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521B1 - 원격제어계측 기능이 구비된 오일여과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제어계측 기능이 구비된 오일여과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521B1
KR101833521B1 KR1020170101884A KR20170101884A KR101833521B1 KR 101833521 B1 KR101833521 B1 KR 101833521B1 KR 1020170101884 A KR1020170101884 A KR 1020170101884A KR 20170101884 A KR20170101884 A KR 20170101884A KR 101833521 B1 KR101833521 B1 KR 101833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iltration system
oil filtration
module
integrated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탁재광
Original Assignee
탁재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탁재광 filed Critical 탁재광
Priority to KR1020170101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5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계측 기능이 구비된 오일여과시스템은 폐유조에 저유된 폐유를 흡입하여 이송시키는 오일이송펌프모듈, 상기 폐유를 여과시키기 위한 오일여과모듈, 상기 폐유 내의 수분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함량분석모듈, 상기 폐유 내의 고형물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입도분석모듈, 오일 유동조건과 여과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제어계측모듈로 구성되는 오일여과시스템과; 상기 오일여과시스템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관리하고자 내부네트워크부, 중앙제어처리부, 외부네트워크부를 포함하는 통합관리게이트웨이서버와; A/S를 담당하는 업체와 제조사의 전산실로 연결하고자 통합관리제어서버, 데이터베이스, 웹관리서버를 포함하는 통합관리제어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격제어계측 기능이 구비된 오일여과시스템{Oil Purification System Equipped with Remote Control Measurement Function}
본 발명은 원격제어계측 기능이 구비된 오일여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일에 포함된 수분, 슬러지 등을 분리 및 제거하는 과정을 원격으로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오일여과시스템은 오염 및 변질된 오일 사용에 기인한 오일 작동유의 손상을 방지하고 오일 순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장시간 사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오염 및 변질된 오일은 산가가 증가하고 점도가 변화하며 기계 부식화/마모/노화가 촉진되므로 오일 순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여야 유압기기의 수명 연장, 생산성 저하 방지, 보전 및 유지비용 절감, 환경오염 저하, 경비의 대폭 절감 등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오일에 포함된 수분, 슬러지 등을 분리 및 제거하는 오일여과시스템을 구현하되, 하나 이상의 오일여과시스템을 동시에 운영 시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센서를 구비하고 이를 원격으로 계측 및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과 유사한 선행기술에는 1)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5936호 ‘오일여과기’가 있다. 상기 유사 선행기술에서는 배유라인으로 배출된 절연유를 흡입구로 회수하여 1차 가열하는 흡입조 히터와 가열된 절연유의 수증기는 수분응축기를 통해 배출하고, 탈수된 오일을 1차유증기로 배출되도록 하는 흡입조와 1차유증기를 가압송하여 2차 가열하는 분사조 히터와 2차 가열된 1차유증기를 분사시켜 상부를 고진공으로 유지하면서 2차유증기를 액화시키는 분사조와, 흡입조와 분사조를 감압시키는 진공펌프 및 제1 주유라인을 통해 분사조 하부와 연결되고, 제2 주유라인을 통해 정제유를 토출구로 배출하는 토출펌프로 구성되는 기술을 개시하는 특징이 있다.
다른 유사 선행기술에는 2)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18576호 ‘오일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오일여과장치’가 있다. 상기 유사 선행기술에서는 내부가 공동이고, 오일이 유입되는 통로인 유입구, 여과된 오일이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는 오일필터로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된 오일에 포함된 금속 물질을 여과하는 마그넷 필터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된 오일에 포함된 불순물을 여과하는 뎁스 필터를 포함하는 기술을 개시하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오프라인 공간에서만 작업공정이 이루어지며, 필터 등의 소모품 교체주기를 정량적으로 산출할 수 없고, 원격지에 설치된 설비의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기능이 없어서 유지 보수가 적시에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 제시되지 못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5936호(2011.01.20.) ‘오일여과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18576호(2014.10.08.) ‘오일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오일여과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의 배경으로부터 요구되는 기술적 필요성을 충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일여과시스템의 실시간 모니터링과 계측을 통해 오일에 포함된 오염물, 수분 및 슬러지 등을 분리 및 제거하는 과정에 대해서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신속한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일여과시스템에 장착된 센서로부터 취득한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적 데이터를 생성하여 다양한 정보 현황, 통계 및 리포팅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효율적으로 오일여과시스템을 관리하는 기술을 구현하여 장치의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오일여과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계측 기능이 구비된 오일여과시스템은 폐유조에 저유된 폐유를 흡입하여 이송시키는 오일이송펌프모듈, 상기 폐유를 여과시키기 위한 오일여과모듈, 상기 폐유 내의 수분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함량분석모듈, 상기 폐유 내의 고형물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입도분석모듈, 오일 유동조건과 여과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제어계측모듈로 구성되는 오일여과시스템과; 상기 