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4164A - 사이클론 정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체의 정화 방법 - Google Patents

사이클론 정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체의 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4164A
KR20140124164A KR20130041539A KR20130041539A KR20140124164A KR 20140124164 A KR20140124164 A KR 20140124164A KR 20130041539 A KR20130041539 A KR 20130041539A KR 20130041539 A KR20130041539 A KR 20130041539A KR 20140124164 A KR20140124164 A KR 20140124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main body
space
cyclone
sedi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1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화
박재웅
정설화
이의정
Original Assignee
블루그린링크(주)
주식회사이피에스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루그린링크(주), 주식회사이피에스솔루션 filed Critical 블루그린링크(주)
Priority to KR20130041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4164A/ko
Publication of KR20140124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164A/ko

Links

Images

Landscapes

  • Cycl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가 유동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을 상부공간(120)과 하부공간(130)으로 구획하는 격벽(110)을 포함하는 본체(100); 상기 상부공간(120)으로 유체를 유입시키는 유체유입구(200); 상기 상부공간(120)과 상기 하부공간(130)을 연결하며, 상기 상부공간(120)으로 유입된 유체에 포함된 협잡물이 상기 하부공간(120)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상부공간(120)과 접촉되는 면에 유체에 포함된 협잡물의 크기보다 작은 통공(310)이 형성된 필터박스(300); 상기 하부공간(130)에 형성되며, 유체의 유동에 의해 발생된 원심력에 의해 상기 유체로부터 분리되어 침전하는 침전물을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하는 침전물배출구(400); 및 상기 하부공간(130)에서 상향으로 이동하는 유체를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하는 유체배출구(500);를 포함하는 사이클론 정화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사이클론 정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체의 정화 방법{CYCLONE PURIF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사이클론 정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체의 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화장치 내부에 유체에 포함된 입자의 크기가 큰 협잡물을 걸러낼 수 있는 필터박스를 포함하는 사이클론 정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체의 정화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사이클론 정화장치란 원심력을 이용하여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정수장치를 의미한다.
원통형의 본체 내부에 유체가 유입되면 원통 내부를 선회하게 되고 이때 입자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성질이 다른 입자들이 분리되어 굵은 입자는 중심에서 외벽으로 하향 흐름이 이루어지고, 미립자는 상향 흐름을 따르게 되어 분급이 수행된다.
사이클론 정화장치는 습식분급, 고액분리, 불순입자 제거, 액액분리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사이클론 정화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사이클론 정화장치(10)는 유체가 유동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본체(1), 외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2), 침전물을 배출하는 배출구(3) 및 정화된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구(4)로 구성된다.
종래의 사이클론 정화장치는 작은 입자의 침전물만이 포함된 유체를 정화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큰 입자의 협잡물이 포함된 유체를 정화하는 경우 침전물이 배출구(3)를 막아 정화장치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큰 입자의 협잡물이 포함된 유체를 정화하기 위해서는 사이클론 정화장치로 유체가 유입되기 전에 유체에서 큰 입자의 협잡물을 분리하기 위한 전처리 시설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전처리 시스템을 확보하기 위해 추가 부지의 마련이 요구되고, 설비비용의 상승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큰 입자의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 시스템이 일체화된 사이클론 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화 효율이 높은 사이클론 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가 유동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을 상부공간(120)과 하부공간(130)으로 구획하는 격벽(110)을 포함하는 본체(100); 상기 상부공간(120)으로 유체를 유입시키는 유체유입구(200); 상기 상부공간(120)과 상기 하부공간(130)을 연결하며, 상기 상부공간(120)으로 유입된 유체에 포함된 협잡물이 상기 하부공간(120)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상부공간(120)과 접촉되는 면에 유체에 포함된 협잡물의 크기보다 작은 통공(310)이 형성된 필터박스(300); 상기 하부공간(130)에 형성되며, 유체의 유동에 의해 발생된 원심력에 의해 상기 유체로부터 분리되어 침전하는 침전물을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하는 침전물배출구(400); 및 상기 하부공간(130)에서 상향으로 이동하는 유체를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하는 유체배출구(500);를 포함하는 사이클론 정화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공간(120)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공간(120)에 잔류된 협잡물을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하는 협잡물배출구(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정화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유입구(200)는, 상기 상부공간(120)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이 편심을 갖도록, 상기 본체(100)의 측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정화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공(310)은 길이방향으로 천공된 슬릿형 통공(310)이며, 상기 통공(310)의 길이방향이 상기 상부공간(120)에서의 유체의 