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6761A - 필름 정렬 장치 - Google Patents

필름 정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6761A
KR20140136761A KR1020130057247A KR20130057247A KR20140136761A KR 20140136761 A KR20140136761 A KR 20140136761A KR 1020130057247 A KR1020130057247 A KR 1020130057247A KR 20130057247 A KR20130057247 A KR 20130057247A KR 20140136761 A KR20140136761 A KR 20140136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upport
rotatably coupled
cylinder
pr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7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8145B1 (ko
Inventor
유정화
이승준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7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145B1/ko
Priority to TW102132401A priority patent/TWI603423B/zh
Priority to CN201310412364.6A priority patent/CN104183530B/zh
Publication of KR20140136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ositioning, orientation or align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50Forming devices by joining two substrates together, e.g. lamination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필름 정렬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름 정렬 장치는 필름이 안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필름의 휘어진 단부를 상기 지지대에 밀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필름 누름 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필름이 지지대와 이격된 공간없이 지지대에 밀착된 상태에서 위치정렬 작업이 실시되므로, 필름의 위치 정렬 과정이 오차 없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필름 정렬 장치{film alignment apparatus}
본 발명은 필름 정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는 자발광형 소자로서 시야각이 넓고 콘트라스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응답시간이 빠르며, 휘도, 구동전압 및 응답속도 특성이 우수하고 다색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 소자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유리로 이루어진 기판을 베이스로 하여 제조되어 휘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휘어지는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요구가 증가됨에 따라,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일반적인 유리 기판이 아닌 투명필름이나 인쇄회로필름 등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인쇄회로필름과 다른 부품들을 적층하거나 결합시켜서 조립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인쇄회로필름을 특정 위치에 정렬시키는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인쇄회로필름의 위치를 정렬하는 공정은 지지대 상에 인쇄회로필름이 마련된 상태에서 카메라로 인쇄회로필름을 촬영을 하면서, 위치정렬유닛으로 인쇄회로필름의 위치를 정렬한다. 여기서, 인쇄회로필름에 휨(Curl)이 발생된 경우, 휘어진 부분이 지지대에 밀착되지 않게 되어 카메라가 인쇄회로필름을 정확하게 촬영하기 어려워져서 위치 정렬 작업의 정확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위치 정렬 작업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게 한 필름 정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필름 정렬 장치는 필름이 안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필름의 휘어진 단부를 상기 지지대에 밀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필름 누름 유닛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름 누름 유닛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부재와, 상기 제1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 부재와, 일측은 상기 제2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 부재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동력을 발생시켜서 상기 회전 부재가 피봇 회전됨에 따라 상기 회전 부재의 타단이 상기 필름에 밀착되게 하는 구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바형상(bar)으로 이루어지며, 중간부분이 절곡되게 형성되며, 상기 절곡된 부분은 상기 제1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절곡된 부분을 중심으로부터 양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름 누름 유닛은, 상기 회전 부재에서 상기 필름이 밀착되는 자유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밀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밀착 부재는 롤러 또는 피크 베어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제2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실린더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실린더에 수용되어 직선 왕복 이동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 부재에서 상기 실린더에 인접한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에 포함된 상기 실린더는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름 누름 유닛은, 상기 프레임 부재의 하측에 형성된 이동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동력을 발생시켜서 상기 이동 부재가 직선 왕복 이동되게 하는 동력 발생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름 누름 유닛은 2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2개의 필름 누름 유닛들은 상기 지지대의 양단 각각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필름의 휘어진 양단부를 상기 지지대에 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정렬 장치에 포함된 필름 누름 유닛에 의해 필름의 휘어진 부분이 이러한 필름 누름 유닛에 의해 눌려진다. 눌려진 필름은 지지대에 밀착되어 평평하게 펼쳐져 있다. 이에 따라, 필름이 지지대와 이격된 공간없이 지지대에 밀착된 상태에서 위치정렬 작업이 실시된다. 그러므로 필름의 위치 정렬 과정이 오차 없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름 정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필름 정렬 장치에서 필름 누름 유닛을 발췌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필름 누름 유닛에서 회전 부재가 구동 부재에 의해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지지대 상에 필름이 마련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필름 누름 유닛이 이동되어 지지대에 인접하게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필름 누름 유닛에 의해 필름이 지지대에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제1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름 정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필름 정렬 장치에서 필름 누름 유닛을 발췌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필름 정렬 장치(100)는 지지대(200)와, 필름 누름 유닛(300)을 포함한다.
