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3029A - Lng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Lng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3029A
KR20140143029A KR1020130064932A KR20130064932A KR20140143029A KR 20140143029 A KR20140143029 A KR 20140143029A KR 1020130064932 A KR1020130064932 A KR 1020130064932A KR 20130064932 A KR20130064932 A KR 20130064932A KR 20140143029 A KR20140143029 A KR 20140143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ng
working fluid
pump
supply line
evaporation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4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9477B1 (ko
Inventor
김기홍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4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477B1/ko
Publication of KR20140143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9/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F17C9/04Recovery of thermal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6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expansion or contraction of bodies due to heating, cooling, moistening, drying or the like
    • F03G7/061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expansion or contraction of bodies due to heating, cooling, moistening, drying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element
    • F03G7/06112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expansion or contraction of bodies due to heating, cooling, moistening, drying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element using the thermal expansion or contraction of enclosed fluids
    • F03G7/06113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expansion or contraction of bodies due to heating, cooling, moistening, drying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element using the thermal expansion or contraction of enclosed fluids the fluids subjected to phase cha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17C7/02Discharging liquefi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1/00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 F25J1/0002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fluid to be liquefied
    • F25J1/0022Hydrocarbons, e.g. natural gas
    • F25J1/0025Boil-off gases "BOG" from stor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1Propulsion of the fluid
    • F17C2227/0128Propulsion of the fluid with pumps or compressors
    • F17C2227/0135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1Propulsion of the fluid
    • F17C2227/0128Propulsion of the fluid with pumps or compressors
    • F17C2227/0157Compres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1Propulsion of the fluid
    • F17C2227/0128Propulsion of the fluid with pumps or compressors
    • F17C2227/0171Arrangement
    • F17C2227/0185Arrangement comprising several pumps or compres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37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6Fluid distribution
    • F17C2265/066Fluid distribution for feeding engines for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NG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LNG 저장탱크로부터 제1 수요처까지 연결된 LNG 공급 라인; 상기 LNG 공급 라인 상에 설치되며, 상기 LNG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된 LNG를 가압하는 펌프; 상기 제1 수요처와 상기 펌프 사이의 상기 LNG 공급 라인 상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증발가스 공급 라인 상에 설치되며, 상기 LNG 저장탱크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를 가압하여 상기 제1 수요처에 공급하는 복수 개의 증발가스 압축기; 및 상기 복수 개의 증발가스 압축기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증발가스 공급 라인이나, 상기 복수 개의 증발가스 압축기와 상기 열교환기 사이의 상기 증발가스 공급 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가스 공급 라인을 경유하는 고온의 상기 증발가스가, 작동유체 순환 라인을 따라 순환하는 상대적으로 저온의 작동유체와 열교환되도록 하여 가열된 작동유체가 터빈을 회전시켜 동력을 발생시키는 냉온열 발전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LNG 처리 시스템은, LNG 저장탱크와 수요처 사이에 마련되는 LNG 또는 증발가스 공급 라인에 냉온열 발전 장치를 설치하여, LNG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되는 LNG 또는 증발가스의 온도를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 적합하도록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시스템의 LNG 또는 증발가스 처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어 연료를 절감할 수 있고, 또한 LNG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되는 LNG 또는 증발가스의 버려지는 냉열과 온열을 냉온열 발전 장치의 동력원으로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생성된 에너지를 다른 장치의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LNG 처리 시스템{A Treatment System of Liquefied Natural Gas}
본 발명은 LNG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대량의 광물이나 원유, 천연가스, 또는 몇천 개 이상의 컨테이너 등을 싣고 대양을 항해하는 운송수단으로서, 강철로 이루어져 있고 부력에 의해 수선면에 부유한 상태에서 프로펠러의 회전을 통해 발생되는 추력을 통해 이동한다.
이러한 선박은 엔진을 구동함으로써 추력을 발생시키는데, 이때 엔진은 가솔린 또는 디젤을 사용하여 피스톤을 움직여서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크랭크 축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크랭크 축에 연결된 샤프트가 회전되어 프로펠러가 구동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를 운반하는 LNG 운반선에서 LNG를 연료로 사용하여 엔진을 구동하는 LNG 연료공급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엔진의 연료로 LNG를 사용하는 방식은 LNG 운반선 외의 다른 선박에도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LNG는 청정연료이고 매장량도 석유보다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고, 채광과 이송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그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LNG는 주성분인 메탄을 1기압 하에서 -162℃ 이하로 온도를 내려서 액체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액화된 메탄의 부피는 표준상태인 기체상태의 메탄 부피의 600분의 1 정도이고, 비중은 0.42로 원유비중의 약 2분의 1이 된다.
