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8576A - 오일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오일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오일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오일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8576A
KR20140118576A KR1020130034752A KR20130034752A KR20140118576A KR 20140118576 A KR20140118576 A KR 20140118576A KR 1020130034752 A KR1020130034752 A KR 1020130034752A KR 20130034752 A KR20130034752 A KR 20130034752A KR 20140118576 A KR20140118576 A KR 20140118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oil
main body
inlet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4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6580B1 (ko
Inventor
윤남중
Original Assignee
트리플알(주)
주식회사쓰리.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리플알(주), 주식회사쓰리.알 filed Critical 트리플알(주)
Priority to KR1020130034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580B1/ko
Publication of KR20140118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8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8Construction of th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14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having more than on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인 오일필터는 내부가 공동(空洞)이고, 오일이 유입되는 통로인 유입구, 여과된 오일이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는 오일필터로서,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유입구를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된 오일에 포함된 금속 물질을 여과하는 마그넷 필터 및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유입구를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된 오일에 포함된 불순물을 여과하는 뎁스필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인 오일여과장치는 오일필터를 포함하고 오일필터와 연결되어 여과된 오일을 재차 여과하는 2차 필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일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오일여과장치{Oil filter and oil filter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오일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오일여과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오일 여과장치는 오일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슬러지, 카본, 먼지, 금속분말 등의 불순물을 걸러내어 순도 높은 오일의 유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더불어 오일 내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여 장치의 안정성을 보장하기도 한다. 현재 오일 내에 있는 불순물을 여과하기 위한 다양한 여과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오일여과기의 종단면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여과기(1)는 유입구(11)와 배출구(12)가 구비된 원통형 본체(10)와 본체내부에 두루마리 형태의 여과체(13)를 포함한다. 하부는 밀폐되고 상부는 덮개(14)가 있으며, 덮개(14)와 여과체(13) 사이에 유체공간(15)이 형성된다. 오염된 오일이 유입구(11)를 통해서 유입되면서 오일은 본체의 상부로 상승한다. 유체공간(15)에 다다른 오염된 오일은 하부로부터의 유체압에 의해 여과체(13)로 분산, 이동한다. 여과체(13)는 오일 내부에 포함된 불순물을 여과시키고 여과된 오일은 본체의 하부에 구비된 배출구(12)를 통해 빠져 나간다. 이러한 일반적인 오일 여과기는 다양한 종류의 불순물을 제거한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으나 여과체의 용량에 한계가 있어 오일 여과기내의 여과체 교체주기가 짧다.
도2는 필터에 의해 걸러진 불순물을 포함하는 여과체 사시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된 오일의 여과과정을 마친 여과체(13)는 다양한 불순물이 포집되어 있다. 그러나 여과체(13)는 여과지를 두루마리 형태로 말아 형성되어 오염원이 여과지 사이에 누적되면 여과지 사이의 간격이 벌어진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오일 여과기의 효율은 점점 떨어지게 되고 주기적으로 여과체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특히 여과지 사이 간격이 벌어지면 오일 내부에 포함된 수분은 여과되지 않은 채로 여과된 오일에 남아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현재까지 오일 여과기의 수명을 연장하고, 여과효율을 유지하면서, 다량의 오일을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어왔다.
도3은 복수의 여과기를 포함하는 오일 여과장치의 평면도이다.
도4는 도3의 오일여과장치에 장착되는 메시(mesh)필터의 단면도이다.
도3에 도시된 오일 여과장치(2)는 풀-플로우 필터(full flow filter)(21)를 송유구(23)와 연결하여 비교적 큰 불순물 입자를 여과한다. 풀-플로우 필터(21)를 통해 여과된 오일을 미세물질여과기(22)에 유입시켜 비교적 작은 오염입자를 여과시키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풀-플로우 필터(21)로는 도4에 도시된 메시필터(41)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메시필터(41)는 오염원이 필터에 누적될 경우 필터가 막히게 되고, 이러한 문제는 다량의 오일을 처리해야 하는 오일 여과장치(2)의 특성상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오염된 오일을 여과하는데 신뢰성 높은 오일필터 및 오일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 교체 회수를 줄여 장치의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오일필터 및 오일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일필터는 내부가 공동(空洞)이고, 오일이 유입되는 통로인 유입구, 여과된 오일이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는 오일필터로서,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유입구를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된 오일에 포함된 금속 물질을 여과하는 마그넷 필터와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유입구를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된 오일에 포함된 불순물을 여과하는 뎁스필터를 포함한다.
