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3354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3354A
KR20140133354A KR20130053433A KR20130053433A KR20140133354A KR 20140133354 A KR20140133354 A KR 20140133354A KR 20130053433 A KR20130053433 A KR 20130053433A KR 20130053433 A KR20130053433 A KR 20130053433A KR 20140133354 A KR20140133354 A KR 20140133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isplay
displayed
screens
ic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3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3311B1 (ko
Inventor
방준호
문주선
김홍표
박이삭
크리스토퍼 이. 뱅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3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311B1/ko
Priority to CN201480026459.7A priority patent/CN105191328A/zh
Priority to JP2016512846A priority patent/JP2016528575A/ja
Priority to EP14795353.3A priority patent/EP2962458A4/en
Priority to US14/275,440 priority patent/US20140333422A1/en
Priority to PCT/KR2014/004223 priority patent/WO2014182140A1/en
Publication of KR20140133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23D-info-objec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internal or external surface of a three dimensional manipulable object, e.g. on the faces of a cube that can be rotated by the us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복수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 영역에 복수의 그룹으로 카테고리화된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가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interaction)이 감지되면,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에 재생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Display app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복수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고, 복수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될 컨텐츠를 각각 선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컨텐츠의 증가 및 사용자의 니즈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소스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받는 컨텐츠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많은 컨텐츠 중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찾기 위해 복수의 스크린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스크린으로 메인 스크린 및 PIP 스크린과 같은 부가적인 스크린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복수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하여, EPG 화면과 같은 별도의 UI를 이용하여 복수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컨텐츠를 선택하였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복수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해 별도의 UI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별도의 UI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복수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컨텐츠를 확인할 수 없으며, 복수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컨텐츠를 확인하기 위하여, 화면 전환 동작과 같은 추가적인 동작이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될 컨텐츠를 더욱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선택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될 컨텐츠들을 사용자가 더욱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복수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 영역에 복수의 그룹으로 카테고리화된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interaction)이 감지되면,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에 재생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메인 스크린 및, 상기 메인 스크린의 좌측 및 우측에 사다리꼴 형태의 제1 서브 스크린 및 제2 서브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상기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에 재생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리모컨에 구비된 상기 메인 스크린, 상기 제1 서브 스크린 및 상기 제2 서브 스크린과 각각 대응되는 제1 내지 제3 버튼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제1 내지 제3 버튼 중 하나가 선택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아이콘과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스크린에서 재생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모컨에 구비된 제1 내지 제3 버튼은 상기 메인 스크린, 상기 제1 서브 스크린 및 상기 제2 버스 스크린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아이콘을 그룹에 따라 상이한 공간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복수의 아이콘은 각각 큐빅 형태의 아이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기설정된 제1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복수의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제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복수의 스크린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스크린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기설정된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스크린 중 상기 메인 스크린의 크기를 축소하고, 상기 축소된 메인 스크린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방향으로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복수의 썸네일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썸네일 화면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썸네일 화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메인 스크린에 재생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릍 통해 기설정된 제3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복수의 스크린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제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복수의 아이콘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대된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가 선택된 상태에서 리모컨에 구비된 상기 메인 스크린, 상기 제1 서브 스크린 및 상기 제2 서브 스크린과 각각 대응되는 제1 내지 제3 버튼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확대된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제거하고, 상기 복수의 스크린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선택된 아이콘과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스크린에서 재생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UI 제공 방법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복수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 영역에 복수의 그룹으로 카테고리화된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가 선택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interaction)이 감지되면,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에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메인 스크린 및, 상기 메인 스크린의 좌측 및 우측에 사다리꼴 형태의 제1 서브 스크린 및 제2 서브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상기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에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리모컨에 구비된 상기 메인 스크린, 상기 제1 서브 스크린 및 상기 제2 서브 스크린과 각각 대응되는 제1 내지 제3 버튼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인 경우,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제1 내지 제3 버튼 중 하나가 선택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아이콘과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스크린에서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모컨에 구비된 제1 내지 제3 버튼은 상기 메인 스크린, 상기 제1 서브 스크린 및 상기 제2 버스 스크린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아이콘을 그룹에 따라 상이한 공간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복수의 아이콘은 각각 큐빅 형태의 아이콘일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제1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복수의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제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복수의 스크린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스크린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기설정된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스크린 중 상기 메인 스크린의 크기를 축소하고, 상기 축소된 메인 스크린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방향으로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복수의 썸네일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썸네일 화면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썸네일 화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메인 스크린에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제3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복수의 스크린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제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복수의 아이콘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대된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가 선택된 상태에서 리모컨에 구비된 상기 메인 스크린, 상기 제1 서브 스크린 및 상기 제2 서브 스크린과 각각 대응되는 제1 내지 제3 버튼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확대된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제거하고, 상기 복수의 스크린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선택된 아이콘과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스크린에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사용자는 더욱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복수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될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
도 5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스크린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스크린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머리 회전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원격 제어 장치(5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TV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PC, 휴대폰, 태블릿 PC, PMP, PDA, 네비게이션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휴대용 기기로 구현되는 경우, 터치스크린을 내장하고 있어 손가락 또는 펜(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지털 TV로 구현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지털 TV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원격 제어 장치(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써, 사용자 인터렉션을 입력받고 입력된 사용자 인터렉션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50)는 원격 제어 장치(5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움직임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입력된 키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송하는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복수의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복수의 스크린 및 복수의 그룹으로 카테고리화된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타입의 사용자 인터렉션(interaction)에 따라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여 복수의 스크린에 재생될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양할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기 저장된 영상 데이터 또는 UI를 출력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의 기설정된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복수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 영역에 복수의 그룹으로 카테고리화된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단 영역의 가운데 메인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고, 메인 스크린의 좌측 및 우측에 제1 서브 스크린 및 제2 서브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하단 영역에 카테고리화된 그룹에 따라 기 지정된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다면체 형태의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아이콘은 정육면체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아이콘을 큐빅 GUI라고 명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아이콘은 삼각기둥, 육각기둥, 직육면체, 구 등과 같은 입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각형, 원, 삼각형 등과 같은 평면도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경우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렉션(interaction)을 감지한다.