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675B1 -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 Google Patents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675B1
KR101487675B1 KR20130055577A KR20130055577A KR101487675B1 KR 101487675 B1 KR101487675 B1 KR 101487675B1 KR 20130055577 A KR20130055577 A KR 20130055577A KR 20130055577 A KR20130055577 A KR 20130055577A KR 101487675 B1 KR101487675 B1 KR 101487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ister
rack gear
tooth
guide
low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5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6081A (ko
Inventor
김지남
박석귀
최권호
금창환
오환엽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55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675B1/ko
Publication of KR20140136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2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ulsive elements;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ellers used therefor only;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rudders carrying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2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ulsive elements;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ellers used therefor only;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rudders carrying propellers
    • B63H2025/425Propulsive elements, other than jets, substantially used for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only, with means for retracting, or otherwise moving to a rest position outside the water flow around the hu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캐니스터식 스러스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니스터식 스러스터는 선체나 부유구조물의 트렁크 내에서 승강하는 캐니스터, 캐니스터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와, 캐니스터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장치를 포함하고, 승강장치는 캐니스터의 외면에 승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이물림 위상이 상호 다른 제1치부와 제2치부를 갖춘 랙기어와, 트렁크에 설치되며 랙기어의 제1 및 제2치부와 대응하여 이물림하도록 상호 이물림 위상이 다른 제1치부 및 제2치부를 갖춘 피니언기어 및 이를 구동하는 구동원을 구비한 승강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캐니스터식 스러스터{CANISTER-TYPE THRUSTER}
본 발명은 캐니스터의 안정된 승강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캐니스터식 스러스터에 관한 것이다.
드릴쉽(Drillship)과 같은 특수선박은 해상의 작업영역에서 정박할 수 있어야 하므로 조류, 바람, 파고의 영향에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장치(Dynamic Positioning System)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선박은 수중에서 방향을 전환하면서 추진력을 발생시켜 선체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스러스터(Thruster)를 갖추고 있다.
하지만 통상적인 스러스터는 선체 하부(수중)에 설치되기 때문에 고장이 생길 경우 수리나 교체가 어렵다. 해상에서 고장이 생길 경우 수리를 위해 도크(dock)가 있는 육상까지 선체를 이동시켜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운용상의 난점을 해결하고 해상의 작업영역에서도 스러스터의 수리나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제안된 것이 캐니스터식 스러스터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139545호(2011. 12. 29. 공개) 및 공개특허공보 10-2010-0074397호(2010. 07. 02. 공개)는 캐니스터식 스러스터의 예를 각각 제시하고 있다. 캐니스터식 스러스터는 선체의 갑판으로부터 저면까지 관통된 트렁크 내에 승강하도록 설치된 캐니스터와, 캐니스터의 하부에 설치되며 360도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추진헤드와, 캐니스터 내에서 추진헤드를 동작시키는 구동장치들과, 캐니스터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와, 캐니스터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장치를 갖추고 있다.
