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8963A - 조합식 자물쇠 - Google Patents

조합식 자물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8963A
KR20140128963A KR20147020292A KR20147020292A KR20140128963A KR 20140128963 A KR20140128963 A KR 20140128963A KR 20147020292 A KR20147020292 A KR 20147020292A KR 20147020292 A KR20147020292 A KR 20147020292A KR 20140128963 A KR20140128963 A KR 20140128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locking
shank
bar
lock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20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호나탄 크놀
Original Assignee
크놀랜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놀랜 엘티디. filed Critical 크놀랜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40128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9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54Fraction or shear lines; Slip-clutches, resilient parts or the like for preventing damage when forced or slammed
    • E05B17/0062Fraction or shear lines; Slip-clutches, resilient parts or the like for preventing damage when forced or slammed with destructive disenga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0048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with changeable combination
    • E05B37/0058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with changeable combination by axial disengagement between hub and rim of tumbler discs or 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12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with tumbler discs on several axes
    • E05B37/14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with tumbler discs on several axes in pad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7/00Padlocks; Details thereof
    • E05B67/003Chain, wire or cable lo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40Portable
    • Y10T70/402Fet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40Portable
    • Y10T70/413Padlocks
    • Y10T70/417Combination-controlled
    • Y10T70/435Flexible shackle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Buckles (AREA)

Abstract

조합식 자물쇠에 있어서, 섕크를 내부에 제거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삽입 포트를 갖는 하우징;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섕크 포트를 구비하는 잠금 바아로서, 이러한 잠금 바아는, 적어도, 섕크 포트가 삽입 포트와 정렬되어 섕크의 잠금 부분이 양쪽 포트를 통해 하우징 내로 변위하도록 하는 개방 위치와, 섕크 포트가 삽입 포트와 오정렬되어 섕크의 잠금 부분이 섕크 포트를 통해 하우징 외측으로 변위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위치 사이에서 변위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잠금 바아; 잠금 바아와 결합되고, 적어도 잠금 바아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자유롭게 변위하는 잠금해제 위치와 잠금 바아가 저지되는 잠금 위치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조합 기구; 및 하우징의 저지 부분과 맞물림 결합하도록 구성된 잠금 바아의 저지 부재와, 잠금 바아를 하우징의 저지 부분과 맞물림 결합하도록 가압하는 바이어싱 기구에 의해 구성되는 고정 장치로서, 이러한 고정 장치는 섕크의 잠금 부분을 삽입 포트로부터 제거하려고 할 때 개방 위치로부터의 잠금 바아의 변위를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조합식 자물쇠.

Description

조합식 자물쇠{COMBINATION LOCK}
본 발명은 자물쇠 분야, 특히 조합식 자물쇠(combination lock)에 관한 것이다.
조합식 자물쇠는 사전결정된 조합, 예를 들어 일련의 숫자, 문자, 버튼 누름 순서, 변위의 세트 등의 입력에 의해 개방/잠금을 행하도록 구성된 자물쇠의 유형이다. 조합식 자물쇠의 이점 중 하나는 자물쇠를 개방하기 위해 외부 열쇠가 필요치 않고, 오히려 정확한 조합을 아는 것만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합식 자물쇠는,
- 자물쇠가 잠금 위치에 있는 경우, 정확한 조합이 설정되지 않으면 자물쇠의 개방을 방지하고,
- 자물쇠가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 사용자가 재설정 과정을 개시함으로써 원하는 조합을 결정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 조합 기구(combination mechanism)를 포함한다.
적절한 조합이 조합 기구에 제공되면, 조합 기구의 요소는 조합식 자물쇠(예를 들어, 볼트)의 잠금 기구와 정렬되어 자물쇠가 개방 위치를 취하게 된다.
본 출원인에 의한 미국 특허 제6,718,803호는 하우징과, 잠금 볼트 및 잠금 브리치(locking breach)와,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주변 리세스가 형성된 디스크 부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조립체와, 캠 휠과, 재설정 캠을 포함하는 조합식 자물쇠를 개시하고 있다. 잠금 부재에는, 모든 잠금 러그(locking lug)가 디스크 부재의 주변 리세스 내에 맞물리고 잠금 브리치가 잠금 볼트로부터 분리되는 잠금해제 위치(un-locked position)와, 잠금 브리치가 잠금 볼트를 저지한 상태에서 잠금 러그 중 적어도 하나가 주변 리세스로부터 분리되는 잠금 위치(locked position) 사이에서 각도적으로 변위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잠금 러그가 형성된다. 평면적으로 변위가능한 조작 부재는 각 캠 휠과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종동자(follower)를 포함한다. 재설정 기구는 모든 디스크 부재를 재설정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본 출원의 대상은 조합식 자물쇠의 개방 위치 동안에 자연적인 변위 및 오정렬로부터 조합식 자물쇠의 조합 기구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독창적인 조합식 자물쇠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대상의 일 태양에 따르면, 조합식 자물쇠가 제공되며, 이러한 조합식 자물쇠는,
- 섕크를 내부에 제거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삽입 포트(lodge port)를 갖는 하우징;
-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섕크 포트를 구비하는 잠금 바아(locking bar)로서, 이러한 잠금 바아는, 적어도, 섕크 포트가 삽입 포트와 정렬되어 섕크의 잠금 부분이 양쪽 포트를 통해 하우징 내로 변위하도록 하는 개방 위치와, 섕크 포트가 삽입 포트와 오정렬되어 섕크의 잠금 부분이 섕크 포트를 통해 하우징 외측으로 변위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위치 사이에서 변위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잠금 바아;
- 잠금 바아와 결합되고, 적어도 잠금 바아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자유롭게 변위하는 잠금해제 위치와 잠금 바아가 저지되는 잠금 위치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조합 기구(combination mechanism); 및
- 하우징의 저지 부분과 맞물림 결합하도록 구성된 잠금 바아의 저지 부재와, 잠금 바아를 하우징의 저지 부분과 맞물림 결합하도록 가압하는 바이어싱 기구(biasing mechanism)에 의해 구성되는 고정 장치(securing arrangement)로서, 이러한 고정 장치는 섕크의 잠금 부분을 삽입 포트로부터 제거하려고 할 때 개방 위치로부터의 잠금 바아의 변위를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고정 장치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대상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본 출원의 상기 태양의 조합식 자물쇠를 위한 잠금 바아가 제공되며, 상기 잠금 바아에는,
- 조합식 자물쇠의 섕크의 잠금 부분을 내부에 축방향으로 수용하는 섕크 포트;
- 잠금 바아의 폐쇄 위치로 향하는 제1 측방향으로의 잠금 바아의 변위를 수반하는 섕크 포트 내로의 섕크의 축방향 변위 동안에 섕크의 잠금 부분과 작동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잠금 표면;
- 잠금 바아의 개방 위치로 향하는 반대 측방향으로의 잠금 바아의 변위를 수반하는 섕크 포트 외측으로의 섕크의 반대 축방향 변위 동안에 섕크의 잠금 부분과 작동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잠금해제 표면; 및
- 적어도 하나의 잠금해제 표면이 사전결정된 하중의 인가하에서 접혀서 섕크의 잠금 부분과의 작동적인 맞물림을 불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부정 개방 방지 장치(temper proof arrangement)가 형성된다.
