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8923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8923A
KR20140138923A KR20147028674A KR20147028674A KR20140138923A KR 20140138923 A KR20140138923 A KR 20140138923A KR 20147028674 A KR20147028674 A KR 20147028674A KR 20147028674 A KR20147028674 A KR 20147028674A KR 20140138923 A KR20140138923 A KR 20140138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tacts
type
electrical connector
ground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28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0571B1 (ko
Inventor
이즈미 하세가와
나오키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140138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8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7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contact of the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7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special arrangement of ground and signal conductors, e.g. GSGS [Ground-Signal-Ground-Sig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회로 기판 측 접점의 배열 피치를 소정의 피치를 유지하면서 소형화를 도모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대 커넥터의 복수의 콘택트 각각에 접촉하며 2열로 배열된 제1접점과, 회로 기판에 접속되며 1열로 배열된 제2접점을 갖는 전기 커넥터이다. 복수의 콘택트는 제1접점 중 2개씩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쌍을 이루어 차동신호의 전달을 담당하는 차동신호 전달용 제1접점을 받는 콘택트와, 제1접점 중 차동신호 전달용 제1접점에 인접하는 그라운드 접속용 제1접점을 받는 콘택트를 갖는다. 차동신호 전달용 콘택트는 제1접점과 제2접점을 일대일로 연결하는 콘택트이다. 그라운드 접속용 콘택트는 복수의 제1접점을 개수를 줄인 제2접점에 연결하는 콘택트이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차동신호 전송에 적합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는 상대 커넥터와 감합하는 감합면에서는 상대 커넥터의 콘택트에 접촉하는 접점이 2열로 배열되고, 회로 기판에 표면 실장되는 측에서는 접점이 1열로 배열된 차동신호 전송용 전기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회로 기판 측에 표면 실장되는 측의 접점이 만약 감합면 측의 접점과 마찬가지로 2열로 배열되어 있으면, 그 앞쪽에 배열된 접점이 방해가 되어 안쪽에 배열된 접점의 납땜의 양호·불량의 확인 및 납땜 불량 시의 수리 등과 같은 작업에 지장을 초래한다.
이 때문에 특히 표면 실장에 있어서는 접점을 1열로 배열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또한 상대 커넥터와의 감합면에서는 접점을 1열로 배열하면 치수(폭)가 긴 커넥터가 되어, 2열로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개 2010-157505호 공보
회로 기판 측의 접점의 배열 피치를 예를 들어 0.4mm가 되지 않을 만큼 지나치게 좁게 하면, 납땜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져 피치를 좁히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 때문에 회로 기판 측의 접점을 규정 피치를 유지하여 1열로 배열하면 감합면 측에서 2열로 배열하더라도 단순히 감합면 측의 접점 피치가 넓어질 뿐이며, 커넥터의 치수를 작게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회로 기판 측의 접점의 배열 피치를 소정의 피치로 유지하면서, 소형화를 도모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복수의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콘택트가 상대 커넥터의 복수의 콘택트 각각에 접촉하며 2열로 배열된 제1접점과, 회로 기판에 접속되며 1열로 배열된 제2접점을 형성하는 전기 커넥터이며, 상기 복수의 콘택트가 상기 제1접점 중 2개씩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쌍을 이루어 차동신호의 전달을 담당하는 제1종류의 제1접점을 받는 제1종류의 콘택트와, 상기 제1접점 중 제1종류의 제1접점에 인접하는 제2종류의 제1접점을 받는 제2종류의 콘택트를 갖고, 상기 제1종류의 콘택트가 제1접점과 제2접점을 일대일로 연결하는 콘택트이며, 상기 제2종류의 콘택트 중 적어도 일부 콘택트가 복수의 제1접점을 상기 복수의 제1접점보다 적은 수의 제2접점에 연결하는 콘택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기 커넥터에 따라서는 그 전기 커넥터에 구비되어있는 콘택트 중, 예를 들어 그라운드 단자로써 사용되는 콘택트나 전원 단자로써 사용되는 콘택트 등, 항상 동일한 전위로 유지되는 복수의 콘택트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의 이러한 용도에 착안한 것이며, 제2종류의 콘택트 중 적어도 일부 콘택트에 복수의 제1접점과 상기 복수의 제1접점보다 적은 수의 제2접점을 연결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하기 때문에, 감합면 측의 제1접점의 수보다 회로 기판 측의 제2접점의 수가 줄어들고, 회로 기판 측에서 소정의 배열 피치를 유지하면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접점은 상기 제1접점이 배열된 2열 각각에 대해, 제1종류의 제1접점과 제2종류의 제1접점이 2개씩 교대로 배열되어 있고, 나아가 서로 다른 열을 향해 제1종류의 제1접점과 제2종류의 제1접점이 서로 마주 보도록 그들 2열 사이에서 제1종류의 제1접점과 제2종류의 제1접점 배열의 위상을 어긋나게 하여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배열하면 제1종류의 제1접점의 쌍, 즉 차동신호의 전달을 담당하는 접점 쌍의 동일한 열 내의 양측, 및 다른 열을 향한 측의 어느 것에나 제2종류의 제1접점, 즉 예를 들면 그라운드 등 동일 전위로 유지되는 접점이 배치됨으로써, 차폐성이 향상하여 차동신호끼리의 사이의 크로스 토크가 저감된다.