캐니스터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는 캐니스터의 측면에 설치되는 랙기어와, 랙기어와 이물림하는 피니언기어 및 이를 구동하는 모터를 갖춘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스러스터는 캐니스터의 승강을 통해 추진헤드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추진헤드를 선체 저면 아래에 위치시키는 운용모드, 선체가 운항할 때 추진헤드를 트렁크 내부로 끌어 올리는 이동모드, 선체 내부의 유지보수영역으로 추진헤드를 끌어올리는 유지보수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크레인 등을 이용해 캐니스터와 추진헤드를 함께 상부로 들어 올려 선체로부터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캐니스터는 단면의 폭이 대략 5 ~ 6m에 이르고 높이가 대략 10m에 이르는 거대구조물이고 그 무게도 매우 크므로, 이를 승강시키는 승장장치의 랙기어와 피니언기어의 규모도 매우 크고, 랙기어와 피니언기어의 치부 크기도 커서 이물림부분의 간극도 통상적인 기어들에 비해 큰 편이다. 따라서 캐니스터의 균일하고 안정적인 승강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139545호(2011. 12. 29.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074397호(2010. 07. 02.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랙기어와 피니언기어의 안정적인 이물림을 구현하여 캐니스터의 안정된 승강을 구현할 수 있는 캐니스터식 스러스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캐니스터의 원활한 승강을 구현할 수 있는 캐니스터식 스러스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나 부유구조물의 트렁크 내에서 승강하는 캐니스터, 상기 캐니스터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 상기 캐니스터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캐니스터의 외면에 승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이물림 위상이 상호 다른 제1치부와 제2치부를 갖춘 랙기어와, 상기 트렁크에 설치되며 상기 랙기어의 제1 및 제2치부와 대응하여 이물림하도록 상호 이물림 위상이 다른 제1치부 및 제2치부를 갖춘 피니언기어 및 이를 구동하는 구동원을 구비한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캐니스터식 스러스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랙기어의 제1치부와 제2치부는 동일한 치형으로 마련되고 상호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내장치는 상기 승강구동부 상부의 상기 트렁크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랙기어의 승강을 안내하는 상부안내유닛, 상기 승강구동부 하부의 상기 트렁크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랙기어의 승강을 안내하는 하부안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안내유닛과 상기 하부안내유닛은 상기 트렁크 내면에 고정되는 지지브래킷, 상기 지지브래킷에 마련되며 상기 랙기어의 제1 및 제2치부와 접하여 승강을 안내하는 치면안내부, 및 상기 지지브래킷에 마련되며 상기 랙기어의 측면과 접하여 승강을 안내하는 측면안내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랙기어는 상기 피니언기어와 이물림하는 제1 및 제2치부가 그 폭 방향 양측에 대칭을 이루도록 마련되고, 상기 치면안내부는 상기 랙기어 양측에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치부를 안내하도록 상기 지지브래킷 양측에 대칭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면안내부와 상기 측면안내부는 상기 랙기어와 접하여 승강을 안내하며 분리와 결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딩패드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체나 부유구조물의 트렁크 내에서 승강하는 캐니스터, 상기 캐니스터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 상기 캐니스터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트렁크의 내면에 상기 캐니스터의 승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이물림 위상이 상호 다른 제1치부와 제2치부를 갖춘 랙기어와, 상기 캐니스터에 설치되며 상기 랙기어의 제1 및 제2치부와 대응하여 이물림하도록 상호 이물림 위상이 다른 제1치부 및 제2치부를 갖춘 피니언기어 및 이를 구동하는 구동원을 구비한 승강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니스터식 스러스터는 상호 이물림 위상이 다른 제1치부와 제2치부를 갖춘 랙기어와, 이 랙기어와 이물림하도록 역시 대응하는 제1치부와 제2치부를 갖춘 피니언기어를 구비하기 때문에 캐니스터의 승강과정에서 랙기어와 피니언기어의 안정된 이물림을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캐니스터의 균일하고 안정된 승강을 구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니스터식 스러스터는 랙기어의 제1치부와 피니언기어의 제1치부가 이물림에서 해제되기 전에 랙기어의 제2치부와 피니언기어의 제2치부가 이물림을 시작하는 방식으로 연속하여 이물림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피니언기어에 캐니스터의 큰 하중이 작용함에도 불구하고 피니언기어로부터 랙기어 쪽으로의 동력전달이 부드럽게 이어질 수 있다. 특히 랙기어 및 피니언기어의 제1치부와 제2치부가 하중을 분담하기 때문에 각 기어의 제1치부와 제2치부에 작용하는 부하의 변동을 그 만큼 줄일 수 있고, 각 치부에 걸리는 부하의 크기를 저감시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니스터식 스러스터는 안내장치와 승강장치가 같은 선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용이한 설치를 구현할 수 있다. 