실시예로서, 뎁스필터는 오염물을 여과하는 여과체 및 여과체의 중심을 상하로 관통하는 지관을 포함하되, 지관의 외주면에 여과체를 통과한 오일이 지관으로 유입되도록 형성된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본체의 덮개와 하면(下面) 사이 횡방향으로 분리면이 형성되며, 분리면에 의해 본체는 상부에 여과실과 하부에 저장실로 분리되고, 유입구는 여과실의 일측에 형성되고, 유출구는 저장실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로서, 분리면에는 유출공이 형성되고 지관의 하단은 유출공과 결합되며, 유출공을 통과한 오일은 저장실로 유입되어, 유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실시예로서, 본체의 내부에 복수개의 뎁스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마그넷 필터는 본체 내부 중심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뎁스필터는 마그넷 필터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일여과장치는 내부가 공동(空洞)이고, 오일이 유입되는 통로인 유입구, 여과된 오일이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는 오일필터로서,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유입구를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된 오일에 포함된 금속 물질을 여과하는 마그넷 필터 및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유입구를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된 오일에 포함된 불순물을 여과하는 뎁스필터를 구비한 오일필터를 포함하고 오일필터와 연결되어 여과된 오일을 재차 여과하는 2차 필터를 포함한다.
실시예로서, 2차 필터를 복수개 포함하며, 복수개의 2차 필터 중 적어도 하나는 롤-티슈필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순물이 첨가된 오일의 여과효율을 높일 수 있다.
둘째, 필터의 교환주기를 연장시켜, 필터 교체에 따른 비용절감이 가능하다.
셋째, 필터가 막히는 것이 방지되며, 높은 압력의 오일의 유입에도 여과된 오일의 순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1은 롤-티슈필터가 포함된 오일 여과기의 종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여과된 오일을 포함하는 여과체 사시도이다.
도3은 복수의 여과기를 포함하는 오일 여과장치의 평면도이다.
도4는 도3의 오일여과장치에 장착되는 메시(mesh)필터의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일필터의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뎁스필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일필터의 투명입체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일여과장치의 평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일여과장치의 내부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들에 따른 오일필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일필터의 단면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오일필터(100)는 내부가 공동(空洞)이고 밀폐된 본체(110), 본체(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본체(110) 내부로 오일이 유입되는 통로인 유입구(120),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여과된 오일이 유출되는 유출구(130),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유입구(120)를 통해 본체(110) 내부로 유입된 오일에 포함된 금속 물질을 여과하는 마그넷 필터(150),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유입구(120)를 통해 본체(110) 내부로 유입된 오일에 포함된 불순물을 여과하는 뎁스필터(17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유압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내구성이 있으며, 오일이 유입되는 본체 내부는 속이 비어 있다. 본체(110)는 원통형상과 같이 중심을 향해 대칭인 구조물로서 반드시 원통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체(110)의 재질은 금속재질일 수 있으며, 수분 등에 의해서 쉽게 부식되지 않는 금속재질 일 수 있다. 본체(110)의 외부는 부식방지를 위해 코팅될 수 있으며, 본체(110)의 내부는 오일 여과체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실제 오일의 여과가 진행되는 공간이다. 일반적으로 본체(110)의 내부는 상부에 덮개(112) 조립으로 인해 밀폐되며, 유입구(120), 유출구(130)를 통한 오일의 유입과 유출만 있을 뿐이다.
