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0338B1 - 설거지대 살균용 살균기 - Google Patents

설거지대 살균용 살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0338B1
KR101060338B1 KR1020090106729A KR20090106729A KR101060338B1 KR 101060338 B1 KR101060338 B1 KR 101060338B1 KR 1020090106729 A KR1020090106729 A KR 1020090106729A KR 20090106729 A KR20090106729 A KR 20090106729A KR 101060338 B1 KR101060338 B1 KR 101060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violet light
sterilizer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9952A (ko
Inventor
김동수
Original Assignee
우용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용준 filed Critical 우용준
Priority to KR1020090106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0338B1/ko
Publication of KR20110049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0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0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거지대 살균용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거지대 살균용 살균기는, 배터리(90)가 내장된 제1 보디(20); 제1 보디(20)의 한쪽에 배치되어 제1 보디(20)에서 개폐되는 제2 보디(30); 제1 보디(20) 또는 제2 보디(30)의 내측에 배치되어 피고정체와 미끄럼방지를 하여 제1, 제2 보디(20)(30)의 설치자세를 유지하는 넌슬립 부재(50); 제2 보디(30)에 설치되어 자외선 파장을 외부로 조사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80); 및 제1 보디(20) 또는 제2 보디(30)에 내장되어 배터리(90)의 전원을 공급받아 자외선 발광다이오드(80)를 켜지고 꺼지는 것을 반복시켜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한다.
설거지대, 개수대, 싱크대, sink臺

