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0163A - 업링크 mimo 통신을 위한 리소스 할당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업링크 mimo 통신을 위한 리소스 할당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0163A
KR20140130163A KR1020147025010A KR20147025010A KR20140130163A KR 20140130163 A KR20140130163 A KR 20140130163A KR 1020147025010 A KR1020147025010 A KR 1020147025010A KR 20147025010 A KR20147025010 A KR 20147025010A KR 20140130163 A KR20140130163 A KR 20140130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
node
power
dpcch
pri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5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단루 창
샤라드 디팍 삼브와니
아르준 브하라드와즈
라비 아가왈
소니 제이. 악카라카란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30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1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forma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2Outer and inner lo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the mobile station comprising multiple antennas, e.g. to provide uplink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04J11/0026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multi-use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케줄링 그랜트들은, 복수의 업링크 MIMO 스트림들에 관련된 노드 B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1차 스트림에 대한 1차 전송 전력 및 1차 전송 블록 사이즈에 관한 결정이 행해질 수도 있다. 2차 스트림에 대한 2차 송신 전력 및 2차 전송 블록 사이즈가 또한 결정될 수도 있다. 노드 B로부터의 E-RGCH(enhanced relative grant channel) 뿐만 아니라 비-서빙 노드 B로부터의 E-RGCH가 복수의 업링크 MIMO 스트림들의 각각에 대해 수신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업링크 MIMO 통신을 위한 리소스 할당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RESOURCE ALLOCATION FOR UPLINK MIMO COMMUNICATION}
35 U.S.C.§119 하의 우선권 주장
본 특허 출원은 다음의 가특허출원들, 즉
발명의 명칭이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Uplink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at a Media Access Control Layer"로 2012년 2월 8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1/596,682호;
발명의 명칭이 "Signaling Grants, E-TFC Selection and Power Scaling for UL MIMO"으로 2012년 3월 19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1/612,541호; 및
발명의 명칭이 "E-TFC Selection and Serving Grant Interpretation for UL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으로 2012년 5월 1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1/646,241호
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이들 가출원들 각각은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고, 그로써 본 명세서에 인용에 의해 명백히 포함된다.
특허에 대한 공동-계류중인 출원들에 대한 참조
본 발명의 특허출원은 다음의 공동-계류중인 미국 특허 출원들, 즉
대리인 도켓 제 121364U1를 갖고, 본 발명과 동시에 출원되었고,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으며, 본 명세서에 인용에 의해 명백히 포함되는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Resources for Uplink MIMO Communication"; 및
대리인 도켓 제 121364U2를 갖고, 본 발명과 동시에 출원되었고,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으며, 본 명세서에 인용에 의해 명백히 포함되는 "Method and Apparatus for E-TFC Selection for Uplink MIMO Communication";
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업링크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은 전화통화(telephony),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들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광범위하게 배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들인 그러한 네트워크들은 이용가능한 네트워크 리소스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통신들을 지원한다. 그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이다. UTRAN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에 의해 지원되는 3세대(3G) 모바일 전화 기술인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로서 정의된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이다. 모바일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SM) 기술들의 후속인 UMTS는, 광대역-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CDMA), 시분할-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TD-CDMA), 및 시분할-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TD-SCDMA)와 같은 다양한 에어 인터페이스 표준들을 현재 지원한다. UMTS는 또한, 관련 UMTS 네트워크들에 더 높은 데이터 전달 속도들 및 용량을 제공하는 고속 패킷 액세스(HSDPA)와 같은 향상된 3G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들을 지원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다중-액세스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들(UE)에 대한 통신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각각의 UE는,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들 상에서의 송신들을 통해 노드 B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지국들과 통신한다. 순방향 링크(또는 다운링크)는 노드 B들로부터 UE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역방향 링크(또는 업링크)는 UE들로부터 노드 B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이러한 통신 링크는 단일-입력-단일-출력, 다중-입력-단일-출력 또는 다중-입력-다중-출력(MIMO) 시스템을 통해 설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시스템은, 개선된 스루풋, 송신 신뢰도, 통신 범위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MIMO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그러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의 간략화된 요약을 제시한다. 이러한 요약은 모든 고려된 양상들의 포괄적인 개관이 아니며, 임의의 또는 모든 양상들의 범위를 서술하거나 모든 양상들의 핵심 또는 중요 엘리먼트들을 식별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그의 유일한 목적은, 이후에 제시되는 더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론으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의 몇몇 개념들을 제시하는 것이다.
업링크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고려사항들에 관한 다양한 고려사항들이 본 명세서에 제시된다. 예를 들어, 다수의 업링크 스트림들을 사용자 장비(UE)에 제공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메커니즘들, 다수의 스트림들에 대한 향상된 전송 포맷 결합(E-TFC), 다수의 스트림들에 대한 전력 스캐일링 및 전송 블록 사이즈(TBS) 선택, 외부-루프 전력 제어, 및 다른 고려사항들이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다.
일 양상에서, 무선 네트워크에서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방법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방법은, MIMO에서 복수의 업링크 스트림들에 관련된 노드 B로부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케줄링 그랜트(grant)들을 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업링크 스트림들 중 1차 스트림에 대한 1차 송신 전력 및 1차 전송 블록 사이즈(TBS)를 결정하는 단계; 복수의 업링크 스트림들 중 2차 스트림에 대한 2차 송신 전력 및 2차 TBS를 결정하는 단계; 복수의 업링크 스트림들 각각에 대해, 노드 B로부터 E-RGCH(enhanced relative grant channel) 뿐만 아니라 비-서빙 노드 B로부터 다른 E-RGCH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사용자 장비(UE)에 대한 다수의 스트림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방법은, 스케줄링 그랜트가 UE 또는 셀에서 스루풋을 증가시키는지를 결정하는 것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다수의 스트림들을 포함하는 UE에 대한 스케줄링 그랜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스케줄링 그랜트를 UE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들은, 컴퓨터로 하여금 상술된 방법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동작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상술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및 상술된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스와 통신하는 메모리를 갖는 장치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양상들은 상세한 설명의 검토 시에 더 완전히 이해되게 될 것이다.
기재된 양상들은, 기재된 양상들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기 위해 제공되는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이하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동일한 지정들은 동일한 엘리먼트들을 나타낸다.
도 1은, 사용자 장비에 대한 다수의 업링크 스트림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시스템의 일 양상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의 방법의 일 양상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시스템의 방법의 일 양상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시스템의 방법의 일 양상의 흐름도이다.
도 5는, 프로세싱 시스템을 이용하는 도 1의 장치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일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의 양상들을 포함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1의 시스템의 양상들을 포함하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일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1의 시스템의 컴포넌트들에 의해 구현되는 사용자 및 제어 평면에 대한 라디오 프로토콜 아키텍처의 일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1의 시스템의 양상들을 포함하는 원격통신 시스템 내의 UE와 통신하는 노드 B의 일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아래에 기재되는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구성들의 설명으로서 의도되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개념들이 실시될 수도 있는 구성들만을 표현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개념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려는 목적을 위해 특정한 세부사항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개념들이 이들 특정한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시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몇몇 예시들에서, 잘 알려진 구조들 및 컴포넌트들은 그러한 개념들을 불명료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무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통신들을 개선시키는 것에 관련된 다양한 양상들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사용자 장비(UE)에 다수의 업링크 스트림들을 할당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메커니즘, 스트림들에 대한 향상된 전송 포맷 결합(E-TFC)을 결정하기 위한 메커니즘, 다수의 스트림들에 대한 전력 스캐일링 및 전송 블록 사이즈(TBS) 선택, 외부-루프 전력 제어, 및 유사한 고려사항들이 제안된다. 예를 들어,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다수의 업링크 스트림들을 UE에 할당할지를 결정할 시에, UE 뿐만 아니라 서빙 셀 또는 관련 노드 B에서의 스루풋을 고려할 수 있다. RoT(rise-over-thermal)는 또한, 다수의 업링크 캐리어들에 대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RoT는 기지국 상에서 수신된 총 간섭과 기지국의 열(thermal) 범위 사이의 비율을 지칭한다.
또한, 일 예에서, 노드 B는 법칙들의 세트에 기초하여 각각의 스트림에 대해 E-TFC들을 할당할 수 있으며, 몇몇 예들에서 그 세트는 둘 모두의 스트림들의 고려사항들에 관련될 수 있다. 또한, 노드 B는, 스트림들에 할당하기 위해 새로이 정의된 E-TFC들(다수의 스트림 동작의 복잡도(intricacy)들을 고려함)을 이용할 수 있다. E-TFC들은 상이한 상태 정의들,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요청(HARQ) 할당 고려사항들, 전력 스캐일링 및 TBS 선택 계산들 등을 가질 수 있다. 부가적으로, 다수의 스트림들의 할당에 기초한 외부-루프 전력 제어에 관한 고려사항들이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다. 가능한 스케줄링 할당들, E-TFC 연관들, 전력 제어 팩터들 등은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업링크 MIMO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일 예에서, 설명된 고려사항들은 UE, 노드 B 등의 매체 액세스 제어(MAC)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10)은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를 수신하기 위해 노드 B(14)와 통신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UE)(12)를 포함한다. 시스템(10)은 또한, 무선 네트워크로의 노드 B 액세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RNC(16)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를 들어, 노드 B(14)는, 매크로셀, 피코셀, 또는 펨토셀 노드 B, 모바일 노드 B, 중계부, UE(12)와 피어-투-피어 또는 애드-혹(ad-hoc) 모드로 통신하는 UE과 같은 실질적으로 임의의 노드 B일 수 있고, 그리고/또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해 UE들을 스케줄링하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컴포넌트일 수 있다. UE의 예들은, 셀룰러 전화기, 스마트폰,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기, 랩탑, 노트북, 넷북, 스마트북, 개인 휴대 정보 단말(PDA), 위성 라디오,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디바이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비디오 디바이스,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 카메라, 게임 콘솔, 또는 임의의 다른 유사한 기능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UE(12)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해 노드 B로부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케줄링 그랜트들을 획득하기 위한 스케줄링 그랜트 수신 컴포넌트(18), 스케줄링 그랜트들 또는 관련 흐름들 내의 업링크 스트림들을 E-TFC에 연관시키기 위한 E-TFC 선택 컴포넌트(20), 및 업링크 스트림들을 통해 노드 B에 송신하기 위한 통신 컴포넌트(22)를 포함한다.
노드 B(14)는, 하나 또는 다수의 스트림들에 대해 UE(12)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케줄링 그랜트들을 통신하기 위한 스케줄링 컴포넌트(24)를 포함한다. 노드 B(14)는 선택적으로, 업링크 스트림들에 관한 피드백을 획득하기 위한 제어 채널 디코딩 컴포넌트(26), 및/또는 전력 제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패킷이 수신되는 흐름에 관련된 식별자를 RNC에 통신하기 위한 패킷 식별자 표시 컴포넌트(28)를 포함한다.
RNC(16)는 선택적으로, 패킷에 관련된 스트림을 표시하는 패킷 식별자들을 노드 B(14)로부터 획득하기 위한 패킷 식별자 수신 컴포넌트(30), 및/또는 대응하는 UE에 대한 외부-루프 전력 제어를 구현하기 위한 전력 제어 컴포넌트(32)를 포함한다.
일 예에 따르면, UE(12)는 노드 B(14)로부터 네트워크 액세스를 요청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와 통신할 수 있다. 스케줄링 컴포넌트(24)는 (예를 들어, 노드 B와의 통신들을 개시할 시에, 또는 부가적인 리소스들에 대한 UE(12)로부터의 요청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검출된 이벤트들에 기초하여 등) UE(12)에 대한 스케줄링 그랜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이것은, UE(12)에 다수의 업링크 스트림들을 그랜트할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스케줄링 컴포넌트(24)는, UE(12)에 다수의 업링크 스트림들을 할당할지를 결정할 시에 UE(12)의 스루풋을 최대화시키는 것, 또는 노드 B(14) 또는 관련 셀의 스루풋을 최대화시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명의 사용자가 각각의 TTI에서 노드 B(14)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경우, 스케줄링 컴포넌트(24)는, 노드 B(14)에서 스루풋을 상당히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부가적인 업링크 스트림(들)에 의해 UE 스루풋이 증가할 것이라고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UE(12)에 다수의 업링크 스트림들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스케줄링 컴포넌트(24)는, 다수의 스트림들에 걸친 결합된 데이터 레이트들이 다수의 UE들 사이에서 비례적으로 공평(fair)하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스케줄링 컴포넌트(24)는, 적어도 최소 스루풋에 있도록 부가적인 스트림들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또한, 스케줄링 컴포넌트(24)는, 1차 스트림에 대한 관계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1차 스트림보다 더 낮은 스루풋에서) 부가적인 스트림들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스케줄링 컴포넌트(24)는, 1차 스트림에 대한 전송 블록 사이즈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는 1차 스케줄링 그랜트, 부가적으로는, 2차 스트림에 대한 전송 블록 사이즈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는 2차 스케줄링 그랜트를 할당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1차 스트림은, 1차 데이터 채널 E-DPDCH를 반송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스트림을 지칭하고, 2차 스트림은, 2차 데이터 채널 S-E-DPDCH를 반송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스트림을 지칭한다. 어느 경우이든, 스케줄링 그랜트 수신 컴포넌트(18)는, 노드 B(14)로부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업링크 스트림들에 대한 그랜트를 획득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통신 컴포넌트(22)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업링크 스트림들을 통해 노드 B(14)와 통신할 수 있다. 스케줄링 컴포넌트(24)는, 상이한 사용자들의 채널 조건들에 기초하여 그 상이한 사용자들에 다수의 스트림들을 할당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스케줄링 컴포넌트(24)는 노드 B(14)의 RoT를 제어하여, 그 RoT가 RoT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스케줄링 컴포넌트(24)는 주어진 스트림에 의해 야기된 유효한 RoT를 제어할 수 있으며, 그 RoT는 (예를 들어, 선형 최소 평균 제곱 에러(LMMSE) 수신기 또는 다른 간섭 소거 방식에 의한) 간섭 억제 이후의 주어진 스트림에 걸친 RoT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RoT가 임계치 위에 있으면, 스케줄링 컴포넌트(24)는 문제가 되는(offending) 스트림의 스루풋 또는 그랜트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스케줄링의 법칙들에 기초하여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가적인 스트림들이 최소 아래의 스루풋을 가질 수 없거나, 부가적인 스트림들이 1차 스트림보다 더 낮은 스루풋을 가질 수도 있거나 기타 등등이다).