그러나 엔진이 구동되기 위해 필요한 온도 및 압력 등은, 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LNG의 상태와는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액체 상태로 저장되는 LNG의 온도 및 압력 등을 제어하여 엔진에 공급하는 기술에 대하여,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LNG 저장탱크와 수요처 사이에 마련되는 LNG 또는 증발가스 공급 라인에 냉온열 발전 장치를 설치하여, LNG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되는 LNG 또는 증발가스의 온도를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 적합하도록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시스템의 LNG 또는 증발가스 처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어 연료를 절감할 수 있는 LNG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LNG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되는 LNG 또는 증발가스의 버려지는 냉열과 온열을 냉온열 발전 장치의 동력원으로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생성된 에너지를 다른 장치의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LNG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LNG 처리 시스템은, LNG 저장탱크로부터 제1 수요처까지 연결된 LNG 공급 라인; 상기 LNG 공급 라인 상에 설치되며, 상기 LNG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된 LNG를 가압하는 펌프; 상기 제1 수요처와 상기 펌프 사이의 상기 LNG 공급 라인 상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증발가스 공급 라인 상에 설치되며, 상기 LNG 저장탱크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를 가압하여 상기 제1 수요처에 공급하는 복수 개의 증발가스 압축기; 및 상기 복수 개의 증발가스 압축기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증발가스 공급 라인이나, 상기 복수 개의 증발가스 압축기와 상기 열교환기 사이의 상기 증발가스 공급 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가스 공급 라인을 경유하는 고온의 상기 증발가스가, 작동유체 순환 라인을 따라 순환하는 상대적으로 저온의 작동유체와 열교환되도록 하여 가열된 작동유체가 터빈을 회전시켜 동력을 발생시키는 냉온열 발전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수요처는, 고압 엔진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단이 상기 증발가스 공급 라인 상에서 상기 복수 개의 증발가스 압축기 사이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수요처에 연결되어, 상기 증발가스를 상기 제2 수요처로 공급하는 저압 증발가스 공급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수요처는, 저압 엔진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증발가스 압축기 사이에는, 증발가스 냉각기가 구비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증발가스 냉각기는, 상기 복수 개의 증발가스 압축기와 동일한 수로 설치되며, 상기 각 증발가스 압축기의 하류에 마련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온열 발전 장치는, 급수 펌프, 기화기, 터빈 및 응축기가 상기 작동유체 순환 라인에 의해 연결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급수 펌프는, 상기 응축기와 상기 기화기 사이의 상기 작동유체 순환 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유체를 단열압축시켜 상기 기화기로 공급하고, 상기 기화기는, 상기 급수 펌프와 상기 터빈 사이의 상기 작동유체 순환 라인과, 상기 복수 개의 증발가스 압축기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증발가스 공급 라인이나, 상기 복수 개의 증발가스 압축기와 상기 열교환기 사이의 상기 증발가스 공급 라인 상에 마련되며, 상기 작동유체를 등압가열시켜 상기 터빈으로 공급하고, 상기 증발가스가 상기 작동유체와 열교환되도록 하고, 상기 터빈은, 상기 기화기와 상기 응축기 사이의 상기 작동유체 순환 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유체를 단열팽창시켜 상기 응축기로 공급하고, 상기 응축기는, 상기 터빈과 상기 급수 펌프 사이의 상기 작동유체 순환 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유체를 등압방열시켜 상기 급수 펌프로 공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터빈은, 상기 기화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작동유체에 의해 생성된 회전 에너지를 제3 수요처의 동력원으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수요처는, 상기 회전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기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펌프는, 고압 펌프이며, 상기 LNG 저장탱크와 상기 고압 펌프 사이의 상기 LNG 공급 라인에는, 부스팅 펌프가 구비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LNG 처리 시스템은, LNG 저장탱크와 수요처 사이에 마련되는 LNG 또는 증발가스 공급 라인에 냉온열 발전 장치를 설치하여, LNG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되는 LNG 또는 증발가스의 온도를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 적합하도록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시스템의 LNG 또는 증발가스 처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어 연료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NG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되는 LNG 또는 증발가스의 버려지는 냉열과 온열을 냉온열 발전 장치의 동력원으로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생성된 에너지를 다른 장치의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LNG 처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LNG 처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LNG 처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LNG 처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LNG 처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LNG 처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LNG 처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LNG 처리 시스템(1)은, LNG 저장탱크(10), 엔진(20), 펌프(30), 열교환기(40)를 포함한다. 이때 엔진(20)은 고압 엔진인 MEGI 엔진 또는 저압 엔진인 이중연료 엔진일 수 있고, 펌프(30)는 부스팅 펌프(Boosting Pump; 31)와 고압 펌프(High Pressure Pump; 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LNG는 편의상 액체 상태인 NG(Natural Gas) 뿐만 아니라 초임계 상태 등인 NG를 모두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증발가스(Boil off Gas; BOG)는 기체 상태의 증발가스뿐만 아니라 액화된 증발가스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LNG 처리 시스템(1)은, LNG 저장탱크(10)로부터 액체 상태의 LNG를 빼내어 부스팅 펌프(31), 고압 펌프(32)를 통해 가압시킨 후 열교환기(40)에서 글리콜 워터 등으로 가열하여 엔진(20)에 공급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런데, LNG 저장탱크(10)에 저장된 -162℃ 이하의 온도인 LNG를 엔진(20)의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펌프(30), 열교환기(40) 등을 통해 강제로 엔진(20)에서 요구하는 온도 및 압력 상태를 만들어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과도한 에너지가 소모되고 LNG의 냉열을 전혀 활용하지 못하여 에너지 낭비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LNG 처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LNG 처리 시스템(2)은, LNG 저장탱크(10), 제1 수요처(20a), 제2 수요처(20b), 펌프(30), 열교환기(40), 증발가스 압축기(51), 냉온열 발전 장치(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LNG 저장탱크(10), 펌프(30), 열교환기(40) 등은 종래의 LNG 처리 시스템(1)에서의 각 구성과 편의상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나, 반드시 동일한 구성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LNG 저장탱크(10)는, 후술할 제1 및 제2 수요처(20a, 20b)에 공급될 LNG를 저장한다. LNG 저장탱크(10)는 LNG를 액체상태로 보관하여야 하는데, 이때 LNG 저장탱크(10)는 압력 탱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LNG 저장탱크(10)는, 외조 탱크(도시하지 않음), 내조 탱크(도시하지 않음), 단열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외조 탱크는 LNG 저장탱크(10)의 외벽을 이루는 구조로서, 스틸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면이 다각형 형태일 수 있다.
내조 탱크는, 외조 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며, 서포트(Support;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외조 탱크의 내부에 지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서포트는 내조 탱크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고, 물론 내조 탱크의 좌우 유동을 억제하기 위해 내조 탱크의 측면에도 구비될 수 있다.
내조 탱크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5bar 내지 10bar(일례로 6bar)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내조 탱크를 이와 같이 일정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은, 내조 탱크의 내부에 구비된 LNG가 증발되어 증발가스가 생성됨에 따라 내조 탱크의 내압이 상승될 수 있기 때문이다.