관련하여 안내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비용을 줄이고 생산성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니스터식 스러스터의 내부구성 및 선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니스터식 스러스터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로, 캐니스터가 운용모드, 이동모드, 유지보수모드의 위치로 각각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니스터식 스러스터의 캐니스터와 트렁크의 단면구조 및 캐니스터를 구속하는 구속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니스터식 스러스터의 하부안내유닛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니스터식 스러스터의 하부안내유닛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니스터식 스러스터의 랙기어와 피니언기어의 이물림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니스터식 스러스터의 랙기어와 피니언기어의 이물림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캐니스터식 스러스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캐니스터식 스러스터의 내부구성 및 선체 장착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니스터식 스러스터(100)는 해상의 작업영역에서 정박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 선박이나 부유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석유나 가스 등 해저 자원의 채취를 위해 시추작업을 하는 드릴쉽(Drillship),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PSO: 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 이러한 캐니스터식 스러스터(100)는 반드시 정박상태에서 위치제어가 필요한 경우 외에도 예인선, 쇄빙선 등과 같은 특수선박이나 통상의 운송선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캐니스터식 스러스터(100)가 적용되는 선박의 선체(1, 또는 부유구조물)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트렁크(2)를 구비한다. 그리고 스러스터(100)는 트렁크(2)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니스터(110), 캐니스터(110)의 하부에 설치된 추진헤드(130), 캐니스터(11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장치(140), 캐니스터(110)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장치를 포함한다.
캐니스터(110)는 도 1, 도 2,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부 및 측면이 수밀 가능한 사각의 상자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선체(1)의 트렁크(2)는 캐니스터보다 약간 큰 사각통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는 하나의 예로써 캐니스터(110)와 트렁크(2)의 단면형상이 사각형인 경우를 제시하지만, 캐니스터(110)와 트렁크(2)는 단면형상이 육각, 팔각, 원형 등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캐니스터(1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의 갑판(112,113,114)에 의해 내부가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즉 캐니스터(110)의 아래 쪽으로부터 바닥판(111)과 제1갑판(112) 사이의 하부격실(116), 제1갑판(112)과 제2갑판(113) 사이의 구동기기실(117), 제2갑판(113)과 제3갑판(114) 사이의 보조기기실(118), 제3갑판(114)과 상판(115) 사이의 상부격실(119)로 구획될 수 있다. 또 캐니스터(110) 내에는 각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로 길게 사다리(120)가 설치될 수 있다.
구동기기실(117)에는 후술할 추진헤드(130)를 구동하는 구동모터(121)가 설치되고, 보조기기실(118)에는 스러스터(100)의 동작제어를 위한 각종 제어설비와 전원공급설비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는 하나의 예로써 캐니스터(110) 내부의 구성을 제시하는 것일 뿐 캐니스터(110) 내부구성이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캐니스터(110) 내부는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추진헤드(1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펠러(131)와, 프로펠러(131)를 지지하는 유선형 프로펠러지지부(132)와, 프로펠러지지부(13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그 상부의 회전연결부(134)가 캐니스터(110) 바닥판(1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수직지지부(133)와, 추진수류의 안내를 위해 프로펠러(131)의 둘레에 설치된 원통형 슈라우드(135)를 포함할 수 있다.
캐니스터(110)의 하부격실(116)에는 구동모터(121)의 회전을 프로펠러(131) 쪽으로 전달하는 구동축(136)이 설치되고, 추진헤드(130)의 수직지지부(133)와 프로펠러지지부(132) 내에는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구동축(136)과 프로펠러(131)를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들과 기어들이 설치된다. 또 하부격실(116)에는 추진헤드(130)를 360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연결부(134)를 회전시키는 조향모터들(137)이 설치될 수 있다.
추진헤드(130)는 도 1과 도 3과 같이 선체(1)의 저면보다 아래에 위치한 상태에서 구동모터(121)의 동작에 의해 프로펠러(131)가 회전함으로써 추진수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 조향모터들(137)의 동작에 의해 추진헤드(130)가 회전함으로써 추진수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추진수류는 선체(1)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조류나 파도 등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선체(1)가 해상에서 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추진헤드(130)가 선체(1)의 하부에서 회전하는 형태의 추진기를 아지무스 스러스터(azimuth thruster)라고도 한다.
