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4244A - 파형 보지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파형 보지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4244A
KR20140144244A KR1020147029819A KR20147029819A KR20140144244A KR 20140144244 A KR20140144244 A KR 20140144244A KR 1020147029819 A KR1020147029819 A KR 1020147029819A KR 20147029819 A KR20147029819 A KR 20147029819A KR 20140144244 A KR20140144244 A KR 20140144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imping
rivet
portions
pressing flange
out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9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8319B1 (ko
Inventor
게이타 이타가키
유우키 미즈시마
가즈토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닛뽄 세이꼬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뽄 세이꼬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뽄 세이꼬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4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38Ball 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38Ball cages
    • F16C33/42Ball cages made from wire or sheet metal strips
    • F16C33/422Ball cages made from wire or sheet metal strips made from sheet metal
    • F16C33/427Ball cages made from wire or sheet metal strips made from sheet metal from two parts, e.g. ribbon cages with two corrugated annula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46Cages for rollers or needles
    • F16C33/467Details of individual pockets, e.g. shape or roller retain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0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 F16C19/0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with a single row or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6/00Joining parts; Fastening; Assembling or mounting parts
    • F16C2226/50Positive connections
    • F16C2226/52Positive connections with plastic deformation, e.g. caulking or staking
    • F16C2226/54Positive connections with plastic deformation, e.g. caulking or staking with riv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40/00Specified values or numerical ranges of parameters; Relations between them
    • F16C2240/40Linear dimensions, e.g. length, radius, thickness, ga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2/00Apparatus used in shaping articles
    • F16C2322/39General build up of machine tools, e.g. spindles, slides,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20Lan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43/00Assembling bearings
    • F16C43/04Assembling rolling-contact bea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636Process for making bearing or component thereof
    • Y10T29/49643Rotary bearing
    • Y10T29/49679Anti-friction bearing or component thereof
    • Y10T29/49691Cage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1쌍의 보지기 소자의 평탄부(12a, 12b)끼리를 결합하는 리벳(11a)의 용적의 편차에 관계없이, 이 리벳(11a)에 의한 결합부의 성상을 양호하게 한다. 리벳(11a)의 두부(16a) 및 크림핑부(19a) 각각을, 누름 플랜지부(23a, 23b)와 볼록부(24a, 24b)로 구성한다. 누름 플랜지부(23a, 23b)는 그 내측면에 의해 평탄부(12a, 12b)의 외측면을 압박한다. 볼록부(24a, 24b)는 누름 플랜지부(23a, 23b)측이 대직경인 원추대형상이다. 볼록부(24a, 24b)의 정부의 직경(d24)을 원형 구멍(15)의 내경(R15) 이하로 하고, 누름 플랜지부(23a, 23b)의 외경(D23)을 볼록부(24a, 24b)의 저부의 외경(D24) 이상으로 한다. 또한, 누름 플랜지부(23a, 23b)의 볼록부(24a, 24b)로부터의 돌출량(L23)을, 이 누름 플랜지부(23a, 23b)의 축방향 두께(T23)의 2배 이하로 한다.

Description

파형 보지기 및 그 제조 방법{RIBBON C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은, 레이디얼 볼 베어링 등, 자동차, 일반 산업 기계, 공작 기계 등의 기계 장치의 회전 지지부에 조립되는 구름 베어링을 구성하는, 볼을 보지하는 파형 보지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파형 보지기를 구성하는 1쌍의 보지기 소자끼리의 리벳에 의한 결합부의 구조 및 해당 구조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각종 기계 장치의 회전 지지부에 조립되는 구름 베어링으로서 사용되는 단열(單列) 깊은 홈형의 볼 베어링(1)을 도시하고 있다. 볼 베어링(1)은, 외주면에 내륜 궤도(2)를 마련한 내륜(3)과, 내주면에 외륜 궤도(4)를 마련한 외륜(5)과, 이들 내륜 궤도(2)와 외륜 궤도(4) 사이에 전동(轉動) 가능하게 마련된 복수의 볼(6)과, 이들 볼(6)을 전동 가능하게 보지하는 보지기(7)를 구비한다. 또한, 도시의 예에서는, 1쌍의 시일 링(8)에 의해, 볼(6) 및 보지기(7)를 설치한 공간(9)의 양단 개구부를 폐색하고 있다.
보지기에는 몇개의 종류가 존재하지만, 도시의 보지기(7)는 파형 보지기라고 불리는 것이며, 그 구조는, 일본 공개 특허 제 1995-301242 호 공보, 일본 공개 특허 제 1998-281163 호 공보, 일본 공개 특허 제 1999-179475 호 공보, 일본 공개 특허 제 2009-8164 호 공보, 일본 공개 특허 제 2009-236227 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다. 파형 보지기(7)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쌍의 보지기 소자(10)를 복수의 리벳(11)으로 접합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보지기 소자(10)는, 강판, 스테인리스 강판 등의 금속판제의 소재를, 프레스 가공에 의해 원환상으로 펀칭하는 동시에, 원주방향에 대해서 굽힘 형성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고, 평탄부(12)와 반원호부(13)가 원주방향에 대해서 교대로 연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쌍의 보지기 소자(10)는, 평탄부(12)끼리를 서로 맞댄 상태로, 리벳(11)에 의해 접합 고정되고, 한쪽의 보지기 소자(10)의 반원호부(13)와 다른쪽의 보지기 소자(10)의 반원호부(13)에 둘러싸인 부분이 볼(6)을 전동 가능하게 보지하기 위한 포켓(14)으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파형 보지기(7)의 품질을 확보하고, 볼 베어링(1)에 소망의 성능을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리벳(11)에 의한, 평탄부(12)끼리의 결합부의 성상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면, 평탄부(12)끼리의 결합부의 성상에는, 각각의 리벳(11)의 치수 정밀도가 영향을 미친다. 그렇지만, 제품 비용의 관점에서, 리벳(11)은 매우 저비용으로 제조되는 것이 요구되고 있어, 제조 공차를 엄격하게 규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 때문에, 복수의 리벳(11) 사이에 용적의 편차가 어느 정도 생긴다. 이러한 용적의 편차에 근거하여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쌍의 보지기 소자(10)끼리를 리벳(11)에 의해 결합 고정하기 위해서, 이들 보지기 소자(10)의 평탄부(12a, 12b)의 서로 정합하는 부분에, 원형 구멍(1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리벳(11)은, 필요로 하는 강도 및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게다가 소성 변형 가능한 재료인 연강, 구리계 합금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해 제조되어 있으며, 외향 플랜지형상의 두부(16)와, 원주형상의 로드부(rod section)(17)를 구비한다. 두부(16)의 외경은 원형 구멍(15)의 내경보다 크고, 로드부(17)의 외경은 선단부를 크림핑(crimping)하기 이전의 상태로, 원형 구멍(15)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다.