또한 제2접점, 즉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측의 접점에 대해서도 제2접점 중, 쌍을 이루는 2개의 제1종류의 제1접점에 대응하며 쌍을 이루는 2개의 제1종류의 제2접점이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더욱이 쌍을 이루는 2개의 제1종류의 제2접점과 상기 제2접점 중 제2종류의 제1접점에 대응하는 제2종류의 제2접점의 하나가 교대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접점을 이와 같이 배열하면 제2접점에 관해서도 제1종류의 제2접점 쌍, 즉 차동신호의 전달을 담당하는 접점 쌍의 양쪽에 제2종류의 제2접점, 즉 예를 들면 그라운드 등 동일 전위로 유지되는 접점이 배치됨으로써 실드성이 향상하여 크로스 토크가 저감된다.
또한 제2종류의 콘택트 중 적어도 일부의 콘택트가 복수의 제1접점을 상기 복수의 제1접점보다 적은 수의 제2접점에 연결되는 콘택트인 전기 커넥터의 형태로서, 이하 예로 드는 어느 하나의 형태의 전기 커넥터가 적합하다.
(1) 상기 제2종류의 콘택트는 제2종류의 제1접점의 모두와 제2종류의 제2접점의 모두를 연결하는 콘택트인 것.
제2종류의 콘택트 모두를 그라운드로써 사용하는 전기 커넥터의 경우, 이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2) 제2종류의 콘택트는 제1접점을 배열 방향으로 4개 나란한 2열을 합쳐 총 8개씩 제1접점군으로 나눈 때의 각 제1접점군별 4개의 제2종류의 제1접점과, 제2접점을 배열순으로 6개씩 제2접점군으로 나눈 때의 각 제2접점군별 2개의 제2종류의 제2접점을 연결하는 콘택트를 포함하는 것.
이와 같이 접점군별로 나눈 형태의 전기 커넥터의 경우, 접점군별로 그라운드를 나누거나 제2종류의 콘택트를 예를 들면 그라운드와 전원 등, 각각의 전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3) 제2종류의 콘택트는 제1접점을 배열 방향으로 4개 나란한 2열을 합쳐 8 개씩 제1접점군으로 나눈 때의 각 제1접점군별 4개의 제2종류의 제1접점 중 일부와, 제2종류의 제2접점 중 하나를 연결하는 제2종류의 제1콘택트와, 각 제1접점군별 4개의 제2종류의 제1접점 중 나머지와, 제2종류의 제2접점의 나머지 하나를 연결하는 제2종류의 제2콘택트를 포함하는 것.
이와 같이, 제2종류의 콘택트를 상기 제1콘택트와 제2콘택트로 나눈 형태의 경우, 예를 들어 제1콘택트를 그라운드로써 사용하고, 제2콘택트를 전원이나 저속 신호 전달용으로써 사용하는 등, 더욱 다양한 사용법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회로 기판 측의 접점의 배열을 소정의 피치로 유지하면서 전기 커넥터의 소형화를 도모한다.
[도 1]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 도 1의 전기 커넥터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 도 1, 도 2에 외관을 나타내는 제1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에서의 제1접점과 제2접점의 접속관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 도 1, 도 2에 외관을 나타낸 제1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차동신호 전달용 콘택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도 1, 도 2에 외관을 나타낸 제1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그라운드 접속용 콘택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도 4에 나타내는 차동신호 전달용 콘택트와 도 5에 나타내는 그라운드 접속용 콘택트를 조합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합된 콘택트를 지지한 상태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8]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에서의 제1접점과 제2접점의 접속관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9] 제2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그라운드 접속용 콘택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에서의 제1접점과 제2접점과의 접속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제3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그라운드 접속용 콘택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차동신호 전달용 콘택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그라운드 접속용 콘택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 도 12에 나타내는 차동신호 전달용 콘택트와 도 13에 나타내는 그라운드 접속용 콘택트를 조합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합된 콘택트를 지지한 상태의 하우징을 배면 측에서 보고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 제4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를 배면 측에서 보고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 제5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그라운드 접속용 콘택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 제6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그라운드 접속용 콘택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여기서,도 1은 제1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를 상대 커넥터와 감합하는 감합면 측에서 보고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그 감합면에 대해 배면 측에서 보고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전기 커넥터(10)는 수지제 하우징(11)(도 7 참조)에 다수 가닥의 콘택트(12)가 지지되고, 더욱이 상기 하우징(11)의 주위가 금속제 실드부재(13)로 둘러싸인 구조를 갖는다.
