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4054A - 카풀 중개 및 운영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카풀 중개 및 운영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4054A
KR20140124054A KR20130041082A KR20130041082A KR20140124054A KR 20140124054 A KR20140124054 A KR 20140124054A KR 20130041082 A KR20130041082 A KR 20130041082A KR 20130041082 A KR20130041082 A KR 20130041082A KR 20140124054 A KR20140124054 A KR 20140124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pool
verification
boarding
information
passe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1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지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20130041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4054A/ko
Publication of KR20140124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0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카풀 중개 및 운영의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카풀이 운영되는 차량의 운행 시작을 기록하는 단계, 상기 차량에 탑승을 요청하는 적어도 한 명의 동승자의 단말로부터 탑승 검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탑승 검증 요청을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탑승 검증 요청에 대한 승인의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승인의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풀 중개 및 운영 서비스 방법{METHOD FOR INTERMEDIATING AND MANAGING CAR-POOL SERVICE}
기술 분야는 카풀 중개 및 운영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풀 운영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풀 중개 서비스 시스템은, 운전자가 카풀을 운영하고자 하는 계획을 서버에 저장 할 수 있다. 동승을 원하는 사용자는 여러 운전자들이 저장한 카풀 데이터 중에서 정보를 검색하여, 동승을 원하는 사용자가 카풀을 요청하고 검색된 정보의 운전자가 카풀 요청을 승인 또는 거절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고유가 추세의 지속, 에너지 고갈 및 환경 문제가 대두 되면서 에너지 사용량 절감 및 탄소 발생량 축소에 관심을 갖는 기업 또는 단체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의 문제들의 대안 중 하나로서 카풀이 있다. 카풀에 대한 관심이 있는 단체 또는 개인은 적절한 커뮤니케이션 도구의 부재로 카풀의 이용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 장치가 보급되고, 무선 인터넷 인프라가 구축되면서 카풀을 중개하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기업 또는 개인이 카풀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거나 부가적인 혜택을 얻기 위해서는, 카풀이 실제로 수행되었는 지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에서는 카풀 운행 시, 카풀 운영 정보를 보조하고 카풀이 실제로 운영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검증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카풀을 중개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카풀 중개 시스템에서 실제로 카풀 운행이 수행되었는 지를 검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카풀이 운영되는 차량의 운행 시작을 기록하는 단계, 상기 차량에 탑승을 요청하는 적어도 한 명의 동승자의 단말로부터 탑승 검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탑승 검증 요청을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탑승 검증 요청에 대한 승인의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승인의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풀 중개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카풀이 운영되는 차량의 운행 시작을 기록하는 카풀 중계 모듈, 상기 차량에 탑승을 요청하는 적어도 한 명의 동승자의 단말로부터 탑승 검증 요청을 수신하는 카풀 운영 모듈, 상기 탑승 검증 요청을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카풀 운영 모듈, 상기 운전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탑승 검증 요청에 대한 승인의 결과를 수신하는 카풀 검증 모듈 및 상기 승인의 결과를 저장하는 카풀 검증 모듈을 포함하는 카풀 중개 서비스 장치가 제공된다.
카풀을 중개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카풀 중개 시스템에서 실제로 카풀 운행이 수행되었는 지를 검증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풀 중개 및 운영 서비스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풀 중개, 운영 및 검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예에 따른 카풀 중개 및 운영 서버 프로그램 및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일 예에 따른 카풀 중개 및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및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카풀 중개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카풀 운영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7은 일 예에 따른 카풀 검증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풀 운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예에 따른 카풀 운영 취소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정보를 이용한 카풀 운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 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정보를 이용한 카풀 운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일 예에 따른 오디오 및 단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한 카풀 운영 방법의 흐름도이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하기의 실시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하기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풀 중개 및 운영 서비스의 구성도이다.