Description

설거지대 살균용 살균기{Sterilizer for sterilization of sink}
본 발명은 설거지대를 살균할 수 있도록 하는 설거지대 살균용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설거지대는 조리할 재료를 다듬거나 씻거나 조리할 수 있도록 만든 부엌세간이고, 다른 이름으로는 개수대 또는 싱크대(sink臺)로 불려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설거지대에서는 조리할 재료를 다듬는 거나 그릇을 설거지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청결을 유지하여야 하고, 특히 살균(또는 멸균, 소독)을 철저하게 하여야만 양호한 위생을 유지할 수 있다.
종래에는 설거지대에 대한 살균을 하는 기술로서 특허출원번호 제10-2003-0063948호 "레디컬과 오존을 이용한 초음파 살균 세척기"가 있다.
상술한 초음파 살균 세척기는 초음파와 레디컬 및 오존을 이용하여 식기, 과일, 야채 등을 세척 및 살균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식기, 야채 등을 자유롭게 세척 및 살균할 수 있도록 하되, 세척장치의 저면에 형성된 순환기에서 분출되는 레디컬 및 오존수와 세척장치 의 측벽을 통해 발생하는 초음파의 진동에 의해 과일류나 야채류 및 식기류의 표피로부터 이물질을 손쉽고 간편하게 제거함과 더불어 레디컬과 오존을 이용하여 살균처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초음파 살균기 세척기는 상용 전원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사용할 때마다 전원을 연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주방에서는 물을 많이 사용하므로 수분으로 인한 감전사고 또는 누전사고의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종래에는 설거지대에 대한 살균을 하는 다른 기술로서 실용신안등록 출원번호 제20-2002-0020468호 "자외선 살균 장치가 내장된 벽장"이 있다.
상술한 종래의 벽장은 자외선 살균장치가 내장된 벽장에 관한 것으로서, 주방벽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벽장내부에 식기류나 주방용품의 수납을 위한 수 개의 수납선반을 갖고, 수납공간 전방을 개폐하는 문짝을 갖는 벽장내부의 수납선반 소정위치에 수개를 천공한 공기 유동구를 형성하며, 벽장 하부에 하부 수납 공간부를 형성하고, 하부 수납 공간부의 하방으로 자외선 살균파장을 방사하는 조사구의 형성과 하부 수납 공간부 내부에 자외선 살균장치가 내장된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벽장은 자외선 살균파장이 항상 특정한 방향을 향하여 조사되는 것으로서 자외선 살균파장이 조사되지 않는 사각지대가 존재하게 되고 이러한 사각지대에는 살균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한편으로, 자외선 살균파장은 비록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인체에 무해할 정도로 약한 자외선 살균파장은 살균효과가 미약한 문제점이 있 다.
또 다른 한편으로, 설거지대에는 조리할 재료 이외에도 각종 그릇과 컵, 숟가락 등을 올려놓는 경우 많고, 이러한 많은 물품들은 놓일 때마다 그 위치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한 위치에 자외선램프 등이 고정된 형태로 배치될 경우 사용자가 소망하는 위치에서 살균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설거지대를 살균(멸균 또는 소독)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를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감전 등 전기적인 사고로부터 안전한 설거지대 살균용 살균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살균영역에 사각지대를 최소화하여 설거지대의 구석구석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하는 설거지대 살균용 살균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거지대 살균용 살균기는, 배터리가 내장된 제1 보디; 상기 제1 보디의 한쪽에 배치되어 제1 보디에서 개폐되는 제2 보디; 상기 제1 보디 또는 제2 보디의 내측에 배치되어 피고정체와 미끄럼방지를 하여 상기 제1, 제2 보디의 설치자세를 유지하는 넌슬립 부재; 상기 제2 보디에 설치되어 자외선 파장을 외부로 조사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제1 보디 또는 제2 보디에 내장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켜지고 꺼지는 것을 반복시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보디 또는 제2 보디의 외측에 배치되고 인체를 감지하였을 때에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가 항상 꺼지도록 하는 인체감지 센서;가 더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디 또는 제2 보디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보디와 제2 보디가 피고정체에 묶이도록 하는 묶음 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설거지대 살균용 살균기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설치자세와 설치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이로써 살균에 대한 사각지대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설거지대의 구석구석을 살균(또는 멸균, 소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설거지대 살균용 살균기는 배터리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전기를 이용할 때에 부담되었던 감전사고 또는 누전사고 등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설거지대 살균용 살균기는 주기적으로 작동되고 특히 인체가 감지되지 않을 때에만 작동되므로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인체 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거지대 살균용 살균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거지대 살균용 살균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거지대 살균용 살균기를 설치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거지대 살군용 살균기(10)는 제1 보디(20)와 제2 보디(30)가 분할되어 구성되고, 제1 보디(20)에는 배터리(90)가 배치되며, 제2 보디(30)에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80)와 제어부(60)가 배치된다.
또한, 상술한 제1 보디(20)와 제2 보디(30)의 한쪽에는 힌지 축(40)에 의해 조립되어 절첩될 수 있고, 이로써 어느 한쪽은 개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제1 보디(20)와 제2 보디(30)가 개방되는 쪽에는 각각 제1 단부(22)와 제2 단부(32)가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제2 보디(20)(30)의 내측에는 넌슬립 부재(50)가 배치될 수 있고, 넌슬립 부재(50)는 미끄럼 방지 및 관체(210)와 결합할 때에 조임력에 대응할 수 있게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넌슬립 부재(50)의 두께는 두껍게 형성될 수도 있고, 이로써 피고정체와 간격이 벌어져 있을 때에는 스페이서의 역할도 할 수 있다.
