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3336A -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 Google Patents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3336A
KR20140133336A KR1020130053389A KR20130053389A KR20140133336A KR 20140133336 A KR20140133336 A KR 20140133336A KR 1020130053389 A KR1020130053389 A KR 1020130053389A KR 20130053389 A KR20130053389 A KR 20130053389A KR 20140133336 A KR20140133336 A KR 20140133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ister
plate
rack gear
trunk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3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5200B1 (ko
Inventor
조태민
김명성
이덕훈
정성욱
최성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3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200B1/ko
Publication of KR20140133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2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ulsive elements;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ellers used therefor only;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rudders carrying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2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ulsive elements;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ellers used therefor only;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rudders carrying propellers
    • B63H2025/425Propulsive elements, other than jets, substantially used for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only, with means for retracting, or otherwise moving to a rest position outside the water flow around the hul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캐니스터식 스러스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니스터식 스러스터는 선체나 부유구조물의 트렁크 내에서 승강하는 캐니스터; 캐니스터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 및 캐니스터는 상부에 트렁크 내면에 부착된 고정빔에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지지빔을 장착하고, 하부에 트렁크 내면에 부착된 고정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를 장착한다.

Description

캐니스터식 스러스터{CANISTER-TYPE THRUSTER}
본 발명은 캐니스터식 스러스터에 관한 것이다.
드릴쉽(Drillship)과 같은 특수선박은 해상의 작업영역에서 정박할 수 있어야 하므로 조류, 바람, 파고의 영향에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장치(Dynamic Positioning System)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선박은 수중에서 방향을 전환하면서 추진력을 발생시켜 선체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스러스터(Thruster)를 갖추고 있다.
하지만 통상적인 스러스터는 선체 하부(수중)에 설치되기 때문에 고장이 생길 경우 수리나 교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해상에서 고장이 생길 경우 수리를 위해 도크(dock)가 있는 육상까지 선체를 이동시켜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운용상의 난점을 해결하고 해상의 작업영역에서도 스러스터의 수리나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제안된 것이 캐니스터식 스러스터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139545호(2011. 12. 29. 공개) 및 공개특허공보 10-2010-0074397호(2010. 07. 02. 공개)는 캐니스터식 스러스터의 예를 각각 제시하고 있다. 캐니스터식 스러스터는 선체의 갑판으로부터 저면까지 관통된 트렁크 내에 승강하도록 설치된 캐니스터와, 캐니스터의 하부에 설치되며 360도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추진헤드와, 캐니스터 내에서 추진헤드를 동작시키는 구동장치들과, 캐니스터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와, 캐니스터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장치를 갖추고 있다.
캐니스터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는 캐니스터의 측면에 설치되는 랙기어와, 랙기어와 이물림하는 피니언기어 및 이를 구동하는 모터를 갖춘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스러스터는 캐니스터의 승강을 통해 추진헤드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추진헤드를 선체 저면 아래에 위치시키는 운용모드, 선체가 운항할 때 추진헤드를 트렁크 내부로 끌어 올리는 이동모드, 선체 내부의 유지보수영역으로 추진헤드를 끌어올리는 유지보수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크레인 등을 이용해 캐니스터와 추진헤드를 함께 상부로 들어올려 선체로부터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통상의 캐니스터식 스러스터는 안내장치와 승강장치가 별도로 마련되어, 설치과정에서 안내장치의 정확한 결합을 유지하면서 승강장치의 랙기어와 피니언기어의 정확한 이물림도 함께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각 부분의 결합공차를 유지하며 정확한 설치를 구현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는 캐니스터는 단면의 폭이 대략 5 ~ 6m에 이르고 높이가 대략 10m에 이르는 거대구조물인 관계로 그 크기와 무게로 인하여 취급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캐니스터는 트렁크 내면에 고정된 걸림부재(소켓이라고도 함)의 홈에 걸림로드를 외측으로 돌출시켜 걸리도록 한다. 예컨대, 이러한 캐니스터가 드릴쉽 1척 당 6개 이상 설치될 경우, 캐니스트를 고정시키기 위해 필요한 장치 및 운용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된다. 반면, 실제 캐니스터를 고정시키는 작업은 1년에 대략 2~3회 정도에 불과하다. 즉, 캐니스터의 구동특성상, 한번 고정되면 수개월 동안 계속 작동하므로, 이러한 고정(Locking) 작업에 값비싼 자동식 고정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비용 대비 운용 효율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139545호(2011. 12. 29.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074397호(2010. 07. 02.