내조 탱크의 내부에는 배플(Baffle; 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될 수 있다. 배플은 격자 형태의 플레이트를 의미하며, 배플이 설치됨에 따라 내조 탱크 내부의 압력은 고르게 분포되어 내조 탱크가 일부분에 집중 압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열부는, 내조 탱크와 외조 탱크의 사이에 구비되며 외부 열에너지가 내조 탱크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단열부는 진공상태일 수 있다. 단열부를 진공으로 형성함에 따라, LNG 저장탱크(10)는 일반적인 탱크와 비교할 때 높은 압력에 더욱 효율적으로 견뎌낼 수 있다. 일례로 LNG 저장탱크(10)는 진공의 단열부를 통해 5bar 내지 20bar의 압력을 버텨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진공 형태의 단열부를 외조 탱크와 내조 탱크 사이에 구비하는 압력 탱크형 LNG 저장탱크(10)를 사용함으로써, 증발가스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내압이 상승하더라도 LNG 저장탱크(10)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일어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LNG 저장탱크(10)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후술할 증발가스 압축기(51)로 공급하여 후술할 제2 수요처(20b) 또는 후술할 제1 수요처(20a)의 연료로 활용할 수 있는데, LNG 저장탱크(10)와 증발가스 압축기(51) 사이의 증발가스 공급 라인(22)에 후술할 냉온열 발전 장치(60)를 설치하여, LNG 저장탱크(10)로부터 증발가스 압축기(51)로 공급되는 증발가스의 온도를 증발가스 압축기(51)에서 압축할 수 있는 온도로 상승시킬 수 있어, 증발가스 압축기(51)의 구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수요처(20a, 20b)는, LNG 저장탱크(10)로부터 공급되는 LNG 또는 증발가스를 통해 구동되어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때 제1 수요처(20a)는 고압 엔진인 MEGI 엔진일 수 있고, 제2 수요처(20b)는 저압 엔진인 이중연료 엔진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수요처(20a, 20b)는 LNG의 연소에 의해 실린더(도시하지 않음) 내부의 피스톤(도시하지 않음)이 왕복운동 함에 따라, 피스톤에 연결된 크랭크 축(도시하지 않음)이 회전되고, 크랭크 축에 연결되는 샤프트(도시하지 않음)가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수요처(20a, 20b) 구동 시 샤프트에 연결된 프로펠러(도시하지 않음)가 회전함에 따라, 선체가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수요처(20a, 20b)는 프로펠러를 구동하기 위한 엔진일 수 있으나, 발전을 위한 엔진 또는 기타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엔진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제1 및 제2 수요처(20a, 20b)의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제1 및 제2 수요처(20a, 20b)는 LNG의 연소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내연기관일 수 있다.
제1 수요처(20a)는, 초임계 상태의 LNG를 후술할 열교환기(40)로부터 공급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거나, 후술할 증발가스 압축기(51)를 거치면서 가압된 초임계 상태의 증발가스를 공급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반면, 제2 수요처(20b)는, 증발가스 압축기(51)에 의하여 가압된 증발가스를 공급받아 구동력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수요처(20a)에 공급되는 초임계 상태의 LNG 또는 증발가스는, 예를 들어 온도가 30℃ 내지 60℃이고 압력이 200bar 내지 400bar일 수 있다. 물론 제1 수요처(20a)와 제2 수요처(20b)에 공급되는 LNG 또는 증발가스의 상태는, 제1 및 제2 수요처(20a, 20b)에서 요구하는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2 수요처(20b)의 경우, LNG와 오일이 혼합되어 공급되지 않고 LNG 또는 오일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이중연료 엔진일 수 있다. 이는 연소 온도가 상이한 두 물질이 혼합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제2 수요처(20b)의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LNG 저장탱크(10)와 제1 수요처(20a) 사이에는 LNG를 전달하는 LNG 공급 라인(21)이 설치될 수 있고, LNG 공급 라인(21)에는 펌프(30), 열교환기(40) 등이 구비되어 LNG가 제1 수요처(20a)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LNG 공급 라인(21)에는 연료 공급 밸브(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연료 공급 밸브의 개도 조절에 따라 LNG의 공급량이 조절될 수 있다.
펌프(30)는, LNG 저장탱크(10)의 하부에 연결되는 LNG 공급 라인(21) 상에 설치되며, LNG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된 LNG를 가압한다. 펌프(30)는 부스팅 펌프(31)와 고압 펌프(32)를 포함할 수 있다.
부스팅 펌프(31)는, LNG 저장탱크(10)와 고압 펌프(32) 사이의 LNG 공급 라인(21) 상에 구비되거나, 또는 LNG 저장탱크(10) 내에 구비될 수 있으며, 고압 펌프(32)에 충분한 양의 LNG가 공급되도록 하여 고압 펌프(32)의 공동현상(cavitation)을 방지한다.
또한 부스팅 펌프(31)는 LNG 저장탱크(10)로부터 LNG를 빼내어서 LNG를 수 내지 수십 bar 이내로 가압할 수 있으며, 부스팅 펌프(31)를 거친 LNG는 1bar 내지 25bar로 가압될 수 있다.
LNG 저장탱크(10)에 저장된 LNG는 액체 상태에 놓여있다. 이때 부스팅 펌프(31)는 LNG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되는 LNG를 가압하여 압력 및 온도를 다소 높일 수 있으며, 부스팅 펌프(31)에 의해 가압된 LNG는 여전히 액체 상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부스팅 펌프(31)와 고압 펌프(32) 사이의 LNG 공급 라인(21) 상에 임시 저장탱크(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는데, 이 경우 부스팅 펌프(31)는 임시 저장탱크로 LNG를 공급하게 된다.
고압 펌프(32)는, LNG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된 LNG를 고압으로 가압하여, 제1 수요처(20a)에 공급되도록 한다. LNG는 LNG 저장탱크(10)로부터 약 10bar 정도의 압력으로 배출된 후 부스팅 펌프(31) 또는 후술할 임시 저장탱크에서 1차로 가압되는데, 고압 펌프(32)는 이와 같이 가압된 액체상태의 LNG를 2차로 가압하여, 후술할 열교환기(40)에 공급한다.
이때 고압 펌프(32)는 LNG를 제1 수요처(20a)에서 요구하는 압력, 예를 들어 200bar 내지 400bar까지 가압하여 제1 수요처(20a)에 공급함으로써, 제1 수요처(20a)이 LNG를 통해 동력을 생산하도록 할 수 있다.
고압 펌프(32)는, 부스팅 펌프(31)로부터 배출되는 액체상태의 LNG를 고압으로 가압하되, LNG가 초임계점(Critical Point)보다 높은 온도 및 높은 압력을 갖는 초임계 상태가 되도록 상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초임계 상태인 LNG의 온도는 임계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20℃ 이하일 수 있다.
또는 고압 펌프(32)는, 액체 상태의 LNG를 고압으로 가압하여 과냉액체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과냉액체 상태란 LNG의 압력이 임계압력보다 높고, 온도가 임계온도보다 낮은 상태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고압 펌프(32)는, 부스팅 펌프(31)로부터 배출되는 액체상태의 LNG를 200bar 내지 400bar까지 고압으로 가압하되, LNG의 온도가 임계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되도록 하여, LNG를 과냉액체 상태로 상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과냉액체 상태인 LNG의 온도는, 임계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140℃ 내지 -60℃일 수 있다.
