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3631A -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3631A
KR20140103631A KR1020130017269A KR20130017269A KR20140103631A KR 20140103631 A KR20140103631 A KR 20140103631A KR 1020130017269 A KR1020130017269 A KR 1020130017269A KR 20130017269 A KR20130017269 A KR 20130017269A KR 20140103631 A KR20140103631 A KR 20140103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ommand
dialog
area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6676B1 (ko
Inventor
이정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7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676B1/ko
Priority to US14/184,040 priority patent/US9529498B2/en
Publication of KR20140103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 처리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표시부는 단말의 동작에 관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며, 제어부는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다이얼로그(dialog)를 표시하고, 표시부의 다이얼로그가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설정된 보조 입력 영역을 통해 다이얼로그에 대응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단말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 처리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nput through user interface}
본 발명은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그램 실행에 따라 사용자에게 그에 대응하는 입력을 요청하고, 다양한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을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에서 프로그램 실행 등의 동작을 수행하던 중 다음의 동작을 위해 사용자의 입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단말에 특정 데이터의 삭제 명령을 입력한 후 단말에서 실제로 삭제 동작을 실행하기 이전에 사용자의 확인 명령을 한 번 더 입력 받는 경우 또는 단말에서 프로그램 오류 등의 특정 상황이 발생함에 따라 이후의 처리 과정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에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확인 명령 또는 선택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팝업 윈도우 형식의 다이얼로그(dialog)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는 다이얼로그 내의 선택 버튼을 통해 확인 명령 또는 선택 명령을 입력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다이얼로그는 단말의 전체 화면에 비해 작은 크기로 표시되는 것이 보통이며, 그에 따라 다이얼로그 내의 선택 버튼의 크기는 더욱 작게 표시된다.
최근 휴대용 기기의 성능 향상 및 사용자 요구에 따라 태블릿(tablet) PC와 같이 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단말이 보편화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의 휴대용 단말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컨트롤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위와 같이 사용자가 다이얼로그의 특정 영역을 통해서만 명령을 입력해야 하는 구성은 특히 터치식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단말에서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표시된 다이얼로그에 대응하는 사용자 명령을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용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입력 받은 명령에 따라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 입력 처리 장치로서, 상기 단말의 동작에 관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는 표시부; 및 상기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다이얼로그(dialog)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에서 상기 다이얼로그가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설정된 보조 입력 영역을 통해 상기 다이얼로그에 대응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입력 받은 명령에 따라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 입력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다이얼로그(dialog)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다이얼로그가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디스플레이 영역에 설정된 보조 입력 영역을 통해 상기 다이얼로그에 대응하는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 처리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를 한 손으로 조작하기 어려운 경우에 별도의 보조 입력 영역을 이용하여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되므로, 휴대용 기기의 장점인 사용자 편의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를 통해 다이얼로그가 표시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표시부의 다이얼로그를 제외한 영역에 보조 입력 영역이 설정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조 입력 영역을 통한 사용자 입력의 패턴이 미리 정의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터치 지속 시간 또는 연속된 터치 횟수를 달리하여 서로 다른 사용자 입력 패턴이 정의되는 경우의 처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로 다이얼로그가 이동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터치식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단말을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이 구현된 여타의 다른 단말에도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100)은 통신부(110), 신호처리부(120), 입력부(130), 표시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단말(100)의 통신을 위한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유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60)로 출력하고, 제어부(16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유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은 통신부(110)에 의한 통신 기능을 반드시 구비할 필요는 없으며, 통신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100)에도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하다.
신호처리부(120)는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디지털 신호를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100)의 동작에 있어서 신호처리부(120)는 입력부(130) 또는 표시부(140)를 통한 입력을 처리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단말(100)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입력부(130)는 숫자 키, 방향 키 등을 포함하는 키 패드(key pad) 또는 마우스(mouse)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단말(100)이 휴대용 기기인 경우에는 소정의 기능 키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40)가 터치식 디스플레이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키 입력부(140)가 최소화 내지 생략될 수도 있다.
표시부(140)는 단말(1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140)는 단말(100)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다이얼로그는 표시부(14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140)가 터치식 디스플레이로 구현되는 경우, 표시부(140)는 터치 센서부(14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터치 센서부(142)는 표시부(14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서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한다. 이때 터치 센서부(142)는 터치되는 위치 및 면적뿐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다.
