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9231A - 보호용 구조물을 갖는 선박 - Google Patents

보호용 구조물을 갖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9231A
KR20140139231A KR1020130059619A KR20130059619A KR20140139231A KR 20140139231 A KR20140139231 A KR 20140139231A KR 1020130059619 A KR1020130059619 A KR 1020130059619A KR 20130059619 A KR20130059619 A KR 20130059619A KR 20140139231 A KR20140139231 A KR 20140139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ctures
ship
pair
crude oil
s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9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화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9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9231A/ko
Publication of KR20140139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92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B65D90/545Discharge en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17/0045Caps, hoods, or the like devices for protective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보호용 구조물을 갖는 선박은 선수와 선미를 갖는 동체; 상기 선수 또는 선미에 형성되고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한 쌍의 구조물; 및 상기 한 쌍의 구조물 사이에 형성되는 시설물;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호용 구조물을 갖는 선박{Vessel including prote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보호용 구조물을 갖는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수에 장착되는 원유공급장치를 보호할 수 있는 보호용 구조물을 갖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대형 선박은 운항에 필요한 연료를 항구의 급유시설 또는 별도의 급유선으로부터 공급받으며, 항구의 급유시설 또는 급유선의 급유배관과 연결되는 원유 공급 장치를 구비한다.
여기서, 대형 선박의 원유공급장치는 다량의 연료를 신속하게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당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선박은 원유공급장치를 선박의 측면에 탑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급유를 위해 선박의 측면이 항구에 접하도록 접안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원유공급장치를 선수에 탑재한 선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앞선 언급한 바와 같이 대형 선박의 원유공급장치는 상당한 크기를 가지므로, 원유공급장치를 선수에 탑재하기 위해서는 선박의 선수를 기존보다 확장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선박의 선수는 외부(예를 들어, 항구의 접안시설물 또는 암초)와 충돌이 빈번한 부분이므로, 충돌로 인한 원유공급장치의 파손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선박의 원유공급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특허문헌 1이 있다. 특허문헌 1은 선체의 양 측면에 액화연료가스의 급유를 위해 구성되는 수밀 도어를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는 선수에 원유공급장치를 장착하는 구조를 전혀 개시하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원유공급장치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어떠한 구성도 개시하고 있지 않다.
KR 2011-0047414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유공급장치의 선수 또는 선미 탑재를 가능케 함과 동시 탑재된 원유공급장치의 보호가 가능한 보호용 구조물을 갖는 선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용 구조물을 갖는 선박은 선수와 선미를 갖는 동체; 상기 선수 또는 선미에 형성되고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한 쌍의 구조물; 및 상기 한 쌍의 구조물 사이에 형성되는 시설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용 구조물을 갖는 선박에서 상기 동체에 형성된 탱크에 원유를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탱크에 저장된 원유를 배출하는 원유 공급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용 구조물을 갖는 선박에서 상기 한 쌍의 구조물에서 상호 마주하는 면들 간의 간격은 상기 동체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넓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용 구조물을 갖는 선박에서 상기 한 쌍의 구조물에서 상호 마주하는 면은 곡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용 구조물을 갖는 선박에서 상기 한 쌍의 구조물 사이에는 상기 구조물이 장착되기 위한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선수의 크기를 확장하지 않고도 원유공급장치의 설치를 가능케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의 제작에 필요한 자재와 공정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돌사고로부터 선수 또는 선미 그리고 선수 또는 선미에 탑재되는 시설물(즉, 원유공급장치)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용 구조물을 갖는 선박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조물 사이에 원유 공급 장치가 탑재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선수와 종래 선박의 선수 간의 크기 차이를 비교하여 나타낸 선박 선수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용 구조물을 갖는 선박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조물 사이에 원유 공급 장치가 탑재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선수와 종래 선박의 선수 간의 크기 차이를 비교하여 나타낸 선박 선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100)은 동체(110), 보호용 구조물(120), 시설물(13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선박(100)은 프로펠러(150)와 방향 키(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체(110)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유선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동체(110)의 길이와 폭은 방형계수(Cb, block coefficient)가 0.5 ~ 0.85 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벌크선의 경우에는 방형계수가 0.80 ~ 0.85가 되도록 동체(110)의 길이와 폭이 결정될 수 있고, 컨테이너선의 경우에는 방형계수가 0.50 ~ 0.70가 되도록 동체(110)의 길이와 폭이 결정될 수 있다. 