카풀 중개 및 운영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및 이벤트 처리 모듈로 구성될 수 있는 카풀 클라이언트(200)(이하 클라이언트(200)), 사용자가 요청한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카풀 서버(100)(이하 서버(100)) 및 카풀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차량 운전자 또는 차량에 동승을 요청하는 자(이하에서는 동승자라 칭한다.)가 될 수 있다.
서버(100)는 카풀의 중개 및 운영을 위한 서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장치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00)은 서버(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말하자면, 데이터베이스(300)는 서버(100)와 물리적으로 동일한 장치일 수 있으며, 별개의 장치일 수 있다.
서버(100)와 클라이언트(200)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가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풀 중개, 운영 및 검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서버(100)는 카풀 중개 모듈(110), 카풀 운영 모듈(120) 및 카풀 검증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200)는 카풀 중개 모듈(210), 카풀 운영 모듈(220) 및 카풀 검증 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 및 클라이언트(200)의 카풀 중개 모듈들(110 및 210)은 카풀 정보의 등록 및 검색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카풀 중개 모듈들(110 및 210)은 카풀을 예약하기 위한 요청 및 승인을 할 수 있다.
서버(100) 및 클라이언트(200)의 카풀 운영 모듈들(120 및 220)은 카풀의 시작과 종료를 관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카풀 운영 모듈들(120 및 220)은 동승자의 탑승정보 및 동승자의 하차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서버(100) 및 클라이언트(200)의 카풀 검증 운영 모듈들(130 및 230)은 동승자가 실제로 카풀 차량에 탑승하였는지를 검증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00)는 카풀 정보 저장소(310) 및 카풀 그룹 정보 저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카풀 정보 저장소(310)는 카풀 사용자가 등록한 카풀 정보를 저장 및 검색할 수 있다. 카풀 그룹 정보 저장부(320)는 카풀의 예약 정보 및 예약된 카풀이 실제로 운영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카풀 정보 저장부(310)는 서버(100)의 카풀 중개 모듈(110)과 연동될 수 있다. 서버(100)의 카풀 예약 처리부(113)에서 카풀이 실제로 운영되는 것으로 확정되면, 카풀 정보(예를 들어, 출발지, 도착지, 경유지, 출발시간, 카풀 일자 및 동승자 정보 등)가 카풀 그룹 정보 저장부(320)에 저장될 수 있다. 카풀 운영이 결정되면 운전자의 카풀 정보, 동승자의 탑승 정보 및 동승자의 하차 정보가 카풀 그룹 정보 저장부(320)에 저장될 수 있다. 카풀 운영 시에는 서버(100)의 카풀 운영 모듈(120) 및 서버(100)의 카풀 검증 모듈(130)에서 전송되는 카풀 정보, 동승자의 탑승 정보 및 동승자의 하차 정보가 실시간으로 저장될 수 있다. 저장된 카풀 정보, 동승자의 탑승 정보 및 동승자의 하차 정보는 카풀 운행 여부 검증에 이용될 수 있다.
도 3은 일 예에 따른 카풀 서버 프로그램 및 장치의 구성도이다.
서버(100)는 카풀 중개 모듈(110), 카풀 운영 모듈(120), 카풀 검증 모듈(130) 및 사용자 관리 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카풀 중개 모듈(110)은 클라이언트(200)의 요청에 대해 카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 수정 및 삭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카풀 중개 모듈(110)은 사용자가 원하는 카풀 정보를 검색 및 매칭할 수 있다.
카풀의 운영이 시작되면, 카풀 운영 모듈(120)은 클라이언트(200)의 요청에 대한 처리 및 카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카풀 운영 중 동승자 탑승 시, 카풀 검증 모듈(130)은, 동승자 탑승의 검증 과정에 필요한 기능 및 상기 검증의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기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관리 모듈(140)은, 카풀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사용자의 회원가입의 절차 및 회원 검증의 절차를 처리하는 기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관리 작업 모듈(140)이 데이터베이스(300)에 정보를 저장, 수정, 삭제 및 검색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일 예에 따른 카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및 장치의 구성도이다.
