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7536A -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용 난연 보조제 및 이를 포함하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용 난연 보조제 및 이를 포함하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7536A
KR20140137536A KR1020130058081A KR20130058081A KR20140137536A KR 20140137536 A KR20140137536 A KR 20140137536A KR 1020130058081 A KR1020130058081 A KR 1020130058081A KR 20130058081 A KR20130058081 A KR 20130058081A KR 20140137536 A KR20140137536 A KR 20140137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iber
polycarbonate resin
reinforced polycarbonate
fiber reinforced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8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웅혁
강순곤
이승호
안성태
정윤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30058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7536A/ko
Publication of KR20140137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53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1Compounds containing sulfur bound to oxygen
    • C08K5/42Sulf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06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calcium, strontium or ba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Magnesia, i.e. magnes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65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iron
    • C08K2003/2272Ferric oxide (Fe2O3)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용 난연 보조제 및 이를 포함하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무기 충진제와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구성된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용 난연 보조제를 사용하여 강성 외에 우수한 충격특성, 인성 및 난연성을 가진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용 난연 보조제 및 이를 포함하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Flame resisting adds for glass fiber reinforced polycarbonate resin and glass fiber reinforce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m}
본 발명은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용 난연 보조제 및 이를 포함하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기 충진제와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구성된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용 난연 보조제를 사용하여 강성 외에 우수한 충격특성, 인성 및 난연성을 가진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수지 중 비스페놀 에이(Bisphenol A)의 폴리탄산에스테르 중합체인 폴리카보네이트는 뛰어난 기계적 특성, 내충격성, 치수안정성, 전기적 성질, 성형성을 가지며 넓은 온도 범위에서 그 물성을 유지할 수 있고 자기 소화성을 지닌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로 다방면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유리섬유가 보강된 경우 인장/굴곡 강도, 인장/굴곡 모듈러스, 내열도 등이 증가되어 높은 온도에서 지속적인 하중을 받는 제품에 적절하였다.
최근 들어 제품이 경량화 및 박막화 되는 추세에 따라 현재까지 구현된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충격 강도, 인장 신율 등 인성(toughness) 관련 물성과 유동성, 난연성이 부족하여 전기, 전자 제품 적용처에 대한 사용에 제약을 갖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충격 보강제를 추가하면 충격 특성은 개선되나 난연성이 현저히 불량하였다. 일례로 인계 난연제를 사용하면 난연성을 개선되나 충격강도, 내화학성, 내열성 등에 급격한 감소를 확인하였고, 금속염계 난연제를 사용하면 난연성의 향상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서 충격강도와 난연성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 아직까지 과제로 남아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제품의 트렌드에 맞추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의 특성은 유지하면서 충격특성 및 난연성을 강화하도록 특정 난연 보조제를 사용하고, 이를 포함하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무기 충진제와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구성된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용 난연 보조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난연제 및 난연 보조제를 포함하며, 상기 난연 보조제는 상술한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용 난연 보조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의 특성은 유지하면서 충격특성 및 난연성을 강화하도록 특정 난연 보조제를 사용하고, 이를 포함하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특정한 상기 난연 보조제는 무기 충진제와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기 충진제는 통상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강성을 높이고 플라스틱의 압축 및 휨에 대한 저항력을 증진시켜 치수 안정성을 높이는 첨가제로 사용되던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난연성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충진제는 일례로 탈크, 활석, 월라스토나이트, 이산화티탄, 황산바륨, 및 탄산칼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혹은 하기 실시예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입자크기 3.3㎛ 이하, 밀도 2.78g/cm3, SiO2, MgO, Al2O3, Fe2O3, CaO의 성분을 갖는 탈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일례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단독 혹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10~90wt% 포함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10~90wt% 포함하여 구성된 수지는, 구체적인 예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비닐리덴플루오로라이드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무기 충진제와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대한 난연 보강 효과를 고려할 때 10:1~1:1, 혹은 5:1~2: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난연제 및 난연 보조제를 포함하되, 상기 난연 보조제는 상술한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용 난연 보조제를 사용하는데 특징을 갖는다.
