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6867A - 마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마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6867A
KR20140126867A KR20130044943A KR20130044943A KR20140126867A KR 20140126867 A KR20140126867 A KR 20140126867A KR 20130044943 A KR20130044943 A KR 20130044943A KR 20130044943 A KR20130044943 A KR 20130044943A KR 20140126867 A KR20140126867 A KR 20140126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
composition
present
preventing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4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0485B1 (ko
Inventor
김윤태
한대석
김재구
이창호
김인호
조승목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44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485B1/ko
Priority to PCT/KR2013/008702 priority patent/WO2014175518A1/ko
Publication of KR20140126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 발생된 통증에 대해 완화 및 치료 효과를 가질 뿐 아니라 통증이 발생하기 이전에 대상에 투여하면 통증을 예방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맥주사 또는 피부 도포 등의 방법이 아닌 경구 투여를 통해서도 현저한 통증 완화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에 적용 가능성이 높다.

Description

마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Alleviating, Preventing or Treating Pain Comprising Ilex paraguayensis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s}
본 발명은 마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진통제로는 아스피린이나 타이레놀 등의 소염진통제가 주류를 이루며, 심한 통증의 경우 모르핀 약물들이 대부분 사용되고 있다. 최근 새로운 통증 억제제를 개발하고 있는데, 통증 치료제 전문 개발사인 자벨린 파마슈티컬스(Javelin Pharmaceuticals)는 중증 수술 후 통증의 치료에 정맥주사 모르핀과 대등한 진통효과를 나타내는 뿌리는 마약성 진통제인 비강 내 모르핀 분무제 ‘릴로민’(Rylomine)을 개발하였다. 또한, 아일랜드 제약회사인 이랜(Elan)이 바다 달팽이독으로부터 개발한 진통제 ‘프라이얼트(Prialt)’가 영국에서 첫 시판되었다.
만성 악성 종양성 통증은 물론 사회가 고령화됨에 따라 퇴행성 관절염, 요통 관련 질환 환자는 매년 증가 추세에 있으나 모르핀과 같은 기존의 아편제제는 일반인에게 마약작용으로 인하여 사용에 제한이 있어 통증완화제의 수요는 향후 훨씬 더 늘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기존의 진통제에 반응하지 않는 통증에 대한 진통제 개발이 크게 요구되고 있고, 진통효과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알려진 기존의 아편유사제제 등의 마약성 및 심각한 부작용들로 인해 일반 환자가 편하게 사용할 수 없는 실정이므로 부작용이 없고 진통억제 효능을 갖는 천연자원의 개발이 필요하다.
마테(Ilex paraguariensis, mate)는 감탕나무과의 상록 소교목으로 감탕나무과에 속하는 높이 6 m 정도의 식물로 남아메리카의 파라과이나 브라질 지역에 분포한다. 야생 상태에서는 본래 윗부분이 둥근 형태를 하고 있지만 재배할 경우에는 그 형태가 변형되어 줄기가 많은 관목이 되고 야생 상태보다 양질의 차잎을 재배할 수 있게 되며, 추수는 2년에 1번씩 한다. 마테의 꽃은 작고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4수이며 녹색이고, 열매는 적색 또는 적갈색이고 둥글며 지름 6 ㎜ 정도이다. 마테의 잎은 이미 수천년 전부터 남미 사람들의 음료로 애용되고 있으며, 차나무과(Thea sinensis L.)인 녹차와 비슷한 향을 갖는 차(tea)의 원료이다(Wikipedia, 2011). 잎에는 카페인 성분이 함유되어 있고(2% 내외) 향기가 좋으며, 잎은 따로 추수하고 말려서 물에 우려낸 차로 음용된다.
