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8360A -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8360A
KR20140118360A KR1020130034103A KR20130034103A KR20140118360A KR 20140118360 A KR20140118360 A KR 20140118360A KR 1020130034103 A KR1020130034103 A KR 1020130034103A KR 20130034103 A KR20130034103 A KR 20130034103A KR 20140118360 A KR20140118360 A KR 20140118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mode
standby
display uni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4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7381B1 (ko
Inventor
조은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4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381B1/ko
Priority to US13/896,042 priority patent/US9104255B2/en
Priority to PCT/KR2013/004483 priority patent/WO2014157767A1/en
Priority to EP13880667.4A priority patent/EP2979160B1/en
Priority to CN201380075249.2A priority patent/CN105074645B/zh
Publication of KR20140118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8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Abstract

본 명세서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대기 모드 및 잠금 모드로 스위칭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종이(e-paper) 디스플레이 유닛;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입력 신호를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입력 신호 수신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입력 신호 수신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 입력 신호의 부재(lack)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1 대기 모드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 1 대기 모드는 상기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된 제 1 이미지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disable)하는 모드인, 상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1 대기 스위칭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2 대기 모드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 2 대기 모드는 상기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된 제 2 이미지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하는 모드인, 상기 제 1 대기 모드에서, 대기 해제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1 잠금 모드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 1 잠금 모드는 상기 제 1 이미지 상에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드인, 상기 제 2 대기 모드에서, 상기 대기 해제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2 잠금 모드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 2 잠금 모드는 상기 제 2 이미지 상에 상기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MOBILE DEVICE USING E-PAPER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명세서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대기 모드 및 잠금 모드로 스위칭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LCD, LED 등을 이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전자 종이(e-paper)를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이용한 이동 단말기도 등장하였다. LCD, LED는 화소마다 소자가 패널에 빛을 발사해 형상을 표시하는 반면에, 전자 종이는 색을 내는 잉크를 담은 캡슐을 기판에 골고루 뿌린 뒤 기판에 전기 신호를 보내면 캡슐에 담긴 특정 색이 위로 올라오면서 원하는 형상을 표시하게 된다. 전자 종이는 액정 대신 전자 잉크를 사용해 다른 디스플레이와 달리 화면 뒤에서 빛을 비추지 않아도 외부 조명만 있으면 화상을 볼 수 있어, 전력 손실이 적다. 또한, LCD의 전원을 끄면 디스플레이된 화면이 바로 없어지는 반면에, 전자 종이는 전원이 꺼져도 화면이 그대로 유지된다. 또한, 전자 종이는 액정 디스플레이보다 시야각이 넓기 때문에 다양한 각도에서 쉽게 글자를 읽을 수 있다.
또한, 최근 전자 종이의 수요가 다양한 분야에서 늘어나고 있다. 예를 들어, 지하철 광고, 전자 의류, 스마트폰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전자 종이가 이용되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대기 모드 및 잠금 모드로 스위칭되는 때에,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컨텐츠를 계속하여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전자 종이의 특성을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대기 모드를 3가지로 분류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입력 신호의 유무 및 입력 신호의 종류에 따라 스위칭되는 대기 모드를 다양화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대기 모드에서 터치 오프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여, 대기 모드에서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이 디스에이블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의 잠금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의 대기 모드에 기초하여 결정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종이(e-paper) 디스플레이 유닛;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입력 신호를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입력 신호 수신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입력 신호 수신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 입력 신호의 부재(lack)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1 대기 모드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 1 대기 모드는 상기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된 제 1 이미지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disable)하는 모드인, 상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1 대기 스위칭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2 대기 모드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 2 대기 모드는 상기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된 제 2 이미지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하는 모드인, 상기 제 1 대기 모드에서, 대기 해제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1 잠금 모드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 1 잠금 모드는 상기 제 1 이미지 상에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드인, 상기 제 2 대기 모드에서, 상기 대기 해제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2 잠금 모드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 2 잠금 모드는 상기 제 2 이미지 상에 상기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드를 제공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종이(e-paper) 디스플레이 유닛;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입력 신호를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입력 신호 수신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입력 신호 수신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 입력 신호의 부재(lack)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1 대기 모드로 스위칭(switching)하고, 상기 제 1 대기 모드는 상기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된 제 1 이미지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disable)하는 모드인, 상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1 대기 스위칭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2 대기 모드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 2 대기 모드는 상기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된 제 2 이미지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하는 모드인, 상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2 대기 스위칭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3 대기 모드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 3 대기 모드는 상기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블랭크(blank)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블랭크 이미지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하는 모드를 제공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 입력 신호의 부재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1 대기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대기 모드는 상기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된 제 1 이미지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하는 모드임; 상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1 대기 스위칭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2 대기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대기 모드는 상기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된 제 2 이미지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하는 