흐름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사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정화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박스(300)는, 종단면의 면적이 하측을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된 원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정화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박스(3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유체에서 분리된 침전물의 부상을 방지하는 언더플로우 콘(Underflow Cone);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정화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배출구(500)는 본체(100)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필터박스(300) 내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정화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종단면의 면적이 하측을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된 원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정화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상부영역은 원통형이고, 상기 본체(100)의 하부영역은 종단면의 면적이 하측을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된 원추형이며, 상기 상부영역과 상기 하부영역의 경계는 상기 본체(100) 내부영역에서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의 접선속도가 최대치인 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정화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공간(130)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공간(130) 하부에 침전된 침전물의 부상을 방지하는 부상방지판(7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정화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사이클론 정화장치를 이용한 유체 정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체유입구(200)를 통해 오염된 유체가 상기 상부공간(120)으로 유입되는 단계; 상기 통공(310)을 통해 협잡물과 분리된 유체가 상기 하부공간(130)으로 이동하는 단계; 유체의 유동에 의해 발생된 원심력에 의해 유체에서 침전물이 분리되는 단계; 상기 침전물배출구(400)를 통해 유체에서 분리된 침전물이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 및 상기 유체배출구(500)를 통해 침전물이 분리된 유체가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는 사이클론 정화장치를 이용한 유체 정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유체유입구(200)를 통해 오염된 유체가 상기 상부공간(120)으로 유입되는 단계; 상기 통공(310)을 통해 협잡물과 분리된 유체가 상기 하부공간(130)으로 이동하는 단계; 유체의 유동에 의해 발생된 원심력에 의해 유체에서 침전물이 분리되는 단계; 상기 침전물배출구(400)를 통해 유체에서 분리된 침전물이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 상기 유체배출구(500)를 통해 침전물이 분리된 유체가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 및 상기 상부공간(120)에 잔류하는 협잡물이 상기 협잡물배출구(600)를 통해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는 사이클론 정화장치를 이용한 유체 정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큰 입자의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 시스템을 기존의 사이클론 정화장치에 일체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사이클론 정화장치에 비해 높은 정화 효율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은 정화 효율을 가지는 대용량의 사이클론 정화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사이클론 정화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정화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정화장치 내부의 유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정화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박스(300)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박스(300)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박스(300)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상방지판(700)이 설치된 사이클론 정화장치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상방지판(700)이 설치된 사이클론 정화장치 내부공간에서의 유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론 정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체의 정화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정화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사이클론 정화장치는, 본체(100), 유체유입구(200), 필터박스(300), 침전물배출구(400), 유체배출구(500) 및 협잡물배출구(600)를 포함한다.
본체(100)에는 유체가 유동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본체(100)의 내부공간은 유체가 하향나선형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0)의 상부영역은 내부공간에서 하향나선형으로 유동하는 유체의 운동이 원활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00)의 하부영역은 종단면의 면적이 하측을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된 원추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0)의 상부영역과 본체(100)의 하부영역의 경계는 본체(100) 내부에서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의 접선속도가 최대치에 형성되는 지점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유체유입구(200)를 통해 균일한 속도로 유입된 유체의 유동은 원통형 본체를 따라 내려오면서 속도분포가 발달하여 접선방향 속도가 증대되게 되고, 이 접선방향 속도가 최대치인 지점부터 본체(100)의 종단면의 면적이 하측을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0)의 하부영역이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원추형의 중앙부분은 부압(Negative Pressure)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오염물과 분리된 유체가 본체(100)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유체배출구(500)를 통해 본체(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체(100)의 내부공간은 격벽(110)에 의해 상부공간(120)과 하부공간(130)으로 구획된다.