다수의 스트림 할당에 의해 야기된 간섭에서의 공간 컬러링, 또는 지향성은 인터-셀(inter-cell) 간섭 조정에 새로운 이슈들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이것은, 각각의 UE가 하나의 스트림만을 송신하는 레거시 업링크 시스템들에 존재할 수도 있다. 셀로부터의 총 간섭이 다수의 UE들로부터 도래하는 한, 총 간섭의 지향성은 평균화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단일 UE가 셀로부터의 총 간섭을 독점(dominate)할 수도 있는 경우, 지향성 간섭은 업링크 MIMO에서 더 심각한 문제들을 생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몇몇 양상들에서, UE(12)의 비-서빙 노드 B들(미도시)은, UE(12)에 의한 간섭으로부터 비-서빙 노드 B들을 보호하도록 송신 전력에서 감소를 야기하기 위해, E-RGCH(enhanced relative grant channel) 그랜트들을 UE(12)에 통신하도록 허가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스케줄링 컴포넌트(24)는 UE(12) 작동에 기초하여 비-서빙 E-RGCH를 추론할 수 있으며; UE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할당된 업링크 스트림들에 대해 더 작은 트래픽-투-파일럿(T2P) 비율들 및/또는 전송 블록 사이즈들(TBS)을 선택하는 경우, 스케줄링 컴포넌트(24)는, UE(12)가 비-서빙 노드 B에 야기되는 인터-셀 간섭에 의해 제한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T2P 비율은 데이터 트래픽 채널 대 파일럿 채널의 오프셋을 지칭한다. 따라서, 일 예에서, 스케줄링 컴포넌트(24)는 UE(12)에 대한 스루풋을 감소시킬 수 있고, 나머지 RoT 마진까지 부가적인 스루풋을 다른 UE들에 그랜트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예를 들어, E-TFC 선택 컴포넌트(20)는, 스케줄링 그랜트 수신 컴포넌트(18)에 의해 노드 B(14)로부터 스케줄링 그랜트(들) 또는 그와 관련된 흐름들에서 수신된 각각의 스트림에 E-TFC를 할당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이것은 MAC 계층에서 발생할 수 있다. E-TFC는, 예를 들어, 이용가능한 송신 리소스들에 기초하여, UE(12)에 할당된 1차 및/또는 부가적인 업링크 스트림들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제한들을 정의할 수 있다. UE(12)는 주어진 스트림들에 대한 E-TFC 선택 컴포넌트(20)에 의해 선택가능한 E-TFC들에 대한 상태들의 세트들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들의 세트들은, 2개의 스트림들의 1차 스트림에 관련된 제 1 세트, 2개의 스트림들의 2차 스트림에 관련된 상태들의 제 2 세트, 하나만의 스트림에 대한 제 3 세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개의 스트림들이 주어지면, UE(12)는 상태들의 n+(n-1)+(n-2)+...+(n-(n-1)) 세트들을 보유할 수 있으며, 즉, 하나의 세트는 주어진 스트림 구성에서 각각의 가능한 스트림에 대한 것이다. 상태들의 주어진 세트 내의 각각의 상태는, 대응하는 페이로드가 대응하는 스트림 구성을 통해 지원되는지 또는 차단되는지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E-TFC 제한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태들은, (예를 들어, 이전의 송신 기간에서) 노드 B(14)와 통신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리소스들에 기초하여 UE(12)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UE(12)는, 노드 B(14)와 통신하는 경우 상태들을 준수(obey)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E-TFC 선택 컴포넌트(20)는, 스케줄링 그랜트 수신 컴포넌트(18)에 의해 수신된 스케줄링 그랜트(들)에 관련된 스트림들에 대한 E-TFC를 선택할 수 있고, 통신 컴포넌트(22)는, 연관된 E-TFC 및 상태들(예를 들어, 및/또는 이용될 스트림들)의 대응하는 세트에 기초하여, MAC 계층에서 스트림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에 대한 데이터를 노드 B(14)에 송신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E-TFC 선택 컴포넌트(20)에 의해 선택가능한 E-TFC들은 부가적인 스트림들에 대한 최소 T2P/TBS를 연관시켜서, 통신 컴포넌트(22)가 최소값 아래의 연관된 T2P 또는 TBS를 사용하여 부가적인 스트림들을 통해 송신할 수 없게 한다 (그리고, 그에 따라 이들 스트림들을 통한 통신들이 취소될 수 있음). 또한, 최소 E-TFC 세트(예를 들어, UE(12) 전력이 임계치 아래에 있는 경우 송신할 수 있는 E-TFC들의 세트)는 1차 스트림 또는 하나의 스트림에 대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n개의 HARQ 프로세스들이 스케줄링 그랜트들에서 표시된 스트림들을 통해 통신들을 재송신하기 위하여 UE(12)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경우, 1차 스트림에 대한 HARQ 인덱스는 0 내지 n-1일 수 있으며, 2차 스트림에 대해서는 n 내지 2n-1일 수 있다 (그리고, 3차 스트림에 대해서는 2n 내지 3n-1일 수 있는 등의 그런 식이다). 통신 컴포넌트(22)가 2개의 스트림들을 통해 업링크 통신들을 송신하는 경우, 예를 들어, HARQ 인덱스들은 페어링될 수 있어서, 1차 스트림의 인덱스 k(여기서, 0<=k<n)에 대해, 2차 스트림은 HARQ 인덱스 K+n을 가질 수 있다. 통신 컴포넌트(22)는, 스트림들의 구성에 대응하는 선택된 E-TFC의 상태들의 세트 내의 상태 등에 의존하여, 제 1 및/또는 제 2 스트림들에 대한 통신들을 재송신하기 위한 적절한 HARQ 인덱스를 사용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통신 컴포넌트(22)는, 스트림들의 구성에 기초하여 스트림을 통해 데이터를 재송신하기 위한 스트림의 본래의 TBS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스트림들이 스트림들의 구성에 따라 할당되고 이용되는 1차 스트림을 통한 재송신을 위해, 통신 컴포넌트(22)는, 초기에 송신하기 위해 1차 스트림을 통하여 사용되는 재송신과 유사한 재송신을 위해 TBS를 이용할 수 있다. 통신 컴포넌트(22)는, 1차 스트림의 재송신을 고려할 경우, 상술된 바와 같이 그랜트, 전력, 및 데이터에 따라 허용되는 2차 스트림을 추가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2개의 스트림들이 스트림들의 구성에 따라 할당되고 이용되는 2차 스트림을 통한 재송신을 위해, 통신 컴포넌트(22)는, 초기에 송신하기 위해 2차 스트림을 통하여 사용되는 재송신과 유사한 재송신을 위해 TBS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통신 컴포넌트(22)는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2차 스트림 스루풋과 1차 스트림 스루풋 사이의 관계에 관한 가능한 제한들을 위반하지 않기 위하여 1차 스트림을 통해 새로운 송신을 통신할 수 있다. 스트림의 T2P/TBS가 그의 스루풋을 초래할 수도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스루풋은 또한, T2P/TBS로 지칭된다. 다른 예에서, 2차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의 재송신은 노드 B(14)로의 단일 스트림 송신으로서 1차 스트림 상에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UE(12)는 HARQ 재송신들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스케줄링 그랜트들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스케줄링 그랜트 업데이트들은 HARQ 인덱스마다 독립적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2차 스트림에 대한 스케줄링 그랜트 업데이트가 최소 TBS보다 작으면, 제로의 그랜트 사이즈가 2차 스트림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1차 스트림이 송신을 위한 어떠한 데이터도 갖지 않으면, 1차 스트림 상의 스케줄링 그랜트 업데이트는 제로일 수 있으며, 2차 스트림 그랜트 업데이트는, 상술된 허용된 1차 및 2차 스트림 사이의 관계에 대한 제한들에도 불구하고 제로보다 클 수 있다.
통신 컴포넌트(22)는 또한, 다중-스트림 송신들에 대한 전력 스캐일링을 구현할 수 있다(예를 들어, 여기서, E-TFC에 대한 상태들의 세트 내의 선택된 상태는 단지 1차 스트림 초과를 통한 송신을 허용함). 2개의 스트림들의 맥락에서 후술되지만, 더 많은 스트림들이 스트림들에 대한 전력 스캐일링을 컴퓨팅하기에 가능하다. 통신 컴포넌트(22)는 재송신하고 있는 스트림에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통신 컴포넌트(22)는, 1차 스트림에 기초하여() 2개의 스트림들에 대한 전력을 컴퓨팅할 수 있다. 그러나, 재송신이 2차 스트림 상에서 발생하는 경우, 이것은, 본래의 T2P/TBS가 스트림들에 대해 큰 패킷 실패를 야기할 수도 있으며, 그 후, 제 1 스트림에 대한 스케줄링 그랜트는 더 작은 T2P/TBS를 초래한다. 이러한 예에서, 2차 스트림에 대한 재송신은 본래의 T2P/TBS를 요구할 수도 있지만, 1차 스트림 상에서 스케줄링 그랜트의 더 작은 T2P/TBS를 할당받을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통신 컴포넌트(22)는, 스트림들 중 하나에 대해 컴퓨팅된 더 큰 전력에 기초하여 스트림들에 대한 전력 스캐일링을 컴퓨팅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1차 스트림에 대한 컴퓨팅된 전력 스캐일링은 재송신 또는 수신된 스케줄링 그랜트에 대한 T2P/TBS에 기초할 수 있다. 2차 스트림에 대한 컴퓨팅된 전력 스캐일링은 새로운 송신에 대한 스케줄링 그랜트의 T2P/TBS에 기초할 수 있거나, 재송신에 대해서는, 패킷이 시작된 경우 이전의 전력 또는 이전의 스케줄링 그랜트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킷이 2차 스트림 상의 재송신을 위한 것이면, 2차 스트림에 대한 컴퓨팅된 전력은, 재송신할 패킷이 본래 형성된 경우 1차 스트림 상의 전력에 대응한다. 대안으로서, 패킷이 2차 스트림 상의 재송신을 위한 것이면, 2차 스트림에 대한 컴퓨팅된 전력은, 서빙 스트림 상의 SG가 완전히 이용되면 1차 스트림에 의해 사용될 전력에 대응한다. 다른 대안으로서, 패킷이 2차 스트림 상의 재송신을 위한 것이면, 2차 스트림에 대한 컴퓨팅된 전력은 이전의 송신 시도에서 사용된 전력에 대응한다. 통신 컴포넌트(22)는 1차 스트림에 대한 컴퓨팅된 전력 스캐일링 및 2차 스트림에 대한 컴퓨팅된 전력 스캐일링의 최대값을 둘 모두의 스트림들에 대한 전력 스캐일링으로서 선택할 수 있다.
일 예에서, 2차 스트림 상에 새로운 패킷이 존재하면, 통신 컴포넌트(22)는, 상술된 바와 같이, 스케줄링 그랜트 및 E-TFC 제한에 기초하여 2차 스트림에 대한 T2P/TBS를 선택할 수 있다. 최소 T2P/TBS가 임계값 아래에 있으면, 통신 컴포넌트(22)는 통신을 위해 2차 스트림을 이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통신 컴포넌트(22)는, 하나의 스트림에만 대응하는 선택된 E-TFC 내의 상태들의 세트, 스케줄링된 그랜트, 및/또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1차 스트림의 T2P/TBS(예를 들어, 고려할 어떠한 다른 스트림들도 갖지 않는 그랜트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기에 충분한 T2P/TBS)를 선택한다. 통신 컴포넌트(22)는 또한, 제 2 데이터 스트림 없는 2차 파일럿 송신을 허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2차 파일럿에 대한 전력은 1차 파일럿에 대한 전력에 대한 오프셋에 존재한다. 최소 TBS에 대한 T2P는, T2P/TBS가 임계치 위/아래에 있는 2차 스트림의 온/오프 상태 사이의 동적 스위칭이 2차 파일럿에 대한 전력에서 큰 발진(oscillation)을 야기하지 않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다른 예에서, 비-스케줄링된 그랜트는, 노드 B(14)로의 적어도 최소의 송신을 허용하기 위해 양자의 스트림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컴포넌트(22)는 1차 스트림으로 시작하는 비-스케줄링된 그랜트를 적용할 수 있으며, 데이터는, 1차 스트림 상의 비-스케줄링된 그랜트의 T2P/TBS 및 그 후에는 부가적인 스트림들에 따라 충진(fill)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스트림들이 주어지면, UE(12)는 노드 B(14)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비-서빙 노드 B들 양자 상의 유사한 수의 E-RGCH들까지 가질 수 있다.
