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7793A - 제빙장치 - Google Patents

제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7793A
KR20140117793A KR1020130032483A KR20130032483A KR20140117793A KR 20140117793 A KR20140117793 A KR 20140117793A KR 1020130032483 A KR1020130032483 A KR 1020130032483A KR 20130032483 A KR20130032483 A KR 20130032483A KR 20140117793 A KR20140117793 A KR 20140117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making
frame
ice making
mol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2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정님
Original Assignee
차정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정님 filed Critical 차정님
Priority to KR1020130032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7793A/ko
Publication of KR20140117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7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빙장치에 관한 것으로, 냉온매가 이동하는 냉매관; 제빙용 물을 공급하는 펌프; 상기 냉매관이 삽입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하부에 제빙용 물이 유입되도록 개방면을 가지는 복수의 제빙틀과; 상기 복수의 제빙틀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펌프를 통해 공급된 제빙용 물을 상기 개방면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제빙틀에 토출하는 분사노즐; 상기 복수의 제빙틀과 상기 분사노즐이 장착되는 제1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빙틀은, 인접한 제빙틀간 상호 이격되어 분리되도록 형성하고, 냉매의 열전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구조로 제빙틀을 설계한 제빙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빙장치의 제작비용은 물론 제빙공정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양호한 외형을 갖는 얼음생산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제빙장치{ICE MA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제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급된 제빙용 물을 냉각시켜 제빙하고 제조된 얼음을 제빙장치의 용기에서 분리할 수 있는 제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빙기는 저수조에서 공급된 물을 냉각시스템이 마련된 제빙장치에 공급하고 증발기에 인접한 제빙용기에서 냉각시키는 과정을 통해 얼음을 제조한다. 대부분의 생산공정에서와 마찬가지로 제빙에 있어서도 저비용으로 효율 높은 생산성을 보장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제빙분야에서는 열에너지를 관리하여 제조되는 얼음의 특성상 효율 높은 생산성이 더욱 요구된다. 도 1은 제빙을 위해 실시되고 있는 종래의 냉매관 구조를 보여준다. 냉매관은 제빙틀의 외면에 접촉하여 냉매를 통해 공급된 물을 냉각시키는데 도시된 것처럼 용접이나 기타의 부착 방식으로 실시되는 경우, 냉매관(130')이 제빙틀과 접촉하는 면적이 좁아 제빙에 소요되는 에너지의 손실이 큰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빙틀의 상부 및 하부의 두께가 동일한 두께로 제조되어 제빙틀의 하단부에까지 상기 냉매관의 냉기가 충분히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제빙틀의 측벽 부분에 별도의 냉매관을 설치하여야 하는 등 제빙틀에 충분한 냉각효과를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냉매관(130')을 형성하여야 했으므로 생산단가가 높아지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한편으로, 얼음의 용도를 보면 변질의 우려가 있는 대상물을 얼음과 함께 보관하여 보관대상물의 온도를 낮춤으로써 미생물의 활동을 억제하도록 하는 저장 및 보존재의 용도와, 각종 여름철 식자재로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근래에 들어서는 얼음을 각종 행사의 소품으로 이용하는 등 그 활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식자재나 각종 행사의 소품으로 사용되는 얼음은 시각적으로 나타내지는 경우가 많아 심미적인 요소를 가질 수 있도록 제조하는 것이 중요시되고 있어,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는 제빙틀을 적용할 수 있는지의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도 2를 들어 설명하면, 심미적 요소를 갖도록 다양한 형상의 제빙틀을 이용하여 얼음을 제조할 때, 도 1의 방식과 같이 제빙틀 외부에 접촉된 냉매관에 의해 냉각시키는 경우, 제빙틀의 굴곡된 형상으로 인하여 냉매관과의 접촉되는 면적이 대폭 줄어들어 효율적인 에너지 전달이 어려워진다.
또한, 하나의 냉매관을 이용하여 처리하고자 할 경우, 원활한 제빙이 가능한 양의 에너지 전달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냉매관의 길이가 증가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다각형의 굴곡된 제빙틀과의 접촉부분마다 용접을 실시하여야 했으므로 초기 설치에 비용이 증가한 반면, 효율의 개선도는 크게 향상되지 못하였다.
