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9717A - 광목패드의 이음방법 및 그 방법으로 생산된 광목패드 - Google Patents

광목패드의 이음방법 및 그 방법으로 생산된 광목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9717A
KR20140139717A KR20130060075A KR20130060075A KR20140139717A KR 20140139717 A KR20140139717 A KR 20140139717A KR 20130060075 A KR20130060075 A KR 20130060075A KR 20130060075 A KR20130060075 A KR 20130060075A KR 20140139717 A KR20140139717 A KR 20140139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e
pad
area
joint
join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0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진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종디오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종디오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종디오르
Priority to KR20130060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9717A/ko
Publication of KR20140139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97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5/00Seaming textil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광목패드의 이음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생산된 광목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 상이한 단색으로 염색된 복수의 광목패드의 이음부를 형성하되, 그 이음부를 형성할 때도 이음부가 퀼팅된 광목패드와 조화롭게 고급스러움을 유지하도록 하고, 또한, 이음부에 신체가 접촉되어도 불편함이 없도록 하여 양면패드로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며, 특히 이음부가 견고한 상태로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각 상이한 단색으로 염색된 제1광목패드의 일측 단부에 소정 넓이를 갖도록 제1이음편 위로 제2광목패드의 제2이음편이 겹치도록 하는 적층 단계, 상기 제2광목패드의 하부방향으로 제2이음편을 절곡하되, 절곡으로 형성된 제2광목패드의 하부 공간부에 제1광목패드의 제1이음편이 상부방향으로 절곡되어 삽입되는 1차 절곡 단계, 상기 1차 절곡된 제2광목패드의 제2이음편 상부가 제1광목패드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절곡하되, 제2광목패드의 하부 요입공간부에 삽입되어 있는 제1광목패드의 제1이음편의 하부가 제2광목패드의 하부에 밀착되는 되도록 절곡하는 2차 절곡 단계 및 상기 2차 절곡된 후 제2광목패드 상부부터 제1이음편, 제2이음편 및 제1광목패드 하부까지 관통될 수 있도록 재봉하여 본봉선을 형성하는 본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목패드의 이음방법 및 그 방법으로 생산된 광목패드{Joint sewing method of cotton cloth pad and cotton cloth pad manufactu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복수의 광목패드의 이음방법 및 그 방법으로 생산된 광목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 상이한 단색으로 염색된 복수의 광목패드의 이음부를 형성하되, 그 이음부를 형성할 때도 이음부가 퀼팅된 광목패드와 조화롭게 고급스러움을 유지하도록 하고, 또한, 이음부에 신체가 접촉되어도 불편함이 없도록 하여 양면패드로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며, 특히 이음부가 견고한 상태로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광목패드의 이음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생산된 광목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목(廣木)은 목화솜을 원료로 하여 서양목처럼 너비가 넓게 짠 베를 말하는 것으로서,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로써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고 편안한 느낌을 주고 수분을 잘 흡수하기 때문에 의복 재료뿐만 아니라 속옷이나 침구류 등에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특히, 이러한 광목은 알칼리성이나 산성에 강하고 마찰에도 잘 견디어 정전기가 일어나지 않으며, 천연 재료로 짜여진 것이기 원단이기 때문에 촉감이 좋고 안전하여 아이들의 의복 또는 침구류 및 유아의 기저귀로도 많이 사용된다. 