오일여과시스템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관리하고자 내부네트워크부, 중앙제어처리부, 외부네트워크부를 포함하는 통합관리게이트웨이서버와; A/S를 담당하는 업체와 제조사의 전산실로 연결하고자 통합관리제어서버, 데이터베이스, 웹관리서버를 포함하는 통합관리제어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오일여과시스템의 실시간 모니터링과 계측을 통해 오일에 포함된 오염물, 수분 및 슬러지 등을 분리 및 제거하는 과정에 대해서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신속한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일여과시스템에 장착된 센서로부터 취득한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적 데이터를 생성하여 다양한 정보 현황, 통계 및 리포팅 자료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효율적으로 오일여과시스템을 관리하는 기술을 구현하여 장치의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오일여과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여과시스템 구성에 대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여과시스템 구성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형 티슈필터가 포함된 오일여과모듈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롤형 티슈필터의 오일 여과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오일여과모듈이 구비된 오일여과시스템과 이를 원격제어계측하기 위한 장치 간의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여과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시스템의 블록도;
도 7은 원격지에서 오일여과시스템에 접속하여 원격관리를 수행하는 과정의 실시흐름도;
도 8은 오일여과시스템의 관리데이터를 요청하는 과정의 실시흐름도;
도 9는 원격지에 위치한 오일여과시스템의 알람 상황 전파과정의 실시흐름도;
도 10은 자동인식장치부에서 오일여과시스템을 인식하고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의 실시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폐유조(A)에 저유된 폐유를 흡입하여 이송시키는 오일이송펌프모듈(110), 상기 폐유를 여과시키기 위한 오일여과모듈(120), 상기 폐유 내의 수분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함량분석모듈(130), 상기 폐유 내의 고형물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입도분석모듈(140), 오일 유동조건과 여과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제어계측모듈(150)로 구성되는 오일여과시스템(100)과;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관리하고자 내부네트워크부(210), 중앙제어처리부(220), 외부네트워크부(230)를 포함하는 통합관리게이트웨이서버(200)와; A/S를 담당하는 업체와 제조사의 전산실로 연결하고자 통합관리제어서버(310), 데이터베이스(320), 웹관리서버(330)를 포함하는 통합관리제어시스템(300);으로 구성되는 원격제어계측 기능이 구비된 오일여과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여과시스템 구성에 대한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일여과시스템은 폐유조(A)에 저유된 폐유를 흡입하여 오일여과시스템(100)에 형성된 폐유유입구(100a)를 거쳐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 내부로 폐유를 유입 및 이송시키는 오일이송펌프모듈(110), 상기 폐유를 여과시키기 위한 오일여과모듈(120), 상기 폐유 내의 수분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함량분석모듈(130), 상기 폐유 내의 고형물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입도분석모듈(140), 오일 유동조건과 여과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제어계측모듈(1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오일이송펌프모듈(110)의 흡입부(110a)와 토출부(110b)가 형성되는 유동관(7) 상에는 유량센서(1)와 압력센서(2)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오일이송펌프모듈(110)이 위치한 유동관(7)의 일측에는 누유센서(4)가 구비되어 상기 유동관(7) 내 오일 유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계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일이송펌프모듈(110)의 흡입부(110a)와 토출부(110b)의 유동관(7) 상에는 차압센서(3)를 더 구비하여 상기 유동관(7) 내 오일 유동 압력을 세부적으로 계측하고, 상기 압력센서(2)로 계측한 압력값과 교차 검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유량센서(1)의 경우 오일의 점성도는 온도 변화의 함수이고 이에 따라 유량이 변하게 되므로 온도센서(도면 미도시)를 더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형 티슈필터가 포함된 오일여과모듈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롤형 티슈필터의 오일 여과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사시도로 도 3과 도 4를 더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오일여과모듈(120)은 유입구(121)와 배출구(122)가 구비된 원통형의 본체(120a) 내부에 롤형 티슈필터(123)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20a)의 하부는 밀폐되고 상기 본체(120a)의 상부에는 덮개(124)가 구비되며, 상기 덮개(124)와 상기 롤형 티슈필터(123) 사이에는 소정의 유체공간(125)이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121)와 상기 배출구(122)가 형성되는 유동관(7) 상에는 유량센서(1)와 압력센서(2)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오일여과모듈(120)이 위치한 유동관(7)의 일측에는 누유센서(4)가 구비되어 상기 유동관(7) 내 오일 유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계측할 수 있다. 이 역시 상기 오일이송펌프모듈(1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오일여과모듈(120)의 유입구(121)와 배출구(122)의 유동관(7) 상에 차압센서(3)를 더 구비하여 상기 유동관(7) 내 오일 유동 압력을 세부적으로 계측하고, 상기 압력센서(2)로 계측한 압력값과 교차 검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일여과모듈(120)에 형성된 상기 유입구(121)를 통해서 오염물(p)이 내재된 오일이 유입되면 상기 오염물(p)이 내재된 오일이 상기 유체공간(125)으로 이동되고, 상기 유입구(121)에서 연속 주입되는 오일의 유동 압력에 의하여 상기 롤형 티슈필터(123)로 분산 이동되어 여과된 후 상기 배출구(122)를 통해 배유되는 형태로 오일이 여과된다. 즉, 상기 롤형 티슈필터(123)는 오일 내부에 포함된 오염물(p)을 여과시키고 여과된 오일은 본체의 하부에 구비된 배출구(122)를 통해 빠져 나간다. 상기 배출구(122)를 통해 빠져나간 여과된 오일은 최종적으로 오일여과시스템(100)에 형성된 여과유배출구(100b)를 통해서 배출된 후 여과유조(B)에 보관되게 된다.