마테는 칼슘과 철분 등 무기질이 많은 토양에서 자라기 때문에 철분 칼슘 마그네슘 등의 무기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철 함유량이 매우 높고, 녹차의 5배에 달하는 철 함유량을 가진다. 특히나 다른 차에는 철의 흡수를 방해하는 탄닌 성분이 들어있는데 반해 마테에는 탄닌이 거의 들어 있지 않다. 마테차는 마테의 잎을 말려서 부수어 만든 것으로서, 트리테르펜, 카페인및 카페인-유사 화합물을 함유한다. 마테차는 변비, 비만, 어깨 결림, 두통 등의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마테의 약학 활성은 카페오일퀸산 및 카페인-유사 폴리페놀에 기인한다. 마테의 주요성분은 주로 클로로겐산, 루틴, 케르세틴 등과 같은 플라본이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SONIA CHANDRA et al., 2004), 항산화 및 항염증 작용, 혈관 이완 및 혈중 지질 억제 작용, 항암 작용, 혈당강하 작용, 체중 감소 효능 등과 같은 다양한 약리 효능이 알려져 있다(Bracesco et al., 2011).
마테에 대한 종래 연구들은 크산틴(xanthine), 카페오일 유도체(caffeoylerivative),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및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triterpenoid saponin)과 같은 많은 생활성의 화합물의 존재를 발견하였다. 예르바 마테(Yerba mate, ilex paraguariensis)는 항산화 및 세포 보호작용(Filip et al., 2000; Gugliucci and Stahl, 1995), 항비만 및 발열작용(Martinet et al., 1999), 순환계 작용 및 콜레스테롤 저하효과(Gorgen et al., 2005) 및 담즙 촉진 작용(Gorzalczany et at., 2001) 등과 같은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이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통증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는 인체에 안전한 물질, 특히 식물-유래 물질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고, 그 결과 종래에 차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마테가 통증을 완화,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매우 유효하다는 것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식품 조성물 및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마테(Ilex paraguayens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통증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는 인체에 안전한 물질, 특히 식물-유래 물질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고, 그 결과 종래에 차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마테가 통증을 완화,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매우 유효하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에 매우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하기의 실시예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피부 절개 수술에 앞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동물에 투여한 경우, 수술 부위의 통증 민감도가 감소하였으며 신경 분지 결찰 손상을 입은 동물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경우, 통증 민감도가 감소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맥주사 또는 피부 도포 등의 방법이 아닌 경구 투여를 통해서도 현저한 통증 완화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에 잘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 발생된 통증에 대해 완화 및 치료 효과를 가질 뿐 아니라 통증이 발생하기 이전에 대상에 투여하면 통증을 예방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마테(Ilex paraguayensis)는 감탕나무과의 상록 소교목으로 감탕나무과에 속하는 식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마테 추출물을 마테에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수득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추출용매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i) 물, (ii) 알코올(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1-펜탄올, 2-부톡시에탄올 또는 에틸렌글리콜), (iii) 아세트산, (iv) DMFO(dimethyl-formamide) 및 (v) DMSO(dimethyl sulfoxide)를 포함한다. 비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플루오로알칸, 펜탄, 헥산, 2,2,4-트리메틸펜탄, 데칸,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펜탄, 디이소부틸렌, 1-펜텐, 1-클로로부탄, 1-클로로펜탄, o-자일렌,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2-클로로프로판, 톨루엔, 1-클로로프로판, 클로로벤젠, 벤젠,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 설파이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어닐린, 디에틸아민, 에테르, 사염화탄소 및 THF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용매는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g) 부틸아세테이트, (h) 1,3-부틸렌글리콜, (i) 헥산 및 (j) 디에틸에테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용매는 물, 에탄올 또는 이의 조합이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용매는 40-80 vol% 주정(grain alcohol)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마테 추출물은 마테잎에 주정을 가하여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감압 농축 한 후 동결건조하여 수득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마테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마테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마테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하기의 마테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조성물은 천연식물재료인 마테로부터 수득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마테 추출물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통증(pain)”은 넓은 의미로 사용되며, 통각수용성 통증과 같은 급성 및 만성 통증, 예컨대 체성 통증(somatic pain) 및 내장성 통증(visceral pain); 염증성 통증, 기능장애 통증, 특발성 통증, 표면성 통증(superficial pain), 심부 통증(deep pain), 가려움, 신경병증성 통증, 예컨대, 중추발생성 통증(centrally generated pain) 및 말초발생성 통증(peripherally generated pain), 편두통 및 암 통증을 포함하는 모든 타입의 통증을 의미한다.
