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2509A - 전원 장치 제어 회로 - Google Patents

전원 장치 제어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2509A
KR20140122509A KR1020130039287A KR20130039287A KR20140122509A KR 20140122509 A KR20140122509 A KR 20140122509A KR 1020130039287 A KR1020130039287 A KR 1020130039287A KR 20130039287 A KR20130039287 A KR 20130039287A KR 20140122509 A KR20140122509 A KR 20140122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unit
load
signal
inpu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9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광우
김효수
Original Assignee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30039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2509A/ko
Publication of KR20140122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5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1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voltage falling below a predetermined value, e.g. for no-volt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8Electronic means for switching from one power supply to another power supply, e.g. to avoid parallel conne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장치는, 입력 전원에 접속된 충전부, 입력 전원 또는 충전부로부터의 전압 신호를 수신하는 인버터부, 입력 전원으로부터의 전압 신호를 수신하여 입력 전원의 순간 전압 강하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강하 검출부, 및 전압 강하 검출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부하로 공급될 부하 전압 값을 결정하며, 결정된 부하 전압 값에 기초하여 인버터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제어 신호는 인버터부로 공급될 수 있다. 부하 전압 값은, 감지 신호가 순간 전압 강하를 나타내는 경우, 미리 정해진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1 제어 신호는, 감지 신호가 순간 전압 강하를 나타내는 경우, 인버터부의 출력 전압이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원 장치 제어 회로{POWER SUPPLY CONTROL CIRCUIT}
본 발명은 전원 장치 제어 회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순간 전압 강하 시에도 안정적인 장치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전원 장치 제어 회로에 관한 것이다.
근래 전력 품질의 신뢰성은 점점 더 높아져 가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순간 전압 저하 또는 순간 정전 등의 전력 품질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은 늘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순간적인 전력 품질 사고는 전자 기기의 오동작이나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전자 기기는 그러한 전력 품질 사고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 두고 있다. 예컨대, 주 전원으로부터의 교류 전압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직류 전압 신호로 정류한 후 인버터부를 통해 변압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순간 전압 강하에 대처하기 위한 비상 전원으로서 별도의 충전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는, 정상 동작 시에는 주 전원으로부터의 전압 신호를 구동 전압 신호로 하여 동작하는 한편 충전부를 충전해 두고 있다가, 순간 전압 강하가 발생할 경우 주 전원을 대신해서 충전부로부터 방전되는 전압 신호를 구동 전압 신호로서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용량이 큰 충전부가 필요로 되는데 이는 제조 단가의 상승을 초래한다. 또한, 순간 전압 강하 동안에 충전부로부터의 전압 신호를 구동 전압 신호로서 이용하는 경우, 시간에 따른 점차적 전압 감소를 피할 수 없는데, 이는 인버터부의 스위칭 소자의 온 동작 구간이 길어지게 하여 스위칭 소자에 스트레스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비상 전원으로서 이용되는 충전부의 용량을 크게 하지 않으면서도 전자 기기의 오동작이나 고장을 야기하는 일 없이 순간 전압 강하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전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회로가 필요로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비상 전원으로서 이용되는 충전부의 용량을 크게 하지 않으면서도 전자 기기의 오동작이나 고장을 야기하는 일 없이 순간 전압 강하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전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장치로서, 입력 전원에 접속된 충전부, 입력 전원 또는 충전부로부터의 전압 신호를 수신하는 인버터부, 입력 전원으로부터의 전압 신호를 수신하여 입력 전원의 순간 전압 강하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강하 검출부, 및 전압 강하 검출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부하로 공급될 부하 전압 값을 결정하며, 결정된 부하 전압 값에 기초하여 인버터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제어 신호는 인버터부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부하 전압 값은, 감지 신호가 순간 전압 강하를 나타내는 경우, 미리 정해진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제어 신호는, 감지 신호가 순간 전압 강하를 나타내는 경우, 인버터부의 출력 전압이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인버터부는 트랜스포머와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제1 제어 신호는 