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7278A - 치과용 임플란트 및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 및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7278A
KR20140127278A KR1020147023738A KR20147023738A KR20140127278A KR 20140127278 A KR20140127278 A KR 20140127278A KR 1020147023738 A KR1020147023738 A KR 1020147023738A KR 20147023738 A KR20147023738 A KR 20147023738A KR 20140127278 A KR20140127278 A KR 20140127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body
mounting section
dental
implant
dental impl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3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자샤 크라머 폰 클라우스브루흐
Original Assignee
이보클라 비바덴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63032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12727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보클라 비바덴트 아게 filed Critical 이보클라 비바덴트 아게
Publication of KR20140127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2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5Implant heads specially designed for receiving an uppe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3Porcelain or ceramic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1Abutment monobloc with rest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환자의 턱(14) 내로 도입하기 위한 임플란트 본체(30)를 구비하고 나사(70)를 위한 연속 통로를 구비한 고정 부분(54)을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20)에서, 상기 나사는 상기 고정 부분(54)을 상기 임플란트 본체(30)에 해제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상기 임플란트 본체(30) 내로 나사 조립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치아 수복물의 외측 표면의 적어도 더 큰 부분을 형성하는 상부 구조(52), 특히 크라운이 제공된다. 고정 부분(54) 및 임플란트 본체가 각각 원의 형상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사진 표면을 가지는, 특히 각각 다각형을 가지는 맞물림 요소들을 통해 서로 해제가능하게 맞물린다. 상부 구조(52) 및 고정 부분(54)은 원-피스 구성요소(50)로서 설계되고 동일한 재료로 제조된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 및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DENTAL IMPLANT AND METHOD FOR PRODUCING A DENTAL IMPLANT}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dental implant)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통상적으로 의도된 목적을 위해 외측 나사산에 의해 환자의 턱뼈 내로 나사 조립되거나,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턱뼈 내에 부착되어 턱뼈와 일체화되는 임플란트 본체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임플란트 보철 내에 치과용 임플란트의 상부 구조, 즉 보통 각각의 크라운(crown)이 별개의 연결 요소, 소위 지대치(abutment)를 통해 임플란트 본체에 부착된다. 모두(both) 티타늄 및 알루미늄 옥사이드 세라믹류 및 지르코늄 디옥사이드 세라믹류로 제조된 지대치가 사용되며 이에 의해 지대치가 보통 잇몸과 접촉하기 때문에 우수한 생체 적합성이 소망된다.
지대치들은 대부분 크라운 및 임플란트 본체에 대해 단단한 끼워 맞춤(secure fit) 및 고정 둘다 보장되도록 제조된다. 지대치에 의해 정확한 위치, 즉 높이(altitude), 필요한 경우 근원심 방향으로 기울기, 각도 위치가 5차원들로 규정되어야 한다. 이 같은 지대치는 대부분 수직 축선을 구비한 성형된 본체로서 구현되고, 이 수직 축선을 중심으로 지대치가 원형 대칭 방식으로 연장한다. 볼트 체결 연결부 및 접착 조인트가 실현될 수 있지만, 또한 압입 끼워 맞춤이 가능하다.
예비성형된 지대치들은 이들이 종종 환자의 입 내의 치아들의 열 내로 잘 끼워 맞춰지지 않을 수 있고 경질 재료(티타늄, ZrO2)에 의해 형상의 변화가 어렵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는 상부 구조의 제조시 문제를 일으킨다.
따라서, 또한 개별적으로 제조된 지대치들이 최근에 사용된다. 그러나, 이는 많은 시간 및 비용 지출을 요구한다.
크라운 또는 상부 구조는 예를 들면 세라믹류가 덧붙여져 장식되는(veneer) 금속 프레임을 포함하거나 크라운 또는 상부 구조는 세라믹류 또는 복합물로 이루어진다. 크라운과 임플란트 본체 사이의 연결이 언급된 볼트 조립 연결부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나사는 저작력이 연결부를 연결 해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확히 주어진 토크로 조여져야 한다. 지대치를 상부 구조와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시멘트 또는 접착 조인트가 적용되는 경우, 페리-임플란티티스(peri-implantitis), 즉 임플란트 본체의 영역에서의 뼈의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더욱이, 지금까지 사용된 치과용 임플란트들은 비교적 비용이 많이 들고 복잡하다.