캐니스터(11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장치(14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니스터(110) 외면과 트렁크(2)의 내면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 캐니스터(110) 양측을 대등한 조건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동일한 형태의 승강장치(140)가 캐니스터(11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각 승강장치(140)는 캐니스터(110)의 측면에 고정되며 승강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랙기어(141)와, 트렁크(2)의 내면 쪽에 설치되며 랙기어(141)와 이물림하는 두 피니언기어(142) 및 이들 피니언기어(142)를 구동하는 구동원을 갖춘 승강구동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랙기어(141)는 도 2, 도 3, 도 9에 도시한 예처럼 캐니스터(110)의 측면 상부에서 하부까지 길게 연장되고, 그 폭 방향 양측에 각각 두 피니언기어(142)와 이물림하는 제1치부(141b)와 제2치부(141c)가 대칭을 이루도록 마련된다. 랙기어(141)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제1치부(141b)와 제2치부(141c)는 동일한 치형으로 마련되고, 상호 인접하도록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또 제1치부(141b)와 제2치부(141c)는 이물림 위상이 상호 다르게 마련된다. 즉 제1치부(141b)의 골부분의 높이에 제2치부(141c)의 이끝이 위치하는 식이다.
양측 피니언기어(142)도 랙기어(141)의 제1 및 제2치부(141b,141c)와 대응하여 이물림하도록 상호 이물림 위상이 다른 제1치부(142b)와 제2치부(142c)를 구비한다. 이는 피니언기어(142)의 제1 및 제2치부(142b,142c)와 랙기어(141)의 제1 및 제2치부(141b,141c)가 상호 번갈아가며 연속적인 이물림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처럼 피니언기어(142)의 제1치부(142b) 및 제2치부(142c)와 랙기어(141)의 제1치부(141b) 및 제2치부(141c)의 교호적인 이물림이 이루어지면, 랙기어(141)와 피니언기어(142)의 안정적인 이물림을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캐니스터(110)의 균일하고 안정된 승강을 구현할 수 있다.
즉 피니언기어(142)로부터 랙기어(141) 쪽으로 큰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랙기어(141)의 두 치부(141b,141c)와 피니언기어(142)의 두 치부(142b1,42c)의 크기를 크게 형성하면서도, 치부들(141b,141c,142b,142c)이 번갈아 이물림을 하기 때문에 백래시(back lash)에 따른 진동이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고, 안정적인 동력전달이 가능하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랙기어(141)의 제1치부(141b)와 피니언기어(142)의 제1치부(142b)가 이물림에서 해제되기 전에 랙기어(141)의 제2치부(141c)와 피니언기어(142)의 제2치부(142c)가 이물림을 시작하는 방식으로 연속하여 이물림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피니언기어(142)에 캐니스터(110)의 큰 하중이 작용함에도 불구하고 피니언기어(142)로부터 랙기어(141) 쪽으로의 동력전달이 부드럽게 이어질 수 있다. 또 통상적인 기어라면, 동력전달과정에서 각 치부에 작용하는 부하의 변동이 매우 크지만, 본 실시 예는 랙기어(141) 및 피니언기어(142)의 제1치부(141b,142b)와 제2치부(141c,142c)가 이를 분담하는 식이기 때문에 각 기어의 제1치부와 제2치부에 작용하는 부하의 변동을 그 만큼 줄일 수 있고, 실질적으로 각 치부에 걸리는 부하의 크기를 저감시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랙기어(141)와 피니언기어(142)의 내구성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는 안정적인 승강을 구현하기 위해 두개의 피니언기어(142)가 랙기어(141) 양측에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치부(141b,141c)에 이물림 하는 구성을 제시하지만, 랙기어(141)는 제1 및 제2치부(141b,141c)가 한쪽에만 마련되고 여기에 하나의 피니언기어(142)가 이물림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또 본 실시 예는 랙기어(141)의 바디부(141a)와 그 양측의 제1 및 제2치부(141b,141c)가 일체화된 형태를 제시하지만, 랙기어(141)는 바디부(141a)와 제1 및 제2치부(141b,141c)가 각각 별도로 제작된 후 상호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다. 또 랙기어(141)는 제1치부(141b)가 형성되는 부분과 제2치부(141c)가 형성되는 부분이 별도로 제작된 후 상호 결합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승강구동부(143)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렁크(2)의 상하 중간부분보다 상부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승강구동부(143)가 위치하는 트렁크(2)의 내면 양측에는 이러한 승강구동부(143)의 설치 및 유지보수를 위한 설치공간(3)이 마련될 수 있다. 승강구동부(143)의 구동원은 두 피니언기어(142)의 상반된 감속회전을 구현할 수 있는 감속기어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고, 설치공간(3) 내부의 고정구조물(4)에 고정될 수 있다.
