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4306A - 트위스터블 폴리머 재밀폐 물질부를 포함하는 가요성 패키지 - Google Patents

트위스터블 폴리머 재밀폐 물질부를 포함하는 가요성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4306A
KR20140134306A KR1020147027134A KR20147027134A KR20140134306A KR 20140134306 A KR20140134306 A KR 20140134306A KR 1020147027134 A KR1020147027134 A KR 1020147027134A KR 20147027134 A KR20147027134 A KR 20147027134A KR 20140134306 A KR20140134306 A KR 20140134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
twistable
section
sidewall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7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드 제이. 피셔
찰스 더블유. 할그렌
Original Assignee
인터컨티넨탈 그레이트 브랜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컨티넨탈 그레이트 브랜즈 엘엘씨 filed Critical 인터컨티넨탈 그레이트 브랜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40134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3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16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collapsing and twisting mouth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616Elements constricting the neck of the bag
    • B65D33/165Flexible elongated elements integral with or attached to bags or sacks ; Fastening thereof to the bag before clo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691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adhesive applied to attached closur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30Deformable or resilient metal or like strips or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2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the lid and the hinge being made of one pie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Wrappers (AREA)
  • Bag Frame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단부, 상단부, 및 측벽을 포함하고, 측벽은 측벽의 인접한 부분보다 증가된 데드 폴드 특성을 갖는 트위스터블 부분을 포함한다. 트위스터블 부분은 각각이 최대 폭을 갖는 적어도 제1 섹션 및 제2 섹션을 갖고, 제1 및 제2 섹션은 제1 및 제2 섹션의 각각의 최대 폭보다 작은 최소 폭을 갖는 적어도 제3 섹션에 의해 결합된다. 제3 섹션은 제1 및 제2 섹션이 제3 섹션에 대해 비틀리도록 구성된다. 트위스터블 부분은 측벽의 인접한 부분과 함께 비틀려서 상단부의 개방 이후에 형성된 접근 개구로의 접근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트위스터블 부분을 포함하는 재밀폐가능 가요성 패키지의 제조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Description

트위스터블 폴리머 재밀폐 물질부를 포함하는 가요성 패키지{FLEXIBLE PACKAGES INCORPORATING A TWISTABLE POLYMER RECLOSE MATERIAL}
본 발명은 식품 패키징, 및 특히 패키징을 재밀폐하기 위한 트위스터블(twistable) 형상 유지 물질부를 포함하는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크래커, 쿠키, 사탕 등과 같은 식품은 셀로판,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머 물질로 이루어진 패키지에 주로 저장된다. 소비자가 패키지의 식품을 한번에 먹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패키지를 재밀폐가능하게 하여 식품의 신선함을 보존하고 식품이 백으로부터 우발적으로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밀폐 장치는 패키지의 재밀폐를 용이하게 하도록 패키지로부터 분리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틀림끈이 패키지를 재밀폐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클램프 또는 클립이 패키지를 재밀폐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식품을 패키지로부터 분배한 후에, 비틀림끈, 클램프 및 클립은 사용자에게 항상 이용가능하지 않고, 때때로 패키지에 부착되어도 떨어진다.
상술한 비틀림끈 및 클립과 관련된 문제를 피하기 위해, 일부 가요성 패키지는 와이어 또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스트립을 접착제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패키지의 측벽에 부착하여 제조된다. 그러나, 제조시 금속 물질부를 패키지에 부착하는 것은 제조 공정의 비용 및 복잡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가요성 식품 패키지가 제공된다. 패키지는 하단부, 상단부, 및 측벽을 포함하고, 측벽은 측벽의 인접한 부분보다 증가된 데드 폴드(dead fold) 특성을 갖는 트위스터블 부분을 포함한다. 트위스터블 부분은 각각이 최대 폭을 갖는 적어도 제1 섹션 및 제2 섹션을 갖고, 제1 및 제2 섹션은 제1 및 제2 섹션의 각각의 최대 폭보다 작은 최소 폭을 갖는 적어도 제3 섹션에 의해 결합된다. 제3 섹션은 제1 및 제2 섹션이 제3 섹션에 대해 비틀리도록 구성된다. 트위스터블 부분은 측벽의 인접한 부분과 함께 비틀려서 상단부의 개방 후에 형성된 접근 개구로의 접근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트위스터블 부분은 다수의 상이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위스터블 부분은 확대된 상부 및 하부와 이들 사이에 상대적으로 좁은 부분을 갖는 일반적으로 모래시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트위스터블 부분은 서로 평행하거나 서로 평행하지 않은 상부 에지와 상부 에지에 대향하는 하부 에지를 가질 수 있고, 또는 상부 및 하부 에지의 제1 부분은 하부 에지에 평행할 수 있고, 상부 에지의 제2 부분은 하부 에지에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트위스터블 부분은 측벽의 내부면 또는 외부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트위스터블 부분은 접착제에 의해 측벽에 부착될 수 있고 또는 측벽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패키지는 제3 섹션의 최소 폭보다 큰 최대 폭을 갖는 적어도 제4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섹션은 제2 및 제4 섹션 중 하나의 최대 폭보다 작은 최소 폭을 갖는 제5 섹션에 의해 제2 섹션에 결합될 수 있다. 패키지는 패키지로부터 상단부를 분리하기 위해 트위스터블 부분의 상부 에지와 패키지의 상단부 사이에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코어 라인(score line)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패키지의 사용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방법은 패키지의 상단부를 제거하여 개구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패키지에 저장된 식품을 개구를 통해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트위스터블 부분을 측벽의 인접한 부분과 함께 비틀어서 개구로의 접근을 제한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은 트위스터블 부분을 반대 방향으로 비틀어서 패키지를 재개방하고 개구를 통해 식품으로의 접근을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패키지의 제조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방법은 패키징 물질의 연속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필름보다 증가된 데드 폴드 특성을 갖는 트위스터블 물질부를 필름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필름의 부분들을 밀봉하여 패키지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형성하고 식품을 수납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은 패키지의 내부면에 대응하는 필름의 표면에 트위스터블 물질부를 적용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패키지의 외부면에 대응하는 필름의 표면에 트위스터블 물질부를 적용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형태의 가요성 식품 저장 패키지가 제공된다. 패키지는 폐쇄 하단부, 및 적어도 하나의 스코어 라인을 따라서 패키지로부터 분리가능한 폐쇄 상단부를 갖고, 측벽보다 증가된 데드 폴드 특성을 갖는 트위스터블 부분을 포함하는 측벽을 포함한다. 트위스터블 부분은 자신에 대하여 그리고 측벽의 신치부 주위로 비틀어져서 상단부 및 트위스터블 부분의 제거 후에 형성된 개구로의 접근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트위스터블 부분은 패키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다른 형태의 가요성 식품 패키지가 제공된다. 패키지는 하단부 및 제거가능한 상단부를 갖는 측벽을 포함한다. 측벽은 측벽의 인접한 부분보다 높은 데드 폴드 특성을 갖는 Y 형상 트위스터블 부분을 포함한다. 트위스터블 부분은 패키지의 하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레그 및 패키지의 상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을 포함한다. 아암은 측벽의 인접한 부분과 함께 비틀어져서 상호 체결된 방식으로 유지되어 상단부의 제거 후에 형성된 개구를 재밀폐하도록 구성된다. 레그는 직선형일 수 있고, 각각의 아암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곡선형일 수 있다.