WO 99/055249 A1호로부터, 지대치를 임플란트 본체 내로 통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를 위해, 임플란트 본체는 두 개의 부분들, 즉 금속 코어 및 세라믹류 또는 복합 재료로 제조된 클래딩(cladding)을 포함한다. 크라운은 임플란트 본체의 절두 원뿔형 유지 형상에 끼워 맞춤될 내부 코어를 포함한다. 우수한 본딩 또는 연결을 보장하도록, 크라운은 상대적으로 작은 원뿔각을 포함하여 크라운의 윗잇몸 영역들이 비교적 얇게 된다. 크라운이 이러한 위치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해결책은 바람직하게는 공지된 단점들임에도 불구하고 크라운의 접착 본딩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저 비용으로 상부 구조의 안전한 장착을 허용하는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목적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장착 섹션 및 상부 구조는 동일한 재료로 제조된 일체형 구조 부재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경우, 두 개의 구조적 구성요소들, 즉 별개의 상부 구조 및 별개의 장착 섹션(지대치)이 교대로 임플란트 본체에 연결되지 않고 단지 위에서 언급된 원-피스형(one-pieced) 또는 일체형의 구조 부재이다. 이는 볼트 조립 연결부를 통해 임플란트 본체에 부착된다.
이를 위해, 일체형 구조 부재에는 상부 구조로부터 장착 섹션을 통해 연장하는 관통-통로 오목부(through-passage recess)가 제공된다. 장착 나사는 상기 나사 연결 채널 또는 상기 관통-통로 오목부 내로 내부에서 장착 섹션과 장착 나사의 원뿔형 나사 머리가 접촉하여 장착 나사가 이를 통해 완전히 미끄러져 들어가지 않을 수 있다. 나사 연결 채널의 적어도 일부 섹션들은 나사 헤드보다 더 작은 직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크라운의 장착 섹션 및 임플란트 본체 양자 모두에서 각각 원형 형태로부터 벗어나는 하나 이상의 경사진 평면, 특히 다측면 프로파일 또는 다각형을 가지는 맞물림 요소들이 제공된다. 이들은 서로 해제가능하게 정합된다(mesh).
놀랍게도, 크라운이 블랭크(blank)로부터 밀링 가공되는 경우, 특히 맞물림 요소들이 크라운에서 외부로 대면하는 경우, 즉 예를 들면 외측 다측면 프로파일 또는 다각형으로서 실시되는 경우 이 같은 맞물림 요소들이 또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대치들의 형상 끼워 맞춤 또는 포지티브 록킹 기능(positive locking function) 및 지대치들에서 가능한 조정이 임플란트 본체와 상부 구조의 연결에 의해 완전히 채택될 수 있다.
장착 섹션 및 상부 구조를 형성하는 일체형 구조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밀링 가공된 구성요소로서 형성된다. 치과 분야에서 사용된 밀링 기계들의 정확도는 필요한 정밀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충분히 높다. 밀링 프로세스에 의해 언급된 관통-통로 오목부는 또한 구조 부재 내에 제조될 수 있다. 밀링 가공된 구성요소로서 일체형 구조 부재를 제조하는 대신, 또한 3D 프린팅 및 SLM(선택적 레이저 용융; Selective Laser Melting)과 같은 신속 원형 제조 프로세스(rapid prototyping process)에 의해 일체형 구조 부재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체형 구조 부재가 상부 구조의 영역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체 치아 또는 치아 수복물(dental restoration)의 외측 표면을 형성한다는 사실에 의해, 치아의 색에 대략적으로 대응하는 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일체형 구조 부재에 의해 형성된 상부 구조는 관통-통로 오목부로의 접근(access)을 제외하고 치아의 전체 표면들을 형성한다. 치과 분야에서의 종래의 세라믹 재료, 예를 들면 지르코늄 디옥사이드와 같은 옥사이드 세라믹류 또는 리튬 디실리케이트와 같은 실리케이트 세라믹류는 일체형 구조 부재를 위한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언급된 세라믹 재료들은 특히 치과 보철술로서 의도된 목적 및 일체형 구조 부재가 또한 임플란트 본체에 대한 부착에 의해 기계적 부하 하에 있다는 사실 양자 모두를 고려하는 경도 및 파괴 강도에 관한 재료 특성들을 제공한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복합물 또는 플라스틱류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유용한 실시예에서 크라운에 대한 장착 섹션은 이의 하단부에서 일체형 절두 형상 핀의 형태를 가지는 반면, 토크의 전달에 적절한 맞물림 요소는 장착 섹션의 이러한 위치에, 바람직하게는 원뿔부의 정점 또는 선단에 제공된다.
