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발판(220)이 장착된 하부 서포트 프레임(211)이 프레임 유닛(10)의 내부로 인입된 경우, 메인 발판 가이드부(270)는 하부 서포트 프레임(211)과 함께 프레임 유닛(10)의 내부로 수용되어 메인 발판(103)의 평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제 1 발판(220)이 프레임 유닛(10)으로부터 차량 외측 방향으로 인출된 경우 함께 인출되고 메인 발판 가이드부(270)의 소정의 구조에 의하여 메인 발판(103)도 메인 발판 가이드부(270)도 하부 서포트 프레임(211)과 함께 가동되어 위치 이동을 이루고 이에 메인 발판 가이드부(270)의 위치 변화에 따라 메인 발판(103)의 지지되는 선단부의 지지점의 높이가 위치 변화함으로써 메인 발판 힌지부(105)의 회전 틸팅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틸팅 동작을 이루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인 발판 가이드부(270)는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271)를 포함하는데, 경우에 따라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 서포트 블록(273, 도 8 참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 서포트 블록(273)의 일측은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271)와, 그리고 다른 일측은 발판 유닛(20),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발판 모듈(200)의 하부 서포트 프레임(211)에 연결되어 메인 발판 가이드(271)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 서포트 블록은 단순한 로드 타입으로 도시되었으나,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의 측면에 형성되어 일체로 구성되는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 리브 타입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리브가 더 구비되어 메인 발판(103)에 의하여 전달되는 수직 하중에 대한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의 강성을 증강시키고 좌굴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도 8 등에서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271)는 좌측에만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 도시된 것이다. 본 발명의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는 경우에 따라 단수 개가 구비되는 구조를 이룰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271)는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메인 발판(103)의 양측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271)의 측부에는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 서포트 블록(273)이 배치될 수 있는데,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 서포트 블록(273)은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271)의 측면을 지지하는 구조를 이룬다.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271)는 가이드 바디 유지부(271a, 도 13 참조)와 가이드 바디 경사부(271b)를 구비한다. 가이드 바디 유지부(271a)는 발팔 유닛(20)의 제 1 발판 모듈(200)이 프레임 유닛(10)에 인입된 경우 메인 발판(103)의 하단면과 접촉하여 메인 발판(103)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가이드 바디 유지부(271a)가 메인 발판(103)에 접촉하는 하단면은 메인 발판(103)의 선단부로 메인 발판 힌지부(105)가 배치되는 영역의 반대편 단부이다.
가이드 바디 유지부(271a)의 후단부에는 가이드 바디 경사부(271b)가 형성되는데, 가이드 바디 경사부(271b)는 발판 유닛(20)의 프레임 유닛(10)의 인입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높이가 높아져, 발판 유닛(20)이 프레임 유닛(10)으로부터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인출되는 경우 메인 발판(103)을 틸팅 가동시킨다. 즉, 가이드 바디 경사부(271b)는 가이드 바디 유지부(271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후단부를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프로파일을 구비함으로써, 발판 유닛(20)의 제 1 발판 모듈(200)이 프레임 유닛(10)에 인입된 경우 메인 발판(103)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발판 유닛(20)의 제 1 발판 유닛(200)이 인출되는 경우 메인 발판(103)의 하단면은 후단부를 향할수록 높이가 점점 낮아지는 가이드 바디 경사부(271b)와 접촉 상태를 이룸으로써 메인 발판(103)의 선단부 지지 높이가 점점 연속적으로 낮아져 메인 발판(103)의 틸팅 동작이 이루어진다.
또한,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271)의 선단부에는 가이드 바디 선단부(271c)가 형성될 수 있는데, 가이드 바디 선단부(271c)는 유선형의 단부로 형성되어 발판 유닛(20)의 제 1 발판 모듈(200)이 프레임 유닛(10)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하기되는 프론트 커버 유닛(600)의 프론트 커버(610)를 가동시키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가이드 바디 선다부(271c)는 유선형의 원만한 곡선 구조를 이루어 하기되는 프론트 커벗 유닛(600)의 프론트 커버(610)의 배면 측과의 접촉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271)의 일면 상에는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 접촉 강화부(272, 도 14 참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 접촉 강화부(272)는 테프론 등의 내마모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는데,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 접촉 강화부(272)는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271)에 접착될 수도 있고, 인서트 사출과 같은 별도의 공정을 통하여 부착되는 구조를 이룰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메인 발판(103)과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271)는 안정적인 상대 운동을 이루도록 하는 부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발판(103)의 하면으로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271)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271)를 수용 안내 가능한 메인 발판 가이드 그루브(109)가 형성된다. 메인 발판 가이드 그루브(109)는 요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메인 발판(103)과의 안정적인 상대 미끄럼 운동 내지 지지 위치 유지를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인 발판(103)에는 발판 유닛(20)과의 경사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전개시 단차를 최소화시키는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 메인 발판(103)의 단부에는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부(104)가 형성될 수 있는데,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부(104) 는 발판 유닛이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인출되는 경우 메인 발판과 발판 유닛(20)의 단차를 경감시켜 메인 발판(103)과 발판 유닛(20)의 연속 경사 배치 구조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즉,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부(104)는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 선단부(104a)와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 후단부(104c)와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 경사부(104b, 도 6 참조)를 포함한다. 메인 발판(103)을 인출되는 방향을 포함하는 측면에서 볼 때,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 선단부(104a)는 메인 발판(104)의 선단에 배치된다.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 후단부(104c)는 메인 발판(103)의 후단에 배치되고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 선단부(104a)보다 더 큰 두께를 갖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 선단부(104a)의 두께(경우에 따라 해당 영역의 전체 두께를 길이 별로 평균화한 두께인 유효 두께일 수도 있음)를 도면 부호 tm2라 하고,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 후단부(104c)의 두께를 도면 부호 tm1이라 할 때, tm1>>tm2의 관계가 형성된다.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 경사부(104b)는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 선단부(104a) 및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 후단부(104c)의 사이에 배치되어 양자를 연결하는 경사면을 형성한다.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 경사부(104b)는 양자의 두께 차이를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부에 대응하도록 발판 모듈, 특히 제 1 발판 모듈에 형성되는 제 1 발판 연속 경사 대응 접촉부(2211, 도 17 참조)와의 원활한 접촉 내지 불필요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발판 연속 경사 대응 접촉부(2211)는 제 1 발판 연속 경사 접촉 안착부(2211a)와 제 1 발판 연속 경사 접촉 경사부(2211b)를 포함하는데, 제 1 발판 연속 경사 접촉 안착부(2211a)는 제 1 발판 모듈(200)이 인출되는 경우 제 1 발판 연속 경사 접촉 안착부(2211a)는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 선단부(104a)에 대응 배치되고, 제 1 발판 연속 경사 접촉 경사부(2211b)는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 경사부(104b)에 대응 배치된다. 이들은 경우에 따라 접촉 상태를 형성할 수도 있는데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하여 맞물림 접촉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겹쳐져 배치되는 메인 발판과 제 1 발판 간의 불필요한 단차를 최소화시켜 차량 가동 발판 장치를 통한 탑승객의 차량 내 탑승을 보다 수월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차 최소화를 이루고 경사의 연속성을 갖도록 하는 구조를 통하여 대부분의 하중이 인가되는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 후단부(104c)의 두께를 강화하여 지속 하중 내지 불연속적인 충격에 대하여도 충분한 내성을 가지도록 하고, 발판 유닛(20), 특히 제 1 발판 모듈(200)과 함께 배치되는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 선단부(104a)의 경우 두께를 감소 내지 연속적으로 감소시켜 원활한 접촉 내지 간섭을 방지함으로써, 메인 발판(103) 및 발판 유닛(20)로 이어지는 발판의 배치 구조에 있어 경사 배치의 연속성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단차 발생을 제거 내지 최소화하여 탑승객의 보다 원활한 탑승 및 장애우 등의 휠체어의 이동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메인 발판과 제 1 발판 유닛의 연속 경사 구조 및 단차 최소화 구조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발판 유닛이 복수 개의 발판 모듈을 구비하는 경우 제 1 발판과 제 2 발판 간의 단차의 최소화 및 경사 연속성 확보를 위한 구조를 더 구비할 수도 있고, 이에 대한 구조는 하기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판 유닛(20)은 단순히 하나의 발판 모듈이 프레임 유닛(10)으로부터 인출 및 인입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 유닛(10)의 본체부(101)에 수용되어 돌출 지지부(102) 끝단까지 인출될 수 있도록 프레임 유닛(10)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발판 모듈(200)과, 제 1 발판 모듈(200)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제 1 발판 모듈(200)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발판 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는 이를 중심으로 기술된다.
