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9877A - Pvc 졸의 여과특성 측정용 pvc 수지, pvc 졸 조성물,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Pvc 졸의 여과특성 측정용 pvc 수지, pvc 졸 조성물,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9877A
KR20140119877A KR1020130033561A KR20130033561A KR20140119877A KR 20140119877 A KR20140119877 A KR 20140119877A KR 1020130033561 A KR1020130033561 A KR 1020130033561A KR 20130033561 A KR20130033561 A KR 20130033561A KR 20140119877 A KR20140119877 A KR 20140119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vc
filtration
load
weight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3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6918B1 (ko
Inventor
배흥권
이현민
김한홍
이찬희
이광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30033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918B1/ko
Publication of KR20140119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9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4/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 C08F14/02Monomers containing chlorine
    • C08F14/04Monomers containing two carbon atoms
    • C08F14/06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C08F2/24Emulsion polymerisation with the aid of emulsify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 area of porous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VC 졸의 여과특성 측정용 PVC 수지, PVC 졸 조성물,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여과 망을 단독 사용하여 측정하여 오던 여과특성 측정 방법의 불확실성을 여과특성 불량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를 고려하여 재현성있고 간단하며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염화비닐계 수지를 가공시 적합한 배합 조건을 제시하거나 여과 불량을 사전에 감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PVC 졸의 여과특성 측정용 PVC 수지, PVC 졸 조성물,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 {PVC RESIN FOR MEASURING FILTRATION PROPERTY OF PVC SOL, PVC SOL COMPOSITION, MEASUREMENT METHOD OF THE SAME, AND MEASUREMENT APPARATUS OF THE SAME}
본 발명은 PVC 졸의 여과특성 측정용 PVC 수지, PVC 졸 조성물,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여과 망을 단독 사용하여 측정하여 오던 여과특성 측정 방법의 불확실성을, 여과특성 불량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를 고려하여 재현성있고 간단하며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PVC 졸의 여과특성 측정용 PVC 수지, PVC 졸 조성물,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이 불가하며 가공의 용이성을 부여하기 위해 수지를 유연하게 만들어 주는 가소제와 이에 따른 점도 상승을 조절해주는 점도 저하제 그리고 이용 목적에 적합하도록 물성을 조절해주는 기타 가공 조제들이 함께 배합된다.
하지만 배합 조건에 따라 불량을 발생할 수 있는 이물 등이 졸 내에 잔류하여 여과 공정을 다시 거쳐 제품을 가공한다. 이때 염화 비닐 수지 혹은 기타 가공 조제들의 특성으로 가소제 상에서 여과 특성에 따라 고루 배합되지 않고 뭉친 입자들이 그대로 존재하면 여과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염화 비닐 수지에서 여과 불량 발생은 염화비닐 수지의 입자와 가소제와의 상용성에 따라 달라지며, 이밖에 염화비닐 수지 중합시 사용되는 유화제의 함량, 저장 도중 혹은 이송 중 가해지는 압력, 그리고 외기 온도와 습도 조건 등이 존재한다.
관련 종래 기술로는 여과 망을 단독 사용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으나, 여과특성 측정 방법의 불확실성을 해결하고 재현성을 갖춘 새로운 여과특성 측정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기존 여과특성 측정 방법의 불확실성을 해결하는 PVC 졸의 여과특성 측정용 PVC 수지, PVC 졸 조성물,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입경 혹은 평균 입경이 0.1 내지 2 ㎛인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를 여과 불량 팩터 제거 처리하여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수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특성 측정 대상 PVC 졸; 및 상술한 PVC 수지; 로 구성되는 여과특성 측정용 PVC 졸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PVC 졸 조성물을 교반시키는 단계; 및