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캐니스터의 원활한 승강을 구현할 수 있는 캐니스터식 스러스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 캐니스터를 수동식으로 간편하게 고정하여 캐니스터 고정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운용 효율성을 높이는 캐니스터식 스러스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나 부유구조물의 트렁크 내에서 승강하는 캐니스터; 상기 캐니스터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 및 상기 캐니스터는 상부에 상기 트렁크 내면에 부착된 고정빔에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지지빔을 장착하고, 하부에 상기 트렁크 내면에 부착된 고정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를 장착한 캐니스터식 스러스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빔과 상기 고정빔은 각각 상부플레이트, 하부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일체형의 ‘H’빔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가 가로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세로방향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캐니스터 및 상기 트렁크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평판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양단부는 상기 지지빔과 상기 고정빔의 상부플레이트, 하부플레이트 및 지지플레이트 중 하나 이상에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지지빔과 상기 고정빔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빔과 상기 고정빔의 상부플레이트, 하부플레이트 및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결합면을 갖는 ‘ㄷ’자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결합면은 볼트 체결에 의해 상기 지지빔과 상기 고정빔의 상부플레이트, 하부플레이트 및 지지플레이트 중 하나 이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플레이트는 상기 캐니스터에 용접 및 볼트 체결 중 하나 이상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오목부에 결합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플레이트는 상기 캐니스터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일측에 상기 돌기를 형성하고, 타측이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결합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빔과 상기 고정빔은 미리 설정된 위치에 동일한 개수로 마련되며, 상기 지지빔은 상기 캐니스터 상부 주변부에 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미리 설정된 위치에 동일한 개수로 마련되며, 상기 결합플레이트는 상기 캐니스터 하부 주변부에 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캐니스터는 외면에 승강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랙기어를 마련하고,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트렁크에 설치되어 상기 랙기어와 이물림하는 피니언기어 및 이를 구동하는 구동원을 갖춘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캐니스터의 승강을 안내하며, 상기 랙기어와 같은 선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승강구동부의 상측 및 하측에 둘 이상 설치된 안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는 캐니스터에 설치되어 상기 트렁크의 내면에 상기 캐니스터의 승강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랙기어와 이물림하는 피니언기어 및 이를 구동하는 구동원을 갖춘 승강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캐니스터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랙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안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장치는 상기 트렁크 또는 상기 캐니스터에 고정되는 지지브래킷과, 상기 지지브래킷의 양측에 마련되며, 상기 랙기어의 치부와 접하여 승강을 안내하는 치면안내부와, 상기 지지브래킷의 전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랙기어의 측면과 접하여 승강을 안내하는 측면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랙기어는 그 폭 방향 양측에 상기 피니언기어와 이물림하는 치부가 대칭을 이루도록 마련되고, 상기 치면안내부는 상기 랙기어 양측 치부를 각각 안내하도록 상기 지지브래킷 양측에 대칭을 이루도록 마련되며, 상기 치면안내부와 상기 측면안내부는 상기 랙기어의 승강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유지하는 진입안내부와, 상기 랙기어와 접하여 승강을 안내하며 분리와 결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딩패드와, 상기 진입안내부와 상기 슬라이딩패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슬라이딩패드와 상기 랙기어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두께조절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니스터식 스러스터는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캐니스터의 원활한 승강을 구현할 수 있다.
또, 캐니스터를 수동식으로 간편하게 고정하여 캐니스터 고정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운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캐니스터식 스러스터의 내부구성 및 선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캐니스터식 스러스터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로, 캐니스터가 운용모드, 이동모드, 유지보수모드의 위치로 각각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캐니스터식 스러스터의 캐니스터와 트렁크의 단면구조 및 캐니스터를 구속하는 구속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캐니스터식 스러스터의 하부안내유닛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캐니스터식 스러스터의 하부안내유닛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트렁크 내의 설정된 위치에 수동식으로 고정된 캐니스터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수동식으로 캐니스터를 트렁크 내의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도 9의 캐니스터 상부에 설치된 지지빔과 트렁크 내면에 부착된 고정빔, 및 지지빔과 고정빔을 연결시키는 연결부재 간의 결합형태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다른 형태를 가진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도 10에 도시한 고정빔과 지지빔을 연결하는 형태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도 10의 지지빔, 고정빔 및 이들을 연결시키는 연결부재의 설치형태를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수동식으로 캐니스터를 트렁크 내의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도 9의 캐니스터 하부에 설치된 결합플레이트과 이에 결합되는 트렁크 내면에 부착된 고정플레이트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결합플레이트의 다른 형태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도 13의 결합플레이트과 이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의 설치형태를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도 1의 캐니스터식 스러스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캐니스터식 스러스터의 내부구성 및 선체 장착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캐니스터식 스러스터(100)는 해상의 작업영역에서 정박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 선박이나 부유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석유나 가스 등 해저 자원의 채취를 위해 시추작업을 하는 드릴쉽(Drillship),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PSO: 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 이러한 캐니스터식 스러스터(100)는 반드시 정박상태에서 위치제어가 필요한 경우 외에도 예인선, 쇄빙선 등과 같은 특수선박이나 통상의 운송선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캐니스터식 스러스터(100)가 적용되는 선박의 선체(1, 또는 부유구조물)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트렁크(2)를 구비한다. 그리고 스러스터(100)는 트렁크(2)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니스터(110), 캐니스터(110)의 하부에 설치된 추진헤드(130), 캐니스터(11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장치(140), 캐니스터(110)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장치를 포함한다.
