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1156A - 주방용품 수납케이스 - Google Patents

주방용품 수납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1156A
KR20140141156A KR1020130062573A KR20130062573A KR20140141156A KR 20140141156 A KR20140141156 A KR 20140141156A KR 1020130062573 A KR1020130062573 A KR 1020130062573A KR 20130062573 A KR20130062573 A KR 20130062573A KR 20140141156 A KR20140141156 A KR 20140141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knife
housing
connector
contac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2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3032B1 (ko
Inventor
김경호
Original Assignee
김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호 filed Critical 김경호
Priority to KR20130062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032B1/ko
Publication of KR20140141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1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수용공간에 칼이나 도마등의 주방용품이 수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주방용품을 살균하는 UV램프와, 상기 하우징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UV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하우징 하부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주방용품에 묻어있는 물기를 집수하는 물받이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칼과 도마등을 동시에 수납가능하여 주방용품 수납이 용이하며, 수납되는 주방용품을 UV램프를 통해 살균하도록 하여 주방용품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개의 UV램프를 횡방향으로 상하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주방용품의 전면적에 골고루 자외선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하며, 주방용품이 수납될 때에만 UV램프가 점등되도록 하거나, 주방용품의 살균면적에 따라 UV램프의 점등개수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어 살균효과를 높이면서도 전력소모를 줄일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주방용품 수납케이스{CONTAINER CASE FOR KITCHEN UTENSIL}
본 발명은 주방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칼과 도마 등의 주방용품을 함께 수납할 수 있으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UV램프에 의해 주방용품을 살균할 수 있는 주방용품 수납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의 주방에 비치되는 칼은 씽크대의 내부에 부착되는 칼꽂이대에 꽂아 보관하고, 도마는 씽크대의 한쪽에 세워놓거나 씽크대 내부에 넣어두는 것으로 단순 용도로만 보관되며, 음식물의 조리도중 재료를 썰고자 할 때에는 칼과 별도로 보관되어 있는 도마를 찾아야 하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씽크대 내부에 위치한 칼꽂이대는 칼을 세척한 후, 칼에 묻은 물기를 완전히 건조하지 않고 그대로 칼꽂이대에 꽂아 보관하기 때문에 습기에서 서식하는 세균을 제거할 수 없어 칼을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도마는 세척한 후, 물기가 묻은 그대로 씽크대 한쪽에 세워놓거나 벽면의 체결고리에 걸어놓거나 또는 씽크대의 내부에 넣어서 보관하기 때문에 살균작용은 물론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칼과 도마는 주방에서 사용하는 필수용품이나 예리하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행주와 같이 끓여서 소독하기가 곤란하므로 각종세균의 감염을 막기 위한 소독방법에 한계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특히 도마의 경우는 칼에 의한 흠집에 각종세균이 서식하고 번식하기 때문에 청결하고 위생적이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각종 세균이나 병원균의 온상이 되고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실용 2010-7095호에서는 칼을 삽입 보관하는 몸체의 뒷판 일측에 살균등을 설치하여 내부에 수납되는 칼을 살균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에서는 살균등이 측면벽에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살균등과 근접한 칼은 자외선이 다량 조사되어 살균효과가 뛰어나지만, 살균등과 거리가 멀어진 위치에 수납되는 칼은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아 살균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의 몸체는 칼만 수납가능하며, 도마와 함께 수납하면서 살균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어서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주방용품 수납케이스의 불합리한 점을 극복하고 칼과 도마등의 주방용품을 함께 수납할 수 있으며, 내부에 수납되는 주방용품의 살균효과를 높일 수 있는 주방용품 수납케이스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칼과 도마등의 주방용품을 함께 수납할 수 있으며, 내부에 수납되는 주방용품을 살균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 내부에 UV램프가 설치되는 주방용품 수납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UV램프가 주방용품이 수납되었을 때에만 점등되도록 하여 전력소모를 줄이면서도, 주방용품의 전면적에 골고루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하여 살균효과를 높이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내부 수용공간에 칼이나 도마등의 주방용품이 수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주방용품을 살균하는 UV램프와, 상기 하우징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UV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하우징 하부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주방용품에 묻어있는 물기를 집수하는 물받이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상부에 칼수납공과 도마수납공이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외면을 감싸도록 하방으로 결합되는 측면벽과, 상기 측면벽중 일측의 벽이 상기 하우징에서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분리형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아울러, 상기 UV램프는 상기 하우징 내부 일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UV램프와, 상기 하우징 내부 일측에 횡방향으로 상기 제1UV램프 하방에 설치되는 제2UV램프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또한, 일측이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저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측면벽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 하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측면벽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UV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접촉단자를 포함하여, 상기 칼수납공에 칼이 수납되면, 칼의 손잡이부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면에 접하여 상기 칼의 자중에 의해 상부플레이트가 하방으로 밀려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제1접촉단자에 접촉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토션스프링으로서,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는 칼이나 도마의 일측면에 접하여 탄성에 의해 비틀리는 제2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의 일측에 접촉되도록 상기 측면벽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UV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접촉단자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로 칼이나 도마가 인입되면서 상기 칼이나 도마의 일측면이 상기 제2커넥터에 접하여, 상기 제2커넥터가 비틀리면서 상기 제2커넥터가 상기 제2접촉단자에 접촉된다.