이와 같이 발판 유닛이 제 1 발판 모듈 및 제 2 발판 모듈을 구비하는 경우, 구동 유닛(40)은 제 2 발판 모듈(300)과 결합되어 제 2 발판 모듈(300)을 직선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제 1 발판 모듈(200)은 별도의 연결 지지 수단(260)에 의해 제 2 발판 모듈(300)과 함께 돌출 지지부(102) 끝단까지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단일의 구동 모터를 통하여 두 개의 발판 모듈을, 확장적으로 프레임 유닛의 메인 발판까지 총 3개의 발판을 시간차를 두고 가동시키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제 2 발판 모듈(300)이 구동 유닛(40)에 의해 프레임 유닛(10)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작동하면, 연결 지지 수단(260)에 의해 제 1 발판 모듈(200) 또한 동시에 프레임 유닛(10)으로부터 인출된다. 이 과정에서는 제 1 발판 모듈(200) 및 제 2 발판 모듈(300)이 동시에 이동하므로, 제 2 발판 모듈(300)이 제 1 발판 모듈(200)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제 1 발판 모듈(200)이 인출된다. 제 1 발판 모듈(200)은 별도의 스토퍼(미도시)에 의해 프레임 유닛(10)의 돌출 지지부(102) 끝단까지만 인출되도록 이동한 후 정지하게 된다. 이후, 제 2 발판 모듈(300)은 구동 유닛(40)에 의해 계속 직선이동하게 되므로, 제 1 발판 모듈(200)이 정지한 상태에서 제 1 발판 모듈(200)로부터 차량 외부로 인출되게 된다. 제 2 발판 모듈(300)이 제 1 발판 모듈(200)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과정에서 제 2 발판 모듈(300)은 자중에 의해 수평 회전축(C1)을 중심으로 하향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 및 도 16 내지 도 18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1 발판 모듈(200)의 사시도 등이 도시된다.
제 1 발판 모듈(200)은 프레임 유닛(10)의 가이드 레일(111)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포트 프레임(210)과, 서포트 프레임(210)의 전방 상단에 결합되어 프레임 유닛(10)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제 1 발판(220)을 구비한다. 제 1 발판 모듈(200)에는 제 2 발판 모듈의 제 2 발판을 지지 이동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230)이 배치될 수 있는데, 가이드 레일(230)은 제 1 발판 모듈(200)의 서포트 프레임(210) 상에 배치되고 제 2 발판 모듈(300)의 직선 이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발판 모듈(300)이 제 1 발판 모듈(200)의 서포트 프레임(210) 상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230)을 따라 인출되는 과정에서 제 2 발판 모듈(300)의 제 2 발판(3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 롤러(240)가 제 1 발판 모듈(200)의 서포트 프레임(210)의 전단 일면 상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앞서 기술한 메인 발판 가이드부(270)도 제 1 발판 모듈(200)에 장착되어 메인 발판(103)의 지지 내지 틸팅 동작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서포트 프레임(2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의 하부 서포트 프레임(211)과, 하부 서포트 프레임(211)의 외곽 둘레 부위를 감싸며 하부 서포트 프레임(211)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서포트 프레임(2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서포트 프레임(211)은 플레이트 형상을 취하였으나 단순한 프레임 구조를 이룰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부 서포트 프레임(212) 및 하부 서포트 프레임(211)은 서로 체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데, 내부 공간에는 제 1 발판(220)을 지지하는 제 1 발판 틸팅부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 내지 가이드 레일(230) 측과의 연결을 위한 구조물 등 다양한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서포트 프레임(211)의 후단에는 제 1 발판 감지부(280)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발판 감지부(280)는 제 1 발판 감지 액츄에이터(281)와 제 1 발판 감지 센서(283)를 포함하는데, 제 1 발판 감지 액츄에이터(281)는 하부 서포트 프레임(211)의 후단에 배치되고 제 1 발판 감지 센서(283)는 하부 케이스(110)에 장착된다. 제 1 발판(220)이 프레임 유닛(10)의 케이스(110,120)에 인입된 상태로부터 인출된 상태로 위치 변화를 이루는 경우 제 1 발판 감지 센서(283)는 상태 변화를 감지하여 소정의 신호를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발판 감지부는 접촉 스위치 구조로 형성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광센서 내지 자기 센서와 같은 비접촉식 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고 기계식 센서 내지 유압식 스위치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하부 서포트 프레임(211)의 후단에는 제 1 발판 모듈(200)의 인출 내지 인입을 보다 원활하고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 1 발판 댐핑 홀딩부(29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제 1 발판 댐핑 홀딩부(290)는 제 1 발판 댐퍼(291), 제 1 발판 댐퍼 프레임 장착부(293)와 제 1 발판 댐핑 서포트 장착부(295)를 포함한다. 제 1 발판 댐퍼(291)는 급격한 위치 변화를 방지하는 댐핑 기능을 수행한다. 제 1 발판 댐퍼 프레임 장착부(293)는 하부 케이스(110)에 장착되고, 제 1 발판 댐퍼 서포트 장착부(295)는 하부 서포트 프레임(211)의 후단에 장착된다. 제 1 발판 댐퍼(291)의 일단은 제1 발판 댐퍼 프레임 장착부(293)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1 발판 댐퍼(291)의 타단은 제 1 발판 댐퍼 서포트 장착부(295)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제 1 발판 모듈(200)이 인출 및 인입 가동하는 경우 제 1 발판 댐퍼(291)는 소정의 댐핑 기능을 수행하여 제 1 발판 모듈(200)이 급격하게 가동하여 발생하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230) 및 지지 롤러(240)는 하부 서포트 프레임(211)에 결합된다. 가이드 레일(230)은 하부 서포트 프레임(211)의 일면 상에 배치된다. 가이드 레일(230) 상에는 가이드 레일 블록(231)이 배치되는데, 가이드 레일 블록(231)은 가이드 레일(230)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다. 가이드 레일 블록(231)의 일면 상에는 하기되는 제 2 발판 모듈(300)의 제 2 발판(320)이 이동 가능한 구조로 장착된다.
지지 롤러(24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기되는 제 2 발판 모듈(200)의 안정적인 인출을 이루도록 하는데, 지지 롤러(240)는 하부 서포트 프레임(211)에 장착된다. 하부 서포트 프레임(211)의 선단에는 하부 서포트 크로스 프레임(212a)가 배치되고, 지지 롤러(240)는 하부 서포트 크로스 프레임(212a)에 하나 이상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지지 롤러(240)는 하기되는 제 2 발판 모듈(300)의 제 2 발판 리프터(320-1)와 접촉을 이룰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는 하기된다.
제 1 발판(220)은 서포트 프레임(210)에 장착된다. 제 1 발판(220)은 제 1 발판 바디(221)를 포함하고, 제 1 발판 바디(221)를 지지하는 제 1 발판 틸팅부(223)가 구비된다. 제 1 발판 바디(221)는 제 1 발판 틸팅부(223)와 연결되어 서포트 프레임(210)이 직선 이동하는 경우 제 1 발판 바디(221) 및 제 1 발판 틸팅부(223)는 서포트 프레임(210)과 함께 프레임 유닛(10)에 대하여 인출 내지 인입된다.
제 1 발판 바디(221)의 일면에는 제 1 발판 리브(222, 도 8 및 도 9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 발판 리브(222)는 제 1 발판(220)의 제 1 발판 바디(221)의 일면 상에서 인출 방향을 따라 연속하고, 제 1 발판 바디(221)의 인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 개가 연속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복수 개의 제 1 발판 리브(222) 사이에는 제 1 발판 리브 골이 배치되는데, 제 1 발판 리브 골을 따라 물 내지 이물 등이 자연스럽게 하방 이동 배출되어, 이물이 프레임 유닛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제 1 발판 리브(222)는 제 1 발판 바디(221)의 일면 상에 배치되어 충분한 강성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제 1 발판 리브(222)에 가해지는 하중을 충분히 인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발판 리브는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복수 개의 제 1 발판 리브가 제 1 발판 바디의 일면으로부터 상이한 높이를 갖는 그룹으로 형성되고, 이들 상이한 높이의 제 1 발판 리브가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배열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배수 강화 및 강성 강화를 이루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제 1 발판 바디(221)의 선단 측부에는 제 1 발판 완충부(225)가 더 배치될 수도 있다. 제 1 발판 완충부(225)는 소정의 롤러 내지 완충 부재로 형성되어 하기되는 제 2 발판(320)과의 접촉으로 인한 불필요한 파손 등을 방지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제 1 발판 틸팅부(223)는 제 1 발판(220), 즉 제 1 발판 바디(221)를 서포트 프레임(2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데, 제 1 발판 틸팅부(223)의 일단은 서포트 프레임(210)에 장착되고 타단이 제 1 발판(220), 즉 제 1 발판 바디(221)와 연결되어 제 1 발판(220)의 제 1 발판 바디(221)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 1 발판 틸팅부(223)는 제 1 발판 틸팅 샤프트 블록(2230)과 제 1 발판 틸팅 샤프트(2231)과 제 1 발판 틸팅 샤프트 베어링(2233)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 1 발판 틸팅 샤프트 베어링(2233)에 의하여 제 1 발판 틸팅 샤프트(22310는 제 1 발판 틸팅 샤프트 블록(2230)에 대하여 원활한 회동 틸팅 운동을 이룰 수 있다.
