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0778A - 썸네일을 이용한 파일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썸네일을 이용한 파일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0778A
KR20140130778A KR20130049134A KR20130049134A KR20140130778A KR 20140130778 A KR20140130778 A KR 20140130778A KR 20130049134 A KR20130049134 A KR 20130049134A KR 20130049134 A KR20130049134 A KR 20130049134A KR 20140130778 A KR20140130778 A KR 20140130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thumbnail
storage path
display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9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1765B1 (ko
Inventor
최민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9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765B1/ko
Priority to US14/259,667 priority patent/US9377945B2/en
Priority to CN201410182052.5A priority patent/CN104133609B/zh
Publication of KR20140130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6File or folder operations, e.g. 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 G06F16/168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e.g. browsing and visualisation, 2d or 3d GU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썸네일을 이용한 파일 관리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단말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나타내는 썸네일 및 상기 파일의 저장 경로를 표시하고, 제1썸네일의 표시 위치를 제2썸네일의 표시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명령을 입력 받으면 제1썸네일이 나타내는 제1파일과 제2썸네일이 나타내는 제2파일의 저장 경로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 후, 제1파일과 제2파일의 저장 경로가 상이하면, 제1파일의 저장 경로를 제2파일의 저장 경로와 동일하게 변경하고, 제1파일의 변경된 저장 경로를 표시한다.

Description

썸네일을 이용한 파일 관리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file management using thumbnails}
본 발명은 썸네일을 이용한 파일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면에 표시되는 파일의 썸네일을 이동시킴으로써 파일의 저장 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PC,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기기에 저장된 이미지, 동영상 및 문서 등의 파일은 각각 저장 경로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으로서 폴더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파일의 저장 경로는 해당 파일이 저장된 폴더의 경로이다. 따라서 동일한 폴더에 저장된 파일들의 저장 경로는 모두 동일하지만, 서로 다른 폴더에 저장된 파일들은 각각 다른 저장 경로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폴더에 각각 파일들이 저장되면 서로 다른 폴더에 저장된 파일들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확인하기 어렵다. 즉, 동일 저장 경로를 가지는 파일들만 함께 표시되는 것이다.
이때 파일의 저장 경로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파일 이동 또는 복사 기능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PC에서 폴더 A에 저장된 파일을 폴더 B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폴더 A 내의 파일을 드래그(drag)한 후 폴더 B에 드롭(drop)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해당 파일에 대한 복사(copy) 및 붙여넣기(paste) 기능을 통해 파일의 저장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기기에서 촬영된 이미지 파일들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폴더에 모두 저장되며, 이미지 파일을 특정 폴더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메뉴를 사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고자 하는 폴더를 선택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파일을 관리하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서로 다른 저장 경로를 가지는 파일들의 저장 경로를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썸네일을 이용한 단말의 파일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나타내는 썸네일 및 상기 파일의 저장 경로를 표시하는 단계; 제1썸네일의 표시 위치를 제2썸네일의 표시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제1썸네일이 나타내는 제1파일과 상기 제2썸네일이 나타내는 제2파일의 저장 경로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파일과 상기 제2파일의 저장 경로가 상이하면, 상기 제1파일의 저장 경로를 상기 제2파일의 저장 경로와 동일하게 변경하고, 상기 제1파일의 변경된 저장 경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썸네일을 이용한 단말의 파일 관리 장치로서, 상기 단말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나타내는 썸네일 및 상기 파일의 저장 경로가 표시되는 표시부; 및 제1썸네일의 표시 위치를 제2썸네일의 표시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명령을 입력 받으면 상기 제1썸네일이 나타내는 제1파일과 상기 제2썸네일이 나타내는 제2파일의 저장 경로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파일과 상기 제2파일의 저장 경로가 상이하면, 상기 제1파일의 저장 경로를 상기 제2파일의 저장 경로와 동일하게 변경하고, 상기 제1파일의 변경된 저장 경로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썸네일을 이용한 파일 관리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파일의 저장 경로에 무관하게 모든 파일의 썸네일을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고, 썸네일의 이동에 의해 파일의 저장 경로를 용이하고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썸네일 및 저장 경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썸네일 및 저장 경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표시된 썸네일을 이동시키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파일의 저장 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메시지를 표시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파일의 변경된 저장 경로가 표시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복수의 파일의 저장 경로를 변경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복수의 파일의 저장 경로가 변경된 결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파일의 저장 경로를 변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터치식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단말을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이 구현된 여타의 다른 단말에도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통신부(110), 신호 처리부(120), 입력부(130), 표시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10) 및 신호 처리부(120)는 단말의 통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이 통신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생략 가능하다.
