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7376A - 유압 제어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유압 제어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7376A
KR20140137376A KR1020147026398A KR20147026398A KR20140137376A KR 20140137376 A KR20140137376 A KR 20140137376A KR 1020147026398 A KR1020147026398 A KR 1020147026398A KR 20147026398 A KR20147026398 A KR 20147026398A KR 20140137376 A KR20140137376 A KR 20140137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dead
solenoid valve
dead zone
ind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6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4474B1 (ko
Inventor
세이이치로 다카하시
다카시 에구치
도모히로 우타가와
히사오 노부
겐지 사카키바라
다카히로 이케다
마사유키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37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electrically-controlled means, e.g. solenoids, torque-motors
    • F15B13/044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electrically-controlled means, e.g. solenoids, torque-motors with proportional solenoid allowing stable intermediate pos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0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16H61/06Smoothing ratio shift by controlling rate of change of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70Gearings
    • B60Y2400/72Continous variable transmissions [CV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60Circuit component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665Methods of control using electronic components
    • F15B2211/6653Pressur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유압으로 동작하는 유압 디바이스에 공급되는 유압을 지시압에 기초하여 조정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이며, 지시압이 불감대 임계값보다도 저압측인 불감대 영역으로 들어가면 지시압의 변화에 대한 실압의 변화의 응답성이 악화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한 유압 제어 회로에 있어서, 지시압이 불감대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고, 또한, 변속비가 변동하지 않을 정도이면서, 또한, 불감대 영역 내에서 지시압이 증대한 경우에는, 지시압을 불감대 임계값보다도 높은 차지압까지 단계적으로 올리고, 그 후, 지시압의 하한을 불감대 임계값으로 설정하여, 일정 기간, 불감대 영역의 사용을 금지한다.

Description

유압 제어 회로 및 그 제어 방법{HYDRAULIC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본 발명은, 유압 제어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불감대 영역을 갖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한 유압 제어 회로에 관한 것이다.
유압 피스톤, 액추에이터, 클러치, 브레이크 등의 유압으로 동작하는 유압 디바이스에 공급되는 유압을 지시압으로 조정하기 위해서, 솔레노이드 밸브가 사용되고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는, 지시압에 대응하는 전류를 흘림으로써, 오일 펌프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압을 조정하여, 지시압과 동등한 유압을 유압 디바이스에 공급한다.
그러나, 솔레노이드 밸브 중에는, 지시압을 내리더라도 실압이 내려가기 어려워지는 불감대 영역을 저압측에 갖는 것이 있다. 이러한 영역에서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면, 유압으로 동작하는 디바이스에 공급되는 유압의 변화가 늦어지므로, 제어 응답성의 악화의 원인으로 된다.
