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8939A - 주류 또는 음료 용기용 위생커버 - Google Patents

주류 또는 음료 용기용 위생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8939A
KR20140118939A KR1020140101634A KR20140101634A KR20140118939A KR 20140118939 A KR20140118939 A KR 20140118939A KR 1020140101634 A KR1020140101634 A KR 1020140101634A KR 20140101634 A KR20140101634 A KR 20140101634A KR 20140118939 A KR20140118939 A KR 20140118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ide panels
sanitary cover
panel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덕
최영근
유명복
Original Assignee
(주) 어퓨커뮤니케이션즈
최광덕
유명복
최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어퓨커뮤니케이션즈, 최광덕, 유명복, 최영근 filed Critical (주) 어퓨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to KR1020140101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8939A/ko
Publication of KR20140118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89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41Glass or bottle holders for bottles; Deca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류나 음료수 등이 채워진 용기 외면에 간단하게 피복하여 사용하는 용기 커버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작이 간편한 구조를 갖고 결로수 흐름방지기능, 광고기능 및 사용자의 위생확보 기능을 충족할 수 있는 주류 또는 음료가 담긴 용기용 위생커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류 또는 음료 용기용 위생커버{Hygienical cover for liquid receptacle}
본 발명은 주류나 음료수 등이 채워진 용기 외면에 간단하게 피복하여 사용하는 용기 커버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작이 간편한 구조를 갖고 결로수 흐름방지기능, 광고기능 및 사용자의 위생확보 기능을 충족할 수 있는 주류 또는 음료 용기용 위생커버에 관한 것이다.
소주나 맥주등과 같은 주류는 물론 콜라, 사이다, 생수등과 같은 음료수들은 유리병 또는 플라스틱제 병이나 캔과 같은 용기에 채워진 상태로 제조되어, 특별한 보호커버 없이 깨지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적재되어 유통되고 있다.
그 결과 주류 또는 음료가 담긴 용기는 유통과정에서 다수의 먼지와 오염물질에 노출되어 매우 지저분한 상태로 주류 또는 음료를 판매하는 도매상 또는 소매상인 편의점, 수퍼나 식당에 도달하게 되지만, 판매자들은 더러워진 주류 또는 음료가 담긴 용기를 세제 등을 이용하여 섬세하게 세척하는 등 별도의 세정절차를 거치지 않고 눈에 보이는 먼지를 털어주는 것으로 이를 대신하게 되므로 눈에 보이지 않는 다수의 오염물질이 용기에 묻어 있는 상태로 판매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한편, 맥주나 음료수는 대체로 냉장 보관하여 차갑게 냉각시켜서 마실 때에 그 맛이 더욱 좋게 된다. 그래서, 술집이나 카페에서 맥주나 음료를 서빙할 때 차갑게 냉각시켜서 제공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이 병이나 캔에 담겨진 소주나 맥주 등의 술을 먹을 때는 일정한 온도로 차가워진 상태의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그리고 위와 같은 현상은 음료수를 마실 때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판매자들은 유통과정에서 다수의 오염물질로 오염된 주류 또는 음료가 담긴 용기를 단순히 먼지를 턴 후 냉장 보관하게 되고, 소비자들은 주류 또는 음료를 마시고자 할 경우에는 주로 냉장 보관된 상태의 음료를 마시게 된다.
이와 같이, 냉장상태의 주류 또는 음료가 담긴 용기를 냉장고 밖으로 꺼내게 되면 외부온도와의 차이에 의해 음료용기 외면에 결로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결로현상으로 인해 주류 또는 음료가 담긴 용기를 식탁위에 위치시키게 될 경우 용기 주변이 응결수로 인해 젖게 되므로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주류 또는 음료를 따르기 위해 용기를 집어 들게 되면, 용기 외면에 맺혀진 오염물질이 함유된 결로수가 식탁이나 음식물 위에 떨어지게 되므로 위생적이지 못한 상황이 벌어진다.