열교환기(40)는, 제1 수요처(20a)와 펌프(30) 사이의 LNG 공급 라인(21) 상에 마련되며, 펌프(30)로부터 공급되는 LNG를 제1 수요처(20a)가 요구하는 온도로 가열한다. 열교환기(40)에 LNG를 공급하는 펌프(30)는 고압 펌프(32)일 수 있으며, 열교환기(40)는 과냉액체 상태 또는 초임계 상태의 LNG를 고압 펌프(32)에서 배출되는 압력인 200bar 내지 400bar를 유지하면서 가열시켜서, 30℃ 내지 60℃의 초임계 상태의 LNG로 변환한 후 제1 수요처(20a)에 공급할 수 있다.
열교환기(40)는 보일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공급되는 스팀이나 글리콜 히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는 글리콜 워터를 이용하여 LNG를 가열하거나,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LNG를 가열할 수 있고, 또는 선박에 구비되어 있는 발전기나 기타 설비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폐열을 이용하여 LNG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40)는, 증발가스 공급 라인(22)을 통해 후술할 증발가스 압축기(51)로부터 공급되는 증발가스를 제1 수요처(20a)가 요구하는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증발가스 압축기(51)는, LNG 저장탱크(10)의 상부에 연결되는 증발가스 공급 라인(22)에 설치되며, LNG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되어 10bar 내외의 압력으로 배출되는 증발가스를 가압하여, 제1 수요처(20a)나 제2 수요처(20b)로 공급할 수 있다.
증발가스 압축기(51)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증발가스를 다단 압축시킬 수 있다. 일례로 증발가스 압축기(51)는 3개가 구비되어 증발가스가 3단 압축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때 2단 압축된 증발가스는 저압 증발가스 공급 라인(23)을 통해 제2 수요처(20b)에 공급될 수 있고, 3단 압축된 증발가스는 증발가스 공급 라인(22)에 연결되는 LNG 공급 라인(21)을 통해 제1 수요처(20a)에 공급될 수 있다.
증발가스 공급 라인(22)은, 일단이 LNG 저장탱크(10)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열교환기(40) 전단의 LNG 공급 라인(21)에 연결되어, 복수 개의 증발가스 압축기(51)에 의해 가압된 증발가스를 제1 수요처(20a)에 공급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증발가스 공급 라인(22)은, 복수 개의 증발가스 압축기(51) 사이에서 분지되는 저압 증발가스 공급 라인(23)을 통해 증발가스를 제2 수요처(20b)에 공급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증발가스 공급 라인(22)과 LNG 공급 라인(21)의 연결지점 상에는 개도 조절 밸브(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고, 개도 조절 밸브는 제1 수요처(20a)로 공급되는 LNG 또는 증발가스의 유량을 제어하여 제1 수요처(20a)에서 요구하는 연료량이 되도록 개도 조절될 수 있다. 즉, 개도 조절 밸브는 증발가스 공급 라인(22)을 통해 공급되는 증발가스의 유량이 많을 경우 제1 수요처(20a)로 공급되는 LNG의 유량을 줄일 수 있고, 반대로 증발가스의 유량이 적을 경우 LNG의 유량을 늘릴 수 있도록 개도 조절되어, 제1 수요처(20a)에서 요구하는 연료량을 일정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저압 증발가스 공급 라인(23)은, 일단이 증발가스 공급 라인(22) 상에서 복수 개의 증발가스 압축기(51) 사이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수요처(20b)에 연결되어, 압축된 증발가스를 제2 수요처(20b)로 공급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3개의 증발가스 압축기(51)가 구비될 경우, 증발가스의 흐름을 기준으로 2번째 증발가스 압축기(51)의 하류에 저압 증발가스 공급 라인(23)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2번째 증발가스 압축기(51)에서 압축된 증발가스는, 제2 수요처(20b) 또는 3번째 증발가스 압축기(51)로 각각 분기되어 공급될 수 있다.
저압 증발가스 공급 라인(23)과 증발가스 공급 라인(22)의 연결지점 상에는 증발가스 공급 밸브(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고, 증발가스 공급 밸브는 제2 수요처(20b)로 공급되는 증발가스의 유량 또는 3번째 증발가스 압축기(51)를 통하여 제1 수요처(20a)로 공급되는 증발가스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삼방 밸브일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증발가스 압축기(51) 사이에는 증발가스 냉각기(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증발가스 압축기(51)에 의하여 증발가스가 압축되면, 압력 상승에 따라 온도 역시 상승될 수 있기 때문에, 증발가스 냉각기를 사용하여 증발가스의 온도를 다시 낮춰줄 수 있다. 증발가스 냉각기는 증발가스 압축기(51)와 동일한 수로 설치될 수 있으며, 각 증발가스 냉각기는 각 증발가스 압축기(51)의 하류에 마련될 수 있다.
증발가스 압축기(51)가 증발가스를 가압하는 것은, 증발가스의 액화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증발가스는 압력이 상승할 경우 끓는점이 상승하게 되며, 이는 곧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도 액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증발가스 압축기(51)로 증발가스의 압력을 높임으로써, 증발가스가 쉽게 액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가장 하류에 위치한 증발가스 압축기(51)에서 토출된 증발가스는 제1 수요처(20a)에서 요구하는 압력 및 온도, 예를 들어 제1 수요처(20a)가 고압 엔진일 경우, 200bar 내지 400bar의 압력과 30℃ 내지 60℃의 온도를 가질 수 있고, 저압 증발가스 공급 라인(23)의 상류에 위치한 증발가스 압축기(51)에서 토출된 증발가스는 제2 수요처(20b)에서 요구하는 압력 및 온도, 예를 들어 제2 수요처(20b)가 저압 엔진일 경우, 1bar 내지 50bar의 압력과 30℃ 내지 60℃의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냉온열 발전 장치(60)는, LNG 저장탱크(10)와 증발가스 압축기(51) 사이의 증발가스 공급 라인(22)에 설치될 수 있으며, LNG 저장탱크(10)로부터 증발가스 압축기(51)로 공급되는 증발가스를 작동유체 순환 라인(66) 내부의 작동유체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증발가스 압축기(51)에서 용이하게 압축할 수 있는 온도로 상승시킬 수 있고, 증발가스의 냉열을 동력원으로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성하여 후술할 제3 수요처(70)의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냉온열 발전 장치(60)는, 급수 펌프(61), 기화기(62), 터빈(63), 응축기(64)를 포함하며, 이러한 모든 구성 요소들이 작동유체 순환 라인(66)으로 연결된다. 작동유체 순환 라인(66)에서 순환되는 작동유체는 기체 상태의 작동유체뿐만 아니라 액화된 작동유체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급수 펌프(61)는, 후술할 기화기(62)와 후술할 응축기(64) 사이의 작동유체 순환 라인(66)에 설치될 수 있으며, 후술할 응축기(64)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단열압축시켜 기화기(62)로 공급할 수 있다.