즉, 터치 센서부(142)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감지 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한 상태에서 이동(드래그)하면, 터치 센서부(142)는 이동 경로의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터치 센서부(142)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저항막 방식(resistive oberlay), 표면 초음파 방식(surface acoustic wave), 적외선 방식(infrared beam) 등의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되거나, 압력 감지 센서(pressure sensor)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서들 이외에도 물체의 접촉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 기기가 본 발명의 터치 센서부(142)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단말(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기(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단말(100)의 기타 옵션 기능, 예컨대, 음성 대화 기능,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단말(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이미지, 동영상, 폰 북, 오디오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단말(10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60)는 표시 제어부(162) 및 입력 처리부(164)를 구비할 수 있으며, 표시 제어부(162)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을 필요가 있는 경우에 표시부(140)를 제어하여 1 이상의 선택 버튼이 포함된 다이얼로그를 표시한다. 또한 입력 처리부(164)는 표시된 다이얼로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부(130) 또는 표시부(140)를 통해 입력되면 사용자의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단말(100)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60)의 입력 처리부(164)는 사용자의 명령이 다이얼로그의 선택 버튼이 아닌 다른 경로, 예를 들면 터치식 디스플레이인 표시부(140)에서 다이얼로그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통해 입력되는 경우에 입력의 패턴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단말(100)을 제어한다. 이때 사용자의 입력의 패턴 및 그에 따른 단말(100)의 동작은 저장부(15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처리 과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205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다이얼로그를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140)를 통해 다이얼로그가 표시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100)에서 특정 프로그램 내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던 중 사용자의 추가적인 입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단말(100)의 주소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특정 연락처를 선택하여 선택된 연락처의 삭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연락처의 선택 및 선택된 연락처의 삭제 명령이 차례로 입력되면, 연락처의 삭제 동작을 실제로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로부터 연락처의 삭제를 최종적으로 확인하는 확인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표시부(140)에 사용자로부터 확인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다이얼로그(310)를 표시할 수 있다.
다이얼로그(3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40)의 일부 영역, 바람직하게는 표시부(140)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팝업 윈도우의 형태로 표시된다. 다이얼로그(310)의 내부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수행될 동작, 예를 들면 연락처의 삭제 동작을 설명하는 메시지 영역(320)이 포함되며, 사용자는 다이얼로그(310)의 메시지 영역(320)에 표시된 메시지를 통해 단말(100)에서 수행될 예정인 동작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다이얼로그(310)는 실제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할 영역을 표시하는 선택 버튼(330, 34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40)가 터치식 디스플레이인 경우, 사용자는 선택 버튼(330, 340)에 해당하는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단말(100)이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선택 버튼(330, 3400)에는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명령의 종류가 표시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현재 단말(100)에서 수행될 예정인 동작을 취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취소 버튼(330)에 해당하는 영역을 터치하고, 수행 예정인 동작이 실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확인 버튼(340)에 해당하는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단말(100)이 그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다이얼로그(310) 표시 후 210 단계에서 사용자의 터치 등에 따른 입력이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215 단계에서 사용자의 입력이 다이얼로그(310) 내의 선택 버튼(330, 340)을 통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선택 버튼(330, 340)을 통해 사용자의 명령이 정상적으로 입력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60)는 220 단계에서 선택 버튼(330, 340)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단말(100)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앞에서 언급한 연락처 삭제 명령 후의 사용자의 입력이 선택 버튼(330, 340) 중 확인 버튼(340)을 터치함에 따른 확인 명령인 경우, 제어부(160)는 단말(100)을 제어하여 선택된 연락처를 삭제한다.
종래 기술과 같이 사용자의 명령이 다이얼로그(310)의 선택 버튼(330, 340))을 통해서만 입력되는 경우, 다이얼로그(310)가 표시부(140)에 표시되어 있는 동안 다이얼로그(310)를 제외한 영역은 비활성화 상태가 되어 다이얼로그(310)의 선택 버튼(330, 340) 외의 영역을 통한 입력은 무효 처리된다.
예를 들면, 다이얼로그(310)가 표시되기 이전에 단말(100)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부(140)에 표시되고, 실행 화면에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다양한 메뉴 키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의 추가 입력을 필요로 하는 동작이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40)의 실행 화면에 오버랩(overlap)하여 다이얼로그(310)를 표시하고, 다이얼로그(310)를 제외한 영역에 해당하는 실행 화면은 블러(blur) 처리 등에 의해 비활성화 상태임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실행 화면에 포함된 메뉴 키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발생하여도 해당 입력은 무효화되어 단말(100)에 아무런 동작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휴대용 기기의 디스플레이 크기가 커짐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100)을 한 손으로 제어하기 어렵게 되므로, 사용자는 화면 해상도의 증가에 따른 편리함을 얻을 수 있는 한편 조작의 어려움을 일정 부분 감수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휴대용 기기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의 한 손 조작이 어렵게 된다는 문제가 제기되는 상황에서 도 3과 같이 다이얼로그(310) 내의 선택 버튼(330, 340)을 통해서만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다이얼로그(310) 외의 비활성화된 영역의 낭비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기기 조작의 어려움을 가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 사용자가 휴대용 기기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이얼로그(310)에 대응한 입력 방법을 다양화한다.