승강장치(140)는 승강구동부(143)의 동작에 의해 랙기어(141)가 승강함으로써 캐니스터(110)의 상하 이동을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캐니스터(110) 하부에 설치된 추진헤드(130)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즉 도 3과 같이 추진헤드(130)를 선체(1) 저면 아래에 위치시켜 선체(1)의 위치제어를 수행하는 운용모드, 도 4와 같이 선체(1)가 운항할 때 저항을 줄이기 위해 추진헤드(130)를 트렁크(2) 내부로 끌어 올리는 이동모드, 도 5와 같이 추진헤드(130)의 유지보수를 위해 추진헤드(130)를 트렁크(2) 상부의 유지보수위치로 끌어 올리는 유지보수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보수모드에서 추진헤드(130)가 위치하는 높이의 트렁크(2) 측면 쪽에는 추진헤드(130)의 유지보수를 위한 유지보수공간(6)이 마련될 수 있다. 유지보수공간(6)은 추진헤드(130)의 부품을 분리한 후 그 내부에 보관하거나 작업자가 추진헤드(130)에 접근하여 유지보수를 수행하기에 충분한 크기일 수 있고, 선박의 진수상태에서 수면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 이러한 캐니스터식 스러스터(100)는 도 3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용모드, 이동모드 등으로 전환된 상태에서 캐니스터(110)를 흔들림 없이 구속할 수 있는 복수의 구속장치(150)를 구비한다.
구속장치(150)는 캐니스터(110) 내에 설치되며 모터나 유압실린더를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동부(151), 구동부(151)의 동작에 의해 캐니스터(110) 외측으로 돌출하여 걸림을 구현하는 걸림로드(152), 구속장치(150)와 대응하는 위치의 트렁크(2) 내면에 고정되며 걸림로드(152)가 진입하여 걸리는 홈을 갖춘 복수의 걸림부재(15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걸림부재(153)는 캐니스터(110)가 운용모드, 이동모드, 유지보수모드로 이동한 상태에서 걸림로드(152)의 걸림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해당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캐니스터(110)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장치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구동부(143) 상측의 트렁크(2) 내면에 설치되어 랙기어(141)를 지지함으로써 랙기어(141)의 승강을 안내하는 상부안내유닛(160)과, 승강구동부(143) 하부의 트렁크(2) 내면에 설치되어 역시 랙기어(2)를 지지함으로써 랙기어(141)의 승강을 안내하는 하부안내유닛(17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는 상부안내유닛(160)과 하부안내유닛(170)이 랙기어(141)의 승강궤적과 일치하는 트렁크(2)의 내면에 장착되어 랙기어(141)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캐니스터(110)의 원활한 승강을 안내한다. 여기서는 일 예로써 상부안내유닛(160)과 하부안내유닛(170)만을 제시하지만, 안내장치는 상부 또는 하부안내유닛(160,170)과 같은 형태로 마련되어 랙기어(141)의 승강궤적 상에 추가로 설치되는 안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안내장치는 승강장치(140)가 위치하는 트렁크(2)의 양측에 대등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하부안내유닛(170)은 도 2, 도 7,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렁크(2) 내면에 고정되는 지지브래킷(171)과, 지지브래킷(171)의 양측에 대칭을 이루도록 마련되어 랙기어(141) 양측의 제1치부(141b) 및 제2치부(141c)에 각각 접하는 두 치면안내부(172), 랙기어(141)의 측면(치부가 형성되지 않은 평탄면)과 접하여 랙기어(141)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두 치면안내부(172) 사이의 지지브래킷(171)에 마련된 측면안내부(173)를 포함한다. 하부안내유닛(170)은 두 치면안내부(172)와 측면안내부(173)가 랙기어(141) 주위를 감싸는 ㄷ형태를 유지함으로써 랙기어(141)를 흔들림 없이 지지할 수 있다.