카풀 중개 모듈(210)은 사용자가 카풀 정보의 등록, 수정 및 검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인터페이스는 서버(100)에게 작업 요청을 및 상기의 작업 요청에 대한 결과 수신을 위한 서버(100)와의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카풀 운영 모듈(220)은 실제로 카풀이 운영될 때, 카풀 운행의 시작 및 종료 정보를 관리하는 모듈과 동승자의 탑승 및 하차 이벤트를 처리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풀 운영 모듈은(22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서버(100)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카풀 검증 모듈(230)은 동승자의 탑승 및 하차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처리 모듈과 상기의 검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카풀 검증 모듈(230)은 검증 결과를 서버(100)에 전송 및 저장을 위한 서버(100)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회원 가입 및 인증 모듈(240)은 카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회원 가입 절차를 제공하고, 동승자 및 운전자가 가입된 회원인지 검증하는 절차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회원 가입 및 인증 모듈(240)은 회원 가입 절차 및 회원 검증의 절차의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서버(100)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0)의 사용자 관리 모듈(140) 및 클라이언트(200)의 회원가입 및 인증 모듈(240)은 회원 가입, 회원 검증 및 회원 관리를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능, 방법 및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카풀 중개 모듈의 구성도이다.
서버(100)의 카풀 중계 모듈(110)은 카풀 정보 등록 및 수정부(111), 카풀 정보 검색부(112) 및 카풀 예약 처리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200)의 카풀 중계 모듈(210)은 카풀 정보 등록 및 수정부(211), 카풀 정보 검색부(212) 및 카풀 예약 요청 및 승인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200)의 카풀 정보 등록 및 수정부(211)는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카풀 정보의 등록, 수정 및 삭제를 입력 받고, 카풀 정보의 처리 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서버(100)의 카풀 정보 등록 및 수정부(111)는 카풀 정보 등록 및 수정부(211)를 통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작업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 정보(예를 들어, 카풀 정보의 등록, 수정 및 삭제)를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할 수 있고, 카풀 정보 등록 및 수정부(211)에 작업의 처리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200)의 카풀 정보 검색부(212)는 사용자가 카풀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키워드 검색 이외에 사용자의 검색의 결과 중 특정한 카풀 정보에 대한 상세한 확인을 위해 추가적인 정보를 클라이언트(200)의 카풀 정보 검색부(212)를 통해 서버(100)의 카풀 정보 검색부(112)에 요청할 수 있다. 카풀 정보 검색부(212)는 검색의 결과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의 카풀 정보 검색부(112)는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 및 정렬 우선순위에 따른 쿼리문을 생성 및 실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쿼리문이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값을 불러내는 구문을 말할 수 있다. 카풀 정보 검색부(212)는 상기의 실행에 대한 결과를 클라이언트(200)의 카풀 정보 검색부(212)로 전송 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200)의 카풀 예약 요청 및 승인부(213)는 사용자가 카풀하기 원하는 카풀 정보에 대한 카풀 신청의 요청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카풀 운행자의 요청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서버(100)의 카풀 예약 처리부(113)는, 카풀 예약 요청 및 승인부(213)를 통해 사용자가 카풀 신청을 요청할 때에, 해당하는 카풀 정보를 등록한 다른 사용자(예를 들어, 운전자)에게 카풀 예약 요청 및 승인부(213)를 통해 카풀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의 다른 사용자가 카풀 요청을 승인할 때, 카풀 예약 처리부(113)는 카풀 요청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할 수 있고, 카풀 요청을 한 사용자에게 요청의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의 다른 사용자가 카풀 요청을 거절할 때에는, 카풀 예약 처리부(113)는 카풀 요청을 한 사용자에게 카풀 요청의 거절의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카풀 운영 모듈의 구성도이다.
서버(100)의 카풀 운영 모듈(120)은 카풀 운영 관리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200)의 카풀 운영 모듈(220)은 카풀 운행 관리부(221) 및 카풀 승하차 관리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카풀 운행 관리부(221)는 카풀의 시작 및 종료 이벤트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이벤트의 정보를 카풀 운영 관리부(121)로 전송할 수 있다.