통신 컴포넌트(22)는 또한, 스케줄링 그랜트들에 관한 피드백을 노드 B(14)에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컴포넌트(22)는, 향상된 전용 물리 제어 채널(E-DPCCH) 및/또는 2차 E-DPCCH(S-E-DPCCH)에서 해피 비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일 양상에서, 그 해피 비트는 둘 모두의 경우들에서 동일한 해피 비트 값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일 양상에서, "해피 비트"는, UE의 버퍼에 일 양의 데이터가 주어지면, UE에 할당된 업링크 데이터 레이트가 충분한지를 표시하는, UE(12)로부터 노드 B(14)로 송신된 표시자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통신 컴포넌트(22)는, 모든 스트림들 상의 결합된 데이터 레이트 및/또는 전력에 기초하여 해피 비트를 컴퓨팅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우는, 나타낸 표시를 노드 B(14)에 제공하기 위해 E-DPCCH에서 송신된 단일 해피를 사용하는 것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그러한 단일 해피 비트가 나타낸 표시를 제공하는 다른 양상에서, 그에 따라, S-E-DPCCH와 일반적으로 연관된 해피 비트는, "여분의 해피 비트"로 고려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르면, 대안적인 사용을 갖도록, 예컨데, 2차 스트림에 관련된 표시를 제공하도록 정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경우에서, "여분의 해피 비트"는: 다른 비트들 중 몇몇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S-E-DPCCH 내의 다른 비트들 중 미리-동의된(pre-agreed) 하나 또는 1-비트 체크섬과 동일하도록 셋팅될 수도 있고 - 이는, 노드 B(14)가 S-E-DPCCH를 디코딩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음 -; UE(12)가 노드 B(14)로부터 랭크 2 송신을 요청하는 시그널링을 수신했더라도, UE(12)가 랭크 1로의 자율적인(autonomous) 폴-백(fall-back)을 실행했다는 것을 표시하도록 1로 셋팅될 수도 있으며 - 특히, 비트의 1로의 셋팅은, 폴-백이 전력 제한 또는 버퍼 제한으로 인했던 것인지를 또한 전달할 수 있음 -; 미리-정의된 더 이전의 슬롯에서 사용된 프리코더 인덱스의 비트들 중 하나(LSB 또는 MSB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도록 셋팅 - 이는, 프리코더 인덱스가 시그널링되는 다운링크 채널의 전력을 노드 B(14)가 제어하는 것을 도울 수 있음 - 될 수도 있다. 임의의 경우에서, 제어 채널 디코딩 컴포넌트(26)는 해피 비트들 중 하나를 획득 및 디코딩할 수 있으며, 해피 비트를 이용하여, 스트림들의 스케줄링 그랜트들을 변경시킬지를 결정할 수 있다. 통신 컴포넌트(22)는 또한, 양자의 스트림들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SI) 리포트들을 노드 B(14)에 송신할 수 있다. SI 리포트는, 예를 들어, S-DPCCH 및 S-E-DPCCH의 전력을 고려하는 전력 헤드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통신 컴포넌트(22)가 주어진 송신을 위해 그랜트들에서 2차 또는 다른 부가적인 스트림들을 이용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제어 채널 디코딩 컴포넌트(26)는 다양한 제어 채널들(예를 들어, E-AGCH, E-RGCH, E-DPCCH 등)에 대해 널(NULL) 검출(예를 들어, 채널이 사용중인지를 결정)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일 예에서, 제어 채널 디코딩 컴포넌트(26)는, 스케줄 그랜트들, 최소 T2P/TBS, 및 아마도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림들을 표현하는 단일 해피 비트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UE(12)로부터의 제어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RNC(16)는, UE(12)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UE(12)의 전력을 조정하도록 외부 루프 전력 제어 루프를 구현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전력 제어 컴포넌트(32)는, 1차 스트림을 통해서만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UE(12)의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패킷 식별자 표시 컴포넌트(28)는 RNC(16)에 제공된 UE(12)로부터의 패킷들에 대한 스트림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패킷 식별자 수신 컴포넌트(30)는, UE(12)에 관련된 노드 B(14)로부터 획득된 패킷들에 대한 스트림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다. 전력 제어 컴포넌트(32)는, UE(12)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1차 스트림에 관련된 스트림 식별자를 갖는 패킷들을 고려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 제어 컴포넌트(32)는 모든 스트림들로부터의 패킷들에 기초하여 UE(12)의 전력을 제어할 수 있으며, 따라서, 스트림 식별자는 이러한 예에서는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에서, 전력 제어 컴포넌트(32)는 각각의 스트림에 대해 하나씩 2개 또는 그 초과의 전력 루프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트림들이 이용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패킷 식별자 표시 컴포넌트(28)는 RNC(16)에 통신된 패킷들에 스트림 식별자를 유사하게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RNC(16)는, 패킷들이 주어진 스트림에 대해 수신되는지(그리고 그에 따라 스트림에 대한 전력 루프가 초기화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임의의 경우에서, 전력 제어 컴포넌트(32)는 (예를 들어, 노드 B(14)를 통해) UE(12)에 전력 제어 컴포넌트들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제어 커맨드들은, 송신 전력을 증가시킬지 또는 감소시킬지를 표시할 수 있다. 통신 컴포넌트(22)는, 전력 제어 커맨드들에 기초하여 스트림들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등하게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DPCCH 및 S-E-DPCCH에 전력 조정들 및 이득 팩터들을 적용한 이후 전력이 최대 허용된 전력을 초과할 것이라면, 통신 컴포넌트(22)는, 총 송신 전력이 최대 허용된 전력과 동일하도록 동일한 스캐일링 팩터에 의해, 향상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DPCCH) 및 2차 E-DPDCH(S-E-DPDCH) 이득 팩터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예에서, 스캐일링 팩터는, 1차 스트림에 기초하여(예를 들어, 1차 스트림에 걸친 전력을 달성하기 위한 스캐일링 팩터에 기초하여) 컴퓨팅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E-DPCCH 전력이 부가적인 기준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부스트되는 E-TFC 식별자(E-TFCI) 임계치인 E-TFCIi가 E-TFCIec,boost보다 크다고 통신 컴포넌트(22)가 결정하면, 그것은, 스캐일링 팩터들에 따라 E-DPDCH 이득 팩터들만을 감소시키고, 본래의 전력을 사용하여 E-DPCCH를 송신할 수 있다. 유사하게, S-E-DPDCH가 2차 스트림에 대한 여분의 기준 채널에 대해 사용되면, 제 2 스트림에 대한 E-TFCIec,boost가 사용되고, S-E-DPCCH가 부스트되면, 통신 컴포넌트(22)는 스캐일링 팩터들에 따라 S-E-DPDCH의 이득을 감소시킬 수 있다.
통신 컴포넌트(22)는, (1) 불연속 송신(DTX)이 모든 E-DPDCH들 상에서 사용되더라도, DPDCH가 구성되고 총 송신 전력이 최대 허용된 값을 여전히 초과할 것이라면; 또는 (2) 모든 k에 대한 이득 팩터가 최소 이득 팩터에 존재하더라도, 어떠한 DPDCH도 구성되지 않고 총 송신 전력이 최대 허용된 값을 여전히 초과할 것이라면, 최대 허용된 전력에 도달하도록 총 송신 전력에 부가적인 스캐일링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컴포넌트(22)는, DPCCH와 DPDCH 사이의 정의된 전력 비율에 따라 총 송신 전력을 추가적으로 스캐일링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양상에서, 업링크 MIMO에서 다수의 스트림들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방법(40)이 도시된다. 설명의 목적들을 위해, 방법(40)은 상술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다른 구현들에서, 도 1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다른 시스템들 및/또는 UE들, 노드 B들, 또는 RNC들이 도 2의 방법(40)을 구현할 시에 사용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42)에서, 스케줄링 그랜트 수신 컴포넌트(18)는 노드 B 스케줄링 컴포넌트(24)로부터 MIMO에서 복수의 업링크 스트림들에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케줄링 그랜트들을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케줄링 그랜트 수신 컴포넌트(18)는, 노드 B로부터 리소스들을 할당하기 위해 제어 채널을 통하여 스케줄링 그랜트들을 수신할 수도 있다. 스케줄링 그랜트들은 스트림마다 존재할 수 있으므로, 스케줄링 그랜트는 업링크 스트림들 각각에 대해 수신된다.
(44)에서, 통신 컴포넌트(22)는, 복수의 업링크 스트림들 중 1차 스트림에 대한 1차 송신 전력 또는 1차 TBS를 컴퓨팅할 수도 있으며, (46)에서, 통신 컴포넌트(22)는, 복수의 업링크 스트림들 중 2차 스트림에 대한 2차 송신 전력 또는 2차 TBS를 결정할 수도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통신 컴포넌트(22)는, 업링크 스트림들에 대한 선택된 E-TFC 및/또는 통신들이 업링크 스트림들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지에 대응하는 상태들의 관련 세트에 기초하여, 1차 송신 전력 및 2차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력 또는 리소스들이 이용가능한 경우, 통신 컴포넌트(22)는, 1차 및 2차 스트림들을 통해 송신하기에 충분한 값들로서 송신 전력 및 TBS를 컴퓨팅할 수도 있다. 그러나, 몇몇 경우들에서, E-TFC의 상태들은, 이용가능한 리소스들에 의존하여 1차 및 2차 스트림들을 통한 송신을 허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예를 들어, 또는 적어도, 2차 스트림을 통해 통신하기에 충분한 2차 TBS를 허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선택 컴포넌트(20)는, 더 상세히 상술된 바와 같이, 1차 또는 2차 스트림들에 대한 데이터를 재송신하기 위해 HARQ 리소스들을 결정하고, HARQ 재송신들에 기초하여 스케줄링 그랜트 업데이트들을 수신하고, 복수의 스트림들을 통한 송신들을 위해 전력 스캐일링을 결정하고, 복수의 스트림들에 걸쳐 비-스케줄링된 그랜트들을 적용하는 등의 동작을 행하는데 사용되는 E-TFC를 선택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e-TFC 선택 컴포넌트(20)는 업링크 스트림마다 그랜트 채널들을 구성할 수 있고, 복수의 업링크 스트림들에 대한 공통 해피 비트는 노드 B에 통신될 수 있는 등의 식이다.
(48)에서, 몇몇 양상들에서, 통신 컴포넌트(220)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노드 B로부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E-RGCH(enhanced relative grant channel)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빙 노드 B의 스케줄링 컴포넌트(24)는 제 1 E-RGCH를 제공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비-서빙 노드 B들의 스케줄링 컴포넌트는 부가적인 E-RGCH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비-서빙 노드 B가 E-RGCH를 UE에 통신하도록 허가하는 것은, UE에 의한 간섭으로부터 비-서빙 노드 B를 보호하기 위해 송신 전력에서의 감소를 야기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양상에서, 무선 네트워크에서 UE에 다수의 업링크 스트림들을 할당하기 위한 방법(50)이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목적들을 위해, 방법(50)은 상술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다른 구현들에서, 도 1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다른 시스템들 및/또는 UE들, 노드 B들, 또는 RNC들이 도 3의 방법(50)을 구현할 시에 사용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51)에서, 일 양상에서, 노드 B(14)는 하나 또는 다수의 스트림들에 대한 단일 해피 비트를 수신할 수도 있다.
(52)에서, 도 1에 도시된 스케줄링 컴포넌트(24)는 다수의 스트림들을 포함하는 UE에 대한 스케줄링 그랜트를 결정할 수도 있으며, 이는 일 양상들에서는, 스케줄링 그랜트가 UE 또는 노드 B(예를 들어, 노드 B(14)) 또는 관련 셀에서 스루풋을 증가시키는지에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양자의 고려사항들은, 설명된 바와 같이, 다수의 업링크 스트림들을 UE에 그랜트할지를 결정할 시에 고려될 수 있다.
(54)에서, 스케줄링 컴포넌트(24)는 UE에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것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그랜트 채널들에 걸쳐 발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56)에서, 스케줄링 컴포넌트(24)는 다수의 스트림들에 대한 RoT를 관리할 수도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스케줄링 컴포넌트(24)는, 스트림에 걸쳐 UE 작동을 검출하는 것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스트림에 대한 RoT를 관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가 더 작은 T2P/TBS를 요청하는 경우, 그것이 더 많은 T2P/TBS를 이용하기에 충분한 전력을 갖더라도, 스케줄링 컴포넌트(24)는, UE가 비-서빙 노드 B에 간섭을 야기하고 있다고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56)에서, 스케줄링 컴포넌트(24)는, 다른 UE들에 대한 결과적인 RoT 마진을 용도변경(repurpose)하면서, 더 작은 스케줄링 그랜트를 UE에 통신함으로써 RoT를 관리할 수도 있다.
일 양상에서, 도 4는 다수의 스트림들을 통해 통신하는 UE의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60)을 도시한다.
(62)에서, 패킷 식별자 수신 컴포넌트(30)는, 주어진 패킷에 대응하는 스트림을 표시하는 스트림 표시자를 포함하는 패킷들을 노드 B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림 식별자는 주어진 UE의 스트림에 대응할 수 있으며, 여기서, UE는 패킷들을 노드 B에 통신하고, 노드 B는 코어 네트워크로 제공하기 위한 패킷들을 포워딩한다.