또한, 제빙에 있어서 제빙기를 통해 제조된 얼음을 제빙틀에서 이빙시키는 공정도 매우 중요하다.
선행기술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2000-0011102, 공개일 2000년 06월26일, 냉장고 자동제빙기의 이빙기구)에서는 제빙케이스 저면에 설치된 솔레노이드에 결합되면서 제빙케이스와 제빙그릇의 공간부에 누름판이 설치되어 이빙판을 타격하여 얼음을 분리시키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얼음을 이빙시키기 위해 이빙모터의 동작으로 제빙케이스를 회전시켜 하부를 항햐도록 한 뒤, 얼음을 분리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제빙케이스를 타격하거나 비틀림을 가하는 방식은 제빙기 구조의 파손우려와 공정에서의 소음을 유발한다는 점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제빙케이스를 상부로 놓은 상태로 제빙을 실시할 경우, 제빙과정에서 부피의 증가에 따라 제빙케이스의 상단을 넘쳐 흘러나오는 상황이 발생하고 그 상태로 제빙될 경우 매끄러운 형상을 가질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냉매관에서 발생되는 냉기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제빙틀에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생산에 소요되는 에너지의 절감과 동시에 제빙장치 자체의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제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얼음을 제조하고자 하는 형상에 준하는 외형을 갖도록 양질의 얼음 생산이 가능한 제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생산된 얼음의 이빙공정을 용이하게 하는 제빙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냉온매가 이동하는 냉매관; 제빙용 물을 공급하는 펌프; 상기 냉매관이 삽입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하부에 제빙용 물이 유입되도록 개방면을 가지는 복수의 제빙틀과; 상기 복수의 제빙틀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펌프를 통해 공급된 제빙용 물을 상기 개방면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제빙틀에 토출하는 분사노즐; 상기 복수의 제빙틀과 상기 분사노즐이 장착되는 제1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빙틀은, 인접한 제빙틀 간 상호 이격되어 분리되도록 형성한 제빙장치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빙틀은, 상기 냉매관이 삽입되는 상기 제빙틀의 상단부분의 두께는 상기 제빙틀의 상기 개방면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제빙틀의 측벽의 두께는 상기 개방면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빙틀의 내측면은 상단으로부터 상기 개방면을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져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매관은 상기 복수의 제빙틀의 상단부분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빙틀의 상단부분에 인서트 사출에 의해 삽입되어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빙틀은 착상된 얼음과 상기 제빙틀 내부의 진공상태를 없애 착상된 얼음을 분리시키도록 상기 제빙틀의 상단부분에서 상기 제빙틀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홀을 더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빙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제빙틀로부터 분리된 얼음이 보관부로 이동되도록 소정의 경사면과 가이드 홈이 형성된 이송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상기 이송안내부재는, 상기 분사노즐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제빙용 물이 상기 제빙틀에 유입되도록 상기 분사노즐의 토출부에 인접하게 물 통과공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 냉매관을 이용하더라도 냉매의 열전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구조로 제빙틀을 설계함에 따라 제빙장치의 제작비용은 물론 제빙공정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어 생산단가를 낮춰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빙틀 간 서로 이격하는 구조로 제작하여 제빙틀에 균일한 냉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양호한 외형을 갖는 얼음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냉매관을 제빙틀에 인서트 사출에 의해 결합시키므로 용접과 같이 냉매관과 제빙틀 간의 용접 등 첩촉공정이 불필요하며, 제빙틀의 외형에 제약없이 효율적 에너지 전달을 통한 냉각이 가능하므로 제빙장치 자체의 단가절감과 함께 콤팩트한 디자인을 갖는 제빙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제빙틀에 삽입되는 냉매관에 의해 제빙틀과 냉매관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빙틀을 하단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제빙을 실시하므로 이빙 과정에 이용하기 위한 별도의 모터나 회전장치를 구성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과, 제빙틀의 하단을 향해 점차 증착되어 생성되므로 측면으로 넘치는 상태로 냉각되는 일이 없어 제조된 얼음의 형상또한 매끄럽게 형성할 수 있게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다수의 냉각관이 제빙틀에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제빙틀 형상에 따른 냉매관의 열전달 효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의 사시도를 타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의 조립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제빙틀 간 이격된 설계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제빙틀에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된 냉각관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틀의 두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제빙장치의 하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는데 있어, 상호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며,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장치(10)는 얼음생산공장이나 정수기, 냉장고 등의 다양한 수처리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10)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10)의 조립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10)는 냉매관(130), 펌프(510), 분사노즐(330), 제빙틀(100) 및 제1 하우징(200)을 포함한다.
