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4048A - 건축용 면재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발포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면재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발포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4048A
KR20140124048A KR20130041016A KR20130041016A KR20140124048A KR 20140124048 A KR20140124048 A KR 20140124048A KR 20130041016 A KR20130041016 A KR 20130041016A KR 20130041016 A KR20130041016 A KR 20130041016A KR 20140124048 A KR20140124048 A KR 20140124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thermosetting
face
aramid fiber
aramid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1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희
이응기
최철준
김지문
지승욱
전병주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20130041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4048A/ko
Publication of KR20140124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04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8Impreg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1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6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32B2262/0269Aromatic 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면재를 포함하고, 상기 면재 사이에 발포폼 심재가 형성된 열경화성 발포체를 제공한다.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면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면재 사이에 발포폼 심재를 삽입하여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발포체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축용 면재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발포체 및 이의 제조방법 {THERMOSETTING FOAMING BODY INCLUDING BUILDING FACE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건축용 면재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발포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로 열경화성 발포폼 상·하부면에 포함되는 면재는 일반적으로 유리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 폴리프로필레(PP) 섬유로 이루어져 구조적으로 치수안정을 유지시켜준다. 하지만, 유리섬유는 난연성이 우수하나 인체에 유해하고 표면이 거칠어 작업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단점이 있다. 상기 단점을 보완하고자 코팅을 하는 경우 비용적으로 부담이 있고, 통기성을 저하시켜 발포폼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투과시킬 수 없게 된다. 그리고 PET섬유나 PP섬유의 경우에는 치수안정성이 떨어져서 발포폼을 휘게 만들어 불량률이 높은 단점이 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10-2011-0058500호는 샌드위치형 복합판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직물층을 형성하고, 상기 직물층에 합성수지를 도포한 다음, 프리프레그 판재를 적층하여 면재 판재를 제작하고, 상기 면재 판재 사이에 발포폼 심재를 삽입하는 샌드위치형 복합판재 제작공정 등이 기재되어 있기는 하나 상기 직물층은 여전히 카본섬유 또는 유리섬유 직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건축용 면재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아라미드 섬유를 원료로 하는 고내열, 고강도 건축용 면재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발포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열경화성 발포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면재를 포함하고, 상기 면재 사이에 발포폼 심재가 형성된 열경화성 발포체를 제공한다.
상기 아라미드 섬유는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 또는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라미드 섬유는 촙(chop)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촙 형상 아라미드 섬유의 길이가 약 10mm 내지 약 40mm일 수 있다.
상기 촙 형상 아라미드 섬유의 섬도가 약 15데니어 내지 약 100데니어일 수 있다.
상기 아라미드 섬유는 총 고형분에 대해서 약 10중량% 내지 약 9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면재는 평량이 약 50g/m2 내지 약 150g/m2일 수 있다.
상기 면재는 한계 산소 지수(LOI : Limit Oxygen Index)가 약 32이상일 수 있다.
상기 면재는 약 60℃의 온도에서 약 10분간 물에 함침하여 방치한 경우, 세로 및 가로 방향 모두에서 치수변화가 약 0.05%이하일 수 있다.
상기 방치된 면재의 물기를 제거하고 약 150℃의 온도에서 약 30분간 건조한 경우, 세로 및 가로 방향 모두에서 치수변화가 약 0.05%이하일 수 있다.
상기 발포폼 심재는 폴리메타아크릴이미드 폼, 우레탄 폼, 페놀폼, 폴리염화비닐 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면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면재 사이에 발포폼 심재를 삽입하여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발포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면재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아라미드 섬유를 촙 형상으로 하여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매트릭스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면재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아라미드 섬유를 촙 형상으로 하고 바인더 수지에 함침하여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매트릭스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계 바인더, 스틸렌 부타디엔 고무계 바인더, 아크릴계 바인더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이상 일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발포체는 높은 치수안정성과 강도를 가질 수 있으며, 우수한 난연성을 가지는 준불연 수준의 건축용 단열재로써 화재 위험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경화성 발포체는 높은 강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바닥용, 천장용 등 강도가 필요한 분야에의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열경화성 발포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면재를 포함하고, 상기 면재 사이에 발포폼 심재가 형성된 열경화성 발포체를 제공한다.