모드임; 상기 제 1 대기 모드에서, 대기 해제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1 잠금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잠금 모드는 상기 제 1 이미지 상에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드임; 및 상기 제 2 대기 모드에서, 상기 대기 해제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2 잠금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잠금 모드는 상기 제 2 이미지 상에 상기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드를 제공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 입력 신호의 부재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1 대기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대기 모드는 상기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된 제 1 이미지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하는 모드임; 상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1 대기 스위칭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2 대기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대기 모드는 상기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된 제 2 이미지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하는 모드임; 및 상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2 대기 스위칭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3 대기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3 대기 모드는 상기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블랭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블랭크 이미지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하는 모드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저는 전자 종이의 특성을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대기 모드에서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저는 다양한 유저 입력을 이용하여,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의 다양한 대기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저는 대기 모드에서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터치 오프 인디케이터를 통해,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이 디스에이블되었음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의 잠금 모드가 일괄적으로 정해지지 않고,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의 대기 모드에 기초하여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액티브 모드, 대기 모드 및 잠금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대기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대기 모드에서 터치 잠금 인디케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잠금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액티브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의 스위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대기 모드에서 잠금 모드로의 스위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모드 스위칭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모드 스위칭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모드 스위칭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아닌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더욱이,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이하,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 입력 신호 수신 유닛(120), 프로세서(130),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140), 파워 유닛(150), 스토리지 유닛(160), 및 커뮤니케이션 유닛(17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컨텐츠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프로세서(130)에서 처리되는 정보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및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종이는 전자 잉크(e-ink)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서, 복수 개의 구형 캡슐과 구형 캡슐의 상하에 위치한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구형 캡슐은 투명한 전극판 사이에서의 다양한 전기적인 충격에 의해 색상을 바꿀 수 있고, 문자 또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전자 종이의 특성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도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전원이 오프(OFF)되기 직전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전원이 오프되는 때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통해, 액티브 모드, 대기 모드 및 잠금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입력 신호 수신 유닛(12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수신되는 입력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입력 신호 수신 유닛(12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유저의 입력을 디텍트하고, 디텍트된 결과에 따른 입력 신호를 프로세서(1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신호 수신 유닛(120)은 복수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복수의 센싱 수단은 중력(gravity) 센서, 지자기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적외선 센서, 기울임(inclination) 센서, 조도 센서, 고도 센서, 후각 센서, 온도 센서, 뎁스 센서, 압력 센서, 밴딩 센서, 오디오 센서, 비디오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그립 센서, 터치 센서, 근접 센서 등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신호 수신 유닛(120)은 상술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통칭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신호 수신 유닛(120)은 유저의 다양한 입력 및 이동 단말기의 환경을 센싱하여, 프로세서(130)가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센싱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센서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입력 신호 수신 유닛(120)은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입력 신호 수신 유닛(120)은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입력 신호 수신 유닛(12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위치한 피지컬 버튼(physical button)을 사용하여 유저의 입력을 디텍트하고, 디텍트된 결과에 따른 입력 신호를 프로세서(1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피지컬 버튼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위치한 하드웨어 키(hardware key)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피지컬 버튼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측면에 위치한 전원 버튼(power button)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정면에 위치한 홈 버튼(home button)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입력 신호 수신 유닛(120)은 피지컬 버튼을 이용해 대기 스위칭 신호 및 대기 해제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이와 관련하여, 도 2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30)는 데이터 통신을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스토리지 유닛(160)에 저장된 컨텐츠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모바일 디바이스(100) 내부의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각 유닛들을 제어하며, 유닛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세서(13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 입력 신호의 부재(lack)를 디텍트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제 1 대기 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1 대기 스위칭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제 2 대기 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제 1 대기 모드에서, 대기 해제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1 잠금 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제 2 대기 모드에서, 대기 해제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제 2 잠금 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의 동작과 관련하여 도 4 내지 도 16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추가(additional) 디스플레이 유닛(14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140)은 액정 디스플레이(lig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al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140)은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해당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14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파워 유닛(15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 내부의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파워 소스로,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파워를 공급할 수 있다.