제 1 발판 틸팅 블록(2230)은 서포트 프레임(210)의 측부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된다. 제 1 발판 틸팅 블록(2230)에는 제 1 발판 틸팅 샤프트(2231)가 배치되는데, 제 1 발판 틸팅 샤프트(2231)는 샤프트 바디(2231a)와 샤프트 플랜지(2231b)를 포함한다. 샤프트 바디(2231a)에는 제 1 발판 틸팅 샤프트 베어링(2233)이 장착되는데, 샤프트 바디(2231a)는 외주에 제 1 발판 틸팅 샤프트 베어링(2233)이 배치되어 제 1 발판 틸팅 블록(223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샤프트 바디(2231a)의 단부에는 샤프트 플랜지(2231b)가 배치된다. 샤프트 바디(2231a)와 샤프트 플랜지(2231b)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샤프트 바디(2231a)와 샤프트 플랜지(2231b)는 샤프트 바디(2231a)의 길이 방향 축을 기준으로 회동 상태를 형성한다. 샤프트 플랜지(2231b)에는 제 1 발판 바디(221)의 제 1 발판 바디 플랜지(2216)가 배치 연결됨으로써, 제 1 발판 바디(221)는 제 1 발판 틸팅 블록(223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발판 틸팅 샤프트(2231)의 샤프트 바디(2231a)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를 형성한다.
제 1 발판 틸팅부(223)에 의하여 제 1 발판(220)의 후단부가 틸팅 힌지 지지됨으로써, 제 1 발판(220)이 유니트 프레임(10)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자연스럽게 자중에 의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동 틸팅 운동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은 틸팅동작을 통하여 메인 발판을 구비하고, 발판 모듈이 제 1 및 제 2 발판 모듈을 구비하는 경우 3개의 발판이 연속적으로 경사 배치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 1 발판(220)의 인출시 제 1 발판의 회동을 제한하는 별도의 스톱퍼(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제 2 발판 모듈(300)은 제 1 발판 모듈(200)의 가이드 레일(230)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동 유닛(40)에 의해 직선 이동하도록 구동되는 캐리어 플레이트(310)와, 캐리어 플레이트(310)의 전방에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 발판 모듈(200)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제 2 발판(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 2 발판 모듈(300)은 제 2 발판 틸팅 유닛(340)을 포함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제 2 발판 모듈(300)은 제 2 발판 틸팅 유닛(340)을 통하여 제 2 발판(320)이 회동 가능한 구조를 이룬다. 즉, 캐리어 플레이트(310)와 제 2 발판(320)은 제 2 발판 틸팅 유닛(340)를 통해 수평 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제 2 발판(320)은 제 1 발판 모듈(200)로부터 외부 인출되는 과정에서 수평 회전축(C1)을 중심으로 소정의 상하향 회동을 할 수 있도록 선단부의 하단면에 제 2 발판 리프터(320-1)이 형성될 수 있다(도 21 참조). 따라서, 제 2 발판(320)은 캐리어 플레이트(310)와 함께 제 1 발판 모듈(200)로부터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수평 회전축(C1)을 중심으로 자중에 의해 하향 회동하며 끝단부가 플랫폼(Q)의 상면에 안착 지지되는 형태로 작동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 2 발판 모듈(300)은 캐리어 바디(310) 및 제 2 발판(320) 및 제 2 발판 틸팅 유닛(340)을 포함하는데, 제 2 발판 모듈(300)의 이동은 가이드 레일(230)을 통하여 안내 지지될 수 있다. 제 1 발판 모듈(300)의 하부 서포트 프레임(211)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230)이 배치되고, 가이드 레일(230)에는 가이드 레일 블록(231)이 배치되는데, 캐리어 바디(310)는 가이드 레일 블록(231)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됨으로써 캐리어 바디(310)는 가이드 레일 블록(231)과 함께 가동된다.
캐리어 바디(310)는 캐리어 메인 바디(310a)와 캐리어 사이드 바디(310b)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 메인 바디(310a)는 평행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고, 캐리어 사이드 바디(310b)는 캐리어 메인 바디(310a)의 양측단에 배치된다. 실질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캐리어 메인 바디(310a)는 양 단부가 하향 굴곡 형성됨으로써, 중앙 부위가 양측단보다 높은 위치를 점유하도록 하여 다른 구성요소와의 간섭을 방지하고, 하기되는 제 2 발판 감지부의 배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캐리어 바디(310)는 지면에 평행한 평면 상에서 볼 때 'ㄷ'형상을 구비하는데, 캐리어 사이드 바디(310b)는 캐리어 메인 바디(310a)의 중심보다 뒤로 후방 배치될 수 있다. 캐리어 사이드 바디(310b)의 일면 상에는 캐리어 사이드 바디 링크 장착부(310b-1)가 형성되는데, 캐리어 사이드 바디 링크 장착부(310b-1)에 제 2 발판 틸팅 유닛(340)의 일단이 장착된다.
캐리어 바디(310)의 하면에는 제 2 발판(320)의 가동 상태를 감지하는 제 2 발판 감지부(360)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발판 감지부(360)는 제 2 발판 감지 액츄에이터(361)와 제 2 발판 감지 센서(363)를 구비할 수 있다. 제 2 발판 감지 액츄에이터(361)는 캐리어 바디(310)의 하면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고, 제 2 발판 감지 센서(363)는 제 1 발판 모듈(200)의 하부 서포트 프레임(211)의 일면으로 제 2 발판(320)이 프레임 유닛(10)의 내부에 인입된 상태에서 제 2 발판 감지 액츄에이터(361)의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도 22 및 도 23 참조).
캐리어 바디(310)가 가동되어 위치 변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제 2 발판 감지 센서(363)의 감지 상태가 변화되고 이는 전기적 신호 등으로 제어부(미도시)에 전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발판 감지부는 접촉 스위치 구조로 형성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광센서 내지 자기 센서와 같은 비접촉식 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고 기계식 센서 내지 유압식 스위치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 2 발판 감지 액츄에이터와 제 2 발판 감지 센서가 각각 캐리어 바디의 하면에 그리고 하부 서포트 프레임의 일면에 배치되었으나 이들 배치가 서로 반대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위치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제 2 발판(320)은 제 2 발판 바디(321)를 구비하는데, 제 2 발판(320)의 강성 강화 및 배수 기능 강화를 위하여 또한, 중첩 배치되는 발판 간의 스크래이핑 기능을 통한 이물 유입 방지와 중첩 배치 영역의 단차 최소화로 인한 탑승 용이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2 발판(320)은 제 2 발판 리브(32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 2 발판 바디(321)의 일면에는 제 2 발판 리브(322, 도 18 내지 도 20 참조)가 배치된다. 제 2 발판 리브(322)는 제 2 발판(320)의 제 2 발판 바디(321)의 일면 상에서 인출 방향을 따라 연속하고, 제 2 발판 바디(321)의 인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 개가 연속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도 19에는 도 18에서의 도면 부호 A로 지시되는 영역에 대한 확대 부분 사시도가 도시된다.
복수 개의 제 2 발판 리브(322) 사이에는 제 2 발판 리브 골(322b-1, 도 19 참조)이 배치되는데, 제 2 발판 리브 골을 따라 물 내지 이물 등이 자연스럽게 하방 이동 배출되어, 이물이 프레임 유닛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제 2 발판 리브(322)는 제 2 발판 바디(321)의 일면 상에 배치되어 충분한 강성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제 2 발판 리브(322)에 가해지는 하중을 충분히 인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2 발판 리브(322)는 제 2 발판 메인 리브(322a)와 제 2 발판 커넥션 리브(322b)를 포함한다. 제 2 발판 메인 리브(322a)는 제 2 발판 바디(321)의 일면 상에 인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도록 배치되고, 인출 방향의 수직하는 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고, 제 2 발판 커넥션 리브(322b)도 인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인출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되 제 2 발판 커넥션 리브(322b)의 사이에 사전 설정된 개수로 제 2 발판 메인 리브(322a)가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즉, 복수 개의 제 2 발판 커넥션 리브(322b)의 사이로 두 개의 제 2 발판 커넥션 리브(322b)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제 2 발판 메인 리브(322a)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발판 메인 리브(322b)와 제 2 발판 커넥션 리브(322b)는 탑승객이 답압(踏壓)하는 영역에서는 제 2 발판 바디(321)의 일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를 구비하되 제 2 발판 바디(321)의 후단부로 제 1 발판 바디(221) 측과 접촉 가능한 영역에서는 서로 상이한 높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일예로서 제 2 발판 메인 리브(322b)와 제 2 발판 커넥션 리브(322b)는 탑승객이 답압(踏壓)하는 영역에서도 상이한 높이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제 2 발판 메인 리브(322b)와 제 2 발판 커넥션 리브(322b)의 후단부는 서로 상이한 높이 내지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즉, 제 2 발판 커넥션 리브(322b)는 제 2 발판(321)이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완전하게 인출된 경우 제 1 발판 연속 경사 접촉부(2213)를 수용 가능한 제 2 발판 대응 접촉부(3213)을 형성한다.