또한, 통풍과 땀흡수는 물론 흡습기능까지 갖고 있는 면은 세균, 진드기 걱정을 덜어주며 특히 햇볕에 말려주면 모든 해충들은 자연 소멸이 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광목의 우수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광목 원단 자체의 특성상 본 바탕이 누런 황색을 띄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염색시 번지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원단에 다양한 색상을 염색하여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서 광목 소재의 이불이나 의복의 경우 단색으로 염색하여 제품화 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또한 염색시 수축률이 일반 원단보다 크고 또한 수축률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가공에 있어서 반드시 워싱 처리를 하여야 하며, 이러한 높고 일정하지 않은 수축률 때문에 넓은 이불이나 패드 등의 제작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광목의 소재에 따른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다색의 넓은 이불이나 패드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으로 각각의 서로 다른 색상으로 염색된 광목과 솜 또는 양모와 적층한 퀼팅(Quilting, 누빔, 원단과 원단 사이에 솜이나 양모 등을 펴넣고 일정한 패턴으로 박음질한 원단) 처리된 복수의 광목패드(10,20)를 이용한다.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염색된 복수의 광목패드를 사용하는 것은 하나의 광목 원단을 이용하여 광목패드를 제작하는 경우 우선 광목의 특성상 염색시 번지는 성질 때문에 복수의 색상으로 부분 염색이 정교하게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퀼팅 후 워싱 가공시 광목의 높고 일정하지 않은 수축률 때문에 제품의 불량이 상당히 많이 발생하는 문제로 인해 하나의 폭 넓은 광목을 이용한 광목패드를 제작하는 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도1a 내지 도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색상을 포함하는 넓은 광목 패드를 제작하기 위해 우선 서로 다른 색상으로 염색된 광목원단에 솜 또는 양모등을 적층하여 퀼팅 처리한 복수의 광목 패드(10, 20)를 개별적으로 제작한 후 이를 이어서 하나의 광목패드를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인 사용되어진 방법이다. 상기와 같이 제작이 완료된 복수의 광목 패드(10, 20)는 이어지는 각 광목 패드(10, 20)의 끝단부에 광목 원단의 올이 터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휘갑치기부(Overlock, 오버로크, 마름질한 원단의 가장자리가 풀리지 아니하도록 꿰매는 일)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휘갑치기부(30)가 형성된 복수 광목 패드(10, 20)를 각기 동일한 상부면 또는 하부면을 일정 넓이 만큼 밀착시키 후 밀착된 부분에 바늘과 실을 이용하여 재봉한 후 각 광목패드(10, 20)를 결합시키는 본봉선(40)을 형성한다. 이때 본봉선(40)이 형성된 복수의 광목패드(10, 20)에는 재봉을 위해 겹쳐진 각 복수의 광목패드(10, 20) 끝단부가 상부 또는 하부으로 돌출되는 돌출부(50)가 형성되는데 이 돌출부(50)에 사람이 접촉하는 경우 불편함이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디자인을 고려하여 레이스 등과 같은 마감부재(60)를 이용하여 돌출부(50) 상부에 부착한 후 2차 재봉을 진행하여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 광목패드의 이음방법은 복수의 광목패드(10, 20)의 이음부에 모두 오버로크를 형성하여야 하고, 마감부재를 이용하여 돌출부를 제거하여야 하는 공정의 번거로움과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와 같이 제작된 광목 패드는 마감부재가 부착된 면을 활용할 수 없으므로 단면 패드로서 밖에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0750692호(2007년 08월 22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서로 다른 색상으로 염색된 복수의 광목 패드 이음 방식을 양면 패드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이음부의 돌출부를 최소화하여 신체가 접촉되어도 불편함이 느껴지지 않도록 하며, 또한 이음부가 퀼팅된 광목패드와 조화롭게 고급스러움을 유지하도록 하고, 나아가, 공정의 수를 감축함으로서 