용어 섕크 및 섀클은, 교환가능하지 않더라도, 이후에 번갈아 사용된다.
하우징에는 자물쇠 포트인 단일 작동용 포트가 형성될 수 있다. 용어 "작동용(operative)"은 그것을 통해 섕크가 조합식 자물쇠의 잠금 바아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포트를 지칭하도록 본 명세서에 사용된다. 다시 말해, 잠금 부재와 결합하지 않는 섕크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포트는 "작동용"으로 여겨지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우징은, 자물쇠 포트에 부가하여, 다른 섕크 또는 동일한 섕크/섀클의 다른 단부 부분을 내부에 (고정적으로 또는 제거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추가적인 비작동용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물쇠는 하우징의 작동용 자물쇠 포트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제1 단부, 및 하우징의 비작동용 포트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제2 단부를 갖는 섀클(shackle)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자물쇠의 일례는 통자물쇠(padlock)이다. 대안적으로, 조합식 자물쇠는 케이블 자물쇠일 수 있으며, 케이블의 제1 단부에는 하우징의 자물쇠 포트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섕크가 결합되는 한편, 케이블의 제2 단부에는 하우징 내에 고정적으로 수용되도록 구성된 고정 섕크가 제공된다.
고정 위치에서, 볼트 부재가 섕크 또는 이 섕크의 어떠한 부분과도 맞물리지 않지만 하우징, 조합 기구 또는 섕크 이외의 자물쇠와 연관된 임의의 다른 장치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삽입 포트는 섕크의 헤드부를 관통 수용하기에 충분히 큰 대직경 부분, 및 섕크의 네크부(헤드부보다 직경이 작음)를 관통 수용하기에 충분히 크지만 섕크의 헤드부를 수용하지는 못하는 소직경 부분을 갖는 성형 개구부의 형태일 수 있다. 개방 위치에서, 대직경 부분은 하우징의 섕크 포트와 정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합 기구는 숫자 조합, 문자 조합, 누름 순서, 변위 순서 등과 같은 임의의 통상 공지된 조합 기구일 수 있다.
잠금 바아는 잠금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 및 저지 위치(arrested position)와 비저지 위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중간 위치를 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 장치는 잠금 바아의 저지 부재와 하우징의 저지 부분 사이의 암형/수형 결합부(male/female association)의 형태일 수 있다. 특히, 상기 부분 중 하나는 돌출부의 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세스의 형태일 수 있다. 특정 설계에 따르면, 자물쇠 포트는 그 자체에 하우징의 저지 부분이 형성된다.
저지 위치에서, 잠금 바아의 저지 부재는, 저지 부분 내에 견고하게 수용되지만, 잠금 바아가 약간의 유격에 의해 자물쇠와 관련된 다른 조작(예를 들면, 재설정)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작용 갭을 가질 수 있다.
고정 장치의 바이어싱 장치는 기계식, 전자식, 유압식 등일 수 일 수 있다. 특히, 바이어싱 장치는 잠금 바아를 저지 위치로 가압하도록 기계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바이어싱 장치는 잠금 바아에 대해 팽창/수축하기 위한 스프링 또는 코일의 형태일 수 있다.
바이어싱 장치는 잠금 바아를 가압하여 각도 변위를 수행하게 하고, 즉 조합된 힘을 잠금 바아에 인가하여 잠금 바아의 저지 부재를 하우징의 저지 부분과 맞물릴 뿐만 아니라 서로에 대해 견고하게 접하게 하도록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잠금 바아에는, 잠금 바아와 함께 변위하고(잠금 바아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 잠금 바아가 선회축 주위로 회전을 수행하게 하는 선회점으로서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딩 선회 부분(sliding pivot portion)이 형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바아는 저지 위치와 자유 위치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해 선회점 주위로 측방향 변위 및 선회 변위 모두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잠금 바아의 측방향 변위는 섕크의 잠금 부분의 축방향 변위에 의해 유도될 수 있는 한편, 잠금 바아의 선회 변위는 바이어싱 장치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바이어싱 장치는, 잠금 바아의 저지 위치로부터, 선회점 주위로의 잠금 바아의 선회 변위(하중을 축방향으로 인가함으로써 유도됨)가 잠금 바아의 측방향 변위를 필연적으로 수반하도록 잠금 바아를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잠금 바아를 저지 위치로부터 변위시키기 위해, 먼저 저지 부재와 저지 부분 사이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하나의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고, 그 후에 잠금 바아를 측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다른 방향으로 다른 힘을 인가하는 것이 필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은, 상기 힘의 자연적인 인가의 가능성이 없을 것 같으므로, 자물쇠의 개방 위치 동안에 잠금 바아의 이동(및 그에 따라 적절한 위치로부터의 조합 기구의 이동)을 훌륭하게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개방 위치에서, 조합식 자물쇠의 단순 파괴(sabotage) 이외에 이들 힘을 고의로 인가하는 것에는 의미가 없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바아의 잠금 표면 및 잠금해제 표면 모두는 동일한 요소를 따라 서로 다른 배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잠금 바아에는, 잠금 표면이 형성된 잠금 부재 및 잠금해제 표면이 형성된 잠금해제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잠금 표면 및 잠금해제 표면은, 하나의 방향으로의 섕크의 변위 동안에 섕크가 상기 표면들 중 하나의 표면과만 맞물리는 한편, 반대 방향으로의 섕크의 변위 동안에 섕크가 상기 표면들 중 다른 표면과만 맞물리도록 반대로 배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섕크는 자물쇠 포트 내에서 축방향 변위에 제한될 수 있으며, 섕크와 잠금/잠금해제 표면 사이의 결합이 캠 및 종동자 운동과 유사한 방식으로 잠금 백의 변위를 야기한다.
