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2793B1 -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2793B1
KR101522793B1 KR1020130152654A KR20130152654A KR101522793B1 KR 101522793 B1 KR101522793 B1 KR 101522793B1 KR 1020130152654 A KR1020130152654 A KR 1020130152654A KR 20130152654 A KR20130152654 A KR 20130152654A KR 101522793 B1 KR101522793 B1 KR 101522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latform
guide rail
bridg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2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식
Original Assignee
김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식 filed Critical 김호식
Priority to KR1020130152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27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01F1/005Portable or movable traffic-area platforms or islands, e.g. portable loading islands, retractable platforms for traffic-directing officer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출입문 하단에 설치된 가이드레일부; 승강장과 선로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이 승강장에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차량이 승강장에 정차하였을 때 상기 가이드레일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승강장 연단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감지부의 동작에 연동되어 펼쳐지거나 접혀지며, 펼침시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레일부에 끼움되어 상기 승강장과 차량사이의 수평적 틈새 공간을 차단하고, 수직적 단차를 해소하는 브릿지부;를 포함하는 승강장용 안전 브릿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에 따르면, 승강장과 차량 사이의 수평적 틈새 공간을 차단하고 수직적 단차를 해소하여 차량의 승,하차시 승객의 안전사고를 방지함으로써 승객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또한, 별도의 동력원이나 제어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고장가능성이 매우 낮고, 차량운행에 어떠한 지장도 초래하지 아니하며, 설치시 승강장의 기존 구조물을 해체하지 않아 저비용의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또한, 구조가 단순하고, 조작이 편리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부분적 교체 및 설치가 가능하며, 관리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Safety Bridge System for Railway Platform}
본 발명은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차량과 승강장 사이의 틈새 공간을 차단하고 수직적 단차를 해소하여 바퀴 빠짐이나 실족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철이나 지하철, 열차 등의 철도차량(이하‘차량’으로 약칭함)의 역사에는 승객의 승하차를 위한 승강장(PLATFORM)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승강장은 차량의 좌우 동요를 고려하여 승강장의 연단과 차량 출입문 사이에 일정 폭의 틈새 공간이 불가피하게 형성되며, 승강장이 곡선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승하차의 위치별로 추가적인 틈새 공간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차량과 승강장 사이의 틈새 공간은 차량의 승,하차시 승객의 안전사고를 발생시킨다. 즉, 어린이, 노인, 전동 또는 수동 휠체어에 의지하여 이동하는 승객, 유모차 또는 카트를 동반한 승객, 취객 등의 사회적 교통 약자에게는 승,하차시의 틈새 공간이 두려움의 대상이며 이 때문에 전철 또는 지하철 이용을 포기하거나, 이용하는 경우 실제로 바퀴 빠짐이나 실족 등의 사고로 인해 큰 부상을 입거나 인명을 잃을 정도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교통 약자가 아닌 일반 승객이라도 상기와 같은 안전사고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그 예로 승객이 집중되는 출퇴근 시간대의 승,하차시 수많은 승객들 틈에서 시야가 확보되지 않은 상태로 떠밀리면 몸의 중심을 잃고 발을 헛디뎌 승객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틈새 공간에 실족하는 사고도 발생한다. 따라서 안전사고에 대한 위험은 상기한 교통 약자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이에 승강장 연단과 차량의 출입문 사이 간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의 제안에는, 안전장치의 설치장소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차량 측에 설치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승강장 측에 설치되는 것이다.
차량 측에 설치되는 경우, 차량의 변형이 요구되어 이미 운행중인 차량에는 적용이 불가능하여 실제의 활용이 어렵고 일부의 고장이 발생하면 차량운행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그리고, 승강장 측에 설치되는 경우,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여 비용이 상승하고 그만큼 고장가능성이 커져 유지 보수 등의 관리비용이 증가하거나 설치시공상 승강장의 기존 구조물을 해체하여 설치비용 상승 및 설치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설치장소의 구분을 불문하고 종래 개시된 대부분 제안이 전력 등과 같은 별도의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을 공급받는 구조로 인해 전력 소모에 따른 비용발생과 동력공급 중단시 작동불능이 되며 이에 수반되는 제어장치의 오작동도 불리한 점이다.
또한 이들은 수평적 틈새 공간만을 메워주는 데에 그치고 있다. 하지만, 승강장과 차량 출입구 사이에는 수평적 틈새 공간뿐만 아니고 수직적 단차도 수시로 변화되면서 발생한다.
즉, 차량 출입구의 바닥면이 승강장의 그것보다 높거나 낮거나 또는 동일하여 이러한 변위가 수시로 일어난다.
이 같은 단차 발생은 승,하차시 승객에게 또 다른 장애물이고 위험요인이다.
특히, 휠체어승객 등과 같이 바퀴에 의한 이동수단은 이 단차를 넘어갈 때 중심을 잃고 쓰러질 수 있기 때문에 심리적 불안과 어려움을 겪는다.