캐니스터(110)는 도 1, 도 2,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부 및 측면이 수밀 가능한 사각의 상자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선체(1)의 트렁크(2)는 캐니스터보다 약간 큰 사각통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는 하나의 예로써 캐니스터(110)와 트렁크(2)의 단면형상이 사각형인 경우를 제시하지만, 캐니스터(110)와 트렁크(2)는 단면형상이 육각, 팔각, 원형 등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캐니스터(1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의 갑판(112,113,114)에 의해 내부가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즉 캐니스터(110)의 아래 쪽으로부터 바닥판(111)과 제1갑판(112) 사이의 하부격실(116), 제1갑판(112)과 제2갑판(113) 사이의 구동기기실(117), 제2갑판(113)과 제3갑판(114) 사이의 보조기기실(118), 제3갑판(114)과 상판(115) 사이의 상부격실(119)로 구획될 수 있다. 또 캐니스터(110) 내에는 각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로 길게 사다리(120)가 설치될 수 있다.
구동기기실(117)에는 후술할 추진헤드(130)를 구동하는 구동모터(121)가 설치되고, 보조기기실(118)에는 스러스터(100)의 동작제어를 위한 각종 제어설비와 전원공급설비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는 하나의 예로써 캐니스터(110) 내부의 구성을 제시하는 것일 뿐 캐니스터(110) 내부구성이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캐니스터(110) 내부는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추진헤드(1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펠러(131)와, 프로펠러(131)를 지지하는 유선형 프로펠러지지부(132)와, 프로펠러지지부(13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그 상부의 회전연결부(134)가 캐니스터(110) 바닥판(1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수직지지부(133)와, 추진수류의 안내를 위해 프로펠러(131)의 둘레에 설치된 원통형 슈라우드(135)를 포함할 수 있다.
캐니스터(110)의 하부격실(116)에는 구동모터(121)의 회전을 프로펠러(131) 쪽으로 전달하는 구동축(136)이 설치되고, 추진헤드(130)의 수직지지부(133)와 프로펠러지지부(132) 내에는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구동축(136)과 프로펠러(131)를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들과 기어들이 설치된다. 또 하부격실(116)에는 추진헤드(130)를 360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연결부(134)를 회전시키는 조향모터들(137)이 설치될 수 있다.
추진헤드(130)는 도 1과 도 3과 같이 선체(1)의 저면보다 아래에 위치한 상태에서 구동모터(121)의 동작에 의해 프로펠러(131)가 회전함으로써 추진수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 조향모터들(137)의 동작에 의해 추진헤드(130)가 회전함으로써 추진수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추진수류는 선체(1)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조류나 파도 등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선체(1)가 해상에서 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추진헤드(130)가 선체(1)의 하부에서 회전하는 형태의 추진기를 아지무스 스러스터(azimuth thruster)라고도 한다.
캐니스터(11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장치(14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니스터(110) 외면과 트렁크(2)의 내면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 캐니스터(110) 양측을 대등한 조건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동일한 형태의 승강장치(140)가 캐니스터(11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각 승강장치(140)는 캐니스터(110)의 측면에 고정되며 승강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랙기어(141)와, 트렁크(2)의 내면 쪽에 설치되며 랙기어(141)와 이물림하는 두 피니언기어(142) 및 이들 피니언기어(142)를 구동하는 구동원을 갖춘 승강구동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랙기어(141)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예처럼 캐니스터(110)의 측면 상부에서 하부까지 길게 연장되고, 그 폭 방향 양측에 두 피니언기어(142)와 각각 이물림하는 치부(141b)가 대칭을 이루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 예는 안정적인 승강을 구현하기 위해 두 피니언기어(142)가 랙기어(141)의 양측 치부(141b)에 각각 이물림 하는 구성을 제시하지만, 랙기어(141)의 치부(141b)가 한쪽에만 마련되고 여기에 하나의 피니언기어(142)가 이물림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또 본 실시 예는 랙기어(141)의 바디부(141a)와 그 양측의 치부(141b)가 일체화된 형태를 제시하지만, 랙기어(141)는 바디부(141a)와 치부(141b)가 각각 별도로 제작된 후 상호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다. 또 랙기어(141)는 거대구조물인 캐니스터(110)의 승강을 구현하는 것이어서 길고 큰 부품이므로 복수의 요소로 분할 제작된 후 설치 시 상호 결합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승강구동부(143)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렁크(2)의 상하 중간부분보다 상부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승강구동부(143)가 위치하는 트렁크(2)의 내면 양측에는 이러한 승강구동부(143)의 설치 및 유지보수를 위한 설치공간(3)이 마련될 수 있다. 승강구동부(143)의 구동원은 두 피니언기어(142)의 상반된 감속회전을 구현할 수 있는 감속기어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고, 설치공간(3) 내부의 고정구조물(4)에 고정될 수 있다.
