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6776A - 램프 및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램프 및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6776A
KR20140116776A KR1020130109244A KR20130109244A KR20140116776A KR 20140116776 A KR20140116776 A KR 20140116776A KR 1020130109244 A KR1020130109244 A KR 1020130109244A KR 20130109244 A KR20130109244 A KR 20130109244A KR 20140116776 A KR20140116776 A KR 20140116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pipe
emitting element
emitting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9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이치 시부사와
유미코 하야시다
세이코 가와시마
고조 우에무라
도모히로 마쓰오
유이코 나카가와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6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7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7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two fittings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fluorescent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2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 F21S4/28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rigid, e.g. LED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실시형태의 램프는, 기판에 소정의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각각 다른 색의 빛을 발하고, 또한, 각각 발하는 빛의 광속이 따로 따로 제어 가능한 2종류의 발광소자를 가지는 복수의 발광부를 구비한다. 또한, 실시형태의 램프는, 발광소자에 의해 발해진 빛을 확산하는, 직선 투과율이 0%부터 50%까지의 어느 하나의 값인 투광성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된 파이프를 구비한다. 그리고, 실시형태의 램프에 있어서, 파이프의 하부로부터 발광소자까지의 거리가, 파이프의 내부 반경보다 크다.

Description

램프 및 조명장치{LAMP AND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램프 및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LED(발광 다이오드) 모듈로서, 기판상에 복수의 LED칩을 탑재한 칩 온 보드(COB) 방식이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COB 방식의 발광모듈은, 복수의 LED칩이 모여 실장된 기판상에 흐름 방지를 형성하고, 흐름 방지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에 형광체 수지를 흘려 넣어 경화시킨 집합 실장 타입인 전구형 LED 램프에, 광원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LED칩이 기판상에 일렬로 등간격으로 나란히 설치된 발광모듈도 등장하고 있다. 직관형(直管形) LED 램프에서는, 발광모듈이 복수개 접속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상술한 직관형 LED 램프에서는, 밝은 개소와 어두운 개소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밝기가 고르지 못한 경우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46740호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밝기가 고르지 못한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램프 및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형태의 램프는, 기판을 구비한다. 실시형태의 램프는, 기판에 소정의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각각 다른 색의 빛을 발하고, 또한, 각각 발하는 빛의 광속이 따로 따로 제어 가능한 복수의 종류의 발광소자를 가지는 복수의 발광부를 구비한다. 실시형태의 램프는, 발광소자에 의해 발해진 빛을 확산하는, 직선 투과율이 0%부터 50%까지의 어느 하나의 값인 투광성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된 파이프를 구비한다. 그리고, 실시형태의 램프에 있어서, 다른 발광부 사이에서의 동일한 색의 빛을 발하는 동일한 종류의 발광소자 사이의 거리가, 파이프의 내부 직경보다 작고, 파이프의 하부로부터 발광소자까지의 거리가, 파이프의 내부 반경보다 크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밝기가 고르지 못함을 억제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조명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조명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명기구의 결선도이다.
도 4는, 발광모듈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파이프(12)내의 기판(21)의 위치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중 F7-F7선을 따라서 나타내는 발광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발광모듈이 구비하는 밀봉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쌍이 되는 발광소자의 거리, 2종류의 발광소자의 쌍과 인접하는 쌍과의 거리, 파이프의 외부 직경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쌍이 되는 발광소자의 거리, 2종류의 발광소자의 쌍과 인접하는 쌍과의 거리, 파이프의 외부 직경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실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실시형태에 관한 램프를 설명한다.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이하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램프는, 일례를 나타내는 것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는, 모순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절히 조합해도 좋다.
이하의 제 1 실시형태∼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램프는, 기판에 소정의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각각 다른 색의 빛을 발하고, 또한, 각각 발하는 빛의 광속이 따로 따로 제어 가능한 복수의 종류의 발광소자를 가지는 복수의 발광부를 구비한다. 실시형태의 램프는, 발광소자에 의해 발해진 빛을 확산하는, 직선 투과율이 0%부터 50%까지의 어느 하나의 값인 투광성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된 파이프를 구비한다. 그리고, 실시형태의 램프에 있어서, 파이프의 하부로부터 발광소자까지의 거리가, 파이프의 내부 반경보다 크다. 이것에 의해, 발광소자로부터, 발광소자에 의해 발해진 빛이 확산되어 출력되는 파이프의 면까지의 거리가 커진다. 그 때문에, 파이프로부터 발해지는 빛의 밝기가 고르지 못함이 억제된다.
또한, 이하의 제 1 실시형태∼제 3 실시형태의 램프에 있어서, 다른 발광부 사이에서의 동일한 색의 빛을 발하는 동일한 종류의 발광소자간의 거리가, 파이프의 내부 직경보다 작다. 그 때문에, 파이프의 내부 직경에 대해서 동일한 색을 발하는 발광소자간의 거리가 작아지므로, 파이프로부터 발해지는 빛의 밝기가 고르지 못함이 더 억제된다.
또한, 이하의 제 1 실시형태∼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종류의 발광소자는, 예를 들면, 2종류의 발광소자이다. 이 경우에, 이하의 제 1 실시형태∼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2종류의 발광소자 중, 한쪽의 종류의 발광소자는, 제 1 전원의 제 1 극에 제 1 배선을 통하여 접속되는 것과 함께 제 2 극에 제 2 배선을 통하여 접속되고, 다른쪽의 종류의 발광소자는, 제 2 전원의 제 1 극에 제 3 배선을 통하여 접속되는 것과 함께 제 2 극에 제 2 배선을 통하여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2종류의 양쪽의 발광소자에 있어서, 제 2 배선이 공통되게 이용된다. 그 때문에, 배선수가 적어지므로, 램프의 내부 구조가 컴팩트하게 된다.
또한, 이하의 제 1 실시형태∼제 3 실시형태의 램프에 있어서, 제 1 극은 양극이고, 제 2 극은 음극이다.
또한, 이하의 제 1 실시형태∼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파이프는, 직선 투과율이 0%부터 20%까지의 어느 하나의 값인 투광성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파이프는, 직선 투과율이 0%부터 20%까지의 어느 하나의 값인 투광성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종류의 발광소자의 각각으로부터 발하는 빛의 색온도의 차가 1800K 이상이며, 발광부에서의 복수의 종류의 발광소자간의 거리가, 발광부간의 거리보다 작다. 이것에 의해, 발광부간의 거리에 대해서, 다른 색의 빛을 발하는 발광소자간의 거리가 작아진다. 그 때문에, 파이프로부터 발해지는 빛의 색이 고르지 못한 것이 억제된다.
또한, 이하의 제 2 실시형태의 램프에 있어서, 발광부간의 거리가, 파이프의 외부 직경과 0.6과의 곱셈치보다 작다. 이것에 의해, 파이프의 외부 직경에 기초하는 값에 대해서 발광부간의 거리가 작아진다. 그 때문에, 파이프로부터 발해지는 빛의 밝기가 고르지 못함이 억제된다.
