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4793A - 스마트톨링 상황별 운영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톨링 상황별 운영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4793A
KR20140134793A KR1020130054307A KR20130054307A KR20140134793A KR 20140134793 A KR20140134793 A KR 20140134793A KR 1020130054307 A KR1020130054307 A KR 1020130054307A KR 20130054307 A KR20130054307 A KR 20130054307A KR 20140134793 A KR20140134793 A KR 20140134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ilure
information
lane
controller
st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한
Original Assignee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54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4793A/ko
Publication of KR20140134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7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톨링 상황별 운영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이패스 시스템의 기능을 수용하여 각 단위시스템의 장애 심각도를 세분화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톨링 상황별 운영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현장에 설치된 차로제어기와, 상기 각 차로제어기와 연동되어 주기적인 점검을 통해 교체주기 및 교체 현황정보를 포함하는 정기 점검관리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각 차로제어기의 기기 현황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점검관리기와, 점검결과, 차로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오류 메시지에 따라 기 설정된 기기이상 발생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이력관리기와, 기기이상 발생정보에 따라 각 차로제어기별로 정상/오류/장애/복구로 분류하고, 장애시 설정된 장애심각도에 따라 장애경보를 세분화하는 장애경보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톨링 상황별 운영관리시스템{System for operational management of smart tolling}
본 발명은 스마트톨링 상황별 운영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이패스 시스템의 기능을 수용하여 각 단위시스템의 장애 심각도를 세분화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톨링 상황별 운영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단차로 무인 자동통행료 징수시스템 이용률증가와 함께 차단차로 운영, 차단기 작동 등에 따라 단차로 무인자동통행료 징수시스템의 차로 정체는 필연적이다.
통행료를 결제하려면 서행하거나 잠시 정차해야하는데, 자동차 수가 톨게이트의 처리 능력을 넘어서게 되면 정차 차량이 늘어나면서 병목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 한국공개특허 제2013-0007217호, '스마트 톨링 정산시스템 및 그 방법'외에 다수 출원 및 공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예약(P/L)정보, 신고 정보, 충전/지불/환불자료 정보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수신하여 DB서버로 보내는 웹서버; 해당 갠트리를 통과한 차량번호정보와 갠트리번호정보를 상기 예약(P/L)정보와 비교하여 정상통과 차량번호정보 또는 위반차량 번호정보를 포함하는 카드처리데이터를 통합운영서버에 제공하는 차로제어기; 및 상기 회원정보를 수신하여 예약(P/L)데이터 또는 신고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차로제어기로부터 카드처리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예약(P/L)데이터 또는 신고데이터와 비교하며, 해당 회원의 갠트리통과에 대한 과금을 처리하는 통합운영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스마트 톨링 시스템의 각 현장에 설치된 설비의 점검을 실시하여 장애 발생시에 따른 운영관리 및 유지보수가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마트 톨링 시스템의 장애 발생시 운영관리 및 유지보수를 위한 스마트톨링 상황별 운영관리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현장에 설치된 차로제어기; 상기 각 차로제어기와 연동되어 주기적인 점검을 통해 교체주기 및 교체 현황정보를 포함하는 정기 점검관리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각 차로제어기의 기기 현황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점검관리기; 상기 점검관리기의 점검결과, 상기 차로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오류 메시지에 따라 기 설정된 기기이상 발생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이력관리기; 상기 이력관리기를 통해 기기이상 발생정보에 따라 각 차로제어기별로 정상/오류/장애/복구로 분류하고, 장애시 설정된 장애심각도에 따라 장애경보를 세분화하는 장애경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점검관리 데이터는, 차로제어기 교체유무, 기기권장 교체주기, 설치일자, 사용횟수, 유지보수 현황, 노후/성능저하 기기현황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점검관리기는, 최초 설치된 기기에 대해 기기권장 교체주기 정보 및 설치 일자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기기 교체주기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점검관리기는, 교체된 기기에 대해 기기권장 교체주기 정보 및 설치 일자 정보를 이용해 해당 기기 교체주기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장애경보기는, 상기 이력관리기를 통해 기기이상 발생정보에 따라 각 차로제어기별로 정상/오류/장애/복구로 분류하는 기기현황 분류부; 및 상기 기기이상 발생정보에 따른 각 차로제어기별로 요금지불가능 여부 및 차로제어기의 단위 구성별 장애에 따라 장애심각도를 분류하는 장애 분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장애경보기는, 상기 장애심각도에 따라 해당 차로제어기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를 재시작하도록 하는 원격 재시작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원격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톨링 시스템의 장애 발생시 세분화한 장애 심각도에 따른 운영관리 및 유지보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톨링 상황별 운영관리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톨링 상황별 운영관리시스템의 장애심각도 세분화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톨링 상황별 운영관리시스템의 원격 재시작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톨링 상황별 운영관리시스템의 원격 펌웨어 데이터 전송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톨링 상황별 운영관리시스템의 차로상태 및 차로제어기기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톨링 상황별 운영관리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톨링 상황별 운영관리시스템의 장애심각도 세분화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톨링 상황별 운영관리시스템의 원격 재시작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톨링 상황별 운영관리시스템의 원격 펌웨어 데이터 전송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톨링 상황별 운영관리시스템의 차로상태 및 차로제어기기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예시도이다.
