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7236A -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7236A
KR20140137236A KR1020130057905A KR20130057905A KR20140137236A KR 20140137236 A KR20140137236 A KR 20140137236A KR 1020130057905 A KR1020130057905 A KR 1020130057905A KR 20130057905 A KR20130057905 A KR 20130057905A KR 20140137236 A KR20140137236 A KR 20140137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resent
sulfate
composition according
automo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7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영주
조창렬
이홍기
Original Assignee
극동제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극동제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극동제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7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7236A/ko
Publication of KR20140137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23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30Amines; Substituted amines ; Quaternized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4Hard surfaces
    • C11D2111/18Glass; 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코올, 계면활성제로서 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부식방지제로서 주석산, 아민 또는 아졸계를 포함하는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금속 부식 방지, 고무류 및 플라스틱류에 대한 내구성, 와이퍼 블레이드와유리면의 마찰시 발생하는 소음 및 마모 방지 성능이 향상된 세정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세정액 조성물은 방식성이 우수하면서도 시험편의 무게 변화량 감소, 외관의 이상 변화를 크게 개선시켰으며, 마찰로 인한 소음 및 마모를 방지하는 성능이 매우 우수하며, 자동차 세차시 자동차 유리에 잔존하는 차체 도장면 광택용 왁스의 제거효과가 우수한 유리세정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Compositions for Washer Fluids}
본 발명은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세정액은 그 화학 및 물리적 성질과 관련한 몇 가지 성분들을 필요로 하며 각 성분마다 그 역할이 다르다. 알코올은 세정과 동결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 유리에 부착된 유지를 녹이는 효과가 있다. 계면활성제는 오염물질을 떨어뜨리고 그것의 재부착을 방지함으로써 유리면을 세정시킬 뿐만 아니라 와이퍼 블레이드가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윤활제의 역할도 한다. 기타 첨가제에는 분사장치 내에 존재하는 각종 금속과 분사구 노즐의 부식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갖도록 하는 부식방지제가 첨가된다. 또한 농도 조절을 위해 일정량의 물도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보다 양호한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운전자의 시계 방해물을 막기 위하여 유리에 밀착된 와이퍼를 좌우 회동시켜 비 또는 눈으로 인한 물방울이나 그 밖의 각종 이물질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해주는 와이퍼 장치와 유리의 효과적인 세정을 위하여 상기 자동차 유리 세정액을 분사시켜주는 분사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와이퍼는 와이퍼 암을 구동시키는 모터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의 고무가 유리면에 접촉되어 좌우로 이동되면서 유리를 닦게 되는 것이다. 특히, 유리에 오염물질이 잘 닦이지 않을 때는 세정액 분사장치로 세정액을 분사시켜 찌든 오염물질을 닦도록 되어 있는데,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세정액은 함유된 조성에 따라 유지 성분을 깨끗하게 세정하지 못하여 얼룩이 발생하거나, 한랭지에서 동결현상 발생, 와이퍼 블레이드와 유리면의 접촉 시 소음 및 마모 발생, 세정액을 분사하는 노즐에 부식이 발생하여 외관상 미려하지 못한 점 등의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세정액에 의한 부식 방지나 와이퍼 블레이드와의 마찰시 발생하는 소음과 마모에 대한 방지는 계면활성제 및 부식방지 첨가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은 종래의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에 있어서 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주석산을 포함시켰을 때 기존 세정액에 비교하여 금속 부식 방지, 고무류 및 플라스틱류에 대한 내구성 및 와이퍼블레이드의 마찰 소음 감소 및 마모방지 성능 향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자동차 세차시 자동차 유리에 잔존하는 차체 도장면 광택용 왁스의 제거효과가 우수한 자동차 유리 세정액의 조성물이 제공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알코올, 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금속부식방지제로서 주석산을 포함하는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알코올, 계면활성제로서 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부식방지제로서 주석산을 포함하는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종래의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에 있어서 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주석산을 포함시켰을 때 기존 세정액에 비교하여 금속 부식 방지, 고무류 및 플라스틱류에 대한 내구성, 와이퍼블레이드와의 마찰시 소음의 감소 및 마모방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자동차 세차시 자동차 유리에 잔존하는 차체 도장면 광택용 왁스의 제거효과가 우수한 자동차 유리 세정액의 조성물이 제공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세정액"은 자동차(수송용 차량)에 사용되는 자동차의 전면 유리 세척용 비석유계의 액체로서, 운전 시 운전자의 안전한 시계를 확보하기 위해 사용되는 액상 물질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세정액은 알코올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알코올류는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알코올도 포함한다. 상기 알코올은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이하의 저급 알코올, 탄소수 6 이상의 고급 알코올, 다가알코올 또는 그들의 이성질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합한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펜탄올, 2-펜탄올, 이소펜틸알코올, 2-메틸-2-뷰탄올, 3-메틸-2-뷰탄올, 프로판올, 2-프로판올, 부탄올, 이소부틸알코올, 2-부탄올, 2-메틸-2-프로판올, 헥산올, 시클로헥산올, 벤질알코올, 프로필알코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또는 디프로필렌글리콜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3의 저급 알코올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탄올이다.