또한, 이하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2종류의 발광소자 중, 한쪽의 종류의 발광소자가 발하는 빛의 색온도가 소정의 색온도보다 낮고, 다른쪽의 종류의 발광소자가 발하는 빛의 색온도가 소정의 색온도보다 높고, 2종류의 발광소자의 양쪽의 발광소자로부터 빛이 발해진 상태에서, 2종류의 발광소자의 각각의 발광소자로부터 발해지는 빛의 광속이 제어됨으로써, 발광부로부터 발해지는 빛의 색온도가 소정의 색온도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2종류의 발광소자를 가지는 발광부를 구비하는 램프에 의하면, 램프로부터 발해지는 빛의 색이 고르지 못한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제 1 실시형태∼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명장치는, 기판과, 기판에 소정의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각각 다른 색의 빛을 발하고, 또한, 각각 발하는 빛의 광속이 따로 따로 제어 가능한 복수의 종류의 발광소자를 가지는 복수의 발광부와, 발광소자에 의해 발해진 빛을 확산하는, 직선 투과율이 0%부터 50%까지의 어느 하나의 값인 투광성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된 파이프를 구비하고, 파이프의 하부로부터 발광소자까지의 거리가, 파이프의 내부 반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와, 전원에 접속되어 램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점등장치를 구비한다. 그 때문에, 파이프로부터 발해지는 빛의 밝기가 고르지 못함이 억제된다.
또한, 이하의 제 1 실시형태∼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파이프를 형성하는 수지 재료에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이용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유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파이프는, 수지 재료에 적당량의 광확산제를 혼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하의 제 1 실시형태∼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반도체의 발광소자로서는, LED칩을 들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반도체 레이저, EL(일렉트로·루미네선스(Electroluminescence)) 소자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제 1 실시형태의 직관형 램프와, 직관형 램프를 구비한 조명장치, 예를 들면, 조명기구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조명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조명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중, 부호 1은, 직접 부착형의 조명기구를 예시하고 있다.
조명기구(1)는, 장치 본체(기구 본체)(2)와, 점등장치(3)와, 쌍을 이루는 제 1, 제 2 소켓(4a,4b)과, 반사부재(5)와, 광원을 이루는 직관형의 램프(11) 등을 구비한다.
도 2에 나타내는 장치 본체(2)는, 예를 들면, 가늘고 긴 형상의 금속판으로 만들어져 있다. 장치 본체(2)는, 도 2를 도시한 지면의 표리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장치 본체(2)는, 예를 들면, 옥내의 천정에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점등장치(3)는, 장치 본체(2)의 길이방향의 중간부에 고정되어 있다. 점등장치(3)는, 제 1 점등장치(3a), 제 2 점등장치(3b) 및 제어장치(3c)를 가진다.
제 1 점등장치(3a)는, 제어장치(3c)의 제어에 의해, 상용(商用) 교류 전원을 받아 직류 출력을 생성하여, 직류 출력을 후술하는 램프(11)의 발광소자(45a)에 공급한다. 제 2 점등장치(3b)는, 제어장치(3c)의 제어에 의해, 상용 교류 전원을 받아 직류 출력을 생성하여, 직류 출력을 후술하는 램프(11)의 발광소자(45b)에 공급한다.
제어장치(3c)는, 발하는 빛의 색이 다른 후술하는 발광소자(45a) 및 후술하는 발광소자(45b)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여, 발광소자(45a) 및 발광소자(45b)의 각각으로부터 발해지는 빛의 광속을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제어장치(3c)는, 발광소자(45a)로부터 발해지는 빛과 발광소자(45b)로부터 발해지는 빛이 혼합된 빛의 색의 제어 및 밝기의 제어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장치(3c)는, 제 1 점등장치(3a)로부터 발광소자(45a)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는 것과 함께, 제 2 점등장치(3b)로부터 발광소자(45b)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고, 발광소자(45a)로부터 발해지는 빛과 발광소자(45b)로부터 발해지는 빛이 혼합된 빛의 색의 제어 및 밝기의 제어를 행한다.
한편, 장치 본체(2)에, 도시하지 않은 전원 단자대(端子臺), 복수의 부재 지지 금구(金具), 및, 한 쌍의 소켓 지지 부재 등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전원 단자대에는, 천장 속으로부터 끌어넣어진 상용 교류 전원의 전원선이 접속된다. 또한, 전원 단자대는, 도시하지 않은 기구내 배선을 경유하여 점등장치(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소켓(4a,4b)은, 소켓 지지 부재에 연결되어 장치 본체(2)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소켓(4a,4b)은, 회전 장착식인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조명기구의 결선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4a,4b)은, 후술하는 램프 핀(16a,16b)이 접속되는 한 쌍의 단자 금구(8 또는 9)를 가진다. 후술하는 램프(1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제 1 소켓(4a)의 3개의 단자 금구(8)중 2개의 단자 금구(8)가 제 1 점등장치(3a)에 기구내 배선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1 소켓(4a)의 3개의 단자 금구(8)중 2개의 단자 금구(8)가 제 2 점등장치(3b)에 기구내 배선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제 2 소켓(4b)의 단자 금구(9)에는, 어떠한 배선도 접속되어 있지 않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사부재(5)는, 예를 들면, 금속제의 바닥판부(5a)와, 측판부(5b)와, 단판(端板)(5c)을 가지고 있고, 상면이 개방된 트로프(Trough) 형상을 이루고 있다. 바닥판부(5a)는 평평하다. 측판부(5b)는, 바닥판부(5a)의 폭방향 양단으로부터 경사져 상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단판(5c)은, 바닥판부(5a)와 측판부(5b)와의 길이방향의 단(端)이 만드는 단면 개구를 막고 있다. 바닥판부(5a)와 측판부(5b)를 이루는 금속판은, 표면이 백색계의 색을 나타내는 컬러 강판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바닥판부(5a)와 측판부(5b)의 표면은, 반사면이 되어 있다. 바닥판부(5a)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도시하지 않은 소켓 통과 구멍이 각각 뚫려 있다.
반사부재(5)는, 장치 본체(2), 및, 장치 본체(2)에 부착된 각 부품을 덮고 있다. 이 상태는 떼어내기 가능한 장식 나사(도 1 참조)(6)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장식 나사(6)는, 바닥판부(5a)를 상향으로 관통하여 부재 지지 금구에 돌려서 넣어져 있다. 장식 나사(6)는,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수동식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소켓(4a,4b)은, 소켓 통과 구멍을 통하여 바닥판부(5a)의 하측에 돌출되어 있다.
조명기구(1)는, 다음에 설명하는 램프(11)를 한 개만 지지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소켓을 2쌍 구비하고, 램프(11)를 2개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소켓(4a,4b)에 떼어내기 가능하게 지지되는 램프(11)를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램프(11)는, 기존의 형광 램프와 같은 치수와 외경을 가지고 있다. 이 램프(11)는, 파이프(12)와, 이 파이프(12)의 양단에 부착된 제 1 꼭지쇠(13a), 제 2 꼭지쇠(13b)와, 들보(14)와, 복수, 예를 들면, 4개의 발광모듈(15)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4개의 발광모듈(15)을 구별하는 경우는, 첨자 a∼d를 붙여서 도시하는 것과 함께 설명한다.
