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5472A - 배관 감육 방지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관 감육 방지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5472A
KR20140135472A KR20130055780A KR20130055780A KR20140135472A KR 20140135472 A KR20140135472 A KR 20140135472A KR 20130055780 A KR20130055780 A KR 20130055780A KR 20130055780 A KR20130055780 A KR 20130055780A KR 20140135472 A KR20140135472 A KR 20140135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hinning
point
iron powder
measu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5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4241B1 (ko
Inventor
정성욱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5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241B1/ko
Publication of KR20140135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5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F16L57/06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against wea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7/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의 특정지점에 배관 두께 측정장치를 설치하는 (a) 단계; 상기 설치된 배관 두께 측정장치를 통해 배관의 특정지점의 감육 진행 상황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b) 단계; 상기 (b) 단계의 결과에 따라 최대 감육지점을 지정하는 (c) 단계; 상기 (c) 단계에서 지정된 지점에 자성체를 부착하는 (d) 단계; 및상기 (d) 단계에서 자성체가 부착된 지점에 대한 수정작업을 실시하는 (e) 단계를 포함하는 철 분체 이송 배관 감육 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철 분체 이송 배관 감육 방지방법을 통해, 영구자석을 부착함으로써 배관내 감육부에 군집된 철분체가 후행 철분체의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내벽의 천공시기를 지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관 감육 방지방법 및 그 시스템{PIPE WALL-THINNING PREVENTING METHOD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배관 감육 방지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누출사고 예상지점에 영구자석을 부착함으로써 배관내 감육부에 군집된 철분체가 후행 철분체의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내벽의 천공시기를 지연시킬 수 있는 배관 감육 방지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리트 혹은 분진을 이송하는 배관은 특히 곡관 부위가 취약하다. 이는 고속 이송되던 그리트 혹은 분진이 곡관 부위에 강한 충격하중을 주기 때문에 곡관 부위가 마모되면서 기간이 오래되면 해당 부위가 천공되면서 이송되는 그리트 혹은 분진이 누출되는 현상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누출 현상이 유발되면 설비의 가동을 중지한 채 도 1 및 도 2에 나와 있는 것과 같이, 천공부위에 금속재 혹은 고무 등의 보강대(A)를 덧대고 용접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링형상의 밴드로 감싸 리페어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대응책은 천공이 발생하여 누출 사고가 생긴 다음에 대응하는 후 대응책이기 때문에 이를 보수하는 동안 설비의 가동이 중단되어야 하므로 생산성이 급격히 떨어지고, 작업환경이 오염되며, 또 언제 어느 부위에서 천공 현상이 유발될지 예측할 수 없어 계획적인 관리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누출사고 예상지점에 영구자석을 부착함으로써 배관내 감육부에 군집된 철분체가 후행 철분체의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내벽의 천공시기를 지연시킬 수 있는 배관 감육 방지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시의 누출로 인한 환경 오염을 예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연하게 인력을 활용할 수 있는 배관 감육 방지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배관의 특정지점에 배관 두께 측정장치를 설치하는 (a) 단계; 상기 설치된 배관 두께 측정장치를 통해 배관의 특정지점의 감육 진행 상황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b) 단계; 상기 (b) 단계의 결과에 따라 최대 감육지점을 지정하는 (c) 단계; 상기 (c) 단계에서 지정된 지점에 자성체를 부착하는 (d) 단계; 및 상기 (d) 단계에서 자성체가 부착된 지점에 대한 수정작업을 실시하는 (e) 단계를 포함하는 철 분체 이송 배관 감육 방지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d) 단계는 배관 내부의 철분체의 운동에너지를 고려하여 적합한 자력의 자성체를 부착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자성체는 영구자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e) 단계는 자성체 부착 지점의 철 분체 결집상태를 확인하여 보다 적합한 지점으로 자성체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배관의 특정지점에 설치된 배관 두께 측정장치; 및 상기 배관 두께 측정장치를 통해 감육된 배관의 지점에 부착되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철 분체 이송 배관 감육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성체를 통한 배관 감육 방지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시한다.