(64)에서, 전력 제어 컴포넌트(32)는, UE에 대한 전력 제어 커맨드들에 대해 타겟 전력을 컴퓨팅하기 위해 스트림에 대응하는 패킷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것은, UE에 대한 타겟 신호-대-잡음-및-간섭 비인 전력 세트 포인트를 컴퓨팅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 제어 컴포넌트(32)는, 세트 포인트를 컴퓨팅하기 위해 UE의 단일 스트림에 대한 패킷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다른 식별자들의 패킷들이 전력 제어 목적들을 위해 무시될 수 있거나, 특정한 스트림에 대한 전력 제어를 컴퓨팅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66)에서, 전력 제어 컴포넌트(32)는 전력 제어 커맨드들을 UE에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통신은 전력 제어 커맨드들에 전용된 채널을 통하여 노드 B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도 5는, 프로세싱 시스템(114)을 이용하는 장치(100)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일 예를 도시한 상단 레벨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장치(100)는 상술된 바와 같이, UE(12), 노드 B(14), RNC(16) 등으로서 동작하도록 특수하게 프로그래밍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예에서, 프로세싱 시스템(114)은, 버스(102)에 의해 일반적으로 표현된 버스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버스(102)는, 프로세싱 시스템(114)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설계 제한들에 의존하여 임의의 수의 상호접속 버스들 및 브리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버스(102)는, 프로세서(104)에 의해 일반적으로 표현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106)에 의해 일반적으로 표현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회로들을 함께 링크시킨다. 버스(102)는 또한,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고, 따라서 더 추가적으로 설명되지 않을 타이밍 소스들, 주변기기들, 전압 조정기들, 및 전력 관리 회로들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들을 링크시킬 수도 있다. 버스 인터페이스(108)는 버스(102)와 트랜시버(110)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트랜시버(110)는 송신 매체를 통해 다양한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장치의 속성에 의존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12)(예를 들어,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로폰, 조이스틱)가 또한 제공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04)는, 버스(102)를 관리하는 것,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106) 상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프로세싱을 담당한다.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서(104)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싱 시스템(114)으로 하여금 임의의 특정한 장치에 대해 상술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한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106)는 또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경우 프로세서(104)에 의해 조작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양상에서, 예를 들어, 프로세서(104) 및/또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106)는 상술된 바와 같이, UE(12), 노드 B(14), RNC(16) 등으로서 동작하도록 특수하게 프로그래밍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장치(100)는, UE(12), 노드 B(14), RNC(16) 등으로서 동작하도록 특수하게 프로그래밍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버스 인터페이스(108)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106)와 함께 프로세서(14)는 UE(16)의 컴포넌트들(18 및 20)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4), 버스 인터페이스(18), 컴퓨터-판독가능 매체(106), 및 트랜시버(110)는 UE(16)의 컴포넌트(22)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장치(100)가 노드 B(14)로서 동작하고 있는 경우, 버스 인터페이스(108)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106)와 함께 프로세서(14)는 노드 B(16)의 컴포넌트들(24, 26, 및 28)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장치(100)가 RNC(16)로서 동작하고 있는 경우, 버스 인터페이스(108)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106)와 함께 프로세서(14)는 RNC(16)의 컴포넌트들(30 및 32)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 전반에 걸쳐 제시된 다양한 개념들은 광범위하게 다양한 원격통신 시스템들, 네트워크 아키텍처들, 및 통신 표준들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양상들은 W-CDMA 에어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UMTS 시스템(200)을 참조하여 제시된다. UMTS 네트워크는 3개의 상호작용 도메인들, 즉 코어 네트워크(CN)(204),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202), 및 사용자 장비(UE)(210)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UTRAN(202)은 전화통신,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들, 및/또는 다른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무선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UTRAN(202)은,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RNC)(206)와 같은 각각의 RNC에 의해 각각 제어되는 라디오 네트워크 서브시스템(RNS)(207)과 같은 복수의 RNS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UTRAN(202)은 본 명세서에 도시된 RNC들(206) 및 RNS들(207)에 부가하여 임의의 수의 RNC들(206) 및 RNS들(207)을 포함할 수도 있다. RNC(206)는 다른 것들 중에서, RNS(207) 내의 라디오 리소스들을 할당, 재구성 및 릴리즈(release)하는 것을 담당하는 장치이다. RNC(206)는, 임의의 적절한 전송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직접적인 물리 접속, 가상 네트워크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들의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UTRAN(202) 내의 다른 RNC들(미도시)에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UE(210)와 노드 B(208) 사이의 통신은 물리(PHY) 계층 및 매체 액세스 제어(MAC) 계층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고려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각각의 노드 B(208)에 의한 UE(210)와 RNC(206) 사이의 통신은, 라디오 리소스 제어(RRC) 계층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고려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PHY 계층은 계층 1로 고려될 수도 있고, MAC 계층은 계층 2로 고려될 수도 있으며, RRC 계층은 계층 3으로 고려될 수도 있다. 아래의 정보는, 본 명세서에 인용에 의해 포함되는 RRC 프로토콜 규격, 즉 3GPP TS 25.331 v9.1.0에서 도입된 용어를 이용한다.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상술된 바와 같이, UE(210)는 UE(12)로서 동작하도록 특수하게 프로그래밍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구성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노드 B(208)는, 노드 B(14)로서 동작하도록 특수하게 프로그래밍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구성될 수도 있다.
RNS(207)에 의해 커버된 지리적 영역은 다수의 셀들로 분할될 수도 있으며, 라디오 트랜시버 장치는 각각의 셀을 서빙한다. 라디오 트랜시버 장치는 UMTS 애플리케이션들에서 노드 B로 일반적으로 지칭되지만, 기지국(BS),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TS), 라디오 기지국, 라디오 트랜시버, 트랜시버 기능, 기본 서비스 세트(BSS), 확장된 서비스 세트(ESS), 액세스 포인트(AP), 또는 몇몇 다른 적절한 용어로 당업자들에 의해 또한 지칭될 수도 있다. 명확화를 위해, 3개의 노드 B들(208)이 각각의 RNS(207)에 도시되어 있지만, RNS들(207)은 임의의 수의 무선 노드 B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노드 B들(208)은, 모바일 장치들일 수도 있는 임의의 수의 UE들(210)에 대하여 CN(204)에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을 제공한다. 모바일 장치의 예들은 셀룰러 전화기, 스마트폰,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기, 랩탑, 노트북, 넷북, 스마트북, 개인 휴대 정보 단말(PDA), 위성 라디오,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디바이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비디오 디바이스,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 카메라, 게임 콘솔, 또는 임의의 다른 유사한 기능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모바일 장치는 일반적으로 UMTS 애플리케이션들에서 UE로 지칭되지만, 모바일 스테이션, 가입자 스테이션,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무선 유닛, 원격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 스테이션, 액세스 단말, 모바일 단말, 무선 단말, 원격 단말, 핸드셋,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몇몇 다른 적절한 용어로 당업자들에 의해 또한 지칭될 수도 있다. UMTS 시스템에서, UE(210)는,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의 가입 정보를 포함하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211)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시의 목적들을 위해, 하나의 UE(210)가 다수의 노드 B들(208)과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순방향 링크로 또한 지칭되는 DL은 노드 B(208)로부터 UE(210)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역방향 링크로 또한 지칭되는 UL은 UE(210)로부터 노드 B(208)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CN(204)은 UTRAN(202)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액세스 네트워크들과 인터페이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CN(204)는 GSM 코어 네트워크이다. 그러나, 당업자들이 인식할 바와 같이, 본 발명 전반에 걸쳐 제시되는 다양한 개념들은, GSM 네트워크들 이외의 CN들의 타입들로의 액세스를 UE들에 제공하기 위해 RAN 또는 다른 적절한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CN(204)은 회선-교환(CS) 도메인 및 패킷-교환(PS) 도메인을 포함한다. 회선-교환 엘리먼트들 중 몇몇은 모바일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VLR) 및 게이트웨이 MSC이다. 패킷-교환 엘리먼트들은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 및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GSN)를 포함한다. EIR, HLR, VLR 및 AuC와 같은 몇몇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은 회선-교환 및 패킷-교환 도메인들 둘 모두에 의해 공유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CN(204)은 MSC(212) 및 GMSC(214)를 이용하여 회선-교환 서비스들을 지원한다. 몇몇 애플리케이션들에서, GMSC(214)는 미디어 게이트웨이(MGW)로 지칭될 수도 있다. RNC(206)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RNC들은 MSC(212)에 접속될 수도 있다. MSC(212)는 호(call) 셋업, 호 라우팅, 및 UE 모바일러티 기능들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MSC(212)는 또한, UE가 MSC(212)의 커버리지 영역에 있는 지속기간 동안 가입자-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VLR을 포함한다. GMSC(214)는 UE가 회선-교환 네트워크(216)에 액세스하기 위해 MSC(212)를 통한 게이트웨이를 제공한다. GMSC(214)는, 특정한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들의 세부사항들을 반영하는 데이터와 같은 가입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홈 위치 레지스터(HLR)(215)를 포함한다. HLR은 또한, 가입자-특정 인증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증 센터(AuC)와 연관된다. 호가 특정한 UE에 대해 수신된 경우, GMSC(214)는, UE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HLR(215)에게 쿼리(query)하고, 그 위치를 서빙하는 특정한 MSC에 그 호를 포워딩한다.
CN(204)는 또한,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218) 및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GSN)(220)를 이용하여 패킷-데이터 서비스들을 지원한다. 일반적인 패킷 라디오 서비스를 나타내는 GPRS는, 표준 회선-교환 데이터 서비스들에 관해 이용가능한 것들보다 더 높은 속도들로 패킷-데이터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GGSN(220)은 UTRAN(202)에 대한 접속을 패킷-기반 네트워크(222)에 제공한다. 패킷-기반 네트워크(222)는 인터넷, 사설 데이터 네트워크, 또는 몇몇 다른 적절한 패킷-기반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GGSN(220)의 주요 기능은 패킷-기반 네트워크 접속을 UE들(210)에 제공하는 것이다. 데이터 패킷들은, MSC(212)가 회선-교환 도메인에서 수행하는 것과 동일한 기능들을 패킷-기반 도메인에서 주로 수행하는 SGSN(218)을 통해 GGSN(220)과 UE들(210) 사이에서 전달될 수도 있다.
UMTS에 대한 에어 인터페이스는 확산 스펙트럼 다이렉트-시퀀스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DS-CDMA) 시스템을 이용할 수도 있다. 확산 스펙트럼 DS-CDMA는 칩들로 지칭되는 의사랜덤(pseudorandom) 비트들의 시퀀스와의 곱셈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확산시킨다. UMTS에 대한 "광대역" W-CDMA 에어 인터페이스는, 그러한 다이렉트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기술에 기초하며, 부가적으로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을 요청한다. FDD는, 노드 B(208)와 UE(210) 사이의 UL 및 DL에 대해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를 사용한다. DS-CDMA를 이용하고 시분할 듀플렉싱(TDD)을 사용하는 UMTS에 대한 다른 에어 인터페이스는 TD-SCDMA 에어 인터페이스이다. 당업자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예들이 WCDMA 에어 인터페이스를 지칭할 수도 있지만, 기본적인 원리들이 TD-SCDMA 에어 인터페이스에 동등하게 적용가능할 수도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HSPA 에어 인터페이스는, 더 큰 스루풋 및 감소된 레이턴시를 용이하게 하는 3G/W-CDMA 에어 인터페이스에 대한 일련의 향상들을 포함한다. 이전의 릴리즈들에 대한 다른 변경들 중에서, HSPA는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공유된 채널 송신, 및 적응적 변조 및 코딩을 이용한다. HSPA를 정의하는 표준들은 HSDPA(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 및 HSUPA(또한, 향상된 업링크, 또는 EUL로 또한 지칭되는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를 포함한다.
HSDPA는 고속 다운링크 공유 채널(HS-DSCH)을 그의 전송 채널로서 이용한다. HS-DSCH는 3개의 물리 채널들, 즉, 고속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HS-PDSCH), 고속 공유 제어 채널(HS-SCCH), 및 고속 전용 물리 제어 채널(HS-DPCCH)에 의해 구현된다.
이들 물리 채널들 중에서, HS-DPCCH는, 대응하는 패킷 송신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었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업링크 상에서 HARQ ACK/NACK 시그널링을 반송한다. 즉, 다운링크에 관해, UE(210)는, UE가 다운링크 상에서 패킷을 정확히 디코딩했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HS-DPCCH를 통해 노드 B(208)에 피드백을 제공한다.
HS-DPCCH는, 노드 B(208)가 변조 및 코딩 방식 및 프리코딩 가중 선택의 관점들에서 올바른 결정을 취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UE(210)로부터의 피드백 시그널링을 더 포함하고, 이러한 피드백 시그널링은 CQI 및 PCI를 포함한다.
"HSPA 이벌브드" 또는 HSPA+는, MIMO 및 64-QAM을 포함하는 HSPA 표준의 에볼루션(evolution)이며, 증가된 스루풋 및 더 높은 성능을 가능하게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양상에서, 노드 B(208) 및/또는 UE(210)는, MIMO 기술을 지원하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가질 수도 있다. MIMO 기술의 사용은 노드 B(208)가, 공간 멀티플렉싱, 빔포밍, 및 송신 다이버시티를 지원하기 위해 공간 도메인을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은 멀티-안테나 기술, 즉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채널로의 다수의 입력들) 및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채널로부터의 다수의 출력들)을 지칭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MIMO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데이터 송신 성능을 향상시키며, 다이버시티 이득들이 다중경로 페이딩을 감소시키고 송신 품질을 증가시킬 수 있게 하고, 공간 멀티플렉싱 이득들이 데이터 스루풋을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공간 멀티플렉싱은, 동일한 주파수 상에서 동시에 데이터의 상이한 스트림들을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데이터 스트림들은, 데이터 레이트를 증가시키도록 단일 UE(210)에 또는 전체 시스템 용량을 증가시키도록 다수의 UE들(210)에 송신될 수도 있다. 이것은,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을 공간적으로 프리코딩(precode)하고, 그 후, 다운링크 상에서 상이한 송신 안테나를 통해 각각의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스트림을 송신함으로써 달성된다.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데이터 스트림들은, 상이한 공간 서명들을 이용하여 UE(들)(210)에 도달하며, 이는 UE(들)(210) 각각이 그 UE(210)에 대해 예정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복원할 수 있게 한다. 업링크 상에서, 각각의 UE(210)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데이터 스트림들을 송신할 수도 있으며, 이는 노드 B(208)가 각각의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데이터 스트림의 소스를 식별할 수 있게 한다.