승강장치(140)는 승강구동부(143)의 동작에 의해 랙기어(141)가 승강함으로써 캐니스터(110)의 상하 이동을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캐니스터(110) 하부에 설치된 추진헤드(130)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즉 도 3과 같이 추진헤드(130)를 선체(1) 저면 아래에 위치시켜 선체(1)의 위치제어를 수행하는 운용모드, 도 4와 같이 선체(1)가 운항할 때 저항을 줄이기 위해 추진헤드(130)를 트렁크(2) 내부로 끌어 올리는 이동모드, 도 5와 같이 추진헤드(130)의 유지보수를 위해 추진헤드(130)를 트렁크(2) 상부의 유지보수위치로 끌어 올리는 유지보수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보수모드에서 추진헤드(130)가 위치하는 높이의 트렁크(2) 측면 쪽에는 추진헤드(130)의 유지보수를 위한 유지보수공간(6)이 마련될 수 있다. 유지보수공간(6)은 추진헤드(130)의 부품을 분리한 후 그 내부에 보관하거나 작업자가 추진헤드(130)에 접근하여 유지보수를 수행하기에 충분한 크기일 수 있고, 선박의 진수상태에서 수면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 이러한 캐니스터식 스러스터(100)는 도 3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용모드, 이동모드 등으로 전환된 상태에서 캐니스터(110)를 흔들림 없이 구속할 수 있는 복수의 구속장치(150)를 구비한다.
구속장치(150)는 캐니스터(110) 내에 설치되며 모터나 유압실린더를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동부(151), 구동부(151)의 동작에 의해 캐니스터(110) 외측으로 돌출하여 걸림을 구현하는 걸림로드(152), 구속장치(150)와 대응하는 위치의 트렁크(2) 내면에 고정되며 걸림로드(152)가 진입하여 걸리는 홈을 갖춘 복수의 걸림부재(15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걸림부재(153)는 캐니스터(110)가 운용모드, 이동모드, 유지보수모드로 이동한 상태에서 걸림로드(152)의 걸림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해당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캐니스터(110)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장치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구동부(143) 상측의 트렁크(2) 내면에 설치되어 랙기어(141)를 지지함으로써 랙기어(141)의 승강을 안내하는 상부안내유닛(160)과, 승강구동부(143) 하측의 트렁크(2) 내면에 설치되어 역시 랙기어(141)를 지지함으로써 랙기어(141)의 승강을 안내하는 하부안내유닛(17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는 상부안내유닛(160)과 하부안내유닛(170)이 랙기어(141)의 승강궤적과 일치하는 트렁크(2)의 내면에 장착되어 랙기어(141)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캐니스터(110)의 원활한 승강을 안내한다. 여기서는 일 예로써 상부안내유닛(160)과 하부안내유닛(170)만을 제시하지만, 안내장치는 상부 또는 하부안내유닛(160,170)과 같은 형태로 마련되어 랙기어(141)의 승강궤적 상에 추가로 설치되는 안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안내장치는 승강장치(140)가 위치하는 트렁크(2)의 양측에 대등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하부안내유닛(170)은 도 2, 도 7,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렁크(2) 내면에 고정되는 지지브래킷(171)과, 지지브래킷(171)의 양측에 대칭을 이루도록 마련되어 랙기어(141) 양측의 치부(141b)에 각각 접하는 두 치면안내부(172), 랙기어(141)의 측면(치부가 형성되지 않은 평탄면)과 접하여 랙기어(141)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두 치면안내부(172) 사이의 지지브래킷(171)에 마련된 측면안내부(173)를 포함한다. 하부안내유닛(170)은 두 치면안내부(172)와 측면안내부(173)가 랙기어(141) 주위를 감싸는 ㄷ형태를 유지함으로써 랙기어(141)를 흔들림 없이 지지할 수 있다.
두 치면안내부(172)와 측면안내부(173)의 골격을 이루는 지지브래킷(171)은 복수의 금속판재를 용접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고, 이러한 지지브래킷(171)이 용접에 의해 트렁크(2)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두 치면안내부(172)와 측면안내부(173)는 랙기어(141)와 접하여 승강을 안내하는 슬라이딩패드(172a,173a)를 각각 포함한다. 각 슬라이딩패드(172a,173a)는 마모나 훼손 시 교체가 가능하도록 치면안내부(172)와 측면안내부(173)의 내면 쪽에 볼트체결방식으로 분리와 결합이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 치면안내부(172)의 진입안내부(172c)와 슬라이딩패드(172a) 사이, 측면안내부(173)의 진입안내부(173c)와 슬라이딩패드(173a) 사이에는 설치 시 슬라이딩패드(172a,173a)와 랙기어(141)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두께조절판(172b,173b)이 개재될 수 있다.