리벳(11)에 의해 평탄부(12a, 12b)끼리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로드부(17)를 원형 구멍(15)에 관통 삽입하는 동시에, 한쪽의 평탄부(12a)에 대향하는 두부(16)의 내측면을, 다른쪽의 평탄부(12b)와 반대측의 면인 평탄부(12a)의 외측면에 접촉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로드부(17)의 선단부가 다른쪽의 평탄부(12b)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한다. 또한, 리벳(11)을 1쌍의 크림핑 금형(18a, 18b)에 의해, 축방향으로 압궤하여, 로드부(17)의 선단부에 크림핑부(19)를 형성한다. 크림핑 금형(18a, 18b) 중, 원형 구멍(15)과 정합하는 부분으로서, 리벳(11)을 축방향 양측으로부터 압궤하는 부분에는, 원추대형상의 오목부(20a, 20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1쌍의 보지기 소자(10)끼리는, 원주방향 등간격 복수 개소에서, 리벳(11)에 의해 결합 고정되지만, 이때, 복수의 리벳(11)의 크림핑은 동시에 실행된다. 즉, 1쌍의 보지기 소자(10)를 끼운 상태로 마련한 가압부(크림핑 가공부)를 원환상으로 한 1쌍의 크림핑 금형(18a, 18b)에 의해 복수의 리벳(11)이 동시에 소성 변형된다. 크림핑 금형(18a, 18b)의 이동량(접근량)을 규제하는 것에 의해, 크림핑이 완료한 상태에서, 모든 리벳(11)의 축방향 치수가 일치한다. 환언하면, 크림핑 금형(18a, 18b)이 그 스트로크의 최근접 위치에 도달하면, 리벳(11)의 크림핑이 완료 상태라고 판단된다.
복수의 리벳(11)의 용적이 적정값이고, 그 용적이 동일하다면, 두부(16)가 약간 소성 변형하면서 한쪽의 크림핑 금형(18a)의 오목부(20a)에 충전되는 동시에, 로드부(17)의 선단부가 크게 소성 변형하면서 다른쪽의 크림핑 금형(18b)의 오목부(20b)에 충전되어서, 서로 대향하는 평탄부(12a, 12b)의 내측면끼리가 간극없이 접촉한다. 이러한 경우, 1쌍의 보지기 소자(10)의 리벳(11)에 의한 결합부의 성상은 양호하고, 특별히 문제가 생기는 일은 없다.
다만, 리벳(11)의 용적이 너무 작다면,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림핑 금형(18a, 18b)이 그 스트로크의 최근접 위치에 도달했을 경우에도, 리벳(11)의 로드부(17)의 선단부가 다른쪽의 크림핑 금형(18b)의 오목부(20b) 내에 충분히 충전되지 않고, 이 선단부에 의해 제조되는 크림핑부(19)의 형상 및 크기가 불충분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크림핑부(19)와 두부(16) 사이에서 평탄부(12a, 12b)끼리를 충분히 서로 가압할 수 없어, 이들 평탄부(12a, 12b)끼리의 사이에 간극(21)이 생긴다. 이러한 간극(21)이 생긴 상태에서는, 볼 베어링(1)의 운전시에, 비비리 음(beating noise)과 같은 이음이나, 진동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얻어진 보지기(7)의 강도 및 강성이 불충분해질 뿐만 아니라, 현저할 경우에는, 포켓(14)의 내경이 적정값보다 커지고, 이들 포켓(14)으로부터 볼(6)이 탈락할 가능성도 있다.
한편, 리벳(11)의 용적이 너무 크다면,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두부(16)의 외주연부가 한쪽의 크림핑 금형(18a)의 내측면과 한쪽의 평탄부(12a)의 외측면 사이의 간극으로 밀려나오고, 해당 부분에 박육(薄肉)의 버어(22)가 형성된다. 이러한 버어가 크림핑부(19)의 외주연부에 형성될 가능성도 있다. 박육의 버어(22)는 두부(16) 혹은 크림핑부(19)의 외주연부로부터 이탈하기 쉽고, 이탈한 버어(22)는 금속제의 소편이 되어서 볼 베어링(1)의 공간(9) 내에 머무르고, 볼 베어링(1)의 운전에 수반하여, 내륜 궤도(2), 외륜 궤도(4) 및 볼(6)의 전동면(도 3 참조)을 손상시켜, 볼 베어링(1)의 내구성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리벳(11)의 용적의 편차를 충분히 작게 하는 것에 의해, 억제할 수 있지만, 이것은 리벳(11)의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는 원인이 된다. 1개의 보지기(7)에 대해서 복수의 리벳(11)이 사용되기 때문에, 리벳(11)의 제조 비용의 상승은 보지기(7)를 포함하는 볼 베어링(1)의 제조 비용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보지기(7)에 조립되는 모든 리벳(11)이 1쌍의 크림핑 금형(18a, 18b)에 의해 동시에 크림핑되기 때문에, 그 용적의 차이에 따라서, 리벳(11)마다 압축량을 조절할 수는 없다. 또한, 각각의 리벳(11)을 개별로 크림핑하는 것은, 공업적으로도, 각각의 결합부의 강도의 밸런스를 도모하는 면에서도 비현실적이다.
또한, 일본 공개 특허 제 1999-179475 호 공보에는, 리벳을 구성하는 로드부의 선단부의 형상, 및 이 로드부의 선단부를 압궤하기 위한 크림핑 금형의 형상을 연구하는 것에 의해, 리벳에 의한 평탄부끼리의 결합부의 성상을 개선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공개 특허 제 2009-8164 호 공보에는, 크림핑 처리에 근거하여 리벳에 생기는 잔류 응력을 억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들 문헌에 있어서, 복수의 리벳의 용적의 편차에 근거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에 대해서는, 특별히 고려되어 있지 않다.
일본 공개 특허 제 1995-301242 호 공보 일본 공개 특허 제 1998-281163 호 공보 일본 공개 특허 제 1999-179475 호 공보 일본 공개 특허 제 2009-8164 호 공보 일본 공개 특허 제 2009-236227 호 공보
본 발명은, 파형 보지기를 구성하는 1쌍의 보지기 소자끼리를 결합하는 리벳의 제조 공차를 특별히 엄격하게 규제하는 일없이, 이들 보지기 소자의 평탄부끼리의 결합부의 성상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파형 보지기의 리벳에 의한 결합부의 구조 및 해당 구조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파형 보지기는, 각각이 원환상이고,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연속하는 복수의 평탄부와 복수의 반원호부를 구비하는 1쌍의 보지기 소자와, 복수의 리벳을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보지기 소자의 재료로는, 금속판제의 소재가 이용된다. 상기 평탄부는, 상기 1쌍의 보지기 소자를 조합시킨 상태로, 쌍이 되는 평탄부끼리의 정합하는 위치에 형성된 원형 구멍을 구비한다. 상기 1쌍의 보지기 소자가 조합된 상태에서, 상기 평탄부의 내측면끼리가 맞대어져, 상기 맞대어진(쌍이 되는) 평탄부끼리의 원형 구멍이 정합하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상기 반원호부의 내측면끼리의 각각의 사이에, 볼을 전동 가능하게 보지하기 위한 포켓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리벳은, 상기 1쌍의 보지기 소자를 조합시킨 상태로, 상기 원형 구멍에 관통 삽입되는 로드부와, 그 양단부에 형성된, 두부와 크림핑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두부와 상기 크림핑부에 의해, 상기 평탄부를 협지(挾持)하는 것에 의해, 상기 1쌍의 보지기 소자를 결합한다.