상기 알코올의 함량은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20-9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5-70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5-50 중량%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세정액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는 당 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계면활성제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 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들면, 소디움 에틸헥실 설페이트,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소디움 라우릴에테르 설페이트, 소듐 미레스 설페이트, 및/또는 포타슘 라우릴 설페이트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로서 소디움 에틸헥실 설페이트 및/또는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로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 0.05-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3.0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1-1.0 중량%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세정액은 부식방지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부식 방지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부식 방지제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부식방지제는 주석산, 아민 또는 아졸계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세정액은 부식방지제로서 (a) 주석산을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b) 아민, 아졸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 가능한 아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아민계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아민은 바람직하게는 메틸 디에탄올아민,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시클로헥실아민, 모르포린, 페닐 모르포린, 에탄올아민, 디-(2-에틸헥실)아민, 디-N-부틸 아민, 모노아밀 아민, 디아밀 아민, 디옥틸 아민, 살리실 모노에탄올아민 또는 디-베타-나프틸-p-페닐렌 디아민으로부터 선택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이용 가능한 아민 화합물은 메틸디에탄올아민, 모노에탄올아민 또는 트리에탄올아민이다.
본 발명에 이용 가능한 아졸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아졸계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아졸은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 톨리트리아졸, 옥틸트리아졸, 데실트리아졸, 도데실트리아졸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이용 가능한 아졸 화합물은 벤조트리아졸 또는 톨리트리아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부식방지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 0.01-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3.0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1-1.0 중량%이다.
상기 부식방지제로서 주석산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 0.01-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3.0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5-1.0 중량%이다.
상기 부식방지제로서 아민화합물 또는 아민화합물과 아졸 화합물의 혼합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 0.01-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3.0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5-1.0 중량%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은 부식 방지제로서 질산 화합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이용 가능한 질산화합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질산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질산화합물은 질산나트륨, 질산 칼륨, 아질산 리튬, 아질산 나트륨, 아질산 칼슘 또는 아질산 칼륨으로부터 선택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이용 가능한 질산 화합물은 아질산 나트륨이다.
상기 추가 부식방지제로서 질산 화합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 0.01-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3.0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5-1.0 중량%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은 농도조절을 위한 물을 포함한다. 상기 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 10-8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70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0-60 중량%이다.