상술한 치면안내부(172)와 측면안내부(173)의 진입안내부(172c,173c)는 랙기어(141)가 그 내측으로 원활히 진입할 수 있도록 랙기어(141)의 승강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유지하며, 슬라이딩패드(172a,173a)의 상단과 하단에도 랙기어(141)의 승강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유지하는 경사안내면(172d,173d)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패드(172a,173a)는 랙기어(141)의 치부(141b)를 보호하면서도 원활한 미끄럼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랙기어(141)보다 강성이 약한 비금속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찰저항이 작고 내마모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소재일 수 있다.
상부안내유닛(160)도 하부안내유닛(17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캐니스터(110)가 하강하거나 상승할 때 랙기어(141)가 상부안내유닛(160) 또는 하부안내유닛(170)으로부터 이탈하였다가 다시 진입하는 점을 고려해 경사를 유지하면서 랙기어(141)의 진입을 안내하는 진입안내부(172c, 162c)의 방향이 반대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3의 예처럼 상부안내유닛(160)은 진입안내부(162c)가 하부에 배치되고, 하부안내유닛(170)은 진입안내부(172c)가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안내유닛(160)과 하부안내유닛(170)의 이격거리는 랙기어(141)의 전체길이보다 짧게 마련될 수 있다. 이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하는 랙기어(141)가 상부안내유닛(160)과 승강구동부(143)의 피니언기어(142)에 의해 지지되거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안내유닛(170)과 승강구동부(143)의 피니언기어(142)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 즉 최소 2점 이상의 지지를 유지하도록 하여 랙기어(141)의 안정된 승강을 구현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캐니스터식 스러스터(100)를 선체(1)에 최초 설치하거나 고장수리를 위해 선체(1)로부터 분리하였다가 다시 설치할 때는 추진헤드(130)가 장착된 캐니스터(110)를 크레인 등으로 들어 올린 상태에서 캐니스터(110)가 트렁크(2) 상부의 개구로 진입하도록 캐니스터(110)를 하강시킨다.
이때 캐니스터(110) 양측의 랙기어(141)는 상부안내유닛(160)에 의해 진입이 안내되고, 이어 그 하부에 위치하는 승강구동부(143)의 피니언기어(142)와 이물림을 하게 되면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후에는 승강구동부(143)의 동작에 의해 캐니스터(110)의 진입이 이루어질 수 있고, 하강하는 랙기어(141)가 하부안내유닛(170)으로 자연스럽게 진입하여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는 상부안내유닛(160)과 하부안내유닛(170)이 랙기어(141)와 같은 선상에 배치되어 랙기어(141)를 안내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안내장치와 승강장치가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통상의 캐니스터식 스러스터에 비하여 용이한 설치를 구현할 수 있다.
통상의 캐니스터식 스러스터처럼 안내장치와 승강장치가 별도로 마련되면, 설치과정에서 안내장치의 정확한 결합을 유지하면서 승강장치의 랙기어와 피니언기어의 정확한 이물림도 함께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각 부분의 결합공차를 유지하며 정확한 설치를 구현하기가 매우 어렵다. 캐니스터와 같은 거대구조물은 크기와 무게로 인하여 취급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실시 예의 캐니스터식 스러스터는 상부안내유닛(160) 및 하부안내유닛(170)이 승강장치(140)의 랙기어(141)와 같은 선상에 배치되어 랙기어(141)의 승강을 안내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보다 용이한 설치를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캐니스터(110) 쪽에 안내를 위해 별도로 레일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등 구성을 단순화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을 줄이고 생산성도 높이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자동식으로 캐니스터(110) 외측으로 돌출하는 걸림로드(152)가 트렁크(2) 내면에 고정된 걸림부재(153)의 홈에 걸리도록 하여 캐니스터(110)를 고정시키는 방식을 설명하였으나, 수동식으로 캐니스터(110)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5를 통해 캐니스터(110)를 수동식으로 고정시키는 방식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설명 과정 중 상술한 내용과 중복된 내용은 되도록 생략한다.
도 9을 참조하면, 캐니스터(110)를 트렁크(2) 내의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캐니스터(110) 상부에는 트렁크(2) 내면에 부착된 고정빔(250)에 연결부재(230)에 의해 연결되는 지지빔(210)이 장착되고, 캐니스터(110) 하부에는 트렁크(2) 내면에 부착된 고정플레이트(260)에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220)가 장착된다. 수동식으로 캐니스터(110)를 고정시킬 경우, 캐니스터(110) 하중은 고정빔(250)과 지지빔(210), 고정플레이트(260)와 결합플레이트(220) 간의 결합력 및 부력 등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고정빔(250)은 캐니스터(110) 하강에 의해 고정플레이트(260)와 결합플레이트(220)가 서로 자연스럽게 결합되었을 경우, 지지빔(210)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미리 설정된 위치에 고정된다. 그리고 지지빔(210)과 고정빔(250)은 캐니스터(110) 이동 시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일정거리 떨어지도록 배치된다.