동체(110)에는 선수(112)와 선미(114)가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선박(100)의 항해 시 앞쪽은 선수(112)이고, 선박(100)의 항해 시 뒤쪽은 선미(114)일 수 있다. 여기서, 선미(114)에는 선수(114)의 보호를 위한 구조물(120)과 별도의 시설물(130)이 장착될 수 있고, 선미(114)에는 축 결합부(140)와 키 장착부(16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조물(120)은 선수(112)에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한 쌍의 구조물(120)은 선수(112)의 최전방에 좌우 대칭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조물(120)은 동체(11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동체(110)와 별도로 제작된 후 결합되는 블록 형태일 수 있다.
한 쌍의 구조물(120)은 선수(112)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한 쌍의 구조물(120)은 일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구조물(120)은 동체(110)의 갑판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구조물(120)에서 상호 마주하는 면(122, 124)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면(122, 124)은 대체로 평탄한 제1면(122)과 소정의 곡률을 갖는 제2면(124)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한 쌍의 구조물(120)에서 상호 마주하는 면(122, 124) 간의 거리는 동체(110)로부터 멀어질수록 넓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한 쌍의 구조물(120) 사이에 시설물(130, 도 3 참조)을 장착하는데 용이할 수 있다.
한 쌍의 구조물(12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116)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간(116)의 크기는 상기 공간(116)에 장착되는 시설물(130)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구조물(120) 사이에 상대적으로 작은 시설물(예를 들어, 하나의 원유 공급 장치)이 장착되는 경우에는 구조물(120) 간의 간격을 좁혀 상기 공간(116)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고, 한 쌍의 구조물(120) 사이에 상대적으로 큰 시설물(예를 들어, 복수의 원유 공급 장치)이 장착되는 경우에는 구조물(120) 간의 간격을 넓혀 상기 공간(116)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다.
시설물(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구조물(120)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시설물(130)은 외부 물체와의 충돌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아울러, 시설물(130)의 장착에 필요한 공간과 구조적 강성은 한 쌍의 구조물(120)에 의해 확보될 수 있다. 여기서, 시설물(130)은 항만 또는 급유선의 배관과 연결되는 원유공급장치이다. 부연 설명하면, 시설물(130)은 연결관(132)과 밸브(134)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관(132)은 원유를 공급하는 송유관과 연결되고, 밸브(134)는 연결관(132)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밸브(134)는 전기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자동 밸브일 수 있다.
축 결합부(140)는 선미(114)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축 결합부(140)는 선박(100)의 선미(114)에서 수중에 항시 잠기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면에서는 하나의 축 결합부(140)가 선미(114)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쌍축선인 경우에는 2개의 축 결합부(140)가 선미(114)의 좌우에 대칭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축 결합부(140)에는 프로펠러(150)가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펠러(150)는 선박(100)의 추진력을 제공하는 동력원일 수 있으며, 선박(100)의 내부에 장착된 내연기관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축 결합부(110)에는 프로펠러(150)의 축이 끼워지기 위한 공간이 선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펠러(150)는 축을 중심으로 원형배치되는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며, 내연기관에 의해 회전운동하며 선박(100) 운항에 필요한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다.
키 장착부(160)는 선미(114)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키 장착부(160)는 선박(100)의 선미(114)에서 수중에 잠기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키 장착부(160)는 방향 키(170)가 프로펠러(150)에 의해 생성되는 추진력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축 결합부(110)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키 장착부(160)는 방향 키(170)가 수압에 의한 영향을 비교적 덜 받을 수 있도록 축 결합부(140)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방향 키(170)는 키 장착부(160)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방향 키(170)는 프로펠러(150)의 뒤쪽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방향 키(170)는 프로펠러(150)의 뒤쪽에서 프로펠러(150)의 회전 축 보다 조금 위쪽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된 방향 키(170)의 연장 형태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므로, 필요에 따라 방향 키(170)의 연장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선박(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120)을 통해 선수(112)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는 동체(110)에 구조물(120)을 형성함으로써, 선수(112)에 시설물(130)을 설치하기 위한 필요한 공간(A, 빗금친 부분)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100)의 제작에 필요한 자재와 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선박
110 (선박의) 동체
120 구조물
130 시설물
140 축 결합부
150 프로펠러
160 키 장착부
170 방향 키