크라운의 회전-방지 지지는 임플란트 본체에 또는 임플란트 본체 내에 형성되고 그 안으로 크라운의 맞물림 요소들이 삽입되는 마주하는 맞물림 요소들을 통해 실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크라운의 핀-형상의 장착 섹션은 지지 안전에 유익한 임플란트 본체에 의해 단단히 둘러싸여져 지지된다.
임플란트 본체와 크라운 사이의 가능한 상대적 각도 위치들의 개수는 큰 정도로 요건들에 적응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내측으로 대면하는 맞물림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외측으로 향하는 맞물림 요소보다 더 미세한 피치를 가질 수 있다. 크라운의 핀에서 외측 육각형은 예를 들면 임플란트 본체 내의 그루브(groove)들의 15도 피치로 조합될 수 있다.
일체형 구조 부재의 장착 섹션의 부착 후, 장착 나사를 위한 관통-통로 오목부가 자체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충전 재료로 폐쇄될 수 있다. 적절한 재료들은 환자의 입에서 경화하는 치과 분야의 종래의 재료들이다. 이 같은 플라스틱류는 충전 플라스틱류, 교정 플라스틱류(repair plastics) 및 베니어 플라스틱류(veneer plastics)로서 공지된다. 치과용 임플란트가 환자의 입 안으로 삽입된 후 장착 나사로의 접근이 요구되는 경우, 보통 사용된 재료를 다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임플란트 본체에 일체형 구조 부재의 부착은 바람직하게는 오직 위에서 언급된 볼트 조립 연결을 통해서만 실행된다. 이에 따라 장착 나사는 임플란트 본체로부터 일체형 구조 부재의 분리에 반작용하는 유일한 부착 수단이다. 결론적으로, 접착제 또는 치과용 시멘트의 사용은 완전히 회피될 수 있다.
크라운 및 부착 섹션으로 이루어지는 일체형 본체뿐만 아니라 임플란트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맞추어져(match) 이들이 무엇보다도 서로와의 접촉에 의해 나사 연결과 관계없이 상대 회전 움직임에 긍정적으로(positively) 반작용한다. 예를 들면 이를 위해, 이들은 대응하는 육각형 섹션들 또는 원형 형상으로부터 벗어나는 다른 섹션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다른 섹션들은 이 같은 상대적 움직임을 방해하는 포지티브 형상 록킹을 유발한다. 스핀-로크로서 기능하는 상기 섹션들은 원통형 또는 또한 피라미드 섹션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서로 맞추어지도록 암 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임플란트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자체적으로 환자의 잇몸을 지나서 입 영역 내로 돌출하는 섹션들을 포함하지 않는 본체이다. 대신, 임플란트 본체는 환자의 잇몸 내로 단지 약간만 연장하고 의도된 대로 환자의 턱뼈 내로 주로 연장한다.
부착 섹션 및 상부 구조를 제조하기 위한 프로세스가 제공되며, 이 프로세스에서 부착 섹션 및 상부 구조가 원 피스형으로 또는 일체형으로 제조된다. 용어 "원-피스형(one-pieced)"은 나중의 부착 섹션 및 나중의 상부 구조가 이미 원래의 형성 단계에서, 즉 예를 들면 세라믹 블랭크의 제조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소결 세라믹류, 특히 시르코늄 옥사이드와 같은 옥사이드 세라믹류의 블랭크로부터 밀링을 통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조립은 임플란트 본체로의 나사 연결을 통해 그리고 스크류 헤드 위의 관통-오목부의 부분이 치과용 충전 재료에 의해 폐쇄된 후 상부 구조 및 부착 섹션을 포함하는 언급된 일체형 구조 부분을 연결함으로써 실행된다.