잠금 바아의 부정 개방 방지 장치는 잠금해제 표면에 인가된 사전결정된 하중이 자물쇠의 다른 구성요소, 예를 들어 조합 기구에 대해 잠금 바아를 변위시키는데 요구되는 하중보다 작도록 설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잠금해제 표면이 접히면, 섕크는 잠금해제 표면과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잠금 바아를 우측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해 원하는 힘을 인가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설계에 따르면, 잠금해제 표면은 잠금 바아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리브를 따라 형성되고, 또한 접힌 위치에서, 잠금 바아에 대체로 평행한 배향을 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힌 위치에서, 섕크의 잠금 부분은 잠금 바아 자체의 몸체에 대해 직접 안착되도록 구성되어, 섕크의 잠금 부분을 하우징으로부터 빼내는 것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해하고 실제로 본 발명이 실행될 수 있는 방법을 알기 위해서,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대상의 일 태양에 따른 자물쇠의 개략 등각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물쇠의 개략적인 등각 분해도이다.
도 3a는 개방 위치에 있는 도 1에 도시된 자물쇠의 개략 등각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세부 부분의 개략 확대도이다.
도 3c는 재설정 위치에 있는 도 1에 도시된 자물쇠의 개략 등각도이다.
도 3d는 도 3c에 도시된 세부 부분의 개략 확대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 내지 도 3d에 도시된 자물쇠와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된 볼트의 개략적인 평면 등각도, 측면 등각도, 평면 등각도 및 저면 등각도이다.
도 4e는 도 3d에 도시된 자물쇠의 세부 부분의 개략 확대도이다.
도 4f는 바이어싱 스프링과 맞물려 있는 경우의 도 4a 내지 도 4e에 도시된 볼트의 개략적인 배면 등각도이다.
도 5a, 도 5c, 도 5e, 도 5g, 도 5i 및 도 5k는 섕크를 자물쇠로부터 빼내는 다양한 단계 동안의 도 1에 도시된 자물쇠의 개략 정면도로서, 자물쇠의 전방 커버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b, 도 5d, 도 5f, 도 5h, 도 5j 및 도 5l은 도 5a, 도 5c, 도 5e, 도 5g, 도 5i 및 도 5k에 도시된 자물쇠의 개략 배면도로서, 자물쇠의 후방 커버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a는 도 1 내지 도 3d에 도시된 자물쇠의 개략 등각도로서, 부정 개방 중인 볼트의 섀클을 도시한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자물쇠의 일부분의 개략적인 확대 저면 등각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출원에 따른 조합식 자물쇠(포괄적으로 도면부호(1)로 지시됨)의 기본 디자인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물쇠(1)는 케이블 자물쇠로서, 자물쇠(1) 내에 제거가능하게 수용되도록 구성된 제1 단부(20) 및 자물쇠(1) 내에 고정적으로 수용된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케이블(C)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도시된 디자인이 케이블 자물쇠에 관한 것이지만, 자물쇠 내에 수용된 다른 기구, 예를 들어 볼트, 조합 장치(combination arrangement) 등과 결합된 섕크(본 명세서에서 섀클로도 지칭됨)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단일 작동용 포트, 즉 단일 포트를 갖는 임의의 조합식 자물쇠에 적용가능하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자물쇠(1)의 분해 등각도는 일반적으로 상부 및 하부 하우징 커버(101, 102)와, 코그(cog)(210), 잠금 크로스(locking cross)(220), 디코딩 링(decoding ring)(230), 디스크(240) 및 재설정 요소(260, 270)를 포함하는 조합 기구(20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자물쇠(1)는 액추에이터 하우징(130), 작동 플레이트(150) 및 액추에이터 버튼(140)을 구비하는 작동 장치(actuation arrangement)를 추가로 포함한다.
작동 기구는 조합 기구와 결합되고, 조합식 자물쇠의 개방/폐쇄를 허용하는 적절한 조합을 설정하는데 효과적이다.
조합 기구(200) 및 작동 장치의 디자인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합체되는 미국 특허 제6,718,803호로부터 그 자체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자물쇠는, 적어도 하우징 내로의 섕크(10)의 삽입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와 내부에 삽입되면 하우징(101, 102)으로부터의 섕크(10)의 제거를 방지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 있어서 하우징(101, 102) 내에서 측방향 및 선회방향으로 모두 변위하도록 구성된 볼트 부재(300)를 또한 포함한다. 볼트 부재(300)는 바이어싱 장치(360)와 결합되어, 사실상 사전결정된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스프링 부하를 받는다.
생크(10)는 연장된 튜브체(12)의 형태이고, 좁은 네크부(neck portion)(22)와, 둥근 작용 표면(26)을 갖는 원형 섕크 헤드부(24)를 구비하는 것이 도 2c로부터 관찰된다. 표면(26)의 디자인은 도 6a 및 도 6b와 관련하여 상세하게 후술한다.