따라서, 일본 공개 특허 제2009-14138A호는, 지시압을 변화시켰을 때의 실압의 변화를 보는 것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의 불감대 영역을 특정하여, 불감대 영역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최근, 연비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유압 디바이스에 공급되는 유압을 내리고, 오일 펌프의 부하를 내리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지시압을 상기 불감대 영역으로 설정하면, 유압 디바이스에 공급되는 유압을 내릴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불감대 영역에서는 제어 응답성이 악화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고, 특히 제어 응답성이 요구되는 유압 디바이스에서는 지시압을 상기 불감대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이 어려웠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솔레노이드 밸브를 불감대 영역에서 사용함으로써 유압 디바이스에 공급하는 유압을 내리면서, 유압 디바이스에의 유압을 올릴 필요가 발생한 경우의 응답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어느 형태에 따르면, 유압으로 동작하는 유압 디바이스에 공급되는 유압을 지시압에 기초하여 조정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이며, 상기 지시압이 불감대 임계값보다도 저압측인 불감대 영역으로 들어가면 상기 지시압의 변화에 대한 실압의 변화의 응답성이 악화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상기 지시압을 지시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유압 제어 회로이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지시압이 상기 불감대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지시압이 변속비가 변동하지 않을 정도이면서, 또한, 불감대 영역 내에서 증대한 경우에는, 상기 지시압을 상기 불감대 임계값보다도 높은 차지압까지 단계적으로 올리고, 그 후, 상기 지시압의 하한을 상기 불감대 임계값으로 설정하여, 일정 기간, 상기 불감대 영역의 사용을 금지하는, 유압 제어 회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유압으로 동작하는 유압 디바이스에 공급되는 유압을 지시압에 기초하여 조정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이며, 상기 지시압이 불감대 임계값보다도 저압측인 불감대 영역으로 들어가면 상기 지시압의 변화에 대한 실압의 변화의 응답성이 악화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한 유압 제어 회로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지시압이 상기 불감대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지시압이 변속비가 변동하지 않을 정도이면서, 또한, 불감대 영역 내에서 증대한 경우에는, 상기 지시압을 상기 불감대 임계값보다도 높은 차지압까지 단계적으로 올리고, 그 후, 상기 지시압의 하한을 상기 불감대 임계값으로 설정하여, 일정 기간, 상기 불감대 영역의 사용을 금지하는,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이들 형태에 따르면, 솔레노이드 밸브를 불감대 영역에서 사용함으로써 유압 디바이스에 공급하는 유압이 내려간다. 그리고, 불감대 영역에서 지시압이 증대한 경우에는, 차지압까지의 지시압의 상승 및 그 후의 불감대 임계값에 의한 지시압의 제한에 의해, 실압이 불감대 임계값 이상까지 높아져서, 일정 기간, 불감대 임계값 이상으로 유지되므로, 유압 디바이스에의 유압을 올릴 필요가 발생한 경우의 응답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및 본 발명의 이점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무단 변속기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무단 변속기의 유압 제어계를 도시한 도면.
도 3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특성도.
도 4는 CVT 컨트롤 유닛이 행하는 불감대 영역 탈출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5는 불감대 영역 탈출 제어가 행해지는 모습을 나타낸 타임차트.
도 1은 무단 변속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고, 도 2는 무단 변속기의 유압 제어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무단 변속기(5)는 로크업 클러치를 구비한 토크 컨버터(2) 및 전후진 전환 기구(4)를 통해서 엔진(1)에 연결된다. 무단 변속기(5)는, 입력축측의 프라이머리 풀리(10)와, 출력축(13)에 연결된 세컨더리 풀리(11)를 구비한다. 프라이머리 풀리(10) 및 세컨더리 풀리(11)는, 벨트(1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출력축(13)은 아이들러 기어(14) 및 아이들러 샤프트를 통해서 디퍼렌셜(6)에 연결된다.
무단 변속기(5)의 변속비 및 벨트(12)의 접촉 마찰력은, CVT 컨트롤 유닛(20)으로부터의 지령에 따라서 동작하는 유압 컨트롤 유닛(100)에 의해 제어된다. CVT 컨트롤 유닛(20)은, 엔진(1)을 제어하는 엔진 컨트롤 유닛(21)으로부터의 입력 토크 정보 및 후술하는 센서 등으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해서 목표로 하는 변속비 및 접촉 마찰력을 결정하고, 유압 컨트롤 유닛(100)으로 지령을 보낸다.
프라이머리 풀리(10)는, 입력축과 일체로 되어 회전하는 고정 원추판(10b)과, 고정 원추판(10b)에 대향 배치되어 V자 형상의 풀리홈을 형성함과 함께, 프라이머리 풀리 실린더실(10c)에 공급되는 유압(프라이머리압)에 의해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가동 원추판(10a)을 구비한다.
세컨더리 풀리(11)는, 출력축(13)과 일체로 되어 회전하는 고정 원추판(11b)과, 고정 원추판(11b)에 대향 배치되어 V자 형상의 풀리홈을 형성함과 함께, 세컨더리 풀리 실린더실(11c)에 공급되는 유압(세컨더리압)에 따라서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가동 원추판(11a)을 구비한다.