구체적으로, 표시부(140)에서 다이얼로그(310)를 제외한 영역이 비활성화 상태가 되는 대신 사용자의 입력이 유효하게 처리될 수 있는 보조 입력 영역이 다이얼로그(310)를 제외한 영역에 설정되고, 제어부(160)는 보조 입력 영역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이 미리 정의된 패턴의 입력인 경우에는 해당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단말(100)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215 단계에서 사용자의 입력이 다이얼로그(310) 내의 선택 버튼(330, 340)을 통한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225 단계에서 해당 입력이 미리 정의된 패턴의 입력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미리 정의된 입력 패턴과 일치하면 230 단계에서 정의된 입력 패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단말(100)을 제어한다.
여기서 보조 입력 영역은 표시부(140)에서 다이얼로그(310)에 해당하는 영역을 제외한 전체 영역이 될 수도 있고, 다이얼로그(310)를 제외한 영역 중에서 한정된 영역이 보조 입력 영역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보조 입력 영역은 다이얼로그(310)에 포함된 선택 버튼(330, 340)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분리된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보조 입력 영역이 한정된 영역으로 설정되는 경우, 제어부(160)는 도 2의 215 단계에서 사용자의 명령이 다이얼로그(310) 내의 선택 버튼(330, 340)을 통해 입력된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추가적으로 그 입력이 미리 설정된 보조 입력 영역을 통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표시부(140)의 다이얼로그(310)를 제외한 영역에 보조 입력 영역이 설정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표시부(140)에서 다이얼로그(310)가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 중 일부가 보조 입력 영역(410)으로 설정된다. 도 4a의 경우에 보조 입력 영역(410)은 하나의 영역으로 설정되며, 제어부(160)는 보조 입력 영역(410)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을 다이얼로그(310)의 선택 버튼(330, 340)을 통한 입력과 동일하게 처리한다.
도 4b는 복수의 보조 입력 영역(410)이 설정되는 경우로서, 표시부(140)의 다이얼로그(310)가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두 개의 보조 입력 영역(420, 430)이 설정된다. 두 개의 보조 입력 영역(420, 430)은 다이얼로그(310)에 포함된 두 개의 선택 버튼(330, 340)에 각각 대응되도록 설정되며,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입력이 어떤 보조 입력 영역(420, 430)을 통해 입력된 것인지에 따라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 입력 영역(410, 420, 430)이 별도로 설정되는 경우, 제어부(160)는 보조 입력 영역(410, 420, 430)의 위치 및 해당 보조 입력 영역(410, 420, 430)을 통해 입력 가능한 명령의 종류를 표시부(140)에 표시하여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표시부(140)에 두 개의 보조 입력 영역(420, 430)이 설정된 경우에 각각의 보조 입력 영역(420, 430)이 다이얼로그(310)의 두 개의 선택 버튼(330, 340) 중 어떤 것에 대응하는지 표시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위쪽의 보조 입력 영역(420)에는 선택 버튼(330, 340) 중 취소(Cancel) 명령을 입력 받는 선택 버튼(330)에 대응함을 나타내기 위해 'Cancel'이라는 문구를 표시하고, 아래쪽이 보조 입력 영역(430)에는 확인(OK) 명령을 입력 받는 선택 버튼(340)에 대응함을 나타내기 위해 'OK'의 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a 내지 4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보조 입력 영역(410, 420, 430)이 표시부(140)의 우측에 설정된다. 그러나 보조 입력 영역(410, 420, 430)의 위치는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사용자 설정에 따라, 예를 들면 오른손잡이 설정 또는 왼손잡이 설정의 선택에 따라 표시부(140) 내에서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이 보조 입력 영역(410, 420, 430)이 설정되는 경우에, 보조 입력 영역(410, 420, 430)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의 패턴이 미리 정의되고, 입력의 패턴에 따라 서로 다른 명령이 대응되어 설정될 수 있다. 