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4700A - 특히 유체 라인, 피팅 또는 어셈블리를 위한 플러그인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특히 유체 라인, 피팅 또는 어셈블리를 위한 플러그인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4700A
KR20140134700A KR1020147028487A KR20147028487A KR20140134700A KR 20140134700 A KR20140134700 A KR 20140134700A KR 1020147028487 A KR1020147028487 A KR 1020147028487A KR 20147028487 A KR20147028487 A KR 20147028487A KR 20140134700 A KR20140134700 A KR 20140134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gripping
contour
mounting
coupl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8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2610B1 (ko
Inventor
조켐 안드레아스 헤쓰
Original Assignee
보스 오토모티브 게임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 오토모티브 게임베하 filed Critical 보스 오토모티브 게임베하
Publication of KR20140134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 F16L37/08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with access to the split elastic ring from a radial or tangential opening in th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16L37/09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22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using a retaining member the extremities of which, e.g. in the form of a U, engage behind a shoulder of both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유체 라인들, 피팅들 또는 어셈블리들을 위한 플러그인 연결 장치(SV)에 관한 것이며, 상기 플러그인 연결 장치는, 하우징 부품과 같은 제1 커플링 부품(1) 및, 축(X-X)을 따라서 제1 커플링 부품(1)의 수용 개구부(3) 내로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 부품과 같은 제2 커플링 부품(2)을 포함하고, 두 커플링 부품 중 일측의 커플링 부품(1, 2) 상에 타측의 커플링 부품(2, 1)의 대응 파지 요소(5)와의 걸림 고정을 위한 파지 요소(4)가 배치되고, 이 파지 요소(4)는 확산 표면(AS)을 포함하고, 이 확산 표면은, 대응 파지 요소(5)의 대응 확산 표면(AGS)에 상대적으로 활주함으로써, 장착 간격(sM)만큼 삽입될 때 장착력(FM)의 작용 하에서, 확산 간격(sW)만큼 축(X-X)에 대해 횡방향으로 파지 요소(4)의 확산 이동을 야기한다. 장착 도중에 플러그인 거동을 개선하기 위해, 대응 확산 표면(AGS)을 바라보는 확산 표면(AS)의 윤곽은, 삽입되는 도중에 확산 간격(sW)이 장착 간격(sM)에 의존하여 비선형으로 변화되는 방식으로, 확산 표면(AS)을 바라보는 대응 확산 표면(AGS)의 대응 윤곽(GK)에 맞춰지게 되는 점이 제안된다.

Description

특히 유체 라인, 피팅 또는 어셈블리를 위한 플러그인 연결 장치{PLUG-IN CONNECTION SYSTEM, IN PARTICULAR FOR FLUIDIC LINES, FITTINGS OR ASSEMBLIES}
본 발명은, 특히 유체 라인들, 피팅들 또는 어셈블리들을 위한 플러그인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플러그인 연결 장치는, 하우징 부품과 같은 제1 커플링 부품 및, 축을 따라서 제1 커플링 부품의 수용 개구부 내로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 부품과 같은 제2 커플링 부품을 포함하고, 두 커플링 부품 중 일측의 커플링 부품 상에 타측의 커플링 부품의 대응 파지 요소(mating holding element)와의 걸림 고정(latching)을 위한 파지 요소가 배치되고, 이 파지 요소는 확산 표면(spreading surface)을 포함하며, 이 확산 표면은, 대응 파지 요소의 대응 확산 표면에 상대적으로 활주함으로써, 장착 간격(mounting travel)만큼 삽입될 때 장착력의 작용 하에서, 확산 간격(spreading travel)만큼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파지 요소의 확산 이동을 야기한다.
상기 유형의 플러그인 연결 장치는 WO 2006/018384 A1로부터 특별한 실시예로 공지되어 있다. 상기 특허 문서는, 상호 간에 삽입될 수 있는 2개의 커플링 부품, 더욱 정확하게 말하면 특히 하나의 소켓 부품과 하나의 플러그 부품으로 구성되는, 유체 라인들을 위한 플러그인 커넥터를 기술하고 있으며, 이 경우 플러그 부품은 플러그 축부에 의해 밀봉 방식으로 소켓 부품의 수용 개구부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삽입된 상태에서는 잠금 장치(locking device)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잠금 고정될 수 있으며, 잠금 장치는, 한편으로 반경 방향에서는 플랜지형이고 삽입된 상태에서는 축 방향에서 삽입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두 커플링 부품의 2개의 외부 파지 웹(holding web) 및, 다른 한편으로는 축 방향 단면이 C자 형상인 하나 이상의 파지 섹션으로 상기 두 커플링 부품의 파지 웹들을 축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형상 결합 방식으로 에워싸는, 하나 이상의 파지 부품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파지 요소는, 대응 파지 요소와의 걸림 고정을 위한 확산 표면을 또한 포함하는 파지 부품 상에 형성되는 반면, 대응 확산 표면을 구비한 대응 파지 요소는 소켓 부품의 파지 웹을 통해 형성된다. 확산 표면과 대응 확산 표면은 각각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그럼으로써 두 확산 표면은 삽입될 때 실질적으로 전면에 걸쳐 상호 간에 활주한다.
WO 2006/018384 A1은, 특히, 공지된 잠금 고정 원리의 장점들을 유지하면서, 파지 요소의 소실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고 장착을 단순화할 수 있게 하는, 더욱 정확하게 말하면 장착 장소에 작은 주변 공간만이 가용한 적용 사례에서도 상기 사항들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 해결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공지된 커플링 장치는 실무에서 VOSS 플러그인 연결 장치 246의 상품명 하에 각종 적용 사례에 대해 적합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연료 라인들 및 어셈블리들을 연결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VOSS 246 AX라는 명칭을 갖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의 실시예에서, 상기 플러그인 연결 장치는 신속한 장착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연결 장치의 장착은 하우징 또는 소켓 부품 내로 그 상에 파지 부품이 이미 사전 조립되어 있는 플러그 부품을 삽입하는 것을 통해 수행되며, 플러그 부품의 파지 요소는 하우징 부품의 대응 파지 요소와 걸림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장착 동안 각각의 삽입 과정이 진행되는 도중에 일시적으로 원하지 않게 높은 최대 삽입력이 발생하는 점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최초에 언급한 유형의 플러그인 연결 장치를 그 장착 거동의 관점에서 개량하고, 특히 공지된 연결 장치의 장점들을 유지하면서 삽입 동안의 최대 소모될 장착력이 감소될 수 있게 하며, 그리고/또는 삽입력이 제2 커플링 부품이 장착될 때 이동하는 간격에 걸쳐서 최대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삽입될 때 확산 간격이 장착 간격에 의존하여 비선형으로 변화되는 방식으로, 대응 확산 표면을 바라보는 확산 표면의 윤곽은 확산 표면을 바라보는 대응 확산 표면의 대응 윤곽에 맞춰지거나, 또는 그와 반대로 대응 윤곽이 그에 상응하게 윤곽에 맞춰지는 것을 통해 달성된다.
그 외에, 본 발명은, 삽입될 때 제2 커플링 부품이 이동하는 간격에 의존하는 삽입할 때의 장착력의 변화량에 대한 수많은 조사의 평가에 기인한다. 상기 조사를 통해, 장착 간격에 대한 삽입력의 의존성의 특성 곡선들을 획득했으며, 상기 특성 곡선들은 본 발명을 통해 바람직하게는 높은 최대 삽입력을 감소시키는 의미에서 변화된다. 이는, 확산 표면 및 이 확산 표면에 상대적으로 활주하는 대응 확산 표면의 공지된 오로지 원추형인 형태에서 벗어남으로써 실행된다.