특히, 본 발명의 파형 보지기에서는, 상기 두부 및 상기 크림핑부는 각각 상기 원형 구멍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내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면에 의해 상기 평탄부의 외측면을 압박하는 누름 플랜지부와, 상기 누름 플랜지부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이 누름 플랜지부의 외측면(상기 원형 구멍의 개구부의 주연부에 형성한 면취부를 포함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원추대형상의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볼록부의 정부(頂部)의 외경은 상기 원형 구멍의 내경 이하이며, 상기 누름 플랜지부의 외경은 상기 볼록부의 저부의 외경 이상이다.
상기 누름 플랜지부의 축방향 두께는, 상기 평탄부를 압박하는데 필요 또한 충분한 값이고, 또한 강도 및 강성이 너무 커져서, 소성 변형에 의해 상기 누름 플랜지부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하중이 너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값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누름 플랜지부의 축방향 두께를, 상기 1쌍의 보지기 소자를 구성하는 금속판의 판두께 이하이고, 이 판두께의 1/2 이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록부의 축방향 두께의 최소값은 상기 누름 플랜지부와의 협동에 의해 상기 평탄부끼리의 결합 강도를 확보하는 면에서 규제되고, 상기 볼록부의 축방향 두께의 최대값은 소성 변형에 의해 상기 볼록부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하중이 너무 커지는 것을 방지하는 면에서 규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록부의 축방향 두께를, 상기 1쌍의 보지기 소자를 구성하는 금속판의 판두께 이하이고, 이 판두께의 1/2 이상으로 한다. 단, 상기 두부 및 상기 크림핑부의 축방향 두께(상기 누름 플랜지부의 축방향 두께와, 상기 볼록부의 축방향 두께의 합)는 상기 판두께의 1.5배 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름 플랜지부가 상기 볼록부보다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을 경우, 그 돌출량이 상기 누름 플랜지부의 축방향 두께의 2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두부 및 상기 크림핑부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볼록부의 저부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넓어지는 상태로 연속하고, 축방향을 향한 단차면이 존재하는 단차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파형 보지기의 제조 방법은, 최초에, 각각이 원환상이고,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연속하는, 원형 구멍을 갖는 복수의 평탄부와 복수의 반원호부를 구비하는 1쌍의 보지기 소자를 서로 조합시켜서, 상기 평탄부의 내측면끼리를 맞대고, 상기 맞대어진 평탄부끼리의 원형 구멍을 정합시키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상기 반원호부의 내측면끼리의 각각의 사이에, 볼을 전동 가능하게 보지하기 위한 포켓을 형성한다.
다음에, 상기 1쌍의 보지기 소자를 조합시킨 상태로, 상기 원형 구멍에,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일단부에 형성된 외향 플랜지형상의 두부의 원형(原形)을 갖는 리벳의 상기 로드부를 삽입하고, 상기 리벳의 두부의 내측면을, 상기 맞대어진 평탄부 중 한쪽의 외측면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각각이 상기 원형 구멍에 대향하는 부분에, 개구부의 내경이 가장 크고, 가장 안쪽부로 향할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원추대형상의 오목부를 구비한 1쌍의 크림핑 금형을 상기 리벳의 축방향 양쪽 외측에 배치하고, 상기 크림핑 금형의 한쪽의 상기 오목부에 상기 두부를 배치한 상태로, 상기 크림핑 금형의 다른쪽에 의해 상기 맞대어진 평탄부 중 다른쪽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한 상기 리벳의 로드부의 선단부를 축방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리벳의 로드부의 선단부 및 상기 두부를 소성 변형시키고, 상기 리벳의 로드부의 선단부 및 상기 두부를 각각, 상기 원형 구멍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내측면을 구비하며, 상기 내측면에 의해 상기 평탄부의 외측면(상기 원형 구멍의 개구부의 주연부에 형성한 면취부를 포함함)을 압박하는 누름 플랜지부와, 상기 누름 플랜지부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이 누름 플랜지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원추대형상의 볼록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볼록부의 정부의 외경은 상기 원형 구멍의 내경 이하이며, 상기 누름 플랜지부의 외경은 상기 볼록부의 저부의 외경 이상인 구조로 한다.
상기 누름 플랜지부가 각각 상기 보지기 소자의 판두께의 1/2 이상 1배 이하의 축방향 두께를 갖도록, 상기 1쌍의 크림핑 금형의 스트로크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볼록부가 각각 상기 보지기 소자의 판두께의 1/2 이상 1배 이하의 축방향 두께를 갖도록, 상기 1쌍의 크림핑 금형의 스트로크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이러한 경우, 상기 두부 및 상기 크림핑부가 상기 보지기 소자의 판두께의 1.5배 이하의 축방향 두께를 갖도록, 상기 1쌍의 크림핑 금형의 스트로크를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리벳의 각각의 용적이 제조 공차에 근거하여 상이한 경우에, 상기 제조 공차의 범위 내에서 가장 용적이 작은 리벳에 대해서, 상기 누름 플랜지부의 외경을 상기 볼록부의 저부의 외경 이상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조 공차의 범위 내에서 가장 용적이 큰 리벳에 대해서, 상기 누름 플랜지부가 볼록부보다 직경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량을 상기 누름 플랜지부의 축방향 두께의 2배 이하가 되도록, 상기 1쌍의 크림핑 금형의 스트로크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벳을 축방향으로 압궤하기 이전의 상태에서, 각각의 두부의 원형이 상기 한쪽의 크림핑 금형의 오목부의 내면에 알맞는 형상인 원추대형상이며, 상기 두부의 원형의 축방향 두께, 및 상기 리벳의 로드부의 선단부의 축방향 두께가 상기 오목부의 축방향 깊이보다 큰 리벳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파형 보지기 및 그 제조 방법에서는, 리벳의 양단부에 형성한 두부 및 크림핑부의 형상 및 치수가 적절하게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리벳의 용적에 대한 제조 공차를 특별히 엄격하게 하지 않아도, 리벳에 의한 결합부의 성상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즉, 리벳의 용적이 제조 공차의 범위 내에서 최소가 되었을 경우에도, 리벳을 축방향으로 강하게 가압하여 소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리벳의 축방향 양단부에 마련한 두부 및 크림핑부의 누름 플랜지부에 의해, 서로 중첩된 평탄부끼리가 서로 가압된다. 따라서, 평탄부의 내측면끼리를 간극없이 접촉시킬 수 있고, 또한 평탄부끼리의 결합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리벳의 용적에 관계없이, 누름 플랜지부의 축방향 두께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리벳의 용적이 제조 공차의 범위 내에서 최대가 되었을 경우에도, 두부 및 크림핑부 중 어느 쪽의 부분에도, 이들 두부 및 크림핑부로부터 분리하기 쉬운 박육의 버어가 생기는 일은 없다. 이 때문에, 리벳으로부터 이탈한 버어에 의해, 볼 베어링의 내구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리벳에 의한 결합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의 (A)는 리벳의 용적이 공차의 범위 내에서 최소가 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 1과 동일한 도면이며, 도 2의 (B)는 리벳의 용적이 공차의 범위 내에서 최대가 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 1과 동일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파형 보지기를 조립한 볼 베어링의 반부 단면도,
도 4는 볼 베어링의 파형 보지기를 취출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종전의 구조의 경우에 생기는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 2와 동일한 도면.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본 예의 파형 보지기는 1쌍의 보지기 소자(10)와, 이들 보지기 소자(10)끼리를 결합 고정하는 복수의 리벳(11a)을 구비한다. 각각의 보지기 소자(10)는, 강판, 스테인리스 강판 등의 금속판제의 소재에 의해 원환상으로 형성되고,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연속하는 복수의 평탄부(12a, 12b) 및 복수의 반원호부(13)(도 3 참조)를 구비한다. 각각의 보지기 소자(10)의 각각의 평탄부(12a, 12b)에는, 보지기 소자(10)를 조합시킨 상태로 서로 정합하는 위치에 원형 구멍(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지기 소자(10)를 서로 조합시킨 상태에서, 평탄부(12a)와 평탄부(12b)의 내측면끼리가 서로 접하고, 또한 1쌍의 보지기 소자(10)의 반원호부(13)끼리의 사이에, 볼(6)을 전동 가능하게 보지하기 위한 포켓(14)이 형성된다. 본 예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특징은, 파형 보지기를 구성하는 1쌍의 보지기 소자(10)의 각각에 마련한 복수의 평탄부(12a, 12b)끼리를 서로 접촉시킨 상태로, 이들 평탄부(12a, 12b)끼리를 리벳(11a)에 의해 결합 고정한 부분(결합부)의 구조에 있다. 파형 보지기의 그 밖의 부분의 구조는 종래의 파형 보지기와 동일하다.