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현 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가능하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지털 TV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원격 제어 장치(50)로부터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 수신부, 사용자 모션을 감지하는 카메라,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터치 기반의 휴대 단말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상술한 디스플레이부(110)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가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interaction)이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에 재생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되는 동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190)는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복수의 스크린 중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에 대응되는 하나의 스크린에 재생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리모컨에 구비된 메인 스크린, 제1 서브 스크린 및 제2 서브 스크린과 각각 대응되는 제1 내지 제3 버튼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인 경우, 복수의 큐빅 GUI 중 하나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되는 동안 제1 내지 제3 버튼 중 하나가 선택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큐빅 GUI와 대응되는 컨텐츠를 복수의 스크린 중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스크린에서 재생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큐빅 GUI 중 제1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제1 큐빅 GUI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되는 동안 제1 버튼이 선택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제1 버튼에 대응되는 메인 스크린에 제1 큐빅 GUI에 대응되는 제1 방송 채널의 방송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큐빅 GUI 중 제2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제2 큐빅 GUI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되는 동안 제2 버튼이 선택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제2 버튼에 대응되는 제1 서브 스크린에 제2 큐빅 GUI에 대응되는 제2 방송 채널의 방송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큐빅 GUI 중 제1 SNS 컨텐츠에 대응되는 제3 큐빅 GUI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되는 동안 제3 버튼이 선택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제3 버튼에 대응되는 제2 서브 스크린에 제3 큐빅 GUI에 대응되는 SNS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선택된 큐빅 GUI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을 선택하기 위하여, 리모컨에 구비된 기설정된 버튼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음성 명령을 이용하여 선택된 큐빅 GUI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큐빅 GUI 중 제1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제1 큐빅 GUI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되는 동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중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메인"이라는 사용자 음성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30)는 메인 스크린에 제1 큐빅 GUI에 대응되는 제1 방송 채널의 방송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선택된 큐빅 GUI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큐빅 GUI 중 제2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제2 큐빅 GUI에 포인터가 위치하는 동안 마우스의 클릭 후 제2 큐빅 GUI를 제1 서브 스크린에 드래그한 경우, 제어부(130)는 제1 서브 스크린에 제2 큐빅 GUI에 대응되는 제2 방송 채널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는 핸드 모션을 이용하여 선택된 큐빅 GUI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큐빅 GUI 중 제1 SNS 컨텐츠에 대응되는 제3 큐빅 GUI에 포인터가 위치하는 동안 사용자의 제1 모션(예를 들어, 그랩 모션)이 입력된 후 제2 큐빅 GUI를 제2 서브 스크린이 위치한 영역까지 이동하는 제2 모션(예를 들어, 이동 모션)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제2 서브 스크린에 제3 큐빅 GUI에 대응되는 제1 SNS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사용자 인터렉션 방법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복수의 스크린 중 사용자가 원하는 스크린에 더욱 직관적으로 디스플레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복수의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되고,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 영역에 복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기설정된 제1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제거하고,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스크린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복수의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되고,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 영역에 복수의 큐빅 GUI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중 리모컨을 통해 기설정된 버튼(예를 들어, 화면 전환 버튼 등)이 선택되는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하단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큐빅 GUI를 점점 흐리게 디스플레이하면서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제거하고,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단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메인 스크린 및 복수의 서브 스크린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스크린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에 복수의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기설정된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복수의 스크린 중 메인 스크린의 크기를 축소하고, 축소된 메인 스크린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방향으로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복수의 썸네일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스크린 및 복수의 서브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중 리모컨에 구비된 OJ 센서를 문지르는 러빙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메인 스크린의 크기를 축소하고, 축소된 메인 스크린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에 다른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복수의 썸네일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복수의 썸네일 화면의 일측에 썸네일 화면에 대응되는 방송 채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썸네일 화면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30)는 선택된 썸네일 화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메인 스크린에 재생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축소된 메인 스크린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되며, 메인 스크린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에 복수의 썸네일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사용자의 상하 이동 명령(예를 들어, OJ 센서를 위쪽 방향 또는 아래쪽 방향으로 문지르는 명령 등)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복수의 썸네일을 상하 이동 명령에 따라 이동시켜 복수의 썸네일 중 하나에 하이라이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썸네일 중 하나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되는 동안 사용자의 확인 명령(예를 들어, OJ 센서를 누르는 명령 등)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썸네일 화면을 확대하고, 기존의 메인 스크린 위치에 선택된 썸네일 화면에 대응되는 방송 채널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복수의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되고,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 영역에 복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릍 통해 기설정된 제3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제거하고,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아이콘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복수의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되고,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 영역에 복수의 큐빅 GUI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중 리모컨을 통해 기설정된 버튼(예를 들어, 이전 버튼 등)이 선택되는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단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제거하고, 디스플레이 화면의 하단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그룹으로 카테고리화된 복수의 큐빅 GUI 중 제1 그룹에 포함된 큐빅 GUI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확대된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가 선택된 상태에서 리모컨에 구비된 메인 스크린, 제1 서브 스크린 및 제2 서브 스크린과 각각 대응되는 제1 내지 제3 버튼 중 하나가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확대된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제거하고, 복수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다시 디스플레이하며, 선택된 아이콘과 대응되는 컨텐츠를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스크린에서 재생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확대된 복수의 큐빅 GUI 중 하나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리모컨에 구비된 제2 버튼이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현재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큐빅 GUI를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제거하고, 복수의 스크린을 다시 디스플레이하며, 복수의 스크린 중 제2 버튼에 대응되는 제1 서브 스크린에 선택된 큐빅 GUI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상황에 따라 원하는 컨텐츠를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에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자세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수신부(210), 통신부(220), 디스플레이부(230), 오디오 출력부(240), 저장부(250), 오디오 처리부(260), 비디오 처리부(27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 및 제어부(290)를 포함한다.
영상 수신부(210)는 다양한 소스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영상 수신부(210)는 외부의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예를 들어, DVD, BD 플레이어 등)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저장부(25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영상 수신부(210)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복수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복수의 영상 수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수신부(210)는 복수의 방송 채널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복수의 튜너를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 또는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22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칩, 무선 통신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 중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부(230)는 영상 수신부(210)가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비디오 처리부(270)에서 처리한 비디오 프레임 및 그래픽 처리부(293)에서 생성된 다양한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230)는 사용자의 기설정된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복수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 영역에 복수의 그룹으로 카테고리화된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230)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단 영역의 가운데 메인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고, 메인 스크린의 좌측 및 우측에 제1 서브 스크린 및 제2 서브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하단 영역에 카테고리화된 그룹에 따라 기 지정된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다면체 형태의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아이콘은 정육면체가 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정육면체의 아이콘을 큐빅 GUI라고 명명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아이콘은 삼각기둥, 육각기둥, 직육면체, 구 등과 같은 입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각형, 원, 삼각형 등과 같은 평면도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230)는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기 제1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큐빅 GUI를 제1 공간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VOD(Video On Demand)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제2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큐빅 GUI를 제2 공간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SNS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제3 그룹에 포함된 큐빅 GUI를 제3 공간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카테고리화된 그룹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기준에 의해 카테고리화된 그룹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연결된 외부 기기(예를 들어, DVD)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큐빅 GUI를 포함하는 그룹, 사진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큐빅 GUI를 포함하는 그룹, 음악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큐빅 GUI를 포함하는 그룹 등 다양한 기준에 의해 카테고리화된 그룹이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제공하는 복수의 스크린 및 복수의 아이콘에 대해서는 추후에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오디오 출력부(240)는 오디오 처리부(26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특히, 오디오 출력부(240)는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오디오 출력 단자와 같은 다른 오디오 출력부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25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을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25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저장부(250)에는 베이스 모듈(251), 센싱 모듈(252), 통신 모듈(253), 프리젠테이션 모듈(254), 웹 브라우저 모듈(255), 서비스 모듈(256)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베이스 모듈(251)이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을 의미한다. 베이스 모듈(251)은 스토리지 모듈(251-1), 보안 모듈(251-2) 및 네트워크 모듈(251-3) 등을 포함한다. 스토리지 모듈(251-1)이란 데이터베이스(DB)나 레지스트리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메인 CPU(294)는 스토리지 모듈(251-1)을 이용하여 저장부(250)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여, 각종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보안 모듈(251-2)이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모듈이고, 네트워크 모듈(141-3)이란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로 DNET 모듈, UPnP 모듈 등을 포함한다.
