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1217A - 십자수 원단 제조용 천공장치 - Google Patents

십자수 원단 제조용 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1217A
KR20140131217A KR1020130050301A KR20130050301A KR20140131217A KR 20140131217 A KR20140131217 A KR 20140131217A KR 1020130050301 A KR1020130050301 A KR 1020130050301A KR 20130050301 A KR20130050301 A KR 20130050301A KR 20140131217 A KR20140131217 A KR 20140131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ressing plate
fabric
pins
perf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0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0506B1 (ko
Inventor
윤진주
Original Assignee
윤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진주 filed Critical 윤진주
Priority to KR1020130050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506B1/ko
Publication of KR20140131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1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2Hand-held perforating or punching apparatus, e.g. a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26F1/14Punching tools; Punching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24Perforating by needles or pi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인 원단에 대해서도 십자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십자수 작업이 완성된 제품의 심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일면에 행렬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천공핀들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십자수 원단 제조용 천공장치 {STITCH HOLE FORM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ROSS STITCH FABRIC}
본 발명은 십자수 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십자수 원단은, 씨실과 날실이 각각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직조되고, 씨실과 날실이 서로 겹치는 부분이 열 합착 등의 방법 등에 부착되는 것에 의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십자수 원단은 비교적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하나의 색으로 제조되므로, 미적 감각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상기와 같은 복잡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비교적 고가라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원단에 대해서도 십자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십자수 작업이 완성된 제품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십자수 원단 제조용 천공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십자수 원단 제조용 천공장치는,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일면에 행렬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천공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플레이트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압플레이트에는 상기 복수의 천공핀들이 설치되는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가압플레이트에 그리드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직선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직선들이 각각 교차되는 부분에 상기 복수의 천공핀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압플레이트에는 손잡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압플레이트는, 복수의 천공핀들이 설치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인접되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천공핀들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탄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플레이트에 복수의 천공핀들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십자수 원단 제조용 천공장치는, 상기 가압플레이트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십자수 원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가압플레이트와 밀착되었을 때 상기 십자수 원단을 관통한 복수의 천공핀들이 수용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십자수 원단 제조용 천공장치는, 일반적인 원단에 십자수 작업을 위한 복수의 자수구멍을 천공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원단에 대해서도 십자수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십자수 작업이 완성된 제품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십자수 원단 제조용 천공장치를 이용하면, 종래의 고가의 십자수용 전용원단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일반적인 원단에 십자수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십자수 작업을 위해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십자수 원단 제조용 천공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십자수 원단 제조용 천공장치를 이용하여 원단에 자수구멍을 형성하는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십자수 원단 제조용 천공장치의 가압플레이트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십자수 원단 제조용 천공장치의 가압플레이트의 일면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십자수 원단 제조용 천공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십자수 원단 제조용 천공장치를 이용하여 원단에 자수구멍을 형성하는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십자수 원단 제조용 천공장치의 가압플레이트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십자수 원단 제조용 천공장치의 가압플레이트의 작동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십자수 원단 제조용 천공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십자수 원단 제조용 천공장치는, 면직물, 모직물, 마직물, 합성수지직물, 비단 등 거의 모든 직물에 대하여 십자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직물에 격자형태로 자수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십자수 원단 제조용 천공장치는, 가압플레이트(10)와, 가압플레이트(10)의 일면에 행렬로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천공핀들(20)을 포함한다.
가압플레이트(10)에서 복수의 천공핀들(20)이 돌출되는 일면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천공핀들(20)은 가압플레이트(10)에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천공핀들(20)은, 나사결합에 의하여 가압플레이트(10)에 설치될 수 있거나, 억지끼워맞춤방식에 의하여 가압플레이트(10)에 설치될 수 있거나, 기타 접착제 등의 별도의 물질을 이용하여 가압플레이트(10)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천공핀들(20)이 가압플레이트(10)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는 원단(30)의 두께에 비하여 약간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가압플레이트(10)가 원단(30)에 밀착될 때, 복수의 천공핀들(20)이 원단(30)을 완전히 관통하면서 원단(30)에 복수의 자수구멍들(31)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천공핀들(20)의 직경은 원단(30)에 형성되는 자수구멍들(31)에 대하여 십자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가압플레이트(10)가 원단(30)에 밀착되는 상태, 즉, 복수의 천공핀들(20)이 원단(30)을 관통하는 상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가압플레이트(1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플레이트(10)에서 복수의 천공핀들(20)이 설치되는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70)가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가압플레이트(10)를 파지하여 원단(30)으로 가압할 수 있다면, 손잡이(70)는 가압플레이트(10)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압플레이트(10)에 손잡이(70)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손잡이(70)를 파지한 상태에서 가압플레이트(10)를 원단(30)에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플레이트(10)에는 복수의 천공핀들(20)이 설치되는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5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표시부(50)는 가압플레이트(10)에 그리드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직선들(5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복수의 직선들(51)이 서로 교차되는 교차점에는 복수의 천공핀들(20)이 배치될 수 있다.