제 2 발판 대응 접촉부(3213)는 두 개의 마주하는 제 2 발판 커넥션 리브(322b)의 후단부에 의하여 구획되는데, 제 2 발판 커넥션 리브(322b)는 제 2 발판 메인 리브(322a)보다 후단부가 더 긴 영역을 구비하고, 제 2 발판 커넥션 리브(322b)의 후단과 제 2 발판 메인 리브(322a)의 짧은 후단은 제 2 발판 대응 접촉부(3213)를 구획 형성하고, 제 2 발판 대응 접촉부(3213)에는 제 1 발판(210)의 선단에 형성되는 제 1 발판 연속 경사 접촉부(2213)가 수용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제 1 발판 연속 경사 접촉부(2213)와 제 2 발판 대응 접촉부(3213)의 상호 맞물림 구조는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겹쳐 배치되는 제 1 발판 및 제 2 발판의 배치 구조에 있어 단차를 최소화함으로써 탑승객의 승강 내지 하차시 단차 턱에 의한 걸림 등을 방지하여 원활하고 안전한 탑승 내지 하차를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제 1 발판 연속 경사 접촉부(2213)와 제 2 발판 대응 접촉부(3213)의 상호 맞물림 구조를 위하여, 제 1 발판 대응 접촉부(2213)를 구획하는 제 2 발판 메인 리브(322a) 및 제 2 발판 커넥션 리브(322b)는 소정의 사전 설정된 배수 관계를 형성할 수 있따. 즉, 도 20에 제 1 발판 대응 접촉부(2213) 및 제 2 발판 대응 접촉부(3213)의 관계가 도시된다. 제 2 발판 대응 접촉부(3213)는 각각 두 개의 제 2 발판 커넥션 리브(322b)의 후단 측면과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사전 설정된 개수의 제 2 발판 메인 리브(322a)의 후단에 의하여 구획되는데, 제 2 발판 커넥션 리브(322b)의 사이에는 한 개의 제 2 발판 메인 리브(322a)가 배치되어 제 2 발판 커넥션 리브(322b)와 제 2 발판 메인 리브(322a)가 1:1로 교번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고, 제 1 발판 연속 경사 접촉부(2213)도 대응되는 너비를 갖는 구조를 취하여, 이와 같이 구획된 제 2 발판 대응 접촉부(3213)에 제 1 발판 연속 경사 접촉부(2213)가 수용 배치되는 스크래이핑 삽입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도 20 (a) 참조).
또한, 경우에 따라 제 2 발판 커넥션 리브(322b)의 사이에 복수 개의 제 2 발판 메인 리브(322a)가 배치되어 제 2 발판 대응 접촉부(3213)의 확장된 공간 영역을 제공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도 20 (b) 참조). 다만, 제 2 발판 커넥션 리브(322b) 사이의 너비가 과도하게 넓어질 경우 상호 맞물림 구조 내지 맞물림 구조를 통한 스크래이핑 효과가 저하되므로 적절한 개수가 배치되는 배수 관계를 이루는 것이 바림직하다.
이와 같은 제 2 발판 커넥션 리브(322b) 및/또는 제 2 발판 메인 리브(322a)에 의하여 구획되는 제 2 발판 대응 접촉부(3213)와, 제 1 발판(210)의 선단에 형성되는 제 1 발판 연속 경사 접촉부(2213)의 맞물림 구조를 통하여 차량의 실내 바닥에 평행한 평면 상에서 투영하여 볼 때 적어도 일부가 중첩 배치되는 제 1 발판(210) 및 제 2 발판(320)에 대하여 상호 맞물림 구조를 형성하여, 지면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볼 때 제 1 발판과 제 2 발판 간의 높이 차를 최소화하여 양 발판의 연결 영역에 있어 단차를 극소화시킴으로써 탑승 시 단차로 인한 안전 사고 내지 탑승의 불편함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발판 유닛의 제 1 발판 내지 제 2 발판 상에 물 등의 액체 내지 기타 이물들이 떨어지는 경우 경사지도록 인출되는 제 1 발판 및 제 2 발판 상의 제 1 발판 리브 및 제 2 발판 리브 사이의 제 1 발판 리브 골 및 제 2 발판 리브 골을 따라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프레임 유닛 내부로 이물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발판 연속 경사 접촉부(2213) 및 제 2 발판 대응 접촉부(3213)의 상호 맞물림 구조를 통하여 제 2 발판이 제 1 발판 모듈 측으로 인입되는 경우 제 1 발판 및 제 2 발판의 사이에는 제 1 발판 연속 경사 접촉부(2213) 및 제 2 발판 대응 접촉부(3213)의 상호 맞물림 구조를 통한 사이 공간의 최소화시켜 이물등이 배치된 경우 스크래이핑하여 사이 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크래이핑 기능이 실행됨으로써, 제 1 발판 및 제 2 발판 사이의 틈으로 이물 등이 유입되어 프레임 유닛 내부에서 오작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제 2 발판 바디(321)는 제 2 발판 바디 메인부(3210)와 제 2 발판 바디 연결부(3211)를 포함한다. 제 2 발판 틸팅 유닛(340)은 제 2 발판 힌지 바디(341)와 제 2 발판 힌지 바디 홀더(343) 및 제 2 발판 힌지 바디 연결 부재(345)를 구비한다. 제 2 발판 힌지 바디(341)의 일단은 힌지 바디 체결부(3411)가, 타단에는 힌지 바디 연결부(3415)가 그리고 힌지 바디 체결부(3411)와 힌지 바디 연결부(3415) 사이에는 힌지 바디 메인부(3413)가 배치된다. 힌지 바디 체결부(3411)는 제 2 발판 바디 연결부(3211)와 연결되고, 힌지 바디 연결부(3415)는 제 2 발판 힌지 바디 연결 부재(345)를 통하여 제 2 발판 힌지 바디 홀더(343)와 연결된다. 제 2 발판 힌지 바디 메인부(3210)의 힌지 바디 연결부(3415)와 제 2 발판 힌지 바디 홀더(343)는 상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의 형상을 구비하여 원활한 링크 동작이 이루어지고 제한된 공간 내에서의 구성요소의 컴팩틀한 배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제 2 발판(320)은 수평 이동하는 캐리어 바디(310)에 대하여 소정의 틸팅 회전 힌지 동작을 이룰 수 있다.
제 2 발판(320)의 틸팅 힌지 동작을 이루는 수평 회전축(C1)은 힌지 바디 연결부(3415)와 제 2 발판 힌지 바디 홀더(343)의 연결축인 제 2 발판 힌지 바디 연결 부재(345) 상에 배치되는데, 힌지 바디 연결부(3415)와 제 2 발판 힌지 바디 홀더(343)의 상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의 형상 영역의 상방 측으로 제 2 발판 힌지 바디 연결 부재(345)의 축을 중심에 형성된다. 수평 회전축(C1)과 지지 롤러(240) 사이에는 발판 모듈(20)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사전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 상태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발판 모듈(20)은 제 1 발판 모듈(200)과 제 2 발판 모듈(300)이 소정의 이동 영역에 대하여 함께 이동하고, 이후 제 2 발판 모듈이 단독으로 인출 내지 인입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동시 인출 내지 해제를 이루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별개의 연결 지지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연결 지지 수단(260)은 제 1 발판 모듈(200) 측에 배치되고, 연결 지지 수단(260)과 체결 가능한 걸림 수단으로서의 걸림핀(311)은 제 2 발판 모듈(300)에 배치된다.
즉, 걸림핀(3111)은 제 2 발판 모듈(300)의 일측에 장착되고, 전술한 연결 지지 수단(260)은 제 1 발판 모듈(200)에 결합되어 제 2 발판 모듈(300)의 걸림핀(311)에 맞물림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연결 지지 수단(260)은 제 1 발판 모듈(2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 지지 수단(260)은 제 1 발판 모듈(200)의 하부 서포트 프레임(211)의 내측 일면 후단 측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된다. 연결 지지 수단(260)은 후크 링크(262)와 후크 작동 링크(263)을 포함한다. 후크 링크(262)는 제 1 발판 모듈(200)이 제 2 발판 모듈(300)과 함께 인출되도록 걸림핀(311)과 맞물림되고, 후크 작동 링크(263)은 후크 링크(262)와 일체로 회동하도록 결합된다.
후크 링크(262)의 회동은 후크 작동 링크(263)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후크 작동 링크(263)은 가압 블록(E)에 의하여 가동된다. 가압 블록(E)은 하기되는 구동 유닛(40)의 가이드 프레임(411, 도 25 참조)에 장착된다.