파이프(12)는, 투광성의 수지 재료로, 예를 들면 길이가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파이프(12)를 이루는 수지 재료에는, 빛의 확산재가 혼합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파이프(12)의 확산 투과율은 90%∼9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이프(12)는, 직선 투과율이 0%∼20%까지의 어느 하나의 값인 투광성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파이프(12)는, 직선 투과율이 0%부터 20%까지의 어느 하나의 값인 투광성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이프(12)는, 그 사용 상태로 상부가 되는 부위의 내면에 한 쌍의 볼록부(12a)를 가지고 있다.
제 1 꼭지쇠(13a)는 파이프(12)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부착되고, 제 2 꼭지쇠(13b)는 파이프(12)의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이들 제 1, 제 2 꼭지쇠(13a,13b)는 소켓(4a,4b)에 떼어내기 가능하게 접속된다. 이 접속에 의해서, 소켓(4a,4b)에 지지된 램프(11)는, 반사부재(5)의 바닥판부(5a)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램프(11)로부터 외부에 출사되는 빛의 일부는, 반사부재(5)의 측판부(5b)에 입사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꼭지쇠(13a)는, 그 외부에 돌출되는 3개의 램프 핀(16a)을 가지고 있다. 이들의 램프 핀(16a)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이것과 함께, 3개의 램프 핀(16a)의 선단부는, 서로 떨어지도록, 거의 직각으로 구부러져 있고, L자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꼭지쇠(13b)는, 그 외부에 돌출되는 램프 핀(16b)을 가지고 있다. 이 램프 핀(16b)은, 원기둥 형상의 축부와, 원기둥 형상의 축부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정면 형상(도시되지 않음)이 타원 형상, 또는, 긴 원 형상인 선단부를 가지고 있고, 측면 T자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 1 꼭지쇠(13a)의 3개의 램프 핀(16a)이, 소켓(4a)의 3개의 단자 금구(8)에 접속되는 것과 함께, 제 2 꼭지쇠(13b)의 램프 핀(16b)이, 소켓(4b)의 단자 금구(9)에 접속되는 것에 의해서, 램프(11)가 소켓(4a,4b)에 기계적으로 지지된다. 이 지지 상태에서, 소켓(4a)내의 단자 금구(8)와, 이것에 접한 제 1 꼭지쇠(13a)의 램프 핀(16a)에 의해, 램프(11)에의 급전이 가능하다.
동일한 색의 빛을 발하는 발광소자(45a)는,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발광소자(45a)의 다이오드의 애노드측은, 제 1 배선의 일례인 배선(70a)에 의해서 제 1 점등장치(3a)의 양극에 접속되고, 발광소자(45a)의 다이오드의 캐소드측은, 제 2 배선의 일례인 배선(70c)에 의해서 제 1 점등장치(3a)의 음극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동일한 색의 빛을 발하는 발광소자(45b)는,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발광소자(45b)의 다이오드의 애노드측은, 제 3 배선의 일례인 배선(70b)에 의해서 제 2 점등장치(3b)의 양극에 접속되고, 발광소자(45b)의 다이오드의 캐소드측은, 배선(70c)에 의해서 제 2 점등장치(3b)의 음극에 접속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2종류의 발광소자(45a,45b) 중, 한쪽의 종류의 발광소자(45a)는 제 1 전원의 일례인 제 1 점등장치(3a)의 양극에 배선(70a)을 통하여 접속되는 것과 함께 음극에 배선(70b)을 통하여 접속된다. 또한, 다른쪽의 종류의 발광소자(45b)는, 제 2 전원의 일례인 제 2 점등장치(3b)의 양극에 배선(70c)을 통하여 접속되는 것과 함께 음극에 배선(70b)을 통하여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2종류의 양쪽의 발광소자(45a,45b)에 있어서, 배선(70b)이 공통되게 이용된다. 그 때문에, 배선수가 적어지므로, 램프(11)의 내부 구조가 컴팩트하게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들보(14)는, 파이프(12)에 수용되어 있다. 들보(14)는, 기계적 강도가 뛰어난 바(Bar)재이며, 예를 들면, 경량화를 위해서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어 있다. 들보(14)의 길이방향의 양단은, 제 1 꼭지쇠(13a), 제 2 꼭지쇠(13b)에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연결되고 있다.
도 4는, 발광모듈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발광모듈(15a∼15b)은, 모두 가늘고 긴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똑바른 열을 이루어 나열되어 있다. 이 발광모듈열의 길이는, 들보(14)의 전체 길이와 대략 같다. 각 발광모듈(15a∼15d)은, 들보(14)에 돌려 넣어진 도시되지 않은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발광모듈(15a∼15d)은, 들보(14)와 함께, 파이프(12)에 수용되어 있다. 이 지지 상태로, 각 발광모듈(15a∼15d)의 폭방향 양단부는, 파이프(12)의 볼록부(12a)에 얹어 놓여져 있다. 그것에 의해서, 각 발광모듈(15a∼15d)은, 파이프(12)내의 최대 폭보다 상측에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발광모듈(15a∼15d)은, 기판(21)과, 각각 다른 색의 빛을 발하는 2종류의 쌍이 되는 발광소자(발광소자(45a) 및 발광소자(45b))를 가지는 복수의 발광부(45)를 가진다. 발광소자(45a) 및 발광소자(45b)를 가지는 발광부(45)는, 기판(21)에 소정의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발광소자(45a) 및 발광소자(45b)는, 각각 발하는 빛의 광속이 따로 따로 제어 가능하다. 즉, 발광소자(45a) 및 발광소자(45b)의 각각이 발하는 빛의 광속은, 제어장치(3c)에 의해서 따로 따로 제어된다. 또한, 예를 들면, 발광소자(45a)는, 청색의 빛을 발하고, 발광소자(45b)는, 황색의 빛을 발한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여, 파이프(12)내의 기판(21)의 위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파이프(12)내의 기판(21)의 위치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의 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이프(12)의 내부의 직경(내부 직경)을 r로 하고, 파이프의 내부의 최하부로부터 기판(21)까지의 거리를 d로 하면, 파이프(12)내의 기판(21)의 위치는 다음의 식 (1)로 표시된다.
r/2<d  (1)
즉, 기판(21)은, 파이프(12)내의 최대 폭부(중심부)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각 발광모듈(15a∼15d)도 파이프(12)내의 최대 폭부보다 상측에 배치되게 된다. 그 때문에, 발광모듈이 파이프(12)내의 최대 폭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발광소자(45a,45b)로부터, 발광소자(45a,45b)에 의해 발해진 빛이 확산되어 출력되는 파이프(12)의 면까지의 거리가 커진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파이프(12)에 의하면, 파이프(12)로부터 발해지는 빛의 밝기가 고르지 못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의 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일한 종류의 발광소자(45a)간의 거리를 a로 하면, 동일한 종류의 발광소자(45a)간의 거리의 크기는, 다음의 식 (2)로 표시된다.
a<r  (2)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파이프(12)의 내부 직경 r에 대해서 동일한 색을 발하는 발광소자(45a)간의 거리가 작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파이프(12)에 의하면, 파이프(12)로부터 발해지는 빛의 밝기가 고르지 못함이 억제된다.