본 예의 경우도, 파형 보지기의 완성후에 있어서는, 1쌍의 보지기 소자(10)가 조합된 상태로, 리벳(11a)의 각각은 로드부(17)와 그 축방향 양단부에 형성된 두부(16a)와 크림핑부(19a)에 의해 구성된다. 리벳(11a)의 로드부(17)가 1쌍의 보지기 소자(10)의 평탄부(12a, 12b)에 형성된 원형 구멍(15)을 관통 삽입한 상태로, 리벳(11a)의 로드부(17)의 축방향 양단부측에 있는 두부(16a)와 크림핑부(19a)가 이들 평탄부(12a, 12b)를 양측으로부터 협지하고 있다. 특히, 본 예의 경우, 리벳(11a)의 두부(16a) 및 크림핑부(19a)의 각각은 누름 플랜지부(23a, 23b)와 볼록부(24a, 24b)로 이루어지는 2층 구조를 구비한다. 누름 플랜지부(23a)와 볼록부(24a) 및 누름 플랜지부(23b)와 볼록부(24b)는 각각 축방향으로 향한 단차면이 존재하는 단차 형상을 포함하는, 리벳(11a)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가상 평면 상에서의 단면 형상에 대해서, 두부(16a) 혹은 크림핑부(19a)의 외주면의 윤곽선의 방향이 변화되는 형상을 갖는다. 두부(16a)의 이러한 형상의 2층 구조는 미리 원추대형상으로 형성된 두부(16a)의 원형을 크림핑 가공에 의해 축방향으로 압궤하면서 직경방향 외측으로 넓히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한편, 크림핑부(19a)의 이러한 형상의 2층 구조는 원주형상의 로드부(17)의 선단부를 크림핑 가공에 의해 축방향으로 압궤하면서 직경방향 외측으로 넓히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가공 개시시의 형상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가공 종료후의 상태에서는, 두부(16a)의 형상과 크림핑부(19a)의 형상은 서로 상이하게 된다. 단, 본 발명의 효과와의 관계에서는, 두부(16a)와 크림핑부(19a)는 상술한 바와 같은 2층 구조의 기본적 구성을 구비하는 점에서 공통된다.
두부(16a)의 기반부(基半部)[축방향에 대해서 평탄부(12a)측 반부이며, 도 1 및 도 2의 상반부], 및 크림핑부(19a)의 기반부[축방향에 대해서 평탄부(12b)측 반부이며, 도 1 및 도 2의 하반부]를 구성하는 누름 플랜지부(23a, 23b)는, 평탄부(12a, 12b)에 형성한 원형 구멍(15)의 내경(R15)보다 큰 외경(D23)(D23>R15)을 갖는다. 이러한 누름 플랜지부(23a, 23b)는 내측면에 의해 평탄부(12a, 12b)의 외측면을 압박하여, 이들 평탄부(12a, 12b)의 내측면끼리를 간극없이 접촉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평탄부(12a, 12b)의 외측면에는, 원형 구멍(15)의 개구부의 주연부에 형성한 면취부(26)를 포함한다. 이러한 누름 플랜지부(23a, 23b)의 축방향 두께(T23)는, 평탄부(12a, 12b)를 압박하는데 필요 또한 충분한 값이고, 또한 강도 및 강성이 너무 커져서, 소성 변형에 의해 누름 플랜지부(23a, 23b)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하중이 너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값으로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누름 플랜지부(23a, 23b)의 축방향에 대한 두께 치수 T23을, 보지기 소자(10)를 구성하는 금속판의 판두께(T10) 이하이고, 판두께(T10)의 1/2 이상(T10/2≤T23≤T1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판두께(T10)의 1/2 이상 3/4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두부(16a)측의 누름 플랜지부(23a)와 크림핑부(19a)측의 누름 플랜지부(23b) 사이에서, 판두께(T23)가 서로 동일할 필요는 없고, 상술한 바와 같이, 실제로는 상이한 경우가 많다. 보지기 소자(10)의 판두께(T10)는 일반적으로 0.2㎜ 내지 1.0㎜정도이다. 따라서, 누름 플랜지부(23a, 23b)의 축방향 두께(T23)는, 보지기 소자(10)의 판두께(T10)가 0.2㎜인 경우에는 0.1㎜ 내지 0.2㎜가 되고, 보지기 소자(10)의 판두께(T10)가 1.0㎜인 경우에는 0.5㎜ 내지 1.0㎜가 된다.