후크 링크(262)의 끝단에는 후크부(262-1)가 형성되는데, 후크부(262-1)는 걸림핀(311)과 맞물림될 수 있다. 후크 작동 링크(263)는 제 1 발판 모듈(200)이 돌출 지지부(102) 끝단까지 인출됨에 따라 별도의 가압 블록(E)에 의해 가압되어 후크 링크(262)가 걸림핀(311)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도록 회동한다. 이러한 후크 링크(262)와 후크 작동 링크(263)는 제 1 발판 모듈(200)에 장착된 연결 지지 샤프트(261)에 모두 결합되어 연결 지지 샤프트(261)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며, 별도의 연결 핀(미도시)과 같은 기계 요소를 통해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발판 모듈(300)이 구동 유닛(40)에 의해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발판 모듈(200)은 연결 지지 수단(260)에 의해 제 2 발판 모듈(300)과 함께 인출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즉,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발판 모듈(200)의 후크 링크(262)가 제 2 발판 모듈(300)의 걸림핀(311)에 맞물림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제 2 발판 모듈(300)이 이동할 때 제 1 발판 모듈(200)이 동시에 이동하게 된다. 이때, 프레임 유닛(10)에는 별도의 스토퍼(미도시)가 장착되어 제 1 발판 모듈(200)이 돌출 지지부(102)의 끝단까지만 인출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제 1 발판 모듈(200)이 제 2 발판 모듈(300)과 함께 돌출 지지부(102) 끝단까지 직선 이동하게 되면, 제 1 발판 모듈(200)은 더 이상 전진 이동하지 못하고 정지 상태로 구속된다.
이와 같이 제 1 발판 모듈(200)과 제 2 발판 모듈(300)이 돌출 지지부(102) 끝단까지 이동하게 되면, 후크 작동 링크(263)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가압 블록(E)에 의해 가압되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후크 링크(262) 또한 시계 방향으로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후크 링크(26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후크 링크(262)와 걸림핀(311)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므로, 이후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발판 모듈(300)이 구동 유닛(40)에 의해 계속해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 2 발판 모듈(300)만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제 1 발판 모듈(200)은 스토퍼에 의해 인출 구속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 상태에서 후크 링크(262)와 걸림핀(311)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제 1 발판 모듈(200)이 정지한 상태에서 제 2 발판 모듈(300)만 구동 유닛(40)에 의해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가압 블록(E)은 구동 유닛(40)의 가이드 프레임(411) 측면에 결합될 수 있고, 후크 링크(262)는 이러한 가이드 프레임(411)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별도의 토션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제 1 발판 모듈(200)이 연결 지지 수단(260)에 의해 제 2 발판 모듈(300)과 함께 돌출 지지부(102) 끝단까지 인출된 상태에서, 제 1 발판 모듈(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토퍼에 의해 인출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이 구속되지만, 인입되는 방향으로는 직선 이동이 구속되지 않기 때문에, 제 2 발판 모듈(300)이 차량 외부로 인출되는 동안 의도하지 않게 인입되거나 진동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 지지 수단(260)은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제 1 발판 모듈(200)이 돌출 지지부(102) 끝단까지 인출된 상태에서 제 1 발판 모듈(200)의 인입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 지지 수단(260)은 제 1 발판 모듈(2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별도의 래칫 기어(R)에 맞물림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팔로어 링크(264)와, 팔로어 링크(264)와 일체로 회동하도록 결합되고 제 2 발판 모듈(300)의 이동에 연동하여 탄성 회동하는 팔로어 작동 링크(26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팔로어 링크(264)와 팔로어 작동 링크(265)는 전술한 연결 지지 샤프트(261)에 함께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래칫 기어(R)는 구동 유닛(40)의 가이드 프레임(411)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팔로어 작동 링크(265)는 별도의 토션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제 2 발판 모듈(300)의 일면에 탄성 밀착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즉,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발판 모듈(200)과 제 2 발판 모듈(300)이 동시에 이동하여 서로 간에 상대 이동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팔로어 작동 링크(265)가 제 2 발판 모듈(300)에 탄성 밀착되는 상태로 유지되지만,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발판 모듈(200)이 정지한 상태에서 제 2 발판 모듈(300)만 이동하여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이 발생하게 되면, 팔로어 작동 링크(265)는 토션 스프링의 탄성 밀착력에 의해 제 2 발판 모듈(300)에 밀착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팔로어 작동 링크(265)가 회전하면, 이와 동시에 팔로어 링크(264)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팔로어 링크(264)가 가이드 프레임(411)의 래칫 기어(R)에 맞물리게 된다.
즉, 도 29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 1 발판 모듈(200)이 정지한 상태에서 제 2 발판 모듈(300)이 상향 이동, 즉 인출하게 되면, 팔로어 작동 링크(265)는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제 2 발판 모듈(300)과 탄성 밀착하는 방향, 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팔로어 링크(264)가 시계 방향으로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팔로어 링크(264)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끝단이 래칫 기어(R)에 맞물리게 된다.
이와 같이 팔로어 링크(264)가 래칫 기어(R)에 맞물림됨에 따라 제 1 발판 모듈(200)은 인입되는 방향으로 구속된다.
따라서, 제 1 발판 모듈(200)은 연결 지지 수단(260)에 의해 제 2 발판 모듈(300)과 함께 돌출 지지부(102) 끝단까지 동시에 인출되고, 이 상태에서 인출 또는 인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구속되어 안정적으로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발판 모듈(200)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제 2 발판 모듈(300)은 구동 유닛(40)에 의해 차량 외부로 인출된다.
반대로, 구동 유닛(40)이 역회전하여 차량 외부로 인출된 제 2 발판 모듈(300)을 인입 복귀시키는 경우, 제 2 발판 모듈(300)의 후단부는 팔로어 작동 링크(265)를 가압하게 되고 팔로어 작동 링크(26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팔로어 작동 링크(46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팔로어 작동 링크(465)와 맞물리어 함께 회동하는 팔로어 링크(264)도 반시계 방향으로 일체 회전하게 되어, 팔로어 링크(264)와 래칫 기어(R)의 맞물림이 해제됨으로써, 제 1 발판 모듈(200)도 함께 후방 인입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후방 인입 과정에서 가압 블록(E)과 후크 작동 링크(263)의 접촉 및 비접촉의 연속 과정에 의하여 제 2 발판 모듈(300)이 인입되어 걸림핀(311)이 소정의 위치까지 도달한 경우, 후크 링크(262)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하여 후크 링크(262)와 걸림핀(311)간의 접촉 걸림 상태도 복원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판 유닛(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 유닛(10)으로부터 차량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플램폼(Q) 상면과의 안정적인 접촉을 위하여 소정의 회동 동작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즉, 발판 유닛(20)의 인출 과정에서 발판이 소정의 상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동하고, 그런 후 자중에 의해 하향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발판 유닛(20)의 끝단이 플랫폼(Q)의 상면에 안착 지지되고, 발판 유닛(20)의 상면이 플랫폼(Q)을 향해 하향 경사면을 이루게 된다.
한편, 발판 유닛(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발판 모듈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2개의 발판 모듈이 순차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다단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모두 마찬가지 방식으로 하향 회동하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발판 유닛(20)의 제 2 발판 모듈(300)에 대한 회동 구조로 설명한다.
제 2 발판 모듈(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 유닛(40)에 의해 직선 이동 구동되는 캐리어 플레이트(310)와, 캐리어 플레이트(310)의 전방에 수평 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발판(3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 2 발판(320)은 제 1 발판 모듈(200)로부터 외부 인출되는 과정에서 수평 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 2 발판(320)은 제 1 발판 모듈(200)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과정에서 제 1 발판 모듈(200)의 서포트 프레임(210)에 결합된 지지 롤러(240)에 의해 지지되며 인출되는데, 인출되는 과정에서 제 2 발판(320)이 사전 설정된 회동 동작, 즉 본 실시에에서 소정의 상방향 회동 및 하향 회동함과 동시에 인출될 수 있도록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플레이트(310)와 결합되는 후방 하단부에 제 2 발판 리프터(320-1)이 형성된다. 즉, 제 2 발판 리프터(320-1)는 제 2 발판(320)의 하면에 형성되는데, 제 2 발판 리프터(320-1)는 지지 롤러(240)와 접촉하는 구조를 이룬다.