인버터부의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입력 전원은 교류 입력 전원 및 교류 입력 전원으로부터의 교류 입력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정류하는 정류 회로부를 포함하고, 전압 강하 검출부는 정류 회로부로부터 직류 전압 신호를 수신하여 입력 전원의 순간 전압 강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입력 전원은 교류 입력 전원 및 교류 입력 전원으로부터의 교류 입력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정류하는 정류 회로부를 더 포함하고, 전압 강하 검출부는 교류 입력 전원 및 정류 회로부 사이에 접속되어, 교류 입력 전원으로부터 교류 전압 신호를 수신하여 입력 전원의 순간 전압 강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충전부는 정류 회로부를 위한 평활 콘덴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입력 전원과 충전부에 접속된 스위칭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인버터부는, 스위칭부를 통하여, 입력 전원 또는 충전부로부터의 전압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는, 전압 강하 검출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스위칭부는,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하고, 스위칭부가 제1 상태에 있을 경우 인버터부는 입력 전원으로부터 전압을 공급받고, 스위칭부가 제2 상태에 있을 때 인버터부는 충전부로부터 전압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제어 신호는, 감지 신호가 순간 전압 강하를 나타내는 경우, 스위칭부를 제1 상태로 구동시키고, 감지 신호가 순간 전압 강하를 나타내지 않는 경우 스위칭부를 제2 상태로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장치로서, 직류 전압원에 접속된 스위칭부, 직류 전압원으로부터의 직류 전압을 충전하는 충전부, 직류 전압원으로부터의 직류 전압 또는 충전부에 충전된 직류 전압을 공급받아 부하에 부하 전압을 공급하는 인버터부, 직류 전압원으로부터의 직류 전압을 수신하여 직류 전압의 순간 전압 강하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강하 검출부, 및 전압 강하 검출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부하로 공급될 부하 전압 값을 결정하고 결정된 부하 전압 값에 기초하여 인버터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스위칭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인버터부는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부하 전압을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스위칭부는 제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직류 전압원으로부터의 직류 전압 또는 충전부에 충전된 직류 전압이 인버터부에 공급되도록 스위칭 동작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직류 전압원은 상용 교류 입력 전원을 직류 전압으로 정류하는 정류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장치로서, 상용 교류 입력 전원에 접속된 정류 회로부, 정류 회로부에 접속된 스위칭부, 정류 회로부로부터의 직류 전압을 충전하는 충전부, 정류 회로부로부터의 직류 전압 또는 충전부에 충전된 직류 전압을 공급받아 부하에 부하 전압을 공급하는 인버터부, 상용 교류 입력 전원으로부터 교류 전압을 수신하여 교류 전압의 순간 전압 강하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강하 검출부, 및 전압 강하 검출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부하로 공급될 부하 전압 값을 결정하고, 결정된 부하 전압 값에 기초하여 인버터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스위칭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인버터부는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부하 전압을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스위칭부는 제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정류 회로부로부터의 직류 전압 또는 충전부에 충전된 직류 전압이 인버터부에 공급되도록 스위칭 동작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상 전원으로서 이용되는 충전부의 용량을 크게 하지 않으면서도 전자 기기의 오동작이나 고장을 야기하는 일 없이 순간 전압 강하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전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용량 충전부의 사용을 피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순간 전압 강하 발생시 충전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압 신호의 점차적 전압 감소에도 불구하고, 인버터부의 스위칭 소자의 온 동작 구간이 길어지지 않기 때문에, 스위칭 소자에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미 공지된 기능 및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전원 장치(100)는 정류 회로부(110), 충전부(120), 전압 강하 검출부(130), 회로 제어부(140), 스위칭부(150), 및 인버터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류 회로부(110)는 상용 교류 전원(Vin)으로부터 교류 입력 전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정류 회로부(110)는 입력된 교류 전압 신호를 직류 전압 신호로 정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류 회로부(110)는 브리지 다이오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120)는 정류 회로부(110)에 연결되어, 정류 회로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정류 회로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압 신호가 통상의 상태(즉, 전압 강하가 없는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충전부(120)는 정류 회로부(110)로부터 수신된 직류 전압 신호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정류 회로부(110)로부터의 출력 전압에서 전압 강하가 발생한 경우, 충전부(120)는 그에 충전되어 있는 전류 신호를 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충전부(120)는 정류 회로부(110)를 위한 평활 콘덴서로서 동작할 수 있다.
