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4860A - 가스엔진열펌프를 이용한 대용량 유닛화 가능 벨트식 슬러지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가스엔진열펌프를 이용한 대용량 유닛화 가능 벨트식 슬러지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4860A
KR20140134860A KR1020130054779A KR20130054779A KR20140134860A KR 20140134860 A KR20140134860 A KR 20140134860A KR 1020130054779 A KR1020130054779 A KR 1020130054779A KR 20130054779 A KR20130054779 A KR 20130054779A KR 20140134860 A KR20140134860 A KR 20140134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engine
sludge
gas
drying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3835B1 (ko
Inventor
최봉수
정창환
임응주
구본상
허남주
Original Assignee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수성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수성이앤씨 filed Critical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4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835B1/ko
Publication of KR20140134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02F11/13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using electromagnetic or ultrasonic wa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micro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carrying the materials;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or elements attached to endless belts or chains propelling the materials over stationary surfaces
    • F26B17/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carrying the materials;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or elements attached to endless belts or chains propelling the materials over stationary surfaces the belts being arranged in a sinuous or zig-zag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2Heating arrangements using combustion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2Heat recovery pumps, i.e. heat pump based systems or units able to transfer the thermal energy from one area of the premises or part of the facilities to a different one, improving the overall efficie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엔진열펌프를 이용한 대용량 유닛화 가능 벨트식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화가스 등의 바이오가스 또는 LNG 등의 가스연료를 연료원으로 하는 가스엔진을 이용한 가스엔진열펌프(Gas engine-driven Heat Pump, GHP)를 열원으로 하여 슬러지를 건조하도록 하기 위하여, 슬러지를 건조하는 건조장치에 있어서, 바이오가스 또는 LNG 등의 가스연료를 에너지원으로 구동력을 생산하는 가스엔진(81); 상기 가스엔진(81)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냉매(3)를 압축하는 압축기(82); 상기 압축기(82)에서 압축된 고압가스상의 냉매의 응축방열을 이용하여 수분 응축제거된 저온저습한 건조공기(2)를 재가열하는 재열코일(62); 상기 재열코일(62)을 통과한 후 기액혼합상의 냉매(3)의 잔존 응축열을 방열하여 냉매(3)를 과냉응축하는 수랭식응축기(83); 상기 수랭식응축기(83)에서 과냉응축된 냉매(3)를 교축팽창시키는 팽창밸브(84); 상기 팽창밸브(84)에서 교축팽창된 저온의 기액혼합상의 냉매(3)의 증발흡열을 이용하여 슬러지(1) 건조 후 수분을 함습한 저온다습조건의 건조공기(1) 중 수분을 응축제거하는 제습냉각코일(61); 상기 제습냉각코일(61)과 재열코일(62)에 더하여 가스엔진냉각수방열기(64) 및 건조공기순환팬(65)으로 구성되는 공조기(60); 상기 공조기(60)에서 생산된 건조공기(2)를 벨트식건조기(건조부) 패키지(10a)의 개별 벨트식건조기(건조부) 유닛(10b)에 분배하는 급기순환덕트(22); 벨트식건조기(건조부) 패키지(10a)에서 슬러지(1) 수분 건조 후 공조기(60)로 반환하는 배기순환덕트(21)와; 상기 벨트식건조기(건조부) 패키지(10a)에 대하여 슬러지(1)와 건조공기(2) 간 접촉효율을 높이고 슬러지(1) 중 수분의 원활한 접촉증발이 가능하도록 건조공기(2) 통과가 가능한 통기성 컨베이어벨트(11)와; 상기 가스엔진열펌프(80)에서 발생하는 배열을 수냉각하는 냉각탑(71); 상기 냉각탑(71)에서 생산된 냉각수를 저장하눈 냉각수저장조(72); 상기 냉각수저장조(72)에 저장된 냉각수를 순환하는 냉각수순환펌프(7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가스엔진열펌프를 이용한 대용량 유닛화 가능 벨트식 슬러지 건조장치{Drying sludge apparatus}
본 발명은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화가스 등의 바이오가스 또는 LNG 등의 가스연료를 연료원으로 하는 가스엔진을 이용한 가스엔진열펌프(Gas engine-driven Heat Pump, GHP)를 열원으로 하여 슬러지를 건조하도록 하는 가스엔진열펌프를 이용한 대용량 유닛화 가능 벨트식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슬러지(sludge)는 상수, 공업용수, 산업용 폐수, 하수 및 분뇨의 수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것이고, 이의 함수율이 75~85%인 탈수 케이크(cake) 형태로 발생되며, 이러한 슬러지의 처리방법으로는 주로 해양투기, 매립, 연료화, 고화, 소각, 열분해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그 일예로서 슬러지에는 다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취급이 곤란하므로 통상 슬러지를 모래 여과, 필터프레스, 진공여과기 등으로 선처리하여 수분이 적은 케이크 상으로 만든 후, 대부분 매립하거나 해양투기를 하여 왔기 때문에 심각한 환경오염을 초래하게 된다.