제 2 발판 리프터(320-1)는 제 2 발판(320)이 제 1 발판 모듈(200)로부터 인출될 때 제 2 발판(320)이 제 2 발판 틸팅 유닛(340)에 의하여 형성된 수평 회전축(C1)을 중심을 사전 설정된 회동 동작을 이루도록 하는 프로파일을 구비한다. 제 2 발판 리프터(320-1)는 리프터 업힐(320-1a)와 리프터 다운힐(320-1b) 및 리프터 피크(320-1c)를 포함하는데, 리프터 업힐(320-1a)는 제 2 발판(320)의 하면 선단부에 배치되고 제 2 발판(320)의 선단으로부터 제 2 발판의 후단으로 향할수록 발판 모듈(20)이 인출되는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 내지 본체부(101)의 평면을 기준으로 볼 때의 높이가 커진다. 리프터 다운힐(320-1b)는 제 2 발판(320)의 선단으로부터 제 2 발판(320)의 후단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작아지며, 리프터 피크(320-1c)는 리프터 업힐(320-1a) 및 리프터 다운힐(320-1b) 사이에 배치되어 리프터 업힐(320-1a)와 리프터 다운힐(320-1b)를 연결하는 리프터 피크(320-1c)를 구비한다. 즉, 리프터 피크(320-1c)가 리프터 업힐(320-1a)과 리프터 다운힐(320-1b)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 2 발판의 급격한 회동 변화를 방지하여 급격한 회동 변화로 인한 하중 부담 발생을 방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2 발판(320)은 제 1 발판 모듈(200)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과정에서 하단 제 2 발판 리프터(320-1)이 지지 롤러(240)에 지지되며 소정의 각도로 상방향 이동을 이루고, 제 2 발판(320)이 플랫폼(Q)의 상부 인근에 도달한 경우 점진적으로 자중에 의하여 하향 회동하게 된다. 즉, 제 2 발판(320)이 인출 완료된 상태에서 하향 회동하는 것이 아니라 인출되는 과정에서 소정의 상방향 회동 및 하향 회동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 2 발판(320)이 구동 유닛(40)에 의해 다시 인입되는 과정에서도 하단면에 형성된 제 2 발판 리프터(320-1)의 프로파일을 따라 소정 각도로 급격한 상향 회동 후, 점진적인 하향 회동을 이루며 인입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제 2 발판(320)의 인출 및 인입 작동이 더욱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 2 발판(320)의 하면에는 제 2 발판 지지롤러 리셉터(32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 2 발판 지지롤러 리셉터(323)는 제 2 발판(320)이 제 1 발판 모듈(200)로부터 인출된 경우 지지 롤러(240)를 수용하도록 제 2 발판(320)의 하면에 형성되는데, 본 실시에에서 제 2 발판 지지롤러 리셉터(323)는 리프터 다운힐(320-1b)에 접하여 후단에 배치된다. 제 2 발판 지지롤러 리셉터(323)는 리프터 다운힐(320-1b)보다 본체부(101)로부터의 거리가 더욱 가까운 구조를 이루도록 요홈 구조로 형성되고, 제 2 발판(320)이 완전하게 인출되는 경우 제 2 발판 지지롤러 리셉터(323)에는 지지 롤러(240)가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 롤러(240)가 제 2 발판 지지롤러 리셉터(323)에 수용되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제 2 발판(320)의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제 2 발판(320)의 인출 경사각을 완만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발판 지지롤러 리셉터(323)는 제 2 발판 틸팅 유닛(340)에 형성되는 수평 회전축(C1)과 사전 설정된 간격(dr)으로 이격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수평 회전축과 제 2 발판 지지롤러 리셉터 간의 이격 거리 구조를 형성하여 양자 간의 최소 이격 거리를 제한하여 과도하게 좁게 위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 2 발판(320)이 완전하게 인출된 경우 지지 롤러(240)가 제 2 발판 지지롤러 리셉터 내부로 수용될 때, 지지 롤러(240) 내지 제 2 발판 틸팅 유닛(340)에 인가되는 토크 하중 부하를 경감시켜 내구성 및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 유닛(40)에 대하여 도 25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 유닛(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발판 유닛(20)을 직선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리드 스크류(410), 구동 모터(420) 및 이동 블록 모듈(4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발판 유닛(20)은 이동 블록 모듈(430)에 결합되어 이동 블록 모듈(430)과 함께 일체로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유닛(40)은 프레임 유닛(10)의 하부 케이스(110)에 위치 고정되어 장착된다. 구동 유닛(400)은 리드 스크류(410), 구동 모터(420) 및 이동 블록 모듈(430)을 구비할 수 있는데, 프레임 유닛(10)의 하부 케이스(110)에는 가이드 프레임(411) 및 구동 유닛 프레임(413,415)가 배치된다. 구동 유닛 프레임(413,415)은 하부 케이스(110)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되, 구동 유닛(40)의 안정적인 가동을 가능하게 한다. 구동 유닛 프레임(413,415)의 내측에는 가이드 프레임(411)이 배치되어 구동 유닛(40)의 이동 블록 모듈(430)이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한다.
구동 모터(420)는 이동 블록 모듈(430)을, 궁극적으로 발판 모듈을, 확장적으로 메인 발판을 가동시키는 구동력을 생성하는데, 구동 모터(420)에 브레이크 유닛(421)이 장착됨으로써, 브레이크 유닛(421)을 통해 구동 모터(420)의 작동을 정시시키는 방식으로 리드 스크류(410)의 회전 상태를 조절하여 발판 유닛(20)의 위치 및 고정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도 있다. 또한, 감속기(422)가 배치되어 구동 모터(420)에서 생성된 구동력의 회전수 및 토크를 변환하여 발판 유닛(20)의 안정적인 가동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술하지는 않으나, 경우에 따라 별도의 부가적인 고정 장치를 배치하여 이동 블록 모듈(430)의 원치 않는 이동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구동 모터(420)는 리드 스크류(410)와 동축 연결 구조를 이루나, 경우에 따라 상호 간에 수직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이동 블록 모듈(430)은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블록(431)과 연결 가이드(433)를 구비하는데, 이동 블록(431)은 리드 스크류(410)에 관통 결합되어 직선 이동한다. 구동 모터(420)가 회동하는 경우 회동 구동력은 리드 스크류(410)로 전달되는데, 리드 스크류(410)는 구동 유닛 프레임(415)에 의하여 구동 모터(420)와 동축을 이루며 수평 배치되도록 지지되고, 이동 블록(431)은 리드 스크류(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가동된다.
이동 블록(431)은 연결 가이드(433)의 내측에 배치되는데, 경우에 따라 이동 블록(431)과 연결 가이드(433)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개별 구성 요소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블록(431)은 리드 스크류(410)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기능도 구비하는 개별적인 구성요소로 배치된다.
연결 가이드(433)는 이동 블록(431)의 외측에 배치되는데, 연결 가이드(433)는 리드 스크류(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블록(431)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이 발판 유닛(20)과 결합되어, 구동 모터(420)로부터 생성된 회전력이 리드 스크류(410)를 따라 직선 이동하는 이동 블록(431) 및 이동 블록(431)과 함께 이동하는 연결 가이드(433)를 통하여 제 2 발판 모듈(300)을 가동시킨다.
연결 가이드(433)는 블록 결합부(433-1)와 발판 결합부(433-2)를 구비하는데, 블록 결합부(433-1)는 이동 블록(431)의 측부에 배치되어 이동 블록(431)과 함께 리드스크류(41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직선 이동을 이루도록 하고, 발판 결합부(433-2)는 블록 결합부(433-1)와 연결되어 블록 결합부(433-1)가 이동하는 경우 함께 이동하되, 발판 결합부(433-2)의 선단에는 발판 결합 연결부(433-2a)가 배치된다. 발판 결합 연결부(433-2a)는 제 2 발판 모듈(300)의 캐리어 바디(310)의 캐리어 메인 바디(310a)와 연결되어, 구동 모터(420)에서 생성된 구동력을 최종적으로 제 2 발판 모듈(300)로 전달하여 가이드 레일(230)을 따른 제 2 발판 모듈(300)의 안정적인 가동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는 전면을 차폐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는 프론트 커버 유닛(600)을 구비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 유닛(600)은 프론트 커버(610)와 프론트 커버 리턴부(620)을 포함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커버 유닛(600)은 프론트 커버 사이드 차폐부(624,630)를 더 구비한다.
프론트 커버(610)는 프레임 유닛(100)의 전단을 가동 가능하게 차폐시키는데, 프론트 커버(610)는 프레임 유닛(100)의 하부 케이스(110) 및 상부 케이스(120)가 이루는 공간의 전면부를 차폐 가능하다. 프론트 커버(610)는 프레임 유닛(100)의 하부 케이스(110) 및 상부 케이스(120)가 이루는 선단 전면을 차폐시키도록 힌지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프론트 커버 리턴부(620)는 프론트 커버(610)와 연결되어, 프론트 커버(610)의 차폐 상태를 유지시키고, 발판 유닛(20)이 인출되어 프론트 커버(610)가 개방된 후 다시 발판 유닛(20)이 인입되는 경우 프론트 커버(610)에 소정의 복원력을 제공하여 개방 상태를 이루었던 프론트 커버(610)를 다시 프레임 유닛(100)의 선단을 차폐시키는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프론트 커버(610)의 배면 측 상단에는 프론트 커버 완충부(611)가 더 구비될 수 잇는데, 프론트 커버 완충부(611)는 복귀에 의한 차폐시 인입된 다른 구성요소와의 간섭 내지 충돌로 인한 충격 발생 등을 완화 내지 방지할 수도 있다.
