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1242A - 프로펠러 보스캡과 이를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 Google Patents
프로펠러 보스캡과 이를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21242A KR20140121242A KR1020130037771A KR20130037771A KR20140121242A KR 20140121242 A KR20140121242 A KR 20140121242A KR 1020130037771 A KR1020130037771 A KR 1020130037771A KR 20130037771 A KR20130037771 A KR 20130037771A KR 20140121242 A KR20140121242 A KR 201401212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ss
- boss cap
- cap
- body portion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63H1/14—Propellers
- B63H1/28—Other means for improving propeller efficienc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0—Mounting of propulsion plant or unit, e.g. for anti-vibration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63H1/14—Propellers
- B63H1/28—Other means for improving propeller efficiency
- B63H2001/283—Propeller hub caps with fins having a pitch different from pitch of propeller blades, or a helix hand opposed to the propellers' helix ha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부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보스에 결합되는 보스캡과, 상기 보스캡으로부터 돌출되게 상기 보스캡에 결합되는 핀을 포함하고, 상기 핀은 상기 보스캡에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가 상기 보스캡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1축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1돌출부재 및 제2돌출부재를 포함하는 프로펠러 보스캡과 이를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스캡에 결합되는 핀은 보스의 후방에 발생하는 소용돌이를 분산하여 소용돌이가 발생함에 따른 회전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추진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스캡에 결합되는 핀은 보스의 후방에 발생하는 소용돌이를 분산하여 소용돌이가 발생함에 따른 회전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추진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선박을 추진하게 하는 프로펠러 보스캡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선박용 추진장치에 의해 추진된다. 선미 하부에 장착된 선박용 추진장치에 의해 추진력이 발생되고, 선박용 추진장치에 의해 발생한 추진력에 의해 선박이 운항하게 된다.
선박용 추진장치로는 프로펠러가 사용된다. 프로펠러는 구동축을 통하여 전달된 구동부의 동력을 배 밖의 물과 작용하여 추진력으로 변화시켜 배를 추진시키는 장치다. 이와 같은 프로펠러 중에서 스크류 프로펠러는 다른 추진장치에 비해 추진효율이 높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기 때문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1)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2)와, 상기 구동부(2)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보스(3)와, 상기 보스(3)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4)로 구성된다.
상기 보스(3)는 상기 구동부(2)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보스(3)가 회전하면, 상기 보스(3)에 설치된 상기 블레이드(4)들도 회전하게 된다.
상기 블레이드(4)들은 회전하면서 회전력을 추진력으로 변화시킨다. 상기 블레이드(4)들은 회전하면서 상기 보스(3)의 후방에 있는 물을 밀어 내고, 이러한 힘에 대한 반작용으로 추진력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추진력에 의해 배가 앞으로 전진하게 된다. 그러나, 회전하는 블레이드(4)들과의 마찰력에 의해 블레이드(4)에 의해 밀리는 물이 직선 운동하지 않고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보스(3)의 후방에 소용돌이(와류)가 발생하게 된다.
위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1)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첫째,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1)에 의하면 상기 보스(3)의 후방에 소용돌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소용돌이가 발생한다는 것은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추진력을 발생시켜야 할 에너지의 일부가 소용돌이를 만드는데 소모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블레이드(4)들이 회전력을 추진력으로 바꾸는 비율을 추진장치의 효율이라고 정의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1)는 소용돌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추진장치의 효율이 저하되어 문제가 된다.
둘째,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1)에 의하면, 상기 보스(3)의 후방에 발생하는 소용돌이에 의해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1)에 인접한 물의 흐름이 불균일하게 된다. 이러한 불균일한 물의 흐름은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1)를 진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진동이 발생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1)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블레이드에 의해 발생하는 소용돌이를 분산시킬 수 있는 프로펠러 보스캡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보스캡은 구동부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보스에 결합되는 보스캡; 상기 보스캡으로부터 돌출되게 상기 보스캡 에 결합되는 핀을 포함하고, 상기 핀은 상기 보스캡에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가 상기 보스캡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1축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1돌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보스캡은 구동부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보스에 결합되는 보스캡; 상기 보스캡으로부터 돌출되게 상기 보스캡에 결합되는 핀을 포함하고, 상기 핀은 상기 보스캡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을 향할수록 두께가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는 구동부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보스; 상기 보스에 결합되어 구동부의 회전력을 추진력으로 변환하는 블레이드; 상기 보스에 결합되는 보스캡; 상기 보스캡으로부터 돌출되게 상기 보스캡에 결합되는 핀을 포함하고, 상기 핀은 단면의 형상이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보스캡에 결합되는 핀은 보스의 후방에 발생하는 소용돌이를 분산하여 소용돌이가 발생함에 따른 회전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추진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소용돌이를 감소시킴에 따라, 소용돌이에 따른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선박용 추진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보스캡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핀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5는 도 4에서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4에서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선박용 추진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보스캡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핀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5는 도 4에서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4에서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보스캡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보스캡(100)은 보스(400)에 결합된 블레이드(500)의 회전에 따라 보스(400)의 후방에 발생하는 소용돌이를 발산시켜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보스캡(100)은 상기 보스(400)에 결합되는 보스캡(200)과, 상기 보스캡(200)으로부터 돌출되게 상기 보스캡(200)에 결합되는 핀(300)을 포함한다.