이 경우, 삽입될 때 확산 간격이 장착 간격에 의존하여 비선형으로, 특히 여러 장착 단계들에서 삽입될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례 이상으로, 비례로, 그리고/또는 비례 이하로 변화되도록 하는, 확산 표면 및/또는 대응 확산 표면의 상호 간에 맞춰지는 기하학적 형상을 통해, 공지된 플러그인 연결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전체 삽입 과정에 걸쳐서 장착을 위해 소모될 일(work)의 더 균일한 분배가 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장착력 및 장착 간격의 그래프에서 삽입력의 곡선들 아래에서 거의 직사각형인 표면으로 표현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는, 최적화된 장착력 및 장착 간격의 특성에서, 삽입 도중에 발생하는 최대 장착력의 레벨은 감소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추가로 전체 장착 간격을 단축할 수도 있으며, 이는 특히, 필요한 장착 공간의 최소화의 관점에서 장점들을 달성한다.
특히 적어도 여러 장착 단계들 중 하나의 장착 단계에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주요 장착 단계에서, 확산 표면의 윤곽 및 대응 윤곽이 전면에 걸쳐서가 아니라 선형 접촉으로만, 그러나 적어도 표면의 전체 크기에 비해 매우 좁은 폭의 띠로 상호 간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확산 표면의 윤곽이 대응 윤곽에 맞춰질 수 있는 것을 통해, 바람직하게는 삽입될 때 발생하는 마찰력은 최소값으로 감소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을 통해, 장착력을 야기할 때 유념해야 하는 복합적인 인과 관계가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커플링 부품이 축을 따라서 축부에 의해 밀봉 방식으로 제1 커플링 부품의 수용 개구부 내로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 부품이고, 밀봉을 위해 두 커플링 부품 중 일측의 커플링 부품에 그 외주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그루브(groove)가 형성되고, 이 그루브 내에 특히 탄성 중합체로 구성되는 외주 밀봉링(periphera sealing)이 배치되는, 유체 안내형 플러그인 연결 장치의 경우, 장착력은 특히 장착 도중의 정해진 시점에 개시되고 그 이후 지속되는 두 커플링 부품과 외주 밀봉링의 상호 작용을 통해서도 결정된다. 이런 점, 또는 이른바 유출 정지부(leak-out stop) 쪽으로, 다시 말하면 예컨대 유체 흐름에서 하류에 배치되는 밸브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삽입하는 점도 일반적으로 공지된 플러그인 연결 장치에서는 비례 이상의 삽입력 상승을 초래한다. 확산 표면의 윤곽을 바라보는 대응 확산 표면의 대응 윤곽에 대한 확산 표면의 윤곽의 본 발명에 따른 맞춤의 범위에서, 장착 간격에 의존하는 확산 간격의 그에 상응하게 대항 작용하는 비선형 변화를 통해, 삽입력을 상쇄하는 추가 힘의 상기 영향은 바람직하게 보상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확산 표면의 윤곽 및/또는 대응 윤곽은 각각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섹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 섹션별로 또는 전체 표면에 걸쳐서 형성되는 원추형, 오목 만곡형 및/또는 볼록 만곡형 윤곽들을 서로 조합할 수 있다. 요컨대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는 대응 확산 표면의 볼록한 윤곽에 대한 확산 표면의 원추형 윤곽 또는 그 반대, 대응 확산 표면의 볼록한 윤곽에 대한 확산 표면의 볼록한 윤곽, 대응 확산 표면의 오목한 윤곽에 대한 확산 표면의 볼록한 윤곽 또는 그 반대, 또는 대응 확산 표면의 원추형 섹션에 대한 확산 표면의 볼록한 섹션 및 원추형 섹션 등. 이 경우, 섹션들 사이의 전이부들은 특히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작용력의 갑작스런 변화는 야기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형성 특징들은 종속 청구항들 및 하기의 기술 내용에 포함되어 있다. 하기에서 본 발명은 복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의 바람직한 예시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연결 장치의 주요 부품들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사전 조립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연결 장치의 추가의 바람직한 예시의 실시예를 도시한 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한편으로 장착 도중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완전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연결 장치의 바람직한 예시의 제3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2개의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와 비교하여 3개의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연결 장치와 관련하여 장착 간격에 대한 확산 간격의 의존성을 나타낸 원리 그래프이다.
도 5는, 2개의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연결 장치 및 하나의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와 관련하여 장착 간격에 대한 장착력의 의존성을 나타내는 비교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에서, 도 3a에서 VII로 표시된 상세 부분을 매우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면 상세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연결 장치의 여러 실시예들에서 확산 표면 및 대응 확산 표면을 도 6에서와 같이 각각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면 상세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2의 절단선 XI-XI에 상응하게 바라보고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연결 장치의 파지 부품의 2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하기의 기술 내용에 대해 분명하게 강조할 사항은, 본 발명은 실시예들로만, 그와 동시에 기술한 특징 조합들의 모든 또는 다수의 특징으로만 국한되지 않으며, 오히려 각각의 실시예의 각각의 개별 부분 특징이 이 특징과 관련하여 기술한 모든 다른 부분 특징들과 분리되어서도 그 자체로,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의 임의의 특징들과 조합되어서도 발명의 의미를 갖는다는 점이다.
도면의 여러 도면들에서 동일하고 서로 상응하는 부품들은 항상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가지며, 그런 이유에서 하기에서 일반적으로 각각 1회만 기술된다. 도 6에서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실시예의 구조적인 부품들의 참조 부호는 추가로 별표(*)로 식별 표시되어 있다.
우선 도 1 및 도 2로부터, 그러나 도 3a 및 도 3b로부터도 제시되는 것처럼, 특히 유체 안내형 라인들, 피팅들 또는 어셈블리들에서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연결 장치(SV)는, 유체 어셈블리를 위한 하우징 부품 또는 어댑터 부품과 같은 제1 커플링 부품(1)과, 축(X-X)을 따라서 제1 커플링 부품(1)의 수용 개구부(3) 내로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 부품과 같은 제2 커플링 부품(2)을 포함한다. 이 경우, 제1 커플링 부품(1) 내로 제2 커플링 부품(2)의 삽입 방향은 도면들에 각각 참조 부호 S로 표시된 화살표를 통해 식별 표시된다.
도 1에서의 실시예는 직선형인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연결 장치(SV)이고, 도 2에서의 실시예는 굽혀진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연결 장치(SV)이고, 도 3a 및 도 3b에서의 실시예는 마찬가지로 직선형인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연결 장치(SV)이며, 도 1 및 도 3a/3b에서의 장치들은 이 장치들에 라인 연결이 어떻게 수행되는지, 또는 어떻게 수행될 수 있는지의 유형을 통해 서로 구별된다. 도 3a/3b에는, 각각의 구체적인 적용 사례에 따라서 원하는 사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라인 포트들을 포함하지 않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연결 장치(SV)의 일부분들이 도시되어 있다.
두 커플링 부품 중에서 일측의 커플링 부품(2) 상에는, 타측의 커플링 부품(1)의 대응 파지 요소(5)와의 걸림 고정을 위한, 파지 요소(4)가 배치되며, 대응 파지 요소(5)는 특히 소켓 부품으로서 형성되는 제1 커플링 부품(1)의 플랜지형 파지 웹을 통해 형성된다. 파지 요소(4)는 각각의 커플링 부품(2)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특별한 실시예에서 (도시된 것처럼)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파지 부품(40) 상의 파지 요소(4)일 수 있다.
