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0844A - 안전 벤트를 갖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안전 벤트를 갖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0844A
KR20140130844A KR1020130049316A KR20130049316A KR20140130844A KR 20140130844 A KR20140130844 A KR 20140130844A KR 1020130049316 A KR1020130049316 A KR 1020130049316A KR 20130049316 A KR20130049316 A KR 20130049316A KR 20140130844 A KR20140130844 A KR 20140130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portion
secondary battery
type secondary
safety vent
pouch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9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0666B1 (ko
Inventor
정승현
김선규
황차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30049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666B1/ko
Priority to JP2015524209A priority patent/JP6006874B2/ja
Priority to PCT/KR2014/003691 priority patent/WO2014178580A1/ko
Priority to CN201420226212.7U priority patent/CN203850366U/zh
Priority to CN201410186972.4A priority patent/CN104134770B/zh
Publication of KR20140130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844A/ko
Priority to US14/553,255 priority patent/US976842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08Detachable arrangements, e.g. detachable vent plugs or plug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17Re-sealabl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5Gas exhaust passages comprising elongated, tortuous or labyrinth-shaped exhaust passages
    • H01M50/367Internal gas exhaust passages forming part of the battery cover or case; Double cover vent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만 가스를 배출하는 안전 벤트를 갖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며, 가장자리에 형성된 씰링부를 갖는 파우치형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씰링부는: 폐곡선을 이루며 상기 전극 조립체를 외부와 차단하는 내부 씰링부; 및 상기 내부 씰링부와의 사이에 가스 유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내부 씰링부의 외곽을 둘러싸고 안전 벤트를 갖는 외부 씰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 벤트를 갖는 파우치형 이차전지{Pouch 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safety vent}
본 발명은 안전 벤트를 갖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만 가스를 배출하는 안전 벤트를 갖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의 증가로 이차 전지의 수요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에너지 밀도와 작동 전압이 높고 보존과 수명 특성이 우수한 리튬(이온/폴리머) 이차전지는 각종 모바일 기기는 물론 다양한 전자제품의 에너지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065587호는 안전성이 개선된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셀의 내부와 전극탭의 실링부에 채널이 형성되어 있다. 과충전 또는 내부단락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파우치 내부에 가스가 과도하게 발생하여 압력이 높아지면, 상기 채널을 통하여 가스가 파우치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셀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때에는 항상 전극탭의 실링부를 통하여 배출되므로 가스의 배출 방향을 미리 예측할 수 있다.
물론, 특정 전자장치, 기계장치의 경우, 가스가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전극탭 근방을 통해서 배출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다른 전자장치, 기계장치의 경우에는, 열 또는 가스에 민감한 장치가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전극탭 근방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열 또는 가스에 민감한 장치의 파손 부식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스가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전극탭 근방이 아닌 다른 곳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에 개시된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후자의 기계 또는 전자장치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열 또는 가스에 민감한 장치가 전극탭 근방에 위치하지 않도록 기계 또는 전자장치를 설계변경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만약 설계변경이 불가한 기계 또는 전자장치에는 이러한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장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상된 것으로서, 원하는 어떤 방향으로도 안전벤트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안전 벤트를 갖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며, 가장자리에 형성된 씰링부를 갖는 파우치형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씰링부는: 폐곡선을 이루며 상기 전극 조립체를 외부와 차단하는 내부 씰링부; 및 상기 내부 씰링부와의 사이에 가스 유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내부 씰링부의 외곽을 둘러싸고 안전 벤트를 갖는 외부 씰링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 씰링부의 씰링면 폭은 상기 내부 씰링부의 씰링면 폭보다 넓다.