이 때 반복적인 여과 공정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폐유조(A) 측에 구비된 유동제어밸브(5)의 조작을 통해서 상기 폐유조(A)에서 오일이송펌프모듈(110)로 연결되는 유동관(7)을 폐쇄시킨다. 그런 후에 여과유조(B)에서 상기 오일이송펌프모듈(110)로 연결되도록 상기 여과유조(B) 측에 구비된 유동제어밸브(5)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여과유조(B)에서 상기 오일이송펌프모듈(110)로 유동관(7)이 연결되도록 하여 반복적인 여과 공정을 재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롤형 티슈필터(123)는 상기 덮개(124)와 탄성부재(129)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롤형 티슈필터(123)의 중심을 상하로 관동하는 지지관(126)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관(126)의 외주면에 마그네틱필터(127)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그네틱필터(127)를 통해서 오일 내 자성을 띄는 금속 성분의 오염 물질을 여과시킬 수 있다. 여기서 오일은 자동차용, 선박용, 절연용, 기어용, 터빈용, 냉동기용, 베어링용, 자동변속기용, 압축기용, 절삭용 또는 열매체용 오일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지지관(126)에는 핸들(128)이 더 구비되어 상기 지지관(126)의 장착과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와 같이 오염물(p)이 내재된 오일이 통과된 후의 롤형 티슈필터(123)는 다양한 오염물(p)이 포집되어 있다. 상기 롤형 티슈필터(123)는 겹겹이 적층된 여과지 사이에 오염물(p)이 포집되는 형태이므로, 상기 오염물(p)이 누적되면 여과지 사이의 간격이 벌어져서 여과 효율이 낮아지기 때문에 적시에 교체하여야 한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상기 수분함량분석모듈(130)의 유입구(130a)와 배출구(130b)가 형성되는 유동관(7) 상에도 유량센서(1)와 압력센서(2)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수분함량분석모듈(130)이 위치한 유동관(7)의 일측에는 누유센서(4)가 구비되어 상기 유동관(7) 내 오일 유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계측할 수 있으며, 상기 수분함량분석모듈(130)의 유입구(130a)와 배출구(130b)의 유동관(7) 상에는 차압센서(3)가 더 구비되어 상기 유동관(7) 내 오일 유동 압력을 세부적으로 계측하고, 상기 압력센서(2)로 계측한 압력값과 교차 검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입도분석모듈(140)의 유입구(140a)와 배출구(140b)가 형성되는 유동관(7) 상에도 유량센서(1)와 압력센서(2)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입도분석모듈(140)이 위치한 유동관(7)의 일측에는 누유센서(4)가 구비되어 상기 유동관(7) 내 오일 유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계측할 수 있으며, 상기 입도분석모듈(140)의 유입구(140a)와 배출구(140b)의 유동관(7) 상에는 차압센서(3)가 더 구비되어 상기 유동관(7) 내 오일 유동 압력을 세부적으로 계측하고, 상기 압력센서(2)로 계측한 압력값과 교차 검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수분함량 분석과정과 입도 분석과정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수분함량분석모듈(130)과 상기 입도분석모듈(140) 측에 각각 구비된 유동제어밸브(5)의 조작을 통해서 오일이송펌프모듈(110)에서 오일여과모듈(120)로 바로 폐유가 이송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폐유가 선택적으로 수분함량분석모듈(130) 입도분석모듈(140)을 통과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유동관(7)에는 오일 유동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라인히터(6)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라인히터(6)를 통해서 상기 유동관(7) 내 오일의 점성도를 증가시키면 오일의 유동성이 증진되므로 상기 오일이송펌프모듈(110)에 걸리는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고, 상기 오일여과모듈(120)에 의한 여과 효율이 증대될 수 있으며, 상기 수분함량분석모듈(130)과 상기 입도분석모듈(140)로 유입되는 부하를 저감시켜 분석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계측모듈(150)은 상기 오일이송펌프모듈(110), 상기 오일여과모듈(120), 상기 수분함량분석모듈(130), 상기 입도분석모듈(140)의 위치한 유동관(7) 상에 각각 구비된 유량센서(1), 압력센서(2), 차압센서(3)와 상기 유동관(7)의 일측에 각각 구비된 누유센서(4)에서 송신하는 센싱데이터를 취합하고, 상기 센싱데이터를 수치 또는 그래픽 형태로 출력하며, 상기 통합관리게이트웨이서버(20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센싱데이터는 오일의 청정도를 NAS 1638, AS 4059, DEF STAN 05-42/2, ISO 4406:1987, ISO 4406:1999의 오염 규정 기준 입자 구분 결과로 변환되어 상기 제어계측모듈(150)을 통해 수치 또는 그래픽 형태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NAS 1638에 의한 오염 등급 기준으로 상기 제어계측모듈(150)을 통한 수치 또는 그래픽 형태의 출력 결과는 미립자의 입경을 5범위(5~15, 15~25, 25~50, 50~100, >100㎛)로 구분하고, 오염입자의 수를 상기 5범위 구분에 따라 14등급(00, 0, 1, 2, 3, 4, 5, 6, 7, 8, 9, 10, 11, 12)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AS 4059에 의한 오염 등급 기준으로 상기 제어계측모듈(150)을 통한 수치 또는 그래픽 형태의 출력 결과는 오염범위를 5구분(A, B, C, D, E)하여 오염도를 15 등급(000, 00, 0, 1, 2, 3, 4, 5, 6, 7, 8, 9, 10, 11, 12)으로 표시한다. 