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0544A - 카놀라 단백질 제품을 사용하는 냉동 디저트 혼합물 - Google Patents

카놀라 단백질 제품을 사용하는 냉동 디저트 혼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0544A
KR20140140544A KR20147024147A KR20147024147A KR20140140544A KR 20140140544 A KR20140140544 A KR 20140140544A KR 20147024147 A KR20147024147 A KR 20147024147A KR 20147024147 A KR20147024147 A KR 20147024147A KR 20140140544 A KR20140140544 A KR 20140140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solution
canola
concentrated
superna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24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틴 슈바이처
케빈 아이. 세갈
사라 메디나
Original Assignee
버콘 뉴트라사이언스 (엠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버콘 뉴트라사이언스 (엠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버콘 뉴트라사이언스 (엠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40140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54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32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32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9/38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1/00Obtaining 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Bulk opening of eggs and separation of yolks from whites
    • A23J1/14Obtaining 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Bulk opening of eggs and separation of yolks from whites from leguminous or other vegetable seeds; from press-cake or oil-bearing see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23V2250/548Vegetable prote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chemistr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선호하는 향 특성을 갖는 냉동 디저트 제품의 생산에 사용된 유제품 유사체 또는 식물/유제품 혼합 냉동 디저트 혼합물이 카놀라 단백질 제품을 사용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의 변조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카놀라 단백질 제품을 사용하는 냉동 디저트 혼합물{Frozen Dessert Mixes Using Canola Protein Products}
본 발명은, 카놀라 단백질 제품을, 특히 분리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유제품 유사체 냉동 디저트 제품의 제조에 사용된 혼합물 및 식물/유제품 혼합물인 냉동 디저트 제품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100wt% (N×6.25)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 카놀라 오일씨 단백질 분리물들은,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여기서 참고용으로 포함된, 계류중인 2002년 5월 3일자로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 10/137,391 (미국특허출원공개 제 2003-0125526 A1 및 WO 02/089597) 및 2004년 6월 9일자로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 10/476,230 호 (미국특허출원공개 제 2004-0254353 A1)(현재 미국특허 제7,687,087호)에 기재된 공정에 의한 오일씨 가루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그 공정은, 카놀라 오일씨 가루를 수용성 염용액을 사용하여 추출하는 단계, 획득된 수용성 단백질 용액을 잔여오일씨 가루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선택적 막 기술을 통해 이온강도를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수용성 용액의 단백질 농도를 적어도 약 200g/L로 증가시키는 단계, 단백질 미셀들의 형성을 유발하도록 획득된 농축단백질 용액을 찬물로 희석하는 단계, 무정형의, 끈적이는, 젤라틴성의, 글루텐 같은 미셀덩어리(PMM)를 형성하도록 단백질 미셀들을 침전시키는 단계; 및 적어도 약 100wt% (N×6.25)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 상청액으로부터 단백질 미셀덩어리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단계의 공정을 수반한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백질 함량은 건조중량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회수된 PMM은 건조될 수 있다.
공정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PMM 침전단계로부터의 상청액은 상청액으로부터 카놀라 단백질 분리물을 회수하기 위해 처리된다. 이 처리는 처음에 한외거르기 막을 사용하여 상청액을 농축하고 농축물을 건조함에 의해 수행된다. 획득된 카놀라 단백질 분리물은 적어도 약 90 wt%,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00 wt%(N x 6.26)의 단백질 농도를 갖는다.
미국 특허출원들 제 10/137,391 및 13/476,230호에 개시된 공정들은 기본적으로 뱃치공정들이다. 여기 출원인에게 양도된, 2002년 11월 19일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 10/298,678호(미국특허출원 공개 제2004-0039174 A1 및 WO 03/043439)(현재 포기됨), 2008년 8월 26일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2/230,199호(현재 미국특허 제7,704,534호), 2005년 3월 5일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0/496,071호(미국특허출원 공개 제2003-0015910 A1)(현재 포기됨) 및 2008년 8월 27일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2/230,303호(현재 미국특허 제7,625,588호)에는 카놀라 단백질 분리물을 만들기 위한 연속 공정이 기술되어 있다. 그것에 따르면, 카놀라 오일씨 가루는 수용성 염 용액과 계속적으로 혼합되고, 이 혼합물은 수용성 단백질 용액을 형성하도록 카놀라 오일씨 가루로부터 단백질을 추출하면서 파이프를 통해 수송되어 지고, 수용성 단백질 용액은, 이온 강도를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수용성 단백질 용액의 단백질 함량을 적어도 약 50 g/L로 증가시키도록 선택적 막 조작을 통해 계속적으로 이송되어 지며, 획득된 농축 단백질 용액은 단백질 미셀의 형성을 일으키도록 찬물로 계속적으로 혼합되어지고, 그리고 이 단백질 미셀은 소망하는 량의 PMM이 침전 용기 내에 축적될 때까지 상청액을 계속적으로 유출하면서 계속적인 침전을 허용한다. 이 PMM은 침전 용기로부터 회수되어 건조된다. 이 PMM은 적어도 약 90 wt% (N x 6.2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00 wt% 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다. 유출된 상청액은 상술한 바와 같이 그것으로부터 카놀라 단백질 분리물을 회수하기 위하여 처리될 수 있다.
카놀라씨는 약 10 내지 약 30 wt% 단백질을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여러 다른 단백질 성분들이 발견되어 왔다. 이들 단백질들은 크루시페린(cruciferin)으로 알려진 12S 글로불린(globulin), 나핀(napin)으로 알려진 7S 및 2S 저장 단백질을 포함한다. 본 출원인에게 양도된, 2003년 4월 15일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0/413,371호(미국 특허출원공개 제2004-0034200 A1 및 WO 03/088760호)(현재 미국특허 제7,662,922호), 2005년 4월 29일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0/510,766호(미국특허출원공개 제2005-0249828 A1)(현재 포기됨) 및 2009년 11월 13일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2/618,432호(2010년 3월 11일 공개된 미국특허공개 제0063255호)(현재 포기됨)에 개시된 공정들은 PMM을 형성하도록 농축된 수용성 단백질 용액을 희석하고 추가 단백질을 회수하기 위하여 상청액을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다른 단백질 프로필들의 분리물들을 회수하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 PMM-유래된 카놀라 단백질 분리물은 약 60 내지 98 wt%의 7S 단백질, 약 1 내지 약 15 wt%의 12S 단백질 및 0 내지 약 25 wt%의 2S 단백질의 단백질 구성성분을 갖는다. 상청액-유래된 카놀라 단백질 분리물은 약 60 내지 95 wt%의 2S 단백질, 약 5 내지 약 40 wt%의 7S 단백질 및 0 내지 약 5 wt%의 12S 단백질의 단백질 구성성분을 갖는다. 이처럼, PMM-유래된 카놀라 단백질 분리물은 대부분이 7S 단백질이고 상청액-유래된 카놀라 단백질 분리물은 대부분이 2S 단백질이다. 앞서 언급한 미국 특허출원 제10/413,37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2S 단백질은 약 14,000 달톤의 분자질량을 가지고, 7S 단백질은 약 145,000 달톤의 분자질량을 가지며, 그리고 12S 단백질은 약 290,000 달톤의 분자질량을 갖는다.
본 출원인에게 양도된 2011년 6월 14일자 허여된 미국특허 제7,959,968호 및 2011년 7월 19일자 허여된 미국특허 제7,981,450호에는 대부분이 2S 카놀라 단백질로 구성되고 향상된 용해특성과 카놀라 단백질 미셀 형성 및 침전으로부터의 상청액보다 더 많은 비율의 2S 카놀라 단백질과 더 작은 비율의 7S 카놀라 단백질을 갖는 새로운 카놀라 단백질 분리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 공정은 7S 단백질을 침전시키기 위하여, PMM 형성으로부터의 상청액을 가열하고, 선택적으로 농축 후, 뒤이어 침전된 7S 단백질을 제거하며, 열-처리된 용액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인에게 양도된, 2012년 3월 27일자로 허여된 미국특허 제8,142,822호 및 2011년 4월 15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2/737,085호(2011년 8월 18일자로 공개된 미국특허공개 제2011/0200720호)에는 대부분이 2S 카놀라 단백질로 구성되고 카놀라 단백질 미셀 형성 및 침전으로부터의 상청액보다 더 작은 비율의 7S 카놀라 단백질을 갖는 카놀라 단백질 분리물의 제조를 위한 다른 공정이 개시되어 있다. 이 공정은 상청액으로부터 7S 카놀라 단백질을 등전위적으로 침전시키고, 선택적으로 농축 후, 뒤이어 침전된 7S 카놀라 단백질의 제거 후에 건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출원인에게 양도된, 2009년 8월 18일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2/542,922호(2010년 2월 18일자 공개된 미국 특허출원공개 제2010-0040763호)("C200Ca")(현재 2013년 1월 1일자 허여된 미국특허 제8,343,566호) 및 2010년 4월 21일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2/662,594호(2010년 11월 10일 공개된 미국특허공개 제2010/0291285호)("C200CaC")에는 열처리를 포함하지 않는 대부분이 2S 카놀라 단백질로 구성되는 카놀라 단백질 제품의 제조를 위한 다른 공정이 개시되어 있고 낮은 pH의 물에 완전히 용해가능하고, 투명하며 열-안정적일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피틴산(phytic acid)이 더 낮은 제품을 생산한다.
후자의 미국특허출원들에 개시된 공정은:
칼슘 퓌틴산 침전을 형성하기 위하여, 약 5 mS 내지 약 30 mS, 바람직하게는 약 8 내지 약 10 mS의 전도성을 제공하도록 카놀라 단백질 미셀 덩어리의 침전물로부터의 상청액에 칼슘 염, 바람직하게는 염화칼슘을 첨가하는 단계,
깨끗한 용액을 제공하기 위하여 획득된 용액으로부터 침전된 칼슘 퓌틴산을 제거하는 단계,
염산의 첨가에 의해 깨끗한 용액의 pH를 약 2.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약 2.9 내지 약 3.2로 선택적으로 조정하는 단계,
깨끗하게 농축된 카놀라 단백질 용액을 생산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pH-조정된 깨끗한 용액을 적어도 약 50 g/L,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500 g/L,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약 250 g/L의 단백질 함량으로 농축하는 단계,
깨끗하게 농축된 카놀라 단백질 용액을 pH 3 물의 용량으로 선택적으로 디아필터링하는 단계,
과립 활성탄 취급으로 색상제거단계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 및
카놀라 단백질 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농축된 단백질 용액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앞서 언급한 미국특허출원 제12/542,92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 카놀라 단백질 제품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90 wt% (N x 6.25)d.b.의,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00 wt% (N x 6.25)d.b.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 카놀라 단백질 분리물이고, 이 카놀라 단백질 제품은, 앞서 언급한 미국특허출원 제12/662,59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약 60wt% (N x 6.25)d.b.로부터 90wt% (N x 6.25)d.b. 미만의 더 낮은 순도를 가져도 좋다.
상청액은 칼슘염의 첨가 전에 중간 농축으로 부분적으로 농축되어도 좋다. 형성되는 침전물은 제거되고 획득한 용액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산성화되고, 최종 농축물로 더 농축되며 그 다음 선택적으로 디아필트레이션되고 건조된다.