도 1은 폴리머 재밀폐 물질부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가요성 패키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거가능부를 분리하여 패키지를 개방한 상태의 도 1의 패키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개방하여 식품을 분배하는 도 1의 패키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재밀폐 물질부를 비틀어서 패키지를 재밀폐 구성으로 유지한 상태의 도 1의 패키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다중 허리 영역을 갖는 폴리머 재밀폐 물질부를 포함하는 다른 예시적인 가요성 패키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직사각형의 좁은 영역을 갖는 폴리머 재밀폐 물질부를 포함하는 다른 예시적인 가요성 패키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Y 형상을 갖는 폴리머 재밀폐 물질부를 포함하는 또 다른 예시적인 가요성 패키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재밀폐 물질부를 비틀어서 패키지를 재밀폐 구성으로 유지한 상태의 도 7의 패키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제거가능한 헤더 시일에 배치된 폴리머 재밀폐 물질부를 포함하는 다른 예시적인 가요성 패키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폴리머 재밀폐 물질부를 사용하여 재밀폐된 구성으로 유지된 측벽이 도시된 도 9의 패키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증가된 형상 보유성을 갖는 이격된 구역을 갖는 폴리머 재밀폐 물질부를 포함하는 다른 예시적인 가요성 패키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패키지의 폴리머 재밀폐 물질부의 확대 부분도이다.
도 13은 폴리머 재밀폐 물질부의 하나의 섹션이 비틀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도 12와 동일한 도면이다.
도 14는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는 상부 에지를 갖는 폴리머 재밀폐 물질부를 포함하는 다른 예시적인 가요성 패키지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부분적으로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는 상부 에지를 갖는 폴리머 재밀폐 물질부를 포함하는 다른 예시적인 가요성 패키지의 사시도이다.
식품을 저장하기 위한 가요성 재밀폐가능 식품 패키지는 측벽을 갖고, 측벽은 측벽의 인접한 부분보다 큰 데드 폴드 특성을 갖는 물질부를 포함한다. 물질부는 트위스터블 부분을 형성하여 패키지에 재밀폐 특성을 제공한다. 특히, 사용자가 패키지를 개방하여 원하는 양의 식품을 제거한 후에, 사용자가 패키지의 측벽과 함께 트위스터블 부분을 비틀어서 비틀림 구성을 형성하여 패키지를 재밀폐할 수 있다. 트위스터블 부분은 필요에 따라 패키지를 개방된 채로 유지시키고 패키지를 폐쇄된 채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가요성 재밀폐가능 식품 패키지(10)가 제공된다. 패키지(10)는 백의 형태이고, 측벽(12), 하단부(11) 및 상단부(13)를 포함한다. 종축은 패키지(10)의 하단부(11) 및 상단부(13)를 통과한다.
패키지(10)의 측벽(12)은 내부면(14) 및 외부면(15)을 갖는다. 내부면(14)은 식품(30)이 저장되는 내부(16)를 둘러싼다. 식품(30)은 크래커, 쿠키, 웨이퍼, 초코렛, 사탕, 치즈 조각, 견과류, 곡물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거싯이 패키지의 하단부(11)에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거싯이 형성된 패키지가 도시되지만, 패키지(10)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거싯을 갖지 않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패키지(10)의 측벽(12)은 패키지(10)에 재밀폐 특성을 제공하는 트위스터블 부분(20)을 포함한다. 트위스터블 부분(20)은 패키지(10)의 측벽(12)의 인접한 부분보다 높은 데드 폴드 특성 및 강성을 갖는다. 트위스터블 부분(20)은 상부 에지(22), 하부 에지(24), 제1 측부(26), 및 제1 측부(26)와 대향하는 제2 측부(28)를 갖는다. 트위스터블 부분(20)은 벌브형 제1 및 제2 섹션(23, 25)이 목형 허리부인 제3 섹션(27)과 아치형 곡선을 이루면서 결합하는 모래시계 형상이다. 제1 및 제2 섹션(23, 25)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고, 이들 각각은 제3 섹션(27)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트위스터블 부분(20)은 도 1에서는 모래시계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트위스터블 부분(20)은 다양한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패키지(10)는 패키지(10)의 상단부(13)에 상부 밀봉부(18)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키지(10)의 하단부(11)는 하부 밀봉부(17)를 가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10)는 하단부(11)와 상단부(13) 사이로 연장되는 핀 밀봉부(21)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임의의 밀봉부는 예를 들어 열 및 압력을 인가하여 라미네이트 밀봉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종래의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패키지(10)의 측벽(12)은 상부 밀봉부(18)를 포함하는 제거가능부(32)를 포함한다. 패키지(10)의 상단부(13)는 접근 개구(19)를 드러내도록 개방될 수 있다. 상단부(13)의 개방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제거가능부(32) 및 상부 밀봉부(18)를 패키지(10)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분리시켜 개구(19)를 드러내는 것, 또는 패키지(10)로부터 상단부(13) 및 상부 밀봉부(18)를 분리하지 않고 상단부(13) 및 상부 밀봉부(18)를 멀리 당겨서 개구(19)를 드러내는 것, 또는 이와 달리 식품의 제거를 위해 패키지(10)에 접근 개구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가능부(32)는 측벽(12)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스코어 라인(34)을 따라서 패키지(10)의 잔여부로부터 분리되어 접근 개구(19)를 형성할 수 있다. 