또한, 결로현상이 일어나 용기를 손으로 잡게 되면 손에도 더러운 응결수가 묻게 되는 폐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자칫 응결수에 의한 미끄러움 때문에 음료용기를 놓쳐 실수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뿐만 아니라 취급도중 주류 또는 음료가 담긴 용기를 바닥에 떨어뜨릴 경우에는 음료용기가 깨어지면서 유리파편이 사방으로 분산되므로 처리에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따르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하지만, 더욱 큰 문제는 통상 주류 또는 음료는 치킨이나 고기와 같이 먹는 경우가 많은데, 유통과정에서 오염물질로 오염된 용기를 손으로 잡아서 컵에 따른 다음 손을 닦는 별도의 절차 없이 자연스럽게 손으로 치킨이나 야채 등과 같은 음식을 먹게 되는 상황이 벌어지는 것이다.
즉, 소비자는 눈에 보이는 먼지가 없으므로 주류 또는 음료가 담긴 용기가 매우 깨끗한 것으로 인식하는 오류를 범하게 되지만 판매자들은 이러한 소비자의 오류를 시정해 주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점 중 결로현상으로 인한 결점을 극복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 제258472호는 대체로 병모양과 같이 구성하되, 상단에는 병의 주둥이 모양으로 좁게 구성되면서 구멍이 뚫린 목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병의 외경과 같이 구성된 개방부를 구성하고, 상기 개방부에 개폐식 두껑이 연결구성 되게 한 음료수 PET병 보냉주머니를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의 보냉주머니는 사용시 보냉효과나 응결수가 흘러내리면서 주위를 적시게 되는 문제점은 방지할 수 있겠지만 부직포나 직물원단을 재단, 봉재하여 보냉주머니를 제작하여야 할 뿐 아니라 하단부에 별도의 덮개를 개폐식으로 연결하여야 하므로 제작에 많은 번거로움이 있고 또한 제작경비상승을 초래하게 되므로 현실적으로 실용화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단의 뚜껑지지수단이 특별히 제공되고 있지 않아 보냉주머니 외면을 잡고 음료수를 따르거나 마시는 과정에서 응결수에 의해 보냉주머니로부터 병이 흘러내리게 되는 문제점도 있을 뿐만 아니라 보냉주머니를 재사용하는 과정에서 보냉주머니 자체가 오염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없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가질 뿐만 아니라 접어진 상태에서 사용시 펼쳐지는 구조를 가지므로 제작이 간단하고 유통 및 보관이 용이한 주류 또는 음료 용기용 위생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류 또는 음료를 마시는 사람의 손이 주류 또는 음료가 담긴 용기와 닿지 않도록 사용될 뿐만 아니라 식품에 활용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고 1회용으로 사용되므로 유통과정에서 주류 또는 음료 용기에 묻어 있는 오염물질로부터 주류 또는 음료를 마시는 사람을 위생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주류 또는 음료 용기용 위생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교적 낮은 단가로 대량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커버의 표면에 기업의 브랜드 노출이나 원하는 메시지와 같은 광고문구를 인쇄할 수 있어 광고매체로 널리 활용할 수 있는 주류 또는 음료 용기용 위생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원형 평면 또는 다각형 평면을 이루는 바닥패널; 상기 바닥패널의 원형 평면 또는 다각형 평면의 서로 대향되는 2개의 단부측 모서리 중 전부 또는 일부가 각각 하부모서리의 일부로 공유되는 2개의 다각형 평면이 서로 대칭되게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공유되는 일부를 접선으로 하여 접어지는 2개의 측면패널; 및 상기 2개의 측면패널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는데, 상기 측면패널을 이루는 다각형 평면 중 상기 하부모서리 및 상기 하부모서리와 대향되는 측에 형성된 상부모서리가 아닌 1개 이상의 모서리에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모서리를 접선으로 하여 접어지는 2개의 연결패널;을 포함하는 주류 또는 음료 용기용 위생커버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패널은 상기 측면패널의 하부모서리와 평행한 접선이 중심부에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측면패널을 이루는 2개의 하부모서리 길이의 총합은 상기 바닥패널을 이루는 원 평면의 원주길이 또는 다각형 평면의 모든 모서리 길이의 총합과 동일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패널의 전면 또는 후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접착층이 