엔진(1)으로부터 입력된 토크는, 토크 컨버터(2) 및 전후진 전환 기구(4)를 통해서 무단 변속기(5)로 입력되고, 프라이머리 풀리(10)로부터 벨트(12)를 통해서 세컨더리 풀리(11)로 전달된다. 프라이머리 풀리(10)의 가동 원추판(10a) 및 세컨더리 풀리(11)의 가동 원추판(11a)을 축방향으로 변위시켜서, 벨트(12)와의 접촉 반경을 변경함으로써, 프라이머리 풀리(10)와 세컨더리 풀리(11)의 변속비를 연속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 컨트롤 유닛(100)은, 라인압을 조정하는 레귤레이터 밸브(60)와, 프라이머리압을 조정하는 솔레노이드 밸브(30)와, 세컨더리압을 조정하는 솔레노이드 밸브(61)를 구비한다.
레귤레이터 밸브(60)는, 오일 펌프(80)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원압으로 해서, CVT 컨트롤 유닛(20)으로부터의 지령(예를 들어, 듀티 신호 등)에 따라서 운전 상태에 따른 소정의 라인압 PL을 조정한다. 라인압 PL은, 프라이머리압을 조정하는 솔레노이드 밸브(30)와, 세컨더리압을 조정하는 솔레노이드 밸브(61)에 각각 공급된다.
프라이머리 풀리(10)와 세컨더리 풀리(11)의 풀리비는, CVT 컨트롤 유닛(20)으로부터의 지시압에 따라서 구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30, 61)에 의해 제어된다. 즉, 솔레노이드 밸브(30)로 조정된 프라이머리압이 프라이머리 풀리(10)로, 솔레노이드 밸브(61)로 조정된 세컨더리압이 세컨더리 풀리(11)로 각각 공급되며, 이에 의해, 프라이머리 풀리(10) 및 세컨더리 풀리(11)의 홈폭이 변경되고, 풀리비가 변경된다. 풀리비는 프라이머리 풀리(10)의 회전 속도와 세컨더리 풀리의 회전 속도의 비로 산출되는 값이며, 변속비는 이 풀리비에 아이들러 기어(14)의 기어비를 고려한 값이다.
도 3은 솔레노이드 밸브(30, 61)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30, 61)는, 지시압을 감소시키면 실압도 작아지지만, 어떤 값을 경계로 지시압을 감소시키더라도 실압이 그다지 변화하지 않게 되는 특성을 갖는다. 솔레노이드 밸브(30, 61)의 응답성이 나빠지기 시작하는 값은 불감대 임계값이라고 부르며, 불감대 임계값보다도 저압측인 불감대 영역에서는, 솔레노이드 밸브(30, 61)의 제어 응답이 악화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운전 조건으로 이 영역도 사용함으로써 오일 펌프(80)의 부하를 줄여서, 무단 변속기(5)가 탑재되는 차량의 연비를 더욱 향상시킨다.
CVT 컨트롤 유닛(2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라이머리 풀리 속도 센서(26)로부터의 무단 변속기(5)의 프라이머리 풀리(10)의 회전 속도와, 세컨더리 풀리 속도 센서(27)로부터의 세컨더리 풀리(11)의 회전 속도(또는 차속)와, 인히비터 스위치(23)로부터의 시프트 위치와,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센서(24)로부터의 액셀러레이터 개방도(액셀러레이터 페달의 조작량)와, 유온 센서(25)로부터의 무단 변속기(5)의 유온을 판독하고,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라이머리압 센서(31)로부터의 프라이머리압과, 세컨더리압 센서(32)로부터의 세컨더리압과, 라인압 센서(33)로부터의 라인압을 판독하고, 변속비 및 벨트(12)의 접촉 마찰력을 제어한다.