제거가능부(32)는 개봉 여부 확인(tamper-evident) 특성을 제공하여, 제거가능부(32)가 없거나 손상된 것은 패키지(10)가 이전에 개방 및/또는 손상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게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패키지(10)가 개방되면, 트위스터블 부분(20)은 측벽(12)에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여 개구(19)의 입구를 형성하는 측벽(12)의 부분이 내측으로 붕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트위스터블 부분(20)은 접근 가능한 적절한 형상,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또는 C-형 형상으로 개구(19)를 유지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패키지(10)로부터 식품(30)을 용이하게 분배하는 것을 허용한다. 개구(19)는 다량의 식품(30)이 패키지(10)로부터 동시에 분배되는 것을 허용하는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키지(10)가 작은 원형의 크래커 또는 쿠키를 보관하는 경우, 개구(19)는 각각의 크래커 또는 쿠키의 직경의 3배 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패키지(10)로부터 식품(30)의 일부를 분배한 다음, 사용자는 종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트위스터블 부분(20)을 회전시켜 패키지(10)를 재밀폐시킬 수 있다. 트위스터블 부분(20)을 회전시키는 동안, 인접한 제1 섹션(23) 및 제2 섹션(25)보다 비틀림에 대한 저항이 낮은 목형인 제3 섹션(27)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섹션(23)이 제2 섹션(25)에 대해 피벗되도록 비틀릴 수 있다. 따라서, 제2 섹션(27)은 제1 섹션(23)과 제2 섹션(25) 사이에서 피벗 영역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트위스터블 부분(20)은 패키지(10)의 측벽(12)에 포함되기 때문에, 트위스터블 부분(20)의 회전에 의해 가요성 측벽(12)의 인접한 부분이 비틀려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10)의 개구(19)를 통해 식품으로의 접근을 제한하는 비틀림 구조(40)를 형성한다.
트위스터블 부분(20)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10)의 측벽(12)을 비틀기 위해 회전되면, 트위스터블 부분(20)은 사용자가 차후 패키지(10)를 재개방할 때까지 패키지(10)를 밀폐된 상태로 보유하는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트위스터블 부분(20)은, 트위스터블 물질부(20)에 인접한 측벽(12)의 부분을 형성하는 물질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데드 폴드 특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패키지(10)가 트위스터블 부분(20)을 포함하지 않고 측벽(12)이 도 4에 도시된 위치로 비틀리면, 측벽의 상대적으로 낮은 데드 폴드 특성으로 인해 측벽(12)이 비틀림 해제될 수 있으므로 패키지(10)는 개방될 수 있다. 측벽(12)의 인접한 부분에 비해 트위스터블 부분(20)의 증가된 강성 및 높은 데드 폴드 특성에 의해, 트위스터블 부분(20)은 비틀림 시에 이의 원 형상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벽(12)이 비틀림 해제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트위스터블 부분(20) 또는 패키지(10)의 측벽(12)의 임의의 다른 부분의 강성은 UV광 또는 다른 적절한 방법에 의한 선택적 경화를 통해 증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재밀폐된 패키지(10)를 재개방하기 위해, 제1 섹션(23) 및 제3 섹션(27)이 도 1에 도시된 이들의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고 개구(19)를 통한 접근이 다시 허용되도록 측벽(12)의 비틀림 구조(40)가 비틀림 해제되도록 사용자는 트위스터블 부분(2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패키지(10)로부터 식품(30)의 일부를 추가로 꺼낸 후에, 패키지(10)에 남아 있는 식품(30)은 전술된 바와 같이 트위스터블 부분(20)의 회전에 의해 다시 재밀폐될 수 있다.
스코어 라인은 패키지(10)의 측벽(12)에 형성된 임의의 약한 라인으로서 이해될 것이다. 측벽(12)의 스코어 라인(34)은 레이저에 의한 융삭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나, 다른 적절한 기술, 예를 들어 다이 절삭 또는 마이크로 마모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스코어 라인(34)이 패키지(10)의 외부면(15)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대안적으로 스코어 라인(34)은 패키지(10)의 내부면(14)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스코어 라인(34)이 직선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스코어 라인(34)은 곡선형(예를 들어, 볼록형, 오목형, 파상형 등)일 수 있다.
패키지(10)는 절취 노치(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취 노치(36)는 패키지(10)의 일부를 관통하는 레이저 절삭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다른 기술, 예를 들어 다이 절삭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노치(36)는 스코어 라인(34)을 따라 패키지(10)로부터 상부 밀봉부(18) 및 제거가능부(32)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절취 개시 부위를 제공한다. 노치(3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밀봉부(18)와 트위스터블 부분(20) 사이의 측벽(12)에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상부 밀봉부(18)에 형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패키지(10)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는 노치(36) 근처의 패키지(10)를 파지하고 도 2에 도시된 방향으로 패키지(10)의 측벽(12)을 절취할 수 있다. 절취는 측벽(12)을 통해 진행되고 스코어 라인(34)을 따라 이어질 수 있는데, 이는 패키지(10)의 측벽(12)으로부터 제거가능부(32) 및 상부 밀봉부(18)를 분리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접근 개구(19)를 통한 식품(30)으로의 접근을 제공한다.