상기 용어 “통각수용성 통증(nociceptive pain)”은 신체 조직들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거나 또는 실제로 손상시키는 유해한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모든 통증을 포함하는데 사용되며, 벤 상처(cut), 타박상(bruise), 골절(bone fracture), 압궤손상(crush injury), 화상(burn) 및 이와 유사한 상처에 의한 통증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조직 손상에 대한 통증 수용체(통각수용기, nociceptors)는 대부분 피부, 근골격계 또는 내부장기(internal organs)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용어 “체성 통증(somatic pain)”은 뼈, 관절, 근육, 피부 또는 결합조직(connective tissue)에서 일어나는 통증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타입의 통증은 전형적으로 매우 국부적이다.
상기 용어 “내장성 통증(visceral pain)”은 본 명세서에서 호흡기(respiratory), 위장기관(gastrointestinal tract) 및 췌장(pancreas)과 같은 내장장기들, 요로(urinary tract) 및 생식기관(reproductive organs)에서 일어나는 통증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내장성 통증은 장기피막(organ capsule)의 종양 침범(tumor involvement)에 의해 유도되는 통증을 포함한다. 다른 타입의 내장성 통증은 전형적으로 유강장기(hollow viscus)의 폐색에 의해 유발되며, 간헐적 경련(intermittent cramping) 및 심한 국부 통증이 특징이다. 내장성 통증은 방광염(cystitis) 또는 역류성 식도염(reflux esophagitis)의 경우에서와 같이 염증과 관련될 수 있다.
상기 용어 “염증성 통증”은 외상(trauma), 외과수술, 감염 및 자가면역 질환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활동성 염증(active inflammation)과 관련이 있는 통증을 포함한다.
상기 용어 “표면성 통증(superficial pain)"은 배근(dorsal root)의 신경이 분포된 피부 분절에 따라 느껴지는 통증을 말하며, 자극을 느낀 지점에서 통증을 느끼는 직접적인 통증이다.
상기 용어 “심부통증(deep pain)"은 심부 기관에서 유래되는 통증으로 조직의 성격에 따라 통증의 특징과 정도가 다르다. 통각이 특히 예민한 부분은 건(tendon), 심부근만, 인대, 관절, 골막, 혈관 및 신경이다. 일반적으로 심부통증은 감각이 둔하고 주위로 퍼지며 느껴지는 부위가 넓다. 심부나 내장 등의 통증은 그 기전이 복잡하여 표면성 통증보다 통증의 위치를 찾기 어렵고, 오심, 발한, 혈압 상승 등의 문제도 함께 나타난다.
상기 용어 “신경병증성 통증(neuropathic pain)”은 본 명세서에서 말초 또는 중추신경계의 장애의 결과로 생기는 말초 또는 중추신경계에 의한 비정상적 과정(abnormal processing)의 감각 입력에서 비롯된 통증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상기 용어 “시술 통증(procedural pain)”은 내과, 치과 또는 외과 시술에서 일어나는 통증을 나타내며 상기 시술은 보통 예정되어 있거나 또는 급성 외상과 관련되어 있다.
상기 용어 “가려움(itch)”은 본 명세서에서 넓은 의미로 사용되며, 국부에 제한하여 일반적으로 설명될 수 있는 급성 간헐성 및 지속성의, 모든 타입의 가렵고 찌르는 듯한 감각들을 의미한다. 상기 가려움은 특발성, 알러지성, 대사성, 감염성, 약물-유도성, 간, 신장 질환에 기인하거나 또는 암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소양증(Pruritus)”은 중증 가려움증(severe itching)이다.
