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808B1 - Lng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Lng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808B1
KR101468808B1 KR1020130060821A KR20130060821A KR101468808B1 KR 101468808 B1 KR101468808 B1 KR 101468808B1 KR 1020130060821 A KR1020130060821 A KR 1020130060821A KR 20130060821 A KR20130060821 A KR 20130060821A KR 101468808 B1 KR101468808 B1 KR 101468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ng
gas
heat exchanger
storage tank
down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0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은성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0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8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17C7/02Discharging liquefied gases
    • F17C7/04Discharging liquefied gases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9/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F17C9/04Recovery of thermal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2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 F17D1/065Arrangements for producing propulsion of gases or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LNG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LNG 저장탱크로부터 LNG 수요처까지 연결된 LNG 공급 라인; 상기 LNG 공급 라인 상에 마련되며, 상기 LNG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된 LNG를 가압하는 펌프; 상기 LNG 저장탱크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를 가압하며, 복수로 구비되어 증발가스를 다단 가압하는 증발가스 압축기; 상기 증발가스 압축기의 하류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가스 압축기에서 가압된 증발가스를 열교환시키는 하류 증발가스 열교환기; 상기 펌프에서 가압된 LNG와 상기 하류 증발가스 열교환기에서 증발가스를 공급받아서 혼합하여 상기 LNG 수요처로 공급하는 임시저장탱크; 및 상기 하류 증발가스 열교환기에서 상기 임시저장탱크, 상기 하류 증발가스 열교환기까지 연결되는 순환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LNG 처리 시스템은, 다단 가압된 증발가스의 일부는 LNG 저장탱크에서 공급되는 증발가스와 열교환시키고, 다른 일부는 증발가스 압축기의 후단에서 저압 LNG 수요처로 공급하는 증발가스와 열교환시켜, 증발가스의 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LNG 처리 시스템{A Treatment System of Liquefied Natural Gas}
본 발명은 LNG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대량의 광물이나 원유, 천연가스, 또는 몇천 개 이상의 컨테이너 등을 싣고 대양을 항해하는 운송수단으로서, 강철로 이루어져 있고 부력에 의해 수선면에 부유한 상태에서 프로펠러의 회전을 통해 발생되는 추력을 통해 이동한다.
이러한 선박은 엔진을 구동함으로써 추력을 발생시키는데, 이때 엔진은 가솔린 또는 디젤을 사용하여 피스톤을 움직여서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크랭크 축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크랭크 축에 연결된 샤프트가 회전되어 프로펠러가 구동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를 운반하는 LNG 운반선에서 LNG를 연료로 사용하여 엔진을 구동하는 LNG 연료공급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엔진의 연료로 LNG를 사용하는 방식은 LNG 운반선 외의 다른 선박에도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LNG는 청정연료이고 매장량도 석유보다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고, 채광과 이송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그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LNG는 주성분인 메탄을 1기압 하에서 -162℃도 이하로 온도를 내려서 액체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액화된 메탄의 부피는 표준상태인 기체상태의 메탄 부피의 600분의 1 정도이고, 비중은 0.42로 원유비중의 약 2분의 1이 된다.
그러나 엔진이 구동되기 위해 필요한 온도 및 압력 등은, 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LNG의 상태와는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액체 상태로 저장되는 LNG의 온도 및 압력 등을 제어하여 엔진에 공급하는 기술에 대하여,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LNG를 액상으로 보관할 때 탱크로 열침투가 발생함에 따라 일부 LNG가 기화되어 증발가스(BOG: Boil off Gas)가 생성되는데, 기존에는 탱크 압력을 낮춰 탱크의 파손 위험을 제거하기 위하여 증발가스를 단순히 외부로 배출 처리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탱크에서 생성된 증발가스를 재액화시켜 엔진에 공급하는 등의 활용 방안에 대해서도 개발의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증발가스의 낭비를 방지하고, LNG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LNG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NG 처리 시스템은, LNG 저장탱크로부터 LNG 수요처까지 연결된 LNG 공급 라인; 상기 LNG 공급 라인 상에 마련되며, 상기 LNG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된 LNG를 가압하는 펌프; 상기 LNG 저장탱크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를 가압하며, 복수로 구비되어 증발가스를 다단 가압하는 증발가스 압축기; 상기 증발가스 압축기의 하류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가스 압축기에서 가압된 증발가스를 열교환시키는 하류 증발가스 열교환기; 상기 펌프에서 가압된 LNG와 상기 하류 증발가스 열교환기에서 증발가스를 공급받아서 혼합하여 상기 LNG 수요처로 공급하는 임시저장탱크; 및 상기 하류 증발가스 