추가 상세들, 장점들 및 특징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전형적인 실시예들의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알려진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추가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제 3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따라, 환자의 턱 내로 이미 삽입된 치과용 임플란트(20)가 도시된다. 도 1은 환자의 턱(10)을 통한 단면도를 도시하며 이에 의해 상이한 충전 구조들은 턱뼈(14) 및 주변 잇몸(12)을 나타낸다.
환자의 턱 내로 삽입된 치과용 임플란트(20)는 임플란트 본체(30)를 포함한다. 상기 임플란트 본체(30)는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것들과 유사하다. 임플란트 본체는 개략적으로 원통형 기본 형상을 포함하며 임플란트 본체의 외측 표면에 턱 뼈 내로 삽입 및 턱 뼈와의 일체화를 위한 기능을 하는 나사산 형성 구조(32)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임플란트 본체(30)는 환자의 잇몸(12)을 통하여 입 영역 내로 돌출하지 않도록 설계된다.
임플란트 본체의 상부 정면 측으로부터 시작하여 나사산 형성 오목부(34)는 임플란트 본체 내로 연장한다. 내부 나사산(36)은 나사산 형성 오목부에 제공된다. 원뿔형 오목부(암형)는 나사 채널(34)의 전방 입구에 제공되며, 이러한 원뿔형 오목부는 라운드형(round)(도 1에 도시안됨)이 아니며 예를 들면 3개 측면, 4개 측면, 6개 측면 또는 다 측면 피라미드 섹션의 형상을 가지며, 임플란트 본체(30)의 맞물림 요소(38)들을 형성한다.
상부 구조(52) 및 장착 섹션(54) 양자 모두를 포함하는 구조 부재(50)는 임플란트 본체(30)에 부착된다. 상부 구조(54)는 잇몸(14)을 넘어 돌출하는 치아 대체 영역들의 대부분을 형성한다. 상부 구조(52)에 일체로 연결하는 장착 섹션(54)은 임플란트 본체(30)에 대해 잇몸 밑으로 연장한다. 임플란트 본체(30)에 따라,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부착 섹션(54)은 또한 하방 및 외측으로 대면하는 피라미드 섹션들로 형성된 맞물림 요소(56)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임플란트 본체(30)의 원뿔형 오목부에 따라, 또한, 이들에는 또한 회전 대칭 형상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사진 표면들이 제공되고 바람직하게는 피라미드 섹션들의 형상을 가져서 임플란트 본체(30) 상에 놓이는 구조 부재(50)가 상호 접촉을 통해 형상-록킹 방식으로 회전에 대해 록킹된다.
예시된 설계에 대해 대안적으로, 형상 록킹은 또한 임플란트 본체(30)에서 수형 구성뿐만 아니라 구조 부재(50)에서 오목부 형태의 암형 구성을 제공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구조 부재(50)의 완전한 부착은 나사(70)를 통해 실행된다. 나사는 구조 부재(50)의 관통-통로 오목부(58)를 통해 삽입되고, 이에 의해 관통-통로 오목부(58)의 하단부에서 원뿔형 시트(60)가 이러한 위치에서 또한 원뿔형인 나사 헤드용 단부 정지부를 형성한다. 나사(70)는 내부 나사산(36) 내로 나사결합되고 구조(38, 56)들에 의해 임플란트 본체(30)에서 구조적 부재(50)의 단단하고 비 회전적인 지지를 제공한다.
시트(60)의 원뿔각은 여기서 원뿔형 오목부의 원뿔각에 대응하며 여기서 나사 축선에 대해 45도이다. 상부 구조가 또한 임플란트 본체(30)를 향하여 이의 장착 섹션(54)에서 테이퍼(taper)를 형성하는 사실로 인해, 재료 두께는 비교적 크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부(run)를 가로질러 일정한, 즉 임플란트 본체의 직경의 절반에 대응할 수 있거나 상기 직경보다 다소 크거나 작을 수 있는 간단한 방식으로 이 위치에서 달성될 수 있다.