카풀 승하차 관리부(222)는 동승자의 탑승 및 하차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으며, 그리고 이벤트의 정보를 카풀 운영 관리부(121)로 전송할 수 있다.
카풀 운영 관리부(121)는 카풀 운행 관리부(221)에서 전송된 이벤트 또는 카풀 승하차 관리부(222)에서 전송된 이벤트를 수신하여 수신된 이벤트를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할 수 있다.
카풀 운행 관리부(221)는 운전자가 카풀 운행 시작 시간을 미리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기능을 통해 카풀 운행 정보는 서버(100)의 운영 관리부(121)로 자동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카풀 운행 관리부(221)는 운전자에게 카풀 운행 시작 시간 입력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반자동적으로 서버(100)의 카풀 운영 관리부(121)에 카풀 운행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운전자는 카풀 운행 시 카풀 운행 관리부(22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카풀 운행 시작 정보를 카풀 운행 관리부(221)에 입력할 수 있다. 카풀 운행 관리부(221)는 서버(100)의 카풀 운영 관리부(121)에 카풀 시작 이벤트를 알릴 수 있다. 카풀 시작 이벤트는 카풀 운행 시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카풀 운행을 취소하는 경우, 카풀 운행 관리부(221)는 카풀 운행 취소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카풀 운영의 관리 방법에 대해서 하기의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7은 일 예에 따른 카풀 검증 모듈의 구성도이다.
서버(100)의 카풀 검증 모듈(130)은 카풀 검증 관리부(131)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200)의 카풀 검증 모듈(230)은 카풀 검증 요청부(231) 및 카풀 검증 승인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카풀 검증 요청부(231)는 동승자가 탑승한 경우에, 탑승 이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탑승 이벤트를, 카풀 검증 관리부(131)를 통하거나 또는 직접적으로, 운전자의 단말의 카풀 검증 승인부(232)로 전달할 수 있다. 카풀 검증 요청부(231)에는 카풀 운행 검증을 위한 기술 또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의 기술 또는 기능은 오디오 신호의 송수신 또는 단거리 통신(예를 들어, 무선태그(RFID), 블루투스, 근접 지역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등이 될 수 있다.
카풀 검증 승인부(232)는 동승자의 탑승에 대한 검증을 할 수 있다. 카풀 검증 승인부(232)는 동승자의 단말(520)의 카풀 검증 요청부(231)에서 전송된 탑승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고, 탑승 검증의 결과를 카풀 검증 관리부(131) 및 동승자의 단말(520)의 카풀 검증 요청부(231)에 전송할 수 있다.
카풀 검증 관리부(131)는 카풀 운영 검증에 필요한 카풀 검증 요청부(231) 및 카풀 검증 승인부(232)와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카풀 검증 관리부(131)는 탑승 검증 결과를 저장할 수 있고, 탑승 검증 결과를 검색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200)의 카풀 검증 모듈(230)에는 카풀 검증 요청부(131) 및 카풀 검증 승인부(232)가 함께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두 명 이상의 동승자가 있는 경우에는, 탑승이 검증된 동승자의 단말의 카풀 검증 승인부(표시되지 않음)에서도 다른 동승자에 대한 탑승을 검증할 수 있다.
검증 방법에 대해서 하기의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풀 운영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530)에서는, 운전자가 차량의 운행을 시작하면 운전자의 단말(510)의 카풀 운행 관리부(221)가 운행 시작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532)에서는, 운행 시작 이벤트가 카풀 운영 관리부(121)로 전송될 수 있다.
단계(534)에서는, 카풀 운영 관리부(121)는 데이터베이스(300)에 차량의 카풀이 시작되었음을 기록할 수 있다.
단계(536)에서는, 카풀 운영 관리부(121)가 카풀 그룹 내의 동승자의 단말(520)의 카풀 운행 관리부(221)에 카풀 운영이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538)에서는, 동승자의 단말(520)의 카풀 운행 관리부(221)가 수신된 메시지를 받아, 동승자에게 운행 시작을 알릴 수 있다.