통신부(110)는 단말(100)의 통신을 위한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유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60)로 출력하고, 제어부(16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유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120)는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디지털 신호를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입력부(130)는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 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입력부(130)는 숫자 키, 방향 키 등을 포함하는 키 패드(key pad) 또는 마우스(mouse)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단말이 휴대용 기기인 경우에는 소정의 기능 키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40)가 터치식 디스플레이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키 입력부(140)가 최소화 내지 생략될 수도 있다.
표시부(140)는 단말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140)는 단말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부(140)는 단말에 저장된 파일들의 썸네일 및 파일의 저장 경로를 표시하고, 입력 받은 명령에 대응하여 썸네일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변경된 저장 경로를 표시한다.
표시부(14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140)가 터치식 디스플레이로 구현되는 경우, 표시부(140)는 터치 센서부(14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터치 센서부(142)는 표시부(14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서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한다. 이때 터치 센서부(142)는 터치되는 위치 및 면적뿐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다.
즉, 터치 센서부(142)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감지 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한 상태에서 이동(드래그)하면, 터치 센서부(142)는 이동 경로의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터치 센서부(142)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저항막 방식(resistive oberlay), 표면 초음파 방식(surface acoustic wave), 적외선 방식(infrared beam) 등의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되거나, 압력 감지 센서(pressure sensor)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서들 이외에도 물체의 접촉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 기기가 본 발명의 터치 센서부(142)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기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단말의 기타 옵션 기능, 예컨대, 음성 대화 기능,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단말의 사용에 따라 생성되거나 외부로부터 입력 받은 파일이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이미지 파일, 동영상 파일, 오디오 파일, 문서 파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부(150)는 단말에서 생성되거나 외부로부터 입력 받은 파일들이 저장된다. 저장된 각 파일의 식별자 및 저장 경로는 제어부(160)로 전달된다. 여기서 파일의 저장 경로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저장부(150)의 데이터 영역에서 파일이 위치하는 최하위 폴더의 경로가 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단말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60)는 표시 제어부(162) 및 입력 처리부(16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162)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파일의 썸네일 및 저장 경로를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한다. 입력 처리부(164)는 입력부(130) 또는 표시부(140)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에 대응하여 파일의 저장 경로를 변경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관리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어부(160)는 표시부(140)를 제어하여 저장부(150)에 저장된 파일을 나타내는 썸네일을 표시하고, 파일의 저장 경로를 썸네일과 함께 표시한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단말의 파일 탐색 기능이 동작함에 따라 저장부(150)에 저장된 파일의 썸네일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썸네일의 형태로 표시되는 파일들은 특정 폴더와 같은 저장 경로에 한정되지 않고, 저장부(150)에 저장된 모든 파일들의 썸네일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표시되는 파일의 유형 역시 이미지, 동영상의 특정 유형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유형의 파일이 표시될 수도 있으며, 설정에 따라 특정 유형의 파일들만이 표시부(140)를 통해 썸네일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0)를 통해 썸네일과 함께 표시되는 파일의 저장 경로는 복수의 파일이 서로 다른 저장 경로를 가지는 경우에 각 파일의 서로 다른 저장 경로를 구별할 수 있는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일을 나타내는 썸네일이 화면에 표시되고, 해당 파일의 저장 경로가 썸네일을 둘러싼 색상 또는 패턴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파일의 저장 경로를 나타내는 아이콘(icon)과 같은 기호가 썸네일 부근에 표시될 수도 있고, 파일이 저장된 최하위 폴더의 명칭이 썸네일과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파일의 저장 경로를 구분할 수 있는 어떠한 표시 방법도 적용 가능하다.
도 2는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되는 썸네일 및 저장 경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부(140)는 상태 표시 영역(201), 기능 표시 영역(202) 및 썸네일 표시 영역(20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태 표시 영역(201)은 단말에서 실행 중인 기능들 및 단말의 현재 상태 등이 표시되는 영역이고, 기능 표시 영역(202)은 썸네일 표시 영역(203)에 파일들의 썸네일(211~222)이 표시되어 있음을 나타내기 위한 영역이다. 예를 들어, 단말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파일들의 썸네일(211~222)이 썸네일 표시 영역(203)에 표시되면, 기능 표시 영역(202)에는 저장된 이미지 파일들을 탐색한다는 표시가 출력될 수 있다.