선 출원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702614(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에서는 동력 공급이 필요 없고 개략적으로 경사면과 롤러가 구비된 제1몸체 및 제2몸체로 구성되며 제2몸체가 차량의 몸체와 부딪칠 때 충격을 완화하도록 제1몸체에 스프링을 구비한‘지하철 승강장용 안전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은 수평적 틈새 공간만을 메워줄 뿐 수직적 단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차량의 몸체와 부딪치는 충격이 불필요한 시점과 위치에서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구조의 파손 가능성이 매우 크며 그만큼 충격소음도 발생한다.
차량이 승강장에 진입하여 정차위치에 정차하는 과정에서 차량의 속도는 승강장의 위치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다. 즉, 선두차량이 진입하는 부분의 승강장에서 차량속도는 승강장의 전 구간 중 최고속도이며 이는 대략 60Km/H에 달한다.
따라서, 이 부분의 승강장에 설치된 안전장치는 그에 따른 과도한 충격 회수 및 충격속도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쉽게 파손되며 더 큰 충격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10 - 1274946 (공고일 2013. 06. 17)
한국등록특허: 10 - 0485448 (공고일 2005. 04. 27)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장과 차량 사이의 수평적 틈새 공간을 차단함과 동시에 수직적 단차를 해소하여 차량의 승,하차시 승객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동력원이나 제어장치를 사용하지 않아 고장가능성이 매우 낮고, 차량운행에 어떠한 지장도 초래하지 아니하며, 설치시 승강장의 기존 구조물을 해체하지 않아 저비용의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관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승강장용 안전 브릿지 시스템은 차량의 출입문 하단에 설치된 가이드레일부; 승강장과 선로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이 승강장에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차량이 승강장에 정차하였을 때 상기 가이드레일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승강장 연단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감지부의 동작에 연동되어 펼침되며, 펼침시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레일부에 끼움되어 상기 승강장과 차량의 수평적 틈새 공간을 차단하고 수직적 단차를 해소하는 브릿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부는 브릿지부의 수직적 단차의 발생시 브릿지부를 수용할 수 있는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브릿지부는 감지부의 동작에 연동되어 위치의 가변이 이루어지는 변환부와, 상기 변환부의 위치 가변에 따라 선로 측으로 돌출되게 펼쳐지거나 승강장 측에 밀착하게 접혀지고 펼침시 상기 차량의 가이드레일부에 끼움되어 승강장과 차량 사이의 틈새 공간을 차단하는 디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는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봉과, 상기 차량봉과 맞닿을 수 있게 승강장과 선로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의 승강장 진입시 차량봉의 미는 힘에 의해 회전되는 감지봉과, 상기 감지봉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브릿지부를 가로질러 승강장의 단부에 타단이 탄성지지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에서 분기되어 상기 브릿지부의 변환부에 연결되는 분기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디딤부는 승강장 연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힌지 결합되는 다수의 암과, 상기 다수의 암 타단부들과 힌지 결합되고 측벽에 롤러가 구비되는 제 2 프레임과, 상기 다수의 암 상부에 얹혀지고 제 1, 제 2 프레임에 양단이 결합되며 암의 회동에 따라 접힘되거나 펼침되는 디딤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환부는 제 1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고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가이드홈의 양측에 제 1, 제 2 고정홈이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가이드홈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변환스냅과, 상기 지지판에 고정되어 상기 변환스냅을 관통하는 분기와이어를 탄성지지시키는 제 1 복원스프링과, 상기 제 1 복원스프링과 변환스냅 사이의 분기와이어 상에 결합되어 분기와이어의 당김시 변환스냅을 위치이동시키는 제 1 고정편과, 상기 변환스냅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프레임에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변환스냅의 이동에 따라 작용점이 변하는 변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변환부는 차량의 가이드레일부에 끼움되는 디딤부의 일측 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이드레일부의 선단에 걸림되는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에 연결되고 상기 변환스냅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는 제 2 복원스프링에 연결되는 복귀와이어와, 상기 제 2 복원스프링과 변환스냅 사이의 복귀와이어 상에 결합되어 복귀와이어의 당김시 변환스냅을 이동시키는 제 2 고정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롤러는 수직축롤러와 수평축롤러로 구분되고, 상기 수직축롤러는 탄성지지체로 지지되어 완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디딤판은 다수의 슬랫이 적층되게 연결되고, 상기 적층되는 슬랫은 펼쳐지고 접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딤부의 제 1 프레임은 승강장 연단에 고정되는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과 제 1 프레임의 접촉면에는 제 1 프레임의 회동범위를 일정각도 제한하기 위한 회동제한 돌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브릿지부의 펼침동작은 차량의 가이드레일부에 대응되는 브릿지부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브릿지부에 대응되는 가이드레일부와 상기 가이드레일부 바로 앞의 가이드레일부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에 따르면, 승강장과 차량 사이의 수평적 틈새 공간을 차단함과 동시에 수직적 단차를 해소하여 차량의 승,하차시 승객의 안전사고를 방지함으로써 승객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동력원이나 