바람직하게, 상기 씰링부는, 상기 내부 씰링부 및 상기 외부 씰링부와 모두 이격된 채로 상기 가스 유로를 따라 배치되는 중간 씰링부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 씰링부의 씰링면 폭은 상기 중간 씰링부의 씰링면 폭보다 넓고, 상기 중간 씰링부의 씰링면 폭은 상기 내부 씰링부의 씰링면 폭보다 넓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간 씰링부는 폐곡선을 이룬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간 씰링부는 상기 내부 씰링부와 상기 외부 씰링부 사이의 가스 유동을 허용하는 중간 벤트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간 벤트는 상기 안전 벤트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전 벤트는 군집된 복수 개의 벤트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하는 어떤 방향으로도 안전벤트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안전 벤트를 갖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씰링부를 기준으로 한 간략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씰링부를 기준으로 한 간략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씰링부를 기준으로 한 간략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씰링부를 기준으로 한 간략 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씰링부를 기준으로 한 간략 횡단면도이다. 도 2에서는 전극 리드(20) 및 전극탭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100)는 전극 조립체(10)와, 상기 전극 조립체(10)를 수용하는 파우치형 케이스(30)를 구비한다.
전극 조립체(10)는 제1 전극판(11), 제2 전극판(12), 세퍼레이터(13)를 가지며, 상기 제1 전극판(11)과 제2 전극판(12) 각각으로부터 연장된 전극탭에 전극 리드(20)가 연결된다.
파우치형 케이스(30)는 상부 케이스(32)와 하부 케이스(31)를 포함하며, 파우치형 케이스(30)에 형성된 수납부(31a)에 전극 조립체(10)가 수납된다. 또한, 상기 파우치형 케이스(30)의 가장자리에는 씰링부(40)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 케이스(32)를 하부 케이스(31)에 덮어 서로 마주보게 한 상태에서 파우치형 케이스(30)의 가장자리를 씰링하면 파우치형 케이스(30)의 가장자리에 씰링부(40)가 형성된다.
상기 씰링부(40)는 내부 씰링부(42)와, 외부 씰링부(48)를 포함한다.
내부 씰링부(42)는 폐곡선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전극 조립체(10)를 외부와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외부 씰링부(48)는 내부 씰링부(42)와 이격된 채로 내부 씰링부(42)의 외곽을 둘러싸고 있으며, 내부 씰링부(42)와 외부 씰링부(48) 사이에는 가스 유로(46)가 형성된다. 외부 씰링부(48)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안전 벤트(49)를 가지며, 따라서, 내부 씰링부(42)와는 달리 개곡선을 이루고 있다.
도 2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전극 리드(20) 및 전극탭은 전극 조립체(10)의 짧은 변쪽에 위치하거나, 전극 조립체(10)의 긴변 쪽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극 리드(20) 및 전극탭은 전극 조립체(10)의 일측에서 나란하게 인출될 수도 있으나, 전극 조립체(10)의 양측에서 각각 인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전극 리드(20) 및 전극탭의 인출 방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어느 방향으로 안전 벤트(49)를 형성하더라도 무방하다.
내부 씰링부(42)와 외부 씰링부(48)를 씰링하기 위해 씰링 프레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씰링 프레스로 파우치형 케이스(30)의 가장자리를 가압하며 씰링하는 것에 의하여 내부 씰링부(42)와 외부 씰링부(48)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파우치형 케이스(30)의 내부 압력에 대하여 씰링부(40)가 버틸 수 있는 압력의 한계는 씰링면의 폭에 비례하게 된다.
과충전 또는 내부단락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파우치 내부에 가스가 과도하게 발생하여 압력이 높아지고, 이 압력이 기준압력에 다다르게 되면 내부 씰링부(42)가 파손된다. 기계장치, 전자장치 등에 장착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100)의 장착상태 및 파우치형 이차전지(100)의 운용 상태 등에 따라 내부 씰링부(42)는 무작위(random)로 파손될 수 있다. 즉, 내부 씰링부(42)의 정확히 어떤 영역이 파손될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내부 씰링부(42)의 어떤 영역이 파손되더라도, 가스가 가스 유로(46)를 따라 흐르게 되며, 외부 씰링부(48)에 형성된 안전 벤트(49)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 나갈 수 있게 된다.