냉매관(130)은 외부의 서플라이 장치로부터 냉온매를 가압하며 공급된 냉온매가 이동하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U'형상을 갖도록 제작된다. 냉매관(130)의 일단은 공급된 냉온매의 입구로 사용되며 타단은 출구가 되어 냉매가 냉매관(130)의 내부를 통해 이동하면서 후술할 제빙틀(100)을 냉각 또는 가열하도록 한다.
제빙틀(100)은 제조된 얼음의 사용목적에 따라 다각형, 원형 및 특정 형상을 갖도록 틀이 제작되어 다양한 형상으로 얼음이 제조된다. 그리고, 각각의 제빙틀(100)은 근접하게 놓여 상기 냉매관(130)에 접촉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제빙틀(100)은 인접한 제빙틀(100) 간 상호 이격되어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데, 제빙틀(100) 간 상호 소정의 거리인 'd'만큼의 거리를 가지도록 이격된다. 제빙틀(100) 간 서로 이격됨으로써 냉매관(130)으로부터의 온도는 특정 위치에 집중되는 일 없이 각각의 제빙틀(100) 전체에 균등하게 열평형이 이루어져, 제빙장치에 의한 얼음의 생성 시, 각 생성되는 얼음들이 제빙틀(100) 접촉면마다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억제한다. 즉, 제빙틀의 측벽 부분이 인접한 제빙틀의 측벽부분과 연결되어 형성될 경우, 연결된 부분의 측벽의 두께는 두껍게 형성되어 제빙틀 측벽 부분에서의 얼음이 제빙틀의 형상에 따르지 않고 비정형 얼음형상으로 형성되어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제빙틀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제빙틀(100)의 내면과 외면 간 두께를 봤을 때,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서는 제빙틀의 둘레를 따라, 즉 제빙틀 측벽의 어느 방향에서든 동일하여야 한다. 즉, 도시된 w1 내지 w4는 제빙틀(100)에서 동일한 높이를 갖는 제빙틀 둘레의 임의의 지점이며 제빙틀(100)의 내면에서부터 외면까지의 두께(w)는 모두 동일하게 제작되어, 냉매관(130)으로부터 전달된 에너지는 평형을 이룬다.
또한 제빙틀(100)은, 냉각관으로부터 냉기흡수가 용이하도록 구리(Cu)나 알루미늄(Al) 같은 열전도가 양호한 금속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빙틀(100)은, 성형시 냉매관(130)의 열전도효율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 제빙틀(100)의 열전도효율을 위한 형상은 추후 설명하기로 한다.
펌프(510)는, 제빙용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며, 이때의 물은 제빙에 용이하도록 냉각상태로 처리된 냉각수를 공급하도록 한다.
분사노즐(330)은, 펌프(510)를 통해 공급된 물이 전달되어 일정량의 물이 토출되도록 한다. 분사노즐(330)의 토출구는 제빙틀(100)의 개방면을 향하는 구조로 설계된다.
제1 하우징(200)은, 상술한 복수의 제빙틀(100)과 분사노즐(330)이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체결구조를 갖는다.