관통-통로 오목부(58)는 치과용 충전 재료 또는 특히 플라스틱 재료로부터의 화합물(80)로 채워져서 균일한 외측 표면을 형성한다. 나중에 나사(70)에 대한 접근을 달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경우, 충전 재료(80)는 다시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임플란트 본체들의 설계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치과용 임플란트(30)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가 이미 공지되며, 장착 섹션(54) 및 상부 구조(52)가 그 안에 조합하는 일체형 구조 부재(50)가 치과용 임플란트의 비용-효율적인 구성을 제공한다. 접착제 또는 치과용 시멘트에 의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성요소들의 연결에 대한 요구가 제거되어 환자에게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 또는 비용이 감소되고 수술후 합병증의 위험이 감소된다.
도 2는 치과용 임플란트(20)의 추가 실시예를 사시도로 예시한다. 예시의 명료성의 이유 때문에, 치과용 임플란트(20)의 3개의 구성요소들, 즉 장착 나사(70), 상부 구조(52) 및 임플란트 본체(30)가 각각 별도로 예시되는 반면, 이러한 3개의 구성요소들이 조립된 상태에서 서로 맞물린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시된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장착 섹션(54)에서 맞물림 요소(38)들은 육각형으로서 구현된다. 자체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이 같은 육각형은 실제로 장착 나사(70)의 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서로에 대해 60°의 각도로 각각 연장하는 6개의 경사진 평면(39)들을 포함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평면(39)들은 도 1에 따라 절두 피라미드 형상(shape of truncated pyramid)을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2에 따른 육각형의 경사진 평면(39)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맞물림 요소(38)는 핀형 방식으로 상부 구조(52)로부터 돌출하는 테이퍼(82) 내로 통합된다. 테이퍼(82)는 장착 나사(70)의 축선에 대해 대략 15°의 원뿔각을 포함하며 임플란트 본체(30)에 대응하는 대항(counter) 접촉 표면(86)을 위한 접촉 표면(84)을 형성한다.
교합하는 방향으로 테이퍼(82)를 따르는 절두 원뿔형 연결부(90)가 제공되며 상기 방식에 의해 절두 원뿔형 연결부(90)가 상부 구조(52)와 같은 높이로 연결된다.
예시된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맞물림 요소(56)는 도 1의 내부 나사산(36)에 따라 내부 나사산 위에 임플란트 본체(30) 내에 형성되는 내부 이중 육각형에 의해 형성된다. 대신 맞물림 요소(65)가 선택적으로 또한 18-각(point) 다각형 또는 24-각 다각형으로서 구현될 수 있어 대응하는 정밀한 각도 정렬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환자의 입 내의 저작력들에 의해, 특히 접촉 표면(84, 86)들에 의해 흡수되고 임플란트 본체(30) 내로 전달되는 전단력들이 상부 구조(52) 상에 가해진다. 부가적으로, 또한 장착 나사(70)의 수직 축선을 따른 토크들이 저작 운동을 통하여 작은 크기로 도입되며, 이 토크들은 맞물림 요소(38 및 56)들에 의해 픽업되어 전달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20)의 수정된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3에서뿐만 아니라 다른 도면들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들은 동일한 부분들을 지칭하며 추가 설명을 요구하지 않는다.