수득된 교반 물질을 여과 망에 통과시키고 미통과 잔류물 개수를 측정하는 단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졸의 여과특성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측정 대상 PVC 졸의 제조장치;
상기 PVC 졸의 여과특성 판별 성분 제조장치;
상기 측정 대상 PVC 졸과 PVC 졸의 여과특성 판별 성분간 교반장치; 및
상기 교반장치로부터 수득된 교반물의 여과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졸의 여과특성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여과 불량 팩터”란 PVC 졸의 여과특성에 불량을 일으키는 요인이라면 특정하지 않는 것으로, 일례로 염화비닐계 수지 내 수분 함량, 저장 도중 혹은 이송시의 압력 등을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잔류물”이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뭉쳐진 PVC 수지가 PVC 졸 상에 교반시 입자간 뭉침 정도가 심해 가소제가 교반되면서 뭉쳐진 입자 사이로 침투하지 못해 교반 후 발생하는 이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례로 여과 망의 미통과 물질을 지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를 여과 불량 팩터 제거 처리하여 수득된 PVC 수지를 제공하는데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일례로, 상기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는 입경 혹은 평균 입경이 0.1 내지 2 ㎛, 혹은 1 내지 2 ㎛이고 유화 중합에 의해 제조된 PVC 페이스트 수지라면 특정하는 것은 아니나, 일례로 유화제로서 소디움 나프탈렌산염,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소디움 도데실벤젠 설포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사용하여 수득된 수지일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페이스트 수지는 캐스팅 공법을 적용할 수 있고, 코팅 혹은 디핑 가공을 거치게 된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는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에 설페이트계 유화제를 0.1 내지 5 중량부 혹은 0.1 내지 1 중량부 범위 내로 투입하고 마이크로 시드 중합에 의해 수지를 제조한 다음, 중합 후 첨가제로서 포스페이트계 유화제를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1 중량부, 0.1 내지 0.7 중량부, 혹은 0.3 내지 0.7 중량부 범위 내로 투입하고 수득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여과특성 측정 대상 PVC 졸은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으로 가소제 10 내지 100 중량부, 20 내지 80 중량부, 혹은 40 내지 70 중량부 범위 내로 배합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PVC 졸 제조시 사용하는 가소제라면 특정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여과 불량 팩터를 제거하는 처리란 일례로 열처리 및 하중 부하처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열처리 후 하중 부하처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처리는 수분과 온도 등 외기 조건에 민감성을 제거할 목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일례로 40 내지 68 ℃, 45 내지 60 ℃ 혹은 48 내지 55 ℃ 하에 1 내지 5 시간, 혹은 2 내지 4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열처리는 여과특성 측정에 있어 실험 오차를 줄이는데 필요한 단계로 PVC 수지의 여과특성은 본 중합 혹은 중합 후 첨가제로 투여되는 유화제의 종류와 함량에 따라 입자들이 지니는 표면 성질이 달라짐에 기인되는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PVC 수지의 입경 혹은 평균 입경이 미세하여 외기에 수분과 온도 조건에 따라 PVC 수지가 흡수하는 수분 함량이 달라지게 된다.
한편, 상기 흡습성은 여과특성 측정에 방해 인자로 작용할 수 있는데, 이는 중합 후 PVC 수지를 저장 탱크에 보관 또는 이송시 이송 차량에서 받는 하중이 모두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입자 사이에 존재하는 수분은 PVC 수지에 하중이 가해질 때 바인더로 작용해 입자 뭉침(coagulum)에 도움이 되기 때문인데 이로 인해 PVC 수지 자체가 가지는 여과특성은 열처리 후 정확하게 평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중부하를 위한 하중은 PVC 수지 보관 또는 이송 도중 받을 수 있는 하중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며, 일례로 하기식 1에 의해 계산된 하중 부하는 실제 하중 기준 0.5 내지 1.0배 범위 내일 수 있다.
[식 1]
하중 부하(kg/cm2) = [추의 무게(kg)] / [하중 받는 면적(cm2)]
상기 식 1에서 하중 받는 면적은 반지름x반지름x원주률 등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 130톤의 PVC 레진을 사일로(silo)에서 보관시 0.66kg/cm2의 하중을 받을 때 제작된 추가 10kg이며 하중을 받는 면적이 원형으로 반지름 3cm이면 상기 식 1에 의해 계산된 하중 부하값은 10kg [추의 무게] / 3x3x3.14 [반지름x반지름x원주률]로서 0.35kg/cm2으로 계산된다.