상기 보스캡(200)은 상기 보스(400)에 결합된다. 상기 보스캡(200)은 상기 보스(400)가 구동부(600)의 회전력에 따라 회전하면 상기 보스(400)와 함께 회전한다.
상기 핀(300)은 상기 보스캡(200)으로부터 돌출되게 상기 보스캡(200)에 결합된다. 상기 핀(300)은 상기 보스캡(200)이 회전하면 상기 보스캡(200)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보스캡(100)은 상기 보스(400)의 후방에 발생하는 소용돌이를 발산시켜 감소시킨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보스캡(100)이 포함하는 상기 핀(300)은 상기 블레이드(500)에서 상기 보스(400)의 후방으로 토출된 물의 흐름을 정류(整流)시킨다. 상기 핀(300)이 물의 흐름을 정류시킴에 따라 소용돌이는 발산(확산)되어 감소된다.
상기 보스(400)의 후방에 발생하는 소용돌이가 감소함에 따라, 상기 구동부(600)의 회전력 중 소용돌이에 의해 소모되는 회전력의 양이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보스캡(100)은 상기 구동부(600)에서 발생한 회전력이 소용돌이에 의해 소모되는 것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구동부(600)에서 발생한 회전력이 추진력으로 바뀌는 비율을 증가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보스캡(100)은 추진력을 발생시켜야 할 에너지가 소용돌이를 만드는데 소모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보스캡(100)은 추진장치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보스캡(100)이 상기 보스(400)의 후방에 흐르는 물의 흐름을 정류시켜 균일하게 한다. 상기 보스(400)의 후방에 흐르는 물의 흐름이 정류되어 균일하게 되면, 상기 보스(400) 또는 상기 블레이드(500)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스(400) 또는 상기 블레이드(500)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핀(300)은 상기 보스캡(200)에 결합되는 몸체부(310)와, 상기 몸체부(310)가 상기 보스캡(200)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1축방향(X축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1돌출부재(32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1돌출부재(320)에 의해 상기 핀(300)은 유선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320)에 의해 상기 핀(300)이 유선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핀(300)이 물의 흐름을 더욱 균일하게 정류할 수 있게 한다. 즉, 유선형의 핀(300)은 상기 핀(300)과 상기 물 사이에 발생하는 저항을 최소화하여 소용돌이를 더욱 완전하게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블레이드(500)에서 유입되어 토출되는 물은 회전하는 상기 블레이드(500)와의 마찰에 의해 소용돌이치게 된다. 이러한 물의 흐름에 따라 상기 보스(400)의 후방에 소용돌이가 발생한다. 이러한 소용돌이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보스캡(100)의 핀(300)들이 회전하면서 발산되어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보스캡(100)은 상기 핀(300)이 상기 제1돌출부재(320)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상기 핀(300)이 유선형으로 형성되게 된다. 상기 유선형의 상기 핀(300)은 상기 핀(300)과 물 사이에 발생하는 물의 흐름을 최대한 균일하게 정류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보스캡(100)은 상기 핀(300)과 접촉하는 물이 상기 핀(300)을 따라 부드럽게 흐르도록 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보스캡(100)은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보스캡(100)은 상기 보스(400) 후방의 물의 흐름을 최대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스(400)의 후방에 발생하는 소용돌이를 최대한 감소시키거나 제거시킬 수 있고, 소용돌이에 의해 상기 구동부(600)의 회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보스캡(100)은 추진장치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보스 캡(100)은, 상기 핀(300) 유선형 형태를 대칭형, 비대칭형 형태로 바꿈으로써 유선형 형태의 다양성을 부여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보스캡(100)은 물 흐름의 정류에 따라 프로펠러 보스캡(100)이 진동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보스캡(100)이 진동하는 것이 최소화 됨에 따라, 진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이나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보스캡(100)은 물 흐름을 정류함에 따라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보스캡(100)의 내구성 증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핀(300)을 더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보스캡(200)과, 상기 핀(300)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보스캡(200)은 상기 보스(400)에 결합된다. 상기 보스캡(200)은 상기 보스(400)와 함께 회전한다. 상기 보스캡(200)은 상기 보스캡(200)에 결합되는 핀(300)의 회전축으로 기능한다.