“환자”라 함은 임의의 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환자는 인간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치료될 수 있는 다른 동물들은 비-인간 영장류들(예컨대, 원숭이, 고릴라, 침팬지), 가축(예컨대, 말, 돼지, 염소, 토끼, 양, 소, 라마), 및 반려동물(예컨대, 기니피그, 래트(rats), 마우스(mice), 도마뱀, 뱀, 개, 고양이, 관상어, 햄스터 및 새)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신경병증성(Neuropathic), 염증성(inflammatory) 및 통각수용성(nociceptive) 통증은 병인학(etiology), 병리생리학(pathophysiology), 진단 및 처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통각수용성 통증은 말초감각신경(peripheral sensory neurons)의 특이적 부분(specific subset), 즉 강렬한 또는 유해한 자극에 의해 통각수용기들의 활성화에 반응하여 일어난다. 통각수용성 통증은 일반적으로 민감하고, 자기제한적(self-limiting)이며 잠재적 또는 진행 중인 조직 손상의 경고로 작용함으로서 보호의 생물학적 기능을 제공한다. 통각수용성 통증은 전형적으로 국부에 매우 제한된다. 통각수용성 통증의 예들은, 외상성(traumatic) 또는 외과수술성(surgical) 통증, 분만 진통(labor pain), 염좌(sprains), 골절(bone fractures), 화상(burns), 충돌(bumps), 타박상(bruises), 주사(injections), 치과시술(dental procedures), 피부검사(skin biopsies) 및 폐색(obstructions)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염증성 통증은 수술 후(postoperative), 외상 후(post-traumatic) 통증, 관절염(류마티스성(rheumatoid) 또는 골관절염(osteoarthritis)) 통증, 및 축성 하부요통(axial low back pain)의 경우와 같이 관절(joints), 근육 및 힘줄(tendons)의 손상과 관련된 통증을 포함하는 조직 손상 또는 염증이 있는 경우에 발생하는 통증이다.
통각수용성 통증과 대조적으로, 신경병증성 통증은 실제 “타는 듯한(burning),” “감전된 듯한(electric),” “얼얼하거나 저린(tingling),” 또는 “쿡쿡 쑤시는(shooting)” 것으로 묘사된다. 신경병증성 통증은 종종 만성 이질통(chronic allodynia)(가벼운 터치와 같은, 보통 통증반응을 유발하지 않는 자극으로 인한 통증으로 정의된다) 및 감각과민(hyperalgesia)(정상적인 통증자극에 대한 높은 감수성으로 정의된다)에 의해 설명되며, 어떤 손상된 조직의 외관상 치료(apparent healing) 후 수개월 또는 수년 동안 지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지속적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persistent peripheral neuropathic pain)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에 매우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마테 추출물뿐 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마테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마테 추출물뿐 만 아니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1-100 ㎎/㎏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 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마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b)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 발생된 통증에 대해 완화 및 치료 효과를 가질 뿐 아니라 통증이 발생하기 이전에 대상에 투여하면 통증을 예방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c)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맥주사 또는 피부 도포 등의 방법이 아닌 경구 투여를 통해서도 현저한 통증 완화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에 적용 가능성이 높다.
도 1은 실험동물에 마테 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다음, 피부 절개 수술을 실시하고 5시간 후 수술 부위의 통증 민감도를 기계적 이질통 평가를 통해 측정한 결과이다.
대조군(n=10), 마테 추출물(300 mg/kg) 투여군(n=10), * p<0.05
도 2는 실험동물에 마테 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다음, 피부 절개 수술을 실시하고 6시간 후 실험동물이 22-27 kHz 음력대의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횟수를 측정한 결과이다.
대조군(n=10), 마테 추출물(300 mg/kg) 투여군(n=10), * p<0.05
도 3은 신경 분지 결찰 손상 수술 전 실험동물의 통증 역치값을 측정한 결과이다.
대조군(n=10), 마테 추출물(300 mg/kg) 투여군(n=10)
도 4는 신경 분지 결찰 손상 수술 후 실험동물에 마테 추출물을 14일간 경구투여한 후 통증 역치값을 측정한 결과이다.
대조군(n=10), 마테 추출물(300 mg/kg) 투여군(n=10), * p<0.05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험방법
1. 마테 추출
천연물 추출물 시료는 경동시장 내에 있는 ㈜약수당(한국)에서 건조된 마테잎을 원물로 구입하였으며, 추출 전 세절하여 추출하였다. 마테 원물 100 g당 70 vol% 주정을 10배 첨가하여 80℃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액 및 잔사 추출액을 합하여 여과 후 감압 농축하였다. 모든 추출물은 여과 및 감압농축을 거쳐 동결건조한 후 분말화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2. 실험동물
Sprague-Dawley(SD) 랫트(200-250 g, 웅성)는 (주)Samtako에서 분양받아 실험동물용 사육상자에 일주일간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동물의 사육은 온도 22±1℃, 습도 55± 5%, 밤낮주기(12 시간 낮/ 12 시간 밤), 조도 300 Lux의 조건하에 이루어졌으며, 사료 및 음수는 자유 급여하였다. 모든 동물들은 KFRI-IACUC(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의 실험동물 사용지침에 의해 관리되었다.