스토리지 유닛(160)은 동영상, 오디오, 사진,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 유닛(160)은 프로세서(14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스토리지 유닛(160)은 플래쉬 메모리, RAM(Random Access Memory), SSD(Solid State Drive) 등의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유닛(170)은 외부 디바이스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유닛(17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컨텐츠 등의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커뮤니케이션 유닛(170)을 사용하여 외부 디바이스 또는 서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커뮤니케이션 유닛(17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로서,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수행하는 다양한 동작들은 프로세서(1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동작들은 스토리지 유닛(160)에 저장되어 프로세서(130)에 의해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편의를 위해, 도면 및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동작들을 통칭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수행/제어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엘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엘리먼트들은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 도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는 본 명세서의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전면 및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전면에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위치할 수 있다.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로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메인 디스플레이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전면에 홈 버튼(122)을 배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홈 버튼(122)은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이용하는 도중에 언제든지 홈 스크린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버튼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홈 버튼(122)에 대한 입력을 디텍트하는 경우,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된 홈 스크린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버튼(122)은 하드웨어 키 또는 소프트웨어 키에 해당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홈 버튼(122)이 하드웨어 키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2(b)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후면에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140)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140)을 보조 디스플레이로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140)은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측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140)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 또는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140)은 경우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메인 디스플레이로서 유저가 컨텐츠를 주로 실행시키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전력 소모가 적은 텍스트 등의 디스플레이에 사용되고,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140)은 전력 소비가 많은 동영상, 컬러 컨텐츠 등의 디스플레이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전면에 위치하고,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140)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후면에 위치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측면에 전원 버튼(121)을 배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 버튼(121)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상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원 버튼(121)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전원을 온(ON), 오프(OFF)시키는 버튼에 해당한다.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 버튼(121)은 하드웨어 키에 해당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액티브 모드, 대기 모드 및 잠금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모드는 액티브 모드(10), 대기(standby) 모드(20) 및 잠금(lock) 모드(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액티브 모드(1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모든 컨텐츠의 사용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액티브 모드(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유저 입력을 디텍트하고, 디텍트된 유저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티브 모드(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고, 디텍트된 터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컨텐츠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액티브 모드(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인터넷 컨텐츠를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하고, 터치 입력 신호를 디텍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대기 모드(2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절전 모드를 나타낸다. 즉, 대기 모드(20)는 전력소비를 줄이는 모드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대기 모드(2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유저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사용이 계속되지 않는 경우, 대기 모드(20)로 스위칭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전원 버튼(122)에 대한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대기 모드(20)로 스위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이 LCD, LED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대기 모드(20)에서 디스플레이 유닛을 디스에이블(disable)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 유닛을 디스에이블하는 것은 디스플레이 유닛에 어떠한 컨텐츠도 디스플레이되지 않고 검게 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유닛이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대기 모드(20)에서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기 모드(20) 직전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대기 모드(20)에서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대기 모드(20) 직전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전자 종이의 특성상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이미 디스플레이된 전자 잉크가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4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잠금 모드(3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유저의 사용이 잠긴 상태를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는, 잠금 모드(30)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기 설정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어 있으나,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disable)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컨텐츠는 시계, 달력 등의 유저 설정에 의한 컨텐츠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잠금 모드(3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2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전원 버튼(121) 또는 홈 버튼(122)에 대한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잠금 모드(30)로 스위칭할 수 있다.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220)와 관련하여, 도 6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점을 고려할 때, 본 명세서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이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있어서, 다양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대기 모드(20) 및 잠금 모드(30)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대기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는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3가지 대기 모드를 나타낸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 1 대기 모드(2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대기 모드(21)는 대기 모드로 스위칭 직전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 상에 계속 유지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대기 모드(21)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대기 모드(21) 직전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계속 유지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다만, 제 1 대기 모드(21)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컨텐츠를 계속 유지하되,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어둡게 할 수 있다. 이는, 대기 모드에서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제 1 대기 모드(21)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하는 모드를 나타낸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 1 대기 모드(21)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를 디텍팅하지 않거나, 디텍트된 터치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의 부재(lack)을 디텍트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 1 대기 모드(21)로 스위칭(switching)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7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 2 대기 모드(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대기 모드(22)는 대기 모드 스위칭 시에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기 설정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대기 모드(22)는 기 설정된 컨텐츠의 정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상태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종이 특성상,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전원이 오프인 대기 상태에서도 기 설정된 컨텐츠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컨텐츠는 날짜 및 시간 컨텐츠, 달력 컨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대기 모드(22)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하는 모드를 나타낸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 2 대기 모드(22)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를 디텍팅하지 않거나, 디텍트된 터치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1 대기 스위칭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 2 대기 모드(22)로 스위칭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7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제 3 대기 모드(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3 대기 모드(23)는 대기 모드 스위칭 시에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블랭크(blank)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때, 블랭크 이미지는 검은색, 흰색과 같은 단색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LCD, LED와 같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유닛이 검은색으로 변하게 되지만,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마지막으로 전원이 공급된 때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가 그대로 유지된다. 따라서, 제 3 대기 모드(23)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검은색 이미지와 같은 단색의 이미지를 별도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 3 대기 모드(23)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하는 모드를 나타낸다. 도 4(c)를 참조하면, 제 3 대기 모드(23)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를 디텍팅하지 않거나, 디텍트된 터치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2 대기 스위칭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 3 대기 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7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대기 모드에서 터치 잠금 인디케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터치 오프 인디케이터(210)를 나타낸다.