한편, 상청액은 우선 최종농축물로 농축되어져도 좋고, 농축된 상청액에 칼슘염이 첨가되고, 획득된 침전물은 제거되며 용액은 선택적으로 산성화되며 그 후 선택적으로 디아필트레이션되고 건조된다.
위에 개시된 공정들에서 침전물의 제거를 생략하는 것은 선택사항이고, 이것은 제품이 더 높은 퓌틴산 함량을 갖게 한다. 그러한 공정에 있어서, 칼슘염이 상청액에, 부분적으로 농축된 상청액에, 또는 완전히 농축된 상청액에 첨가되고 침전물은 제거되지 않는다. 산성화는 침전물의 용해를 가져온다.
산성화를 생략하고 천연 pH에서 용액의 처리를 수행하는 것은 또 다른 선택사항이다. 이 선택사항에 있어서 제거되는 침전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칼슘염이 상청액에, 부분적으로 농축된 상청액에, 또는 완전히 농축된 상청액에 첨가된다. 획득된 용액은 그 다음 산성화단계 없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처리된다.
만약 상청액이 칼슘염의 첨가 전에 부분적으로 농축되고 침전물의 제거 후에 완전히 농축된다면, 이 상청액은 우선 약 50 g/L 또는 그 이하의 단백질 농도로 농축되고, 그 다음 침전물의 제거 후 적어도 약 50 g/L,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500 g/L,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약 250 g/L의 단백질 농도로 농축된다.
앞서 언급한 공정의 다른 변형에 있어서, 칼슘염은 두 단계들에서 첨가될 수 있는데, 적은 량의 칼슘이 초기에 약 1 mS 내지 약 3.5 mS, 바람직하게는 약 1 mS 내지 약 2 mS의 전도성을 제공하도록 상청액에 첨가되고, 이것은 침전물의 형성을 일으키는데 불충분하다.
획득된 용액은 상술한 조건하에서 산성화되고 부분적으로 농축된다. 나머지의 추가 칼슘염이 침전물의 형성을 일으키도록 약 4 mS 내지 약 30 mS,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약 10 mS의 전도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농축된 용액에 첨가된다. 그 다음 이 침전물은 제거된다. 획득된 깨끗한 용액은 상술한 조건들 하에서 그것의 최종농도로 농축되고 그 다음 디아필트레이션되며 건조되어져도 좋다.
주로 2S 단백질로 구성되고 PMM 침전단계로부터의 상청액으로부터 유래된, 적어도 약 60 wt% (N x 6.25)d.b.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90 wt%의,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00wt%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 이들 신규의 카놀라 단백질 제품들이, 우유, 콩 또는 다른 원료들로부터 유래된 종래의 단백질 재료들의 적어도 부분적 대체물로서, 유제품 유사체 냉동 디저트 혼합물 또는 유제품 및 식물 재료들의 혼합물인 혼합물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좋은 맛 특성을 갖는 이러한 냉동 디저트 혼합물은 냉동 디저트 제품의 제조에 있어서 냉동되어져도 좋고, 이것 또한 좋은 맛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냉동 디저트 제품은 그러나 퍼낼 수 있는 냉동 디저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연질 아이스크림 냉동 디저트 및 스틱(sticks)형태로 제공되어져도 좋고 아니어도 좋은 성형된 또는 압출된 것과 같은 새로운 냉동제품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냉동 디저트 제품들은 시럽, 과일, 견과류 및/또는 기타 유사한 것들과 같은 것들을 함유물의 형태로 포함해도 좋고, 또는 신규의 냉동 제품들의 경우에 있어서 냉동 디저트 혼합물과 조합하여 코팅의 형태로 포함해도 좋다.
매우 일반적 용어로서, 냉동 유제품 디저트 혼합물, 유제품 유사체 냉동 디저트 혼합물 및 식물/유제품 혼합물인 냉동 디저트 혼합물들 모두는 전형적으로 물, 단백질, 지방, 향료, 감미료 및 안정제와 유화제와 함께 다른 입체들을 포함한다. 이들 성분들의 비율은 냉동 디저트 제품의 소망하는 성분에 따라 변화한다. 유제품 유사체 또는 식물/유제품 혼합물 냉동 디저트 혼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유제품 유사체 또는 식물/유제품 혼합물 냉동 디저트 제품들의 범위는 냉동 유제품 디저트 혼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냉동 유제품 디저트 제품들의 범위에 균등하게 고려되어도 좋다.
냉동 유제품 디저트의 다양성을 위한 제안된 혼합 성분들은 http://www.uoguelph.ca/foodscience/dairy-science-and-technology/dairy-products/ice-cream/ice-cream-formulations/suggested-mixes(H. Douglas Goff 교수, Diary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Series, University of Guelph, Canada)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일부 다양한 형태의 냉동 유제품 디저트 혼합물들 사이의 성분에 있어서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샘플 성분들이 이하의 표 1-6에서 보여주고 있다.
표 1-경화 냉동 아이스크림 제품용 샘플로 제안된 혼합 성분
성분 중량%
유지 10.0
우유 무지 고형분1 11.0
자당 10.0
옥수수 시럽 고형분 5.0
안정제 0.35
유화제 0.15
63.5
1 단백질은 락토스 및 염과 같이 우유에 의해 기여된 다른 종들과 함께 이 단계에서의 성분이다. 이 우유 무지 고형분의 단백질 함량은 평균으로 38% 이다(http://www.uoguelph.ca/foodscience/dairy-science-and-technology/dairy-products/ice-cream/ice-cream-formulations/ice-cream-mix-general-c(H. Douglas Goff 교수, Diary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Series, University of Guelph, Canada)). 이 값에 기초하면, 상기 아이스크림 혼합물의 단백질 함량은 대략 4.18중량%이다.
표 2-저지방 아이스크림 제품용 샘플로 제안된 혼합 성분
성분 중량%
유지 3.0
우유 무지 고형분1 13.0
자당 11.0
옥수수 시럽 고형분 6.0
안정제 0.35
유화제 0.10
66.35
1 38%의 우유 무지 고형분 단백질 함량에 기초하면, 상기의 저지방 아이스크림 혼합물의 단백질 함량은 대략 4.94 중량%이다.
표 3-경량 아이스크림 제품용 샘플로 제안된 혼합물 성분
성분 중량%
유지 6.0
우유 무지 고형분1 12.0
자당 13.0
옥수수 시럽 고형분 4.0
안정제 0.35
유화제 0.15
64.5
1 38%의 우유 무지 고형분 단백질 함량에 기초하면, 상기의 경량 아이스크림 혼합물의 단백질 함량은 대략 4.56 중량%이다.
표 4-연질 냉동 아이스크림 제품용 샘플로 제안된 혼합물 성분
성분 중량%
유지 10.0
우유 무지 고형분1 12.5
자당 13.0
안정제 0.35
유화제 0.15
64.0
1 38%의 우유 무지 고형분 단백질 함량에 기초하면, 상기의 연질 냉동 아이스크림 혼합물의 단백질 함량은 대략 4.75 중량%이다.
표 5- 샤베트1용 샘플로 제안된 혼합물 성분
성분 중량%
유지 0.5
우유 무지 고형분2 2.0
자당 24.0
옥수수 시럽 고형분 9.0
안정제/유화제 0.30
구연산(50%용액)3 0.70
63.5
1 과일은 혼합물에 약 25% 첨가된다.
2 38%의 우유 무지 고형분 단백질 함량에 기초하면, 상기의 샤베트 혼합물의 단백질 함량은 대략 0.76 중량%이다.
3 산은 혼합물의 숙성 후 냉동 직전에 첨가된다.
표 6-냉동 요구르트용 샘플로 제안된 혼합물 성분
성분 중량%
유지 2.0
우유 무지 고형분1 14.0
설탕 15.0
안정제 0.35
68.65
1 38%의 우유 무지 고형분 단백질 함량에 기초하면, 상기의 냉동 요구르트 혼합물의 단백질 함량은 대략 5.32 중량%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제품 유사체 또는 식물/유제품 혼합물 냉동 디저트 혼합물에 있어서 성분의 비율은 냉동 유제품 디저트 혼합물에 있어서의 성분의 비율에 유사하게 다양화될 수 있다. 냉동 유제품 디저트 혼합물은 지방 및 단백질/고형분의 유제품 자원을 이용한다. 유제품 유사체 냉동 디저트 혼합물은, 식물/유제품 혼합물이 식물과 유제품 재료의 조합을 사용하는데 비해, 전체적으로 식물에 기초된다.
유제품 유사체 또는 식물/유제품 혼합물 냉동 디저트 혼합물에 사용된 전형적 형태의 재료들은 이하에서 기재된다.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형태의 재료들도 또한 이러한 냉동 디저트 혼합물에 사용되어도 좋다.
냉동 디저트 혼합물을 위하여 사용된 지방 재료는 어떤 편리한 식품등급 유제품 또는 식물유래 지방 재료 또는 지방 재료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적절한 지방 재료는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우유, 크림, 버터오일, 두유, 콩기름, 코코넛 기름 및 종려나무 기름을 포함한다. 특정재료들은 혼합물에 다수의 성분들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한다. 예를 들면, 우유 또는 두유의 함유물은 지방, 단백질, 기타 고형분 및 물을 제공한다. 냉동 디저트 혼합물에 있어서의 지방레벨은 약 0 내지 약 30 wt%, 바람직하게는 약 0 내지 약 18 wt%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냉동 디저트 혼합물에 사용된 단백질원은 어떤 편리한 식품등급 유제품 또는 식물유래 단백질원 또는 단백질원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적절한 단백질원은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크림, 우유, 탈지 우유 분말, 유청 단백질 농축물, 유청단백질 분리물, 콩 단백질 농축물 및 콩 단백질 분리물을 포함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특정재료들은 형성물에 단백질을 포함하는 다수의 성분들을 제공할 수 있다. 냉동 디저트 혼합물에 있어서의 단백질 레벨은 약 0.1 내지 약 18 wt%,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6 wt%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냉동 디저트 혼합물에 사용된 감미료의 선택과 레벨은 단맛, 칼로리 량, 및 냉동 디저트 제품의 질감과 같은 인자들에 영향을 줄 것이다. 다양한 감미료들이 냉동 디저트 혼합물에 사용될 수 있는데, 이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자당, 콘스타치유래된 재료, 당 알코올, 수크랄로스(sucralose) 및 아세설팜칼륨을 포함한다. 감미료들의 혼합물이 최종제품에 있어서의 소망의 품질을 얻기 위하여 종종 사용된다. 냉동 디저트 혼합물에 첨가된 감미료의 전체레벨은 약 0 내지 약 45 wt%, 바람직하게는 약 0 내지 약 35wt%의 범위일 수 있다.
냉동 디저트 혼합물에 사용된 안정제는 이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메뚜기 콩 검, 구아(guar) 검, 카라기닌,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및 젤라틴을 포함한다. 냉동 디저트 혼합물에 있어서 안정제 레벨은 약 0 내지 약 3 wt%, 바람직하게는 약 0 내지 약 1 wt% 일 수 있다.