상술한 여과 불량 팩터 제거 처리를 거친 수지는 여과특성 측정 대상 PVC 졸을 구성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25 중량부, 10 내지 20 중량부, 혹은 12 내지 15 중량부 범위 내로 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여과특성 측정용 PVC 졸 조성물은 구체적인 예로 여과특성 측정 대상 PVC 졸; 및 상술한 PVC 수지; 로 구성되는데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적절한 PVC 졸은 점도가 1,000 내지 10,000 cps, 혹은 3,000 내지 7,000 cps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PVC 졸의 여과특성 측정 방법은, 이에 특정하는 것은 아니나, 일례로 PVC 졸 조성물을 교반시키는 단계; 및 수득된 교반 물질을 여과 망에 통과시키고 미통과 잔류물 개수를 측정하는 단계; 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교반은 일정한 점도에서 하중이 가해진 PVC 레진을 교반시켜 동일한 분쇄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것으로, PVC 수지, 가소제, 기타 첨가물이 교반되어 점도가 일정한 졸의 형상을 띄게 하는 교반 조건이라면 특정하지 않으나, 일례로 대기압(상압), 상온에서 60℃ 이하 온도 범위, 혹은 상온에서 100 내지 1500 rpm, 혹은 500 내지 1000 rpm 조건하에 수행할 수 있다. 교반 시간 또한 특정하는 것은 아니나, 1 내지 10분, 혹은 1 내지 5 분 정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여과 망은 이에 특정하는 것은 아니나, 측정의 간편성을 고려하여 60 내지 120 메쉬, 70 내지 100 메쉬, 혹은 70 내지 90 메쉬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여과 망의 재질은 통상 사용하는 스테인레스(SUS) 혹은 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여과특성은 동일한 교반 조건 하에 교반 후 여과 망에 남게 되는 입자 개수에 반비례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여과특성 측정 방법에 있어 PVC 졸의 여과특성은, 미통과 잔류물 개수가 30개 이하인 경우 정상 PVC 졸로 판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PVC, 졸의 여과특성 측정 장치는, 이에 특정하는 것은 아니나, 일례로 측정 대상 PVC 졸의 제조장치; 상기 PVC 졸의 여과특성 판별 성분 제조장치; 상기 측정 대상 PVC 졸과 PVC 졸의 여과특성 판별 성분간 교반장치; 및 상기 교반장치로부터 수득된 교반물의 여과장치; 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PVC 졸의 여과특성 판별 성분 제조장치는, 일례로 열처리 장치 및 하중 부하장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또 다른 일례로 열처리 장치 및 하중 부하장치로 순차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열처리 장치는 특정하는 것은 아니며, 일례로 대류식 열처리 장치일 수 있다.
상기 하중 부하장치는 형태와 무관하게 고정된 틀에 여과특성을 측정할 PVC 수지를 투입하고 하중을 가하는 장치라면 특정하지 않으며, 일례로 상방에서 하방으로 일방향(one-way) 하중을 부하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물의 여과장치는 이에 특정하는 것은 아니나,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60 내지 120 메쉬, 70 내지 100 메쉬, 혹은 70 내지 90 메쉬의 여과 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여과특성 불량 팩터를 인지하여 여과특성을 재현성있고 간단하며 정확하게 측정하고, 나아가 염화비닐계 수지를 가공시 적합한 배합 조건을 제시할 뿐 아니라 여과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 여과 망 상에 잔류한 잔류물을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실시예 1의 잔류물이 30개 이하로서 여과 특성이 정상인 상태를 그리고, (b)는 실시예 2의 잔류물이 30개 초과로서 여과 특성이 불량인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 제조예 1]
중합 유화제로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를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으로 1 중량부 사용하여 마이크로 시드를 사용한 마이크로 시드 중합에 의해 PVC 레진을 제조한 다음 비이온계 유화제로 Kao사의 폴리옥시에틸렌 데실 에테르 인산계 유화제를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으로 0.7 중량부 함량을 중합 후 첨가제로서 사용하였다. 그 결과, 입경 혹은 평균 입경이 1.2㎛인 PVC 페이스트 수지를 수득하였다.
[ 제조예 2]
상기 제조예 1에서 비이온계 유화제로 Kao사의 폴리옥시에틸렌 데실 에테르 인산계 유화제를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으로 0.3 중량부 함량으로 중합 후 첨가제로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 입경 혹은 평균 입경이 1.2㎛인 PVC 페이스트 수지를 수득하였다.
[추가 제조예 1]
상기 제조예 1의 PVC 페이스트 수지 100 중량부, 가소제로 디옥틸프탈레이트(DOP) 60 중량부를 함께 800rpm에서 7분간 제조하여 졸의 점도가 3,500~5,000 cps 정도인 PVC 졸을 제조하였다.