파지 요소(4)는 길이(L) 및 확산 표면(AS)을 포함하며, 이 확산 표면은, 타측의 커플링 부품(1) 상의 대응 파지 요소(5)의 대응 확산 표면(AGS)에 상대적으로 활주함으로써, 축(X-X)을 따르는 장착 간격(sM)만큼 커플링 부품(2)이 삽입될 때, 삽입 방향(S)으로 작용하는 장착력(FM)의 작용 하에서 확산 간격(sW)만큼 축(X-X)에 대해 횡방향으로 파지 요소(4)의 확산 이동을 야기한다. 확산 표면(AS)은, 제1 커플링 부품(1)을 바라보는 파지 요소(4)의 가장자리 상에서 외주에 따라서 연장되는 안쪽 사면이다. 대응 확산 표면(AGS)은 제2 커플링 부품을 바라보는 대응 파지 요소(5)의 가장자리 상에서 외주에 따라서 연장되는 바깥쪽 사면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대응 확산 표면(AGS)을 향하는 확산 표면(AS)의 윤곽(K)은, 삽입될 때 확산 간격(sW)이 장착 간격(sM)에 의존하여 비선형으로 변화되는 방식으로, 확산 표면(AS)을 바라보는 대응 확산 표면(AGS)의 대응 윤곽(GK)에 맞춰진다. 이 경우, 도 2, 도 3a, 도 3b 및 도 6 내지 도 10의 단면도들에서는, 표면들(AS, AGS)의 윤곽(K) 내지 대응 윤곽(GK)만이 확인된다. 그 때문에, 상기 도면들에서 표면들(AS, AGS)에 상응하는 참조 부호는 (도 1과 달리) 각각 괄호 안에 표시되어 있다.
제2 커플링 부품(2)은 특히 축(X-X)을 따라서 그의 플러그 축부(6)에 의해 밀봉 방식으로 제1 커플링 부품(1)의 수용 개구부(3) 내로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 부품이고, 밀봉을 위해 두 커플링 부품(1, 2) 중 일측의 커플링 부품에 [도 1, 도 2,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는 각각 플러그 부품(2)에] 외주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그루브(7)가 형성되며, 이 그루브 내에는 특히 탄성 중합체로 구성된 외주 밀봉링(8)이 배치되어 있거나(도 1, 도 2), 또는 배치될 수 있다(도 3a, 도 3b).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연결 장치(SV)에 의해 피팅 또는 어셈블리 상에 연결될 수 있는 유체 라인(9)의 포트 단부 또한 도시되어 있다. 유체 라인(9)은, 도 1 및 도 2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대해 각각 도시된 것처럼, 장착을 위해, 예컨대 플러그 부품(2) 상으로 넓어지면서 끼워질 수 있으며, 다시 말하면 플러그의 핀 탭(10)(pin tap) 상으로 마찰 및 형상 결합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유체 라인은 특히 유연한 벽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연결 장치(SV)의 경우에서는, 그 대신, 예컨대 강성 라인(9)과의 용접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연결 장치(SV)의 플러그 부품(2)은 삽입된 상태에서, 그 전체로 표시되어 있지 않은, 잠금 장치를 통해 소켓 부품(1) 상에 분리 가능하게 잠금 고정될 수 있다. 잠금 장치는, 한편으로 플러그인 커넥터를 형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반경 방향으로 플랜지형인 두 커플링 부품(1, 2)의 2개의 외부 파지 웹(5, 12)으로 구성되고, 이 파지 웹들 중에서 일측의 파지 웹은 대응 파지 요소(5)이고 그 중 타측의 파지 웹(12)은 플러그 축부(6) 상에 위치되며,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잠금 장치는, 파지 요소(4)를 포함하여 제2 커플링 부품(2) 상에 사전 조립될 수 있는 파지 부품(40)으로 구성된다. 파지 웹들(5, 12)은 삽입되고 장착된 상태에서, 예컨대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축 방향의 삽입 방향(S)으로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다. 파지 부품(4)은 축 방향 단면이 C자 형상인 하나 이상의 파지 섹션(13)으로 파지 웹들(5, 12)을 축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형상 결합 방식으로 에워싼다.
이 경우, 파지 부품(40)은 두 커플링 부품(1, 2) 중 일측의 커플링 부품 상에, 더욱 정확하게 말하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 플러그 부품(2) 상에 소실되지 않게 사전 조립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소실 방지 부재(14)가 제공될 수 있다. 파지 부품(40) 및 소실 방지 부재(14)는 공업용 플라스틱으로, 또는 탄성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파지 부품(40) 및 제1 커플링 부품(1)은, 파지 부품(40)이 반경 방향으로 플러그 부품(2) 상에 스냅 장착될 수 있도록 그리고 파지 부품(40)이 각각의 파지 섹션(13)의 영역 내에서 반경 방향으로 탄성 이동될 수 있도록, 상호 간에 맞춰지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더불어, 본 발명을 특징짓는 방식으로, 각각의 파지 섹션(13)의 영역에서의 파지 부품(40) 및 소켓 부품(1)의 파지 웹(5)은, 상호 간에 삽입될 때 각각의 파지 섹션(13)이 이 파지 섹션에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파지 웹(5)에 의해 반경 방향에서 바깥쪽을 향해 이동되며[다시 말하면, 확산 간격(sW)만큼 확산되며], 후속하여 삽입된 상태에서는 반경 방향에서 안쪽을 향하는 후퇴 이동을 통해,잠금 고정을 위해 상호 간에 직접 연결될 두 부품(1, 2)의 파지 웹들(5, 12)을 에워싸는 방식으로, 삽입 방향(S)으로 작용하는 형상 결합 방식의 걸림 고정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호 간에 맞춰지도록 형성된다.
파지를 위해, 파지 부품(40)은, 각각의 파지 섹션(13)의 영역에서, 삽입 과정 동안 대응하는 제1 커플링 부품(1)을 바라보는 면 상에, 걸림 고정 요소를 포함하며, 이 걸림 고정 요소는, 이미 기술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방식으로 형성되는, 파지 요소(4)를 통해 형성된다. 파지 요소(4) 상에서는, 커플링 부품(1)을 바라보는 삽입 방향(S)에서 전방에 위치하는 파지 요소의 면 상에, 반경 방향에서 안쪽의 사면[확산 표면(AS)]이 형성되고, 대향하여 위치하는 파지 요소의 면 상에는 반경 방향 파지 에지(15)가 형성된다. 삽입할 때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파지 웹(5)에 의해서, 파지 웹의 사면[대응 확산 표면(AGS)]을 통해, 파지 요소(4)가 종국에 되튀면서 반경 방향 파지 에지(15)로 파지 웹을 [다시 말하면 대응 파지 요소(5)를] 맞물면서 형상 결합 방식으로 안쪽에서 고정할 때까지, 반경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향하는 파지 요소(4)의 확산 이동이 야기된다.