도 6은 제빙틀에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된 냉각관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관(130)은 복수의 제빙틀(100)의 상단부분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복수의 제빙틀(100)의 상단부분에 인서트 사출에 의해 삽입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용접과 같이 냉매관과 제빙틀 간의 첩촉공정이 불필요하게 되되며, 제빙틀의 외형에 제약없고 추가적인 냉매관의 길이 연장없이도 효율적인 에너지 전달이 가능하므로 제빙장치 자체의 단가절감과 함께 콤팩트한 디자인을 갖도록 제작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제빙틀(100)은 단일의 냉매관(130) 삽입만으로 제빙틀(100) 전체에 원활한 제빙이 가능한 에너지를 전달하도록 형상을 갖는다.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냉매관(130)이 삽입되는 상기 제빙틀(100)의 상단부분(A)의 두께는 제빙틀(100)의 개방면 부분(A')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제빙틀(100)의 측벽의 두께는 상기 개방면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냉각 효율에 대하여 부연설명하기 위해 참조했던 도 1을 재차 참조하면, 도 1에서의 냉각관(130')은 제빙틀에 부착된 상태이지만, 원형으로 형성된 냉각관(130')의 부착면은 냉각관의 일부분만 접촉하고 대부분은 외부를 향하게 되어 냉각관 내부에 공급된 냉온매의 에너지 손실량이 크다.
반면,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제빙틀(100) 내부에 삽입되어 성형되면 냉매관(130)으로부터 제공되는 에너지의 손실량이 대폭 감소된 상태로 제빙틀(100)의 개방면이 있는 끝단까지 에너지를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어 단일 냉각관으로도 충분한 제빙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제빙틀(100)의 내측면은 상단으로부터 개방면을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져 형성된다. 제빙틀(100)의 외측면을 봤을 때, 일반적으로는 제빙틀(100)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둘레는 동일한 직경으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형상으로 제조된 제빙틀로 가정하고 제빙틀 중심부분의 세로 절단면을 봤을 때, 절단면 내면은 개방면을 향하여 점차 넓어지는 형태를 갖도록 경사가 형성된다.
이는 상술한 에너지 전달을 개방면이 있는 끝단까지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개방면 방향으로 갈수록 측벽의 두께가 감소되는 형상으로 제조하기 위한 형상에 부응하는 것이며, 또한, 제조된 얼음을 제빙틀(100)에서 분리시켜 빼낼 때,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개방면 방향으로 갈수록 측벽의 두께가 감소되는 것은, 제빙틀(100)에서 걸리는 부분 없이 생성된 얼음이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개방면 방향으로 갈수록 생성된 얼음의 중량이 많아지는 것이므로 뒤집힌 상태에서 이빙에 보다 용이하게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빙장치(10)는 하부에서 분사노즐(330)을 통해 공급된 제빙용 물이 개방면이 하단의 분사노즐(330)을 향한 상태로 결합되는 이른바 뒤집힌 용기의 형태로 제빙된다.
분사노즐(330)을 통해 적정량의 제빙용 물이 제빙틀(100)로 분사되면, 냉각관에 의해 냉각된 제빙틀(100)에 분사된 물이 착상하면서 냉각되는 방식으로, 하부를 향해 점진적 증착되며 최종의 얼음의 형태가 완성된다.
개방면이 하부를 바라보는 제빙장치(10)의 구조는 얼음을 제빙틀(100)로부터 분리시켜 빼내는 이빙과정에 있어 별도의 회전부재를 요하지 않으므로 제빙장치(10)의 설비에 따른 비용면에서 보다 유리함이 있다.
또한, 개방면이 하부를 바라보고 있으므로 분사된 물은 중력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므로 완성된 얼음의 표면이 매끄러운 둥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빙의 용이성을 위한 경사구조와 더불어, 착상된 얼음과 제빙틀(100) 내부의 진공상태를 해소하여 착상된 얼음을 분리시키도록 제빙틀(100)의 상단부분에서 제빙틀(10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홀(110)을 더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얼음이 형성되면 제빙틀(100) 내부는 진공상태가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는 제빙틀(100)이 뒤집힌 구조일지라도 얼음이 많이 녹거나 별도의 물리적 충격을 가하지 않는 이상 원활한 이빙이 불가능하므로, 얼음이 중력방향으로 낙하하고자 하는 힘을 가질 때, 그 힘에 대응하여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분리가 용이해 지는 효과를 갖기 위함이다.