센싱 모듈(252)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이다. 센싱 모듈(252)은 헤드 방향 인식 모듈,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모듈(253)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통신 모듈(253)은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253-1),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등을 포함하는 전화 모듈(253-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254)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이다. 프리젠테이션 모듈(254)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254-1),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254-2)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모듈(254-1)은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UI 렌더링 모듈(254-2)은 이미지를 조합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화면상의 좌표를 조합하여 생성하는 좌표 조합 모듈, 하드웨어로부터 각종 이벤트를 수신하는 X11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모듈(255)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웹 브라우저 모듈(255)은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웹 뷰(web view) 모듈,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다운로드 에이전트 모듈, 북마크 모듈, 웹킷(Webkit)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모듈(256)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는, 서비스 모듈(256)은 SNS 프로그램,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게임 프로그램, 전자 책 프로그램, 달력 프로그램, 알람 관리 프로그램, 기타 위젯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들을 도시하였으나, 도시된 각종 프로그램 모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 또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GPS 칩과 같은 하드웨어와 연동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위치 기반 모듈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도 3에 대해 설명하면, 오디오 처리부(26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26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260)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처리하기 위해 복수의 오디오 처리 모듈이 구비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270)는 영상 수신부(210)에서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270)에서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비디오 처리부(270)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비디오를 처리하기 위해 복수의 비디오 처리 모듈이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는 복수의 스크린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는 복수의 스크린을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 메인 스크린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의 스크린에 재생될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 등 다양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는 복수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될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는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 선택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스크린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전환하기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는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제거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 및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제거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281), 마이크(282), 리모컨 신호 수신부(283) 등과 같은 다양한 인터렉션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281)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특히, 카메라(281)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사용자 모션을 촬상할 수 있다.
마이크(282)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부(290)는 마이크(282)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통화(call) 과정에서 이용하거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부(250)에 저장할 수 있다.
카메라(281) 및 마이크(282)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290)는 마이크(282)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이나 카메라(281)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모션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모션 제어 모드나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290)는 카메라(221)를 활성화시켜 사용자를 촬상하고, 사용자의 모션 변화를 추적하여 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29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 음성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리모컨 신호 수신부(283)는 외부의 원격 제어 장치(50)로서 리모컨으로부터 제어 명령이 포함된 리모컨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9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M(291), ROM(292), 그래픽 처리부(293), 메인 CPU(29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95-1 ~ 295-n), 버스(296)를 포함한다. 이때, RAM(291), ROM(292), 그래픽 처리부(293), 메인 CPU(29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95-1 ~ 295-n) 등은 버스(29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OM(29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294)는 ROM(29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250)에 저장된 O/S를 RAM(29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294)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291)에 복사하고, RAM(29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293)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입력부(28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23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메인 CPU(294)는 저장부(25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25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294)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95-1 내지 29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특히, 제어부(29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에 입력된 사용자의 인터렉션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복수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 영역에 복수의 그룹으로 카테고리화된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9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단 영역에 메인 스크린(520) 및 복수의 서브 스크린(510,53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단 가운데 영역에 메인 스크린(520)을 디스플레이하고, 메인 스크린(52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기울려진 직사각형 형태의 제1 서브 스크린(510) 및 제2 서브 스크린(53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스크린(520) 및 복수의 서브 스크린(510,530)은 입체적으로 배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3차원 공간상에서 복수의 스크린을 시청하는 듯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메인 스크린(520) 및 복수의 서브 스크린(510,530)에 컨텐츠가 재생되지 않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이전에 재생된 컨텐츠들이 재생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하단 영역에 룸(room) 형태의 복수의 공간상에 복수의 그룹으로 카테고리화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9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의 하단 가운데 영역에 제1 그룹으로 카테고리화된 복수의 아이콘(551 내지 559)을 포함하는 제1 룸(550), 제1 룸의 좌측 영역에 제2 그룹으로 카테고리화된 복수의 아이콘(541 내지 549)을 포함하는 제2 룸(540) 및 제1 룸의 우측 영역에 제3 그룹으로 카테고리화된 복수의 아이콘(561 내지 569)을 포함하는 제3 룸(56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룸(540,550,560)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콘 각각은 정육면체 형태의 큐빅 GUI로서, 3차원 공간을 가지는 복수의 룸 안에 플로팅(floating)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1 룸(550)에는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제1 큐빅 GUI 내지 제9 큐빅 GUI(551 내지 559)를 포함하며, 제2 룸(540)에는 SNS 컨텐츠에 대응되는 제10 큐빅GUI 내지 제18 큐빅GUI(541 내지 549)를 포함하며, 제3 룸(560)에는 VOD 컨텐츠에 대응되는 제 19 큐빅 GUI 내지 제27 큐빅 GUI(561 내지 569)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카테고리화된 큐빅 GUI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기준에 의해 큐빅 GUI가 카테고리화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큐빅 GUI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연결된 외부 기기(예를 들어, DVD)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큐빅 GUI, 사진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큐빅 GUI, 음악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큐빅 GUI, 어플리케이션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큐빅 GUI 등 다양한 기준에 의해 카테고리화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90)는 큐빅 GUI에 대응되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컨텍스트 및 컨텐츠 속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룸(540,550,560) 속에 포함된 큐빅 GUI의 크기 및 배열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컨텍스트란 컨텐츠와 관련된 사용 이력, 사용 상태, 사용 환경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컨텍스트란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과거 이용 형태, 현재 이용 행태, 미래의 예상 이용 행태를 포함하는 의미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방송 채널 컨텐츠인 경우, 해당 방송 채널에 대한 과거 선국 행위뿐 아니라 현재 선국 행위도 사용자 컨텍스트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사용자뿐 아니라 컨텐츠에 기설정된 영향을 주는 타 사용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도 포함하는 의미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SNS에 업로드된 특정 컨텐츠를 나타내는 경우 해당 컨텐츠에 댓글을 입력한 타 사용자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에 대한 컨텍스트는 시간의 흐름,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위치(예를 들어 지역), 주위 조명 등 다양한 주변 환경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컨텐츠 속성이란 컨텐츠의 구현 예에 따라 컨텐츠를 구별할 수 있는 특징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영상 컨텐츠인 경우, 컨텐츠 속성은 컨텐츠 생성, 유통, 소비 과정에서 발생되는 컨텐츠 내용, 컨텐츠 생성 시간, 업데이트 시간, 방송 시간, 재생 시간, 출연자 등 컨텐츠 자체가 갖는 다른 컨텐츠와 구별 가능한 다양한 특징이 될 수 있다. 또는, 컨텐츠가 SNS 컨텐츠인 경우, 컨텐츠 속성은 가능한 서비스 종류(예를 들어, 사진 업데이트 서비스), 회원수 등이 될 수 있다. 또는 컨텐츠가 방송 컨텐츠인 경우, 컨텐츠 속성은 제공 가능한 컨텐츠 종류 및 내용, 채널 시청률 등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큐빅 GUI의 크기 및 배열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은 기설정되어 있거나, 실시간으로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사진, 음악, 영화, TV쇼와 같은 컨텐츠의 경우 사용자 행동 패턴에 기초하여 크기 및 배열 상태를 결정하고, SNS, 교육 관련 컨텐츠의 경우 컨텐츠의 경우 컨텐츠 특성에 기초하여 크기 및 배열 상태를 결정하도록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기준이 설정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실시간으로 판단될 수 있다
한편, 큐빅 GUI의 크기는 여섯 개의 면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큐빅 GUI의 크기가 상이하다 함은 적어도 하나의 면의 크기 즉, 가로의 길이 및 세로의 길이 중 하나가 상이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정면으로 보이는 면의 크기가 상이한 경우도 큐빅 GUI의 크기가 상이한 경우가 될 수 있지만, 사용자에게 비스듬하게 보이는 옆면의 크기가 상이한 경우도 큐빅 GUI의 크기가 상이한 경우가 될 수 있다.