예컨대, 도 9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술한 운용모드, 이동모드에 따라 캐니스터(110)가 트렁크(2) 내의 설정된 높이에 위치하였을 경우, 캐니스터(110)를 해당 위치에 수동식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미리 설정된 위치에 고정빔(250)과 고정플레이트(260)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였다. 운용모드의 경우, 캐니스터(110)의 지지빔(210)과 결합플레이트(220)와의 결합을 위해 제1고정빔(250a)과 제1고정플레이트(260a)가 짝을 이루며 설치되고, 이동모드의 경우, 제2고정빔(250b)과 제2고정플레이트(260b)가 짝을 이루며 설치된다. 짝을 이루는 각 고정빔(250a,250b)과 고정플레이트(260a,260b)는 캐니스터(110)의 지지빔(210)과 결합플레이트(220) 간의 간격을 고려하여, 캐니스터(110) 고정을 위해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지지빔(210)과 고정빔(250)은 각각 상부플레이트(P1), 하부플레이트(P2) 및 상부플레이트(P1)와 하부플레이트(P2)를 연결하는 지지플레이트(P3)를 포함하는 일체형의 ‘H’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빔(210)과 고정빔(250)은 상부플레이트(P1)와 하부플레이트(P2)가 가로방향으로 위치하고, 지지플레이트(P3)가 세로방향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캐니스터(110) 및 트렁크(2)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빔(250)은 트렁크(2) 내면에 접하는 면이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고정빔(250)은 상부플레이트(P1)와 하부플레이트(P2)에 연결된 ‘┗’자 형상의 보조지지대(미도시)와 연결되어 볼트(B) 체결에 의해 트렁크(2) 내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 지지빔(210)의 하부플레이트(P2) 중 적어도 일부는 캐니스터(110) 상부 주변부에 용접 및 볼트(B) 체결 중 하나 이상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연결부재(230)는 지지빔(210)과 고정빔(250)을 연결하며, 예컨대 평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230)의 양단부는 지지빔(210)과 고정빔(250)의 상부플레이트(P1), 하부플레이트(P2) 및 지지플레이트(P3)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된 결합홀에 볼트(B) 체결에 의해 결합되어, 지지빔(210)과 고정빔(250)을 연결시킬 수 있다.
또,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예로서 연결부재(230)는 지지빔(210)과 고정빔(250)의 상부플레이트(P1), 하부플레이트(P2) 및 지지플레이트(P3)에 결합되는 결합면(231~233)을 갖는 ‘ㄷ’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결합면(231~233)은 볼트(B) 체결에 의해 지지빔(210)과 고정빔(250)의 상부플레이트(P1), 하부플레이트(P2) 및 지지플레이트(P3)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H’빔 형태의 지지빔(210)과 고정빔(250) 간 보다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술한 지지빔(210)과 고정빔(250)은 캐니스터(110) 고정을 위해 미리 설정된 위치에 동일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빔(210)은 캐니스터(110) 상부 주변부에 균형 및 대칭을 이루도록 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고정빔(250)은 설정된 위치의 트렁크(2) 내측 주변부에 지지빔(210)과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결합플레이트(220)는 캐니스터(110) 하부 주변부에 용접 접합 및 볼트(B) 체결 중 하나 이상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플레이트(260)의 오목부(262)에 결합되는 돌기(222)를 포함한다. 캐니스터(110)가 하강하면, 결합플레이트(220)의 돌기(222)는 자연스럽게 고정플레이트(260)의 오목부(262)에 결합된다.
또, 도 14의 (a)를 참조하면, 다른 예로서 상술한 결합플레이트(220)는 캐니스터(110)에 고정되는 고정부(220a), 및 일측에 상술한 돌기(222)를 형성하며, 타측 하부가 고정부(220a)에 회전축(X)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220b)를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220a)과 결합부(220b)는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용모드에서 이동모드의 위치로 캐니스터(110)를 이동시킬 경우, 제1고정플레이트(260a)에 고정되었던 결합플레이트(220)의 결합부(220b)가 상위의 제2고정플레이트(260b)에 의해 간섭받지 않도록 하방향으로 결합부(220b)를 접은 상태에서 캐니스터(1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결합부(220b)의 돌기(222)는 고정부(220a)의 돌기홈(H)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술한 결합플레이트(220)와 고정플레이트(260)는 서로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위치에 동일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결합플레이트(220)는 캐니스터(110) 하부 주변부에 균형 및 대칭을 이루도록 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플레이트(220)는 안내장치와 간섭되지 않도록 캐니스터(110)의 모서리 주변에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고정플레이트(260)는 설정된 위치의 트렁크(2) 내측 주변부에 지지빔(210)과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도 9 내지 도 15의 내용을 기초로, 수동식으로 캐니스터(110)를 고정시키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이동모드와 운용모드를 예로 들어 캐니스터(110)를 해당 모드의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수동식으로 고정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캐니스터(110)를 운용모드에서 이동모드의 위치로 상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먼저 고정빔(250)과 지지빔(21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230)와 결합플레이트(220)를 설치 해제시킨다. 다음으로, 이동모드의 설치위치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캐니스터(110)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결합플레이트(220)를 설치한 후, 결합플레이트(220)가 제2고정플레이트(260b)에 자연스럽게 결합되도록 캐니스터(110)를 이동모드의 설치위치까지 하강시킨다. 다음으로, 연결부재(230)를 이용하여 고정빔(250)과 지지빔(210)을 연결함으로써, 해당 위치에 캐니스터(110)를 고정시킨다.