전압 강하 검출부(130)는 정류 회로부(110)에 연결되어, 정류 회로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압 강하 검출부(130)는 수신된 직류 전압 신호로부터 순간 전압 강하의 발생, 즉 순간 전압 저하 또는 순간 정전 등의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압 강하 검출부(130)는 미리 정의된 소정의 기준에 따라 순간 전압 강하의 발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압 강하 검출부(130)는 순간 전압 강하의 발생 여부에 관한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도면 및 설명에서는, 전압 강하 검출부(130)가 정류 회로부(110) 후단에 연결되어 직류 전압 신호로부터 순간 전압 강하의 발생 여부를 판정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전압 강하 검출부(130)는 상용 교류 전원(Vin)과 정류 회로부(110) 사이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압 강하 검출부(130)는 교류 입력 전압 신호의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저항과, 발광/수광 작용을 통해 순간 전압 강하 감지 시 그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포토 커플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당업자라면 전압 강하 검출부(130)를 위한 다양한 구성을 생각해낼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회로 제어부(140)가 전압 강하 검출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회로 제어부(140)는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위칭부(150) 및 인버터부(16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회로 제어부(140)는 전압 강하 검출부(130)로부터 순간 전압 강하의 발생 여부에 관한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회로 제어부(140)는 또한 부하에 연결되어 부하로부터 피드백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회로 제어부(140)는 전압 강하 검출부(130)로부터 수신한 감지 신호 및 부하로부터 수신한 피드백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부하로 공급할 부하 전압을 결정할 수 있다. 회로 제어부(140)는 또한 결정된 부하 전압에 기초하여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인버터부(160)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제어 신호는 인버터부(160)의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기 위한제어 신호일 수 있다. 회로 제어부(140)는 전압 강하 검출부(130)로부터 수신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스위칭부(150)로 공급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스위칭부(150)가 정류 회로부(110) 및 충전부(120)에 각각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칭부(150)는 또한 회로 제어부(140)에 연결되어 회로 제어부(140)로부터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및 제2 상태 중 하나로 구동될 수 있다. 스위칭부(150)가 제1 상태(예컨대, 온 상태)로 구동되었을 때 정류 회로부(110)로부터 전압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후단에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제2 상태(예컨대, 오프 상태)로 구동되었을 때 정류 회로부(110)로부터의 전압 신호를 차단하고 충전부(120)로부터의 전압 신호를 수신하여 후단에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위칭부(150)는 기계식 스위치(릴레이 등) 또는 전자 소자(SCR, IGBT, FET 등)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도면에서는, 전원 장치(100)가 스위칭부(15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인버터부(160)는 스위칭부(150)에 연결되어 정류 회로부(110) 또는 충전부(12)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직류 전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인버터부(160)는 또한 회로 제어부(140)에 연결되어 회로 제어부(140)로부터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인버터부(160)는 1차측 권선 및 2차측 권선을 갖는 트랜스포머와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부(150)가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인버터부(160)의 트랜스포머의 1차측 권선에는, 정류 회로부(110)로부터의 직류 전압 신호가 스위칭부(150)를 경유하여 인가될 수 있다. 스위칭부(150)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인버터부(160)의 트랜스포머의 1차측 권선에는, 충전부(120)로부터 방전되는 직류 전압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인버터부(160)의 스위칭 소자가 제1 제어 신호에 기초해서 온/오프를 반복하여, 트랜스포머의 1차측 권선에 인가된 전압 신호가 소정의 전압으로 변압되어 트랜스포머의 2차측 권선에 유기되도록 할 수 있다. 트랜스포머의 2차측 권선에 유기된 전압 신호는 후단의 부하에 제공될 수 있다. 이외에도 당업자라면 인버터부(160)를 위한 다양한 구성을 생각해낼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제어부(14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회로 제어부(140)는 부하 전압 결정부(210), 제1 제어 신호 생성부(220) 및 제2 제어 신호 생성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부하 전압 결정부(210)는 전압 강하 검출부(130)로부터 순간 전압 강하의 발생 여부에 관한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부하 전압 결정부(220)는 또한 후단의 부하로부터 피드백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부하 전압 결정부(220)는 수신한 피드백 제어 신호와 전압 강하 검출부(130)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부하로 공급할 부하 전압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압 강하 검출부(130)로부터 수신한 감지 신호가 순간 전압 강하를 나타내지 않는 경우, 부하 전압 결정부(210)는 피드백 제어 신호를 고려하여 부하 동작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부하 전압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압 강하 검출부(130)로부터 수신한 감지 신호가 순간 전압 강하를 나타내는 경우, 부하 전압 결정부(210)는 부하 전압을 소정의 미리 정해진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미리 정해진 값은, 설계자에 의해 임의로 선택될 수 있으며, 정상 동작 시 부하로 공급되는 통상적 전압에 비해 매우 낮은 값일 수 있다. 