열교환기에서 상기 임시저장탱크, 상기 하류 증발가스 열교환기까지 연결되는 순환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펌프는, 상기 LNG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된 LNG를 가압하는 부스팅 펌프; 및 상기 부스팅 펌프로부터 배출된 LNG를 고압으로 가압하는 고압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LNG 공급 라인 상에 마련되며, 상기 부스팅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LNG를 상기 증발가스 압축기에서 가압된 증발가스와 열교환시키는 상류 LNG 열교환기; 및 상기 LNG 공급 라인 상에 마련되며, 상기 고압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LNG를 열교환시키는 하류 LNG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증발가스 압축기의 상류에 설치되어, 상기 LNG 저장탱크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를 상기 증발가스 압축기에서 가압된 증발가스와 열교환시켜, 상기 증발가스 압축기와 상기 상류 LNG 열교환기로 각각 공급하는 상류 증발가스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류 LNG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증발가스를 감압하는 증발가스 감압기; 감압된 증발가스를 액체와 기체로 분리하여, 기체와 분리된 액체 상태의 증발가스를 상기 임시저장탱크로 공급하는 기액분리기; 및 상기 LNG 저장탱크에서 상기 상류 증발가스 열교환기, 상기 증발가스 압축기, 상기 상류 증발가스 열교환기, 상기 상류 LNG 열교환기, 상기 증발가스 감압기, 상기 기액분리기까지 연결되는 증발가스 공급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순환라인은, 상기 하류 증발가스 열교환기에서 상기 하류 LNG 열교환기, 상기 기액분리기, 상기 임시저장탱크, 상기 하류 증발가스 열교환기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액분리기에는 플래시 가스가 배출되는 플래시 가스 배출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LNG 공급 라인이 연결된 상기 LNG 수요처는, 고압 LNG 수요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류 증발가스 열교환기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발가스 압축기에서 가압된 증발가스를 상기 임시저장탱크에서 액화시켜 저압 LNG 수요처로 공급하는 저압 증발가스 공급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류 증발가스 열교환기는, 가압된 증발가스와 상기 저압 수요처로 공급되는 증발가스를 열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LNG 처리 시스템은, 다단 가압된 증발가스의 일부는 LNG 저장탱크에서 공급되는 증발가스와 열교환시키고, 다른 일부는 증발가스 압축기의 후단에서 저압 LNG 수요처로 공급하는 증발가스와 열교환시켜, 증발가스의 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발가스를 이용하여 LNG를 가열하여 히터의 부하를 감소키킬 수 있어,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LNG 처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NG 처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NG 처리 시스템의 LNG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NG 처리 시스템의 증발가스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NG 처리 시스템의 저압 LNG 수요처로 증발가스가 열교환되어 공급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LNG 처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LNG 처리 시스템(1)은, LNG 저장탱크(10), LNG 수요처(20), 펌프(30), LNG 열교환기(40)를 포함한다. 이때 LNG 수요처(20)는 고압 LNG 수요처인 기체연료 엔진 또는 저압 LNG 수요처인 이중연료 엔진일 수 있고, 펌프(30)는 부스팅 펌프(Boosting Pump; 31)와 고압 펌프(High Pressure Pump; 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LNG는 편의상 액체 상태인 NG(Natural Gas) 뿐만 아니라 초임계 상태 등인 NG를 모두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증발가스는 기체 상태의 증발가스뿐만 아니라 액화된 증발가스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LNG 처리 시스템(1)은, LNG 저장탱크(10)로부터 액체 상태의 LNG를 빼내어 부스팅 펌프(31), 고압 펌프(32)를 통해 가압시킨 후 LNG 열교환기(40)에서 글리콜 워터 등으로 가열하여 LNG 수요처(20)에 공급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LNG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체 상태의 LNG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외부 열침투에 의하여 LNG 저장탱크(10) 내에서 자연스럽게 발생되는 증발가스는 LNG 저장탱크(10)의 내압을 낮추기 위해 증발가스 배출 라인(16)을 따라 외부로 배출 처리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LNG 처리 시스템(1)은 증발가스를 전혀 활용하지 못하며 열교환의 효율이 낮아 에너지 낭비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NG 처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NG 처리 시스템(2)은, LNG 저장탱크(10), LNG 수요처(20), 펌프(30), 상류 LNG 열교환기(41), 하류 LNG 열교환기(42), 증발가스 압축기(50), 상류 증발가스 열교환기(60), 하류 증발가스 열교환기(70), 증발가스 감압기(80), 기액분리기(90), 임시저장탱크(1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LNG 저장탱크(10), LNG 수요처(20), 펌프(30) 등은 종래의 LNG 처리 시스템(1)에서의 각 구성과 편의상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나, 반드시 동일한 구성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LNG 저장탱크(10)는, LNG 수요처(20)에 공급될 LNG를 저장한다. LNG 저장탱크(10)는 LNG를 액체상태로 보관하여야 하는데, 이때 LNG 저장탱크(10)는 압력 탱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LNG 저장탱크(10)는, 외조 탱크(도시하지 않음), 내조 탱크(도시하지 않음), 단열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외조 탱크는 LNG 저장탱크(10)의 외벽을 이루는 구조로서, 스틸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면이 다각형 형태일 수 있다.