한편, 볼록부(24a, 24b)는, 누름 플랜지부(23a, 23b)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이 누름 플랜지부(23a, 23b)의 외측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원추대형상을 갖는다. 볼록부(24a, 24b) 중, 정부(최소경부)의 외경(d24)을, 원형 구멍(15)의 내경(R15) 이하(d24≤R15), 바람직하게는 이 내경(R15) 미만(d24<R15)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볼록부(24a, 24b) 중, 저부(최대경부)의 외경(D24)을 정부의 외경(d24)보다 크게(D24>d24) 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부의 외경(D24)을, 원형 구멍(15)의 내경(R15) 이상(D24≥R15), 더욱 바람직하게는 원형 구멍(15)의 내경(R15)보다 크게(D24>R15) 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누름 플랜지부(23a, 23b)의 외경(D23)을, 원형 구멍(15)의 내경(R15)보다 크고(D23>R15), 또한 볼록부(24a, 24b)의 저부의 외경(D24) 이상(D23≥D24), 바람직하게는 이 볼록부(24a, 24b)의 저부의 외경(D24)보다 크게(D23>D24) 하고 있다. 또한, 볼록부(24a, 24b)에 대해서도, 두부(16a)측 및 크림핑부(19a)측에서, 정부의 외경(d24)과 저부의 외경(D24)이 서로 동일할 필요는 없고, 상술한 바와 같이, 실제로는 상이한 경우가 많다. 보지기 소자(10)의 평탄부(12a, 12b)에 마련된 원형 구멍(15)의 내경(R15)은 0.6㎜ 내지 3.3㎜정도이다. 따라서, 볼록부(24a, 24b)의 정부의 외경(d24)은, 원형 구멍(15)의 내경(R15)이 0.6㎜인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0.2㎜ 이상 0.6㎜ 미만이며, 원형 구멍(15)의 내경(R15)이 3.3㎜인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3.3㎜ 미만이다.
어쨌든간에, 누름 플랜지부(23a, 23b)는, 볼록부(24a, 24b)의 저부로부터 그대로 리벳(11a)의 축방향 중앙측을 향해 연속하거나[D23=D24; 도 2의 (A)의 크림핑부(19a)측 참조], 혹은 볼록부(24a, 24b)의 저부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넓어지는 상태로 연속하고, 축방향을 향한 단차면(25a, 25b)을 거쳐서 리벳(11a)의 축방향 중앙측을 향해 연속한다[D23>D24; 도 1, 도 2의 (A)의 두부(16a)측, 및 도 2의 (B) 참조]. 두부(16a) 혹은 크림핑부(19a)가 단차 형상(D23>D24)을 갖고, 또한 누름 플랜지부(23a, 23b)가 볼록부(24a, 24b)보다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할 경우에는, 그 돌출량(L23)을, 누름 플랜지부(23a, 23b)의 축방향 두께(T23)의 2배 이하(L23≤2T23)로 한다. 누름 플랜지부(23a, 23b)의 외경(D23)이 볼록부(24a, 24b)의 저부의 외경(D24) 미만(D23<D24)인 경우, 도 5의 (A)의 크림핑부(19)와 마찬가지로, 누름 플랜지부(23a, 23b)에 의한 평탄부(12a, 12b)의 누름력이 불충분하게 되어, 보지기 소자(10)끼리의 결합력이 부족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누름 플랜지부(23a, 23b)의 돌출량(L23)이 누름 플랜지부(23a, 23b)의 축방향 두께(T23)의 2배를 초과하여 커지면(L23>2T23), 이 누름 플랜지부(23a, 23b)의 가공량(신장량)이 너무 커져서, 누름 플랜지부(23a, 23b)에 균열 등의 손상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볼록부(24a, 24b)의 저부의 외경(D24) 및 누름 플랜지부(23a, 23b)의 외경(D23)은, 원형 구멍(15)의 내경(R15)이 0.6㎜인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0.61㎜ 이상 1.0㎜ 이하이며, 원형 구멍(15)의 내경(R15)이 3.3㎜인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3.4㎜ 이상 5.2㎜ 이하이다. 또한, 두부(16a) 혹은 크림핑부(19a)가 단차 형상을 갖는 경우, 누름 플랜지부(23a, 23b)의 돌출량(L23)은 누름 플랜지부(23a, 23b)의 축방향 두께(T23)(0.1㎜ 내지 1.0㎜)에 따라서 설정된다.
또한, 볼록부(24a, 24b)의 축방향 두께(T24)의 최소값은, 누름 플랜지부(23a, 23b)와 협동하여, 평탄부(12a, 12b)끼리의 결합 강도를 확보하는 면에서 규제되고, 이 축방향 두께(T24)의 최대값은 소성 변형에 의해 볼록부(24a, 24b)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하중이 너무 커지는 것을 방지하는 면에서 규제된다. 따라서, 볼록부(24a, 24b)의 축방향 두께(T24)에 대해서도, 보지기 소자(10)를 구성하는 금속판의 판두께(T10) 이하이고, 이 판두께(T10)의 1/2 이상(T10≥T24≥T10/2)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부(24a, 24b)의 축방향 두께(T24)의 구체적인 수치는 누름 플랜지부(23a, 23b)의 축방향 두께(T23)와 마찬가지로 설정된다. 단, 누름 플랜지부(23a, 23b)의 축방향에 대한 두께 치수 T23을 최대(T23=T10)로 하고, 또한 볼록부(24a, 24b)의 축방향에 대한 두께 치수 T24를 최대(T24=T10)로 하면, 두부(16a) 및 크림핑부(19a)의 축방향 두께가 너무 커진다. 환언하면, 두부(16a) 및 크림핑부(19a)의 축방향 두께가 평탄부(12a, 12b)끼리의 결합 강도를 확보하는데 필요 충분 이상으로 되어, 두부(16a) 및 크림핑부(19a)의 가공에 필요로 하는 하중이 과대하게 될수록 커진다. 그래서, 누름 플랜지부(23a, 23b)의 축방향 두께(T23)와, 볼록부(24a, 24b)의 축방향 두께(T24)의 합(T23+T24)은 판두께(T10)의 1.5배 이하로 억제하는 것((T23+T24)≤1.5T10)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두부(16a) 및 크림핑부(19a)의 축방향 두께(=T23+T24)는, 보지기 소자(10)의 판두께(T10)가 0.2㎜인 경우에는 최대로 0.3㎜이며, 보지기 소자(10)의 판두께(T10)가 1.0㎜인 경우에는 최대로 1.5㎜이다.