지지대(200)에는 필름(10)이 안착된다. 필름(10)은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필름(10)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필름(10)은 칩온필름(COF: Chip on flim) 공정에 사용되는 필름(10)일 수 있다. 지지대(200)에서 필름(10)이 안착되는 상면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200)는 일반적인 필름 정렬 장치(100)에 포함된 지지대(200)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필름 누름 유닛(300)은 지지대(20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필름(10)의 휘어진 단부를 지지대(200)에 밀착시킨다. 즉, 필름(10)이 지지대(200) 상에서 특정 위치로 정렬되기 이전에, 필름(10)의 휘어진 부분이 이러한 필름 누름 유닛(300)에 의해 눌려진다. 눌려진 필름(10)은 지지대(200)에 밀착되어 평평하게 펼쳐져 있으므로, 필름(10)의 위치 정렬 과정이 오차 없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한 필름 누름 유닛(300)의 상세한 구조의 일례로, 프레임 부재(310)와, 회전 부재(320)와, 구동 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부재(310)는 제1 고정부(311)와 제2 고정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311)와 제2 고정부(312)는 프레임 부재(31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고정부(311)와 제2 고정부(312)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다. 예를 들어, 도면상에서 프레임 부재(310)에서 가장 좌측 끝부분에 제1 고정부(311)가 형성될 수 있고, 가장 우측 끝부분에 제2 고정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부(311)와 제2 고정부(312)의 형상의 일례로 사각기둥형상일 수 있다.
회전 부재(320)는 제1 고정부(3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회전 부재(320)의 형상의 일례로, 바형상(bar)으로 이루어지며, 중간부분이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부재(320)의 상기 절곡된 부분은 제1 고정부(3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부재(320)는 절곡된 부분을 중심으로부터 양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부재(320)는 영어 알파벳 'L'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회전 부재(320)는 절곡된 부분을 중심으로 햐향 경사지도록 제1 고정부(3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부재(320)에서 구동 부재(330)에 인접한 끝부분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면, 반대쪽 끝부분은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부재(320)의 자유단(320b)의 상하방향의 이동에 의해 필름(10)이 지지대(200)에 밀착될 수 있다.
구동 부재(330)는 회전 부재(320)를 회전시킨다. 이를 위한 구동 부재(330)의 일측은 제2 고정부(3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회전 부재(32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구동 부재(330)는 동력을 발생시켜서 회전 부재(320)가 피봇(pivot) 회전됨에 따라 회전 부재(320)의 타단(320b)이 필름(10)에 밀착되게 한다.
한편, 이를 위한 구동 부재(330)의 상세한 구조의 일례로, 실린더(331)와, 피스톤(332)과, 결합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331)는 제2 고정부(3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실린더(331)의 일례로 유압 실린더(331) 또는 공압 실린더(331)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피스톤(332)은 적어도 일부분이 실린더(331)에 수용되어 실린더(331)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된다.
결합부(333)는 피스톤(332)의 단부에 형성되어 회전 부재(320)에서 실린더(331)에 인접한 단부(320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부(333)는 피스톤(33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333)는 회전 부재(320)의 양면을 감싸도록, 영어 알파벳 'U'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부(333)는 회전 부재(32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필름 누름 유닛(300)은 밀착 부재(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착 부재(340)는 회전 부재(320)에서 필름(10)이 밀착되는 자유단(320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밀착 부재(340)의 일례로, 롤러 또는 피크 베어링일 수 있다. 롤러 또는 피크 베어링은 회전 가능한 원통형이 부재이다. 그러므로 밀착 부재(340)에 의해 필름(10)이 지지대(200)에 밀착된 상태에서, 밀착 부재(340)가 필름(10) 상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회전 부재(320)가 필름(10)을 지지대(200)에 밀착시키는 과정에서, 회전 부재(320)가 상하방향으로 직선왕복 이동되지 않고, 원호형상(Arc)으로 왕복 이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밀착 부재(340)에 의해 회전 부재(320)가 필름(10) 상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으므로, 회전 부재(320)가 필름(10)의 상면에 직접 밀착되지 않게 하여 필름(10)이 흠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밀착 부재(340)는 회전 부재(320)의 자유단(320a)의 폭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회전 부재(320)의 자유단(320a)이 필름(10)에 접촉되지 않고, 밀착 부재(340)가 필름(10)에 접촉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필름 누름 유닛(300)은 이동 부재(350)와, 동력 발생 부재(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부재(350)는 프레임 부재(310)의 하측에 형성된다. 이동 부재(350)는 프레임 부재(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이동 부재(350)와 프레임 부재(310)가 각각 제조되고, 프레임 부재(310)의 하측에 이동 부재(350)를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동력 발생 부재(360)는 이동 부재(350)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동력 발생 부재(360)는 동력을 발생시켜서 이동 부재(350)가 직선 왕복 이동되게 한다.
