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7924B1 - 자동차용 유리 세정액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유리 세정액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7924B1
KR100527924B1 KR10-2003-0079521A KR20030079521A KR100527924B1 KR 100527924 B1 KR100527924 B1 KR 100527924B1 KR 20030079521 A KR20030079521 A KR 20030079521A KR 100527924 B1 KR100527924 B1 KR 100527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cleaning liquid
liquid composition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9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5447A (ko
Inventor
박주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9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924B1/ko
Publication of KR20050045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5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9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30Amines; Substituted amines ; Quaternized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65Polyhydr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3Solvents
    • C11D2111/18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유리 세정액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유리에 적용할 경우 유기물질의 제거와 겨울철 동결방지에 효과가 우수한 메탄올을 용제로 첨가하고, 또한 글리세린, 계면활성제, 벤조트리아졸, 주석산 및 트리에탄올아민을 적정량 첨가하여 유리 세정액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자동차 유리의 도장면과 와이퍼 블레이드 등 주변부품을 손상시키지 않고, 물과 희석시 백색침전물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세정액 분사시 선명한 시야확보와 잔류된 와셔액으로 인한 소음방지 성능 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유리 세정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유리 세정액 조성물{A composition of cleaning solution for wind shield glass}
본 발명은 자동차용 유리 세정액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유리에 적용할 경우 유기물질의 제거와 겨울철 동결방지에 효과가 우수한 메탄올을 용제로 첨가하고, 또한 글리세린, 계면활성제, 벤조트리아졸, 주석산 및 트리에탄올아민을 적정량 첨가하여 유리 세정액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자동차 유리의 도장면과 와이퍼 블레이드 등 주변부품을 손상시키지 않고, 물과 희석시 백색침전물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세정액 분사시 선명한 시야확보와 잔류된 와셔액으로 인한 소음방지 성능 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유리 세정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유리는 통기성이나 흡수성을 전혀 갖지 않고 빛의 투과성만을 갖는 치밀한 구조의 비결정성 고체로 그 표면은 내부와 달리 성형도중 휘발성 물질의 휘산과 보관중의 풍화 및 침식에 의해 나트륨(Na)과 붕소(B) 등의 농도가 떨어지고 이산화규소층이 생겨 알칼리에 의해 이산화규소가 파괴되고 유리표면의 일부가 떨어져나감으로써 침식이 반복되거나 물을 함유한 규산층에서 물이 건조되면 미세한 균열이 발생하기도 하여 미세한 다공질 구조로 변하게 된다. 이로인해 유리의 표면층에는 대기중의 먼지입자, 매연, 유지류들이 손쉽게 흡착, 확산 및 침투되어 오염막을 형성하게 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리표면이 치밀함은 상실되어 물이나 천을 이용해 닦아도 쉽게 제거되지 않는 두터운 오염막을 이루게 된다.
특히 자동차 창유리의 경우는 대기 중의 오염외에 자동차용 왁스 등의 원료로 사용되는 유지, 실리콘 오일, 수지류 등이 흡착되어 강우시나 야간주행시에 구름막을 형성하거나 빛을 굴절시켜 시계를 차단함으로써 사고를 유발할 수도 있다.
자동차 앞유리가 오염될 때 확실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세정액 이 사용되어 지고 있다. 이때 세정액의 이물질 제거성능과 동결방지 성능이 부족하게 되면 운전자는 시야확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운전시 상당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세정액의 세정성능은 확실하다 하더라도 그 액으로 인하여 도장면이나 와이퍼 블레이드 등 주변부품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고, 분사된 세정액은 곧바로 증발하면서 그 자국을 남겨 시야를 방해하고 와이퍼 작동시 소음을 일으키기도 한다.
종래 자동차용 앞유리 세정액은 인산염이나 액체로 된 유기첨가제에 메탄올 등을 사용하여 경수와 희석 사용시 백색 침전물이 발생하여 분사노즐을 막히게 하거나 도장면 오염과 와이퍼 블레이드 등 주변부품을 손상시키고, 분사된 와셔액 중 증발하고 남은 유기첨가제 및 분말첨가제가 앞유리에 남아 운전자의 시야를 나쁘게 하고, 와이퍼 작동시 소음을 발생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었다.