제어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고장가능성이 매우 낮고, 차량운행에 어떠한 지장도 초래하지 아니하며, 설치시 승강장 또는 차량의 기존 구조물을 해체하지 않아 저비용의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가 단순하고, 조작이 편리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부분적 또는 선택적 교체 및 설치가 가능하며, 관리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과의 충격이 완화됨으로 충격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고, 충격에 대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 및 시스템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이 승강장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에서 가이드레일부가 차량의 출입문 하단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에서 차량봉이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에서 차량봉 및 감지봉의 설치위치와 브릿지부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에서 브릿지부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에서 브릿지부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의 (a),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에서 브릿지부의 접힘 및 펼침시 디딤판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에서 브릿지부의 변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의 (a) 내지 (c)는 도 6 변환부의 복귀동작을 수행하는 걸림턱의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
도 9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에서 승강장과 차량을 연결하는 브릿지부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위해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이 승강장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에서 가이드레일부가 차량의 출입문 하단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에서 차량봉이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에서 차량봉 및 감지봉의 설치위치와 브릿지부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에서 브릿지부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에서 브릿지부가 접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6의 (a),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에서 브릿지부의 접힘 및 펼침시 디딤판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a)는 브릿지부의 접힘시 디딤판의 접힘상태를 나타내고, (b)는 브릿지부의 펼침시 디딤판의 펼침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에서 브릿지부의 변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의 (a) 내지 (c)는 도 6 변환부의 복귀동작을 수행하는 걸림턱의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a)는 걸림턱이 가이드레일부에 걸림된 상태이고,(b)는 차량의 전진시 걸림턱이 가이드레일부에 이끌려 이동하는 상태이며, (c)는 차량의 더 전진할 때 걸림턱이 가이드레일부로부터 이탈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9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에서 승강장과 차량을 연결하는 브릿지부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a)는 승강장과 차량의 가이드레일부 높이가 같을 때 브릿지부의 연결상태이고, (b)는 승강장보다 차량의 가이드레일부의 높이가 높을 때 브릿지부의 연결상태이며, (c)는 승강장보다 차량의 가이드레일부의 높이가 낮을 때 브릿지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은 차량(10)의 출입문(11) 하단에 설치된 가이드레일부(100)와, 승강장(20)의 선로 또는 승강장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차량이 승강장(20)에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200)와, 차량(10)이 승강장(20)에 정차하였을 때 가이드레일부(100)와 대응되는 위치의 승강장(20) 연단에 설치되고, 감지부(200)의 동작에 연동되어 펼침되며, 펼침시 일단부가 가이드레일부(100)에 끼움되어 승강장(20)과 차량(10) 사이의 수평적 틈새 공간을 차단하고 수직적 단차를 해소하는 브릿지부(30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부(100)는 차량(10)에 구비된 다수개의 출입문(11) 하단에 설치되고, 출입문(11)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가이드레일부(100)에는 수직적 단차의 발생시 브릿지부(3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선단에 가이드프레임(110)이 구비된다.
가이드프레임(110)은 가이드레일부(100)의 선단 상,하부에 나팔모양으로 외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경사각 범위(G) 내에서 가이드레일부(100)의 높이보다 높게 또는 낮게 위치하는 브릿지부(300)의 일단부를 수용하여 가이드레일부(10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200)는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봉(210)과, 차량봉(210)과 맞닿을 수 있게 승강장과 선로 사이에 구비되는 감지봉(220)과, 감지봉(220)에 일단이 결합되고 브릿지부(300)들을 가로질러 승강장(20)의 단부에 타단이 탄성지지되는 와이어(230)와, 와이어(230)에서 분기되어 브릿지부(300)들과 연결되는 분기와이어(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차량봉(210)은 그 장착위치가 어느 특정한 곳으로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하부로 돌출되게 장착되고, 감지봉(220)은 선로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설되는 지지대(221) 위에 중앙이 핀 결합되어 핀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설치된다. 이때, 감지봉(220)은 일단부가 차량봉(210)과 맞닿을 수 있도록 설치되고 타단부가 와이어(230)의 일단부와 결합된다.
그리고, 감지봉(220)에 일단부가 결합된 와이어(230)는 승강장 연단에 설치된 브릿지부(300)들의 하부를 가로질러 승강장(20) 단부에 고정된 스프링(231)에 타단이 결합된다. 이때, 스프링(231)은 고정부재(232)에 의해 승강장(20) 단부에 결합되어 와이어(230)가 적절한 인장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일정 이상의 인장력이 작용하면 복원력이 작용한다.