두 치면안내부(172)와 측면안내부(173)의 골격을 이루는 지지브래킷(171)은 복수의 금속판재를 용접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고, 이러한 지지브래킷(171)이 용접에 의해 트렁크(2)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두 치면안내부(172)와 측면안내부(173)는 랙기어(141)와 접하여 승강을 안내하는 슬라이딩패드(172a,173a)를 각각 포함한다. 각 슬라이딩패드(172a,173a)는 마모나 훼손 시 교체가 가능하도록 치면안내부(172)와 측면안내부(173)의 내면 쪽에 볼트체결방식으로 분리와 결합이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 슬라이딩패드(172a,173a)가 고정되는 배면에는 설치 시 슬라이딩패드(172a,173a)와 랙기어(141)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두께 조절판(172b,173b)이 개재될 수 있다.
치면안내부(172)와 측면안내부(173)는 랙기어(141)가 그 내측으로 원활히 진입할 수 있도록 랙기어(141)의 승강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유지하는 진입안내부(172c,173c)를 구비할 수 있고, 슬라이딩패드(172a,173a)의 상단과 하단에도 랙기어(141)의 승강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유지하는 경사안내면(172d,173d)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패드(172a,173a)는 랙기어(141)의 제1 및 제2치부(141b,141c)를 보호하면서도 원활한 미끄럼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랙기어(141)보다 강성이 약한 비금속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찰저항이 작고 내마모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소재일 수 있다.
상부안내유닛(160)도 하부안내유닛(17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캐니스터(110)가 하강하거나 상승할 때 랙기어(141)가 상부안내유닛(160) 또는 하부안내유닛(170)으로부터 이탈하였다가 다시 진입하는 점을 고려해 경사를 유지하면서 랙기어(141)의 진입을 안내하는 진입안내부(172c, 162c)의 방향이 반대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3의 예처럼 상부안내유닛(160)은 진입안내부(162c)가 하부에 배치되고, 하부안내유닛(170)은 진입안내부(172c)가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안내유닛(160)과 하부안내유닛(170)의 이격거리는 랙기어(141)의 전체길이보다 짧게 마련될 수 있다. 이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하는 랙기어(141)가 상부안내유닛(160)과 승강구동부(143)의 피니언기어(142)에 의해 지지되거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안내유닛(170)과 승강구동부(143)의 피니언기어(142)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 즉 최소 2점 이상의 지지를 유지하도록 하여 랙기어(141)의 안정된 승강을 구현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캐니스터식 스러스터(100)를 선체(1)에 최초 설치하거나 고장수리를 위해 선체(1)로부터 분리하였다가 다시 설치할 때는 추진헤드(130)가 장착된 캐니스터(110)를 크레인 등으로 들어 올린 상태에서 캐니스터(110)가 트렁크(2) 상부의 개구로 진입하도록 캐니스터(110)를 하강시킨다.