기화기(62)는, 급수 펌프(61)와 후술할 터빈(63) 사이의 작동유체 순환 라인(66)에 설치될 수 있으며, 급수 펌프(61)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등압가열시켜 후술할 터빈(63)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급수 펌프(61)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체는 대기 등을 사용하여 등압가열시킬 수 있다.
터빈(63)은, 기화기(62)와 후술할 응축기(64) 사이의 작동유체 순환 라인(66)에 설치될 수 있으며, 기화기(62)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단열팽창시켜 응축기(64)로 작동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터빈(63)은, 기화기(62)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생성된 회전 에너지를 구동축(65)을 통해 제3 수요처(70)에 전달하여 제3 수요처(70)의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제3 수요처(70)는 회전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기일 수 있다.
응축기(64)는, 터빈(63)과 급수 펌프(61) 사이의 작동유체 순환 라인(66)과, LNG 저장탱크(10)와 증발가스 압축기(51) 사이의 증발가스 공급 라인(22)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터빈(63)으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등압방열시켜 급수 펌프(61)로 공급할 수 있다.
응축기(64)에서는, 증발가스 공급 라인(22)을 통해 LNG 저장탱크(10)로부터 증발가스 압축기(51)로 공급되는 증발가스와, 작동유체 순환 라인(66)을 통해 터빈(63)으로부터 급수 펌프(61)로 순환되는 작동유체가 상호 열교환이 이루어짐으로써, 증발가스 압축기(51)로 공급되는 저온의 증발가스가 열을 얻어 증발가스 압축기(51)에서 용이하게 압축할 수 있는 온도로 상승될 수 있고, 급수 펌프(61)로 순환되는 상대적으로 고온의 작동유체는 열을 잃어 급수 펌프(61)에서 단열압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LNG 저장탱크(10)와 증발가스 압축기(51) 사이의 증발가스 공급 라인(22)에 냉온열 발전 장치(60)를 설치하여, LNG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되는 증발가스의 온도를 시스템(2)의 증발가스 압축기(51)에 적합하도록 상승시킴으로써, 시스템(2)의 증발가스 처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어 연료를 절감할 수 있고, LNG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되는 증발가스의 냉열을 냉온열 발전 장치(60)의 동력원으로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생성된 에너지를 제3 수요처(70)의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LNG 처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LNG 처리 시스템(3)은, LNG 저장탱크(10), 제1 수요처(20a), 제2 수요처(20b), 펌프(30), 열교환기(40), 증발가스 압축기(51), 냉온열 발전 장치(60)를 포함하며, 냉온열 발전 장치(60)가 LNG 저장탱크(10)와 펌프(30) 사이의 LNG 공급 라인(21)에 설치되는 것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각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2 실시예에서의 냉온열 발전 장치(60)는, LNG 저장탱크(10)와 펌프(30) 사이의 LNG 공급 라인(21)에 설치될 수 있으며, LNG 저장탱크(10)로부터 펌프(30)로 공급되는 LNG를 작동유체 순환 라인(66) 내부의 작동유체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펌프(30)에서 용이하게 압축할 수 있는 온도로 상승시킬 수 있고, LNG의 냉열을 동력원으로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성하여 제3 수요처(70)의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냉온열 발전 장치(60)는, 급수 펌프(61), 기화기(62), 터빈(63), 응축기(64)를 포함하며, 이러한 모든 구성 요소들이 작동유체 순환 라인(66)으로 연결되는데, 응축기(64)가 LNG 저장탱크(10)와 펌프(30) 사이의 LNG 공급 라인(21)에 설치되는 것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각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2 실시예에서의 응축기(64)는, 터빈(63)과 급수 펌프(61) 사이의 작동유체 순환 라인(66)과, LNG 저장탱크(10)와 펌프(30) 사이의 LNG 공급 라인(21)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터빈(63)으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등압방열시켜 급수 펌프(61)로 공급할 수 있다.
응축기(64)에서는, LNG 공급 라인(21)을 통해 LNG 저장탱크(10)로부터 펌프(30)로 공급되는 LNG와, 작동유체 순환 라인(66)을 통해 터빈(63)으로부터 급수 펌프(61)로 순환되는 작동유체가 상호 열교환이 이루어짐으로써, 펌프(30)로 공급되는 저온의 LNG가 열을 얻어 펌프(30)에서 용이하게 압축할 수 있는 온도로 상승될 수 있고, 급수 펌프(61)로 순환되는 상대적으로 고온의 작동유체가 열을 잃어 급수 펌프(61)에서 단열압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펌프(30)는 부스팅 펌프(31)와 고압 펌프(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응축기(64)는 부스팅 펌프(31)와 고압 펌프(32) 사이의 LNG 공급 라인(21)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LNG 저장탱크(10)와 펌프(30) 사이의 LNG 공급 라인(21)에 냉온열 발전 장치(60)를 설치하여, LNG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되는 LNG의 온도를 시스템(3)의 펌프(30)에 적합하도록 상승시킴으로써, 시스템(3)의 LNG 처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연료를 절감할 수 있고, LNG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되는 LNG의 냉열을 냉온열 발전 장치(60)의 동력원으로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생성된 에너지를 제3 수요처(70)의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LNG 처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LNG 처리 시스템(4)은, LNG 저장탱크(10), 제1 수요처(20a), 제2 수요처(20b), 펌프(30), 열교환기(40), 증발가스 압축기(51), 냉온열 발전 장치(60)를 포함하며, 냉온열 발전 장치(60)가 펌프(30)와 열교환기(40) 사이의 LNG 공급 라인(21)에 설치되는 것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각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3 실시예에서의 냉온열 발전 장치(60)는, 펌프(30)와 열교환기(40) 사이의 LNG 공급 라인(21)에 설치될 수 있으며, 펌프(30)로부터 열교환기(40)로 공급되는 LNG를 작동유체 순환 라인(66) 내부의 작동유체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열교환기(40)에서 용이하게 제1 수요처(20a)가 요구하는 온도로 상승시킬 수 있고, LNG의 냉열을 동력원으로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성하여 제3 수요처(70)의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냉온열 발전 장치(60)는, 급수 펌프(61), 기화기(62), 터빈(63), 응축기(64)를 포함하며, 이러한 모든 구성 요소들이 작동유체 순환 라인(66)으로 연결되는데, 응축기(64)가 펌프(30)와 열교환기(40) 사이의 LNG 공급 라인(21)에 설치되는 것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각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3 실시예에서의 응축기(64)는, 터빈(63)과 급수 펌프(61) 사이의 작동유체 순환 라인(66)과, 펌프(30)와 열교환기(40) 사이의 LNG 공급 라인(21)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터빈(63)으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등압방열시켜 급수 펌프(61)로 공급할 수 있다.