여기서, 상술한 발광소자(45a)간의 거리 a의 값은, 예를 들면, 12.3㎜ 이하의 값이며, 파이프의 내부의 최하부로부터 기판(21)까지의 거리 d의 값은, 예를 들면, 15㎜ 이상의 값이다.
도 6은, 도 4중 F7-F7선을 따라서 나타내는 발광모듈의 단면도이다. 이하, 발광소자(45a)를 통과하는 선을 따른 단면도에 대해 설명하지만, 발광소자(45b)를 통과하는 선을 따른 단면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므로, 발광소자(45b)를 통과하는 선을 따른 단면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광모듈(15)은, 기판(21)과, 배선 패턴(25)과, 보호 부재(41)와, 발광소자(45a)와, 제 1 와이어(51)와, 제 2 와이어(52)와, 밀봉부재(54)와, 각종의 전기부품(55∼59)을 구비하고 있다.
기판(21)은, 베이스(22)와, 금속박(23)과, 커버층(24)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22)는, 수지, 예를 들면 유리 에폭시 수지로 만들어진 평평한 판으로 이루어진다. 이 유리 에폭시 수지성 기판(FR-4)은, 열전도성이 낮고 비교적 염가이다. 베이스(22)는, 유리 컴포지트 기판(CEM-3) 또는 그 외의 합성수지 재료로 형성해도 좋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박(23)은, 기판(21)의 이면에 적층되어 있고, 예를 들면, 구리박으로 이루어진다. 커버층(24)은, 베이스(22)의 둘레부 이면 및 금속박(23)에 걸쳐서 적층되어 있다. 이 커버층(24)은, 절연 재료, 예를 들면, 합성수지제의 레지스트층으로 이루어진다. 기판(21)은, 이면에 적층된 금속박(23) 및 커버층(24)에 의해서, 휘어짐이 억제되어 보강된다.
배선 패턴(25)은, 3층 구조를 이루고, 베이스(22)의 표면(즉, 기판(21)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층(U)은, 베이스(22)의 표면에 도금된 구리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층(M)은, 제 1 층(U)상에 도금되어 있고, 니켈로 형성되어 있다. 제 3 층(T)은, 제 2 층(M)상에 도금되어 있고, 은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배선 패턴(25)의 표면은, 은 제품이다. 이 은 제품의 제 3 층(T)은, 반사면을 이루고 있고, 그 전체 광선 반사율은, 90% 이상이다.
보호 부재(41)에는, 전기 절연성의 합성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예를 들면, 백색의 레지스트층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 백색 레지스트층은, 빛의 반사율이 높은 반사층으로서 기능한다. 보호 부재(41)는, 배선 패턴(25)의 대부분을 덮고, 기판(21)상에 형성되어 있다.
각 실장 패드(26) 및 각 도전 접속부(27)는, 기판(21)상에 보호 부재(41)가 형성된 단계에서, 이 보호 부재(41)로 덮이지 않고 제 3 층(T)이 노출된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각 실장 패드(26)는, 기판(21)의 길이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각 도전 접속부(27)는, 각 실장 패드(26)와 쌍을 이루어, 실장 패드(26)의 근방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각 도전 접속부(27)는, 실장 패드(26)의 배치 피치와 같은 배치 피치로 기판(21)의 길이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발광소자(45a)는, LED의 베어 칩을 포함한다. LED의 베어 칩에는, 사파이어제의 소자 기판의 일면에 발광층을 구비하고 있고, 평면 형상은 장방형이다.
발광소자(45a)는, 상술한 일면과 반대측의 소자 기판의 다른 면을, 반사면인 실장 패드(26)에 접착제(46)를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발광소자(45a)는, 기판(21)의 길이방향(중심축선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나열된 발광소자열(列)을 형성하고 있다.
발광소자(45a)의 접착 개소는, 실장 패드(26)의 중앙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발광소자(45a)의 주위의 반사면 영역에서, 발광소자(45)로부터 방사되어 실장 패드(26)에 입사한 빛을 반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장 패드(26)에, 입사되는 빛은, 발광소자(45a)에 가까울수록 강하고, 이 강한 빛을 반사면 영역에서 반사할 수 있다.
LED의 베어 칩을 포함한 발광소자(45a)의 발광은, 반도체의 p-n접합에 순방향 전류를 흘림으로써 실현되므로, 이 발광소자(45a)는, 전기에너지를 직접광으로 변환하는 고체 소자이다. 이러한 발광 원리로 발광하는 발광소자(45a)는, 통전에 의해 필라멘트를 고온에 백열시키고, 그 열방사에 의해 가시광선을 방사시키는 백열전구와 비교하여, 에너지 절약 효과를 가진다.
접착제(46)는, 접착의 내구성을 얻는데다가 내열성을 가지고, 또한, 발광소자(45a)의 바로 아래에서도 반사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투광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착제(46)로서, 실리콘 수지계의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제 1 와이어(51)와, 제 2 와이어(52)는, 금속 세선, 예를 들면, 금의 세선으로 이루어지고, 본딩 머신을 이용하여 배선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와이어(51)는, 발광소자(45a)와, 제 1 배선 패턴(25a)의 도전 접속부(27)를 전기적으로 접속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퍼스트 본딩에 의해, 제 1 와이어(51)의 일단부(51a)가 발광소자(45a)의 전극에 접속된다. 세컨드 본딩에 의해, 제 1 와이어(51)의 타단부(51b)가 도전 접속부(27)에 접속된다.
제 1 와이어(51)의 일단부(51a)는, 발광소자(45a)의 두께 방향으로, 이 발광소자(45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전 접속부(27)는, 발광소자(45a)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이 발광소자(45a)의 상술한 전극, 및, 다른 전극보다 기판(21)측에 접근하고 있다. 이 도전 접속부(27)에 대해서 제 1 와이어(51)의 타단부(51b)는, 비스듬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 1 와이어(51)의 중간부(51c)는, 일단부(51a)와 타단부(51b)와의 사이를 차지한 부위이다. 이 중간부(51c)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부(51a)로부터 구부러져 발광소자(45a)와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발광소자(45a)에 대한 중간부(51c)의 돌출 높이(h)는, 75㎛ 이상 125㎛ 이하,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100㎛ 이하로 규정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와이어 본딩된 제 1 와이어(51)는, 발광소자(45a)를 기준으로 하는 높이를 낮게 유지하여 배선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배선된 제 1 와이어(51)의 중간부(51c)와 타단부(51b)는, 발광소자(45a)가 열(列)을 형성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배선은, 실장 패드(26)에 대한 발광소자(45a)의 상술한 배치에 의해 실현된다. 이 배선에 의해, 제 1 와이어(51)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평면에서 보아, 제 1 와이어(51)가 발광소자(45a)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선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와이어(51)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제 2 와이어(52)는, 와이어 본딩에 의해 발광소자(45a)와 제 1 배선 패턴(25a)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실장 패드(26)를 접속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퍼스트 본딩에 의해, 제 2 와이어(52)의 일단부가 발광소자(45a)의 상술한 다른 전극에 접속된다. 세컨드 본딩에 의해, 제 2 와이어(52)의 타단부는, 실장 패드(26)에 접속된다.