또한, 큐빅 GUI의 배열 상태는 화면의 X-Y축 상에서의 큐빅 GUI의 위치 및 화면의 Z 축 상에서의 큐빅 GUI의 뎁스(dept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큐빅 GUI의 배열 상태가 상이하다 함은 화면의 X-Y축 상에서의 큐빅 GUI의 위치 좌표가 상이하거나, 화면의 Z 축 상에서의 큐빅 GUI의 위치 좌표가 상이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뎁스(depth)란 시청자의 시선 방향인 앞뒤 방향의 위치에 해당되는 깊이감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큐빅 GUI의 화면 X-Y축 상에서 위치가 동일한 경우에도 Z축 상의 뎁스 위치가 다르다면 배열 상태가 상이한 경우가 될 수 있다. Z축 상의 뎁스란 +Z축 방향으로 뎁스가 변경되는 경우와 -Z축 방향으로 뎁스가 변경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본 명세서에는 +Z축 방향으로 뎁스가 변경되는 경우를 뎁스가 감소한다고 표현하고, -Z축 방향으로 뎁스가 변경되는 경우를 뎁스가 증가한다고 표현하도록 한다. 즉, 뎁스가 감소하거나 뎁스가 작다는 표현은 사용자에게 더 가까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의미하며, 뎁스가 증가하거나 뎁스가 크다는 표현은 사용자에게 더 멀리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뎁스는 2D 영상의 경우 큐빅 GUI에 대한 원근감 처리로 표현될 수 있지만 3D 영상의 경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사이의 시차(disparity)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컨텍스트 및 컨텐츠의 속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컨텐츠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컨텐츠를 나타내는 큐빅 GUI의 크기 및 배열 상태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복수의 큐빅 GUI가 각각 방송 채널을 나타내는 경우, 제어부(290)는 각 방송 채널에 대한 사용자 컨텍스트인 즐겨찾기 정도에 따라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방송 채널을 나타내는 큐빅 GUI를 화면 중앙에 가장 큰 크기로 디스플레이하고,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방송 채널을 나타내는 큐빅 GUI를 화면 우측 하부 영역에 가장 작인 크기로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복수의 큐빅 GUI가 각각 영화 컨텐츠를 나타내는 경우, 제어부(290)는 각 영화 컨텐츠에 대한 속성인 업데이트 시간에 따라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된 영화 컨텐츠를 나타내는 큐빅 GUI의 뎁스를 가장 작게 하여 사용자 가까이에 디스플레이하고, 가장 오래전에 업데이트된 영화 컨텐츠를 나타내는 큐빅 GUI의 뎁스를 가장 크게 하여 사용자 멀리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큐빅 GUI의 디스플레이 위치 및 해당 위치에서의 뎁스 및 크기가 기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컨텐츠의 우선 순위에 따라 컨텐츠 정보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지만, 컨텐츠의 우선 순위에 따라 컨텐츠를 나타내는 큐빅 GUI의 위치, 크기 뎁스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화면 중앙에 가장 큰 크기를 갖고 가장 작은 뎁스를 갖도록 디스플레이된 큐빅 GUI의 우선 순위가 변경된 경우 해당 큐빅 GUI의 위치, 뎁스 및 크기를 유지한 채로 해당 컨텐츠의 정보를 다른 큐빅 GUI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지만, 해당 큐빅 GUI의 크기, 위치 및 뎁스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큐빅 GUI가 현재 나타내는 컨텐츠 타입에 따라 큐빅 GUI의 크기 및 배열 상태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90)는 복수의 큐빅 GUI가 컨텐츠 제공자 정보를 나타내는 상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복수의 큐빅 GUI가 해당 컨텐츠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컨텐츠 정보를 나타내고, 컨텐츠 제공자의 우선 순위와 컨텐츠의 우선 순위에 따라 큐빅 GUI의 크기, 위치 및 뎁스 중 적어도 하나만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큐빅 GUI의 크기 및 위치는 컨텐츠 제공자의 우선 순위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하고, 뎁스는 컨텐츠의 우선 순위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큐빅 GUI에 대응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큐빅 GUI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 중 적어도 일 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큐빅 GUI가 방송 컨텐츠에 대응되는 큐빅 GUI인 경우, 제어부(290)는 큐빅 GUI의 일 면에 방송 채널 명, 방송 채널 번호, 프로그램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복수의 큐빅 GUI 상에 하이라이트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하여 복수의 큐빅 GUI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90)는 복수의 룸(540,550,560) 중 중앙 영역에 배치된 제2 룸(550)에서만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290)는 중앙 영역에 배치된 제2 룸(550)에 포함된 복수의 큐빅 GUI(551 내지 559) 중 하나에 하이라이트를 표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룸에 포함된 큐빅 GUI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이용하여 다른 룸을 중앙 영역으로 이동시킨 후, 중앙 영역으로 이동된 룸에 포함된 복수의 큐빅 GUI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복수의 큐빅 GUI 중 하나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경우, 제어부(290)는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큐빅 GUI를 다른 큐빅 GUI와 상이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90)는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큐빅 GUI에 방송 채널 번호, 방송 프로그램명, 방송 프로그램의 썸네일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하이라이트가 표시되지 않은 큐빅 GUI에는 방송 채널 명만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하이라이트를 이동하여 복수의 큐빅 GUI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포인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큐빅 GUI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가 선택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290)는 선택된 복수의 아이콘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입력된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은 리모컨에 구비된 메인 스크린(520), 제1 서브 스크린(510) 및 제2 서브 스크린(530)과 각각 대응되는 제1 내지 제3 버튼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일 수 있다. 특히, 리모컨에 구비된 제1 내지 제3 버튼은 메인 스크린(520), 제1 서브 스크린(510) 및 제2 서브 스크린(530)과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룸(550)에 포함된 복수의 큐빅 GUI 중 가운데 위치한 제14 큐빅 GUI(555)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되는 동안 리모컨에 구비된 제1 내지 제3 버튼 중 제3 버튼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4 큐빅 GUI(555)에 대응되는 방송 컨텐츠를 제3 버튼에 대응되는 제2 서브 스크린(53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하이라이트 표시를 제16 큐빅 GUI(557)에 이동시킨 후, 리모컨에 구비된 제1 내지 제3 버튼 중 제1 버튼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6 큐빅 GUI(557)에 대응되는 방송 컨텐츠를 제1 버튼에 대응되는 제1 서브 스크린(51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를 통해 입력된 룸 회전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90)는 복수의 룸을 회전시켜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를 통해 룸을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90)는 복수의 룸(540,550,560)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룸(540)을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제거하고, 제3 룸(560)을 디스플레이 화면의 중앙으로 이동시키며, 제2 룸(550)을 제3 룸(560)의 좌측에 디스플레이하며, 제4 룸(570)을 생성하여 제3 룸(560)의 우측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하이라이트 표시를 제22 큐빅 GUI(564)에 이동시킨 후, 리모컨에 구비된 제1 내지 제3 버튼 중 제2 버튼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2 큐빅 GUI(564)에 대응되는 VOD 컨텐츠를 제2 버튼에 대응되는 메인 스크린(52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모컨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컨텐츠를 선택하여 복수의 스크린에 각각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복수의 스크린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복수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될 컨텐츠를 선택할 동안 자신이 선택할 컨텐츠를 계속해서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편리하게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스크린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스크린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음성 명령을 이용하여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스크린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큐빅 GUI 중 하나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되는 동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의 마이크(282)를 통해 "메인"이라는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면, 제어부(290)는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큐빅 GUI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메인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8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스크린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음성은 다양한 실시예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브 스크린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음성은 "제1 서브", "좌측", "왼쪽" 등과 같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는 마우스, 포인팅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모션에 의해 제어되는 포인터를 이용하여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스크린을 선택할 수 있다. 