캐니스터(110)를 운용모드의 위치로 하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마찬가지로 고정빔(250)과 지지빔(21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230)와 결합플레이트(220)를 설치 해제시킨 상태에서 캐니스터(11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운용모드의 설치위치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캐니스터(110)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결합플레이트(220)를 설치한 후, 결합플레이트(220)가 제1고정플레이트(260a)에 자연스럽게 결합되도록 캐니스터(110)를 운용모드의 설치위치까지 하강시킨다. 다음으로, 연결부재(230)를 이용하여 고정빔(250)과 지지빔(210)을 연결함으로써, 해당 위치에 캐니스터(110)를 고정시킨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지보수모드의 경우, 캐니스터(110)의 상부 일부가 트렁크(2)로부터 바깥쪽으로 노출된 채 고정된다(도 5 참조). 이때, 수동식으로 캐니스터(110)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지지빔(210)은 트렁크(2) 내측에 위치한 캐니스터(110) 몸통 주변부에 설치될 수 있다. 캐니스터(110) 몸통 주변부에 접하는 지지빔(210)의 접촉면은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지지빔(210)은 상부플레이트(P1)와 하부플레이트(P2)에 연결된 ‘┗’자 형상의 보조지지대(미도시)와 연결되어 볼트(B) 체결에 의해 캐니스터(110) 몸통 주변부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결합플레이트(220)가 고정플레이트(260)에 결합된 상태에서 트렁크(2) 내측에 위치한 캐니스터(110) 몸통 주변부에 설치된 지지빔(210)은 트렁크(2) 내면에 고정된 고정빔(250)에 연결부재(2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16은 도 1의 캐니스터식 스러스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6의 예에서 캐니스터(110)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240)는 랙기어(241)가 트렁크(2)의 내면에 캐니스터(110)의 승강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랙기어(241)와 이물림하는 피니언기어(242) 및 이를 구동하는 구동원을 갖춘 승강구동부(243)가 캐니스터(110)에 설치된 것이다. 즉 전술한 예와 달리 랙기어(241)와 승강구동부(243)의 장착위치가 바뀐 것이다. 그리고 안내장치는 랙기어(24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안내유닛(260)과 하부안내유닛(270)이 캐니스터(110)의 측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캐니스터식 스러스터는 승강구동부(243)의 동작에 의해 캐니스터(110)의 승강을 구현할 수 있고, 캐니스터(110)에 설치된 상부안내유닛(260)과 하부안내유닛(270)이 랙기어(241)를 따라 승강함으로써 캐니스터(110)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다.
도 16의 예에서 나머지 구성들은 앞서 언급한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 도 10 내지 도 15에 설명한 수동식으로 캐니스터를 트렁크 내의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기는 구성 또한 도 16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2: 트렁크 110: 캐니스터
130: 추진헤드 131: 프로펠러
140: 승강장치 141: 랙기어
141c: 완충치부 150: 구속장치
160: 상부안내유닛 170: 하부안내유닛
210: 지지빔 220: 결합플레이트
230: 연결부재 250: 고정빔
260: 고정플레이트

Claims (12)

  1. 선체나 부유구조물의 트렁크 내에서 승강하는 캐니스터;
    상기 캐니스터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 및
    상기 캐니스터는 상부에 상기 트렁크 내면에 부착된 고정빔에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지지빔을 장착하고, 하부에 상기 트렁크 내면에 부착된 고정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를 장착한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빔과 상기 고정빔은 각각 상부플레이트, 하부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일체형의 ‘H’빔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가 가로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세로방향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캐니스터 및 상기 트렁크에 각각 고정된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평판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양단부는 상기 지지빔과 상기 고정빔의 상부플레이트, 하부플레이트 및 지지플레이트 중 하나 이상에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지지빔과 상기 고정빔을 연결시키는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빔과 상기 고정빔의 상부플레이트, 하부플레이트 및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결합면을 갖는 ‘ㄷ’자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결합면은 볼트 체결에 의해 상기 지지빔과 상기 고정빔의 상부플레이트, 하부플레이트 및 지지플레이트중 하나 이상에 결합되는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플레이트는 상기 캐니스터에 용접 및 볼트 체결 중 하나 이상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오목부에 결합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플레이트는 상기 캐니스터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일측에 상기 돌기를 형성하고, 타측이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결합부를 가진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빔과 상기 고정빔은 미리 설정된 위치에 동일한 개수로 마련되며,
    상기 지지빔은 상기 캐니스터 상부 주변부에 둘 이상 마련된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미리 설정된 위치에 동일한 개수로 마련되며,
    상기 결합플레이트는 상기 캐니스터 하부 주변부에 둘 이상 마련된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는 외면에 승강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랙기어를 마련하고,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트렁크에 설치되어 상기 랙기어와 이물림하는 피니언기어 및 이를 구동하는 구동원을 갖춘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캐니스터의 승강을 안내하며, 상기 랙기어와 같은 선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승강구동부의 상측 및 하측에 둘 이상 설치된 안내장치를 더 포함하는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캐니스터에 설치되어 상기 트렁크의 내면에 상기 캐니스터의 승강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랙기어와 이물림하는 피니언기어 및 이를 구동하는 구동원을 갖춘 승강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캐니스터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랙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안내장치를 더 포함하는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장치는 상기 트렁크 또는 상기 캐니스터에 고정되는 지지브래킷과,