이에 따라, 영구자석을 부착함으로써 배관내 감육부에 군집된 철분체가 후행 철분체의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내벽의 천공시기를 지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관 천공으로 인한 불시의 누출로 인한 환경 오염을 예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연하게 인력을 활용할 수 있는 배관 감육 방지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 배관에 천공시 이에 대한 대응책을 나타내는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감육 방지방법을 나타내는 단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 분체 이송 배관에 감육을 방지하기 위해서 자석이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철 분체 이송 배관에서 천공이 진행되는 단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철 분체 이송 배관 감육 방지방법에 적용되는 배관 두께 측정장치에 대한 태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감육 방지방법 및 그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감육 방지방법을 나타내는 단계도이다. 특히, 상기 배관은 철 분체를 이송시키는 배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단계도에 나와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관 감육 방지방법은 배관의 특정지점에 배관 두께 측정장치를 설치하는 (a) 단계; 상기 설치된 배관 두께 측정장치를 통해 배관의 특정지점의 감육 진행 상황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b) 단계; 상기 (b) 단계의 결과에 따라 최대 감육지점을 지정하는 (c) 단계; 상기 (c) 단계에서 지정된 지점에 자성체를 부착하는 (d) 단계; 및 상기 (d) 단계에서 자성체가 부착된 지점에 대한 수정작업을 실시하는 (e)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d) 단계는 배관 내부의 철분체의 운동에너지를 고려하여 적합한 자력의 자성체를 부착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자성체는 영구자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e) 단계는 자성체 부착 지점의 철 분체 결집상태를 확인하여 보다 적합한 지점으로 자성체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감육 방지방법에 따라 자성체가 배관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누출 사고 예상 지점에 영구자석을 부착시킴으로써 배관내 감육부에 군집된 철분체가 후행 철분체의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여 내벽의 천공시기를 지연시킬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추가적으로, 자성체를 효과적으로 형성하여 파이프가 천공되더라도 2차적인 보호역할을 자성체가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먼저, (a) 단계로 배관의 특정지점에 배관 두께 측정장치를 설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은 철 분체 이송 배관에 관한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 내부를 통해 이동하는 그리트 혹은 분진 등의 이송물이 이송되는 도중 곡관부를 타격하게 되고, 그 충돌 하중은 지속적으로 작용하면서 마모를 야기시켜 결국 도 5의 우측 도면과 같은 형태로 천공부를 형성하여 누출 사고를 초래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감육 방지방법에 사용되는 배관 두께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배관(1)의 곡관부 등과 같이 취약하다고 판단된 지점에 구멍(12)을 내고, 상기 구멍(12)에 삽입되는 금속사보호관(22)을 구비한다.
상기 금속사보호관(22)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그 내경 중심에 금속사(5)가 삽입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금속사보호관(22)의 상단부 양측에는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한 쌍의 고정날개(21)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날개(21)는 스틸밴드(43)를 결속하기 위한 것으로, 배관(1)에 설치할 때 고정날개(21)를 스틸밴드(43)의 고정홈(41)에 끼운 상태에서, 스틸밴드(43)를 배관(1) 외주면에 걸고, 그 상태에서 길이조절용 나사탭를 조이면 상기 고정날개(21)가 배관(1) 상에 견고히 고정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금속사보호관(22)을 배관(1) 상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구멍(12)은 상기 금속사보호관(22)이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금속사보호관(22) 직경의 1.03~1.05배 더 크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금속사보호관(22)의 상단부 일측면에는 금속사고정홈(23)이 절개 형성된다.
상기 금속사고정홈(23)은 금속사보호관(22)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고정날개(21) 위치까지 절개되며, 하단을 원호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금속사(5) 설치시 금속사(5)가 쉽게 파단되지 않도록 하여 준다.
또한, 상기 금속사보호관(22)의 상단 외주면에는 나사산(도면번호 생략)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산에는 나사캡(24)이 체결되어 상기 금속사(5)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준다.
이때, 상기 금속사(5)는 도 7에 나와 있는 것과 같이 통상 그리트(Grit) 또는 분진과 충돌시 이들에 의해 깍여 나갈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가진 재료로서, 일종의 표지(indicator)이며, 측정 대상 배관(1) 대비 1/3의 강도 및 1/2의 경도 이하의 재질이면 족하다.