가압플레이트(10)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러한 표시부(50)는 복수의 천공핀들(20)이 설치되는 가압플레이트(1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가압플레이트(10)가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표시부(50)는 복수의 천공핀들(20)이 설치되지 않는 가압플레이트(10)의 타면, 즉,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표시부(5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그리드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직선들(51)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천공핀들(20)이 설치되는 위치를 표시되는 점, 선, 기호, 화살표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압플레이트(10)에 복수의 천공핀들(20)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50)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표시부(50)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가압플레이트(10)를 원단(30)에 가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원단(30)의 정확한 위치에 복수의 천공핀들(20)을 관통시켜 원단(30)에 자수구멍들(31)을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표시부(50)가 그리드형상을 가지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원단(30)에 대해 수행될 십자수 작업의 위치를 미리 예측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는 가압플레이트(10)가 사각형상을 가지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가압플레이트(10)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압플레이트(10)는 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가압플레이트(10)는, 복수의 천공핀들(20)이 설치되는 제1플레이트(11)와, 제1플레이트(11)와 인접되게 배치되며 제1플레이트(11)에 설치되는 복수의 천공핀들(20)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관통홀들(121)이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플레이트(11)와 제2플레이트(12) 사이에는 제1플레이트(11)와 제2플레이트(1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재(13)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간격유지부재(13)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체로는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등의 스프링이나, 고무, 벨로우즈 등의 탄성재질의 부재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플레이트(10)가 원단(30)을 가압하기 전에는 간격유지부재(13)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플레이트(11)와 제2플레이트(12)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복수의 천공핀들(2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압플레이트(10)를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도중에 복수의 천공핀들(20)이 다른 물체에 접촉되면서 손상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복수의 천공핀들(20)에 찔리면서 부상을 입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플레이트(10)가 원단(30)을 가압하는 상태에서는, 가압플레이트(1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간격유지부재(13)가 수축되면서 제1플레이트(11)와 제2플레이트(12)가 서로 인접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복수의 천공핀들(20)이 제2플레이트(12)의 관통홀(121)을 통과하면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복수의 천공핀들(20)이 원단(30)을 관통하면서 원단(30)에 복수의 자수구멍들(3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가압플레이트(10)는, 복수의 제1천공핀들(21)이 설치되는 제1플레이트(11)와, 제1플레이트(11)와 인접되게 배치되고, 제1플레이트(11)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천공핀들(21)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관통홀(121)이 형성되며, 복수의 제2천공핀들(22)이 설치되는 제2플레이트(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플레이트(11)와 제2플레이트(1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재(6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간격유지부재(60)는 제1플레이트(11)와 제2플레이트(12)의 양쪽 단부, 양쪽 모서리 또는 꼭지점들에 설치되어 제1플레이트(11)와 제2플레이트(12)를 일정한 간격으로 함께 결합시키는 고정구가 될 수 있다. 또한, 간격유지부재(60)는 제1플레이트(11)와 제2플레이트(12)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6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간격유지부재(60)에 의하여 제1플레이트(11)와 제2플레이트(12) 사이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는데, 제1플레이트(11)와 제2플레이트(12) 사이의 간격이 커지는 경우에는, 제1플레이트(11)의 복수의 제1천공핀들(2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제2플레이트(12)의 복수의 제2천공핀들(22)만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가압플레이트(10)가 원단(30)을 가압하는 경우에는, 외부로 노출된 복수의 제2천공핀들(22)이 원단(30)을 관통하면서, 원단(30)에는 복수의 제2천공핀들(22) 사이의 제1간격(G1)에 대응되는 간격을 가지는 자수구멍들(3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11)와 제2플레이트(12) 사이의 간격이 좁게 조정되는 경우에는, 제2플레이트(12)의 복수의 제2천공핀들(22)뿐만 아니라 제1플레이트(11)의 복수의 제1천공핀들(21)이 제2플레이트(12)의 복수의 관통홀들(121)을 통과하면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가압플레이트(10)가 원단(30)을 가압하는 경우에는, 외부로 노출된 복수의 제1천공핀들(21) 및 복수의 제2천공핀들(22)이 함께 원단(30)을 관통하면서, 원단(30)에는 복수의 제1천공핀들(21)과 복수의 제2천공핀들(22) 사이의 제2간격(G2)에 대응되는 간격을 가지는 자수구멍들(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압플레이트(10)가 각각 복수의 천공핀들(21, 22)을 가지는 제1플레이트(11)와 제2플레이트(12)로 구성되고, 제1플레이트(11)와 제2플레이트(1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원단(30)에 형성되는 자수구멍들(31)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가압플레이트(10) 만으로도 원단(30)에 형성되는 자수구멍들(31)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복수의 제1천공핀들(21) 사이의 간격이 각각 다르게 설정될 수 있고, 복수의 제2천공핀들(22) 사이의 간격이 각각 다르게 설정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제1플레이트(11) 및 제2플레이트(12)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원단(30)에 형성되는 자수구멍들(31)의 간격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천공핀들(21)이 돌출되는 길이를 다양하게 설정하는 경우에도, 제1플레이트(11) 및 제2플레이트(12)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원단(30)에 형성되는 자수구멍들(31)의 간격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압플레이트(10)가 두 개의 플레이트(11, 12)를 포함하는 구성에 대해서만 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동일한 원리를 채용하여, 가압플레이트(10)가 세 개 이상의 플레이트들을 가지는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십자수 원단 제조용 천공장치는, 가압플레이트(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원단(30)을 사이에 두고 가압플레이트(10)와 밀착되었을 때 원단(30)을 관통한 복수의 천공핀들(20)이 수용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40)는 가압플레이트(10)가 원단(30)을 가압할 때의 하중을 지지하므로, 원단(30)에 복수의 자수구멍들(31)을 형성하는 동작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플레이트(40)는 스티로폼 또는 스펀지와 같이 복수의 천공핀들(20)의 팁부를 수용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지플레이트(40)에는 원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와 같은 고정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지지플레이트(40)는 원단(30)에 복수의 자수구멍들(31)을 형성하는 과정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압플레이트(10)를 보관하거나 운반할 때 가압플레이트(10)와 결합되어 복수의 천공핀들(2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가압플레이트 20: 천공핀
30: 원단 40: 지지플레이트