프런트 커버 리턴부(620)는 프론트 커버 홀딩부(621)와 프론트 커버 힌지부(623)와 프론트 커버 힌지 링크(625)와 프론트 커버 리턴 액츄에이터(627)를 포함한다. 프론트 커버 홀딩부(621)는 프론트 커버(610)에 연결되는데, 프론트 커버 홀딩부(621)는 프론트 커버(610)의 배면 측에 연결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 힌지부(623)는 프론트 커버 홀딩부(621)의 단부에 연결되어 회동축을 형성하는데, 본 실시예의 프론트 커버 힌지부(623)는 프론트 커버 홀딩부(621)의 하단을 중심으로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의 프론트 커버(610)는 프론트 커버(610)에 연결되는 프론트 커버 홀딩부(621)의 하단에 형성되는 프론트 커버 힌지부(623)를 중심으로 개방 내지 차폐 동작이 이루어진다.
프론트 커버 리턴 액츄에이터(627)는 프론트 커버(610)를 원위치시키도록 소정의 복원력을 제공하는데, 프론트 커버 리턴 액츄에이터(627)는 본 실시예에서 에어 스프링으로 구현되나, 이는 일예로서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즉, 프론트 커버 리턴 액츄에이터는 코일 스프링, 판스프링 등과 같은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도 있는 등 프론트 커버(610)의 차폐 상태를 유지 내지 복귀 상태를 이루는 소정의 탄성력 등을 제공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프론트 힌지 링크(625)는 일측이 프론트 커버 리턴 액츄에이터(627)와 연결되고 타측이 프론트 커버 힌지부(623)와 연결되는데, 프론트 힌지 링크(625)는 두 개의 힌지 연결 포인트를 구비하고, 하나의 힌지 연결 포인트(625a)는 프론트 커버 리턴 액츄에이터(627)의 단부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힌지 연결 포인트(625b)는 프론트 커버 힌지부(623)과 연결된다.
한편, 프론트 커버 유닛(600)은 프론트 커버 사이드 차폐부(624,630)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프론트 커버 사이드 차폐부(624,630)는 프레임 유닛(10)의 선단,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부와 연결되는 돌출 지지부(102)에 배치되어 이물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 사이드 차폐부(624,630)는 프론트 커버 사이드 플레이트(624)와 프론트 커버 사이드 실러(630)를 구비하는데, 프론트 커버 사이드 플레이트(624)는 발판 유닛(20)이 인출되는 프레임 유닛(10)의 선단 측면으로 발판 유닛(20)의 인출시 발판 유닛(20)의 측면과 마주하는 측면에 배치된다. 또한, 프론트 커버 사이드 실러(630)는 프레임 유닛(10)의 선단, 보다 구체적으로 돌출 지지부(102) 내에 삽입 배치되는데 프론트 커버 사이드 실러(630)는 벨로우즈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론트 커버 사이드 차폐부(624,630)는 이물 내지 액체 또는 차량 실내 청소시 물 등이 프론트 유닛(10)의 내부로 원치 않게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론트 커버 유닛(600)의 프론트 커버(610)는 발판 모듈(20)에 의하여 개방되는데, 본 발명의 프론트 커버(610)과 직접적인 접촉을 이루는 별개의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메인 발판(103)을 지지하고 발판 모듈(20)이 인출되는 경우 지지점의 위치 변화로 메인 발판(103)을 틸팅 동작시키는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271)가 제 1 발판 모듈(20)의 하부 서포트 프레임(211)에 장착되는데,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271)의 선단부에 가이드 바디 선단부(271c)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바디 선단부(271c)는 유선형의 단부로 완만한 곡선 구조로 형성되어 발판 유닛(20)의 제 1 발판 모듈(200)이 프레임 유닛(10)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하기되는 프론트 커버 유닛(600)의 프론트 커버(610)를 가동시키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데, 제 1 발판 모듈(200)이 인출되는 경우 가이드 바디 선단부(271c)는 프론트 커버(610)의 배면과 접하고, 가이드 바디 선단부(271c)의 가압력에 의하여 프론트 커버(610)가 프론트 커버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 운동을 이루어 개방된다.
경우에 따라 가이드 바디 선단부(271c)는 프론트 커버(610)의 배면 측 상단에 형성된 프론트 커버 완충부(611)와도 접촉할 수 있는데, 프론트 커버(610)가 90도 이상으로 개방된 경우 가이드 바디 선단부(271c)와 프론트 커버 완축부(611)의 접촉을 통하여 제 1 발판 모듈(200)의 인출시 소정의 이격 거리를 형성하도록 하여 다른 구성요소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는 광출력부(500)를 더 구비하여 광출력 기능을 통한 야간 시 탑승객의 시인성을 통한 안전 사고 발생을 방지하도록 안정적인 안내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광출력부(500)는 광 출력 소자(510)와 광 출력 하우징(520)과 광 출력 커버(530)를 포함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광출력부(500)는 제 2 발판 모듈(300)에 장착되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제 1 발판 모듈 내지 메인 발판에도 구비될 수도 있는 등 변형이 가능하다.
제 2 발판 모듈(300)의 대응되는 위치로 일면 상 양측부에는 광출력부 장착부(521,523,525)가 구비되는데, 광출력부 장착부는 광출력 소자 장착부(525)와 광출력 커버 장착부(523)와 광출력 하우징 장착부(521)를 포함한다. 광출력 소자(510)는 LED 등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빛을 출력하데 광출력 소자(510)는 광출력 소자 장착부(525)에 장착되고, 광출력 소자(510)의 상부에는 광출력 커버(530)가 배치되어 광출력 소자(510)로부터 출력되는 빛을 외부로 출사시키되 이물의 유입을 방지하여 광출력 소자(510)를 보호한다. 광출력 하우징(530)은 광출력 하우징 장착부(521)에 고정 장착되는데, 충분한 하중을 견뎌 하부에 배치되는 다른 구성요소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프레임 유닛 101: 본체부
102: 돌출 지지부 103: 메인 발판
104: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부
105: 메인 발판 힌지부 20: 발판 유닛
200: 제 1 발판 모듈 210: 서포트 프레임
220: 제 1 발판 260: 연결 지지 수단
270: 메인 발판 가이드부 280: 제 1 발판 감지부
290: 제 1 발판 댐핑 홀더부 300: 제 2 발판 모듈
310: 캐리어 플레이트 320: 제 2 발판
320-1: 제 2 발판 리프터 321: 제 2 발판 리브
340: 제 2 발판 틸팅 유닛 40: 구동 유닛
410: 리드 스크류 420: 구동 모터
430: 이동 블록 모듈 500: 광출력부
600: 프론트 커버 유닛 610: 프론트 커버
620: 프론트 커버 리턴부 630: 프론트 커버 사이드 차폐부

Claims (26)

  1. 승객의 승하차가 용이하도록 차량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에 있어서,
    상면이 차량의 실내 바닥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장착되는 프레임 유닛;
    상기 프레임 유닛으로부터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 유닛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발판 유닛; 및
    상기 발판 유닛이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상기 발판 유닛을 가동 가능하게 구동하는 구동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유닛은 내부에 상기 발판 유닛이 수용되는 본체부와, 상기 발판 유닛이 상기 본체부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발판 유닛의 양측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전면 양측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유닛은 상면에 메인 발판을 구비하되,
    상기 메인 발판은 상기 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발판을 상기 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메인 발판 힌지부와,
    상기 메인 발판 힌지부를 가로질러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메인 발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발판과 상기 본체부 사이의 간극으로 이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메인 발판 실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유닛에는 메인 발판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 발판 가이드부는, 상기 발판 유닛이 상기 프레임 유닛에 인입된 경우 상기 메인 발판을 지지하고, 상기 발판 유닛이 상기 프레임 유닛으로부터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인출되는 경우 상기 메인 발판이 틸팅 가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발판 가이드부는,
    상기 발판 유닛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 발판의 하면과 접촉 가능한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는:
    상기 발판 유닛이 상기 프레임 유닛에 인입된 경우 상기 메인 발판을 지지하는 가이드 바디 유지부와,
    상기 가이드 바디 유지부의 후단에 배치되고 상기 발판 유닛의 인입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높이가 낮아져, 상기 발판 유닛이 상기 프레임 유닛으로부터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인출되는 경우 상기 메인 발판을 틸팅 가동시키는 가이드 바디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경사부와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 바디 유지부가 배치되도록 상기 가이드 바디 유지부에 연결되어 배치되는 가이드 바디 선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론트 유닛의 선단 측에 회동 가능한 프론트 커버를 구비하는 프론트 커버 유닛이 배치되고,
    상기 발판 유닛이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인출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 바디 선단부는 프론트 커버 유닛과 접촉하여 상기 프론트 커버 유닛을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의 일면 상에는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 접촉 강화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발판 가이드부는,
    일측은 상기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와, 다른 일측은 상기 발판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를 지지하는 메인 발판 가이드 보강 리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발판의 하면으로 상기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메인 발판 가이드 바디를 수용 안내 가능한 메인 발판 가이드 그루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발판의 단부에는, 상기 발판 유닛이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인출되는 경우 상기 메인 발판과 상기 발판 유닛의 단차를 경감시켜 상기 메인 발판과 상기 발판 유닛의 연속 경사 배치를 이루도록 하는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발판 유닛이 인출되는 경우 상기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부의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부의 대응 형상으로 상기 발판 유닛에 형성되는 발판 대응 접촉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부는:
    상기 메인 발판의 선단에 배치되는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 선단부와,
    상기 메인 발판의 후단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 선단부보다 더 큰 두께를 갖는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 후단부와,
    상기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 선단부 및 상기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 후단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판 유닛이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인출되는 경우, 상기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 선단부 및 상기 메인 발판 연속 경사 접촉 경사부는 상기 발판 유닛과 접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유닛은 제 1 발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발판 모듈은,