이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볼트 부재(300)가 조합 기구(200)와 맞물려 있는 개방 위치에 있는 자물쇠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시된 위치에서, 잠금 크로스(220)의 4개의 잠금 구멍(225)은 하우징의 4개의 대응하는 스파이크(105) 위에 매달려 있으며, 하우징(102)의 메인 허브(105)의 일부분은 잠금 크로스(220)의 메인 포트 내에 수용되고, 잠금 크로스(220)는 하우징 커버(102)의 하부 표면 위로 들어올려지도록 디코딩 링(230)의 상부 표면(232) 위에 안착되어 있다.
잠금 크로스(220)에는, 잠금 디스크(240)(도 2에 도시됨)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4개의 인서트 부분(224)이 형성된다. 인서트 부분 중 하나에는, 상기 위치에서, 볼트 부재(300)의 변위가 잠금 크로스(230)의 회전을 수반하기 위해 볼트 부재(300)의 연장부(315)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귀형(ear-like) 연장부(226)가 형성된다.
이제 도 3c 및 도 3d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조합식 자물쇠(1)의 조합을 설정하도록 하는 재설정 위치에 있는 자물쇠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디코딩 링(230)은 잠금 크로스(220)에 대하여 각지게 회전되어, 잠금 크로스를 하방으로(커버(102)의 하부를 향해서) 변위시키는 것이 관찰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잠금 크로스(220) 및 디코딩 링(230)은 공통 평면을 따라 정렬된다.
재설정 위치에서, 잠금 크로스(220)는 커버(102)의 베드 상에 안착되어, 커버(102)의 4개의 스파이크(105)가 잠금 크로스(220)의 구멍(225) 내에 수용되고, 이에 의해 잠금 크로스(220)의 회전이 방지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볼트 부재(300)의 연장부(315)는 잠금 크로스(220)의 귀형 연장부(226)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관찰된다. 따라서, 볼트 부재(300)는 조합 기구(200)에 비해 상승된 평면 상에 있는 잠금 크로스(220) 위로 간단히 슬라이딩함에 따라 조합 기구(200)에 영향 또는 영향력을 미치지 않고 측방향 이동을 자유롭게 실행할 수 있다.
조합식 자물쇠를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맞물림 위치로부터 도 3c 및 도 3d에 도시된 재설정 위치로 변위시키기 위해, 디코딩 링(23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잠금 크로스(220)가 디코딩 링(230)의 경사면(234, 236)을 아래로 슬라이딩한다. 맞물림 위치로 반대방향으로 전환하는 경우, 디코딩 링(2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경사면(234, 236)은 잠금 크로스(220)의 인서트 부분(224)을 아래로 미끄러져서, 잠금 크로스(220)를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위치로 다시 상승한다.
이제 도 4a 내지 도 4f를 참조하면, 본 예시의 볼트 부재(300)는 섕크(10)의 헤드부(24)를 관통 수용하기에 충분히 큰 대직경 부분(314) 및 헤드부(24)가 아닌 섕크(10)의 네크부(22)를 관통 수용하기에 충분히 큰 소직경 부분(316)을 구비한 성형 개구부가 형성된 단일 금속체(312)로 이루어진다. 소직경 부분(316)은 섕크(10)의 헤드부(24)와 맞물려서 하우징으로부터 섕크(10)의 빠짐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차단 표면(311)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단일 금속체(312)에는, 또한 잠금 크로스(220)와 볼트 부재(300)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측방향 연장부(3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자물쇠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디코딩 링(23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저지 리브(317)가 측방향 연장부(315)로부터 돌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일 금속체(312)에는, 볼트 부재(300)의 상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2개의 돌출부(342)의 형태로 저지 장치(34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일 금속체(312)에는, 섕크의 삽입시에 섕크(10)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잠금 유도 부재(320)가 제공되며, 이러한 맞물림에 의해 볼트 부재(300)는 원하는 잠금 위치로 변위되어, 하우징으로부터 섕크(10)의 빠짐을 방지한다.
특히, 잠금 유도 부재는 대직경 개구부(314)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단일 금속체(312)의 하측면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연장되는 작용 돌출부(322)의 형태이다.
작동 시에, 섕크(10)의 헤드부(24)를 대직경 개구부(314)를 통해 삽입할 때, 헤드부(24)는 잠금 유도 부재(320)의 작용 표면(324)과 맞물려서, 먼저 축(XB)(도 5a 내지 도 5l에 도시됨) 주위로 시계방향으로 볼트 부재(300)를 선회시키기에 충분한 하중을 볼트 부재(300)에 하방으로 인가하고, 이에 의해 돌출부(342)를 리세스(116)로부터 제거하여 볼트 부재(300)를 하우징(102)으로부터 분리한다.
계속해서, 섕크(10)가 자물쇠의 포트(110)에 대해 측방향으로 변위할 수 없으므로, 작용 표면(324)에 대한 하중은 우측방향(방향들은 도 4b에 도시된 도면에 대해 나타냄)으로의 잠금 부재(300)의 측방향 변위를 야기한다. 볼트 부재(300)는 이제 하우징(102)으로부터 분리되므로(돌출부(342)가 리세스(116)로부터 벗어나므로) 그러한 변위를 자유롭게 실행할 수 있다.
볼트 부재(300)의 이러한 측방향 변위는 소직경 개구부가 섕크(10)의 네크부(22)에 대해 맞물려 잠기게 하여, 자물쇠(1)의 하우징으로부터 섕크(10)의 빠짐을 방지한다.
볼트 부재(300)에는, 섕크(10)가 자물쇠(1) 내에 수용되는 경우에 헤드부(24)와 맞물려서, (적절한 조합이 조합 기구(200)에 설정되었다면) 볼트 부재(300)를 하우징으로부터 섕크(10)의 빠짐을 허용하는 위치로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개방 유도 장치(330)가 또한 형성되어 있다.