복수의 큐빅 GUI 중 하나에 포인터가 위치하는 동안 사용자 선택 명령(예를 들어, 마우스의 클릭, 사용자 그랩 모션 등)이 입력된 후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로 이동하는 드래그 명령(예를 들어, 마우스의 클릭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 사용자가 그랩 모션을 유지하면서 이동)이 입력되면, 제어부(290)는 포인터가 위치한 큐빅 GUI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드래그 명령을 통해 이동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90)는 다양한 방법으로 복수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될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복수의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290)는 복수의 스크린 중 메인 스크린을 축소시키고, 메인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복수의 썸네일 화면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썸네일 화면을 이용하여 메인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될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복수의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되고,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 영역에 복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아이콘을 제거하고, 복수의 스크린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단 영역에 메인 스크린(520) 및 복수의 서브 스크린(510,530)이 디스플레이되고, 디스플레이 화면의 하단 영역에 복수의 룸(540,550,560)에 복수의 큐빅 GUI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를 통해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예를 들어, 리모컨의 기설정된 버튼이 선택되는 명령 등)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큐빅 GUI를 점점 흐리게 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제거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290)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메인 스크린(520) 및 복수의 서브 스크린(510,530)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 스크린(520) 및 복수의 서브 스크린(510,530)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방법에 의해 메인 스크린(520) 및 복수의 서브 스크린(510,530)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 화면 하단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큐빅 GUI를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제거하고, 이와 동시에 메인 스크린(520) 및 복수의 서브 스크린(510,530)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 9 내지 도 13과 같은 과정을 거치는 것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방법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복수의 스크린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최초로 온 된 경우,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복수의 스크린만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에 복수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9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90)는 영상 수신부(21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컨텐츠를 복수의 스크린에 각각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90)는 제1 튜너를 통해 수신된 제1 방송 컨텐츠를 제1 서브 스크린(5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제2 튜너를 통해 수신된 제2 방송 컨텐츠를 제2 서브 스크린(53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외부의 서버를 통해 수신된 제1 VOD 컨텐츠를 메인 스크린(5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
또한, 제어부(29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의 중앙 영역에 메인 스크린(520)을 디스플레이하고, 메인 스크린(52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제1 서브 스크린(510) 및 제2 서브 스크린(54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30)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스크린을 메인 스크린(520)으로 설정하고, 메인 스크린의 오디오를 오디오 출력부(2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30)에서 메인 스크린의 좌측 및 우측에 사용자가 탐색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제1 서브 스크린(510) 및 제2 서브 스크린(53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서브 스크린(510) 및 제2 서브 스크린(530)의 오디오들은 출력되지 않거나 기설정된 값 이하의 출력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스크린(520)의 좌측 및 우측에 사다리꼴 형태로 제1 서브 스크린(510) 및 제2 서브 스크린(53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다리꼴 형태로 디스플레이된 제1 서브 스크린(510) 및 제2 서브 스크린(530)은 메인 스크린(520)을 기준으로 3차원 공간에 입체적으로 배치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3차원 공간상에 복수의 스크린을 제어할 수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29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브 스크린(510) 및 제2 서브 스크린(520) 전체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일부 화면만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메인 스크린(520) 및 복수의 서브 스크린(510,530)을 이동하여 메인 스크린(520) 및 복수의 서브 스크린(510,530)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를 통해 사용자 인터렉션은 방향성을 가지는 사용자 인터렉션 및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를 직접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방향성을 가지는 사용자 인터렉션으로서, 사용자 머리 회전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복수의 스크린을 이동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부(230)에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스크린(510) 및 복수의 서브 스크린(520,530)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촬영부(281)를 통해 사용자의 머리가 회전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머리 회전을 감지하는 방법은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촬영부(281)가 사용자가 포함된 영역을 촬영하는 동안, 제어부(290)는 촬영부(281)에 의해 촬영된 영상 중 사용자 얼굴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90)는 사용자 얼굴 중 도 2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특징점(f1 내지 f6)을 검출한다. 그리고, 제어부(290)는 검출된 특징점(f1 내지 f6)을 이용하여 도 2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도형(2410)을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290)는 도 2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도형(2410)의 변화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 얼굴의 회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90)는 도 2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도형(2410)의 모양 및 크기의 변화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머리 회전 방향 및 각도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의 머리 회전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감지된 사용자의 머리 회전의 방향에 따라 메인 스크린(520), 제1 서브 스크린(510) 및 제2 서브 스크린(530)을 이동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30)에 복수의 스크린(510,520,530)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의 카메라(281)를 통해 사용자의 머리가 왼쪽방향으로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스크린(520), 제1 서브 스크린(510) 및 제2 서브 스크린(530)을 오른쪽으로 이동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9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왼쪽에 위치하는 제1 서브 스크린(510)이 디스플레이 화면을 차지하는 비율을 증가시키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90)는 감지된 사용자의 머리 회전의 각도에 따라 메인 스크린(510), 제1 서브 스크린(520) 및 제2 서브 스크린(530)의 이동량을 판단하여 메인 스크린(510), 제1 서브 스크린(520) 및 제2 서브 스크린(530)을 실시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머리가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사용자의 머리 회전 각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29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왼쪽에 위치하는 제1 서브 스크린(510)이 디스플레이 화면을 가장 많이 차지하도록 디스플레이하며, 제1 서브 스크린(510)을 새로운 메인 스크린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서브 스크린(510)이 새로운 메인 스크린으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290)는 새롭게 메인 스크린으로 설정된 제1 서브 스크린(510)의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오디오 출력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의 머리가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메인 스크린(520), 제1 서브 스크린(510) 및 제2 서브 스크린(530)을 왼쪽으로 이동하여 제2 서브 스크린(530)이 디스플레이 화면을 차지하는 비율을 증가시키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복수의 스크린 중 메인 스크린의 크기를 기설정된 크기로 축소시키고, 복수의 컨텐츠와 대응되는 복수의 썸네일 화면을 축소된 메인 스크린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방향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브 스크린(510) 및 기존의 메인 스크린(52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리모컨에 구비된 OJ 센서에 대한 상하 방향의 러빙 인터렉션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메인 스크린으로 설정된 제1 서브 스크린(1610)의 크기를 기설정된 크기로 축소시키고, 다른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복수의 썸네일 화면(1620 내지 1650)을 축소된 제1 서브 스크린(1610)의 상하 방향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90)는 축소된 제1 서브 스크린(1610)에 하이라이트를 디스플레이하며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스크린의 주변에는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스크린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채널명, 채널 번호, 프로그램 이름 등)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를 통해 상하 방향의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감지된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썸네일 화면을 이동하여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썸네일 화면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채널 "11-2"에 대응되는 썸네일 화면(1610)에 하이라이트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를 통해 위쪽 방향의 사용자 인터렉션이 4번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썸네일을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방송 채널 "15-1"에 대응되는 썸네일 화면(1710)에 하이라이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썸네일 화면 중 하나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되는 동안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90)는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썸네일 화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확대하여 메인 스크린에 재생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채널 "15-1"에 대응되는 썸네일 화면(1710)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되는 