웹서버, 차로제어기, 통합운영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 톨링 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톨링 상황별 운영관리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로제어기(100), 점검관리기(200), 이력관리기(300), 장애경보기(400)를 포함한다.
차로제어기(100)는 다수의 현장에 설치된 차로제어기 구성이다.
점검관리기(200)는 각 차로제어기와 연동되어 주기적인 점검을 통해 교체주기 및 교체 현황정보를 포함하는 정기 점검관리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각 차로제어기의 기기 현황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점검관리 데이터는 차로제어기 교체유무, 기기권장 교체주기, 설치일자, 사용횟수, 유지보수 현황, 노후/성능저하 기기현황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점검관리기(200)는 최초 설치된 기기에 대해 기기권장 교체주기 정보 및 설치 일자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기기 교체주기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교체된 기기에 대해 기기권장 교체주기 정보 및 설치 일자 정보를 이용해 해당 기기 교체주기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력관리기(300)는 점검관리기의 점검결과, 상기 차로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오류 메시지에 따라 기 설정된 기기이상 발생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이력관리 테이블로 작성하여 이력관리 데이터의 조회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장애경보기(400)는 이력관리기를 통해 기기이상 발생정보에 따라 각 차로제어기별로 정상/오류/장애/복구로 분류하고, 장애시 설정된 장애심각도에 따라 장애경보를 세분화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장애경보기(400)는, 기기현황 분류부(410), 장애 분류부(420), 원격제어부(430)를 포함한다.
기기현황 분류부(410)는 이력관리기를 통해 기기이상 발생정보에 따라 각 차로제어기별로 정상/오류/장애/복구로 분류하는 구성이다.
또한 장애분류부(420)는 기기이상 발생정보에 따른 각 차로제어기별로 요금지불가능 여부 및 차로제어기의 단위 구성별 장애에 따라 장애심각도를 분류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원격제어부(430)는 장애심각도에 따라 해당 차로제어기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를 재시작하도록 하는 원격 재시작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톨링 상황별 운영관리 시스템은 별도의 운영단말을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차로제어기별 점검 데이터 및 이력관리 데이터를 받아 각 차로제어기 간의 기기이상정보의 편차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허용 편차범위를 벗어나는 차로제어기의 기기이력 데이터를 외부로 제공하는 운영예측기;를 더 포함하는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톨링 상황별 운영관리 시스템은, 정기점검, 운영예측, 이력관리를 통해 해당 장비의 점검을 실시하고, 이와 같은 데이터를 통해 해당 장비의 장애 시 장애 심각도를 세분화하고 각 차로제어기의 세부시스템의 장애 심각도를 다음의 표1과 같이, 판단하여 장애 시 보다 효율적으로 유지보수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장애심각도 1 2 3 4 5
내용 요금지불가능/단위시스템 기능 정상 요금지불가능/단위시스템 기능 일부 불능 요금지불가능/단위시스템 불능 요금지불불가/단위시스템 불능 요금지불불가/전체시스템 불능
또한, 각 단위시스템 별 장애 심각도를 예를 들어 다음의 표 2와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시스템 세부 시스템 장애심각도
차로제어기 메인컨트롤러유닛 3
전원공급유닛 3
모니터링 유닛 2
통신 유닛 2
차종분류센서 3
또한, 위와 같이 장애별 심각도에 따라 정상/오류/복구로 구분되어 있던 장애 표시를 정상/오류/장애/복구로 세분화하고 장애를 다시 세분화하여 5단계로 나누어 관리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톨링 상황별 운영관리시스템은 장애심각도에 따라 해당 차로제어기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를 재시작하도록 하는 원격 재시작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데, 원격지원 관리는 원격으로 기기 이상 발생에 대한 처리를 담당할 수도 있다.
이를 크게 구분하면 원격 소프트웨어 재시작, 원격 하드웨어 재시작으로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원격 지원 관리 중 원격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재시작 기능은 해당 기기의 이상 발생시 재시작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차로제어기기의 이상 동작을 인식시, 해당 기기의 재시작 데이터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톨링 상황별 운영관리시스템은 외부 요청에 따라 기기별 신규 펌웨어를 원격지원기능을 통해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으로 시스템 및 프로세스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해당 데이터를 제공하고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스 상태는 통신제어기 프로세스, 모니터링 프로세스, 상위통신 수신서버, 하위통신 송수신 서버를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차로상태 및 차로제어기기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해당 데이터를 제공하고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차로상태 정보는 차로명, 근무상태(차로, 상태, 근무상태, 근무 개시 시각, 근무 종료 시각), 최종 위반처리 시각, 최종 위반처리 내용, 보수기종, 보수정보 및 보수 시각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톨링 상황별 운영관리시스템은 스마트 톨링 시스템의 장애 발생시 세분화한 장애 심각도에 따른 운영관리 및 유지보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100 : 차로제어기 200 : 점검관리기
300 : 이력관리기 400 : 장애경보기
410 : 기기현황 분류부 420 : 장애 분류부
430 : 원격제어부

