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5770A -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5770A
KR20140125770A KR1020147021040A KR20147021040A KR20140125770A KR 20140125770 A KR20140125770 A KR 20140125770A KR 1020147021040 A KR1020147021040 A KR 1020147021040A KR 20147021040 A KR20147021040 A KR 20147021040A KR 20140125770 A KR20140125770 A KR 20140125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ariable
plan
support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1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지 파노르기아키스
로렌스 브루시아
Original Assignee
테크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3/359,016 external-priority patent/US8950602B2/en
Application filed by 테크니, 엘엘씨 filed Critical 테크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40125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7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enlarging in height, length, or dep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1/00Tables with tops revolvable on vertical spi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6/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64Standing garment supporting racks; Garment 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은 가변 지지 플랫폼과 가변 지지 플랫폼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 표면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가변 지지 플랫폼은 가변 지지 플랫폼의 플랜폼을 변경시키기 위해 서로에 대해 재 위치될 수 있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지지 표면 어셈블리는 지지된 물품을 위한 지지 표면을 제공한다. 지지 표면 어셈블리는 가요성이며 복수의 연결된 패널로 구성되어, 제공된 지지 표면이 가변 지지 플랫폼의 플랜폼의 변화에 응답하여 변화된다.

Description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VARIABLE PLANFORM SHELVING SYSTEM}
본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Variable planform Shelving System)"인 2012년 1월 26일 출원된 미국 출원 번호 13/359,016 (대리인 등록 번호 92885-826533)의 우선권과 이익을 주장하고, 또한, 발명의 명칭이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Variable planform Shelving System)" 인 2012년 9월 17일 출원된 미국 가 출원 번호 61/702,157(대리인 등록 번호 94885-852212)의 우선권과 이익을 주장하고, 그 전체 내용이 여기에 모든 목적을 위하여 참고로서 포함된다.
선반은 종종 물품을 전시 및/또는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식료품 가게와 같은 소매점은 일반적으로 통로에 의해 분리된 복수의 선반 열(rows)을 포함한다. 선반의 열은 일반적으로 여러 유형의 상품이 전시 및/또는 저장되기에 적합한 서로 다른 구성의 선반을 포함한다.
기존의 많은 선반 시스템은 특정 물품의 전시 및/또는 저장을 위해 어느 정도 사용자의 요구에 맞춰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되는 선반의 수 및/또는 선반 사이의 수직 간격은 종종 변화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되는 선반의 크기는 선반에서 사용 가능한 공간에 기초하여 미리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선반 시스템은 소매점 또는 거주지의 리모델링의 재구성의 일부로서, 다른 구성의 새로운 선반으로 대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재구성하기에는 불충분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선반 시스템보다 더 큰 정도로 재구성할 수 있는 선반 시스템 및 관련 물품에 대한 필요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가변 플랜폼(Variable planform)을 갖는 선반, 선반 시스템 및 관련 물품(예를 들면, 테이블, 의류 랙)이 기술된다. 여기서 기술되는 어셈블리는 크기를 조정하고 및/또는 재성형할 수 있는 가변 지지 플랫폼을 포함하고, 가변 지지 플랫폼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 표면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표면 어셈블리는 가변 지지 플랫폼의 크기 조정 및/또는 재형성에 응답하여 크기 조정 및/또는 재형성되는 지지 표면을 제공한다. 따라서, 여기서 기술되는 선반 어셈블리 및 관련 물품은 기존의 선반 어셈블리에 비해 원하는 형태 및/또는 크기로 재구성할 수 있는 향상된 유연성을 갖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은 가변 플랜폼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이 제공된다. 선반은 두 개 이상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프레임은 가변 지지 플랫폼의 일부를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프레임은 다른 프레임들과 상호 작용하기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상호 작용 단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은, 결합된 인접 프레임이 선반의 플랜폼을 조정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상호작용 단부 근처에 인접한 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다.
많은 실시예에서, 선반에는 가변 플랜폼이 제공된다. 선반은 가변 지지 플랫폼의 제1 부분과, 가변 지지 플랫폼의 제2 부분과, 그리고 가변 지지 플랫폼에 의해 지지되며 선반에 의해 지지되는 물품을 위한 지지 표면이 제공되는 지지 표면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제1 및 제2 프레임 사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결정은 가변 지지 플랫폼의 플랜폼을 변화시키도록 가변적이다. 지지 표면 어셈블리는 가요성이고 및/또는 제공되는 지지 표면이 가변 지지 플랫폼의 플랜폼의 변화에 응답하여 변화하도록, 연결된 복수의 패널을 포함한다. 많은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프레임의 상대적인 배향은 가변 지지 플랫폼의 플랜폼의 형상을 변경하기 위해 가변적이다.
많은 실시예에서, 선반은 가변 지지 플랫폼의 제3 부분을 제공하는 제3 프레임을 포함한다. 제3 프레임은 제1 및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다. 제3 프레임과 각각의 제1 및 제2 프레임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결정은 가변 지지 플랫폼의 플랜폼을 변경하기 위해 가변적이다. 예를 들어, 제3 프레임은 각각의 제1 및 제2 프레임과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많은 실시예에서, 제1 및 제3 프레임 사이의 상대적인 배향은 가변 지지 플랫폼의 플랜폼의 형상을 변경하기 위해 가변적이다. 그리고 많은 실시예에서, 제2 및 제3 프레임 사이의 상대적인 배향은 가변 지지 플랫폼의 플랜폼의 형상을 변경하기 위해 가변적이다.
제1, 제2 및 제3 프레임은 가변 지지 플랫폼을 제공하는 데 적합한 세부항목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 및/또는 제2 프레임은 제3 프레임의 일 부분을 수용하는 슬롯을 가질 수 있다. 많은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1, 제2, 및 제3 프레임은 상부 표면이 동일 평면으로 되는 지지 표면 어셈블리와 접속하는(interface) 상부 표면을 갖는다. 많은 실시예에서, 제1 프레임 및/또는 제2 프레임은 반 타원형의 플랜폼 형상을 가지며 제3 프레임은 타원형의 플랜폼 형상을 갖는다. 많은 실시예에서, 제3 프레임은 긴(elongated) 개구를 포함한다. 긴 개구는 제1 프레임과 결합되어 제1 프레임 슬롯을 횡단하여 연장하는 제1 커플링 핀을 수용한다. 긴 개구는 제2 프레임과 결합되어 제2 프레임 슬롯을 횡단하여 연장하는 제2 커플링 핀을 더 수용한다. 많은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은 단부 부분의 하나의 단부에서 지지되게 부착되는 단부 부분을 포함한다.
많은 실시예에서, 선반 지지 표면 어셈블리는 지지 표면 어셈블리의 플랜폼이 가변 지지 플랫폼의 플랜폼의 변화에 응답하여 변화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많은 실시예에서, 선반 지지 표면 어셈블리는 상호 수직으로 배향된 가요성의 복수의 패널을 포함한다. 이 가요성 패널은 적절한 재료(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부터 형성된다. 그리고 많은 실시예에서, 선반 지지 표면 어셈블리는 수평으로 배향되어 연결된 복수의 패널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수평으로 배향된 패널은 수평으로 배향된 패널의 인접한 하나 이상의 패널과 결합되는 연결 핀을 기질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가변 플랜폼을 갖는 선반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선반 시스템은 가변 플랜폼을 갖는 제1 선반, 가변 플랜폼을 가지며 제1 선반 위에 상승하여 있는 제2 선반,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 컬럼,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지지 컬럼을 포함한다. 많은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선반 각각은 여기서 기술된 바와 같은 제1, 제2, 및 제3 프레임을 포함한다. 제1 지지 컬럼(들)은 제1 및 제2 선반의 제1 프레임을 지지한다. 그리고 제2 지지 컬럼(들)은 제1 및 제2 선반의 제2 프레임을 지지한다. 많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보조 지지 컬럼이 사용된다.
많은 실시예에서, 선반 시스템은 베이스를 포함한다. 베이스는 여기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은, 가변 플랜폼을 갖는 선반을 포함하는 상부 부분과, 여기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은, 가변 플랜폼을 갖는 선반을 포함하는 하부 부분과, 상기 상부 및 하부 부분의 제1 프레임의 각각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컬럼과, 상기 상부 및 하부 부분의 제2 프레임의 각각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컬럼과, 그리고, 복수의 제3 컬럼을 포함하며, 각각의 컬럼 부재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부분의 제3 프레임에 부착된다.
많은 실시예에서, 선반 시스템은 베이스에 부착된 킥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킥 플레이트 어셈블리는 상부 및 하부 부분의 제1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된 제1 킥 플레이트 부재와. 상부 및 하부 부분의 제2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된 제2 킥 플레이트 부재와. 상부 및 하부 부분의 제3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된 제3 킥 플레이트 부재를 포함한다. 제1, 제2, 및 제3 킥 플레이트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베이스의 복수의 플랜폼 구성에 대하여 제1, 제2, 또는 제3 킥 플레이트 부재 중 인접한 하나와 겹치는 연장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많은 실시예에서, 선반 시스템은 제1 및 제2 선반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가격 표시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가격 표시 어셈블리는 제1 프레임에 부착되어 가격표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제1 가격 표시 세그먼트와, 제2 프레임에 부착되어 가격표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제2 가격 표시 세그먼트와, 제1 및 제2 가격 표시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와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된 제3 가격 표시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제3 가격 표시 세그먼트는 가요성이며 가격표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가변 플랜폼을 갖는 테이블이 제공된다. 테이블은 가변 지지 플랫폼의 제1 부분을 형성하는 제1 상부 프레임과, 가변 지지 플랫폼의 제2 부분을 형성하는 제2 상부 프레임과, 가변 지지 플랫폼의 제3 부분을 형성하는 제3 상부 프레임과, 테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물품을 위한 지지 표면을 제공하는 지지 표면 어셈블리와, 가변 지지 플랫폼의 아래에 배치된 가변 베이스의 제1 베이스 프레임 형성 부분, 가변 베이스의 제2 베이스 프레임 형성 부분, 가변 베이스의 제3 베이스 프레임 형성 부분과, 그리고 가변 베이스와 가변 지지 플랫폼 사이에 배치되어 가변 베이스에 부착된 복수의 중간 부재를 포함한다. 제3 상부 프레임은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다. 제3 상부 프레임과 각각의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결정과 배향은 가변 지지 플랫폼의 플랜폼을 변화시키기 위해 가변적이다. 지지 표면 어셈블리는 가변 지지 플랫폼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 표면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어셈블리가 될 수 있고, 또는 제공된 지지 표면이 가변 지지 플랫폼의 플랜폼의 변화에 응답하여 변화하도록, 연결된 복수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베이스 프레임은 제1 및 제2베이스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다. 제3 상부 프레임과 각각의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결정과 배향은 가변 베이스의 플랜폼을 변화시키기 위해 가변적이다.
많은 실시예에서, 상기 중간 부재는 복수의 제1 중간 부재와, 복수의 제2 중간 부재와, 및 복수의 제3 중간 부재를 포함한다. 제1 중간 부재의 각각은 제1 상부 프레임과 제1베이스 프레임에 부착된다. 제2 중간 부재의 각각은 제2 상부 프레임과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에 부착된다. 그리고 제3 중간 부재 각각은 제3 상부 프레임 및 제3 베이스 프레임에 부착된다. 중간 부재의 임의의 적당한 구성은 예를 들어, 컬럼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많은 실시예에서, 테이블 지지 표면 어셈블리는 지지 표면 어셈블리의 플랜폼이 가변 지지 플랫폼의 플랜폼의 변화에 응답하여 변화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많은 실시예에서, 테이블 지지 표면 어셈블리는 상호연결되어 수직이게 배향된 복수의 가요성 패널을 포함한다. 다른 예로서는, 많은 실시예에서, 테이블 지지 표면 어셈블리는 수평으로 배향된 패널의 인접한 연결 패널을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슬롯 수용 커플링 핀을 갖는 수평으로 배향되어 결합된 복수의 패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성 및 장점의 보다 완전한 이해를 위해서는,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야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은 다음 도면과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많은 실시예에 따라, 콤팩트하게 축소된 구성인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아래에 있는 선반 가변 지지 플랫폼과 가변 베이스를 자세히 보여주기 위해 지지 표면 어셈블리가 제거된, 도 1의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하부의 선반 가변 지지 플랫폼과 가변 베이스를 자세히 보여주기 위해 지지 표면 어셈블리가 제거돠어 구성이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있는, 도 1의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하부의 선반 가변 지지 플랫폼과 가변 베이스를 자세히 보여주기 위해 지지 표면 어셈블리가 제거되어 구성이 완전히 확장되어 있는, 도 1의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지지 표면 어셈블리가 제거되지 않고 구성이 완전히 확장되어 있는, 도 1의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하부의 선반 가변 지지 플랫폼과 가변 베이스를 자세히 보여주기 위해 지지 표면 어셈블리가 제거되어 있고, 구성이 완전히 확장되고 굽어 있는 도 1의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구성에서 지지 표면 어셈블리가 제거되지 않은, 도 1의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하부의 선반 가변 지지 플랫폼과 가변 베이스를 자세히 보여주기 위해 지지 표면 어셈블리가 제거되어 구성이 다르게 완전히 확장되고 굽어 있는, 도 1의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구성에서 지지 표면 어셈블리가 제거되지 않은, 도 1의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하부의 선반 가변 지지 플랫폼과 가변 베이스를 자세히 보여주기 위해 지지 표면 어셈블리가 제거되어 구성이 다르게 완전히 확장되고 굽어 있는, 도 1의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구성에서 지지 표면 어셈블리가 제거되지 않은, 도 1의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아래에 있는 선반 가변 지지 플랫폼과 가변 베이스를 자세히 보여주기 위해 지지 표면 어셈블리는 제거되고 추가 지지 부재를 갖는 구성이 다르게 완전히 확장되고 굽어 있는, 도 1의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구성에서 지지 표면 어셈블리가 제거되지 않고 추가 지지 부재가 도시되어 있지 않은, 도 1의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14a는 도 1의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가변 지지 플랫폼의 평면도이다.
도 14b는 도 1의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지지 포스트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14c는 도 14b에 도시된 지지 포스트의 제1 개구에 부분적으로 삽입된 행거 브래킷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14d는 도 14b에 도시된 지지 포스트의 제1 개구와 제2 개구에 삽입되어 가변 지지 플랫폼 지지 위치에 있는 행거 브래킷의 측면도이다.