한편으로, 이빙 공정에는 상기 냉매관(130)을 통한 제빙틀(100)의 일시적인 가열을 통해 실시된다. 냉매관(130)은 얼음 생성을 위한 공정에서는 제빙틀(100)에 냉기를 제공하여 제빙용 물을 냉각시키지만, 역으로 이빙 공정에서는 제빙틀(100)에 온기를 제공하여 생성된 제빙틀(100) 내부의 얼음의 계면을 부분적으로 녹여 이빙하는 원리가 적용된다.
이를 위해 얼음 생성 공정과 이빙 공정을 제어하는 알고리즘에 의해 냉매관(130)에 연결된 냉매 또는 온매를 제공하도록 하는 스위치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어부에 의해 조절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유동하는 냉매 온도, 제빙틀(100)의 용량에 따라 생성되는 얼음의 크기, 제빙용 물의 온도상태등을 고려하여 공정이 자동화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빙장치(10)는 이송안내부재(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송안내부재(400)는 제빙틀(10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제1 하우징(200)에 결합되며, 상기 제빙틀(100)로부터 분리된 얼음이 보관부(미도시)로 이동되도록 소정의 경사로(430)와 가이드 홈(410)이 형성된다.
제빙틀(100) 하단부 측에 위치되는 분사노즐(330)은 이빙 시, 분리되어 낙하되는 얼음에 의해 파손되거나 분사노즐(330)의 토출구 방향이 바뀔 수 있어, 이송안내부재(400)는 분사노즐(330)의 보호기능도 가지게 된다.
여기에서, 이송안내부재(400)는 분사노즐(330)에서 토출된 제빙용 물이 통과하여 제빙틀(100) 개방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분사노즐(330)의 토출부에 인접하도록 물 통과공(420)을 더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분사노즐(330)과, 분사노즐(330)에 공급되는 제빙용 물의 공급을 위한 제빙장치(10)의 하부에 구성되는 제2 하우징(300)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2 하우징(300)은 분사노즐 상부파트(310)와 분사노즐 하부파트(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사노즐 상부파트(310)는 이송안내부재(400)의 외관 일측에 결합되는 평판부재의 상면으로 토출구를 가지고 제빙틀(100)의 개방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복수의 분사노즐(330)이 형성된다.
분사노즐 하부파트(320)는 분사노즐(330)의 하부에 펌프(510)로부터 공급된 제빙용 물이 소정의 이송용량을 가지도록 냉각수 공급로(360)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냉각수 공급로(360)는 상기 분사노즐(330)의 형성된 위치를 따라 라인을 형성하며, 분사노즐 상부파트(310)와 분사노즐 하부파트(320)는 밀폐되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펌프(510)에 의해 공급된 제빙용 물이 냉각수 공급로(360)에서 분사노즐(330)로 압출되는데 이때, 패킹(370)이 삽입되어 냉각수공급로와 분사노즐(330)의 유입구가 밀폐되도록 한다.
패킹(370)은 냉각수 공급로(360)의 길이에 대응하여 제작되고, 냉각수 공급로(360)의 양측면에 각각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각각의 패킹(370)은, 분사노즐(330)로 유입되는 방향에서 하단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냉각수 공급로(360)의 외면감싸도록 형성된 연장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요홈을 갖는 형태로 제작된다.