    상기 지지브래킷의 양측에 마련되며, 상기 랙기어의 치부와 접하여 승강을 안내하는 치면안내부와,
    상기 지지브래킷의 전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랙기어의 측면과 접하여 승강을 안내하는 측면안내부를 포함하는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는 그 폭 방향 양측에 상기 피니언기어와 이물림하는 치부가 대칭을 이루도록 마련되고,
    상기 치면안내부는 상기 랙기어 양측 치부를 각각 안내하도록 상기 지지브래킷 양측에 대칭을 이루도록 마련되며,
    상기 치면안내부와 상기 측면안내부는 상기 랙기어의 승강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유지하는 진입안내부와,
    상기 랙기어와 접하여 승강을 안내하며 분리와 결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딩패드와,
    상기 진입안내부와 상기 슬라이딩패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슬라이딩패드와 상기 랙기어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두께조절판을 포함하는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20130053389A 2013-05-10 2013-05-10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75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389A KR101475200B1 (ko) 2013-05-10 2013-05-10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389A KR101475200B1 (ko) 2013-05-10 2013-05-10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336A true KR20140133336A (ko) 2014-11-19
KR101475200B1 KR101475200B1 (ko) 2014-12-22

Family

ID=52454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389A KR101475200B1 (ko) 2013-05-10 2013-05-10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2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5614A1 (en) * 2015-10-15 2017-04-20 Gustomsc Resources B.V. Retractable thruster system
NL2017249A (en) * 2015-10-15 2017-04-24 Gustomsc Resources Bv Retractable thruste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0519B1 (ja) * 1999-10-01 2001-01-3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昇降式推進装置
JP2005325870A (ja) * 2004-05-12 2005-11-24 Funai Electric Co Ltd 電気機器駆動系のピニオン・ラック装置
KR20100074397A (ko) * 2008-12-24 2010-07-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시추선의 스러스터 가이드 장치
KR20110139545A (ko) * 2010-06-23 2011-12-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랙기어와 슬라이딩 레일을 갖는 드릴쉽용 캐니스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5614A1 (en) * 2015-10-15 2017-04-20 Gustomsc Resources B.V. Retractable thruster system
NL2017249A (en) * 2015-10-15 2017-04-24 Gustomsc Resources Bv Retractable thruster system
KR20180066132A (ko) * 2015-10-15 2018-06-18 구스토엠에스씨 리소시스 비. 브이. 수축 가능한 스러스터 시스템
CN108290629A (zh) * 2015-10-15 2018-07-17 格斯特Msc资源公司 可伸缩推进器系统
US20180297679A1 (en) * 2015-10-15 2018-10-18 Gustomsc Resources B.V. Retractable thruster system
US10689074B2 (en) 2015-10-15 2020-06-23 Gustomsc B.V. Retractable thruster system
CN108290629B (zh) * 2015-10-15 2021-03-16 格斯特Msc资源公司 可伸缩推进器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5200B1 (ko) 2014-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5200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12487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87669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75204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505799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556268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설치방법
KR101475205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540303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87676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87673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531490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87675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87678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87664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의 구속장치
KR101475197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75194B1 (ko) 캐니스터 적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설치방법
KR101516560B1 (ko) 캐니스터 안내장치 설치방법
KR101475202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및 이의 초기 위치정렬방법
KR101475199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및 캐니스터의 리프팅방법
KR101487677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의 승강 안내장치
KR101487671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97315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의 승강 안내장치
KR101454638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75198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및 그 제어방법
KR101497316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