썸네일 표시 영역(203)에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파일들의 썸네일(211~222)이 표시된다. 또한 각각의 썸네일(211~222)에 대응하여 각 파일의 저장 경로가 표시된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파일의 저장 경로가 썸네일(211~222)을 둘러싼 패턴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썸네일 211에 대응하는 파일의 저장 경로 251과 썸네일 214에 대응하는 파일의 저장 경로 252, 썸네일 217에 대응하는 파일의 저장 경로 253은 서로 다른 패턴으로 표시된다. 또한 썸네일 211, 215, 218 및 219이 동일한 패턴으로 둘러싸여 있으므로, 대응하는 파일들이 동일한 저장 경로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파일' 및 파일을 나타내는 '썸네일'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파일의 '저장 경로' 및 저장 경로를 나타내는 '패턴 내지 기타 식별 표시' 역시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되는 썸네일 및 저장 경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저장부(150)에 저장된 파일들의 저장 경로를 나타내기 위해 도 2와 같은 패턴(251, 252, 253) 대신 각 파일이 저장된 최하위 폴더의 명칭(301, 302, 303)이 각 썸네일(211~222)에 인접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파일의 저장 경로가 도 2와 같이 썸네일을 둘러싼 패턴으로 표시되는 경우를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썸네일(211~222) 및 저장 경로(251, 252, 253)가 표시부(140)의 썸네일 표시 영역(203)에 표시된 후 특정 썸네일에 대한 이동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별도의 입력부(130)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이동 명령은 키 패드 또는 마우스에 의한 썸네일의 선택 및 이동 명령일 수 있으며, 표시부(140)가 터치 디스플레이 형태로 구현되어 터치 센서부(142)가 구비되어 잇는 경우, 이동 명령은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썸네일들(211~222) 중 특정 썸네일을 터치한 상태에서의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동작일 수 있다.
도 4는 표시된 썸네일을 이동시키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입력부(130)를 통해 썸네일 211에 대한 선택 및 이동 명령이 연속하여 입력됨에 따라 표시부(140)를 제어하여 썸네일 211을 썸네일 214의 표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제어부(160)는 터치 디스플레이인 표시부(140)를 통해 입력된 썸네일 211에 대한 터치 후의 드래그 및 드랍 동작에 따라 표시부(140)를 제어하여 썸네일 211의 위치를 썸네일 214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썸네일 211의 대부분의 영역이 썸네일 214와 중첩되지 않고, 이동된 썸네일이 여러 개의 썸네일과 중첩되는 경우, 썸네일의 이동 위치는 이동한 썸네일과의 중첩 면적이 가장 넓은 썸네일의 위치로 결정될 수도 있고, 표시부(130)가 터치 디스플레이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드랍(drop) 동작이 발생하는 위치로 썸네일의 이동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표시부(140) 상에서 이동한 썸네일(이하, '제1썸네일'이라 한다)이 다른 썸네일(이하, '제2썸네일'이라 한다)의 표시 위치와 중첩되면, 두 썸네일이 나타내는 파일의 저장 경로를 비교하여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 제어부(160)는 썸네일 211에 대응하는 파일 211의 현재 저장 경로와 썸네일 214에 대응하는 파일 214의 현재 저장 경로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비교 결과 제1썸네일에 대응하는 파일(이하, '제1파일'이라 한다)과 제2썸네일에 대응하는 파일(이하, '제2파일'이라 한다)의 저장 경로가 상이하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40) 상에서 위치가 이동된 제1썸네일에 대응하는 제1파일의 저장 경로를 제2파일의 저장 경로와 동일하게 변경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 썸네일 211의 표시 위치가 이동하여 썸네일 214와 중첩되므로, 제어부(160)는 파일 211의 저장부(150)에서의 저장 경로를 파일 214와 동일하게 변경한다. 그에 따라 파일 211과 파일 214는 동일한 저장 경로를 가지게 된다.
한편, 제어부(160)는 파일의 저장 경로를 변경하기 전에 표시부(140)를 제어하여 저장 경로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5는 파일의 저장 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메시지를 표시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40)를 제어하여 파일 211의 저장 경로를 변경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확인 메시지(501)를 출력한다. ?인 메시지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팝업 윈도우의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고, 그 밖에 사용자에게 선택 입력을 요청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5의 확인 메시지(501)에서 'YES'가 선택되면, 제어부(160)는 파일 211의 저장 경로를 파일 214의 저장 경로와 동일하게 변경한다. 반면, 확인 메시지(501)에서 'NO'가 선택되면, 제어부(160)는 파일 211의 저장 경로를 변경하지 않고 원래의 저장 경로를 유지한다.