도 14e는 지지 포스트에 부착되어 도 1의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의 가변 지지 플랫폼의 모서리를 지지하는 행거 브래킷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4a의 가변 지지 플랫폼의 프레임의 구성 요소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베이스 어셈블리를 자세히 보여주기 위해 관련된 지지 표면 어셈블리가 제거된, 도 1의 콤팩트하게 축소된 구성인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의 가변 베이스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킥 플레이트 어셈블리와 도 1의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의 가격 표시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가격 표시 어셈블리가 제거된 도 17의 킥 플레이트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킥 플레이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과 도 21은 도 17의 킥 플레이트 어셈블리의 구성 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확장된 구성인 도 17의 킥 플레이트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3 내지 도 25는 도 1의 콤팩트하게 축소된 구성인 도 17의 가격 표시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확장된 구성인 도 17의 가격 표시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7과 도 28은 도 1의 콤팩트하게 축소된 구성인 도 1의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을 자세히 보여주는 근접 사시도이다.
도 29는 많은 실시예에 따라, 하부를 더욱 자세히 보여주기 위해 지지 표면 어셈블리가 제거된 가변 플랜폼을 갖는 테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많은 실시예에 따라, 하부를 더욱 자세히 보여주기 위해 지지 표면 어셈블리가 제거된 콤팩트하게 축소된 구성인 다른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의 베이스 지지 플랫폼을 자세히 보여주는 근접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0의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의 지지 표면 어셈블리를 자세히 보여주는 근접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30의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의 가변 지지 플랫폼을 자세히 보여주는 근접 사시도이다.
도 34는 많은 실시예에 따라, 콤팩트하게 축소된 구성인 벽걸이식 가변 플랜폼 선반의 가변 지지 플랫폼의 사시도이다.
도 35는 확장된 구성인 도 34의 가변 지지 플랫폼의 사시도이다.
도 36은 벽의 외부 모서리 둘레를 감싸는 확장된 구성인 도 34의 가변 지지 플랫폼의 사시도이다.
도 37은 벽의 2개의 외부 모서리 둘레를 감싸게 설치된 도 34의 3개의 가변 지지 플랫폼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8a 및 도 38b는 많은 실시예에 따라, 가변 플랜폼 베이스를 갖는 가변 길이의 옷걸이의 사시도이다.
도 39a는 다수의 실시예에 따라, 중간 길이의 구성인 지지 표면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39b는 콤팩트하게 축소된 구성인 도 39a의 지지 표면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39c는 확대된 길이의 구성인 도 39a의 지지 표면 어셈블리의 근접 평면도이다.
도 40은 많은 실시예에 따른, 중첩하여 결합된 패널을 포함하는 지지 표면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41은 도 40의 지지 표면 어셈블리의 인접하는 패널의 슬롯과 접속하는 커플링 기능의 근접 사시도이다.
도 42는 지지 플랫폼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3은 도 42의 지지 플랫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4는 제 위치에 지지 브래킷을 갖는 도 42의 지지 플랫폼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45는 도 42의 지지 플랫폼에 대한 중심 타원형에 사용될 수 있는 샌드위치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6은 도 42의 지지 플랫폼에 대한 외부 반 타원형에 사용될 수 있는 샌드위치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7은 도 42의 지지 플랫폼에 대한 다리에 사용될 수 있는 샌드위치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8 내지 도 53은 도 42의 지지 플랫폼에 대한 여러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4는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지지 플랫폼의 사시도이다.
도 55는 도 42의 지지 플랫폼과 도 54의 베이스 지지 플랫폼을 결합하는 선반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56은 실시예에 따라 도 55의 선반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백킹의 평면도이다.
도 57은 실시예에 따른 지지 표면 어셈블리의 절단 사시도이다.
도 58은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지지 표면 어셈블리의 절단 사시도이다.
도 59는 조명장치가 부착된 지지 플랫폼의 하부 측의 사시도이다.
도 60은 회전식 라이트 박스를 갖는 지지 플랫폼의 하부 측을 상세히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1은 리세스된 조명장치를 갖는 지지 플랫폼의 하부 측의 사시도이다.
도 62는 도 55에 도시된 시스템과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에서 조정가능한 백킹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이동식 슬랫(slat)의 배면도이다.
도 63a는 도 62의 이동식 슬랫 내의 링크의 상세도이다.
도 63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62의 이동식 슬랫 내의 링크의 상세도이다.
도 64는 많은 실시예에 따른, 가변 플랜폼 베이스와 교환가능한 세그먼트 부재를 갖는 상부 랙(top lack)을 포함하는 가변 길이의 옷걸이의 사시도이다.
도 65는 많은 실시예에 따른, 도 64의 교환가능한 세그먼트 부재를 갖는 상부 랙에서 사용되기 위한 예시적인 교환가능한 세그먼트 부재를 도시한다.
도 66은 많은 실시예에 따른, 가변 플랜폼 베이스와 다른 교환가능한 세그먼트 부재를 갖는 상부 랙을 포함하는 가변 길이의 옷걸이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67은 많은 실시예에 따른. 도 64의 교환가능한 세그먼트 부재와 상부 랙을 갖는 옷걸이를 위한 제3 지지 부재의 단부를 자세히 도시하는 도면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목적을 위해, 특정 구성 및 세부 사항이 실시예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특정한 세부 사항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또한, 잘 알려진 특징은 설명되는 실시예를 명확히 하기 위해 생략되거나 단순화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참조 부호는 여러 도면을 통해 유사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여러 실시예에 따라,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10)을 도시한다. 선반 시스템(10)은 콤팩트하게 축소된 구성으로 도시된다. 선반 시스템(10)은 가변 플랜폼 베이스(12)와, 가변 플랜폼 선반(14)과, 4개의 지지 포스트(16)와, 킥 플레이트 어셈블리(18)와, 그리고 가격 표시 어셈블리(20)를 포함한다. 두 개의 가변 플랜폼 선반(14)이 도시되어 있지만,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10)은 임의의 수효의 가변 플랜폼 선반(14)(예 : 1개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가변 플랜폼 베이스(12)와 각각의 가변 플랜폼 선반(14)은 선반 시스템(10)에 의해 지지된 물품에 대한 지지 표면을 제공하는 지지 표면 어셈블리(22)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지 표면 어셈블리(22)는 수직으로 배향된 복수의 패널로 제조되며, 이 패널은 지지 표면 어셈블리(22)가 길이 방향(24)에 수직하는 임의의 실질적인 수축 없이 길이 방향(24)(수직으로 배향된 패널의 배향에 수직하는) 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서로 간헐적으로 접합된다. 길이 방향(24)으로 팽창가능한 것 이외에, 지지 표면 어셈블리(22)는 선반 시스템(10)이 구성될 수 있는 다양한 만곡된 플랜폼에 대응하도록 유연하다.
도 2는 가변 지지 플랜폼 베이스(12)의 베이스 지지 플랫폼(26) 부분과 선반(14)의 가변 지지 플랫폼(28) 부분을 자세히 보여주기 위해, 지지 표면 어셈블리(22)가 제거된, 콤팩트하게 축소된 구성의 선반 시스템(10)을 도시한다. 베이스 지지 플랫폼(26)은 지지 표면 어셈블리(22)를 지지한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가변 지지 플랫폼(28)은 지지 표면 어셈블리(22)를 지지한다. 베이스 지지 플랫폼(26)과 가변 지지 플랫폼(28)은 4개의 지지 포스트(16)에 의해 지지 된다.
베이스 지지 플랫폼(26)과 가변 지지 플랫폼(28)은 확장된 플랜폼, 여러 만곡된 플랜폼, 그리고 그 조합을 포함하는 다양한 플랜폼의 임의의 연속하는 범위로 재구성 가능하다. 각각의 가변 지지 플랫폼(28)은 제1 프레임(30), 제2 프레임(32) 및 제3 프레임(34)을 포함한다. 제3 프레임(34)은 타원형 외부 둘레부를 가진다. 제1 및 제2 프레임(30, 32) 각각은 반 타원형의 외부 형상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수학적 용어에서, 2차원의 타원형은 대칭적이고 연속하는 둘레부, 장축 및 단축에 의해 한정된다. 장축은 타원형의 가장 큰 직경에 대응하는 타원형의 둘레부상의 제1 지점, 타원형의 가장 큰 직경의 대향 단부에 대응하는 타원형의 둘레부상의 제2 지점, 그리고 각각의 제1 지점 및 제2 지점으로부터 등거리에 위치된 타원형의 중심점인, 타원형의 세 개의 주요 기준점을 교차한다. 단축은 타원형의 가장 작은 직경에 대응하는 타원형의 둘레부상의 제3 지점, 타원형의 가장 작은 직경의 대향 단부에 대응하는 타원형의 둘레부상의 제4 지점, 그리고 또한 각각의 제3 지점 및 제4 지점으로부터 등거리에 위치된 타원형의 중심점인, 타원형의 세 개의 적당한 기준점을 교차한다. 그러나, 이러한 정의는 이 설명의 목적을 위하여 용어 "타원형(ellipse)" 또는 "타원형의(elliptical)"의 전체 의미를 전달하지 못한다. 여기서, 이러한 용어는 수학적인 타원형을 포함뿐만 아니라, 대칭에 관계없는 임의의 긴 원형, 그리고 그 임의의 부분도 의미한다. 따라서 부분적인 타원형은 작은 또는 큰 임의의 굽어진 모서리에 관계없이, 타원형 둘레의 임의의 세그먼트 또는 타원형으로부터 잘라진 임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타원형에 대한 참조는 임의의 측면, 단부 또는 잘라진 모서리를 갖는 임의의 긴 원형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프레임(34)의 제1 부분은 제1 프레임(30) 내의 수평으로 배향된 슬롯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고, 제3 프레임(34)의 제2 부분은 제2 프레임(32) 내의 수평으로 배향된 슬롯 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가변 지지 플랫폼(28)의 플랜폼은 제1 프레임(30)에 대하여 및/또는 제2 프레임(32)에 대하여 제3 프레임(34)을 재배치 및/또는 재배향하여 선택적으로 변화된다.
비슷한 방식으로, 베이스 지지 플랫폼(26)의 플랜폼은 선택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베이스 지지 플랫폼(26)의 플랜폼과 각각의 가변 지지 플랫폼(28)의 플랜폼은, 각각의 지지 포스트(16)가 수직으로 유지되도록, 동일한 방식으로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은, 베이스 지지 플랫폼(26)과 가변 지지 플랫폼(28)의 부분적으로 확장된 상태를 더 잘 보여주기 위해 지지 표면 어셈블리(22)가 제거된, 부분적으로 확장된 구성의 선반 시스템(10)을 도시한다.
베이스 지지 플랫폼(26)은 상부 부분(36) 및 하부 부분(38)을 포함한다. 상부 부분(36)은 제1 상부 프레임(40), 제2 상부 프레임(42) 및 제3 상부 프레임(44)을 포함하고, 이들은 가변 지지 플랫폼(28)의 제1, 제2, 및 제3 프레임(30, 32, 34)과 유사하게 구성된다. 제3 상부 프레임(44)은 타원형 외부 둘레부를 갖는다. 각각의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40, 42)은 반 타원형 형상의 외부 둘레부를 갖는다. 제3 상부 프레임(44)의 제1 부분은 제1 상부 프레임(40) 내의 수평으로 배향된 슬롯 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되고, 제3 상부 프레임(44)의 제2 부분은 제2 상부 프레임(42) 내의 수평으로 배향된 슬롯 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된다. 마찬가지로, 하부 부분(38)은 제1 하부 프레임(46), 제2 하부 프레임(48) 및 제3 하부 프레임(50)을 포함하고, 이들은 가변 지지 플랫폼(28)의 제1, 제2 및 제3 프레임(30, 32, 34)과 유사하게 구성된다. 제3 하부 프레임(50)은 타원형 외부 둘레부를 갖는다. 각각의 제1 및 제2 하부 프레임(46, 48)은 반 타원형 형상의 외부 둘레부를 갖는다. 제3 하부 프레임(50)의 제1 부분은 제1 하부 프레임(46) 내의 수평으로 배향된 슬롯 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되고, 제3 하부 프레임(50)의 제2 부분은 제2 하부 프레임(48) 내의 수평으로 배향된 슬롯 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된다. 베이스 지지 플랫폼(26)의 플랜폼은 제1 상부 및 제1 하부 프레임(40, 46)에 대하여 및/또는 제2 상부 및 제2 하부 프레임(42, 48)에 대하여 제3 상부 및 제3 하부 프레임(44, 50)을 재배치 및/또는 재배향하여 선택적으로 변화된다.
이제 선반 시스템(10)의 추가적인 세부 사항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며, 도 4는 완전히 확장된 직렬 구성의 선반 시스템(10)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지지 플랫폼(28)의 제3 프레임(34)은 제3 프레임(34)의 한쪽 단부에서 다른 쪽 단부까지 연장하는 긴 개구(52)를 갖는다. 긴 개구(52)는 제1 프레임(30)과 결합되어 제1 프레임 슬롯을 횡단하여 연장하고, 이에 따라 긴 개구(52)를 통해 연장하게 되는, 제1 커플링 핀(54)을 수용한다. 긴 개구(52)는 제2 프레임(32)과 결합되어 제2 프레임 슬롯을 횡단하여 연장하고, 이에 따라 긴 개구(52)를 통해 연장하게 되는, 제2 커플링 핀(56)을 추가로 수용한다. 완전히 확장된 직렬 구성에서, 커플링 핀(54, 56)은 긴 개구(52)의 마주하는 단부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프레임 슬롯 내의 제3 프레임(34)의 단부에서 유지된다. 또한, 커플링 핀(54, 56)은 제3 프레임 위에 제1 및 제2 프레임(30, 32)을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 가변 지지 플랫폼(28)의 부주의한 재구성을 방지하고 제3 프레임(34)으로부터 제1 및 제2 프레임(30, 32)까지 굽힘 모멘트의 전달을 향상시키게 된다. 많은 실시예에서, 적합한 나사산이 형성된 패스너가 커플링 핀(54, 56)으로서 사용된다.