단계(540)에서는, 동승자가 탑승을 한 후, 동승자의 단말(520)의 카풀 승하차 관리부(222)는 탑승 검증을 위해 탑승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542)에서는, 카풀 승하차 관리부(222)는 동일한 클라이언트(200) 내에 있는 카풀 검증 요청부(232)로 생성된 탑승 이벤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544)에서는, 탑승 이벤트를 수신한 후, 카풀 검증 요청부(232)가 탑승 검증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546)에서는, 카풀 검증 요청부(232)는 서버의(100) 카풀 검증 관리부(131)로 생성된 탑승 검증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547)에서는, 카풀 검증 관리부(131)는 카풀 그룹 내 운전자의 단말(510)의 카풀 검증 승인부(232)로 탑승 검증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카풀 검증 관리부(131)는 카풀 그룹 내의 탑승 검증된 동승자의 단말의 카풀 검증 승인부(표시되지 않음)로 탑승 검증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548)에서는, 운전자의 단말(510)의 카풀 검증 승인부(232) 또는 탑승 검증된 동승자의 카풀 검증 승인부(표시되지 않음)는 동승자의 탑승을 검증할 수 있다. 카풀 검증 승인부(232)의 탑승 검증 방법은 사용자(예를 들어 운전자 또는 탑승 검증 된 동승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직접 검증하거나 또는 위치 정보 등을 이용함으로써 자동적으로 검증하는 방법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단계(550)에서는, 카풀 검증 승인부(322)가 서버(100)의 카풀 검증 관리부(131)로 탑승 검증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552)에서는, 카풀 검증 관리부(131)는 데이터베이스(300)에 탑승 검증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단계(553)에서는 카풀 검증 관리부(131)에서 동승자의 단말(520)의 카풀 검증 요청부(231)로 탑승 검증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554)에서는, 카풀 검증 요청부(231)는 동승자에게 검증 결과를 알릴 수 있다.
단계(556)에서는, 카풀 운영 중에 동승자가 하차하는 경우, 하차한 동승자의 단말(520)의 카풀 승하차 관리부(222)가 하차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558)에서는, 카풀 승하차 관리부(222)가 서버(100)의 카풀 운영 관리부(121)에 하차 이벤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559)에서는, 카풀 운영 관리부(121)는 데이터베이스(300)에 하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단계(560)에서는, 차량의 운행이 완료되면, 운전자의 단말(510)의 카풀 운행 관리부(221)는 운행 완료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562)에서는, 운전자의 단말(510)의 카풀 운행 관리부(221)는 서버(100)의 카풀 운영 관리부(121)로 운행 완료 이벤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564)에서는, 카풀 운영 관리부(121)는 데이터베이스(300)에 카풀 운행 완료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단계(566)에서는, 카풀 운영 관리부(121)는 하차 정보가 등록되지 않은 동승자가 있는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300)에 자동으로 동승자의 하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카풀 운행에 대한 탑승 검증이 필요한 경우에, 탑승 검증에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클라이언트(200)는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위치 정보를 추가적으로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0)는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차량의 카풀 운행 시작 시, 운행 완료 시, 동승자의 탑승 이벤트 발생 시 또는 하차 이벤트 발생 시에 전송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미리 정한 출발지 또는 도착지의 위치 정보와 비교됨으로써 카풀 운행 검증에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서버(100), 운영자 단말(510) 및 동승자 단말(520) 중 하나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데이터 및 이벤트 등은 메시지로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행 시작 이벤트 및 탑승 검증 요청은 각각 운행 시작 이벤트 메시지 및 탑승 검증 요청 메시지로서 전송될 수 있다.