바람직하게는, 파지 부품(40)은, 외주 위치에서 반경 방향의 탄성 변형성을 갖는, 도 1,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축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통과하는 슬롯 중단부(16)(slot interruption)를 포함하는, 단일 부재형의 탄성 링 클램프 또는 파지 클립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링 클램프의 슬롯 중단부(16)를 통해 분리되고 외주 방향으로 상호 간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클램프 단부들(17)의 영역에 파지 웹들(5, 12)을 위한 창 유형의 관통 개구부들(18)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파지 부품(40)의 사전 조립 및 분해를 수월하게 한다.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것처럼, 플러그 부품(2) 상에 파지 부품(40)의 사전 조립 고정을 위해, 플러그 부품(2)은 파지 부품(40)의 파지 섹션(13)의 대응하는 반경 방향 링 칼라(20)(ring collar)를 수용하기 위한 반경 방향 링 그루브(19)를 포함한다. 링 칼라(20)는 삽입 방향(S)에 대해 횡방향으로 향하며, 따라서 링 클램프의 탄성 팽창 상태에서 슬롯 중단부(16)를 갖는 링 클램프의 반경 방향 삽입에 의해 링 그루브(19) 내로 삽입될 수 있고(화살표 E), 그로 인해 그루브(19)는 바람직하게는 축 방향에서 파지 웹(12) 및, 파지 웹(12)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 부가적 고정 링 웹(21) 사이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분해를 위해, 파지 부품(40)은, 소켓 부품(1)과의 걸림 고정이 해소되면서 측면으로 도 1에서 화살표(E)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빠지고 플러그 부품(2)은 소켓 부품(1)으로부터 뽑힐 수 있다. 이 경우, 소실 방지 부재(14)는, 파지 부품(40)이 소실되지 않도록 보장한다. 이 경우, 특히, 소실 방지 부재(14)는, (도시된 것처럼) 고무 탄성 재료로 구성되는 파지 브래킷으로서 형성되며, 이 파지 브래킷은, 도 2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한편으로 플러그 부품(2) 상에서 외주를 따르는 파지 그루브(22) 내에 안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파지 부품(40)의 외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버섯 모양의 핀 탭(23) 상에 클립 고정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연결 장치(SV)(파선으로, 일점쇄선으로, 그리고 라인 x-x-x를 통해 이상화되어 도시된 곡선 라인들을 통한 식별 표시)의 경우에,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2개의 플러그인 연결 장치(단순한 실선을 통한 식별 표시)의 경우에, 장착 간격(sM)에 대한 확산 간격(sW)의 의존성이 비교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라인 x-x-x는 비례 이상의 의존성을 식별 표시하고, 일점쇄선 라인들은 비례 이하의 의존성을 식별 표시하며, 파선 라인은, 상위 차수의 연속 미분 가능 다항식, 이른바 스플라인 함수를 통해 표현될 수 있는 비선형 의존성을 식별 표시한다. 2개의 장착 간격 길이(sM1, sM2)가 도시되어 있다. 상대적으로 더 긴 제2 장착 간격 길이(sM2)의 경우 하나의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기술적 해결 방법 및 하나의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해결 방법에 대한 곡선 파형이 도시되어 있고, 상대적으로 더 짧은 제1 장착 간격 길이(sM1)의 경우에는 하나의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기술적 해결 방법 및 3개의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해결 방법에 대한 곡선 파형들이 도시되어 있다. 모든 경우에, 상대적으로 더 긴 제1 확산 간격(sW1)이 상대적으로 더 짧은 제1 장착 간격(sM1)에 부합하고, 상대적으로 더 짧은 제2 확산 간격(sW2)은 상대적으로 더 긴 제2 장착 간격(sM2)에 부합한다.
도 5에는, 2개의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연결 장치(SV)(이상화되어 도시된 곡선 라인 o-o-o 및 x-x-x를 통한 식별 표시)의 경우에,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단순한 실선으로서 평균값 계산을 통해 획득되어 이상화된 곡선 라인을 통한 식별 표시)의 경우에, 장착 간격(sM)에 대한 장착력(FM)의 의존성이 비교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의 특성은 수많은 측정을 통해 획득된 것이며, 연결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확산 표면(AS)의 윤곽(K) 및 대응 확산 표면(AGS)의 대응 윤곽(GK)을 각각 보유한, 파지 요소(4) 및 대응 파지 요소(5)를 포함한 것이었다. 상기 장치에 대한 전체 장착 간격은, 도 4에서처럼, 도면 부호 sM2로 표시되어 있다.
곡선 라인 x-x-x를 통해 식별 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연결 장치들(SV)의 특성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확산 표면(AS)의 윤곽(K) 및 대응 확산 표면(AGS)의 대응 윤곽(GK)을 각각 보유하는, 파지 요소(4) 및 대응 파지 요소(5)로 획득된 것이다. 곡선 라인 x-x-x는 예시로서 단축된 삽입 간격(sM1)뿐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실시예의 최대 삽입력(F*Mmax)에 비해 감소된 최대 삽입력(FMmaxx)을 나타내지만, 본 발명에 따라 두 변수 중 하나의 변수만의 최소화, 즉 장착 간격(sM) 또는 최대 삽입력(FMmax)만의 최소화도 가능하다. 곡선 라인 o-o-o을 통해 식별 표시되는 본 발명에 따르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SV)의 특성은, 파지 요소(5)가 도 6의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은 경우와 동일한 길이(L)를 보유하는 점에서 도 8의 실시예와 구별되는 미도시된 실시예로 획득된 것이다. 그에 상응하게, 장착 간격(sM2)도 상대적으로 더 길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실시예의 경우, 힘 및 장착 간격의 특성(FM-sM)은, 장착 간격(sM)에 걸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해서 더 낮고, 제1 근사에서 선형의 장착력(FM) 상승에 의해 특징지어 진다. 이 경우, 상기 특성은 삽입 도중에 최대값(F*Mmax)(도 5에서 예시로서 약 5㎜임)에 도달하고, 그런 후에 2개의 단계를 거쳐 맞물림을 특징짓는 값 0으로 감소한다. 추가 삽입은, 두 커플링 부품(1, 2)의 파지 웹들(5, 12) 상호 간의 파지로 인해, 불가능하며, 이는 곡선의 끝에서 갑자기 극도로 증가하는 삽입력 상승에 의해 분명하게 확인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힘 및 간격의 특성들(FM-sM)은 비교적 다르게 형성된다. 여기서 삽입할 때 3개의 장착 단계로 구별되며, 이는, 각각 동일한 삽입 간격(sMAo, sMAx)을 갖는 초기 장착 단계(PAo, PAx), 서로 상이한 삽입 간격(sMZo, sMZx)을 갖는 주요 장착 단계(PZo, PZx), 및 서로 상이한 삽입 간격(sM2, sM1)을 갖는 최종 장착 단계(PEo, PEx)이다. 이 경우, 주요 장착 단계(PZo, PZx)에서 삽입 도중에 이동하는 제2 커플링 부품(2)의 장착 간격(sM)은 각각 초기 장착 단계(PAo, PAx)에서 이동하는 제2 커플링 부품(2)의 장착 간격(sM) 및 최종 장착 단계(PEo, PEx)에서 이동하는 제2 커플링 부품(2)의 장차 간격(sM)보다 수배 더 크다.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실시예의 경우, 삽입 단계들에서 상기 유형의 구별은 불가능하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점에서, 본 발명의 두 실시예의 범위에서, 확산 표면(AS)의 윤곽(K)은, 각각의 초기 장착 단계(PAo, PAx)에서 삽입을 개시하는 시점에, 장착 간격(sM)의 변화량(ΔsM)과 더불어 확산 간격(sW)의 매우 강한 변화량(ΔsW)이 발생하는 방식으로, 대응 윤곽(GK)에 맞춰진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실시예에 비해서, 장착 간격(sM)에 걸쳐서 장착력(FM)의 매우 훨씬 더 가파른 상승, 다시 말하면 수배 만큼 더 높은 상승이 발생한다. 이 경우, 특히, 이미 초기 장착 단계에서, 추가적인 삽입 도중에 더 이상 초과되지 않는 최대 삽입력(FMmax)에 도달한다.
상기와 같은 가파른 상승은 한편으로, 확산 표면(AS)의 윤곽(K) 및/또는 대응 윤곽(GK)이, 도 7 및 도 9에 예시로서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적어도 섹션별로, 횡단면이 볼록한 그 외부면의 경계부를 가지는, 구면의 형태, 특히 구, 타원체, 또는 회전 포물면의 형태로 형성될 때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승은 비선형인데, 그 이유는 장착 간격(sM)의 변화량(ΔsM)을 통해 확산 간격(sW)의 비례 이상의 변화량(ΔsW)이 야기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윤곽 횡단면의 각각의 경계 곡선의 기하구조는 (각각 섹션별로도) 반경 및 직선을 통해, 그리고/또는 수학에서 스플라인으로서, 특히 이른바 B 스플라인으로서 표현되는 상위 차수의 다항식의 수회 연속 미분 가능 함수 곡선들을 통해 근사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초기 장착 단계(PAo, PAx)에서 가파른 상승은, 확산 표면(AS)의 윤곽(K) 및/또는 대응 윤곽(GK)이, 도 8에 예시로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파지 요소(4)의 팁 섹션(A1)에서, 횡단면이 직선인 그 외부면의 경계부를 가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될 때에도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승은 선형이다. 그에 따라 장착 간격(sM)에 따르는 확산 간격(sW) 및 장착력(FM)의 때로는 선형인 변화는, 삽입될 때 확산 간격(sW)이 장착 간격(sM)에 따라 (적어도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볼 때) 비선형으로 변화되는 점에 한해서, 본 발명에 따라 배제되지 않는다.