미리 정의되는 입력의 패턴 및 그에 따른 단말(100)의 동작은 저장부(150)에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새로운 입력 패턴의 정의 또는 입력의 패턴에 따른 동작 설정은 단말(100) 제조시에 설정되는 것 외에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보조 입력 영역(410, 420, 430)을 통해 입력될 특정한 입력 패턴이 정의되는 경우, 제어부(160)는 보조 입력 영역(410, 420, 430)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의 패턴이 미리 정의된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 입력의 패턴에 대응하여 설정된 명령에 따라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이얼로그(310)의 선택 버튼(330, 340)을 통한 입력의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는 명령의 종류에 대응하는 개수의 선택 버튼(330, 340)이 표시되므로 입력의 패턴이 사용자의 터치(touch) 동작으로만 한정되어도 무방하다. 그러나 보조 입력 영역(410, 420, 430)이 별도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입력 받을 사용자의 명령의 종류에 대응하는 개수의 입력의 패턴이 각각의 명령에 대응되도록 미리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부(140)가 터치식 디스플레이인 경우에 사용자 입력의 패턴은 터치의 횟수, 터치된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 터치 후 드래그 방향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조 입력 영역(410, 420, 430)을 통한 사용자 입력의 패턴이 미리 정의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부(140)에서 다이얼로그(310)에 해당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두 개의 보조 입력 영역(420, 430)이 설정된다. 두 개의 보조 입력 영역(420, 430)은 다이얼로그(310)에 포함된 두 개의 선택 버튼(330, 340)에 각각 대응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의 패턴은 각각의 보조 입력 영역(420, 430)에 대해 상이하게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위쪽의 보조 입력 영역(420)은 다이얼로그(310)의 '취소' 선택 버튼(330)에 대응하는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영역으로, 사용자가 위쪽 보조 입력 영역(420)의 좌측 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이 다이얼로그(310)의 '취소' 선택 버튼(330)을 터치한 것과 동일한 명령을 입력한 것으로 판단하여 그에 대응하는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가 아래쪽의 보조 입력 영역(430)의 우측 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이 다이얼로그(310)의 '확인' 선택 버튼(340)을 터치한 것과 동일한 명령을 입력한 것으로 판단하여 그에 대응하는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도 4c에서 각각의 보조 입력 영역(420, 430)에 관한 설명을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사용자 입력의 패턴에 관한 설명을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위쪽의 보조 입력 영역(420) 내부에 우측 방향으로의 드래그 입력이 '취소' 명령임을 나타내는 화살표(510) 및 설명 문구 'Cancel'을 표시할 수 있고, 아래쪽의 보조 입력 영역(430) 내부에 좌측 방향으로의 드래그 입력이 '확인' 명령임을 나타내는 화살표(520) 및 설명 문구 'OK'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표시부(140)의 상이한 위치에 설정된 복수의 보조 입력 영역(420, 430)에 대응하여 각각 서로 다른 입력 패턴이 정의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보조 입력 영역(410, 420, 430)이 특정 범위로 한정되지 않은 경우 또는 하나의 영역으로만 설정된 경우에도 복수의 서로 다른 입력 패턴이 정의될 수 있으며, 하나의 보조 입력 영역(410, 420, 430) 내에서 입력의 위치를 달리하는 서로 다른 입력 패턴이 정의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터치 지속 시간 또는 연속된 터치 횟수를 달리하여 서로 다른 사용자 입력 패턴이 정의되는 경우의 처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60)가 표시부(140)를 통해 다이얼로그(310)를 표시하고, 605 단계에서 다이얼로그(310) 외의 영역에 설정된 보조 입력 영역(410, 420, 430)을 통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의 패턴이 사전에 정의된 패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610 단계에서 보조 입력 영역(410, 420, 43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보다 오래 지속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터치 지속 시간이 기준 시간보다 긴 경우에는 그러한 경우에 대응하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단말(100)을 제어한다(615 단계).