냉동 디저트 혼합물에 사용된 유화제는 이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계란 노른자, 모노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및 폴리소르베이트 80을 포함한다. 냉동 디저트 혼합물에 있어서 유화제 레벨은 약 0 내지 약 4 wt%, 바람직하게는 약 0 내지 약 2 wt%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앞서 언급된 카놀라 단백질 제품은 요구되는 단백질 및 고형분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기 위하여 유제품 유사체 또는 식물/유제품 혼합 냉동 디저트 혼합물과 섞여진다.
여기에 사용된 카놀라 단백질 제품을 제공하기 위한 공정의 초기 단계는 카놀라 오일씨 또는 카놀라 오일씨 가루로부터 단백질 물질을 용해하는 것을 포함한다. 카놀라씨 또는 가루로부터 회수된 단백질 물질은 카놀라씨에서 천연적으로 발생하는 단백질이어도 좋고 또는 이 단백질 물질은 유전처리에 의해 그러나 천연 단백질의 소수특성 및 극성을 소유하는 변조된 단백질이어도 좋다. 이 카놀라 가루는, 예를 들면, 뜨거운 헥산 추출법 또는 냉 오일 추출법으로부터 획득되는, 비-변질 단백질의 레벨을 변화함으로 카놀라 오일씨로부터 카놀라 오일을 제거하여 획득되는 어떤 카놀라 가루일 수 있다. 카놀라씨들이 단백질원으로 사용될 때, 그들은 카놀라씨들의 가루덩어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우선 반드시 가루로 만들어져야만 한다. 이 단백질 물질은 그 다음 가루로 된 카놀라 오일씨들로부터 용해될 수 있다. 한편, 이 씨들은 높은 쉐어 펌프(shear pump)와 같은 편리한 장비를 사용하여, 씨를 빻음과 동시에 단백질을 용해하기 위하여 젖은 형태로 가루로 만들어져도 좋다. 카놀라씨들로부터 카놀라 단백질 분리물의 회수는, 본 출원인에게 양도된, 2009년 8월 28일자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12/542,931호(2010년 2월 18일자 공개된 미국특허공개 제2010-0041871호) 및 2011년 3월 22일자 출원된 12/787,465호(2011년 7월 28일자 공개된 미국특허공개 제2011-018149호)에 특히 더 자세히 개시되어 있다.
단백질 용해는 식품등급 염 용액을 사용함에 의해 매우 효과적으로 수행되는데, 그 이유는 염의 존재가 빻아진 오일씨들 또는 오일씨 가루로부터 용해성 단백질의 제거를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염은, 비록 염화칼륨과 같은 다른 염도 가능하지만, 통상 염화나트륨이 사용된다. 이 염 용액은 의미 있는 량의 단백질 용해를 얻는 것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약 0.0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0.10의 이온 강도를 갖는다. 염 용액의 이온 강도가 증가함으로써, 단백질 용해 정도는 최대 값에 도달할 때까지 초기에 증가한다. 이온 강도의 뒤이은 증가는 용해되는 총 단백질을 증가시키지 못한다. 최대 단백질 용해를 일으키는 식품등급 염 용액의 이온 강도는 관련된 염 및 만약 단백질원이 오일씨 가루라면 선택된 오일씨 가루에 의존하여 변화한다.
이온 강도를 증가함에 의해 단백질 침전을 위해 요구되는 희석의 더 많은 정도의 관점에서, 통상적으로 약 0.8 이하의,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0.15의 이온 강도 값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뱃치(batch) 공정에 있어서, 단백질의 염 용해는 약 1℃ 내지 약 75℃의,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65℃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35℃의 온도에서 수행되고, 통상적으로 약 1 내지 60분인 용해 시간이 감소하도록 바람직하게는 교반이 동반되어 진다. 오일씨들 또는 오일씨 가루로부터 실행 가능한 한 많은 단백질을 실질적으로 추출하도록 용해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렇게 함으로서 전체적으로 높은 생산률을 제공한다.
계속되는 공정에 있어서, 카놀라 오일씨 또는 가루로부터 단백질의 추출은 카놀라 오일씨 또는 가루로부터 단백질의 계속적인 추출을 효과 있게 하면서 한결같은 방법으로 수행된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빻아진 카놀라 오일씨 또는 카놀라 오일씨 가루는 식품등급 염 용액과 함께 계속적으로 혼합되고, 이 혼합물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파이프 또는 도관을 통해 여기에 개시되는 매개변수에 따라 소망하는 추출을 달성하기에 충분한 체류시간의 유동률로 전송된다. 이러한 계속되는 공정에서, 염 용해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카놀라 오일씨 또는 가루로부터 실행 가능한 한 많은 단백질을 실질적으로 추출하도록 용해를 효과 있게 하기 위하여, 약 1분 내지 약 60분 까지의 시간 안에 수행된다. 계속되는 공정에서의 용해는 약 1℃ 내지 약 75℃ 사이,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65℃ 사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35℃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수용성 식품등급 염 용액은 약 5 내지 약 6.8 의, 바람직하게는 약 5.3 내지 약 6.2의 pH를 갖는다. 이 염 용액의 pH는 어떠한 편리한 산, 통상 염산, 또는 알칼리, 통상적으로는 수산화나트륨의 사용에 의해 추출 단계에 있어서의 사용을 위한 약 5 내지 약 6.8의 범위 이내에서, 요구되어 진 바와 같이, 어떤 소망하는 값으로 조정되어져도 좋다.
용해 단계 동안 식품등급 염 용액 내의 빻아진 오일씨 또는 오일씨 가루의 농도는 광범위하게 변화해도 좋다. 빻아진 오일씨를 위한 전형적인 농도 값은 약 5 내지 약 25% w/v이다. 오일씨 가루를 위한 전형적인 농도 값은 약 5 내지 약 15% w/v이다.
수용성 염 용액과 함께 단백질 추출 단계는 카놀라 오일씨 내에 존재하고 카놀라 가루 안에 존재할 수 있는 지방을 용해하는 부가적 효과도 가지며, 이것은 그 다음 수상에 존재하는 지방을 획득한다.
일반적으로 추출단계로부터 얻어진 단백질 용액은 약 3 내지 약 40 g/L,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30 g/L의 단백질 농도를 갖는다.
수용성 염 용액은 산화방지제를 포함해도 좋다. 이 산화방지제는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어떠한 편리한 산화방지제이어도 좋다. 채용되는 산화방지제의 량은 용액의 약 0.01 내지 약 1 wt%, 바람직하게는 약 0.05 wt%로 변화시켜도 좋다. 산화방지제는 단백질 용액 내의 석탄산의 산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추출단계로부터 얻어지는 수상은, 경사형 원심 분리기를 채용하는 것과 같은 어떤 편리한 방법으로 잔여 카놀라 가루로부터 분리되고, 뒤이어 잔여 씨 재료 또는 가루를 제거하기 위하여 디스크 원심분리기 및/또는 여과에 의해 여과되어져도 좋다. 이 분리단계는 전형적으로 추출단계와 동일한 온도에서 수행되지만, 약 1℃ 내지 약 75℃의,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65℃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35℃의 범위 내의 어떤 온도에서 수행되어도 좋다. 분리된 잔여 씨 재료 또는 가루는 처분을 위하여 건조되거나 또는 잔여 단백질의 회수를 위하여 추가처리되어도 좋다. 잔여 단백질은 분리된 잔여 씨 재료 또는 가루를 새로운 염 용액 및 아래에서 기재되는 바와 같이 추가처리를 위하여 초기 단백질 용액과 혼합하여 정제되어 생산된 단백질 용액으로 재추출함에 의해 회수될 수 있다. 한편, 분리된 잔여 씨 재료 또는 가루는 잔여 단백질 회수를 위하여 등전침전공정 또는 어떤 다른 편리한 공정에 의해 처리되어져도 좋다.
이 수용성 카놀라 단백질 용액은 추가처리에서 형성된 거품의 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어떤 적절한 식품등급 비-실리콘 기초 소포제와 같은, 소포제로 처리될 수 있다. 채용된 소포제의 량은 일반적으로 약 0.0003% w/v 이상이다. 한편, 개시된 소포제는 추출단계에서 첨가되어도 좋다.
이 수용성 카놀라 단백질 용액에 존재하는 지방은 본 출원인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 제 5,844,086호 및 제 6,005,07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공정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수용성 카놀라 단백질 용액은 디캔팅(decanting)과 같은 어떤 편리한 공정에 의한 제거를 위하여 수상으로부터 지방의 분리를 일으키도록 약 3℃ 내지 약 7℃의 온도로 냉각되어도 좋다. 한편, 이 지방은 크림 분리기를 사용하는 온도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원심분리에 의한 것과 같은 어떤 다른 편리한 공정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지방이 제거되자마자, 수용성 카놀라 단백질 용액은 여과에 의해 더 정제되어져도 좋다. 이 수용성 카놀라 단백질 용액으로부터 회수된 카놀라 오일은 카놀라 오일의 상업적 응용에 이용되도록 처리되어져도 좋다.
한편, 이 수용성 카놀라 단백질 용액은, 삼상 디캔터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어떤 편리한 공정에 의해 오일 상 및 잔여 카놀라씨 재료 또는 가루로부터 동시에 분리되어져도 좋다. 이 수용성 카놀라 단백질 용액은 그 다음 여과에 의해 더 정제될 수 있다.
수용성 카놀라 단백질 용액은 색상 및/또는 냄새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분말 활성화된 탄소 또는 낟알로 된 활성화 탄소와 같은, 흡착제로 처리되어도 좋다. 이러한 흡착제 처리는 어떤 편리한 조건하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분리된 수용성 단백질 용액의 주변온도에서 수행된다. 분말 활성화된 탄소의 경우에 약 0.025% 내지 약 5 % w/v,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약 2% w/v의 량이 채용된다. 이 흡착제는 여과와 같은 어떤 편리한 수단에 의해 카놀라 단백질 용액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수용성 염 용액으로 빻아진 카놀라 오일씨 또는 오일씨 가루를 추출하는 대안으로서, 이러한 추출은, 비록 물 단독의 사용이 수용성 염 용액보다 빻아진 오일씨 또는 오일씨 가루로부터 단백질을 덜 추출하는 경향이 있지만, 물 단독을 사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대안이 채용되면, 상술한 농축에 있어서 염이 잔여 빻아진 씨 재료 또는 오일씨 가루로부터 분리 후의 단백질 용액에 그리고 만일 사용된다면, 이하에 개시될 농축 단계 동안 용액 내의 단백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지방제거단계 후의 단백질 용액에 첨가될 수 있다.
다른 대안 공정은 약 6.8 위의 비교적 높은 pH 값, 일반적으로 약 9.9 까지의 pH값의 식품등급 염 용액으로 빻아진 오일씨 또는 오일씨 가루를 추출하는 것이다. 식품등급 염 용액의 pH는 수용성 수산화 나트륨 용액 같은 어떠한 편리한 식품등급 알칼리의 사용에 의해 소망의 알칼리 값으로 조정되어져도 좋다. 대안으로서, 빻아진 오일씨 또는 오일씨 가루는 약 pH 5 이하의, 일반적으로 약 pH 3으로 낮춘, 비교적 낮은 pH의 염 용액으로 추출되어져도 좋다. 이러한 대안이 채용될 경우, 추출 단계로부터 얻어지는 수상은 잔여 카놀라씨 재질 및 가루로부터 분리되고, 그리고 만약 필요하다면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지방이 제거된다.