그래서 근래에는 보일러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고, 가열된 고온의 공기로 슬러지를 가열하여 슬러지 내의 수분을 줄이며, 슬러지의 수분을 줄여서 습도가 증가된 고온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반복하여 슬러지를 건조하여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보일러를 이용하는 가열방식의 건조기는 습도를 줄이기 위하여 고온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때문에, 건조기 주위 환경이 불량하게 되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열량으로 인하여 보일러에 투입되는 전기량의 증가를 유발시킴으로써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이미 등록된 국내등록특허 제0925989호 및 국내등록특허 제0930810호에서 냉동사이클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을 제시한 바 있다.
하지만 상기 본 출원인의 특허에서의 구동매체는 전기를 이용한 전기식히트펌프(EHP : Electric motor driven Heat Pump) 방식으로서, 슬러지 건조장치를 구동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많은 양의 전기를 소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 제0925989호 국내등록특허 제093081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바이오가스인 소화가스 또는 매립지가스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가스엔진을 이용하여 슬러지를 건조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사용을 줄이도록 하는 바이오가스 등의 가스연료를 연료원으로 하는 가스엔진열펌프를 이용한 대용량 유닛화 가능 벨트식 슬러지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슬러지를 건조하는 건조장치에 있어서, 환경기초시설에서 생산되는 소화가스, 매립지가스 등의 바이오가스 도는 LNG 등의 가스연료를 이용한 가스엔진열펌프(80)를 열원부로 가지는 벨트식건조기로써; 상기 가스엔진열펌프(80)는 바이오가스 또는 LNG 등의 가스연료를 이용한 가스엔진(81); 상기 가스엔진(81)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82);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3)의 응축열을 이용하여 수분이 응축제거된 저온저습건조공기(2)를 재가열하는 재열코일(62); 상기 재열코일(62)를 거친 후의 냉매(3)의 잔존 상변화열량을 냉각탑(71)의 냉각수(4)를 이용하여 냉매(3)를 과냉응축하는 수랭식응축기(83); 수랭식응축기(83)에서 과냉응축된 냉매(3)를 감압팽창하는 팽창밸브(84); 상기 팽창밸브(84)에서 감압팽창된 냉매(3)를 저압증발하여 슬러지(1) 건조 후 저온다습한 건조공기(2) 중 함습수분을 응축제거하는 제습냉각코일(63)을 벨트식건조기 열원부의 기본 구성요소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스엔진열펌프(80) 중 가스엔진(81)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가스엔진(81)에서 기기 구동 중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는 가스엔진냉각기(85); 상기 가스엔진냉각기(85)에 대하여 건조 후의 저온저습건조공기(2)를 이용하여 냉각하는 가스엔진냉각수방열기(64)를 구비한다.