내조 탱크는, 외조 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며, 서포트(Support;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외조 탱크의 내부에 지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서포트는 내조 탱크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고, 물론 내조 탱크의 좌우 유동을 억제하기 위해 내조 탱크의 측면에도 구비될 수 있다.
내조 탱크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5bar 내지 10bar(일례로 6bar)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내조 탱크를 이와 같이 일정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은, 내조 탱크의 내부에 구비된 LNG가 증발되어 증발가스가 생성됨에 따라 내조 탱크의 내압이 상승될 수 있기 때문이다.
내조 탱크의 내부에는 배플(Baffle; 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될 수 있다. 배플은 격자 형태의 플레이트를 의미하며, 배플이 설치됨에 따라 내조 탱크 내부의 압력은 고르게 분포되어 내조 탱크가 일부분에 집중 압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열부는, 내조 탱크와 외조 탱크의 사이에 구비되며 외부 열에너지가 내조 탱크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단열부는 진공상태일 수 있다. 단열부를 진공으로 형성함에 따라, LNG 저장탱크(10)는 일반적인 탱크와 비교할 때 높은 압력에 더욱 효율적으로 견뎌낼 수 있다. 일례로 LNG 저장탱크(10)는 진공의 단열부를 통해 5bar 내지 20bar의 압력을 버텨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진공 형태의 단열부를 외조 탱크와 내조 탱크 사이에 구비하는 압력 탱크형 LNG 저장탱크(10)를 사용함으로써, 증발가스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내압이 상승하더라도 LNG 저장탱크(10)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일어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LNG 저장탱크(10)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증발가스 압축기(50)로 공급하여 LNG의 가열에 활용하거나, 또는 증발가스를 가압하여 저압 LNG 수요처(20b)의 연료로 활용함으로써, 증발가스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LNG 수요처(20)는, LNG 저장탱크(10)로부터 공급되는 LNG를 통해 구동되어 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LNG 수요처(20)는 고압 LNG 수요처(20a)와 저압 LNG 수요처(20b)를 포함하며, 고압 LNG 수요처(20a)는 기체연료 엔진일 수 있고, 저압 LNG 수요처(20b)는 이중연료 엔진일 수 있다.
LNG 수요처(20)는 LNG의 연소에 의해 실린더(도시하지 않음) 내부의 피스톤(도시하지 않음)이 왕복운동 함에 따라, 피스톤에 연결된 크랭크 축(도시하지 않음)이 회전되고, 크랭크 축에 연결되는 샤프트(도시하지 않음)가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LNG 수요처(20) 구동 시 샤프트에 연결된 프로펠러(도시하지 않음)가 회전함에 따라, 선체가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LNG 수요처(20)는 프로펠러를 구동하기 위한 엔진일 수 있으나, 발전을 위한 엔진 또는 기타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엔진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LNG 수요처(20)의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LNG 수요처(20)는 LNG의 연소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내연기관일 수 있다.
고압 LNG 수요처(20a)는, 초임계 상태(30℃ 내지 60℃, 200bar 내지 400bar)의 LNG를 하류 LNG 열교환기(42)로부터 공급받아 동력을 발생시키며, 반면 저압 LNG 수요처(20b)는, 증발가스 압축기(50)에 의하여 가압된 증발가스를 공급받아 구동력을 얻을 수 있다. 물론 고압 LNG 수요처(20a)와 저압 LNG 수요처(20b)에 공급되는 LNG 또는 증발가스의 상태는, 각 LNG 수요처(20)가 요구하는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저압 LNG 수요처(20b)의 경우, LNG와 오일이 혼합되어 공급되지 않고 LNG 또는 오일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이중연료 엔진일 수 있다. 이는 연소 온도가 상이한 두 물질이 혼합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저압 LNG 수요처(20b)의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LNG 저장탱크(10)와 고압 LNG 수요처(20a) 사이에는 LNG를 전달하는 LNG 공급 라인(21)이 설치될 수 있고, LNG 공급 라인(21)에는 펌프(30), 상류 LNG 열교환기(41), 하류 LNG 열교환기(42) 등이 구비되어 LNG가 고압 LNG 수요처(20a)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LNG 공급 라인(21)에는 연료 공급 밸브(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연료 공급 밸브의 개도 조절에 따라 LNG의 공급량이 조절될 수 있다.