채널 조건들이 양호할 경우, 공간 멀티플렉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채널 조건들이 덜 바람직할 경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방향들로 송신 에너지를 포커싱하거나, 채널의 특징들에 기초하여 송신을 개선시키기 위해 빔포밍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것은, 다수의 안테나들을 통한 송신을 위해 데이터를 공간적으로 프리코딩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셀의 에지들에서 양호한 커버리지를 달성하기 위해, 단일 스트림 빔포밍 송신이 송신 다이버시티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n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이용하는 MIMO 시스템들에 대해, n개의 전송 블록들은 동일한 채널화 코드를 이용하는 동일한 캐리어를 통해 동시에 송신될 수도 있다. n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 전송되는 상이한 전송 블록들이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변조 및 코딩 방식들을 가질 수도 있음을 유의한다.
한편, 단일 입력 다중 출력(SIMO)은 일반적으로, 단일 송신 안테나(채널로의 단일 입력) 및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채널로부터의 다수의 출력들)을 이용하는 시스템을 지칭한다. 따라서, SIMO 시스템에서, 단일 전송 블록이 각각의 캐리어를 통해 전송된다.
도 7을 참조하면, UTRAN 아키텍처의 액세스 네트워크(300)가 도시되어 있다. 다수의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셀들(302, 304, 및 306)을 포함하는 다수의 셀룰러 영역들(셀들)을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섹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수의 섹터들은 안테나들의 그룹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안테나는 셀의 일부에서 UE들과의 통신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셀(302)에서, 안테나 그룹들(312, 314, 및 316) 각각은 상이한 섹터에 대응할 수도 있다. 셀(304)에서, 안테나 그룹들(318, 320, 및 322) 각각은 상이한 섹터에 대응한다. 셀(306)에서, 안테나 그룹들(324, 326, 및 328) 각각은 상이한 섹터에 대응한다. 셀들(302, 304 및 306)은, 각각의 셀(302, 304 또는 306)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섹터들과 통신할 수도 있는 수개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 또는 UE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들(330 및 332)은 노드 B(342)와 통신할 수도 있고, UE들(334 및 336)은 노드 B(344)와 통신할 수도 있으며, UE들(338 및 340)은 노드 B(346)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노드 B(342, 344, 346)는 각각의 셀들(302, 304, 및 306) 내의 모든 UE들(330, 332, 334, 336, 338, 340)에 대해 CN(204)(도 6 참조)에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일 양상에서, 도 7의 UE들은 상술된 바와 같이, UE(12)로서 동작하도록 특수하게 프로그래밍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구성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노드 B들은, 노드 B(14)로서 동작하도록 특수하게 프로그래밍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구성될 수도 있다.
UE(434)가 셀(304) 내의 도시된 위치로부터 셀(306)로 이동할 경우, 서빙 셀 변경(SCC) 또는 핸드오버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UE(334)와의 통신은, 소스 셀로 지칭될 수도 있는 셀(304)로부터 타겟 셀로 지칭될 수도 있는 셀(306)로 트랜지션(transition)한다. 핸드오버 절차의 관리는 UE(334)에서, 각각의 셀들에 대응하는 노드 B들에서,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206)(도 6 참조)에서, 또는 무선 네트워크 내의 다른 적절한 노드에서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셀(304)과의 호 동안, 또는 임의의 다른 시간에서, UE(334)는 소스 셀(304)의 다양한 파라미터들 뿐만 아니라 셀들(306 및 302)과 같은 이웃한 셀들의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이들 파라미터들의 품질에 의존하여, UE(334)는 이웃한 셀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와의 통신을 유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시간 동안, UE(334)는 활성 세트, 즉, UE(334)가 동시에 접속되는 셀들의 리스트를 유지할 수도 있다(즉, 다운링크 전용 물리 채널 DPCH 또는 부분적인 다운링크 전용 물리 채널 F-DPCH를 UE(334)에 현재 할당하고 있는 UTRA 셀들이 활성 세트를 구성할 수도 있음).
액세스 네트워크(300)에 의해 이용되는 변조 및 다중 액세스 방식은, 이용되고 있는 특정한 원격통신 표준에 의존하여 변할 수도 있다. 예로서, 표준은 EV-DO(Evolution-Data Optimized) 또는 UMB(Ultra Mobile Broadband)를 포함할 수도 있다. EV-DO 및 UMB는, CDMA2000 표준군의 일부로서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에 의해 발표된 에어 인터페이스 표준들이며, 브로드밴드 인터넷 액세스를 모바일 스테이션들에 제공하도록 CDMA를 이용한다. 대안적으로, 표준은 광대역-CDMA(W-CDMA) 및 TD-SCDMA와 같은 CDMA의 다른 변형들을 이용하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TDMA를 이용하는 모바일 통신들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SM); 및 이벌브드 UTRA(E-UTRA), UMB(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6(WiMAX), IEEE 802.20, 및 OFDMA를 이용하는 Flash-OFDM 일 수도 있다. UTRA, E-UTRA, UMTS, LTE, LTE 어드밴스드, 및 GSM은 3GPP 조직으로부터의 문헌들에 설명되어 있다. CDMA2000 및 UMB는 3GPP2 조직으로부터의 문헌들에 설명되어 있다. 이용되는 실제 무선 통신 표준 및 다중 액세스 기술은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에 부과된 전체 설계 제약들에 의존할 것이다.
라디오 프로토콜 아키텍처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하여 다양한 형태들 상에서 취해질 수도 있다. HSPA 시스템에 대한 일 예는 이제 도 8을 참조하여 제시될 것이다. 도 8은, 사용자 및 제어 평면들에 대한 라디오 프로토콜 아키텍처의 일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UE 및 eNB에 대한 라디오 프로토콜 아키텍처는 3개의 계층들: 계층 1, 계층 2, 및 계층 3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계층 1은 가장 낮은 계층이며, 다양한 물리 계층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구현한다. 계층 1은 물리 계층(406)으로 본 명세서에서 지칭될 것이다. 계층 2(408)는 물리 계층(506) 위에 있으며, 물리 계층(406)을 통한 UE와 노드 B 사이의 링크를 담당한다. 예를 들어, 도 8의 라디오 프로토콜 아키텍처에 대응하는 UE는 상술된 바와 같이, UE(12), 노드 B(14) 등으로서 동작하도록 특수하게 프로그래밍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구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 평면에서, L2 계층(408)은 매체 액세스 제어(MAC) 서브계층(410), 라디오 링크 제어(RLC) 서브계층(412), 및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DCP)(414) 서브계층을 포함하며, 이들은 네트워크 측 상의 노드 B에서 종단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UE는, 네트워크 측 상의 PDN 게이트웨이에서 종단되는 네트워크 계층(예를 들어, IP 계층), 및 접속의 다른 단부(예를 들어, 원단(far end) UE, 서버 등)에서 종단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포함하는 수 개의 상부 계층들을 L2 계층(408) 위에 가질 수도 있다.
PDCP 서브계층(414)은 상이한 라디오 베어러들과 로직 채널들 사이에 멀티플렉싱을 제공한다. PDCP 서브계층(414)은 또한, 라디오 송신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부 계층 데이터 패킷들에 대한 헤더 압축, 데이터 패킷들을 암호화함으로써 보안, 및 노드 B들 사이의 UE들에 대한 핸드오버 지원을 제공한다. RLC 서브계층(412)은 상부 계층 데이터 패킷들의 세그먼트화 및 리어셈블리, 손실된 데이터 패킷들의 재송신, 및 데이터 패킷들의 재순서화를 제공하여, 하이브리드 자송 반복 요청(HARQ)으로 인한 무작위(out-of-order) 수신을 보상한다. MAC 서브계층(410)은 로직 채널과 전송 채널 사이에 멀티플렉싱을 제공한다. MAC 서브계층(410)은 또한, 하나의 셀의 다양한 라디오 리소스들(예를 들어, 리소스 블록들)을 UE들 사이에 할당하는 것을 담당한다. MAC 서브계층(510)은 또한, HARQ 동작들을 담당한다.
도 9는 UE(550)와 통신하는 노드 B(510)를 포함하는 시스템(500)의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상술된 바와 같이, UE(550)는 UE(12)(도 1)로서 특수하게 프로그래밍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구성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노드 B(510)는 노드 B(14)(도 1)로서 특수하게 프로그래밍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구성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노드 B(510)는 도 6의 노드 B(208)일 수도 있고, UE(550)는 도 6의 UE(210)일 수도 있다. 다운링크 통신에서, 송신 프로세서(520)는 데이터 소스(512)로부터 데이터를 그리고 제어기/프로세서(540)로부터 제어 신호들을 수신할 수도 있다. 송신 프로세서(520)는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 뿐만 아니라 기준 신호들(예를 들어, 파일럿 신호들)에 대한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송신 프로세서(520)는, 에러 검출을 위한 CRC(cyclic redundancy check) 코드들, FEC(forward error correction)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코딩 및 인터리빙, 다양한 변조 방식들(예를 들어, 바이너리 위상-시프트 키잉(BPSK), 직교 위상-시프트 키잉(QPSK), M-위상-시프트 키잉(M-PSK), M-직교위상 진폭 변조(M-QAM) 등)에 기초한 신호 성상도(constellation)들로의 매핑, 직교 가변 확산 팩터들(OVSF)을 이용한 확산, 및 스크램블링 코드들과의 곱셈을 제공하여, 일련의 심볼들을 생성할 수도 있다. 채널 프로세서(544)로부터의 채널 추정치들은, 송신 프로세서(520)에 대한 코딩, 변조, 확산, 및/또는 스크램블링 방식들을 결정하기 위해 제어기/프로세서(540)에 의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들 채널 추정치들은 UE(550)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로부터 또는 UE(550)로부터의 피드백으로부터 도출될 수도 있다. 송신 프로세서(520)에 의해 생성된 심볼들은 프레임 구조를 생성하기 위해 송신 프레임 프로세서(530)에 제공된다. 송신 프레임 프로세서(530)는, 제어기/프로세서(540)로부터의 정보와 심볼들을 멀티플렉싱함으로써 이러한 프레임 구조를 생성하여, 일련의 프레임들을 발생시킨다. 그 후, 프레임들은 송신기(532)에 제공되며, 그 송신기는 안테나(534)를 통한 무선 매체 상의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프레임들을 증폭하고, 필터링하며, 프레임들을 캐리어 상으로 변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신호 컨디셔닝 기능들을 제공한다. 안테나(534)는, 예를 들어, 빔 스티어링 양방향성 적응적 안테나 어레이들 또는 다른 유사한 빔 기술들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UE(550)에서, 수신기(554)는 안테나(552)를 통해 다운링크 송신을 수신하며, 캐리어 상으로 변조된 정보를 복원하기 위해 송신을 프로세싱한다. 수신기(554)에 의해 복원된 정보는 수신 프레임 프로세서(560)에 제공되며, 그 프로세서는 각각의 프레임을 파싱(parse)하고, 프레임들로부터의 정보를 채널 프로세서(594)에 제공하고 데이터, 제어, 및 기준 신호들을 수신 프로세서(570)에 제공한다. 그 후, 수신 프로세서(570)는 노드 B(510)의 송신 프로세서(520)에 의해 수행된 프로세싱의 역을 수행한다. 더 상세하게, 수신 프로세서(570)는 심볼들을 디스크램블링 및 역확산시키고, 그 후, 변조 방식에 기초하여 노드 B(510)에 의해 송신된 가장 가능성있는 신호 성상도 포인트들을 결정한다. 이들 연판정들은 채널 프로세서(594)에 의해 컴퓨팅된 채널 추정치들에 기초할 수도 있다. 그 후, 연판정들은 데이터, 제어, 및 기준 신호들을 복원하기 위해 디코딩 및 디인터리빙된다. 그 후, CRC 코드들은 프레임들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체크된다. 그 후, 성공적으로 디코딩된 프레임들에 의해 반송된 데이터는 데이터 싱크(572)에 제공될 것이며, 그 데이터 싱크는 UE(550)에서 구동하는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을 표현한다. 성공적으로 디코딩된 프레임들에 의해 반송되는 제어 신호들은 제어기/프로세서(590)에 제공될 것이다. 프레임들이 수신기 프로세서(570)에 의해 성공적이지 않게 디코딩될 경우, 제어기/프로세서(590)은, 그들 프레임들에 대한 재송신 요청들을 지원하기 위해 확인응답(ACK) 및/또는 부정 확인응답(NACK) 프로토콜을 또한 사용할 수도 있다.
업링크에서, 데이터 소스(578)로부터의 데이터 및 제어기/프로세서(590)로부터의 제어 신호들은 송신 프로세서(580)에 제공된다. 데이터 소스(578)는 UE(550)에서 구동하는 애플리케이션들 및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예를 들어, 키보드)을 표현할 수도 있다. 노드 B(510)에 의한 다운링크 송신과 관련하여 설명된 기능과 유사하게, 송신 프로세서(580)는, CRC 코드들, FEC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코딩 및 인터리빙, 신호 성상도들로의 매핑, OVSF들을 이용한 확산, 및 스크램블링을 포함하는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제공하여, 일련의 심볼들을 생성한다. 노드 B(510)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로부터 또는 노드 B(510)에 의해 송신된 미드앰블에 포함된 피드백으로부터 채널 프로세서(594)에 의해 도출된 채널 추정치들은 적절한 코딩, 변조, 확산, 및/또는 스크램블링 방식들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송신 프로세서(580)에 의해 생성되는 심볼들은 프레임 구조를 생성하기 위해 송신 프레임 프로세서(582)에 제공될 것이다. 송신 프레임 프로세서(582)는, 제어기/프로세서(590)로부터의 정보와 심볼들을 멀티플렉싱함으로써 이러한 프레임 구조를 생성하여, 일련의 프레임들을 발생시킨다. 그 후, 프레임들은 송신기(556)에 제공되며, 그 송신기는 안테나(552)를 통한 무선 매체 상에서의 업링크 송신을 위해 프레임들을 증폭, 필터링하고, 그리고 캐리어 상으로 변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신호 컨디셔닝 기능들을 제공한다.