상승이 본 발명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실시예의 경우에서보다 더 크도록 하기 위해, 윤곽(K) 또는 이 윤곽(K)에 대한 접선(T)(도 9)이 파지 요소(4)의 팁의 원추형 또는 볼록 만곡형 섹션에서 축(X-X)과 형성하는 각도(μ)는 45°를 초과하지만 90° 미만이어야 한다. 각도(μ)가 더욱더 커질수록, 상승은 더욱더 가파른 급경사가 된다. 이에 비해서, 도 6에 따르는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실시예에서, 윤곽(K*)이 축(X-X)과 형성하는 상응하는 각도(μ*)는 0°와 최대 35° 사이의 범위이다.
가파른 상승을 바탕으로, 주요 장착 단계(PZo, PZx)는 이미 제2 커플링 부품(2)이 전체 장착 간격(sM)의 15%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미만만을 이동한 후에도 달성된다.
주요 장착 단계(PZo, PZx)와 관련하여, 도 5에는, 확산 표면(AS)의 윤곽(K)이 바람직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라서, 주요 장착 단계(PZo, PZx)에서의 장착력(FM)이 주요 장착 단계(PZo, PZx)에서의 장착력(FM)의 평균값의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의 편차를 나타내는 방식으로, 대응 윤곽(GK)에 맞춰진다는 점이 빗금 표시된 밴드 형태의 영역을 통해 도시되어 있다. 이런 점은 예시로 도시된 두 실시예 모두에 적용되며, 상대적으로 더 긴 길이(L)를 갖는 파지 요소(4)를 포함하는 실시예(o-o-o)에 대한 장착력(FM)의 변화 폭은 상대적으로 더 짧은 길이(L)를 갖는 파지 요소(4)를 포함한 실시예(x-x-x)에 대한 장착력의 변화 폭보다 더 크지만, 그러나 전자의 경우 최대 필요한 삽입력(FM)은 매우 훨씬 더 낮다.
본 발명에 따른 두 실시예의 경우[상대적으로 더 짧은 길이(L)를 갖는 파지 요소(4)를 포함하는 실시예(x-x-x)의 경우에서도], 최대 필요한 삽입력(FMmaxo, FMmaxx)은,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실시예의 장착력(F*Mmax)의 최대값보다, 적어도 약 10%만큼 더 낮고, 상대적으로 더 긴 길이(L)를 갖는 파지 요소(4)를 포함하는 직접 비교 가능한 실시예(o-o-o)의 경우에서는 약 25% 이상 만큼 더 낮은 점이 확인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비교 가능한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최대 장착력(FMmax)의 감소로서 달성되는 표준 값들은, 외주 밀봉링들(8)을 포함하지 않거나 삽입에 추가로 상쇄하는 힘을 이용하지 않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SV)의 경우 35% 내지 40%의 범위이고, 예컨대 외주 밀봉링들(8) 및/또는 스프링 하중을 받는 유출 정지부를 제공하는 것을 통해 야기되는 것과 같이, 추가로 삽입될 때 상쇄하는 힘을 이용하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SV)의 경우에서는 10% 내지 25%의 범위이다.
주요 장착 단계(PZo, PZx)의 경우, 특히, 확산 표면(AS)의 윤곽(K)은, 삽입의 시작과 그 종료 사이의 주요 장착 단계(PZo, PZx)에서 장착 간격(sM)의 변화량과 더불어 확산 간격(sW)의 비례 이상의, 비례의, 그리고/또는 특히 비례 이하의 변화량이 설정되는 방식으로, 대응 윤곽(GK)에 맞춰질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제1 커플링 부품(1)의 수용 개구부(3) 내로의 외주 밀봉링(8)의 삽입을 바탕으로 기대되는 삽입력 상승을 보상할 수 있는 비례 이하의 변화량은, 도 10에 예시로서 도시된 것과 같은 오목한 윤곽(K)을 통해 달성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라서, 확산 표면(AS)의 윤곽(K) 또는 대응 윤곽(GK)은 적어도 섹션별로, 회전 쌍곡면의 세그먼트의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와 같이 횡단면이 오목한 그 외부면의 경계부를 보유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커플링 부품(1)의 수용 개구부(3) 내로 외주 밀봉링(8)의 삽입을 바탕으로 기대되는 삽입력 상승은, 추가로 활주 수단을 통해, 예컨대 적합한 그리스를 이용한 외주 밀봉링(8)의 윤활을 통해 상쇄될 수도 있다. 그 결과로, 바람직하게는, 삽입력(FM)의 최대값(FMmax)의 추가 감소가 수행될 수 있고, 이런 삽입력(FM) 감소는 본 발명에 따르는 곡선 기하구조를 통해 야기되는 그런 삽입력 감소와 중첩된다.
파지 요소(4) 및 대응 파지 요소(5) 상의 기하학적 표면 형상을 통해,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확산 표면(AS)의 윤곽(K) 및 대응 윤곽(GK)이 특히 적어도 장착 단계들(PAo, PAx, PZo, PZx, PEo, PEx) 중 어느 한 장착 단계에서, 바람직하게는 주요 장착 단계(PZo, PZx)에서 선형 접촉으로 상호 간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확산 표면(AS)의 윤곽(K)이 대응 윤곽(GK)에 맞춰질 수도 있다. 그 결과로, 비록 높은 기계적 응력 집중이 발생하기는 하지만, 그러나 마찰 표면의 상기 최소화를 통해 마찰 계수 및 그에 따른 소모될 장착력(FM)은 감소될 수 있다.
도 5에서 의존성들의 곡선들[FM(sM)] 아래의 개별적인 영역(F)[적분 FM(sM)dsM]은 삽입할 때 소모될 장착 일(mounting work)을 나타낸다. 상기 일은 모든 실시예에 대해 대략 동일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들의 경우 장착 일은 삽입의 전체 과정에 걸쳐 더욱 균일하게 분배되며, 그럼으로써 삽입력(FM)의 최대값(FMmax)은 감소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의존성들의 곡선들[FM(sM)] 아래의 영역(F), 특히 주요 장착 단계(PZo, PZx)의 구역에서의 영역은 그 형상과 관련하여 제1 근사에서 이상적인 방식으로 직사각형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주요 장착 단계(PZo, PZx)에서 삽입력(FM)의 평균값에 대한 상기한 퍼센트의 최대 힘 변동은 직사각형 형상으로부터의 편차로서 유념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도 6)에 비해서 확산 표면(AS) 및 대응 확산 표면(AGS)의 본 발명에 따른 여러 가능한 실시예들 및 조합들(도 7 내지 도 10)에 대해서는 이미 앞에서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이에 대한 보충되는 점으로서, 도 6에는, 장착 간격들(sM)이 동시에 도면에 구체적으로 존재하는 그 크기로, 그리고 한 번은 그 이동 방향으로 도시되어 있다. 장착 간격(sM)은 각각 대응 윤곽(GK) 상에 윤곽(K)이 안착될 때 파지 요소(4)의 확산의 개시와 더불어 시작하여, 걸림 고정 에지(15* 내지 15)가 대응 파지 요소(5* 내지 5)를 안쪽에 고정할 때 종료된다.