다음에, 리벳(11a)의 축방향 양단부에, 상술한 형상을 갖는 두부(16a) 및 크림핑부(19a)를 형성하고, 리벳(11a)에 의해 평탄부(12a, 12b)끼리를 결합 고정하는 파형 보지기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예의 제조 방법에서는, 리벳(11a)을 축방향 양측으로부터 압궤하기 위한 1쌍의 크림핑 금형(18c, 18d)으로서, 평탄부(12a, 12b)의 외측면에 대향하는 부분에, 각각 오목부(20c, 20d)를 마련한 것을 사용한다. 오목부(20c, 20d)는 리벳(11a)을 크림핑할 때에, 이 리벳(11a)과 동심이 된다. 오목부(20c, 20d)의 가장 안쪽부의 내경(r20)은 볼록부(24a, 24b)의 정부의 외경(d24)과 일치하도록 설정된다. 즉, 본 예의 오목부(20c, 20d)의 가장 안쪽부의 내경(r20)은, 종래의 크림핑 금형에 마련된 금형(도 5 참조)과 상이하고, 원형 구멍(15)의 내경(R15) 이하(d24≤R15), 바람직하게는 이 내경(R15) 미만 (d24<R15)으로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오목부(20c, 20d)의 개구부의 내경(R20)은 볼록부(24a, 24b)의 저부의 외경(D24)과 일치하도록 설정된다. 더욱이, 오목부(20c, 20d)의 축방향 깊이(H20)에 대해서도, 볼록부(24a, 24b)의 축방향 두께(T24)에 일치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리벳(11a)으로서, 미리 원추대형상으로 형성된 두부(16a)의 원형을 구비한 것을 사용한다. 즉, 두부(16a)의 원형은, 리벳(11a)을 크림핑 금형(18c, 18d)끼리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압궤하기 이전의 상태에서, 내측면측(선단측)의 외경이 크고, 외측면측(기단측)의 외경이 작은 원추대형상을 갖는다. 두부(16a)의 원형의 내측면측의 외경은 로드부(17) 및 평탄부(12a)의 원형 구멍(15)의 내경(R15)보다 크고, 두부(16a)의 원형의 내측면이 평탄부(12a)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크기를 갖는다. 두부(16a)의 원형의 외측면측의 외경에 대해서는 임의이지만, 두부(16a)의 원형의 외측면측이 크림핑 금형(18c)의 오목부(20c)의 내면에 알맞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분 원추면 부분의 경사 각도는, 오목부(20c)의 내주면과 두부(16a)의 원형의 외주면에서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엄밀하게 일치시킬 필요는 없고, 실질적으로 동일하면 충분하다. 또한, 크림핑 금형(18c, 18d)은 가압부를 원환상으로 한 것이며, 1개의 보지기(7)(도 4 참조)를 구성하는 복수의 리벳(11a)을 동시에 소성 변형시키기 위해서, 크림핑 금형(18c, 18d)의 최근접 위치를 그 스트로크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적절하게 규제하고, 크림핑 금형(18c, 18d)이 최근접 위치에 도달한 상태를 이들 리벳(11a)의 크림핑 완료 상태라고 판단한다. 이러한 점에 대해서는, 도 5에 도시한 종래 구조의 경우와 동일하다.
특히, 본 예의 제조 방법을 실시할 경우, 크림핑 가공 이전의 상태에서의, 두부(16a)의 원형의 축방향 두께 치수 T16을, 이 두부(16a)의 원형을 소성 가공하는 쪽의 크림핑 금형(18c)에 형성한 오목부(20c)의, 축방향 깊이(H20c)보다 충분히 크고, 바람직하게는, 축방향 두께(T16)를 축방향 깊이(H20c)의 2배 내지 4배정도(T16=(2∼4)H20c)로 한다. 따라서, 리벳(11a)에 의해 평탄부(12a, 12b)끼리를 결합 고정하기 위해서, 두부(16a)의 원형의 선반부(先半部)를, 크림핑 금형(18c)에 형성한 오목부(20c)에 내측으로 끼운 상태에서, 이러한 두부(16a)의 중간부로부터 기반부가 이 오목부(20c)로부터 축방향으로 노출된다(밀려나온다).
한편, 리벳(11a)의 로드부(17)의 선단부에 대해서는, 서로 중첩된, 두부(16a)와 반대측에 있는 평탄부(12b)의 외측면으로부터 충분히 돌출시킨다. 로드부(17)의 선단부를 소성 변형시키고, 이 선단부에 크림핑부(19a)를 형성하기 이전의 상태에서의, 평탄부(12b)의 외측면으로부터의 로드부(17)의 선단부의 돌출량(H17)은 크림핑부(19a)의 형상을 얻을 수 있도록 충분히 확보된다. 구체적으로는, 돌출량(H17)을, 로드부(17)의 선단부를 압궤하는 쪽의 크림핑 금형(18d)에 형성한 오목부(20d)의 축방향 깊이(H20d)의 2배 내지 4배정도(H17=(2∼4)H20d)로 한다. 따라서, 리벳(11a)에 의해 평탄부(12a, 12b)끼리를 결합 고정하기 위해서, 로드부(17)의 선단부를 크림핑 금형(18d)에 형성한 오목부(20d)에 삽입한 상태에서, 로드부(17)의 선단부보다 축방향 중간 부근 부분이 이 오목부(20d)로부터 축방향으로 노출된다(밀려나온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태로부터, 크림핑 금형(18c, 18d)을 미리 결정된 스트로크정도만큼 서로 근접시키면, 리벳(11a)의 축방향 양단부가 압궤되어서, 소성 변형한다. 이러한 소정량의 스트로크는, 크림핑 금형(18c, 18d) 중, 오목부(20c, 20d)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최근접 위치에 있어서, 크림핑 금형(18c, 18d)의 간격이, 보지기 소자(10)[평탄부(12a, 12b)]의 판두께(T10)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누름 플랜지부(23a, 23b)의 축방향 두께(T23)에 상당하도록 결정된다. 즉, 최근접 위치에 있어서의 양자 간격이 2T10+2T23이 되도록, 크림핑 금형(18c, 18d)의 스트로크가 조정된다. 본 예에 있어서의 최근접 위치에 있어서의 크림핑 금형(18c, 18d)의 간격은 누름 플랜지부(23a, 23b)를 마련하지 않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크림핑 금형(18a, 18b)의 최근접 위치에 있어서의 간격보다 크다.