베이스 지지 플랫폼(26)의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36, 38)은 중간 부재(예를 들어, 컬럼 부재)에 의해 연결된다. 지지 포스트(16)에 인접하여, 제1 상부 및 제1 하부 프레임(40, 46)은 두 개의 컬럼 부재(58)에 의해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다른 지지 포스트(16)에 인접하여, 제2 상부 및 제2 하부 프레임(42, 48)은 두 개의 컬럼 부재(60)에 의해 연결된다. 제3 상부 및 제3 하부 프레임(44, 50)은 제3 상부 및 제3 하부 프레임(44, 50)의 대향 측면을 따라 중간에 배치된 두 개의 컬럼(62)에 의해 연결된다. 컬럼 부재(64)는 제1 상부 및 제1 하부 프레임(40, 46)을 연결한다. 컬럼 부재(64)는 또한 제3 상부 및 제3 하부 프레임(44, 50) 위에 각각 제1 상부 및 제1 하부 프레임(40, 46)을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 베이스 지지 플랫폼(26)의 부주의한 재구성을 방지하고, 제3 상부 및 제3 하부 프레임(44, 50)으로부터 제1 상부 및 제1 하부 프레임(40, 46)까지 굽힘 모멘트의 전달을 향상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적합한 나사산이 형성된 패스너가 결합력을 제공하기 위해 컬럼 부재(64)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컬럼 부재(66)는 제2 상부 및 제2 하부 프레임(42, 48)을 연결한다. 컬럼 부재(66)는 또한 제3 상부 및 제3 하부 프레임(44, 50) 위에 각각 제2 상부 및 제2 하부 프레임(42, 48)을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 베이스 지지 플랫폼(26)의 부주의한 재구성을 방지하고, 제3 상부 및 제3 하부 프레임(44, 50)으로부터 제2 상부 및 제2 하부 프레임(42, 48)까지 굽힘 모멘트의 전달을 향상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적합한 나사산이 형성된 패스너가 결합력을 제공하기 위해 컬럼 부재(66)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높이 조절가능한 지지체(68)가 각각의 컬럼 부재(62)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고, 베이스 지지 플랫폼(26)을 안정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도 5는 지지 표면 어셈블리(22)가 제거되지 않은 완전히 확장된 직렬 구성의 선반 시스템(10)을 도시한다. 많은 실시예에서, 지지 표면 어셈블리(22)는, 지지 표면 어셈블리의 플랜폼이 하부의 지지 플랫폼의 플랜폼에 부합하도록 제한되게, 적절한 위치에서 (예를 들면, 단부를 따라서 그리고 길이방향 모서리를 따르는 중간 지점에서) 하부의 지지 플랫폼과 결합한다.
도 6은 베이스 지지 표면 플랫폼(26)의 프레임과 가변 지지 플랫폼(28) 사이의 상대적인 배향을 자세히 보여주기 위해 지지 표면 어셈블리(22)가 도시되어 있지 않은, 완전히 확장되고 굽어 있는 구성인 선반 시스템(10)을 도시한다. 도 7은 지지 표면 어셈블리가 제거되지 않은, 동일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지지 표면 어셈블리(22)의 플랜폼은 하부의 지지 플랫폼의 플랜폼에 부합하도록 변한다. 도 8과 도 9는 다른 완전히 확장되고 굽어 있는 구성인 선반 시스템(10)을 도시한다. 도 10과 도 11은 또 다른 완전히 확장되고 굽어 있는 구성인 선반 시스템(10)을 도시한다.
도 12는 가변 지지 플랫폼(28)에 부가적인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제거가능한 지지 컬럼(70)을 가진, 또 다른 완전히 확장되고 굽어 있는 구성인 선반 시스템(10) {지지 표면 어셈블리(22)가 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도시한다. 도 12의 구성에서는, 지지 포스트(16)가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많은 실시예에서, 지지 포스트(16)와 가변 지지 플랫폼(28) 사이의 연결은 주로 전단 하중에 반응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거가능한 지지 컬럼(70)은 정렬된 지지 포스트(16)로부터 오프셋 되는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한다. 가변 지지 플랫폼(28)과 정렬된 지지 포스트(16) 사이의 연결에서 전단은, 지지 컬럼(70)이 가변 지지 플랫폼(28)에 필요한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하게 한다. 도 13은 지지 표면 어셈블리(22)가 제거되지 않고 지지 컬럼(70)이 도시되어 있지 않은, 동일한 구성을 나타낸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단 하중과 함께 유일한 가변 지지 플랫폼(28)과 정렬된 지지 포스트(16) 사이의 전단 하중 만의 연결에 의해, 지지 컬럼(70)은 선반에 의해 지지된 물품과 정렬된 지지 포스트(16) 사이의 편심을 균형화하기 위해 가변 지지 플랫폼(28)에 필요한 오프셋 지지를 제공한다.
도 14a는 콤팩트하게 축소된 구성에서 가변 지지 플랫폼(28)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제1 프레임(30)은 직선 베이스 부재(72), 반 타원형 둘레부 부재(74) 및 크로스 부재(76)를 포함한다. 둘레부 부재(74)와 크로스 부재(76)는 제3 프레임(34)의 기술된 단부 부분을 수용하도록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프레임(32)은 직선 베이스 부재(78), 반 타원형 둘레부 부재(80) 및 크로스 부재(82)를 포함한다. 둘레부 부재(80)와 크로스 부재(82)는 제3 프레임(34)의 기술된 단부 부분을 수용하도록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프레임(30, 32)의 모서리에는, 반-원형 리세스(84)가 지지 포스트(16)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반-원형 리세스(84)에 인접하여, 행거 개구(86)가 지지 행거 브래킷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위치되고, 지지 행거 브래킷은 지지 포스트(16) 중 하나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행거 개구(86)는 지지 포스트(16)와 부착된 행거 브래킷의 각도 방향의 적합한 범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한된 범위로 리세스(84)의 주위를 원주 방향으로 연장한다. 제1, 제2 및 제3 프레임(30, 32, 34)은 도 1에 도시된 가격 표시 어셈블리(20)를 연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부착 개구(88)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3 프레임(34)은 도 12에 도시된 지지 컬럼(70)에 대한 부착 특징부(90)를 포함한다.
제3 프레임(34)의 중앙 개구(52)는 커플링 핀(54, 56)을 수용하고, 이것들은 제1 및 제2 프레임(30, 32)과 결합되어 제1 및 제2 프레임(30, 32)의 슬롯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중앙 개구(52)를 통해 연장한다. 중앙 개구(52)는, 제1 프레임(30)에 대하여 및/또는 제2 프레임(32)에 대하여 제3 프레임(34)의 각 배향의 변화를 포함하여, 제1 프레임(30)에 대하여 및/또는 제2 프레임(32)에 대하여 제3 프레임(34)의 제한된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가변 지지 플랫폼(28)은 베이스 지지 플랫폼(26)의 상부 부분(36) 또는 베이스 지지 플랫폼(26)의 하부 부분(38) 중 하나로서 사용하게 하는 추가 특징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컬럼 부재(58)의 부착을 위한 원형 개구(92)를 포함한다. 제2 프레임(32)은 컬럼 부재(60)의 부착을 위한 원형 개구(94)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3 프레임(34)은 컬럼 부재(62)의 부착을 위한 원형 개구(96)를 포함한다.
도 14b 내지 14e는 가변 지지 플랫폼(28)이 지지 포스트(16) 중 하나로부터 어떻게 지지가 되는지를 자세히 도시한다. 도 14b는 지지 포스트(16) 내의 브래킷-수용 슬롯(98, 100)을 도시한다. 도시된 것과 같은 많은 실시예에서, 지지 포스트(16)는 일정한 간격에서 복수의 브래킷-수용 슬롯을 가지며, 이에 따라, 다수의 선반 및/또는 선반의 간격을 결합할 수 있게 한다. 도 14c는 지지 포스트(16)의 제1 개구(100)에 부분적으로 삽입된 행거 브래킷(102)을 도시한다. 도 14d는 지지 포스트(16)에 부착된 행거 브래킷(102)을 도시한다. 도 14e는 지지 포스트(16)에 부착되어 가변 지지 플랫폼(28)의 모서리를 지지하는 행거 브래킷(102)의 세부 측면도를 도시한다. 가변 플랜폼 선반(14)을 지지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의 추가적인 사항은 발명의 명칭이 "신속하게 변형될 수 있는 선반 기능을 갖는 모듈형 선반 시스템(MODULAR SHELVING SYSTEM WITH A QUICK-CHANGE SHELF FEATURE)"인, 미국 특허 제5,415,302호에 기술되어 있고, 그 전체 내용은 여기에 참고로서 병합된다.
임의의 적절한 제조 방법 및 재료가 가변 지지 플랫폼(28)을 만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많은 실시예에서, 가변 지지 플랫폼(28)의 제1, 제2, 및 제3 프레임(30, 32, 34)은 일정한 두께의 적당한 시트 재료로부터 절단된(예를 들면, 워터 제트를 사용하여) 구성 요소로 만들어진다. 도 15는 가변 지지 플랫폼(28)의 제1, 제2, 및 제3 프레임(30, 32, 34)을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구성 요소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제1 프레임(30)은 제1 상부 구성 요소(104), 제1 하부 구성 요소(106), 및 제1 스페이서 구성 요소(108)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1 스페이서 구성 요소(108)는 제1 상부 및 제1 하부 구성 요소(104, 106)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 구성 요소의 외부 둘레부 및 공통 특징부가 정렬된다. 제1 스페이서 구성 요소(108)는 제3 프레임(34)의 부분을 수용하는 슬롯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상부 및 제1 하부 구성 요소(104, 106)를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2 프레임(32)은 제2 상부 구성 요소(110), 제2 하부 구성 요소(112), 및 제2 스페이서 구성 요소(114)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2 스페이서 구성 요소(114)는 제2 상부 및 제2 하부 구성 요소(110, 112)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 구성 요소의 외부 둘레부 및 공통 특징부가 정렬된다. 제2 스페이서 구성 요소(114)는 제3 프레임(34)의 부분을 수용하는 슬롯을 형성하기 위해 제2 상부 및 제2 하부 구성 요소(110, 112)를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제3 프레임(34)은 제3 프레임 구성 요소(116)와 제3 스페이서 구성 요소(118)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제3 스페이서 구성 요소(118)는 제3 프레임 구성 요소의 상부에 배치되어, 이들 구성 요소의 외부 둘레부 및 공통 특징부가 정렬된다. 제3 스페이서 구성 요소(118)는 제1 및 제2 프레임(30, 32)의 상부 표면과 평면인 제3 프레임(34)에 상부 표면을 제공한다. 구성 요소를 연결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방법 {예를 들면, 접착(bonding), 용접(welding), 납땜(brazing), 패스닝(fastening)}이 사용될 수 있다.
가변 지지 베이스(26)의 추가적인 세부 사항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가변 지지 베이스(26)는 각각의 모서리에 두 개의 실린더형 슬리브(120)를 포함한다. 슬리브(120)는 지지 포스트(16)와 접속하고 지지 포스트를 가변 지지 베이스(26)에 견고하게 결합시키며, 이에 따라, 가변 지지 베이스(26)에 대한 선반의 측면 편향에 대하여 선반 시스템(10)을 보강한다.
킥 플레이트 어셈블리(18)와 가격 표시 어셈블리(20)의 세부 사항을 도 17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킥 플레이트 어셈블리(18)와 가격 표시 어셈블리(20)는 확장하도록 구성되어 베이스 지지 플랫폼(26)의 모든 가능한 플랜폼 구성에 부합할 수 있다. 도 17은 콤팩트하게 축소된 구성에서 킥 플레이트 어셈블리(18)와 베이스 지지 플랫폼(26)에 부착된 가격 표시 어셈블리(20)를 도시한다. 도 18은 가격 표시 어셈블리가 도시되어 있지 않은, 베이스 지지 플랫폼(26)에 부착된 킥 플레이트 어셈블리(18)를 도시한다.
도 19는 킥 플레이트 어셈블리(18)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킥 플레이트 어셈블리(18)는 제1 킥 플레이트 세그먼트(122), 제2 킥 플레이트 세그먼트(124) 및 제3 킥 플레이트 세그먼트(126)를 포함한다. 제1 킥 플레이트 세그먼트(122)는 베이스 지지 플랫폼(26)의 제1 상부 및 제1 하부 프레임(40, 46)에 부착된다. 제2 킥 플레이트 세그먼트(124)는 베이스 지지 플랫폼(26)의 제2 상부 및 제2 하부 프레임(42, 48)에 부착된다. 그리고 제3 킥 플레이트 세그먼트(126)는 베이스 지지 플랫폼(26)의 제3 상부 및 제3 하부 프레임(44, 50)에 부착된다. 제1 및 제2 킥 플레이트 세그먼트(122, 124)는 얇은 직사각형 몸체를 갖고 유연하거나 유연하지 않게 만들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킥 플레이트 세그먼트(122, 124)는 각각 제1 상부 및 제1 하부 프레임(40, 46)의 노출된 모서리와 제2 상부 및 제2 하부 프레임(42, 48)의 노출된 모서리의 전방 면에 대응하여 베이스 지지 플랫폼(26)의 고정 영역을 덮는다. 제3 킥 플레이트 세그먼트(126)는 중앙 부분(128)과 측면 확장부(130)를 포함한다. 중앙 부분(128)은 제3 상부 및 제3 하부 프레임(44, 50)의 노출된 모서리의 전방 면에 대응하여 베이스 지지 플랫폼(26)의 고정 영역을 덮는다. 베이스 지지 플랫폼(26)이 (도시된 바와 같이) 콤팩트하게 축소된 구성으로 있을 때, 측면 확장부(130)는 뒤로 확장하고 제1 및 제2 킥 플레이트 세그먼트(122, 124)에 의해 완전히 덮인다. 베이스 지지 플랫폼(26)이 확장된 구성으로 있을 때, 측면 확장부(130)는 중앙 부분(128)과 각각의 제1 및 제2 킥 플레이트 세그먼트(122, 124) 사이에 배치된 베이스 지지 플랫폼(26)의 전방으로 접하는 부분을 덮는다. 제3 킥 플레이트 세그먼트(126)는, 측면 확장부가 베이스 지지 플랫폼(26)의 모든 다양한 플랜폼 구성에 부합할 수 있도록, 적당한 가요성을 가지게 제조될 수 있다.
킥 플레이트 어셈블리(18)의 추가적인 특징부가 도 20 내지 22를 통해 도시된다. 도 20은 제1 킥 플레이트 세그먼트(122)의 부분과 제3 킥 플레이트 세그먼트(126)의 부분을 도시하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21은 제2 킥 플레이트 세그먼트(124)의 부분과 제3 킥 플레이트 세그먼트(126)의 부분을 도시하는 배면 사시도이다. 각각의 제1과 제2, 그리고 제3 킥 플레이트 세그먼트(122, 124, 126)는 세그먼트의 뒷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확장하는 가시형(barbed) 부착 특징부(132)를 갖는다. 가시형 부착 특징부(132)는 베이스 지지 플랫폼(26)에 킥 플레이트 어셈블리(122, 124, 126)를 부착시키도록, 베이스 지지 플랫폼(26) 내의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개구(88)와 맞물려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 킥 플레이트 세그먼트(122, 124) 내의 부착 특징부(132)는 그 사이에 제3 킥 플레이트 세그먼트(126)의 측면 확장부(130)를 수용하고 선택적으로 지지하도록 위치된다. 도 22는 확장된 구성에서 킥 플레이트 어셈블리(18)를 도시하고 측면 확장부(130)에 의해 제공된 범위(coverage)를 도시한다.