또한 DEF STAN 05-42/2에 의한 오염 등급 기준으로 상기 제어계측모듈(150)을 통한 수치 또는 그래픽 형태의 출력 결과는 6가지 입자의 크기(>5, >10, >15, >25, >50, >100㎛)에 대한 입자의 수를 9등급(400, 800, 1300, 2000, 4400, 6300, 15000, 21000, 100000)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ISO 4406:1987에 의한 오염 등급 기준으로 상기 제어계측모듈(150)을 통한 수치 또는 그래픽 형태의 출력 결과는 두 가지 코드번호를 사용하여 유체 1ml 안의 오염도를 표시한다. 첫 번째 코드번호는, 1ml 안의 >5㎛의 미립자의 수를 표시하고, 두 번째 코드번호는 >15㎛의 미립자의 수를 표시한다. 마지막으로 ISO 4406:1999에 의한 오염 등급 기준으로 상기 제어계측모듈(150)을 통한 수치 또는 그래픽 형태의 출력 결과는 세 가지 코드번호를 사용하되 기준 입자를 4㎛, 6㎛, 14㎛ 하여 유체 1ml 안의 오염도를 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오일여과모듈(120)이 구비된 오일여과시스템(100)과 이를 원격제어계측하기 위한 장치 간의 모식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여과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여과시스템(100)은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관리하고자 내부네트워크부(210), 중앙제어처리부(220), 외부네트워크부(230)를 포함하는 통합관리게이트웨이서버(200)와, A/S를 담당하는 업체와 제조사의 전산실로 연결하고자 통합관리제어서버(310), 데이터베이스(320), 웹관리서버(330)를 포함하는 통합관리제어시스템(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은 사용자측 요구 및 사용 환경에 따라 다수 개가 근접한 지역 또는 구역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에 대한 상기 통합관리게이트웨이서버(200)는 내부네트워크부(210), 중앙제어처리부(220), 외부네트워크(230)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네트워크부(210)는 내부네트워크용 네트워크연결부(211);와 자동인식장치부(212);로 구성된다. 상기 네트워크연결부(211)는 TCP/IP, RS-485, PLC 및 근거리 무선 통신망인 지그비, 와이파이,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가시광 통신, RFID통신, NFC 등의 어느 하나 이상의 전송 방법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대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앙제어처리부(220)는 데이터저장부(221); CPU(222); 및 전원부(223);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부네트워크부(230)는 외부네트워크용TCP/IP(231);와 CDMA(232);로 구성된다.
상기 네트워크연결부(211)는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과 물리적인 통신선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상기 내부네트워크용TCP/IP(211a)는 인터넷망의 기본적인 통신 프로토콜이며 인트라넷 또는 엑스트라넷과 같은 사설망에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내부네트워크용TCP/IP(211a)는 원격지의 사용자(400);와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의 제조업체(410); 및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의 A/S를 담당하는 관리업체(420);로부터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의 원격 모니터링과 관리요청을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상기 CPU(222)로부터 수신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된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에 요청하고 실행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CPU(222)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자동인식장치부(212)는 상기 네트워크연결부(211)에 접속된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부분으로 최초에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과 유/무선 통신선으로 연결되면 상기 자동인식장치부(212)는 상기 CPU(222)를 통해서 상기 데이터저장부(221)에 저장된 오일여과시스템(100) 리스트를 검색한 뒤 일치하는 정보를 갖고 접속된 해당 오일여과시스템(100)에 인식 테스트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오일여과시스템 종류, 인식번호, 제품번호를 상기 통합관리게이트웨이서버(200)로부터 상기 외부네트워크부(230)로 수신 받아 상기 CPU(222)를 통해 상기 데이터저장부(221)의 네트워크 목록 리스트에 등록시킨 뒤 내부 네트워크 내의 구분이 될 수 있는 자체 인식 번호를 상기 네트워크연결부(211)를 통해 오일여과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221)는 상기 CPU(222)의 통제 하에서 자동인식 기본 정보, 내부 네트워크 목록, 접속 오일여과시스템에 따른 운전, 관리, 상태에 대한 각종 누적 데이터와 원격제어에 관련된 명령 테이블을 보관하며, 오일여과시스템 데이터의 저장은 주기적 또는 저장 요청을 CPU(222)로부터 받아 저장한다.