아울러, 상기 제1접촉단자는 상기 제1UV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접촉단자는 상기 제2UV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2커넥터와 상기 제2접촉단자는 상기 하우징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칼수납공에 칼이 수납되면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제1접촉단자에 접촉되어 상기 제1UV램프가 점등되며, 상기 제2UV램프는 상기 칼의 일측면이 상기 제2커넥터에 접할 경우에만 상기 제2UV램프가 점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하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홈에 끼워서 보관할 수 있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여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칼과 도마등을 동시에 수납가능하여 주방용품 수납이 용이하며, 수납되는 주방용품을 UV램프를 통해 살균하도록 하여 주방용품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개의 UV램프를 횡방향으로 상하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주방용품의 전면적에 골고루 자외선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하며, 주방용품이 수납될 때에만 UV램프가 점등되도록 하거나, 주방용품의 살균면적에 따라 UV램프의 점등개수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어 살균효과를 높이면서도 전력소모를 줄일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수납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수납케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수납케이스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수납케이스의 측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수납케이스 하우징 내부에 UV램프가 상하로 복수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수납케이스의 측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수납케이스의 측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수납케이스의 측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수납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수납케이스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수납케이스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수납케이스의 측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수납케이스는 칼이나 도마등의 주방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내부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수용공간 내부에 인입되는 주방용품을 살균하는 UV램프(20)와, 하우징(10)의 내부 또는 측면 일측에 설치되어 UV램프(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0)와, 하우징(10) 하부에 탈부착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수납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주방용품에 묻어있는 물기를 집수하는 물받이(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수납케이스는 하우징(10)의 하부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81)이 형성되는 받침대(80)에 의해, 하우징(10)의 하부일측을 홈(81)에 끼워 세워서 보관할 수 있으며, 아울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우징(10) 일측면을 고정수단에 의해 싱크내 도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하우징(10)은 하우징(10)의 상부에 칼이 수납되는 칼수납공(11a)과 도마가 수납되는 도마수납공(11b)이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11)와, 상부플레이트(11)의 외면을 감싸도록 하방으로 결합되어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측면벽(12)과, 측면벽(12)중 일측의 벽이 하우징(10)에서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분리형플레이트(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상부플레이트(11)에 형성되는 칼수납공(11a)은 도 2에서와 같이 상부플레이트(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 절개공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칼을 수납했을 경우에는 칼의 손잡이부분이 상부플레이트(11)의 상면에 접하게 된다.
또한, 도마수납공(11b)도 상부플레이트(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개공으로 도 3에서와 같이 절개공을 따라 도마가 수용공간 내부로 수납되도록 가이드(11c)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11c)는 도마 수납시 하우징(10) 내부 수용공간으로 인입되는 도마가 유동되어, UV램프(20) 등 다른 부품과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분리형플레이트(13)는 하우징(10) 내부 수용공간을 노출시키도록 하여 수용공간 내부에 묻어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전원공급부(30)는 하우징(10) 내부 일측에 별도의 배터리를 장착하여 사용하거나, 하우징(10) 일측에 전원공급용 케이블선을 연결하여 외부의 전원을 UV램프(20)로 공급할 수도 있다.