높은 또는 낮은 pH 추출 단계로부터 얻어지는 수용성 단백질 용액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아래에서 개시될 추가 공정의 전에, 약 5 내지 약 6.8 의, 바람직하게는 약 5.3 내지 약 6.2의 범위로 pH가 조정된다. 이러한 pH의 조정은, 적당한 것으로서, 염산과 같은 어떤 편리한 산, 또는 수산화 나트륨과 같은 알칼리를 사용하여 수행되어져도 좋다.
수용성 카놀라 단백질 용액은 그것의 이온 강도를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단백질 농도를 증가시키도록 농축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농축은 적어도 약 50 g/L,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200 g/L,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250 g/L의 단백질 농도를 갖는 농축된 단백질 용액을 제공하도록 수행된다.
농축단계는, 동공-섬유 막 또는 나선-권선 막과 같은 막들을 사용하여 한외거르기 또는 디아필트레이션과 같은 어떤 편리한 선택적 막 기술을 채용함에 의해, 그리고 약 3,000 내지 약 100,000 달톤, 바람직하게는 약 5,000 내지 약 10,000 달톤과 같은 적절한 분자 질량 차단과 함께, 그리고 다른 막 재질 및 배열을 갖는 막들을 사용하여, 뱃치 또는 계속적인 조작으로 한결같은 어떤 편리한 방법으로 수행되어 지고, 그리고 계속적인 조작을 위하여, 수용성 단백질 용액이 이들 막을 통과 함으로서, 소망하는 정도의 농도를 허용하도록 치수되어 진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한외거르기 및 유사한 선택적 막 기술은 낮은 분자량 종류는 막의 통과를 허용하는 반면 높은 분자량 종류는 통과를 허용하지 않는다. 낮은 분자량종류는 식품등급 염의 이온 종류뿐만 아니라 탄수화물, 색소 및 반-영양인자와 같은 원재료로부터 추출된 저 분자량 물질은 물론 단백질의 어떤 저 분자량 종류를 포함한다. 막의 분자량 차단은 통상적으로, 다른 막 재질 및 구조와 관련하여 오염물질의 통과를 허용하는 한편, 용액 내에 단백질의 의미 있는 비율의 유지를 보장하도록 선택된다.
농축된 단백질 용액은 추출용액과 동일한 몰 농도 및 pH의 수용성 염 용액을 사용하여 디아필트레이션(diafiltration) 단계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디아필트레이션은 약 1 내지 약 20 용량,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10 용량의 디아필트레이션 용액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디아필트레이션 조작에 있어서, 불순물의 추가적 량이 막 침투를 통해 통과함에 의해 수용성 단백질 용액으로부터 제거된다. 디아필트레이션 조작은 불순물 량이 의미가 없을 때까지 그리고 알아볼 수 있는 색상이 침투에 나타나지 않을 때까지 수행된다. 이러한 디아필트레이션은 농축단계까지 동일한 막을 사용하여 수행되어도 좋다. 그러나, 원한다면, 디아필트레이션 단계는 약 3,000 내지 약 100,000 달톤, 바람직하게는 약 5,000 내지 약 10,000 달톤의 범위내의 분자량 차단을 가지며, 서로 다른 막 재질 및 구조를 갖는 막과 같은 다른 분자량 차단의 분리된 막을 사용하여 수행되어져도 좋다.
한편, 디아필트레이션 단계는 농축 전의 수용성 카놀라 단백질 용액에 또는 약 50 g/L 이하의 단백질 농도를 갖는 부분적으로 농축된 수용성 카놀라 단백질 용액에 시행되어져도 좋다. 디아필트레이션은 또한 농축과정 동안 다수의 시점들에서 시행되어져도 좋다. 디아필트레이션이 농축 전에 또는 부분적으로 농축된 용액에 시행될 때, 얻어지는 디아필트레이션된 용액은 그 다음 추가적으로 농축된다.
적어도 디아필트레이션 단계의 부분 동안 산화방지제가 디아필트레이션 매체에 존재해도 좋다. 이 산화방지제는 황산 나트륨,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어떤 편리한 산화방지제이어도 좋다. 디아필트레이션 매체에 채용된 산화방지제의 량은 채용된 물질에 의존하고 약 0.01 내지 약 1 wt%, 바람직하게는 약 0.05 wt%로 다양화될 수 있다. 이 산화방지제는 카놀라 단백질 용액에 나타나는 석탄산의 산화를 방지한다.
농축단계 및 디아필트레이션 단계는, 어떠한 편리한 온도, 일반적으로 약 2℃ 내지 약 65℃,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35℃의 온도 하에서, 농축 및 디아필트레이션의 소망하는 정도를 달성하기 위한 시간 동안 수행된다. 어떤 정도에 도달 까지 사용된 온도 및 다른 조건들은 농축에 사용된 막 장비 및 용액의 소망하는 단백질 농도에 의존한다.
농축된 그리고 선택적으로 디아필트레이션된 단백질 용액은, 만약 필요하다면, 미국 특허 제 5,844,086호 및 제 6,005,07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탈지 동작을 더 수행해도 좋다. 아니면, 농축된 그리고 선택적으로 디아필트레이션된 단백질 용액은 어떤 다른 편리한 공정에 의해 탈지 동작이 더 수행해도 좋다.
농축되고 선택적으로 디아필트레이션된 단백질 용액은 색상 및/또는 냄새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분말화된 활성화 탄소 또는 낟 알갱이 활성화탄소와 같은 흡착제로 처리되어져도 좋다. 색상 흡착 시약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물질은 폴리비닐 피놀리돈(polyvinyl pyrrolidone)이다.
이러한 흡착제 처리단계는 어떤 편리한 조건들 아래서, 일반적으로 카놀라 단백질 용액의 주변 온도에서 수행된다. 분말화된 활성화 탄소를 위하여는, 약 0.025% 내지 약 5% w/v,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2% w/v의 량이 사용된다. 만약 폴리비닐피놀리돈이 색상흡착시약으로 사용된다면, 약 0.5% 내지 약 5% w/v,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3% w/v의 량이 사용된다. 이 흡착제는 여과와 같은 어떤 편리한 수단에 의해 카놀라 단백질 용액으로부터 제거되어도 좋다.
선택적 색상제거 단계로부터 얻어진 농축되고 선택적으로 디아필트레이션된 단백질 용액은 미생물 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저온살균 단계에 놓여져도 좋다. 이러한 저온살균은 어떤 소망의 저온살균 조건 하에서 수행되어도 좋다. 일반적으로, 농축되고 선택적으로 디아필트레이션된 단백질 용액은 약 55℃ 내지 약 70℃, 바람직하게는 약 60℃ 내지 약 65℃의 온도에서 약 30초 내지 약 60분간, 바람직하게는 약 10분 내지 약 15분간 가열된다. 이 저온살균되고 농축된 단백질 용액은 이하에서 개시될 다음 공정을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40℃의 온도로 냉각되어도 좋다.
농축단계 및 선택적 디아필트레이션 단계에서 채용된 온도와 저온살균단계의 수행 여부에 의존하여, 농축된 단백질 용액은 뒤이은 희석단계 및 미셀 성형의 수행을 용이하게 하도록 농축된 단백질 용액의 점도를 감소하기 위하여, 적어도 약 20℃, 그리고 약 60℃까지,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40℃의 온도로 가온되어져도 좋다. 농축된 단백질 용액은 찬물에 의한 희석에서 미셀 성형이 일어나지 않게 되는 상기의 온도를 초과하여 가열되어서는 안 된다.
농축단계, 그리고 선택적 디아필트레이션 단계, 선택적 탈지 단계, 선택적 색상제거 단계 및 선택적 저온살균 단계로부터 얻어진 농축된 단백질 용액은 소망하는 희석의 정도에 도달하는데 요구되는 량을 갖는 찬물과 함께 농축된 단백질 용액을 혼합함에 의해 미셀 성형이 되도록 희석된다. 미셀 루트에 의해 얻어지기 위하여 요구되는 카놀라 단백질의 비율 및 상청액으로부터의 비율에 의존하여, 농축된 단백질 용액의 희석의 정도는 다양하게 되어져도 좋다. 일반적으로 더 낮은 희석 레벨에서, 카놀라 단백질의 더 많은 비율이 수상에 남는다.
미셀 루트에 의해 가장 많은 비율의 단백질을 제공하기를 원할 때, 농축된 단백질 용액은 약 5 폴드(fold) 내지 약 25 폴드, 바람직하게는 약 10 폴드 내지 약 20 폴드에 의해 희석된다.
농축된 단백질 용액과 함께 혼합되는 찬물은 약 15℃ 이하,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약 15℃, 바람직하게는 약 10℃ 이하의 온도를 갖는데, 그 이유는 단백질 미셀 덩어리의 형태에 있는 단백질 분리물의 향상된 수확량이 사용된 희석 인자들에서 더 차가운 온도로 달성되기 때문이다.
뱃치(batch) 조작에 있어서, 농축된 단백질 용액의 뱃치가, 상술한 바와 같이, 소망의 량을 갖는 찬물의 고정 체에 부가된다. 농축된 단백질 용액의 희석 및 이온 강도의 결과적 감소는 미셀 형태의 별개의 단백질 작은 방울들의 형태로 되고 높게 결합된 단백질 분자들의 구름-같은 덩어리의 형성을 유발한다. 뱃치 공정에서, 단백질 미셀들은 집합된, 합체된, 밀집한, 비결정성 끈적끈적한 글루텐-같은 단백질 미셀 덩어리(PMM)를 형성하도록 찬물의 바디(body)에 침전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침전은 원심분리에 의해서와 같은 방법으로 도와질 수 있다. 이렇게 유도된 침전은 단백질 미셀 덩어리의 액체 함량을 감소시키고, 그것은 일반적으로 약 7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습도 함량을 일반적으로 총 미셀 덩어리의 약 50 중량% 내지 약 80 중량%의 값으로 감소시킨다. 또한, 이와 같은 미셀 덩어리의 습도 함량의 감소는 미셀 덩어리의 내포된 염 함량을 감소시키고, 여기서 염 함량은 건조된 분리물의 염 함량이다.
대안적으로, 희석 조작은 T-형 파이프의 일 측 주입구에 농축된 단백질 용액을 계속적으로 통과 시키고 T-형 파이프의 다른 주입구에는 희석 물을 주입하면서 파이프 내에서 혼합을 허용하여 계속적으로 수행된다. 희석 물은 농축된 단백질 용액의 소망하는 희석 정도를 달성하는데 충분한 비율로 T-형 파이프 속으로 공급된다.