그리고, 와이어(230)에서 분기되는 분기와이어(240)는 와이어클립(250)에 의해 와이어(230)와 연결된다.
여기서, 와이어클립(250)의 조절 또는 제거에 의해 감지부(200)의 감지동작이 브릿지부(300)로 연결되지 않게 하여 브릿지부(300)의 펼침(돌출)동작을 차단할 수 있고, 감지부(200) 또는 부릿지부(300)의 유지보수 및 교체시 부분 교체가 가능하며, 또한 브릿지부에 대한 선택적 설치 및 분리가 간편하게 된다.
또한, 승강장(20) 연단에는 와이어(230)와 분기와이어(240)의 설치 경로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와이어(230)와 분기와이어(240)의 이동을 안내하는 풀리(260)가 구비된다. 풀리(260)는 와이어(230) 또는 분기와이어(240)를 지지하여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고 이동경로를 바꾸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감지부(200)는 차량(10)에 장착된 차량봉(210)과 승강장과 선로 사이에 구비된 감지봉(220)의 감지동작에 연동하여 브릿지부(300)의 펼쳐지는 동작이 수행되므로 차량의 각 출입문(11) 하단에 설치된 가이드레일부(100)에 브릿지부(300)가 끼움되는 동작이 수행되기 위해서, 차량봉(210)은 차량의 출입문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출입문(이하, 특정 출입문이라고 함) 바로 전방에 구비되고, 감지봉(220)은 차량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선택된 출입문에 대응되는 브릿지부(이하, 특정 브릿지부)와 그 후방에 위치한 브릿지부 사이의 선로에 위치되어, 승강장의 특정 브릿지부(300)의 펼침 동작이 그 특정 브릿지부(300)에 대응되는 가이드프레임(110)과 그 특정브릿지부에 대응되는 가이드프레임(110)의 바로 앞의 가이드레일부(100) 사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20)으로 진입하는 차량(10)은 승강장 측 1-1, 1-2, 1-3...에 대응하여 차량의 출입문 1-1, 1-2, 1-3...이 위치되게 정차된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여, 특정 브릿지부(300)가 승강장 1-2의 브릿지부(300)일 경우, 이 승강장 1-2의 브릿지부(300)가 차량출입문 1-2의 가이드레일부(100)에 끼움되기 위해서는 차량출입문 1-2의 가이드프레임(110)이 도달하기 전에, 그리고 차량출입문 1-1의 가이드레일부(100)가 지나간 후에 승강장 1-2의 브릿지부(300)가 펼쳐져야 한다. 즉, 승강장 1-2의 브릿지부(300)의 펼침 동작은 차량출입문 1-1의 가이드레일부(100)와 차량출입문 1-2의 가이드프레임(110) 사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여기서, 차량출입문 1-1의 가이드레일부(100)가 지나간 직후인 Q지점 또는 시점에서 승강장 1-2의 브릿지부(300)가 펼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함께 여타의 순번에 대응되어 설치된 가이드레일부(100)와 브릿지부(300)의 끼움결합이 동시에 일괄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레일부(100) 및 가이드프레임(110) 그리고 브릿지부(300)의 위치 또는 시점에 대한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차량봉(210)과 감지봉(220)의 설치위치가 정해질 수 있으며, 이는 어느 특정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브릿지부(300)는 감지부(200)의 동작에 연동되어 위치의 가변이 이루어지는 변환부(320)와, 변환부(320)의 위치 가변에 따라 선로쪽으로 돌출되게 펼쳐지거나 승강장 측에 밀착하게 접혀지고 펼침시 차량의 가이드레일부(100)에 끼움되어 승강장과 차량의 틈새 공간을 차단하는 디딤부(340)를 포함한다.
먼저, 도 5a, 도 5b, 도 6의 (a),(b),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딤부(340)는 승강장 연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프레임(341)과, 제 1 프레임(3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암(342)과, 다수의 암(342) 타측에 힌지 결합되고 측벽에 롤러가 구비되는 제 2 프레임(343)과, 다수의 암(342) 상부에 얹혀지고 양단이 제 1, 제 2 프레임(341,343) 결합되며 암(342)의 회동에 따라 접힘되거나 펼침되는 디딤판(347)을 포함한다.