먼저,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을 사용하는 경우,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대기 모드(20)에서 액티브 모드와 동일한 컨텐츠를 그대로 유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대기 모드(20)와 액티브 모드의 식별을 위하여, 대기 모드(20)에서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 상에 터치 오프 인디케이터(210)를 디스플레이할 필요가 있다. 이 때, 터치 오프 인디케이터(21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대기 모드(20)로 스위칭되어 터치 입력을 디텍팅하는 것이 디스에이블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경계에 터치 오프 인디케이터로서 실선(210a)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5(b)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손 모양의 터치 오프 인디케이터(210b)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때, 터치 오프 인디케이터(210b)의 형상은 자물쇠 모양, 손 모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터치 오프 인티케이터(210)는 일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제 1 대기 모드를 이용하여 나타내고 있으나, 제 1 내지 제 3 대기 모드에 대하여 모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잠금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은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2가지 잠금 모드를 나타낸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한 제 1 잠금 모드(3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잠금 모드(31)는 도 4(a)에 도시된 제 1 대기 모드에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220)를 디스플레이한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제 1 잠금 모드(31)는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제 1 대기 모드로 스위칭하는 때에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및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220)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 1 잠금 모드(31)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200)를 제외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 즉, 제 1 잠금 모드(31)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200)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를 디텍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00)에 대한 제 2 잠금 모드(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잠금 모드(32)는 도 4(b)에 도시된 제 2 대기 모드에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220)를 디스플레이한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제 2 잠금 모드(32)는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기 설정된 컨텐츠의 이미지 및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220)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대기 해제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 1 잠금 모드(31) 또는 제 2 잠금 모드(32)로 스위칭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8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제 2 잠금 모드(32)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200)를 제외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 즉, 제 2 잠금 모드(32)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200)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를 디텍팅할 수 있다.
한편,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220)는 잠금 모드를 해제하여 액티브 모드로 스위칭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220)는 슬라이딩 인터페이스, 패턴 인식 인터페이스, 얼굴 인식 인터페이스, 번호 인식 인터페이스 및 지문 인식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 상에 패턴 인식 인터페이스(2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패턴 인식 인터페이스(200)에 설정된 기 설정된 패턴에 대한 터치 입력을 디텍트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잠금 모드가 해제되어 액티브 모드로 스위칭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액티브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의 스위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은 입력 조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액티브 모드(10)에서 대기 모드(20)로의 스위칭을 나타낸다. 도 7(a)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액티브 모드(10)를 나타내고, 도 7(b)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대기 모드(20)를 나타낸다.
먼저, 액티브 모드(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액티브 모드(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고, 디텍트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컨텐츠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기 설정된 시간(t) 동안 유저 입력의 부재를 디텍트하는 경우, 제 1 대기 모드(21)로 스위칭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시간(t)은 유저에 의해 설정된 시간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자동으로 설정된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t)은 10초, 20초, 30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대기 모드(21)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 상에 대기 모드로 스위칭하는 때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계속 유지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제 1 대기 모드(21)에서, 유저는 액티브 모드(10)에서 이용했던 컨텐츠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다만, 대기 모드에서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제 1 대기 모드(21)에서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는 시간의 변화에 따라 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 1 대기 모드(21)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액티브 모드(10)에서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밝기가 어두워지는 것을 통해, 유저에게 제 1 대기 모드(21)로 스위칭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기 설정된 시간(t) 이내에 제 1 입력을 디텍트하는 경우, 제 2 대기 모드(22)로 스위칭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입력은 제 1 대기 스위칭 신호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입력은 전원 버튼(121)에 대한 싱글(single)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b)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대기 모드(22)는 대기 모드로 스위칭하는 때에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기 설정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제 2 대기 모드(22)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 또한, 도 7(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액티브 모드(10)에서 이용했던 컨텐츠가 아닌 기 설정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유저에게 제 2 대기 모드로 스위칭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기 설정된 시간(t) 이내에 제 2 입력을 디텍트하는 경우, 제 3 대기 모드(23)로 스위칭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입력은 제 2 대기 스위칭 신호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입력은 전원 버튼(121)을 통한 멀티 입력, 롱(long)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입력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입력과 구별될 수 있는 입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4(c)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3 대기 모드(23)는 대기 모드 스위칭 시에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블랭크(blank)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제 3 대기 모드(23)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 상에 블랭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유저에게 제 3 대기 모드로 스위칭함을 알릴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대기 모드에서 잠금 모드로의 스위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8은 입력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대기 모드(20)에서 잠금 모드(30)로의 스위칭을 나타낸다. 도 8(a)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대기 모드(20)를 나타내고, 도 8(b)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잠금 모드(30)를 나타낸다.