파이프 내에서 농축된 단백질 용액 및 희석 물의 혼합은 단백질 미셀의 성형을 시작하고 이 혼합물은 계속적으로 T-형 파이프의 출구로부터 침전 용기 속으로 주입되며, 그것으로부터 가득 찼을 때, 상청액이 넘쳐흐르는 것이 허용된다. 이 혼합물은 바람직하게 액체의 바디 내에서 난류를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침전 용기 내의 액체 바디 속으로 주입된다.
계속되는 공정으로, 단백질 미셀은 집합된, 합체된, 밀집한, 비결정성 끈적끈적한 글루텐-같은 단백질 미셀 덩어리(PMM)를 형성하도록 침전 용기 내에서 침전되고, 이 공정은 소망하는 량의 PMM이 침전 용기의 바닥에 축적될 때까지 계속되며, 그 다음 축적된 PMM이 침전용기로부터 제거된다. 퇴적에 의한 침전 대신에, PMM은 원심분리에 의해 계속적으로 분리되어져도 좋다.
뱃치공정에 비교되는 것으로서 카놀라 단백질 분리물의 회수를 위한 계속되는 공정의 이용에 의해, 더 많은 생산량을 얻으면서 오염의 기회가 적고 공정이 더 간편한 장비에 의해 수행될 수가 있다.
침전된 PMM은, 침전된 덩어리로부터 잔여 수상의 기우려따르기 또는 원심분리에 의해서와 같은 방법으로, 잔여 수상 또는 상청액으로부터 분리된다. 이 PMM은 젖은 형태로 사용되어져도 좋고, 또는 스프레이 건조 또는 동결건조와 같은 편리한 기술에 의해 건조형태로 건조되어져도 좋다. 건조 PMM은 약 90 wt%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00 wt% (N x 6.25)d.b.의 높은 단백질 함량을 갖고, 실질적으로 변질 되지 않는다(차동 스캔닝 열량측정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에게 양도된, 앞서 언급한 미국특허 제7,662,92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 PMM은 약 60 내지 98 wt%의 7S 단백질의 단백질성분구성을 갖는 주로 7S 카놀라 단백질, 약 1 내지 약 15 wt%의 12S 단백질 및 약 25 wt%의 2S 단백질을 구성한다.
PMM 성형 및 침전 단계로부터의 상청액은, 희석단계에서 침전되지 않은, 의미 있는 량의 카놀라 단백질을 포함하고, 그것으로부터 카놀라 단백질 제품을 회수하기 위하여 가공된다.
미국특허 제7,687,08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PMM의 제거에 뒤따른 희석단계로부터의 상청액은 단백질 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농축되어져도 좋다. 이러한 농축은, 용액 내에 카놀라 단백질의 의미 있는 비율을 유지하면서, 염, 탄수화물, 색소 및 원재료로부터 추출된 저 분자량 물질을 포함하는 저분자량 종류의 통과를 허용하는 적절한 분자량 차단을 갖는 막들을 사용하는 한외거르기와 같은 편리한 선택적 막 기술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약 3,000 내지 약 100,000 달톤, 바람직하게는 약 5,000 내지 약 10,000 달톤의 분자 질량 차단을 갖고, 그리고 막 재질 및 구조가 다른 한외거르기 막들이 사용되어져도 좋다. 이 방법으로 상청액의 농축은 단백질 회수를 위하여 건조되어 지는데 요구된 액체의 량을 감소시키고, 건조를 위해 요구되는 에너지도 감소시킨다. 일반적으로 상청액은 적어도 약 50 g/L의, 바람질하게는 약 100 내지 약 400 g/L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0 내지 약 300 g/L의 단백질 함량으로 농축된다.
농축된 상청액은 물, 염분이 든 또는 산성화된 물을 사용하여 디아필트레이션 단계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디아필트레이션은 약 1 내지 약 20 용량의 디아필트레이션 용액,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10 용량의 디아필트레이션 용액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디아필트레이션 조작에 있어서, 불순물의 추가적 량이 막 침투를 통해 통과함에 의해 수용성 상청액으로부터 제거된다. 디아필트레이션 조작은 불순물 량이 의미가 없을 때까지 그리고 알아볼 수 있는 색상이 침투에 나타나지 않을 때까지 수행된다. 이러한 디아필트레이션은 농축단계에서와 같은 동일한 막을 사용하여 수행되어도 좋다. 그러나, 원한다면, 디아필트레이션은, 약 3,000 내지 약 100,000 달톤, 바람직하게는 약 5,000 내지 약 10,000 달톤의 범위내의 분자량 차단을 가지며, 서로 다른 막 재질 및 구조를 갖는 막과 같은, 별도의 막을 사용하여 수행되어져도 좋다.
한편, 디아필트레이션 단계는 농축 전의 상청액에 또는 약 50 g/L 이하의 단백질 농도를 갖는 부분적으로 농축된 상청액에 시행되어져도 좋다. 또한 디아필트레이션은 농축과정 동안 다수의 시점들에서 시행되어져도 좋다. 디아필트레이션이 농축 전에 또는 부분적으로 농축된 상청액에 시행될 때, 얻어지는 디아필트레이션된 용액은 그 후 추가적으로 농축되어져도 좋다.
여기에서의 농축단계 및 디아필트레이션단계는 뒤이어 회수된 카놀라 단백질 제품이, 적어도 약 60 wt% 단백질(N x 6.25)d.b.과 같은, 약 90 wt% 단백질(N x 6.25)d.b. 이하를 함유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수행된다. 수용성 카놀라 단백질 용액을 부분적으로 농축하고 및/또는 부분적으로 디아필트레이션하는 것에 의해, 단지 불순물의 일부를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단백질 용액은 더 낮은 레벨의 순도를 갖는 카놀라 단백질 제품을 제공하도록 건조되어져도 좋다.
적어도 디아필트레이션 단계의 부분 동안 산화방지제가 디아필트레이션 매체에 나타나도 좋다. 이 산화방지제는 황산 나트륨,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어떤 편리한 산화방지제이어도 좋다. 디아필트레이션 매체에 채용된 산화방지제의 량은 채용된 물질에 의존하고 약 0.01 내지 약 1 wt%, 바람직하게는 약 0.05 wt%로 다양화될 수 있다. 이 산화방지제는 카놀라 단백질 용액에 나타나는 석탄산의 산화를 방지한다.
농축되고 선택적으로 디아필트레이션된 단백질 용액은 상술한 색상제거 조작에 대한 대안으로서 색상제거조작이 수행되어져도 좋다. 낱 알갱이 활성탄(GAC)은 물론 분말화된 활성탄이 사용되어져도 좋다. 색상 흡착 시약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물질은 폴리비닐 피놀리돈(polyvinyl pyrrolidone)이다.
색상 흡착 시약 취급 단계는 어떤 편리한 조건들 아래서, 일반적으로 카놀라 단백질 용액의 주변 온도에서 수행된다. 분말 활성탄을 위하여는, 약 0.025% 내지 약 5% w/v,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2% w/v의 량이 사용된다. 만약 폴리비닐 피놀리돈이 색상흡착시약으로 사용된다면, 약 0.5% 내지 약 5% w/v,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3% w/v의 량이 사용된다. 색상흡착시약은 여과와 같은 편리한 수단에 의해 카놀라 단백질 용액으로부터 제거되어도 좋다.
농축되고 선택적으로 디아필트레이션된 상청액은 카놀라 단백질 제품을 건조형태로 제공하기 위하여, 스프레이 건조 또는 동결 건조와 같은, 어떤 편리한 기술에 의해 건조되어 진다. 이러한 카놀라 단백질 제품은 약 60 wt% (N x 6.25)d.b.이상의 단백질 함량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이 카놀라 단백질 제품은 약 90 wt% (N x 6.25)d.b. 이상의,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00 wt% (N x 6.25)d.b.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 분리물이고, 실질적으로 변질되지 않는다(차동 스캔닝 열량측정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앞서 언급한 미국 특허 제7,662,922(WO 03/086760)호로부터 알려진 바와 같이, 이 상청액 유래 카놀라 단백질 분리물은 약 60 내지 95 wt%의 2S 단백질의 단백질 구성 성분을 갖는 주로 2S 카놀라 단백질, 약 5 내지 약 40 wt%의 7S 단백질 및 0 내지 약 5 wt%의 12S 단백질로 구성된다.
한편, PMM의 분리로부터의 상청액은 그것으로부터 카놀라 단백질 제품을 회수하기 위하여 다른 공정들에 의해 가공된다. 예를 들면, 본 출원인에게 양도된, 2008년 6월 20일자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12/213,500호(2008년 12월 4일자 공개된 미국특허공개 제2008-029928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 농축된 상청액은 열-처리된 용액으로부터 카놀라 단백질 제품을 회수하기 전에 7S 단백질을 침전시키기 위하여 열처리되어져도 좋다.
이러한 열처리는 농축된 상청액에 존재하는 7S 단백질의 비율을 감소하기에 충분한, 바람직하게는 의미 있는 범위까지 7S 단백질의 비율을 줄이기에 충분한 온도 및 시간 프로필을 사용하여 수행되어져도 좋다. 일반적으로, 농축된 상청액의 7S 단백질 함량은 열처리에 의해 적어도 약 50 wt%,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75 wt%로 감소 된다. 일반적으로, 이 열처리는 약 70℃ 내지 약 120℃, 바람직하게는 약 75℃ 내지 약 105℃의 온도에서 약 1초 내지 30분간,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5분간 수행된다. 이 침전된 7S 단백질은 원심분리 또는 여과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한 것과 같은 어떤 편리한 방법으로 제거되어져도 좋다.
침전된 7S 단백질의 제거 후, 이 열-처리되고 농축된 상청액은 건조된 분리물의 의도된 용도에 대응하는 pH로, 일반적으로, pH가 약 2 내지 약 5,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4로 하향 되도록, 건조 전에 산성화되어져도 좋다.
침전된 7S 단백질의 제거 후, 이 열처리되고 농축된 상청액은 카놀라 단백질 제품을 건조형태로 제공하도록, 스프레이 건조 또는 동결건조와 같은 어떤 편리한 기술에 의해 건조되어져도 좋다. 이러한 카놀라 단백질 제품은 약 60 wt% (N x 6.25)d.b. 이상의 단백질 함량을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이 제품은 약 90 wt% (N x 6.25)d.b.이상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0 wt% 단백질(N x 6.25)d.b. 이상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 카놀라 단백질 분리물이며, 실질적으로 변질 되지 않는다(차동 스캔닝 열량측정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신규의 카놀라 단백질 제품은 높은 비율의 2S 단백질, 바람직하게는 제품에 있어서 카놀라 단백질의 적어도 90 wt%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95 wt%를 함유한다. 이 제품에는 7S의 비율도 또한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7S 단백질의 침전을 위한 열처리 단계는 상술한 농축 및 디아필트레이션 단계들 전의 상청액에 수행되어져도 좋다. 침전된 7S 단백질의 제거에 뒤이어, 상청액은 일반적으로 약 50 내지 약 400 g/L로, 바람직하게는 약 200 내지 약 300 g/L의 단백질 농도로 농축되고, 선택적으로 디아필트레이션되며, 선택적으로 색상제거조작에 놓이고, 그리고 카놀라 단백질 제품을 제공하기 위하여 건조되어져도 좋다.