도 23 내지 28은 많은 실시예에 따른 가격 표시 어셈블리(20)의 세부 사항을 도시한다. 도 23과 24는 가격 표시 어셈블리(20)의 실시예의 배면 사시도이며, 가격 표시 어셈블리(20)는 가변 지지 플랫폼(28) 내의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개구(88)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도 25는 가격 표시 어셈블리(20)의 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가격 표시 어셈블리(20)는 제1 표시 세그먼트(134), 제2 표시 세그먼트(136), 및 각각 제1 및 제2 표시 세그먼트(134, 136)의 직사각형 프레임 부분(140, 142)을 통해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되는 가요성인 제3 표시 세그먼트(138)를 포함한다. 제1 표시 세그먼트(134)는 제1 표시 세그먼트(134)의 뒷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확장하는 가시형 부착 특징부(144)를 포함한다. 제2 표시 세그먼트(136)는 제2 표시 세그먼트(136)의 뒷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확장하는 가시형 부착 특징부(146)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3 표시 세그먼트(138)는 제3 표시 세그먼트(138)의 뒷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확장하는 가시형 부착 특징부(148)를 포함한다. 부착 특징부(144, 146, 148)는 가변 지지 플랫폼(28)에 가격 표시 어셈블리(20)를 부착시키도록, 가변 지지 플랫폼(28) 내의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개구(88)와 맞물려서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된다. 제1 표시 세그먼트(134)는 제1 프레임(30)에 부착된다. 제2 표시 세그먼트(136)는 제2 프레임(32)에 부착된다. 그리고 제3 표시 프레임(138)은 제3 프레임(34)에 부착된다. 가변 지지 플랫폼(28)이 재구성될 때, 가요성인 제3 표시 세그먼트(138)는 제1 및 제2 표시 세그먼트(134, 136)의 직사각형 프레임 부분(140, 142)을 통해 제1 표시 세그먼트(134)에 대하여 및/또는 제2 표시 세그먼트(136)에 대하여 미끄러지는 반면, 각각의 제1 및 제2 표시 세그먼트(134, 136)의 적어도 하나의 직사각형 프레임 부분(140, 142)을 통해 여전히 결합되어 남아있게 된다. 제1 및 제2 표시 세그먼트(134, 136) 사이의 임의의 오정렬(misalignment)은 가요성인 제3 표시 세그먼트(138)의 굴곡에 의해 수용된다. 도 26은 확장된 구성에서 가격 표시 어셈블리(20)를 도시하고, 제1 및 제2 표시 세그먼트(134, 136) 사이의 제3 표시 세그먼트(138)에 의해 제공되는 가격 표시 범위를 나타낸다. 도 27과 28은 직사각형 프레임 부분(140, 142)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지 빔(150)을 통해, 베이스 지지 플랫폼(26)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가격 표시 어셈블리(2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9는 많은 실시예에 따라, 하부를 자세히 보여주기 위해 지지 표면 어셈블리가 제거된 가변 플랜폼 테이블(160)을 도시한다. 테이블(160)은 가변 지지 플랫폼(162), 가변 베이스(164), 제1 중간 부재(166), 제2 중간 부재(168) 및 제3 중간 부재(170)를 포함한다. 가변 지지 플랫폼(162)과 가변 베이스(164)는 여기에 설명된 가변 지지 플랫폼(28)과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다. 많은 실시예에서, 테이블(160)은 가변 지지 플랫폼(162)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 표면 어셈블리(22)(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포함한다. 그리고 많은 실시예에서, 테이블(160)은 가변 베이스(164)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 표면 어셈블리(22)(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술된 가변 선반 시스템(10)과 유사한 방식으로, 테이블(160)은 다른 크기 및 형태를 갖는 다른 플랜폼으로 재구성될 수 있다.
도 30은 하부의 특징부를 자세히 보여주기 위해 지지 표면 어셈블리(22)가 제거된, 콤팩트하게 축소된 구성인 많은 실시예에 따른 다른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180)을 도시한다. 선반 시스템(180)은 그들로부터 지지되는 가변 지지 플랫폼(188)을 갖는, 베이스 지지 플랫폼(182)과 대향하는 지지 컬럼(184, 186)을 포함한다. 베이스 지지 플랫폼(182)과 가변 지지 플랫폼(188)은 가변 지지 플랫폼(28)과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31은 베이스 지지 플랫폼(182) 및 각각의 지지 컬럼(184, 186)에 견고하게 부착된 베이스 빔(190) 사이의 연결을 자세하게 보여주는 근접 사시도이다. 베이스 지지 플랫폼(182)의 단부 프레임은 베이스 빔(190)에 볼트연결된 플랜지(192)를 포함하여, 이에 따라, 지지 컬럼(184, 186)에 베이스 지지 플랫폼이 견고하게 연결되게 된다. 도 32는 베이스 지지 플랫폼(182) 중 하나에 의해 결합되고 지지되는 지지 표면 어셈블리(22)를 도시한다. 도 33은 일체형 단부 지지 빔(194)을 포함하는 가변 지지 플랫폼(188) 중 하나의 단부의 근접 사시도를 도시한다. 각각의 단부 지지 빔(194)은 지지 컬럼(184, 186) 중 하나에 부착되고 이로부터 캔틸레버 된다.
도 34 내지 36은 많은 실시예에 따른, 벽에 장착된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200)을 보여준다. 선반 시스템(200)은 가변 지지 플랫폼(188)과 유사하게 구성되는 가변 지지 플랫폼(202)을 포함한다. 각각의 가변 지지 플랫폼은 두 개 이상의 지지 빔(206)을 통해 벽(204)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도 34는 가변 지지 플랫폼(202)의 대향 단부에 배치된 두 개의 지지 빔(206)을 통해 벽(204)에 부착된 콤팩트하게 축소된 구성의 단일 가변 지지 플랫폼(202)을 도시한다. 도 35는 세 개의 지지 빔(206)을 통해 벽(204)에 부착된 완전하게 확장된 구성의 하나의 가변 지지 플랫폼(202)을 보여준다. 도 36은 벽(204)의 모서리 둘레를 감싸는 완전하게 확장된 구성의 하나의 가변 지지 플랫폼(202)을 보여준다. 도 37은 벽(204)의 두 모서리 주위를 감싸는 세 개의 가변 지지 플랫폼(202)을 도시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벽걸이형 가변 플랜폼 시스템(200)은 상이한 길이, 외부 모서리, 및/또는 내부 모서리를 갖는 수많은 벽 구성에 이용되도록 사용 및/또는 적응될 수 있다.
도 38a 및 도 38b는 많은 실시예에 따른, 가변 플랜폼 베이스(212)를 갖는 가변 길이의 옷걸이(210)를 도시한다. 가변 플랜폼 베이스(212)는 여기서 기술된 가변 플랜폼 베이스(12)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다. 가변 플랜폼 베이스(212)로부터 지지되는 것은 옷이 걸어질 수 있는 확장가능한 상부 빔(214)이다. 확장가능한 상부 빔(214)은 가변 플랜폼 베이스(212)의 다양한 가능성의 플랜폼에 대응하여 다양한 길이로 재구성될 수 있다. 확장가능한 상부 빔(214)은 두 개의 지지 컬럼(216)에 의해 지지되며, 이 두 개의 지지 컬럼(216)은 가변 플랜폼 베이스(212)의 마주하는 단부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확장된 상부 빔(214)은 두 개의 가요성 스트랩 부재(218)를 포함하며, 스트랩 부재의 세그먼트는 지지 컬럼(216)의 상부 사이에서 인장 상태로 유지된다. 예를 들어, 스트랩 부재(218)의 단부는 지지 컬럼(216) 중 하나의 상부에 부착될 수 있고, 각각의 스트랩 부재(218)의 중간 위치는 지지 컬럼(216)의 상부 사이에서 스트랩 부재(218)에 인장을 유지하기 위해 마주하는 지지 컬럼(216)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플랜폼 베이스(212)는 추가적인 물품(예를 들면 구두, 부츠, 등)을 지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지지 표면 어셈블리(22)를 포함한다.
도 39a. 39b, 및 39c는 다른 확장된 상태에서 지지 표면 어셈블리(22)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9a는 지지 표면 어셈블리(22)의 중간 길이에 대응하는 중간 길이 상태인 지지 표면 어셈블리(22)를 도시한다. 지지 표면 어셈블리(22)는 보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확장하며 가요성인 확장가능한 조립체에 함께 간헐적으로 접합되는, 복수의 플랫 패널 부재로 제조된다. 도 39b는 지지 표면 어셈블리의 감소한 길이에 대응하는 압축 상태인 지지 표면 어셈블리(22)를 도시하며, 여기서 인접하는 플랫 패널 부재 사이의 분리 거리는 감소한다. 그리고, 도 39c는 지지 표면 어셈블리(22)의 최대 길이에 대응하는 확장된 상태에서의 지지 표면 어셈블리(22)를 도시한다. 적절한 수효의 플랫 패널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접합된 영역 사이의 위치에서 인접한 플랫 패널 부재 사이의 거리는, 지지 표면 어셈블리(22)가 확장될 때, 지지 표면 어셈블리(22)가 지지 표면 어셈블리(22)의 확장 방향에 대하여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수축되지 않게 보장하기에 적당한 거리 이하로 유지될 수 있다.
임의의 적합한 재료가 지지 표면 어셈블리(22)를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표면 어셈블리(22)는 폴리카보네이트 스트립, 아크릴 스트립, 그리고 아크릴 마찰 저항성 스트립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트립은 유연하고, 자신의 직선 구성으로 복원할 수 있는 탄력성을 갖는다. 도 39a 내지 39c, 그리고, 도 3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접한 스트립은 서로 접착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어, 지지 표면 어셈블리(22)가 연장될 때, 각각의 스트립은 중간 연결 지점에서 사인파 형태로 당겨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인접하는 제1 및 제2 스트립은 그 길이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다. 제3 스트립은 제1 스트립으로부터 제2 스트립의 반대 측에서, 제1 스트립에 대하여 중간 연결 지점에서 제1 스트립에 부착된다. 이러한 중간 연결 지점은 제1 스트립 및 제2 스트립의 연결 지점 사이, 예를 들면, 연결 지점 사이의 중간 정도에 있다. 이 패턴은 지지 표면 어셈블리(22)의 전체에 걸쳐 반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 표면 어셈블리(22)의 단부는 당겨져서 분리되고, 각각의 스트립은 사인파 형태로 당겨진다.
가요성 이외에도, 스트립은 바람직하게는 개별 스트립 또는 전체 구조의 붕괴 없이 지지 표면 어셈블리(22)에 있는 물체를 지지하기 위해, 특히 높이 방향으로 충분한 압축 강도를 갖는다. 상기 재료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잘 사용되는 재료의 예로서는, 실시예에서, 1/32 인치의 폴리카보네이트 스트립이 사용되어 이러한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스트립은, 실시예에서, 패턴이 1.5 인치 길이의 다이아몬드를 형성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즉, 스트립의 중간 연결 지점이 각각 1.5 인치의 간격을 갖는다.
지지 표면 어셈블리(22)를 제조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된 스트립은 적절한 방법(예를 들면, 융착, 액체 용접, 접착)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들이 결합하는 동안 별도의 스트립을 유지하기 위한 구성품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표면 어셈블리(22)는 주형에 적당한 재료를 부어 제조될 수 있다.
임의의 적절한 제조 방법 및 재료가 여기에 기술된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테이블 및 옷걸이를 만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재료는 강철, 스테인레스 강, 알루미늄, 아연 도금 강판, 아연, 철, 티탄, 및 플라스틱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ABS 및 HDPE)을 포함한다. 적절한 제조 방법은, 예를 들면, 스탬핑, 물 분사, 주입 성형, 금속 주조, CNC 가공, 주조, 및 사출 성형을 포함한다.
도 40은 지지 표면 어셈블리(22) 대신에 사용될 수 있는 지지 표면 어셈블리(220)를 도시한다. 지지 표면 어셈블리(220)는 슬롯(224)을 가지는 슬롯이 형성된 복수의 패널(222)을 포함한다. 각각의 슬롯이 형성된 패널은, 지지 표면 어셈블리(220)가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된 플랜폼을 갖도록 형성될 때, 부드러운 결합 모서리를 제공하기 위해 외부 모서리(226)가 약간 굽혀진 대략 직사각형 플랜폼을 갖는다. 각각의 슬롯(224)은 각각의 지지 표면(220)의 다양한 플랜폼 구성의 각각에 인접한 패널의 인접하는 슬롯(224)을 중첩하도록 형성된다. 슬롯(224)이 겹치는 각각의 위치에는,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플링 요소(230)가 서로에 대해서 인접하는 패널을 제한하는데 사용된다. 지지 표면 어셈블리(220)가 다른 플랜폼 형상으로 재형성될 때, 커플링 요소(230)는 슬롯(224) 사이의 중첩하는 위치의 변화하는 위치에 의해 지시되는 대로, 슬롯(224) 내에서 미끄러진다. 슬롯이 형성된 패널(222)의 적합한 패널은, 하부 프레임에 묶일 수 있는 패널 사이에 부드러운 전이를 제공하는 위치를 채택하기 위해, 자유로운 중간 패널과 함께, 가변 지지 플랫폼의 하부 프레임 또는 베이스 지지 플랫폼 프레임에 묶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표면 어셈블리(220)의 하나의 단부 패널은 가변 지지 플랫폼(28)의 제1 프레임(30)에 묶일 수 있고, 지지 표면 어셈블리(220)의 대향 단부 패널은 가변 지지 플랫폼(28)의 제2 프레임(32)에 묶일 수 있고, 지지 표면 어셈블리(220)의 중앙 패널은 가변 지지 플랫폼(28)의 제3 프레임(34)에 묶일 수 있어, 이에 따라, 지지 표면 어셈블리(220)가 부드럽게 굽혀진 모서리를 갖도록, 남아있는 묶이지 않은 나머지 모든 패널이 슬롯(224)의 형상과 일치하는 적절한 위치에 재배치하게 된다.
도 42는 지지 플랫폼(3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지지 플랫폼(300)은 중앙 타원형(302)과, 외부 반 타원형(304, 306)을 포함한다. 외부 반 타원형(304, 306)의 말 단부에 부착된 핀(308, 310)은 중앙 타원형 상의 슬롯(312, 314)을 통해 연장한다.