본체(110)의 일 측면에는 유입구(120)가 형성된다. 본체(110)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본체(110)의 내부로 오일이 유입되는 통로이다. 본체(110)의 유입구(120)를 통해 오일저장탱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으며, 유입되는 오일의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된다. 본체(110)의 일 측면에는 유출구(130)가 형성된다. 본체(110)의 내부에서 불순물이 여과된 오일이 외부로 송출되는 통로이다. 유입구(120)는 압력펌프와 연결될 수 있으며, 압력펌프 작동시 여과체를 통과하는 정제된 오일은 유출구(130)로 밀려나와 오일저장소 또는 다른 필터로 이동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는 분리면(160)에 의해 오일이 여과되는 여과실(180)과 여과된 오일이 잠시 머무를 수 있는 저장실(190)이 형성된다. 여과실(180)의 일측에 오일이 유입되는 유입구(1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저장실(190)의 일측에 여과된 오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로인 유출구(130)가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넷 필터(150)는 오일 내부의 금속물질을 여과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그넷 필터(150)는 고자력을 갖는 네오디뮴계 희토류 자석을 이용한 필터일 수 있으며, 자속밀도가 0.5T ~ 1T정도로 미세한 금속 불순물, 자성금속, sus마모가루의 제거가 가능하다. 본체(110) 내부 용량이 커서 단위시간당 처리하는 오일의 양이 많을수록 고자력의 마그넷 필터(15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열온도는 약 80℃ ~ 100℃이며, 스텐레스(stainless)처리를 한 표면을 사용하여 내식성에 강하고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다. 마그넷 필터(150)는 원통형상일 수 있으며, 본체(110)의 중앙에 설치될 수 있다. 마그넷 필터(150)는 본체의 덮개(112)와 결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뎁스필터(170)는 오일 내부의 불순물을 여과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뎁스필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뎁스필터(170)는 오염물을 여과하는 여과체(172), 여과체(172)의 중심을 상하로 관통하는 지관(174)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관(174)의 외주면에는 여과체(172)를 통과한 오일이 지관(174)의 중심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공(176)이 형성된다.
먼저 여과체(172)는 다양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부직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부직포는 적층, 권취되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직포 타입의 여과체는 주로 특정 사이즈 이상의 불순물 입자를 여과하는데 적합하다. 또한 여과체(172)는 실로 구성될 수 있다. 실타입의 여과체(172)는 불순물 입자가 폭넓은 크기분포를 가질 경우에 적합하다. 여과체(172)는 실타입과 부직포 타입의 복합형 여과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원통형으로 권취시 실과 부직포 사이에 흡착제가 삽입될 수 있다.
지관(174)은 여과체(172)의 중심을 관통하는 원통형의 관으로서 여과체(172)를 통과한 정제된 오일이 모이는 관이다. 지관(174)의 외주면에는 통공(176)이 형성되어 있어 통공(176)은 여과체(172)를 통과한 오일이 지관(174)으로 모이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뎁스필터(17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내부에 마그넷 필터(150)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일필터(100)는 하나의 뎁스필터만을 포함할 수도 있으나 마그넷 필터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뎁스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2개의 뎁스필터(170)를 포함하는 경우 뎁스필터(170)는 본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180°의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되고 3개의 뎁스필터(170)를 포함하는 경우 120°의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일필터는 설명의 편의상 2개의 뎁스필터를 포함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뎁스필터(170)는 본체(110)의 덮개(112)와 하면(下面)(114)에 고정될 수 있으며, 특히 본체(110)의 하면(114)에는 유출공이 형성되어 지관의 하부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일필터(100)의 본체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면(160)에 의해 여과실(180)과 저장실(190)로 구분된다. 여과실(180)과 저장실(190)을 분리하지 않고 본체의 하면(114)에 유출공(162)을 형성하여 직접 유출공(162)과 유출구(130)를 연결되는 경우 유출구(130)에 작용하는 압력이 유출공(162)과 뎁스필터(170)의 지관(174)에까지 미치게 되어 유출공(162)과 지관(174)의 공고한 결합이 파손될 수 있다. 이러한 파손으로 인하여 뎁스필터(170)를 통해 정제되지 않은 오일이 유출공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일필터(100)에는 분리면(160)이 형성되며, 분리면(160)에는 뎁스필터(170)의 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유출공(16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유출공(162)의 개수는 뎁스필터(170)의 개수와 동일하다.