아미드기 사이에 벤젠기가 결합되어 있는 아라미드로 구성된 아라미드 섬유는 방향족 고리에 직접 연결된 합성 폴리아미드로부터 제조된 섬유를 일컫는다. 분해온도가 약 400℃이고, 약 160℃이상에서 연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고성능 내열소재이며, 섬유를 구성하는 고분자 자체가 우수한 난연성을 가진다.
상기 아라미드 섬유는 내열성이 필요한 소재에 사용되는 메타계, 강도가 필요한 소재에 사용되는 파라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는 벤젠고리가 메타 위치에서 아미드기와 결합한 것으로, 강도와 신도는 보통의 나일론과 비슷하나 열에 대한 안정성이 뛰어나다. 상기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는 벤젠고리가 파라위치에서 아미드기와 결합된 것으로, 분자쇄가 매우 뻣뻣하고 선상구조를 가지므로 진한 황산에 용해하면 분자쇄가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는 약 250℃에서 약 100시간의 노출 시에도 약 70%이상의 강도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취성이 약한 발포폼 심재의 치수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통상의 경우 열경화성 발포체, 각종 샌드위치 판넬등에 있어서 발포폼의 상·하부면에는 면재등을 포함하고 있는바, 상기 면재는 유리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 탈레이트(PET) 섬유, 폴리프로필레(PP) 섬유 등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유리섬유의 경우 난연성은 좋으나, 인체에 유해하다는 단점이 있었고, PET 섬유 및 PP 섬유의 경우 치수 안정성이 떨어져서 발포폼을 휘게 만들어 불량율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비교하여 아라미드 섬유의 경우 난연성이 우수하여 높은 온도에서도 우수한 단열성을 유지할 수 있고, 강도가 우수하여 높은 치수안정성을 가지는바, 고온, 고압등의 외부환경 변화에 있어서도 열경화에 대한 휨 현상등이 줄어들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열경화성 발포체가 이를 포함하는 면재를 사용하는 준불연 수준의 건축용 단열재로써 화재 위험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고, 높은 강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바닥용, 천장용 등 강도가 필요한 분야에의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아라미드 섬유는 촙(chop)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촙 형상 아라미드 섬유의 길이가 약 10mm 내지 약 40mm일 수 있다. 상기 촙 형상 아라미드 섬유의 길이가 약 10mm미만인 경우 면재의 인장강도 및 치수안정성이 떨어져서 발포폼 심재의 구부러짐(Bending)이나 굽힘(warpage)의 문제를 가져올 수 있고, 약 40mm를 초과하는 경우 분산이 어려워 섬유의 균일한 배향이 어렵고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촙 형상 아라미드 섬유의 길이를 상기 범위로 유지함으로써 분산성과 치수안정성 및 강도의 물성적인 측면에서 탁월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촙 형상 아라미드 섬유의 섬도가 약 15데니어 내지 약 100데니어일 수 있다. 섬도란 실 굵기의 정도를 일컫는바, 상기 촙 형상 아마리드 섬유가 상기 범위의 굵기를 유지함으로써 일정 수준 이상의 강도 구현에 용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섬도가 약 15데니어 미만인 경우 강도가 약하고 수축율이 커져 치수안정성이 떨어지는 우려가 있고, 약 100데니어를 초과하는 경우 아라미드 섬유 촙간의 응집력이 강해져서 분산이 어렵고 평량 또한 높아져 비용적인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상기 아라미드 섬유는 총 고형분에 대해서 약 10중량% 내지 약 9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라미드 섬유를 약 10중량% 미만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아라미드 섬유의 강도를 구현할 수 없는 우려가 있고, 90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아라미드 섬유 촙의 양이 많아지게 되어 응집력이 커져 분산성이 떨어지고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아라미드 섬유를 면재 구성의 총 고형분에 대해서 상기 범위의 중량%를 포함함으로써 고강도와 치수안정성이 높은 면재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발포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아라미드 섬유를 포함하는 면재는 평량이 약 50g/m2 내지 약 150g/m2일 수 있다. 평량은 섬유 단위면적당(1m2) 무게를 그램으로 나타낸 것으로, 상기 평량의 범위를 유지함으로써 열경화성 발포체의 치수안정성을 일정수준 이상 유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면재의 평량이 약 50g/m2 미만인 경우 강도 및 치수안정성이 떨어져 아라미드 섬유 면재의 효과를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약 150g/m2를 초과하는 경우 면재의 무게증가 및 두께증가로 인한 비용적인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구겨지기 쉬어 작업성 또한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면재는 한계 산소 지수(LOI: Limit Oxygen Index)가 약 32이상일 수 있다. 상기 한계 산소 지수(Limited Oxygen Index, LOI)는 편직물을 수직으로 한 상태에서 가장 윗부분에 착화하였을 때 연소를 계속 유지시킬 수 있는 산소의 최저체적농도를 말하는 것으로, 난연성을 측정하는 척도이며, 예를 들어 LOI가 29라는 말은 공기 중의 산소가 29%이하로 줄어들면 열원을 제거한 후 연소가 지속될 수 없다는 것으로, LOI의 값이 높을수록 난연성이 우수하다.