또한 고온의 가스엔진(81)의 가스엔진배기열을 회수 및 건조공기(2) 승온을 위한 효율향상을 위한 장치로써, 배기열을 이용하여 건조공기(2)의 온도를 높이는 배가스열교환기(63)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가스엔진열펌프(80)에서의 냉매(3) 응축과정에서의 잔존응축열의 방열을 위한 수랭식 시스템으로는 잔존응축열의 방열을 위한 냉각탑(71); 상기 냉각탑(71)에서 냉각된 냉각수를 저장하는 냉각수저장조(72); 상기 냉각수저장조(72)에 저장된 냉각수(4)를 순환하는 냉각수펌프(7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스엔진열펌프(80)에서 생산되는 냉매의 증발열과 응축열을 이용한 건조공기(2)를 수분응축건조 및 재가열열하는 공조기(Air Handling Unit, AHU) (60); 상기 공조기(60)에서 생산된 고온 건조한 건조공기(2)를 이용하여 슬러지를 건조하는 벨트식건조기(건조부) 패키지(1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엔진열펌프를 이용한 대용량 유닛화 가능 벨트식 슬러지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가스, LNG 등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가스엔진열펌프를 이용한 벨트식 슬러지 건조장치는 슬러지 등이 발생하는 하수처리시설, 매립시설 등에 적용될 시, 해당시설에서 생산가능한 바이오가스인 소화가스, 매립지가스 또는 LNG 등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가스엔진열펌프를 이용하여 슬러지를 건조함으로써 전기 에너지의 사용량을 줄임과 동시에 바이오가스와 같은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스엔진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구성된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냉매인 가스로 슬러지를 가열 건조함으로써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식히트펌프(EHP : Electric motor-driven Heat Pump) 대신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가스엔진구동식히트펌프(GHP : Gas engine-driven Heat Pump)를 사용하였으며, 선택적인 구성으로 가스엔진의 여열로 직접 슬러지를 건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벨트식 건조기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벨트식 건조기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열수 연속생산형 흡수식 냉동기 응축기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건조공기 재생공정의 종래방식과의 비교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벨트식건조기의 종래구조와의 크기비교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벨트식 건조기 건조 원리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슬러지를 건조하는 건조장치에 있어서, 환경기초시설에서 생산되는 신재생에너지원인 바이오가스 또는 LNG와 같은 가스연료를 연료원으로 하는 가스엔진열펌프(80)의 구성에 대하여; 상기 바이오가스 또는 LNG 등의 가스연료를 에너지원으로 구동력을 생산하는 가스엔진(81); 상기 가스엔진(81)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냉매(3)를 압축하는 압축기(82); 상기 압축기(82)에서 압축된 고압가스상의 냉매의 응축방열을 이용하여 수분 응축제거된 저온저습한 건조공기(2)를 재가열하는 재열코일(62); 상기 재열코일(62)을 통과한 후 기액혼합상의 냉매(3)의 잔존 응축열을 방열하여 냉매(3)를 과냉응축하는 수랭식응축기(83); 상기 수랭식응축기(83)에서 과냉응축된 냉매(3)를 교축팽창시키는 팽창밸브(84); 상기 팽창밸브(84)에서 교축팽창된 저온의 기액혼합상의 냉매(3)의 증발흡열을 이용하여 슬러지(1) 건조 후 수분을 함습한 저온다습조건의 건조공기(1) 중 수분을 응축제거하는 제습냉각코일(61)을 가스엔진열펌프(80)의 기본 구성기기로 한다. 이 때 통상의 가스엔진열펌프 사이클에 사이클 안정화를 위한 보조기기로 적용되는 수액기, 어큐뮬레이터 등을 상황에 따라 적용한다. 또한 상기 가스엔진(81)과 압축기(82)의 구동력 전달에 있어, 가스엔진(81)의 용량에 따라 벨트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압축기(82)에 연결하여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가스엔진열펌프(80)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슬러지(1) 건조에 이용되는 건조공기(2)의 고온화에 유리하도록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어, 상기 가스엔진열펌프(80)의 가스엔진(81)에서 발생하는 엔진열의 냉각을 위한 가스엔진냉각기(85)에 대하여 가스엔진냉각수방열기(64)를 이용하여 20℃ 이하로 냉각된 건조공기(2)로 방열함과 동시에, 건조공기 예열효과를 가진다.