상기 CPU(222)는 상기 내부네트워크부(210)로부터 인식된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에 대한 관리 데이터, 시간별 센서의 출력단 누적데이터, 경보알림 누적 데이터 등을 요청하고 수신하며 접속된 오일여과시스템을 종합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주기적, 비주기적으로 수집, 저장된 오일여과시스템 정보를 통합관리제어서버(310)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400), 상기 제조업체(410) 및 상기 관리업체(420)에서 요청하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인 원격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CPU(222)의 처리에 의해서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에 전달하며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으로부터 원격관리 실행결과를 수신하거나,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에 발생하는 경보알림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연결부(211)의 물리적 연결을 통해 수신 받아 상기 CPU(222)의 처리, 연산을 통해 즉시 상기 외부네트워크부(230)로 전송하여 상기 통합관리제어서버(31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CPU(222)는 상기 통합관리게이트웨이서버(200) 내의 내부, 외부 네트워크부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며, 자체 이상 여부를 관리한다. 상기 전원부(223)는 상기 내부네트워크부(210), 상기 외부네트워크부(230), 상기 데이터저장부(221), 상기 CPU(222)에 전원 공급을 담당한다. 상기 외부네트워크부(230)는 상기 중앙제어처리부(220)로부터 수신 받은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의 운전, 관리 데이터를 인터넷 기반의 외부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크게 TCP/IP(231)와 CDMA(232)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상기 CDMA(232)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신호를 넓은 주파수 대역으로 확산하여 송신한 뒤 수신부에서는 신호를 넓게 확산하는 역과정을 수행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의 방식으로 외부 잡음과 방해로부터 신호를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400), 상기 제조업체(410) 및 상기 관리업체(420)가 요청하는 원격관리와 모니터링을 상기 통합관리제어서버(31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CPU(222)에 전송하며, 상기 CPU(222)가 처리한 결과를 전송 받아 상기 통합관리제어서버(310)로 전송하거나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에서 발생하는 경고 알림을 상기 CPU(222)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오일여과시스템을 사용하는 상기 사용자(400), 상기 제조업체(410) 및 상기 관리업체(420)의 스마트디바이스(500)에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상기 외부네트워크용TCP/IP(231)는 앞서 상기 내부네트워크용 TCP/IP(2221)와 같이 인터넷망의 기본적인 통신 프로토콜로써, 여기서는 상기 외부네트워크부(230)로 연결되는 통신역할을 한다. 상기 외부네트워크용TCP/IP(231)도 상기 통합관리제어서버(310)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원격제어, 원격모니터링을 원하는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의 명령과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CPU(222)에 전송하고 상기 CPU(222)로부터 원격모니터링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통합관리제어서버(31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외부네트워크용TCP/IP(231)는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에서 발생하는 경보 알림을 상기 CPU(222)로부터 수신 받아 상기 통합관리제어서버(310)로 전송하거나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의 설정 변경을 위해서 각종 수치나 데이터 등을 수신 받을 수도 있다.
상기 통합관리제어시스템(300)은 통합관리제어서버(310), 데이터베이스(320), 및 웹관리서버(330)로 구성된다. 상기 통합관리제어서버(310)는 원격지에 설치된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을 내부 네트워크로 구성한 상기 통합관리게이트웨이서버(200)의 상기 외부네트워크부(230)와 연결되어 상기 통합관리게이트웨이서버(200)의 상기 CPU(222)와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에 관한 명령, 설정 데이터, 제품 정보 등을 인터넷을 통해 송수신한다. 먼저 상기 통합관리제어서버(310)는 상기 통합관리게이트웨이서버(200)에 원하는 오일여과시스템 관리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를 요청하여 상기 통합관리게이트웨이서버(200)의 외부네트워크부(230)를 통해 인터넷을 거쳐 수신 받아서 오일여과시스템별, 사용자별, 시간별, 센서별, 이력 데이터별 등의 구분 항목별로 상기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기능은 개별 오일여과시스템에 대한 통합적 관리를 위한 기초 관리데이터로 사용된다.
또한 원격지의 상기 사용자(400)가 요구한 원격관리기능을 수신하여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이 속한 상기 통합관리게이트웨이서버(200)를 상기 데이터베이스(320)의 사용자 항목에서 검색하여 명령을 전송하며, 실행결과를 상기 외부네트워크부(230)를 통해 수신 받아 상기 사용자(400)의 상기 스마트디바이스(500)에 전송하거나 상기 웹관리서버(330)에 접속한 사용자의 웹브라우저 화면에 표시하거나 상기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한다. 이와 함께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에서 발생하는 경보 알림을 상기 외부네트워크부(23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320)의 사용자 목록을 검색하여 자동으로 경보 알림 내용을 상기 사용자(400), 상기 제조업체(410), 상기 관리업체(420)의 상기 스마트디바이스(500)에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인터넷을 통해서는 PC상의 오일여과시스템 경보 알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전송하여 경보 알림을 알린다.