[추가 제조예 2]
상기 추가 제조예 1에서 제조예 1 대신 제조예 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여, 졸의 점도가 3,500~5,000 cps 정도인 PVC 졸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열처리+하중 부하처리]
상기 제조예 1의 염화비닐 수지를 오븐에 넣어 약 50 ℃로 2시간 동안 열처리시켰다. 열처리된 수지 15g을 원기둥 형태 틀(반지름:3cm)에 투입하고 30kg의 추를 사용하여 위에서 아래로 3분간 하중을 가하여 압축시켰다. 여기서, 하중 부하는 상기 식 1에 따라, [추의 무게(kg)] / [하중 받는 면적(cm2)]으로서 30/(3x3x3.14)에 의해 계산된 1.05 kg/cm2를 적용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압축시킨 염화비닐 수지 15g을 상기 추가 제조예 1의 PVC 졸 100g와 디옥틸프탈레이트(DOP) 가소제 60중량부를 800 rpm으로 7분간 교반하던 중 넣어 상압, 상온 하에 3분간 일정하게 교반하였다. 교반 완료 후 PVC 졸을 80 mesh 스테인레스 재질의 여과망(제품명: SUS 304)에 부은 결과, 미통과 잔류물이 관찰되지 않아 여과 특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비를 위하여, 종래 여과특성 판단 방식을 적용하여 80 mesh 여과망(스테인레스 재질)을 통과시켜본 결과, 여과망 1회 통과를 확인하였다. 참고로, 상기 여과망 통과 횟수는 3회 이하이면 여과특성이 좋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제조예 1의 PVC 레진은 여과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 실시예 2:열처리+하중 부하처리]
상기 제조예 2의 염화비닐 수지를 오븐에 넣어 약 50 ℃로 2시간 동안 열처리시켰다. 열처리된 수지 15g을 원기둥 형태 틀(반지름:3cm)에 투입하고 30kg의 추를 사용하여 위에서 아래로 3분간 하중을 가하여 압축시켰다. 여기서, 하중 부하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식 1에 의해 계산된 1.05 kg/cm2를 적용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압축시킨 염화비닐 수지 15g를 상기 추가 제조예 2의 PVC 졸 85g와 가소제인 DOP 60중량부를 800 rpm으로 7분간 교반하던 중 넣어 상압, 상온 하에 3분간 일정하게 교반하였다. 교반 완료 후 PVC 졸을 80 mesh SUS 재질의 여과 망에 부은 결과, 미통과 잔류물이 200개 이상 관찰되었으므로 여과 특성이 불량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잔류물은 배합시 발생하는 마찰열로 인해 잔류물의 표면에 딱딱한 피막이 육안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대비를 위하여 종래 여과특성 판단 방식을 적용하여 80 mesh 여과망(스테인레스 재질)을 통과시켜본 결과, 여과망 6회 통과를 확인하였다. 참고로, 상기 여과망 통과 횟수가 3회를 초과하므로, 제조예 2의 PVC 레진은 여과 특성이 불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실험 결과 제조예 1 및 2의 PVC 졸에 추가 제조예 1 및 2의 여과특성 측정용 PVC 수지를 각각 사용한 실시예 1 및 2의 경우 종래 여과망 반복 통과 방식과 동일한 결과를 제공할 뿐 아니라, 여과 불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팩터를 고려하여 적절히 배제함으로써 PVC 졸의 여과 불량을 재현성있게 판별할 수 있는 이점 또한 제공할 수 있음을 규명할 수 있었다.
추가 시험예 1 :하중 부하처리 단독 수행시
상기 실시예 1에서 열처리 단계를 생략(하중부하 단계는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실험을 반복한 결과, 미통과 잔류물이 관찰되지 않았다.
추가 시험예 2 :열처리 단독 수행시
상기 실시예 1에서 하중부하 단계를 생략(열처리 단계는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실험을 반복한 결과, 미통과 잔류물이 관찰되지 않았다.

Claims (17)

  1. 입경 혹은 평균 입경이 0.1 내지 2 ㎛인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를 여과 불량 팩터 제거 처리하여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수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는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에 설페이트계 유화제를 0.1 내지 5 중량부 투입하고 마이크로 시드 중합에 의해 제조하고,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 기준으로 포스페이트계 유화제 0.1 내지 1 중량부 투입하고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수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불량 팩터 제거 처리는 열처리 및 하중 부하처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수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40 내지 68 ℃하에 1 내지 5 시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수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부하처리는, 하기 식 1에 의해 계산된 하중을 가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수지.
    [식 1]
    하중부하 = [추의 무게] / [하중을 받는 면적]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VC 수지는 여과특성 측정 대상 PVC 졸을 구성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25 중량부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수지.
  7. 여과특성 측정 대상 PVC 졸; 및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PVC 수지; 로 구성되는 PVC 졸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특성 측정 대상 PVC 졸은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 기준으로 가소제 10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졸 조성물.
  9. 제7항의 PVC 졸 조성물을 교반시키는 단계; 및
    수득된 교반 물질을 여과 망에 통과시키고 미통과 잔류물 개수를 측정하는 단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졸의 여과특성 측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단계는 대기압 하에 상온 내지 60℃ 이하에서 500 내지 1,000rpm 조건하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졸의 여과특성 측정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망은 60 내지 120 메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졸의 여과특성 측정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PVC 졸의 여과특성은 미통과 잔류물 개수가 30개 이하인 경우 정상 PVC 졸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졸의 여과특성 측정 방법.