도 5a,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프레임의 측벽에 구비된 롤러는 수직축롤러(344)와 수평축롤러(346)로 구분되며, 수직축롤러(344)는 완충작용을 하는 판스프링 등의 탄성지지체(345)로 지지되어 수평축롤러(346)보다 더 돌출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수직축롤러(344)는 외주면에 고무 등의 탄성부재가 형성되고 탄성지지체에 지지되어 차량과의 접촉이 발생할 때 탄성지지체(345) 및 탄성부재의 완충작용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이 발생되지 않게 하는 기능을 하며, 수평축롤러(346)는 가이드레일부(100) 내에서 가이드레일부(100)의 길이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지만 축방향으로는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제 2 프레임(343)의 일단에는 후술되는 걸림턱(329)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안내부(348)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 6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딤판(347)은 다수의 슬랫(347a.347b,347c,347d)이 다단으로 적층되게 연결되되, 슬랫의 양측단부에 탄성걸림돌기와 탄성걸림돌기가 끼움되는 걸림홈이 구비되어 펼침과 접힘될 때 슬랫간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제 1 프레임(341)과 제 2 프레임(343)에 접하는 슬랫 중 어느 하나는 제 1 프레임(341) 또는 제 2 프레임(343)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디딤부가 펼침과 접힘될 때 나머지 프레임에 그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프레임(341)은 차량의 출입문 하단에 설치된 가이드레일부(100)와의 단차에 구애받지 않고 제 2 프레임의 롤러(344,346))가 가이드레일부(100)에 끼움될 수 있게 승강장(20) 연단에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브라켓(31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브라켓(311)과 제 1 프레임(341)의 접촉면에는 제 1 프레임(341)의 회동범위를 일정각도 제한하기 위해 회동제한 돌기부(311a,341a)가 구비된다.
또한, 디딤부(340)가 접힘 상태일 때 제 2 프레임 측이 아래로 기우는 것을 방지하고 수평을 유지하도록 브라켓(311)과 제 1 프레임 (341)의 회동축 사이에 토션스프링(312)이 구비된다.
변환부(320)는 제 1 프레임(341)에 결합되는 지지판(321)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가이드홈(322)이 형성되고 가이드홈(322)의 양측에 제 1, 제 2 고정홈(323a,323b)이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홈(322)의 외측에 각각 제 1, 제 2 고리부(324a,324b)가 구비되고, 제 1, 제 2 고리부(324a, 324b)의 외측에 각각 제 1, 제 2 고정대(325a,325b)가 돌설된다.
그리고, 지지판(321)의 가이드홈(322)에는 분기와이어(240)가 관통되는 변환스냅(326)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 고정대(325a)에는 제 1 복원스프링(327)이 고정되어 변환스냅(326) 및 제 1 고리부(324a)를 관통하는 분기와이어(240)를 탄성지지시킨다. 그리고, 제 1 복원스프링(327)과 변환스냅(326) 사이의 분기와이어(240) 상에는 분기와이어(240)의 당김시 변환스냅(326)을 위치이동시키는 제 1 고정편(328)이 결합되고, 변환스냅(326)에는 디딤부의 제 2 프레임(343)과 결합되는 변환스프링(333)이 결합된다.
이에 더하여 변환부(320)는 디딤부(340)의 제 2 프레임(343) 일단부에 구비된 안내부(348)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턱(329)과, 걸림턱(329)에 연결되고 지지판(321)과 변환스냅(326)을 관통하여 제 2 고리부(324b)에 끼움되는 복귀와이어(330)와, 일단이 복귀와이어(33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고정대(325b)에 결합되어 복귀와이어(330)를 탄성지지시키는 제 2 복원스프링(331)과, 제 2 복원스프링(331)과 변환스냅(326) 사이의 복귀와이어(330) 상에 결합되어 복귀와이어(330)의 당김시 변환스냅(326)을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제 2 고정편(332)을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329)은 디딤부(340)의 제 2 프레임 일측 단부에 형성된 안내부(348)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디딤부(340)의 롤러(344,346)가 차량의 가이드레일부(100)에 끼움된 이후에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부(100)의 선단에 걸림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329)은 차량이 전방으로 더 이동하면 가이드레일부(100)에 이끌려 차량진행방향(도면의 화살표방향)으로 밀려나게 되며, 밀려나간 걸림턱(329)이 제 2 프레임(343)의 안내부(348)를 벗어날 때, 가이드레일부(100)를 이탈하기 시작하고 차량이 더 이동함에 따라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329)은 가이드레일부(100)가 벗어날 때까지 이탈된 상태가 된다. 이에, 걸림턱(329)은 가이드레일부(100)의 이탈이 용이하도록 일측이 경사면을 이룬다.
그리고, 변환스프링(333)은 일단부가 변환부의 변환스냅(326)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제 2 프레임(343)의 하단에 결합되어 변환스냅(326)의 위치이동에 따라 작용점이 변하며, 작용점의 변화에 따라 제 2 프레임을 당기거나 밀어서 디딤부가 접혀지고 펼쳐지게 동작시킨다. 즉, 변환스프링(333)은 변환스냅(326)과 연결되어 변환스냅(326)의 위치이동에 따라 디딤부(340)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10)이 승강장(20)으로 진입하여 차량(10)에 장착된 차량봉(210)이 승강장과 선로 사이에 구비된 감지봉(220)의 일단부를 밀고 지나가면 차량봉(210)의 미는 힘에 의해 감지봉(220)이 회전을 하게 되고, 감지봉(220)의 회전에 의해 감지봉(220)의 타단부에 결합된 와이어(230)가 당겨지게 된다. 이때, 와이어(230)의 타단부가 승강장(20)의 단부에 고정되는 스프링(231)에 결합되어 있어 스프링(231)의 이완과 함께 와이어(230)의 당김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와이어(230)에서 분기되는 분기와이어(240)는 와이어(230)의 당김 동작과 연동되어 브릿지부(300)의 변환부(320)를 작동시킨다.