따라서, 각 발광모듈(15)의 기판(21)에 실장된 복수의 발광소자(45a)는,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각 기판(21)에 실장된 복수의 발광소자(45a)군의 사이도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이들의 복수의 발광소자(45a)는, 제 1 점등장치(3a)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면 발광한다.
도 7은, 발광모듈이 구비하는 밀봉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에서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봉부재(54)는, 주성분인 수지(54a)에, 형광체(54b)와, 필러(54c)를 각각 적당량 혼합하여 형성되어 있다.
수지(54a)는, 투광성을 가지는 열가소성의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수지(54a)에는, 예를 들면, 레진계 실리콘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진계 실리콘 수지는, 3차원 가교된 조직을 가지고 있으므로, 투광성 실리콘 고무보다 딱딱하다.
형광체(54b)는, 발광소자(45a,45b)가 발한 빛에 의해서 여기되어, 발광소자(45a,45b)가 발하는 빛의 색과는 다른 색의 빛을 방사한다. 예를 들면, 발광소자(45a)가 청색의 빛을 발하는 경우에는, 형광체(54b)로서, 여기에 의해서, 청색의 광에 대해 보색의 관계에 있는 황색계의 빛을 방사하는 황색 형광체가 사용된다.
밀봉부재(54)는, 실장 패드(26), 도전 접속부(27), 발광소자(45a), 제 1 와이어(51), 및, 제 2 와이어(52)를 메우는 것에 의해서, 이것들을 밀봉하여, 기판(21)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 밀봉부재(54)는, 미경화된 상태로 발광소자(45a)를 목표로 하여 적하되고, 이 후에 가열처리되는 것에 의해서, 경화되어 형성된다. 밀봉부재(54)의 적하(Potting)에는, 디스펜서(Dispenser) 등이 이용된다.
경화된 밀봉부재(54)는, 기판(21)상에, 이 기판(21)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나열되어, 발광소자(45a)의 열에 준하여, 밀봉부재열(列)을 형성하여 배치된다. 경화된 밀봉부재(54)는 돔 형상을 이루고 있다.
밀봉부재(54)의 직경 D(도 6 참조)는, 패드 지름(D1)의 1.0배∼1.4배에 규정되며, 본 실시형태의 경우, 직경(D)은 4.0㎜∼5.0㎜이다. 이것에 의해, 밀봉부재(54)로부터, 실장 패드(26)의 일부가 밀려나오는 것이 억제된다. 이것과 함께, 실장 패드(26)에 대해, 밀봉부재(54)는, 너무 많지 않게, 후술하는 어스펙트비를 유지하면서 밀봉부재(54)의 사용량을 적정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밀봉부재(54)의 높이(H)와 직경(D)을 규정하기 위해서, 발광소자(45a) 등을 둘러싸는 틀 등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밀봉부재(54)의 직경(D)과 높이(H)는, 밀봉부재(54)의 적하량과, 경도와, 경화될 때까지의 시간에 따라서 제어되게 되어 있다.
발광소자(45a)를 기준으로 하는 밀봉부재(54)의 높이(H)는 1.0㎜ 이상이다. 이 1.0㎜ 이상의 높이(H)를 확보하기 위해서, 밀봉부재(54)의 어스펙트비는, 0.20∼1.00으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밀봉부재(54)의 어스펙트비란, 발광소자(45a)를 기준으로 하는 밀봉부재(54)의 높이(H)에 대한 밀봉부재(54)의 직경(D)의 비(H/D)이다.
또한, 밀봉부재(54)의 직교 지름의 비는, 0.55∼1.00이다. 여기서, 직교 지름의 비는, 기판(21)에 접착된 밀봉부재(54)의 바닥면의 서로 직교하는 직경 X, Y의 비를 가리키고 있다. 직경 X는, 발광소자(45a)의 중심을 통과하여 임의로 그려지는 밀봉부재(54)의 바닥면의 직경이다. 직경 Y는, 직경 X에 직교해서 그려지는 밀봉부재(54)의 바닥면의 직경이다.
여기서 도 4의 설명으로 되돌아온다. 도 4에 나타내는 전기부품 55는 콘덴서이다. 전기부품 56은 커넥터이다. 전기부품 57은 정류용 다이오드, 즉, 정류회로이다. 전기부품 58은 저항이다. 전기부품 59는 입력 커넥터이다. 정류회로인 전기부품 57은, 제 1 점등장치(3a) 및 제 2 점등장치(3b)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정류한다.
콘덴서인 전기부품 55는, 4개의 발광모듈(15)의 각각 실장되어 있다. 이 콘덴서는, 예를 들면, 발광소자(45a)군, 발광소자(45b)군의 각각에 대해서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배치된 전기부품 55는, 각 발광모듈(15)의 배선 패턴(25)에 중첩된 노이즈를 발광소자군에 대해서 바이패스하여 흐르게 하는 바이패스 소자로서 기능한다. 이것에 의해, 발광소자군에의 노이즈의 중첩이 억제된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내는 스위치(SW)에 의해, 전원이 OFF된 상태에서, 노이즈가 발광소자(45a,45b)에 흐르는 것에 의한 램프(11)의 암점등(暗點燈) 등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커넥터인 전기부품 56은, 발광모듈열(列)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배치된 발광모듈(15a,15d)에 대해서는, 일단부에만 실장되어 있다. 또한, 전기부품 56은, 발광모듈(15a,15d)간에 배치된 발광모듈(15b,15c)에 대해서는, 그들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각각 실장되어 있다. 전기부품 56에 의해서, 각 발광모듈(15)의 발광소자(45a)군이,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는 것과 함께, 각 발광모듈(15)의 발광소자(45b)군이,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된다.