CVT 컨트롤 유닛(20)은, 프라이머리 풀리(10)의 회전 속도, 세컨더리 풀리(11)의 회전 속도(차속) 및 드라이버의 운전 의도, 예를 들어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 유무, 주행 레인지, 변속기의 매뉴얼 모드의 변속 스위치의 전환 등에 따라, 목표 변속비 및 목표 변속 속도를 결정하고, 목표 변속 속도로 실제 변속비를 목표 변속비를 향해서 제어하는 변속 제어부(201)와, 입력 토크, 변속비, 변속 속도,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 상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시프트 레인지 등에 따라서, 프라이머리 풀리(10)와 세컨더리 풀리(11)의 추력을 제어하는 풀리압 제어부(202)를 구비한다.
풀리압 제어부(202)는, 입력 토크 정보, 프라이머리 풀리 회전 속도와 세컨더리 풀리 회전 속도에 기초하는 풀리비, 또한 브레이크의 조작 상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시프트 레인지로부터 라인압의 지시압을 결정하고, 지시압과 라인압 센서(33)에서 검출되는 실압과의 편차에 기초하여 라인압이 지시압에 일치하도록 레귤레이터 밸브(60)를 피드백 제어한다. 또한, 풀리압 제어부(202)는, 프라이머리압, 세컨더리압의 지시압을 결정하여, 지시압과 프라이머리압 센서(31), 세컨더리압 센서(32)에서 검출되는 실압과의 편차에 기초하여 프라이머리압, 세컨더리압이 각각 지시압에 일치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30, 61)를 피드백 제어한다.
무단 변속기(5)가 탑재되는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라인압을 내리고, 오일 펌프(80)의 부하를 내리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무단 변속기(5)에의 입력 토크가 비교적 작고, 또한, 변속비가 최하이(최소 변속비)에 있을 때는, 토크 전달을 위한 벨트 끼움 지지력을 낮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라인압을 내리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CVT 컨트롤 유닛(20)은, 이하의 조건:
·무단 변속기(5)의 변속비가 최하이
·무단 변속기(5)로의 입력 회전 속도가 소정의 저회전 속도 이하
·차속이 소정의 높은 차속 이상
이 모두 성립된 경우(예를 들어, 차량이 코스트 주행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라인압을 내리도록 한다.
그러나, 라인압을 내림으로써 프라이머리압이 내려가면, 최하이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차 추력(差 椎力)을 확보하기 위해서, 원래 낮은 세컨더리압을 더 내릴 필요가 있으며, 솔레노이드 밸브(61)의 지시압이 도 3에 도시한 불감대 영역으로 들어갈 가능성이 있다. 지시압이 불감대 영역으로 들어가면, 다운 시프트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 세컨더리압을 올리는 데 시간을 필요로 하여, 요구되는 변속 응답을 실현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CVT 컨트롤 유닛(20)은, 이하에 설명하는 불감대 영역 탈출 제어를 행하고, 불감대 영역 탈출 제어 후, 다운 시프트 요구가 있으면 세컨더리압을 올려서 무단 변속기(5)를 빠르게 다운 시프트할 수 있도록 하여, 요구되는 변속 응답을 실현한다.
도 4는, CVT 컨트롤 유닛(20)이 행하는 불감대 영역 탈출 제어의 내용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도 5는 불감대 영역 탈출 제어가 행해지는 모습을 나타낸 타임차트이다. 이들을 참조하면서 불감대 영역 탈출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S11에서는, CVT 컨트롤 유닛(20)은, 솔레노이드 밸브(61)의 지시압이 불감대 임계값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긍정적인 판단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처리가 S12로 진행하고, 부정적인 판단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처리가 종료된다. 도 5에서는 시각 t1 이후에서, 긍정적인 판단이 이루어지고 있다.
S12에서는, CVT 컨트롤 유닛(20)은, 솔레노이드 밸브(61)의 지시압이 운전 상황이나 토크 변동에 의해, 다운 시프트 지시로는 되지 않는 유압 상승값이며, 불감대 영역 내에서 전회값으로부터 소정값 이상 상승했는지(단위 시간당 변화량이 소정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긍정적인 판단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처리가 S13으로 진행하고, 부정적인 판단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처리가 종료된다. 도 5에서는, 시각 t2부터 시각 t3까지의 사이의 솔레노이드 밸브(61)의 지시압의 변화량이 ΔP이며, 시각 t3에서 변화량 ΔP가 소정값 이상이라고 판단되고 있다.