상기 실드부재(13)에는 외팔보 형상의 아암부(131)가 형성되어있다. 상기 아암부(131)는 상기 전기 커넥터(10)에 감합한 상대 커넥터(미도시)의 실드부재에 접촉하여 차폐성을 유지함과 함께, 상대 커넥터가 용이하게 빠지지 않도록 상대 커넥터를 누르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도 1에는 상대 커넥터가 삽입되는 감합개구(101)의 내측에 배치되어있는 콘택트(12)의 제1접점(121)과, 하우징(11)의 판부(111)(도 7을 아울러 참조)가 도시되어있다. 제1접점 (121)은 콘택트(12)의 상대 커넥터의 콘택트와의 접촉을 담당하는 부분이다. 또한 하우징(11)의 판부(111)는 콘택트(12)의 제1접점 측 부분을 지지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12)에는 감합면 측에 폭이 좁은 판상 부분을 갖는 콘택트(12a)와 그 폭이 넓은 판상 부분을 갖는 콘택트(12b)가 존재한다. 이에 대해 상대 커넥터의 콘택트는 상기 전기 커넥터(10)의 콘택트(12) 중, 폭이 좁은 판상 부분의 배열 피치와 동일한 피치로 배치되어있다.
이 때문에, 상기 전기 커넥터(10)의 콘택트(12)의 폭이 좁은 판상 부분에는 상대 커넥터의 1개의 콘택트가 접촉하고, 폭이 넓은 판상 부분에는 상대 커넥터의 2개의 콘택트가 접촉한다. 즉 좁은 판상 부분에는 각 판상 부분에 1개의 제1접점(121)이 존재하고 폭이 넓은 판상 부분에는 각 판상 부분에 2개의 제1접점(121)이 존재한다. 다시 말하면, 2개의 제1접점(121)은 폭이 넓은 판상 부분에서 일체화되어있다.
상기 도 1에는 콘택트(12)가 배열된 판부(111)의 일방면(상면)이 도시되어 있고, 또한 콘택트(12)는 상기 판부(111)의 또 다른 일방면(하면)에도 배열되어있다. 즉, 콘택트(12)는 상대 커넥터와의 감합면 측에서는 2열로 배열되어있다.
또한 도 2에는 콘택트(12)의 회로 기판(미도시)에 표면 실장되는 제2접점 (122)이 도시되어있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12)의 회로 기판(미도시)에 실장되는 제2접점(122)은 1열로 배열되어있다.
도 3은 도 1, 도 2에 외관을 나타내는 제1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에서의 제1접점과 제2접점의 접속관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상기 도 3에서는 콘택트의 구체적인 형상은 추상화되고, 제1접점과 제2접점의 전기적 접속관계만 도시되어있다.
상기 도 3에는 2열로 배열된 감합면 측의 제1접점(121)과 1열로 배열된 회로 기판 측의 제2접점(122)이 도시되어있다.
제1접점(121) 중 백색 사각형으로 도시되어있는 접점은 기본적으로 서로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된 2개의 접점이 쌍을 이루어 차동신호를 받아 전달하는 접점이다.
다만 좌우양단에 위치하는 백색의 제1접점은 쌍을 이루는 또 하나의 접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이 불가능하거나 혹은 차동신호 이외의 저속 신호 전달용 그라운드 단자, 전원 단자 등으로 사용된다. 이들 제1접점(121) 중, 좌우양단에 위치하는 백색의 접점을 제외하고, 차동신호 전달용 접점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1종류의 제1접점」의 일례에 해당한다.
또한 사선 사각형의 제1접점(121b)은 그라운드 접속용 접점이다. 이들 제1접점(121b)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2종류의 제1접점」의 일례에 해당한다.