개방 유도 장치(330)는 단일 금속체(31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2개의 이격된 리브(332)의 형태이며, 각각의 리브(332)에는, 잠금 유도 부재(320)의 작용 표면(324)의 배향과 반대 배향의 작용 표면(334)이 형성되어 있다.
작동 시에, 섕크(10)를 자물쇠(1)의 하우징으로부터 제거하고자 섕크(10)를 빼내고 및/또는 당길 때, 작용 표면(334)은, 섕크(10)의 헤드부(24)에 맞물리고, 경사진 배향으로 인해, 잠금 유도 부재(320)에 대해 이미 설명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반대의 측방향(좌측방향)으로 볼트 부재(300)의 변위를 일으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맞물림 시에, 헤드부(24)는 작용 표면(334)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섕크(10)가 자물쇠(1)의 포트(110)에 대해 측방향으로 변위할 수 없으므로, 헤드부(24)는 볼트 부재(300)에 리브(332)를 거쳐서 하중을 인가하여 필요한 측방향 변위를 일으킨다.
그러나, 도 6a 및 도 6b에 대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리브(332)는 그에 대한 소정의 하중의 인가하에서 변형하고 접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작용 표면(334)은 경사질 뿐만 아니라 기울어 있어, 섕크(10)의 헤드부(24)와 맞물림시에 헤드부(24)가 화살표(r)로 나타낸 방향으로 리브를 벌리기 위해서 작용 표면(334)에 힘을 인가하는 것이 관찰된다. 헤드부(24)에 의해 인가된 힘이 사전설정된 힘보다 큰 경우에, 리브(332)는 단순히 접혀서 화살표(r) 방향으로 외측으로 변형할 것이다.
이제 도 5a 내지 도 5l을 참조하면, 조합식 자물쇠(1)의 조합이 적절하게 설정되고, 섕크(10)가 자물쇠 포트(110)로부터 제거되도록 허용되는 순서가 도시되어 있다.
자물쇠 포트(110) 내에는, 볼트 부재가 상기 주어진 위치에 있을 때 저지 돌출부(342)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2개의 길이방향 리세스(11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관찰된다.
볼트 부재(300)는 축(XS) 주위로 시계방향으로 일정하게 회전시키고자 구성된 스프링(362)에 의해 구성되는 바이어싱 장치(360)(스프링 부하식)와 결합하여 있다.
특히, 도 5a 및 도 5b에 있어서, 섕크 헤드부(24)가 개방 유도 장치(330)의 리브(332)와 맞물려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화살표(L2)에 의해 지시된 상측 방향으로 섕크(10)를 당기는 것은 화살표(L1)에 의해 지시된 측방향 좌측으로의 볼트 부재(300)의 측방향 변위를 수반한다.
또한, 바이어싱 스프링(362)의 제1 단부(364)는 볼트 부재(300)의 제1 구석부(nook)(319a) 내에 수용되어 볼트 부재(300)를 상측 방향으로 가압하고, 그에 따라 상기 측방향 변위 동안에, 볼트 부재(300)가 그 배향을 유지하고 바이어싱 스프링(362)의 힘에 대하여 변위하는 것이 관찰된다.
또한, 상기 위치에서, 자물쇠 포트(110)에 면하는 볼트 부재(300)의 상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볼트 부재(300)의 2개의 돌출부(342)(세로로 줄지어 위치됨)는 자물쇠 포트(110)의 하측면에 접하여 그것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이제 도 5c 및 도 5d를 참조하면, 방향(L2)으로의 섕크(10)의 추가적인 변위시에, 볼트 부재(300)는 측방향으로 더 변위하여, 제1 단부(364)가 제1 구석부(319a)의 외측으로 슬라이딩하고 볼트 부재(300)의 벽 부분 아래에 가압된다.
볼트 부재(300)가 도 5e 및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L1)으로 측방향으로 전진함에 따라, 볼트 부재(300)의 돌출부(342)는 도 5g 및 도 5h에 도시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자물쇠 포트(110)의 리세스(116)에 보다 근접하게 당겨진다.
이러한 위치에서, 돌출부(342)의 선단부는 정확하게 리세스(116)의 입구에 있다. 원칙적으로, 이러한 단계에서, 섕크(10)의 헤드부(24)가 리브(332)의 작용 표면(334)으로부터 분리되어 방향(L2)으로의 헤드부(24)의 변위가 방향(L1)으로의 추가적인 변위를 수반하지 않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그러나, 돌출부(342)가 리세스(116) 내에 수용되도록 하기 위해서, 볼트 부재(300)가 리세스(116)를 지나서 도 5i 및 도 5j에 도시된 위치까지 계속해서 측방향으로 변위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상기 위치에서, 스프링(362)의 단부(364)는 볼트 부재(300)의 제2 구석부(319b) 내로 미끄러지고, 여전히 자신의 축(XS) 주위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XB에 슬라이딩 선회점을 갖는 볼트 부재(300)는 방향(L1')(L1의 반대방향)으로 측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조합 변위를 수행하며, 동시에 축(XB) 주위로 반시계방향으로 각도/선회 변위를 실행한다.
상기 변위에 의해, 돌출부(342)는 리세스(116)를 향해 변위하여 그 표면(344)이 도 5k 및 도 5l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116)의 표면에 대하여 가압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볼트 부재(300)의 돌출부(342)는 리세스(116) 내에 견고하게 끼워지고, 바이어싱 스프링(362)의 힘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된다.
볼트 부재(300)가 조합 기구(200)와 기계적으로 결합될 때(상세하게 후술함), 주어진 위치에 있어서, 볼트 부재(300)의 변위를 방지하여, 조합식 자물쇠가 사용 불가능하게 하거나 재사용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는 잠금해제 조합에서 벗어나게 조합 기구(200)를 이동시키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자물쇠가 자연적인 변위/흔들림 등을 받는 경우에도, 볼트 부재(300)는 그 위치로부터 변위되지 않으며, 따라서 조합 기구(200)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그 구성요소의 위치의 원하지 않는 이동을 적절하게 회피한다.