S13에서는, 불감대에서의 유압 상승으로부터 다운 시프트의 발생을 예측하고, 실제로 다운 시프트가 발생한 경우에 빠르게 유압을 추종시키기 위하여, CVT 컨트롤 유닛(20)은, 불감대 영역의 사용을 금지하고, 지시압의 하한을 불감대 임계값으로 설정한다. 도 5에서는 시각 t3가 대응한다.
S14에서는, CVT 컨트롤 유닛(20)은, 타이머(T)를 스타트시킨다. 타이머(T)는 불감대 영역의 사용이 금지되고 있는 시간 등을 계측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S15에서는, 솔레노이드 밸브(61)의 피드백 제어를 중지한다. 이것은, 후술하는 프리차지와 피드백 제어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5에서는, 시각 t3에서, 솔레노이드 밸브(61)의 지시압이 차지압까지 올라감과 함께, 지시압의 피드백 제어가 중지되고 있다.
또한, S15에서는, CVT 컨트롤 유닛(20)은, 불감대 임계값으로 제한된 후의 솔레노이드 밸브(61)의 지시압을 보정하고, 불감대 임계값보다도 높은 차지압까지 단계적으로 상승시킨다(프리차지). 이에 의해, 세컨더리압을 불감대 임계값 이상까지 빠르게 높일 수 있다.
S16에서는, CVT 컨트롤 유닛(20)은, 타이머(T)가 T1이 되었는지를 판단한다. 타이머(T)가 T1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처리가 S17로 진행하여, 지시압의 프리차지를 종료한다. 타이머(T)가 T1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가 S15로 되돌아가서, 지시압의 프리차지를 계속한다. T1은 실 세컨더리압이 불감대로부터 불감대 임계값까지 확실하게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고, T1은, S13에서 불감대 영역의 사용이 금지되기 직전의 지시압과 세컨더리압의 차가 클수록 큰 값으로 설정된다. 도 5에서는, 시각 t4까지, 지시압의 프리차지가 행해지고 있다. 지시압의 프리차지를 소정 기간 계속시킴으로써 실 세컨더리압을 불감대 임계값 이상까지 확실하게 높일 수 있다.
지시압이 불감대 임계값 이상으로 제한되면, 불감대 영역에서의 유압 상승이 검지되고, 다운 시프트의 발생을 예측하여, 세컨더리압이 불감대 임계값 이상으로 유지된 경우에 있어서, 다운 시프트 요구가 있어도 즉시 세컨더리압을 올릴 수 있어, 변속 요구에 따를 수 있다.
S18에서는, CVT 컨트롤 유닛(20)은, 타이머(T)가 T2가 되었는지를 판단한다. 타이머(T)가 T2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처리가 S19로 진행하여, 피드백 제어를 재개한다. 타이머(T)가 T2가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가 S18에서 대기한다. 도 5에서는 시각 t5까지 지시압의 피드백 제어가 중지된다.
T2는 직전의 프리차지에 의해 실 세컨더리압의 요동이 수용되는 시간에 의해 설정되고 있고, 실험 결과에 의해 설정되고 있다.
S20에서는, CVT 컨트롤 유닛(20)은, 타이머(T)가 T3가 되었는지를 판단한다. 타이머(T)가 T3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처리가 S21로 진행하여, 불감대 영역의 사용을 허가한다. 타이머(T)가 T3가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가 S20에서 대기한다.
T3는 운전성에 의해 설정되는 시간이며, 불감대 영역의 사용 금지와 허가가 반복됨으로써 발생하는 제어 헌팅을 억제하기 위한 시간이다.
불감대 영역의 사용이 허가될 때까지의 동안은, 지시압이 불감대 영역 이상으로 제한되고 세컨더리압이 불감대 임계값 이상으로 유지되므로, 다운 시프트 요구가 있는 경우의 변속 응답성이 확보된다. 도 5에서는, 시각 t6까지 지시압이 불감대 임계값 이상으로 유지되고, 다운 시프트 요구가 있는 경우의 응답성이 확보된다.