더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측면패널 중 하나 이상에 더 형성되는 측면장식부로서, 상기 측면패널을 관통하는 절단선을 특정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여 상기 절단선에 의해 절단된 측면패널의 일부가 돌출되어 상기 특정 형상이 돌출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측면패널 중 하나 이상에 밴드 형상의 통공부가 상기 하부모서리와 수직하게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측면패널 중 하나 이상의 상부모서리로부터 연장되는 상부장식부가 더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생커버는 친환경 종이, 방수지, 골판지, 투명필름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측면패널 중 상기 바닥패널을 향해 접어지는 내면과 대향되는 하나 이상의 표면에 광고용 문자, 도형, 영상, 기호 중 하나 이상이 인쇄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주류 또는 음료 용기용 위생커버는 간단한 구조를 가질 뿐만 아니라 접어진 상태에서 사용시 펼쳐지는 구조를 가지므로 제작이 간단하고 유통 및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주류 또는 음료 용기용 위생커버는 주류 또는 음료를 마시는 사람의 손이 주류 또는 음료가 담긴 용기와 닿지 않도록 사용될 뿐만 아니라 식품에 활용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고 1회용으로 사용되므로 유통과정에서 주류 또는 음료 용기에 묻어 있는 오염물질로부터 주류 또는 음료를 마시는 사람을 위생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류 또는 음료 용기용 위생커버는 비교적 낮은 단가로 대량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커버의 표면에 기업의 브랜드 노출이나 원하는 메시지와 같은 광고 문구를 인쇄할 수 있어 광고매체로 널리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커버의 펼친 상태가 도시된 전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생커버의 펼친 상태가 도시된 전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생커버의 펼친 상태가 도시된 전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류 또는 음료 용기용 위생커버의 전개도 상태에서 전개도를 접어서 위생커버를 제조하는 과정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완성된 주류 또는 음료 용기용 위생커버가 접어진 상태에서 펼쳐서 사용되는 과정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커버의 펼친 상태가 도시된 전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생커버의 펼친 상태가 도시된 전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생커버의 펼친 상태가 도시된 전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류 또는 음료 용기용 위생커버(100)는 바닥패널(110), 측면패널(120), 연결패널(130)을 포함하는 구성임을 알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위생커버(100)는 바닥패널(110), 측면패널(120), 연결패널(130)이 접선으로 구분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위생커버(100)는 평판을 이루고 접선에 의해 접어져 접혀진 구조를 형성할 수 있기만 하면 그 재질이 제한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친환경 종이, 방수지, 골판지, 투명필름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친환경 종이는 식품에 포장재료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미국 식약청(FDA) 또는 한국식약청의 승인을 받은 종이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커버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바닥패널(110)은 주류 또는 음료 용기의 바닥면이 닿는 영역을 제공하므로 주류 또는 음료 용기의 형상을 고려하여 원형 평면 또는 다각형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다각형 평면인 경우에는 주로 원통형을 이루는 용기의 형상을 고려하여 6각형 이상의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바닥패널(110)의 중심부에는 중심접선(112)이 더 형성될 수 있는데, 특히 중심접선(112)이 후술하는 측면패널(120)의 하부모서리(121)와 평행하도록 형성되면 중심접선(112)을 기준으로 바닥패널(110)을 접을 수 있어서 본 발명의 위생커버(100)가 접혀진 상태로 유통 및 보관될 수 있다.