입력 커넥터인 전기부품 59는, 발광모듈(15a)의 배선 패턴(25a)에 접속되어 있다. 전기부품 59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전선은, 이 전기부품 59에 가까운 쪽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꼭지쇠(13a)의 램프 핀(16a)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직관형의 램프(11)의 양단을 조명기구(1)의 소켓(4a,4b)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스위치(SW)가 ON되는 것에 의해, 제 1 점등장치(3a) 및 제 2 점등장치(3b)를 경유하여, 램프(11)의 제 1 꼭지쇠(13a)에, 제 1 소켓(4a)로부터 급전된다. 이 급전에 의해, 각 발광소자(45a) 및 각 발광소자(45b)가, 일제히 발광하여, 그것에 수반하여, 밀봉부재(54)로부터 출사된 빛이, 파이프(12)로 확산되는 것과 함께, 파이프(12)를 투과하여 외부에 출사된다. 이것에 의해, 램프(11)의 하방 공간이 조명된다. 이것과 함께, 파이프(12)로부터 출사된 빛의 일부는, 반사부재(5)의 측판부(5b)로 반사되어, 램프(11)보다 상측의 공간 등을 조명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제 1 실시형태의 램프(11)는, 기판(21)에 소정의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각각 다른 색의 빛을 발하고, 또한, 각각 발하는 빛의 광속이 따로 따로 제어 가능한 복수의 종류의 발광소자(45a,45b)를 가지는 복수의 발광부(45)를 구비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의 램프(11)는, 발광소자(45a,45b)에 의해 발해진 빛을 확산하는, 직선 투과율이 0%부터 50%까지의 어느 하나의 값인 투광성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된 파이프(12)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 1 실시형태의 램프(11)에 있어서, 파이프(12)의 하부로부터 발광소자(45a,45b)까지의 거리 d가 파이프(12)의 내부 반경(r/2)보다 크다. 그 때문에, 발광모듈이 파이프(12)내의 최대 폭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발광소자(45a,45b)로부터, 발광소자(45a,45b)에 의해 발해진 빛이 확산되어 출력되는 파이프(12)의 면까지의 거리가 커진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파이프(12)에 의하면, 파이프(12)로부터 발해지는 빛의 밝기가 고르지 못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의 램프(11)에 있어서, 파이프(12)의 내부 직경 r에 대해서 동일한 색을 발하는 발광소자(45a)간의 거리가 작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파이프(12)에 의하면, 파이프(12)로부터 발해지는 빛의 밝기가 고르지 못함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발광소자(45a,45b)상에, 주성분인 수지(54a)에 형광체(54b)와, 필러(54c)가 각각 적당량 혼합된 밀봉부재(54)가, 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SMD 발광체와 비교해서 기판 표면의 낮은 위치에서 발광하고, 또한, 넓은 범위에 배광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램프(11)에서는, 발광모듈(15a∼15d)이 파이프(12)내의 최대 폭부보다 상측에 배치된 경우에는, 보다 한층 넓은 범위에 배광할 수 있으므로, SMD 발광체와 비교해서, 밝기가 고르지 못하거나 색이 고르지 못함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의 램프(11)에서는, 2종류의 발광소자(45a,45b) 중, 한쪽의 종류의 발광소자(45a)는, 제 1 점등장치(3a)의 제 1 극에 배선(70a)을 통하여 접속되는 것과 함께 제 2 극에 배선(70b)을 통하여 접속되고, 다른쪽의 종류의 발광소자(45b)는, 제 2 점등장치(3b)의 제 1 극에 배선(70c)을 통하여 접속되는 것과 함께 제 2 극에 배선(70b)을 통하여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2종류의 양쪽의 발광소자(45a,45b)에 있어서, 배선(70b)이 공통되게 이용된다. 그 때문에, 배선수가 적어지므로, 램프(11)의 내부 구조가 컴팩트하게 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의 램프(11)에서는, 제 1 극은 양극이고, 제 2 극은 음극이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의 램프(11)에서는, 파이프(12)는, 직선 투과율이 0%부터 20%까지의 어느 하나의 값인 투광성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파이프(12)는, 직선 투과율이 0%부터 20%까지의 어느 하나의 값인 투광성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발광부(45)에 있어서의 발광소자(45a)와 발광소자(45b)간의 거리와, 발광부(45)간의 거리와, 파이프(12)의 외부의 직경(외부 직경)과의 관계가 소정의 관계를 가지는 점이 다르다. 한편, 그 외의 점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8, 9는, 발광부(45)에 있어서의 발광소자(45a)와 발광소자(45b)와의 거리와, 발광부(45)간의 거리와, 파이프(12)의 외부 직경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광부(45)에 있어서의 발광소자(45a)와 발광소자(45b)와의 거리를 d1, 발광부(45)간의 거리를 d2로 하고, 도 9의 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이프(12)의 외부 직경을 R로 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음의 식 (3), 식 (4)이 나타내는 관계를 만족시킨다.
d2<0.6×R   (3)
d1/d2<1    (4)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식 (3)을 대신하여, 하기의 식 (5)이 나타내는 관계를 만족시킨다.
d2<0.45×R  (5)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발광부(45)에 있어서의 2종류의 발광소자(45a,45b)간의 거리 d1이, 발광부(45)간의 거리 d2보다 작다.
예를 들면, 상기한 관계를 만족시키는 경우에는, 발광부(45)간의 거리 d2에 대해서, 다른 색의 빛을 발하는 발광소자(45a,45b)간의 거리 d1이 작아진다. 그 때문에, 파이프(12)로부터 발해지는 빛의 색이 고르지 못한 것이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발광소자(45a) 및 발광소자(45b)를 가지는 발광부(45)간의 거리 d2가, 파이프(12)의 외부 직경 R과 0.6과의 곱셈치보다 작고, 바람직하게는, 외부 직경 R과 0.45와의 곱셈치보다 작다. 이것에 의해, 파이프(12)의 외부 직경 R에 기초하는 값에 대해서 발광부(45)간의 거리 d2가 작아진다. 그 때문에, 파이프(12)로부터 발해지는 빛의 밝기가 고르지 못함이 억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발광소자(45a,45b)상에, 주성분인 수지(54a)에 형광체(54b)와, 필러(54c)가 각각 적당량 혼합된 밀봉부재(54)가, 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SMD 발광체와 비교해서 기판 표면이 낮은 위치에서 발광하고, 또한, 넓은 범위로 배광할 수 있으므로, 발광소자(45a,45b)로부터 발하는 2종류의 색의 빛을 혼합하기 쉬워진다. 실험에 의해서, 식 (3) 및 식 (4) 또는 식 (4) 및 식 (5)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경우에, 특히, 2종류의 발광소자(45a,45b) 각각으로부터 발하는 빛의 색온도의 차가 1800K 이상일 때, 램프(11)로부터 발하는 빛의 색이 고르지 못한 것이 저감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기서, 실험의 내용의 일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발하는 빛의 색온도가 3500K와 5500K의 φ(직경) 5㎜이고 높이 1㎜의 2종류의 발광소자를 가지는 발광부가, 기판의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된 발광모듈을 이용하여, 파이프(12)로부터 출력되는 빛의 파이프(12)의 길이방향의 색온도의 최대치와 최소치와의 차에 대해 측정하였다. 이 발광모듈에서는, 상기 R=30㎜, 상기 d2=21㎜, 상기 d1=8㎜이다. 즉, 이 발광모듈은, 상기 식 (4)가 나타내는 관계를 만족시키지만, 상기 식 (3) 및 식 (5)가 나타내는 관계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이 실험의 측정 결과에서는, 파이프(12)로부터 출력되는 빛의 색온도의 최대치와 최저치와의 차가 300K이며 색이 고르지 못한 것이 눈에 띄었다.