상기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wt%로, 용융지수가 3~10g/10분(300℃, 1.2kg 하)인 1종 이상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유리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용융지수 범위 내에서 수지내 혼련도 저하로 인한 난연성, 충격성, 인성, 내화학성의 심각한 저하 등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일례로 상기 유리섬유는 길이 2~5mm, 너비 15~40㎛, 두께 5~15㎛의 ?(chop) 유리섬유일 수 있고, 혹은 길이 3~4mm, 너비 15~30㎛, 두께 10~13㎛의 ?(chop) 유리섬유일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상기 유리 섬유는 원형, 코쿤(cocoon), 또는 플랫(flat) 타입일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유리섬유는 폴리올레핀 및 폴리오르가노실록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코팅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폴리올레핀,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은 본 발명에서 유리섬유가 보강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의 저 밀착성(wetting)을 제공하는 종류에 해당한다.
참고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의 저 밀착성을 제공하는 종류는 폴리카보네이트 내에서 약한 결합력을 유지하여 폴리카보네이트와 유리섬유 사이에 공간을 만들어 외부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강성을 유지하면서 표면 품질을 높이는 동시에 내충격성을 갖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포함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함량은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총 100wt% 기준으로, 일례로 50~94.95wt%, 혹은 60~92wt% 범위 내일 수 있다.
또한,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포함되는 유리섬유 함량은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총 100wt% 기준으로, 일례로 5~20 중량, 혹은 6~10wt% 범위 내일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유리섬유의 함량 범위 내에서 필요로 하는 강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범위 초과시엔 유리섬유의 분산성이 떨어지고 공간이 많이 생기므로 유리섬유의 표면 돌출이 심해지고 필요로 하는 강성을 얻기 어려우며 난연성 역시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난연제는 활성 산소의 차단, 차르 형성을 통한 연소의 방해 등을 통해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일례로 할로겐계, 인계, 및 금속염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난연제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총 100wt% 기준으로, 일례로 0.05~20wt%, 0.1~10wt%, 혹은 0.1~5wt% 범위 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난연 보조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무기 충진제와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기 충진제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총 100wt% 기준으로, 0.5~10wt%, 0.5~5wt%, 혹은 0.8~3wt% 범위 내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될 경우 무기 충진제의 난연성 강화 효과가 탁월하면서 강성 강화 효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항적하방지(Anti-dripping) 역할을 병용하는 것으로,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총 100wt% 기준으로, 0.1~5wt%, 0.1~3wt%, 혹은 0.5~1wt% 범위 내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될 경우 항적하방지 효율이 개선되고, 추후 성형 시 팽윤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충격강도 등 다른 물성 또한 저하시키지 않는다.
나아가, 본 발명의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충격 강도를 강화시키고 플라스틱의 압축 및 휨에 대한 저항력을 증진시켜 치수 안정성을 높일 목적으로, 코어-쉘 타입 충격보강제를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총 100wt% 기준으로, 0.1~10wt%, 혹은 0.5~3wt% 범위 내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충격 강화 특성을 부여하면서 조성물 전체의 강성 저하를 일으키지 않아 표면 품질 또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코어-쉘 타입 충격보강제는 구체적인 예로 실리콘 아크릴계, 부타디엔 고무계 및 아크릴 고무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를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총 100wt% 기준으로, 0.1~10wt%, 혹은 0.5~3wt% 범위 내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인성강화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조성물 전체의 강성 저하를 일으키지 않아 표면 품질 또한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에틸렌-아크릴레이트 수지는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15~50wt%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조색제, 윤활제, 자외선 안정제, 산화방지제, 커플링 강화제 등을 필요에 따라 추가하여 다양한 용도로 응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충격특성, 인성, 난연성 등이 향상되어 박육화 되어가는 BLU 모듈, 전자제품 부품 등의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따르면, 무기 충진제와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구성된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용 난연 보조제를 사용하여 강성 외에 우수한 충격특성, 인성 및 난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약호는 다음을 의미한다.
A:방향족 비스페놀 에이 폴리카보네이트(PC)로서, A-1): 용융지수 22g/10분인 것, A-2): 용융지수 60g/10분인 것, A-3): 용융지수 100g/10분인 것.
B:오웬스 코닝사의 직경 10~13㎛, ? 길이 3mm인 유리섬유로서, B-1)은 폴리에틸렌으로 표면처리된 것, B-2)는 에폭시실란으로 표면처리된 것.
C:난연제로서 미테니(Miteni)사의 퍼플루오로부탄 술폰산 포타슘염(perfluorobutane sulfonic acid potassium salt).
D: 무기 충진제로서 루제낙(Luzenac)사의 95%가 입자 크기 3.3㎛이하이고, 밀도 2.78g/cm3이고, SiO2, MgO, Al2O3, Fe2O3, CaO의 성분을 가진 탈크.