뎁스필터(170)는 본체(110)의 덮개(112)와 탄성부재(178)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재(178)의 일측은 본체(110)의 덮개(112)와 결착되고, 타측은 상부가 밀폐된 지관(174)과 결착된다. 탄성부재(178)는 지관(174)과 여과체(172)에 지속적으로 힘을 가한다. 또한 탄성부재(178)는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일에 의해 자칫 유동(부력에 의한 상하운동 내지는 유입압에 의한 좌우운동)할 수 있는 뎁스필터(170)가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복원력을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일필터의 각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일필터 내에서의 유입된 오일의 여과과정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일필터의 투명입체사시도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명의 편의상 뎁스필터(170)는 2개를 배치하였으며, 마그넷 필터(150)는 본체(110) 내부 중앙에 위치한다. 마그넷 필터(150)와 뎁스필터(170)의 위치관계 및 개수는 도7에 도시된 위치, 개수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일필터(100)의 여과과정을 살펴보면, 오일저장탱크(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던 미정제 오일은 유입구(120)를 통해서 본체(110) 내부로 유입된다. 내부로 유입된 미정제 오일은 마그넷 필터(150), 뎁스필터(170)와 마주치게 되고 미정제 오일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재질의 불순물은 마그넷 필터(150)의 표면에 부착된다. 금속 불순물은 오일의 하부로 가라앉게 되어 마그넷 필터의 자력이 약한 경우 마그넷 필터의 밑면에만 쌓이게 된다. 또한 표면적인 큰 금속 불순물은 오일의 점성에 의해 이동이 자유롭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일필터에서 채용하고 있는 마그넷 필터(150)의 자력은 고자력으로 본체(110)내부 전체에 걸쳐 영향을 준다.
마그넷 필터(150)에 의해서 금속불순물이 제거된 오일은 뎁스필터(170)의 원주 표면에서 뎁스필터(170)의 여과체(172)를 통과하면서 여타 불순물들이 여과된다. 금속 불순물과 여타 불순물이 여과된 정제오일은 지관(174)의 내부로 들어오게 되고 중력의 영향에 의해 분리면(160)에 형성된 유출공(162)을 통과하여 본체(110)의 하부에 형성된 저장실(190)로 유입된다. 저장실(190)로 유입된 정제오일은 유출구(130)를 통해 배출된다.
결국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일필터(100)는 마그넷 필터(150)와 뎁스필터(170)에 의해서 비교적 큰 입자크기를 갖는 불순물이나 금속 불순물을 여과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오일여과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일필터를 포함하는 오일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앞서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일여과장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일필터(100)와 2차 필터(210)를 포함한다. 2차 필터(210)는 복수개 일 수 있으며, 복수개의 2차 필터(210) 각각은 제1실시예에 따른 오일필터(100)와 연결된다. 또한 복수개의 2차 필터(210) 중 적어도 하나는 롤-티슈필터일 수 있다.
이하 도8,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일여과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일여과장치의 평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일여과장치의 내부단면도이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여과장치(200)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인 여과필터(100)와 6개의 2차 필터(210)를 포함한다. 2차 필터(210)의 개수는 반드시 6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오일여과장치(200)의 일측에 형성된 송유구(220)는 오일저장탱크(미도시)와 연결되어 미정제된 오일을 오일여과장치(200) 내부로 유입시킨다. 여과필터(100)의 유입구(120)는 오일여과장치(200)의 송유구(220)와 연결되어 있다. 미정제된 오일은 송유구(220)와 유입구(120)를 통해서 여과필터(100)로 유입된다. 즉 미정제된 오일은 반드시 여과필터(100)를 통과하게 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여과필터(100)를 풀-플로우 필터(full-flow filter)라 칭하기도 한다. 결국 도5 내지 도7의 설명과 같이 여과필터(100)는 오일여과장치(200)로 유입되는 미정제된 오일이 포함하고 있는 불순물을 1차적으로 여과한다.