시작과 종료 사이에 위치하는 장착 단계는 본 발명의 경우 예시로서 도 3a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장착과 관련하여 주지할 사항은, 도 6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실시예에서 윤곽(K*)은 2개의 섹션(A1* 및 A2*)으로 구성되고, 이 섹션들 중 대응 파지 요소(5)로 향해 있는 제1 섹션(A1*)은 원추형으로 형성된 외부면을 포함하고, 대응 파지 요소(5)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제2 섹션(A2*)은 원통형으로 형성된 외부면을 포함한다는 점이다. 이 경우, 대응 파지 요소(5)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섹션(A2*)은 원통형으로 형성된 외부면을 통해 팽창에 기여하지 않는다.
도 1, 도 2, 도 3a, 도 3b, 도 7, 도 8 및 도 9에서 확산 표면들(AS)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볼록한 윤곽(K)을 보유한다. 도 7 및 도 9에서의 실시예의 경우, 상기 윤곽은 파지 요소(4)의 전체 길이(L)에 걸쳐 연장되는 반면, 도 8에 따르는 실시예에서 2개의 섹션(A1, A2)[원추형 팁 섹션(A1) 및 볼록한 만곡형 단부 섹션(A2)]이 제공된다. 도 7 및 도 9에서의 실시예들은, 도 7의 실시예가 구면 형태의 외부면을 포함하고, 이는 도면에 표시된 반경(R)을 통해 분명하게 확인되며, 그리고 도 9의 실시예는 회전 포물면 형태의 외부면을 포함하고, 이는 도면에 표시된 반경들(R1, R2, R3)을 통해 분명하게 확인되는 것을 통해 서로 구별된다.
도 10에는, (이미 언급한 것처럼) 확산 표면(AS)의 오목한 윤곽(K)을 이용한 실시예, 다시 말해 회전 쌍곡면의 유형에 따르는 외부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들로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의미에서 동일한 효과를 갖는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따라서, 파지 요소(4) 및 대응 파지 요소(5)의 윤곽 형성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도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운동학적 전환으로도 수행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6에 따르는 실시예도 대응 확산 표면(AGS)이 그에 상응하게 형성될 경우, 예컨대 적어도 섹션별로 볼록하거나 오목한 대응 윤곽(GK)을 구비하여 형성될 경우,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커플링 부품(1)은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한 것처럼) 예컨대 황동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될 뿐 아니라, 예컨대 유리 섬유 강화 폴리아미드와 같은 공업용 플라스틱으로도 제조된다.
또한, 이미 도 8에서의 실시예를 통해 자명하게 알 수 있는 것처럼, 확산 표면(AS)의 윤곽(K) 및/또는 대응 윤곽(GK)은 각각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섹션[2개보다 많은 섹션(A1, A2)]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삽입될 때 확산 간격(sW)의 비례 이상의, 비례의, 또는 비례 이하의 변화량을 야기하는 섹션들이 교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에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외부면들도 배제되지 않는다. 이는 도 4를 참조하여 기술한 것과 같은 이른바 스플라인 특성을 달성한다.
추가로, 예컨대 [파지 부품(40)의 2가지 실시예의 개별 도면들을 도시하고 있는 도 11 및 도 12로부터 제시되는 것처럼] 파지 섹션(13)의 영역에서, 그리고/또는 외주를 따라 걸림 고정 요소들(4)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들에서 그 반경 방향 탄성을 조절하기 위한 링 클램프는 하나의 리세스(24) 또는 복수의 리세스(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세스들(24)을 통해, 바람직하게는 파지 요소(4)의 확산 표면(AS)과 대응 파지 요소(5)의 대응 확산 표면(AGS) 사이에서 접촉면의 표면적의 절대값과 그에 따른 소모될 장착력(FM)도 감소된다.
마지막으로, 예시로서 도시된 것처럼, 파지 요소(4) 및/또는 대응 파지 요소(5)가 환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외주를 따르는 방향(도 11 및 도 12에서 화살표 U)으로 윤곽(K) 및/또는 대응 윤곽(GK)의 형태의 변화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볼록한 윤곽(K)은 외주를 따르는 방향(U)으로 그 곡률이 변화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원추형 윤곽(K)으로 전환될 수도 있으며, 이는 그 반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금까지 청구항 제 1항에 정의된 특징들의 조합으로만 국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공개된 모든 개별 특징들 중에서 정해진 특징들의 각각 임의의 또 다른 조합을 통해서도 정의될 수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실제로 청구항 제 1항의 각각의 개별 특징이 생략되거나, 또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위치에서 공개된 하나 이상의 개별 특징으로 대체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런 점에 한해서, 청구항 제 1항은 본 발명에 대한 제1 정의 시도로서만 간주해야 할 것이다.
1: 플러그인 연결 장치(SV)의 제1 커플링 부품, 소켓 부품
2: 플러그인 연결 장치(SV)의 제2 커플링 부품, 플러그 부품
3: 제1 커플링 부품(1)의 수용 개구부
4: 파지 부품(40) 상의 파지 요소, 확산 표면(AS) 포함
5: 대응 파지 요소, 대응 확산 표면(AGS) 포함, 제1 커플링 부품(1) 상의 파지 웹
6: 제2 커플링 부품(2)의 플러그 축부
7: 플러그 축부(6) 내의 외주 그루브
8: 플러그 축부(6) 상의 외주 밀봉링
9: 유체 라인
10: 제2 커플링 부품(2)의 핀 탭
11: 유체 라인(9)의 벽부
12: 플러그 축부(6) 상의 파지 웹
13: 파지 웹들(5, 12)을 위한 파지 부품(40)의 파지 섹션
14: 파지 부품(40)을 위한 소실 방지 부재
15: 파지 요소(4)의 파지 에지
16: 파지 부품(40) 내의 슬롯 중단부
17: 파지 부품(40)의 클램프 단부
18: 파지 부품(40)의 관통 개구부
19: 링 칼라(20)를 위한 제1 커플링 부품(1)의 링 그루브
20: 파지 부품(40)의 링 칼라
21: 플러그 축부(6) 상의 고정 웹
22: 플러그 축부(6) 상의 소실 방지 부재(14)용 파지 그루브
23: 소실 방지 부재(14)를 위한 파지 부품(40) 상의 핀 탭
24: 파지 부품(40) 내의 리세스
40: 제1 커플링 부품(1) 및 제2 커플링 부품(2)을 위한 파지 부품
A1: 윤곽(K)의 제1 섹션(도 8)
A2: 윤곽(K)의 제2 섹션(도 8)
AS: 파지 요소(4)의 확산 표면
AGS: 대응 파지 요소(5)의 대응 확산 표면
E: 제1 커플링 부품(1) 상으로 파지 부품(40)의 (사전 조립) 장착 방향
F: 영역, 장착 일(도 4)
FM: 장착력, 제2 커플링 부품(2)을 위한 삽입력, 공통
FMmax: 최대 장착력, 삽입력, 공통
F*Mmax: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최대 장착력(도 5)
FMmaxx: 곡선 x-x-x에 따르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SV)의 최대 장착력(도 5)
FMmaxo: 곡선 o-o-o에 따르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SV)의 최대 장착력(도 5)
FMx: 곡선 x-x-x에 따르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SV)의 실시예에 대한 장착력(FM)의 평균값(도 5)
FMo: 곡선 o-o-o에 따르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SV)의 실시예에 대한 장착력(FM)의 평균값(도 5)
GK: (대응 확산 표면(AGS)의) 대응 윤곽
K: (확산 표면(AS)의) 윤곽
L: 파지 요소(4)의 길이
PAo, PAx: 초기 장착 단계(도 5)
PEo, PEx: 최종 장착 단계(도 5)
PZo, PZx: 주요 장착 단계(도 5)
R: 반경(도 7, 도 8)
R1, R2, R3: 반경(도 9)
S: 제1 커플링 부품(1) 내로의 제2 커플링 부품(2)의 삽입 방향
SV: 플러그인 연결 장치
sM: 제2 커플링 부품(2)의 장착 간격, 공통
sM1: 제2 커플링 부품(2)의 제1 장착 간격(도 4, 도 5)
sM2: 제2 커플링 부품(2)의 제2 장착 간격(도 4, 도 5)
sW: 파지 요소(4)의 확산 간격, 공통
sW1: 제2 커플링 부품(2)의 제1 확산 간격(도 4, 도 5)
sW2: 제2 커플링 부품(2)의 제2 확산 간격(도 4, 도 5)
T: 윤곽(K)에 대한 접선(도 9)
U: 외주 방향
X-X: 파지 요소(4)의 종축
ΔsM: 장착 간격(sM)의 변화량
ΔsW: 확산 간격(sW)의 변화량
μ: 윤곽(K)의 제1 섹션(A1)에서 윤곽(K) 내지 접선(T)와 종축(X-X)의 각도

Claims (17)