또한 건조공기(2)의 재가열 후 온도에 대하여 적정온도까지 승온되지 못하였을 경우, 가스엔진에서 배기되는 배가스의 여열을 이용하여 배가스열교환기(63)를 이용하여 승온시킬 수 있다. 이 때 배가스의 배출압력이 부족할 경우 상기 배가스열교환기(63) 후단에 유인송풍기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가스열교환기(63)의 경우 건조공기순환팬(65) 후단 공기의 온도조건에 따라 불필요시 생략될 수 있다.
상기 가스엔진열펌프(80)에서 생산한 냉수 및 온수에 대하여, 냉수를 열매로 하여 건조공기(2) 중 수분을 응축제거하는 제습냉각코일(61)과; 온수를 열매로 하여 건조공기(2)를 재가열하는 재열코일(62)과; 상기 제습냉각코일(61)과 재열코일(62) 사이에 가스엔진(81) 냉각 및 건조공기(2) 예열을 위한 가스엔진냉각수방열기(64); 건조공기(2)의 온도가 부족할 경우를 위한 배가스열교환기(63); 건조공기(2)를 압입순환하는 건조공기순환팬(65)의 수단을 가지며; 이 때 시설운전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습냉각코일(61), 재열코일(62), 가스엔진냉각수방열기(64) 및 건조공기순환팬(65)으로 구성되는 공조기(Air Handling Unit, AHU) (60); 상기 공조기(60)에서 생산된 고온저습(50~65℃, 상대습도 20% 이하) 건조공기(2)를 벨트식건조기(건조부) 패키지(10a)의 개별 벨트식건조기(건조부) 유닛(10b)에 분배하는 급기순환덕트(22); 벨트식건조기(건조부) 패키지(10a)에서 슬러지(1) 수분 건조 후 공조기(60)로 반환하는 배기순환덕트(21); 상기 벨트식건조기(건조부) 패키지(10a)에 대하여 슬러지(1)와 건조공기(2) 간 접촉효율을 높이고 슬러지(1) 중 수분의 원활한 접촉증발이 가능하도록 건조공기(2) 통과가 가능한 통기성 컨베이어벨트(11); 상기 가스엔진열펌프(80)에서 발생하는 배열을 수냉각하는 냉각탑(71); 상기 냉각탑(71)에서 생산된 냉각수를 저장하눈 냉각수저장조(72); 상기 냉각수저장조(72)에 저장된 냉각수를 순환하는 냉각수순환펌프(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EHP 적용 벨트식건조기(15)가 개별 유닛으로 벨트식건조기(건조부) 유닛(10b)과 벨트식건조기(열원부) EHP 유닛(16)이 각기 개별적으로 조합되는 것에 대하여 본 기술의 벨트식건조기는 벨트식건조기(건조부) 패키지(10a)와 열수연속생산형흡수식냉동기(90) 간 건조공기(2)의 분배 및 취합구조를 가지는 배기순환덕트(21)와 급기순환덕트(22)를 통한 열원설비 일체화를 통하여, 열원설비의 통합화 및 건조실의 설치면적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한번 설명하자면,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가스를 열원으로 하는 가스엔진열펌프를 이용한 벨트식 슬러지 건조장치는, 슬러지를 건조하는 건조장치에 있어서, 하수처리장 등의 환경기초시설에서 생산되는 소화가스, 매립지가스 등의 바이오가스 또는 LNG 등을 이용한 가스엔진열펌프(80); 상기 가스엔진열펌프(80)는 일반적인 가스엔진열펌프에서 응축기에 의하여 냉매가 응축방열되는 부분에 대하여, 재열코일(62)을 이용하여 냉매 응축열(상변화온도: 40~60℃)을 이용하여 건조공기(2)를 재가열한다. 이후, 냉매 잔여열량은 수랭식응축기(83)를 이용하여 냉매를 과냉응축하며, 이후 팽창밸브(84)에서 냉매를 교축팽창시킨 후 제습냉각코일(61)에서의 냉매의 증발흡열과정을 통하여 건조공기(2) 중 수분을 응축제거한다.