오일여과장치(200)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필터(100), 복수개의 2차 필터(210), 오일펌프(300), 각 필터와 오일펌프(300)를 연결하는 연결호스(230)를 포함한다. 연결호스(230)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재질의 금속호스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일여과장치(200) 내에서 오일 여과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9에 도시된 복수개의 2차 필터(210) 각각을 제1필터(211), 제2필터(213), 제3필터(215)라 칭한다. 2차 필터(210)는 다양한 종류의 필터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2차 필터(210)가 롤-티슈 필터인 경우를 고려한다.
먼저 송유구(220)를 통해서 유입된 오일은 여과필터(플-플로우 필터)(100)에 유입된다. 여과필터(100)는 마그넷필터(150)를 통해 오일 내에 포함된 금속 불순물을 여과하고, 금속 불순물이 제거된 오일은 다시 뎁스필터(170)를 통과하여 불순물을 여과한다. 여과필터(100)는 10μ㎡이상의 입자크기를 갖는 불순물을 여과한다.
여과필터(100)를 통과한 오일은 유출구(130)와 연결된 호스(230)를 통해 오일펌프(300)로 이동한다. 오일펌프(300)는 다시 복수개의 2차 필터(210)인 제1필터(211), 제2필터(213), 제3필터(215) 각각에 오일을 유입시킨다.
2차 필터(210) 각각은 오일펌프(300)와 호스(230)를 통해 연결된다. 제1필터(211)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제1유입구(251)를 통해 제1필터(211)의 내부로 오일이 유입되고 제1필터(211) 내부에 설치된 롤-티슈필터에 의해 오일이 여과되면서 제1유출구(261)로 배출된다. 2차 필터(210)는 0.1 ~ 0.5μ㎡ 입자크기를 갖는 불순물을 여과한다. 제1유출구(261)는 오일여과장치(200)에 포함된 수집관(400)과 연결되어 릴리스 핸들(280)이 개방되어 있는 경우 배유구(240)를 통해서 정제된 오일을 배출한다. 제2필터(213), 제3필터(215) 등 2차 필터(210)를 구성하는 각각의 필터는 이러한 방식으로 오일 내부의 미세입자에 대한 여과를 수행하며 배유구(240)를 통해서 정제된 오일을 배출한다.
오일여과장치(200)의 복수개의 2차 필터(210)들을 서로 연결하여 재차, 삼차 이상의 여과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필터(211)에서 여과된 오일을 다시 제2필터(213)로 유입시켜 다시 한번 여과시키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오일여과장치 (200) 내부에 포함된 호스연결의 변화를 통해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더불어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일여과장치(200) 내에 매니폴드를 설치하고, 여과필터(100) 및 복수개의 2차 필터(210)를 연결하여 여과를 수행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일여과장치(200)는 유입되는 미정제된 오일내에 포함된 비교적 큰 입자를 갖는 불순물이나 금속 불순물을 풀-플로우 필터로서 기능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일필터(100)를 통해 여과하고, 이후 오일에 포함된 미세한 불순물에 대해서는 2차 필터(210)를 통해서 여과함으로서 보다 순도 높은 오일로의 여과가 가능하고, 오일필터(100)와 2차 필터(210)의 막힘 및 손상을 최소화함으로써 필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오일필터 110 본체
120 유입구 130 유출구
150 마그넷 필터 160 분리면
170 뎁스필터 172 여과체
174 지관 176 통공
178 탄성부재 180 여과실
190 저장실 200 오일여과장치
210 2차 필터 211 제1필터
213 제2필터 215 제3필터
220 송유구 230 호스
240 배유구 251 제1유입구
261 제1유출구 300 펌프

Claims (8)

  1. 내부가 공동(空洞)이고, 오일이 유입되는 통로인 유입구, 여과된 오일이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는 오일필터로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된 오일에 포함된 금속 물질을 여과하는 마그넷 필터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된 오일에 포함된 불순물을 여과하는 뎁스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뎁스필터는
    오염물을 여과하는 여과체; 및
    상기 여과체의 중심을 상하로 관통하는 지관을 포함하되, 상기 지관의 외주면에 상기 여과체를 통과한 오일이 상기 지관으로 유입되도록 형성된 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필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덮개와 하면(下面) 사이 횡방향으로 분리면이 형성되며, 상기 분리면에 의해 상기 본체는 상부에 여과실과 하부에 저장실로 분리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여과실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는 상기 저장실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면에는 유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관의 하단은 상기 유출공과 결합되며, 상기 유출공을 통과한 오일은 상기 저장실로 유입되어, 상기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복수개의 뎁스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필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 필터는 상기 본체 내부 중심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뎁스필터는 상기 마그넷 필터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필터.