S21에서는, CVT 컨트롤 유닛(20)은, 무단 변속기(5)의 변속비가 최하이가 되고 있는 등의 불감대 영역의 사용을 허가하는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하여, 솔레노이드 밸브(61)의 지시압을 다시 불감대 영역까지 내린다.
지시압의 저하 속도에는 제한이 설정되어 있으며, 지시압은 소정의 램프 구배로 내려간다. 이것은, 지시압을 급격하게 내리면, 세컨더리압이 언더슈트되어 너무 내려가서, 벨트 미끄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도 5에서는, 시각 6 이후가 대응한다.
계속해서 상기 제어를 행하는 것에 의한 작용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솔레노이드 밸브(61)의 지시압이 불감대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고, 또한, 솔레노이드 밸브(61)의 지시압이 불감대 영역 내에서 증대한 경우에는, 지시압이 차지압까지 단계적으로 올라간다. 그리고, 그 후, 지시압의 하한이 불감대 임계값으로 제한되어, 일정 기간, 불감대 영역의 사용이 금지된다.
이에 의해, 불감대 영역 사용 중에 다운 시프트의 발생을 예측하고, 세컨더리압을 불감대 임계값까지 높이고, 실제로 다운 시프트 요구를 받아서 세컨더리압을 높일 필요가 발생했다고 하더라도, 세컨더리압을 빠르게 높여서, 요구되는 변속 응답을 확보할 수 있다.
불감대 임계값의 사용이 금지되는 것은 일정 기간만이며, 그 동안에 다운 시프트 요구가 없으면 솔레노이드 밸브(61)의 지시압은 다시 불감대 영역으로 내려가므로, 상기 응답성의 확보와 연비 향상이라고 하는 두가지 요구를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불감대 영역의 사용은, 무단 변속기(5)의 변속비가 최하이이며, 무단 변속기(5)에의 입력 회전 속도가 소정의 저회전 이하이며, 또한, 무단 변속기(5)가 탑재되는 차량의 차속이 소정의 높은 차속 이상인 경우에 허가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필요로 되는 벨트(12)의 끼움 지지력이 비교적 작으므로, 벨트(12)를 미끄러지게 하지 않고 지시압을 불감대 임계값 미만까지 내릴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의한 응답성 악화는, 상기 불감대 영역 탈출 제어에 의해 피할 수 있다.
또한, 차지압의 차지 시간을, 지시압이 증대하기 직전의 지시압과 불감대 임계값의 차가 클수록 길게 설정하도록 했다. 차지압을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필요 최저한의 차지압으로 세컨더리압을 불감대 임계값 이상까지 빠르게 올릴 수 있어, 프리차지가 연비에 미치는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상기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적용예의 일부를 나타낸 데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상기 실시 형태의 구체적으로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예를 들어, 여기에서는 세컨더리 풀리(11)에 공급되는 세컨더리압을 조정하는 솔레노이드 밸브(61)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유압으로 동작하는 유압 디바이스(유압 피스톤, 액추에이터, 클러치, 브레이크 등)에 공급되는 유압을 지시압에 기초하여 조정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이며, 불감대 영역을 사용하는 데 대하여, 본 발명은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본원은 일본 특허청에 2012년 3월 2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2-74966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편입된다.