상기 데이터베이스(320)는 상기 통합관리제어서버(310)에서 수신한 각 오일여과시스템의 관리, 상황, 오일여과시스템 장치별 센서, 알림 데이터와 각 항목별 누적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통합관리제어서버(310)와 상기 웹관리서버(330)의 유기적 연결을 위해서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 상기 통합관리게이트웨이서버(200), 상기 사용자(400), 상기 제조업체(410) 및 상기 관리업체(420)에 대한 정보를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상기 웹관리서버(330)는 상기 사용자(400), 상기 제조업체(410), 상기 관리업체(420)가 인터넷이 구비된 어느 곳에서나 원하는 시간에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에 대한 정보를 검색, 조회하며 원격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320)와 연결된 상기 웹관리서버(330)는 상기 사용자(400), 상기 제조업체(410), 상기 관리업체(420)가 원하는 정보 목록을 웹브라우저 상에서 표현하여 간단한 클릭을 해당 오일여과시스템의 센서별 출력단 수치와 관리 상황 등을 볼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된 각종 오일여과시스템 관리에 관련된 데이터를 일, 주, 월 보고서 등의 문서형식으로 출력할 수 있어 상기 사용자(400), 상기 제조업체(410), 상기 관리업체(420)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분석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기능은 상기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웹관리서버(330)가 사용자 입력을 통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320)에 요청하고 결과를 수신하거나, 상기 통합관리제어서버(310)를 통해 통합관리게이트웨이서버(200)에 전송하여 원격지에 위치한 오일여과시스템의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도 7은 원격지에서 오일여과시스템에 접속하여 원격관리를 수행하는 과정의 실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환경에서 상기 웹관리서버(330)에 접속하여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의 관리 정보를 요청한다(S110). 상기 웹관리서버(330)는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320)의 조회를(S120) 통해 원격지의 상기 통합관리게이트웨이서버(200)에 접속하여(S130)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에 원격관리를 실시(S140)하고 관리결과를 상기 통합관리게이트웨이서버(200)에 전송(S150)하고, 상기 오일여과시스템 통합관리제어서버(310)에도 전송(S160)하며, 이는 사용자에게까지 관리결과가 전달(S170)된다. 사용자는 스마트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이나 웹브라우저의 조회화면을 통해 관리 설정 변경에 대한 결과를 조회할 수 있다(S180).
도 8은 오일여과시스템의 관리 데이터를 요청하는 과정의 실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스마트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이나 웹브라우저등을 통해 상기 통합관리제어서버(310)에 정보를 요청하면(S210) 사용자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320)에 정보를 조회하고(S220) 상기 데이터베이스(320)는 조회 조건에 따른 테이블 검색(S230)을 통해 사용자 요청에 맞는 데이터 조회 시에는 상기 통합관리제어서버(310)에 정보를 전송하여(S240) 사용자 정보 요청에 응답(S250)할 수 있게 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320)는 상기 통합관리게이트웨이서버(200)에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 데이터 조회를 의뢰하고(S260)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에 접속한 뒤(S270) 상기 통합관리게이트웨이서버(200)의 마이컴을 통해 기간별 상태와 이력 데이터 등을 처리하여(S280) 상기 통합관리제어서버(310)에 전송한다(S290). 전송된 정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320)의 사용자, 오일여과시스템별 테이블에 저장되며(S300),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에 전송되어(S310)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볼 수 있는 스마트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브라우저 화면을 통해 결과를 검색, 조회할 수 있게 한다(S320).
도 9는 원격지에 위치한 오일여과시스템의 알람 상황 전파 과정의 실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센서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 컨트롤러의 마이컴은 센서 데이터를 읽고 경보 여부를 확인하고, 즉시 상기 통합관리게이트웨이서버(200)에 전송한다(S410). 상기 통합관리게이트웨이서버(200)는 상기 데이터저장부(221)에 저장된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 데이터를 처리하여(S420) 상기 통합관리제어서버(310)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며(S430), 그와 동시에 상기 관리업체(420)에게 상기 CDMA(232) 통신 모듈을 통해서 상기 스마트디바이스(500)에 문자메시지, 이메일 및 어플리케이션 상의 알림창 전송 서비스를 전송한다(S450). 그리고 알람 데이터는 사용자와 관리자의 스마트디바이스에 전송되어(S440)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의 문제 발생 시간, 제품 번호, 알람 메시지, 위치, A/S 관리자의 전화번호 등을 전송받아 확인(S460)할 수 있으며, 관련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한다(S470).