또한 가스엔진(81) 및 압축기(82)의 운전효율을 높이고, 건조공기(2)의 고온저습조건을 더욱 충족시키기 위하여, 건조공기(2)의 예열을 목적으로 가스엔진(81)의 가스엔진발생열의 냉각을 위한 가스엔진냉각기(85)와; 가스엔진(81) 연료연소 후 배가스의 에너지회수를 위한 배가스열교환기(63)를 구비한다. 상기 가스엔진냉각기(85)는 냉각유체의 순환을 위한 순환펌프 등 관련 수력기기를 포함한 패키지형태를 지칭한다. 또한 상기 배가스열교환기(63) 후단 배가스 연도의 경우, 가스엔진열펌프(80)의 설치위치, 또는 배가스 연도의 형상에 따라 적절한 배가스의 배출을 위한 충분한 압력장이 형성되지 못할 경우 필요에 따라 후단에 유인송풍기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가스엔진열펌프(80)에서 건조공기(2)의 수분응축제거 및 재가열을 위한 열원을 생산한 후, 발생하는 잔여열은 냉각탑(71); 상기 냉각탑(71)에서 생산된 냉각수(4)를 저장하는 냉각수저장조(72); 상기 냉각수저장조(72)에서 생산된 냉각수(4)를 순환하는 냉각수순환펌프(73)로 구성되는 냉각수 시스템에 의하여 방열된다.
상기 가스엔진열펌프(80)에서 생산된 온열 및 냉열에 대하여, 건조공기(2)로 안정적으로 전열이 이뤄질 수 있도록, 상기 제습냉각코일(61), 가스엔진냉각수방열기(64), 재열코일(62)은 언급 순서대로 배치되며, 건조공기순환팬(65)과 함께 패키지화하여 공조기(Air Handling Unit, AHU) (60)형태로 구성되어 전열효율을 증대한다.
상기 가스엔진열펌프(80)는 열원설비의 연계구성에 용이한 가스엔진(81) 및 압축기(82)를 이용함에 따라 도 4에서와 같이 EHP 중 냉매압축기 용량에 의한 건조공기재생공정(12a)에 대하여, 흡수식냉동기 기반 일체형 건조공기재생공정(12b)로 대용량 일체화가 가능하다.
상기 공조기(60)는 재열코일(82) 후단에 건조공기순환팬(83)을 배치함으로써 건조공기 중 수분에 의한 부식 등에 의한 안전성이 강하다.
상기 가스엔진열펌프(80)는 전기만을 이용하는 EHP와 달리 바이오가스, LNG 등의 를 열원으로 하여 에너지원을 시설적용현장에 적합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한편, 통기성 벨트컨베이어(11) 상에서 이송되는 슬러지(1)에 건조공기순환팬(83)을 통해 공급되는 건조공기(2)가 전달되게 통기성 벨트컨베이어(11)는 통기성으로 형성되게 하며, 상기 통기성 벨트컨베이어(11)는 개별적인 벨트식건조기(건조부) 유닛(10b)를 기본으로 다수개를 벨트식건조기(건조부) 패키지(10a) 내에 상하 지그재그 배열로 설치 구성되게 함이 슬러지(1) 건조에 있어 효율적이다.