측면패널(120)은 바닥패널(110)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동일한 크기로 2개가 형성된다. 즉 바닥패널(110)의 서로 대향되는 2개의 단부측 모서리 중 전부 또는 일부가 각각 하부모서리(121)의 일부로 공유되는 2개의 다각형 평면 즉 상부측면패널(120a) 및 하부측면패널(120b)이 서로 대칭되게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2개의 측면패널(120)이 형성되는데, 공유되는 일부를 공유접선(111)으로 하여 접어질 수 있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유접선(111)을 통해 본 발명의 위생커버(100)를 주류 또는 음료 용기를 삽입하기 위해 입체적으로 조립 했을 때 바닥패널(110)에 대해 2개의 측면패널(120)이 수직하게 세워져 조립된 전체적인 형상이 거의 원통 형상을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위생커버(100)가 조립된 전체적인 형상을 고려하면 2개의 측면패널(120)을 이루는 2개의 하부모서리(121) 길이의 총합은 바닥패널(110)을 이루는 원 평면의 원주길이 또는 다각형 평면의 모든 모서리 길이의 총합과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패널(130)은 2개의 측면패널(12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2개 형성되어 2개의 측면패널(120)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즉,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위생커버(100)가 조립된 전체적인 형상이 거의 원통 형상을 이루게 되는데 2개의 연결패널(130)을 통해 2개의 측면패널(120)로 상기 원통 중 측면부 곡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2개의 측면패널(120)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2개의 측면패널(120)을 연결시키기 위해 연결패널(130)은 2개가 형성되는데, 각 연결패널(130)은 측면패널(120)을 이루는 다각형 평면 중 하부모서리(121) 및 하부모서리(121)와 대향되는 측에 형성된 상부모서리(122)가 아닌 1개 이상의 모서리에서 연장 형성되면서, 그 모서리를 접선으로 하여 접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각 형상으로 형성된 2개의 측면패널(120) 중 어느 하나의 측면패널(120)을 이루는 하부모서리(121)와 상부모서리(122)를 연결하는 양측의 측면모서리를 측면모서리접선(123)으로 하여 그 접선(123)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로 된 연결패널(13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어느 하나의 측면패널(120)의 우측 측면모서리를 측면모서리접선(123)으로 하여 연결패널(130)이 형성되고, 다른 측면패널(120)의 좌측 측면모서리를 측면모서리접선(123)으로 하여 다른 연결패널(130)이 더 형성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
연결패널(130)의 크기 및 형상은 2개의 측면패널(120)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기만 하면 제한되지는 않지만 연결패널(130)과 측면패널(120)이 잘 겹쳐지도록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모서리접선(123)과 대향되는 단부로 갈수록 길이가 짧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의 측면패널(120)이 연결패널(130)로 연결되도록 공지된 다수의 접착수단 또는 부착수단이 사용될 수 있지만, 연결패널(130)의 전면 또는 후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접착층을 더 형성시키는 구성이 제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미관상 바람직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생커버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에 도시된 위생커버(100)는 측면패널에 더 형성된 측면장식부(124)를 제외하면 도 1과 구성이 동일하므로 도 1과 동일한 구성은 도 1의 설명을 원용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생커버(100)는 2개의 측면패널(120) 중 어느 하나에 측면패널(120)의 일부로 이루어진 측면장식부(124)가 더 형성된 구성일 수 있다. 측면장식부(124)는 측면패널(120)을 관통하는 절단선을 특정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여 절단선에 의해 절단된 측면패널(120)의 일부가 돌출되어 상기 특정 형상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측면장식부(124)를 구성하는 돌출모양은 1개 이상일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측면장식부(124)가 2개의 측면패널(120)에 모두 형성되는 것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측면장식부(124)의 형상은 사용자의 필요 또는 원하는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생커버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에 도시된 위생커버(100)는 측면패널에 더 형성된 통공부(125) 및 상부장식부(126)를 제외하면 도 1과 구성이 동일하므로 도 1과 동일한 구성은 도 1의 설명을 원용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생커버(100)는 2개의 측면패널(120) 중 하나 이상에 밴드 형상 통공부(125)가 하부모서리(121)와 수직하게 더 형성될 수 있는데, 통공부(125)는 