대량생산에 적합하고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특히 이음부가 견고한 상태로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광목패드의 이음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생산된 광목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각각 상이한 단색으로 염색된 복수의 광목패드 이음방법에 있어서, 각각 상이한 단색으로 염색된 제1광목패드의 일측 단부에 소정 넓이를 갖도록 제1이음편 위로 제2광목패드의 제2이음편이 겹치도록 하는 적층 단계, 상기 제2광목패드의 하부방향으로 제2이음편을 절곡하되, 절곡으로 형성된 제2광목패드의 하부 공간부에 제1광목패드의 제1이음편이 상부방향으로 절곡되어 삽입되는 1차 절곡 단계, 상기 1차 절곡된 제2광목패드의 제2이음편 상부가 제1광목패드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절곡하되, 제2광목패드의 하부 요입공간부에 삽입되어 있는 제1광목패드의 제1이음편의 하부가 제2광목패드의 하부에 밀착되는 되도록 절곡하는 2차 절곡 단계 및 상기 2차 절곡된 후 제2광목패드 상부부터 제1이음편, 제2이음편 및 제1광목패드 하부까지 관통될 수 있도록 재봉하여 본봉선을 형성하는 본봉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층되는 제1광목패드의 제1이음편 또는 제2광목패드의 제2이음편 중 어느 하나의 끝단부에만 휘갑치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층 단계는 제1광목패드의 제1이음편 하부에 소정 넓이의 직각 형태의 절곡 부재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2차 절곡 단계는 삽입된 절곡 부재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생산된 광목 패드는 기존의 광목 패드와는 달리 이음부의 돌출부를 최소화하여 사용하는 사람의 신체가 접촉되어도 매끄럽고 부드럽게 느껴져 불편함이 없고, 또한 복수의 광목패드 중 어느 하나에만 휘갑치기부를 형하고, 돌출부에 마감부재를 별도로 부착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공정 및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본 발명의 이음부가 일직성으로 퀼팅된 광목패드와 조화스럽게 어우러져 고급스러운 미감을 줄 수 있으며, 특히 이음부가 견고하여 이음부가 견고한 상태로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질을 향상 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는 종래방법에 따른 광목패드의 이음방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a 내지 도2f는 본 발명에 따른 광목패드의 이음방법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의 광목패드 이음 방법은,
각각 상이한 단색으로 염색된 복수의 광목패드 이음방법에 있어서, 각각 상이한 단색으로 염색된 제1광목패드(100)의 일측 단부에 소정 넓이를 갖도록 제1이음편(110) 위로 제2광목패드(200)의 제2이음편(210)이 겹치도록 하는 적층 단계, 상기 제2광목패드의 하부방향으로 제2이음편(210)을 절곡하되, 절곡으로 형성된 제2광목패드의 하부 공간부(230)에 제1광목패드(100)의 제1이음편(110)이 상부방향으로 절곡되어 삽입되는 1차 절곡 단계, 상기 1차 절곡된 제2광목패드(200)의 제2이음편(210)의 상부가 제1광목패드(100)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절곡하되, 제2광목패드(200)의 하부 요입공간부(230)에 삽입되어 있는 제1광목패드(100)의 제1이음편(110)의 하부가 제2광목패드(200)의 하부에 밀착되는 되도록 절곡하는 2차 절곡 단계 및 상기 2차 절곡된 후 제2광목패드(200) 상부부터 제1이음편(110), 제2이음편(210) 및 제1광목패드(100) 하부까지 관통될 수 있도록 재봉하여 본봉선(400)을 형성하는 본봉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층되는 제1광목패드(100)의 제1이음편(110) 또는 제2광목패드(200)의 제2이음편(210) 중 어느 하나의 끝단부에만 휘갑치기부(120, 2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층 단계는 제1광목패드(100)의 제1이음편(110) 하부에 소정 넓이의 직각 형태의 절곡 부재(300)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2차 절곡 단계는 삽입된 절곡 부재(300)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나탠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2a 내지 도2f는 본 발명에 따른 광목패드의 이음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a 내지 도2b를 참조하면, 우선 각각 상이한 단색으로 염색된 제1광목패드(100)의 일측 단부에 소정 넓이를 갖도록 제1이음편(110) 위로 제2광목패드(200)의 제2이음편(210)이 겹치도록 하는 적층한다. 