이들 그라운드 접속용 제1접점(121b)은 차동신호 전달용 제1접점(121a)에 인접하고 있다. 이「인접」은 동일한 열 내에서 인접해 있어도 좋고, 다른 열을 향해 인접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용 제1접점(121b)은 좌우양단의 제1접점(121b)을 제외하고, 차동신호 전달용 제1접점(121a)에 대해 동일한 열 내와 다른 열을 향하는 방향과의 쌍방에 인접해 있다. 다만 좌우양단의 백색 사각형으로 도시되어 있는 제1접점(121a)은 차동신호 전달용 단자가 아니기 때문에, 좌우양단의 그라운드 접속용 제1접점(121b)은 차동신호 전달용 제1접점(121a)과의 관계에서는 동일한 열 내에 대해서만 인접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제1접점 (121)은 상기 제1접점(121)이 배열된 2열 각각에 대해 차동신호 전달용 제1접점(121a)과 그라운드 접속용 제1접점(121b)이 2개씩 교대로 배치되어있다. 더욱이 상기 제1접점(121)은 서로 다른 열을 향해서는 차동신호 전달용 제1접점(121a)과 그라운드 접속용 제1접점(121b)이 서로 마주 보도록 그들 2열 사이에서, 차동신호 전달용 제1접점(121a)과 그라운드 접속용 제1접점(121b)의 배열의 위상을 어긋나게 하여 배열되어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동신호의 전달을 담당하는 제1접점(121a) 쌍을 그라운드 접속용 제1접점(121b)에서 둘러싸도록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차폐성이 향상되고 서로 인접하는 차동신호 사이에서의 크로스 토크가 저감된다.
또한 상기 도 3에 도시된 제2접점(122) 중 백색 사각형으로 도시되어있는 제1접점(122a)은 백색 사각형으로 도시된 제1접점(121a)과 마찬가지로, 서로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된 2개의 접점이 쌍을 이루어 차동신호를 받아 전달하는 접점이다. 다만 이것도 제1접점(121a)과 마찬가지로 좌우양단에 위치하는 백색 사각형의 제2접점은 좌우양단의 제1접점(121a)과 각각 접속되어 있어, 사용이 불가능하거나 혹은 차동신호 이외의 저속신호 전달용, 그라운드 단자, 전원 단자 등으로 사용된다. 상기 백색 사각형의 제2접점(122a) 중 좌우양단에 위치하는 2개의 접점을 제외하고, 차동신호 전달용 제2접점(122a)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1종류의 제2접점」의 일례에 해당한다.
또한 사선 사각형의 제2접점(122b)은 그라운드 접속용 제1접점(121b)에 접속되어 있고, 그라운드 접속용으로써 사용된다. 상기 그라운드 접속용 제2접점(122b)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2종류의 제2접점」의 일례에 해당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쌍을 이루는 차동신호 전달용 2개의 제2접점(122a)과 그라운드 접속용 하나의 제2접점(122b)이 교대로 배열되어있다.
여기서, 제1접점(121)의 수와 제2접점(122)의 수를 비교하면, 백색 사각형의 제1접점(121a)과 백색 사각형의 제2접점(122a)은 동일한 수가 존재한다. 이에 대해 사선을 그은 사각형의 제1접점(121b)은 상기 도 3에서는 18개 존재하는 것에 반해, 사선을 그은 사각형의 제2접점(122b)은 9개이다. 즉 그라운드 접속용에 대해서 제2접점(122b)은 제1접점(121b)에 비해 그 수가 절반으로 감소되어있다.
이에 따라 제2접점(122)을 소정의 피치로 배열하고 더욱이 전기 커넥터 전체 크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백색 사각형으로 나타내는 제1접점(121a)과 백색 사각형으로 나타내는 제2접점(122a)은 동수이며, 일대일로 접속되어있다. 즉, 차동신호 전달용에 대해서는 제1접점(121a)과 제2접점(122a)이 하나씩 접속되어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용 제1접점(121b)과 제2접점(122b)은 모든 제1접점(121b)과 모든 제2접점(122b)이 접속되어있다.
도 4는 도 1, 도 2에 외관을 나타낸 제1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콘택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1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콘택트 중 상기 도 4에 나타내는 콘택트(12a)는 기본적으로 차동신호 전달용 콘택트이다. 여기에는 콘택트(12a)가 2개 도시되어 있지만,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좌우양단에는 콘택트(12a)가 1개만 배치되고, 차동신호 전달용이 아닌 다른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이것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차동신호 전달용으로서는 제1접점(121a) 및 제2접점(122a)이 콘택트(12a)에 의해 일대일로 접속되어있다. 또한, 제1접점(121a)은 복수의 접점을 포함해도 좋고, 제1접점(121a)이 전체로서 제2접점(122a)과 일대일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차동신호 전달용 콘택트(12a)는 회로 기판에 가까운 측의 열과 회로 기판에서 떨어진 측 열의 상하 2단으로 배치된다(도 6 참조). 이 때문에 상기 차동신호 전달용 콘택트(12a)로서 제2접점(122a) 측 다리의 길이가 긴 콘택트와 짧은 콘택트가 존재한다. 상기 도 4에는 회로 기판에 가까운 측의 열에 배열되며 다리가 짧은 콘택트(12a)가 도시되어있다. 회로 기판에서 떨어진 측의 열에 배열되는 콘택트는 다리의 길이가 다른 점을 제외하고 상기 도 4에 나타낸 콘택트(12a)와 마찬가지이며, 도시는 생략한다.