    상기 프레임 유닛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포트 프레임; 및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 유닛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제 1 발판; 및
    일단이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발판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발판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발판 틸팅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판 틸팅부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장착되는 제 1 발판 틸팅 샤프트 블록과,
    상기 제 1 발판 틸팅 샤프트 블록에 연결되어 길이 방향으로 회전축으로 형성하는 샤프트 바디 및 상기 샤프트 바디와 연결되고어 상기 제 1 발판과 체결되는 샤프트 플랜지를 포함하는 제 1 발판 틸팅 샤프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판 모듈은, 상기 제 1 발판의 상기 프레임 유닛으로의 인입 내지 인출을 검출하는 제 1 발판 감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판 감지부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서포트 프레임과 함께 가동되는 제 1 발판 감지 액츄에이터와,
    상기 제 1 발판이 상기 프레임 유닛에 인입된 경우 상기 제 1 발판 감지 액츄에이터의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프레임 유닛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발판 감지 액츄에이터의 위치 변화에 의하여 가동되는 제 1 발판 감지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모듈은 제 2 발판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일면 상에는 상기 제 2 발판 모듈의 직선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모듈은 제 2 발판을 구비하는 제 2 발판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발판의 단부에는, 상기 제 2 발판이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인출되는 경우 상기 제 1 발판과 상기 제 2 발판의 단차를 경감시켜 상기 제 1 발판과 상기 제 2 발판의 연속 경사 배치를 이루도록 하는 제 1 발판 연속 경사 접촉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 2 발판에는, 상기 제 2 발판이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인출되는 경우 상기 제 1 발판 연속 경사 접촉부를 수용하는 제 2 발판 대응 접촉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모듈은 제 2 발판을 구비하는 제 2 발판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전단에는 상기 제 2 발판 모듈의 인출 과정에서 상기 제 2 발판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 롤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모듈은 제 2 발판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발판 모듈은,
    상기 제 1 발판 모듈의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구동 유닛에 의해 직선 이동하도록 구동되는 캐리어 바디; 및
    상기 캐리어 바디와 이격 배치되고 상기 캐리어 바디에 대하여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발판 모듈로부터 외부로 인축 가능한 제 2 발판;
    일단이 상기 캐리어 바디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발판과 연결되고 상기 수평 회전축을 형성하여 상기 제 2 발판이 상기 캐리어 바디에 대하여 상대 회동 운동 가능하게 하는 제 2 발판 틸팅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발판 틸팅 유닛은:
    일단이 상기 제 2 발판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캐리어 바디 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제 2 발판 힌지 바디와,
    상기 캐리어 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제 2 발판 힌지 바디의 타단과 상대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발판 힌지 바디 홀더와,
    상기 제 2 발판 힌지 바디 및 상기 제 2 발판 힌지 바디 홀더를 연결하는 회전축 상에 배치되는 제 2 발판 힌지 바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발판 유닛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리드 스크류;
    상기 리드 스크류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 및
    상기 리드 스크류에 결합되어 상기 리드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리드 스크류를 따라 직선 이동하는 이동 블록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발판 유닛은 상기 이동 블록 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 블록 모듈과 함께 직선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블록 모듈은
    상기 리드 스크류에 결합되어 직선 이동하는 이동 블록; 및
    상기 리드 스크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이동 블록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발판 유닛과 결합되는 연결 가이드;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유닛은
    상기 프레임 유닛의 본체부에 수용되어 상기 돌출 지지부 끝단까지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유닛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발판 모듈; 및
    상기 제 1 발판 모듈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발판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제 2 발판 모듈과 결합되어 상기 제 2 발판 모듈을 직선 이동시키고, 상기 제 1 발판 모듈은 별도의 연결 지지 수단에 의해 상기 제 2 발판 모듈과 함께 상기 돌출 지지부 끝단까지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발판 모듈에는 일측에 걸림핀이 장착되고,
    상기 연결 지지 수단은
    상기 제 1 발판 모듈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발판 모듈이 상기 제 2 발판 모듈과 함께 인출되도록 상기 걸림핀과 맞물림되는 후크 링크; 및
    상기 후크 링크와 일체로 회동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 1 발판 모듈이 상기 돌출 지지부 끝단까지 인출됨에 따라 별도의 가압 블록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후크 링크가 상기 걸림핀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도록 회동하는 후크 작동 링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지지 수단은
    상기 제 1 발판 모듈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별도의 래칫 기어에 맞물림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팔로어 링크; 및
    상기 팔로어 링크와 일체로 회동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 2 발판 모듈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팔로어 작동 링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팔로어 링크는 상기 제 2 발판 모듈이 상기 제 1 발판 모듈로부터 외부로 인출 내지 인입됨에 따라 상기 팔로어 작동 링크와 함께 회동하여 상기 래칫 기어에 맞물림 내지 해제되고, 상기 제 1 발판 모듈은 상기 팔로어 링크가 상기 래칫 기어에 맞물림됨에 따라 위치 고정 내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26. 제 12 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그리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 유닛에 각각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발판 댐퍼 홀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KR20130066122A 2013-06-10 2013-06-10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KR101487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6122A KR101487398B1 (ko) 2013-06-10 2013-06-10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6122A KR101487398B1 (ko) 2013-06-10 2013-06-10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384A true KR20140144384A (ko) 2014-12-19
KR101487398B1 KR101487398B1 (ko) 2015-01-29

Family

ID=52592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6122A KR101487398B1 (ko) 2013-06-10 2013-06-10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3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117B1 (ko) * 2017-12-19 2019-03-13 주식회사 대산기계 승강장에 설치되는 안전발판 및 그 안전발판의 설치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02813B (zh) * 2015-04-29 2017-04-26 河南师范大学 一种列车上下车的坡形踏板
KR101854811B1 (ko) 2016-11-25 2018-05-08 (주) 진합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5396Y2 (ja) * 1989-07-07 1995-10-18 株式会社ニシヤマ 鉄道車両用側出入口のステップ装置
KR200292093Y1 (ko) 2002-07-30 2002-10-18 김철 전동차용 장애자 승하차 발판 및 안전발판대
KR101135632B1 (ko) * 2010-03-02 2012-04-17 나노씰(주) 철도 차량용 안전발판 장치
KR101309769B1 (ko) * 2011-08-30 2013-09-17 (사)한국철도차량엔지니어링 철도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117B1 (ko) * 2017-12-19 2019-03-13 주식회사 대산기계 승강장에 설치되는 안전발판 및 그 안전발판의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398B1 (ko) 201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6260B1 (ko) 승강장용 안전발판
US9016437B2 (en) Personal stair lift
US20110280700A1 (en) Transfer device
CA2209087A1 (en) An improved movable ramp assembly
KR101487398B1 (ko)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JPS5849539A (ja) 乗物用可動フ−トステツプ
WO2007091461A1 (ja) 乗降用車両
KR101518136B1 (ko)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
KR101854811B1 (ko)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KR101423821B1 (ko) 차량용 계단식 가동 발판 장치
KR101487403B1 (ko)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KR101487402B1 (ko)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KR101487401B1 (ko)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KR101309769B1 (ko) 철도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JP6018713B2 (ja) 旅客搭乗橋
KR101940648B1 (ko) 지하철 승강장 안전발판 장치
US6074306A (en) Amusement park vehicle for the physically disabled
JPH07315742A (ja) エスカレーター装置
KR101701391B1 (ko) 승강장용 안전발판
KR101412087B1 (ko)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CN213138765U (zh) 扶梯结构及具有其的车辆
KR100466446B1 (ko)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JPH08507342A (ja) 機械的駐車装置
GB2417021A (en) Passenger service vehicle disabled persons lift
KR101522793B1 (ko)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