알코올, 계면활성제로서 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부식방지제로서 주석산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에서, 바람직한 함량은 알코올 25-50 중량%, 계면활성제 0.01-1.0 중량%, 부식방지제 0.01-1.0 중량% 및 물 30-60 중량%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0.00-0.10 mg/cm2, 바람직하게는 0.00-0.07 mg/cm2의 알루미늄에 대한 장기금속부식도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장기금속부식도"는 KS M 2163규격에 따른 금속부식 시험 방법을 통하여 50℃, 120 시간 조건에서 측정된,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이 자동차를 구성하는 금속에 미치는 영향성에 대한 척도를 의미한다. 장기금속부식도는 1cm2당 mg 단위의 중량 변화로 측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0.00-0.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0.10 중량%의 천연고무에 대한 중량변화도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천연고무에 대한 중량변화도"는 KS M 2163규격에 따른 고무에 대한 영향성 시험을 통해 측정된,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이 자동차를 구성하는 고무에 미치는 영향성에 대한 척도를 의미한다. 천연고무에 대한 중량변화도는 고무의 중량변화율%로 측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0.08-0.20 mg/cm2의 폴리에틸렌수지 및 폴리프로필렌수지에 대한 중량변화도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폴리에틸렌수지에 대한 중량변화도" 또는 "폴리프로필렌수지에 대한 중량변화도"는 KS M 2163규격에 따른 플라스틱에 대한 영향성 시험을 통해 측정된,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이 자동차를 구성하는 플라스틱에 미치는 영향성에 대한 척도를 의미한다. 폴리에틸렌수지에 대한 중량변화도 및 폴리프로필렌수지에 대한 중량변화도는 1cm2당 mg 단위의 중량 변화로 측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왁스 코팅된 유리에 대하여 20% 이하(구체적으로, 0-20%)의 소음발생도를 갖는다.
본 명세서 상에서 사용된 용어 “소음발생도”는 왁스(구체적으로, 세차시 사용되는 실링왁스)를 자동차 전면 유리에 도포한 다음 1시간 동안 자연건조 시키고, 시료를 살수 방식으로 뿌리면서 와이퍼 블레이드를 20회 작동시켜 소음이 발생하는지 여부에 대하여 시험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여 측정된 값으로서, 총 5회 진행하여 [(소음이 발생한 횟수)/5]×100 의 수식을 통하여 계산되는 파라미터이다. 예컨대 5회 시험 중 5회 모두 소음이 발생한 경우 소음발생도는 100%이고, 5회 시험 중 소음이 한 차례도 발생하지 않는 경우의 소음발생도는 0%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왁스 코팅된 유리에 대하여 20-50%의 왁스 세정성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왁스 세정성”은 왁스를 자동차 전면 유리에 도포한 다음 1시간 동안 자연건조 시키고, 시료를 살수 방식으로 뿌리면서 와이퍼 블레이드를 20회 작동시켜 자동차 전면 유리에 발수 및 친수현상을 관찰하여 친수성을 나타내는 면적비(%)를 측정하는 시험을 총 5회 진행하여, 각각 측정된 친수성을 나타내는 면적비의 평균으로 나타내어지는 파라미터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 유리 세정액은 금속 재질에 대한 장기 금속 부식성과 고무류 및 플라스틱류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와이퍼블레이드와 유리면의 마찰시 발생하는 소음 및 마모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소음 방지 및 마모 방지 성능을 향상시켰다. 또한, 자동차 세차시 자동차 유리에 잔존하는 차체 도장면 광택용 왁스의 제거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의 세정액 조성물은 알코올, 계면활성제로서 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부식방지제로서 주석산, 아민 또는 아졸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b) 본 발명의 세정액 조성물은 금속 부식 방지 성능이 향상된 세정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c) 본 발명의 세정액 조성물은 고무류 및 플라스틱류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된 세정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d) 본 발명의 세정액 조성물은 와이퍼 블레이드와 유리면의 마찰시 발생하는 소음 및 마모 방지 성능이 향상된 세정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e) 본 발명의 세정액 조성물은 방식성이 우수하면서도 시험편의 무게 변화량 감소, 외관의 이상 변화를 크게 개선시켰으며, 마찰로 인한 소음 및 마모를 방지하는 성능이 매우 우수하다.
(f) 본 발명의 세정액 조성물은 자동차 세차시 자동차 유리에 잔존하는 차체 도장면 광택용 왁스의 제거효과가 우수한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제조예
다음 표 1의 조성으로 본 발명인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1
표 1의 조성에 따라 각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각 성분을 상온(25℃)에서 1시간 교반 및 혼합하고, 정밀여과방법(10 ㎛)으로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험예의 자동차 유리 세정액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표 1)에 대하여 (a) 금속 부식시험, (b) 도막, 고무, 플라스틱 영향성시험, (c) 와이퍼 블레이드의 세정성, 소음발생 및 마모상태시험, (d) 왁스가 코팅된 유리면에 대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떨림, 소음발생 및 왁스 세정성시험을 진행하여 성능 평가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 표 2-6에 나타나 있다.