도 5는 도 1, 도 2에 외관을 나타낸 제1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그라운드 접속용 콘택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1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0)를 구성하는 콘택트(12) 중, 상기 도 5에 나타내는 콘택트(12b)는 그라운드 접속용 콘택트이다. 상기 콘택트(12b)의 도 1에 나타내는 감합면 측에는 그라운드 접속용 제1접점(121b)이 상하 2열로 배열되어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광폭의 판상으로 형성된 부분에는 각 판상 부분마다 2개의 제1접점(121b)이 존재한다. 즉 하나의 판상 부분에 상대 커넥터의 그라운드 접속용 2개의 콘택트가 접촉한다.
양단에 형성된 폭이 좁은 판상 부분에는 제1접점(121b)이 각각 하나씩 존재한다. 이들 2열의 판상 부분 사이에는 상기 전기 커넥터(10)의 하우징(11)의 판부(111)(도 1, 도 7 참조)가 들어가고, 그 하우징(11)의 판부(111)에 의해 상기 판상 부분이 지지된다. 한편, 제2접점(122b)은 등간격으로 9개가 형성되어있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내는 차동신호 전달용 콘택트와 도 5에 나타내는 그라운드 접속용 콘택트를 조합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합된 콘택트를 지지한 상태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10) 내에서 콘택트(12)는 하우징(11)에 도 6, 도 7에 나타내는 구조로 지지되어있다. 이에 따라 도 3에 나타내는 제1접점(121)과 제2접점(122) 각각의 배치 및 제1접점(121)과 제2접점(122)과의 사이의 접속이 실현되어 있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0)는 도 4~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판상 부분을 갖는 이른바 수형 콘택트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이다.
이상으로 제1실시형태의 설명을 종료하고 이하 제2실시형태 이후의 각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지금까지 설명해온 제1실시형태와 다른 점만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에서의 제1접점과 제2접점의 접속관계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전술한 제1실시형태에서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전술한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속관계를 나타내는 도 3에서는 그라운드 접속용의 모든 제1접점(121b)과 그라운드 접속용의 모든 제2접점(122b)이 접속되어있다.
이에 대해 상기 도 8에서는 그라운드 접속용 제1접점(121b)과 제2접점(122b)의 접속은 이하와 같이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져 각 그룹 내에서 접속된다.
즉, 여기서는 제1접점(121)을 배열 방향으로 4개 나란히 2열, 총 8개씩 그룹(125)으로 나누어 생각한다. 다만, 우단의 그룹(125’)은 제1접점(121)의 수가 8개 갖추어 지지 않기 때문에 4개의 제1접점(121)만의 그룹이 된다.
또한 제2접점에 관해서는 배열순으로 6개씩 그룹(126)으로 나누어 생각한다. 우단의 그룹(126’)은 제2접점의 수가 6개 갖추어 지지 않기 때문에 2개의 제2접점(122)만의 그룹이 된다.
여기서는 이와 같이 기본적으로 제1접점(121)에 대해서는 8개의 접점, 제2접점(122)에 대해서는 6개의 접점 그룹(125, 126)을 생각한다. 이때 하나의 그룹(125) 내의 그라운드 접속용 4개의 제1접점(121b)과, 하나의 그룹(126) 내의 그라운드 접속용 2개의 제2접점(122b)이 모두 접속되어있다. 다만, 우단의 그룹(125’, 126’)에 관해서는 그룹(125’) 내의 그라운드 접속용 2개의 제1접점(121b)이 그룹(126’) 내의 그라운드 접속용 하나의 제2접점(122b)에 접속된다.
도 9는 제2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그라운드 접속용 콘택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 9는 전술한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내는 그라운드 접속용 콘택트(12b) 대신에 상기 도 9에 나타내는 그라운드 접속용 콘택트(22b)를 채용하면 제2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가 실현된다.
상기 도 9에 나타내는 콘택트(22b)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그룹별로 나누어진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는 전술한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용어 사용에 맞추고 있기 때문에, 도 9에 나타내는 콘택트(22b)를 그라운드 접속용이라 칭하고 있다. 그라운드 접속용 콘택트를 이와 같이 복수로 나눈 때에, 상기 복수의 콘택트(22b) 모두를 문자 그대로 그라운드 접속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다만, 그 외에도 상기 복수의 콘택트(22b) 중의 일부를 예를 들어 전원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전술한 제1실시형태에 비해 용도가 확대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에서의 제1접점과 제2접점과의 접속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상기 도 10에 대해 전술한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일한 도면인 도 8과 대비하면서 설명한다.