종래의 자동차 유리에서 오염막 제거를 위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강알칼리나, 산성세제, 연마제함유세제, 지방족계 용제와 계면활성제의 혼용세제, 수용성 계면활성세제, 저급 알콜과 다가 알콜류를 함유하는 세제 등이 있으며, 그 중 알칼리 세제는 일본 공개 특허 소60-260700호 등에서와 같이 가성 알칼리를 유호성분 무게비로 약 5중량부로 계면활성제나 다른 보조성분과 같이 사용한 것으로 보통 오염막의 제거효과는 좋으나 세정후 표면의 전기적 불안정성과 부식성이 큰 문제점이 있으며, 연마제 함유세제는 일본 특허공개 소60-96697호 및 60-133100호 등에서와 같이 주로 실리카를 사용하고 있으나 분산성이 좋지 않고 문질러서 오염을 제거시켜야 하는 불편함과 주행중에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지방족계 용제와 계면활성제 혼용세제는 일본특허공개 소55-102698호 등에서와 같이 보통 자동차용 왁스의 원료로서 필수적인 실리콘 오일등이 유리표면에 부착될 때 사용되는데 세정효과가 뛰어나지만 차량도장의 손상에 대한 위험성이 크고, 세제처리시 오염막이 파괴되어 분산되면서 오히려 오염막을 넓은 부위로 확산시켜 수용성 계면활성제 함유 세제의 재 처리가 요구되는 등의 취급상의 불편함이 있어 주행중에 사용하기 어렵다. 이러한 종래의 오염막 제거방법 외에 미국 특허 제3463735호나 일본특허공개 소57-168218호, 소58-145798호 등에서와 같이 가장 오랫동안 이용되고 있는 수용성 계면활성제와 저급알콜 및 에테르를 단독 또는 혼용한 세제는 유리표면에 흡착된 오염막에 흡착 및 침투하여 계면활성제의 세정과정을 거쳐 오염물질을 제거한 뒤 활성피막을 유리표면에 침투시킨 형태로 되어 있으며 자동차의 주행중에도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반화된 방법이다. 그러나, 유리표면에 대한 흡착효과가 크지않고 수지류가 오일이 함유된 오염의 경우 용해 제거하는데 많은 양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향상시킨 흡착효과가 오히려 탈락된 오염의 재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유리 세정액의 조성물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더 나은 성능을 가지는 세정액을 만들고자 노력한 결과, 유기물질의 제거와 겨울철 동결방지에 효과가 우수한 메탄올을 용제로 첨가하고, 또한 글리세린, 계면활성제, 벤조트리아졸, 주석산 및 트리에탄올아민을 적정량 첨가하면 첨가제들의 상승효과로 주변 부품 손상을 억제하면서 세정특성은 우수하다는 사실을 알게 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장면과 와이퍼 블레이드 등 주변부품을 손상시키지 않고, 물과 희석시 백색침전물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세정액 분사시 선명한 시야확보와 잔류된 와셔액으로 인한 소음방지 성능 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유리 세정액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메탄올 40 ∼ 60 중량%, 글리세린0.5 ∼ 1.3 중량%, 계면활성제 0.05 ∼ 0.15 중량%, 벤조트리아졸 0.1 ∼ 0.3 중량%, 주석산 0.1 ∼ 1.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5 ∼ 1.5 중량% 및 이온교환수가 잔여량 함유된 자동차용 유리 세정액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유리 세정성능과 겨울철 동결방지 성능, 그리고 와이퍼 작동시 소음을 방지하는 성능을 갖는 자동차용 유리 세정액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앞유리를 오염시키는 여러가지의 오염물질을 신속하게 제거 시킬 뿐만 아니라 와이퍼 작동후 잔류된 와셔액이 흘러내려 건조된 후 자국을 남기고 이것으로 인한 소음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는 유리 세정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세정액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서 용제로 사용하는 메탄올은 유리의 오염물질중 유기물질의 제거와 겨울철 동결방지에 효과가 뛰어나며, 그 함량은 조성물 중에 40 ∼ 60 중량% 함유하며, 만일 그 함량이 40 중량% 미만이면 오염물질의 제거성능과 동결방지 성능이 떨어지고, 60 중량%를 초과하면 화재의 우려가 있고 분사시 증발시간이 빨라 세정성에 지장을 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메탄올 외에도 여러 첨가제를 함께 사용하여 세정액의 성능을 효과적으로 창출하는데, 이들 서로간의 상승효과로 인하여 보다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게 된다.
이러한 첨가제로는 글리세린0.5 ∼ 1.3 중량%, 계면활성제 0.05 ∼ 0.15 중량%, 벤조트리아졸 0.1 ∼ 0.3 중량%, 주석산 0.1 ∼ 1.0 중량% 및 트리에탄올아민 0.5 ∼ 1.5 중량%을 사용한다.