트위스터블 물질부(20)의 상부 에지(2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코어 라인(34)에 대해 평행하며 이에 매우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트위스터블 물질부(20)는 측벽(12)의 인접한 부분보다 강성이고, 트위스터블 부분이 스코어 라인(34)에 매우 가깝게 위치되는 것은 절취 이탈을 감소시켜 스코어 라인(34)에 따른 제거가능부(32)의 분리를 위한 예측 가능하고 일관된 경로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스코어 라인(34)과 트위스터블 물질부(20)의 상부 에지(22)가 수평으로 도시되어 있지만[즉, 패키지(10)의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스코어 라인(34)과 트위스터블 물질부(20)의 상부 에지(22)는 종축에 대해 여러 각도로 배향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에는 다른 예시적인 재밀폐 가능한 가요성 패키지(100)가 도시되어 있다. 패키지(100)는, 패키지(10)의 트위스터블 부분(20)이 모래시계 형상인 반면, 트위스터블 부분(120)이 이중 모래시계 형상인 점을 제외하고는, 패키지(10)와 유사하다. 트위스터블 부분(120)은 상부 에지(122)와, 하부 에지(124)와, 제1 측부(126)와, 상기 제1 측부(126)에 대향하는 제2 측부(128)를 갖는다.
도 5를 참조하면, 트위스터블 부분(120)은 세 개의 벌브형 섹션(123, 125, 129)을 갖는다. 섹션(123)과 섹션(129)은 하나의 목형 섹션(127)에 의해 결합된다. 섹션(129)과 섹션(125)은 다른 목형 섹션(131)에 의해 결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브형 섹션(123, 125, 129)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고, 목형 섹션(127, 131)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섹션(123, 125, 129)은 각각의 섹션(125, 131)보다 큰 폭을 갖는다.
노치(136)에 인접하여 패키지(100)의 절취를 개시하고 제거가능부(132)를 분리하여 패키지(100)를 개방하기 위해 스코어 라인(134)을 따라 절취를 진행한 후, 사용자는 패키지(100)의 개구를 통해 원하는 양의 식품을 분배한 다음 패키지(100)를 재밀폐할 수 있다. 패키지(100)로부터 분배된 식품의 양에 따라, 섹션(127)이 비틀리고 섹션(123)이 섹션(129)에 대해 회전하도록 패키지(100)의 종축을 중심으로 트위스터블 부분(120)을 회전시킴으로써, 및/또는 섹션(131)이 비틀리고 섹션(129)이 섹션(125)에 대해 회전하도록 종축을 중심으로 트위스터블 부분(120)을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는 개구를 재밀폐할 수 있다. 이러한 비틀림 및 회전은 측벽(112) 부분의 비틀림을 가져오고 도 4에 도시된 방식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패키지(100)의 개구로의 접근을 제한하는, 비틀림 구조(40)와 유사한 비틀림 구조의 형성을 가져온다.
재밀폐 위치에서의 패키지(100)의 최대 높이는 사용자가 분배한 식품(30)의 양에 따라 달라지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패키지(100)로부터 식품의 대략 1/3을 분배한 다음 패키지(100)를 재밀폐하기 위해 하나의 목형 섹션(127)만이 비틀리도록 트위스터블 부분(120)을 회전시키면, 패키지(100)의 높이는 도 5의 비틀리지 않은 패키지(100)로부터 대략 1/3이 감소될 것이다. 유사하게, 사용자가 패키지(100)로부터 식품의 대략 2/3을 분배한 다음 패키지(100)를 재밀폐하기 위해 목형 섹션(127) 및 섹션(131) 모두가 비틀리도록 트위스터블 부분(120)을 회전시키면, 패키지(100)의 높이는 비틀리지 않은 패키지(100)로부터 대략 2/3이 감소될 것이다.
도 6에는 다른 예시적인 재밀폐 가능한 가요성 패키지(200)가 도시되어 있다. 패키지(200)는, 측벽(212)의 트위스터블 부분(220)이 대체로 동일한 폭을 갖는 세 개의 폭이 넓은 섹션(223, 225, 229)과, 섹션(223)과 섹션(229)을 결합하고 섹션(229)과 섹션(225)을 각각 결합하는 두 개의 감소된 폭 섹션(227, 231)을 또한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5의 패키지(100)와 유사하다. 또한, 트위스터블 부분(220)의 제1 측부(226) 및 제2 측부(228)는 도 5를 참조하여 전술된 트위스터블 부분(120)의 측부(126) 및 측부(128)와 달리 곡선형이 아니다. 대신에, 제1 및 제2 측부(226, 228)는, 트위스터블 부분(220)이 직사각형 좁은 영역에 의해 분리되는 증가된 폭을 갖는 다수의 직사각형 영역을 포함하도록 트위스터블 부분(220)의 상부 에지(222)로부터 하부 에지(224)로 연장되는 선형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식품의 일부를 분배하기 위해 노치(236)와 스코어 라인(234)을 따라 개방된 후, 패키지(200)는 감소된 폭 섹션(227, 231)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비틀리도록 트위스터블 부분(220)을 회전시켜, 패키지(100)와 유시한 방식으로 재밀폐될 수 있다.
도 7에는 다른 예시적인 재밀폐 가능한 가요성 패키지(300)가 도시되어 있다. 패키지(300)는 도 1 내지 도 3의 패키지(10)와 유사하지만, 패키지(10)의 트위스터블 부분(20)이 모래시계 형상인 반면에 패키지(300)의 트위스터블 부분(320)은 Y 형상이다. 트위스터블 부분(320)은 제3 섹션(327)에 의해 연결되는 제1 섹션(323) 및 제2 섹션(325)을 갖는다.
사용자가 노치(336) 및 스코어 라인(334)을 따라서 패키지(300)를 개방하여 원하는 양의 식품을 분배한 다음, 사용자는 패키지(300)의 종축을 중심으로 트위스터블 부분(320)을 회전시킴으로써 패키지(300)를 재밀폐시킬 수 있다. 트위스터블 부분(320)을 회전시키면, 제1 및 제2 섹션(323, 325)이 비틀려서 서로에 대해 상호 체결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틀림 구조(340)를 형성한다. 트위스터블 부분(320)이 패키지(300)의 측벽(312)의 나머지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과 데드 폴드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제1 및 제2 섹션(323, 325)은 패키지(300)가 재밀폐 상태로 남아 있도록 비틀림 구조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패키지(300)로부터 분배한 식품의 양에 따라, 트위스터블 부분(320)의 제1 및 제2 섹션(323, 325)은 패키지(300)를 재밀폐하고 패키지(300)의 최대 높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적당한 회전수로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트위스터블 부분(320)은 종축을 중심으로 1/4 회전, 1/2 회전, 1/2 회전 내지 1 회전, 1 회전 내지 2 회전, 2 회전 내지 3 회전, 또는 그 이상의 회전수로 회전될 수 있다.