슬롯(312, 314) 이외에도, 중앙 타원형(302)은 타원형의 대향 단부에 말단 구멍(316, 318)을 포함한다. 하기에서 더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핀(308, 310)은 대안적인 슬롯(312, 314) 또는 구멍(316, 318) 중 하나를 통해 연결할 수 있다. 이들 두 개의 다른 연결은 지지 플랫폼(300)의 다양한 구성 옵션을 제공한다.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외부 반 타원형(304, 306)은 예를 들어, 5052 알루미늄과 같은, 1/32 인치 두께의 알루미늄 플레이트일 수 있는, 상부 플레이트(322)를 포함한다. 상부 플레이트(322)는 지지 플랫폼(300)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및/또는 미적 매력을 추가하기 위해 개구(324)를 포함할 수 있다.
웨지(326, 328)는 외부 반 타원형(304, 306)에 대하여 상부 플레이트(322)와 바닥 플레이트(330) 사이에서 샌드위치 된다. 웨지(326, 328)는 중앙 타원형(302)과 동일한 높이가 될 수 있어, 상부 플레이트(322)와 바닥 플레이트(330)의 공간은, 중앙 타원형(302)의 말단 단부를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상부 플레이트(322)와 바닥 플레이트(330)의 사이에 슬롯을 형성한다.
외부 반 타원형(304, 306)은 핀(308, 310)을 수용하기 위한 말단 구멍(332, 334)를 포함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핀(308, 310)은 대안적으로 슬롯(312, 314) 또는 구멍(316, 318)에 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핀(308, 310)은 지지 표면이 하나의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고, 나중에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는, 패스너와 같은 재부착 가능한 구조일 수 있고, 또는 핀은 지지 표면이 특정한 형태로 설정되고 변경되지 않는, 리벳과 같은 더욱 영구적인 부착이 될 수 있다.
도 4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 플랫폼(300)은 외부 선반 브래킷(340, 342)과 중앙 선반 브래킷(34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다른 연결 및 지지 구조가 이용될 수 있고, 동일한 예가 이전 실시예에 제공된다.
실시예에서, 웨지(326, 328) (샌드위치 구성의 세부사항은 도시되어 있지 않음), 바닥 플레이트(330)(도 46), 브리지(320)(도 47), 그리고 타원형(302)(도 45)은 샌드위치 패널 구성으로 형성된다. 샌드위치 패널의 구성을 사용하여, 이들 부분은 매우 강하지만 경량이다. 브리지(320)는 타원형(302)의 외부 모서리에 대한 추가적인 경량 지지 및 강도를 제공한다.
일 예로서,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302)은 상술한 지지 표면 어셈블리(22)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중심부(354)를 가진 금속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350, 35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중심부(354)는, 구조체가 분리되어 떨어질 때, 파형(바람직하게는 사인파)이 각각의 개별 스트립에 의해 형성되도록, 인접한 스트립이 간격(바람직하게는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되고 대향하는 인접한 스트립이 서로 오프셋 되도록 부착되는, 정렬된, 가요성 탄성 스트립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인접한 스트립이 서로에 대해 반전된다. 이러한 구조는 일반적인 허니컴(honeycomb) 샌드위치 패널보다 더 강하고, 더 가벼운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그러나, 허니컴 샌드위치 패널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바닥 플레이트(330)(도 46)가 금속 플레이트(360, 362) 사이에 중심부(364)를 포함할 수 있고, 브리지(320) (도 47)는 금속 플레이트(372, 374) 사이에 중심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웨지(326, 328)는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지만, 그 부분에 대한 샌드위치 패널의 세부 사항은 도시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샌드위치 패널의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는 1/32 인치의 5052 알루미늄과 같은 알루미늄일 수 있다. 중심은 예를 들어, 일 예로서, 1/8 인치 높이의 1/32 인치인 폴리카보네이트 스트립인, 상술한 스트립으로 형성될 수 있다. PETG 또는 PET-G(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변형 글리콜)도 사용될 수 있다. 이스트만 화학, SK 화학, 아르테니우스 이탈리아는 일부 PETG의 제조 업체이다. PETG는 사출 성형이나 시트 압출될 수 있는 깨끗한 비결정성 열가소성 플라스틱이다.
지지 플랫폼(300)의 연결 구조는 서로 다른 다수의 배열을 제공한다. 그 예가 도 48 내지 53에 도시된다. 슬롯(312, 314)은 다른 부위보다 위치부분이 더 넓어서, 말단 구멍(332, 334)을 통해 반 타원형(304, 306)의 말단 단부에 연결되는 핀(308, 310)이, 슬롯의 길이를 따라 이동할 뿐만 아니라, 슬롯의 가변 폭에서 측면으로부터 측면으로 측면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실시예에서,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312, 314)은 슬롯의 모서리를 따라 핀(308, 310)의 부드러운 움직임을 제공하기 위한 아크형 측면을 포함한다.
도 48은 반 타원형(304, 306)이 타원형(302)에 대하여 안쪽으로 완전히 눌려져, 짧은, 직선 지지를 제공하는, 지지 플랫폼(300)의 제1 배열을 도시한다. 이 지지는 예를 들면, 그 길이가 3피트일 수 있다. 도 49는 반 타원형(304)이 타원형(302)에 대하여 외부로 당겨져, 지지 플랫폼(300)의 길이를 추가하지만 여전히 지지 플랫폼은 직선인 제2 배열을 도시한다. 이 배열은 예를 들면, 그 길이가 4피트일 수 있다.
도 50은 반 타원형(304, 306)이 약 절반 정도 당겨진 다른 배열이다. 이러한 배열은 그 길이가 4피트일 수 있다. 도 51은 반 타원형(304, 306)이 완전히 바깥쪽으로 당겨진 또 다른 배열이다. 이러한 배열은 예를 들면, 5피트 선반을 지지할 수 있다.
타원형(302)과 반 타원형(304, 306)의 타원형 형태는, 반 타원형에 의한 최대 표면적 지지를 타원형에 제공하면서, 타원형과 반 타원형 사이에서 허용되는 회전 반경의 양을 최대화하려는 목적을 균형화한다. 또한, 타원형(302)과 반 타원형(304, 306)은 배향에 상관없이, 지지 표면(300)의 외부 모서리를 원형으로 되게 하며, 따라서, 지지 표면 어셈블리(22)는 타원형(302)과 반 타원형(304, 306)의 배향에 관계없이 부드러운 윤곽 선반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53은 각각 약 45도로 회전되어 뱀 패턴을 형성하는, 반 타원형(304, 306)을 도시한다. 반 타원형(304, 306)과 타원형(302)의 둥근 모서리는 지지 표면 어셈블리(22)(도시되지 않음)가 구부러진 지지 표면(300)에 의해 형성된 급격한 회전부 둘레를 확장하도록 허용하고, 부드러운 둥근 전이를 제공한다.
도 52는 핀이 슬롯(312, 314) 대신, 말단 구멍(316, 318)에서 타원형(302)에 부착되어 있는 다른 배열을 도시한다. 이 배열에서, 반 타원형(304, 306)은 타원형(302)에 대하여 90도까지 회전될 수 있고, 반 타원형(304, 306) 내의 슬롯의 타원형 형상은, 그 회전 없이, 타원형(302)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표면적을 제공한다. 또한, 타원형(302)과 반 타원형(304, 306)의 둥근 외부 표면(306)은 지지 표면 어셈블리(22)가 급격한 회전부 둘레부를 형성하게 한다.
도 54는 브래킷(382, 384, 386)에 의해 분리된 지지 플랫폼(300)과 유사한 두 개의 구조를 갖는 베이스 지지 플랫폼(38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베이스 지지 플랫폼(380)은 베이스 지지 플랫폼(380)과 유사하게 배열될 수 있다.
도 55에서 볼 수 있듯이, 베이스 지지 플랫폼(380)과 지지 플랫폼(300)은 선반 시스템을 형성하도록 일련의 포스트(390)에 부착될 수 있다. 필요하면 추가 지지 플랫폼(300)이 추가될 수 있고, 베이스 지지 플랫폼(380)과 지지 플랫폼(300)의 타원형 및 반 타원형은 선반에 대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고, 그 지지 표면 어셈블리(22)에 의해 덮여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포스트(390)는 자유롭게 직립하여, 베이스 지지 플랫폼(380)과 지지 플랫폼(300)의 타원형 및 반 타원형이 원하는 형태로 배열될 수 있고 포스트가 이에 따라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도 56은 도 55에 도시된 선반 시스템을 위한 백킹(backing)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가요성 플라스틱 백킹(400)을 도시한다. 선반의 크기와 그에 따른 백킹의 폭은 베이스 지지 플랫폼(380)과 지지 플랫폼(들)(300)의 구성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에, 고정 폭의 백킹은 많은 구성이 적합하지 않을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서, 백킹(400)은 포스트 상의 슬롯(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되는 탭(402)을 통해, 포스트(390) 중 하나에 부착하도록 구성된다. 제2 백킹(401)(도 55)은 제2의, 인접하는 포스트(390)와 두 개의 백킹 오버랩에 부착된다. 이 오버랩의 양은, 두 개의 백킹이 선반의 구성에 관계없이, 두 개의 포스트(390) 사이의 공간을 채울 수 있도록, 충분하다.
두 개의 백킹(400, 401)은 접착제, 리벳, 또는 패스너와 같은 보다 영구적인 방법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함께 유지될 수 있다. 도 5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부에 힌지되고 두 개의 측면에 반대 극성의 스트립을 포함하는 긴 스트립 자석(404)이 배열되어, 두 개의 스트립이 두 개의 백킹의 대향 측면을 따라 연장한다. 긴 스트립 자석(404)은 원하는 결합 폭으로 백킹(400, 401)을 설정하도록 쉽게 제거되거나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도 55에서 선반의 좌측에 백킹(400)의 한 세트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사한 세트가 선반의 우측에 제공될 수 있다.
베이스 지지 플랫폼(380)과 지지 플랫폼(들)(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랜폼 선반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상술한 지지 표면 어셈블리(22)와 같이, 지지 표면 어셈블리에 의해 덮여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표면 어셈블리(422)는 베이스 지지 플랫폼(380)과 지지 플랫폼(들)(300)의 전방에 걸쳐 연장되는 전방 플레이트(4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7은 지지 플랫폼(300)의 전방에 걸쳐 고정하기 위한 전방 플레이트와 함께, 지지 표면 어셈블리(422)에 대한 그러한 전방 플레이트(424)를 도시하며, 도 58은 베이스 지지 플랫폼(380)의 전방에 걸쳐 고정하기 위한 전방 플레이트와 함께, 지지 표면 어셈블리(522)에 대한 그러한 전방 플레이트(426)를 도시한다.
전방 플레이트(424, 426)와 같은, 전방 플레이트는 임의의 형상을 취할 수 있지만, 실시예에서 지지 표면 어셈블리(422, 522)와 함께 구성될 수 있고(즉, 펼쳐지거나 또는 굽혀지게 구성될 수 있고), 지지 표면 어셈블리(422, 522)에 대하여 미적 즐거움을 주는 전면 모서리를 제공한다. 전방 플레이트는 또한 타원형 및 반 타원형의 전방 모서리 상에 후크되거나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도 57과 5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방 플레이트(424, 426)는 지지 표면 어셈블리(22, 422, 522)의 상부 표면과 동일한, 가용성이며 탄성 재료인 대향 스트립으로 만들어진다. 도 57에 도시된 전방 플레이트(424)는 인장 없이 상부 표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한다. 도 58에 도시된 전방 플레이트(426)는 인접한 부재와 약 45도의 각도를 형성하며, 전방 플레이트로 나가는 전이 영역(428)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전방 플레이트(424, 426)는 가격 태그 또는 다른 사이니지(signage)를 장착하기 위한 위치를 제공하며, 베이스 지지 플랫폼(380)의 경우에는, 킥 플레이트를 수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슬롯, 홈, 또는 다른 구조가 킥 플레이트 또는 가격표 플레이트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분리 구조(도시되지 않음)는 스트립을 수신하기 위한 전방 플레이트(424 및/또는 426)에 장착될 수 있다. 백킹과 같이, 두 개 이상의 플레이트는 슬롯, 홈, 또는 다른 구조에 수용될 수 있어, 베이스 지지 플랫폼(380)과 지지 플랫폼(들)(300)의 구성에 관계없이 지지 표면 어셈블리(422, 522)를 덮기 위해 벌어질 수 있다.
킥 플레이트 또는 가격표 플레이트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지만, 실시예에서는 지지 표면 어셈블리(422,522)의 전방 모서리에 부합할 수 있는 가요성 플라스틱이다. 또한, 실시예에서, 킥 플레이트 또는 가격표 플레이트는 판지, 또는 사이니지 또는 장식이 인쇄될 수 있는 다른 재료일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킥 플레이트(430)는 전방 플레이트(426)의 전방 모서리에 형성된 홈(432)에 장착된다. 홈(432)은 홈의 상부 및 하부 말단에서 탭(434, 436)에 의해 형성된다. 탭은 제 위치에 킥 플레이트(430)를 유지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다중 킥 플레이트(430)는 홈(432)에 장착될 수 있고, 단부에서 중첩될 수 있다. 다중 킥 플레이트는 그 길이 또는 형상에 관계없이, 킥 플레이트(430)를 배열하는 설치자가 지지 표면 어셈블리(522)의 전체 전방을 커버하게 한다.
추가적인 선반 지지 플랫폼(300) 또는 베이스 지지 플랫폼(380) 위에 상승한 적어도 제2 선반 지지 플랫폼(300)을 갖는 플랜폼 선반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예를 들면, 도 55 참조).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선반(300)의 하부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59는 광원(590)이 장착된 지지 플랫폼(300)의 하부의 사시도이다. 실시예에서, 광원(590)은 발광 다이오드의 스트립이다. 광원(590)은 선반(300)에 직접 장착되고, 선반 브래킷(340, 342 및 344)과 같은 선반 브래킷에 직접 장착되고, 또는 선반(300)의 하부의 아래 또는 위에 임의의 다른 형태로 직접 장착될 수 있고, 또는 이들의 조합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도 60은 회전식 라이트 박스를 갖는 지지 플랫폼(300)의 하부의 상세 사시도이다. 실시예에서, 광원(590)은 라이트 박스(600)에 장착되고, 라이트 박스(600)는 회전 마운트(601)에 의해 지지된 플랫폼(300)의 하부에 결합된다. 회전 마운트(601)는 선반(300)에 직접 장착되고, 선반 브래킷(340, 342 및 344)과 같은 선반 브래킷에 직접 장착되고, 또는 선반(300)의 하부의 아래 또는 위에 임의의 다른 형태로 직접 장착될 수 있고,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직접 장착될 수 있다. 회전 마운트(601)는 광원(590)으로부터 방출된 빛의 방향을 조정하고, 지지 플랫폼(300)의 프레임 아래의 물체의 조명을 조절하기 위하여, 라이트 박스(600)가 회전 또는 피벗될 수 있게 한다.