펌프(30)는, LNG 공급 라인(21) 상에 마련되며, LNG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된 LNG를 가압한다. 펌프(30)는 부스팅 펌프(31)와 고압 펌프(32)를 포함할 수 있다.
부스팅 펌프(31)는, LNG 저장탱크(10)와 고압 펌프(32) 사이의 LNG 공급 라인(21) 상에, 또는 LNG 저장탱크(10) 내에 구비될 수 있으며, 고압 펌프(32)에 충분한 양의 LNG가 공급되도록 하여 고압 펌프(32)의 공동현상(cavitation)을 방지한다.
또한 부스팅 펌프(31)는 LNG 저장탱크(10)로부터 LNG를 빼내어서 LNG를 수 내지 수십 bar 이내로 가압할 수 있으며, 부스팅 펌프(31)를 거친 LNG는 1bar 내지 25bar로 가압될 수 있다.
LNG 저장탱크(10)에 저장된 LNG는 액체 상태에 놓여있다. 이때 부스팅 펌프(31)는 LNG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되는 LNG를 가압하여 압력 및 온도를 다소 높일 수 있으며, 부스팅 펌프(31)에 의해 가압된 LNG는 여전히 액체 상태일 수 있다.
고압 펌프(32)는, LNG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된 LNG를 고압으로 가압하여, 고압 LNG 수요처(20a)에 공급되도록 한다. LNG는 LNG 저장탱크(10)로부터 약 10bar 정도의 압력으로 배출된 후 부스팅 펌프(31)에 의해 1차로 가압되는데, 고압 펌프(32)는 부스팅 펌프(31)에 의해 가압된 액체상태의 LNG를 2차로 가압하여, LNG 열교환기(40)에 공급한다.
이때 고압 펌프(32)는 LNG를 고압 LNG 수요처(20a)에서 요구하는 압력, 예를 들어 200bar 내지 400bar까지 가압하여 고압 LNG 수요처(20a)에 공급함으로써, 고압 LNG 수요처(20a)가 LNG를 통해 동력을 생산하도록 할 수 있다.
고압 펌프(32)는, 부스팅 펌프(31)로부터 배출되는 액체상태의 LNG를 고압으로 가압하되, LNG가 초임계점(Critical Point)보다 높은 온도 및 높은 압력을 갖는 초임계 상태가 되도록 상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초임계 상태인 LNG의 온도는 임계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20℃ 이하일 수 있다.
또는 고압 펌프(32)는, 액체 상태의 LNG를 고압으로 가압하여 과냉액체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과냉액체 상태란 LNG의 압력이 임계압력보다 높고, 온도가 임계온도보다 낮은 상태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고압 펌프(32)는, 부스팅 펌프(31)로부터 배출되는 액체상태의 LNG를 200bar 내지 400bar까지 고압으로 가압하되, LNG의 온도가 임계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되도록 하여, LNG를 과냉액체 상태로 상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과냉액체 상태인 LNG의 온도는, 임계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140℃ 내지 -60℃일 수 있다.
상류 LNG 열교환기(41)와 하류 LNG 열교환기(42)는 LNG 공급 라인(21) 상에 직렬로 마련되어 LNG를 증발가스와 열교환시킨다. 여기서 이용되는 증발가스 각각은 상류 증발가스 열교환기(60)에서 열교환된 증발가스와 하류 증발가스 열교환기(70)에서 열교환된 증발가스이다. 이와 같이, LNG 보다 온도가 높은 증발가스를 이용하게 됨에 따라 LNG의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류 LNG 열교환기(41)는 부스팅 펌프(31)로부터 공급되는 LNG를 증발가스 압축기(50)에서 가압되어 상류 증발가스 열교환기(60)에서 열교환된 증발가스와 열교환시킨다.
부스팅 펌프(31)에서 공급되는 LNG는 증발가스 열교환기(60)에서 공급되는 증발가스와 열교환으로 가열되어 임시저장탱크(100)로 공급되고, 증발가스는 LNG로 열을 공급하여 냉각되어 증발가스 감압기(80)로 공급될 수 있다.