응축기(64)에서는, LNG 공급 라인(21)을 통해 펌프(30)로부터 열교환기(40)로 공급되는 LNG와, 작동유체 순환 라인(66)을 통해 터빈(63)으로부터 급수 펌프(61)로 순환되는 작동유체가 상호 열교환이 이루어짐으로써, 열교환기(40)로 공급되는 저온의 LNG가 열을 얻어 열교환기(40)에서 제1 수요처(20a)가 요구하는 온도로 LNG를 가열할 때 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게 하고, 급수 펌프(61)로 순환되는 상대적으로 고온의 작동유체가 열을 잃어 급수 펌프(61)에서 단열압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펌프(30)는 부스팅 펌프(31)와 고압 펌프(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응축기(64)는 고압 펌프(32)와 열교환기(40) 사이의 LNG 공급 라인(21)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펌프(30)와 열교환기(40) 사이의 LNG 공급 라인(21)에 냉온열 발전 장치(60)를 설치하여, LNG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되는 LNG의 온도를 시스템(4)의 열교환기(40)에서 제1 수요처(20a)가 요구하는 온도로 용이하게 가열할 수 있도록 상승시킴으로써, 시스템(4)의 LNG 처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연료를 절감할 수 있고, LNG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되는 LNG의 냉열을 냉온열 발전 장치(60)의 동력원으로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생성된 에너지를 제3 수요처(70)의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LNG 처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LNG 처리 시스템(5)은, LNG 저장탱크(10), 제1 수요처(20a), 제2 수요처(20b), 펌프(30), 열교환기(40), 증발가스 압축기(51), 냉온열 발전 장치(60)를 포함하며, 냉온열 발전 장치(60)가 복수 개의 증발가스 압축기(51) 사이를 연결하는 증발가스 공급 라인(22)에 설치되는 것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각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4 실시예에서의 냉온열 발전 장치(60)는, 복수 개의 증발가스 압축기(51) 사이를 연결하는 증발가스 공급 라인(22)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류에 위치된 증발가스 압축기(51)로부터 하류에 위치된 증발가스 압축기(51)로 공급되는 증발가스를 작동유체 순환 라인(66) 내부의 작동유체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류에 위치된 증발가스 압축기(51)에 의해 압축되면서 상승된 증발가스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고, 증발가스의 온열을 동력원으로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성하여 제3 수요처(70)의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냉온열 발전 장치(60)는, 급수 펌프(61), 기화기(62), 터빈(63), 응축기(64)를 포함하며, 이러한 모든 구성 요소들이 작동유체 순환 라인(66)으로 연결되는데, 응축기(64)가 증발가스 공급 라인(22)에 설치되지 않고 기화기(62)가 복수 개의 증발가스 압축기(51) 사이를 연결하는 증발가스 공급 라인(22)에 설치되는 것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각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4 실시예에서의 응축기(64)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터빈(63)과 급수 펌프(61) 사이의 작동유체 순환 라인(66)에 설치되어 단순히 터빈(63)으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등압방열시켜 급수 펌프(61)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터빈(63)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체는 대기 등을 사용하여 등압방열시킬 수 있다.
제4 실시예에서의 기화기(62)는, 급수 펌프(61)와 터빈(63) 사이의 작동유체 순환 라인(66)과, 복수 개의 증발가스 압축기(51) 사이를 연결하는 증발가스 공급 라인(22)에 마련될 수 있으며, 급수 펌프(61)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등압가열시켜 터빈(63)에 공급할 수 있다.
기화기(62)에서는, 복수 개의 증발가스 압축기(51) 중에서 기화기(62)를 기준으로 상류에 위치된 증발가스 압축기(51)로부터 토출되는 증발가스와, 작동유체 순환 라인(66)을 통해 급수 펌프(61)로부터 터빈(63)으로 순환되는 작동유체가 상호 열교환이 이루어짐으로써, 상류에 위치된 증발가스 압축기(51)로부터 토출되는 고온의 증발가스가 열을 잃어 하류에 위치된 증발가스 압축기(51)에서 용이하게 압축할 수 있는 온도 또는 제2 수요처(20b)에서 요구하는 온도로 하강시킬 수 있고, 터빈(63)으로 순환되는 작동유체가 열을 얻어 터빈(63)에서 단열팽창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화기(62)는, 일례로 증발가스 압축기(51)가 3개 구비되어 증발가스가 3단 압축될 경우, 가장 상류 또는 중간에 위치된 증발가스 압축기(51)의 후단에 마련되어 1단 또는 2단 압축된 증발가스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기화기(62)는, 복수 개의 증발가스 압축기(51) 사이에 증발가스 냉각기(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는 구성일 경우, 증발가스 압축기(51)와 증발가스 냉각기 사이의 증발가스 공급 라인(22)에 마련되어 증발가스 냉각기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거나, 증발가스 냉각기가 구비되지 않는 구성일 경우, 증발가스 냉각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복수 개의 증발가스 압축기(51) 사이를 연결하는 증발가스 공급 라인(22)에 냉온열 발전 장치(60)를 설치하여, 상류에 위치된 증발가스 압축기(51)로부터 토출되는 증발가스의 온도를 시스템(4)의 제2 수요처(20b)가 요구하는 온도 또는 하류에 위치된 증발가스 압축기(51)에서 용이하게 압축할 수 있는 온도로 하강시킴으로써, 시스템(4)의 증발가스 처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어 연료를 절감할 수 있고, LNG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되어 증발가스 압축기(51)를 경유한 증발가스의 온열을 냉온열 발전 장치(60)의 동력원으로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생성된 에너지를 제3 수요처(70)의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LNG 처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LNG 처리 시스템(5)은, LNG 저장탱크(10), 제1 수요처(20a), 제2 수요처(20b), 펌프(30), 열교환기(40), 증발가스 압축기(51), 냉온열 발전 장치(60)를 포함하며, 냉온열 발전 장치(60)가 증발가스 압축기(51)와 열교환기(40) 사이의 증발가스 공급 라인(22)에 설치되는 것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각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5 실시예에서의 냉온열 발전 장치(60)는, 증발가스 압축기(51)와 열교환기(40) 사이의 증발가스 공급 라인(22)에 설치될 수 있으며, 증발가스 압축기(51)로부터 열교환기(40)로 공급되는 증발가스를 작동유체 순환 라인(66) 내부의 작동유체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증발가스 압축기(51)에 의해 압축되면서 상승된 증발가스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고, 증발가스의 온열을 동력원으로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성하여 제3 수요처(70)의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냉온열 발전 장치(60)는, 급수 펌프(61), 기화기(62), 터빈(63), 응축기(64)를 포함하며, 이러한 모든 구성 요소들이 작동유체 순환 라인(66)으로 연결되는데, 응축기(64)가 증발가스 공급 라인(22)에 설치되지 않고 기화기(62)가 증발가스 압축기(51)와 열교환기(40) 사이의 증발가스 공급 라인(22)에 설치되는 것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각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5 실시예에서의 응축기(64)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터빈(63)과 급수 펌프(61) 사이의 작동유체 순환 라인(66)에 설치되어 단순히 터빈(63)으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등압방열시켜 급수 펌프(61)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터빈(63)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체는 대기 등을 사용하여 등압방열시킬 수 있다.