조성물 함량에 따른 장기금속부식성 시험 (50℃ × 120 hr )
Figure pat00002
장기내구성에 대한 자동차 유리 세정액의 우수성을 평가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시험을 실시하였다. 금속부식 시험은 KS M 2163규격에 따라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50℃에서 120 시간 이후의 결과를 관찰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장기내구 부식성 평가 결과 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주석산이 함유된 자동차 유리 세정액의 무게 변화량이, 비교예(즉,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주석산이 포함되지 않은 자동차 유리 세정액)와 비교하여 우수하였다. 또한 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주석산이 함유된 자동차 유리 세정액에서는 부식이 일어나지 않았으나 비교예 1, 2, 5 및 6에서 알루미늄과 아연도금판의 부식이 일어났다. 이로써 본 발명의 주석산 및 설페이트 음이온성계 계면활성제가 금속부식 방지성능을 향상시켰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조성물 함량에 따른 도막, 고무 및 플라스틱에 대한 영향성 시험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내구성에 대한 자동차 유리 세정액의 우수성을 평가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세부 항목들에 대한 각각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KS M 2163규격에 따라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a) 도막에 대한 영향성, b) 고무에 대한 영향성 및 c) 플라스틱에 대한 영향성을 각각 수행하고 그 결과를 관찰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 표 3 및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내구성 세부 항목들에 대한 평가 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a) 도막에 대한 영향성은 자동차 유리 세정액 분사시 자동차 유리 세정액이 차량의 유리 외에 자동차의 본체 도막에도 묻게 되는데, 이때 자동차 본체 도막에 묻어있는 자동차 유리 세정액이 건조되는 과정에서 자동차 본체 도막에 얼룩 또는 도막 부풀음 현상 발생 여부를 50℃에서 6시간 동안 확인하였다. 그 결과 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주석산이 함유된 자동차 유리 세정액에서는 얼룩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비교예 1 내지 4에서 얼룩이 발생하였다.
b) 고무에 대한 영향성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고무가 유리에 접촉되어 좌우로 이동되면서 불순물을 닦게 되는데, 이때 접촉에 의한 무게 변화량 및 외관 변화를 50℃에서 120 시간동안 확인하였다. 그 결과 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주석산이 함유된 자동차 유리 세정액에서는 무게변화량이 비교예들에 비해 우수하였으며, 외관 또한 변화없이 우수하게 유지되었으나 비교예 1 내지 4에서는 외관상 미세크랙이 발생하였다.
c) 플라스틱에 대한 영향성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플라스틱이 유리에 접촉되어 좌우로 이동되면서 불순물을 닦게 되는데, 이때 접촉에 의한 무게 변화량 및 외관 변화를 50℃에서 120 시간 동안 확인하였다. 그 결과 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주석산이 함유된 자동차 유리 세정액에서는 무게변화량이 비교예들에 비해 우수하였으며, 외관 또한 변화 없이 우수하게 유지되었으나 비교예 1 내지 4에서는 외관상 미세크랙이 발생하였다.
이로써 본 발명의 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주석산이 내구성능을 향상시켰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조성물 함량에 따른 세정성, 소음발생 및 블레이드 마모 시험
Figure pat00005
와이퍼블레이드에 대한 자동차 유리 세정액의 우수성을 평가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세부 항목들에 대한 각각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KS M 2163규격에 따라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a) 세정성, b) 소음발생 및 c) 마모상태를 측정하는 시험을 각각 수행하고 그 결과를 관찰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세부 항목들에 대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a) 세정성은 자동차의 유리를 깨끗하게 닦고 건조상태에서 자동차 유리 세정액을 분사 후 대조액과의 명시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주석산이 함유된 자동차 유리 세정액과 비교예 모두 이상없이 동등 수준의 결과치를 나타내었다. 이는 본 발명의 조성물 첨가 종류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b) 소음발생은 자동차의 유리를 깨끗하게 닦고 건조 상태에서 자동차 유리 세정액을 분사하고 와이퍼블레이드를 작동시켜 이때 발생하는 소음 여부를 관찰하였다. 20 번씩 총 5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주석산이 함유된 자동차 유리 세정액에서는 소음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비교예 1 내지 4에서는 2 회 내지 3회 소음이 발생하였다.