Claims (6)

  1. 다수의 현장에 설치된 차로제어기;
    상기 각 차로제어기와 연동되어 주기적인 점검을 통해 교체주기 및 교체 현황정보를 포함하는 정기 점검관리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각 차로제어기의 기기 현황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점검관리기;
    상기 점검관리기의 점검결과, 상기 차로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오류 메시지에 따라 기 설정된 기기이상 발생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이력관리기; 및
    상기 이력관리기를 통해 기기이상 발생정보에 따라 각 차로제어기별로 정상/오류/장애/복구로 분류하고, 장애시 설정된 장애심각도에 따라 장애경보를 세분화하는 장애경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톨링 상황별 운영관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관리 데이터는,
    차로제어기 교체유무, 기기권장 교체주기, 설치일자, 사용횟수, 유지보수 현황, 노후/성능저하 기기현황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톨링 상황별 운영관리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관리기는,
    최초 설치된 기기에 대해 기기권장 교체주기 정보 및 설치 일자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기기 교체주기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톨링 상황별 운영관리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관리기는,
    교체된 기기에 대해 기기권장 교체주기 정보 및 설치 일자 정보를 이용해 해당 기기 교체주기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톨링 상황별 운영관리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경보기는,
    상기 이력관리기를 통해 기기이상 발생정보에 따라 각 차로제어기별로 정상/오류/장애/복구로 분류하는 기기현황 분류부; 및
    상기 기기이상 발생정보에 따른 각 차로제어기별로 요금지불가능 여부 및 차로제어기의 단위 구성별 장애에 따라 장애심각도를 분류하는 장애 분류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톨링 상황별 운영관리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경보기는,
    상기 장애심각도에 따라 해당 차로제어기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를 재시작하도록 하는 원격 재시작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원격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톨링 상황별 운영관리시스템.
KR1020130054307A 2013-05-14 2013-05-14 스마트톨링 상황별 운영관리시스템 KR201401347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307A KR20140134793A (ko) 2013-05-14 2013-05-14 스마트톨링 상황별 운영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307A KR20140134793A (ko) 2013-05-14 2013-05-14 스마트톨링 상황별 운영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793A true KR20140134793A (ko) 2014-11-25

Family

ID=52455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307A KR20140134793A (ko) 2013-05-14 2013-05-14 스마트톨링 상황별 운영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47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833B1 (ko) * 2018-05-31 2018-07-25 (주)아이트로닉스 무정차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의 차로 제어 시스템
KR20190129283A (ko) * 2018-05-10 2019-11-20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시스템 및 이를 관리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283A (ko) * 2018-05-10 2019-11-20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시스템 및 이를 관리하는 방법
KR101881833B1 (ko) * 2018-05-31 2018-07-25 (주)아이트로닉스 무정차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의 차로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36070B1 (de) Verfahren zur Ferndiagnose einer Aufzuganlage und Aufzuganlag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9466196B2 (en) Anomalous phenomena detector
CN103780432B (zh) 停车场运维方法、车道控制机、服务器、移动终端及系统
CN105480262B (zh) 用于全自动驾驶的联动控制系统及方法
US20200320871A1 (en) Traffic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with integrated sensor maintenance
CN105553819A (zh) 轨道交通维护支持系统和方法
CN112558536A (zh) 车站监控系统和方法
CN113954911A (zh) 基于自主感知的列控系统和方法
CN110827423B (zh) 一种用于实现不间断运行的etc门架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CN112286090A (zh) 一种前端电子设备故障检测与智能维护应用管理系统
JP2006238306A (ja) 無線通信機能診断装置、無線通信機能診断プログラムおよび無線通信機能診断方法
KR20140134793A (ko) 스마트톨링 상황별 운영관리시스템
JP2002329020A (ja) 電気車に対するサービスの提供をビジネスとする方法
CN207748684U (zh) 一种基于物联网智能远程监控故障诊断管理系统
KR101708338B1 (ko) 열차 운행 감시 시스템
CN105159199A (zh) 公交智能车载系统
CN104876082A (zh) 电梯监控系统及方法
KR102075999B1 (ko) 하이패스 시스템 및 이를 관리하는 방법
CN108234162A (zh) 基于端口数据流量监测的tdcs/ctc系统预警方法
KR102318916B1 (ko) 도로 안전 시설물의 통합 플랫폼 및 플랫폼의 빅데이터 제공방법
KR102307010B1 (ko) 주차관리 시스템에서 주차장 장비의 전원제어시스템
CN103092152A (zh) 轨道交通自动售检票系统车站计算机监控系统及监控方法
CN110827438A (zh) 轨道交通售票检票设备状态监测系统
JP2007052735A (ja) 無線処理システムおよび無線設備検査方法
JP5547237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316

Effective date: 2016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