먼저,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대기 모드(21,22,23)에서,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잠금 모드(31,32)로 스위칭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입력 신호는 대기 해제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 해제 신호는 전원 버튼(121) 또는 홈 버튼(미도시)에 대한 입력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입력 신호의 부재를 디텍트하는 경우, 잠금 모드(30)로 스위칭하지 않고, 대기 모드(21,22,23)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 1 대기 모드(21)에서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제 1 잠금 모드(31)로 스위칭할 수 있다. 도 6(a)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잠금 모드(31)는 제 1 대기 모드에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220)를 디스플레이한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서,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220)는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인터페이스, 패턴 인식 인터페이스, 얼굴 인식 인터페이스, 번호 인식 인터페이스, 지문 인식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 2 대기 모드(22)에서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제 2 잠금 모드(32)로 스위칭할 수 있다. 도 6(b)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잠금 모드(32)는 제 2 대기 모드에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220)를 디스플레이한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 3 대기 모드(23)에서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제 2 잠금 모드(32)로 스위칭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 3 대기 모드(23)에서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 상에 기 설정된 컨텐츠 및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2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모드 스위칭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9는 일 실시예로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액티브 모드(10)에서 제 1 대기 모드 및 제 1 잠금 모드로의 스위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액티브 모드(10), 도 9(b)는 제 1 대기 모드(21), 도 9(c)는 제 1 잠금 모드(31), 도 9(d)는 액티브 모드(10)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액티브 모드(10)에서 기 설정된 시간(t) 동안 입력 신호의 부재를 디텍트하는 경우, 제 1 대기 모드(21)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 1 대기 모드(21)에서 터치 오프 인디케이터(미도시)를 디스플레이하여 유저에게 터치 입력의 디텍팅이 디스에이블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다음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 1 대기 모드(21)에서 대기 해제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제 1 잠금 모드(31)로 스위칭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2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 해제 신호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홈 버튼(122) 또는 전원 버튼(121)에 대한 입력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220)는 패턴 인식 인터페이스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 1 잠금 모드(31)에서 잠금 해제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액티브 모드(10)로 스위칭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잠금 해제 신호는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c)에서 잠금 해제 신호는,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220)에 기 설정된 패턴을 구성하는 터치 입력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액티브 모드(10)에서 제 1 대기 모드(21) 직전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를 통하여, 유저는 액티브 모드에서 이용한 컨텐츠를 대기 모드 및 잠금 모드에서도 그대로 이용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모드 스위칭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0은 일 실시예로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액티브 모드(10)에서 제 2 대기 모드 및 제 2 잠금 모드로의 스위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는 액티브 모드(10), 도 10(b)는 제 2 대기 모드(22), 도 10(c)는 제 2 잠금 모드(32), 도 10(d)는 액티브 모드(10)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액티브 모드(10)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제 2 대기 모드(22)로 스위칭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입력 신호는 제 1 대기 스위칭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대기 스위칭 신호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전원 버튼(121)을 이용한 싱글 입력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 상에 터치 오프 인디케이터(미도시)를 디스플레이하여, 유저에게 터치 입력을 디텍팅하는 것이 디스에이블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다음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 2 대기 모드(22)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대기 해제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제 2 잠금 모드(32)로 스위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 해제 신호는 홈 버튼(122) 또는 전원 버튼(121)에 대한 입력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2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220)는 패턴 인식 인터페이스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 2 잠금 모드(32)에서 잠금 해제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액티브 모드(10)로 스위칭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잠금 해제 신호는 도 9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일 예로서, 도 10(d)의 상단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액티브 모드(10)에서 제 2 대기 모드(22) 직전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서, 도 10(d)의 하단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액티브 모드(10)에서 홈 스크린(15)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액티브 모드(1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는 유저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를 통해, 유저는 대기 모드에서 기 설정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여, 유저가 설정한 컨텐츠를 대기 모드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모드 스위칭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1은 일 실시예로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액티브 모드(10)에서 제 3 대기 모드(23) 및 제 2 잠금 모드(32)로의 스위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는 액티브 모드(10), 도 11(b)는 제 3 대기 모드(22), 도 11(c)는 제 2 잠금 모드(32), 도 11(d)는 액티브 모드(10)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액티브 모드(10)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제 3 대기 모드(23)로 스위칭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입력 신호는 제 2 대기 스위칭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대기 스위칭 신호는 전원 버튼(121)을 이용한 멀티 입력, 롱(long)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 3 대기 모드(23)에서 터치 오프 인디케이터(미도시)를 디스플레이하여 유저에게 터치 센싱의 디텍팅이 디스에이블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다음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 3 대기 모드(23)에서 대기 해제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제 2 잠금 모드(32)로 스위칭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2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 2 잠금 모드(32)에서 잠금 해제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액티브 모드(10)로 스위칭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잠금 해제 신호는 도 9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220)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일 예로서, 도 11(d)의 상단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액티브 모드(10)에서 제 2 대기 모드(22) 직전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서, 도 11(d)의 하단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액티브 모드(10)에서 홈 스크린(15)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액티브 모드(1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는 유저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를 통해, 유저의 선택에 의해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블랭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동일한 대기 모드를 가질 수 있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2는 유저(300)가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이용하는 도중에 대기 모드로 스위칭되는 경우,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액티브 모드(10), 도 12(b)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대기 모드(20), 도 12(c)는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140)의 대기 모드(40), 도 12(d)는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140)의 잠금 모드(50)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140)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2(a)를 참조하면, 액티브 모드(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유저(300)에 의해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이 때,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유저(300)를 향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2(b)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 입력 신호의 부재를 디텍트하는 경우, 제 1 대기 모드(21)에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기 설정된 시간(t) 이내에 제 1 대기 스위칭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제 2 대기 모드(22)에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기 설정된 시간(t) 이내에 제 2 대기 스위칭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제 3 대기 모드(23)에 스위칭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c)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 1 내지 제 3 대기 모드에서,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140)이 유저(300)를 향해 위치할 있다. 