이때 캐니스터(110) 양측의 랙기어(141)는 상부안내유닛(160)에 의해 진입이 안내되고, 이어 그 하부에 위치하는 승강구동부(143)의 피니언기어(142)와 이물림을 하게 되면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후에는 승강구동부(143)의 동작에 의해 캐니스터(110)의 진입이 이루어질 수 있고, 하강하는 랙기어(141)가 하부안내유닛(170)으로 자연스럽게 진입하여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는 상부안내유닛(160)과 하부안내유닛(170)이 랙기어(141)와 같은 선상에 배치되어 랙기어(141)를 안내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안내장치와 승강장치가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통상의 캐니스터식 스러스터에 비하여 용이한 설치를 구현할 수 있다.
통상의 캐니스터식 스러스터처럼 안내장치와 승강장치가 별도로 마련되면, 설치과정에서 안내장치의 정확한 결합을 유지하면서 승강장치의 랙기어와 피니언기어의 정확한 이물림도 함께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각 부분의 결합공차를 유지하며 정확한 설치를 구현하기가 매우 어렵다. 캐니스터와 같은 거대구조물은 크기와 무게로 인하여 취급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실시 예의 캐니스터식 스러스터는 상부안내유닛(160) 및 하부안내유닛(170)이 승강장치(140)의 랙기어(141)와 같은 선상에 배치되어 랙기어(141)의 승강을 안내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보다 용이한 설치를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캐니스터(110) 쪽에 안내를 위해 별도로 레일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등 구성을 단순화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을 줄이고 생산성도 높이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승강장치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호 이물림 위상이 다른 제1치부(141b)와 제2치부(141c)를 갖춘 랙기어(141)와, 이 랙기어(141)와 이물림하도록 역시 대응하는 제1치부(142b)와 제2치부(142c)를 갖춘 피니언기어(142)를 구비하기 때문에, 캐니스터(110)의 승강과정에서 안정된 이물림을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캐니스터(110)의 균일하고 안정된 승강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1은 캐니스터식 스러스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1의 예에서 캐니스터(110)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240)는 랙기어(241)가 트렁크(2)의 내면에 캐니스터(110)의 승강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랙기어(241)와 이물림하는 피니언기어(242) 및 이를 구동하는 구동원을 갖춘 승강구동부(243)가 캐니스터(110)에 설치된 것이다. 즉 전술한 예와 달리 랙기어(241)와 승강구동부(243)의 장착위치가 바뀐 것이다. 그리고 안내장치는 랙기어(24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안내유닛(260)과 하부안내유닛(270)이 캐니스터(110)의 측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캐니스터식 스러스터는 승강구동부(243)의 동작에 의해 캐니스터(110)의 승강을 구현할 수 있고, 캐니스터(110)에 설치된 상부안내유닛(260)과 하부안내유닛(270)이 랙기어(241)를 따라 승강함으로써 캐니스터(110)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다.
도 11의 예에서도 랙기어(241)는 상호 이물림 위상이 다른 제1치부(241b)와 제2치부(241c)를 구비하고, 피니언기어(242)도 이에 대응하여 이물림하는 제1치부(242b)와 제2치부(242c)를 구비한다. 따라서 전술한 예와 마찬가지로 캐니스터(110)의 승강과정에서 안정된 이물림을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캐니스터(110)의 균일하고 안정된 승강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1의 예에서 나머지 구성들은 앞서 언급한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2: 트렁크, 110: 캐니스터,
130: 추진헤드, 131: 프로펠러,
140: 승강장치, 141: 랙기어,
141b: 랙기어의 제1치부, 141c: 랙기어의 제2치부,
142b: 피니언기어의 제1치부, 142c: 피니언기어의 제2치부,
143: 승강구동부, 150: 구속장치,
160: 상부안내유닛, 170: 하부안내유닛.