또한 보조 입력 영역(410, 420, 43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기준 시간보다 짧게 지속되는 경우, 즉 짧은 터치 동작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160)는 620 단계에서 연속된 짧은 터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의 연속된 터치 횟수가 기준 횟수와 일치하면, 제어부(160)는 625 단계에서 터치 횟수에 대응하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단말(100)을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보조 입력 영역(410, 420, 430)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가 다이얼로그(310)의 선택 버튼(330, 340)을 터치한 경우와 같이 입력 즉시 그에 대응하는 단말(100)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러나 선택 버튼(330, 340)을 통한 입력과는 달리 보조 입력 영역(410, 420, 430)을 통한 간접적인 입력임을 고려하여 추가적인 확인 과정을 수행한 후 단말(10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보조 입력 영역(410, 420, 430)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이 발생하고, 그 입력 패턴이 미리 정의된 입력 패턴과 일치하면 다이얼로그(310)의 선택 버튼들(330, 340) 중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선택 버튼(330, 340)을 강조(highlight) 표시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의도한 입력이 맞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60)는 선택 버튼(330, 340)을 강조 표시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추가적인 입력이 없으면 사용자가 의도한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단말(10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선택 버튼(330, 340)을 강조 표시한 후 사용자가 다시 화면을 터치하는 등 추가적인 입력이 발생하면 현재 수행 예정인 동작을 취소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사용자는 표시부(140)의 중심에 표시되는 다이얼로그(310)를 한 손으로 조작하기 어려운 경우에 별도의 보조 입력 영역(410, 420, 430)을 이용하여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되므로, 휴대용 기기의 장점인 사용자 편의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이얼로그(310)의 위치는 고정시키고, 보조 입력 영역(410, 420, 430)을 통해 입력된 명령을 다이얼로그(310)의 선택 버튼(330, 340)을 통한 입력과 동일하게 판단하는 실시예 외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다이얼로그(310)의 위치를 사용자가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다이얼로그(310)에 선택 버튼(330, 340)뿐 아니라 체크박스, 리스트박스, 에디트박스 등이 포함되어 있거나 선택 가능한 경우의 수가 지나치게 많아 단순한 터치와 같은 입력 패턴만으로는 다이얼로그(310)를 통한 입력을 대체하기에 부족한 경우에 위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로 다이얼로그(310)가 이동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와 같이 다이얼로그(310)가 표시부(140)의 중심에 표시된 경우에, 다이얼로그(310)가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 중의 터치 지점(710)에 사용자의 터치가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도 7의 (b)와 같이 다이얼로그(310)의 위치를 표시부(140)의 터치 지점(710)으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다이얼로그(310)의 중심이 터치 지점(710)과 일치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터치 지점(710)의 위치 및 다이얼로그(310)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한 지점(710)으로 다이얼로그(310)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경우에는 표시부(140)에서 다이얼로그(310)가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 전체가 보조 입력 영역으로 설정되어 사용자가 다이얼로그를 직접 조작하기 편리한 위치를 터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이얼로그(31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경우, 사용자가 조작하기 편리한 형태로 다이얼로그(310) 내의 선택 버튼(330, 340)의 배치를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선택 버튼(330, 340)이 좌우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터치한 지점(710)으로 다이얼로그(310)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선택 버튼(330, 340)이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변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0)

  1. 입력 받은 명령에 따라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 입력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동작에 관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는 표시부; 및
    상기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다이얼로그(dialog)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에서 상기 다이얼로그가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설정된 보조 입력 영역을 통해 상기 다이얼로그에 대응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로그는 복수의 명령을 각각 입력 받기 위한 복수의 선택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입력 영역을 통해 입력된 상기 명령에 대응하는 선택 버튼에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선택 버튼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보조 입력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서 상기 보조 입력 영역이 설정된 지점에 상기 보조 입력 영역을 통해 입력될 명령에 대한 설명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로그에 대응하는 명령에 대하여 미리 정의된 입력 패턴이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입력 영역을 통해 입력된 명령의 입력 패턴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입력 패턴과 일치하면 상기 입력 패턴에 대응하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로그는 복수의 명령을 각각 입력 받기 위한 복수의 선택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복수의 선택 버튼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입력 패턴이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입력 패턴 중 상기 보조 입력 영역을 통해 입력된 명령의 입력 패턴과 일치하는 입력 패턴에 대응하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입력 패턴에 대응하는 복수의 보조 입력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입력 패턴에 대한 설명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터치식 디스플레이이며,
    상기 입력 패턴은 상기 터치식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속하는 터치 횟수, 터치 유지 시간, 터치 상태에서의 드래그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입력 영역에서 상기 명령이 입력된 지점으로 상기 다이얼로그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장치.