UV램프(20)는 자외선을 발생하는 램프로서, 도 3에서와 같이 상부플레이트(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횡방향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UV램프(20) 외면에 램프보호관을 설치하여 램프에 외부충격이 가해지지 않고, 주방용품의 물기가 묻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를 보면, UV램프(20)가 상부플레이트(11)의 저면에 결합되고 일측의 측면벽(12) 내측에는 반사판(90)이 설치되어, UV램프(2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반사판(90)을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반사되도록 한다. 도면에서는 단일의 UV램프(20)로 구성되어 있으나, 복수개로 구성하여 살균면적 및 살균력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수납케이스 하우징(10) 내부에 UV램프(20)가 상하로 복수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구조도로서, 도면을 참조하면 UV램프(20)는 하우징(10) 내부 수용공간 상부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UV램프(21)와, 하우징(10) 내부 수용공간 하부측, 즉, 제1UV램프(21) 하부에 제1UV램프(2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2UV램프(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렇게 상하 2개로 이루어진 UV램프(20)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일정길이를 가지는 칼이나 도마의 전면에 골고루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UV램프(20)를 통한 자외선조사는 하우징(10) 외부에 설치되는 스위치를 통해 점멸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제1UV램프(21)와 제2램프가 개별적으로 점등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다른 실시예를 통해 UV램프의 작동관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수납케이스의 측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수납케이스는 하우징(10)의 상부플레이트(11)가 측면벽(12)으로부터 분리되는 구조로서, 상부플레이트(11)의 상면에 칼의 손잡이부분이 접지되면서 가해지는 자중에 의해 커넥터가 접촉단자에 접촉되어 UV램프(2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자면, 제2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수납케이스는 일측이 상부플레이트(11)의 저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측면벽(12)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는 스프링부재(50)와, 상부플레이트(11)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며 전원공급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커넥터(61)와, 제1커넥터(61)의 하부에 접촉되도록 측면벽(12)의 일측에 설치되어 UV램프(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접촉단자(7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실시예에서는 칼이 칼수납공(11a)에 수납되면, 칼의 손잡이부가 상부플레이트(11)의 상면에 접하게 되며, 이때에 칼의 자중에 의해 측면벽(12)과 분리되어 있는 상부플레이트(11)가 하방으로 밀려져 내려가면서 제1커넥터(61)가 제1접촉단자(71)에 접촉된다.
이에 의해, 제1커넥터(61)와 연결되어 있는 전원공급부(30)의 전원이 제1접촉단자(71)를 통해 UV램프(20)로 전달되어 UV램프(20)가 점등되고, 칼을 사용하기 위해 칼수납공(11a)에서 빼게 되면 스프링부재(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부플레이트(11)가 상방으로 밀려 올라가면서 제1커넥터(61)가 제2접촉단자(72)에서 접지해제 된다.
이와같이 제2실시예에서는 칼이 수납될때에만 UV램프(20)가 점등되도록 하며, 칼이 수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원이 UV램프(20)로 인가되지 않아 전력낭비를 줄일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수납케이스의 측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 내부로 인입되는 칼이나 도마의 일측면이 토션스프링구조의 커넥터를 하방으로 밀어, 커넥터가 접촉단자와 접지되도록 하여 UV램프(2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자면, 제3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수납케이스는 하우징(10)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공급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토션스프링으로서, 하우징(10) 내부로 인입되는 칼이나 도마의 일측면에 접하여 하방으로 밀리면서 탄성에 의해 비틀림 변형되는 제2커넥터(62)와, 제2커넥터(62)의 일측에 접촉되도록 측면벽(12) 일측에 설치되어 UV램프(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접촉단자(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2커넥터(62)는 일단과 타단이 직선형태로 이루어진 토션스프링 형상으로 일단이 측면벽(12)에 고정되고, 하방으로 제2커넥터(62)의 타단이 측면벽(12)에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제2커넥터(62)의 타단이 하우징(10) 내부 수용공간으로 인입되는 칼이나 도마의 일측면에 접하면서 하방으로 밀려 측면벽(12)측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제2커넥터(62)의 타단에는 별도의 접촉단자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제2커넥터(62)가 회동되어 측면벽(12)에 설치되는 제2접촉단자(72)에 접촉된다.