도 9는 헤더 시일을 포함하는 다른 예시적인 재밀폐가능 패키지(400)를 도시한다. 패키지(10, 100, 200, 300)와 달리, 패키지(400)의 트위스터블 부분(420)은 스트립의 형태이다. 트위스터블 부분(420)은 패키지(400)의 일부 또는 전체 폭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트위스터블 부분(420)은 트위스터블 부분(20, 120, 220, 320)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패키지(400)와 패키지(10, 100, 200, 300) 간의 다른 차이점은 패키지(400)로부터 제거가능부(432)가 분리되는 것을 허용하는 스코어 라인(434)이 트위스터블 부분(420) 위가 아닌 아래에 있다는 점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가능부(432)가 패키지(400)의 나머지로부터 스코어 라인(434)을 따라 일부(도 2에 도시됨) 또는 전체적으로 분리된 후, 트위스터블 부분(420)을 패키지(400)의 측벽(412) 주위로 비틀어서 개구를 재밀폐할 수 있다. 제거가능부(432)는, 선택적으로는 패키지(400)의 측벽(412)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는 않은 상태에서 측벽(412) 주위로 비틀어져 패키지(400)를 재밀폐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트위스터블 부분(420)과 측벽(412)의 부분적인 부착은 트위스터블 부분(420)이 패키지(400)로부터 분리되어 분실될 가능성을 줄인다.
도 11은 다른 예시적인 재밀폐가능 패키지(500)를 도시한다. 패키지(500)의 측벽(512)은 세로 스트립의 형태인 트위스터블 부분(520)을 포함한다. 패키지(400)의 종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도 9의 트위스터블 부분(420)과 달리, 트위스터블 부분(520)은 패키지(500)의 종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트위스터블 부분(520)의 길이는 그 중에서도 특히 패키지(500)의 최대 높이의 절반보다 작거나, 패키지(500)의 최대 높이의 절반보다 크거나(도 11에 도시됨), 패키지(500)의 최대 높이와 같을 수 있다. 또한, 트위스터블 부분(520)은 패키지(500)의 폭의 절반보다 작거나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스트립(520)의 구조는 도 12에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트위스터블 부분(520)은 교번하는 큰 섹션(예를 들어, 523, 525, 529) 및 작은 섹션(예를 들어, 527, 531)을 포함한다. 큰 섹션(523, 525, 529)은 작은 섹션(527, 531)보다 높은 강성 및 데드 폴드 특성을 갖는다. 트위스터블 부분(520)의 섹션(523, 525, 527, 529, 531) 각각은 패키지(500)의 측벽(512)의 인접한 부분보다 강성이고 높은 데드 폴드 특성을 갖는다. 큰 섹션(523, 525, 529)과 작은 섹션(527, 531)이 직사각형으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임의의 다른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패키지(500)를 노치(536) 및 스코어 라인(534)을 따라 개방하고 원하는 양의 식품(30)을 분배한 후 패키지(500)를 재밀폐하기 위해, 사용자는 트위스터블 부분(520)을 패키지(500)의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위스터블 부분(520)의 회전 동안, 주위 섹션(523, 525)보다 덜 강성이고 비틀림에 대한 저항이 작은 섹션(527)이 비틀어지고 섹션(523)에 대한 피봇점을 제공하여 섹션(525)에 대하여 회전하게 된다. 사용자가 트위스터블 부분(520)을 더 회전시키면, 섹션(531)이 비틀어지고, 섹션(529)에 대한 피봇점을 제공하여 섹션(525)에 대하여 회전하게 될 것이다(도시되지 않음). 더 많은 식품이 사용자에 의해 패키지(500)로부터 분배됨에 따라, 사용자는 트위스터블 부분(520)을 더 많은 회전으로 회전시키고 추가 섹션(527, 531)을 비틀어서(도시되지 않음) 패키지(500)의 총 높이를 순차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패키지(500)를 재밀폐시킬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다른 예시적인 가요성 재밀폐가능 식품 패키지(600, 700)가 제공된다. 패키지(600, 700)는 패키지(600, 700)의 트위스터블 부분(620, 720)이 패키지(10)의 트위스터블 부분(20)과 같이 모래시계 형상인 점에서 패키지(10)와 유사하다. 패키지(600, 700)를 가로지르는 트위스터블 부분(620, 720)의 폭은 패키지(10)를 가로지르는 트위스터블 부분(20)의 폭과 대략 동일하다.
각각 상부 에지(622, 722)와 하부 에지(624, 724) 간의 거리로 정의되는 트위스터블 부분(620, 720) 각각의 높이는 상부 에지(22)와 하부 에지(24) 간의 거리로 정의되는 트위스터블 부분(20)의 높이의 대략 절반이다. 따라서, 트위스터블 부분(620, 720)은 각각 상단부(613, 713)로부터 하단부(611, 711)까지 측정된 패키지(600, 700)의 높이의 절반보다 작은 높이를 갖는다. 각각 트위스터블 부분(620, 720)과 대략 동일한 높이를 갖는 트위스터블 부분(20, 120, 220, 320, 520)을 갖도록 패키지(10, 100, 200, 300, 500)를 수정하여, 트위스터블 부분(20, 120, 220, 320, 520)의 높이가 각각 패키지(10, 100, 200, 300, 500)의 높이의 절반보다 작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트위스터블 부분(620)은 상대적으로 넓은 벌브형 제1 및 제2 섹션(623, 625)이 좁은 목형 허리부인 제3 섹션(627)과 아치형 곡선을 이루면서 결합하는 모래시계 형상이다. 또한, 트위스터블 부분(620)은 상부 에지(622), 하부 에지(624), 제1 측부(626) 및 제1 측부(626)와 대향하는 제2 측부(628)를 갖는다.