Claims (6)

  1. 유압으로 동작하는 유압 디바이스에 공급되는 유압을 지시압에 기초하여 조정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이며, 상기 지시압이 불감대 임계값보다도 저압측인 불감대 영역으로 들어가면 상기 지시압의 변화에 대한 실압의 변화의 응답성이 악화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상기 지시압을 지시하는 컨트롤러
    를 구비한 유압 제어 회로이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지시압이 상기 불감대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지시압이 변속비가 변동하지 않을 정도이면서, 또한, 상기 불감대 영역 내에서 증대한 경우에는, 상기 지시압을 상기 불감대 임계값보다도 높은 차지압까지 단계적으로 올리고, 그 후, 상기 지시압의 하한을 상기 불감대 임계값으로 설정하여, 일정 기간, 상기 불감대 영역의 사용을 금지하는, 유압 제어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무단 변속기의 세컨더리 풀리에 공급하는 유압을 조정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이며,
    상기 컨트롤러는, 무단 변속기의 변속비가 최하이이며, 상기 무단 변속기로의 입력 회전 속도가 소정의 저회전 이하이며, 또한, 상기 무단 변속기가 탑재되는 차량의 차속이 소정의 높은 차속 이상인 경우에, 상기 불감대 영역의 사용을 허가하는, 유압 제어 회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차지압의 차지 시간을, 상기 지시압이 증대하기 직전의 상기 지시압과 상기 불감대 임계값의 차가 클수록 길게 설정하는, 유압 제어 회로.
  4. 유압으로 동작하는 유압 디바이스에 공급되는 유압을 지시압에 기초하여 조정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이며, 상기 지시압이 불감대 임계값보다도 저압측인 불감대 영역으로 들어가면 상기 지시압의 변화에 대한 실압의 변화의 응답성이 악화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한 유압 제어 회로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지시압이 상기 불감대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지시압이 변속비가 변동하지 않을 정도이면서, 또한, 상기 불감대 영역 내에서 증대한 경우에는, 상기 지시압을 상기 불감대 임계값보다도 높은 차지압까지 단계적으로 올리고,
    그 후, 상기 지시압의 하한을 상기 불감대 임계값으로 설정하여, 일정 기간, 상기 불감대 영역의 사용을 금지하는,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무단 변속기의 세컨더리 풀리에 공급하는 유압을 조정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이며,
    무단 변속기의 변속비가 최하이이며, 상기 무단 변속기로의 입력 회전 속도가 소정의 저회전 이하이고, 또한, 상기 무단 변속기가 탑재되는 차량의 차속이 소정의 높은 차속 이상인 경우에, 상기 불감대 영역의 사용을 허가하는, 제어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지압의 차지 시간을, 상기 지시압이 증대하기 직전의 상기 지시압과 상기 불감대 임계값의 차가 클수록 길게 설정하는, 제어 방법.
KR1020147026398A 2012-03-28 2013-02-21 유압 제어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KR1015844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74966 2012-03-28
JP2012074966 2012-03-28
PCT/JP2013/054384 WO2013145971A1 (ja) 2012-03-28 2013-02-21 油圧制御回路及びそ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376A true KR20140137376A (ko) 2014-12-02
KR101584474B1 KR101584474B1 (ko) 2016-01-11

Family

ID=49259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6398A KR101584474B1 (ko) 2012-03-28 2013-02-21 유압 제어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62546B2 (ko)
EP (1) EP2833026A4 (ko)
JP (1) JP5830165B2 (ko)
KR (1) KR101584474B1 (ko)
CN (1) CN104204624B (ko)
WO (1) WO20131459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5028B2 (ja) * 2014-09-30 2019-08-28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動力分割式無段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CN107250624B (zh) * 2015-02-19 2019-04-26 加特可株式会社 无级变速器的控制装置
US10247123B2 (en) * 2015-04-30 2019-04-02 Bombardier Recreational Products Inc. Method for engine braking a vehicle having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10408343B2 (en) * 2017-06-30 2019-09-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pump limited stop controls
US11965593B2 (en) * 2020-11-02 2024-04-23 Jatco Ltd Damping pressure supply circuit for pulley pressure control valv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7237A (ja) * 1997-07-16 1999-02-12 Nissan Motor Co Ltd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JP2006029515A (ja) * 2004-07-20 2006-02-02 Toyota Motor Corp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JP2008002483A (ja) * 2006-06-20 2008-01-10 Jatco Ltd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US20090011888A1 (en) * 2007-07-06 2009-01-08 Jatco Ltd Automatic transmission hydraulic pressure control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9802A (ja) * 1989-08-21 1991-04-04 Hitachi Constr Mach Co Ltd 土木・建設機械の油圧駆動装置
JPH06207662A (ja) 1993-01-12 1994-07-26 Mitsubishi Motors Corp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JP3056254B2 (ja) * 1994-04-28 2000-06-26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領域制限掘削制御装置
US6513886B1 (en) * 1996-05-07 2003-02-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Brake system control in which update of wheel speed normalization factors is selectively inhibited
JP3454035B2 (ja) * 1996-09-13 2003-10-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JPH10176746A (ja) * 1996-12-13 1998-06-30 Isuzu Motors Ltd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AU2599901A (en) * 1999-12-27 2001-07-09 Speed Selector, Inc. Variable speed drive system