안전 벤트(49)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에 있어서, 전극 리드(20) 또는 전극탭의 근방에만 안전 벤트(49)를 배치해야 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만약, 파우치형 이차전지(100)의 전극 리드(20) 또는 전극탭의 근방에 열 또는 가스에 민감한 장치가 위치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이러한 장치를 피하여 안전 벤트(49)를 얼마든지 안전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내부 씰링부(42)가 파손되는 순간을 상정해 보도록 한다. 내부 씰링부(42)가 파손되어 가스 유로(46)에 순간적으로 가스에 의한 강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외부 씰링부(48)는 파손되지 않고 유지되어야 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100)의 외부 씰링부(48)의 씰링면 폭(D3)을 내부 씰링부(42)의 씰링면 폭(D1)보다 넓게 형성하게 되면, 내부 씰링부(42)가 파손되는 순간 외부 씰링부(48)도 함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 벤트(49)만을 통하여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담보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씰링부를 기준으로 한 간략 횡단면도이다. 도 3에서는 전극 리드(20) 및 전극탭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제1 실시예와 공통되는 내용은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대부분 생략하겠으며, 제1 실시예와 차이가 나는 점을 중점적으로 설명함을 밝혀둔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100A)는 제1 실시예와 씰링부(40)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즉, 씰링부(40)는 내부 씰링부(42)와 외부 씰링부(48) 외에도 중간 씰링부(4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중간 씰링부(44)는 내부 씰링부(42)와 외부 씰링부(48)와 모두 이격된 채로 가스 유로(46)를 따라 배치된다. 이에 따라, 가스 유로(46)도 복수 개로 구획된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100A)의 경우, 외부 씰링부(48)의 씰링면 폭(D3)은 중간 씰링부(44)의 씰링면 폭(D2)보다 ?게 형성될 수 있고, 중간 씰링부(44)의 씰링면 폭(D2)은 내부 씰링부(42)의 씰링면 폭(D1)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중간 씰링부(44)는 폐곡선을 이룬다.
따라서, 내부 씰링부(42)가 파손되는 순간 중간 씰링부(44)가 함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고, 가스에 의한 압력이 더욱 상승하여 중간 씰링부(44)가 파손되는 순간에는 외부 씰링부(48)가 함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게다가, 내부 씰링부(42), 중간 씰링부(44)가 단계적으로 파손되기 때문에,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때의 압력이 단계적으로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제3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씰링부를 기준으로 한 간략 횡단면도이다. 도 4에서는 전극 리드(20) 및 전극탭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제2 실시예와 공통되는 내용은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대부분 생략하겠으며, 제2 실시예와 차이가 나는 점을 중점적으로 설명함을 밝혀둔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100B)는 제2 실시예와 중간 씰링부(44)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즉, 중간 씰링부(44)는 중간 벤트(45)를 가지며, 상기 중간 벤트(45)는 내부 씰링부(42)와 외부 씰링부(48) 사이의 가스 유동을 허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 3 실시예의 경우, 내부 씰링부(42)가 파손되는 순간, 복수 개로 구획된 가스 유로(46) 중 내측 가스 유로(46)를 통하여 가스가 흐르게 되고, 중간 벤트(45)를 통하여 다시 외측 가스 유로(46)를 통하여 가스가 흐르며, 최종적으로 안전 벤트(49)를 통하여 가스가 외부로 배출된다.
제2 실시예에서는 내부 씰링부(42)와, 중간 씰링부(44)의 단계적 파손으로 인하여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때의 압력이 단계적으로 저감되는 것에 비하여, 제3 실시예에서는 가스가 내측 가스 유로(46)와 외측 가스 유로(46)를 통과하는 과정 중에 가스의 압력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간 벤트(45)가 안전 벤트(49)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때까지의 거리를 최대화 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전 벤트(49)의 반대편이란, 기하학적으로 엄밀한 의미에서의 반대편뿐만이 아니라, 도 4를 기준으로, 중간 씰링부(44)의 오른쪽 편에 안전 벤트(49)가 형성된 경우를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임을 밝혀둔다.