트위스터블 부분(20)의 상부 에지(22) 및 하부 에지(24)와 달리, 트위스터블 부분(620)의 상부 에지(622) 및 하부 에지(624)는 서로 평행하지 않다. 대신에, 상부 에지(622)는 제1 측부(626)와의 교차점으로부터 제2 측부(628)와의 교차점으로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다. 스코어 라인(634)은 트위스터블 부분(620)의 상부 에지(622)에 평행할 수 있고, 패키지(600)의 폭을 가로질러 절취 노치(636)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패키지(600)는 패키지(10)의 제거가능부(32)보다 큰 제거가능부(632)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패키지(600)로부터 식품을 분배하고, 제거가능부(632)를 파지하여 스코어 라인(634)을 따라 패키지(600)의 나머지로부터 분리하기를 원하는 경우, 패키지(10)의 제거가능부(32)가 제거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패키지(600)의 더 큰 부분이 제거된다. 사용자가 패키지(600)로부터 식품 일부를 분배한 후,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트위스터블 부분(620)을 종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패키지(600)를 재밀폐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트위스터블 부분(720)은 벌브형 제1 및 제2 섹션(723, 725)이 목형 허리부인 제3 섹션(727)과 아치형 곡선을 이루면서 결합하는 모래시계 형상이다. 트위스터블 부분(720)은 상부 에지(722), 하부 에지(724), 제1 측부(726) 및 제1 측부(726)와 마주보는 제2 측부(728)를 갖는다.
제1 측부(626)와의 교차점으로부터 제2 측부(628)와의 교차점까지 아래 방향으로 전체가 연장되는 상부 에지(622)와 달리, 상부 에지(722)는 하부 에지(724)에 부분적으로 평행하고, 제2 측부(728)를 항하여 아래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각을 이룬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에지(724)에 평행한 상부 에지(722) 부분은 패키지(700)의 폭 대부분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스코어 라인(734)은 트위스터블 부분(720)의 상부 에지(722)에 평행할 수 있고, 패키지(700)의 상단부(713)에 형성된 절취 노치(736)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위스터블 부분(720)은 코너가 없어진 모래시계와 같은 형상으로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제거가능부(732)를 파지하고 스코어 라인(734)을 따라 패키지(700)의 나머지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패키지(700)의 코너가 제거되어 사용자가 패키지(700)로부터 식품을 분배하는 것을 허용한다. 사용자가 패키지(700)로부터 식품 일부를 분배한 후,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트위스터블 부분(720)을 종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패키지(700)를 재밀폐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트위스터블 부분(620, 720)의 상부 에지(622, 722)는 각각 평행하고, 스코어 라인(634, 734)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이로 인해, 측벽(612, 712) 각각의 인접한 부분보다 강성인 트위스터블 부분(620, 720)이 각각 절취 이탈을 감소시켜 스코어 라인(634, 734)을 따라 제거가능부(632, 732)를 분리하기 위한 예측가능하고 일관된 경로를 제공가능하게 한다.
스코어 라인(634, 734)과 트위스터블 부분(620, 720)의 상부 에지(622, 722)가 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행하고 아래 방향으로 경사진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스코어 라인(634, 734)과 상부 에지(622, 722)는 평행하지 않고 위를 향하여 경사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부 에지(622, 722)가 선형인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그 대신,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곡선형이거나 높낮이가 있을 수 있다.
트위스터블 부분(20, 320, 420, 520, 620, 720)이 각각 패키지(10, 300, 400, 500, 600, 700)의 측벽의 내부면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방법으로는, 트위스터블 부분(20, 320, 420, 520, 620, 720)은 패키지(100, 200)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된 트위스터블 부분(120, 220)과 유사하게 패키지(10, 300, 400, 500, 600, 700)의 측벽의 외부면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패키지의 측벽으로서 기능을 하는 가요성 필름이 제조 동안 형성 튜브를 따른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하나 이상의 물질부가 필름의 내부면 또는 외부면에 기계 방향으로 적용되어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트위스터블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트위스터블 물질부를 가요성 필름에 적용하는 것은 접착제, 본딩 또는 납땜에 의해 트위스터블 물질부를 필름에 부착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술한 임의의 패키지의 트위스터블 부분은 패키지의 측벽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요성 필름이 기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필름의 소정 부분은 UV 광 또는 다른 방법에 의해 경화되어 필름의 인접한 부분보다 높은 강성 및 높은 데드 폴드 특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높은 데드 폴드 특성의 이러한 영역은 단일 모래시계 형상(도 1, 도 14 및 도 15), 이중 모래시계 형상(도 5), Y 형상(도 7), 스트립 형상(도 11) 또는 다른 적절한 형상일 수 있고, 각각 트위스터블 부분(20, 620, 720, 220, 420, 520)이 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패키지가 패키지의 한쪽 면에 트위스터블 부분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트위스터블 부분은 패키지의 대향하는 면 양쪽에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키지 내의 스코어 라인은 패키지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거나 폭의 일부에만 걸쳐 연장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패키지는 패키지의 종축을 중심으로 트위스터블 부분의 비틀림에 의해 재밀폐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패키지의 상단부를 하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접음으로써 패키지를 또한 재밀폐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패키지의 측벽의 나머지와 비교하여 트위스터블 부분의 높은 데드 폴드 특성 때문에, 트위스터블 부분은, 일단 접히면, 패키지가 재밀폐상태를 유지하도록 접힌 상태를 유지하는 경향을 갖게 된다.