상기 도 10에 나타내는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도 8에 나타내는 제2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그룹(125, 125’; 126, 126’)으로 나누어져 있다. 여기서, 도 8의 제2실시형태의 경우 그라운드 접속용 제1접점(121b)과 제2접점(122b)은 동일 그룹(125, 126) 내에서는 모두가 접속되어있다.
이에 대해, 도 10의 제3실시형태의 경우, 하나의 그룹(125, 126) 내에서도 더욱 접속이 나누어져 있다. 즉 하나의 그룹(125) 내의 그라운드 접속용 4개의 제1접점(121b)의 일부(여기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3개의 제1접점(121b))가 하나의 그룹(126) 내의 그라운드 접속용 2개의 제2접점(122b) 중의 하나에 접속되어있다.
또한 상기 4개의 제1접점(121b)의 나머지(여기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나머지 하나의 제1접점(121b))가 2개의 제2접점(122b) 중의 나머지 하나의 제2접점(122b)에 접속되어있다. 어중간한 접점수의 우단 그룹(125’, 126’)에 대해서는 도 8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룹(125’) 내의 그라운드 접속용 2개의 제1접점(121b)이 그룹(122b) 내의 하나의 제2접점에 접속되어있다.
도 11은 제3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그라운드 접속용 콘택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 11은 전술한 제1실시형태에서의 도 5 및 제2실시형태에서의 도 9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내는 그라운드 접속용 콘택트(12b) 대신에 상기 도 11에 나타내는 그라운드 접속용 콘택트(32b)를 채용하면 제3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가 실현된다.
상기 도 11에 나타내는 콘택트(32b)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그룹별로 나누어지고, 또한 하나의 그룹 내에서도 2개로 나누어진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도 지금까지의 설명의 흐름으로부터 상기 콘택트(32b)를 그라운드 접속용 콘택트로 칭하고 있다. 상기 콘택트(32b) 모두를 그라운드 접속용으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 외에도 하나의 제1접점(121b)과 하나의 제2접점(122b)을 일대일로 연결하는 콘택트(32b)를, 예를 들어 고속 차동신호로부터 보면 그라운드와 거의 변함없는 작용을 하는 정도로 저속의 신호 전달용으로 채용할 수도 있으며, 더욱 다양한 사용법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각종 실시형태는 판상 부분이 형성된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판상 부분에 상대 커넥터의 콘택트가 밀려 닿는 타입의 콘택트, 즉 이른바 수형콘택트를 구비한 실시형태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상대 커넥터의 콘택트에 탄력성을 갖고 접촉하는 이른바 암형콘택트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에 적용한 때의 각종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각종 실시형태는 지금까지 설명해온 각종 실시형태와 비교하면 콘택트의 형상이 다르지만, 전기적인 접속관계는 지금까지 설명한 각종 실시형태 중의 어느 것과 각각 동일하므로,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차동신호 전달용으로 사용되는 콘택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 12는 전술한 제1실시형태에서의 도 4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콘택트(12a)는 이른바 수형콘택트이며, 그 판상 부분에 접촉하는 상대 커넥터의 콘택트 쪽이 탄력성을 갖는다. 이에 대해 도 12에 나타내는 콘택트(42a)는 이른바 암형콘택트이며, 상대 커넥터의 콘택트 쪽이 판상 부분을 갖고, 상기 판상 부분에 탄력성을 갖고 접촉하는 제1접점(121a)을 갖는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콘택트(12a)와 마찬가지로 콘택트(42a)의 제1접점(121a)도 복수의 접점을 포함해도 좋고, 제1접점(121a)이 전체적으로 제2접점(122a)과 일대일로 접속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경우와 같이, 상기 차동신호 전달용 콘택트(42a)에는 제2접점(122a) 측의 다리가 긴 콘택트와, 다리가 짧은 콘택트가 존재한다(도 14 참조). 상기 도 12에 나타내는 콘택트(42a)는 상기 두 종류 중 다리가 짧은 콘택트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그라운드 접속용 콘택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 13은 전술한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3에 나타내는 그라운드 접속용 콘택트(42b)도 이른바 암형콘택트인 것을 제외하고, 접점끼리의 접속관계는 도 5에 나타내는 그라운드 접속용 콘택트(12b)와 동일하다. 즉, 상기 도 13에 나타내는 그라운드 접속용 콘택트(42b)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그라운드 접속용에 관한 모든 제1접점(121b)과 모든 제2접점(122b)을 연결하는 콘택트이다.