  7. 제1항 내지 제6항의 오일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오일필터와 연결되어 여과된 오일을 재차 여과하는 2차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여과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필터를 복수개 포함하며, 복수개의 2차 필터 중 적어도 하나는 롤-티슈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여과장치.
KR1020130034752A 2013-03-29 2013-03-29 오일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오일여과장치 KR101456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752A KR101456580B1 (ko) 2013-03-29 2013-03-29 오일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오일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752A KR101456580B1 (ko) 2013-03-29 2013-03-29 오일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오일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8576A true KR20140118576A (ko) 2014-10-08
KR101456580B1 KR101456580B1 (ko) 2014-10-31

Family

ID=51991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4752A KR101456580B1 (ko) 2013-03-29 2013-03-29 오일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오일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5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4489A1 (ko) * 2018-04-02 2019-10-1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유성 필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오일 세퍼레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521B1 (ko) * 2017-08-10 2018-02-28 탁재광 원격제어계측 기능이 구비된 오일여과시스템
RU2762148C1 (ru) * 2021-02-09 2021-12-1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АЯ АКАДЕМИЯ МАТЕРИАЛЬНО-ТЕХНИЧЕСКОГО ОБЕСПЕЧЕНИЯ имени генерала армии А.В. Хрулева" Министерства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Прибор для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некондиционного моторного масла по показателю наличия механических примесей и воды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222A (ja) * 1995-07-10 1997-01-28 Tokyo Seiko Kk 磁性体粉等混入オイルの濾過装置
KR200174683Y1 (ko) * 1999-10-11 2000-03-15 주식회사쓰리.알 선박용 내연기관의 여과공정에 적용된 엘리멘트
KR20090075490A (ko) * 2008-01-04 2009-07-08 주식회사 청수테크노필 복합구조 뎁스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뎁스필터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4489A1 (ko) * 2018-04-02 2019-10-1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유성 필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오일 세퍼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6580B1 (ko) 2014-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47090A1 (en) Filter with exterior and interior media components and method of filtering
JP6203276B2 (ja) 水を排出するための手段を備える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および関連するフィルタ群
JP2016209829A (ja) 空気圧フィルタ及びフィルタエレメント
KR101456580B1 (ko) 오일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오일여과장치
KR20120025112A (ko) 필터카트리지
CN103170168A (zh) 滤芯及饮水机
KR101853677B1 (ko) 오일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오일여과장치
CN206121341U (zh) 一种高效凝聚式压缩空气过滤装置
CN104645689A (zh) 一种多袋式过滤装置
CN211688680U (zh) 一种利用磁场净化不纯水的滤水器
KR102177390B1 (ko) 유체 내 비자성-자성 물질의 여과를 위한 유체 필터링용 복합 여과 장치
CN203483935U (zh) 一种采用小型通用圆柱形塑料滤壳的袋式过滤器
CN107213720A (zh) 一种新型精密过滤器
KR200179085Y1 (ko) 산업용 고유량 필터
CN206229029U (zh) 滤芯
JP4688049B2 (ja) 浄水器及び浄水器の逆洗方法
JP4076848B2 (ja) 浄水器
KR101270788B1 (ko) 수처리용 필터카트리지
KR102183343B1 (ko) 유수분리기
KR20120136112A (ko) 필터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필터
JP2006000798A (ja) イオン交換フィルタ
CN217287382U (zh) 一种反冲洗设备
CN203610210U (zh) 一种硝基甲烷过滤器
KR200334243Y1 (ko) 절삭유 필터링 장치
KR101391013B1 (ko) 윤활유 회수용 유수 분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