3. 시료조제 및 투여
적응 후 정상으로 판단된 동물에 대하여 체중을 측정하고 무작위적으로 실험군을 분리하였으며, 실험동물의 개체식별은 피모색소표시법을 이용 실시하였다. 마테 70% 주정 추출물 시료는 2차 증류수에 적정 농도로 용해 및 현탁시켜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료는 수술 30분 전 300 mg/kg/5 ml의 용량으로 경구투여 하였으며, 대조군은 동량의 2차 증류수를 수술 30분 전 경구투여 하였다.
4. 통증 동물모델 제작
4-1. 피부 절개 모델(skin incision model)
랫트 피부 절개모델은 Brennan에 의해 제안되었다(Brennan, 1996). 일반적으로 수술 후 통증은 급성통증의 한 형태로 생각되고 있으며, 랫트의 절개모델은 인간의 수술 후 통증 상태와 유사하다고 생각되고 있다. 펜토바르피탈을 이용하여 SD 웅성 랫트(200-250 g)를 전신마취 하고 왼쪽 발바닥을 10% 포비돈액으로 소독 후 발 뒤꿈치 끝부분 0.5 cm 떨어진 부분에서 시작하여 세로방향으로 1 cm 길이의 피부와 근막을 11번 수술용 칼로 절개하였다. 절개한 부분의 발바닥 근육(족저근)을 포셉으로 들어 올려 1 cm 길이를 분리하였다. 세로방향의 양쪽 끝부분은 발바닥 근육이 떨어지지 않게 조심해서 들어 올려 분리하고 절개된 부분을 부드럽게 압박하여 지혈하였다. 지혈된 절개부위의 근막과 피부는 나일론 4-0 봉합사로 봉합 후 10% 포비돈액으로 소독하였다. 수술 후 감염방지를 위해 항생제 연고를 도포하고, 사육케이지에 옮겨 회복시켰다. 관찰기간 중 감열이 발생하거나, 봉합부위가 터진 동물과 부종이 생긴 동물은 실험에서 제외시켰다.
4-2. 신경 분지 결찰 손상(Spared nerve injury, SNI)
신경 분지 결찰 손상 동물모델은 Decosterd 및 Woolf에 의해 제안되었다(Decosterd & Woolf, 2000). 펜토바르피탈을 이용하여 SD 웅성 랫트(200-250 g)를 전신마취 하였다. 전신마취 하에서 랫트의 좌측 넓적다리의 측면 피부를 면도하고 절개하고 대퇴이둔근(biceps femoris)을 분리한 후 좌골신경의 세 말단분지를 노출시켰다. 좌골신경은 비복신경(sural nerve), 총비골신경(common peroneal never), 경골신경(tibial nerve)의 세 가닥의 신경으로 이루어져있다. 이중 비복신경은 손상을 가하지 않고 온전히 유지해야하는데 좌측다리 기준에서 관찰시 오른쪽으로 분기해 있으며, 가장 작은 신경이다. 총비골신경, 경골신경은 다리 방향으로 근육을 따라 분기해 있으며, 각각 분리하여, 나일론 4-0 봉합사를 이용하여 단단히 결찰한 후, 포셉과 가위를 이용하여 2-4 mm 길이를 절단하여 제거하였다. 신경절단을 마무리 한 후, 근육층을 봉합사로 봉합한 다음, 피부 절개부위를 다시 봉합하여 실험동물을 사육케이지로 옮겨 회복시켰다.