도 14는 도 12에 나타내는 차동신호 전달용 콘택트와 도 13에 나타내는 그라운드 접속용 콘택트를 조합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합된 콘택트를 지지한 상태 의 하우징을 배면측에서 보고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제4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 내에서 콘택트(42)는 하우징(41)에, 도 14,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되어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도 3에 나타내는 제1접점(121)과 제2접점(122) 각각의 배치 및 제1접점(121)과 제2접점(122)과의 사이의 접속을 실현하고 있다.
도 16은 제4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를 배면측에서 보고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 16에 나타내는 제4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40)는 도 15에 나타내는 콘택트를 지지한 상태의 하우징을 더욱 금속제 실드부재(43)로 덮은 구조를 갖는다. 실드부재(43)에는 제1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0)(도 1, 도 2참조)와 마찬가지로 상대 커넥터의 실드부재에 밀려 닿는 외팔보 형상의 아암부(431)가 형성되어있다.
도 17은 제5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그라운드 접속용 콘택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 17은 전술한 제4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13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그라운드 접속용 콘택트(42b) 대신에 상기 도 17에 나타내는 그라운드 접속용 콘택트(52b)를 채용하면 제5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가 실현된다.
상기 도 17에 나타내는 콘택트(52b)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그룹별로 나누어진 형상을 갖는다.
상기 콘택트(52b)는 암형콘택트인 것을 제외하고, 접점끼리의 접속관계는 전술한 제2실시형태의 콘택트(22b)(도 9 참조)와 동일하며,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은 제6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그라운드 접속용 콘택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 18은 전술한 제4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13 및 제5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17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그라운드 접속용 콘택트(42b) 대신에 상기 도 18에 나타내는 그라운드 접속용 콘택트(62b)를 채용하면, 제6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가 실현된다.
상기 도 18에 나타내는 콘택트(62b)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그룹별 및 각 그룹 내에서 더욱 두 개로 나누어진 형상을 갖는다.
상기 콘택트(62b)는 암형콘택트인 점을 제외하고, 접점끼리의 접속관계는 전술한 제3실시형태의 콘택트(32b)(도 11 참조)와 동일하며,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제4실시형태~제6실시형태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은 이른바 암형콘택트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10, 40 전기 커넥터
11, 41 하우징
12, 12a, 12b, 22b, 32b, 32b’, 42, 42a, 42b, 52b, 62b 콘택트
13, 43 실드부재
101 감합개구
111 판부
121, 121a, 121b 제1접점
122, 122a, 122b 제2접점
125, 125’, 126, 126’ 그룹
131, 431 아암부

Claims (6)

  1. 복수의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콘택트가 상대 커넥터의 복수의 콘택트 각각에 접촉하며 2열로 배열된 제1접점과, 회로 기판에 접속되며 1열로 배열된 제2접점을 형성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택트가 상기 제1접점 중 2개씩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쌍을 이루어 차동신호의 전달을 담당하는 제1종류의 제1접점을 받는 제1종류의 콘택트; 및
    상기 제1접점 중 상기 제1종류의 제1접점에 인접하는 제2종류의 제1접점을 받는 제2종류의 콘택트를 갖고,
    상기 제1종류의 콘택트가 상기 제1접점과 상기 제2접점을 일대일로 연결하는 콘택트이며,
    상기 제2종류의 콘택트 중 적어도 일부 콘택트가 복수의 상기 제1접점을 상기 복수의 제1접점보다 적은 수의 상기 제2접점에 연결하는 콘택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점은 상기 제1접점이 배열된 2열 각각에 대해, 상기 제1종류의 제1접점과 상기 제2종류의 제1접점이 2개씩 교대로 배열되고, 나아가 서로 다른 열을 향해 상기 제1종류의 제1접점과 상기 제2종류의 제1접점이 서로 마주 보도록 상기 2열 사이에서 상기 제1종류의 제1접점과 상기 제2종류의 제1접점 배열의 위상을 어긋나게 하여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점은 상기 제2접점 중, 쌍을 이루는 2개의 상기 제1종류의 제1접점에 대응하며 쌍을 이루는 2개의 제1종류의 제2접점이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더욱이 상기 쌍을 이루는 2개의 제1종류의 제2접점과 상기 제2접점 중 상기 제2종류의 제1접점에 대응하는 제2종류의 제2접점의 하나가 교대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종류의 콘택트는 상기 제2종류의 제1접점의 모두와 상기 제2종류의 제2접점의 모두를 연결하는 콘택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종류의 콘택트는 상기 제1접점을 배열 방향으로 4개 나란한 2열을 합쳐 총 8개씩 제1접점군으로 나눈 때의 각 제1접점군별 4개의 상기 제2종류의 제1접점과, 상기 제2접점을 배열순으로 6개씩의 제2접점군으로 나눈 때의 각 제2접점군별 2개의 상기 제2종류의 제2접점을 연결하는 콘택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종류의 콘택트는 상기 제1접점을 배열 방향으로 4개 나란한 2열을 합쳐 8개씩 제1접점군으로 나눈 때의 각 제1접점군별 4개의 상기 제2종류의 제1접점 중 일부와, 상기 제2종류의 제2접점 중 하나를 연결하는 제2종류의 제1콘택트와, 상기 각 제1접점군별 4개의 상기 제2종류의 제1접점 중 나머지와, 상기 제2종류의 제2접점의 나머지 하나를 연결하는 제2종류의 제2콘택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147028674A 2012-04-13 2013-01-31 전기 커넥터 KR1016105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92014 2012-04-13