일례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살균기(10)가 수도꼭지(200)의 관체(210)에 설치될 때에 상술한 넌슬립 부재(50)는 살균기(10)의 설치자세를 유지하고, 살균기(10) 또는 관체(2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술한 넌슬립 부재(50)의 재질은 고무, 합성수지, 판스프링 등이 있을 수 있고, 넌슬립 부재(50)의 표면 마찰력을 크게 하기 위하여 거칠은 표면을 갖거나 요철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제2 보디(20)(30)의 외측에는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 센서(70)가 배치되고, 인체감지센서(70)에서 인체를 감지하는 신호는 상술한 제어부(60)에 전달된다.
또한, 상술한 자외선 발광다이오드(80)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고,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배터리(90)의 전원을 공급받아 자외선 파장을 조사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자외선 발광다이오드(80)는 복수개로 배치되고 특히 배치되는 형태는 부챗살 형태로 배치되어 자외선 파장이 넓은 범위로 조사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배터리(90)는 일회용 건전지일 수 있고, 또한 재충전용 배터리일 수 있으며, 이러한 배터리 관련 기술은 알려진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제어부(60)는 상술한 자외선 발광다이오드(80)의 점등을 제어하게 되는데 이때, 복수 개의 자외선 발광다이오드(80)를 동시에 점등시키거나 순차적으로 점등시킬 수 있게 제어하고, 설정된 시간동안 켜지거나 꺼지는 것이 반복되게 제어 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어부(60)는 인체감지 센서(70)에서 인체를 감지한 신호를 수신하면 자외선 발광다이오드(80)가 켜지는 시간임에도 켜지지 않고 꺼진 상태를 설정된 시간동안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즉, 자외선 파상이 비록 인체에 무해한 정도로 약하게 출력되더라도 완전하게 무해한 않아 피부에 해를 끼칠 수 있으므로 원천적으로 자외선 파장이 인체에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살균기(10)에는 부가스위치를 더 배치할 수 있고, 부가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상술한 센서(7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부가스위치를 조작하여 상술한 센서(70)가 작동하지 않게 설정할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제어부(60)에서 자외선 발광다이오드(80)의 켜지고 꺼지는 시간을 주기적으로 반복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제2 보디(20)(30)의 외측에는 묶음부재(1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묶음 부재(100)는 탄력성이 우수한 재질로 알려진 고무밴드 또는 스 프링 밴드일 수 있고, 또한, 일방향 치차가 형성된 띠를 홀에 끼워넣어 묶도록 하는 타이(tie)일 수 있다.
상술한 묶음 부재(100)는 살균기(10)를 수도꼭지(200)의 관체(210)에 좀 더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특히, 상술한 수도꼭지(200)는 그 형태와 종류가 무척 다양하고, 특히 관체(210) 또는 수도헤드(220)의 외형형상, 크기가 다양하더라도, 그러한 많은 종류의 수도꼭지(200)에 살균기(10)를 묶어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살균기(10)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살균기(10)의 제1 보디(20)와 제2 보디(30)를 벌려서 수도꼭지(200)의 관체(210) 또는 수도헤드(220)의 외측에 감싸는 형태로 설치한다.
이때, 제1, 제2 보디(20)(30)의 내측형상과 크기가 상술한 관체(210) 또는 수도 헤드(220)와 일치될 경우 살균기(10)가 안정된 자세로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제1, 제2 보디(20)(30)의 내측형상과 크기가 상술한 관체(210) 또는 수도헤드(220)보다 클 때에는 상술한 넌슬립 부재(50)가 스페이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살균기(10)를 수도꼭지(200)에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한편으로, 제1, 제2 보디(20)(30)의 내측형상과 크기가 상술한 관체(210) 또는 수도헤드(220)보다 작을 때에는 제1, 제2 보디(20)(30)의 제1, 제2 단부(22)(32)가 벌어질 수 있겠지만, 묶음부재(100)에 의해 살균기(10)의 외측이 감싸일 수 있고 이로써 묶음부재(100)에 살균기(10)를 수도꼭지(200)에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나, 상술한 제어부(60)의 작동을 개시하도록 하는 메인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고, 그 메인스위치를 켬으로써 제어부(60)가 작동하여 자외선 발광다이오드(80)를 제어하게 된다.
상술한 제어부(60)는 이미 설정된 시간동안 자외선 발광다이오드(80)를 켜거나 끄는 것을 반복하게 되고, 일례로서 켜져 있는 시간을 5분 내지 20분으로 꺼져있는 시간을 30분 내지 1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1시간동안 꺼져 있다가 10분정도 켜지고 다시 꺼지는 것이 반복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사람이 접근하면, 인체감지 센서(70)는 제어부(60)에 인체감지 신호를 전달하고, 제어부(60)에서는 인체감지 신호를 전달받으면, 자외선 발광다이오드(80)가 켜져 있거나 켜져야 할 시간이더라도 자외선 발광다이오드(80)가 켜지지 않도록 제어한다.
다른 한편으로, 사용자는 수도꼭지(200)에서 관체(210) 또는 수도헤드(220)를 이리저리 소망하는 위치로 돌려놓을 수 있고, 이로써 자외선 발광다이오드(80)의 조사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한편으로, 살균기(10) 자체를 상술한 관체(210) 또는 수도헤드(220)에서 돌려놓을 수 있고, 이로써 자외선 발광다이오드(80)의 조사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자외선 발광다이오드(80)를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켜 조사방향을 자유자재로 변화시킬 수 있어 설거지대에서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수도꼭지(200)가 코브라 타입으로 구성될 경우 수도꼭지(200)의 수도헤드(220)가 더욱 자유롭게 임의의 위치 및 방향을 갖도록 설정할 수 있으므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수도꼭지(200)가 길이가 긴 호스에 수도헤드(220)가 구비되는 형식일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살균기(10)를 더욱 광범위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이와 같이 사용자의 의도에 의해 수도헤드(220)를 좀 더 넓은 범위로 이리저리 옮길 수 있고, 그렇게 옮기는 동안에 센서(70)의 기능을 중지시켜 자외선 발광다이오드(80)가 켜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외선 발광다이오드(80)가 켜짐으로써 자외선 파장이 조사되어 설거지대와 설거지대의 주변에 놓인 사물을 살균(또는 멸균, 소독)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거지대 살균용 살균기는 설거지대에 설치되어 설거지대의 상측 또는 설거지대의 주변에 놓인 물품을 살균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거지대 살균용 살균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거지대 살균용 살균기를 설치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살균기
20: 제1 보디 22: 제1 단부
30: 제2 보디 32: 제2 단부
40: 힌지 축 50: 넌슬립 부재
60: 제어부 70: 인체감지 센서
80: 자외선 발광다이오드 90: 배터리
100: 묶음부재
200: 수도꼭지 210: 관체
220: 수도헤드