<제4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씰링부를 기준으로 한 간략 횡단면도이다. 도 5에서는 전극 리드(20) 및 전극탭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제1 실시예와 공통되는 내용은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대부분 생략하겠으며, 제1 실시예와 차이가 나는 점을 중점적으로 설명함을 밝혀둔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100C)는 제1 실시예와 안전 벤트(49)의 형상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즉, 안전 벨트는 군집된 복수 개의 벤트로 이루어져 있다.
제4 실시예의 안전 벤트(49)의 면적이 제1 실시예의 안전 벤트(49)의 면적과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양 실시예에 있어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속도는 동일하다. 그러나, 제4 실시예의 경우, 각각의 벤트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가스 유로(46)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이 낮은 장점이 있다.
한편, 제4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은 제1 실시예뿐만 아니라,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전극 조립체 20 : 전극 리드
30 : 파우치형 케이스 31 : 하부 케이스
31a : 수납부 32 : 상부 케이스
40 : 씰링부 42 : 내부 씰링부
44 : 중간 씰링부 45 : 중간 벤트
46 : 가스 유로 48 : 외부 씰링부
49 : 안전 벤트 100 : 파우치형 이차전지

Claims (8)

  1.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며, 가장자리에 형성된 씰링부를 갖는 파우치형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씰링부는, 폐곡선을 이루며 상기 전극 조립체를 외부와 차단하는 내부 씰링부; 및 상기 내부 씰링부와의 사이에 가스 유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내부 씰링부의 외곽을 둘러싸고 안전 벤트를 갖는 외부 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씰링부의 씰링면 폭은 상기 내부 씰링부의 씰링면 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는,
    상기 내부 씰링부 및 상기 외부 씰링부와 모두 이격된 채로 상기 가스 유로를 따라 배치되는 중간 씰링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씰링부의 씰링면 폭은 상기 중간 씰링부의 씰링면 폭보다 넓고, 상기 중간 씰링부의 씰링면 폭은 상기 내부 씰링부의 씰링면 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씰링부는 폐곡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씰링부는 상기 내부 씰링부와 상기 외부 씰링부 사이의 가스 유동을 허용하는 중간 벤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벤트는 상기 안전 벤트의 반대편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벤트는 군집된 복수 개의 벤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20130049316A 2013-05-02 2013-05-02 안전 벤트를 갖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1620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316A KR101620666B1 (ko) 2013-05-02 2013-05-02 안전 벤트를 갖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JP2015524209A JP6006874B2 (ja) 2013-05-02 2014-04-25 安全ベントを有するパウチ型二次電池
PCT/KR2014/003691 WO2014178580A1 (ko) 2013-05-02 2014-04-25 안전 벤트를 갖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CN201420226212.7U CN203850366U (zh) 2013-05-02 2014-05-05 具有安全排气口的袋型二次电池
CN201410186972.4A CN104134770B (zh) 2013-05-02 2014-05-05 具有安全排气口的袋型二次电池
US14/553,255 US9768429B2 (en) 2013-05-02 2014-11-25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safety v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316A KR101620666B1 (ko) 2013-05-02 2013-05-02 안전 벤트를 갖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844A true KR20140130844A (ko) 2014-11-12
KR101620666B1 KR101620666B1 (ko) 2016-05-12

Family

ID=51563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9316A KR101620666B1 (ko) 2013-05-02 2013-05-02 안전 벤트를 갖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68429B2 (ko)
JP (1) JP6006874B2 (ko)
KR (1) KR101620666B1 (ko)
CN (2) CN203850366U (ko)
WO (1) WO20141785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666B1 (ko) * 2013-05-02 2016-05-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 벤트를 갖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JP6330634B2 (ja) * 2014-11-26 2018-05-3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蓄電モジュール
CN106469791A (zh) * 2015-08-18 2017-03-01 有量科技股份有限公司 锂电池模块
JP6594738B2 (ja) * 2015-11-02 2019-10-23 株式会社エンビジョンAescエナジーデバイス フィルム外装電池
KR20170050884A (ko) * 2015-11-02 2017-05-11 주식회사 코캄 파우치 타입 이차전지