즉,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140)이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후면에 위치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회전에 의해,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140)이 유저(300)를 향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140)도 대기 모드(40)이므로,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140)은 디액티베이트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d)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회전으로 인해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140)이 유저(300)를 향한 상태에서, 대기 해제 신호를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에서, 대기 해제 신호는 전원 버튼(미도시)을 이용한 입력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유저(300)를 향한 상태에서 제 1 잠금 모드(51)로 스위칭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잠금 모드(51)는 도 6에 도시된 제 1 잠금 모드(31)와 동일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드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140)에 제 1 대기 모드(21)로 스위칭하는 때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및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2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유저(300)를 향한 상태에서 제 2 잠금 모드(52)로 스위칭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잠금 모드(52)는 도 6에 도시된 제 2 잠금 모드(32)와 동일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드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140)에 기 설정된 컨텐츠 및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2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 1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잠금 모드에서,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에는 제 1 내지 제 3 대기 모드(21,22,23)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이미지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잠금 모드에서,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140)이 유저(300)를 향해 위치하고 있어, 유저(300)는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140)을 주로 이용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전원을 공급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바꿀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도 12의 실시예를 통해, 유저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에서의 대기 모드 및 잠금 모드의 전환을,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140)을 통해서도 구현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3은 유저(300)가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140)을 이용하는 도중에 대기 모드로 스위칭되는 경우,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는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140)의 액티브 모드(60), 도 13(b)의 상단은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140)의 대기 모드(40), 도 13(b)의 하단은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대기 모드(20)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140)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3(a)을 참조하면, 액티브 모드(6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140)이 유저(300)를 향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 입력 신호의 부재를 디텍트하는 경우, 또는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터치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대기 모드(40, 20)로 스위칭될 수 있다.
대기 모드(40)에서, 도 1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140)을 디액티베이트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대기 모드로 스위칭되는 때에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이미지를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하고, 대기 모드로 스위칭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140)에서 이용하던 컨텐츠를 대기 모드 중에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에서 계속 이용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설명하는 도 14의 각 단계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프로세서(1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먼저,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 1 대기 스위칭 신호의 디텍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410). 여기에서, 제 1 대기 스위칭 신호는 액티브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스위칭하기 위한 신호로서, 전원 버튼을 이용한 입력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S1410 단계에서, 제 1 대기 스위칭 신호가 디텍트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 2 대기 모드로 스위칭될 수 있다(S1420). 여기에서, 제 2 대기 모드는, 도 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제 2 이미지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하는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제 2 이미지는 기 설정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컨텐츠는 달력 컨텐츠, 날짜 및 시간 컨텐츠, 메모 컨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는 대기 해제 신호의 디텍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430). 여기에서, 도 8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대기 해제 신호는 대기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신호로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정면에 위치한 홈 버튼에 대한 입력 신호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측면에 위치한 전원 버튼에 대한 입력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S1430 단계에서, 대기 해제 신호를 디텍트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 2 잠금 모드로 스위칭될 수 있다(S1440). 여기에서,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잠금 모드는 제 2 이미지 상에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 2 잠금 모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영역에 대한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 한편, S1430 단계에서, 대기 해제 신호의 부재를 디텍트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 2 대기 모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S1410 단계에서, 제 1 대기 스위칭 신호의 부재가 디텍트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기 설정된 시간 경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450). 여기에서, 기 설정된 시간은 도 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10초, 20초, 30초 등에 해당할 수 있다. S1410 단계에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 1 대기 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다(S1460). 여기에서, 제 1 대기 모드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제 1 이미지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이미지는 제 1 대기 모드로 스위칭되는 때에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는 대기 해제 신호의 디텍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470). S1470 단계에서, 대기 해제 신호가 디텍트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 1 잠금 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다(S1480). 여기에서, 제 1 잠금 모드는 제 1 이미지 상에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드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S1470 단계에서, 대기 해제 신호의 부재가 디텍트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 1 대기 모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설명하는 도 15의 각 단계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프로세서(1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도 15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도 14의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부분은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 1 대기 스위칭 신호의 디텍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510). S1510 단계에서, 제 1 대기 스위칭 신호가 디텍트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 2 대기 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다(S1520). 한편, S1510 단계에서, 제 1 대기 스위칭 신호의 부재를 디텍트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 2 대기 스위칭 신호의 디텍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530). 여기에서, 도 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대기 스위칭 신호는 액티브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스위칭하기 위한 신호로서, 제 1 대기 스위칭 신호와는 상이한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대기 스위칭 신호는 전원 버튼에 대한 멀티 입력, 롱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1530 단계에서, 제 2 대기 스위칭 신호가 디텍트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 3 대기 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다(S1540). 여기에서, 도 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3 대기 모드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블랭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블랭크 이미지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하는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S1530 단계에서, 제 2 대기 스위칭 신호의 부재를 디텍트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기 설정된 시간의 경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550). S1550 단계에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 1 대기 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다(S1560).