JP2012092014A JP5878071B2 (ja) 2012-04-13 2012-04-13 電気コネクタ
PCT/JP2013/052181 WO2013153839A1 (ja) 2012-04-13 2013-01-31 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923A true KR20140138923A (ko) 2014-12-04
KR101610571B1 KR101610571B1 (ko) 2016-04-07

Family

ID=49327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8674A KR101610571B1 (ko) 2012-04-13 2013-01-31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06339B2 (ko)
JP (1) JP5878071B2 (ko)
KR (1) KR101610571B1 (ko)
CN (1) CN104205520B (ko)
TW (1) TWM467215U (ko)
WO (1) WO20131538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97966B2 (en) 2011-09-23 2014-08-05 Ofinno Technologies, Llc Channel state information transmission
US8848673B2 (en) 2011-12-19 2014-09-30 Ofinno Technologies, Llc Beam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base stations
US9437988B2 (en) 2014-10-17 2016-09-0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US9692183B2 (en) * 2015-01-20 2017-06-27 Te Connectivity Corporation Receptacle connector with ground bus
EP3636055B1 (en) * 2017-05-15 2022-11-30 Samtec Inc.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commoned ground plane
TWM595913U (zh) * 2020-01-10 2020-05-21 啟貿興業股份有限公司 連接器之接地片改良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6868B2 (ja) * 1995-05-23 1999-05-3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高速伝送用コネクタ
US6994569B2 (en) * 2001-11-14 2006-02-07 Fci America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s having contacts that may be selectively designated as either signal or ground contacts
US7039417B2 (en) * 2003-09-25 2006-05-02 Lenovo Pte Lt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itigating access point data rate degradation
KR100600221B1 (ko) * 2003-04-23 2006-07-13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자기 실드 및 그라운드 접속의 양 기능을 향상시킨 전기커넥터
JP2007080782A (ja) 2005-09-16 2007-03-2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電気コネクタ
US7972151B2 (en) * 2009-01-05 2011-07-0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arrangement of ground and signal contacts
CN101771226B (zh) * 2009-01-05 2011-12-1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4738507B2 (ja) 2009-03-30 2011-08-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部材
JP5285533B2 (ja) 2009-08-07 2013-09-11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TWI404269B (zh) * 2009-09-18 2013-08-01 Advanced Connectek Inc High speed plug connector
TWM413241U (en) * 2011-03-28 2011-10-01 Bing Xu Prec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8777663B2 (en) * 2012-11-26 2014-07-1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Receptacle assembly having a commoning clip with grounding bea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31242A1 (en) 2015-01-29
WO2013153839A1 (ja) 2013-10-17
CN104205520B (zh) 2016-08-24
CN104205520A (zh) 2014-12-10
KR101610571B1 (ko) 2016-04-07
JP5878071B2 (ja) 2016-03-08
TWM467215U (zh) 2013-12-01
JP2013222539A (ja) 2013-10-28
US9306339B2 (en) 201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0571B1 (ko) 전기 커넥터
US6764341B2 (en) Plug connector that can be turned by 90°
US9559465B2 (en) High speed signal-isolating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1123524B1 (ko) 전기 커넥터
US7824193B2 (en) Connector
CN101471515B (zh) 电连接器
US761826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dual-interface
US20080214059A1 (en) Orthogonal electrical connector with increased contact density
CN102292875A (zh) 阻抗受控的电连接器
US9312640B2 (en) Shielded connector assembly
US20060292921A1 (en) Printed board connector for differential signal transmission
TW201310781A (zh) 卡緣連接器
KR101571601B1 (ko) 커넥터
US7544104B2 (en) Electrical interconnection with terminals in columns
US20120083163A1 (en) Backplane connector with guiding elements
KR20150031199A (ko) 전기 커넥터
US8961199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 structures
JP7210415B2 (ja) 電気コネクタ
CN105098516A (zh) 夹层插座连接器
JP4522454B2 (ja) コネクタ
CN203277702U (zh) 连接器
KR101482875B1 (ko) 커넥터
JP2006269107A (ja) コネクタ
US9437988B2 (en) Electrical connector
US902281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universal structure for different conta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