이로써, 패킹(370)에 삽입된 각각의 연장부는 패킹(370)에 의해 제빙용 물의 누출을 예방하고 분사노즐(330)에서의 일정량 분출되도록 압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분사노즐 상부파트(310)와 분사노즐 하부파트(320)가 결합되어 분사노즐(330)의 연장부와 패킹(370)을 상하방향에서 밀착되도록 가압하여 결합되므로 견고한 밀폐를 유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미사용된 제빙용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냉각수 공급로(360)와 연통된 구조에 연결되는 퇴수호스(340)와, 펌프(510)로부터 공급된 제빙용 물이 냉각수 공급로(360)로 이송될 수 있도록 펌프튜브(520)를 제빙장치(10)에 이용한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 : 제빙장치 100 : 제빙틀
110 : 공기유입홀 130 : 냉매관
200 : 제1 하우징 300 : 제2 하우징
310 : 분사노즐 상부파트 320 : 분사노즐 하부파트
330 : 분사노즐 340 : 퇴수호스
360 : 냉각수 공급로 370 : 패킹
400 : 이송안내부재 410 : 가이드 홈
420 : 물 통과공 430 : 경사로
510 : 펌프 520 : 펌프튜브

Claims (7)

  1. 냉온매가 이동하는 냉매관;
    제빙용 물을 공급하는 펌프;
    상기 냉매관이 삽입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하부에 제빙용 물이 유입되도록 개방면을 가지는 복수의 제빙틀과;
    상기 복수의 제빙틀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펌프를 통해 공급된 제빙용 물을 상기 개방면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제빙틀에 토출하는 분사노즐;
    상기 복수의 제빙틀과 상기 분사노즐이 장착되는 제1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빙틀은, 인접한 제빙틀간 상호 이격되어 분리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틀은,
    상기 냉매관이 삽입되는 상기 제빙틀의 상단부분의 두께는 상기 제빙틀의 상기 개방면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제빙틀의 측벽의 두께는 상기 개방면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틀의 내측면은 상단으로부터 상기 개방면을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관은,
    상기 복수의 제빙틀의 상단부분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빙틀의 상단부분에 인서트 사출에 의해 삽입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틀은,
    착상된 얼음과 상기 제빙틀 내부의 진공상태를 해소하여 착상된 얼음을 분리시키도록 상기 제빙틀의 상단부분에서 상기 제빙틀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제빙틀로부터 분리된 얼음이 보관부로 이동되도록 소정의 경사면과 가이드 홈이 형성된 이송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안내부재는,
    상기 분사노즐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제빙용 물이 상기 제빙틀에 유입되도록 상기 분사노즐의 토출부에 인접하게 물 통과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KR1020130032483A 2013-03-27 2013-03-27 제빙장치 KR201401177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483A KR20140117793A (ko) 2013-03-27 2013-03-27 제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483A KR20140117793A (ko) 2013-03-27 2013-03-27 제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793A true KR20140117793A (ko) 2014-10-08

Family

ID=51990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2483A KR20140117793A (ko) 2013-03-27 2013-03-27 제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77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0366B2 (en) Water distribution for an ice maker
EP3059526B1 (en) Ice-making tray and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CN103542662B (zh) 冰箱
KR101798553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9599386B2 (en) Method for forming ice cubes in an ice making device
CN102317716B (zh) 冰箱
CN106257169A (zh) 用于制冰装置的冰盘以及制冰的方法
CN102203529B (zh) 冰箱
JP2005090814A (ja) 噴射式製氷機
KR20140117793A (ko) 제빙장치
KR101754374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KR101732165B1 (ko) 아이스 트레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아이스 트레이 및 아이스 트레이 제조 방법
KR101306140B1 (ko) 제빙기의 제빙유닛과 이를 이용한 얼음형성방법
US8800314B2 (en) Misting ice maker for cup-shaped ice cubes and related refrigeration appliance
JP4502897B2 (ja) 冷蔵庫
WO2023147774A1 (zh) 具有冷却储存容器的制冰组件
JP4278228B2 (ja) 自動製氷機
KR102392197B1 (ko) 구형 또는 다면체 형상의 얼음 제빙기, 이를 구비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및 냉장고
KR102392194B1 (ko) 구형 또는 다면체 형상의 얼음 제빙기, 이를 구비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및 냉장고
US20230027053A1 (en) Clear ice making systems and methods
JP6026966B2 (ja) 冷蔵庫
KR102392198B1 (ko) 구형 또는 다면체 형상의 얼음 제빙기, 이를 구비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및 냉장고
KR100764553B1 (ko) 냉수 겸용 제빙기
WO2023083219A1 (zh) 包括用于冰模具外部的副供水系统的自动制冰机
US20240077242A1 (en) A Conductive Protrusion Assembly for an Evaporator of an Ice-Mak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