E:코어-쉘 구조의 충격보강제로서 미쓰비시 레이온 사의 실리콘-아크릴계 충격 보강제(제품명: Metablen S2001).
F: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서 듀퐁 사의 제품명 Elvaloy 1330AC.
G: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서 포세라(Pocera)사의 제품명 Xflon-ACL.
< 실시예 1-4 및 비교예 1-3: 난연 보조제 관련 실험>
상기 약호를 참조하여 각 성분들을 하기 표 1에서 제시한 함량으로 총 99.9 중량% 및 열안정제 0.1 중량%를 이축 압출기에서 압출 온도 280 내지 290℃ 하에 용융 혼련하여 펠렛을 제조하였으며, 사출시켜 시편을 제작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A A-1 91.3 90.8 50.8 90.8 92.3 91.8 91.3
A-2 - - 40 - - - -
A-3 - - - - - - -
B B-1 7 7 7 7 - - 7
B-2 - - - - 7 7 -
C 0.1 0.1 0.1 0.1 0.1 0.1 0.1
D 1 1 1 1 - - 1
E - 0.5 0.5 - - 0.5 0.5
F - - - 0.5 - - -
G 0.5 0.5 0.5 0.5 0.5 0.5 -
각 시편에 대하여 다음의 방법에 따라 물성 평가 시험을 수행하고, 측정된 물성 값을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
<물성 평가 시험>
*인장강도 인장신율 :실온에서 50mm/sec 의 속도를 갖는 쯔윅 유티엠(Zwick UTM)을 사용하여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 굴곡강도 굴곡탄성률 :ASTM D790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충격강도:1/8“ 두께의 시편을 23 ℃,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유동성(용융지수):유동성(MI)은 ASTM D1238에 의거하여 300℃에서 하중이 1.2kg 일 때 10분간 측정되는 무게를 g으로 측정하였다.
* 면충격 특성( Falling weight Impact ):인스트롬(Instrom)사의 다이낫업(Dynatup) 9250HV을 사용하여 면충격 특성 에너지를 측정하고, 시편의 균열 발생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난연성:언더라이터즈 래버라토리즈(Underwriters Laboratories)의 UL94V(Bar 시편)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인장강도(kg/cm2) 645 639 637 639 836 825 642
인장신율(%) 13.5 15 14.7 16 10.9 11 15.4
굴곡강도(kg/cm2) 1,160 1,115 1,113 1,120 1,415 1,400 1,115
굴곡탄성률(kg/cm2) 38,500 38,000 38,000 38,000 39,000 38,700 38,000
충격강도(kg.cm/cm) 9 11 10 11 7 8.5 11.5
용융지수 (g/10min) 13 13 18 13 12 13 13
면 특성 에너지(J) 13 15 14.5 15 5 6 15
난연성 (1.0mm) V-0 V-0 V-0 V-0 V-1 V-1 V-2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서 난연 보조제를 구성하는 무기물(D)과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G) 중 1종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에는 모두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4 대비 인장강도, 인장신율, 굴곡강도, 충격강도, 면 특성 에너지, 난연성 등이 불량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비교예 4 내지 6: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관련 실험>
앞서 실험과 마찬가지로, 각 성분들을 하기 표 3에서 제시한 함량으로 총 99.9 중량% 및 열안정제 0.1 중량%를 이축 압출기에서 압출 온도 280 내지 290℃ 하에 용융 혼련하여 펠렛을 제조하였으며, 사출시켜 시편을 제작하였다.
시편에 대한 물성 평가 시험을 동일하게 수행하고, 결과를 하기 표 4에 정리하였다.
구분 비교예
4 5 6
A A-1 90.8 - -
A-2 - - -
A-3 - 91.3 90.8
B B-1 - 7 7
B-2 7 -
C 0.1 0.1 0.1
D 1 1 1
E 0.5 - 0.5
F - - -
G 0.5 0.5 0.5
구분 비교예
4 5 6
인장강도(kg/cm2) 827 640 643
인장신율(%) 11 13 13.5
굴곡강도(kg/cm2) 1,400 1,100 1,100
굴곡탄성률(kg/cm2) 38,700 38,000 37,900
충격강도(kg.cm/cm) 8 7 9
용융지수(g/10min) 13 23 22
면 특성 에너지(J) 5.5 9 10
난연성 (1.0mm) V-0 V-0 V-0 내지 V-1
상기 표 4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서 난연 보조제를 구성하는 무기물(D)과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G)을 모두 사용한 경우라도 부적절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하거나 혹은 적절하지 않은 물질로 표면처리한 유리섬유를 사용한 비교예 4 내지 6의 경우에는 상기 표 2의 실시예 1 내지 4 대비 충격특성 및 난연성이 저하되거나 혹은 충격 특성, 인성이 저하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8)

  1. 무기 충진제와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구성된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용 난연 보조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충진제와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10:1~1: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용 난연 보조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충진제는 탈크, 활석, 월라스토나이트, 이산화티탄, 황산바륨, 및 탄산칼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용 난연 보조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단독 혹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10~90wt% 포함하여 구성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용 난연 보조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10~90wt% 포함하여 구성된 수지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비닐리덴플루오로라이드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용 난연 보조제.