도 10은 자동인식장치부에서 오일여과시스템을 인식하고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의 실시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통합관리게이트웨이서버(200)는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 접속에 대해 실시간으로 대기 상태로 시작한다(S500). 물리적으로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이 연결(S510)되면, 자동 인식을 요청(S520)하고 상기 데이터저장부(221)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오일여과시스템이 인식되면, 인식테스트 신호를 전송(S550)하고 최초 접속에 대한 오일여과시스템 정보를 받아서 기기 인식여부를 확인(S570)한다. 오일여과시스템 인식 결과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저장부(221)에 저장(S580)되며, 오일여과시스템과의 연결(S590)을 계속 유지한다. 오일여과시스템 인식 리스트에 정보가 누락되어 있을 경우, 상기 오일여과시스템 인식 리스트의 보완을 요구(S540)하며 실패 결과 및 원인을 저장(S600)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변형 및 개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A : 폐유조 B : 여과유조
p : 오염물
1 : 유량센서 2 : 압력센서
3 : 차압센서 4 : 누유센서
5 : 유동제어밸브 6 : 라인히터
7 : 유동관
100 : 오일여과시스템 110 : 오일이송펌프모듈
110a : 흡입부 110b : 토출부
120 : 오일여과모듈 120a : 본체
121 : 유입구 122 : 배출구
123 : 롤형 티슈필터 124 : 덮개
125 : 유체공간 126 : 지지관
127 : 마그네틱필터 128 : 핸들
129 : 탄성부재 130 : 수분함량분석모듈
130a : 유입구 130b : 배출구
140 : 입도분석모듈 140a : 유입구
140b: 배출구 150 : 제어계측모듈
200 : 통합관리게이트웨이서버 210 : 내부네트워크부
211 : 네트워크연결부 212 : 자동인식장치부
220 : 중앙제어처리부 221 : 데이터저장부
222 : CPU 223 : 전원부
230 : 외부네트워크부 231 : TCP/IP
232 : CDMA
300 : 통합관리제어시스템 310 : 통합관리제어서버
320 : 데이터베이스 330 : 웹관리서버

Claims (8)

  1. 폐유조(A)에 저유된 폐유를 흡입하여 이송시키는 오일이송펌프모듈(110), 상기 폐유를 여과시키기 위한 오일여과모듈(120), 상기 폐유 내의 수분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함량분석모듈(130), 상기 폐유 내의 고형물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입도분석모듈(140), 오일 유동조건과 여과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제어계측모듈(150)로 구성되는 오일여과시스템(100);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을 네트워크로 연결하기 위한 내부네트워크부(210), 중앙제어처리부(220), 외부네트워크부(230)를 포함하는 오일여과시스템 통합관리게이트웨이서버(200);
    A/S를 담당하는 업체와 제조사의 전산실로 연결하고자 통합관리제어서버(310), 데이터베이스(320), 웹관리서버(330)를 포함하는 통합관리제어시스템(3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계측모듈(150)은 상기 오일이송펌프모듈(110), 상기 오일여과모듈(120), 상기 수분함량분석모듈(130), 상기 입도분석모듈(140)이 위치한 유동관(7) 상에 각각 구비된 유량센서(1), 압력센서(2), 차압센서(3)와 상기 유동관(7)의 일측에 각각 구비된 누유센서(4)에서 송신하는 센싱데이터를 취합하고, 상기 센싱데이터를 수치 또는 그래픽 형태로 출력하며, 상기 통합관리게이트웨이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센싱데이터는 NAS 1638, AS 4059, DEF STAN 05-42/2, ISO 4406:1987, ISO 4406:1999의 등급 기준 중 어느 하나로 변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계측 기능이 구비된 오일여과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이송펌프모듈(110)의 흡입부(110a)와 토출부(110b)가 형성되는 유동관(7) 상과,
    상기 오일여과모듈(120)의 유입구(121)와 배출구(122)가 형성되는 유동관(7) 상과,
    상기 수분함량분석모듈(130)의 유입구(130a)와 배출구(130b)가 형성되는 유동관(7) 상과,
    상기 입도분석모듈(140)의 유입구(140a)와 배출구(140b)가 형성되는 유동관(7) 상에는,
    유량센서(1)와 압력센서(2)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수분함량분석모듈(130)이 위치한 유동관(7)의 일측에는 누유센서(4)가 구비되어 상기 유동관(7) 내 오일 유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계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계측 기능이 구비된 오일여과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여과모듈(120)은 유입구(121)와 배출구(122)가 구비된 원통형의 본체(120a) 내부에 롤형 티슈필터(123)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20a)의 하부는 밀폐되고 상기 본체(120a)의 상부에는 덮개(124)가 구비되며, 상기 덮개(124)와 상기 롤형 티슈필터(123) 사이에는 소정의 유체공간(12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계측 기능이 구비된 오일여과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121)를 통해서 오염물(p)이 내재된 오일이 유입되면 상기 오염물(p)이 내재된 오일이 상기 유체공간(125)으로 이동되고, 상기 유입구(121)에서 연속 주입되는 오일의 유동 압력에 의하여 상기 롤형 티슈필터(123)로 분산 이동되어 여과된 후 상기 배출구(122)를 통해 배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계측 기능이 구비된 오일여과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롤형 티슈필터(123)는 상기 덮개(124)와 탄성부재(129)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롤형 티슈필터(123)의 중심을 상하로 관동하는 지지관(126)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관(126)의 외주면에 마그네틱필터(12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계측 기능이 구비된 오일여과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네트워크부(210)는 내부네트워크용 TCP/IP(211a), RS-485(211b), PLC(211c), RF(211d)로 구성되는 네트워크연결부(211)와 자동인식장치부(212)로 구성되고;