이에 의해, 제2커넥터(62)와 연결되어 있는 전원공급부(30)의 전원이 제2접촉단자(72)를 통해 UV램프(20)로 전달되어 UV램프(20)가 점등되고, 칼이나 도마를 사용하기 위해 하우징(10) 내부 수용공간에서 이탈시키면 제2커넥터(62)의 타단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측면벽(1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제2커넥터(62)가 제2접촉단자(72)에서 접지해제된다.
이와같이 제3실시예에서는 제2실시예와 같이 칼이나 도마가 수납될때에만 UV램프(20)가 점등되도록 하며, 칼이나 도마가 수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원이 UV램프(20)로 인가되지 않아 전력낭비를 줄일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를 통해 제1UV램프(21)와 제2UV램프(22)의 점멸을 별도로 이루어지게 하여 주방용품 살균효과를 높이면서도 전력소비를 줄일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를 통해 각 UV램프의 작동관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수납케이스의 측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4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하우징(10) 내부에 UV램프(20)를 상하로 제1UV램프(21), 제2UV램프(22)로 구성한다.
그리고 제1접촉단자(71)를 제1UV램프(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제2접촉단자(72)를 제2UV램프(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제2커넥터(62)와 제2접촉단자(72)를 하우징(10) 내부 수용공간 하부 일측에 설치되도록 한다.
그리하여 칼수납공(11a)에 칼이 수납되면 칼의 자중에 의해 제1커넥터(61)가 제1접촉단자(71)에 접촉되어 제1UV램프(21)가 점등되며, 칼이 하우징(10) 내부 수용공간으로 인입되면서 칼의 일면이 제2커넥터(62)에 접할 경우 제2커넥터(62)가 회동되면서 제2접촉단자(72)에 접촉되어 제2UV램프(22)도 점등된다.
이때에 칼의 길이가 하우징(10) 하부측에 위치하는 제2커넥터(62)와 닿지 않을 경우에는 제1UV램프(21)만 점등되며, 제2UV램프(22)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즉, 살균이 필요한 칼의 면적에 따라 사용자가 별도의 점등조작 없이 UV램프(20)를 자동적으로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마 수납시에는 도면에서와 같이 도마 수납공측 측면벽(12)에 제2커넥터(62)와 제2접촉단자(72)를 설치하여 제어부(미도시)에서 제1UV램프(21)와 제2UV램프(22)를 동시에 점등되도록 하여 도마의 전면적에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칼과 도마를 예시로 주방용품 수납 및 UV램프의 작동관계를 설명하였지만, 그 외 가위나 수저등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어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하우징 11 : 상부플레이트
11a : 칼수납공 11b : 도마수납공
11c : 가이드 12 : 측면벽
13 : 분리형플레이트 20 : UV램프
21 : 제1UV램프 22 : 제2UV램프
30 : 전원공급부 40 : 물받이
50 : 스프링부재 61 : 제1커넥터
62 : 제2커넥터 71 : 제1접촉단자
72 : 제2접촉단자 80 : 받침대
81 : 홈 90 : 반사판

Claims (7)

  1. 내부 수용공간에 칼이나 도마등의 주방용품이 수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주방용품을 살균하는 UV램프와;
    상기 하우징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UV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하우징 하부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주방용품에 묻어있는 물기를 집수하는 물받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수납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상부에 칼수납공과 도마수납공이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외면을 감싸도록 하방으로 결합되는 측면벽과,
    상기 측면벽중 일측의 벽이 상기 하우징에서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분리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수납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V램프는
    상기 하우징 내부 일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UV램프와,
    상기 하우징 내부 일측에 횡방향으로 상기 제1UV램프 하방에 설치되는 제2UV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수납케이스.
  4. 제 2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저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측면벽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 하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측면벽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UV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접촉단자를 포함하여,
    상기 칼수납공에 칼이 수납되면, 칼의 손잡이부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면에 접하여 상기 칼의 자중에 의해 상부플레이트가 하방으로 밀려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제1접촉단자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수납케이스.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토션스프링으로서,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는 칼이나 도마의 일측면에 접하여 탄성에 의해 비틀리는 제2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의 일측에 접촉되도록 상기 측면벽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UV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접촉단자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로 칼이나 도마가 인입되면서 상기 칼이나 도마의 일측면이 상기 제2커넥터에 접하여, 상기 제2커넥터가 비틀리면서 상기 제2커넥터가 상기 제2접촉단자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수납케이스.