제5 실시예에서의 기화기(62)는, 급수 펌프(61)와 터빈(63) 사이의 작동유체 순환 라인(66)과, 증발가스 압축기(51)와 열교환기(40) 사이의 증발가스 공급 라인(22)에 마련될 수 있으며, 급수 펌프(61)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등압가열시켜 터빈(63)에 공급할 수 있다.
기화기(62)에서는, 증발가스 공급 라인(22)을 통해 증발가스 압축기(51)로부터 열교환기(40)로 공급되는 증발가스와, 작동유체 순환 라인(66)을 통해 급수 펌프(61)로부터 터빈(63)으로 순환되는 작동유체가 상호 열교환이 이루어짐으로써, 증발가스 압축기(51)로부터 토출되는 고온의 증발가스가 열을 잃어 열교환기(40)에서 제1 수요처(20a)가 요구하는 온도로 증발가스를 가열할 때 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게 하고, 터빈(63)으로 순환되는 상대적으로 저온의 작동유체가 열을 얻어 터빈(63)에서 단열팽창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화기(62)는, 일례로 증발가스 압축기(51)가 3개 구비되어 증발가스가 3단 압축될 경우, 가장 하류에 위치된 증발가스 압축기(51)의 후단에 마련되어 3단 압축된 증발가스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기화기(62)는, 가장 하류의 증발가스 압축기(51)의 후단에 증발가스 냉각기(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는 구성일 경우, 증발가스 압축기(51)와 증발가스 냉각기 사이의 증발가스 공급 라인(22)에 마련되어 증발가스 냉각기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거나, 증발가스 냉각기가 구비되지 않는 구성일 경우, 증발가스 냉각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증발가스 압축기(51)와 열교환기(40) 사이의 증발가스 공급 라인(22)에 냉온열 발전 장치(60)를 설치하여, 가장 하류에 위치된 증발가스 압축기(51)로부터 토출되는 증발가스의 온도를 시스템(4)의 열교환기(40)에서 제1 수요처(20a)가 요구하는 온도로 용이하게 가열할 수 있도록 하강시킴으로써, 시스템(4)의 증발가스 처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어 연료를 절감할 수 있고, LNG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되어 증발가스 압축기(51)를 경유한 증발가스의 온열을 냉온열 발전 장치(60)의 동력원으로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생성된 에너지를 제3 수요처(70)의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및 제3 실시예에서는, 냉온열 발전 장치(60)의 응축기(64)에서 LNG 또는 증발가스의 냉열과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였고, 제4 및 제5 실시예에서는, 냉온열 발전 장치(60)의 기화기(62)에서 증발가스의 온열과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서 제1, 제2 및 제3 실시예와 제4 및 제5 실시예와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와 제4 실시예를 조합할 경우에는, 냉온열 발전 장치(60)의 응축기(64)가 LNG 저장탱크(10)와 증발가스 압축기(51) 사이의 증발가스 공급 라인(22)에 마련될 수 있고, 냉온열 발전 장치(60)의 기화기(62)가 복수 개의 증발가스 압축기(51) 사이를 연결하는 증발가스 공급 라인(22)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와 제5 실시예, 제2 실시예와 제4 실시예, 제2 실시예와 제5 실시예, 제3 실시예와 제4 실시예 또는 제3 실시예와 제5 실시예를 조합할 경우에도, 상기한 제1 실시예와 제4 실시예를 조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응축기(64)와 기화기(62)를 배치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LNG 저장탱크(10)와 수요처(20a, 20b) 사이에 마련되는 LNG 또는 증발가스 공급 라인(21, 22)에 냉온열 발전 장치(60)를 설치하여, LNG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되는 LNG 또는 증발가스의 온도를 시스템(2, 3, 4, 5, 6)의 각 구성 요소 적합하도록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시스템(2, 3, 4, 5, 6)의 LNG 또는 증발가스 처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어 연료를 절감할 수 있고, 또한 LNG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되는 LNG 또는 증발가스의 버려지는 냉열과 온열을 냉온열 발전 장치(60)의 동력원으로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생성된 에너지를 다른 장치(70)의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1: 종래의 LNG 처리 시스템
2, 3, 4: 본 발명의 LNG 처리 시스템
10: LNG 저장탱크 20: 엔진
20a: 제1 수요처 20b: 제2 수요처
21: LNG 공급 라인 22: 증발가스 공급 라인
23: 저압 증발가스 공급 라인 30: 펌프
31: 부스팅 펌프 32: 고압 펌프
40: 열교환기 51: 증발가스 압축기
60: 냉온열 발전 장치 61: 급수 펌프
62: 기화기 63: 터빈
64: 응축기 65: 구동축
66: 작동유체 순환 라인 70: 제3 수요처

Claims (10)

  1. LNG 저장탱크로부터 제1 수요처까지 연결된 LNG 공급 라인;
    상기 LNG 공급 라인 상에 설치되며, 상기 LNG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된 LNG를 가압하는 펌프;
    상기 제1 수요처와 상기 펌프 사이의 상기 LNG 공급 라인 상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증발가스 공급 라인 상에 설치되며, 상기 LNG 저장탱크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를 가압하여 상기 제1 수요처에 공급하는 복수 개의 증발가스 압축기; 및
    상기 복수 개의 증발가스 압축기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증발가스 공급 라인이나, 상기 복수 개의 증발가스 압축기와 상기 열교환기 사이의 상기 증발가스 공급 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가스 공급 라인을 경유하는 고온의 상기 증발가스가, 작동유체 순환 라인을 따라 순환하는 상대적으로 저온의 작동유체와 열교환되도록 하여 가열된 작동유체가 터빈을 회전시켜 동력을 발생시키는 냉온열 발전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처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요처는,
    고압 엔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처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증발가스 공급 라인 상에서 상기 복수 개의 증발가스 압축기 사이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수요처에 연결되어, 상기 증발가스를 상기 제2 수요처로 공급하는 저압 증발가스 공급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처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요처는,
    저압 엔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처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증발가스 압축기 사이에는,
    증발가스 냉각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처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가스 냉각기는,