Claims (7)

  1. 선체나 부유구조물의 트렁크 내에서 승강하는 캐니스터,
    상기 캐니스터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
    상기 캐니스터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캐니스터의 외면에 승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이물림 위상이 상호 다른 제1치부와 제2치부를 갖춘 랙기어와, 상기 트렁크에 설치되며 상기 랙기어의 제1 및 제2치부와 대응하여 이물림하도록 상호 이물림 위상이 다른 제1치부 및 제2치부를 갖춘 피니언기어 및 이를 구동하는 구동원을 구비한 승강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장치는 상기 랙기어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상기 트렁크에 설치되는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의 제1치부와 제2치부는 동일한 치형으로 마련되고 상호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되는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장치는 상기 승강구동부 상부의 상기 트렁크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랙기어의 승강을 안내하는 상부안내유닛, 상기 승강구동부 하부의 상기 트렁크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랙기어의 승강을 안내하는 하부안내유닛을 포함하는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안내유닛과 상기 하부안내유닛은
    상기 트렁크 내면에 고정되는 지지브래킷,
    상기 지지브래킷에 마련되며 상기 랙기어의 제1 및 제2치부와 접하여 승강을 안내하는 치면안내부, 및
    상기 지지브래킷에 마련되며 상기 랙기어의 측면과 접하여 승강을 안내하는 측면안내부를 각각 포함하는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는 상기 피니언기어와 이물림하는 제1 및 제2치부가 그 폭 방향 양측에 대칭을 이루도록 마련되고,
    상기 치면안내부는 상기 랙기어 양측에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치부를 안내하도록 상기 지지브래킷 양측에 대칭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치면안내부와 상기 측면안내부는 상기 랙기어와 접하여 승강을 안내하며 분리와 결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딩패드를 각각 포함하는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7. 선체나 부유구조물의 트렁크 내에서 승강하는 캐니스터,
    상기 캐니스터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
    상기 캐니스터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트렁크의 내면에 상기 캐니스터의 승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이물림 위상이 상호 다른 제1치부와 제2치부를 갖춘 랙기어와, 상기 캐니스터에 설치되며 상기 랙기어의 제1 및 제2치부와 대응하여 이물림하도록 상호 이물림 위상이 다른 제1치부 및 제2치부를 갖춘 피니언기어 및 이를 구동하는 구동원을 구비한 승강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장치는 상기 랙기어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캐니스터에 설치되는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20130055577A 2013-05-16 2013-05-16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87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5577A KR101487675B1 (ko) 2013-05-16 2013-05-16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5577A KR101487675B1 (ko) 2013-05-16 2013-05-16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081A KR20140136081A (ko) 2014-11-28
KR101487675B1 true KR101487675B1 (ko) 2015-01-30

Family

ID=52456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5577A KR101487675B1 (ko) 2013-05-16 2013-05-16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67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8337A (ko) * 2004-08-24 2006-03-02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신축 이동형 작업 유닛 이송장치
US7641526B1 (en) 2008-09-09 2010-01-05 Thrustmaster of Texas, Inc. Vessel and underwater mountable azimuthing thruster
KR20100074397A (ko) * 2008-12-24 2010-07-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시추선의 스러스터 가이드 장치
KR20110139545A (ko) * 2010-06-23 2011-12-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랙기어와 슬라이딩 레일을 갖는 드릴쉽용 캐니스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8337A (ko) * 2004-08-24 2006-03-02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신축 이동형 작업 유닛 이송장치
US7641526B1 (en) 2008-09-09 2010-01-05 Thrustmaster of Texas, Inc. Vessel and underwater mountable azimuthing thruster
KR20100074397A (ko) * 2008-12-24 2010-07-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시추선의 스러스터 가이드 장치
KR20110139545A (ko) * 2010-06-23 2011-12-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랙기어와 슬라이딩 레일을 갖는 드릴쉽용 캐니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081A (ko) 2014-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7669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12487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75200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87675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505799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540303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75205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87676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87673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75204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75199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및 캐니스터의 리프팅방법
KR101475197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87678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531490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556268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설치방법
KR101454638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75202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및 이의 초기 위치정렬방법
KR101487671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75194B1 (ko) 캐니스터 적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설치방법
KR101487677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의 승강 안내장치
KR101497315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의 승강 안내장치
KR101475198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및 그 제어방법
KR101497316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87670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516560B1 (ko) 캐니스터 안내장치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