썸네일 211이 나타내는 파일 211의 이동 경로가 변경된 후, 제어부(160)는 표시부(140)를 제어하여 썸네일 211과 함께 표시되는 저장 경로의 표시를 변경한다.
도 6은 파일의 변경된 저장 경로가 표시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썸네일 211과 함께 표시되는 저장 경로(601)가 썸네일 214와 함께 표시된 저장 경로(602)와 동일하게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입력된 이동 명령에 대응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썸네일이 제2썸네일과 중첩되는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제1썸네일에 대응하는 파일의 저장 경로가 변경되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40)를 제어하여 제1썸네일의 표시 위치를 이동 전의 원래의 표시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는 도 6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표시부(140)를 제어하여 파일의 저장 경로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제1썸네일과 제2썸네일에 대응하는 현재 저장 경로가 동일하여 제1썸네일의 저장 경로를 변경할 필요가 없는 경우 또는 확인 메시지(501)에서 'NO'가 선택되어 제1썸네일의 저장 경로를 변경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추가적인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제1썸네일의 표시 위치를 이동 전의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파일의 저장 경로를 변경하는 경우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의 파일의 저장 경로를 한 번에 변경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7은 복수의 파일의 저장 경로를 변경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입력된 이동 명령에 대응하여 썸네일 211, 212 및 213이 썸네일 215의 표시 위치를 향해 함께 이동될 수 있다. 표시부(140)가 터치 디스플레이로 구현되는 경우, 썸네일 211, 212 및 213에 대한 순차적인 터치 동작에 이어 썸네일 215의 표시 위치로의 드래그 및 드랍 동작이 수행됨으로써 복수의 썸네일을 한 번에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160)는 복수의 썸네일 211, 212 및 213이 썸네일 215의 위치로 함께 이동하는 경우, 이동된 썸네일들 211, 212, 213과 썸네일 215의 저장 경로를 비교하고, 썸네일 215와 저장 경로가 상이한 파일의 저장 경로를 변경한다. 예를 들면, 도 7에서 썸네일 211은 썸네일 215와 저장 경로가 동일하지만, 썸네일 212 및 213은 썸네일 215와 저장 경로가 상이하므로, 제어부(160)는 썸네일 212 및 213의 저장 경로를 썸네일 215와 동일하게 변경한다. 각각의 썸네일이 나타내는 파일의 저장 경로 변경 및 변경된 저장 경로의 표시 과정에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복수의 파일의 저장 경로가 변경된 결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썸네일 211과 함께 표시된 저장 경로(801)는 이동 전과 동일하게 유지되며, 썸네일 212 및 213과 함께 표시되는 저장 경로(802, 803)는 썸네일 215와 함께 표시된 저장 경로(804)와 동일하게 변경되어 표시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파일의 저장 경로를 변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901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0)를 제어하여 단말에 저장된 파일에 대응하는 썸네일을 표시한다. 902 단계에서 제1썸네일의 표시 위치를 제2썸네일의 표시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명령이 입력된다.
제어부(160)는 903 단계에서 제1썸네일과 제2썸네일이 나타내는 파일의 저장 경로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파일의 저장 경로가 상이하면, 제어부(160)는 904 단계에서 제1썸네일에 대응하는 파일의 저장 경로를 제2썸네일에 대응하는 파일의 저장 경로와 동일하게 변경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변경된 저장 경로를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한다.
파일의 저장 경로가 동일하면, 제어부(160)는 이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종료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4)

  1. 썸네일을 이용한 단말의 파일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나타내는 썸네일 및 상기 파일의 저장 경로를 표시하는 단계;
    제1썸네일의 표시 위치를 제2썸네일의 표시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제1썸네일이 나타내는 제1파일과 상기 제2썸네일이 나타내는 제2파일의 저장 경로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파일과 상기 제2파일의 저장 경로가 상이하면, 상기 제1파일의 저장 경로를 상기 제2파일의 저장 경로와 동일하게 변경하고, 상기 제1파일의 변경된 저장 경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에서, 상기 이동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제1썸네일이 상기 제2썸네일과 중첩되도록 표시하고,
    상기 변경된 저장 경로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썸네일의 위치를 상기 이동 명령이 입력되기 이전의 표시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일과 상기 제2파일의 저장 경로가 상이하면 상기 제1파일의 저장 경로의 변경 여부를 나타내는 확인 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확인 메시지에 대응하여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파일의 저장 경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의 저장 경로는 상기 썸네일의 주변부에 색상 또는 패턴에 의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명령은 터치 디스플레이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touch) 동작 후의 드래그 앤 드롭 (drag and drop)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썸네일은 복수 개의 썸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은 이미지 파일, 동영상 파일, 오디오 파일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 방법.