1 : 슬러지 2 : 건조공기
3 : 냉매 4 : 냉각수
10a : 벨트식건조기(건조부) 패키지 10b : 벨트식건조기(건조부) 유닛
11 : 통기성 컨베이어벨트 15 : EHP 적용 벨트식건조기
16 : 벨트식건조기(열원부) EHP유닛 21 : 배기순환덕트
22 : 급기순환덕트 60 : 공조기
61 : 제습냉각코일 62 : 재열코일
63 : 배가스열교환기 64 : 가스엔진냉각수방열기
65 : 건조공기순환팬 71 : 냉각탑
72 : 냉각수저장조 73 : 냉각수펌프
80 : 가스엔진열펌프 81 : 가스엔진
82 : 압축기 83 : 수랭식응축기
84 : 팽창밸브 85 : 가스엔진냉각기

Claims (5)

  1. 슬러지를 건조하는 건조장치에 있어서,
    바이오가스 또는 LNG 등의 가스연료를 에너지원으로 구동력을 생산하는 가스엔진(81);
    상기 가스엔진(81)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냉매(3)를 압축하는 압축기(82);
    상기 압축기(82)에서 압축된 고압가스상의 냉매의 응축방열을 이용하여 수분 응축제거된 저온저습한 건조공기(2)를 재가열하는 재열코일(62);
    상기 재열코일(62)을 통과한 후 기액혼합상의 냉매(3)의 잔존 응축열을 방열하여 냉매(3)를 과냉응축하는 수랭식응축기(83);
    상기 수랭식응축기(83)에서 과냉응축된 냉매(3)를 교축팽창시키는 팽창밸브(84);
    상기 팽창밸브(84)에서 교축팽창된 저온의 기액혼합상의 냉매(3)의 증발흡열을 이용하여 슬러지(1) 건조 후 수분을 함습한 저온다습조건의 건조공기(1) 중 수분을 응축제거하는 제습냉각코일(61);
    상기 제습냉각코일(61)과 재열코일(62)에 더하여 가스엔진냉각수방열기(64) 및 건조공기순환팬(65)으로 구성되는 공조기(60);
    상기 공조기(60)에서 생산된 건조공기(2)를 벨트식건조기(건조부) 패키지(10a)의 개별 벨트식건조기(건조부) 유닛(10b)에 분배하는 급기순환덕트(22); 벨트식건조기(건조부) 패키지(10a)에서 슬러지(1) 수분 건조 후 공조기(60)로 반환하는 배기순환덕트(21)와;
    상기 벨트식건조기(건조부) 패키지(10a)에 대하여 슬러지(1)와 건조공기(2) 간 접촉효율을 높이고 슬러지(1) 중 수분의 원활한 접촉증발이 가능하도록 건조공기(2) 통과가 가능한 통기성 컨베이어벨트(11)와;
    상기 가스엔진열펌프(80)에서 발생하는 배열을 수냉각하는 냉각탑(71); 상기 냉각탑(71)에서 생산된 냉각수를 저장하눈 냉각수저장조(72); 상기 냉각수저장조(72)에 저장된 냉각수를 순환하는 냉각수순환펌프(7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엔진열펌프를 이용한 대용량 유닛화 가능 벨트식 슬러지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냉각코일(61)과 재열코일(62) 사이에 가스엔진(81) 냉각 및 건조공기(2) 예열을 위한 가스엔진냉각수방열기(64)와, 건조공기(2)의 온도가 부족할 경우를 위한 배가스열교환기(63)와 건조공기(2)를 압입순환하는 건조공기순환팬(65)의 수단을 더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엔진열펌프를 이용한 대용량 유닛화 가능 벨트식 슬러지 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식건조기(건조부) 패키지(10a)는 열수연속생산형흡수식냉동기(90) 간에 건조공기(2)의 분배 및 취합구조를 가지는 배기순환덕트(21)와 급기순환덕트(22)를 통한 열원설비 일체화를 통하여, 열원설비의 통합화 및 건조실의 설치면적을 절감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엔진열펌프를 이용한 대용량 유닛화 가능 벨트식 슬러지 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엔진(81)과 압축기(82)는 가스엔진(81)의 용량에 따라 벨트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압축기(82)에 연결하여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엔진열펌프를 이용한 대용량 유닛화 가능 벨트식 슬러지 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컨베이어(11)는 개별적인 벨트식건조기(건조부) 유닛(10b)를 기본으로 다수개를 벨트식건조기(건조부) 패키지(10a) 내에 상하 지그재그 배열로 설치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엔진열펌프를 이용한 대용량 유닛화 가능 벨트식 슬러지 건조장치.