JP2001330135A (ja) * 2000-05-23 2001-11-30 Toyota Motor Corp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JP3835202B2 (ja) * 2001-05-18 2006-10-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駆動制御装置
JP3657892B2 (ja) * 2001-06-12 2005-06-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4034148B2 (ja) * 2002-08-29 2008-01-16 ジヤトコ株式会社 ベルト式無段変速機
JP3938897B2 (ja) * 2002-09-30 2007-06-27 ジヤトコ株式会社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4317084B2 (ja) * 2004-06-10 2009-08-19 ジヤトコ株式会社 油圧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192846B2 (ja) * 2004-06-11 2008-12-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油圧制御装置
JP4332096B2 (ja) * 2004-10-07 2009-09-16 ジヤトコ株式会社 無段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US7811188B2 (en) * 2007-05-23 2010-10-12 Brown Albert W Mechanical function control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hydraulic system
US8267830B2 (en) * 2005-01-11 2012-09-18 Brown Albert W Combinatio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planetary transmission
JP4799129B2 (ja) * 2005-10-31 2011-10-26 ジヤトコ株式会社 自動車用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JP2009281151A (ja) * 2008-05-19 2009-12-03 Fujitsu Ten Ltd 電子制御装置
WO2010119531A1 (ja) * 2009-04-15 2010-10-21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5846017B2 (ja) * 2012-01-25 2016-01-20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車両用ブレーキ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7237A (ja) * 1997-07-16 1999-02-12 Nissan Motor Co Ltd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JP2006029515A (ja) * 2004-07-20 2006-02-02 Toyota Motor Corp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JP2008002483A (ja) * 2006-06-20 2008-01-10 Jatco Ltd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US20090011888A1 (en) * 2007-07-06 2009-01-08 Jatco Ltd Automatic transmission hydraulic pressure control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30165B2 (ja) 2015-12-09
WO2013145971A1 (ja) 2013-10-03
CN104204624A (zh) 2014-12-10
CN104204624B (zh) 2016-06-01
US9562546B2 (en) 2017-02-07
KR101584474B1 (ko) 2016-01-11
JPWO2013145971A1 (ja) 2015-12-10
EP2833026A1 (en) 2015-02-04
EP2833026A4 (en) 2016-07-13
US20150075360A1 (en) 2015-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2875B2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US7922610B2 (en) Line pressur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belt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EP3168504B1 (en) Lock-up-clutch control device
US7699729B2 (en) Speed ratio chang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belt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101584474B1 (ko) 유압 제어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US9441733B2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a hydraulic control method thereof
US9212732B2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its hydraulic pressure control method
US20190249768A1 (en)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transmission control device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4464994B2 (ja)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US9341263B2 (en) Vehicle control device
US9958063B2 (en) Hydraulic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5376054B2 (ja) 車両用変速制御装置
US20190249774A1 (en) Control device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WO2016076098A1 (ja)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US9080671B2 (en) Continuously-variable transmission and continuously-variable transmission control method
US933495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slip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N110168254B (zh) 无级变速器的控制装置及无级变速器的控制方法
US10837551B2 (en) Control method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s
US11162581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10005445B2 (en)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10265918A (ja)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08101716A (ja) 車両用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JP2011190852A (ja) 車両用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JP2008039154A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における油圧制御装置
KR20160069418A (ko)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슬립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