도 61은 리세스된 조명을 갖는 지지 플랫폼(300)의 하부의 사시도이다. 실시예에서, 제2 선반(300)의 프레임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590)을 수용하기 위하여 제2 선반(300)의 하부에 가공된 리세스(610)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가공된 리세스는 광원(590)이 제2 선반(300)의 프레임의 하부로부터 돌출하지 않게 하고, 광원(590)을 갖는 제2 선반(300)이, 광원(590)이 없는 지지 플랫폼(300)에 사용되는 등, 동일한 지지체(340, 342 및 344)와 사용되게 한다.
도 6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에서 조정가능한 백킹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움직이는 슬랫(620)의 배면도이고, 도 55, 63a에 도시된 시스템은 도 62의 움직이는 슬랫(620) 내의 결합(linkage)(630)의 상세도이다.
실시예에서, 움직이는 슬랫(620)은 플랜폼 선반 시스템의 인접한 지지 컬럼(390) 사이에 조정가능한 백킹으로서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움직이는 슬랫(620)은 복수의 슬롯 링크(631), 복수의 고체 링크(632), 그리고 복수의 긴 핀 부재(633)를 포함한다. 각각의 복수의 슬롯 링크(631)는 슬롯 링크(631)의 높이를 통하는 수직 슬롯(634)을 포함한다. 이 슬롯(634)은 슬롯(634)의 길이를 따라 핀 부재(633)의 적어도 수평 미끄럼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긴 핀 부재(633)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복수의 고체 링크(632)는 고체 링크(632)의 몸체의 각각의 두 개의 단부에 관통 구멍(635)을 포함하고, 각각의 관통 구멍(635)은 하나의 긴 핀 부재(633)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슬랫(620)을 제조하기 위해, 복수의 슬롯 링크(631)와 복수의 고체 링크(632)의 서브세트가 교대식으로 적층된 패턴으로 배치되어, 슬롯(634)과 관통 구멍(635)이 스택으로 정렬된다. 긴 핀 부재(633)는 움직이는 슬랫(620) 내에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해 고체 링크(632)와 슬롯 링크(631)를 통해 교대로 수직하게 통과되고, 조인트는 핀 부재(633)에 의해 결합된 고체 링크(632)와 슬롯 링크(631)로 만들어진다. 이 구성에서, 고체 링크(632)는 핀(633)을 제 위치에 제한하지만, 결합된 슬롯 링크(631)가 핀(633)에 대하여 미끄러지고 피벗 되게 한다. 슬롯 링크(631)는 연속하는 고체 링크(632) 사이에 공간을 제공한다. 다른 슬롯 링크(631)의 서브세트가, 새로이 추가된 슬롯 링크(631) 내의 슬롯(634)이 결합된 고체 링크(632)의 제2 단부에서 점유되지 않은 관통 구멍(635)과 정렬되도록, 이러한 공간에 놓일 수 있어, 슬랫(620) 내에 다른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해 다른 긴 핀 부재(633)의 삽입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도 6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고체 링크(632)는 고체 링크(632)의 양 단부에 슬롯 링크(631)를 결합하기 위한 2 개의 핀(633)을 제한한다. 결합된 슬롯 링크(631)는 핀(633)에 대하여 자유롭게 미끄러지고 회전하게 된다. 결합된 슬롯 링크(631)가 슬랫(620)의 더 큰 백킹 어셈블리 내에서 고체 링크(632)의 또 다른 서브세트에 추가로 결합되면, 그들은 미끄러짐 및 피벗팅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것은 슬랫(620)의 스트레칭 및 윤곽형성을 허용하고, 이것은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의 길이 및 형태의 극적인 변화에 매우 바람직하다.
실시예에서, 움직이는 슬랫은 복수의 제1 링크(621), 복수의 제2 링크(632), 그리고 복수의 긴 핀 부재(633)를 포함한다. 각각의 복수의 제1 링크(621)는 링크(621)의 높이를 통하는 수직 개구(634)를 포함하고, 개구는 링크(621)와 다른 링크가 정렬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긴 핀 부재(633)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제1 링크(621)는 수직하게 정렬된 제1 링크(621)의 컬럼(623)으로 정렬된다. 각각의 복수의 제2 링크(622)는 링크(622)의 높이를 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개구(634)를 포함하고, 각 개구(634)는 링크(622)가 다른 링크와 정렬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긴 핀 부재(633)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제2 링크(622)는 수직하게 정렬된 제2 링크(622)로 정렬된다. 제2 링크(622)의 각각의 컬럼(624)은 제1 링크(621)의 인접한 컬럼(623)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링크(621)의 컬럼(623)과 제2 링크(622)의 컬럼(624)이 교대로 배치된다. 복수의 긴 핀 부재(633)에서 각각의 핀(633)은 제1 링크 컬럼(623)의 적어도 일부의 제1 링크(621)를 통과하고 인접하는 제2 링크 컬럼(624)의 적어도 일부의 제2 링크(622)를 통과한다. 이 결과 제1 링크 컬럼(623)은 공통 핀(633)에 의해 인접하는 제2 링크 컬럼(624)에 결합하여, 움직이는 슬랫(620) 내에 조인트를 제공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움직이는 슬랫(620) 내의 제1 링크(621)의 적어도 하나의 컬럼(623)에 컬럼 내의 제1 링크(621)가 배치되어, 적어도 일부 수직하는 연속적인 1 링크(621)와, 인접하는 제2 링크 컬럼(624)의 일부인 적어도 하나의 제2 링크(622)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이, 수직하는 연속적인 1 링크(621) 사이에 배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간극의 크기를 결정하는 높이를 가지게 된다.
도 63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62의 이동성 슬랫 내의 링크의 상세도이다. 도 6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서, 링크(638)는 행거(637)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636)을 포함할 수 있다. 행거(637)는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은, 단자(prongs), 바, 후크, 포스트, 브래킷, 클립, 암, 플레이트, 페이스아웃(faceouts), 홀더, 랙, 튜브, 설비, 선반, 및 바스켓을 포함하는, 슬랫 벽 시스템의 액세서리로서 사용하기 위해 구성된 하드웨어의 임의의 유형이 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링크(638)는 슬랫(slat)(620)의 링크(예 : 링크 621, 622, 631, 632 등)에 대한 추가 구성 요소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링크(638)는 슬랫(620)의 링크(예 : 링크 621, 622, 631, 632 등)로서 사용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직 개구(634 또는 635)를 포함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도 64는 많은 실시예에 따라, 가변 플랜폼 베이스(380)와 교환가능한 부재(642)를 갖는 상부 랙(641)을 포함하는 가변 길이의 옷걸이(64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실시예에서, 상부 랙(641)은 함께 상부 랙(641)의 형태를 형성하는 복수의 교환가능한 형태의 부재(642)를 포함한다. 상부 랙(641)의 형태를 변경하기 위해, 적어도 일부의 교환가능한 형태의 부재(642)는 다른 모양의 교환가능한 부재(642)로 대체될 수 있다. 도 65는 많은 실시예에 따른. 도 64의 상부 랙(641)에서 사용되기 위한 예시적인 상호 교환가능한 세그먼트 부재(642)를 도시한다. 한 형태의 상호 교환가능한 세그먼트 부재(642)를 다른 형태의 교환가능한 부재로 대체함으로써, 상부 랙(641)은 참고 또는 설계 기준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형태의 교환가능한 부재(642)는 만곡된 부재(647)이다. 그러나, 여러 만곡된 부재(647)를 도 65에 도시된 S-부재(644), Z- 부재(645) 및 직선 부재(646)의 조합으로 교체함에 의해, 도 64에 도시된 상부 랙(641)의 형태가 도 66에 도시된 상부 랙(641)의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65에 도시된 예시적인 형태 이외에, 다른 형태의 상호 교환가능한 세그먼트 부재(642)가 제공될 수 있다. 상호 교환가능한 세그먼트 부재(642)는 도 65에 도시된 예시적인 형태에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상부 랙(641)의 형태에 대한 여러 변경이 여러 실시예에서 가능하다.
옷걸이(640)는 표준화된 옷걸이와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많은 실시예에서, 교환가능한 세그먼트 부재(642)의 직경이나 형상은 이러한 표준화된 옷걸이를 수용하도록 선택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교환가능한 세그먼트 부재(642)는 상부 랙(641) 상의 제 위치에 이러한 옷걸이를 유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너브(648a)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노치(648b)를 갖는다. 옷걸이를 제 위치에 유지하는 능력은, 랙을 이동하거나 또는 고객이 붐빌 경우 등과 같이, 옷걸이가 함께 모여져 옷걸이의 위험이 높아질 때, 의류의 조직 또는 시각적으로 나타나는 표시를 유지하기 위해 특히 유용할 수 있다
많은 실시예에 따르면, 도 67은 도 65에 도시된 상호 교환가능한 세그먼트 부재(642)를 갖고 상부 랙(641)을 포함하는 조정가능한 옷걸이(640)에서 사용하기 위한 제3 지지 부재(650)의 단부를 자세히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교환가능한 세그먼트 부재(642)의 상부 랙(641)을 갖는 가변 길이의 옷걸이(640)는 단부 지지 컬럼(649)에 의해 상부 랙(641)에 제공된 지지력을 보완하기 위한 제3 지지 컬럼(650)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제3 컬럼(650)은 중앙 타원형(302)에 의해 지지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컬럼(650)은, 교환가능한 세그먼트 부재(642)가 상부 랙(641)의 위치를 상하로 변화시키는 것에 관계없이, 상부 랙(641)을 지지하도록 크기를 변화시키기 위해 텔레스코핑(telescoping) 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3 컬럼(650)은 제3 지지 컬럼(650)의 상부 단부에 위치한 마운트(651)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운트(651)는 제3 지지 컬럼(650)과 상부 랙(641) 사이에 고정 커플링을 제공하기 위해 교환가능한 세그먼트 부재(642)의 공통 단면에 부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운트(651)는 또한, 교환 가능한 부재(642)가 금속으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자기 부착 포인트로 장착될 때, 안전한 커플링을 성취하기 위한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3 지지 컬럼(650)은 타원형 제3 프레임(302)에 제3 지지 컬럼(150)을 부착하기 위한 타원형 제3 프레임(302) 내의 슬롯(312 또는 314)에 의해 수용되는 제3 지지 컬럼(650)의 베이스(653)에 적어도 하나의 단자(652)를 포함한다.
다른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및 대안적인 구성이 가능하며 따라서,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가 이들 도면에 도시되고 위에서 상세히 기술되었다. 그러나, 이는 개시된 특정 형태 또는 형태들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없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하며, 반대로, 본 의도는 본 발명의 사상 및 첨부된 청구항에 정의된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수정, 대체 구조물, 및 등가물 등을 보호하려는 것이다.
발명을 설명하는 내용에서(특히 다음의 청구항의 내용에서), 용어 "하나의(a)", "하나의(an)", 및 "그(the)", 그리고, 유사한 지시 대상은 여기서 달리 나타내거나, 또는 명백히 제한하지 않는 한, 단수 또는 복수 모두를 커버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용어 "구비하는(comprising)", "갖는(having)", "포함하는(including)" 및 "함유하는(containing)"은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개방적인 용어로 해석될 것이다(즉, 포함하는 것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용어 "연결되는(connected)" 은 부착되거나 또는 접합되거나, 심지어는 무언가가 개재되는 것을 나타내며,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그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내의 수치 범위는 여기서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단지 범위 내에 속하는 각각의 별도 값을 나타내는 약칭 방법으로서 사용하려는 의도이며, 각각의 별도 값은 개별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것처럼 이 명세서에 통합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방법들은 여기서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상 명백하게 모순되지 않는 한,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임의의 그리고 모든 예들, 또는 여기에 제공된 예시적인 언어 {예컨대, "와 같은(such as)"}의 사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예시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의도이고, 달리 청구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모든 언어는 본 발명의 실시에 필수적인 것으로서, 비 청구된 요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여기서 기술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발명자에게 알려진 최선의 모드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은 전술한 설명을 읽을 때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숙련된 자들이 이러한 변화를 적합하게 사용하기를 기대하며,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대하여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과 다르게 실시되는 것도 보호받고자 의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용 법률에 의해 허용되는 대로 첨부된 청구항에 기재된 요지의 모든 변형 및 균등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상 명백하게 모순되지 않는 한, 또한 모든 가능한 변화의 상술된 요소들의 임의의 조합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된 공보, 특허 출원 및 특허를 포함하는 모든 참고 문헌은, 각각의 참조 문헌이 참고로서 개별적 및 구체적으로 통합되게 나타나고 여기서 전체적으로 인용되는 것처럼, 여기게 동일한 정도까지 참고로서 포함된다.
10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12 : 가변 플랜폼 베이스
14 : 가변 플랜폼 선반 16 : 지지 포스트
20 : 가격 표시 어셈블리 22 : 지지 표면 어셈블리
24 : 길이 방향 26 : 베이스 지지 플랫폼
28 : 가변 지지 플랫폼
30, 32, 34 :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및 제3 프레임

Claims (71)

  1. 가변 플랜폼을 갖는 선반을 포함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에 있어서.