이동 부재(350)가 동력 발생 부재(360)에 대해 슬라이딩될 수 있게 하는 구조의 일례로, 미도시된 래크 기어가 이동 부재(350)에 형성되고, 피니언 기어가 동력 발생 부재(360)에 배치되어 래크 기어와 맞물리도록 기어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이동 부재(350)가 동력 발생 부재(360)에 대해 슬라이딩될 수 있게 하는 다른 구조의 일례로 동력 발생 부재(360)가 실린더(331)를 포함하고, 이동 부재(350)의 일측에 실린더(331)에 의해 이동되는 피스톤(332)이 고정 결합된 구조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이동 부재(350)가 동력 발생 부재(36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를 특정 구조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은 이동 부재(350)와, 동력 발생 부재(360)에 의해 프레임 부재(310)가 일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므로, 필름 누름 유닛(300)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특정 위치에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필름 누름 유닛(300) 주변의 다른 장치들이 동작되는 과정에서 프레임 부재(310)에 의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필름 누름 유닛(300)에 의해 필름(10)이 지지대(200)에 밀착된 이후에 미도시된 위치정렬유닛에 의해 필름(10)의 위치 정렬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정렬유닛은 일반적인 필름 정렬 장치(100)에 포함된 위치정렬유닛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구조 및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정렬 장치(100)에서 필름(10)이 필름 누름 유닛(300)에 의해 지지대(200)에 밀착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6은 필름이 필름 누름 유닛에 의해 지지대에 밀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지지대 상에 필름이 마련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00) 상에 필름(10)이 마련된다. 이 상태에서는 구동 부재(330)가 대기 상태가 된다. 구동 부재(330)가 대기 상태라는 것은, 피스톤(332)이 실린더(331)를 밀어내어 회전 부재(320)에서 필름(10)과 접촉되는 자유단(320b)이 가장 상방으로 최대한 이동된 상태이다.
도 5는 필름 누름 유닛이 이동되어 지지대(200)에 인접하게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 발생 부재(360)에 의해 이동부재가 필름(10)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에 따라, 프레임 부재(310)와 회전 부재(320)가 필름(10)의 휘어진 부분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도 6은 필름 누름 유닛에 의해 필름이 지지대에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부재(330)가 구동되어 피스톤(332)이 실린더(331)를 잡아당기게 된다. 회전 부재(320)는 도면상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회전 부재(320)에서 필름(10)과 접촉되는 자유단(320b)은 하방으로 이동되어 필름(10)의 휘어진 부분을 지지대(200)에 밀착시킨다. 이와 같이 지지대(200)에 필름(10)이 완전히 밀착된 상태에서 필름(10)이 미도시된 위치정렬유닛에 의해 기판에 대해 미세하게 이동되면서, 필름(10)의 위치가 정렬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필름 누름 유닛(300)이 지지대(200)의 일단에 인접하게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정렬 장치(100)는 2개의 필름 누름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필름 누름 유닛(300)들은 지지대(200)의 양단 각각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필름(10)의 휘어진 양단부를 지지대(200)에 밀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필름 정렬 장치(100)는 3개 또는 그 이상의 필름 누름 유닛(300)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필름 누름 유닛(300)들은 지지대(20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정렬 장치(100)에 포함된 필름 누름 유닛(300)에 의해 필름(10)의 휘어진 부분이 이러한 필름 누름 유닛에 의해 눌려진다. 눌려진 필름은 지지대에 밀착되어 평평하게 펼쳐져 있다. 이에 따라, 필름이 지지대와 이격된 공간없이 지지대에 밀착된 상태에서 위치정렬 작업이 실시된다. 그러므로 필름의 위치 정렬 과정이 오차 없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필름 100: 필름 정렬 장치
200: 지지대 300: 필름 누름 유닛
310: 프레임 부재 311: 제1 고정부
312: 제2 고정부 320: 회전 부재
330: 구동 부재 331: 실린더
332: 피스톤 333: 결합부
340: 밀착 부재 350: 이동 부재
360: 동력 발생 부재

Claims (10)

  1. 필름이 안착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필름의 휘어진 단부를 상기 지지대에밀착시키는 필름 누름 유닛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름 정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누름 유닛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부재,
    상기 제1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 부재,
    일측은 상기 제2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 부재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동력을 발생시켜서 상기 회전 부재가 피봇 회전됨에 따라 상기 회전 부재의 타단이 상기 필름에 밀착되게 하는 구동 부재를 포함하는 필름 정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바형상(bar)으로 이루어지며, 중간부분이 절곡되게 형성되며, 상기 절곡된 부분은 상기 제1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필름 정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절곡된 부분을 중심으로부터 양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필름 정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누름 유닛은,