격벽(110)은 본체(100)에 일로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또는, 필터박스(30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격벽(110)으로 본체(100) 내부공간이 상부공간(120)과 하부공간(130)으로 구획됨으로 인하여, 상부공간(120)으로 유입된 유체는 필터박스(300)에 형성된 통공(310)을 통과하지 아니하면, 하부공간(130)으로 이동할 수 없다.
유체유입구(200)는 본체(100) 외부의 오염된 유체가 본체(100) 내부 상부공간(120)으로 유입되는 통로이다.
유체유입구(200)로 유입되는 오염된 유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정화장치에 의해 정화가 이루어지는 대상으로서 협잡물, 침사물 등의 오염물을 포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협잡물은 직경이 2.5mm 이상이 되는 오염물을 의미하며, 침사물은 2.5mm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유체는 우수, 가스, 하수 등을 포함한다.
유체유입구(200)는 상부공간(120)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이 편심을 갖도록, 본체(100)의 측부에 나선형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유체유입구(200)로 유입된 유체는 상부공간(120)에서 하향 나선운동을 하게 된다.
필터박스(300)는 상부공간(120)과 하부공간(130)을 연결하는 통로이며, 상부공간(120)과 접촉하는 필터박스(300)의 표면에는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협잡물이 하부공간(130)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통공(310)이 형성되어 있다. 통공(310)은 협잡물의 크기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박스(300)는 유체가 상부공간(120)에서 하부공간(130)으로 이동하기 위한 유일한 통로이므로,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협잡물은 하부공간(130)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상부공간(120)에 잔류하게 된다.
상부공간(120)에 잔류하는 협잡물은 협잡물배출구(600)를 통해 본체(100) 외부로 배출된다.
사이클론 정화장치에 필터박스(300)가 포함됨으로 인하여 협잡물을 포함하는 유체의 정화를 별도의 전처리 시스템 없이도 정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정화장치는 협잡물을 포함하는 유체의 정화에 있어 별도의 전처리 시스템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정화장치의 운용에 별도의 부지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정화장치의 설치, 유지 및 관리의 용이성 및 비용절감의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통공(310)은 길이방향으로 천공된 슬릿형 통공(310)일 수 있다. 또한, 슬릿형 통공(310)의 길이방향이 상기 상부공간(120)에서의 유체의 흐름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사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선형으로 형성된 슬릿형 통공(310)은 유체가 상부공간(120)에서 하부공간(130)으로 이동하기 위해 통공(310)을 통과함에 있어, 상부공간(120)에서의 유체의 나선운동의 관성을 최대한 유지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사이클론 정화장치는 유체의 나선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이물질의 분급이 수행되므로 나선원동의 관성 유지는 이물질의 분급을 원활하게 하고 종국적으로는 정화장치의 정화 효율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하부공간(130)으로 이동한 유체는 하향나선형 운동을 하게 된다. 유체의 나선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유체에 포함된 작은 입자의 침전물은 하부공간(130)의 내측벽으로 이동하여 하향 침전하며, 침전물이 분리된 유체는 상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유체에서 분리된 침전물은 하부공간(130)의 내측벽을 따라 하향 침전하여 본체(100) 하부에 형성된 침전물배출구(400)를 통해 본체(100) 외부로 배출된다.
침전물이 제거된 유체는 상향으로 이동하여 본체(100) 상부에 형성된 유체배출구(500)를 통해 본체(100) 외부로 배출된다.
침전물배출구(500)는 본체(100)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침전물배출구(500)는 필터박스(300) 내부에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박스(300) 내부에 침전물배출구(500)가 수납되는 경우 필터박스(300) 하부에서 상향 이동되는 유체가 침전물배출구(500)로 유입되는 것이 용이하므로 필터박스(300) 하부의 유체의 흐름을 용이하게 하여 정화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박스(3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필터박스(300)의 상부공간(120)과 접촉하는 상부면에 슬릿형 통공(310)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박스(3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필터박스(300)는 종단면의 면적이 하측을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된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박스(300)가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필터박스(300) 하부에서의 침전물의 분리 및 침전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박스(3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필터박스(300) 하부에는 침전물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언더플로우 콘(Underflow Cone)(32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상방지판(700)이 설치된 사이클론 정화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정화장치는 부상방지판(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상방지판(700)은 하부공간(130)에 설치되며, 하부공간(130) 하부에 침전된 침전물이 와류에 의해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이클링 정화장치의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정화장치를 이용한 유체 정화 방법을 설명한다.
유체유입구(120)를 통해 외부의 오염된 유체를 본체(100) 내부의 상부공간(120)으로 유입시킨다.
유입된 오염된 유체는 통공(310)을 통해 하부공간(130)으로 이동한다. 이 때 통공의 크기보다 큰 협잡물은 상부공간(120)에 잔류하게 된다.
상부공간에 잔류된 협잡물은 협잡물배출구(6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하부공간(130)으로 이동한 유체는 하향 나선형 운동을 하게되고, 유체의 나선형 운동에 의해 발생된 원심력에 의해 침전물이 유체에서 분리되어 하부공간(130)의 내측 벽면을 따라 하향 침전된다.
하향 침전된 침전물은 침전물배출구(400)를 통해 본체(100) 외부로 배출된다.
침전물이 제거된 유체는 상향으로 이동하여 본체(100) 상부에 형성된 유체배출구(500)를 통해 본체(100) 외부로 배출된다.
유체배출구(500)를 통해 본체(100)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는 협잡물과 침전물이 제거된 유체에 해당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종래의 사이클론 정화장치
100 : 본체
110 : 격벽
120 : 상부공간
130 : 하부공간
200 : 유체유입구
300 : 필터박스
310 : 통공
320 : 언더플로우 콘(Underflow Cone)
400 : 침전물배출구
500 : 유체배출구
600 : 협잡물배출구
700 : 부상방지판