도 9는 일 예에 따른 카풀 운영 취소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들(602 내지 610)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된 단계(538)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동승자가 카풀 예약을 한 뒤, 예약 시간에 약속된 장소에 도착할 수 없거나, 예약을 취소하는 경우에는, 단계(602)에서 동승자의 단말(520)의 카풀 승하차 관리부(222)는 탑승 취소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604)에서, 카풀 승하차 관리부(222)는 서버의(100) 카풀 운영 관리부(121)로 탑승 취소 이벤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606)에서, 카풀 운영 관리부(121)는 데이터베이스(300)에 탑승 취소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단계(608)에서, 카풀 운영 관리부(121)는 운전자의 단말(510)의 카풀 운행 관리부(221)로 탑승 취소 이벤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610)에서, 카풀 운행 관리부(221)은 운전자가 예약한 동승자의 탑승 취소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정보를 이용한 카풀 탑승 검증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들(702 내지 714)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된 단계(544 내지 554)를 대체할 수 있다. 말하자면, 단계들(702 내지 712)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된 단계(542) 내지 단계(556)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단계들(702 내지 712)에 의해, 사용자의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동승자의 탑승이 검증될 수 있다.
단계(702)에서, 동승자의 단말(510)의 카풀 검증 요청부(231)는 탑승 검증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704)에서, 카풀 검증 요청부(231)는 서버(100)의 카풀 검증 관리부(131)로 탑승 검증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탑승 검증 요청에는 동승자의 사용자 아이디, 동승자의 단말(520)의 위치 정보 및 타임 스탬프(time stamp)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타임 스탬프는 동승자의 단말(520)의 위치 정보의 측정 시각이 될 수 있다.
단계(706)에서, 카풀 검증 관리부(131)는 운전자의 단말(510)의 카풀 검증 승인부(232)로 탑승 검증 요청을 전송한다.
단계(708)에서, 운전자의 단말(510)의 카풀 검증 승인부(232)는 동승자의 탑승 검증을 할 수 있다. 카풀 검증 승인부(232)는 운전자의 단말(510)의 위치 정보와 동승자의 단말(520)의 위치 정보를 통해 계산된 거리의 값 및 시스템에서 정의된 소정의 값 간의 비교에 기반하여 탑승의 인정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거리란 운전자의 단말(510) 및 동승자의 단말(520) 간의 거리일 수 있다.
탑승 검증을 위해, 운전자의 단말(510)의 위치 정보와 동승자의 단말(520)의 위치 정보를 통해 계산된 거리의 값이 시스템에서 정의된 소정의 값보다 더 작은 경우에는 탑승으로 인정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또는, 계산된 거리의 값에 비해 시스템에서 정의된 소정의 값이 더 작은 경우에는 탑승으로 인정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정보 전송에 지연 시간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동승자의 단말의(520)의 타임 스탬프와 운전자의 단말(510)이 동승자의 단말의(520)의 위치 정보를 전송 받은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비교한 시간차에 따른 거리 기준을 별도로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계(710)에서, 운전자의 단말(510)의 카풀 검증 승인부(232)는 동승자의 사용자 아이디 및 탑승 검증 결과를 카풀 검증 관리부(131)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711)에서, 카풀 검증 관리부(131)는 탑승 검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할 수 있다. 카풀 검증 관리부(131)는 탑승 검증 결과를 동승자의 단말(520)의 카풀 검증 요청부(231)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712)에서, 카풀 검증 요청부(231)는 사용자가 탑승 검증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탑승 검증에 실패한 경우에는 카풀 검증 요청부(231)는 다시 단계(702)부터 탑승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정보를 이용한 카풀 탑승 검증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들(801 내지 814)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된 단계(544 내지 554)를 대체할 수 있다. 말하자면, 단계들(801 내지 814)는 도 8을 참조하여 전술된 단계(542) 내지 단계(556)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단계들(801 내지 814)에 의해 사용자의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동승자의 탑승이 검증될 수 있다.