상기 보스캡(200)은 후면이 평편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스캡(200)의 단면의 형상은 원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핀(300)은 상기 보스캡(200)에 결합되는 몸체부(310)와, 상기 몸체부(310)가 상기 보스캡(200)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1축방향(X축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1돌출부재(32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310)는 상기 제2축방향(Y축방향)을 기준으로 일단(311)과, 타단(312)을 포함한다.
상기 제1돌출부재(320)는 상기 핀(300)과 접촉하는 물이 상기 핀(300)을 따라 부드럽게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돌출부재(320)는 상기 제1축방향(X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310)의 반대쪽을 향하는 제1접촉면(321)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접촉면(321)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돌출부재(320)는 상기 핀(300)이 물 흐름을 최대한 정류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320)는 다음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320)는 상기 제2축방향(Y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310)의 일단(311)에서 타단(312)을 향할수록 두께가 증가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돌출부재(320)는 상기 제2축방향(Y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310)의 일단(311)에서 타단(312)을 향할수록 상기 제1접촉면(321)이 곡면을 이루면서 부드럽게 두께가 증가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320)가 위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핀(300)과 접촉하는 물이 상기 핀(300)을 따라 부드럽게 흐를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돌출부재(320)는 다음과 같은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320)는 상기 제2축방향(Y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310)의 일단(311)과 타단(312) 사이에 배치되는 제1언덕부(322)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310)의 일단(311)에서 상기 제1언덕부(322)를 향할수록 두께가 커지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310)의 타단(312)에서 상기 제1언덕부(322)를 향할수록 두께가 커지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310)의 일단(311)과 타단(312)에서 최소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언덕부(322)는 상기 제2축방향(Y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310)의 일단(311)과 타단(31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일단(311)과 상기 타단(312) 중 어느 하나에 치우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320)는 다음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320)는 상기 몸체부(310)의 일단(311)과 상기 몸체부(310)의 타단(312)의 중간(中間)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이 서로 대칭(對稱)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320)는 상기 몸체부(310)의 일단(311)과 상기 몸체부(310)의 타단(312)의 중간(中間)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이 서로 비대칭(非對稱)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핀(300)은 상기 몸체부(310)에서 상기 제1돌출부재(320)가 형성된 일면에 대해 반대되는 타면으로부터 상기 제1축방향(X축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돌출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부(310)의 양면에 돌출부재(320, 3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재(330)는 상기 제1돌출부재(320)와 마찬가지로 상기 핀(300)과 물 흐름을 최대한 정류하기 위해 형성된다. 즉, 상기 제2돌출부재(330)는 상기 핀(300)과 접촉하는 물이 상기 핀(300)과 충돌하지 않고 상기 핀(300)을 따라 부드럽게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돌출부재(330)는 상기 제1축방향(X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310)의 반대쪽을 향하는 제2접촉면(331)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접촉면(331)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돌출부재(330)는 상기 제1돌출부재(320)와 마찬가지로 상기 핀(300)과 물 흐름을 최대한 정류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재(330)는 다음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재(330)는 상기 제2축방향(Y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310)의 일단(311)에서 타단(312)을 향할수록 두께가 증가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돌출부재(330)는 상기 제2축방향(Y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310)의 일단(311)에서 타단(312)을 향할수록 상기 제2접촉면(331)이 곡면을 이루면서 부드럽게 두께가 증가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재(330)는 다음과 같은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재(330)는 상기 제2축방향(Y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310)의 일단(311)과 타단(312) 사이에 배치되는 제2언덕부(332)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310)의 일단(311)에서 상기 제2언덕부(332)를 향할수록 두께가 커지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310)의 타단(312)에서 상기 제2언덕부(332)를 향할수록 두께가 커지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310)의 일단(311)과 타단(312)에서 최소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언덕부(332)는 상기 제2축방향(Y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310)의 일단(311)과 타단(31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일단(311)과 상기 타단(312) 중 어느 