  8. 썸네일을 이용한 단말의 파일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나타내는 썸네일 및 상기 파일의 저장 경로가 표시되는 표시부; 및
    제1썸네일의 표시 위치를 제2썸네일의 표시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명령을 입력 받으면 상기 제1썸네일이 나타내는 제1파일과 상기 제2썸네일이 나타내는 제2파일의 저장 경로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파일과 상기 제2파일의 저장 경로가 상이하면, 상기 제1파일의 저장 경로를 상기 제2파일의 저장 경로와 동일하게 변경하고, 상기 제1파일의 변경된 저장 경로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제1썸네일이 상기 제2썸네일과 중첩되도록 표시하고, 상기 변경된 저장 경로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썸네일의 위치를 상기 이동 명령이 입력되기 이전의 표시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파일과 상기 제2파일의 저장 경로가 상이하면 상기 제1파일의 저장 경로의 변경 여부를 나타내는 확인 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확인 메시지에 대응하여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파일의 저장 경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 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의 저장 경로는 상기 썸네일의 주변부에 색상 또는 패턴에 의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 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명령은 터치 디스플레이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touch) 동작 후의 드래그 앤 드롭 (drag and drop)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 장치.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썸네일은 복수 개의 썸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 장치.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은 이미지 파일, 동영상 파일, 오디오 파일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관리 장치.
KR1020130049134A 2013-05-02 2013-05-02 썸네일을 이용한 파일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131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134A KR102131765B1 (ko) 2013-05-02 2013-05-02 썸네일을 이용한 파일 관리 방법 및 장치
US14/259,667 US9377945B2 (en) 2013-05-02 2014-04-23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file using thumbnail
CN201410182052.5A CN104133609B (zh) 2013-05-02 2014-04-30 用于使用缩略图管理文件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134A KR102131765B1 (ko) 2013-05-02 2013-05-02 썸네일을 이용한 파일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778A true KR20140130778A (ko) 2014-11-12
KR102131765B1 KR102131765B1 (ko) 2020-07-08

Family

ID=51806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9134A KR102131765B1 (ko) 2013-05-02 2013-05-02 썸네일을 이용한 파일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377945B2 (ko)
KR (1) KR102131765B1 (ko)
CN (1) CN1041336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9032A (ko) * 2013-07-09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CN116009742A (zh) * 2021-10-22 2023-04-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跨设备文件显示方法、设备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1458A (ko) * 2006-06-22 2007-12-2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편리한 파일 분류를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7058B2 (ja) * 2007-12-07 2010-10-0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表示端末、情報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969790B1 (ko) * 2008-09-02 2010-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컨텐츠 합성방법
US8386950B2 (en) * 2010-04-05 2013-02-2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rranging a plurality of icons on a touch sensitive display
CN102033710B (zh) * 2010-04-07 2015-03-11 苹果公司 用于管理文件夹的方法和相关设备
US8881061B2 (en) * 2010-04-07 2014-11-04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1458A (ko) * 2006-06-22 2007-12-2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편리한 파일 분류를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77945B2 (en) 2016-06-28
CN104133609A (zh) 2014-11-05
US20140330872A1 (en) 2014-11-06
KR102131765B1 (ko) 2020-07-08
CN104133609B (zh) 2018-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584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02034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
US9459759B2 (en)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use histor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EP3495933B1 (en)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displaying image
US9582903B2 (en) Display terminal device connectable to external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for
JP6448900B2 (ja) 状況情報基盤の情報提供方法、そのシステム及びその記録媒体
US201801012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creens in a portable terminal
KR101974852B1 (ko) 터치스크린을 가진 단말에서 오브젝트 이동 방법 및 장치
US20150346967A1 (en) Mobile terminal, television broadcast receiver, and device linkage method
US20130050143A1 (en) Method of providing of user interface in portab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KR102251834B1 (ko)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CA2846482A1 (en) Method of providing of user interface in portab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KR102187236B1 (ko) 프리뷰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KR10203741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 매체
KR20120038827A (ko) 전자 장치 및 메뉴를 구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방법
US20190065030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500675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User Interface in a Device with Touch Screen
KR20120140291A (ko)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데이터 표시 방법
KR20140028223A (ko) 주소록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131765B1 (ko) 썸네일을 이용한 파일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1301137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keywords
KR102205842B1 (ko) 전자 장치의 아이템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40103631A (ko)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874898B1 (ko) 휴대 단말기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