업링크 송신은, UE(550)에서의 수신기 기능과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노드 B(510)에서 프로세싱된다. 수신기(535)는 안테나(534)를 통해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며, 캐리어 상으로 변조된 정보를 복원하기 위해 송신을 프로세싱한다. 수신기(535)에 의해 복원된 정보는 수신 프레임 프로세서(536)에 제공되며, 그 프로세서는 각각의 프레임을 파싱하고, 프레임들로부터의 정보를 채널 프로세서(544)에 제공하고 데이터, 제어, 및 기준 신호들을 수신 프로세서(538)에 제공한다. 수신 프로세서(538)는 UE(550)의 송신 프로세서(580)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싱의 역을 수행한다. 그 후, 성공적으로 디코딩된 프레임들에 의해 반송되는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은, 각각, 데이터 싱크(535) 및 제어기/프로세서에 제공될 수도 있다. 프레임들 중 몇몇이 수신 프로세서에 의해 성공적이지 않게 디코딩되었다면, 제어기/프로세서(540)는 그들 프레임들에 대한 재송신 요청들을 지원하기 위해 확인응답(ACK) 및/또는 부정 확인응답(NACK) 프로토콜을 또한 사용할 수도 있다.
제어기/프로세서들(540 및 590)은, 각각, 노드 B(510) 및 UE(550)에서의 동작을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프로세서들(540 및 590)은 타이밍, 주변기기 인터페이스들, 전압 조정, 전력 관리, 및 다른 제어 기능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제어기/프로세서들(540 및 590)은 도 5에 도시된 프로세싱 시스템(114)에 의해 프로세서들(104)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들(104)은, 다른 컴포넌트들과 결합하여, UE(12)의 컴포넌트들(18, 20, 및 22)의 기능들 및/또는 노드 B(14)의 컴포넌트들(24, 26, 및 28)의 기능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메모리들(542 및 592)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각각, 노드 B(510) 및 UE(550)에 대한 데이터 및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노드 B(510)에서의 스케줄러/프로세서(546)는 UE들에 리소스들을 할당하고, UE들에 대한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송신들을 스케줄링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원격통신 시스템의 수개의 양상들은 W-CDMA 시스템을 참조하여 제시되었다. 당업자들이 용이하게 인식할 바와 같이, 본 발명 전반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은 다른 원격통신 시스템들, 네트워크 아키텍처들 및 통신 표준들로 확장될 수도 있다.
예로서, 다양한 양상들은 TD-SCDMA,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HSDPA),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HSUPA), 고속 패킷 액세스 플러스(HSPA+) 및 TD-CDMA와 같은 다른 UMTS 시스템들로 확장될 수도 있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은 (FDD, TDD, 또는 둘 모두의 모드들에서의) 롱텀 에볼루션(LTE), (FDD, TDD, 또는 둘 모두의 모드들에서의) LTE-어드밴스드(LTE-A), CDMA2000, EV-DO(Evolution-Data Optimized), UMB(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6(WiMAX), IEEE 802.20, UWB(Ultra-Wideband), 블루투스, 및/또는 다른 적절한 시스템들을 이용하는 시스템들로 확장될 수도 있다. 이용된 실제 원격통신 표준, 네트워크 아키텍처, 및/또는 통신 표준은,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에 부과된 전체 설계 제한들에 의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르면,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의 임의의 일부, 또는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결합은,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들의 예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PLD)들, 상태 머신들, 게이팅된(gated) 로직, 이산 하드웨어 회로들, 및 본 발명 전반에 걸쳐 설명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다른 적절한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시스템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디스크립션 언어 또는 다른 것들 중 어느 것으로 지칭되든지 간에, 명령들, 명령 세트들,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들, 서브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모듈들,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패키지들, 루틴들, 서브루틴들, 오브젝트들, 실행가능한 것들, 실행 스레드들, 절차들, 함수들 등을 의미하도록 광범위하게 해석될 것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상주할 수도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일 수도 있다.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예로서, 자기 저장 디바이스(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광학 디스크(예를 들어, 컴팩트 디스크(CD), DVD(digital versatile disk)), 스마트 카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어,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프로그래밍가능 ROM(PROM), 소거가능한 PROM(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PROM(EEPROM), 레지스터, 착탈형 디스크, 및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및 판독될 수도 있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명령들을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또한, 예로서, 반송파, 송신 라인, 및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및 판독될 수도 있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명령들을 송신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프로세싱 시스템 내부, 프로세싱 시스템 외부에 상주할 수도 있거나,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수의 엔티티들에 걸쳐 분산될 수도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로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은 패키징 재료들에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당업자들은,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전체 설계 제한들에 의존하여 본 발명 전반에 걸쳐 제시되는 설명된 기능을 어떻게 최상으로 구현할지를 인식할 것이다.
기재된 방법들의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이 예시적인 프로세스들의 예시임을 이해할 것이다. 설계 선호도들에 기초하여, 방법들의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이 재배열될 수도 있음을 이해한다. 첨부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시하며, 본 명세서에 특정하게 인용되지 않으면,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으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이전의 설명은 당업자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들 양상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당업자들에게는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다른 양상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청구항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양상들로 제한되도록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들의 언어에 부합하는 최대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며, 여기서, 단수로의 엘리먼트에 대한 참조는 특별히 그렇게 나타내지 않으면 "하나 및 오직 하나" 를 의미하기보다는 오히려 "하나 또는 그 초과" 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추가적으로, 달리 특별히 나타내지 않으면, 용어 "몇몇"은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지칭한다. 일 리스트의 아이템들 중 "적어도 하나" 를 지칭하는 어구는 단일 멤버들을 포함해서 그들 아이템들의 임의의 결합을 지칭한다. 당업자들에게 알려졌거나 추후에 알려지게 될 본 발명 전반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의 엘리먼트들에 대한 모든 구조적 및 기능적 등가물들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명백히 포함되고, 청구항들에 의해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어느 것도 그러한 본 발명이 청구항들에서 명시적으로 인용되는지와는 관계없이 대중에게 전용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어떤 청구항 엘리먼트도, 그 엘리먼트가 "하기 위한 수단" 이라는 어구를 사용하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거나 또는 방법 청구항의 경우에서는 그 엘리먼트가 "하는 단계" 라는 어구를 사용하여 언급되지 않으면, 35 U.S.C.§112 단락 6의 규정들 하에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Claims (52)

  1. 무선 네트워크에서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MIMO에서 복수의 업링크 스트림들에 관련된 노드 B로부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케줄링 그랜트(grant)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업링크 스트림들의 각각 또는 서브세트에 대해, 상기 노드 B로부터 E-RGCH(enhanced relative grant channel) 뿐만 아니라 비-서빙 노드 B로부터 다른 E-RGCH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업링크 스트림들 중 1차(primary) 스트림에 대한 1차 송신 전력 및 1차 전송 블록 사이즈(TBS)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업링크 스트림들 중 2차(secondary) 스트림에 대한 2차 송신 전력 및 2차 TBS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RGCH는 서빙 E-RGCH이고, 상기 다른 E-RGCH는 비-서빙 E-RGCH인,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업링크 스트림들을 통해, 결합된 데이터 레이트 및 전력에 관련된 해피(happy) 비트를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해피 비트를 통신하는 단계는, E-DPCCH 또는 S-E-DPCCH를 통해 상기 해피 비트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해피 비트를 통신하는 단계는, E-DPCCH를 통해 상기 복수의 업링크 스트림들을 통하여, 결합된 데이터 레이트 및 전력에 관련된 제 1 해피 비트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S-E-DPCCH를 통해 제 2 해피 비트를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해피 비트는 상기 2차 스트림에 관련된 표시를 제공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스케줄링 그랜트, 최소 TBS, 및 상기 해피 비트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에 기초하여 S-E-DPCCH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2차 스트림에 대한 해피 비트는, 상기 1차 스트림에 대한 해피 비트와 동일한,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S-DPCCH 및 S-E-DPCCH의 전력의 고려사항에 기초하여, 정의된 헤드룸을 포함하는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방법.
  8. 무선 네트워크에서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MIMO에서 복수의 업링크 스트림들에 관련된 노드 B로부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케줄링 그랜트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복수의 업링크 스트림들의 각각 또는 서브세트에 대해, 상기 노드 B로부터 E-RGCH(enhanced relative grant channel) 뿐만 아니라 비-서빙 노드 B로부터 다른 E-RGCH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복수의 업링크 스트림들 중 1차 스트림에 대한 1차 송신 전력 및 1차 전송 블록 사이즈(TBS)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복수의 업링크 스트림들 중 2차 스트림에 대한 2차 송신 전력 및 2차 TBS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E-RGCH는 서빙 E-RGCH이고, 상기 다른 E-RGCH는 비-서빙 E-RGCH인,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업링크 스트림들을 통해, 결합된 데이터 레이트 및 전력에 관련된 해피 비트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해피 비트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은, E-DPCCH 또는 S-E-DPCCH를 통해 상기 해피 비트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해피 비트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은, E-DPCCH를 통해 상기 복수의 업링크 스트림들을 통하여, 결합된 데이터 레이트 및 전력에 관련된 제 1 해피 비트를 통신하고, S-E-DPCCH를 통해 제 2 해피 비트를 통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해피 비트는 상기 2차 스트림에 관련된 표시를 제공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스케줄링 그랜트, 최소 TBS, 및 상기 해피 비트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에 기초하여 S-E-DPCCH를 디코딩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2차 스트림에 대한 해피 비트는, 상기 1차 스트림에 대한 해피 비트와 동일한,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S-DPCCH 및 S-E-DPCCH의 전력의 고려사항에 기초하여, 정의된 헤드룸을 포함하는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장치.
  15. 무선 네트워크에서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컴퓨터로 하여금,
    MIMO에서 복수의 업링크 스트림들에 관련된 노드 B로부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케줄링 그랜트들을 수신하게 하고;
    상기 복수의 업링크 스트림들의 각각 또는 서브세트에 대해, 상기 노드 B로부터 E-RGCH(enhanced relative grant channel) 뿐만 아니라 비-서빙 노드 B로부터 다른 E-RGCH를 수신하게 하고;
    상기 복수의 업링크 스트림들 중 1차 스트림에 대한 1차 송신 전력 및 1차 전송 블록 사이즈(TBS)를 결정하게 하며; 그리고,
    상기 복수의 업링크 스트림들 중 2차 스트림에 대한 2차 송신 전력 및 2차 TBS를 결정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E-RGCH는 서빙 E-RGCH이고, 상기 다른 E-RGCH는 비-서빙 E-RGCH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복수의 업링크 스트림들을 통해, 결합된 데이터 레이트 및 전력에 관련된 해피 비트를 통신하게 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E-DPCCH 또는 S-E-DPCCH를 통해 상기 해피 비트를 통신하게 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해피 비트를 통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는, E-DPCCH를 통해 상기 복수의 업링크 스트림들을 통하여, 결합된 데이터 레이트 및 전력에 관련된 제 1 해피 비트를 통신하기 위한 코드, 및 S-E-DPCCH를 통해 제 2 해피 비트를 통신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해피 비트는 상기 2차 스트림에 관련된 표시를 제공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컴퓨터로 하여금 스케줄링 그랜트, 최소 TBS, 및 상기 해피 비트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에 기초하여 S-E-DPCCH를 디코딩하게 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며,
    상기 2차 스트림에 대한 해피 비트는, 상기 1차 스트림에 대한 해피 비트와 동일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S-DPCCH 및 S-E-DPCCH의 전력의 고려사항에 기초하여, 정의된 헤드룸을 포함하는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하게 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2. 무선 네트워크에서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MIMO에서 복수의 업링크 스트림들에 관련된 노드 B로부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스케줄링 그랜트들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업링크 스트림들의 각각 또는 서브세트에 대해, 상기 노드 B로부터 E-RGCH(enhanced relative grant channel) 뿐만 아니라 비-서빙 노드 B로부터 다른 E-RGCH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업링크 스트림들 중 1차 스트림에 대한 1차 송신 전력 및 1차 전송 블록 사이즈(TBS)를 결정하며; 그리고,
    상기 복수의 업링크 스트림들 중 2차 스트림에 대한 2차 송신 전력 및 2차 TBS를 결정
    하도록 구성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E-RGCH는 서빙 E-RGCH이고, 상기 다른 E-RGCH는 비-서빙 E-RGCH인,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추가적으로, 상기 복수의 업링크 스트림들을 통해, 결합된 데이터 레이트 및 전력에 관련된 해피 비트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추가적으로, E-DPCCH 또는 S-E-DPCCH를 통해 상기 해피 비트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장치.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해피 비트를 통신할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추가적으로, E-DPCCH를 통해 상기 복수의 업링크 스트림들을 통하여, 결합된 데이터 레이트 및 전력에 관련된 제 1 해피 비트를 통신하고, S-E-DPCCH를 통해 제 2 해피 비트를 통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해피 비트는 상기 2차 스트림에 관련된 표시를 제공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장치.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추가적으로, 스케줄링 그랜트, 최소 TBS, 및 상기 해피 비트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에 기초하여 S-E-DPCCH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2차 스트림에 대한 해피 비트는, 상기 1차 스트림에 대한 해피 비트와 동일한,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장치.
  28.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추가적으로, S-DPCCH 및 S-E-DPCCH의 전력의 고려사항에 기초하여, 정의된 헤드룸을 포함하는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장치.