Claims (10)

  1. 가압플레이트; 및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일면에 행렬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천공핀들을 포함하는 십자수 원단 제조용 천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플레이트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수 원단 제조용 천공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플레이트에는 상기 복수의 천공핀들이 설치되는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수 원단 제조용 천공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가압플레이트에 그리드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직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직선들이 각각 교차되는 부분에 상기 복수의 천공핀들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수 원단 제조용 천공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플레이트에는 손잡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수 원단 제조용 천공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플레이트는,
    복수의 천공핀들이 설치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인접되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천공핀들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수 원단 제조용 천공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수 원단 제조용 천공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을 하는 십자수 원단 제조용 천공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플레이트에 복수의 천공핀들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수 원단 제조용 천공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플레이트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십자수 원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가압플레이트와 밀착되었을 때 상기 십자수 원단을 관통한 복수의 천공핀들이 수용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십자수 원단 제조용 천공장치.
KR1020130050301A 2013-05-03 2013-05-03 십자수 원단 제조용 천공장치 KR101850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301A KR101850506B1 (ko) 2013-05-03 2013-05-03 십자수 원단 제조용 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301A KR101850506B1 (ko) 2013-05-03 2013-05-03 십자수 원단 제조용 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217A true KR20140131217A (ko) 2014-11-12
KR101850506B1 KR101850506B1 (ko) 2018-04-19

Family

ID=52452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301A KR101850506B1 (ko) 2013-05-03 2013-05-03 십자수 원단 제조용 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5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564B1 (ko) * 2020-09-21 2021-09-17 이식용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12572B1 (ja) * 2012-06-19 2013-01-09 株式会社アクト パンチング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パンチングシート部材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564B1 (ko) * 2020-09-21 2021-09-17 이식용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
WO2022059874A1 (ko) * 2020-09-21 2022-03-24 이식용 공기부양식 이송리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506B1 (ko) 2018-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018151A (ja) 穿孔ヘッドを備えた刺繍ミシン
KR101850506B1 (ko) 십자수 원단 제조용 천공장치
TWI614382B (zh) 刺繡用壓布器
JP2009097127A (ja) 手芸用ニードルパンチセット、手芸用ニードルパンチャー、および手芸用補助具
US9861167B2 (en) Ornament holder
CN108823846B (zh) 一种瓯绣框夹子
CN106283432A (zh) 一种新型绣花缝纫机的夹布装置
CN206780540U (zh) 一种服装打孔器
CN210712067U (zh) 绷布夹具
JP2020065612A (ja) 刺しゅう枠
CN203252015U (zh) 一种平面剪裁面料固定器
CN111893659A (zh) 一种缝纫线用放置架
CN108698348B (zh) 切断装置以及使用其的帘布切断方法
JP2017160719A (ja) 網戸用ネット張設具
JP2015142637A (ja) 包帯及びその製造方法
JP3186963U (ja) ミシンの拡大鏡
JP2004308046A (ja) 手芸用ニードルパンチセットおよび支持部材
KR200456251Y1 (ko) 원통형 원단 구멍 가공장치
CN216237814U (zh) 一种纺织机械用面料粘尘装置
CN215051146U (zh) 一种服装生产包缝机的防压手装置
JP2004057677A (ja) ミシン用押え金
CN203200503U (zh) 一种绣花机物料固定装置
CN106283431A (zh) 一种绣花缝纫机的夹布装置
JP2018012898A (ja) 刺しゅうミシンの刺しゅう枠
JP2015223738A (ja) スクリーン印刷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