  1. 특히 유체 라인들, 피팅들 또는 어셈블리들을 위한 플러그인 연결 장치(SV)로서, 하우징 부품과 같은 제1 커플링 부품(1)과, 축(X-X)을 따라서 제1 커플링 부품(1)의 수용 개구부(3) 내로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 부품과 같은 제2 커플링 부품(2)을 포함하며, 상기 두 커플링 부품 중 일측의 커플링 부품(1, 2) 상에 타측의 커플링 부품(2, 1)의 대응 파지 요소(5)와의 걸림 고정을 위한 파지 요소(4)가 배치되고, 상기 파지 요소(4)는 확산 표면(AS)을 포함하며, 이 확산 표면은, 상기 대응 파지 요소(5)의 대응 확산 표면(AGS)에 상대적으로 활주함으로써, 장착 간격(sM)만큼 삽입될 때 장착력(FM)의 작용 하에서, 확산 간격(sW)만큼 축(X-X)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기 파지 요소(4)의 확산 이동을 야기하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SV)에 있어서,
    상기 대응 확산 표면(AGS)을 바라보는 상기 확산 표면(AS)의 윤곽(K)은, 삽입될 때 상기 확산 간격(sW)이 장착 간격(sM)에 의존하여 비선형으로 변화되는 방식으로, 상기 확산 표면(AS)을 바라보는 상기 대응 확산 표면(AGS)의 대응 윤곽(GK)에 맞춰지거나, 또는 그와 반대로 상기 대응 윤곽(GK)이 그에 상응하게 상기 윤곽(K)에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표면(AS)의 윤곽(K)은, 초기 장착 단계(PAo, PAx)에서 삽입을 개시하는 시점에 상기 장착 간격(sM)의 변화량에 대해 상기 확산 간격(sW)의 비례 이상의 변화량이 발생하는 방식으로, 상기 대응 윤곽(GK)에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표면(AS)의 윤곽(K)은, 삽입의 최종 장착 단계(PEo, PEx)에서 상기 장착 간격(sM)의 변화량(ΔsM)에 대해 상기 확산 간격(sW)의 비례의 또는 비례 이하의 변화량(△sW)이 발생하는 방식으로, 상기 대응 윤곽(GK)에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표면(AS)의 윤곽(K)은, 삽입의 시작과 그 종료 사이의 주요 장착 단계(PZo, PZx)에서, 상기 장착 간격(sM)의 변화량에 대해 상기 확산 간격(sW)의 비례 이상의, 비례의 그리고/또는 특히 비례 이하의 변화량(ΔsW)이 발생하는 방식으로, 상기 대응 윤곽(GK)에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요 장착 단계/상기 주요 장착 단계(PZo, PZx)에서의 삽입 도중에 이동하는 상기 제2 커플링 부품(2)의 장착 간격(sM)은, 초기 장착 단계/상기 초기 장착 단계(PAo, PAx) 도중에 이동하는 상기 제2 커플링 부품(2)의 장착 간격(sM) 및/또는 최종 장착 단계/상기 최종 장착 단계(PEo, PEx) 도중에 이동하는 상기 제2 커플링 부품(2)의 장착 간격(sM)보다 수배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표면(AS)의 윤곽(K)은, 상기 주요 장착 단계(PZo, PZx)에서의 상기 장착력(FM)이 상기 주요 장착 단계(PZo, PZx)에서의 상기 장착력(FM)의 평균값으로부터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의 편차를 나타내는 방식으로, 상기 대응 윤곽(GK)에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표면(AS)의 상기 윤곽(K) 및/또는 상기 대응 윤곽(GK)은, 적어도 섹션별로, 횡단면이 직선인 그 외부면의 경계부를 가지는, 원통형 또는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표면(AS)의 상기 윤곽(K) 및/또는 상기 대응 윤곽(GK)은, 적어도 섹션별로, 횡단면이 볼록한 그 외부면의 경계부를 가지는, 구면의 형태, 특히 구, 타원체, 또는 회전 포물면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표면(AS)의 상기 윤곽(K) 또는 상기 대응 윤곽(GK)은, 적어도 섹션별로, 회전 쌍곡면의 세그먼트의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와 같이 횡단면이 오목한 그 외부면의 경계부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표면(AS)의 상기 윤곽(K) 및/또는 상기 대응 윤곽(GK)은, 특히 제 7항, 제 8항 또는 제 9항에 따라서 형성되는, 각각 서로 상이한 복수의 섹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표면(AS)의 상기 윤곽(K)은, 상기 확산 표면(AS)의 상기 윤곽 및 상기 대응 윤곽(GK)이 특히 적어도 상기 장착 단계들(PAo, PAx, PZo, PZx, PEo, PEx) 중 하나의 장착 단계에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주요 장착 단계(PZo, PZx)에서 선형 접촉으로 상호 간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상기 대응 윤곽(GK)에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플링 부품(2)은, 축(X-X)을 따라서 축부(6)에 의해 밀봉 방식으로 상기 제1 커플링 부품(1)의 수용 개구부(3) 내로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 부품이며, 밀봉을 위해 상기 두 커플링 부품(1, 2) 중 하나의 커플링 부품에 외주를 따라 하나 이상의 그루브(7)가 형성되고, 이 그루브 내에 특히 탄성 중합체로 구성되는 외주 밀봉링(8)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 밀봉링(8)은 활주 수단을 구비하는, 예컨대 그리스로 윤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편으로 반경 방향에서는 플랜지형이고 삽입된 상태에서는 축 방향에서 삽입 방향(S)으로 서로 인접하는 상기 두 커플링 부품(1, 2)의 2개의 외부 파지 웹(12, 5)으로 구성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자체에 상기 파지 요소(4)가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파지 부품(40)으로 구성되는 잠금 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부품(40)은 장착 상태에서, 축 방향 단면이 C자 형상인, 하나 이상의 파지 섹션으로 상기 두 커플링 부품(1, 2)의 파지 웹들(12, 5)을 형상 결합 방식으로 축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에워싸며, 상기 파지 부품(40) 및 상기 제2 커플링 부품(2)은, 상기 파지 부품(40)이 반경 방향으로 상기 제2 커플링 부품(2) 상에 스냅 장착될 수 있도록 그리고 상기 파지 부품(40)이 각각의 파지 섹션(13)의 영역 내에서 반경 방향으로 탄성 이동될 수 있도록, 상호 간에 맞춰지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부품(40) 및/또는 상기 대응 파지 요소(5)가 환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외주에 따르는 방향(U)으로, 파지 영역/상기 파지 영역(13)에 위치하는 복수의 걸림 고정 요소들(4)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들에, 또는 대응 걸림 고정 요소들(5)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들에 하나의 리세스(24) 또는 복수의 리세스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
  17.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요소(4) 및/또는 상기 대응 파지 요소(5)가 환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외주에 따르는 방향(U)으로 상기 윤곽(K) 및/또는 상기 대응 윤곽(GK)의 형태의 변화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
KR1020147028487A 2012-03-15 2013-02-04 특히 유체 라인, 피팅 또는 어셈블리를 위한 플러그인 연결 장치 KR1019426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102191.0 2012-03-15
DE102012102191A DE102012102191A1 (de) 2012-03-15 2012-03-15 "Steck-Verbindungssystem, insbesondere für fluidische Leitungen, Armaturen oder Aggregate"
PCT/EP2013/052158 WO2013135433A1 (de) 2012-03-15 2013-02-04 Steck-verbindungssystem, insbesondere für fluidische leitungen, armaturen oder aggreg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700A true KR20140134700A (ko) 2014-11-24
KR101942610B1 KR101942610B1 (ko) 2019-01-25

Family

ID=47714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8487A KR101942610B1 (ko) 2012-03-15 2013-02-04 특히 유체 라인, 피팅 또는 어셈블리를 위한 플러그인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746115B2 (ko)
EP (1) EP2825806B1 (ko)
JP (1) JP6149047B2 (ko)
KR (1) KR101942610B1 (ko)
CN (1) CN104169627B (ko)
BR (1) BR112014021302B1 (ko)
DE (1) DE102012102191A1 (ko)