동안, 리모컨의 Enter 버튼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290)는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썸네일 화면에 대응되는 컨텐츠인 방송 채널 "15-1"의 프로그램을 확대하여,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메인 스크린으로 설정된 제1 서브 스크린(510)에 재생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스크롤 인터렉션을 통해 메인 스크린에 재생될 수 있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복수의 썸네일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더욱 흥미롭고 직관적으로 메인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스크롤 인터렉션을 통해 메인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될 컨텐츠로 방송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스크롤 인터렉션을 통해 메인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될 다른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롤 인터렉션을 통해 메인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될 컨텐츠로 VOD 컨텐츠, 사진 컨텐츠, 음악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컨텐츠, 웹 페이지 컨텐츠, SNS 컨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복수의 아이콘만이 디스플레이되고,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가 선택된 후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290)는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단 영역에 복수의 스크린(510,520,530)이 디스플레이되고, 디스플레이 화면의 하단 영역에 복수의 큐빅 GUI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예를 들어, 리모컨에 구비된 기설정된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 등)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단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스크린(510,520,530)을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제거하고,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의 하단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룸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룸(540 내지 58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예를 들어, 리모컨에 구비된 메뉴 진입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 등)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20과 같이, 복수의 룸(540 내지 580) 중 가운데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제2 룸(550)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9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룸(550)에 복수의 큐빅 GUI(551 내지 559)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큐빅 GUI는 각각 방송 채널에 대응되며, 큐빅 GUI의 일면에는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CP)인 방송 채널명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러나, 큐빅 GUI가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것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컨텐츠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큐빅 GUI는 VOD 컨텐츠, SNS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컨텐츠, 음악 컨텐츠, 사진 컨텐츠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큐빅 GUI는 하이라이트가 표시되지 않은 큐빅 GUI와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9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큐빅 GUI(555)는 썸네일 정보 및 채널 명을 함께 디스플레이하는데 반해, 하이라이트가 표시되지 않은 큐빅 GUI(551-554,556-559)는 채널명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큐빅 GUI에 대응되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컨텍스트 및 컨텐츠 속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큐빅 GUI의 크기 및 배열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컨텍스트란 컨텐츠와 관련된 사용 이력, 사용 상태, 사용 환경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컨텐츠 속성이란 컨텐츠의 컨텐츠 내용, 컨텐츠 생성 시간, 업데이트 시간, 방송 시간, 재생 시간, 출연자 등 컨텐츠 자체가 갖는 다른 컨텐츠와 구별 가능한 다양한 특징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90)는 사용자가 자주 시청하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큐빅 GUI를 다른 큐빅 GUI보다 크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가운데 영역에 배치할 수 있으며, 뎁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큐빅 GUI를 다른 큐빅 GUI보다 크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가운데 영역에 배치할 수 있으며, 뎁스를 작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90)는 방송 채널 중 사용자가 자주 시청하는 채널인 "FOX CRIME" 채널에 대응되는 큐빅 GUI(555)를 가장 크고, 가운데에 위치하며, 뎁스가 작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큐빅 GUI 중 하나에 하이라이트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기설정된 인터렉션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복수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고,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큐빅 GUI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에 재생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FOX CRIME" 채널에 대응되는 큐빅 GUI(555)에 하이라이트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리모컨에 구비된 제2 서브 스크린과 대응되는 제3 버튼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메인 스크린(2120) 및 복수의 서브 스크린(2110,2130)을 디스플레이하고,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스크린(2120) 및 복수의 서브 스크린(2110,2130)을 왼쪽으로 이동시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서브 스크린(2130)이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0)는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채널에 대응되는 컨텐츠인 "FOX CRIME"에서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을 제2 서브 스크린(2130)에서 재생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복수의 아이콘만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리모컨에 구비된 기설정된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에 의해, 사용자는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에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아이콘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스크린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으로 리모컨에 구비된 기설정된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사용자 인터렉션에 의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스크린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90)는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의 마이크(282)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예를 들어, "메인에 디스플레이 해", "가운데 디스플레이해 줘" 등)을 이용하여 아이콘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스크린을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UI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에 디스플레이될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UI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복수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고, 제2 영역에 복수의 그룹으로 카테고리화된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S231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단 영역의 가운데 메인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고, 메인 스크린의 좌측 및 우측에 제1 서브 스크린 및 제2 서브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하단 영역에 카테고리화된 그룹에 따라 기 지정된 룸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다면체 형태의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아이콘은 정육면체 형태의 큐빅 GUI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한다(S232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에 하이라이트를 위치시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30). 이때,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은 리모컨에 구비된 복수의 스크린에 대응되는 버튼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스크린에 대응되는 사용자 음성을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렉션, 마우스, 핸드 모션, 포인팅 디바이스 등을 이용하여 포인터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렉션 등을 이용하여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스크린을 선택할 수 있다.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된 경우(S2330-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에 디스플레이한다(S2340). 