당업자라면 장치의 오작동이나 고장을 야기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 전자 기기 별로 순간 전압 강하에 대처하여 부하에 공급할 수 있는 부하 전압의 범위를 생각해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부하 전압의 범위는, 예컨대 부하 특성, 충전부 용량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순간 전압 강하에 대처하기 위하여 부하 전압으로서 미리 결정된 값은, 부하가 램프인 경우 그 휘도를 줄이도록 하거나, 부하가 음향 장치인 경우 음향 출력을 줄이도록 하거나, 부하가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 해상도를 줄이도록 하거나, 부하가 동영상 재생 장치인 경우 동영상 재생을 일시 정지하도록 하는 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
제1 제어 신호 생성부(220)는 부하 전압 결정부(210)로부터 결정된 부하 전압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부하 전압에 관한 신호에 기초하여 인버터부(160)를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제어 신호는 인버터부(160)의 스위칭 소자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일 수 있다.
제2 제어 신호 생성부(230)도 전압 강하 검출부(130)로부터 순간 전압 강하의 발생 여부에 관한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제어 신호 생성부(230)는 수신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스위칭부(150)를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제어 신호 생성부(230)는, 전압 강하 검출부(130)로부터의 감지 신호가 순간 전압 강하의 발생을 나타내는 경우, 스위칭부(150)를 제2 상태(즉, 충전부(120)로부터 전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제어 신호 생성부(230)는, 전압 강하 검출부(130)로부터의 감지 신호가 순간 전압 강하의 발생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 스위칭부(150)를 제1 상태(즉, 정류 회로부(110)로부터 전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미 공지된 기능 및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110: 정류 회로부 120: 충전부
130: 전압 강하 검출부 140: 회로 제어부
150: 스위칭부 160: 인버터부

Claims (12)

  1.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장치로서,
    입력 전원에 접속된 충전부,
    상기 입력 전원 또는 상기 충전부로부터의 전압 신호를 수신하는 인버터부,
    상기 입력 전원으로부터의 전압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입력 전원의 순간 전압 강하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강하 검출부, 및
    상기 전압 강하 검출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부하로 공급될 부하 전압 값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부하 전압 값에 기초하여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상기 인버터부로 공급됨 -
    를 포함하는, 전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전압 값은, 상기 감지 신호가 상기 순간 전압 강하를 나타내는 경우, 미리 정해진 값으로 결정되는, 전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상기 감지 신호가 상기 순간 전압 강하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인버터부의 출력 전압이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전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부는 트랜스포머와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상기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 전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원은 교류 입력 전원 및 상기 교류 입력 전원으로부터의 교류 입력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정류하는 정류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 강하 검출부는 상기 정류 회로부로부터 직류 전압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입력 전원의 순간 전압 강하를 감지하는, 전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원은 교류 입력 전원 및 상기 교류 입력 전원으로부터의 교류 입력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정류하는 정류 회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압 강하 검출부는 상기 교류 입력 전원 및 상기 정류 회로부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교류 입력 전원으로부터 교류 전압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입력 전원의 순간 전압 강하를 감지하는, 전원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정류 회로부를 위한 평활 콘덴서인, 전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원과 상기 충전부에 접속된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버터부는, 상기 스위칭부를 통하여, 상기 입력 전원 또는 상기 충전부로부터의 전압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 강하 검출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하며, 상기 스위칭부가 제1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인버터부는 상기 입력 전원으로부터 전압을 공급받고, 상기 스위칭부가 제2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인버터부는 상기 충전부로부터 전압을 공급받는, 전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상기 감지 신호가 상기 순간 전압 강하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제1 상태로 구동시키고, 상기 감지 신호가 상기 순간 전압 강하를 나타내지 않는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제2 상태로 구동시키는, 전원 장치.