Claims (5)

  1. 선수와 선미를 갖는 동체;
    상기 선수 또는 선미에 형성되고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한 쌍의 구조물; 및
    상기 한 쌍의 구조물 사이에 형성되는 시설물;
    을 포함하는 보호용 구조물을 갖는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은,
    상기 동체에 형성된 탱크에 원유를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탱크에 저장된 원유를 배출하는 원유 공급 장치인 보호용 구조물을 갖는 선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구조물에서 상호 마주하는 면들 간의 간격은 상기 동체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넓어지는 보호용 구조물을 갖는 선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구조물에서 상호 마주하는 면은 곡면인 보호용 구조물을 갖는 선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구조물 사이에는 상기 구조물이 장착되기 위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보호용 구조물을 갖는 선박.

KR1020130059619A 2013-05-27 2013-05-27 보호용 구조물을 갖는 선박 KR201401392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619A KR20140139231A (ko) 2013-05-27 2013-05-27 보호용 구조물을 갖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619A KR20140139231A (ko) 2013-05-27 2013-05-27 보호용 구조물을 갖는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231A true KR20140139231A (ko) 2014-12-05

Family

ID=52459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9619A KR20140139231A (ko) 2013-05-27 2013-05-27 보호용 구조물을 갖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92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8051A (ko) * 2017-03-23 2018-10-04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선저보호가 가능한 가변형 트림탭 장치
CN112027010A (zh) * 2020-09-14 2020-12-04 唐开强 一种防触礁防搁浅船舶用智能定位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8051A (ko) * 2017-03-23 2018-10-04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선저보호가 가능한 가변형 트림탭 장치
CN112027010A (zh) * 2020-09-14 2020-12-04 唐开强 一种防触礁防搁浅船舶用智能定位装置
CN112027010B (zh) * 2020-09-14 2021-04-23 唐开强 一种防触礁防搁浅船舶用智能定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2737B1 (ko) 선박형 구조물
CN101873964A (zh) 船舶结构
US9463856B2 (en) Ship of contrarotating propeller propulsion type
WO2009007497A3 (en) Method for improving the ice-breaking properties of a water craft and a water craft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method
JP6118880B1 (ja) 船舶
JP2016088214A (ja) 液化ガス用浮体構造物
CN109562818B (zh) 具有多个燃料管路的船舶
GB2521679A (en) A boat fitted with an electricity generation assembly
KR20140139231A (ko) 보호용 구조물을 갖는 선박
SG173942A1 (en) Marine structure having azimuth propulsion devices
KR20120011066A (ko) 선박의 추진장치
FI122504B (fi) Parannetut jäissäkulkuominaisuudet omaava vesialus
KR20190081131A (ko) 선박 침몰 방지를 위한 에어백 보관장치
KR101620464B1 (ko) 선박의 터널 스러스터
HRP20080606T3 (en) Bow thruster for external fitting
KR102393443B1 (ko) 해상 부체 구조물
KR20150092488A (ko) 선박용 냉각시스템
JP2020152248A (ja) 船舶
Riesner et al. Design related speed loss and fuel consumption of ships in seaways
KR102183466B1 (ko) 극지운항선박의 빙저항 감소를 위한 온수분사장치
CN103129726A (zh) 一种直行轮船
Karana Meningkatkan Keselamatan Sarana Angkutan Sungai Tambilahan-Sei Guntung Provinsi Riau
KR20180135469A (ko) 선박의 추진 장치
WO2016200051A1 (ko) 선박전복방지장치
KR20210120189A (ko) 컨테이너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