5. 평가방법
5-1. 기계적 이질통 평가(von frey filament test)
동물통증모델 제작 후 기계적 이질통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Chaplan 등에 의해 기술되었다(Chaplan et. al, 1994). 랫트를 그물눈의 크기가 2×2 mm 인 철망 실험대 위에 설치된 아크릴 상자에 넣고 15분 이상 적응시킨 뒤, 쥐의 움직임 등이 조용해지면 연속된 굵기의 본 프레이 필라멘트(Stoelting, 미국)를 사용하여 통증 역치(g) 값을 평가하였다. 필라멘트를 좌측 환부 발바닥에 수직으로 접촉시키고 5-6초간 유지시켜 랫트가 신속한 회피반응을 보이거나 또는 hairs를 떼면서 즉시 움찔하거나 발바닥을 핥으면 양성반응을 보인 것으로 간주한다. 중앙부의 본 프레이 필라멘트부터 자극하여 양성반응을 보이면 약한 필라멘트로 자극하고, 양성반응이 없으면 강한 필라멘트로 자극하며 진행한다. 양성반응을 나타내는 최소의 자극 크기를 역치로 하며, 15 g 이상에서도 반응이 없을 때를 상한선으로 하여 더 이상 적용하지 않는다.
5-2. 초음파 발성음(ultrasound vocalization calls)
랫트는 통증, 고통, 위축, 스트레스 상태에 있을 때 초음파를 발생시키며, 그 초음파 범위는 22-27 KHz 로 보고되고 있다(Portfors, 2007). 수술 후 3.5 시간, 6 시간 및 24 시간의 통증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10분 동안 USV 측정 시스템(Sonotrack, ver 1.5.0, Metris, 네덜란드) 장비를 이용하여 통증을 느낄 때 랫트가 내는 초음파(22-27 KHz) 발성음을 측정하였다. 초음파를 측정할 수 있는 아크릴 상자에 랫트를 넣어두고 15분 동안 안정화 시킨 후 10분 동안 초음파 측정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기계적 이질통 평가를 통한 마테의 통증 완화 효과 확인
피부 절개 수술 5시간 후에 수술 부위의 통증 민감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기계적 이질통 평가를 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의 통증 역치(g) 값이 0.279±0.058 (g)인데 비하여 마테 300 mg/kg 군은 1.112±0.375(g)로 통증을 느끼는 힘의 크기가 유의적(p<0.05)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술 후 1일(POD1) 통증 역치 결과는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여전히 마테 300 mg/kg 군에서 통증 역치(g)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초음파 발성음 측정을 통한 마테의 완화 효과 확인
피부 절개 수술 후 3.5 시간, 6 시간, 24 시간(POD1)의 시간대 별로 실험동물이 통증을 느낄 때 유발하는 초음파 음력대(22-27 kHz)를 측정 후, 그 횟수를 정량화하여 마테의 통증 완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수술 6 시간 후, 초음파 발성음 측정값에서 대조군이 10.4±1.869(calls)인데 비하여 마테 300 mg/kg 군은 5.1±1.233(calls)을 기록하여 유의적(p<0.05)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다른 시간대인 3.5 시간, POD1에서도 대조군에 비하여 마테 300 mg/kg 군의 22-27 kHz 초음파 측정 기록이 감소하였다.
기계적 이질통 평가를 통한 마테의 통증 완화 효과 확인
신경 분지 결찰 손상 수술 후 14일 동안 장기적으로 마테를 경구투여하며 통증 민감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기계적 이질통 평가를 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의 통증 역치(g) 값이 0.429±0.123(g)인데 비하여 마테 300 mg/kg 군은 2.88±1.079(g)로 통증을 느끼는 힘의 크기가 유의적(p<0.05)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 마테의 통증완화 효과는 단기모델 뿐 만 아니라 장기모델에서도 확인되었다. 신경 분지 결찰 손상 수술 전 두 군간의 통증에 대한 베이스라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계적 이질통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두 실험군 사이의 수술 전 통증 역치(g) 값은 동일하였음을 확인 하였다.