하나에 치우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돌출부재(330)는 다음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돌출부재(330)는 상기 몸체부(310)의 일단(311)과 상기 몸체부(310)의 타단(312)의 중간(中間)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이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재(330)는 상기 몸체부(310)의 일단(311)과 상기 몸체부(310)의 타단(312)의 중간(中間)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이 서로 비대칭(非對稱)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돌출부재(330)는 상기 몸체부(310)를 기준으로 상기 제1돌출부재(320)와 대칭되거나 비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핀(300)이 위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상기 제1돌출부재(320)와 상기 제2돌출부재(330)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핀(300)은 전체적으로 유선형 형태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핀(300)이 포함하는 상기 제1돌출부재(320)와 상기 제2돌출부재(330)가 상기 몸체부(310)의 일단(311)과 상기 몸체부(310)의 타단(312)의 중간(中間)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이 서로 대칭(對稱)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핀(300)은 전체적으로 중심부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 유선형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핀(300)이 이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핀(300)과 접촉하는 물이 최대한 부드럽게 상기 핀(300)을 따라 흐를 수 있게 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보스캡(100)이 상기 보스(400)에 물의 흐름을 최대한 균일하게 정류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보스캡(100)의 상기 핀(300)이 위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500)에 의해 발생된 소용돌이는 최대한 발산되어 감소되거나 소멸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상기 핀(300)의 형상은 도 4에서 Ⅰ-Ⅰ선에 따른 상기 핀(300)의 단면의 형상을 설명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에서 Ⅱ-Ⅱ선에 따른 상기 핀(300)의 단면의 형상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서 Ⅱ-Ⅱ선에 따른 상기 핀(300)의 단면의 형상 역시 상기 핀(300)과 접촉하는 물이 상기 핀(300)을 따라 부드럽게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300)은 상기 핀(300)이 상기 보스캡(200)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핀(300)이 이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더라도, 상기 핀(300)이 상기 제1돌출부재(320)와 상기 제2돌출부재(330)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핀(300)에 접촉하는 물이 상기 핀(300)을 따라 부드럽게 흐를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핀(300)에 접촉하는 물이 상기 핀(300)을 따라 더욱 부드럽게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핀(300)은 상기 핀(300)이 상기 보스캡(200)에서 돌출되는 방향을 향할수록 두께가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를 에어포일(airfoil) 형태라고 한다. 즉, 상기 핀(300)은 비행기의 날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핀(300)이 위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핀(300)과 접촉하는 물이 최대한 부드럽게 상기 핀(300)을 따라 흐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보스캡(100)이 상기 보스(400) 후방에 물의 흐름을 최대한 균일하게 정류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보스캡(100)은 상기 블레이드(500)에 의해 발생된 소용돌이를 최대한 발산하여 감소시키거나 소멸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보스캡(200)에는 상기 핀(300)이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핀(300)들은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보스캡(2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핀(300)들은 나선형 형태로 상기 보스캡(200)에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보스캡(200)에 상기 핀(300)이 4개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핀(300) 설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1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추진장치(10)는 구동부(60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보스(400)와, 상기 보스(400)에 결합되어 구동부(600)의 회전력을 추진력으로 변환하는 블레이드(500)와, 상기 보스에 결합되는 프로펠러 보스캡(1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펠러 보스캡(100)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보스캡(100)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보스(400), 상기 블레이드(500)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보스(400)는 상기 구동부(600)와 구동축(700)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구동부(600)의 회전력은 상기 구동축(700)을 통해 상기 보스(400)에 전달된다. 즉, 상기 구동부(600)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구동축(700)이 회전하면, 상기 구동축(700)에 결합된 상기 보스(400)도 상기 구동축(700)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상기 보스(400)는 상기 보스(400)에 결합되는 블레이드(500)의 회전축으로 기능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블레이드(500)는 상기 보스(400)에 결합된다. 상기 블레이드(500)는 상기 보스(400)에 결합되어, 상기 보스(400)와 함께 회전한다. 상기 블레이드(500)는 상기 보스(400)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부(600)의 회전력을 추진력으로 변환한다. 즉, 상기 블레이드(500)는 회전하면서 물을 밀고,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추진력이 발생된다.