이러한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임플란트 본체(30)의 맞물림 요소(56)들은 임플란트 본체(30)의 상부 에지에 제공되고 임플란트 본체의 외경에 대해 명확하게 물러나는 외측 육각형으로서 구현된다. 적절하게는, 맞물림 요소(38)들에는 도 3에 예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장착 섹션(54)에서 내부 다각형으로서 제공되어 대응하는 각도 고정이 맞물림 요소(38 및 56)들의 맞물림에 의해 그리고 서로에 대한 맞물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상부 구조(52)의 절두 원뿔형 연결부(90)는 상부 구조(52)의 외측 표면과 임플란트 본체(30)의 외측 표면이 서로 부착될 때 서로 동일한 높이로 통합되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서로 대면하는 상부 구조(52) 및 임플란트(30)에서 부착 표면(84 및 86)들은 매우 작고 예를 들면 단지 20 내지 50 ㎛이 될 수 있는 치수적 편차를 가지고 서로 끼워 맞춰지도록 정확히 형성된다. 예를 들면 폴리싱에 의한 것과 같이 밀링 프로세스 다음의 후 처리에 의해, 매우 작은 표면 거칠기가 달성될 수 있으며, 장착 나사(70)의 유지력이 임플란트 본체(30)와 상부 구조(52) 사이의 갭이 없는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15)

  1. 환자의 턱(14) 안으로 삽입을 위한 임플란트 본체(30)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20)로서,
    상기 임플란트 본체(30)로 장착 섹션(54)의 해제 가능한 부착을 위해 그 안에 나사 조립될 수 있는 볼트 조립 연결부(70)를 위한 관통-통로 오목부(58)를 가지는 장착 섹션(54);
    하나 이상의 치아 수복물의 외측 표면의 적어도 주요 부분을 형성하는 상부 구조(52), 특히 크라운(crown)을 더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장착 섹션(54) 및 상기 임플란트 본체(30)는 원형 형상으로부터 벗어나는 하나 이상의 경사진 평면을 각각 가지는, 특히 다측 표면 또는 다각형을 각각 가지는 맞물림 요소(38, 56)들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맞물림 요소들은 해제 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정합되며,
    상기 상부 구조(52) 및 상기 장착 섹션(54)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된 일체형 구조 부재(50)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섹션(54) 및 상기 상부 구조(52)를 형성하는 상기 일체형 구조부재(50)는 특히 세라믹류, 바람직하게는 옥사이드 세라믹류로 이루어지는 밀링 가공된 구성요소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구조 구성요소(50)에서 관통-통로 오목부(58)는 원뿔형 시트(60)를 포함하며 치과용 충전 재료로 상기 관통-통로 오목부의 일단부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본체(30)로의 상기 일체형 구조 구성요소(50)의 부착은 단지 볼트 조립 연결부(70)에 의해서만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52)의 상기 장착 섹션(45)에서 맞물림 요소(38)들은 상기 볼트 조립 연결부(70)의 축선에 대해 외측으로 대면하는 경사진 평면들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52)의 장착 섹션(45)에서 상기 맞물림 요소(38)는 상기 볼트 조립 연결부(70)의 축선에 대해 내측으로 대면하는 경사진 평면들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섹션(45)에서 상기 맞물림 요소(38)는 사각형 또는 육각형과 같은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임플란트 본체(30)의 맞물림 요소(65)들이 상기 맞물림 요소(38)들의 경사진 평면들의 정수 배수를 포함하는 대항(counter)-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요소(38)들은 상기 임플란트 본체(30)를 향하여 대면하는 상기 장착 섹션(45)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임플란트 본체(30) 상에 상기 상부 구조(52)가 끼워져 맞춰질 때 상기 임플란트 본체(30)의 맞물림 요소(65)들과 완전히 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52)는 상기 임플란트 본체(30)를 향하여 대면하는 상기 상부 구조의 단부에 원뿔형 테이퍼(82)를 포함하며, 여기서 원뿔형 테이퍼는 상기 임플란트 본체(30)의 직경까지 테이퍼를 형성하고, 상기 원뿔형 테이퍼는 상기 임플란트 본체(30)에 동일한 높이의 전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섹션(54)에서 상기 접촉 표면(84)들 및 상기 임플란트 본체(30)에서 상기 접촉 표면(86)들이 각각 기계 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서로 정확히 맞춰지는 형상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표면(84, 86)들은 치수적 변화 및 50㎛ 미만의 표면 거칠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섹션(54)에서 상기 테이퍼(82)는 맞물리는 방향으로 더 큰 원뿔각 및 잇몸 방향으로 더 작은 원뿔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요한 경우 상기 상부 구조(52)에 대해 충전 재료(80)를 제외하고 상기 상부 구조(52) 및 상기 임플란트 본체(30) 양자 모두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나사(70)의 헤드의 원뿔각(60)은 상기 장착 섹션(54)의 외측에서 테이퍼(82)의 테이퍼 각도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15. 특히 세라믹 블랭크로부터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임플란트 본체에 접하도록 의도되는 장착 섹션(54) 및 상기 치아 수복물의 외측 형상을 형성하는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의 상부 구조(52)가 밀링 프로세스에 의해 원 피스(one piece)로 생산되고, 상기 장착 섹션에서의 맞물림 요소(38)들이 상기 밀링 프로세스에 의해 동시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제조 방법.