    상기 복수 개의 증발가스 압축기와 동일한 수로 설치되며, 상기 각 증발가스 압축기의 하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처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열 발전 장치는,
    급수 펌프, 기화기, 상기 터빈 및 응축기가 상기 작동유체 순환 라인에 의해 연결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급수 펌프는, 상기 응축기와 상기 기화기 사이의 상기 작동유체 순환 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유체를 단열압축시켜 상기 기화기로 공급하고,
    상기 기화기는, 상기 급수 펌프와 상기 터빈 사이의 상기 작동유체 순환 라인과, 상기 복수 개의 증발가스 압축기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증발가스 공급 라인이나, 상기 복수 개의 증발가스 압축기와 상기 열교환기 사이의 상기 증발가스 공급 라인 상에 마련되며, 상기 작동유체를 등압가열시켜 상기 터빈으로 공급하고, 상기 증발가스가 상기 작동유체와 열교환되도록 하고,
    상기 터빈은, 상기 기화기와 상기 응축기 사이의 상기 작동유체 순환 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유체를 단열팽창시켜 상기 응축기로 공급하고,
    상기 응축기는, 상기 터빈과 상기 급수 펌프 사이의 상기 작동유체 순환 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유체를 등압방열시켜 상기 급수 펌프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처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터빈은,
    상기 기화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작동유체에 의해 생성된 회전 에너지를 제3 수요처의 동력원으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처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수요처는,
    상기 회전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처리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고압 펌프이며,
    상기 LNG 저장탱크와 상기 고압 펌프 사이의 상기 LNG 공급 라인에는,
    부스팅 펌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처리 시스템.
KR1020130064932A 2013-06-05 2013-06-05 Lng 처리 시스템 KR102049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932A KR102049477B1 (ko) 2013-06-05 2013-06-05 Lng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932A KR102049477B1 (ko) 2013-06-05 2013-06-05 Lng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029A true KR20140143029A (ko) 2014-12-15
KR102049477B1 KR102049477B1 (ko) 2019-11-28

Family

ID=52460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4932A KR102049477B1 (ko) 2013-06-05 2013-06-05 Lng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4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8555A1 (ko) * 2015-12-12 2016-11-10 유진초저온(주) Lng 기화공정 중 발생되는 lng 저온 폐열 회수를 위한 lng 최적제어 재액화 시스템
WO2016178512A1 (ko) * 2015-09-18 2016-11-10 유진초저온(주) 엘엔지 재액화를 통한 냉열 이용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1896A (ja) * 2005-07-19 2009-01-22 シンヨン ヘビー インダストリーズ カンパニー,リミティド Lngbog再液化装置
KR20100099132A (ko) * 2007-10-22 2010-09-10 오매트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Lng 용 발전 및 재기화 장치
KR101147365B1 (ko) * 2011-03-11 2012-05-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재액화 장치 및 고압 천연가스 분사 엔진을 갖는 해상 구조물의 연료 공급 시스템의 운전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1896A (ja) * 2005-07-19 2009-01-22 シンヨン ヘビー インダストリーズ カンパニー,リミティド Lngbog再液化装置
KR20100099132A (ko) * 2007-10-22 2010-09-10 오매트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Lng 용 발전 및 재기화 장치
KR101147365B1 (ko) * 2011-03-11 2012-05-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재액화 장치 및 고압 천연가스 분사 엔진을 갖는 해상 구조물의 연료 공급 시스템의 운전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8512A1 (ko) * 2015-09-18 2016-11-10 유진초저온(주) 엘엔지 재액화를 통한 냉열 이용 시스템
WO2016178555A1 (ko) * 2015-12-12 2016-11-10 유진초저온(주) Lng 기화공정 중 발생되는 lng 저온 폐열 회수를 위한 lng 최적제어 재액화 시스템
CN107124894A (zh) * 2015-12-12 2017-09-01 有进超低温(株) 用于回收lng气化工序中产生的lng低温废热的lng最佳控制再液化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477B1 (ko) 2019-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13388B2 (ja) 液化ガス処理システム
KR101441242B1 (ko) Lng 연료 공급 시스템
KR101768326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101289212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JP6527249B2 (ja) ガス処理システムを含む船舶
KR101334002B1 (ko) Lng 처리 시스템
KR101333932B1 (ko) Lng 처리 시스템
KR101441243B1 (ko) Lng 처리 시스템
KR101380427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101441244B1 (ko) Lng 처리 시스템
KR101747502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20140143035A (ko) Lng 처리 시스템
KR101468808B1 (ko) Lng 처리 시스템
KR102053927B1 (ko) Lng 처리 시스템
KR102025785B1 (ko) Lng 처리 시스템
KR101333947B1 (ko) Lng 처리 시스템
KR20140127111A (ko) Lng 연료 공급 시스템
KR20140143038A (ko) Lng 처리 시스템
KR101528977B1 (ko) Lng 처리 시스템
KR20140143029A (ko) Lng 처리 시스템
KR101929606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20150115097A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20160034518A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20160034522A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101535759B1 (ko) Lng 연료 공급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