  6.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난연제 및 난연 보조제를 포함하며, 상기 난연 보조제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용 난연 보조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용융지수가 3~10g/10분(300℃, 1.2kg 하)인 1종 이상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유리섬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총 100wt% 기준으로, 50~92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총 100wt% 기준으로, 5~20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는 길이 2~5mm, 너비 15~40㎛, 두께 5~15㎛의 ?(chop) 유리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는 원형, 코쿤(cocoon), 또는 플랫(flat)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는 폴리올레핀 및 폴리오르가노실록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할로겐계, 인계, 및 금속염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총 100wt% 기준으로, 0.05~20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용 난연 보조제를 구성하는 무기 충진제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총 100wt% 기준으로, 0.5~10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용 난연 보조제를 구성하는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총 100wt% 기준으로, 0.1~5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1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코어-쉘 타입 충격보강제를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총 100wt% 기준으로, 0.1~10wt% 범위 내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1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를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총 100wt% 기준으로, 0.1~10wt% 범위 내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20130058081A 2013-05-23 2013-05-23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용 난연 보조제 및 이를 포함하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201401375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081A KR20140137536A (ko) 2013-05-23 2013-05-23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용 난연 보조제 및 이를 포함하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081A KR20140137536A (ko) 2013-05-23 2013-05-23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용 난연 보조제 및 이를 포함하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536A true KR20140137536A (ko) 2014-12-03

Family

ID=52457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081A KR20140137536A (ko) 2013-05-23 2013-05-23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용 난연 보조제 및 이를 포함하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753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5240A (ko) * 2016-01-14 2017-07-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70111792A (ko) * 2016-03-29 2017-10-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19004127A1 (ja) * 2017-06-28 2019-01-03 帝人株式会社 強化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2019006954A (ja) * 2017-06-28 2019-01-17 帝人株式会社 強化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2019006953A (ja) * 2017-06-28 2019-01-17 帝人株式会社 強化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WO2021036614A1 (zh) * 2019-08-30 2021-03-04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玻纤增强聚碳酸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5240A (ko) * 2016-01-14 2017-07-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70111792A (ko) * 2016-03-29 2017-10-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19004127A1 (ja) * 2017-06-28 2019-01-03 帝人株式会社 強化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2019006954A (ja) * 2017-06-28 2019-01-17 帝人株式会社 強化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2019006953A (ja) * 2017-06-28 2019-01-17 帝人株式会社 強化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US11332614B2 (en) 2017-06-28 2022-05-17 Teijin Limited Reinforce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WO2021036614A1 (zh) * 2019-08-30 2021-03-04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玻纤增强聚碳酸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7655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JP5893722B2 (ja) 非ハロゲン難燃性高剛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KR20140137536A (ko)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용 난연 보조제 및 이를 포함하는 유리섬유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1309808B1 (ko) 내스크래치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난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N109988405B (zh) 热塑性树脂组合物和由其生产的模制品
CN110799593B (zh) 树脂组合物和成型品
KR101622882B1 (ko) 무기물이 함유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20160058456A (ko) 압출성이 우수한 열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204883B1 (ko) 휨특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1020047B1 (ko)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6646396B2 (ja) 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KR101651754B1 (ko) 폴리아릴렌계 수지 조성물
KR101735889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EP2873696A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including the same
KR101587320B1 (ko) 유리섬유 강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EP1702008B1 (en) Polyphenylene sulfid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20140055060A (ko) 터프니스가 우수한 편평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20140146772A (ko) 난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JP5170959B2 (ja) 難燃性ガラス繊維強化樹脂組成物
KR20130089340A (ko) 무기물이 함유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WO2024024632A1 (ja) 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KR100567401B1 (ko) 폴리페닐렌 설파이드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50057097A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20130078770A (ko)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KR20170054058A (ko) 가공성이 우수한 난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