하류 LNG 열교환기(42)는 고압 펌프(32)로부터 공급되는 LNG를 하류 증발가스 열교환기(70)에서 공급되는 증발가스를 열교환시킨다. 여기서, 고압 펌프(32)에서 공급되는 LNG는 열교환으로 가열되어 고압 LNG 수요처(20a)로 공급되고, 증발가스는 증발가스 압축기(50)에서 가압과 동시에 가열되어 LNG에 열을 공급하여 냉각된 후 기액분리기(9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하류 LNG 열교환기(42)는 과냉액체 상태 또는 초임계 상태의 LNG를 고압 펌프(32)에서 배출되는 압력인 200bar 내지 400bar를 유지하면서 증발가스와 열교환시켜서, 고압 LNG 수요처(20a)에서 요구하는 온도까지 승온되어 30도 내지 60도의 초임계 상태의 LNG로 변환한 후 고압 LNG 수요처(20a)에 공급할 수 있다.
물론, 증발가스에 포함된 열원은 LNG 저장탱크(10)에서의 증발가스 발생량 등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는 LNG가 고압 LNG 수요처(20a) 요구 온도로 원활하게 가열될 수 있도록 별도의 히터(4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히터(43)는 LNG 공급 라인(21) 상에서 LNG 열교환기(40)의 하류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거나 또는 스팀이나 글리콜 워터를 이용하여 LNG를 가열할 수 있다.
증발가스 압축기(50)는, LNG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를 가압한다. 증발가스 압축기(50)는 LNG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되어 10bar 내외의 압력으로 배출되는 증발가스를 가압한다. 증발가스 압축기(50)는, 복수로 구비되어 증발가스를 다단 가압시킬 수 있다. 일례로 증발가스 압축기(50)는 4개가 구비되어 증발가스가 4단 가압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증발가스 압축기(50)가 증발가스를 가압하는 것은, 증발가스의 액화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증발가스는 압력이 상승할 경우 끓는점이 상승하게 되며, 이는 곧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도 액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증발가스 압축기(50)로 증발가스의 압력을 높임으로써, 증발가스가 쉽게 액화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증발가스 압축기(50) 사이에는 증발가스 냉각기(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증발가스 압축기(50)에 의하여 증발가스가 가압되면, 압력 상승에 따라 온도 역시 상승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는 증발가스 냉각기를 사용하여 증발가스의 온도를 다시 낮춰줄 수 있다. 증발가스 냉각기는 증발가스 압축기(50)와 동일한 수로 설치될 수 있으며, 각 증발가스 냉각기는 각 증발가스 압축기(50)의 하류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증발가스 압축기(50)는 가압된 증발가스를 상류 증발가스 열교환기(60)와 하류 증발가스 열교환기(7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증발가스 압축기(50)의 후단에는 분배기(50C)가 구비되어 가압된 증발가스를 상류 증발가스 열교환기(60), 하류 증발가스 열교환기(70)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류 증발가스 열교환기(60)는 증발가스 공급 라인(22)에서 증발가스 압축기(50)의 상류에 설치되어, LNG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를 증발가스 압축기(50)에서 가압된 증발가스와 열교환시킨다.
즉, LNG 저장탱크(10)에서 배출된 증발가스가 증발가스 압축기(50)에서 다단으로 가압된 후 증발가스 열교환기(60)로 회수되고, LNG 저장탱크(10)에서 새로 공급되는 증발가스가 회수된 증발가스와 증발가스 열교환기(60)에서 열교환된다. 이에 따라, 증발가스 열교환기(60)로 유입될 증발가스는 증발가스 열교환기(60)에서 증발가스 압축기(50)에 의해 가압되어 온도가 상승된 증발가스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하류 증발가스 열교환기(70)는 증발가스 압축기(50)의 하류에 설치되어, 증발가스 압축기(50)에서 가압된 증발가스를 열교환시킨다.
즉, 증발가스 압축기(50)에서 가압된 증발가스가, 임시저장탱크(100)에서 하류 증발가스 열교환기(70)로 공급되는 증발가스에 열을 공급하여 냉각된 후 하류 LNG 열교환기(42)로 공급된다.