측면패널(120)을 이루는 평면을 통공부(125)의 형상만큼 제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통공부(125)는 위생커버(100)의 재질이 불투명재질인 경우 위생커버(100)로 감싸진 주류 또는 음료 용기에 남은 주류 또는 음료의 양을 예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생커버(100)는 2개의 측면패널(120) 중 하나 이상의 상부모서리(122)로부터 연장되는 상부장식부(126)가 더 형성되어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위생커버는 바닥패널의 형상을 원형 평면이 아니라 다각형 평면으로 구성한 것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구성을 도 1 내지 도 3과 동일하게 구성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생커버(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이 당연히 예측된다. 특히, 2개의 측면패널(120) 중 바닥패널(110)을 향해 접어지는 내면과 대향되는 하나 이상의 표면에 광고용 문자, 도형, 영상, 기호 중 하나 이상이 인쇄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러한 구성을 갖게 되면 본 발명의 위생커버(100)가 비교적 낮은 단가로 대량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커버의 표면에 기업의 브랜드 노출이나 원하는 메시지와 같은 광고문구를 인쇄할 수 있으므로 광고매체로 널리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류 또는 음료 용기용 위생커버(100)의 전개도 상태에서 전개도를 접어서 위생커버(100)를 제조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위생커버(100)가 조립되었을 때 주류 또는 음료 용기와 닿게 되는 부분을 안(내면)으로, 사용자의 손과 닿게 되는 부분을 밖(표면)으로 정의 하였을 때 도 4에 도시된 전개도를 참조하면 연결패널(130)에 형성되는 접착층은 밖을 이루는 표면에 형성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먼저, 전개도와 같이 위생커버(100)의 안이 보이도록 위치시킨 후(1), 바닥패널(110)의 상부일단에 형성된 상부측면패널(120a)에서 2개의 측면모서리접선(123)을 따라 2개의 연결패널(130)을 접어서 상부측면패널(120a)과 겹쳐지도록 위치시킨다(2). 그 후 바닥패널(110)에 형성된 중심접선(112)을 접어서 바닥패널(110)의 하부타단에 형성된 하부측면패널(120b)을 상부측면패널(120a)과 겹쳐지도록 위치시키게 되면(3), 상부측면패널(120a) 상에 위치한 연결패널(130)의 접착층과 하부측면패널(120b)이 맞닿게 되어 상부측면패널(120a)과 하부측면패널(120b)의 측면모서리가 연결패널(13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3) 본 발명의 위생커버(100)가 완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위생커버(100)난 접어진 상태로 제조되어 유통, 보관되다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매우 간단한 조작으로 입체적으로 조립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완성된 주류 또는 음료 용기용 위생커버(100)가 접어진 상태에서 펼쳐서 사용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류 또는 음료 용기용 위생커버(100)가 중심접선(112)이 접어진 상태이므로 평면적인 형상이다. 이러한 평면적인 형상에서 측면패널(120)의 양측을 바깥쪽에서 잡고 안쪽으로 힘을 가하면서 바닥패널(110)의 중심접선(112)이 펼쳐지도록 지면을 향해 누르게 되면 공유접선(111)이 접어지면서 바닥패널(110)에 대해 수직하게 측면패널(120)이 서게 되어 입체적인 원통형으로 매우 용이하게 조립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원통형의 위생커버(100)에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류 또는 음료 용기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위생커버 110 : 바닥패널
111 : 공유접선 112 : 중심접선
120 : 측면패널 121 : 하부모서리
122 : 상부모서리 123 : 측부모서리접선
124 : 측면장식부 125 : 통공부
126 : 상부장식부 130 : 연결패널
131 : 접착층

Claims (9)

  1. 원형 평면 또는 다각형 평면을 이루는 바닥패널;
    상기 바닥패널의 원형 평면 또는 다각형 평면의 서로 대향되는 2개의 단부측 모서리 중 전부 또는 일부가 각각 하부모서리의 일부로 공유되는 2개의 다각형 평면이 서로 대칭되게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공유되는 일부를 접선으로 하여 접어지는 2개의 측면패널; 및
    상기 2개의 측면패널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는데, 상기 측면패널을 이루는 다각형 평면 중 상기 하부모서리 및 상기 하부모서리와 대향되는 측에 형성된 상부모서리가 아닌 1개 이상의 모서리에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모서리를 접선으로 하여 접어지는 2개의 연결패널;을 포함하는 주류 또는 음료 용기용 위생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패널은 상기 측면패널의 하부모서리와 평행한 접선이 중심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또는 음료 용기용 위생커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측면패널을 이루는 2개의 하부모서리 길이의 총합은 상기 바닥패널을 이루는 원 평면의 원주길이 또는 다각형 평면의 모든 모서리 길이의 총합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또는 