상술한 패키지는 폴리머릭 가요성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요성 필름은 폴리에틸렌, 프로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가요성 필름은 적층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금속화층을 포함할 수 있다. 패키지는 약 100 밀리미터 내지 1000 밀리미터의 높이 및 약 30 밀리미터 내지 약 300 밀리미터의 폭을 가질 수 있다. 트위스터블 부분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락타이드(PLA), 시클린 올레핀 코폴리머(COC)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트위스터블 부분은 적층되거나 공압출되어 다층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트위스터블 부분은 블렌드된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트위스터블 부분은 약 1 내지 10 밀리미터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약 2 밀리미터 내지 약 4 밀리미터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재밀폐가능 패키지의 이점은 전체가 하나의 제조 공정으로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이다. 상술한 재밀폐가능 패키지의 다른 이점은 트위스터블 부분이 비금속 물질로 형성되어 패키지의 전체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 다른 이점은 트위스터블 부분이 측벽에 증가된 데드 폴드 특성을 제공하고, 필요에 따라 패키지를 개방 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패키지를 폐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 다른 이점은 트위스터블 부분을 포함하는 측벽의 일부에 증가한 강성 및 인장 강도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일탈함이 없이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조합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변경 및 조합은 본 발명의 사상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20)

  1. 하단부, 상단부, 및 측벽을 포함하고, 측벽은 측벽의 인접한 부분보다 증가된 데드 폴드 특성을 갖는 트위스터블 부분을 포함하며, 트위스터블 부분은 각각이 최대 폭을 갖는 적어도 제1 섹션 및 제2 섹션을 갖고, 제1 및 제2 섹션은 제1 및 제2 섹션의 각각의 최대 폭보다 작은 최소 폭을 갖는 적어도 제3 섹션에 의해 결합되고, 제3 섹션은 제1 및 제2 섹션이 제3 섹션에 대하여 비틀리도록 구성되고, 트위스터블 부분은 측벽의 인접한 부분과 함께 비틀려서 상단부의 개방 이후에 형성된 접근 개구로의 접근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가요성 식품 패키지.
  2. 제1항에 있어서, 트위스터블 부분은 모래시계 형상을 갖는 패키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3 섹션의 최소 폭보다 큰 최대 폭을 갖는 적어도 제4 섹션을 더 포함하고, 제4 섹션은 제2 및 제4 섹션 중 하나의 최대 폭보다 작은 최소 폭을 갖는 제5 섹션에 의해 제2 섹션에 결합되는 패키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위스터블 부분의 상부 에지와 패키지의 상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패키지로부터 상단부를 분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코어 라인을 더 포함하는 패키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위스터블 부분은 측벽의 내부면 상에 제공되는 패키지.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위스터블 부분은 측벽의 외부면 상에 제공되는 패키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위스터블 부분은 접착제에 의해 측벽에 부착되는 패키지.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위스터블 부분은 측벽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는 패키지.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위스터블 부분은 상부 에지 및 상부 에지에 대향하는 하부 에지를 포함하고, 상부 및 하부 에지는 서로 평행한 패키지.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위스터블 부분은 상부 에지 및 상부 에지에 대향하는 하부 에지를 포함하고, 상부 및 하부 에지는 서로 평행하지 않은 패키지.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위스터블 부분은 상부 에지 및 상부 에지에 대향하는 하부 에지를 포함하고, 상부 및 하부 에지의 제1 부분은 하부 에지에 평행하고, 상부 에지의 제2 부분은 하부 에지에 평행하지 않은 패키지.
  12. 패키지의 상단부를 제거하여 개구를 형성하는 단계,
    개구를 통해 패키지에 저장된 식품을 제거하는 단계, 및
    트위스터블 부분을 측벽의 인접한 부분과 함께 비틀어서 개구로의 접근을 제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의 패키지의 사용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트위스터블 부분을 반대 방향으로 비틀어서 패키지를 재개방하고 개구를 통한 식품으로의 접근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패키징 물질의 연속 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필름보다 증가된 데드 폴드 특성을 갖는 트위스터블 물질부를 필름에 적용하는 단계, 및
    필름의 부분들을 밀봉하여 패키지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형성하고 식품을 수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의 패키지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트위스터블 물질부를 적용하는 단계는 패키지의 내부면에 대응하는 필름의 표면에 트위스터블 물질부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트위스터블 물질부를 적용하는 단계는 패키지의 외부면에 대응하는 필름의 표면에 트위스터블 물질부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폐쇄 하단부, 및 적어도 하나의 스코어 라인을 따라 패키지로부터 분리가능한 폐쇄 상단부를 갖고, 측벽보다 증가된 데드 폴드 특성을 갖는 트위스터블 부분을 포함하는 측벽을 포함하고, 트위스터블 부분은 자신에 대하여 그리고 측벽의 신치부 주위로 비틀어져서 상단부 및 트위스터블 부분의 제거 후에 형성된 개구로의 접근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가요성 식품 저장 패키지.
  18. 제17항에 있어서, 트위스터블 부분은 패키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패키지.
  19. 하단부 및 제거가능한 상단부를 갖는 측벽을 포함하고, 측벽은 측벽의 인접한 부분보다 높은 데드 폴드 특성을 갖는 Y 형상 트위스터블 부분을 포함하고, 트위스터블 부분은 패키지의 하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레그 및 패키지의 상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을 포함하고, 아암은 측벽의 인접한 부분과 함께 비틀려서 상호 체결된 방식으로 유지되어 상단부의 제거 후에 형성된 개구를 재밀폐하도록 구성되는 가요성 식품 패키지.
  20. 제19항에 있어서, 레그는 직선형이고, 각각의 아암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곡선형인 패키지.
KR1020147027134A 2012-03-30 2013-03-25 트위스터블 폴리머 재밀폐 물질부를 포함하는 가요성 패키지 KR201401343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436,706 2012-03-30
US13/436,706 US9102443B2 (en) 2012-03-30 2012-03-30 Flexible packages incorporating a twistable polymer reclose material
PCT/US2013/033647 WO2013148543A1 (en) 2012-03-30 2013-03-25 Flexible packages incorporating a twistable polymer reclose materi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306A true KR20140134306A (ko) 2014-11-21

Family

ID=48096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7134A KR20140134306A (ko) 2012-03-30 2013-03-25 트위스터블 폴리머 재밀폐 물질부를 포함하는 가요성 패키지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9102443B2 (ko)
EP (1) EP2830965A1 (ko)
JP (1) JP2015517961A (ko)
KR (1) KR20140134306A (ko)
CN (1) CN104254484A (ko)
AR (1) AR091326A1 (ko)
AU (1) AU2013240053A1 (ko)
CA (1) CA2868305A1 (ko)
CO (1) CO7111304A2 (ko)
MX (1) MX2014011831A (ko)
PH (1) PH12014502096A1 (ko)
RU (1) RU2014138871A (ko)
WO (1) WO2013148543A1 (ko)
ZA (1) ZA2014070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5813A1 (en) * 2013-06-04 2014-12-11 Maverick International (Pty) Ltd Flexible container
WO2016030856A1 (en) * 2014-08-27 2016-03-03 Nestec S.A. Flexible pouch with memory support strips and methods of producing and using same
US9834353B2 (en) 2014-12-15 2017-12-05 Sonoco Development, Inc. Flexible package with reclose region
UA104831U (uk) * 2015-07-15 2016-02-25 Ірина Миколаївна Мірошник Упаковка-обгортка "flow-pack" з можливістю легкого відкривання і повторного закривання
US10093470B2 (en) * 2015-12-09 2018-10-09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Food package having opening feature and methods of opening thereof
US11059628B2 (en) * 2017-08-31 2021-07-13 Anthony Alatriste Food storage bag with integrated closure device and related methods
JP7206599B2 (ja) * 2018-02-23 2023-01-18 凸版印刷株式会社 包装体
EP3999898A4 (en) * 2019-07-15 2023-11-22 Kuiu, Llc RECONFIGURABLE ENCLOSURES FOR PORTABLE HAND-HELD DEVICES AND METHODS
USD958476S1 (en) * 2020-02-18 2022-07-19 Fna Group, Inc. Pressure washer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937A (en) * 1899-05-11 1900-06-19 Leonard S Short Bag-fastener.