다른 대안으로서, 상청액은 우선 약 50 g/L 이하의 단백질 농도로 부분적으로 농축되어져도 좋다. 이 부분적으로 농축된 상청액은 그 다음, 상기한 바와 같이, 7S 단백질을 침전하기 위하여 열처리에 놓이게 된다. 침전된 7S 단백질의 제거에 뒤이어, 상청액은 카놀라 단백질 제품을 제공하도록 일반적으로 약 50 내지 약 400 g/L로, 바람직하게는 약 200 내지 약 300 g/L로 더 농축되고, 선택적으로 디아필트레이션되며, 선택적으로 색상제거조작에 놓이고 건조된다.
침전된 7S 단백질은 원심분리 또는 여과 또는 그것들의 조합에 의해서와 같은 어떤 편리한 수단에 의해 열처리된 상청액으로부터 또는 열처리되고 부분적으로 농축된 상청액으로부터 제거된다.
침전된 7S 단백질의 제거에 뒤이어, 열처리된 상청액 또는 열처리되고 부분적으로 농축된 상청액은, 상술한 바와 같이, 농축 또는 디아필트레이션 동안 또는 후의 어떤 시점에서 산성화되어져도 좋다.
또한 미국특허출원 제12/213,50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미셀 형성 및 침전으로부터의 상청액은 카놀라 단백질 제품을 형성하기 위하여 대안적 방법으로 처리되어져도 좋다. 이 상청액은 상술한 바와 같이 우선 더 농축되거나 부분적으로 농축되어져도 좋다.
비록 염화칼륨과 같은 다른 염들이 사용될 수 있지만, 염, 통상적으로 염화나트륨이 적어도 약 0.3 mS,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20 mS의 전도성을 갖는 염류집적작용 용액을 제공하도록 상청액, 부분적으로 농축된 상청액 또는 농축된 상청액에 우선 첨가된다.
염류집적작용 상청액의 pH는 7S 단백질의 등전침전을 일으키도록, 일반적으로 약 2.0 내지 약 4.0,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약 3.5의 pH로, 그 값이 조정된다. 7S 단백질의 등전침전은 일반적으로 약 5℃ 내지 약 70℃,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40℃로 광범위한 온도 범위에 걸쳐 수행되어져도 좋다. 침전된 7S 단백질은 원심분리 또는 여과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한 것과 같은 어떤 편리한 수단에 의해 등전침전된 상청액으로부터 제거된다.
등전침전된 상청액은, 만약 이미 농축되지 않았다면, 본 발명의 카놀라 단백질 제품을 형성하기 위하여 건조하기 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농축되고 염을 제거하기 위하여 디아필트레이션되어져도 좋다. 농축되고 디아필트레이션된 상청액은, 본 발명의 카놀라 단백질 제품을 건조형태로 제공하도록 스프레이 건조 또는 동결건조와 같은 어떤 편리한 기술에 의한 건조 전에, 잔여 미립자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과되어져도 좋고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선택적 색상제거단계에 놓여져도 좋다. 이러한 카놀라 단백질 제품은 약 60 wt% (N x 6.25)d.b. 이상의 단백질 함량을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이 제품은 약 90 wt% (N x 6.25)d.b.이상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0 wt% 단백질(N x 6.25)d.b. 이상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 카놀라 단백질 분리물이다.
다른 대안공정에 있어서, 칼슘염, 바람직하게는 염화칼슘이 PMM의 분리로부터의 상청액에 첨가되는데, 이것은 약 5 mS 내지 약 30 mS, 바람직하게는 8 mS 내지 약 10 mS의 전도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하에서 기술되는 식으로 우선 농축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농축되어져도 좋다. 이 상청액에, 부분적으로 농축된 상청액에 또는 농축된 상청액에 첨가된 염화칼슘은 농축된 수용성 용액과 같은 어떤 소망하는 형태에 있을 수 있다.
염화칼슘의 첨가는 용액 내의 글로불린 단백질 및 알부민 단백질 부분을 유지하면서 상청액, 부분적으로 농축된 상청액 또는 농축된 상청액으로부터, 칼슘 퓌틴산의 형태로, 피틴산을 퇴적하는 효과를 갖는다. 퇴적된 피틴산은 깨끗한 용액을 남겨두기 위하여 원심분리 및/또는 여과에 의해 상청액, 부분적으로 농축된 상청액 또는 농축된 상청액으로부터 회수된다. 만약 원한다면, 퇴적된 피틴산은 더 높은 피틴산 함량을 갖는 제품이 되도록 제거되지 않아도 좋다.
그 다음 용액의 pH가 약 2.0 내지 약 4.0의 값으로, 바람직하게는 약 2.9 내지 3.2의 값으로 조정된다. 이 pH조정은 염산의 첨가와 같은 어떤 편리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원한다면, 산성화단계는 여기에 개시된 다양한 선택사항들로부터 생략되어져도 좋다.
pH-조정된 깨끗한 용액은, 만약 이미 농축되지 않았다면, 그것의 단백질 농도를 증가시키도록 농축되어져도 좋다. 이러한 농축은, 용액 내에 카놀라 단백질의 의미 있는 비율을 유지하면서, 염, 탄수화물, 색소 및 단백질 원재료로부터 추출된 기타 저 분자량 물질을 포함하는 낮은 분자량 종류는 막의 통과를 허용하는 적절한 분자중량차단을 갖는 막들을 사용하고, 한외거르기와 같은 어떤 편리한 선택적 막 기술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약 3,000 내지 100,000 달톤, 바람직하게는 약 5,000 내지 약 10,000 달톤과 같은 분자 중량 차단을 가지고, 그리고 다른 막 재질 및 구조를 갖는 한외거르기 막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액의 농축은 또한 단백질을 회수하기 위하여 건조되는데 요구되는 액체의 량을 감소시킨다. 일반적으로 이 용액은, 건조 전에, 적어도 약 50 g/L의 단백질 농도로, 바람직하게는 약 50 g/L 내지 약 500 g/L,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약 250 g/L의 단백질 농도로 농축되어져도 좋다. 이러한 농축조작은, 상술한 바와 같이, 뱃치모드 또는 계속조작으로 수행되어져도 좋다.
상청액이 칼슘염의 첨가 전에 부분적으로 농축된다면, 이 상청액은 우선 약 50 g/L 미만의 단백질 농도로 농축되고, 그 다음 침전물의 제거 후 적어도 약 50 g/L의 농도로, 바람직하게는 약 50 g/L 내지 약 500 g/L,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약 250 g/L의 농도로 농축되어져도 좋다.
다른 대안공정으로, 칼슘염이 두 단계에서 첨가될 수 있다. 이 공정에 있어서, 작은 량의 칼슘이 침전물의 형성을 일으키기에 충분한 약 1 mS 내지 약 3.5 mS의 전도도, 바람직하게는 약 1 mS 내지 약 2 mS의 전도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청액에 첨가된다.
획득된 용액은 상기한 조건들 하에서 산성화되고 부분적으로 농축된다. 나머지의 칼슘염이 침전물의 형성을 완료하도록 약 4 mS 내지 약 30 mS의,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약 10 mS의 전도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농축된 용액에 첨가된다. 그 다음, 침전물은 제거된다. 획득된 깨끗한 용액은 그 다음 상술한 조건들 하에서 농축된다.
농축되고 칼슘염 처리된 상청액은 물을 사용하는 디아필트레이션 단계에 놓여질 수 있다. 이 물은 그 물의 천연 pH에, 디아필트레이션 되어지는 단백질 용액과 동일한 pH에 또는 그 사이의 어떠한 pH에 있어도 좋다. 이러한 디아필트레이션은 약 1 내지 약 20 용량의 디아필트레이션 용액을,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0 용량의 디아필트레이션 용액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디아필트레이션 조작에 있어서, 불순물의 추가적 량이 막 침투를 통해 통과함에 의해 수용성 상청액으로부터 제거된다. 디아필트레이션 조작은 불순물 량이 의미가 없을 때까지 그리고 알아볼 수 있는 색상이 침투에 나타나지 않을 때까지 수행된다. 이러한 디아필트레이션은 농축단계에서와 동일한 막을 사용하여 수행되어도 좋다. 그러나, 원한다면, 디아필트레이션은 약 3,000 내지 100,000 달톤, 바람직하게는 약 5,000 내지 10,000 달톤의 범위내의 분자량 차단을 가지며, 서로 다른 막 재질 및 구조를 갖는 막과 같은 별도의 막을 사용하여 수행되어져도 좋다.
적어도 디아필트레이션 단계의 부분 동안 산화방지제가 디아필트레이션 매체에 나타나도 좋다. 이 산화방지제는 황산 나트륨,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어떤 편리한 산화방지제이어도 좋다. 디아필트레이션 매체에 채용된 산화방지제의 량은 채용된 물질에 의존하고 약 0.01 내지 1 wt%, 바람직하게는 약 0.05 wt%로 다양화될 수 있다. 이 산화방지제는 농축된 카놀라 단백질 용액에 나타나는 석탄산의 산화를 방지한다.
농축되고 선택적으로 디아필트레이션된 단백질 용액은 색상제거조작이 수행되어져도 좋다. 낟 알갱이 활성화탄소(GAC)는 물론 분말화된 활성 탄소가 사용되어져도 좋다. 색상 흡착 시약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물질은 폴리비닐 피놀리돈(polyvinyl pyrrolidone)이다.
색상 흡착 시약 취급 단계는 어떤 편리한 조건들 아래서, 일반적으로 카놀라 단백질 용액의 주변 온도에서 수행된다. 분말화된 활성화 탄소를 위하여는, 약 0.025% 내지 약 5% w/v,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2% w/v의 량이 사용된다. 만약 폴리비닐피놀리돈이 색상흡착시약으로 사용된다면, 약 0.5% 내지 약 5% w/v,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3% w/v의 량이 사용된다. 색상흡착시약은 여과와 같은 어떤 편리한 수단에 의해 카놀라 단백질 용액으로부터 제거되어도 좋다.
농축되고 선택적으로 디아필트레이션되었으며 선택적으로 흡착처리된 단백질 용액은 스프레이 건조 또는 냉동건조와 같은 어떤 편리한 기술에 의해 건조형태로 건조된다. 건조된 카놀라 단백질 제품은 약 60 wt% (N x 6.25)d.b. 이상의 단백질 함량을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이 제품은 약 90 wt% (N x 6.25)d.b.이상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0 wt% 단백질(N x 6.25)d.b. 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 카놀라 단백질 분리물이며, 실질적으로 변질 되지 않는다(차동 스캔닝 열량측정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이 카놀라 단백질제품은 일반적으로 피틴산 함량이 낮으며, 일반적으로 약 1.5중량% 미만이다.
여기서 생산된 이 카놀라 단백질제품은 알부민 및 글로불린 부분 양자를 함유하고 산성 수용성 환경에 용해가능하다.
상기한 공정들의 어느 하나에 의해 제조된, PMM 침전단계의 상청액으로부터 유래된 카놀라 단백질제품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냉동 디저트 제품들을 준비하는데 사용된, 유제품 유사체 또는 식물/유제품 냉동 디저트 혼합물에 사용되기 적합하다.