  11. 입력 받은 명령에 따라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 입력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다이얼로그(dialog)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다이얼로그가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디스플레이 영역에 설정된 보조 입력 영역을 통해 상기 다이얼로그에 대응하는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로그는 복수의 명령을 각각 입력 받기 위한 복수의 선택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입력 영역을 통해 입력된 상기 명령에 대응하는 선택 버튼에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선택 버튼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보조 입력 영역이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로그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보조 입력 영역이 설정된 지점에 상기 보조 입력 영역을 통해 입력될 명령에 대한 설명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로그에 대응하는 명령에 대하여 미리 정의된 입력 패턴이 저장되며,
    상기 보조 입력 영역을 통해 입력된 명령의 입력 패턴이 상기 저장된 입력 패턴과 일치하면 상기 입력 패턴에 대응하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로그는 복수의 명령을 각각 입력 받기 위한 복수의 선택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선택 버튼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입력 패턴이 저장되고,
    상기 저장된 복수의 입력 패턴 중 상기 보조 입력 영역을 통해 입력된 명령의 입력 패턴과 일치하는 입력 패턴에 대응하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력 패턴에 대응하는 복수의 보조 입력 영역이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방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로그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입력 패턴에 대한 설명을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방법.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패턴은 터치식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속하는 터치 횟수, 터치 유지 시간, 터치 상태에서의 드래그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방법.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에서, 상기 보조 입력 영역에서 상기 명령이 입력된 지점으로 상기 다이얼로그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처리 방법.
KR1020130017269A 2013-02-19 2013-02-19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086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269A KR102086676B1 (ko) 2013-02-19 2013-02-19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 처리 장치 및 방법
US14/184,040 US9529498B2 (en) 2013-02-19 2014-02-19 Input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user inte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269A KR102086676B1 (ko) 2013-02-19 2013-02-19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631A true KR20140103631A (ko) 2014-08-27
KR102086676B1 KR102086676B1 (ko) 2020-03-09

Family

ID=51352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269A KR102086676B1 (ko) 2013-02-19 2013-02-19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29498B2 (ko)
KR (1) KR1020866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57947B2 (en) * 2014-03-03 2018-01-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adata driven dialog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4295A (ja) * 1994-06-13 1995-12-22 Fuji Xerox Co Ltd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
KR20080104858A (ko) * 2007-05-29 2008-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기반의 제스쳐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그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단말 기기
KR20120016729A (ko) * 2010-08-17 2012-02-27 주식회사 팬택 터치스크린의 제어영역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20120129621A (ko) * 2011-05-20 2012-11-28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전기전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30401B2 (en) 2001-05-16 2010-06-01 Synaptics Incorporated Touch screen with user interface enhancement
US8542196B2 (en) * 2005-07-22 2013-09-24 Move Mobile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a thumb-optimized touch-screen user interface
JP2012256099A (ja) * 2011-06-07 2012-12-27 Sony Corp 情報処理端末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CN102436477A (zh) * 2011-10-11 2012-05-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关联内容搜索功能的装置及方法
US9164658B2 (en) * 2012-10-12 2015-10-20 Cellco Partnership Flexible selection tool for mobile devic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4295A (ja) * 1994-06-13 1995-12-22 Fuji Xerox Co Ltd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
KR20080104858A (ko) * 2007-05-29 2008-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기반의 제스쳐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그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단말 기기
KR20120016729A (ko) * 2010-08-17 2012-02-27 주식회사 팬택 터치스크린의 제어영역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20120129621A (ko) * 2011-05-20 2012-11-28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전기전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676B1 (ko) 2020-03-09
US9529498B2 (en) 2016-12-27
US20140237424A1 (en) 2014-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6241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pying and pasting content in a computing device
US10152228B2 (en) Enhanced display of interactive elements in a browser
JP2019220237A (ja) 文字入力インターフェース提供方法及び装置
US10282081B2 (en) Input and output method in touch screen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KR10201697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534509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screen and input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1974852B1 (ko) 터치스크린을 가진 단말에서 오브젝트 이동 방법 및 장치
CN104317520B (zh) 显示区域内容处理方法及装置
US201203040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screen of mobile device having touch screen
EP2669786A2 (en) Method for displaying item in terminal and terminal using the same
US201400553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home screen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US977274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WO2014061626A1 (ja) タッチパネル式入力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30097331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기기에서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8366169B (zh) 一种通知消息的处理方法及移动终端
US100191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rtual screen
EP2829967A2 (en) Method of processing inpu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EP2677413B1 (en) Method for improving touch recogni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301453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ask management screen of mobile device having touch screen
KR20150037026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40759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디바이스에서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CN107728898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移动终端
KR102403141B1 (ko) 프리뷰 ui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5159874A (zh) 文字的修改方法及装置
KR102086676B1 (ko)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 처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