이어, 와이어(230)의 당김 동작에 의해 분기와이어(240)의 당김이 이루어지면 분기와이어(240)가 결합된 제 1 복원스프링(327)의 이완과 함께 분기와이어(240) 상에 결합된 제 1 고정편(328)이 이동하면서 ‘A’위치의 변환스냅(326)을 ‘B’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B’위치로 이동된 변환스냅(326)은 ‘B’위치의 제 2 고정홈(323b)에 고정되게 된다.(도 7 참조)
이어, 변환스냅(326)의 위치 이동은 변환스냅(326)에 연결된 변환스프링(333)의 작용점을 변화시킨다. 작용점이 변한 변환스프링(333)은 미는 힘이 작용하여 제 2 프레임(343)을 제 1 프레임(341)으로부터 멀어지게 하고, 이로 인하여 제 2 프레임(343)에 힌지결합된 각각의 암(342)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펼쳐지게 되며 아울러 다단으로 접힘된 디딤판(347)이 펼쳐지게 된다. 즉, 디딤부(340)가 선로쪽으로 돌출되게 펼쳐진다.(도 5a. 도 6a 참조)
그리고, 선로쪽으로 돌출되게 펼쳐진 디딤부(340)의 수직축롤러(344)와 수평축롤러(346)는 진입하는 차량의 가이드프레임(110)을 경유하여 가이드레일부(100)에 끼움되면서 펼쳐진 상태의 디딤부(340)를 결속시킨다.(도 9참조)
여기서, 디딤부(340)가 가이드레일부(100)에 끼움되기에 앞서 수직축롤러(344)가 차량(10)의 측벽에 부딪히지만 외주면에 고무 등의 탄성부재로 형성된 수직축롤러(344)를 지지하는 판스프링 등의 탄성지지체(345)에 의해 완충되며, 차량(10)은 정차위치에 근접하여 느린 속도로 이동함에 따라 수직축롤러(344)의 구름운동을 통해 수평축롤러(346)가 가이드레일부(100)에 자연스럽게 끼움된다.
만약, 도 9의 (b)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디딤부(340)가 가이드레일부(100)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높이가 서로 달라 단차(P1,P2)를 형성하더라도 가이드레일부(100)의 선단에 나팔모양으로 형성된 가이드프레임(110)이 디딤부의 수직축롤러(344)와 수평축롤러(346)를 수용하여 가이드레일부(100)로 안내함으로 가이드프레임(110)의 경사각 범위(G) 내에 들도록 되어 있는 디딤부(340)의 수직축롤러(344)와 수평축롤러(346)는 가이드레일부(100)에 끼움되게 된다. 그리고, 걸림턱(329)은 가이드레일부(100)의 선단에 걸림된 상태가 된다.
이처럼, 디딤부(340)의 수직축롤러(344)와 수평축롤러(346)가 차량의 가이드레일부(100)에 끼움되면 승강장과 차량 사이의 수평적 틈새 공간을 차단함과 동시에 승강장과 차량 사이의 수직적 단차를 해소하게 되며, 아울러 승객의 안전한 승하차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변환스냅(326)의 위치를 이동시킨 제 1 고정편(328)은 변환스냅(326)의 위치를 제 2 고정홈(323b)에 고정시킨 다음 이완된 제 1 복원스프링(327)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고 아울러 분기와이어(240) 및 와이어(230)의 당김이 해지되면서 감지봉(220) 또한 원위치로 자동 복귀된다. 이로써 다음 펼침작동을 위한 준비 상태가 된다.
이어, 승객의 승하차가 완료된 후 차량(10)의 출입문(11)이 폐쇄되면 차량(10)은 출발하게 된다.