본 단계에서 우선 각각 상이한 단색으로 염색된 제1광목패드(100)와 제2광목패드(200)를 준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천연 광목의 특성상 염색시 번지는 성질이 있어서 서로 상이한 색을 하나의 원단에 염색하는 경우 서로 상이한 색이 염색된 경계면이 명확하게 색상이 표현이 되지 않거나 또는 색상이 혼합되어 원하지 않는 색상으로 염색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각각 서로 다른 단색로 염색된 광목 원단을 이용한 복수의 광목 패드(100, 200)를 준비한다. 복수의 광목패드(100, 200) 각각은 모두 2겹의 광목 원단 사이에 솜 또는 양모를 일정 두께를 갖도록 펴넣은 상태에서 퀼팅(Quilting, 누빔) 가공을 한 패드로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퀼팅선(Q)를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불패드로 사용되는 경우 보온성 및 쿠션 등을 증대시키기 위해 솜 또는 양모를 광목 원단 사이에 위치하여 사용되게 되는데, 퀼팅선(Q)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 사용시 또는 세탁시 솜 또는 양모가 특정한 곳으로 쏠리는 현상이나 또는 뭉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제1광목패드(100)의 소정 넓이의 제1이음편(110) 위로 제2광목패드(200)의 제2이음편(210)을 적층시킨다. 이때 제1이음편(110)과 제2이음편(210)은 적층되는 제1광목패드(100)과 제2광목패드(200)의 두께에 따라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제1광목패드(100)과 제2광목패드(200)의 두께가 두꺼운 반면, 제1이음편(110)과 제2이음편(210)가 넓이가 상대적으로 좁은 경우 후술하는 제1차절곡 단계와 제2차 절곡단계에서 제1이음편(110)과 제2이음편(210)이 최종 180도까지 절곡시 제1광목패드(100)와 제2광목패드(200) 공간부(130, 230)에서 이탈될 수 있으므로 제1광목패드(100)과 제2광목패드(200)의 두께에 증대시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이음편(110)과 제2이음편(210)의 넓이를 필요한 만큼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적층되는 제1광목패드(100)의 제1이음편(110) 또는 제2광목패드(200)의 제2이음편(210) 중 어느 하나의 끝단부에만 휘갑치기부(120, 220)가 형성된다. 종래의 광목패드의 이음방법에 따르면 제1광목패드(10)과 제2광목패드(20) 휘감치기부(30)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광목 원단이 풀릴 수가 있으므로 제1광목패드(10)과 제2광목패드(20)의 이음부의 끝단부에는 모두 휘갑치기부(30)이 형성되어야 하는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광목패드(100)의 제1이음편(110) 또는 제2광목패드(200)의 제2이음편(210) 중 어느 하나의 끝단부에만 휘갑치기부(120, 220)가 형성되게 되면 휘갑치기부(220)가 형성되어 절곡된 제2광목패드(200)의 제2이음편(210)이 제1광목패드(100)의 제1이음편(110)을 감싸듯이 맞물린 상태에서 본봉선(400)이 형성되며, 이때 형성된 본봉선(400)과 어느 하나의 이음편에 형성된 휘갑치기부(220)가 기존의 휘갑치기부의 역활을 하게 되여, 삽입된 제1광목패드(100)의 제1이음편(110) 끝단부의 올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1광목패드(100)과 제2광목패드(200)의 어느 하나의 이음편(110, 210)에 휩갑치기부(120, 220)만을 형성하면 되므로 종래의 광목패드의 이음방법과 비교하여 공정 및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 상이한 단색으로 염색된 제1광목패드(100)의 일측 단부에 소정 넓이를 갖도록 제1이음편(110) 위로 제2광목패드(200)의 제2이음편(210)이 겹치도록 하는 적층단계는 제1광목패드(100)의 제1이음편(110) 하부에 소정 넓이의 직각 형태의 절곡 부재(300)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광목패드(100) 하부에 절곡 부재(300) 삽입하는 이유는 1차 절곡단계 및 2차 절곡단계에서 절곡 부재(300)와 제1광목패드(100) 및 제2광목패드(200)를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절곡 부재(300)를 회전하면서 절곡시키면 보다 보다 원활하게 절곡을 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절곡 부재(300)의 넓이 만큼 정확하게 절곡이 가능하고 제1이음편(110)과 제2이음편(210)이 하부 요입공간부(230)과 상부 요입공간부(13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적층 단계에서 삽입된 절곡 부재(300)은 2차 절곡이 완료되면 제거한 후 본봉단계로 진행한다.