다음에, 발하는 빛의 색온도가 3500K와 5500K인 φ(직경) 5㎜이고 높이 1㎜의 2종류의 발광소자를 가지는 발광부(45)가, 상기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의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된 발광모듈을 이용하여, 파이프(12)로부터 출력되는 빛의 파이프(12)의 길이방향의 색온도의 최대치와 최소치와의 차에 대해 측정하였다. 이 발광모듈에서는, 상기 R=30㎜, 상기 d2=12㎜, 상기 d1=8㎜이다. 즉, 이 발광모듈은, 상기 식 (3), 식 (4) 및 식 (5)가 나타내는 관계 전부를 만족시킨다. 이 실험의 측정 결과에서는, 파이프(12)로부터 출력되는 빛의 색온도의 최대치와 최저치와의 차가 50K이며 색이 고르지 못함이 눈에 띄지 않는다.
다음의 실험에 대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실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발하는 빛의 색온도가 3500K와 5500K인 φ(직경) 5㎜이고 높이 1㎜의 2종류의 발광소자를 가지는 발광부(45)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의 길이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나열된 발광모듈을 이용하여, 파이프(12)로부터 출력되는 빛의 파이프(12)의 길이방향의 색온도의 최대치와 최소치와의 차에 대해 측정하였다. 이 발광모듈에서는, 상기 R=30㎜, 상기 d2=12㎜, 상기 d1=8㎜이다. 즉, 이 발광모듈은, 상기 식 (3), 식 (4) 및 식 (5)가 나타내는 관계 전부를 만족시킨다. 이 실험의 측정 결과에서는, 파이프(12)로부터 출력되는 빛의 색온도의 최대치와 최저치와의 차가 50K이며 색의 얼룩이 눈에 띄지 않는다.
이상으로부터, 제 2 실시형태의 램프(11)와 같이, 식 (3) 및 식 (4) 또는 식 (4) 및 식 (5)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경우에는, 램프(11)로부터 발하는 빛의 색이 고르지 못함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2종류의 발광소자(45a,45b) 각각으로부터 발하는 빛의 색온도의 차가 1800K 이상일 때, 현저하게, 색이 고르지 못한 것이 눈에 띄지 않게 된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에, 제 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상시, 2종류의 발광소자(45a,45b)를 점등시키면서, 2종류의 발광소자(45a,45b)로부터 발해지는 빛을 혼합한 빛의 색온도가 목표한 색온도가 되도록 제어하는 점이 다르다. 한편, 그 외의 점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발광소자(45a,45b)와, 발광소자(45a,45b)상에 형성된 수지(54)를 합하여, 발광소자(54a,54b)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3c)는, 발광부(45)에 있어서의 2종류의 발광소자(45a,45b)로부터 발해지는 각각의 빛의 광속을 제어하고, 2종류의 발광소자(45a,45b)로부터 발해지는 빛을 혼합한 빛의 색온도가 목표한 색온도(3500K∼5500K)가 되도록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하는 빛의 색온도가 목표한 색온도보다 낮은 3000K인 발광소자(54a)와, 발하는 빛의 색온도가 목표한 색온도보다 높은 5800K인 발광소자(54b)를 이용한다.
[표 1]
Figure pat00001
여기서, 색온도가 3000K에 대응하는 색은, 'L색'이라고 칭해진다. 또한, 색온도가 5800K에 대응하는 색은, 'D색'이라고 칭해진다.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3c)는, 발광부(45)에 있어서의 2종류의 발광소자(45a,45b)로부터 발해지는 빛을 혼합한 빛의 색온도가 3500K가 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다음의 제어를 행한다. 즉, 제어부(3c)는, 제 1 점등장치(3a)로부터 최대 전류가 발광소자(45a)에 흐르도록 제 1 점등장치(3a)를 제어하는 것과 함께, 제 2 점등장치(3b)로부터 최대 전류의 10%가 발광소자(45b)에 흐르도록 제 2 점등장치(3a)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2종류의 발광소자(45a,45b)로부터 발해지는 빛을 혼합한 빛의 색온도가 3500K가 된다.
또한,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3c)는, 발광부(45)에 있어서의 2종류의 발광소자(45a,45b)로부터 발해지는 빛을 혼합한 빛의 색온도가 5500K가 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다음의 제어를 행한다. 즉, 제어부(3c)는, 제 1 점등장치(3a)로부터 최대 전류의 10%가 발광소자(45a)에 흐르도록 제 1 점등장치(3a)를 제어하는 것과 함께, 제 2 점등장치(3b)로부터 최대 전류가 발광소자(45b)에 흐르도록 제 2 점등장치(3a)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2종류의 발광소자(45a,45b)로부터 발해지는 빛을 혼합한 빛의 색온도가 5500K가 된다.