    상기 회전 부재에서 상기 필름이 밀착되는 자유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밀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필름 정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부재는 롤러 또는 피크 베어링인 필름 정렬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제2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실린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실린더에 수용되어 직선 왕복 이동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 부재에서 상기 실린더에 인접한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필름 정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에 포함된 상기 실린더는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인 필름 정렬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누름 유닛은,
    상기 프레임 부재의 하측에 형성된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동력을 발생시켜서 상기 이동 부재가 직선 왕복 이동되게 하는 동력 발생 부재를 더 포함하는 필름 정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누름 유닛은 2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2개의 필름 누름 유닛들은 상기 지지대의 양단 각각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필름의 휘어진 양단부를 상기 지지대에 밀착시키는 필름 정렬 장치.
KR1020130057247A 2013-05-21 2013-05-21 필름 정렬 장치 KR102098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247A KR102098145B1 (ko) 2013-05-21 2013-05-21 필름 정렬 장치
TW102132401A TWI603423B (zh) 2013-05-21 2013-09-09 膜對準裝置
CN201310412364.6A CN104183530B (zh) 2013-05-21 2013-09-11 膜对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247A KR102098145B1 (ko) 2013-05-21 2013-05-21 필름 정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761A true KR20140136761A (ko) 2014-12-01
KR102098145B1 KR102098145B1 (ko) 2020-04-08

Family

ID=51964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7247A KR102098145B1 (ko) 2013-05-21 2013-05-21 필름 정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98145B1 (ko)
CN (1) CN104183530B (ko)
TW (1) TWI603423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82066A (zh) * 1999-07-27 2001-01-31 美能达株式会社 液晶显示元件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4301A (ko) * 2003-12-23 2005-06-2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배향막의 배향 장치 및 방법과, 그를 이용한 배향막 형성장치 및 방법
KR101787405B1 (ko) * 2010-12-01 2017-10-19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평판 디스플레이 셀의 보강 실링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82066A (zh) * 1999-07-27 2001-01-31 美能达株式会社 液晶显示元件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03423B (zh) 2017-10-21
CN104183530B (zh) 2018-10-16
TW201445664A (zh) 2014-12-01
CN104183530A (zh) 2014-12-03
KR102098145B1 (ko) 202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1791B2 (en) Assembly equipment and assembly method thereof
KR101618078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테스트 장치
KR101673375B1 (ko) 모듈 테스트 소켓
US9740033B2 (en) Test apparatus of a direct-light-type backlight module
CN203757522U (zh) 一种背光模组及显示装置
CN109272871B (zh) 一种柔性显示屏弯折治具
KR101895522B1 (ko) 타일링 표시장치 및 이를 제작하는 타일링장치
CN108869485B (zh) 用于屏幕组装的装置
CN109724999A (zh) 玻璃基板检测装置
CN203563269U (zh) 一种元器件的贴装装置
JP2009251207A (ja) レンズ調整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投影型表示装置
JP2009251207A5 (ko)
KR20110009488A (ko) 기판정렬장치
US11255720B2 (en) Fixing structure for fixing reflector to a photosensitive detecting assembly and device for detecting display brightness
KR20140136761A (ko) 필름 정렬 장치
CN110062907A (zh) 显示装置
KR101404662B1 (ko)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비용 그리퍼 장치
CN207946622U (zh) 点灯装置
KR101575055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검사장치
CN207216271U (zh) 一种定位治具
US2019030251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2020197243A (ja) 取付装置、及び、取付装置の取付方法
CN114495732A (zh) 一种拼接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CN109510979B (zh) 一种多相机智能检测装置
CN106378736B (zh) 液晶屏定位夹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