c) 마모상태는 자동차의 유리를 깨끗하게 닦고 건조 상태에서 자동차 유리 세정액을 분사하고 와이퍼블레이드를 작동시켜 이때 발생하는 마모 여부를 관찰하였다. 20 번씩 총 5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주석산이 함유된 자동차 유리 세정액에서는 마모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비교예 1 내지 4에서는 마모가 발생하였다.
이로써 본 발명의 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주석산이 와이퍼 블레이드의 세정성, 소음발생 및 마모에 대한 성능을 향상시켰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조성물 함량에 따른 왁스 코팅된 유리면에 대한 블레이드 떨림, 소음발생, 왁스 세정성 시험
Figure pat00006
하기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a) 블레이드 떨림, b) 소음발생 및 c) 왁스 세정성을 측정하는 시험을 각각 수행하고 그 결과를 관찰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 표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세부 항목들에 대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a) 블레이드 떨림은 자동차 전면유리에 세차기용 실러왁스(불스원사 제품)를 도포한 다음 1시간 동안 자연건조 시켰으며, 왁스 코팅에 대한 정확한 시험을 위해 물을 살수 방식으로 뿌리면서 와이퍼 블레이드를 작동시켜 이때 발생하는 떨림여부에 대한 시험을 먼저 실시한 다음 와셔액 평가를 진행하였다. 20번씩 총 5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물에서는 심한 떨림이 발생하였고, 비교예 1 내지 4에서도 블레이드 떨림이 발생하였으며, 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주석산이 함유된 자동차 유리 세정액에서는 블레이드 떨림이 발생하지 않았다. 이로써 본 발명의 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주석산이 와이퍼 블레이드의 떨림현상을 저감시켰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b) 소음발생은 자동차 전면유리에 세차기용 실러왁스(불스원사 제품)를 도포한 다음 1시간 동안 자연건조 시켰으며, 왁스 코팅에 대한 정확한 시험을 위해 물을 살수 방식으로 뿌리면서 와이퍼 블레이드를 작동시켜 이때 발생하는 소음발생여부에 대한 시험을 먼저 실시한 다음 와셔액 평가를 진행하였다. 20 번씩 총 5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물에서는 5회 시험에 걸쳐 계속하여 소음이 발생하였고, 비교예 1 내지 4, 7 및 8에서 5회 시험 중 2회 내지 5회 소음이 발생하였으며, 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주석산이 함유된 자동차 유리 세정액에서만 소음이 발생하지 않았다.