실시예들
실시예 1:
이 실시예는 냉동 디저트의 제조를 위하여 사용된 카놀라 단백질 분리물의 제조를 설명한다.
100 kg의 카놀라 가루가 주변 온도에서 1000 L의 0.15M NaCl 용액에 첨가되었고 수용성 단백질 용액을 제공하기 위하여 30분 동안 휘저어 졌다. 잔여 카놀라 가루는 제거되어 졌고 획득된 단백질 용액은 1.49중량%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 735.8 L의 부분적으로 정제된 단백질 용액을 생산하기 위하여 원심분리에 의해 부분적으로 정제되었다. 이 부분적으로 정제된 단백질 용액은 1.37중량%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 685 L의 용액이 얻어지도록 더욱 정제하기 위하여 여과되었다.
685 L의 단백질 추출 용액은 100,000 달톤의 분자 중량 차단을 갖는 폴리에테르슬폰(polyethersulfone)(PES)막 상에서 35 L로 농축되어졌다. 획득한 농축된 단백질 용액은 17.88중량%의 단백질 함량을 가졌다. 이 농축된 단백질 용액은 그 다음 150 L의 0.15M NaCl 용액으로 디아필트레이션되어졌다. 획득한 농축되고 디아필트레이션된 용액은 19.38중량%의 단백질 함량을 가졌다. 이 농축되고 디아필트레이션된 단백질 용액은 19.14중량%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 35.8 kg의 저온살균되고 농축되었으며 디아필트레이션된 단백질 용액을 제공하기 위하여 10분 동안 63℃에서 저온 살균되었다.
30℃에 있는 35.6 kg의 저온살균되고 농축되었으며 디아필트레이션된 단백질 용액은 4.1℃의 온도를 갖는 356 L의 찬 역삼투(RO) 물속에서 희석되었다. 즉시 흰 구름이 형성되어졌다. 침전된 단백질은 원심분리에 의해 상청액이라 불리는 잔여 수상으로부터 분리되었다. 침전된, 점성의, 끈적끈적한 덩어리(PMM)가 30.8 wt%의 여과된 단백질 용액의 생산율로 회수되었다. 단백질로부터 유래된 건조 PMM은 99.03%(N x 6.25)d.b.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 제품은 SD078-J15-07A C300으로 명명되었다.
1.05 wt%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 75 L의 상청액의 약수는 100,000 달톤의 분자 중량 차단을 갖는 폴리에테르슬폰(PES) 막을 사용하여 한외거르기에 의해 4.8 L로 용량이 감소 되었다. 이 농축된 단백질 용액은 그 다음 20 L의 역삼투 정제된(RO) 물로 동일한 막 상에서 디아필트레이션되어졌다. 이 디아필트레이션되고 농축된 단백질 용액은 15.22 중량%의 단백질을 함유했다. 상청액으로부터 회수된 추가 단백질과 함께, 여과된 단백질 용액의 전체 단백질 회수는 38.6 wt% 였다. 이 디아필트레이션되고 농축된 단백질 용액은 그 다음 스프레이 건조되었고 SD078-J15-07A C200-01로 명명되었다. 이 C200-01은 96.11%(N x 6.25)d.b.의 단백질 함량을 가졌다.
실시예 2:
이 실시예는 관능평가를 위하여 사용된 냉동 디저트의 생산을 설명한다. 이 냉동 디저트는, 실시예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준비된, SD076-J15-07A C200-01을 사용하여 제조되었다.
14.4 g의 단백질을 공급하기에 충분한 단백질 분말이 계량되었고 대략 550 ml의 정제된 음료가 첨가되었다. 이 샘플은 단백질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 되었다. 이 용액의 pH는 식품등급 NaOH의 용액을 사용하여 5.37 내지 6.86으로 조정되었다. pH 조정된 용액에 7.2 g의 카놀라 오일(Canada Safeway Limited, Calgary, AB)이 첨가되었고 이 샘플의 용량은 추가의 물과 함께 600 ml까지 되었다. 그 다음 이 샘플은 미세 유제교반기(fine emulsor screen)가 장치된 Silverson L4RT 믹서 상에서 5,000 rpm으로 3분 동안 가공되어졌다.
카놀라 단백질 용액의 샘플(507.16 g)은 계량되어 졌고 그 다음 순수 바닐라 추출물(1.99 g)(Club House, McCormick Canada, London, ON) 및 낟알로 된 설탕(89.85 g)(Rogers, Lantic Inc., Montreal, QC)이 첨가되었으며 그리고 이 혼합물은 설탕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되었다. 혼합물의 pH는 6.87이었다. 이 혼합물은 온도가 9℃에 도달할 때까지 냉각되었다. 이 냉각된 혼합물은 Cuisinart ICE-50BCC 아이스크림 제조기의 그릇으로 이송되었고 이 아이스크림 제조기는 반고체 냉동 디저트를 생산하면서 45분 동안 가동되었다. 이 제품은 플라스틱 튜브로 이송되었고 관능평가가 완료될 때까지 한 시간 동안 약 -20℃에서 냉동고에 보관되었다.
실시예 3:
이 실시예는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냉동 디저트의 관능평가를 설명한다.
냉동 디저트의 샘플들이 작은 컵들로 이송되었고 9명의 비공식 패널들에게 눈을 가린 채 제공되었다. 냉동 디저트의 향에 관해서 조언해 줄 것을 패널들에게 요청했다. 조언들은 "향이 꽤 좋다", "좋은 바닐라 맛", "콩향이 감지되지 않음", "좋은 향", "맛있는 향" 및 "뒷맛 없음"을 포함했다.
실시예 4:
이 실시예는 냉동 디저트의 제조를 위하여 사용된 카놀라 단백질 분리물의 생산을 설명한다.
172 kg의 카놀라 가루가 주변 온도에서 1720 L의 0.15M NaCl 용액에 첨가되었고 수용성 단백질 용액을 제공하기 위하여 30분 동안 휘저어 졌다. 잔여 카놀라 가루는 제거되어 졌고 획득된 단백질 용액은 1.35중량%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 1358 L의 부분적으로 정제된 단백질 용액을 생산하기 위하여 원심분리에 의해 부분적으로 정제되었다. 이 부분적으로 정제된 단백질 용액은 1.18중량%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 1301 L의 용액이 얻어지도록 더욱 정제하기 위하여 여과되었다.
1301 L의 단백질 추출 용액은 5,000 달톤의 분자 중량 차단을 갖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르(PVDF) 막 상에서 67.2 kg으로 농축되었다. 이 획득한 농축된 단백질 용액은 22.50 중량%의 단백질 함량을 가졌다. 이 농축된 단백질 용액은 21.75 중량%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 66.8 kg의 저온살균되고 농축된 단백질 용액을 제공하기 위하여 10분 동안 63℃에서 저온 살균되었다.
27℃에 있는 66.7 kg의 농축된 용액은 5℃의 온도를 갖는 1000.5 L의 찬 역삼투(RO) 물속에서 희석되어졌다. 즉시 흰 구름이 형성되어졌다. 침전된 단백질은 원심분리에 의해 상청액이라 불리는 잔여 수상으로부터 분리되었다. 침전된, 점성의, 끈적끈적한 덩어리(PMM)가 42.5 wt%의 여과된 단백질 용액의 생산율로 회수되었다. 건조된 PMM 유래 단백질은 101.19%(N x 6.25)d.b.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 제품은 SD076-G03-07A C300으로 명명되었다.
0.76 wt%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 1050 L의 상청액은 10분 동안 85℃로 가열되어 졌고 그 다음 침전된 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원심분리되었다. 0.64 wt%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 1040 L의 이 열처리되고 정제된 단백질 용액은 10,000 달톤의 분자 중량 차단을 갖는 폴리에테르슬폰(PES) 막을 사용하여 한외거르기에 의해 29.1 L로 용량이 감소 되었다. 이 농축된 단백질 용액은 16.65 중량%의 단백질을 함유했다. 상청액으로부터 회수된 추가 단백질과 함께, 여과된 단백질 용액의 전체 단백질 회수는 74.1 wt% 였다. 이 농축된 단백질 용액은 그 다음 스프레이 건조되었고 SD076-G03-07A C200HS로 명명되었다. 이 C200HS는 92.56%(N x 6.25)d.b.의 단백질 함량을 가졌다.
실시예 5:
이 실시예는 관능평가를 위하여 사용된 냉동 디저트의 생산을 설명한다. 이 냉동 디저트는, 실시예 4에 개시된 바와 같이 준비된, SD076-G03-07A C200HS를 사용하여 제조되었다.
14.4 g의 단백질을 공급하기에 충분한 단백질 분말이 계량되었고 대략 550 ml의 정제된 음료가 첨가되었다. 이 샘플은 단백질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 되었다. 이 용액의 pH는 식품등급 NaOH의 용액을 사용하여 5.62 내지 6.90으로 조정되었다. pH 조정된 용액에 7.2 g의 카놀라 오일(Canada Safeway Limited, Calgary, AB)이 첨가되었고 이 샘플의 용량은 추가의 물과 함께 600 ml까지 되었다. 그 다음 이 샘플은 미세 유제교반기가 장치된 Silverson L4RT 믹서 상에서 5,000 rpm으로 3분 동안 가공되었다.
카놀라 단백질 용액의 샘플(507.16 g)은 계량되어 졌고 그 다음 순수 바닐라 추출물(1.99 g)(Club House, McCormick Canada, London, ON) 및 낟알로 된 설탕(89.85 g)(Rogers, Lantic Inc., Montreal, QC)이 첨가되었으며 그리고 이 혼합물은 설탕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되었다. 혼합물의 pH는 6.88이었다. 이 혼합물은 온도가 9℃에 도달할 때까지 냉각되었다. 이 냉각된 혼합물은 Cuisinart ICE-50BCC 아이스크림 제조기의 그릇으로 이송되었고 이 아이스크림 제조기는 반고체 냉동 디저트를 생산하면서 45분 동안 가동되었다. 이 제품은 플라스틱 튜브로 이송되었고 관능평가가 완료될 때까지 한 시간 동안 약 -20℃에서 냉동고에 보관되었다.
실시예 6:
이 실시예는 실시예 5에서 제조된 냉동 디저트의 관능평가를 설명한다.
냉동 디저트의 샘플들이 작은 컵들로 이송되었고 9명의 비공식 패널들에게 눈을 가린 채 제공되어졌다. 냉동 디저트의 향에 관해서 조언해 줄 것을 패널들에게 요청했다. 조언들은 "매우 달다", "기쁜 향", "콩향이 감지되지 않음", "매우 좋은 달콤한 바닐라 향", "달콤함" "약간의 달콤한 뒷맛과 함께 좋은 바닐라 맛", "거슬림 또는 신랄한 조언 없음" 및 "대단히 좋음"을 포함했다.
실시예 7:
이 실시예는 냉동 디저트의 제조를 위하여 사용된 카놀라 단백질 분리물의 생산을 설명한다.