음료 용기용 위생커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패널의 전면 또는 후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접착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또는 음료 용기용 위생커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측면패널 중 하나 이상에 더 형성되는 측면장식부로서, 상기 측면패널을 관통하는 절단선을 특정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여 상기 절단선에 의해 절단된 측면패널의 일부가 돌출되어 상기 특정 형상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또는 음료 용기용 위생커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측면패널 중 하나 이상에 밴드 형상의 통공부가 상기 하부모서리와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또는 음료 용기용 위생커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측면패널 중 하나 이상의 상부모서리로부터 연장되는 상부장식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또는 음료 용기용 위생커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커버는 친환경 종이, 방수지, 골판지, 투명필름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또는 음료 용기용 위생커버.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측면패널 중 상기 바닥패널을 향해 접어지는 내면과 대향되는 하나 이상의 표면에 광고용 문자, 도형, 영상, 기호 중 하나 이상이 인쇄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또는 음료 용기용 위생커버.

KR1020140101634A 2014-08-07 2014-08-07 주류 또는 음료 용기용 위생커버 KR201401189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634A KR20140118939A (ko) 2014-08-07 2014-08-07 주류 또는 음료 용기용 위생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634A KR20140118939A (ko) 2014-08-07 2014-08-07 주류 또는 음료 용기용 위생커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3530 Division 2013-03-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8939A true KR20140118939A (ko) 2014-10-08

Family

ID=51991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634A KR20140118939A (ko) 2014-08-07 2014-08-07 주류 또는 음료 용기용 위생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89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7497B1 (ko) * 2021-05-17 2022-06-10 이민서 컵받침 일체형 컵 홀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7497B1 (ko) * 2021-05-17 2022-06-10 이민서 컵받침 일체형 컵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7546B2 (en) Dispenser for containing and dispensing a liquid or pourable solid product
US9254053B2 (en) Promotional coaster
US20120152771A1 (en) Drinking container with additional compartment for dispensing towelettes
US20180177315A1 (en) Drinking Container Lid Device
US20180237186A1 (en) Individual beverage bottle accessory
JPH07315379A (ja) 飲料入り缶容器
KR20140118939A (ko) 주류 또는 음료 용기용 위생커버
KR101486190B1 (ko) 절첩식 컵
KR101543513B1 (ko) 식품용 다용도 포장박스
US20150283589A1 (en) Drink Container Sanitary Wipe Attachable To A Drink Container
US20120175274A1 (en) Beverage bottle with a resealable storage compartment
US20040121047A1 (en) Packaging container
WO2015152739A1 (en) Flexible liquid pouch
JP2009113864A (ja) ホルダー
US20130270144A1 (en) Beverage bottle with resealable storage compartment
JP2006111268A (ja) 容器
DE10142532A1 (de) Getränkebecherflasche
US20240025593A1 (en) Multiple fluid storage and selective dispensing bottle
KR200488863Y1 (ko) 막대 손잡이를 사용하는 식품의 포장지
JP2015155320A (ja) 飲料水容器
CN208761277U (zh) 一种咖啡外带包装组合
KR200396326Y1 (ko) 복합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커버
JP3140333U (ja) 吸飲管付き飲料物用容器
JP2008522904A (ja) 使い捨て商品のためのパッケージング
WO2013157970A1 (en) Container for attachment to a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