그리고 임시저장탱크(100)에서 배출되는 증발가스는 증발가스 압축기(50)에서 가압되어 승온된 증발가스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가열된 후 저압 LNG 수요처(20b)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저압 LNG 수요처(20b)로 공급되는 증발가스는 저압 증발가스 공급 라인(23)을 통해 공급될 수 있으며, 저압 증발가스 공급 라인(23)은 증발가스의 흐름을 기준으로 4번째 증발가스 압축기(50)의 하류인 하류 증발가스 열교환기(70)에 연결될 수 있다. 저압 증발가스 공급 라인(23) 상에는 증발가스 공급 밸브(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고, 증발가스 공급 밸브는 저압 LNG 수요처(20b)로 공급되는 증발가스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증발가스 감압기(80)는 상류 LNG 열교환기(41)에서 열교환된 증발가스를 감압할 수 있다. 증발가스는 상류 LNG 열교환기(41)에서 LNG와 열교환하여 냉각되나, 압력은 증발가스 압축기(50)에서 토출된 토출압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증발가스가 임시저장탱크(100)에서 액화된 후 고압 펌프(32)에 의해 고압 LNG 수요처(20a)로 공급될 수 있으므로, 고압 펌프(32)의 유입단에 과도한 압력이 작용하지 못하도록 압력을 감압시켜 고압 펌프(3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증발가스 감압기(80)는 고압 펌프(32)의 유입단에 증발가스 압력이 고압 펌프(32) 구동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범위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증발가스 감압기(80)는 일례로 줄톰슨 밸브일 수 있으며, 줄톰슨 밸브는 증발가스를 1bar 내지 20bar로 감압시킬 수 있다. 증발가스는 감압되면서 액상으로 변화되며, 줄톰슨 밸브에 의해 감압된 증발가스에는 냉각효과가 발생된다.
기액분리기(separator, 90)는 감압된 증발가스를 액체와 기체로 분리하여, 기체와 분리된 액체 상태의 증발가스를 임시저장탱크(100)로 공급할 수 있다. 기액분리기(90)는 증발가스에서 기체를 제거할 수 있도록 기체와 액체로 분리하여 기체상태의 증발가스는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체 상태의 증발가스는 일단이 기액분리기(90)에 연결되는 배출 라인(9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라인(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임시저장탱크(100) 하류의 순환라인으로 유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증발가스 공급라인(22)이 LNG 저장탱크(10)에서 상류 증발가스 열교환기(60), 증발가스 압축기(50), 상류 증발가스 열교환기(60), 상류 LNG 열교환기(41), 증발가스 감압기(80), 기액분리기(90)까지 연결되어 증발가스가 이동될 수 있다.
임시저장탱크(100)는 부스팅 펌프(31)에서 가압되어 상류 LNG 열교환기(41)에서 열교환된 LNG와 하류 증발가스 열교환기(70)에서 증발가스를 공급받아서 혼합하여 고압 펌프(32)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하류 증발가스 열교환기(70)에서 임시저장탱크(100)로 공급되는 증발가스는 상류 LNG 열교환기(41)에서 열교환된 후 기액분리기(90)에서 기체가 분리된 액체상태의 증발가스일 수 있다.
임시저장탱크(100)는 기액분리기(90)에서 공급되는 증발가스를 상류 LNG 열교환기(41)에서 공급되는 LNG와 열교환으로 액화시킨다. 여기서, 임시저장탱크(100)는 액체상태의 증발가스와 LNG를 고압 펌프(32)로 공급하고, 기체 상태의 증발가스인 플래시가스(flash gas)를 하류 증발가스 열교환기(70)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증발가스 압축기(50)에서 공급되는 증발가스는 순환라인(24)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순환라인(24)은 하류 증발가스 열교환기(70)에서 하류 LNG 열교환기(42), 기액분리기(90), 임시저장탱크(100), 하류 증발가스 열교환기(70)까지 연결될 수 있다.
증발가스와 LNG의 흐름에 대하여 아래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NG 처리 시스템의 LNG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NG 처리 시스템의 증발가스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NG 처리 시스템의 저압 LNG 수요처로 증발가스가 열교환되어 공급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LNG는 LNG 저장탱크(10)로부터 공급되어 부스팅 펌프(31)에서 가압된 후 상류 LNG 열교환기(41)에서 가열된 후 임시저장탱크(100)로 공급되어 증발가스와 혼합되어 고압 펌프(32)로 공급되어 가압된다.
그리고 나서, 하류 LNG 열교환기(42)로 공급되어 증발가스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가열되며, 고압 LNG 수요처(20a)가 요구하는 온도로 히터(43)에서 가열되어 고압 LNG 수요처(20a)로 공급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발가스는 LNG 저장탱크(10)에서 상류 증발가스 열교환기(60)를 경로하여 증발가스 압축기(50)에서 가압되고, 상류 증발가스 열교환기(60)에서 새로 공급되는 증발가스와 열교환된 후 상류 LNG 열교환기(41)에서 LNG로 열을 공급하여 냉각된다.