상술한 것처럼, 본 실시형태의 조명기구(1)에서는, 발광부(45)에 있어서의 2종류의 발광소자(45a,45b) 중, 한쪽의 종류의 발광소자(45b)가 발하는 빛의 색온도가 목표한 색온도보다 낮고, 다른쪽의 종류의 발광소자(45a)가 발하는 빛의 색온도가 목표한 색온도보다 높다. 그리고, 조명기구(1)의 제어부(3c)는, 2종류의 발광소자(45a,45b)의 어느 하나의 발광소자를 소등시키는 일 없이, 양쪽의 발광소자가 점등한 상태로, 2종류의 발광소자(45a,45b) 각각으로부터 발해지는 빛의 광속을 제어함으로써, 발광소자(45a,45b)를 가지는 발광부(45)로부터 발해지는 빛(혼합된 빛)의 색온도를 목표한 색온도로 한다. 따라서, 조명기구(1)에 의하면, 어느 하나의 발광소자를 소등시키는 일 없이, 양쪽의 발광소자를 점등한 상태로, 램프(11)로부터 발해지는 빛의 색온도를 제어하므로, 램프(11)로부터 발해지는 빛의 색이 고르지 못한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형태의 램프(11)에서는, 2종류의 발광소자(45a,45b) 중, 한쪽의 종류의 발광소자(45b)가 발하는 빛의 색온도가 목표한 색온도보다 낮고, 다른쪽의 종류의 발광소자(45a)가 발하는 빛의 색온도가 목표한 색온도보다 높다. 또한, 2종류의 발광소자(45a,45b)의 양쪽의 발광소자로부터 빛이 발해진 상태에서, 2종류의 발광소자(45a,45b) 각각의 발광소자로부터 발해지는 빛의 광속이 제어됨으로써, 발광소자(45a,45b)를 가지는 발광부(45)로부터 발해지는 빛의 색온도가 목표한 색온도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2종류의 발광소자(45a,45b)를 가지는 발광부(45)를 구비하는 램프(11)에 의하면, 램프(11)로부터 발해지는 빛의 색이 고르지 못한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각 실시형태에 의하면, 밝기가 고르지 못함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개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의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실시형태는, 그 외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면 마찬가지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11 : 램프
15 : 발광모듈
21 : 기판
45 : 발광소자

Claims (9)

  1. 기판과,
    상기 기판에 소정의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각각 다른 색의 빛을 발하고, 또한, 각각 발하는 빛의 광속이 따로 따로 제어 가능한 복수의 종류의 발광소자를 가지는 복수의 발광부와;
    상기 발광소자에 의해 발해진 빛을 확산하는, 직선 투과율이 0%부터 50%까지의 어느 하나의 값인 투광성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된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파이프의 하부로부터 상기 발광소자까지의 거리가, 상기 파이프의 내부 반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다른 발광부 사이에서의 동일한 색의 빛을 발하는 동일한 종류의 상기 발광소자 사이의 거리가, 상기 파이프의 내부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종류의 발광소자의 각각으로부터 발하는 빛의 색온도의 차가 1800K 이상이고, 상기 발광부에서의 복수의 종류의 발광소자 사이의 거리가, 상기 발광부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 사이의 거리가, 상기 파이프의 외부 직경과 0.6과의 곱셈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종류의 발광소자는, 2종류의 발광소자이며,
    상기 2종류의 발광소자 중, 한쪽의 종류의 발광소자가 발하는 빛의 색온도가 소정의 색온도보다 낮고, 다른쪽의 종류의 발광소자가 발하는 빛의 색온도가 상기 소정의 색온도보다 높고, 상기 2종류의 발광소자의 양쪽의 발광소자로부터 빛이 발해진 상태에서, 상기 2종류의 발광소자 각각의 발광소자로부터 발해지는 빛의 광속이 제어되어,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해지는 빛의 색온도가 상기 소정의 색온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2종류의 발광소자 중, 한쪽의 종류의 발광소자는 제 1 전원의 제 1 극에 제 1 배선을 통하여 접속되는 것과 함께, 제 2 극에 제 2 배선을 통하여 접속되고, 다른 쪽의 종류의 발광소자는 제 2 전원의 제 1 극에 제 3 배선을 통하여 접속되는 것과 함께, 제 2 극에 상기 제 2 배선을 통하여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극은 양극이고, 상기 제 2 극은 음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직선 투과율이 0%부터 20%까지의 어느 하나의 값인 상기 투광성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9. 기판과, 상기 기판에 소정의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각각 다른 색의 빛을 발하고, 또한, 각각 발하는 빛의 광속이 따로 따로 제어 가능한 복수의 종류의 발광소자를 가지는 복수의 발광부와, 상기 발광소자에 의해 발해진 빛을 확산하는, 직선 투과율이 0%부터 50%까지의 어느 하나의 값인 투광성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된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파이프의 하부로부터 상기 발광소자까지의 거리가, 상기 파이프의 내부 반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와;
    전원에 접속되어 상기 램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점등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KR1020130109244A 2013-03-25 2013-09-11 램프 및 조명장치 KR201401167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62333 2013-03-25
JP2013062333A JP6136429B2 (ja) 2013-03-25 2013-03-25 ラン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776A true KR20140116776A (ko) 2014-10-06

Family

ID=49303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244A KR20140116776A (ko) 2013-03-25 2013-09-11 램프 및 조명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286040A1 (ko)
EP (1) EP2784372A1 (ko)
JP (1) JP6136429B2 (ko)
KR (1) KR20140116776A (ko)
CN (1) CN104075155A (ko)
TW (1) TW20143755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05197B4 (de) * 2014-03-20 2015-12-17 Ridi Leuchten Gmbh Leuchteinrichtung für Leuchtmittel
CN105042438A (zh) * 2015-08-03 2015-11-11 江苏达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led可调节顶灯
WO2021224134A1 (en) * 2020-05-07 2021-11-11 Signify Holding B.V. An led filament and a lamp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2704A (en) * 1989-04-17 1991-02-12 Basic Electronics, Inc. Variable color light emitting diode
US6361186B1 (en) * 2000-08-02 2002-03-26 Lektron Industrial Supply, Inc. Simulated neon light using led's
KR20060061867A (ko) * 2004-12-02 2006-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발생 장치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JP2007042290A (ja) * 2005-07-29 2007-02-15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蛍光ランプ装置、照明器具
DE102006033893B4 (de) * 2005-12-16 2017-02-23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Beleuchtungseinrichtung
JP2009087794A (ja) * 2007-10-01 2009-04-23 Erebamu:Kk ライン照明装置
KR100993059B1 (ko) * 2008-09-29 2010-11-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장치
US20100102729A1 (en) * 2008-10-10 2010-04-29 Rethink Environmental Light emitting diode assembly
US20100254126A1 (en) * 2009-04-01 2010-10-07 Kai-Ming Yang LED-based lighting module for emitting white light with easily adjustable color temperature
CN201909220U (zh) * 2010-07-23 2011-07-27 展晶科技(深圳)有限公司 发光二极管灯条
US20120134161A1 (en) * 2010-11-30 2012-05-31 Nobuo Kawamura Lighting apparatus
JP5449233B2 (ja) * 2011-02-21 2014-03-19 三菱電機株式会社 点灯装置
JP5748081B2 (ja) * 2011-07-29 2015-07-15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86040A1 (en) 2014-09-25
CN104075155A (zh) 2014-10-01
JP6136429B2 (ja) 2017-05-31
EP2784372A1 (en) 2014-10-01
JP2014186936A (ja) 2014-10-02
TW201437554A (zh) 201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48081B2 (ja) 発光装置及び照明装置
US20120300430A1 (en) Light-emitting module and lighting apparatus
WO2012043543A1 (ja) 発光装置及び照明装置
JP2007073968A (ja) フレキシブル回路支持体を利用する薄型の光源
JP2010135747A (ja) 発光モジュールおよび照明装置
JP2012146470A (ja) ランプ及び照明装置
EP2696128A1 (en) Light source device, lighting apparatus
WO2011024861A1 (ja) 発光装置および照明装置
JP5347515B2 (ja) 照明装置
JP2013171777A (ja) 照明装置
JP6136429B2 (ja) ランプ
US20150009662A1 (en) Light-Emitting Module and Luminaire
JP5672644B2 (ja) 照明装置
JP2015057791A (ja) 照明装置
US20130135869A1 (en) Luminaire
JP2014127367A (ja) 発光モジュール及び光源装置
JP2014063691A (ja) 発光装置及び照明装置
JP5383758B2 (ja) 照明装置
JP2010171193A (ja) 照明装置
WO2013018177A1 (ja) ランプ及び照明装置
JP2012074149A (ja) 発光装置及び照明装置
JP2013004704A (ja) 発光体および照明装置
JP5327535B2 (ja) 照明装置
WO2013118495A1 (ja) Led照明器具
JP6052733B2 (ja) 照明用光源及び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