상기 면재를 한계 산소 지수를 약 32이상으로 하는바, 상기 면재는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짐으로써 난연성이 매우 우수하고, 난연성이 요구되는 건축물 내/외장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구조적인 강도가 크기 때문에 바닥용, 천장용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면재의 한계 산소 지수가 약 32미만인 경우 난연 특성이 작아지기 때문에 화재 위험이 있다.
치수 변화의 값은 보통 백분율로 표시하며, 열처리 하기 전·후 등 외부 환경변화에 의한 변화를 의미하는바, 상기 면재는 60℃의 온도에서 10분간 물에 함침하여 방치한 경우, 세로 및 가로 방향 모두에서 치수변화가 약 0.05%이하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확도가 높은 2 개의 치수 좌표-측정 테스트기 (Mito Kogyo K.K.에서 제조)를 사용하여, 길이가 250㎜ 이고 폭이 50 ㎜인 상기 면재를 60℃의 온도에서 10분간 물에 함침하여 방치한 후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서, 상기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의 길이 변화 (%) 를 측정하였다
[수학식 1]
Dn (%) = (Lb - La)/La × 100
상기 식 중에서, Dn은 방치 전과 후 사이의 면재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의 길이 변화율 (%)을 나타내고, Lb는 방치 후의 면재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의 길이를 나타내며, La는 방치 전의 면재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의 길이를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일정온도 및 일정시간의 외부환경에의 방치 전, 후의 치수변화는 약 0.05%이하로 그 변화가 미미한바, 높은 치수안정성을 유지함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치수변화가 약 0.05%를 초과하는 경우 치수안정성이 떨어셔 발포체 심재 구조를 잡아주지 못하여 수축될 수 있고, 상기 면재의 수축율이 달라지게 되면 열경화성 발포체가 구부러져(Bending) 불량율이 높아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치된 면재의 물기를 제거하고 150℃의 온도에서 30분간 건조한 경우, 세로 및 가로 방향 모두에서 치수변화가 약 0.05%이하일 수 있다. 상기와 전술한 바와 같이 치수변화를 측정한 것으로, 물을 흡수시켜 방치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건조하는 경우도 치수변화가 약 0.05%이하로 측정되었는바 상기 면재 및 이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발포체는 높은 치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발포체는 면재 사이에 발포폼 심재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발포폼 심재의 종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나, 폴리메타아크릴이미드 폼, 우레탄 폼, 페놀폼, 폴리염화비닐 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열경화성 발포체 제조방법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면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면재 사이에 발포폼 심재를 삽입하여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발포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아라미드 섬유는 건식방사공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바, 건식방사 공법은 방사방법의 일종으로 원료가 되는 폴리머를 용제로 녹여 이것을 가느다란 구멍의 노즐에서 열기속에 압력을 가하여 밀어내고 용제를 증발시켜서 섬유를 응고시키는 방법을 일컫는다. 건식방사공법 이외에 습식방사공법을 사용하는 경우 방사속도가 느리고, 세척, 탈수, 건조의 단계를 거치게 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우려가 있어, 건식방사공법에 의해 아라미드 섬유를 형성하는 것이 생산속도, 공정단계 측면에서 우수하다.
상기 면재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아라미드 섬유를 촙 형상으로 하여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매트릭스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촙 형상의 아라미드 섬유는 그 길이가 약 10mm 내지 약 20mm 일 수 있고, 아라미드 섬유에 관한 사항은 전술한 바에 의한다.