도2c를 참조하면, 상기 제1이음편(110)과 제2이음편(210)을 적층한 다음, 제2광목패드(200)의 하부방향으로 제2이음편(210)을 절곡하되, 이때 절곡으로 형성된 제2광목패드의 하부 요입공간부(230)에 제1광목패드(100)의 제1이음편(110)이 상부방향으로 절곡되어 삽입시킨다. 본 단계에서 제2이음편(210)을 절곡시 제1이음편(110)이 제2광목패드(200)의 하부 요입공간부(230)에 삽입됨과 동시에 절곡된 제2이음편(210)은 제1광목패드(100)의 상부 요입공간부(130)으로 삽입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하부 요입공간부(230)에 제1이음편(110)이 정확하게 삽입되지 않는 경우 후술하는 제2차 절곡시 제1이음편(110)이 하부 요입공간부(230)에서 이탈되거나 또는 본봉선(400)을 형성시 제2광목패드 상부부터 제1이음편, 제2이음편 및 제1광목패드 하부까지 완전하게 관통되지 않아 이음부가 견고하게 결합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반드시 본 단계에서 제2이음편(210)을 절곡시 제1이음편(110)이 제2광목패드의 하부 요입공간부(230)에 위치하였는지를 확인 후 제2차 절곡단계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삽입된 절곡 부재(300)을 이용하여 절곡하는 경우 보다 원활하게 절곡이 가능하고 특히, 제1이음편(1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2d를 참조하면, 상기 1차 절곡이 완료된 후 제2광목패드(200)의 제2이음편(210)의 상부가 제1광목패드(100)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2차 절곡하되, 특히 제2광목패드의 하부 공간부(230)에 삽입되어 있는 제1광목패드(100)의 제1이음편(110)의 하부가 제2광목패드의 하부에 밀착되는 되도록 절곡한다. 이렇게 2차 절곡이 완료되면 제1광목패드(100)의 상부 방향으로 '⊃' 형의 고리를 형성하게 되고, 제2광목패드(200)의 하부 방향으로 '⊂' 형의 고리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제1광목패드(100)의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 형 고리의 요입공간부(130)부로는 제2광목패드(200)의 제2이음편(210)이 삽입되는 반면, 제2광목패드(200)의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 형의 고리의 요입공간부(230)부로는 제1광목패드(100)의 제1이음편(110)이 삽입외어 제1광목패드(100)과 제2광목패드(200)은 서로 맞물린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삽입된 절곡 부재(300)은 제2광목패드(200)와 제1이음편(110)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도2e 및 도2f를 참조하면, 상기 2차 절곡까지 완료된 다음 제2광목패드(200) 상부부터 제1이음편(110), 제2이음편(210) 및 제1광목패드(100) 하부까지 관통될 수 있도록 재봉하여 본봉선(400)을 형성한다. 본 단계의 본봉선(400)은 최소 2개 이상을 형성하되 제1이음편(110)의 끝단부와 제2이음편(210)의 끝단부에 각각 본봉선(400)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목패드의 이음부가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제1광목패드(100)과 제2광목패드(200)의 이음방법에 의해 제작된 광목패드는 기존의 광목 패드와는 달리 이음부의 돌출부를 최소화하여 사용하는 사람의 신체가 접촉되어도 매끄럽고 부드럽게 느껴져 불편함이 없고, 또한 복수의 광목패드 중 어느 하나에만 휘갑치기부를 형하고, 돌출부에 마감부재를 별도로 부착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공정 및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본 발명의 이음부가 일직성으로 퀼팅된 광목패드와 조화스럽게 어우러져 고급스러운 미감을 줄 수 있으며, 특히 이음부가 견고하여 이음부가 견고한 상태로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질을 향상 시키는 본 발명 특유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위에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제1광목패드 20 : 제2광목패드
30 : 휘갑치기부 40 : 본봉선
50 : 돌출부 60 : 마감부재
100 : 제1광목패드 200 : 제2광목패드
110 : 제1이음편 210 : 제2이음편
120, 220 : 휘갑치기부 130, 230 : 요입공간부
300 : 절곡부재 400 : 본봉선
Q : 퀼팅재봉선

Claims (4)

  1. 각각 상이한 단색으로 염색된 복수의 광목패드 이음방법에 있어서,
    각각 상이한 단색으로 염색된 제1광목패드(100)의 일측 단부에 소정 넓이를 갖도록 제1이음편(110) 위로 제2광목패드(200)의 제2이음편(210)이 겹치도록 하는 적층 단계;
    상기 제2광목패드(200)의 하부방향으로 제2이음편(210)을 절곡하되, 절곡으로 형성된 제2광목패드(200)의 하부 공간부(230)에 제1광목패드(100)의 제1이음편(110)이 상부방향으로 절곡되어 삽입되는 1차 절곡 단계;