KR1020130054779A 2013-05-15 2013-05-15 가스엔진열펌프를 이용한 대용량 유닛화 가능 벨트식 슬러지 건조장치 KR101523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779A KR101523835B1 (ko) 2013-05-15 2013-05-15 가스엔진열펌프를 이용한 대용량 유닛화 가능 벨트식 슬러지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779A KR101523835B1 (ko) 2013-05-15 2013-05-15 가스엔진열펌프를 이용한 대용량 유닛화 가능 벨트식 슬러지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860A true KR20140134860A (ko) 2014-11-25
KR101523835B1 KR101523835B1 (ko) 2015-06-01

Family

ID=52455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779A KR101523835B1 (ko) 2013-05-15 2013-05-15 가스엔진열펌프를 이용한 대용량 유닛화 가능 벨트식 슬러지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8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4452A (zh) * 2018-12-19 2019-04-05 上海电力学院 一种多功能风光互补热泵污泥干燥系统
CN112876030A (zh) * 2019-11-29 2021-06-01 江苏天舒电器有限公司 一种自适配型带式热泵污泥干化系统及其控制方法
CN113149393A (zh) * 2021-03-16 2021-07-23 东南大学 一种天然气压力能驱动的污泥脱水干化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76800B1 (en) * 1998-05-07 2004-09-29 Megtec Systems, Inc. Web dryer with fully integrated regenerative heat sourc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4452A (zh) * 2018-12-19 2019-04-05 上海电力学院 一种多功能风光互补热泵污泥干燥系统
CN109574452B (zh) * 2018-12-19 2024-02-27 上海电力学院 一种多功能风光互补热泵污泥干燥系统
CN112876030A (zh) * 2019-11-29 2021-06-01 江苏天舒电器有限公司 一种自适配型带式热泵污泥干化系统及其控制方法
CN112876030B (zh) * 2019-11-29 2023-08-08 江苏天舒电器有限公司 一种自适配型带式热泵污泥干化系统及其控制方法
CN113149393A (zh) * 2021-03-16 2021-07-23 东南大学 一种天然气压力能驱动的污泥脱水干化系统
CN113149393B (zh) * 2021-03-16 2024-04-12 东南大学 一种天然气压力能驱动的污泥脱水干化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3835B1 (ko) 201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63682A (zh) 一种节能干燥系统
TWI458926B (zh) 密閉空氣循環污泥乾燥機
CN102506564B (zh) 冷凝水余热一效闪蒸自然空气除湿预热干燥烘箱系统
KR101577863B1 (ko) 흡수식 냉동기를 이용한 대용량유닛화 가능 벨트식 슬러지 건조장치
KR101536819B1 (ko) 열펌프 건조기
CN102445066B (zh) 冷凝水余热二效闪蒸自然空气除湿预热干燥烘箱系统
CN201297829Y (zh) 一种节能干燥系统
CN110255855A (zh) 一种带余热回收的双冷热源热泵污泥低温干化系统及其使用方法
KR101523835B1 (ko) 가스엔진열펌프를 이용한 대용량 유닛화 가능 벨트식 슬러지 건조장치
CN107621129B (zh) 一种外热启动与深度除湿的烘干装置
CN202133185U (zh) 一种高温蒸汽热泵系统
CN101270909B (zh) 一种冷凝热的应用方法
CN201389356Y (zh) 自冷却冷冻式压缩空气干燥机
CN211946764U (zh) 一种污泥低温干化除湿系统
CN201807261U (zh) 环保减排型气体除湿除尘机
CN202485343U (zh) 冷凝水余热一效闪蒸自然空气除湿预热干燥烘箱装置
CN206056212U (zh) 污泥烘干热泵
CN210457918U (zh) 一种带余热回收的双冷热源热泵污泥低温干化系统
CN210718432U (zh) 含水煤炭产品的干化系统
CN202216505U (zh) 高温热泵烘干系统
CN208968113U (zh) 电磁式冷媒热交换装置、除湿装置及应用除湿装置的设备
CN202452514U (zh) 燃气循环尾气制冷燃气空气独立除湿加热装置
JP2001153545A (ja) 水蒸気ヒートポンプ方式乾燥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CN203196515U (zh) 蒸汽压缩式热泵与转轮吸附除湿耦合运行干燥机
CN202191825U (zh) 无动力溶解式干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