상기 글리세린은 겨울철 와셔액 분사시 앞유리의 동결을 방지하고,보습과 윤활효과가 뛰어나며, 와이퍼 블레이드의 마모방지와 윤활역할을 하는데, 그 함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1.3 중량%를 초과하면 유리의 유막이 너무 두껍게 되어 시야를 흐리게 할 뿐만 아니라 세정성능 또한 감소시킨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통상적인 것으로 예를 들면 비이온계 폴리옥시에틸렌 부틸에테르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이 0.05 중량% 미만이면 오염물질의 제거가 어렵고, 0.15 중량%를 초과하면 저장시 침전물이 발생하고 과다한 기포가 발생되어 사용이 어려워진다.
상기 벤조트리아졸은 부식방지제의 역할을 하며, 만일 그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시스템내 동계부품의 부식방지에 어려움이 있으며, 0.3 중량%를 초과하면 침상으로 석출되거나, 아연으로 된 부품에 부식을 일으킬 수가 있다.
상기 주석산은 그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냉각시스템 중 철계부품의 방식에 어려움이 있으며, 1.0 중량%를 초과하면 와이퍼 블레이드의 마모와 작동시 소음을 일으킨다.
상기 트리에탄올아민은 그 함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윤활성능과 철계부품의 방청성능을 기대하기 어렵고, 1.5 중량%를 초과하면 와셔액의 건조시 잔유물로 남아 유리의 흐림과 와이퍼 작동시 소음을 일으킨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액에 희석액으로 사용되는 물은 이온교환수를 잔여량으로 사용하여 세정액을 완성한다.
위와 같은 조성 및 함량으로 구성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유리 세정액 조성물은 글리세린등의 보습제와 주석산,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성분들을 적절히 함유시킴으로써, 와이퍼 작동시 소음과 시야확보, 주변부품 수명연장 등의 장점이 있으므로 자동차용 유리 세정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2
다음 표 1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으로 자동차용 유리 세정액을 제조하였으며, 그 제조방법은 통상적인 유리 세정액 제조방법에 따랐다. 여기서, 비교예 1 ∼ 2는 기존의 기술로 제조된 앞유리 세정액에 해당한다. 여기서 사용된 계면활성제로서는 비이온계 폴리옥시에틸렌 부틸에테르를 사용하였다.
성분(중량%)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메탄올 55 54 53 45 48
글리세린 0.8 0.9 1.1 - -
계면활성제 0.12 0.11 0.13 0.3 0.2
벤조트리아졸 0.2 0.2 0.2 0.02 0.03
주석산 0.5 0.5 0.5 - -
트리에탄올아민 1.1 1.2 1.2 - -
인산염 - - - 0.1 0.2
아질산소다 0.1 0.1
이온교환수 42.28 43.09 43.87 54.48 51.47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2에서 제조된 자동차용 유리 세정액 조성물에 대하여 KSM 2163(자동차용 윈드실드 와셔액)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으며, 소음성 및 와이퍼 블레이드 마모상태관찰을 평가하기 위하여 와셔액을 앞유리에 1회 분사시킨 후 와이퍼를 30회 작동하여 소음발생유무와 블레이드의 마모상태를 확인하였다..
시험항목 시험결과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세정성 양호 양호 양호 얼룩 얼룩
혼합성 양호 양호 양호 침전 침전
가열안정성 양호 양호 양호 침전 침전
도막의영향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얼룩발생 얼룩발생
고무에대한영향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미세크랙 미세크랙
플라스틱에대한영향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미세크랙 미세크랙
금속부식(무게감량)mg/㎠ 알루미늄 0.001 0.01 0.03 -0.7(부식) -1.5(부식)
황동 0.01 0.02 0.01 0.6 0.5
아연도금 0.04 0.03 0.02 -1.1(부식) -1.4(부식)
소음발생유무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15회발생 17회발생
블레이드의 마모상태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마모됨 마모됨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탄올 용제와 특정의 첨가제를 사용한 실시예 1 ∼ 3이 기존의 성분으로 제조한 비교예 1 ∼ 2에 비하여 세정성, 혼합성, 가열안정성, 금속부식 및 도막, 고무, 플라스틱에 대한 영향 등의 여러 물리적 특성 모든 면이 향상된 효과를 보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세정성능과 겨울철 동결방지 성능이 향상되어 차창 시야를 맑게 하고, 안전운전에 기여함은 물론 실리카등 연마제가 함유되지 않으므로 주행중 유리창 세정액으로 사용할 수 있고 인산염을 포함할 필요가 없어 액체의 상분리가 일어나지 않고 투명상을 유지하는 특장점을 가진다.