KR1020147023738A 2012-01-25 2013-01-24 치과용 임플란트 및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201401272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201092.0A DE102012201092B4 (de) 2012-01-25 2012-01-25 Zahntechnisches Implantatsystem
DE102012201092.0 2012-01-25
PCT/EP2013/051354 WO2013110714A1 (de) 2012-01-25 2013-01-24 Dentalimplantat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entalimplanta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278A true KR20140127278A (ko) 2014-11-03

Family

ID=47630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738A KR20140127278A (ko) 2012-01-25 2013-01-24 치과용 임플란트 및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140302460A1 (ko)
EP (1) EP2806819B1 (ko)
JP (1) JP2015508315A (ko)
KR (1) KR20140127278A (ko)
CN (1) CN104254298A (ko)
AU (1) AU2013213639B2 (ko)
BR (1) BR112014018379A8 (ko)
CA (1) CA2861585A1 (ko)
DE (1) DE102012201092B4 (ko)
ES (1) ES2680658T3 (ko)
HK (1) HK1201141A1 (ko)
IN (1) IN2014MN01448A (ko)
MX (1) MX2014008842A (ko)
RU (1) RU2014134535A (ko)
WO (1) WO20131107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021934B4 (de) * 2013-12-20 2017-09-14 Hürzeler Zuhr Gmbh Dentales Implantat
US10639132B2 (en) * 2014-09-12 2020-05-05 Italo Lozada Dental prosthesis
EP3340921A1 (en) * 2015-08-28 2018-07-04 Zimmer, Inc. Dental abutmen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DE102016008668B4 (de) * 2016-07-20 2018-10-25 Bruno Spindler Suprastrukturträger mit besonderer Innen- und Außengeometrie
FR3063884B1 (fr) * 2017-03-20 2021-12-17 Euroteknika Procede de restauration dentaire
CN109414308A (zh) * 2017-04-20 2019-03-01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植入牙机器人系统及其操作方法
US11925527B2 (en) * 2017-09-12 2024-03-12 Carlos M. Valverde Dental implant device and technique
US20190350683A1 (en) * 2018-05-18 2019-11-21 Zimmer Dental, Inc. Mid-gingival implant system
DE102018120901A1 (de) * 2018-08-27 2020-02-27 TRI Dental Implants Int. AG Zahnprothese
WO2020043347A1 (de) * 2018-08-27 2020-03-05 TRI Dental Implants Int. AG Zahnprothese
KR101924802B1 (ko) * 2018-10-30 2018-12-04 (주)명문덴탈 비접착식 나사형 임플란트
DE102019105182B4 (de) * 2019-02-28 2021-01-28 TRI Dental Implants Int. AG Zahnimplantat und Zahnprothese
DE102019111699A1 (de) * 2019-05-06 2020-11-12 TRI Dental Implants Int. AG Suprakonstruktion, Zahnimplantat und Zahnprothese
EP4018964A1 (en) * 2020-12-26 2022-06-29 Ceraroot S.L. One-piece tissue level ceramic dental implant with a dual internal and external connection for a custom-made dental restoration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31389A1 (de) * 1985-09-03 1987-03-05 Kirsch Axel Enossales implantat
US5180303A (en) * 1988-09-21 1993-01-19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Retrievable dental prothesis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on
US5125839A (en) * 1990-09-28 1992-06-30 Abraham Ingber Dental implant system
US5503558A (en) * 1993-11-12 1996-04-02 Mcgill University Osseointegration promoting implant composition, implant assembly and method therefor
US5577912A (en) 1994-09-19 1996-11-26 Prins; Steven P. Adjustable implant fixture
DE29605296U1 (de) * 1996-03-21 1996-05-30 Zahntechnisches Atelier Lothar Aufbauteil für zahnärztliche Suprakonstruktionen
US5968856A (en) * 1996-09-05 1999-10-19 Ivoclar Ag Sinterable lithium disilicate glass ceramic
WO1999055249A1 (de) 1998-04-27 1999-11-04 Urs Brodbeck Vorrichtung zur rekonstruktion von zähnen
US20050127544A1 (en) * 1998-06-12 2005-06-16 Dmitri Brodkin High-strength dental restorations
SE9802603D0 (sv) * 1998-07-23 1998-07-23 Astra Ab Dental implant component
US6951460B2 (en) 2001-11-01 2005-10-04 Astra Tech Ab Components and method for improved impression making
ES2204267B1 (es) 2002-01-17 2005-03-01 Implant Microdent System, S.L. Dispositivo para la fijacion de protesis dentales.