  29. 사용자 장비(UE)의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UE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UE의 전력을 조정하기 위해 외부 루프 전력 제어 루프를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의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루프 전력 제어 루프를 구현하는 단계는, 1차 데이터 스트림 상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는, 사용자 장비(UE)의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UE에 관련된 노드 B로부터 수신된 패킷들에 대한 스트림 ID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UE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1차 데이터 스트림에 관련된 스트림 ID를 갖는 패킷들을 고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의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루프 전력 제어 루프를 구현하는 단계는, 복수의 데이터 스트림들 상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는, 사용자 장비(UE)의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다수의 외부 루프 전력 제어 루프들이 구현되며,
    1차 데이터 스트림 및 2차 데이터 스트림 각각에 대해 하나의 외부 루프 전력 제어 루프가 존재하는, 사용자 장비(UE)의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UE에 관련된 노드 B는, 각각의 디코딩된 패킷에 대한 스트림 ID를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RNC)에 통지하는, 사용자 장비(UE)의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35. 사용자 장비(UE)의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UE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UE의 전력을 조정하기 위해 외부 루프 전력 제어 루프를 구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의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루프 전력 제어 루프를 구현하는 것은, 1차 데이터 스트림 상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는, 사용자 장비(UE)의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
  37. 제 351 항에 있어서,
    상기 UE에 관련된 노드 B로부터 수신된 패킷들에 대한 스트림 ID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UE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1차 데이터 스트림에 관련된 스트림 ID를 갖는 패킷들을 고려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의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
  38.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루프 전력 제어 루프를 구현하는 것은, 복수의 데이터 스트림들 상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는, 사용자 장비(UE)의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
  39. 제 38 항에 있어서,
    다수의 외부 루프 전력 제어 루프들이 구현되며,
    1차 데이터 스트림 및 2차 데이터 스트림 각각에 대해 하나의 외부 루프 전력 제어 루프가 존재하는, 사용자 장비(UE)의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UE에 관련된 노드 B는, 각각의 디코딩된 패킷에 대한 스트림 ID를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RNC)에 통지하는, 사용자 장비(UE)의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
  41. 사용자 장비(UE)의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UE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게 하고; 그리고,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UE의 전력을 조정하기 위해 외부 루프 전력 제어 루프를 구현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루프 전력 제어 루프를 구현하는 것은, 1차 데이터 스트림 상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43.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UE에 관련된 노드 B로부터 수신된 패킷들에 대한 스트림 ID를 결정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UE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1차 데이터 스트림에 관련된 스트림 ID를 갖는 패킷들을 고려하게
    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44.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복수의 데이터 스트림들 상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루프 전력 제어 루프를 구현하게 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45. 제 41 항에 있어서,
    다수의 외부 루프 전력 제어 루프들이 구현되며,
    1차 데이터 스트림 및 2차 데이터 스트림 각각에 대해 하나의 외부 루프 전력 제어 루프가 존재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46.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UE에 관련된 노드 B는, 각각의 디코딩된 패킷에 대한 스트림 ID를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RNC)에 통지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47. 사용자 장비(UE)의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UE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리고,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UE의 전력을 조정하기 위해 외부 루프 전력 제어 루프를 구현
    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의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루프 전력 제어 루프를 구현하는 것은, 1차 데이터 스트림 상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는, 사용자 장비(UE)의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
  49.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추가적으로,
    상기 UE에 관련된 노드 B로부터 수신된 패킷들에 대한 스트림 ID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UE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1차 데이터 스트림에 관련된 스트림 ID를 갖는 패킷들을 고려
    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의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
  50.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데이터 스트림들 상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루프 전력 제어 루프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의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
  51. 제 47 항에 있어서,
    다수의 외부 루프 전력 제어 루프들이 구현되며,
    1차 데이터 스트림 및 2차 데이터 스트림 각각에 대해 하나의 외부 루프 전력 제어 루프가 존재하는, 사용자 장비(UE)의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
  52.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UE에 관련된 노드 B는, 각각의 디코딩된 패킷에 대한 스트림 ID를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RNC)에 통지하는, 사용자 장비(UE)의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
KR1020147025010A 2012-02-08 2013-02-08 업링크 mimo 통신을 위한 리소스 할당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401301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596682P 2012-02-08 2012-02-08
US61/596,682 2012-02-08
US201261612541P 2012-03-19 2012-03-19
US61/612,541 2012-03-19
US201261646241P 2012-05-11 2012-05-11
US61/646,241 2012-05-11
US13/760,561 US9497773B2 (en) 2012-02-08 2013-02-06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resource allocation for uplink MIMO communication
US13/760,561 2013-02-06
PCT/US2013/025338 WO2013119944A1 (en) 2012-02-08 2013-02-08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resource allocation for uplink mimo commun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163A true KR20140130163A (ko) 2014-11-07

Family

ID=4890278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5010A KR20140130163A (ko) 2012-02-08 2013-02-08 업링크 mimo 통신을 위한 리소스 할당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147025013A KR20140123992A (ko) 2012-02-08 2013-02-08 업링크 mimo 통신을 위한 e-tfc 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147025000A KR20140135182A (ko) 2012-02-08 2013-02-08 업링크 mimo 통신을 위한 리소스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5013A KR20140123992A (ko) 2012-02-08 2013-02-08 업링크 mimo 통신을 위한 e-tfc 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147025000A KR20140135182A (ko) 2012-02-08 2013-02-08 업링크 mimo 통신을 위한 리소스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9055604B2 (ko)
EP (3) EP2813027B1 (ko)
JP (3) JP6165180B2 (ko)
KR (3) KR20140130163A (ko)
CN (3) CN104094533B (ko)
IN (1) IN2014CN04952A (ko)
WO (3) WO20131199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17726B2 (en) * 2009-07-26 2014-08-26 Lg Electronics Inc. Uplink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084207B2 (en) 2010-11-08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ransmission
US9516609B2 (en) 2010-11-08 2016-12-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ransmission
US9055604B2 (en) * 2012-02-08 2015-06-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TFC selection for uplink MIMO communication
US9380490B2 (en) 2010-11-08 2016-06-2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ransmission
CN102843759B (zh) 2011-06-23 2016-03-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上行多入多出信道的功率控制方法和用户设备
US20130223355A1 (en) * 2012-02-29 2013-08-29 Ido Gazit Method for implementing power grant allocation in a mac scheduler
CA2877000C (en) * 2012-06-22 2019-08-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mimo transmission
US9426751B2 (en) * 2012-10-26 2016-08-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network nodes for improving OLPC functionality for HSUPA MIMO
JP2015012580A (ja) * 2013-07-02 2015-01-19 キヤノン株式会社 受信装置、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013106A4 (en) * 2013-07-16 2016-06-08 Huawei Tech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TAX INFORMATION, USER DEVICE AND BASE STATION
US9247529B2 (en) 2013-07-30 2016-01-26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of managing signaling radio bearer transmissions at a user equipment
US9191875B1 (en) * 2013-08-14 2015-11-17 Sprint Spectrum L.P. Use of concurrent pilot signals at different transmission power levels
US9258158B2 (en) * 2013-09-25 2016-02-0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termin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US9456426B2 (en) * 2013-12-06 2016-09-27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ing a gain factor for transmit power control in enhanced uplink
US9603106B2 (en) * 2014-03-21 2017-03-21 Qualcomm Incorporated HS-DPCCH overhead reduction in multi-RAB scenarios
WO2016029442A1 (zh) * 2014-08-29 2016-03-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和设备
CN105516996B (zh) * 2015-11-30 2018-09-04 郑州大学 一种多用户认知mimo干扰信道分布式能效优化方法
US10536862B2 (en) * 2016-09-30 2020-01-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ireless device, radio network node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US10652866B2 (en) * 2017-03-20 2020-05-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upporting asynchronous uplink HARQ and multiple simultaneous transmissions
CN108449164B (zh) * 2018-03-06 2021-03-16 江阴长仪集团有限公司 配电网自动化信息的传输方法及配电网自动化终端
US11026218B2 (en) * 2018-04-16 2021-06-01 Qualcomm Incorporated Indication on joint multi-transmission point transmission in new radio system
WO2020144639A1 (en) 2019-01-11 2020-07-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requency-domain resource allocation for multi-source trans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1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90095B2 (en) 2000-02-14 2009-09-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of multiple chann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006464B1 (en) 2000-11-17 2006-02-28 Lucent Technologies Inc. Downlink and uplink channel structures for downlink shared channel system
GB0110125D0 (en) 2001-04-25 2001-06-2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2003086233A (ja) 2001-09-07 2003-03-20 Mitsubishi Electric Corp 平板型電池およびその製法
JP3898979B2 (ja) 2002-05-23 2007-03-2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ソフトハンドオーバー時における送信電力オフセット制御周期決定方法および無線制御装置
US6683916B1 (en) 2002-07-17 2004-01-27 Philippe Jean-Marc Sartori Adaptive modulation/coding and power allocation system
RU2005129080A (ru) 2003-02-18 2006-01-27 Квэлком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US) Регулирование мощности внешнего контура систем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KR101000388B1 (ko) 2003-05-15 2010-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 및 이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처리하는 방법
US8559406B2 (en) 2003-06-03 2013-10-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s of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450549B2 (en) 2003-08-05 2008-11-11 Via Telecom Co., Ltd. Pilot signal enhancement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000391B1 (ko) 2003-09-01 2010-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역방향 링크의 전송 데이터 레이트 제어 방법
WO2005050885A1 (ja) 2003-11-21 2005-06-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マルチアンテナ受信装置、マルチアンテナ受信方法、マルチアンテナ送信装置及びマルチアンテナ通信システム
EP1564908A1 (en) 2003-12-23 2005-08-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vanced multi-sensor processing
DE60329039D1 (de) 2003-12-30 2009-10-08 Nokia Corp Asymmetrischer datenverbindung kommunikationssystem mit relaisstations
US7639650B2 (en) 2004-02-14 2009-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OVSF codes and I/Q channels for reducing peak-to-average power ratio in transmitting data via enhanced up-link dedicated channels in WCDMA systems
RU2347316C2 (ru) 2004-03-05 2009-02-20 Квэлком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Управление разнесением при приеме с множеством антенн в беспроводной системе связи
US20050250511A1 (en) * 2004-05-05 2005-11-10 Weimin Xiao Method for rate control signaling to facilitate UE uplink data transfer
JP4299270B2 (ja) 2004-06-09 2009-07-22 三星電子株式会社 向上した上りリンクサービスを支援する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送信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EP1788742B1 (en) 2004-09-13 2013-09-11 Panasonic Corporation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control system and retransmission method in mimo-ofdm system
US20060105798A1 (en) 2004-11-15 2006-05-18 Amitava Ghosh Method and apparatus for outer-loop power control for enhanced uplink communications
KR20110045104A (ko) 2004-12-28 2011-05-03 콘텐트가드 홀딩즈 인코포레이티드 라이센스 중심의 콘텐츠 소비를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US8462671B2 (en) 2005-04-07 2013-06-11 Nokia Corporation Terminal having a variable duplex capability
JP4713919B2 (ja) 2005-04-14 2011-06-2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制御システム、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制御方法
EP2662997B1 (en) 2005-04-20 2021-01-06 Mitsubishi Denki K. K. Communication method,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US7986680B2 (en) 2005-04-28 2011-07-26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 format selection with consideration for resource reuse
KR101214102B1 (ko) 2005-04-28 2012-12-20 파나소닉 주식회사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US20060280145A1 (en) * 2005-06-10 2006-12-14 Revel Agnes M Event trigger for scheduling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20060291429A1 (en) * 2005-06-24 2006-12-28 Intel Corporation Dynamic UMTS transport block size adjustment
DE602005018040D1 (de) 2005-07-25 2010-01-14 Panasonic Corp Einschränkung eines HARQ Verfahrens und Übertragung von ungeplanten Steuerdaten auf Aufwärtskanäle
JP4668733B2 (ja) 2005-08-19 2011-04-1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伝送速度制御方法及び移動局
US8077654B2 (en) 2005-08-22 2011-12-13 Qualcomm Incorporated Auxiliary FL MIMO pilot transmission in 1XEV-DO
JP4761890B2 (ja) 2005-08-23 2011-08-3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伝送速度制御方法、無線基地局及び無線回線制御局
CN101273568B (zh) 2005-09-22 2013-02-13 捷讯研究有限公司 移动站、固定站、通信系统以及通信方法
LT1929826T (lt) * 2005-09-29 2017-01-10 Nokia Technologies Oy Duomenų perdavimo greičio padidinimo užklausos, pagrįstos gebėjimu perduoti bent vienu pasirinktu duomenų bloku daugiau, aparatas, būdas ir kompiuterinės programos produktas
JPWO2007043098A1 (ja) 2005-09-30 2009-04-16 三菱電機株式会社 移動局及び通信方法
ATE422764T1 (de) 2005-11-18 2009-02-15 Nokia Siemens Networks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r vorrichtung in einem funkzugangsnetz eines funkkommunikationssystems sowie funkzugangsnetz und vorrichtung
US7515927B2 (en) 2006-01-13 2009-04-07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of reverse link dynamic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per-flow quality feedback for multi-flow data traffic
CN103227702B (zh) 2006-02-03 2016-06-29 交互数字技术公司 用于接收多个传输块的无线发射/接收单元和方法
WO2007123904A1 (en) 2006-04-18 2007-11-0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h-arq in a mim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863248B1 (en) 2006-06-01 2009-03-04 NTT DoCoM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bchannel allocation
JP2008035079A (ja) 2006-07-27 2008-02-14 Toshib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のパイロット信号制御方法
KR100946930B1 (ko) 2006-07-31 2010-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안테나 이득 제어 방법 및 장치
LT2087626T (lt) 2006-10-30 2019-04-10 Nokia Technologies Oy Papildomos moduliacijos informacijos signalo perdavimas, skirtas didelės spartos žemynkryčio paketo prieigai
PL2078368T3 (pl) 2006-10-31 2015-10-30 Ericsson Telefon Ab L M Technika HARQ w systemie MIMO z multipleksacją przestrzenną
CN103957587A (zh) * 2006-11-02 2014-07-30 交互数字技术公司 用于由ue选择e-tfc的方法和用户设备