상기 건식방사공법에 의해 형성된 아라미드 섬유를 촙 형상으로 하고 이를 이용하여 매트릭스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촙 형상의 아라미드 섬유를 원료로 하여 컨베이어 벨트에 분산시키고, 열접착 또는 엠보 본딩(Embo bonding)을 통하여 매트릭스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열접착은 열 또는 압력을 가하여 접착하는 방식이고, 상기 엠보 본딩은 엠보처리 공정을 거침으로써 접착면을 크게하여 촙과 촙간의 접착성을 개선한다는 점에서 열접착 보다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면재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아라미드 섬유를 촙 형상으로 하고 바인더 수지에 함침하여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매트릭스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발포체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발포체의 치수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면재는 고강도의 성질을 가져야 하는바, 촙 형상의 아라미드 섬유를 바인더 수지에 함침하여 매트릭스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수성 제형물에서 통상 사용하는 바인더 중에서 선택되는 것으로, 폴리비닐알코올(PVA)계 바인더, 스틸렌 부타디엔 고무(SBR)계 바인더, 아크릴계 바인더 등을 원료로 하며, 상기 바인더 수지에 함침된 촙 형상의 아라미드 섬유를 컨베이어 벤트에 균일하게 분산시킨 후 열풍기를 통해 건조시켜 건축용 면재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서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 실시예 비교예 >
실시예 1
길이가 15mm이고, 굵기가 50데니어인 촙 형상의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를 PVA 바인더 수지에 함침시키고 컨베이어 벨트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매트릭스를 형성하고, 80℃에서 20시간동안 열풍기를 통해 이를 건조시키면서 평량이 70g/m2인 건축용 면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길이가 15mm이고, 굵기가 50데니어인 촙 형상의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를 PVA 바인더 수지에 함침시키고 컨베이어 벨트 위에 균일하게 분산시킨 뒤 300°C에서 엠보 본딩(Embo bonding)처리를 하여 매트릭스를 형성하고, 80℃에서 20시간동안 열풍기를 통해 이를 건조시키면서 평량이 70g/m2인 건축용 면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촙 형상의 유리 섬유(길이 15mm, 직경 10㎛)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과 동일하게 평량이 70g/m2인 건축용 면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촙 형상의 PET/펄프 섬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과 동일하게 평량이 70g/m2인 건축용 면재를 제조하였다.
형상 섬유 바인더 면재 평량(g/m2)
실시예1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 PVA 바인더 70
실시예2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 PVA 바인더 70
비교예1 유리 섬유 PVA 바인더 70
비교예2 PET/펄프 섬유 PVA 바인더 70
< 실험예 > - 건축용 면재의 난연성 및 치수안정성
상기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건축용 면재로 난연성 평가 및 치수 변화 평가를 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난연성 평가: 한국 KS M 3032 (산소지수법에 의한 고분자 재료의 연소시험 방법) 규격의 방법에 의하여 시험하여 LOI(한계 산소지수, Limited Oxygen Index)를 평가하였다.
2) 치수 변화 평가: 상기 건축용 면재를 길이 250mm, 폭 50mm로 하고, 정확도가 높은 2 개의 치수 좌표-측정 테스트기 (Mito Kogyo K.K.에서 제조)를 사용하여, 60℃ 오븐 안에서 10분간 물에 함침시킨 상태에서 방치한 후의 치수변화(흡수시)와, 상기 방치된 면재의 물기를 제거하고 150℃ 오븐에서 30분간 건조한 후의 치수변화(건조시)를 계산하였다. 상기 치수변화의 계산은 전술한 [수학식1]에 의한다.
LOI 치수 변화(%)
흡수시 건조시
실시예1 32 +0.03 -0.04
실시예2 32 +0.01 -0.02
비교예1 - +0.25 -0.28
비교예2 20 +1.25 -2.87
실시예 1 및 2의 경우 LOI가 모두 32이상의 지수로 측정되었고, 흡수시 치수변화, 건조시 치수변화 모두 0.05%로 측정되었는바,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면재의 경우 난연성이 우수하고 치수안정성이 뛰어난 특징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비교하여, 촙 형상의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면재인 비교예 1의 경우 난연성의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흡수시 치수변화 및 건조시 치수변화 모두 약 0.25%로 측정되었는바 외부환경 변화에 의하여 치수안정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마찬가지로, 촙 형상의 PET/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면재인 비교예 2의 경우도 실시예 1 및 2에 비해 난연성이 떨어지고, 흡수시 치수변화 및 건조시 치수변화 모두 약 1% 이상으로 측정된 것으로 보아 치수안정성의 확보가 어려움을 확인하였다.