  10.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장치로서,
    직류 전압원에 접속된 스위칭부,
    상기 직류 전압원으로부터의 직류 전압을 충전하는 충전부,
    상기 직류 전압원으로부터의 직류 전압 또는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직류 전압을 공급받아 상기 부하에 부하 전압을 공급하는 인버터부,
    상기 직류 전압원으로부터의 직류 전압을 수신하여 상기 직류 전압의 순간 전압 강하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강하 검출부, 및
    상기 전압 강하 검출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부하로 공급될 부하 전압 값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부하 전압 값에 기초하여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인버터부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부하 전압을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직류 전압원으로부터의 직류 전압 또는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직류 전압이 상기 인버터부에 공급되도록 스위칭 동작을 하도록 구성되는, 전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전압원은 상용 교류 입력 전원을 상기 직류 전압으로 정류하는 정류 회로부를 포함하는, 전원 장치.
  12.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장치로서,
    상용 교류 입력 전원에 접속된 정류 회로부,
    상기 정류 회로부에 접속된 스위칭부,
    상기 정류 회로부로부터의 직류 전압을 충전하는 충전부,
    상기 정류 회로부로부터의 직류 전압 또는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직류 전압을 공급받아 상기 부하에 부하 전압을 공급하는 인버터부,
    상기 상용 교류 입력 전원으로부터 교류 전압을 수신하여 상기 교류 전압의 순간 전압 강하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강하 검출부, 및
    상기 전압 강하 검출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부하로 공급될 부하 전압 값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부하 전압 값에 기초하여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인버터부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부하 전압을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정류 회로부로부터의 직류 전압 또는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직류 전압이 상기 인버터부에 공급되도록 스위칭 동작을 하도록 구성되는, 전원 장치.
KR1020130039287A 2013-04-10 2013-04-10 전원 장치 제어 회로 KR201401225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287A KR20140122509A (ko) 2013-04-10 2013-04-10 전원 장치 제어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287A KR20140122509A (ko) 2013-04-10 2013-04-10 전원 장치 제어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509A true KR20140122509A (ko) 2014-10-20

Family

ID=51993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287A KR20140122509A (ko) 2013-04-10 2013-04-10 전원 장치 제어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250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25754B (zh) 返馳轉換系統及其回授控制裝置與方法
KR101308783B1 (ko) 무정전 전원 장치
KR100923220B1 (ko)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의 대기전력 최소화장치
US20080291709A1 (en)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JP6878156B2 (ja) Dc/dcコンバータ、同期整流コントローラ、電源アダプタおよび電子機器
EP2164160B1 (en) Voltage reduction detection circuit and switching power supply system
WO2015196672A1 (zh) 功率因数校正电路自带辅助电源电路及其控制方法和装置
JP6025404B2 (ja) 電源装置及び照明装置
JP6187024B2 (ja) Led電源装置及びled照明装置
JP6842252B2 (ja) 絶縁同期整流型dc/dcコンバータ、その保護方法、電源アダプタおよび電子機器
JP5259941B2 (ja) インバータ装置及び空気調和機
KR101663445B1 (ko) 에너지저장시스템을 이용한 무정전전원공급장치 및 상기 장치의 동작방법
KR102245746B1 (ko) 엘이디 조명등의 전원 공급 장치
JP6344086B2 (ja) 制御装置
KR102239083B1 (ko) 조명 장치 구동 회로 및 방법
KR20140122509A (ko) 전원 장치 제어 회로
JP2014229467A (ja) 照明装置
KR101869105B1 (ko) 전원 장치 제어 회로
JP5478347B2 (ja) 光源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JP6173183B2 (ja) 非常用点灯ユニット及び非常灯器具
JP6667600B2 (ja) 非常用照明制御装置
US20150364950A1 (en) Auxiliary excitation device of a gen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excitation of the same
JP5457963B2 (ja) 無停電電源装置
JP6354174B2 (ja) 非常用照明装置
JP5971227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