WO (1) WO20131354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59194B2 (en) 2013-05-20 2020-12-08 Steere Enterprises, Inc. Clean air duct and retaining clip and assembly thereof
US9664321B2 (en) 2013-05-20 2017-05-30 Steere Enterprises, Inc. Clean air duct and retaining clip and assembly thereof
DE102014102662B4 (de) * 2014-02-28 2021-12-23 Voss Automotive Gmbh Steckverbindung für Fluid-Leitungen und Halteteil für eine derartige Steckverbindung
CN106704744A (zh) * 2016-12-19 2017-05-24 河北亚大汽车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试验用管接头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4418A (ja) * 2004-01-29 2005-08-11 Rasmussen Gmbh 流体ラインをパイプに接続するためのプラグインカップリング
JP2006516318A (ja) * 2002-08-27 2006-06-29 イートン エアロクイッ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傾斜部の輪郭を改良したカップリングアセンブリ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5089A (en) 1954-12-30 1957-09-03 Hansen Mfg Co Pipe coupling with wedged spring ring detent means
US3672631A (en) * 1970-11-16 1972-06-27 Grise Frederick Gerard J Valve and actuator therefor
SE415728B (sv) * 1977-03-07 1980-10-27 Gambro Ab Kopplingsanordning
NO160468C (no) * 1982-01-27 1989-04-19 Hunting Oilfield Services Ltd Roerkobling.
DE3444817A1 (de) * 1984-01-20 1985-07-25 Rasmussen Gmbh, 6457 Maintal Steckkupplung
DE3615904A1 (de) * 1985-07-24 1987-02-05 Rasmussen Gmbh Steckkupplung
DE3813192A1 (de) * 1988-04-20 1989-11-02 Rasmussen Gmbh Steckkupplung zum verbinden eines schlauches mit einem rohr
JPH0674875B2 (ja) * 1988-12-07 1994-09-21 エムス − インヴエンタ・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迅速断ち継ぎ継手
DE3904479A1 (de) * 1989-02-15 1990-08-16 Bosch Gmbh Robert Verbindungselement
DE3924173A1 (de) * 1989-07-21 1991-01-24 Schaefer Stettiner Schrauben Anschlussarmatur fuer rohre
IT220447Z2 (it) * 1990-06-08 1993-09-22 Italiana Serrature Torino Gruppo di collegamento per circuiti di circolazione del liquido di raffreddamento del motore di un veicolo
US5540463A (en) * 1992-09-25 1996-07-30 Parker Hannifin Corporation Couplings for automobile air conditioning system conduits
DE4334529C2 (de) 1992-10-15 1996-06-13 Furukawa Electric Co Ltd Verbindungsvorrichtung für ein flexibles Wellrohr
US5762382A (en) * 1996-07-12 1998-06-09 Ohmeda Inc. Interlocking dual seal cuff/port interface
DE59811345D1 (de) * 1997-11-21 2004-06-09 Simson Innovationen Winterthur Schnellverbindungsanordnung für hohlkörper
JP3422722B2 (ja) * 1999-04-27 2003-06-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配管用クイックコネクタ
FR2829219B1 (fr) * 2001-09-04 2004-12-17 Hutchinson Raccord d'etancheite pre-assemble
EP1432943B1 (en) * 2001-10-04 2005-08-24 Oystertec plc Connections
GB0402564D0 (en) * 2004-02-05 2004-03-10 Maunder Roy P Tube connector
US20050186070A1 (en) 2004-02-23 2005-08-25 Ling-Zhong Zeng Fan assembly and method
DE202004012795U1 (de) * 2004-08-16 2005-12-29 Voss Automotive Gmbh Steckverbindung für Fluid-Leitungen
US7338093B2 (en) * 2004-09-03 2008-03-04 Voss Automotive Gmbh Connection for fluid lines
US20060273577A1 (en) * 2005-05-17 2006-12-07 Stewart Michael B Coupling assembly
DE102006043461B4 (de) * 2006-09-15 2013-03-21 Norma Germany Gmbh Fluidleit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6318A (ja) * 2002-08-27 2006-06-29 イートン エアロクイッ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傾斜部の輪郭を改良したカップリングアセンブリ
JP2005214418A (ja) * 2004-01-29 2005-08-11 Rasmussen Gmbh 流体ラインをパイプに接続するためのプラグインカップリン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25806A1 (de) 2015-01-21
BR112014021302B1 (pt) 2021-02-09
JP6149047B2 (ja) 2017-06-14
CN104169627A (zh) 2014-11-26
CN104169627B (zh) 2017-03-08
DE102012102191A1 (de) 2013-09-19
US9746115B2 (en) 2017-08-29
KR101942610B1 (ko) 2019-01-25
EP2825806B1 (de) 2016-04-27
JP2015515586A (ja) 2015-05-28
US20150076812A1 (en) 2015-03-19
WO2013135433A1 (de) 201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39349C (en) Clam shell push-to-connect assembly
US10670175B2 (en) Plug connector for fluid lines, comprising an inner adapter sleeve
JP5765887B2 (ja) シールアセンブリー・リテーナ付クイックコネクター
US6612623B2 (en) Connecting device for pipes conduction pressure medium
US7249788B2 (en) Connector assembly for male and female members
US9447906B2 (en) Self-locking push-to-connect insert
EP2405172B1 (en) Pipe Coupling
KR101942610B1 (ko) 특히 유체 라인, 피팅 또는 어셈블리를 위한 플러그인 연결 장치
US20090102181A1 (en) Plug-in connection on pipes and hoses with a pipe detent ring
EP1933074A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ube couplings
KR100712931B1 (ko) 유체 연결용 커플링 조립체
US9772055B2 (en) Coupling for pipe elements
CA2697927C (en) Connection and attachment component for a corrugated hose
US20030057699A1 (en) Coupling assembly with rotation lock
JP2812314B2 (ja) ばね帯金クリップ
CN112682496A (zh) 流体连接装置,特别是用于变速器外壳的通风的流体连接装置
EP2113706B1 (en) Press fit connector with improved coupling part for holding a press sleeve
KR100655711B1 (ko) 연료 맥동 저감 댐퍼
RU2380604C1 (ru) Трубное соединение
EP3267086A1 (en) Coupling arrangement, a connector for a coupling arrangement and a duct comprising a coupling arrangement
US20230020784A1 (en) Fluid connector including a retaining clip cartridge
EP1605196A1 (en) Self-sealing pre-assembled endfitting/coupling for corrugated tubing
CN111101796A (zh) 致动器
US20230003323A1 (en) Plug-in coupling for fluid lines
CN220523441U (zh) 用于将软管固定在卫生配件上的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