예를 들어, 복수의 큐빅 아이콘 중 하나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되는 동안 리모컨에 구비된 복수의 스크린과 각각 대응되는 제1 내지 제3 버튼 중 하나가 선택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아이콘과 대응되는 컨텐츠를 복수의 스크린 중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스크린에서 재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는 음성 명령을 이용하여 선택된 큐빅 GUI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큐빅 GUI 중 제1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제1 큐빅 GUI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되는 동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중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메인"이라는 사용자 음성이 입력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인 스크린에 제1 큐빅 GUI에 대응되는 제1 방송 채널의 방송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는 마우스, 포인팅 디바이스, 핸드 모션 등에 의해 제어되는 포인터를 이용하여 선택된 큐빅 GUI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큐빅 GUI 중 제2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제2 큐빅 GUI에 포인터가 위치하는 동안 마우스의 클릭 후 제2 큐빅 GUI를 제1 서브 스크린에 드래그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서브 스크린에 제2 큐빅 GUI에 대응되는 제2 방송 채널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의 기설정된 버튼을 이용하여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스크린을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복수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고, 제2 영역에 복수의 그룹으로 카테고리화된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S241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단 영역의 가운데 메인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고, 메인 스크린의 좌측 및 우측에 제1 서브 스크린 및 제2 서브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하단 영역에 카테고리화된 그룹에 따라 기 지정된 룸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다면체 형태의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아이콘은 정육면체 형태의 큐빅 GUI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에 하이라이트를 표시한다(S242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리모컨에 구비된 사방향 키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렉션 또는 OJ 센서를 문지르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이용하여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에 하이라이트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리모컨의 기설정된 버튼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430). 이때, 리모컨의 기설정된 버튼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스크린과 각각 대응되며, 복수의 스크린의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리모컨의 기설정된 버튼이 선택된 경우(S2430-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이라이트 표시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한다(S2440). 구체적으로, 복수의 큐빅 GUI 중 제1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제1 큐빅 GUI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되는 동안 제1 버튼이 선택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버튼에 대응되는 메인 스크린에 제1 큐빅 GUI에 대응되는 제1 방송 채널의 방송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복수의 큐빅 GUI 중 제2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제2 큐빅 GUI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되는 동안 제2 버튼이 선택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버튼에 대응되는 제1 서브 스크린에 제2 큐빅 GUI에 대응되는 제2 방송 채널의 방송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복수의 큐빅 GUI 중 제1 SNS 컨텐츠에 대응되는 제3 큐빅 GUI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되는 동안 제3 버튼이 선택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3 버튼에 대응되는 제2 서브 스크린에 제3 큐빅 GUI에 대응되는 SNS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사용자는 더욱 용이하고 직관적으로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자신이 원하는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210: 영상 수신부 220: 통신부
110,230: 디스플레이부 240: 오디오 출력부
250: 저장부 260: 오디오 처리부
270: 비디오 처리부 120,28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90: 제어부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복수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 영역에 복수의 그룹으로 카테고리화된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interaction)이 감지되면,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에 재생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메인 스크린 및, 상기 메인 스크린의 좌측 및 우측에 사다리꼴 형태의 제1 서브 스크린 및 제2 서브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상기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에 재생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리모컨에 구비된 상기 메인 스크린, 상기 제1 서브 스크린 및 상기 제2 서브 스크린과 각각 대응되는 제1 내지 제3 버튼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제1 내지 제3 버튼 중 하나가 선택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아이콘과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스크린에서 재생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에 구비된 제1 내지 제3 버튼은 상기 메인 스크린, 상기 제1 서브 스크린 및 상기 제2 버스 스크린의 형상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아이콘을 그룹에 따라 상이한 공간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복수의 아이콘은 각각 큐빅 형태의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기설정된 제1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복수의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제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복수의 스크린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스크린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기설정된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스크린 중 상기 메인 스크린의 크기를 축소하고, 상기 축소된 메인 스크린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방향으로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복수의 썸네일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썸네일 화면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썸네일 화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메인 스크린에 재생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릍 통해 기설정된 제3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복수의 스크린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제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복수의 아이콘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대된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가 선택된 상태에서 리모컨에 구비된 상기 메인 스크린, 상기 제1 서브 스크린 및 상기 제2 서브 스크린과 각각 대응되는 제1 내지 제3 버튼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확대된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제거하고, 상기 복수의 스크린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선택된 아이콘과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스크린에서 재생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디스플레이 장치의 UI 제공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복수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 영역에 복수의 그룹으로 카테고리화된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가 선택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interaction)이 감지되면,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에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I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메인 스크린 및, 상기 메인 스크린의 좌측 및 우측에 사다리꼴 형태의 제1 서브 스크린 및 제2 서브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상기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에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UI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리모컨에 구비된 상기 메인 스크린, 상기 제1 서브 스크린 및 상기 제2 서브 스크린과 각각 대응되는 제1 내지 제3 버튼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인 경우,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제1 내지 제3 버튼 중 하나가 선택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아이콘과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스크린에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UI 제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에 구비된 제1 내지 제3 버튼은 상기 메인 스크린, 상기 제1 서브 스크린 및 상기 제2 버스 스크린의 형상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아이콘을 그룹에 따라 상이한 공간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복수의 아이콘은 각각 큐빅 형태의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 제공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제1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복수의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제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복수의 스크린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I 제공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크린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기설정된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스크린 중 상기 메인 스크린의 크기를 축소하고, 상기 축소된 메인 스크린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방향으로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복수의 썸네일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썸네일 화면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썸네일 화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메인 스크린에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I 제공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제3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복수의 스크린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제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복수의 아이콘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I 제공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된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가 선택된 상태에서 리모컨에 구비된 상기 메인 스크린, 상기 제1 서브 스크린 및 상기 제2 서브 스크린과 각각 대응되는 제1 내지 제3 버튼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확대된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제거하고, 상기 복수의 스크린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선택된 아이콘과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스크린에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I 제공 방법.