US8335202B2 (en) 2006-11-20 2012-12-18 Qualcomm Incorporated Sending pilots on secondary channels for improved acquisition and handoff in cellular communication
JP4671982B2 (ja) 2007-01-09 2011-04-2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送信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US8005107B2 (en) 2007-02-06 2011-08-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robust MAC signaling
KR101382894B1 (ko) 2007-03-12 2014-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제어정보 전송방법
KR101049138B1 (ko) 2007-03-19 201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확인신호 수신 방법
JP5026122B2 (ja) 2007-03-20 2012-09-1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装置及び方法
WO2008118081A2 (en) 2007-03-26 2008-10-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power control during soft handover
US8203987B2 (en) 2007-03-30 2012-06-19 Ntt Docomo, Inc.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user apparatus, and method
US8072918B2 (en) 2007-04-03 2011-12-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Network-based inter-cell power control for multi-channel wireless networks
EP1986455A1 (en) 2007-04-27 2008-10-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munication of scheduling related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996744B2 (en) 2007-04-30 2011-08-0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data retransmission scheme
US7885176B2 (en) 2007-06-01 2011-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mapping modulation symbols to resources in OFDM systems
US7629902B2 (en) 2007-06-08 2009-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IMO wireless precoding system robust to power imbalance
KR101282522B1 (ko) 2007-06-19 201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전송 방법
ES2899422T3 (es) 2007-06-27 2022-03-11 Unwired Planet International Ltd Procedimiento y disposiciones en un sistema de telecomunicaciones que soporta mu-mimo y su-mimo
CN101335935B (zh) * 2007-06-28 2011-10-19 上海摩波彼克半导体有限公司 第三代移动通信系统中移动终端选择传输格式组合的方法
JP4900087B2 (ja) 2007-07-02 2012-03-21 日本電気株式会社 マルチユーザmimo通信のユーザ選択方法
WO2009017168A1 (ja) 2007-07-31 2009-02-05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装置及び方法
PL2198664T3 (pl) 2007-08-31 2013-03-29 Koninl Philips Electronics Nv Wzmocniona transmisja wielodostępna
US9078269B2 (en) * 2007-09-21 2015-07-07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utilizing HARQ interlaces
US20100246520A1 (en) 2007-11-26 2010-09-30 Andreas Andersson Outer Loop Power Control for E-DCH
JPWO2009075098A1 (ja) 2007-12-10 2011-04-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パイロット送信方法、mimo送信装置、及びmimo受信装置
KR101572880B1 (ko) 2007-12-12 2015-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화율을 고려한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EP2220779B1 (en) 2007-12-14 2016-09-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separate channel power control
JP5422567B2 (ja) 2008-01-07 2014-02-19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電力が制限された端末でのアップリンク電力制御
CN101953123B (zh) 2008-02-12 2014-03-05 爱立信电话股份有限公司 上行链路和下行链路资源的分配和优先级处理
US8977311B2 (en) 2008-04-04 2015-03-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reducing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A2724744C (en) 2008-06-11 2014-02-04 Nokia Siemens Networks Oy Local area optimized uplink control channel
CN102119500B (zh) 2008-06-12 2014-09-10 苹果公司 用于sc-fdma发射分集的系统和方法
US8630270B2 (en) 2008-06-30 2014-01-1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AC multiplexing for uplink MIMO
US8503425B2 (en) 2008-07-22 2013-08-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llocating phich and generating reference signal in system using single-user MIMO based on multiple codewords when transmitting uplink
US8554257B2 (en) 2008-08-13 2013-10-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condition based adaptive reference power offset positioning
US20100067435A1 (en) 2008-09-18 2010-03-18 Krishna Balachandran Architecture to support network-wide multiple-in-multiple-out wireless communication over an uplink
US8619544B2 (en) 2008-09-23 2013-12-31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facilitating transmit diversity for communications
US8868121B2 (en) 2008-09-29 2014-10-21 Nokia Corporation Control channel gain factor with data channel scaling
US8654705B2 (en) 2008-10-24 2014-02-1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multiple reverse link data streams
US8295779B2 (en) * 2008-10-31 2012-10-2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transmissions using multiple uplink carriers
US8358614B2 (en) 2008-10-31 2013-01-2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uplink transmissions using multiple uplink carriers
EP2374316B1 (en) 2008-10-31 2013-11-2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Providing control information for multi-carrier uplink transmission
GB0820535D0 (en) 2008-11-10 2008-12-17 Icera Inc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EP3664534A1 (en) 2008-11-25 2020-06-1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a plurality of uplink carriers and a plurality of downlink carriers
US8416873B2 (en) 2008-11-26 2013-04-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MSE demodulation in a multi-user MIMO system
US8638871B2 (en) 2008-12-22 2014-01-28 Motorola Mobility Llc System and method for combinatio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and beamforming
US8594155B2 (en) * 2009-01-06 2013-11-26 Qualcomm Incorporated Multi-carrier transmitter design on adjacent carriers in a single frequency band on the uplink in W-CDMA/HSPA
US8565170B2 (en) 2009-01-14 2013-10-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data transmission on multiple carriers
RU2565030C2 (ru) 2009-02-09 2015-10-10 Интердиджитал Пэйтент Холдингз,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мощностью во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для беспроводного приемопередатчика, использующего множество несущих
US8457056B2 (en) * 2009-02-09 2013-06-04 Qualcomm Incorporated Non-scheduled grants in multi-carrier enhanced uplink
US8737502B2 (en) 2009-02-09 2014-05-27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and coding schemes for multiple transmit antenna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296617B2 (en) 2009-02-25 2012-10-23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of HARQ process selection
US8385832B2 (en) * 2009-03-13 2013-02-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r-cell interference control in an uplink multi-carrier radio communications system
US8830918B2 (en) 2009-03-16 2014-09-0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uplink transmit diversity
TWI543649B (zh) 2009-03-17 2016-07-2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在多輸入多輸出中上鏈功率控制方法和裝置
US8472965B2 (en) 2009-03-17 2013-06-25 Qualcomm Incorporated Mobility in multi-carrier high speed packet access
US8514794B2 (en) 2009-03-17 2013-08-20 Qualcomm Incorporated Loop power controls for multi-carrier 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US8599771B2 (en) 2009-04-15 2013-12-03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of radio links in a multiple carrier system
EP2244515A1 (en) 2009-04-23 2010-10-27 Panasonic Corporation 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 procedure for generating multiple uplink transport blocks
US8437798B2 (en) 2009-04-27 2013-05-07 Motorola Mobility Llc Uplink scheduling support in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5023170B2 (ja) 2009-04-27 2012-09-1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ユーザ装置、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CN102077502B (zh) 2009-04-30 2013-04-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重传方法和用户设备
US8542707B2 (en) 2009-05-18 2013-09-24 Airvana Llc Multi-carrier system selection
EP2265077B1 (en) 2009-06-18 2012-03-21 Panasonic Corporation Enhanced random access procedure for mobile communications
PT2443857T (pt) 2009-06-19 2016-08-31 Deutsche Telekom Ag Método, sistema e estação de base para partilhar ou utilizar conjuntamente uma de entre uma rede de acesso via rádio móvel geran (rede de acesso via rádio gsm/edge)
JP2011010031A (ja) * 2009-06-25 2011-01-13 Fujitsu Ltd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
CN101938786B (zh) * 2009-07-01 2013-03-20 华为技术有限公司 调度授权的分配方法与通信设备
WO2011008023A2 (en) 2009-07-15 2011-01-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10009025A (ko) 2009-07-20 2011-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제어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8472892B2 (en) 2009-07-21 2013-06-25 Via Telecom, Inc. Reverse link mobile transmit diversity
US8498273B2 (en) 2009-08-06 2013-07-3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anagement of uplink resources in multi-carrier CDMA system
US8401585B2 (en) 2009-09-03 2013-03-1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1641968B1 (ko) 2009-09-14 2016-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입출력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US8797942B2 (en) * 2009-09-25 2014-08-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ndom access with full coverage on selected resources
CN102036344B (zh) * 2009-09-29 2015-05-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逻辑信道与mac流的映射方法和系统
CN104539400A (zh) 2009-09-30 2015-04-22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使用多个天线用于上行链路传输的方法和设备
EP2484164B1 (en) * 2009-10-01 2014-07-1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Power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
KR20110036489A (ko) 2009-10-01 2011-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LTE-Advanced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상향 링크 전력 제어 방법
CN104270808B (zh) 2009-10-02 2018-02-16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对上行链路中的多天线传输进行发射功率控制的方法和wtru
KR101701444B1 (ko) 2009-10-02 2017-02-03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하나보다 많은 컴포넌트 캐리어 상의 전송의 전송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2317815A1 (en) 2009-11-02 2011-05-04 Panasonic Corporation Power-limit report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carrier aggregation
KR20120115295A (ko) 2009-12-01 2012-10-17 스파이더클라우드 와이어리스, 인크. 고속상향패킷접속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CN102098138B (zh) * 2009-12-11 2014-03-12 华为技术有限公司 处理信道状态的反馈信息的方法、装置和系统
US8385477B2 (en) 2009-12-23 2013-02-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cision boundary estimation for MIMO wireless receivers
CN101778462B (zh) 2010-01-08 2015-05-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上行传输功率控制信息的发送方法和装置
KR101683597B1 (ko) 2010-01-11 2016-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단말의 전력 증감 요청 방법 및 장치
SG181888A1 (en) 2010-01-21 2012-07-30 Ericsson Telefon Ab L M Srs transmission in pusch
JP5542971B2 (ja) 2010-02-25 2014-07-09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多重搬送波システムにおけるパワーヘッドルーム情報の送信装置及び方法
KR101695023B1 (ko) 2010-03-29 2017-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상향 링크에서 재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US8953522B2 (en) 2010-03-29 2015-0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transmission on up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IMO
CN105827292A (zh) 2010-04-09 2016-08-03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为使用多个天线的ul传输配置传输参数的方法及wtru
CN102238624A (zh) 2010-04-30 2011-11-09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获取上行数据接收状况的方法
WO2011139058A2 (en) 2010-05-04 2011-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ontrol indication in multi-input multi-output communication systems
EP2750320B1 (en) 2010-06-16 2021-01-1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and device therefor
US9232543B2 (en) 2010-07-07 2016-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in multi-user multiple-input-multiple-output wireless networks
US8620372B2 (en) * 2010-09-30 2013-12-31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 format selection in a mobile wireless device
EP2622779B1 (en) 2010-10-01 2015-01-2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ilot on multiple antennas
US9084207B2 (en) 2010-11-08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ransmission
US9380490B2 (en) 2010-11-08 2016-06-2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ransmission
US9516609B2 (en) 2010-11-08 2016-12-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ransmission
US20120281642A1 (en) 2010-11-08 2012-11-0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ransmission
US9055604B2 (en) * 2012-02-08 2015-06-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TFC selection for uplink MIMO communication
US8953713B2 (en) 2010-11-08 2015-02-1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ransmission
US9007888B2 (en) 2010-11-08 2015-04-1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ransmission
US20120127869A1 (en) 2010-11-22 2012-05-24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ultiple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reporting on the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with carrier aggregation
KR101191216B1 (ko) 2010-11-24 2012-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제어정보 전송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상향링크 제어정보 수신방법 및 기지국
WO2012087222A2 (en) 2010-12-22 2012-06-2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WO2012094241A1 (en) * 2011-01-07 2012-07-1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election of transmission parameters for transmit diversity terminals
EP2661823A1 (en) * 2011-01-07 2013-11-1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for multi-antenna transmission with precoding
KR101518351B1 (ko) 2011-02-14 2015-05-08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셀간 업링크 간섭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2149502A1 (en) 2011-04-29 2012-11-0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Transmission of e-dch control channel in mimo operations
WO2013095254A1 (en) 2011-12-20 2013-06-2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devices for uplink mimo op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13003A1 (en) 2014-12-17
EP2813027A1 (en) 2014-12-17
CN104094532B (zh) 2018-03-09
JP2015508258A (ja) 2015-03-16
US8842542B2 (en) 2014-09-23
EP2813003B1 (en) 2019-08-14
JP2015512202A (ja) 2015-04-23
CN104094533A (zh) 2014-10-08
CN104094532A (zh) 2014-10-08
IN2014CN04952A (ko) 2015-09-18
EP2813004B1 (en) 2020-01-15
JP6072083B2 (ja) 2017-02-01
WO2013119938A1 (en) 2013-08-15
JP6270743B2 (ja) 2018-01-31
WO2013119944A1 (en) 2013-08-15
KR20140135182A (ko) 2014-11-25
CN104094552A (zh) 2014-10-08
CN104094533B (zh) 2017-10-13
US20130201939A1 (en) 2013-08-08
US9055604B2 (en) 2015-06-09
EP2813027B1 (en) 2015-09-02
WO2013119935A1 (en) 2013-08-15
KR20140123992A (ko) 2014-10-23
EP2813004A1 (en) 2014-12-17
JP2015511464A (ja) 2015-04-16
US9497773B2 (en) 2016-11-15
US20130201940A1 (en) 2013-08-08
CN104094552B (zh) 2017-08-11
US20130201816A1 (en) 2013-08-08
JP6165180B2 (ja) 2017-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77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resource allocation for uplink MIMO communication
KR101615684B1 (ko) 업링크 다중입력 다중출력 송신에서 트래픽 대 파일럿 전력 결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495650B1 (ko) 업링크 다중입력 다중출력 송신에서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519060B1 (ko) 업링크 다중입력 다중출력 송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93804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ransmission
KR101582519B1 (ko) 업링크 다중입력 다중출력 송신에서 외측 및 내측 전력 제어 루프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615702B1 (ko) 업링크 다중입력 다중출력 송신 동안 2차 제어 채널 부스팅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38805A (ko) 무선 통신들에서 송신 전력 할당을 최적화하기 위한 기술들
CN106105337B (zh) 多rab场景中hs-dpcch开销减少
WO20131701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ransmission
KR101593422B1 (ko) Pci 시그널링 설계를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