특히, 볼트 부재(300)는 바이어싱 스프링(362)으로 인해 바로 하방으로 변위될 수 없다. 다시 말해서, 볼트 부재(300) 상을 아래로 가압하거나 볼트 부재(300)에 유사하게 지향된 힘을 인가하는 것은 바이어싱 스프링에 의해 볼트 부재에 인가된 힘으로 인해 화살표(L1) 방향으로 측방향 변위를 수반한다.
볼트 부재(300)가 이 볼트 부재(300)에 인가된 힘의 세트를, 낙하 또는 갑작스런 변위의 결과로 먼저 하방으로 그 후에 우측으로 자연적으로 받을 가능성이 매우 미미하여, 조합 기구(220)의 임의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도 5k에 도시된 위치에서, 저지 돌출부(342)의 후방 표면(346)과 길이방향 리세스(116)의 대향 측벽(117) 사이에 형성된 간극(G)이 있는 것이 관찰된다. 이러한 간극(G)은 조합의 재설정과 같은 조합식 자물쇠에 대한 다른 조작 동안에 약간의 유격을 갖고서 볼트 부재(300)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본 조합식 자물쇠에 있어서, 하나의 작동용 섕크 포트만이 존재하며, 즉 섕크(10)가 자물쇠의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섕크(또는 섀클)의 어떤 부분도 예를 들어 통자물쇠(padlock)(섀클의 타단부가 볼트와 맞물림 상태에 있음)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그 변위를 방지하는 볼트와 맞물림 상태에 있지 않다는 것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출원의 대상은 볼트 부재(300)의 변위가 자물쇠(1)의 하우징과만의 맞물림을 통해 저지되는 훌륭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이것은 전술한 바와 같은 케이블 자물쇠에 특히 유용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장치는 개방 위치에서 볼트가 섕크와 결합하고 있지 않은 임의의 다른 타입의 자물쇠 및/또는 그러한 결합이 원하지 않는 자물쇠에 제공될 수 있다.
이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조합 기구(200)가 적절한 조합으로 설정되지 않고, 따라서 측방향으로의 볼트 부재(300)의 변위를 방지하여 자물쇠(1)로부터 섕크(10)의 적절한 빠짐을 허용하는 자물쇠(1)의 잠금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예를 들면, 자물쇠를 억지로 풀려고 하는 사람에 의해) 섕크(10)를 빼내기 위해 섕크(10)를 거칠게 잡아당기고 및/또는 자물쇠를 부정 개방하면, 리브(332)에 힘이 가해지며, 그 결과 볼트 부재(300)를 측방향으로 변위하도록 가압하게 된다. 그러나, 조합이 조합 기구(200)에 적절하게 설정되지 않고 잠금 크로스(220)가 적절하게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잠금 크로스(220)와 접하는 볼트 부재(300)의 측방향 연장부(315) 및 돌출부(317)가 또한 변위하는 것이 방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잠금 크로스(220)에 큰 하중을 인가하는 것은 조합 기구의 기능 불량 및 섕크(20)의 해제(즉, 자물쇠의 억지 풀림)를 야기한다. 볼트 부재(300)의 리브(332)에 인가된 하중이 잠금 크로스(220) 및 조합 기구(22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리브(332)는, 이 리브가 접히는데 필요한 최소 하중이 조합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의 조합 기구(200)에 대하여 잠금 크로스(220)를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하중보다 작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섕크(10)에 대한 당기는 힘이 증가하여 사전결정된 수준에 도달하면, 리브(332)는 간단히 접힌다. 접히면, 섕크(10)의 헤드부(24)는 소직경 개구부 주위의 플레이트(311)에 직접 접하고, 그에 따라 볼트 부재(300)의 측방향 변위를 유발하는 임의의 측방향 힘을 인가할 수 없다.
상기 위치에서, 접힌 리브(332)는 볼트 부재(300)를 사용 불가능하게 하여, (조합을 소유하는) 자물쇠의 원래 사용자에 대해서도 자물쇠(1)를 잠금 위치에 그대로 있게 한다. 그러나, 이것은 자물쇠가 억지로 풀리는 것에 대한 양호한 대안으로 여전히 고려된다. 따라서, 리브(332)는 또한 자물쇠를 강제로 풀려는 것을 저지하는 부정 개방 방지 장치로서 기능한다. 그에 따라, 리브(332)는 또한 자물쇠를 억지로 풀려는 실패한 시도에 대한 표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는 많은 변경, 수정 및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필요한 부분만 약간 수정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알 것이다.