결론
본 발명인 마테(Ilex paraguayensis) 추출물은 통증 동물모델인 피부 절개 모델과 신경 분지 결찰 손상 모델에서 모두 통증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단기효과 뿐 만 아니라 장기효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마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통증 예방, 완화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참고문헌
1. Polyphenolic Compounds, Antioxidant Capacity, and Quinone Reductase Activity of an Aqueous Extract of Ardisia compressa in Comparison to Mate (Ilex paraguariensis) and Green (Camellia sinensis) Teas, J. Agric. Food Chem. 52, 3583-3589(2004).
2. Recent advances on Ilex paraguariensis research: Minireview,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36:378384(2011).
3. Brennan TJ, Vandermeulen EP, Gebhart GF. Characterization of a rat model of incisional pain. Pain 64:493-501(1996).
4. Decosterd I, Woolf CJ. Spared nerve injury: an animal model of persistent peripheral neuropathic pain. Pain 87:149-58(2000).
5. Chaplan SR, Bach FW, Pogrel JW, Chung JM, Yaksh TL. Quantitative assessment of tactile allodynia in the rat paw. J Neurosci Methods 53:55-63(1994).
6. Portfors CV. Types and functions of ultrasonic vocalizations in laboratory rats and mice. J Am Assoc Lab Anim Sci. 46(1):28-34(2007).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마테(Ilex paraguayens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통증 예방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증은 체성 통증(somatic pain), 내장성 통증(visceral pain), 염증성 통증, 기능장애 통증, 특발성 통증, 신경병증성 통증, 표면성 통증(superficial pain), 심부 통증(deep pain), 가려움, 편두통 및 암 통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병증성 통증은 지속적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persistent peripheral neuropathic pa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30044943A 2013-04-23 2013-04-23 마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00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943A KR101500485B1 (ko) 2013-04-23 2013-04-23 마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CT/KR2013/008702 WO2014175518A1 (ko) 2013-04-23 2013-09-27 마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시료의 통증 완화, 예방 또는 치료 효능에 대한 평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943A KR101500485B1 (ko) 2013-04-23 2013-04-23 마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867A true KR20140126867A (ko) 2014-11-03
KR101500485B1 KR101500485B1 (ko) 2015-03-10

Family

ID=52451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943A KR101500485B1 (ko) 2013-04-23 2013-04-23 마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04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36537A (ja) 2017-10-06 2020-12-17 カーギ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易溶解性ステビオールグリコシド組成物
EP3952667A1 (en) 2019-04-06 2022-02-16 Cargill, Incorporated Sensory modifiers
CA3135584A1 (en) 2019-04-06 2020-10-15 Cargill, Incorporated Methods for making botanical extract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1542A2 (en) * 2009-09-30 2011-04-07 Ultimaxx, Inc. Herbal pain killer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0485B1 (ko) 201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2337A (ko) 류머티스관절염 치료제 생약제 조성물 및 그 치료제 제조방법
RU2668135C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ечения и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дегенеративных неврологических нарушений, которая содержит, в качестве активного ингредиента, смешанный экстракт коры корня пиона полукустарникового, корня дудника даурского и корня володушки или его фракцию
Mannelli et al. Widespread pain reliever profile of a flower extract of Tanacetum parthenium
US7494671B2 (en) Extract of Trapa nata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1500485B1 (ko) 마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1401B1 (ko) 자스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84279B1 (ko) 감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80840B1 (ko) 천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38933B1 (ko) 모과, 감초 및 두릅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0537603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ngioedema, containing extract of peony root or mixture of peony root and licorice as active ingredient
KR101636345B1 (ko) 노회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갑상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06325B1 (ko) 동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98600B1 (ko) 천수근 및 가시오가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84410B1 (ko) 매실나무 추출물의 조성물 제조에서의 응용
KR102234860B1 (ko) 싸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Sangeetha et al. A Review on traditional herb Portulaca oleracea
KR101687270B1 (ko) 상륙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갑상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77309B1 (ko) 참당귀 및 미나리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70099106A (ko) 왕머루, 감초 및 독활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98370A (ko) 천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017840A1 (ko) 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 완화 또는 치료제
KR102207952B1 (ko) 실크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치매, 뇌졸증 및 인지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296347B1 (ko)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 예방용 조성물
KR102313249B1 (ko) 메밀잣밤나무속 식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88768B1 (ko) 소목(Caesalpinia eriostachys Benth)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