이때, 차량(10)의 출발에 따른 이동으로 인하여 걸림턱(329)은 가이드레일부(100)의 선단에 걸림되어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밀려나 이동됨에 따라, 걸림턱(329)에 연결된 복귀와이어(330)가 당겨지며, 복귀와이어(330)의 당김에 의해 복귀와이어(330)가 결합된 제 2 복원스프링(331)의 이완과 함께 복귀와이어(330) 상에 결합된 제 2 고정편(332)이 이동하게 되면서 ‘B’위치의 변환스냅(326)을 ‘A’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A’위치로 이동된 변환스냅(326)은 ‘A’위치의 제 1 고정홈(323a)에 고정되게 된다.(도 7 참조)
이에 따라, 작용점이 변경된 변환스프링(333)이 제 2 프레임(343)을 제 1 프레임(341)측으로 당기는 작용을 하지만, 디딤부(340)의 수평축롤러(346)가 가이드레일부(100)에 걸려 있는 동안에는 디딤부(340)가 접히지 못하고 펼쳐진 상태로 유지되다가 차량의 이동이 더 진행되어 마지막 수평축롤러(346)가 가이드레일부(100)를 빠져나올 때 비로서, 디딤부(340)의 접힘 동작이 수행된다. 이와 동시에, 밀려나 있던 걸림턱(329)이 제 2 복원스프링(331)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며 이와 함께 복귀와이어(330) 및 복귀와이어(330) 상에 결합된 제 2 고정편(332)도 원위치로 복귀된다.(도 7, 도 8 참조)
이때, 제 2 프레임(343)이 제 1 프레임(344) 측으로 이동됨으로써 디딤부(340)의 접힘 동작이 시작되고, 이로 인하여 제 2 프레임(343)에 힌지 결합된 각각의 암(342)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접혀지게 되며 아울러 다단으로 펼침되었던 디딤판(347)이 접힘되게 된다. 즉 디딤부(340)가 승강장 측에 밀착되게 된다.(도 5b, 도 6b 참조)
그리고, 접힘된 브릿지부(300)의 전체 폭(L)은 승강장과 차량의 최소간격보다 작아서 차량과의 접촉이나 충돌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한, 차량이 없는 평상시 또는 무정차 통과 차량의 경우 접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은 승강장과 차량 사이의 수평적 틈새 공간을 차단함과 동시에 수직적 단차를 해소하여 승객의 승,하차시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또한, 별도의 동력원이나 제어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고장가능성이 매우 낮고, 차량운행에 어떠한 지장도 초래하지 아니하며, 설치시 승강장 또는 차량의 기존 구조물을 해체하지 않아 저비용의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구조가 단순하고, 조작이 편리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부분적 교체 및 설치가 가능하며, 관리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과의 충격이 완화됨으로 충격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고, 충격에 대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 차량 11: 출입문
20: 승강장 100: 가이드레일부
110: 가이드프레임 200: 감지부
210: 차량봉 220: 감지봉
230: 와이어 231: 스프링
232: 고정부재 240: 분기와이어
250: 와이어클립 260: 풀리
300: 브릿지부 311: 브라켓
311a, 341a: 회동제한 돌기부 320: 변환부
321: 지지판 322: 가이드홈
323a,323b: 제 1, 제 2 고정홈 324a,324b: 제 1, 제 2 고리부
325a,325b: 제 1, 제 2 고정대 326: 변환스냅
327: 제 1 복원스프링 328: 제 1 고정편
329: 걸림턱 330: 복귀와이어
331: 제 2 복원스프링 332: 제 2 고정편
333: 변환스프링 340: 디딤부
341: 제 1 프레임 342: 암
343: 제 2 프레임 344: 수직축롤러
345: 탄성지지체 346: 수평축롤러
347: 디딤판 347a.347b,347c,347d: 슬랫
348:안내부

Claims (11)

  1. 차량의 출입문 하단에 설치된 가이드레일부;
    승강장과 선로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이 승강장에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차량이 승강장에 정차하였을 때 상기 가이드레일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승강장 연단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부의 동작에 연동되어 펼침되며, 펼침시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레일부에 끼움되어 상기 승강장과 차량 사이의 수평적 틈새 공간을 차단하고, 수직적 단차를 해소하는 브릿지부;
    를 포함하는 승강장용 안전 브릿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부는 수직적 단차를 갖는 브릿지부를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용 안전 브릿지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부는 감지부의 동작에 연동되어 위치의 가변이 이루어지는 변환부와, 상기 변환부의 위치 가변에 따라 선로측으로 돌출되게 펼쳐지거나 승강장측에 밀착하게 접혀지고 펼침시 상기 차량의 가이드레일부에 끼움되어 승강장과 차량 사이의 틈새 공간을 차단하는 디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용 안전 브릿지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봉과, 상기 차량봉과 맞닿을 수 있게 승강장과 선로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의 승강장 진입시 차량봉의 미는 힘에 의해 회전되는 감지봉과, 상기 감지봉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브릿지부를 가로질러 승강장의 단부에 타단이 탄성지지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에서 분기되어 상기 브릿지부의 변환부에 연결되는 분기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용 안전 브릿지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딤부는 승강장 연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힌지 결합되는 다수의 암과, 상기 다수의 암 타단부들과 힌지 결합되고 측벽에 롤러가 구비되는 제 2 프레임과, 상기 다수의 암 상부에 얹혀지고 제 1, 제 2 프레임에 양단이 결합되며 암의 회동에 따라 접힘되거나 펼침되는 디딤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용 안전 브릿지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제 1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고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가이드홈의 양측에 제 1, 제 2 고정홈이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가이드홈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변환스냅과, 