그리고 나서, 증발가스는 증발가스 압축기(50)에서 상승된 압력이 증발가스 감압기(80)에서 감압되어 기액분리기(90)로 공급된다. 증발가스는 기액분리기(90)에서 액체와 기체로 분리되어 기체인 플래시가스는 배출 라인(9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압 LNG 수요처(20b)로 공급되는 증발가스는 열교환되어 공급된다.
저압 LNG 수요처(20b)로 공급되는 증발가스는 증발가스 압축기(50)에서 가압되어 배출된 증발가스로서, 하류 증발가스 열교환기(70)로 공급되어 순환라인(24)을 통해 열교환된 후 저압 LNG 수요처(20b)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증발가스는 하류 증발가스 열교환기(70)에서 하류 LNG 열교환기(42)로 공급되어 LNG에 열을 공급한 후 기액분리기(90)로 공급되어 액체와 기체로 분리된다. 여기서, 기액분리기(90)에는 증발가스 공급 라인(22)이 연결되어 증발가스 감압기(80)로부터 증발가스가 기액분리기(90)로 공급되어 하류 LNG 열교환기(42)에서 공급되는 증발가스와 합류된다. 이때, 기체 상태의 증발가스는 배출 라인(9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액체 상태의 증발가스는 임시저장탱크(100)로 공급되어 상류 LNG 열교환기(41)에서 공급되는 LNG와 혼합되어 액화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액화되고 남은 기체상태의 증발가스인 플래시가스는 증발가스 열교환기(70)로 공급되어 증발가스 압축기(50)에서 공급되는 증발가스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가열된 후 저압 LNG 수요처(20b)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다단 가압된 증발가스의 일부는 LNG 저장탱크(10)에서 공급되는 증발가스와 열교환시키고, 다른 일부는 증발가스 압축기(50)의 후단에서 열교환시켜 저압 LNG 수요처(20b)로 공급하여 이용함으로써, 증발가스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1, 2: LNG 처리 시스템 10: LNG 저장탱크
20: LNG 수요처 21: LNG 공급 라인
22: 증발가스 공급 라인 23: 저압 증발가스 공급 라인
24: 순환라인 30: 펌프
31: 부스팅 펌프 32: 고압 펌프
40: LNG 열교환기 41: 상류 LNG 열교환기
42: 하류 LNG 열교환기 43: 히터
50: 증발가스 압축기 60: 상류 증발가스 열교환기
70: 하류 증발가스 열교환기 80: 증발가스 감압기
90: 기액분리기 91: 배출 라인
100: 임시저장탱크

Claims (10)

  1. LNG 저장탱크로부터 LNG 수요처까지 연결된 LNG 공급 라인;
    상기 LNG 공급 라인 상에 마련되며, 상기 LNG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된 LNG를 가압하는 펌프;
    상기 LNG 저장탱크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를 가압하며, 복수로 구비되어 증발가스를 다단 가압하는 증발가스 압축기;
    상기 증발가스 압축기의 상류에 설치되어, 상기 LNG 저장탱크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를 상기 증발가스 압축기에서 가압된 증발가스와 열교환시키는 상류 증발가스 열교환기;
    상기 증발가스 압축기의 하류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가스 압축기에서 가압된 증발가스를 열교환시키는 하류 증발가스 열교환기;
    상기 펌프에서 가압된 LNG와 상기 하류 증발가스 열교환기에서 증발가스를 공급받아서 혼합하여 상기 LNG 수요처로 공급하는 임시저장탱크; 및
    상기 하류 증발가스 열교환기에서 상기 임시저장탱크, 상기 하류 증발가스 열교환기까지 연결되는 순환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하류 증발가스 열교환기는 상기 임시저장탱크에서 공급되는 증발가스를 상기 증발가스 압축기에서 가압된 증발가스와 열교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LNG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된 LNG를 가압하는 부스팅 펌프; 및
    상기 부스팅 펌프로부터 배출된 LNG를 고압으로 가압하는 고압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처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LNG 공급 라인 상에 마련되며, 상기 부스팅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LNG를 상기 증발가스 압축기에서 가압된 증발가스와 열교환시키는 상류 LNG 열교환기; 및
    상기 LNG 공급 라인 상에 마련되며, 상기 고압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LNG를 상기 순환라인을 따라 흐르는 증발가스와 열교환시키는 하류 LNG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처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 증발가스 열교환기는,
    열교환된 증발가스를 상기 증발가스 압축기와 상기 상류 LNG 열교환기로 각각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처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 LNG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증발가스를 감압하는 증발가스 감압기;
    감압된 증발가스를 액체와 기체로 분리하여, 기체와 분리된 액체 상태의 증발가스를 상기 임시저장탱크로 공급하는 기액분리기; 및
    상기 LNG 저장탱크에서 상기 상류 증발가스 열교환기, 상기 증발가스 압축기, 상기 상류 증발가스 열교환기, 상기 상류 LNG 열교환기, 상기 증발가스 감압기, 상기 기액분리기까지 연결되는 증발가스 공급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처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라인은,
    상기 하류 증발가스 열교환기에서 상기 하류 LNG 열교환기, 상기 기액분리기, 상기 임시저장탱크, 상기 하류 증발가스 열교환기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처리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기에는 플래시 가스가 배출되는 플래시 가스 배출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처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NG 공급 라인이 연결된 상기 LNG 수요처는,
    고압 LNG 수요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처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 증발가스 열교환기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발가스 압축기에서 가압된 증발가스를 상기 임시저장탱크에서 액화시켜 저압 LNG 수요처로 공급하는 저압 증발가스 공급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처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 증발가스 열교환기는,
    가압된 증발가스와 상기 저압 수요처로 공급되는 증발가스를 열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처리 시스템.