단계(801)에서, 동승자의 단말(520)의 카풀 검증 요청부(231)는 탑승 검증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802)에서, 카풀 검증 요청부(231)는 서버(100)의 카풀 검증 모듈(130)로 탑승 검증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탑승 검증 요청에는 동승자의 사용자 아이디, 동승자의 단말(520)의 위치정보 및 타임 스탬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804)에서, 카풀 검증 모듈(130)은 데이터베이스(300)에 탑승 검증 요청을 저장할 수 있다.
단계(806)에서, 카풀 검증 모듈(130)은 운전자의 단말기(510) 또는 탑승 검증된 동승자의 단말기에 탑승 검증을 위한 운전자의 단말기(510) 또는 탑승 검증된 동승자의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808)에서, 운전자의 단말기(510) 또는 탑승 검증된 동승자의 단말기는 단말기의 위치 정보, 운전자의 사용자 아이디 및 타임 스탬프를 카풀 검증 모듈(13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810)에서, 카풀 검증 모듈(130)은 동승자의 탑승 검증을 할 수 있다. 상기 검증에는 동승자의 단말기(520)의 위치 정보 및 운전자(또는 탑승 검증된 동승자)의 단말기(510)의 위치 정보를 통해 계산된 거리의 값이 시스템에서 정한 소정의 값보다 더 작은 경우에는 탑승으로 인정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단계(812)에서, 카풀 검증 모듈(130)은 탑승 검증된 결과를 동승자의 단말(520)의 카풀 검증 모듈(230)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814)에서, 카풀 검증 모듈(230)은 사용자가 탑승 검증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탑승 검증에 실패한 경우에는, 카풀 검증 모듈(230)은 다시 단계(801)부터 탑승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예에 따른 오디오 및 단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한 카풀 탑승 검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에 나타난 탑승의 검증 방법은 오디오 신호 또는 블루투스, NFC와 같은 단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동승자 탑승의 검증 방법일 수 있다.
단계들(902 내지 928)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된 단계(544 내지 554)를 대체할 수 있다. 말하자면, 단계들(902 내지 928)는 도 8을 참조하여 전술된 단계(542) 내지 단계(556)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단계(902)에서, 동승자의 단말(520)의 탑승 검증 요청부(231)는 탑승 검증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탑승 검증 요청은 동승자의 사용자 아이디 및 검증 요청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검증 요청 코드는 탑승 검증 요청에 대한 식별 코드가 될 수 있다.
단계(904)에서, 탑승 검증 요청부(231)는 서버(100)의 카풀 검증 관리부(131)로 탑승 검증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908)에서, 카풀 검증 관리부(131)는 탑승 검증을 요청한 동승자가 속한 카풀 그룹의 운전자의 단말(510)의 카풀 검증 승인부(232)에 탑승 검증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910)에서, 카풀 검증 승인부(232)는 탑승 검증 요청을 수신한 뒤, 탑승 검증을 위한 데이터 수신 준비를 완료할 수 있다.
단계(912)에서, 카풀 검증 승인부(232)는 서버(100)의 카풀 검증 관리부(131)로 동승자의 사용자 아이디 및 검증 준비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검증 준비 코드는 탑승 검증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식별 코드일 수 있다.
단계(916)에서, 카풀 검증 관리부(131)는 동승자의 단말(520)의 카풀 검증 요청부(231)로 검증 준비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918)에서, 카풀 검증 요청부(231)는 검증 준비 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카풀 검증 요청부(231)는 오디오 신호 또는 블루투스, NFC와 같은 단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함으로써 운전자의 단말(10)의 카풀 검증 승인부(232)로 검증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920)에서, 카풀 검증 승인부(232)는 전송된 검증 코드와 미리 정의된 검증 코드가 일치하는지 분석할 수 있다. 분석 후 검증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탑승 검증은 성공할 수 있다. 카풀 검증 승인부(232)는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탑승 검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922)에서, 카풀 검증 승인부(232)는 서버(100)의 카풀 검증 관리부(131)로 탑승 검증 결과 및 동승자의 사용자 아이디를 전송 할 수 있다.