    상기 중앙제어처리부(220)는 데이터저장부(221), CPU(222), 전원부(223)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네트워크부(230)는 외부네트워크용 TCP/IP(231)와 CDMA(2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계측 기능이 구비된 오일여과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제어서버(310)는 원격지에 설치된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을 내부네트워크로 구성한 상기 통합관리게이트웨이서버(200)의 상기 외부네트워크부(230)와 연결되어 상기 통합관리게이트웨이서버(200)의 CPU(222)와 상기 오일여과시스템(100)에 관한 명령, 설정 데이터, 제품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송수신하며, 상기 통합관리제어서버(310)는 상기 통합관리게이트웨이서버(200)에 원하는 오일여과시스템(100)의 운전, 관리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를 요청하여 상기 통합관리게이트웨이서버(200)의 외부네트워크부(230)를 통해 인터넷을 거쳐 수신 받아서 오일여과시스템별, 사용자별, 시간별, 센서별, 이력 데이터별의 구분 항목별로 상기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여과시스템.
KR1020170101884A 2017-08-10 2017-08-10 원격제어계측 기능이 구비된 오일여과시스템 KR101833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884A KR101833521B1 (ko) 2017-08-10 2017-08-10 원격제어계측 기능이 구비된 오일여과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884A KR101833521B1 (ko) 2017-08-10 2017-08-10 원격제어계측 기능이 구비된 오일여과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3521B1 true KR101833521B1 (ko) 2018-02-28

Family

ID=61401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884A KR101833521B1 (ko) 2017-08-10 2017-08-10 원격제어계측 기능이 구비된 오일여과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5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5065A (zh) * 2018-08-13 2018-11-27 山东航天电子技术研究所 一种油液过滤智能测试平台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799Y1 (ko) * 2004-05-06 2004-08-21 백승택 인터넷을 통한 보일러 원격제어 및 통합관리 시스템
KR101456580B1 (ko) * 2013-03-29 2014-10-31 트리플알(주) 오일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오일여과장치
KR101493861B1 (ko) * 2013-10-22 2015-02-16 주식회사 포스코 오일 순환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799Y1 (ko) * 2004-05-06 2004-08-21 백승택 인터넷을 통한 보일러 원격제어 및 통합관리 시스템
KR101456580B1 (ko) * 2013-03-29 2014-10-31 트리플알(주) 오일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오일여과장치
KR101493861B1 (ko) * 2013-10-22 2015-02-16 주식회사 포스코 오일 순환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5065A (zh) * 2018-08-13 2018-11-27 山东航天电子技术研究所 一种油液过滤智能测试平台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69247B1 (en) Filtration monitoring system
EP1542105B1 (en) Industrial control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therefor
JP2019067461A (ja) 動作プロセスを監視するシステム、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RU275438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жидкости с устройством беспроводной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CN106996367B (zh) 泵站运行的感知报警系统及感知报警方法
KR101833521B1 (ko) 원격제어계측 기능이 구비된 오일여과시스템
EP3577883B1 (en) Hybrid wireless sensor network architecture for fluid delivery and distribution systems
US10958991B2 (en) Filter element sensor module having processing and wireless communication capabilities
CN108093029B (zh) 过滤器元件分析系统和相关联的方法
CN112780830A (zh) 一种阀门防漏警报装置
AU2018423601A1 (en) Failure diagnosis system
KR101641852B1 (ko) 자가진단 및 원격제어 기능이 구비된 냉동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CN114777003A (zh) 一种电厂辅机润滑油监测系统及方法
CN102606561B (zh) 油液污染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040834B1 (ko) 스마트 필터 관리 시스템
CN117151570B (zh) 冷链运输用箱体的冷源管路监测方法
CN102980610A (zh) Cems系统智能故障检测装置
CN114341896A (zh) 用于检测过滤器脏污程度的系统和方法
CN103019160B (zh) 基于云计算的冷水机管理控制系统及方法
KR20050110815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정수기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CN114781671A (zh) 一种用于电力用油的智慧监督系统及监督测试方法
AU2020102865A4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internet of things (iot) boiler
CN108694804A (zh) 一种集中报警监控系统
US20220083043A1 (en) Method, an apparatus, a system,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ubstance analysis
US20230057477A1 (en) Working fluid system monitoring based on heat exchanger parame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