    상기 1차 절곡된 제2광목패드(200)의 제2이음편(210)의 상부가 제1광목패드(100)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절곡하되, 제2광목패드(200)의 하부 요입공간부(230)에 삽입되어 있는 제1광목패드(100)의 제1이음편(110)의 하부가 제2광목패드(200)의 하부에 밀착되는 되도록 절곡하는 2차 절곡 단계; 및
    상기 2차 절곡된 후 제2광목패드(200) 상부부터 제1이음편(110), 제2이음편(210) 및 제1광목패드(100) 하부까지 관통될 수 있도록 재봉하여 본봉선(400)을 형성하는 본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목패드의 이음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층되는 제1광목패드(100)의 제1이음편(110) 또는 제2광목패드(200)의 제2이음편(210) 중 어느 하나의 끝단부에만 휘갑치기부(120, 2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목패드의 이음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층 단계는 제1광목패드(100)의 제1이음편(110) 하부에 소정 넓이의 직각 형태의 절곡 부재(300)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2차 절곡 단계는 삽입된 절곡 부재(300)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목패드의 이음방법.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의 광목 패드의 이음 방법에 의해 생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목패드.


KR20130060075A 2013-05-28 2013-05-28 광목패드의 이음방법 및 그 방법으로 생산된 광목패드 KR201401397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0075A KR20140139717A (ko) 2013-05-28 2013-05-28 광목패드의 이음방법 및 그 방법으로 생산된 광목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0075A KR20140139717A (ko) 2013-05-28 2013-05-28 광목패드의 이음방법 및 그 방법으로 생산된 광목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717A true KR20140139717A (ko) 2014-12-08

Family

ID=52457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0075A KR20140139717A (ko) 2013-05-28 2013-05-28 광목패드의 이음방법 및 그 방법으로 생산된 광목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971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8570B2 (en) Mattress cover with fit enhancing composite end panels
US10750889B2 (en) Quilt batting material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070028383A1 (en) Reversible sheets and pillowcases
EP3462996B1 (en) Knitted mattress cover, mattr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knitted mattress cover
US20110239369A1 (en) Coverlet and Method of Producing a Coverlet
CA2459451A1 (en) Textile construction
US20100146701A1 (en) Bedding Cover with Integrated Runner
KR20140139717A (ko) 광목패드의 이음방법 및 그 방법으로 생산된 광목패드
US10780806B2 (en) Method for assembling an upholstery for a seat or for stuffed furniture and related upholstery
JP2007169812A (ja) 布地の縫製方法及び縫製製品
KR102360643B1 (ko) 시침을 응용하여 제작된 단령깃
US10349761B2 (en) Fitted sheet construct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H08299627A (ja) 布地の縫製方法
KR100838160B1 (ko) 원단의 이음방법과 이를 이용한 옷
KR102338651B1 (ko) 조각보 형상을 갖는 누비이불
CN109722795B (zh) 一种床单的缝合方法
JP6592867B1 (ja) 包布および包布の製造方法
CN106637687B (zh) 一种平缝无痕缝制工艺及其缝制结构
KR200308953Y1 (ko) 침구류 코너 장식구
KR20230173576A (ko) 누빔선이 없는 이불
CN114411345A (zh) 一种垫套用拉链一次成型方法
JP3059117U (ja) 積層布
TR201910187A2 (tr) Dikişsiz nevresim takımı
KR20200004729A (ko) 장식띠가 구비된 줄누비직물의 제조방법
KR20090077140A (ko) 원단의 연결부 및 연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