이렇게 하여, 리벳(11a)의 축방향 양단부에,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누름 플랜지부(23a, 23b)와 볼록부(24a, 24b)를 구비한 두부(16a)와 크림핑부(19a)가 형성된다. 그리고, 두부(16a)와 크림핑부(19a)에 의해, 평탄부(12a, 12b)끼리가 강고하게 결합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조 방법에 의해, 리벳(11a)의 축방향 양단부를 상술한 형상으로 하면, 1개의 보지기(7)를 구성하는 복수의 리벳(11a)의 용적에 공차에 근거하는 편차가 존재해도, 리벳(11a)에 의한 평탄부(12a, 12b)끼리의 결합부의 성상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리벳(11a)의 용적이 제조 공차의 범위 내에서 최소가 되었을 경우에는, 리벳(11a)에 의한 결합 고정부가 도 2의 (A)에 도시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두부(16a) 및 크림핑부(19a) 중 누름 플랜지부(23a, 23b)의 외경(D23)과, 원형 구멍(15)의 내경(R15)의 차이는 작다. 그렇지만, 두부(16a)뿐만 아니라, 크림핑부(19a)에도 내측면을 갖는 누름 플랜지부(28b)가 형성된다. 누름 플랜지부(23a, 23b)의 내측면은 평탄부(12a, 12b)의 외측면에 강하게 접촉하여, 이들 평탄부(12a, 12b)의 내측면끼리를 간극없이 접촉시킨다. 또한, 누름 플랜지부(23a, 23b)의 축방향 두께(T23)가 충분히 확보되어서, 이들 누름 플랜지부(23a, 23b)가 평탄부(12a, 12b)를 압박하는 강도 및 강성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용적이 작은 리벳(11a)에 의한 결합부에 대해서도, 평탄부(12a, 12b)끼리의 결합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리벳(11a)의 용적이 제조 공차의 범위 내에서 최대가 되었을 경우에는, 리벳(11a)에 의한 크림핑 고정부가 도 2의 (B)에 도시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두부(16a) 및 크림핑부(19a) 중 누름 플랜지부(23a, 23b)의 외경(D23)이 원형 구멍(15)의 내경보다 충분히 커진다. 또한, 누름 플랜지부(23a, 23b)의 내측면이 평탄부(12a, 12b)의 외측면에 강하게 접촉하여, 이들 평탄부(12a, 12b)의 내측면끼리를 간극없이 접촉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도, 누름 플랜지부(23a, 23b)의 축방향 두께(T23)가 충분히 확보되므로, 두부(16a) 및 크림핑부(19a) 중 어느 쪽의 부분에도, 두부(16a) 및 크림핑부(19a)로부터 분리하기 쉬운 박육의 버어가 생기는 일은 없다. 이 때문에, 리벳(11a)으로부터 이탈한 버어에 의해, 볼 베어링의 내구성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리벳(11a)의 용적의 대소에 관계없이, 본 예의 경우, 볼록부(24a, 24b)의 정부의 직경(d24)을, 원형 구멍(15)의 내경(R15) 이하로 하고 있으므로, 크림핑 금형(18c, 18d)으로부터 리벳(11a)에 가해지는 축력을 리벳(11a)의 로드부(17)에 대하여 충분히 가할 수 있다. 환언하면, 리벳(11a)에 가하는 축력은 평탄부(12a, 12a)끼리를 서로 가압하는 것밖에 소비되는 일은 없고, 로드부(17)를 축방향으로 압축하는 것에도 이용된다. 이 결과, 로드부(17)를 축방향으로 압축하는 동시에, 이 로드부(17)의 외경을 넓혀서, 이 로드부(17)의 외주면과 원형 구멍(15)의 내주면을 간극없이 끼워맞춰질 수 있다. 이 결과, 리벳(11a)에 의한 평탄부(12a, 12b)끼리의 결합부에 대해서, 보지기(7)의 축방향에 대한 헐거움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둘레방향 및 직경방향에 대한 헐거움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1 : 볼 베어링 2 : 내륜 궤도
3 : 내륜 4 : 외륜 궤도
5 : 외륜 6 : 볼
7 : 보지기 8 : 시일 링
9 : 공간 10 : 보지기 소자
11, 11a : 리벳 12, 12a, 12b : 평탄부
13 : 반원호부 14 : 포켓
15 : 원형 구멍 16, 16a : 두부
17 : 로드부 18a, 18b, 18c, 18d : 크림핑 금형
19, 19a : 크림핑부 20a, 20b, 20c, 20d : 오목부
21 : 간극 22 : 버어
23a, 23b : 누름 플랜지부 24a, 24b : 볼록부
25a, 25b : 단차면 26 : 면취부

Claims (8)

  1. 각각이 원환상이고,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연속하는, 원형 구멍을 갖는 복수의 평탄부와 복수의 반원호부를 구비하고, 서로 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평탄부의 내측면끼리가 맞대어지고, 상기 맞대어진 평탄부끼리의 원형 구멍이 정합하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상기 반원호부의 내측면끼리의 각각의 사이에, 볼을 전동 가능하게 보지하기 위한 포켓이 형성되는 1쌍의 보지기 소자와,
    상기 1쌍의 보지기 소자를 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원형 구멍에 관통 삽입되는 로드부와, 그 양단부에 형성된 두부와 크림핑부를 구비하고, 상기 두부와 상기 크림핑부에 의해 상기 평탄부를 협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1쌍의 보지기 소자를 결합하는 복수의 리벳을 구비하며,
    상기 두부 및 상기 크림핑부는, 각각, 상기 원형 구멍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내측면을 구비하며, 상기 내측면에 의해 상기 평탄부의 외측면을 압박하는 누름 플랜지부와, 상기 누름 플랜지부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이 누름 플랜지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원추대형상의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볼록부의 정부의 외경은 상기 원형 구멍의 내경 이하이며, 상기 누름 플랜지부의 외경은 상기 볼록부의 저부의 외경 이상인
    파형 보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플랜지부 및 상기 볼록부는, 각각, 상기 보지기기 소자의 판두께의 1/2 이상 1배 이하의 축방향 두께를 갖고, 또한 상기 두부 및 상기 크림핑부는 상기 보지기 소자의 판두께의 1.5배 이하의 축방향 두께를 갖는
    파형 보지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플랜지부가 상기 볼록부보다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고, 그 돌출량이 상기 누름 플랜지부의 축방향 두께의 2배 이하인
    파형 보지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 및 상기 크림핑부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볼록부의 저부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넓어지는 상태로 연속하고, 축방향을 향한 단차면이 존재하는 단차 형상을 갖는
    파형 보지기.
  5. 각각이 원환상이고,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연속하는, 원형 구멍을 갖는 복수의 평탄부와 복수의 반원호부를 구비하는 1쌍의 보지기 소자를 서로 조합시켜서, 상기 평탄부의 내측면끼리를 맞대고, 상기 맞대어진 평탄부끼리의 원형 구멍을 정합시키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상기 반원호부의 내측면끼리의 각각의 사이에, 볼을 전동 가능하게 보지하기 위한 포켓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1쌍의 보지기 소자를 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원형 구멍에,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일단부에 형성된 외향 플랜지형상의 두부의 원형을 갖는 리벳의 상기 로드부를 삽입하고, 상기 리벳의 두부의 내측면을 상기 맞대어진 평탄부 중 한쪽의 외측면에 접촉시키는 공정과,
    각각이 상기 원형 구멍에 대향하는 부분에, 개구부의 내경이 가장 크고, 가장 안쪽부로 향할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원추대형상의 오목부를 구비한 1쌍의 크림핑 금형을 상기 리벳의 축방향 양쪽 외측에 배치하고, 상기 크림핑 금형의 한쪽의 상기 오목부에 상기 두부를 배치한 상태로, 상기 크림핑 금형의 다른쪽에 의해 상기 맞대어진 평탄부 중 다른쪽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한 상기 리벳의 로드부의 선단부를 축방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리벳의 로드부의 선단부 및 상기 두부를 소성 변형시키고, 상기 리벳의 로드부의 선단부 및 상기 두부를, 각각, 상기 원형 구멍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내측면을 구비하며, 상기 내측면에 의해 상기 평탄부의 외측면을 압박하는 누름 플랜지부와, 상기 누름 플랜지부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이 누름 플랜지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원추대형상의 볼록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볼록부의 정부의 외경은 상기 원형 구멍의 내경 이하이며, 상기 누름 플랜지부의 외경은 상기 볼록부의 저부의 외경 이상인 구조로 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파형 보지기의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플랜지부 및 상기 볼록부가, 각각, 상기 보지기기 소자의 판두께의 1/2 이상 1배 이하의 축방향 두께를 갖고, 또한 상기 두부 및 상기 크림핑부가 상기 보지기 소자의 판두께의 1.5배 이하의 축방향 두께를 갖도록, 상기 1쌍의 크림핑 금형의 스트로크를 조정하는
    파형 보지기의 제조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의 각각의 용적이 제조 공차에 근거하여 상이한 경우에, 상기 제조 공차의 범위 내에서 가장 용적이 작은 리벳에 대해서, 상기 누름 플랜지부의 외경을 상기 볼록부의 저부의 외경 이상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조 공차의 범위 내에서 가장 용적이 큰 리벳에 대해서, 상기 누름 플랜지부가 볼록부보다 직경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량을, 상기 누름 플랜지부의 축방향 두께의 2배 이하가 되도록, 상기 1쌍의 크림핑 금형의 스트로크를 조정하는
    파형 보지기의 제조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을 축방향으로 압궤하기 이전의 상태에서, 각각의 두부의 원형이 상기 한쪽의 크림핑 금형의 오목부의 내면에 알맞는 형상인 원추대형상이고, 상기 두부의 원형의 축방향 두께, 및 상기 리벳의 로드부의 선단부의 축방향 두께가 상기 오목부의 축방향 깊이보다 큰 리벳을 이용하는
    파형 보지기의 제조 방법.