KR1020130060821A 2013-05-29 2013-05-29 Lng 처리 시스템 KR101468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821A KR101468808B1 (ko) 2013-05-29 2013-05-29 Lng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821A KR101468808B1 (ko) 2013-05-29 2013-05-29 Lng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8808B1 true KR101468808B1 (ko) 2014-12-03

Family

ID=52677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0821A KR101468808B1 (ko) 2013-05-29 2013-05-29 Lng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8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410A (ko) * 2014-12-08 2016-06-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체화물 운반선의 재액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69409A (ko) * 2014-12-08 2016-06-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체화물 운반선의 재액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70366A (ko) * 2014-12-10 2016-06-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연료공급시스템
KR101670877B1 (ko) * 2014-12-08 2016-10-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체화물 운반선의 재액화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499A (ja) * 1985-07-16 1987-01-2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低温貯槽の蒸発ガス処理装置
JP2009280641A (ja) * 2008-05-20 2009-12-03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Lngポンプによるホットアップ装置及びそのホットアップ方法
KR20110073825A (ko) * 2009-12-24 2011-06-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장치
KR20120103421A (ko) * 2011-03-11 2012-09-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재액화 장치 및 고압 천연가스 분사 엔진을 갖는 해상 구조물의 연료 공급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499A (ja) * 1985-07-16 1987-01-2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低温貯槽の蒸発ガス処理装置
JP2009280641A (ja) * 2008-05-20 2009-12-03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Lngポンプによるホットアップ装置及びそのホットアップ方法
KR20110073825A (ko) * 2009-12-24 2011-06-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장치
KR20120103421A (ko) * 2011-03-11 2012-09-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재액화 장치 및 고압 천연가스 분사 엔진을 갖는 해상 구조물의 연료 공급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410A (ko) * 2014-12-08 2016-06-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체화물 운반선의 재액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69409A (ko) * 2014-12-08 2016-06-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체화물 운반선의 재액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670877B1 (ko) * 2014-12-08 2016-10-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체화물 운반선의 재액화 시스템
KR101686508B1 (ko) * 2014-12-08 2016-12-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체화물 운반선의 재액화 시스템
KR101686509B1 (ko) * 2014-12-08 2016-12-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체화물 운반선의 재액화 시스템
KR20160070366A (ko) * 2014-12-10 2016-06-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연료공급시스템
KR101711997B1 (ko) * 2014-12-10 2017-03-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연료공급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9212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101441243B1 (ko) Lng 처리 시스템
JP6313388B2 (ja) 液化ガス処理システム
KR101768326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101334002B1 (ko) Lng 처리 시스템
KR101441242B1 (ko) Lng 연료 공급 시스템
KR101848139B1 (ko) 가스 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KR101842324B1 (ko) 가스 처리 시스템
KR101333932B1 (ko) Lng 처리 시스템
KR101459962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20150039427A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101468808B1 (ko) Lng 처리 시스템
KR101333947B1 (ko) Lng 처리 시스템
KR101441244B1 (ko) Lng 처리 시스템
KR102053927B1 (ko) Lng 처리 시스템
KR102025785B1 (ko) Lng 처리 시스템
KR20140127111A (ko) Lng 연료 공급 시스템
KR20140143035A (ko) Lng 처리 시스템
KR101528977B1 (ko) Lng 처리 시스템
KR20150039442A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20140143029A (ko) Lng 처리 시스템
KR20150050004A (ko) Lng 처리 시스템
KR20150014412A (ko) Lng 연료 공급 시스템
KR101498387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20160075930A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