    두 개 이상의 프레임을 포함하며, 각각의 프레임은 가변 지지 플랫폼의 일부를 제공하고, 각각의 프레임은 다른 프레임과 상호작용하기 위해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상호작용 단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은, 결합된 인접한 프레임이 선반의 플랜폼을 조정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상호작용 단부 근처의 인접한 프레임과 결합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선반의 상호작용 단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모서리는, 결합된 인접 프레임이 서로 정렬되지 않을 때, 결합된 인접 프레임의 인접한 측면 모서리를 따라 부드러운 전이(transition)가 형성되도록, 윤곽이 형성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선반의 윤곽이 형성된(contoured) 상호작용 단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모서리는 만곡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만곡된 상호작용 단부는 둥근 형태인,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둥근 형태의 상호작용 단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타원형의 만곡된 둘레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가변 지지 플랫폼의 제1 부분을 제공하고, 부분적으로 타원형의 만곡된 둘레부를 갖는 상호작용 단부를 포함하는 플랜폼 형상을 가지는 제1 프레임; 및
    가변 지지 플랫폼의 제2 부분을 제공하고, 부분적으로 타원형의 만곡된 둘레부를 갖는 상호작용 단부를 포함하는 플랜폼 형상을 가지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결정이 가변 지지 플랫폼의 플랜폼을 변화시키기 위해 가변적이 되도록, 상기 제2 프레임과 결합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타원형 일 단부인 플랜폼 형상을 가지며 가변 지지 플랫폼의 제1 부분을 제공하는 제1 프레임;
    타원형 일 단부인 플랜폼 형상을 가지며 가변 지지 플랫폼의 제2 부분을 제공하는 제2 프레임; 및
    타원형의 플랜폼 형상을 가지며 가변 지지 플랫폼의 제3 부분을 제공하는 제3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3 프레임과 각각의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결정이 가변 지지 플랫폼의 플랜폼을 변화시키기 위해 가변적인,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과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피벗 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 프레임과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프레임과 피벗 식으로 결합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3 프레임과 프레임을 결합하기 위한 프레임과 결합되는 커플링 핀을 포함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3 프레임의 일 부분을 수용하는 프레임의 슬롯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과 결합된 커플링 핀은 상기 프레임의 슬롯을 경유하여 제3 프레임의 개구를 통해 연장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레임은 하나 또는 두 개의 성형된 개구를 포함하며, 각각의 성형된 구멍은 길이 및 가변 폭을 가지며, 구멍의 길이를 따르는 축방향 운동과 가변 폭 내의 측면 운동을 위한 제1 또는 제2 프레임의 커플링 핀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성형된 구멍은 구멍의 측면을 따르는 핀의 부드러운 운동을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아크형 측면을 포함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레임은 하나 또는 두 개의 말단 구멍을 포함하며, 각각의 말단 구멍은 말단 구멍에 대한 프레임의 피벗 운동을 위한 제1 또는 제2 프레임의 커플링 핀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중 하나와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구성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중 하나와 피벗식으로 결합되는 제2 구성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중 하나의 커플링 핀은 상기 제3 프레임을 상기 제1 구성으로부터 상기 제2 구성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제거되고 교체될 수 있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핀은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중 하나를 상기 제3 프레임에 클램핑하여,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중 하나의 상기 제3 프레임에 대한 운동을 억제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프레임은,
    타원형 일 단부인 플랜폼 형상을 가지는 상부 플레이트;
    타원형 일 단부인 플랜폼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대하여 정렬되는 하부 플레이트로서, 하부 플레이트의 외부 둘레부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외부 둘레부와 정렬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스페이서로서, 상기 스페이서는 각각의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은 상기 제3 프레임을 수용하기 위한 슬롯을 형성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17.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레임은,
    타원형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정렬되어, 스페이서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공통 특징부가 정렬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 표면 및 제2 프레임의 상부 표면과 평면인, 상기 제3 프레임에 상부 표면을 제공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1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지지 표면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 표면 어셈블리는,
    슬롯이 형성된 복수의 패널 및
    복수의 커플링 요소를 포함하며,
    만곡된 슬롯을 가지는 각각의 패널은, 슬롯이 형성된 복수의 패널 각각이 인접한 패널과 중첩하도록 배열되며, 각각의 슬롯이 형성된 패널은, 가변 플랜폼 선반이 만곡된 플랜폼 구성으로 구성될 때, 지지 표면 어셈블리의 부드러운 결합된 모서리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약간 만곡된 외부 모서리를 갖는 직사각형 플랜폼을 가지며, 슬롯이 형성된 복수의 패널의 각각의 슬롯은 인접한 패널의 인접 슬롯과 중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커플링 요소는, 슬롯의 각각의 중첩하는 위치에서, 커플링 요소가 서로에 대하여 인접한 패널을 제한하도록 배치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슬롯이 형성된 복수의 패널의 적어도 일부는 가변 지지 플랫폼의 하부 프레임에 부착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2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및 제3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하나 이상의 지지 표면 어셈블리, 하나 이상의 지지 포스트, 하나 이상의 킥 플레이트, 하나 이상의 가격 표시, 하나 이상의 행거 후크, 하나 이상의 높이 조정가능한 다리, 및 하나 이상의 추가 가변 플랜폼 플랫폼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부착하기 위한 특징부를 더 포함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21. 청구항 5에 있어서,
    제1 선반 위에 상승하여 있는 제2 선반으로서, 각각의 선반은,
    타원형 일 단부인 플랜폼 형상을 가지며 가변 지지 플랫폼의 제1 부분을 제공하는 제1 프레임;
    타원형 일 단부인 플랜폼 형상을 가지며 가변 지지 플랫폼의 제2 부분을 제공하는 제2 프레임; 및
    타원형의 플랜폼 형상을 가지며 가변 지지 플랫폼의 제3 부분을 제공하는 제3 프레임으로서, 상기 제3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3 프레임과 각각의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결정이 가변 지지 플랫폼의 플랜폼을 변화시키기 위해 가변되는, 제3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제1 선반 및 제2 선반;
    상기 제1 및 제2 선반의 상기 제1 프레임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컬럼; 및
    상기 제1 및 제2 선반의 상기 제2 프레임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컬럼을 더 포함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2 선반의 하부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더 포함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의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을 포함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24.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제2 선반의 프레임 중 하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수용하기 위하여 하부에 가공된 리세스를 더 포함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25.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은 회전 광원(swiveling light source)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선반의 프레임 중 하나는 상기 회전 광원을 위하여 하부에 마운트를 더 포함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26. 청구항 21에 있어서,
    복수의 백킹(backing) 패널을 더 포함하며,
    각각의 패널은 하나의 지지 컬럼에 부착되고 다른 백킹 패널과 중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다른 백킹 패널은, 지지 컬럼 사이의 공간이 중첩하는 패널에 의해 덮여지도록, 다른 지지 컬럼에 부착되고 패널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긴 자석 스트립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긴 자석 스트립은,
    제1 배향된 자기 극성을 갖는 자석 물질의 제1 길이;
    제2 배향된 자기 극성을 갖는 자석 물질의 제2 길이; 및
    상기 제1 길이 및 제2 길이 사이에 힌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배향된 자기 극성과 상기 제2 배향된 자기 극성은, 자석 물질의 제1 길이가 한 쌍의 중첩하는 백킹 패널의 후방 측면을 따라 위치하고, 상기 긴 자석 스트립이 힌지에서 굽혀져 상기 제2 길이가 상기 한 쌍의 중첩하는 백킹 패널의 전방 측면을 따라 확장할 때, 상기 제1 배향된 자기 극성과 제2 배향된 자기 극성이 서로에 대하여 한 쌍의 백킹 패널의 운동에 저항하기 위하여 정렬되어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28. 청구항 21에 있어서,
    인접한 지지 컬럼 사이에서 조정가능한 백킹으로서의 이동가능한 슬랫(slat)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가능한 슬랫은,
    복수의 슬롯 링크로서, 상기 복수의 슬롯 링크의 각각은 상기 슬롯 링크의 높이를 통하는 수직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슬롯은 슬롯의 길이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긴 핀 부재의 적어도 수평 슬라이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긴 핀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슬롯 링크;
    복수의 고체 링크로서, 복수의 고체 링크 각각은 링크의 몸체의 각각의 두 개의 단부에 관통 구멍을 포함하며, 각각의 관통 구멍은 하나의 긴 핀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고체 링크; 및
    복수의 긴 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슬롯 링크와 상기 복수의 고체 링크는, 복수의 긴 핀 부재의 각각의 긴 핀 부재가 이동가능한 슬랫에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해 고체 링크와 슬롯 링크를 통해 교대로 수직으로 통과하도록, 교대로 적층된 패턴으로 배치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29. 청구항 21에 있어서,
    인접한 지지 컬럼 사이에서 조정가능한 백킹으로서의 이동가능한 슬랫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가능한 슬랫은,
    복수의 제1 링크로서, 상기 복수의 제1 링크 각각은 상기 링크의 높이를 통하는 수직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는 링크가 다른 링크와 정렬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긴 핀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1 링크는 수직으로 정렬된 제1 링크의 컬럼으로 정렬되는, 복수의 제1 링크;
    복수의 제2 링크로서, 상기 복수의 제2 링크 각각은 상기 링크의 높이를 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개구를 포함하며, 각각의 개구는 링크가 다른 링크와 정렬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긴 핀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2 링크는 수직으로 정렬된 제2 링크의 컬럼으로 정렬되고, 제2 링크의 각각의 컬럼은, 제1 링크의 컬럼과 제2 링크의 컬럼이 교대하는 패턴으로 배치되도록, 제1 링크의 인접한 컬럼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링크; 및
    복수의 긴 핀 부재를 포함하며,
    각각의 핀은 제1 링크 컬럼의 적어도 일부의 제1 링크를 통해 통과하며 인접한 제2 링크의 적어도 일부의 제2 링크를 통해 통과하여, 제1 링크 컬럼이 공통 핀에 의해 인접한 제2 링크 컬럼에 결합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이동가능한 슬랫의 제1 링크의 컬럼 중 적어도 하나에서, 컬럼의 제1 링크가 배치되어, 적어도 일부의 수직으로 연속하는 제1 링크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고, 적어도 하나의 간극의 크기는 수직으로 연속하는 제1 링크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링크의 높이에 의해 결정되고, 제2 링크는 인접한 제2 링크 컬럼의 일부인,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31. 청구항 5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변 플랜폼 선반을 포함하는 베이스로서, 각각의 선반은,
    타원형 일 단부인 플랜폼 형상을 가지며 가변 지지 플랫폼의 제1 부분을 제공하는 제1 프레임;
    타원형 일 단부인 플랜폼 형상을 가지며 가변 지지 플랫폼의 제2 부분을 제공하는 제2 프레임; 및
    타원형의 플랜폼 형상을 가지며 가변 지지 플랫폼의 제3 부분을 제공하는 제3 프레임으로서, 상기 제3 프레임은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3 프레임과 각각의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결정이 가변 지지 플랫폼의 플랜폼을 변화시키기 위해 가변적인, 제3 프레임을 포함하는, 베이스;
    적어도 하나의 가변 플랜폼 선반의 제1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 컬럼;
    적어도 하나의 가변 플랜폼 선반의 제2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지지 컬럼; 및
    옷이 걸릴 수 있는 상부 빔(beam)으로서, 제1 및 제2 지지 컬럼에 의해 적어도 지지되는 상부 빔을 포함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빔은, 확장 가능하고, 지지 컬럼의 적어도 두 개의 상부 사이에 텐션을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스트랩 부재를 포함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33.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부 랙(rack)은 상부 랙의 형상을 함께 형성하는 복수의 성형된 교체가능한 부재를 포함하고, 성형된 교체가능한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 랙의 형태를 변화하기 위해 다른 성형된 교체가능한 부재로 대체될 수 있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34. 청구항 33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변 플랜폼 선반의 제3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 랙를 지지하기 위해 구성되는 제3 지지 컬럼을 더 포함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35.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지 컬럼은 성형된 교체가능한 부재의 공통 단면에 부합하도록 구성된 제3 지지 컬럼의 상부 단부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마운트; 및 상기 제3 지지 컬럼에 금속의 성형된 교체가능한 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구성된 자석을 포함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36.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지 컬럼은 상기 제3 프레임에 상기 제3 지지 컬럼을 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3 프레임의 슬롯에 의해 수용되는 상기 제3 지지 컬럼의 베이스에 적어도 하나의 단자(prong)를 포함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37.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지 컬럼은 상기 제3 지지 컬럼의 높이 조절을 위한 텔레스코핑 몸체(telescoping body)를 포함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3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 지지 플랫폼을 갖는 가변 플랜폼 선반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지지 표면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 표면 어셈블리는 상호연결되며 수직으로 배향된 복수의 가요성 패널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 표면은 상기 가변 지지 플랫폼의 변화에 응답하여 변화되고, 상기 지지 표면 어셈블리는 가변 지지 플랫폼에 의해 지지되고 가변 플랜폼 선반에 의해 지지된 물품에 대한 지지 표면을 제공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39.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지지 표면 어셈블리는, 길이 방향에 대해 가로지르는 폭 방향으로 지지 표면 어셈블리에서 어떠한 실질적인 수축 없이 수직으로 배향된 패널의 수직 방향에 수직인 길이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40.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상호연결되며 수직으로 배향된 복수의 가요성 패널은 사인파 패턴(sinusoidal pattern)을 제공하기 위해 서로 간헐적으로(intermittently) 접합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41. 청구항 40에 있어서,
    상기 간헐적인 접합은 일정한 간격에서 이루어지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42.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간격은 3.8 센티미터(1.5 인치)인,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43. 청구항 40에 있어서,
    상기 가변 지지 플랫폼은 적절한 수효의 상호연결되며 수직으로 배향된 복수의 부재를 포함하여, 접합된 영역 사이의 위치에서, 인접하여 수직으로 배향된 가요성 부재 사이의 거리는, 지지 표면 어셈블리가 확장될 때, 지지 표면 어셈블리가 지지 표면 어셈블리의 확장 방향에 대해 가로지르는 실질적 정도로 수축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에 적절한 거리 이하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44.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상호연결되며 수직으로 배향된 복수의 가요성 패널은 폴리카보네이트 스트립, 아크릴 스트립, 및 아크릴 마찰 저항성 스트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45.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지지 표면은 몰드에서 제조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46.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지지 표면 어셈블리는 상기 지지 표면의 전방 표면에 고정되고 지지 표면의 상부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고 배치되는 전방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방 플레이트 어셈블리는 상호연결되며 수직으로 배향된 복수의 가요성 패널을 포함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47. 청구항 46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약 90°인,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48. 청구항 46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플레이트 어셈블리는,
    전방 플레이트 어셈블리가 지지 어셈블리에 대하여 배치되는 각도로 배치되 는 스텝 다운부(step down portion); 및
    지지 표면의 상부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배치된 수직부를 더 포함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49. 청구항 48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약 45°인,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5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 플랜폼 선반에서 사용되기 위한 구성부품을 더 포함하며, 샌드위치 패널로서 구성되는 상기 구성부품은,
    상부 금속 층;
    하부 금속 층; 및
    상기 상부와 하부 금속 층 사이에 끼워진 중간층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층은 상호연결되며 수직으로 배향되는 평행한 복수의 가요성 패널을 포함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51. 청구항 50에 있어서,
    상호연결되며 수직으로 배향된 복수의 가요성 패널은 사인파 패턴을 제공하기 위해 서로 간헐적으로 결합하는,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52. 가변 플랜폼을 갖는 선반으로서, 상기 선반은,
    가변 지지 플랫폼의 제1 부분을 제공하는 제1 프레임;
    가변 지지 플랫폼의 제2 부분을 제공하는 제2 프레임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의 상대적인 위치결정은 가변 지지 플랫폼의 플랜폼을 변화시키도록 가변적인, 제2 프레임; 및
    가변 지지 플랫폼에 의해 지지되고 선반에 의해 지지된 물품에 대한 지지 표면을 제공하는 지지 표면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표면 어셈블리는, 제공된 지지 표면이 가변 지지 플랫폼의 플랜폼의 변화에 대응하여 변화하도록, 적어도 가요성이거나 또는 복수의 링크 패널로 구성되는, 선반.