Claims (12)

  1. 유체가 유동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을 상부공간(120)과 하부공간(130)으로 구획하는 격벽(110)을 포함하는 본체(100);
    상기 상부공간(120)으로 유체를 유입시키는 유체유입구(200);
    상기 상부공간(120)과 상기 하부공간(130)을 연결하며, 상기 상부공간(120)으로 유입된 유체에 포함된 협잡물이 상기 하부공간(120)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상부공간(120)과 접촉되는 면에 유체에 포함된 협잡물의 크기보다 작은 통공(310)이 형성된 필터박스(300);
    상기 하부공간(130)에 형성되며, 유체의 유동에 의해 발생된 원심력에 의해 상기 유체로부터 분리되어 침전하는 침전물을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하는 침전물배출구(400); 및
    상기 하부공간(130)에서 상향으로 이동하는 유체를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하는 유체배출구(500);를
    포함하는 사이클론 정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공간(120)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공간(120)에 잔류된 협잡물을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하는 협잡물배출구(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정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유입구(200)는, 상기 상부공간(120)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이 편심을 갖도록, 상기 본체(100)의 측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정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310)은 길이방향으로 천공된 슬릿형 통공(310)이며, 상기 통공(310)의 길이방향이 상기 상부공간(120)에서의 유체의 흐름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사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정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박스(300)는, 종단면의 면적이 하측을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된 원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정화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박스(3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유체에서 분리된 침전물의 부상을 방지하는 언더플로우 콘(Underflow Cone)(3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정화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배출구(500)는 본체(100)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필터박스(300) 내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정화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종단면의 면적이 하측을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된 원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정화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상부영역은 원통형이고, 상기 본체(100)의 하부영역은 종단면의 면적이 하측을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된 원추형이며,
    상기 상부영역과 상기 하부영역의 경계는 상기 본체(100) 내부영역에서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의 접선속도가 최대치인 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정화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공간(130)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공간(130) 하부에 침전된 침전물의 부상을 방지하는 부상방지판(7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정화장치.
  11. 제1항의 사이클론 정화장치를 이용한 유체 정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체유입구(200)를 통해 오염된 유체를 상기 상부공간(120)으로 유입시키는 단계;
    상기 통공(310)을 통해 협잡물과 분리된 유체가 상기 하부공간(130)으로 이동하는 단계;
    유체의 유동에 의해 발생된 원심력에 의해 유체에서 침전물이 분리되는 단계;
    상기 침전물배출구(400)를 통해 유체에서 분리된 침전물을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유체배출구(500)를 통해 침전물이 분리된 유체를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는 사이클론 정화장치를 이용한 유체 정화 방법.