KR1020147029819A 2012-04-17 2013-04-16 파형 보지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15783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93508 2012-04-17
JP2012093508A JP5966554B2 (ja) 2012-04-17 2012-04-17 波形保持器及びその製造方法
PCT/JP2013/061280 WO2013157543A1 (ja) 2012-04-17 2013-04-16 波形保持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244A true KR20140144244A (ko) 2014-12-18
KR101578319B1 KR101578319B1 (ko) 2015-12-16

Family

ID=49383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9819A KR101578319B1 (ko) 2012-04-17 2013-04-16 파형 보지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80609B2 (ko)
EP (1) EP2840268B1 (ko)
JP (1) JP5966554B2 (ko)
KR (1) KR101578319B1 (ko)
CN (1) CN103620246B (ko)
WO (1) WO20131575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8244A (en) * 2014-07-03 2016-01-20 Skf Ab Method for producing a cage of a roller bearing
CN111065845B (zh) * 2017-09-07 2024-02-23 日本精工株式会社 齿条及其制造方法、以及操舵装置、车辆以及齿条的预成形用金属模具
CN112081819A (zh) * 2020-10-15 2020-12-15 慈溪市新中天轴承有限公司 一种深沟球轴承及其制备工艺
JP2023163505A (ja) * 2022-04-28 2023-11-10 Ntn株式会社 玉軸受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938A (ja) * 1990-04-19 1992-01-09 Hideji Murakami 保持器のリベット加締め方法
JPH07301242A (ja) 1994-05-10 1995-11-14 Koyo Seiko Co Ltd 波形保持器
JPH10281163A (ja) 1997-04-03 1998-10-20 Koyo Seiko Co Ltd 軸受用保持器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JPH11179475A (ja) 1997-12-15 1999-07-06 Koyo Seiko Co Ltd リベット止め方法およびリベット止め治具
JP2009008164A (ja) 2007-06-28 2009-01-15 Nsk Ltd 保持器製造方法及び保持器並びに転がり軸受
JP2009236227A (ja) 2008-03-27 2009-10-15 Nsk Ltd 転がり軸受用保持器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80998A (en) * 1922-02-10 1924-01-15 U S Ball Bearing Mfg Company Method of assembling ball bearings
GB373775A (en) * 1931-05-20 1932-06-02 Fredk Pollard & Co Bearings Lt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oller bearings
US2590939A (en) * 1949-09-03 1952-04-01 Gen Motors Corp Separator for antifriction bearings
CA981073A (en) * 1972-09-25 1976-01-06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Crowned head rivet, joint, and method
JPS6124721Y2 (ko) * 1979-04-09 1986-07-25
JPS56134023U (ko) * 1980-03-10 1981-10-12
JP3682611B2 (ja) * 1996-05-31 2005-08-10 光洋精工株式会社 玉軸受用波形保持器
DE102004026291A1 (de) * 2004-05-28 2005-12-15 Fag Kugelfischer Ag & Co. Ohg Käfig mit Rollen
JP4942972B2 (ja) * 2005-09-27 2012-05-30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玉軸受用保持器および玉軸受
CN101487496A (zh) * 2009-02-18 2009-07-22 孙有信 空心滚子与支柱保持架组合的一种轴承
JP5870563B2 (ja) * 2011-09-06 2016-03-01 日本精工株式会社 転がり軸受用保持器、及び転がり軸受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938A (ja) * 1990-04-19 1992-01-09 Hideji Murakami 保持器のリベット加締め方法
JPH07301242A (ja) 1994-05-10 1995-11-14 Koyo Seiko Co Ltd 波形保持器
JPH10281163A (ja) 1997-04-03 1998-10-20 Koyo Seiko Co Ltd 軸受用保持器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JPH11179475A (ja) 1997-12-15 1999-07-06 Koyo Seiko Co Ltd リベット止め方法およびリベット止め治具
JP2009008164A (ja) 2007-06-28 2009-01-15 Nsk Ltd 保持器製造方法及び保持器並びに転がり軸受
JP2009236227A (ja) 2008-03-27 2009-10-15 Nsk Ltd 転がり軸受用保持器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40268B1 (en) 2017-08-02
WO2013157543A1 (ja) 2013-10-24
CN103620246A (zh) 2014-03-05
JP5966554B2 (ja) 2016-08-10
JP2013221567A (ja) 2013-10-28
EP2840268A4 (en) 2016-03-16
US20150071580A1 (en) 2015-03-12
KR101578319B1 (ko) 2015-12-16
US9080609B2 (en) 2015-07-14
CN103620246B (zh) 2016-02-24
EP2840268A1 (en)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25268B2 (ja) クリンチピン式パネル固定装置
US2595787A (en) Retaining ring assembly
KR101578319B1 (ko) 파형 보지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1861947B1 (ko) 성형 금형 및 언더컷 성형 방법
US6347900B1 (en) Yoke for universal joint, and production process for the same
US962497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rrugated cage and corrugated cage
WO2013133363A1 (ja) ころ軸受用保持器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ろ軸受の製造方法
JPWO2007077880A1 (ja) 焼結部品が接合された軸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内燃機関用カムシャフト
JP5056084B2 (ja) 金属製板状体と柱状体とのカシメ組付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製造装置。
JPWO2013094615A1 (ja) ころ軸受用保持器及びその製造方法
US9803700B2 (en) Clutch ring gear assembly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CN112805487B (zh) 碟形弹簧、碟形弹簧装置、以及碟形弹簧的制造方法
JPH0235223A (ja) 自在継手および自在継手用フォークの製造方法
US8353778B2 (en) Forging method, closed forging mold and tripod uniform motion universal joint
JP5061655B2 (ja) 金属製板状体と柱状体とのカシメ組付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製造装置。
JP2004324760A (ja) コンロッドアッセンブリ
WO2022113593A1 (ja) プレス加工品、プレス加工装置、プレス加工方法
JPS61219436A (ja) 球面抑え部材を単一工程で形成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4999675B2 (ja) 機械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3288360B2 (ja) 磁気ディスク用スペーサーリングの形成方法
US20200217351A1 (en) Weldable clinch nut
US20050150097A1 (en) Cold process for joining metal
JP6248787B2 (ja) スラスト球面ころ軸受用保持器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788271A (zh) 冲头
JP4392688B2 (ja) フルフェイス型ディスクホイー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