143 kg의 카놀라 가루가 주변 온도에서 15000 L의 0.15M NaCl 용액에 첨가되었고 수용성 단백질 용액을 제공하기 위하여 30분 동안 휘저어 졌다. 잔여 카놀라 가루는 제거되어 졌고 획득된 단백질 용액은 1.36중량%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 1148.7 L의 부분적으로 정제된 단백질 용액을 생산하기 위하여 원심분리에 의해 부분적으로 정제되었다. 이 부분적으로 정제된 단백질 용액은 1.28중량%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 1122 L의 용액이 얻어지도록 더욱 정제하기 위하여 여과되었다.
1122 L의 단백질 추출 용액은 100,000 달톤의 분자 중량 차단을 갖는 폴리에테르슬폰(PES) 막 상에서 63.74 kg으로 농축되었다. 이 획득한 농축된 단백질 용액은 19.64 중량%의 단백질 함량을 가졌다.
30℃에 있는 63.34 kg의 농축된 용액은 2℃의 온도를 갖는 950.1 L의 찬 역삼투(RO) 물속에서 희석되었다. 즉시 흰 구름이 형성되어졌다. 침전된 단백질은 원심분리에 의해 상청액이라 불리는 잔여 수상으로부터 분리되었다. 침전된, 점성의, 끈적끈적한 덩어리(PMM)가 51.4 wt%의 여과된 단백질 용액의 생산율로 회수되어졌다. 건조된 PMM 유래 단백질은 99.54%(N x 6.25)d.b.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 제품은 SD092-D14-09A C307C으로 명명되었다.
995 L의 상청액은 염화칼슘의 첨가에 의해 8.16 mS의 전도도로 조정되었다. 이 용액은 그 다음 980.6 L의 감소된 퓌틴산 함량의 정제된 단백질 용액을 획득하면서 침전된 퓌틴산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원심분리되었다. 이 감소된 퓌틴산 함량의 정제된 단백질 용액은 HCl의 첨가에 의해 pH가 3.06으로 조정되었다. 0.50 wt%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 960 L의 이 산성화되고 감소된 퓌틴산 함량의 정제된 단백질 용액은 10,000 달톤의 분자 중량 차단을 갖는 폴리에테르슬폰(PES) 막을 사용하여 한외거르기에 의해 35 L로 용량이 감소 되었다. 이 농축된 단백질 용액은 그 다음 170 L의 pH 3 역삼투 정제된(RO) 물로 동일한 막 상에서 디아필트레이션되었다. 이 디아필트레이션되고 농축된 단백질 용액은 10.91 중량%의 단백질을 함유했다. 상청액으로부터 회수된 추가 단백질과 함께, 여과된 단백질 용액의 전체 단백질 회수는 79.7 wt% 였다. 37.27 kg의 농축물은 그것을 pH 3에서 3 BV/hr의 율로 5 L 흡착제부피(BV)의 낟알 활성탄을 통해 통과시킴에 의해 색상감소단계에 놓여 졌다. 감소된 색상과 9.73 중량%의 단백질 함량을 갖는 36.93 kg의 GAC 처리된 용액은 그 다음 스프레이 건조되었고 SD092-D14-09A C200CaC로 명명되었다. 이 C200CaC는 91.48%(N x 6.25)d.b.의 단백질 함량을 가졌다.
실시예 8:
이 실시예는 관능평가를 위하여 사용된 냉동 디저트의 생산을 설명한다. 이 냉동 디저트는, 실시예 7에 개시된 바와 같이 준비된, SD092-D14-09A C200CaC를 사용하여 제조되었다.
14.4 g의 단백질을 공급하기에 충분한 단백질 분말이 계량되었고 대략 550 ml의 정제된 음료가 첨가되었다. 이 샘플은 단백질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 되었다. 이 용액의 pH는 식품등급 NaOH의 용액을 사용하여 3.60 내지 6.88로 조정되었다. pH 조정된 용액에 7.2 g의 카놀라 오일(Canada Safeway Limited, Calgary, AB)이 첨가되었고 이 샘플의 용량은 추가의 물과 함께 600 ml까지 되었다. 그 다음 이 샘플은 미세 유제교반기가 장치된 Silverson L4RT 믹서 상에서 5,000 rpm으로 3분 동안 가공되었다.
카놀라 단백질 용액의 샘플(507.16 g)은 계량되었고 그 다음 순수 바닐라 추출물(1.99 g)(Club House, McCormick Canada, London, ON) 및 낟알로 된 설탕(89.85 g)(Rogers, Lantic Inc., Montreal, QC)이 첨가되었으며 그리고 이 혼합물은 설탕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되었다. 이 혼합물은 온도가 9℃에 도달할 때까지 냉각되었다. 이 냉각된 혼합물은 Cuisinart ICE-50BCC 아이스크림 제조기의 그릇으로 이송되었고 이 아이스크림 제조기는 약 -4.5℃의 온도를 갖는 반고체 냉동 디저트를 생산하면서 45분 동안 가동되었다. 이 제품은 플라스틱 튜브로 이송되었고 관능평가가 완료될 때까지 한 시간 동안 약 -20℃에서 냉동고에 보관되었다.
실시예 9:
이 실시예는 실시예 8에서 제조된 냉동 디저트의 관능평가를 설명한다.
냉동 디저트의 샘플들이 작은 컵들로 이송되었고 8명의 비공식 패널들에게 눈을 가린 채 제공되었다. 냉동 디저트의 향에 관해서 조언해 줄 것을 패널들에게 요청했다. 조언들은 "좋은 향, 콩 맛 없음", "좋은 천연 바닐라 향, 좋은 달콤함, 약간의 꿀-같은 말", "전체적으로 대단히 수용가능한 향" 및 "전체적으로 좋은 향"을 포함했다.

Claims (5)

  1. 냉동 디저트 제품의 소망하는 성분을 제공하는데 충분한 비율의 단백질, 지방, 향료, 감미료, 안정제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성분을 가지며, 단백질 성분은 적어도 약 60 wt% (N x 6.25)d.b.의 단백질 함량을 갖고 주로 2S 카놀라 단백질로 구성되며 단백질 미셀 덩어리 침전 단계로부터의 상청액으로부터 유래된 카놀라 단백질 제품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제공되는 냉동 디저트 혼합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0 내지 약 30 wt% 지방;
    0.1 내지 약 18 wt% 단백질;
    0 내지 약 45 wt% 감미료;
    0 내지 약 3 wt% 안정제;
    0 내지 약 4 wt% 유화제
    를 포함하는 성분을 갖는 냉동 디저트 혼합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0 내지 약 18 wt% 지방;
    0.1 내지 약 6 wt% 단백질;
    0 내지 약 35 wt% 감미료;
    0 내지 약 1 wt% 안정제;
    0 내지 약 2 wt% 유화제
    를 포함하는 성분을 갖는 냉동 디저트 혼합물.
  4. 제 1항에 있어서, 유제품 성분을 함유하지 않고 유제품 유사체 냉동 디저트 혼합물로 분류될 수 있는 냉동 디저트 혼합물.
  5. 제 1항에 있어서, 식물 및 유제품 성분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냉동 디저트 혼합물.
KR20147024147A 2012-02-15 2013-02-14 카놀라 단백질 제품을 사용하는 냉동 디저트 혼합물 KR201401405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599048P 2012-02-15 2012-02-15
US61/599,048 2012-02-15
US201261739037P 2012-12-19 2012-12-19
US61/739,037 2012-12-19
PCT/CA2013/000122 WO2013120174A1 (en) 2012-02-15 2013-02-14 Frozen dessert mixes using canola protein produc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544A true KR20140140544A (ko) 2014-12-09

Family

ID=48945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7024147A KR20140140544A (ko) 2012-02-15 2013-02-14 카놀라 단백질 제품을 사용하는 냉동 디저트 혼합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20150037490A1 (ko)
EP (1) EP2814330A1 (ko)
JP (1) JP2015512618A (ko)
KR (1) KR20140140544A (ko)
CN (1) CN104411180A (ko)
AU (1) AU2013220874A1 (ko)
BR (1) BR112014020158A2 (ko)
CA (1) CA2864290A1 (ko)
RU (1) RU2014137170A (ko)
TW (1) TW201340881A (ko)
WO (1) WO201312017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676A (ko) 2015-03-20 2016-09-28 주식회사 성우모바일 주차 보조 장치 및 방법
KR20230045695A (ko) 2021-09-27 2023-04-05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냉동식품용 디저트 스프링롤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15104049A (ru) * 2012-07-09 2016-08-27 Баркон Ньютрасайнс (Мб) Корп. Замороженные десертные смеси с применением белковых продуктов из бобовых культур
WO2023114805A1 (en) * 2021-12-16 2023-06-22 Wells Enterprises, Inc. Plant-based aerated frozen desser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2768A (en) * 1969-11-17 1972-11-14 Gen Foods Corp Low calorie frozen desserts
JPS597295B2 (ja) * 1976-09-03 1984-02-17 花王株式会社 アイスクリ−ム類の製造方法
BR0309207A (pt) * 2002-04-15 2005-03-29 Burcon Nutrascience Mb Corp Composições de isolado de proteìna de canola
US20060008557A1 (en) * 2004-07-12 2006-01-12 Cognate Nutritionals Llc Nutritional frozen dessert formulations and methods of manufacture
ZA200800899B (en) * 2005-07-01 2009-04-29 Burcon Nutrascience Mb Corp Production of canola protein
WO2007071037A1 (en) * 2005-12-23 2007-06-28 Yopro Treats, Inc. Protein-fortified frozen dessert formulation and process
DE102006002249B4 (de) * 2006-01-17 2010-12-09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r Gewinnung einer pflanzlichen Proteinfraktion, insbesondere zur Herstellung von pflanzlichem Speiseeis
CA2724112C (en) * 2009-12-07 2014-07-29 Leonardo Carella Low carbohydrate, high protein, fiber enriched gelato formulat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676A (ko) 2015-03-20 2016-09-28 주식회사 성우모바일 주차 보조 장치 및 방법
KR20230045695A (ko) 2021-09-27 2023-04-05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냉동식품용 디저트 스프링롤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12618A (ja) 2015-04-30
AU2013220874A1 (en) 2014-09-25
CA2864290A1 (en) 2013-08-22
TW201340881A (zh) 2013-10-16
BR112014020158A2 (pt) 2017-08-08
WO2013120174A1 (en) 2013-08-22
US20130209654A1 (en) 2013-08-15
RU2014137170A (ru) 2016-04-10
CN104411180A (zh) 2015-03-11
EP2814330A1 (en) 2014-12-24
US20150037490A1 (en) 2015-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5202B2 (en) Soluble canola protein isolate production from protein micellar mass
US8343566B2 (en) Preparation of canola protein isolate without heat treatment (“C200Ca”)
CN104736001A (zh) 用于食品组合物中的发泡剂
CN104780770A (zh) 使用豆类蛋白质产物的冷冻甜点混合物
US20160235088A1 (en) Frozen dessert mixes using soy protein products
KR20140140544A (ko) 카놀라 단백질 제품을 사용하는 냉동 디저트 혼합물
KR20190141665A (ko) 개선된 완두 알부민, 이를 수득하기 위한 방법 및 이의 용도
US8609177B2 (en) Production of canola protein product without heat treatment (“C200Ca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