도 1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설명하는 도 16의 각 단계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프로세서(1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도 16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도 14의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부분은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도 16a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술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대기 모드로 스위칭될 수 있다(S1610). 다음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는 대기 해제 신호의 디텍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620). S1620 단계에서, 대기 해제 신호가 디텍트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 1 잠금 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다(S1630). 한편, S1620 단계에서, 대기 해제 신호의 부재가 디텍트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 1 대기 모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6b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술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대기 모드로 스위칭하거나(S1640), 제 3 대기 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다(S1650). 다음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는 대기 해제 신호의 디텍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660). S1660 단계에서, 대기 해제 신호가 디텍트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 2 잠금 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다(S1670). 한편, S1660 단계에서, 대기 해제 신호의 부재가 디텍트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 2 대기 모드 또는 제 3 대기 모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명세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100: 모바일 디바이스
110: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
120: 입력 신호 수신 유닛
130: 프로세서

Claims (20)

  1.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종이(e-paper) 디스플레이 유닛;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입력 신호를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입력 신호 수신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입력 신호 수신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 입력 신호의 부재(lack)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1 대기 모드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 1 대기 모드는 상기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된 제 1 이미지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disable)하는 모드인,
    상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1 대기 스위칭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2 대기 모드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 2 대기 모드는 상기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된 제 2 이미지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하는 모드인,
    상기 제 1 대기 모드에서, 대기 해제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1 잠금 모드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 1 잠금 모드는 상기 제 1 이미지 상에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드인,
    상기 제 2 대기 모드에서, 상기 대기 해제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2 잠금 모드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 2 잠금 모드는 상기 제 2 이미지 상에 상기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드인, 모바일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미지는 상기 제 1 대기 모드로 스위칭하는 때에 상기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이고, 상기 제 2 이미지는 기 설정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인, 모바일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2 대기 스위칭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3 대기 모드로 스위칭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대기 모드는 상기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블랭크(blank)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블랭크 이미지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하는 모드인, 모바일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3 대기 모드에서, 상기 대기 해제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2 잠금 모드로 스위칭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잠금 모드 또는 상기 제 2 잠금 모드에서, 잠금 해제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액티브 모드로 스위칭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잠금 모드에서, 상기 잠금 해제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제 1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잠금 모드에서, 상기 잠금 해제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home screen) 또는 상기 제 2 또는 제 3 대기 모드로 스위칭되기 전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상기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신호는 상기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인, 모바일 디바이스.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액티브 모드에서, 상기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액티베이트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대기 모드로 스위칭되는 경우, 상기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터치 입력이 제한됨을 나타내는 터치 오프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대기 스위칭 신호, 상기 제 2 대기 스위칭 신호 및 상기 대기 해제 신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배치된 피지컬 버튼(physical button)에 대한 입력 신호인, 모바일 디바이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는 슬라이딩 인터페이스, 패턴 인식 인터페이스, 얼굴 인식 인터페이스, 번호 인식 인터페이스 및 지문 인식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잠금 모드에서, 상기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상기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4.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상기 제 1 내지 제 3 대기 모드로 스위칭하되, 상기 제 1 내지 제 3 대기 모드로 스위칭하는 때에 상기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은 유저를 향해 위치하고,
    상기 대기 해제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제 1 내지 제 2 잠금 모드로 스위칭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대기 해제 신호를 디텍트하는 때에 상기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이 상기 유저를 향해 위치하고, 상기 제 1 내지 제 2 잠금 모드에서 상기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대기 모드에서 상기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잠금 모드에서, 상기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에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2 잠금 모드에서, 상기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에 상기 제 2 이미지 및 상기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상기 제 1 내지 제 3 대기 모드로 스위칭하는 때에, 상기 추가 디스플레이 유닛을 디액티베이트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내지 제 2 잠금 모드로 스위칭하는 때에, 상기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 1 내지 제 3 대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이미지를 동일하게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8.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종이(e-paper) 디스플레이 유닛;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입력 신호를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입력 신호 수신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입력 신호 수신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 입력 신호의 부재(lack)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1 대기 모드로 스위칭(switching)하고, 상기 제 1 대기 모드는 상기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된 제 1 이미지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disable)하는 모드인,
    상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1 대기 스위칭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2 대기 모드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 2 대기 모드는 상기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된 제 2 이미지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하는 모드인,
    상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2 대기 스위칭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3 대기 모드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 3 대기 모드는 상기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블랭크(blank)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블랭크 이미지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하는 모드인, 모바일 디바이스.
  19.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 입력 신호의 부재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1 대기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대기 모드는 상기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된 제 1 이미지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하는 모드임;
    상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1 대기 스위칭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2 대기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대기 모드는 상기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된 제 2 이미지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하는 모드임;
    상기 제 1 대기 모드에서, 대기 해제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1 잠금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잠금 모드는 상기 제 1 이미지 상에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드임; 및
    상기 제 2 대기 모드에서, 상기 대기 해제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2 잠금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잠금 모드는 상기 제 2 이미지 상에 상기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드인, 제어 방법.
  20.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 입력 신호의 부재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1 대기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대기 모드는 상기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된 제 1 이미지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하는 모드임;
    상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1 대기 스위칭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2 대기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대기 모드는 상기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된 제 2 이미지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하는 모드임; 및
    상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2 대기 스위칭 신호를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3 대기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3 대기 모드는 상기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블랭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블랭크 이미지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의 디텍팅을 디스에이블하는 모드인, 제어 방법.