  13. 측정 대상 PVC 졸의 제조장치;
    상기 PVC 졸의 여과특성 판별 성분 제조장치;
    상기 측정 대상 PVC 졸과 PVC 졸의 여과특성 판별 성분간 교반장치; 및
    상기 교반장치로부터 수득된 교반물의 여과장치;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졸의 여과특성 측정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PVC 졸의 여과특성 판별 성분 제조장치는, 열처리 장치 및 하중 부하장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졸의 여과특성 측정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장치는 대류식 열처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졸의 여과특성 측정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부하장치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일방향(one-way) 하중을 부하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졸의 여과특성 측정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물의 여과장치는 60 내지 120 메쉬의 여과 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졸의 여과특성 측정 장치.
KR1020130033561A 2013-03-28 2013-03-28 Pvc 졸의 여과특성 측정용 pvc 수지, pvc 졸 조성물,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 KR101656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561A KR101656918B1 (ko) 2013-03-28 2013-03-28 Pvc 졸의 여과특성 측정용 pvc 수지, pvc 졸 조성물,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561A KR101656918B1 (ko) 2013-03-28 2013-03-28 Pvc 졸의 여과특성 측정용 pvc 수지, pvc 졸 조성물,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877A true KR20140119877A (ko) 2014-10-13
KR101656918B1 KR101656918B1 (ko) 2016-09-13

Family

ID=51991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3561A KR101656918B1 (ko) 2013-03-28 2013-03-28 Pvc 졸의 여과특성 측정용 pvc 수지, pvc 졸 조성물,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9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136A (ko) * 2001-06-18 2002-12-3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격리막 제조방법
KR20110139326A (ko) * 2010-06-23 2011-12-29 주식회사 엘지화학 경시 점도 변화가 적은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 방법
KR20120051359A (ko) * 2010-11-12 2012-05-22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공물성이 우수한 분체상 페이스트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136A (ko) * 2001-06-18 2002-12-3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격리막 제조방법
KR20110139326A (ko) * 2010-06-23 2011-12-29 주식회사 엘지화학 경시 점도 변화가 적은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 방법
KR20120051359A (ko) * 2010-11-12 2012-05-22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공물성이 우수한 분체상 페이스트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6918B1 (ko) 201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o et al. Dispersion of carbon fibers in cement-based composites with different mixing methods
EP3185997B1 (en) Method for producing porous articles from alternating poly(ethylene tetrafluoroethylene) and articles produced therefrom
WO2017114439A1 (zh) 基于图像处理的硅橡胶表面藻类生长程度测量方法及装置
CN106642584A (zh) 一种空调运行的控制方法及装置
KR101656918B1 (ko) Pvc 졸의 여과특성 측정용 pvc 수지, pvc 졸 조성물,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
TW201805356A (zh) 偏二氯乙烯類樹脂薄膜、使用其之保鮮膜及該樹脂薄膜的製造方法
CN112669290A (zh) 图像比对方法及装置
CN110723923A (zh) 一种蛭石基柔性密封材料的制备方法
KR101404828B1 (ko) 경시 점도 변화가 적은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 방법
CN107427785A (zh) 用于液体浆料的pvdf粉末
CN106397710B (zh) 组合聚醚、聚氨酯原料组合物、泡沫及制备方法
JP2011169894A (ja) ひび割れ抑制コンクリートの品質管理試験方法
Karunanayake et al. Effect of magnesium and phosphate ions on the stability of concentrated natural rubber latex and the properties of natural rubber latex–dipped products
CN205382416U (zh) 一种便于耐久性病害检测的透明拉索
CN114862093A (zh) 一种基于bim的工程质量监理方法及系统
CN114202513A (zh) 一种基于物联网的建筑物保温墙体质量评价方法及系统
JP5914003B2 (ja) 誘電体用ポリ塩化ビニル系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用途
CN111879734A (zh) 一种pvc糊树脂塑化片吸水性的测试方法
CN110618058A (zh) 一种评价淀粉质量的方法
EP4357373A1 (en) Method for improving coagulating effect of fluororubber emulsion
JP2020041187A (ja) 焼結鉱の強度推定方法
CN113266559B (zh) 一种基于神经网络的混凝土输送泵堵塞的无线检测方法
CN115809187B (zh) 一种基于大数据筛选的无边框平板显示器废品处理方法
Zheng et al. Emulsion polymerization of methyl methacrylate and butyl acrylate using non-ionic polyurethane as emulsifier
CN109369851B (zh) 淀粉基发泡缓冲材料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