  6. 제 1항 내지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단자는 상기 제1UV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접촉단자는 상기 제2UV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2커넥터와 상기 제2접촉단자는 상기 하우징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칼수납공에 칼이 수납되면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제1접촉단자에 접촉되어 상기 제1UV램프가 점등되며, 상기 제2UV램프는 상기 칼의 일측면이 상기 제2커넥터에 접할 경우에만 상기 제2UV램프가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수납케이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홈에 끼워서 보관할 수 있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수납케이스.
KR20130062573A 2013-05-31 2013-05-31 주방용품 수납케이스 KR101483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2573A KR101483032B1 (ko) 2013-05-31 2013-05-31 주방용품 수납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2573A KR101483032B1 (ko) 2013-05-31 2013-05-31 주방용품 수납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156A true KR20140141156A (ko) 2014-12-10
KR101483032B1 KR101483032B1 (ko) 2015-01-19

Family

ID=52458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2573A KR101483032B1 (ko) 2013-05-31 2013-05-31 주방용품 수납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0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835Y1 (ko) * 2015-02-27 2016-07-12 노병욱 도마 살균기
CN109497862A (zh) * 2019-01-10 2019-03-22 胡诗旻 厨房用刀具放置架
KR20210114182A (ko) * 2020-03-10 2021-09-23 심재용 미용 테이블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9234U (ko) * 1989-11-09 1991-07-09
KR20080095427A (ko) * 2007-04-24 2008-10-29 김광옥 자외선 살균램프와 광촉매 물질을 이용한 자외선살균 칼꽂이
TWM387580U (en) * 2009-12-31 2010-09-01 tian-ren Luo Sterilization device of cooking utensi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835Y1 (ko) * 2015-02-27 2016-07-12 노병욱 도마 살균기
CN109497862A (zh) * 2019-01-10 2019-03-22 胡诗旻 厨房用刀具放置架
CN109497862B (zh) * 2019-01-10 2022-02-08 胡诗旻 厨房用刀具放置架
KR20210114182A (ko) * 2020-03-10 2021-09-23 심재용 미용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3032B1 (ko) 2015-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3032B1 (ko) 주방용품 수납케이스
KR102245579B1 (ko) 주방용품 살균 건조기
KR200436595Y1 (ko) 나이프 살균기
JP3149759U (ja) 台所用殺菌収容具
CN203208393U (zh) 一种用于砧板及刀具的消毒机
CN202568948U (zh) 一种商用刀具消毒柜
KR200416276Y1 (ko) 주방용 칼꽂이
KR20090000057U (ko) 서랍형 살균장치
KR200437195Y1 (ko) 칫솔겸용 혀 클리너 살균기
KR102331434B1 (ko) 도마의 수납과 위생관리를 편리하게 하는 주방위생 장치
KR102656397B1 (ko) 선택적 거치가 가능한 조리도구 관리 장치
KR101060338B1 (ko) 설거지대 살균용 살균기
KR100583764B1 (ko) 수저케이스 형상의 이동식 살균 건조기
KR20100033564A (ko) 살균 기능이 내장된 도마
JP3161985U (ja) 携帯用殺菌容器
KR200299256Y1 (ko) 주방용 다기능 수납장
KR101129899B1 (ko) 살균장치 일체형 양면 도마
CN216136389U (zh) 一种食材餐具一体式消毒净化器
KR200279906Y1 (ko) 칼 전용 자외선 살균 소독기
CN211301259U (zh) 一种筷子和刀具一体式储存杀菌装置
CN214158049U (zh) 一种可拆卸式刀具餐具消毒器
CN215687291U (zh) 一种厨具消毒装置
KR200377752Y1 (ko) 자외선소독기가부착된 싱크대붙박이장
KR200317768Y1 (ko) 테이블 거치형 식기 살균기
KR200318599Y1 (ko) 자외선 살균 수저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