Claims (15)

  1.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면재를 포함하고, 상기 면재 사이에 발포폼 심재가 형성된
    열경화성 발포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라미드 섬유는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 또는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발포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라미드 섬유는 촙(chop) 형상인
    열경화성 발포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촙 형상 아라미드 섬유의 길이가 10mm 내지 40mm인
    열경화성 발포체.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촙 형상 아라미드 섬유의 섬도가 15데니어 내지 100데니어인
    열경화성 발포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라미드 섬유는 총 고형분에 대해서 10중량% 내지 90중량%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발포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면재는 평량이 50g/m2 내지 150g/m2
    열경화성 발포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면재는 한계 산소 지수(LOI : Limit Oxygen Index)가 32이상인
    열경화성 발포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면재는 60℃의 온도에서 10분간 물에 함침하여 방치한 경우, 세로 및 가로 방향 모두에서 치수변화가 0.05%이하인
    열경화성 발포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방치된 면재의 물기를 제거하고 150℃의 온도에서 30분간 건조한 경우, 세로 및 가로 방향 모두에서 치수변화가 0.05%이하인
    열경화성 발포체.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폼 심재는 폴리메타아크릴이미드 폼, 우레탄 폼, 페놀폼, 폴리염화비닐 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열경화성 발포체.
  12.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면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면재 사이에 발포폼 심재를 삽입하여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발포체 제조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면재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아라미드 섬유를 촙 형상으로 하여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매트릭스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발포체 제조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면재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아라미드 섬유를 촙 형상으로 하고 바인더 수지에 함침하여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매트릭스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발포체 제조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계 바인더, 스틸렌 부타디엔 고무계 바인더, 아크릴계 바인더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열경화성 발포체 제조방법.
KR20130041016A 2013-04-15 2013-04-15 건축용 면재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발포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240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1016A KR20140124048A (ko) 2013-04-15 2013-04-15 건축용 면재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발포체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1016A KR20140124048A (ko) 2013-04-15 2013-04-15 건축용 면재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발포체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048A true KR20140124048A (ko) 2014-10-24

Family

ID=51994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1016A KR20140124048A (ko) 2013-04-15 2013-04-15 건축용 면재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발포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40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6289C1 (ru) Сегментированные гелевые композиты и жесткие панели, изготовленные из них
KR101574380B1 (ko) 인테리어성 흡음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흡음형 방음패널
KR100493535B1 (ko) 난연또는불연장식용적층시트
RU2666429C1 (ru) Звукопоглощающий и изоляционный материал, имеющий превосходную пригодность для формования и внешность,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JP5431951B2 (ja) 難燃性熱可塑性バインダーを有する紙から作製されたハニカム
CN103264530B (zh) 一种聚酰亚胺纸蜂窝芯的制备方法
RU2531397C1 (ru) Огнестойкий ламинат
WO2014073860A1 (ko) 고내열 흡차음재의 제조방법
JP5774137B2 (ja) 難燃性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よって製造された難燃性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成形品
WO2015093686A1 (ko) 내열성 및 성형성이 개선된 흡차음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39067B1 (ko) 흡차음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11370195B2 (en) Multilayer composit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BR112015010325B1 (pt) Método para a moldagem de um material isolador e absorvedor de som altamente resistente ao calor, e método para a redução de ruídos de um dispositivo gerador de ruídos
BR112012033497B1 (pt) Painel compreendendo uma camada de compcsito polimerico e uma camada de reforco
JP6120415B2 (ja) 構造コア
JP2010229238A (ja) 炭素繊維強化樹脂シート及びそのロール巻回体
WO2008066314A1 (en) Laminated acoustic absorption sheet with frame retardant
KR101477861B1 (ko) 흡음성능이 향상된 흡음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91098B1 (ko) 흡음성능이 우수한 유리섬유계 흡음시트
RU2659855C1 (ru)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й материал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20140124048A (ko) 건축용 면재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발포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35413A (ko) 두께가 100 마이크로미터 이하인 열가소성 중합체로 함침된 섬유 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EP3663083A1 (en) Laminated acoustic absorption member
JPWO2019107343A1 (ja) 耐火部材
KR102297987B1 (ko) 폴리에테르이미드 블렌드 및 유리섬유매트를 포함하는 복합소재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