Claims (35)

  1. 조합식 자물쇠에 있어서,
    - 섕크를 내부에 제거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삽입 포트(lodge port)를 갖는 하우징;
    -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섕크 포트를 구비하는 잠금 바아(locking bar)로서, 상기 잠금 바아는, 적어도, 섕크 포트가 삽입 포트와 정렬되어 상기 섕크의 잠금 부분이 양쪽 포트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로 변위하도록 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섕크 포트가 삽입 포트와 오정렬되어 상기 섕크의 잠금 부분이 섕크 포트를 통해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변위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위치 사이에서 변위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잠금 바아;
    - 상기 잠금 바아와 결합되고, 적어도 상기 잠금 바아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자유롭게 변위하는 잠금해제 위치와 상기 잠금 바아가 저지되는 잠금 위치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조합 기구(combination mechanism); 및
    - 상기 하우징의 저지 부분과 맞물림 결합하도록 구성된 잠금 바아의 저지 부재와, 상기 잠금 바아를 상기 하우징의 저지 부분과 맞물림 결합하도록 가압하는 바이어싱 기구(biasing mechanism)에 의해 구성되는 고정 장치(securing arrangement)로서, 상기 고정 장치는 섕크의 잠금 부분을 삽입 포트로부터 제거하려고 할 때 개방 위치로부터의 상기 잠금 바아의 변위를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조합식 자물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단일 자물쇠 포트가 형성되는, 조합식 자물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잠금 바아와 결합하지 않는 다른 섕크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비작동용 자물쇠 포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합식 자물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물쇠는 상기 하우징의 자물쇠 포트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제1 단부, 및 상기 하우징의 비작동용 포트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제2 단부를 갖는 섀클(shackle)을 구비하는, 조합식 자물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물쇠는 통자물쇠(padlock)인, 조합식 자물쇠.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물쇠는 케이블 자물쇠이며, 케이블의 제1 단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자물쇠 포트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섕크가 결합되는 한편, 상기 케이블의 제2 단부에는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적으로 수용되도록 구성된 고정 섕크가 제공되는, 조합식 자물쇠.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의 고정 위치에서, 상기 잠금 부재가 섕크 또는 상기 섕크의 어떠한 부분과도 맞물리지 않는, 조합식 자물쇠.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포트는 섕크의 헤드부를 관통 수용하기에 충분히 큰 대직경 부분, 및 섕크의 네크부(헤드부보다 직경이 작음)를 관통 수용하기에 충분히 크지만 섕크의 헤드부를 수용하지는 못하는 소직경 부분을 갖는 성형 개구부의 형태인, 조합식 자물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대직경 부분은 상기 하우징의 섕크 포트와 정렬되는, 조합식 자물쇠.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바아는 잠금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중간 위치를 취하도록 구성되는, 조합식 자물쇠.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는 잠금 바아의 저지 부재와 하우징의 저지 부분 사이의 암형/수형 결합부의 형태인, 조합식 자물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물쇠 포트는 그 자체에 상기 하우징의 저지 부분이 형성되는, 조합식 자물쇠.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지 위치에서, 상기 잠금 바아의 저지 부재는, 저지 부분 내에 견고하게 수용되지만, 잠금 바아가 약간의 유격에 의해 자물쇠와 관련된 다른 조작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작용 갭을 갖는, 조합식 자물쇠.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 장치는 기계식인, 조합식 자물쇠.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 장치는 바이어싱 스프링의 형태인, 조합식 자물쇠.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 장치는 상기 잠금 바아를 가압하여 각도 변위를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조합식 자물쇠.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바아에는, 잠금 바아와 함께 변위하고, 잠금 바아가 선회축 주위로 회전을 수행하게 하는 선회점으로서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딩 선회 부분이 제공되는, 조합식 자물쇠.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바아는 저지 위치와 자유 위치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해 선회점 주위로 측방향 변위 및 선회 변위 모두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조합식 자물쇠.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바아의 측방향 변위는 섕크의 잠금 부분의 축방향 변위에 의해 유도되는 한편, 상기 잠금 바아의 선회 변위는 바이어싱 장치에 의해 유도되는, 조합식 자물쇠.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 장치는, 잠금 바아의 저지 위치로부터, 선회점 주위로의 잠금 바아의 선회 변위가 잠금 바아의 측방향 변위를 필연적으로 수반하도록 잠금 바아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조합식 자물쇠.
  21. 본 출원의 상기 태양의 조합식 자물쇠를 위한 잠금 바아에 있어서,
    상기 잠금 바아에는,
    - 조합식 자물쇠의 섕크의 잠금 부분을 내부에 축방향으로 수용하는 섕크 포트;
    - 상기 잠금 바아의 폐쇄 위치로 향하는 제1 측방향으로의 잠금 바아의 변위를 수반하는 상기 섕크 포트 내로의 섕크의 축방향 변위 동안에 섕크의 잠금 부분과 작동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잠금 표면;
    - 상기 잠금 바아의 개방 위치로 향하는 반대 측방향으로의 잠금 바아의 변위를 수반하는 상기 섕크 포트 외측으로의 섕크의 반대 축방향 변위 동안에 섕크의 잠금 부분과 작동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잠금해제 표면; 및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잠금해제 표면이 사전결정된 하중의 인가하에서 접혀서 상기 섕크의 잠금 부분과의 작동적인 맞물림을 불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부정 개방 방지 장치가 형성되는, 잠금 바아.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바아의 잠금 표면 및 잠금해제 표면 모두는 동일한 요소를 따라 서로 다른 배향으로 형성되는, 잠금 바아.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바아에는, 상기 잠금 표면이 형성된 잠금 부재 및 상기 잠금해제 표면이 형성된 잠금해제 부재가 형성되는, 잠금 바아.
  24.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표면 및 잠금해제 표면은, 하나의 방향으로의 섕크의 변위 동안에 상기 섕크가 상기 표면들 중 하나의 표면과만 맞물리는 한편, 반대 방향으로의 섕크의 변위 동안에 상기 섕크가 상기 표면들 중 다른 표면과만 맞물리도록 반대로 배향되는, 잠금 바아.
  25.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바아의 부정 개방 방지 장치는 잠금해제 표면에 인가된 사전결정된 하중이 자물쇠의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 잠금 바아를 변위시키는데 요구되는 하중보다 작도록 설계되는, 잠금 바아.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 표면이 접히면, 상기 섕크는 잠금해제 표면과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잠금 바아를 우측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해 원하는 힘을 인가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는, 잠금 바아.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 표면은 잠금 바아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리브를 따라 형성되는, 잠금 바아.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접힌 위치에서, 잠금 바아에 대체로 평행한 배향을 취하도록 구성되는, 잠금 바아.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접힌 위치에서, 상기 섕크의 잠금 부분은 잠금 바아 자체의 몸체에 대해 직접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잠금 바아.