US892330A (en) * 1908-03-10 1908-06-30 Frank A Tavis Bag-fastener.
US2995174A (en) 1957-07-20 1961-08-08 Wang Herman Machine for producing bags with at least one closing clip
US3201030A (en) 1964-03-04 1965-08-17 Pollack Sid Container
US3402052A (en) 1967-03-29 1968-09-17 Robert J. Walker Openable and reclosable container
US3754371A (en) 1972-05-26 1973-08-28 R Walker Method and apparatus for closing the mouths of flexible containers by twisting
US3815810A (en) * 1972-07-07 1974-06-11 L Wellman Opening and re-sealing device for bag containers
US4051994A (en) 1973-08-10 1977-10-04 Mobil Oil Corporation Bag closure
FR2267951A1 (en) 1974-04-22 1975-11-14 Monin Ets Portable plastic bag for solids or liquids - has strip partly cut from open end tied around open end to form handle
US4267768A (en) 1976-09-20 1981-05-19 David M. Cieslak Process for fabricating a reclosable bag
US4797313A (en) 1985-11-08 1989-01-10 Monsanto Company Non-metallic polymeric twist tie
US4810103A (en) 1988-05-31 1989-03-07 Bell Donald G Resealable bag closure arrangement
US4973171A (en) 1989-07-05 1990-11-27 Mobil Oil Corporation Closable plastic bag
US4909017B1 (en) * 1989-07-28 1999-02-09 Minigrip Inc Reclosable bag material method and apparatus
US5968310A (en) 1994-02-18 1999-10-19 James E. Brunton Closable bag and method apparatus for making same
US5607748A (en) * 1994-08-15 1997-03-04 Bedford Industries, Inc. Wireless polymeric twist tie
JPH1149193A (ja) * 1997-08-05 1999-02-23 Mitsubishi Alum Co Ltd 保存袋
FR2810966B1 (fr) 2000-06-28 2002-12-20 Danisco Flexible France Emballage souple refermable
US20040013324A1 (en) 2002-07-22 2004-01-22 Charles Corry Bag securement system
US20040223666A1 (en) * 2003-02-10 2004-11-11 Gordon Jenkins Recloseable bag and method of production
US20050238262A1 (en) * 2003-02-10 2005-10-27 Gordon Jenkins Recloseable bag and method of production
EP1616806B1 (en) * 2003-04-18 2008-08-20 Kao Corporation Bag
FR2866321B1 (fr) * 2004-02-13 2007-05-18 Lablabo Poche souple deformable et dispositif pour le conditionnement et la distribution de produits fluides.
US20060191929A1 (en) * 2005-02-28 2006-08-31 Berg Charles J Jr Flexi-resilient to rigid container including horizontally hinged sides
US20060285779A1 (en) 2005-06-15 2006-12-21 Golas Adam A Re-sealable bag
US20080205799A1 (en) * 2007-02-28 2008-08-28 Jaime Sendra Flexible Container with Closure and Method
US20100166924A1 (en) * 2008-12-31 2010-07-01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Flexible package having multiple opening fea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68305A1 (en) 2013-10-03
CN104254484A (zh) 2014-12-31
PH12014502096A1 (en) 2014-11-24
JP2015517961A (ja) 2015-06-25
EP2830965A1 (en) 2015-02-04
US20130259406A1 (en) 2013-10-03
WO2013148543A1 (en) 2013-10-03
RU2014138871A (ru) 2016-05-27
AU2013240053A1 (en) 2014-10-09
ZA201407042B (en) 2015-11-25
US20150259118A1 (en) 2015-09-17
CO7111304A2 (es) 2014-11-10
MX2014011831A (es) 2014-12-10
AR091326A1 (es) 2015-01-28
US9102443B2 (en) 201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4306A (ko) 트위스터블 폴리머 재밀폐 물질부를 포함하는 가요성 패키지
US11027892B2 (en) Package integrity indicating closure
US9221590B2 (en) Resealable packaging for food product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4609107A (en) Easy open and reclosable bag having a separable reclosure tie
EP1367005A1 (en) Flexible reclosable container with easy opening
US4657142A (en) Easy-to-open carton for confectionery or other food products including a skive underlying a tearstrip end
JP6404452B2 (ja) 分離可能な封着特徴を有するパッケージ及び製造方法
WO2012166381A1 (en) Reclosable flexible packaging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JP6276784B2 (ja) 容易に引裂くことができるパッケージ
AU2011300514B2 (en) Packaging with monoaxially oriented film
US20130295242A1 (en) Packaging with monoaxially oriented film
US20160340099A1 (en) Packaging container with open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23153428A (ja) 4フランジチャイルドレジスタントジッパ及びバッグ
WO2014142886A1 (en) Recloseable flexible packages
AU2013280703B2 (en) Reclosable flexible packages for food products
CN108367847B (zh) 具有可重新闭合的开口特征部的食物包装及其使用方法
EP2067711B1 (en) Package
RU2701585C1 (ru) Повторно запечатываемое открывающееся устройство и упаковка, содержащая такое открывающееся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