상기 지지판에 고정되어 상기 변환스냅을 관통하는 분기와이어를 탄성지지시키는 제 1 복원스프링과, 상기 제 1 복원스프링과 변환스냅 사이의 분기와이어 상에 결합되어 분기와이어의 당김시 변환스냅을 위치이동시키는 제 1 고정편과, 상기 변환스냅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프레임에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변환스냅의 이동에 따라 작용점이 변하는 변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용 안전 브릿지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차량의 가이드레일부에 끼움되는 디딤부의 일측 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이드레일부의 선단에 걸림되는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에 연결되고 상기 변환스냅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는 제 2 복원스프링에 연결되는 복귀와이어와, 상기 제 2 복원스프링과 변환스냅 사이의 복귀와이어 상에 결합되어 복귀와이어의 당김시 변환스냅을 이동시키는 제 2 고정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용 안전 브릿지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수직축롤러와 수평축롤러로 구분되고, 상기 수직축롤러는 탄성지지체로 지지되어 완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용 안전 브릿지 시스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딤판은 다수의 슬랫 단부가 적층되게 연결되고, 상기 적층되는 슬랫 단부는 펼쳐지고 접혀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용 안전 브릿지 시스템.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딤부의 제 1 프레임은 승강장 연단에 고정되는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과 제 1 프레임의 접촉면에는 제 1 프레임의 회동범위를 일정각도 제한하기 위한 회동제한 돌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용 안전 브릿지 시스템.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부는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봉이 선로와 승강장 사이에 구비되는 감지봉을 밀어 회전시키고 상기 감지봉의 회전으로 상기 감지봉의 일단에 결합된 와이어 및 분기와이어가 당겨지는 것에 의해 펼쳐지며,
    상기 브릿지부가 펼쳐지는 지점은 각 브릿지부와 대응되는 해당 가이드레일부의 전방에서 펼쳐지고, 차량의 이동으로 해당 가이드레일부에 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용 안전 브릿지 시스템.
KR1020130152654A 2013-12-09 2013-12-09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 KR101522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654A KR101522793B1 (ko) 2013-12-09 2013-12-09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654A KR101522793B1 (ko) 2013-12-09 2013-12-09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2793B1 true KR101522793B1 (ko) 2015-05-26

Family

ID=53395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2654A KR101522793B1 (ko) 2013-12-09 2013-12-09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27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00021A (zh) * 2015-06-30 2015-10-28 南京铁道职业技术学院 一种地铁车站站台安全防护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1616A (ja) * 2003-06-16 2005-01-06 Mitsubishi Heavy Ind Ltd 車両とホーム間の隙間調整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1616A (ja) * 2003-06-16 2005-01-06 Mitsubishi Heavy Ind Ltd 車両とホーム間の隙間調整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00021A (zh) * 2015-06-30 2015-10-28 南京铁道职业技术学院 一种地铁车站站台安全防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30663B2 (ja) スライドステップ
US4536004A (en) Movable foot-step for a vehicle
KR101518136B1 (ko)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
KR101626260B1 (ko) 승강장용 안전발판
KR102000692B1 (ko) 비상시 안전발판의 강제 접힘을 가능하게 하는 승강장의 전동차 안전발판장치
US20180362054A1 (en) Safety footboard for rail transit platform
AU2005200402B2 (en) Door threshold for access to the interior of a railway vehicle
CN105658496A (zh) 用于保护人员免受移动的轨道车辆伤害的保护壁
KR101940649B1 (ko) 구조가 간단한 승강장 안전발판장치
EP3003947B1 (en) Retractable toe guard assembly for an elevator system
CN104554282A (zh) 一种轨道交通站台安全踏板
CN104386068B (zh) 一种轨道交通站台安全踏板的防撞结构
KR101522793B1 (ko)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
CN204341017U (zh) 一种轨道交通站台安全踏板
KR101603164B1 (ko) 열차승강장 발빠짐 방지용 접철식 자동길이 조절 안전발판
KR20090043727A (ko) 지하철 승강장용 안전장치
JP2006298022A (ja) プラットホーム隙間調整装置
KR101889898B1 (ko)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KR101058879B1 (ko) 도시철도차량의 안전발판
KR101940648B1 (ko) 지하철 승강장 안전발판 장치
EP1859996B1 (en) Transport vehicle equipped with access device for persons with reduced mobility
KR100622395B1 (ko) 자기부상열차 선로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안전 난간구조물
CN104554284B (zh) 一种轨道交通站台安全踏板
WO2020177160A1 (zh) 列车站台伸缩踏板装置
CN210710254U (zh) 一种伸缩护脚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