아울러, 상기 금속사(5)는 상기 금속사보호관(22) 내부를 관통하여 하부로 일정길이 노출되게 배치된 다음 길이 일부가 절곡되어 상기 금속사고정홈(23) 상에 배치되게 되며, 그 상부를 나사캡(24)이 막아 금속사(5)가 쉽게 이탈되지 않고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설치해 두고, 주기적으로 나사캡(24)을 열고 확인하게 되면 배관(1) 위치별, 혹은 배관별 마모 속도, 상태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배관(1)의 보수나 교체 주기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관리 계획을 효율적으로 세울 수 있어 누출 사고를 사전에 막고, 인력 낭비도 막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a) 단계에 사용되는 배관 두께 측정장치의 또 다른 구조는 하기와 같고, 도 8은 상기 배관 두께 측정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앞서 설명한 측정장치와 전체적으로 동일한 개념이지만 금속사보호관(31)의 고정구조가 변형된 것이다. 즉, 금속사보호관(31)은 제 1 실시예와 같은 고정날개(21)를 갖지 않는다. 따라서, 고정을 위해 도 6과 같은 스틸밴드(43)도 필요로 하지 않아 사용상 편의성이 극대화된다.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금속사보호관(22)은 외주면 중단부에 나사산(N)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 체결되는 구멍(12)에도 나사산(12a)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구멍(12) 형성시 탭 가공함으로써 간단히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금속사보호관(22)의 상단에는 나사캡(24)을 체결하기 위한 나사산(도면번호 생략)이 형성되며, 상단으로부터 일정 깊이까지 일측면에 금속사고정홈(23)이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배관(1) 상의 구멍(12)에 나사 체결되어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활용됨으로써 배관(1)의 보수 주기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여 준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배관 두께 측정장치를 통하여 특정지점의 감육 진행 상황을 작업자가 모니터링하는 (b)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주기적으로 나사캡(24)을 열고 확인하게 되면 배관(1) 위치별 혹은 배관별 마모속도, 상태 등을 쉽게 확인하여 최대 감육지점을 지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최대 감육지점에 자성체를 부착하는 (d)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상기 자성체는 자력을 띠는 것이면 영구자석에 한정되지 않고 타 자석도 사용가능하다. 이는, 본 발명의 가장 특징적인 것으로, 자석을 활용하는 이유는 철 분체 이송 배관에 있어서 자석을 부착시킴으로써 배관내 감육부에 군집된 철분체가 후행 철분체의 충돌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내벽의 천공시기를 지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강한 자성이 철분체를 응집시키고 응집된 철분체가 감육이 진행된 배관 부위에서 후행 철분체의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게 되어 감육으로 인한 천공을 지연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자성체가 부착된 지점에 대해서 천공 진행여부에 대해서 다시 판단하는 수정작업을 거치는 (e) 단계를 통하여 배관 감육 방지방법이 완성된다. 상기 수정작업은 자성체가 부착된 지점에 대한 철 분체 군집 상태를 파악하고, 그 결과에 따라 보다 적합한 지점으로 자성체를 이동시키는 작업을 하거나, 자성체의 자력을 조정하여 필요에 따른 철 분체의 군집상태를 조절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은 배관의 특정지점에 설치된 배관 두께 측정장치; 및 상기 배관 두께 측정장치를 통해 감육된 배관의 지점에 부착되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철 분체 이송 배관 감육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측정장치 및 자성체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배관의 천공을 지연시킬 수 있는 배관 감육 방지 분야에 적용된다.
1: 배관 2: 그리트
4: 자성체 11: 천공
5: 금속사 12: 배관 구멍
21: 고정날개 23: 금속사 고정홈
24: 나사캡 31: 금속사 보호관
41: 고정홈 43: 스틸밴드

Claims (5)

  1. 배관의 특정지점에 배관 두께 측정장치를 설치하는 (a) 단계;
    상기 설치된 배관 두께 측정장치를 통해 배관의 특정지점의 감육 진행 상황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b) 단계;
    상기 (b) 단계의 결과에 따라 최대 감육지점을 지정하는 (c) 단계;
    상기 (c) 단계에서 지정된 지점에 자성체를 부착하는 (d) 단계; 및
    상기 (d) 단계에서 자성체가 부착된 지점에 대한 수정작업을 실시하는 (e) 단계를 포함하는 철 분체 이송 배관 감육 방지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배관 내부의 철분체의 운동에너지를 고려하여 적합한 자력의 자성체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 분체 이송 배관 감육 방지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자성체는 영구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배관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자성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 분체 이송 배관 감육 방지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자성체 부착 지점의 철 분체 결집상태를 확인하여 보다 적합한 지점으로 자성체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 분체 이송 배관 감육 방지방법.