c) 왁스 세정성 시험은 자동차 전면유리에 세차기용 실러왁스(불스원사 제품)를 도포한 다음 1시간 동안 자연건조 시켰으며, 왁스코팅에 대한 정확한 시험을 위해 물을 살수 방식으로 뿌리면서 와이퍼 블레이드를 작동시켜 이때 왁스제거율에 대한 시험을 먼저 실시한 다음 와셔액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20 번씩 총 5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왁스 세정성 유무는 자동차 전면유리에 물을 살수하여 발수 및 친수현상으로 비교하였으며 전면유리에 친수성을 나타내는 면적비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 물에서는 왁스제거율이 0%로 나타났으며, 비교예 1 및 2에서는 왁스 제거율이 5~8%로 나타났으며, 술폰산염계 음이온 계면활성제에서는 왁스제거율이 9~10%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예 5 및 6에서는 왁스제거율이 15%로 나타난 반면, 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주석산이 함유된 자동차 유리 세정액에서 왁스제거율이 25-45%로 나타나 본 발명의 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주석산이 전면유리의 왁스를 가장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금속 부식 방지 성능, 고무류 및 플라스틱류에 대한 내구성, 와이퍼 블레이드와 유리면의 마찰시 발생하는 소음 및 마모 방지 성능, 차체도장 광택용 왁스로 인한 오염 제거효과가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a) 알코올, (b) 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c) 금속부식방지제로서 주석산을 포함하는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디움 에틸헥실 설페이트,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소디움 라우릴에테르 설페이트, 소듐 미레스 설페이트 및 포타슘 라우릴 설페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페이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디움 에틸헥실 설페이트 및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금속부식 방지제로서 아민, 아졸 또는 그의 혼합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은 메틸디에탄올아민, 모노에탄올아민 또는 트리에탄올아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아졸은 벤조트리아졸, 톨리트리아졸, 옥틸트리아졸, 데실트리아졸 또는 도데실트리아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금속부식 방지제로서 질산 화합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0.00-0.07 mg/cm2의 알루미늄에 대한 장기금속부식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0.05-0.10 중량%의 천연고무에 대한 중량변화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0.08-0.20 mg/cm2의 폴리에틸렌수지 및 폴리프로필렌수지에 대한 중량변화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왁스 코팅된 유리에 대하여 20% 이하의 소음발생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
  12. 제 1 항 내지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왁스 코팅된 유리에 대하여 20-50%의 왁스 세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
KR1020130057905A 2013-05-22 2013-05-22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 KR201401372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905A KR20140137236A (ko) 2013-05-22 2013-05-22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905A KR20140137236A (ko) 2013-05-22 2013-05-22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236A true KR20140137236A (ko) 2014-12-02

Family

ID=52457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7905A KR20140137236A (ko) 2013-05-22 2013-05-22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72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2750B1 (ko) 2018-05-31 2019-03-20 신성씨앤디(주) 기능성 세정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27273B1 (ko) * 2021-01-04 2021-03-12 주식회사 지디원 세정 및 코팅기능이 강화된 그래핀이 포함된 자동차 세정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2750B1 (ko) 2018-05-31 2019-03-20 신성씨앤디(주) 기능성 세정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27273B1 (ko) * 2021-01-04 2021-03-12 주식회사 지디원 세정 및 코팅기능이 강화된 그래핀이 포함된 자동차 세정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5804B2 (en) Vehicle-glass cleaning fluid composition comprising anionic surfactant and tartaric acid
KR20140137236A (ko)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
US7384902B2 (en) Metal brightener and surface cleaner
JPWO2002047883A1 (ja) 洗浄剤
CN104450234A (zh) 一种环保的汽车玻璃水
KR100527924B1 (ko) 자동차용 유리 세정액 조성물
JP6013132B2 (ja) 有機酸洗浄用の腐食抑制液及び当該腐食抑制液を用いた金属の洗浄方法
CN106635470A (zh) 车身表面免水清洁去污防污保护喷剂及其制备方法
CN104498226A (zh) 一种车辆用玻璃水
US20100267862A1 (en) Methods of preventing frost formation and facilitating the removal of winter precipitation relative to a windshield and compositions for use therein
JP2002121598A (ja) 工業用洗浄剤
JP2005514493A (ja) 運搬手段の外部表面の洗浄剤
JP2005514493A6 (ja) 運搬手段の外部表面の洗浄剤
JP6064144B2 (ja) 硬表面洗浄剤組成物
WO1992022632A1 (en) Water-repellent window washing liquid for automobile
CN114258426A (zh) 拒水涂层的施加性良好的洗车机用发泡清洗剂
KR20040090674A (ko) 자동차용 유리 세정액 조성물
EP2925844B1 (en) Cleaning composition and use thereof
CN114164062B (zh) 一种水性柏油清洁剂及其制备方法
KR20110052303A (ko) 자동차용 창유리 세정액
AU2008200998A1 (en) Car wash system
US20150225673A1 (en) Cleaning composition for hard surfaces
WO2017106186A1 (en) Aqueous polishing slurry
KR100569457B1 (ko)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
WO2021033717A1 (ja) 撥水コートのかかりがよい洗車機用発泡洗浄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