상기 보스(400)에는 상기 블레이드(500)가 복수개 결합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보스(400)에는 상기 블레이드(500)가 총 4개가 결합되어 있으나, 상기 블레이드(500)의 수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500)의 형상은 우회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선박에 전진하게 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블레이드(500)는 좌회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블레이드(500)가 좌회선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프로펠러 보스캡(100)의 상기 핀(300)의 각도도 변경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선박용 추진장치 100 : 프로펠러 보스캡
200 : 보스캡 300 : 핀
310 : 몸체부 320 : 제1돌출부재
330 : 제2돌출부재
400 : 보스 500 : 블레이드
600 : 구동부 700 : 구동축
200 : 보스캡 300 : 핀
310 : 몸체부 320 : 제1돌출부재
330 : 제2돌출부재
400 : 보스 500 : 블레이드
600 : 구동부 700 : 구동축
Claims (16)
- 구동부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보스에 결합되는 보스캡;
상기 보스캡으로부터 돌출되게 상기 보스캡에 결합되는 핀을 포함하고,
상기 핀은 상기 보스캡에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가 상기 보스캡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1축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1돌출부재를 포함하는 프로펠러 보스캡.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재는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할수록 두께가 증가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 보스캡.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재는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위치하는 제1언덕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상기 제1언덕부를 향할수록 두께가 커지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서 상기 제1언덕부를 향할수록 두께가 커지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일단과 타단에서 최소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 보스캡.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과 상기 몸체부의 타단의 중간(中間)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이 서로 대칭(對稱)되거나 비대칭(非對稱)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 보스캡.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재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의 반대쪽을 향하는 제1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접촉면은 곡면을 이루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 보스캡.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제1돌출부재가 형성된 일면에 대해 반대되는 타면으로부터 상기 제1축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 보스캡.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부재는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할수록 두께가 증가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 보스캡.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부재는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위치하는 제2언덕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상기 제2언덕부를 향할수록 두께가 커지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서 상기 제2언덕부를 향할수록 두께가 커지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일단과 타단에서 최소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 보스캡.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부재는 상기 몸체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돌출부재와 대칭(對稱)되거나 비대칭(非對稱)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 보스캡.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부재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의 반대쪽을 향하는 제2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접촉면은 곡면을 이루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 보스캡.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에어포일(AirFoil)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 보스캡.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보스캡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을 향할수록 두께가 감소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 보스캡.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보스캡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 보스캡. - 구동부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보스에 결합되는 보스캡;
상기 보스캡으로부터 돌출되게 상기 보스캡에 결합되는 핀을 포함하고,
상기 핀은 상기 보스캡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을 향할수록 두께가 감소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 보스캡. - 구동부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보스;
상기 보스에 결합되어 구동부의 회전력을 추진력으로 변환하는 블레이드;
상기 보스에 결합되는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프로펠러 보스캡을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 구동부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보스;
상기 보스에 결합되어 구동부의 회전력을 추진력으로 변환하는 블레이드;
상기 보스에 결합되는 보스캡;
상기 보스캡으로부터 돌출되게 상기 보스캡에 결합되는 핀을 포함하고,
상기 핀은 단면의 형상이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7771A KR20140121242A (ko) | 2013-04-05 | 2013-04-05 | 프로펠러 보스캡과 이를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7771A KR20140121242A (ko) | 2013-04-05 | 2013-04-05 | 프로펠러 보스캡과 이를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1242A true KR20140121242A (ko) | 2014-10-15 |
Family
ID=51992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37771A KR20140121242A (ko) | 2013-04-05 | 2013-04-05 | 프로펠러 보스캡과 이를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121242A (ko) |
-
2013
- 2013-04-05 KR KR1020130037771A patent/KR2014012124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3011894A (ja) | 船舶の推進装置 | |
KR101780910B1 (ko) | 덕트 장치 | |
KR20140121243A (ko) | 프로펠러 보스캡과 이를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 |
US9376186B2 (en) | Marine tunnel thruster | |
KR101225169B1 (ko) | 추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 |
KR20140121242A (ko) | 프로펠러 보스캡과 이를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 |
CN110435864B (zh) | 吊舱驱动器 | |
KR101506050B1 (ko) | 선박용 덕트 구조체 | |
KR20120068250A (ko) | 선박용 덕트 구조체 | |
KR20150086997A (ko) | 반류 저감 덕트 | |
KR20140093345A (ko) | 선박용 추진 장치 | |
KR20120105228A (ko) | 핀을 구비한 프로펠러 보스캡 | |
KR20150145333A (ko) | 선박용 추진장치 | |
KR20150135906A (ko) | 외측 핀이 장착된 프로펠러 덕트 | |
JP2013129408A (ja) | 船舶および船舶製造方法 | |
JP2013043632A (ja) | 船舶の非対称ねじれ流動制御フィン | |
KR101958985B1 (ko) | 비대칭형 핀을 갖는 보스캡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장치 | |
KR20140015929A (ko) | 선박용 추진 장치 | |
KR20150115150A (ko) | 해양 항해용 추진장치 | |
JPS58126288A (ja) | 船舶用推進器 | |
KR101381464B1 (ko) | 선박용 러더 | |
KR20190115719A (ko) | 선박용 프로펠러 | |
KR101381526B1 (ko) | 선박용 추진 장치 | |
KR20120110232A (ko) | 선박의 방향타에 구비되는 추진효율 증대 구조체 | |
US8042483B2 (en) | Apparatus for control of stator wak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