  12. 제2항의 사이클론 정화장치를 이용한 유체 정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체유입구(200)를 통해 오염된 유체를 상기 상부공간(120)으로 유입하는 단계;
    상기 통공(310)을 통해 협잡물과 분리된 유체가 상기 하부공간(130)으로 이동하는 단계;
    유체의 유동에 의해 발생된 원심력에 의해 유체에서 침전물이 분리되는 단계;
    상기 침전물배출구(400)를 통해 유체에서 분리된 침전물를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
    상기 유체배출구(500)를 통해 침전물이 분리된 유체를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공간(120)에 잔류하는 협잡물을 상기 협잡물배출구(600)를 통해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는 사이클론 정화장치를 이용한 유체 정화 방법.
KR20130041539A 2013-04-16 2013-04-16 사이클론 정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체의 정화 방법 KR201401241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1539A KR20140124164A (ko) 2013-04-16 2013-04-16 사이클론 정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체의 정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1539A KR20140124164A (ko) 2013-04-16 2013-04-16 사이클론 정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체의 정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164A true KR20140124164A (ko) 2014-10-24

Family

ID=51994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1539A KR20140124164A (ko) 2013-04-16 2013-04-16 사이클론 정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체의 정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41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6369A (ko) * 2020-08-25 2022-03-04 에이티이 주식회사 바이오가스 정제시스템용 싸이클론 타입 트랩 및 필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6369A (ko) * 2020-08-25 2022-03-04 에이티이 주식회사 바이오가스 정제시스템용 싸이클론 타입 트랩 및 필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7094B2 (ja) 沈砂分離設備
JP2007032267A (ja) 中央流入雨水用の渦流型の分離装置
KR101465624B1 (ko) 세척이 가능한 사이클론 정화장치 및 사이클론 정화장치의 세척방법
JP3546359B2 (ja) 油水分離装置
CN104150632B (zh) 油气水固三级分离橇体装置
US2002001145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parating solids from a fluid environment
KR100652839B1 (ko) 사이클론을 이용한 물 정화장치
US7083736B1 (en) Oil separator
JP3944895B2 (ja) 水処理装置
KR20140124164A (ko) 사이클론 정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체의 정화 방법
JP4745526B2 (ja) 分離板型遠心分離機およびこれに用いる分離板
JP6042161B2 (ja) 固液分離装置
US10843105B2 (en) Separat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a fluid
CN105776424B (zh) 一种高效废水除油装置
JP2014180623A (ja) 固液分離装置
JP4421937B2 (ja) 固液分離装置
KR200365318Y1 (ko) 초기우수처리용 미립자 분리기
JP2005230712A (ja) 微粒子分離処理システム
JPH039761Y2 (ko)
JP2005028242A (ja) フィルタ装置
KR101179857B1 (ko) 강우 유출수 처리 및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미세 고형물질 처리를 위한 하이드로 싸이클론 여과 장치
KR102183542B1 (ko) 사이클론 분리기
JPH01292296A (ja) 放射性混合排水の分離抽出装置
JP2005288428A5 (ko)
JP5732630B2 (ja) 液体サイクロンを用いた固液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