Claims (1)

  1. 메탄올 40 ∼ 60 중량%, 글리세린0.5 ∼ 1.3 중량%, 계면활성제 0.05∼ 0.15 중량%, 벤조트리아졸 0.1 ∼ 0.3 중량%, 주석산 0.1 ∼ 1.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5 ∼ 1.5 중량% 및 이온교환수가 잔여량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리 세정액 조성물.
KR10-2003-0079521A 2003-11-11 2003-11-11 자동차용 유리 세정액 조성물 KR100527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521A KR100527924B1 (ko) 2003-11-11 2003-11-11 자동차용 유리 세정액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521A KR100527924B1 (ko) 2003-11-11 2003-11-11 자동차용 유리 세정액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447A KR20050045447A (ko) 2005-05-17
KR100527924B1 true KR100527924B1 (ko) 2005-11-09

Family

ID=37245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9521A KR100527924B1 (ko) 2003-11-11 2003-11-11 자동차용 유리 세정액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792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686A (ko) 2016-12-06 2018-06-15 소순영 태양광 패널유리 세정제 조성물
KR20180064736A (ko) 2016-12-06 2018-06-15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광 패널유리 세정제 조성물
KR101932750B1 (ko) 2018-05-31 2019-03-20 신성씨앤디(주) 기능성 세정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61046A (ko) 2019-11-19 2021-05-27 장보고 차량용 점착식 유막제거 시트
KR20210085783A (ko)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태우 태양광 패널용 유리 세정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810B1 (ko) * 2008-03-18 2008-10-16 (주)포비스 도색필름을 이용한 자동차 도색방법.
KR101228881B1 (ko) * 2011-08-29 2013-03-05 주식회사 단석산업 자동차용 창유리 세정액 조성물
KR101358448B1 (ko) * 2011-11-23 2014-02-06 극동제연공업 주식회사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주석산을 포함하는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
KR102226335B1 (ko) 2013-08-21 2021-03-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관오일의 전처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686A (ko) 2016-12-06 2018-06-15 소순영 태양광 패널유리 세정제 조성물
KR20180064736A (ko) 2016-12-06 2018-06-15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광 패널유리 세정제 조성물
KR101932750B1 (ko) 2018-05-31 2019-03-20 신성씨앤디(주) 기능성 세정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61046A (ko) 2019-11-19 2021-05-27 장보고 차량용 점착식 유막제거 시트
KR20210085783A (ko)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태우 태양광 패널용 유리 세정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447A (ko) 200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11010B1 (en) Vehicle-glass cleaning fluid composition comprising anionic surfactant and tartaric acid
CN102807924A (zh) 一种汽车挡风玻璃清洁剂
KR100527924B1 (ko) 자동차용 유리 세정액 조성물
US7381695B2 (en) Tire wheel cleaner comprising an ethoxylated phosphate ester surfactant
CN113105952A (zh) 一种汽车玻璃清洁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00077013A (ko) 자동차 유리용 유막제거제 조성물
CN116769541A (zh) 一种干洗剂及其制备方法
CN104450234A (zh) 一种环保的汽车玻璃水
JP3973808B2 (ja) 1液式水系撥水処理剤及び2液式水系撥水処理剤並びに無機材表面の撥水処理方法
CN105733844A (zh) 一种浓缩无泡沫型汽车玻璃清洗液及其制备方法
JP2002121598A (ja) 工業用洗浄剤
US8123975B2 (en) Methods of preventing frost formation and facilitating the removal of winter precipitation relative to a windshield and compositions for use therein
KR20040090674A (ko) 자동차용 유리 세정액 조성물
CN113214917A (zh) 一种防冻型汽车玻璃清洁剂及其制备方法
KR100569457B1 (ko)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
CN109666546B (zh) 光学玻璃清洗剂
CN106701371A (zh) 一种环保全能型玻璃水
KR100199605B1 (ko) 자동차 앞유리 세척액 조성물
CA2237584C (en) Surface treatment solution and method of application
US7390773B2 (en) Tire wheel cleaner comprising a dialkyl sulfosuccinate and ethoxylated phosphate ester surfactant mixture
CN109207279A (zh) 一种汽车玻璃用防雾防冻清洁剂
WO1992022632A1 (en) Water-repellent window washing liquid for automobile
KR19980027825A (ko) 자동차 창유리 세정제 조성물
JPH10147794A (ja) 自動車用洗浄剤
JP2021187884A (ja) ガラス用洗浄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