US20060141418A1 (en) * 2003-03-13 2006-06-29 Young Ku Heo Method for treating a screw-cement retained prosthesis, abutment and implant for a screw-cement retained prosthesis
DE102005005746B4 (de) * 2005-02-07 2014-05-15 Stefan Neumeyer Zahnimplantat
EP1728486A1 (en) 2005-06-03 2006-12-06 Straumann Holding AG Coupling for a multi-part dental implant system
DE102005027402A1 (de) * 2005-06-13 2006-12-28 Heraeus Kulzer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individualisierten Ersatzzahns
DE602007006320D1 (de) * 2006-08-25 2010-11-11 Biomain Ab Dentale superstruktur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102006050457B4 (de) * 2006-10-20 2009-07-09 Peter Gamper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opfteils eines Zahnimplantats sowie Fertigungssatz für ein solches Verfahren
KR20090048078A (ko) * 2007-11-09 2009-05-13 주식회사 쿠보텍 치과용 임플란트장치
EP2106767A1 (en) * 2008-03-31 2009-10-07 Ziterion GmbH Two-part dental implant
DE102008054138B4 (de) 2008-10-31 2018-01-11 Holger Zipprich Dentalimplantat
WO2011138029A1 (de) 2010-05-05 2011-11-10 Holger Zipprich Dentalimplantat
CN201719396U (zh) * 2010-07-06 2011-01-26 西安中邦种植体技术有限公司 一种口腔种植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06819A1 (de) 2014-12-03
BR112014018379A2 (ko) 2017-06-20
HK1201141A1 (en) 2015-08-28
DE102012201092B4 (de) 2019-07-11
ES2680658T3 (es) 2018-09-10
AU2013213639A1 (en) 2014-08-14
DE102012201092A1 (de) 2013-07-25
AU2013213639B2 (en) 2015-02-05
CN104254298A (zh) 2014-12-31
IN2014MN01448A (ko) 2015-04-03
JP2015508315A (ja) 2015-03-19
WO2013110714A1 (de) 2013-08-01
RU2014134535A (ru) 2016-03-20
EP2806819B1 (de) 2018-04-25
MX2014008842A (es) 2015-02-10
US20140302460A1 (en) 2014-10-09
BR112014018379A8 (pt) 2017-07-11
CA2861585A1 (en) 201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27278A (ko) 치과용 임플란트 및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CN103118624B (zh) 植入物、基台体
KR100537218B1 (ko) 나사/시멘트 유지형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US8920170B2 (en) Abutment and abutment systems for use with implants
JP5789860B2 (ja) フィレットを有する人工橋脚歯
US20110306014A1 (en) Component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for Temporary Prosthetics
US20120171638A1 (en) Holding piece for an implant
US20100196850A1 (en) Dental implant
JP7299870B2 (ja) 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JP6985365B2 (ja) 特別な内側形状および外側形状を有する上部構造体支持体
KR20060025136A (ko) 치과 임플란트
US20100143870A1 (en) Two-Part Dental Implants
EP2459106B1 (en) Abutment for a dental implant
WO2008022635A2 (de) Zweiteiliges zahnimplantat mit gewindehülse
EP2331008B1 (de) Implantatsystem zur fixierung von künstlichen zähnen
CA3202393A1 (en) Ceramic dental implant
CA3230814A1 (en) Dental implan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