  53. 청구항 5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의 상대적인 배향은 가변 지지 플랫폼의 플랜폼 형상을 변화시키기 위해 가변적인, 선반.
  54. 청구항 52에 있어서,
    상기 가변 지지 플랫폼의 제3 부분을 제공하는 제3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프레임은 제1 및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제3 프레임과 각각의 제1 및 제2 프레임 사이의 상대적 위치결정은 가변 지지 플랫폼을 변화시키기 위해 가변적인, 선반.
  55. 청구항 54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레임은 각각의 제1 및 제2 프레임과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하는, 선반.
  56. 청구항 55에 있어서,
    제1 및 제3 프레임의 상대적인 배향은 가변 지지 플랫폼의 플랜폼의 형상을 변화시키기 위해 가변적이고,
    제2 및 제3 프레임의 상대적인 배향은 가변 지지 플랫폼의 플랜폼의 형상을 변화시키기 위해 가변적인, 선반.
  57. 청구항 56에 있어서,
    각각의 제1 및 제2 프레임은 제3 프레임의 일 부분을 수용하는 슬롯을 가지며,
    각각의 제1, 제2 및 제3 프레임은 지지 표면 어셈블리와 접속하는(interface) 상부 표면을 가지며, 제1, 제2 및 제3 프레임의 상부 표면은 동일 평면상에 있는, 선반.
  58. 청구항 57에 있어서,
    각각의 제1 및 제2 프레임은 반타원형의 플랜폼 형상을 가지며, 제3 프레임은 타원형의 플랜폼 형상을 갖는, 선반.
  59. 청구항 57에 있어서,
    제3 프레임은 긴(elongated) 개구를 포함하고, 긴 개구는 제1 프레임과 결합된 제1 커플링 핀을 수용하고 제1 프레임의 슬롯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긴 개구는 제2 프레임과 결합된 제2 커플링 핀을 더 수용하고 제2 프레임의 슬롯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선반.
  60. 청구항 57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은 단부 부분의 일 단에서 지지체에 부착하도록 된 단부 부분을 포함하는, 선반.
  61. 청구항 52에 있어서,
    상기 지지 표면 어셈블리는 상호연결되며 수직으로 배향된 복수의 가요성 패널을 포함하는, 선반.
  62. 청구항 61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패널은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선반.
  63. 청구항 52에 있어서,
    상기 지지 표면 어셈블리는 수평으로 배향되어 결합된 복수의 패널을 포함하며, 각각의 수평으로 배향된 패널은 수평으로 배향된 패널의 인접한 패널을 결합하는 연결 핀을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슬롯을 가지는, 선반.
  64. 가변 플랜폼을 갖는 선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선반 시스템은,
    청구항 57에 따른 제1 선반;
    청구항 57에 따른 제2 선반으로서, 상기 제2 선반은 제1 선반 위에 상승하여 있는, 제2 선반;
    상기 제1 및 제2 선반의 제1 프레임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 컬럼; 및
    상기 제1 및 제2 선반의 제2 프레임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지지 컬럼을 포함하는, 선반 시스템.
  65. 청구항 64에 있어서,
    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는,
    청구항 57에 따른 선반을 포함하는 상부 부분;
    청구항 57에 따른 선반을 포함하는 하부 부분;
    상기 상부 및 하부 부분의 각각의 제1 프레임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컬럼 부재;
    상부 및 하부 부분의 각각의 제2 프레임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컬럼 부재; 및
    복수의 제3 컬럼 부재로서, 각각의 컬럼 부재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부분의 제3 프레임에 부착되는 복수의 제3 컬럼 부재를 포함하는, 선반 시스템.
  66. 청구항 65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부착된 킥 플레이트(kick plate)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킥 플레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상부와 하부 부분의 제1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제1 킥 플레이트 부재;
    상기 상부와 하부 부분의 제2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제2 킥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상부와 하부 부분의 제3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제3 킥 플레이트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또는 제3 킥 플레이트 부재의 적어도 하나는 베이스의 복수의 플랜폼 구성을 위하여 상기 제1, 제2 또는 제3 킥 플레이트 부재의 인접한 하나와 중첩하는 연장 패널을 포함하는, 선반 시스템.
  67. 청구항 64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선반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가격 표시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격 표시 어셈블리는,
    제1 프레임에 부착되고 가격표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제1 가격 표시 세그먼트;
    제2 프레임에 부착되고 가격표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제2 가격 표시 세그먼트; 및
    상기 제1 및 제2 가격 표시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와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된 제3 가격 표시 세그먼트로서, 상기 제3 가격 표시 세그먼트는 가요성이며 가격표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제3 가격 표시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선반 시스템.
  68. 가변 플랜폼을 갖는 테이블로서, 상기 테이블은,
    가변 지지 플랫폼의 제1 부분을 형성하는 제1 상부 프레임;
    가변 지지 플랫폼의 제2 부분을 형성하는 제2 상부 프레임;
    가변 지지 플랫폼의 제3 부분을 형성하는 제3 상부 프레임으로서, 상기 제3 상부 프레임은 상기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3 상부 프레임과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의 상대적인 위치결정은 가변 지지 플랫폼의 플랜폼을 변화시키도록 가변적인, 제3 상부 프레임;
    상기 테이블에 의해 지지된 물품에 대한 지지 표면을 제공하는 지지 표면 어셈블리로서, 상기 지지 표면 어셈블리는 가변 지지 플랫폼에 의해 지지되고, 제공된 지지 표면이 가변 지지 플랫폼의 플랜폼의 변화에 대응하여 변화하도록, 가요성인 적어도 하나 또는 연결된 복수의 패널을 포함하는, 지지 표면 어셈블리;
    가변 지지 플랫폼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변 베이스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 베이스 프레임;
    상기 가변 베이스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2 베이스 프레임;
    상기 가변 베이스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3 베이스 프레임으로서, 상기 제3 베이스 프레임은 제1 및 제2 베이스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제3 베이스 프레임과 각각의 제1 및 제2 베이스 프레임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결정 및 배향은 가변 베이스의 플랜폼을 변화시키기 위해 가변적인, 제3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가변 베이스와 상기 가변 지지 플랫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변 베이스와 상기 가변 지지 플랫폼에 부착된 복수의 중간 부재를 포함하는, 테이블.
  69. 청구항 68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는,
    복수의 제1 중간 부재로서, 각각의 제1 중간 부재는 제1 상부 프레임과 제1베이스 프레임에 부착되는, 복수의 제1 중간 부재;
    복수의 제2 중간 부재로서, 각각의 제2 중간 부재는 제2 상부 프레임과 제2베이스 프레임에 부착되는, 복수의 제2 중간 부재;
    복수의 제3 중간 부재로서, 각각의 제3 중간 부재는 제3 상부 프레임과 제3베이스 프레임에 부착되는, 복수의 제3 중간 부재를 포함하는, 테이블.
  70. 청구항 68에 있어서,
    상기 지지 표면은 상호연결되며 수직으로 배향된 복수의 가요성 패널을 포함하는, 테이블.
  71. 청구항 68에 있어서,
    상기 지지 표면 어셈블리는 수평으로 배향되어 결합된 복수의 패널을 포함하며, 각각의 수평으로 배향된 패널은 수평으로 배향된 패널의 인접한 패널을 결합하는 연결 핀을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슬롯을 가지는, 테이블.
KR1020147021040A 2012-01-26 2013-01-28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KR201401257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359,016 2012-01-26
US13/359,016 US8950602B2 (en) 2012-01-26 2012-01-26 Variable planform shelving system
US201261702157P 2012-09-17 2012-09-17
US61/702,157 2012-09-17
PCT/US2013/023449 WO2013112998A1 (en) 2012-01-26 2013-01-28 Variable planform shelv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770A true KR20140125770A (ko) 2014-10-29

Family

ID=47720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1040A KR20140125770A (ko) 2012-01-26 2013-01-28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1) EP2806766B1 (ko)
JP (1) JP2015504768A (ko)
KR (1) KR20140125770A (ko)
CN (2) CN104244771B (ko)
AU (2) AU2013211836B2 (ko)
BR (1) BR112014018384A8 (ko)
CA (1) CA2861087C (ko)
DK (1) DK2806766T3 (ko)
HK (1) HK1204533A1 (ko)
IL (1) IL233590A0 (ko)
MX (1) MX351932B (ko)
PT (1) PT2806766T (ko)
WO (1) WO201311299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475U (ko) 2015-03-31 2016-10-10 정소영 휨방지 기능이 구비된 선반장치
KR20160128010A (ko) 2015-04-28 2016-11-07 이종영 조립식 가변형 선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50602B2 (en) 2012-01-26 2015-02-10 Techni, Llc Variable planform shelving system
WO2016061242A1 (en) * 2014-10-14 2016-04-21 Storexperts Inc. Arranging a store in accordance with data analytics
CN109220314A (zh) * 2018-08-21 2019-01-18 安徽信息工程学院 一种新型多功能阳台小菜园装置
CN110301789B (zh) * 2019-08-15 2020-10-23 焦作大学 一种文学作品可移动展示装置
US11389015B2 (en) * 2020-01-24 2022-07-19 Fasteners For Retail, Inc. Shelving system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94611A (en) * 1950-06-21 1954-11-16 Lorber Abraham Display shelf of changeable shape
JPS5244192Y2 (ko) * 1974-10-31 1977-10-07
JPS56825Y2 (ko) * 1978-06-09 1981-01-10
JPS592228U (ja) * 1982-06-29 1984-01-09 新原 伸太郎 伸縮回転自在ワゴン
JPS5993234U (ja) * 1982-12-15 1984-06-25 株式会社フア−スト社 可変角棚
US4500146A (en) * 1983-08-01 1985-02-19 Sioux Technology, Inc. Locker shelf assembly
JPH0370418A (ja) * 1989-08-08 1991-03-26 Nitsupo Denki Kk 放電灯付組立棚
CA2080714C (en) 1991-10-28 2001-07-03 Bradley Jon Carlson Modular shelving system with a quick-change shelf feature
DE29720070U1 (de) * 1997-11-12 1998-01-08 Velken Wolfgang 3D-Regal mit Achsen
US5865517A (en) * 1998-01-26 1999-02-02 Wang; Wen-Tsan Coat rack and cabinet combination
US6206495B1 (en) * 1998-10-26 2001-03-27 Graham Peterson Dock and roll mobile computer stand with adjustable keyboard tray
CN2365965Y (zh) * 1999-01-25 2000-03-01 迈其利德股份有限公司 可伸缩式的置物架
JP3531547B2 (ja) * 1999-09-02 2004-05-31 欣也 澤田 家具用伸縮板体及びそれを用いた家具
US6675979B2 (en) * 2001-05-21 2004-01-13 Gregory Albert Taylor Furniture assembly system
US7225936B2 (en) * 2002-08-01 2007-06-05 Shurflo Pump Manufacturing Company, Inc. Comestible fluid rack and rail apparatus and method
US7246711B1 (en) * 2003-08-19 2007-07-24 Rock-Tenn Shared Services, Llc Adjustable shelving unit
JP2006020742A (ja) * 2004-07-07 2006-01-26 Satoshi Takagi 組立ラック
WO2006136085A1 (fr) * 2005-06-20 2006-12-28 Luhao Leng Meuble de rangement a planches composites
CN200961047Y (zh) * 2006-10-19 2007-10-17 青岛人民印刷有限公司 抽屉式多层立体贮物货架
JP2008126057A (ja) * 2006-11-22 2008-06-05 Won Gu Co Ltd 組立式棚
CN201153719Y (zh) * 2008-01-23 2008-11-26 东莞宝峰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拓展式置物架
CN201299301Y (zh) * 2008-10-22 2009-09-02 福建泉州市红苹果家具有限公司 一种折叠式平衡拉力件
CN201630615U (zh) * 2009-12-31 2010-11-17 石家庄铁道学院 一种可拆装变形的框架组件
CA2701266A1 (en) * 2010-04-21 2011-10-21 Lg&P Toronto Company Adjustable modular display shelf unit for use in retail stores
WO2011161682A1 (en) * 2010-06-23 2011-12-29 Keter Plastic Ltd. Expandable storage system
US20120000867A1 (en) * 2010-07-02 2012-01-05 Saving Andrew R Expandable Shelf Displa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475U (ko) 2015-03-31 2016-10-10 정소영 휨방지 기능이 구비된 선반장치
KR20160128010A (ko) 2015-04-28 2016-11-07 이종영 조립식 가변형 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61087A1 (en) 2013-08-01
MX2014009072A (es) 2015-05-08
AU2013211836A1 (en) 2014-08-28
CA2861087C (en) 2016-09-27
BR112014018384A2 (ko) 2017-06-20
AU2013211836B2 (en) 2016-05-19
PT2806766T (pt) 2019-10-14
CN106579785A (zh) 2017-04-26
CN104244771B (zh) 2017-03-08
MX351932B (es) 2017-11-03
BR112014018384A8 (pt) 2017-07-11
IL233590A0 (en) 2014-08-31
EP2806766B1 (en) 2019-07-10
HK1204533A1 (en) 2015-11-27
JP2015504768A (ja) 2015-02-16
DK2806766T3 (da) 2019-10-14
EP2806766A1 (en) 2014-12-03
CN104244771A (zh) 2014-12-24
WO2013112998A1 (en) 2013-08-01
AU2016208419A1 (en) 201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8990B2 (en) Variable planform shelving system
KR20140125770A (ko) 가변 플랜폼 선반 시스템
US8833571B2 (en) Eyewear display and modules for same
US5803276A (en) Adjustable shelf divider
US6758352B2 (en) Collapsible display structure and shelf module for use therewith
US4798013A (en) Header sign mounting assemblies for product merchandising displays
US10238208B2 (en) Modular food product display stand
US20200029688A1 (en) Portable paper organizer
US20090026161A1 (en) Shelving Assemblies and Methods of Use of the Same
US20070012640A1 (en) Product display container
US5025931A (en) Modular display system
US6763958B2 (en) Shelf module for use within a collapsible display structure
JP2015504768A5 (ko)
CA2551353A1 (en) Folding shelf unit for a locker
JP2019000245A (ja) 紙製陳列棚
GB2167518A (en) Display and sales stand
US20040060879A1 (en) Watch display stand and support
KR20230018184A (ko) 상품진열대용 선반
JP3181469U (ja) 複数段式のユニット什器
EP1115102A2 (en) Display device
US20120325994A1 (en) Product display bracket
GB2335594A (en) Interlocking vertical support column for shelves &c
CA2345512A1 (en) Strip merchandiser product display assembly
WO2016204603A1 (en) Display rack k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