단계(924)에서, 카풀 검증 관리부(131)는 데이터베이스(300)에 탑승 검증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단계(926)에서, 카풀 검증 관리부(131)는 동승자의 단말의(520)의 카풀 검증 요청부(231)로 탑승 검증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928)에서, 카풀 검증 요청부(231)는 수신된 탑승 검증 결과를 기반으로 동승자가 탑승 검증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할 수 있다.
차량 유류비용을 부담하는 것과 같이 비용을 나누거나 카풀 시 주어지는 혜택을 제공받기 위해서는 카풀의 실제 운영여부를 검증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의 일 실시예의 카풀 운영 시스템 구성 및 기능을 사용하면, 카풀이 실제로 운영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카풀 운영의 확인 결과는 유류비용 분할 배분에 필요한 자료 또는 카풀으로 인한 혜택을 제공받는데 필요한 증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카풀의 시작 및 종료와 같은 카풀 운영 정보 확인이 용이하며, 카풀이 운행된 후 변경사항이 있는 경우 용이한 처리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카풀 서버
200: 카풀 클라이언트
300: 데이터베이스

Claims (1)

  1. 카풀이 운영되는 차량의 운행 시작을 기록하는 단계;
    상기 차량에 탑승을 요청하는 적어도 한 명의 동승자의 단말로부터 탑승 검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탑승 검증 요청을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탑승 검증 요청에 대한 승인의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승인의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카풀 중개 서비스 방법.
KR20130041082A 2013-04-15 2013-04-15 카풀 중개 및 운영 서비스 방법 KR201401240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1082A KR20140124054A (ko) 2013-04-15 2013-04-15 카풀 중개 및 운영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1082A KR20140124054A (ko) 2013-04-15 2013-04-15 카풀 중개 및 운영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054A true KR20140124054A (ko) 2014-10-24

Family

ID=51994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1082A KR20140124054A (ko) 2013-04-15 2013-04-15 카풀 중개 및 운영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40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542B1 (ko) * 2017-05-22 2018-08-16 (주)바인테크 동행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542B1 (ko) * 2017-05-22 2018-08-16 (주)바인테크 동행시스템
WO2018216849A1 (ko) * 2017-05-22 2018-11-29 (주)바인테크 동행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69204A1 (zh) 自动驾驶车辆调度方法、车辆调度服务器及自动驾驶车辆
CN110717639B (zh) 信息处理装置、乘车车辆调节方法以及存储了乘车车辆调节程序的存储介质
JP6304226B2 (ja) 車両退出管理システム及びゲート端末
CN104412264A (zh) 预先缓存与旅行目的地相关的数据
US9836705B2 (en) Vehicle generated social network updates
US20140350979A1 (en) Multi-modal journey planning and payment
JP7063172B2 (ja) 情報処理装置、乗車車両調整方法及び乗車車両調整プログラム
AU2017200306B2 (en) A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information between passengers and air traffic management stakeholders
US20140005934A1 (en) Incorporating Traveler Feedback in Future Trip Planning
US11528275B2 (en) Autonomous/semi-autonomous driving method and apparatus with trusted data collection, retention and/or sharing
CN110942363A (zh) 车辆管理系统
US201901804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allocation to passengers
KR20210054911A (ko) 차량 avn 시스템에서의 주문 방법 및 장치
CN110659791B (zh) 信息处理装置以及信息处理方法、存储有程序的存储介质
KR101576493B1 (ko) 정기승차 버스 예약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19123590A1 (ja) 端末装置、トランスポンダ、課金システム、課金方法、及び課金プログラム
JP707394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124054A (ko) 카풀 중개 및 운영 서비스 방법
CN113574579A (zh) 信息处理装置、移动体、程序和方法
CN110633837A (zh) 信息处理装置、以及信息处理方法
CN113673730A (zh) 一种约车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533854B1 (ko)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N113597635A (zh) 信息处理装置、移动体、程序和方法
CN113574578B (zh) 信息处理装置、移动体、计算机可读存储介质以及方法
CN114154138A (zh) 信息处理系统、信息处理方法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