KR1020130053433A 2013-05-10 2013-05-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 KR101803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433A KR101803311B1 (ko) 2013-05-10 2013-05-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
CN201480026459.7A CN105191328A (zh) 2013-05-10 2014-05-12 显示装置和向显示装置提供用户接口的方法
JP2016512846A JP2016528575A (ja) 2013-05-10 2014-05-12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ui提供方法
EP14795353.3A EP2962458A4 (en) 2013-05-10 2014-05-12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THEREFOR
US14/275,440 US20140333422A1 (en) 2013-05-10 2014-05-12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thereof
PCT/KR2014/004223 WO2014182140A1 (en) 2013-05-10 2014-05-12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433A KR101803311B1 (ko) 2013-05-10 2013-05-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354A true KR20140133354A (ko) 2014-11-19
KR101803311B1 KR101803311B1 (ko) 2018-01-10

Family

ID=51864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433A KR101803311B1 (ko) 2013-05-10 2013-05-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333422A1 (ko)
EP (1) EP2962458A4 (ko)
JP (1) JP2016528575A (ko)
KR (1) KR101803311B1 (ko)
CN (1) CN105191328A (ko)
WO (1) WO201418214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2124A1 (ko) * 2015-05-14 201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6182133A1 (ko) * 2015-05-14 201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0846A (ko) * 2014-11-20 2016-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WO2017065605A1 (en) 2015-10-12 2017-04-20 Itrec B.V. A top drive well drilling installation
US10080051B1 (en) * 2017-10-25 2018-09-18 TCL Research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for immersive information presentation
CN110858224A (zh) * 2018-08-15 2020-03-0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数字内容管理系统及方法、电子装置
US11301907B2 (en) 2018-11-14 2022-04-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ynamic image service
CN109582266A (zh) * 2018-11-30 2019-04-0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屏操作方法及终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0733A (en) * 1996-04-30 1999-03-09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windows of an operating system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workspace for a computer system
US6211921B1 (en) * 1996-12-20 2001-04-03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television
JP2000112976A (ja) * 1998-10-05 2000-04-21 Hitachi Ltd マルチメディア情報機器の情報表示方法、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3826604B2 (ja) * 1998-10-16 2006-09-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プレゼンテーション資料のシナリオ生成装置およびシナリオ生成方法
US6456334B1 (en) * 1999-06-29 2002-09-24 Ati International Srl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video in a data processing system
WO2001061996A1 (en) * 2000-02-16 2001-08-23 Isurftv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r changing the appearance of a three-dimensional element
US6918132B2 (en) * 2001-06-14 2005-07-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ynamic interface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reduced-scale broadcasts
US20030142136A1 (en) * 2001-11-26 2003-07-31 Carter Braxton Page Three dimens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JP4560410B2 (ja) * 2002-12-03 2010-10-13 富士通株式会社 デスクトップ表示方法,デスクトップ表示装置,デスクトップ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同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3945445B2 (ja) * 2003-04-21 2007-07-1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
JP4289025B2 (ja) * 2003-05-28 2009-07-01 ソニー株式会社 機器制御処理装置、表示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631763B1 (ko) * 2004-07-26 2006-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US7178111B2 (en) * 2004-08-03 2007-02-13 Microsoft Corporation Multi-planar three-dimensional user interface
KR100755684B1 (ko) * 2004-08-07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KR100643276B1 (ko) * 2004-08-07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JP4318047B2 (ja) * 2005-06-06 2009-08-19 ソニー株式会社 3次元オブジェクト表示装置、3次元オブジェクト切替表示方法及び3次元オブジェクト表示プログラム
US20070011617A1 (en) * 2005-07-06 2007-01-11 Mitsunori Akagawa Three-dimens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JP4982065B2 (ja) * 2005-09-26 2012-07-25 株式会社東芝 映像コンテンツ表示システム、映像コンテンツ表示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774940B2 (ja) * 2005-11-14 2011-09-2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表示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8549442B2 (en) * 2005-12-12 2013-10-0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Voice and video control of interactive electronically simulated environment
US7552399B2 (en) * 2005-12-27 2009-06-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xtensible icons with multiple drop zones
US20070245263A1 (en) * 2006-03-29 2007-10-18 Alltel Communications,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wireless device
JP2007324636A (ja) * 2006-05-30 2007-1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放送受信装置
KR100817315B1 (ko) * 2006-09-25 2008-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갖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 및그의 pip 화면 제어 방법
US20090089692A1 (en) * 2007-09-28 2009-04-02 Morris Robert P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Information Relating To A Plurality Of Applications Using A Three Dimensional Object
US20100192100A1 (en) * 2009-01-23 2010-07-29 Compal Electronics, Inc. Method for operating a space menu and electronic device with operating space menu
JP5515507B2 (ja) * 2009-08-18 2014-06-11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US8271905B2 (en) * 2009-09-15 2012-09-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formation presentation in virtual 3D
WO2011059157A1 (en) * 2009-11-16 2011-05-19 Lg Electronics Inc. Provinding contents information for network television
KR101714781B1 (ko) * 2009-11-17 2017-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츠 재생 방법
KR20110072133A (ko) * 2009-12-22 2011-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츠 표시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11254A (ko) * 2010-07-28 2012-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101753141B1 (ko) * 2010-09-07 2017-07-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컨텐츠 표시방법
KR20120073892A (ko) * 2010-12-27 2012-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메뉴 표시방법
EP3527121B1 (en) * 2011-02-09 2023-08-23 Apple Inc. Gesture detection in a 3d mapping environment
US8656430B2 (en) * 2011-07-14 2014-02-18 Vixs Systems, Inc. Processing system with electronic program guide authoring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2124A1 (ko) * 2015-05-14 201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6182133A1 (ko) * 2015-05-14 201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134043A (ko) * 2015-05-14 2016-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649712B2 (en) 2015-05-14 2020-05-12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0860273B2 (en) 2015-05-14 2020-12-08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33422A1 (en) 2014-11-13
KR101803311B1 (ko) 2018-01-10
EP2962458A1 (en) 2016-01-06
EP2962458A4 (en) 2016-10-26
CN105191328A (zh) 2015-12-23
WO2014182140A1 (en) 2014-11-13
JP2016528575A (ja) 2016-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331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
US9247303B2 (en) Display apparatus and user interface screen providing method thereof
KR2014013335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화면 제공 방법
US10379698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79929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40337792A1 (en) Display apparatus and user interface screen providing method thereof
US10712918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EP3057312A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KR102132390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14013336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화면 제공 방법
KR10176897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제어 방법
US20140164990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4013336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474244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EP3321789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KR201400783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
KR20140081220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106055A (ko)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gui를 제공하는 영상 출력 장치 및 영상 출력 방법
US20140333421A1 (en) Remote control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display apparatus thereof
KR2017012500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화면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