KR102504793B1 (ko) * 2015-11-23 2023-02-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2347901B1 (ko) * 2017-10-17 2022-01-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균열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263990A (zh) * 2017-10-30 2020-06-09 京瓷株式会社 电化学电池和电化学电池堆
KR102385711B1 (ko) * 2018-06-07 2022-04-1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내부 발생 가스 실시간 분석 장치
CN111341945B (zh) 2018-12-18 2022-01-25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芯及电池
JP7259691B2 (ja) * 2019-10-08 2023-04-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ラミネート構造体
US11668756B2 (en) 2020-09-25 2023-06-06 Google Llc Battery degrada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s
US11680918B2 (en) 2020-09-25 2023-06-20 Google Llc Thermal gradient batter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547B1 (ko) * 2004-10-01 2006-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이차 전지
CN101189746B (zh) 2005-03-17 2011-08-24 日本电气株式会社 覆膜电气设备及其制造方法
JP4968423B2 (ja) * 2005-05-30 2012-07-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リチウム電池の外装体
JP2007200717A (ja) * 2006-01-26 2007-08-09 Toyota Motor Corp 電池セル
KR100959090B1 (ko) 2007-12-18 2010-05-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개선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1436641B1 (ko) * 2008-07-08 2014-09-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진공의 수분차단방지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52001B1 (ko) * 2009-10-09 2014-10-23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및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1082196B1 (ko) * 2009-12-23 2011-11-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의 제조방법
KR101419570B1 (ko) * 2010-03-12 2014-07-14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스 배출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02953A (ko) 2011-03-09 2012-09-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노즐 지지 구조체
KR101245282B1 (ko) * 2011-03-09 2013-03-19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20666B1 (ko) * 2013-05-02 2016-05-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 벤트를 갖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3850366U (zh) 2014-09-24
CN104134770A (zh) 2014-11-05
JP6006874B2 (ja) 2016-10-12
US9768429B2 (en) 2017-09-19
KR101620666B1 (ko) 2016-05-12
US20150079436A1 (en) 2015-03-19
CN104134770B (zh) 2017-05-03
JP2015526858A (ja) 2015-09-10
WO2014178580A1 (ko) 2014-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0666B1 (ko) 안전 벤트를 갖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2318043B1 (ko)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EP2924763B1 (en) Secondary battery
KR20040110598A (ko) 이차 전지
JP2010192209A (ja) 二次電池およびこれを備えた組電池
EP3051611B1 (en) Battery cell comprising means for protecting short circuit
JP2011204469A (ja) 角形密閉二次電池
KR20140087773A (ko) 안정성이 향상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1968345B1 (ko) 이차 전지
KR20160111614A (ko) 실링부에 벤팅부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KR20160021347A (ko)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벤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160039803A (ko) 이차전지 탑 캡 어셈블리
KR101498471B1 (ko)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50031875A (ko) 배터리 모듈
US11183722B2 (en) Secondary battery and top cover assembly thereof
KR20140091337A (ko) 이차 전지
JP2007265656A (ja) 角形電池ケース及び角形電池
KR20190032019A (ko) 벤팅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150045623A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0542186B1 (ko) 이차 전지
KR101500233B1 (ko) 차량의 고전압배터리
KR101749724B1 (ko) 관통구가 형성된 pcb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587920B1 (ko) 셀 본체의 구조가 개선된 이차전지 및 이를 구비한 이차전지 어셈블리
JP6020879B2 (ja) 外装容器、蓄電素子
US20230291066A1 (en) Cell tab with an integrated rupture valve for a battery cell, and a battery cell comprising said cell ta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