  5. 배관의 특정지점에 설치된 배관 두께 측정장치; 및 상기 배관 두께 측정장치를 통해 감육된 배관(1)의 지점에 부착되는 자성체(4)를 포함하는 철 분체 이송 배관 감육 방지 시스템.
KR1020130055780A 2013-05-16 2013-05-16 배관 감육 방지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84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780A KR102084241B1 (ko) 2013-05-16 2013-05-16 배관 감육 방지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780A KR102084241B1 (ko) 2013-05-16 2013-05-16 배관 감육 방지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5472A true KR20140135472A (ko) 2014-11-26
KR102084241B1 KR102084241B1 (ko) 2020-03-03

Family

ID=52456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5780A KR102084241B1 (ko) 2013-05-16 2013-05-16 배관 감육 방지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2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5372A (ja) * 1993-03-12 1994-09-20 Nikki Plantec Kk 検査データの収録装置
KR20000000179A (ko) * 1999-09-28 2000-01-15 김세종 탄소강배관의 유동가속부식을 감소시키는 방법
JP2010071741A (ja) * 2008-09-17 2010-04-02 Toshiba Corp 配管の厚み測定方法および装置
KR20120068029A (ko) * 2009-10-22 2012-06-26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강자성체의 분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5372A (ja) * 1993-03-12 1994-09-20 Nikki Plantec Kk 検査データの収録装置
KR20000000179A (ko) * 1999-09-28 2000-01-15 김세종 탄소강배관의 유동가속부식을 감소시키는 방법
JP2010071741A (ja) * 2008-09-17 2010-04-02 Toshiba Corp 配管の厚み測定方法および装置
KR20120068029A (ko) * 2009-10-22 2012-06-26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강자성체의 분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241B1 (ko) 202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8477B2 (ja) 金属管の端部防蝕構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被覆カバー
CN103738465A (zh) 一种用于单轴承艉轴进艉轴管的装置
US20190195310A1 (en) Force damper
KR20140135472A (ko) 배관 감육 방지방법 및 그 시스템
CN107470747B (zh) 提高蒸汽发生器堵管效率的焊接工艺
EP2933388B1 (en) Hydraulic cylinder cover
CN103398244A (zh) 防松活动接管装置
CN107503523A (zh) 一种工具式临边或洞口防护装置
CN203895907U (zh) 防误登带电杆闭锁枷
CN204577154U (zh) 一种监测电缆防破坏装置
CN205857774U (zh) 一种快装快拆式临边护栏
CN204487442U (zh) 一种带法兰盘大管径铁管安装的辅助扳手
KR101908941B1 (ko) 소모성 금속사를 이용한 그리트 또는 분진 이송 배관 두께 측정 장치
CN205226648U (zh) 一种后开洞止水套管组
CN207228107U (zh) 人工挖孔桩的护壁结构
CN206377398U (zh) 一种管线修补卡具
CN204799108U (zh) 催化剂单元用的蜂窝状保护罩
CN202955097U (zh) 一种具有防震防松功能的螺栓
JP5877871B2 (ja) 金属管の端部防蝕構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被覆カバー
CN203992785U (zh) 一种箱体门板铰链焊接夹具
TR201909255A2 (tr) Nefesli̇k i̇çi̇n yağ kaçaği engelleyi̇ci̇li̇ kapak
CN210755784U (zh) 一种管道切割内部防护装置
CN210239166U (zh) 一种振捣棒定位标签的安装结构
CN203542454U (zh) 一种维修扳手
CN202614488U (zh) 高炉热风炉系统阀门试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