Claims (2)

  1. 배터리(90)가 내장된 제1 보디(20);
    상기 제1 보디(20)의 한쪽에 배치되어 제1 보디(20)에서 개폐되는 제2 보디(30);
    상기 제1 보디(20) 또는 제2 보디(30)의 내측에 배치되어 피고정체와 미끄럼방지를 하여 상기 제1, 제2 보디(20)(30)의 설치자세를 유지하는 넌슬립 부재(50);
    상기 제2 보디(30)에 설치되어 자외선 파장을 외부로 조사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80);
    상기 제1 보디(20) 또는 제2 보디(30)에 내장되어 상기 배터리(90)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80)를 켜지고 꺼지는 것을 반복시켜 제어하는 제어부(60); 및
    상기 제1 보디(20) 또는 제2 보디(30)의 외측에 배치되고 인체를 감지하였을 때에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80)가 항상 꺼지도록 하는 인체감지 센서(70);
    를 포함하는 설거지대 살균용 살균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디(20) 또는 제2 보디(30)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보디(20)와 제2 보디(30)가 피고정체에 묶이도록 하는 묶음 부재(10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거지대 살균용 살균기.
KR1020090106729A 2009-11-06 2009-11-06 설거지대 살균용 살균기 KR101060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729A KR101060338B1 (ko) 2009-11-06 2009-11-06 설거지대 살균용 살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729A KR101060338B1 (ko) 2009-11-06 2009-11-06 설거지대 살균용 살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952A KR20110049952A (ko) 2011-05-13
KR101060338B1 true KR101060338B1 (ko) 2011-09-05

Family

ID=44360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729A KR101060338B1 (ko) 2009-11-06 2009-11-06 설거지대 살균용 살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03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2763B1 (ko) 2016-03-03 2016-06-07 남궁성원 다기능 수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20974A (zh) * 2020-08-19 2020-11-13 上海斯莱国际贸易有限公司 智能感应紫外线杀菌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273Y1 (ko) 2005-07-30 2005-10-21 양원동 엘 이디 살균 물 꼭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273Y1 (ko) 2005-07-30 2005-10-21 양원동 엘 이디 살균 물 꼭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2763B1 (ko) 2016-03-03 2016-06-07 남궁성원 다기능 수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952A (ko) 201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6439B1 (ko) 도마 살균기
KR101535242B1 (ko) 조명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조명유닛
KR101750101B1 (ko) 자동 도마세척살균장치
KR101060338B1 (ko) 설거지대 살균용 살균기
KR20090129635A (ko) 주방용 칼 세척 및 살균소독기
KR20170030265A (ko) 주방용품 살균 건조기
KR100778284B1 (ko) 열전소자 냉장고를 구비한 테이블
KR20120076036A (ko) 오죤발생 램프와 가정용 위생건조
KR102127934B1 (ko) Uv 살균 멀티 커버
KR20070053050A (ko) 자외선 살균 식기세척방법
KR101483032B1 (ko) 주방용품 수납케이스
KR100956261B1 (ko) 자외선 반사구 및 이를 구비한 살균기
KR200435151Y1 (ko) 살균장치
KR200446830Y1 (ko) 싱크대 살균기
US9676008B1 (en) Multifunctional jewelry cleaner
CN210169992U (zh) 一种集成清洗消毒机
KR100583764B1 (ko) 수저케이스 형상의 이동식 살균 건조기
KR200439151Y1 (ko) 수시 입출식 행주 살균장치
KR200299256Y1 (ko) 주방용 다기능 수납장
KR20100033564A (ko) 살균 기능이 내장된 도마
KR200386224Y1 (ko) 살균기능을 갖는 초음파세척기
KR20160148138A (ko) 주방의 조리대 표면 살균 장치 및 그 살균 방법
KR20080002672U (ko) 휴대용 살균 장치
KR102636729B1 (ko) 수저통 살균기 및 이를 장착한 살균 테이블
CN218739601U (zh) 一种奶瓶消毒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