  30. 제2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바아에는, 잠금 바아와 함께 변위하고, 잠금 바아가 선회축 주위로 회전을 수행하게 하는 선회점으로서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딩 선회 부분이 제공되는, 잠금 바아.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바아는 저지 위치와 자유 위치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해 선회점 주위로 측방향 변위 및 선회 변위 모두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조합식 자물쇠.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바아의 측방향 변위는 섕크의 잠금 부분의 축방향 변위에 의해 유도되는 한편, 상기 잠금 바아의 선회 변위는 바이어싱 장치에 의해 유도되는, 조합식 자물쇠.
  33. 제30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 장치는, 잠금 바아의 저지 위치로부터, 선회점 주위로의 잠금 바아의 선회 변위가 잠금 바아의 측방향 변위를 필연적으로 수반하도록 잠금 바아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조합식 자물쇠.
  34. 적어도 하나의 잠금 조립체 및 평면적으로 변위가능한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조합식 자물쇠에 있어서,
    사전결정된 평면에서의 회전 및 상기 평면을 따른 선형 변위를 모두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래치 요소(latch element)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합식 자물쇠.
  35.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에 개시된 조합식 자물쇠.
KR20147020292A 2011-12-20 2012-12-20 조합식 자물쇠 KR201401289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77753P 2011-12-20 2011-12-20
US61/577,753 2011-12-20
PCT/IL2012/050540 WO2013093918A1 (en) 2011-12-20 2012-12-20 Combination lo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963A true KR20140128963A (ko) 2014-11-06

Family

ID=48667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7020292A KR20140128963A (ko) 2011-12-20 2012-12-20 조합식 자물쇠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797164B2 (ko)
EP (1) EP2795026A4 (ko)
JP (1) JP2015504990A (ko)
KR (1) KR20140128963A (ko)
CN (1) CN104145069B (ko)
AU (1) AU2012355988A1 (ko)
BR (1) BR112014015267A8 (ko)
CA (1) CA2859987C (ko)
MX (1) MX2014007384A (ko)
RU (1) RU2014127467A (ko)
WO (1) WO20130939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59327A1 (en) * 2014-06-23 2017-06-08 Knollan Ltd. Hybrid bolt for a lock mechanism
PL3112217T3 (pl) * 2015-07-02 2018-05-30 Thule Sweden Ab Nośnik ładunku zawierający układ zamykający
CN109826499B (zh) * 2019-02-18 2023-11-03 东莞市怡丰锁业有限公司 一种密码锁
US20230050454A1 (en) * 2021-08-16 2023-02-16 Delta Cycle Corporation Bicycle cable lock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1222314A (en) 1912-10-01 1913-10-01 Charles Patt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Locks.
US1413525A (en) * 1921-04-28 1922-04-18 Dorozynski Paul Permutation lock
US1866273A (en) 1931-08-22 1932-07-05 Sinner Emil Combination padlock
US3823584A (en) 1973-08-06 1974-07-16 Snyder H Joint combination actuated and key actuated padlock
US3990275A (en) 1975-07-14 1976-11-09 Junkunc Bros. American Lock Company Tamper-proof padlock
IL121797A (en) * 1997-09-18 2000-11-21 Knollan Ltd Combination lock mechanism
US5868012A (en) * 1997-10-27 1999-02-09 Chun-Te; Yu Chain lock
US6609399B1 (en) * 1999-12-20 2003-08-26 Winner International Royalty Llc Cable lock
US6363758B1 (en) * 2000-04-11 2002-04-02 Chong-Kuan Ling Ergonomically manipulated cable combination lock with lay-out operations in angular relationship
US6862905B2 (en) 2001-02-12 2005-03-08 Master Lock Company Pin locking device and method of locking
US6675614B2 (en) 2002-02-13 2004-01-13 The Sun Lock Company, Ltd. High security combination padlock with locking bar
US6718803B2 (en) 2002-05-06 2004-04-13 Knollan Ltd. Combination lock
TWM256895U (en) * 2004-01-20 2005-02-11 Fullyear Brother Entpr Co Ltd Improved structure of pad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4015267A2 (pt) 2017-06-13
US20140338406A1 (en) 2014-11-20
US9797164B2 (en) 2017-10-24
CN104145069B (zh) 2017-04-05
EP2795026A1 (en) 2014-10-29
JP2015504990A (ja) 2015-02-16
RU2014127467A (ru) 2016-02-10
BR112014015267A8 (pt) 2017-06-13
EP2795026A4 (en) 2016-02-24
CA2859987A1 (en) 2013-06-27
AU2012355988A1 (en) 2014-07-24
CA2859987C (en) 2019-07-30
MX2014007384A (es) 2015-10-29
WO2013093918A1 (en) 2013-06-27
CN104145069A (zh) 2014-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304163A1 (en) Auto Cam Lock
US8302435B2 (en) Pin locking device
US9587415B2 (en) Sidebit operated interchangeable core control lug
US6898952B1 (en) Electric padlock
US8806905B2 (en) Padlock assembly
CN108487787B (zh) 锁芯及具有其的锁具
KR20140128963A (ko) 조합식 자물쇠
US11391063B2 (en) Cable lock having dual unlocking mechanism
EP2500246A1 (en) Anti-theft device for closing and locking a case on a support of a motorcycle
US8601839B1 (en) Deadlocking drawer lock
CN108915420B (zh) 一种扣锁
KR200485046Y1 (ko) 도어 록킹 장치
JP3992155B2 (ja) マンホール蓋用ロック装置
JP4127702B2 (ja) 南京錠
US20110185775A1 (en) Padlocks with anti-rapping security features
CN211422134U (zh) 一种防撬双开安全锁
JP4049796B2 (ja) フロアハッチ用取手
US8356498B1 (en) Double lock handcuff
JP5500490B2 (ja) 押釦錠の無施錠防止装置
CN110528972A (zh) 一种磁吸辅助闭锁的挂锁
JP4441346B2 (ja) 障子施錠機構の誤操作防止装置
US20230045238A1 (en) High security combination padlock and locking bar with advanced anti-picking mechanism
CN102140867A (zh) 具有防撬安全特征的挂锁
KR20150064310A (ko) 자물쇠
JP3037579U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