KR1020130034103A 2013-03-29 2013-03-29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KR102127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103A KR102127381B1 (ko) 2013-03-29 2013-03-29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US13/896,042 US9104255B2 (en) 2013-03-29 2013-05-16 Mobile device using E-paper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CT/KR2013/004483 WO2014157767A1 (en) 2013-03-29 2013-05-22 Mobile device using e-paper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3880667.4A EP2979160B1 (en) 2013-03-29 2013-05-22 Mobile device using e-paper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380075249.2A CN105074645B (zh) 2013-03-29 2013-05-22 使用电子纸显示面板的移动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103A KR102127381B1 (ko) 2013-03-29 2013-03-29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8360A true KR20140118360A (ko) 2014-10-08
KR102127381B1 KR102127381B1 (ko) 2020-06-26

Family

ID=51620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4103A KR102127381B1 (ko) 2013-03-29 2013-03-29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04255B2 (ko)
EP (1) EP2979160B1 (ko)
KR (1) KR102127381B1 (ko)
CN (1) CN105074645B (ko)
WO (1) WO20141577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3146A1 (zh) * 2015-10-13 2017-04-20 华为技术有限公司 使用指纹识别的操作方法、装置、移动终端
CN105592233A (zh) * 2015-12-28 2016-05-18 智慧方舟科技有限公司 一种墨水屏终端及其优化方法、装置
WO2018068328A1 (zh) 2016-10-14 2018-04-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界面显示的方法及终端
KR20180056962A (ko) * 2016-11-21 2018-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이벤트 기반 센서
CN107277239A (zh) * 2017-06-09 2017-10-20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屏幕控制方法
WO2019035843A1 (en) * 2017-08-18 2019-02-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OTION-BASED FEED STATES
US11468153B2 (en) 2018-03-28 2022-10-11 Huawei Technologies Co., Ltd. Terminal device management method and terminal device
CN108733301B (zh) * 2018-05-21 2021-05-04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终端的按键处理方法和装置
CN108847187A (zh) * 2018-06-05 2018-11-20 掌阅科技股份有限公司 墨水屏设备的屏保显示方法、墨水屏设备和存储介质
DE102018132965A1 (de) * 2018-12-19 2020-06-25 Arnold & Richter Cine Technik Gmbh & Co. Betriebs Kg Bilderfassungsgerät
JP7130724B2 (ja) * 2020-12-21 2022-09-05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TWI766619B (zh) * 2021-03-17 2022-06-01 元太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紙顯示裝置及其操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397B1 (ko) * 2006-04-04 200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 자동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00253671A1 (en) * 2009-04-03 2010-10-07 Verizon Data Services Llc Persistently active display screen
KR20120125086A (ko) * 2011-05-06 2012-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2996A (ja) 2008-05-09 2009-11-19 Toshiba Corp 携帯端末
KR101045264B1 (ko) 2008-09-09 2011-06-29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642725B1 (ko) 2010-04-14 2016-08-11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잠금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672212B1 (ko) * 2010-06-15 2016-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9886567B2 (en) 2011-06-24 2018-02-06 Facebook, Inc. Display dynamic contents on locked screens
KR101452565B1 (ko) * 2012-01-19 2014-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에서의 점진적 잠금 해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WO2013181281A1 (en) * 2012-05-29 2013-12-05 Protean Payment, Inc. Payment card and methods
WO2014119894A1 (en) * 2013-01-29 2014-08-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erforming function of device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397B1 (ko) * 2006-04-04 200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 자동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00253671A1 (en) * 2009-04-03 2010-10-07 Verizon Data Services Llc Persistently active display screen
KR20120125086A (ko) * 2011-05-06 2012-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92670A1 (en) 2014-10-02
EP2979160B1 (en) 2018-07-04
US9104255B2 (en) 2015-08-11
EP2979160A4 (en) 2017-01-18
CN105074645B (zh) 2018-12-11
WO2014157767A1 (en) 2014-10-02
KR102127381B1 (ko) 2020-06-26
CN105074645A (zh) 2015-11-18
EP2979160A1 (en) 201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7381B1 (ko)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KR101978220B1 (ko)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
KR101978218B1 (ko)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
US10249152B2 (en) Integrated visual notification system in an accessory device
EP3097490B1 (en) Smart watch,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CN108292491B (zh) 显示装置以及其控制方法
KR20210118376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US8988973B2 (en) Smart watch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N105022476B (zh) 可穿戴装置
CN104272853A (zh) 便携式设备及其控制方法
US8885064B1 (en)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ith temporary standby mode and temporary camera mode
EP3039669A1 (en) Low power design for autonomous animation
US20130050122A1 (en) Controlling user equipment as touch pad for external device connected thereto
US8948823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JP6626269B2 (ja) 表示装置
KR102581242B1 (ko) 표시장치
WO2023030129A1 (zh) 消息的显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20180341450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